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610A -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및 그의 경화물 - Google Patents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및 그의 경화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610A
KR20190113610A KR1020190033554A KR20190033554A KR20190113610A KR 20190113610 A KR20190113610 A KR 20190113610A KR 1020190033554 A KR1020190033554 A KR 1020190033554A KR 20190033554 A KR20190033554 A KR 20190033554A KR 20190113610 A KR20190113610 A KR 20190113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shielding material
epoxy compound
inkjet
black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 하리마
마사토 요시다
신이치로 이즈미
마리코 시마미야
야스아키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3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61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4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containing 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6Inkjet printing inks based on non-aqueous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 Jet (AREA)

Abstract

[과제] 고온 환경 하, 강한 자외선 등에 노출되는 환경 하에 있어서의 변색 및 밀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제공.
[해결수단]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방향환을 갖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 광 산 발생제, 커플링제, 흑색 안료 및 희석제를 포함하고, 광 산 발생제가 요오도늄염이고, 에폭시 화합물로서, 단관능 및 2관능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및 그의 경화물{BLACK BLOCKING MATERIAL FOR INKJET AND CURED PRODUCT THEREOF}
본 발명은,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및 그의 경화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 카 내비게이션 등이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화상 표시 영역에 형성된 ITO막 패턴 및 그의 주변 부분에 금속 배선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금속 배선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어버리지 않도록, 커버 유리의 내측 주변 부분에는 차폐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차폐부는, 예를 들어 흑색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를, 커버 유리의 내측 주변 부분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것에 활성 광선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경화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상,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에는, 도포 불균일에 기인하는 줄무늬나 유자 껍질 형상의 모양을 발생시키지 않고, 평활성이 높은 도막 및 차폐부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하, 도포 불균일 방지성이라 한다) 및 높은 OD값을 가진 차폐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는, 감광성 화합물과, 광중합 개시제로서 아릴술포늄염과, 특정 범위의 비점을 갖는 유기 용제와, 전하 조정제를 포함하는 잉크젯 잉크 조성물이며, 특정한 점도를 갖는 잉크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355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등이 제안하는 종래 공지된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차폐부는, 고온 환경 하, 강한 자외선 등에 노출되는 환경 하에서 경시적으로 변색되고, 밀착성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여름철의 차 내는, 직사 광선 및 온실 효과에 의해 변색 및 밀착성의 저하가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도포 불균일 방지성 및 차폐성을 갖고, 또한 고온 환경 하, 강한 자외선 등에 노출되는 환경 하에 있어서의 변색 및 밀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경화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방향환을 갖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 광 산 발생제, 커플링제, 흑색 안료 및 희석제를 포함하고, 광 산 발생제가 요오도늄염이고, 상기 방향환을 갖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로서, 단관능 및 2관능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에폭시 화합물이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광 산 발생제의 음이온 부분이 PF6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커플링제가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흑색 안료가 카본 블랙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희석제가 비반응성의 아세테이트계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경화물은, 상기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를 경화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도포 불균일 방지성 및 차폐성을 갖고, 또한 고온 환경 하, 강한 자외선 등에 노출되는 환경 하에 있어서의 높은 변색 방지성 및 밀착력 저하 방지성(이하, 간단히 변색 방지성 및 밀착력 저하 방지성이라 한다.)을 갖는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경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방향환을 갖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 광 산 발생제, 커플링제, 흑색 안료 및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25℃에서의 점도는 1 내지 50mPa·s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30mPa·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점도를 상기 수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잉크젯 인쇄 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점도는, JIS K 2283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를 잉크젯법, 코터법, 디스펜서법, 스프레이법 또는 그라비아 인쇄법 등에 의해 유리판, 목재 또는 종이 등의 위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켜, 차폐부를 형성할 수 있다. 차폐성이라는 관점에서, 두께 2㎛의 차폐부의 OD값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OD값은, 투과 농도계(X-Rite사제, 361T)를 사용하여 투과 광량을 측정하고, 식 OD값=-log10(T/100)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이란, 자외선, 전자선, X선, α선, β선, γ선, 마이크로파, 고주파 등의 라디칼성 활성종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에 포함되는 각종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에폭시 화합물]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에 포함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방향환을 갖지 않는, 단관능 및 2관능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가 이러한 2종의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도포 불균일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밀착력 저하 방지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향환이란, 벤젠환, 나프탈렌환, 안트라센환을 말한다.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노르보르넨형 에폭시 화합물 및 수소 첨가 비스페놀형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변색 방지성 및 밀착력 저하 방지성이라는 관점에서는, 방향환을 갖지 않는 단관능의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 또는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변색 방지성 및 밀착력 저하 방지성이라는 관점에서는, 방향환을 갖지 않는 2관능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단관능 및 2관능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을 각각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은, 방향족성을 갖지 않는 포화 또는 불포화된 탄소환을 하나 이상 갖고, 또한 방향환을 갖지 않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시클로헥센옥사이드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2관능 이상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메틸-4-(2-메틸옥시라닐)-7-옥사비시클로[4.1.0]헵탄, (3,3',4,4'-디에폭시)비시클로헥실, 2-(3,4-에폭시시클로헥실-5,5-스피로-3,4-에폭시)시클로헥산-메타-디옥산,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비닐시클로헥센디옥사이드,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메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 디시클로펜타디엔디에폭사이드, 에틸렌글리콜디(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에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및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관능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1,2-에폭시-4-비닐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 구조를 갖지 않는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이며, 2관능 이상의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및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단관능의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라우릴알코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방향환을 갖지 않는, 2관능 이상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은, 시판품인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셀록사이드 2021P, 셀록사이드 2081, 셀록사이드 3000, 셀록사이드 8000, EHPE3150, 사이크로마 M-100, 에폴리드 GT301, 에폴리드 GT302, 에폴리드 GT401, 에폴리드 GT403(이상,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셀제), YX-8000 및 YX-8034(미쓰비시 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제) 산소사이저 E-PS 등을 들 수 있다.
방향환을 갖지 않는, 단관능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은 셀록사이드 2000(가부시끼가이샤 다이셀제) E0956(도꾜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방향환을 갖지 않는, 2관능 이상의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은, 시판품인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에폴라이트 40E, 에폴라이트 100E, 에폴라이트 70P, 에폴라이트 200P, 에폴라이트 400P(교에샤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방향환을 갖지 않는 단관능의 에폭시 화합물은, 예를 들어 EX-111, EX-121, EX-171, EX-191(나가세 켐텍스 가부시끼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중에 있어서의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은, 30 내지 8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7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변색 방지성 및 밀착력 저하 방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관능의 에폭시 화합물과 2관능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의 비율은, 질량 기준으로 1:99 내지 9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90 내지 50: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변색 방지성 및 밀착력 저하 방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광 산 발생제]
광 산 발생제는, 광 흡수부인 양이온 부분과, 산 발생부인 음이온 부분을 갖고,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에 포함되는 광 산 발생제는, 양이온 부분이 요오도늄 이온인, 요오도늄염계의 광 산 발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비요오도늄염계의 광 산 발생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광 산 발생제의 음이온 부분은, PF6 -, BF6 - 및 SbF6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밀착력 저하 방지성이라는 관점에서 PF6 -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 산 발생제는, 음이온 부분을 PF6 -로 하는 방향족 요오도늄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4-이소부틸페닐(4-메틸페닐)요오도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4-tert-부틸페닐)요오도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도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광 산 발생제를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광 산 발생제는 시판품인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Omnicat 250(IGM Resins사제), B2380, D2238(이상, 도꾜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및 WPI-113, WPI-170(이상, 와꼬 쥰야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중에 있어서의 광 산 발생제의 함유량은, 3 내지 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 내지 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변색 방지성 및 밀착력 저하 방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커플링제]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커플링제를 포함한다. 커플링제로서는, 실란 커플링제, 티타늄 커플링제, 지르코늄 커플링제 및 알루미늄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유리 등과의 밀착성이라는 관점에서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커플링제를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커플링제는, 에폭시기, 아미노기, 머캅토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의 유기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이들 중에서도 밀착력 저하 방지성이라는 관점에서, 에폭시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플링제는,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및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커플링제는 시판품인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KBM-303, KBM-402, KBM-403, KBE-402 및 KBE-403(이상, 신에쯔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중에 있어서의 커플링제의 함유량은, 0.1 내지 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4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경화성 및 잉크젯 적성을 유지하면서, 밀착력 저하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흑색 안료]
흑색 안료는 무기 안료여도, 유기 안료여도 되고,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사산화삼철, 흑산화티타늄, 구리 망간 블랙, 구리 크롬 블랙 및 코발트 블랙 등의 무기 안료, 및 시아닌 블랙 및 아닐린 블랙 등의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색의 안료를 혼합하여, 흑색으로 한 안료 혼합물도 흑색 안료에 포함된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밀착력 저하 방지성이라는 관점에서,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본 블랙을 사용함으로써, 줄무늬나 유자 껍질 형상의 모양이 형성되지 않은, 평활성이 높은 차폐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의 OD값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폐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흑색 안료를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중에 있어서의 흑색 안료의 함유량은, 5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6 내지 8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잉크젯 적성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는 차폐부의 차폐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희석제]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희석제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잉크젯 인쇄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희석제를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희석제로서는,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반응성 희석제여도, 중합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 비반응성 희석제여도 되지만, 잉크젯 도포성의 관점에서 비반응성 희석제가 바람직하다.
비반응성 희석제로서는 공지 관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카르비톨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부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희석제 중에서도 아세테이트계 희석제가 바람직하고, 비점이 100℃ 초과인 아세테이트계 희석제가 보다 바람직하고, 130℃ 초과인 아세테이트계 희석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형성되는 차폐부의 평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한 희석제 중에서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카르비톨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아세트산부틸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중에서도 잉크젯 인쇄 적성이라는 관점에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카르비톨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비점이 100℃ 초과인 희석제와, 비점이 100℃ 이하인 희석제를 병용해도 된다.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공지 관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2-(2-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중에 있어서의 희석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에 포함되는 각종 구성 재료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10 내지 30질량%로 할 수 있다.
[안료 분산제]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안료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잉크젯 인쇄 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료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인에테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폴리이소베이트 및 올레산데카글리세르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안료 분산제를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중에 있어서의 안료 분산제의 함유량은, 0.1 내지 3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2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잉크젯 적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첨가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안료 분산제, 산소 제거제, 형광 증백제, 계면 활성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 난연제, 내전 방지제 및 항균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박막화 및 기판의 외곽에 위치한 회로 배선의 은폐성과의 양립의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 있어서의 박막 형태의 베젤 패턴 형성용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포 방법은 잉크젯법을 사용하여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서,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의 경우에 비해, 패턴 형성을 위한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공정이 복잡해지지 않는다는 점과, 스크린 인쇄 방법에 비해 제약 없이 미세한 패턴 형성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4)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을 배합·교반하여,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를 얻었다. 또한, 표 중의 수치는 질량%를 나타낸다.
(도포 불균일 방지성)
후지 글로벌 그래픽 시스템즈 가부시끼가이샤제의 머티리얼 프린터 DMP-2831을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를 화학 강화 유리판 상에 도막을 형성한 후, 직후에 고압 수은등(ORS사제, HMW-713)을 사용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고, 해당 도막을 경화시켜, 두께 2㎛의 차폐부를 형성시켰다. 이때, 적산 조사량은 1000mJ/cm2로 하였다.
차폐부의 외관을 눈으로 보아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평가 기준>
○: 차폐부 표면에 줄무늬나 유자 껍질 형상의 모양이 형성되지 않음.
△: 차폐부 표면에 다소의 줄무늬나 유자 껍질 형상의 모양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실용상 문제 없음.
×: 차폐부 표면에 줄무늬나 유자 껍질 형상의 모양이 많이 형성되어 있었음.
(변색 방지성 평가)
외관 평가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학 강화 유리판 상에 차폐부를 형성시켰다. 차폐부의 색도([L*(1),a*(1),b*(1)])를, 분광 측색계(코니카 미놀타 가부시끼가이샤제, CM-2600d)에 의해 측정하였다.
차폐부에 대하여, 수퍼 크세논 웨더 미터 SX75에 의해 이하의 조건으로 광을 조사하였다.
<조건>
·조도: 180W/m2(300 내지 400nm)
·조사 시간: 1000시간
·필터: 이너; 석영, 아우터; #275
·BPT: 83℃
·습도: 80%
·강우: 없음
광 조사 후의 차폐부의 색도([L*(2),a*(2),b*(2)])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측정하고, 계산식 √((L*(2)-L*(1))2+(a*(2)-a*(1))2+(b*(2)-b*(1))2)에 의해 색차 ΔEab를 구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평가 기준>
○: ΔEab가 5 이하
△: ΔEab가 5 초과, 10 이하
×: ΔEab가 10 초과
(밀착력 저하 방지성 평가)
변색 방지성 시험과 마찬가지로 하여, 화학 강화 유리판 상에 차폐부를 형성시킨 후, 광을 조사하였다. 광 조사 후, 차폐부에 대하여 JIS D 0202 시험법에 따라 1mm 간격으로 칼집을 종횡 모두 5개 넣어, 격자 무늬를 25개 형성시켰다. 이어서, 점착 테이프를 강하게 부착하고, 90° 방향으로 박리하였다.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의 밀착력 저하 방지성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 격자 무늬를 형성시킨 영역(25mm2)에 있어서의 차폐부의 박리 면적의 비율이 5% 미만이었음.
○: 차폐부의 박리 면적의 비율이 5% 이상, 15% 미만이었음.
△: 차폐부의 박리 면적의 비율이 15% 이상, 35% 미만이었음.
×: 차폐부의 박리 면적의 비율이 35% 이상이었음.
(차폐성 평가(OD값))
외관 평가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학 강화 유리판 상에 차폐부를 형성시켰다. 투과 농도계(X-Rite사제, 361T)에 의해 차폐부의 OD값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OD값=-log10(T/100)
Figure pat00001
또한, 표 1 중의 각 성분의 상세한 설명은 이하와 같다.
방향환을 갖지 않는, 2관능의 에폭시 화합물
·셀록사이드 2021P: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셀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02
·셀록사이드 3000: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셀제, 1-메틸-4-(2-메틸옥시라닐)-7-옥사비시클로[4.1.0]헵탄
Figure pat00003
·셀록사이드 8000: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셀제, (3,3',4,4'-디에폭시)비시클로헥실
Figure pat00004
방향환을 갖지 않는, 단관능의 에폭시 화합물
·EX-121: 나가세 켐텍스제,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방향환을 갖는 에폭시 화합물
·JER-828: 미쓰비시 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화합물
요오도늄염계 광 산 발생제
·Omnicat 250: IGM Resins사제, 4-이소부틸페닐(4-메틸페닐)요오도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Figure pat00005
·B2380: 도꾜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비스(4-tert-부틸페닐)요오도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Figure pat00006
·B5276: 도꾜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비스(4-플루오로페닐)요오도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Figure pat00007
·D2238: 도꾜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Figure pat00008
비요오도늄염계 광 산 발생제
·CPI-101A: 산아프로 가부시끼가이샤제
Figure pat00009
·DETX: 닛본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제, 2,4-디에틸-9H-티오크산텐-9-온
Figure pat00010
커플링제
·KBM-403: 신에쯔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Figure pat00011
·KBM-502: 신에쯔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Figure pat00012
·KBM-573: 신에쯔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Figure pat00013
안료
·카본 블랙 MA-100: 미쓰비시 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제
희석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비점 146℃, 비반응성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비점 192℃, 비반응성
·카르비톨아세테이트: 비점 218℃, 비반응성
·2-부톡시에탄올: 비점 170℃, 비반응성
·메틸에틸케톤: 비점 79.64℃, 비반응성
이상의 결과로부터도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는, 외관 평가 및 농도 평가로부터 도포 불균일이 없고 높은 OD값을 유지하면서, 높은 변색 방지성 및 밀착력 저하 방지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방향환을 갖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 광 산 발생제, 커플링제, 흑색 안료 및 희석제를 포함하고,
    상기 광 산 발생제가 요오도늄염이고,
    상기 방향환을 갖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로서, 단관능 및 2관능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관능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이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인,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능의 에폭시 화합물이 지환식 또는 지방족의 에폭시 화합물인,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산 발생제의 음이온 부분이 PF6 -인,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가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인,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안료가 카본 블랙인,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가 비반응성의 아세테이트계 용제인,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를 경화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물.
KR1020190033554A 2018-03-28 2019-03-25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및 그의 경화물 KR20190113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3024A JP6445198B1 (ja) 2018-03-28 2018-03-28 インクジェット用黒色遮蔽材およびその硬化物
JPJP-P-2018-063024 2018-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610A true KR20190113610A (ko) 2019-10-08

Family

ID=6489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554A KR20190113610A (ko) 2018-03-28 2019-03-25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및 그의 경화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45198B1 (ko)
KR (1) KR201901136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25852A1 (en) * 2019-04-15 2020-10-21 A.M. Ramp & Co. GmbH Cationically curable inkjet compos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3555A (ja) 2011-07-20 2013-02-04 Tokyo Printing Ink Mfg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9715A (ja) * 2003-06-02 2004-12-2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光硬化型インク並びにこれを用いる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JP2006008791A (ja) * 2004-06-24 2006-01-12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活性光線硬化型組成物、活性光線硬化型インク、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262237B2 (ja) * 2005-11-15 2009-05-1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および印刷物
JP2009280672A (ja) * 2008-05-21 2009-12-03 Konica Minolta Ij Technologies Inc 活性光線硬化型インク組成物
EP3056551A4 (en) * 2013-10-07 2017-04-12 Tokyo Printing Ink Mfg. Co. Ltd. Photocationic curable inkjet ink, production method for photocationic curable inkjet ink, printed article, and production method for printed article
KR101813338B1 (ko) * 2014-12-11 2017-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베젤용 감광성 유색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3555A (ja) 2011-07-20 2013-02-04 Tokyo Printing Ink Mfg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45198B1 (ja) 2018-12-26
JP2019172838A (ja)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5698B2 (ja) 感光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CN1892425B (zh) 着色感光性树脂组合物及其固化物
CN102549042B (zh) 氟化涂料和用其制作的底片
TWI568808B (zh) 光陽離子硬化性噴墨墨水、光陽離子硬化性噴墨墨水之製造方法、印刷物及印刷物之製造方法
JP3408331B2 (ja) 光硬化性ハードコート組成物およびその塗布物品
KR20130050361A (ko) 잉크젯용 경화성 조성물 및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KR20090102641A (ko) 컬러 레지스트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 필터
KR20080000608A (ko) 컬러 필터용 잉크젯 잉크 조성물,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및 컬러 필터
JPH11199681A (ja) 光重合性組成物および硬化塗膜形成方法
KR20190113610A (ko) 잉크젯용 흑색 차폐재 및 그의 경화물
CN110799569A (zh) 单体混合物、及含有该单体混合物的固化性组合物
TWI674298B (zh) 著色感光樹脂組合物、彩色濾光片和使用其之圖像顯示裝置
JP2011153255A (ja) 光カチオン硬化性組成物および硬化物
WO2019021934A1 (ja) モノマー混合物、及びそれを含む硬化性組成物
JP2018151621A (ja) 表示素子用硬化膜の製造方法、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表示素子用硬化膜及び表示素子
CN102770805B (zh) 图像形成方法以及用于该方法的感光性组合物
JP2000347001A (ja) 光重合性組成物およびハードコート剤
WO2022059395A1 (ja) 組成物、硬化物及び硬化物の製造方法
JPS6160720A (ja) 樹脂組成物
KR20170077362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1077733A (zh) 一种cf基板用光致变色型负性光刻胶的制备方法
JP2019203105A (ja) 表示素子用封止剤、有機el素子用封止剤およびその硬化物
TW201936691A (zh) 單體混合物及含有該混合物之硬化性組成物
JPS6131425A (ja) 樹脂組成物
JP7277690B1 (ja) 光硬化性コート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コート層を備える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