KR20190114395A -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395A
KR20190114395A KR1020180037035A KR20180037035A KR20190114395A KR 20190114395 A KR20190114395 A KR 20190114395A KR 1020180037035 A KR1020180037035 A KR 1020180037035A KR 20180037035 A KR20180037035 A KR 20180037035A KR 20190114395 A KR20190114395 A KR 2019011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sprouts
fermented
extract
spr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라
박향진
정희범
성진아
김민정
김영민
유제근
김가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드림팜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드림팜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드림팜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7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4395A/ko
Publication of KR2019011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41Pediococcus
    • A23V2400/427Pentosaceus
    • A23Y2280/5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화장품의 주요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하여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노화 효능이 증진되는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크게 세척 과정(S100)과 건조 과정(S200),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S300), 추출물 정제 과정(S400), 발효 과정(S500), 여과 과정(S600) 및 농축과정(S7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FERMENTED SPROUT GINSENG USING PEDIOCOCCUS PENTOSACEUS}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화장품에 사용되는 주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장품의 주요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하여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노화 효능이 증진되는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식물 분류학상 오가과 인삼속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지구상에 약 11종이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인종으로는 고려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미국삼(Panax quinquefolium L.), 전칠삼(Panax notoginsengF. H. Chen), 죽절삼(Panax japonicus C. A. Meyer) 등이 있다. 고려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아시아 극동 지역(북위 33 ~ 48도 한국, 북만주, 러시아 일부)에 자생하며, 약효가 매우 우수하다. 미국삼(Panaxquinquefolium L.)은 미국, 캐나다에 자생 및 재배되며, 전칠삼(Panax notoginseng F. H. Chen)은 중국 운남성동남부로부터 광서성 서남부 지역에서 야생 또는 재배된다. 또한 죽절삼(Panax japonicus C. A. Meyer)은 일본,중국 서남부, 네팔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인삼의 주요성분 및 약리작용에 관한 연구가 발표됨에 따라, 자연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 수요도 점차 신장 되고 있고,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더욱 가속화되어 대중적 자연건강식품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또한 인삼은 주로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생약의 형태로 정신 의학적, 신경계의 질병 및 당뇨병 등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해 사용되어 왔으며, 상기 인삼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은 강장, 강정, 진정, 조혈 및 항고혈압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은 트리테르페노이드 글리코사이드(triterpenoid glycoside) 형태를 가지며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로 불린다.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 중 흡수가 어려운 메이져(major) 사포닌 (Rg1, Re, Rb1, Rc, Rb2 및 Rd)이 가수 분해되어 생성된 마이너(minor) 사포닌 (Rg3, Rh2, Compound K 등)은, 마우스에서 종양 세포 전이의 저해, 시험관 내 종양 세포 침입 저해, 암세포 세포자살 유발, 암세포 전이 억제, 혈압 강하,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분비 억제, 진통제 활성 및 면역력 증강 등 탁월한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렇게 마이너(minor) 사포닌의 우수한 약리 활성이 검증됨에 따라 마이너(minor) 사포닌 생성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 공개공보 제2003-61756호에는 인삼을 아스퍼질러스로 발효한 후 전분 분해효소 및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및 관능성이 우수한 인삼 발효액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김치 유산균은 김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로서 항산화, 면역증강, 고혈압 예방, 항암 효과 및 변비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김치 유산균의 종류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루코노스톡 멘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페디오코커스 세레비지애(Pediococcus cerevisiae) 등이 알려진 바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0442호에는 새싹을 설탕을 이용하여 발효한 후 수득한 새싹 발효액과, 유산균으로 인삼열매를 발효한 후 수득한 인삼열매 발효액을 혼합하여 일정 기간 숙성한 후, 이 혼합 숙성액에 안정화제로 벌꿀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및 인삼열매 발효액을 이용한 피부미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_DF1725)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개시(disclosure)된다.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20일 내지 30일간 성장한 새싹삼을 세척하는 세척 과정(S100)과 상기 세척 과정을 거친 새싹삼을 건조하는 건조 과정(S200), 상기 건조 과정(S200)을 거친 새싹삼에 에탄올을 혼합하고 가열 및 농축하여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S300), 상기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S300)을 거친 새싹삼 추출물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정제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추출물 정제 과정(S400), 상기 정제 새싹삼 추출물에 미생물(수탁번호 : KCCM12225P 균주)을 접종하고, 미생물이 접종된 정제 새싹삼을 발효하여 발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발효 과정(S500), 발효 새싹삼 추출물에 잔류하는 이물질 또는 찌꺼기를 제거하는 여과 과정(S600) 및 상기 여과 과정(S600)을 거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을 농축하는 농축과정(S700)을 포함한다.
상기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S300)은 1차 획득 과정(S310)과 2차 획득 과정(S320) 및 3차 획득 과정(S330)을 포함하되, 상기 1차 획득 과정(S310)은 건조 새싹인삼 10kg에 농도가 50%~60%인 에탄올 100L 비율로 혼합한 후 60~70brix가 되도록 가열하여 1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2차 획득 과정(S320)은 1차 새싹인삼 추출물에 농도가 30%~40%인 에탄올 100L 비율로 혼합한 후 60~70brix가 되도록 가열하여 2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3차 획득 과정(S330)은 2차 새싹인삼 추출물에 정제수 또는 증류수 100L 비율로 혼합한 후 60~70brix가 되도록 가열하여 3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 과정(S400)은 3차 새싹삼 추출물 80~90중량%와 정제수 10~20중량%가 혼합하여 정제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 과정(S500)은 정제 새싹삼 추출물 95~98중량%에 2~5중량%의 미생물(수탁번호 : KCCM12225P 균주)을 혼합하여, 90℃~95℃의 온도로 2~3시간 동안 가열하여 접종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고, 접종 새싹삼 추출물을 25℃~4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발효하여 발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농축과정(S700)은 이물질이 제거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이 60~70brix 이상으로 농축되도록 60℃~8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인체에 유효한 사포닌과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가 혼합된 추출물을 제공함으로써, 인체의 피부조직의 재생에 필요한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시켜 피부조직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른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 양의 증가표.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른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 양의 증가표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크게 세척 과정(S100)과 건조 과정(S200),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S300), 추출물 정제 과정(S400), 발효 과정(S500), 여과 과정(S600) 및 농축과정(S700)을 포함한다.
상기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S300)은 1차 획득 과정(S310)과 2차 획득 과정(S320) 및 3차 획득 과정(S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세척 과정(S100)은 20일 성장한 새싹삼에 잔류하는 흙 등의 이물질을 물을 이용하여 세척한다. 상기 인삼의 성장기간은 최대 30일까지 성장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건조 과정(S200)은 60℃~85℃의 온도로 유지되는 실내에 6~8시간 동안 상기 세척 과정을 거친 새싹삼을 보관하여 건조되도록 한다. 한편, 60℃~85℃의 열풍을 가하여 건조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S300)은 상기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S300)은 1차 획득 과정(S310)과 2차 획득 과정(S320) 및 3차 획득 과정(S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획득 과정(S310)은 건조 새싹인삼 10kg에 농도가 50%~60%인 에탄올 100L 비율로 혼합한 후, 60℃~80℃의 온도로 8시간 가열하여 새싹삼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들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1차 획득 과정(S310)은 에탄올에 의해서 추출된 새싹삼 추출물의 의 당도가 60~70brix가 되도록 50℃~70℃의 온도로 가열하여 1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2차 획득 과정(S320)은 1차 새싹인삼 추출물에 농도가 30%~40%인 에탄올 100L 비율로 혼합한 후, 60℃~80℃의 온도로 8시간 가열하여 새싹삼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들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2차 획득 과정(S310)은 에탄올에 의해서 추출된 새싹삼 추출물의 의 당도가 60~70brix가 되도록 50℃~70℃의 온도로 가열하여 2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3차 획득 과정(S330)은 2차 새싹인삼 추출물에 정제수 또는 증류수 100L 비율로 혼합한 후, 60℃~80℃의 온도로 8시간 가열하여 새싹삼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들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3차 획득 과정(S310)은 추출된 새싹삼 추출물의 의 당도가 60~70brix가 되도록 50℃~70℃의 온도로 가열하여 3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 정제 과정(S400)은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S300)을 거친 새싹삼 추출물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정제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3차 새싹삼 추출물 80~90중량%에 정제수 10~20중량%를 혼합한다.
상기 발효 과정(S500)은 상기 정제 새싹삼 추출물에 미생물인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_DF1725, 수탁번호 : KCCM12225P)균주를 접종하고, 미생물이 접종된 정제 새싹삼을 발효하여 발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발효 과정(S500)은 정제 새싹삼 추출물 95~98중량%에 2~5중량%의 미생물을 혼합하여, 90℃~95℃의 온도로 2~3시간 동안 유지하여 접종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고, 접종 새싹삼 추출물을 25℃~4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발효하여 발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과정(S600)은 통상의 테칸타 또는 원심분리기를 통해서 발효 새싹삼 추출물에 잔류하는 이물질 또는 찌꺼기를 제거한다.
상기 농축과정(S700)은 상기 여과 과정(S600)을 거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을 농축하는데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물질이 제거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당이 60~70brix 이상으로 농축되도록 60℃~8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은 인체에 유효한 사포닌과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가 혼합된 추출물을 제공함으로써, 인체의 피부조직의 재생에 필요한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시켜 피부조직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S100 : 세척과정
S200 : 건조 과정
S300 :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
S400 : 추출물 정제 과정
S500 : 발효 과정
S600 : 여과 과정
S700 : 농축 과정

Claims (5)

  1. 20일 내지 30일간 성장한 새싹삼을 세척하는 세척 과정(S100);
    상기 세척 과정을 거친 새싹삼을 건조하는 건조 과정(S200)
    상기 건조 과정(S200)을 거친 새싹삼에 에탄올을 혼합하고 가열 및 농축하여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S300)
    상기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S300)을 거친 새싹삼 추출물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정제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추출물 정제 과정(S400)
    상기 정제 새싹삼 추출물에 미생물(수탁번호 : KCCM12225P 균주)을 접종하고, 미생물이 접종된 정제 새싹삼을 발효하여 발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발효 과정(S500);
    발효 새싹삼 추출물에 잔류하는 이물질 또는 찌꺼기를 제거하는 여과 과정(S600)
    상기 여과 과정(S600)을 거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을 농축하는 농축과정(S700)을 포함하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새싹삼 추출물 획득 과정(S300)은 1차 획득 과정(S310)과 2차 획득 과정(S320) 및 3차 획득 과정(S330)을 포함하되,
    상기 1차 획득 과정(S310)은 건조 새싹인삼 10kg에 농도가 50%~60%인 에탄올 100L 비율로 혼합한 후 60~70brix가 되도록 가열하여 1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2차 획득 과정(S320)은 1차 새싹인삼 추출물에 농도가 30%~40%인 에탄올 100L 비율로 혼합한 후 60~70brix가 되도록 가열하여 2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3차 획득 과정(S330)은 2차 새싹인삼 추출물에 정제수 또는 증류수 100L 비율로 혼합한 후 60~70brix가 되도록 가열하여 3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과정(S400)은 3차 새싹삼 추출물 80~90중량%와 정제수 10~20중량%가 혼합하여 정제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과정(S500)은 정제 새싹삼 추출물 95~98중량%에 2~5중량%의 미생물(수탁번호 : KCCM12225P 균주)을 혼합하여, 90℃~95℃의 온도로 2~3시간 동안 가열하여 접종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고, 접종 새싹삼 추출물을 25℃~4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발효하여 발효 새싹삼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농축 과정(S700)은 이물질이 제거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이 60~70brix 이상으로 농축되도록 60℃~8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180037035A 2018-03-30 2018-03-30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90114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35A KR20190114395A (ko) 2018-03-30 2018-03-30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35A KR20190114395A (ko) 2018-03-30 2018-03-30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95A true KR20190114395A (ko) 2019-10-10

Family

ID=6820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035A KR20190114395A (ko) 2018-03-30 2018-03-30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43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870A1 (ko) * 2019-09-27 2021-04-01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새싹삼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870A1 (ko) * 2019-09-27 2021-04-01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새싹삼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7153A (ko) * 2019-09-27 2021-04-06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새싹삼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5694B (zh) 丹酚酸酶及丹酚酸酶和人参皂苷混合酶的制备方法及用所制得的酶转化药材的方法
KR101164529B1 (ko) 진세노사이드 증대를 위한 인삼발효 방법
CN107929339B (zh) 一种黑参的制备方法
KR101952695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10092721A (ko) 인삼사포닌Rg1과 복령발효산물을 이용한 천연 한방화장품
KR101331171B1 (ko)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666913A (zh) 一种天然养生竹米酒及其制备方法
KR101274755B1 (ko)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홍삼 및 상기 홍삼의 제조방법
KR101295846B1 (ko) 사포닌 함량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홍삼주 및 상기 홍삼주의 제조방법
KR20170132100A (ko) 산양산삼을 이용한 조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조청
CN104688930A (zh) 抗疲劳人参鹿骨保健酒及其制备方法
KR20150102362A (ko) 파상된 산양산삼으로부터 최대함량 진세노사이드 추출방법
KR102376187B1 (ko) 활성사포닌이 강화된 인삼종합사포닌 진오스(ginos) 복합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1372400B1 (ko) 미량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증진시킨 홍삼전분의 제조 방법
KR20190114395A (ko)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를 이용한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발효 새싹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363074B1 (ko) 21종의 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기능성 홍삼 또는 홍삼가루 및 상기 기능성 사포닌 함량 증강 홍삼 또는 홍삼가루의 제조
KR101346626B1 (ko) 유산균 및 효소의 2단계 발효를 이용한 홍삼액의 제조방법
KR20090008486A (ko) 햅쌀과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홍주 제조 방법
KR101307202B1 (ko) Ppt계열 사포닌 함량이 증대된 산삼 배양근 crmg5 및 이의 생산방법
KR102052530B1 (ko) 증숙한 인삼 및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CN104479963A (zh) 一种玉竹月季花保健黄酒的酿制方法
KR20180089097A (ko)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꽃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삼꽃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5869A (ko) 유산균 2단계 발효를 이용한 홍삼액의 제조방법
CN104277957A (zh) 西洋参果保健酒的制备方法
KR20200000571A (ko)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베리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삼베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