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741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741A
KR20190112741A KR1020197024460A KR20197024460A KR20190112741A KR 20190112741 A KR20190112741 A KR 20190112741A KR 1020197024460 A KR1020197024460 A KR 1020197024460A KR 20197024460 A KR20197024460 A KR 20197024460A KR 20190112741 A KR20190112741 A KR 20190112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unit
main body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409B1 (ko
Inventor
요이치 오사다
히데토시 케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0646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163846A1/ja
Publication of KR20190112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5/225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표시장치의 틸트 동작에 의한, 표시장치와 전자 뷰파인더의 간섭을 억제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체 유닛과, 제1 표시 유닛과, 제2 표시 유닛을 갖고, 제1 표시 유닛은, 본체 유닛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고, 본체 유닛은, 본체 유닛과 제1 표시 유닛이 겹친 상태에서, 본체 유닛과 제1 표시 유닛이 겹친 영역의 내부에 제2 표시 유닛을 수납하고 있고, 제2 표시 유닛은, 제1 표시 유닛이 본체 유닛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해서 제1 표시 유닛이 존재하지 않게 된 영역을 향해, 본체 유닛의 내부로부터 돌출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본체부에 대해 표시장치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전자 뷰파인더를 사용 가능하게 되도록 노출시키는 디지털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1-128035호 공보
종래, 비사용시에는 장치 본체에 수납되고, 사용시에는 장치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전자 뷰파인더가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는, 사용시에 전자 뷰파인더가 돌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표시장치를 슬라이드시킨후, 틸트시키는 것에 대해서 개시되지 않고 있다. 가령,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 전자 뷰파인더가 돌출한 상태에서, 표시장치를 틸트시키면, 표시장치와 전자 뷰파인더가 간섭해 버린다.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틸트 동작에 의한, 표시장치와 전자 뷰파인더의 간섭을 억제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의 전자기기는, 본체 유닛과, 제1 표시 유닛과, 제2 표시 유닛을 갖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과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겹친 상태에서, 상기 본체 유닛과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겹친 영역의 내부에 상기 제2 표시 유닛을 수납하고 있고, 상기 제2 표시 유닛은,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해서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존재하지 않게 된 영역을 향하여, 상기 본체 유닛의 내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장치의 틸트 동작에 의한, 표시장치와 전자 뷰파인더의 간섭을 억제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례인 촬상장치의 사시도다.
도2는 표시장치의 동작 설명도다(실시예1).
도3은 표시장치의 전개 사시도다(실시예1).
도4는 힌지장치의 설명도다(실시예1).
도5는 힌지장치의 회전 동작의 설명도다(실시예1).
도6은 전자 뷰파인더의 지지 구성의 설명도다(실시예1).
도7은 전자 뷰파인더의 동작 설명도다(실시예1).
도8은 표시장치를 틸트동작시켰을 경우의 레버의 거동의 설명도다(실시예1).
도9는 표시장치를 동작시켰을 경우의 표시장치의 표시 전환 방법의 설명도다(실시예1).
도10은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있는 상태의 표시장치를 윗쪽으로 틸트시킬 경우의 거동의 설명도다(실시예1).
도11은 돌기부의 위치를 상하로 조정했을 경우의 표시장치의 거동의 설명도다(실시예1).
도12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있는 상태의 표시장치를 윗쪽으로 슬라이드시킬 경우의 거동의 설명도다(실시예1).
도13은 표시장치의 동작 설명도다(실시예2).
도14는 표시장치의 전개 사시도다(실시예2).
도15는 힌지장치의 전개 사시도다(실시예2).
도16은 힌지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실시예2).
도17은 표시장치의 동작 범위의 설명도다(실시예2).
도18은 슬라이드 기구의 동작 설명도다(실시예2).
도19는 표시장치의 회전 궤적을 나타낸 단면도다(실시예2).
도20은 슬라이더 기구의 동작 설명도다(실시예2).
도21은 슬라이더 기구의 단면도다(실시예2).
도22는 슬라이더 기구의 구성 설명도다(실시예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례인 촬상장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촬상장치(1)의 사시도다. 도1a 및 도 1b은 각각, 촬상장치(1)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다.
촬상장치(1)은, 촬상광학계(미도시)을 구비한 경통 유닛(2) 및 CCD나 CMOS 이미지센서 등으로 구성되고, 촬상광학계를 거쳐 결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미도시)을 구비한다. 경통 유닛(2)은, 심동식이며, 수납시는 촬상장치(1)의 내부에 심동한다. 또한, 촬상장치(1)에는,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처리 회로를 탑재한 주 기판(미도시)과 보조 기판(미도시) 등이 실장되어 있다.
스트로보 장치(3)은, 촬상장치(1)에 내장되어 있고, 촬영시에 피사체의 밝기가 부족할 경우에, 자동적으로 상승하여 발광창을 노출시켜, 발광한다.
릴리즈 버튼(4)은, 절반 누름 상태(SW1이 ON인 상태), 및 완전 누름 상태(SW2가 ON인 상태)의 2단계의 가압 조작이 가능하다. 릴리즈 버튼(4)이 절반 누름 조작되면, 촬영 준비 동작(측광동작이나 초점 검출 동작 등)이 개시된다. 릴리즈 버튼(4)이 완전 누름 조작되면, 피사체가 촬영되어, 기록 매체(미도시)에 피사체 상의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줌 레버(5)은, 릴리즈 버튼(4)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줌 레버(5)이 한쪽으로 회전 조작되면, Tele측(화각이 좁아지는 방향)으로의 줌 동작이 행해지고, 다른 쪽으로 회전 조작되면, Wide측(화각이 넓혀지는 방향)으로의 줌 동작이 행해진다.
전원 버튼(6)은, 촬영자에 의해 눌러지면, 촬상장치(1)이 비사용 상태인 오프 상태로부터 사용가능한 상태인 온 상태로, 또는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마이크 구멍(7)은, 촬상장치(1)에 내장된 마이크에 음성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집음성을 고려해서 촬상장치(1)의 윗쪽에 설치되어 있다.
모드 설정 다이얼(8)은, 촬상장치(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드 설정 다이얼(8)의 상부면에는, 각종의 촬영 모드에 따른 복수의 아이콘(미도시)이 인쇄되어 있고, 이 아이콘을 촬상장치(1)에 설치된 지표(미도시)에 맞춤으로써, 아이콘에 따른 각종 모드 등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촬상장치(1)에는, 전원이 되는 주 전지(미도시), 및 촬영된 피사체 상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미도시)이 내장되어 있다. 주 전지는 1회용의 1차 전지이어도 되고, 충전식의 2차 전지이어도 된다.
촬상장치(1)의 측면에는 전원이나 신호의 입출력용 잭(미도시)이 설치되고, 잭 보호용의 잭 커버(11)로 덮여 있다. 잭 커버(11)가 열리면 입출력용 잭이 노출하고, 각종 케이블류의 빼고 꽂음이 가능해 진다.
조작 버튼 군(12)은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구성되고, 중앙에는 십자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버튼 군(12)의 각 조작 버튼은, 촬영 조건의 변경이나 재생 화면으로의 전환이라고 하는 각종 지시를 입력할 때에 이용된다.
표시장치(제1 표시 유닛)(20)은, 촬상장치(1)의 배면에 설치되고, 촬영할 피사체 상의 확인이나, 촬영 화상의 재생 표시를 위해 사용된다. 표시장치(20)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22)가 사용된다. 표시장치(20)은, 힌지장치(연결 유닛)(30)을 거쳐, 슬라이드 동작 및 틸트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촬상장치 본체(본체 유닛)에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1
도 2을 참조하여, 표시장치(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표시장치(20)의 동작 설명도다.
도2a은, 표시장치(20)이 촬상장치(1)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촬영자는, 정면의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촬영 화상의 재생 표시를 할 수 있다.
도 2b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촬영자는, 전자 뷰파인더(제2 표시 유닛)(50)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전자 뷰파인더(50)은 표시장치(20)이 존재하지 않게 된 영역으로 향함으로써, 촬상장치(1)의 본체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부터 사용가능한 위치(사용 위치)로 돌출한다. 전자 뷰파인더(50)은, 소형 디스플레이, 렌즈, 및 접안창(51)을 구비하고 있다. 촬영자는, 접안창(51)을 거쳐 전자 뷰파인더(50)을 들여다봄으로써, 촬영할 피사체 상의 확인을 하거나, 촬영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c은,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180도만큼 틸트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표시장치(20)의 표시면이 피사체측으로 향하고, 촬영자는, 셀프 촬영을 행하기 쉬워진다. 표시장치(20)은, 촬상장치 본체에 대하여, 도2a의 상태와 도 2c의 상태 사이의 임의의 각도가 되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조정은, 주로 촬영자가 촬상장치(1)을 낮게 잡고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에 행해진다.
도 2d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45도만큼 틸트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는, 주로 촬영자가 촬상장치(1)을 높게 잡고 촬영할 경우에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자에 대한 촬상장치(1)의 위치가 변화한 경우에도, 표시장치(20)을 틸트시킴으로써 표시장치(20)의 표시면을 촬영자 쪽으로 향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촬영자는 최적의 상태에서 표시장치(20)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표시장치(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표시장치(20)의 전개 사시도다. 도 3에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촬상장치 본체(10) 및 힌지장치(30)도 표시되어 있다.
표시장치(20)은, 보호창(21), 촬영자가 접촉함으로써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정전 용량 방식 등의 터치패널(미도시), 액정 디스플레이(22), 및 보호 커버(보호부재)(23) 등을 구비한다.
보호창(21)은, 외형이 액정 디스플레이(22)의 외형보다도 크고, 액정 디스플레이(22) 및 터치패널을 상처·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패널이다. 본실시예에서는, 보호창(21)으로서, 두께가 0.5∼1.0mm 정도의 강화유리를 사용하고 있지만, 광선투과율이 높은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보호창(21)은, 터치패널 및 액정 디스플레이(22)과 일체의 상태에서, 외주를 따라 형성된 일본어 □자 형상의 양면 테이프(24)에 의해 보호 커버(23)에 접착되어 있다. 보호 커버(23)은, 표시장치(20)의 주위를 덮어, 표시장치(20)을 보호하는 외관 부품이다. 보호 커버(23)의 표면에는, 도장 처리 또는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양면 테이프(24)의 접착강도는,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한 보호창(21)의 들뜸이나 벗겨짐에 의한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높고, 충격에 강한 쪽이 바람직하다.
터치패널은, 정전 용량 방식이며, 터치패널의 배선은, 투명 도전 막인 ITO(Indium Tin Oxide)에 의해 형성된다. 터치패널은, 일반적으로는 글래스로 형성되지만, 투명하고, ITO의 어닐 등의 온도를 견디어내는 것이 가능하면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투명 수지 재료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22)의 배면에는, 기판(61)이 양면 테이프(미도시)에 의해 부착 고정되어 있다. 기판(61)은, 기판(61) 위에 설치된 커넥터(63)을 거쳐, 액정 디스플레이(22)에 설치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2a에 접속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62은, 제1 단부가 기판(61) 위에 실장된 커넥터(64)을 거쳐 기판(61)에 접속되고, 제2단부가 촬상장치(1)의 내부에 설치된 주 기판(미도시)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 기판으로부터의 전기신호가 표시장치(20)에 전달된다.
스페이서(25)은, 몰드 수지부재로 형성되고, 보호 커버(23)에, 보호창(21)의 조립 방향과 역방향에서 맞붙여져 있다. 스페이서(25)은, 보호 커버(23)과 힌지장치(30) 사이에 끼워지고, 보호 커버(23)과 힌지장치(30)의 틈을 막은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자석(자기장 발생수단)(26)은, 보호 커버(23)에 형성된 오목부(23a)에 수납되어, 접착 고정되어 있다. 후술하는 자기센서가 자석(26)의 위치에 의해 변화하는 자속을 검출함으로써, 표시장치(20)의 표시의 온 오프 전환이나 표시 방향의 전환이 실행된다. 자기센서는, 일반적으로 자속을 검출하는 소자로서, 거대 자기저항(Giant Magnet Resistance: GMR) 소자나 반도체 홀 소자가 이용되고 있다. GMR 소자는, 자기저항 효과를 이용해서 주면에 평행한 자속을 검출하는 디바이스이며, 자속이 강할수록 전기 저항이 증가하는 성질을 갖는 합금(구체적으로는, 니켈, 철, 코발트를 주성분으로 한다)으로 구성된다. GMR 소자를 판정 회로에 짜넣음으로써, GMR 센서가 형성된다. 본실시예에서는, 자석(26)의 위치에 의해 변화하는 자속을 GMR 센서로 검출하고, 표시장치(20)의 표시 전환을 행하고 있다.
다음에, 도 4을 참조하여, 힌지장치(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은, 힌지장치(30)의 설명도다. 도4a에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촬상장치 본체(10) 및 표시장치(20)도 표시되어 있다. 도 4b은, 힌지장치(30)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힌지장치(30)은, 고정 플레이트(31), 슬라이드 플레이트(32), 제1 암 플레이트(33), 및 제2 암 플레이트(슬라이드 부재)(34)을 구비한다.
고정 플레이트(31)은, 촬상장치(1)의 배면을 덮는 배면 커버(13)에 나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암 플레이트(34)은, 보호 커버(23)에 나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2)의 양단은 일본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 각각에 슬라이드 레일(32a, 32b)이 끼워 넣어져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2)은, 고정 플레이트(31)의 양단에 슬라이드 레일(32a, 32b)를 거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붙여진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2)이 고정 플레이트(31)에 맞붙여진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2)에 설치된 핀(32c)이 고정 플레이트(31)에 형성된 홈(31a)에 삽입되어 있다. 핀(32c)은, 도2a에 도시되는 상태에서는 홈(31a)의 상단에 당접하고, 도 2b에 도시되는 상태에서는 홈(31a)의 하단에 당접한다. 핀(32c)이 홈(31a)의 상하단에 당접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31)에 대한 슬라이드 플레이트(32)의 슬라이드 가능한 범위가 규제된다. 즉, 표시장치(20)은, 힌지장치(30)을 거쳐, 도2a에 도시되는 상태로부터 도 2b에 도시되는 상태의 범위에서, 촬상장치(1)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드 동작가능하다.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32), 제1 암 플레이트(33), 및 제2 암 플레이트(34)의 양단에는, 구부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암 플레이트(33) 및 제2 암 플레이트(34)의 구부림부의 윗쪽에는 각각, 회전축부 33a 및 회전축부 34a가 동축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부(33a, 34a)는, 클릭 플레이트(42a, 42b)을 끼운 상태에서 핀(41a, 41b)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부(33a, 34b)은 클릭 플레이트(42a, 42b)로부터의 부세력과 마찰저항력을 받고, 제2 암 플레이트(34)은 제1 암 플레이트(33)에 대해 적당한 회전 부하를 수반해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임의의 각도에서 유지가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2) 및 제1 암 플레이트(33)의 구부림부의 아래쪽에는 각각, 회전축부 32d 및 회전축부 33b이 동축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부(32d, 33b)은, 클릭 플레이트(44a, 44b)을 끼운 상태에서 핀(43a, 43b)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부(32d, 33b)은 클릭 플레이트(44a, 44b)로부터의 부세력과 마찰저항력을 받고, 제1 암 플레이트(33)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2)에 대해 적당한 회전 부하를 수반해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임의의 각도에서 유지가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하, 도 5을 참조하여, 힌지장치(30)의 회전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은, 힌지장치(30)의 회전 범위의 설명도다. 도5a은, 힌지장치(30)을 윗쪽으로 180도만큼 틸트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은, 힌지장치(30)을 아래쪽으로 45도만큼 틸트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5a의 상태에서는, 표시장치(20)이 촬상장치(1)에 당접하는 동시에, 제2 암 플레이트(34)에 설치된 구부림부(34c)이 제1 암 플레이트(33)에 설치된 오목부(33c)에 당접한다.
도 5b의 상태에서는, 표시장치(20)이 촬상장치(1)에 당접하는 동시에, 제1 암 플레이트(33)에 설치된 구부림부(33d)가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오목부(32e)에 당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의해, 표시장치(20)은 힌지장치(30)에 의해 촬상장치 본체(10)에 접속되고, 힌지장치(30)을 거쳐 촬상장치(1)에 대해 상하로의 슬라이드 동작, 및 윗쪽으로 180도, 아래쪽으로 45도의 틸트 동작이 가능해 진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전자 뷰파인더(50)의 지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전자 뷰파인더(50)의 지지 구성의 설명도다. 도 6에서는, 설명에 불필요한 부재는 표시하지 않고 있다. 도6a은, 표시장치(20)이 도2a에 도시되는 상태의 촬상장치(1)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은, 전자 뷰파인더(50)의 지지부의 전개 사시도다.
전자 뷰파인더(50)은, 주로 가이드 플레이트(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52)은, 촬상장치 본체(10)에 설치된 메인 샤시(미도시)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자 뷰파인더(50)은, 가이드 플레이트(52), 레버(걸림부재)(53), 챠지 플레이트(54), 및 로크 플레이트(55) 등의 부재에 안내됨으로써, 촬상장치 본체(10)에 수납하는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가능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 뷰파인더(50)에는 제1 가이드핀(50a)가 설치되고, 가이드 플레이트(52)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52a)에 삽입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전자 뷰파인더(50)은, 가이드 플레이트(5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자 뷰파인더(50)은, 제1 스프링(50b)에 의해 촬상장치(1)의 후방측(배면측)으로 부세되어 있다. 표시장치(20)이 도6a에 도시되는 상태일 경우, 가이드핀(50a)는 제1 가이드홈(52a)의 세로홈부에 걸려 있고, 전자 뷰파인더(50)은 촬상장치(1)의 내부에 유지되어 있다.
레버(53)에는 제2 가이드핀(53a)가 설치되고, 가이드 플레이트(52)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52b)에 삽입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레버(53)은, 가이드 플레이트(52)에, 촬상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레버(53)은, 제2 스프링(부세부재)(53b)에 의해 촬상장치(1)의 전방측으로 부세되어 있다.
챠지 플레이트(54)에는 제3 가이드핀(54a)가 설치되고, 가이드 플레이트(52)에 형성된 제3 가이드홈(52c)에 삽입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챠지 플레이트(54)은, 가이드 플레이트(52)에, 촬상장치(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챠지 플레이트(54)은, 제3 스프링(54b)에 의해 촬상장치(1)의 상부방향측으로 부세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55)에는 제4 가이드핀(55a)가 설치되고, 챠지 플레이트(54)에 설치된 제4 가이드홈(54c)에 삽입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55)은, 챠지 플레이트(54)에, 촬상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로크 플레이트(55)은, 제4 스프링(55b)에 의해 촬상장치(1)의 전방측으로 부세되어 있다.
레버(53)은, 자성재료로 형성되고, 자석에 흡인되는 성질을 가진다. 표시장치(20)이 도6a에 도시되는 상태일 경우, 레버(53)과, 보호 커버(23)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자석(26)과의 거리가 가깝다. 이 때문에, 제2 스프링(53b)의 부세력과 반대 방향의 자석(26)에 의한 흡인력이, 제2 스프링(53b)의 부세력보다도 커져, 레버(53)은 자석(26)에 흡인된다(표시 유닛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레버(53)의 선단부(53c)이 힌지장치(30)을 구성하는 제2 암 플레이트(34)에 형성된 구멍(34d)에 걸리고, 레버(53)은 표시장치(20)의 상하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에 연동해서 동작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레버(53)이 자석(26)에 흡인되고 있기 때문에, 표시장치(20)의 덜거덕거림이 저감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전자 뷰파인더(50)의 돌출 동작, 및 수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전자 뷰파인더(50)의 동작 설명도다. 도 7에서는, 설명에 불필요한 부재는 표시하지 않고 있다.
우선, 도7a 내지 도 7d을 참조하여, 전자 뷰파인더(50)의 돌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7a 내지 도 7d은 각각, 전자 뷰파인더(50)가 돌출해 가는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의 아래 도면은, 부분 확대도다.
도7a은, 표시장치(20)이 도2a에 도시되는 상태의 촬상장치(1)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가이드핀(50a)는, 제1 가이드홈(52a)의 세로홈부에 걸려 있다. 표시장치(20)을 도7a의 상태로부터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제2 암 플레이트(34)에 형성된 구멍(34d)에 걸리는 레버(53)과 함께, 가이드 플레이트(52), 챠지 플레이트(54), 및 로크 플레이트(55)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도 7b은, 표시장치(20)이 하단까지 이동한 상태의 촬상장치(1)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가이드핀(50a)는, 제1 가이드홈(52a)의 가로홈부에 걸려 있다. 또한, 전자 뷰파인더(50)은, 제1 스프링(50b)의 부세력에 의해, 촬상장치(1)의 후방측(도면의 우측)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도 7c은, 전자 뷰파인더(50)의 이동 도중에, 제1 가이드핀(50a)가 로크 플레이트(55)의 선단부(55c)에 당접한 상태의 촬상장치(1)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로크 플레이트(55)은 제4 스프링(55b)에 의해 촬상장치(1)의 전방측(도면의 좌측)으로 부세되어 있지만, 제1 스프링(50b)의 부세력이 제4 스프링(55b)의 부세력에 대해 크기 때문에, 전자 뷰파인더(50)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계속된다.
도 7d은, 제1 가이드핀(50a)가 가이드홈(52a)의 가로홈부의 단부에 당접하고, 전자 뷰파인더(50)의 이동이 정지한 상태의 촬상장치(1)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자 뷰파인더(50)은,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고 있고, 촬영자가 전자 뷰파인더(50)을 누르는 것 등의 조작을 행하지 않는 한, 이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정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뷰파인더(50)의 돌출 동작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개시된다. 전자 뷰파인더(50)은, 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 동작에 연동해서 돌출하여, 사용 가능해 진다.
다음에, 도 7e 내지 도 7i을 참조하여, 전자 뷰파인더(50)의 수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e 내지 도 7i은 각각, 전자 뷰파인더(50)이 수납되어 가는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의 아래 도면은, 부분 확대도다.
촬영자가 도 7d에 도시되는, 용가능한 상태인 전자 뷰파인더(50)에 대해 누름 조작을 행하면, 전자 뷰파인더(50)은 전방으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로크 플레이트(55)의 발톱부(55e)는, 전자 뷰파인더(50)과 함께 전방측으로 이동하지만, 가이드 플레이트(52)에 설치된 제1 스톱퍼(52d)에 당접함으로써 정지한다. 도 7e은, 이 상태의 촬상장치(1)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 뷰파인더(50)이 도 7e의 상태로부터 더 눌러진 경우, 제1 가이드핀(50a)가 로크 플레이트(55)의 어깨부(55f)로부터 떨어진다. 이때, 로크 플레이트(55)은, 챠지 플레이트(54)을 거쳐 윗쪽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발톱부(55e)가 가이드 플레이트(52)에 설치된 제2 스톱퍼(52e)에 당접할 때까지 위쪽으로 이동한다. 도 7f은, 발톱부(55e)가 제2 스톱퍼(52e)에 당접한 상태의 촬상장치(1)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발톱부(55e)가 제1 스톱퍼(52d)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로크 플레이트(55)은, 전자 뷰파인더(50)의 이동에 따라, 재차, 전방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전자 뷰파인더(50)이 도 7f의 상태로부터 수납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눌러짐으로써, 제1 가이드핀(50a)가 제1 가이드홈(52a)의 세로홈부에 걸린다. 이때, 발톱부(55e)는 제2 스톱퍼(52e)를 떨어져 있기 때문에, 로크 플레이트(55)은 발톱부(55e)가 가이드 플레이트(52)에 설치된 제3 스톱퍼(52f)에 당접할 때까지, 재차, 윗쪽으로 이동한다. 도7g은, 발톱부(55e)가 제3 스톱퍼(52f)에 당접한 상태의 촬상장치(1)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전자 뷰파인더(50)이 수납 단부까지 눌러진 경우에, 촬영자가 누름 조작을 멈추고, 손을 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7g의 상태에서는, 발톱부(55e)가 제3 스톱퍼(52f)에 당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촬영자가 전자 뷰파인더(50)로부터 손을 떼어도 발톱부(55e)가 제3 스톱퍼(52f)의 옆에 설치된 제4 스톱퍼(52g)에 당접하여, 전자 뷰파인더(50)은 사용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고 도7g의 상태를 유지한다. 촬영자가 이 상태로부터 표시장치(20)을 하단 위치로부터 윗쪽으로 슬라이드 동작시키면, 제2 암 플레이트(34)에 걸린 레버(53)과 함께, 가이드 플레이트(52), 챠지 플레이트(54), 및 로크 플레이트(55)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도 7h은, 로크 플레이트(55)의 선단부(55d)가 전자 뷰파인더(50)에 설치된 제5 스톱퍼(50c)에 당접한 상태의 촬상장치(1)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 동작이 더 계속되면, 가이드 플레이트(52)에 설치된 제6 스톱퍼(52h)가 발톱부(55e)에 당접한다. 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 동작이 더 계속되면, 발톱부(55e)는, 휘어짐으로써 제6 스톱퍼(52h)를 타고넘는다. 도 7i은, 이 상태의 촬상장치(1)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i의 상태는 도7a과 같은 상태이며, 발톱부(55e)는 가이드 플레이트(52)에 설치된 제7 스톱퍼(52i)에 당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표시장치(20)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될 경우, 레버(53)의 동작에 연동해서 로크 플레이트(55)도 슬라이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뷰파인더(50)의 수납 동작은, 돌출하고 있는 전자 뷰파인더(50)이 눌러짐으로써 개시된다. 전자 뷰파인더(50)은, 수납 단부까지 눌러짐으로써 수납된다. 또한, 전자 뷰파인더(50)이 수납된 후,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표시장치(20)로 전자 뷰파인더(50)을 덮어 숨긴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20)이 도2a나 도 2b에 도시되는 상태일 경우, 레버(53)은, 자석(26)에 흡인되고, 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 동작에 연동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레버(53)의 선단부(53c)은, 촬상장치 본체(10)로부터 돌출하고 있지만, 표시장치(20)에 의해 덮여져 있기 때문에, 촬영자가 선단부(53c)에 접하는 일은 없다. 한편, 표시장치(20)을 틸트 동작시켰을 경우에 레버(53)이 촬상장치 본체(10)로부터 돌출한 상태이면, 레버(53)의 선단부(53c)이 외부로 노출해 버린다. 이 경우, 촬영자에 의해 레버(53)이 오조작되어 버리거나, 윗쪽으로 180도만큼 틸트 동작시킨 표시장치(20)과 레버(53)이 간섭해 버린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표시장치(20)을 틸트 동작시켰을 경우의 레버(53)의 거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은, 표시장치(20)을 틸트 동작시켰을 경우의 레버(53)의 거동의 설명도다. 도 8에서는, 설명에 불필요한 부재는 표시하지 않고 있다. 도8a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45도만큼 틸트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b은,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180도만큼 틸트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장치(20)을 도2a에 도시되는 상태로부터 아래쪽으로 틸트시켜 가면, 자석(26)과 레버(53)이 떨어져, 레버(53)에 전해지는 자속이 저하되어 간다. 이 때문에, 소정 각도(제2 각도)에서 제2 스프링(53b)의 부세력이 자석(26)에 의한 흡인력을 상회하여, 레버(53)이 촬상장치(1)의 전방측(본체 유닛측), 즉 촬상장치 본체(10) 내에 수납된다. 도8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45도까지 틸트시키면, 자석(26)과 레버(53)이 더 떨어져, 레버(53)의 수납 상태가 유지된다. 그 때문에, 촬영자는, 레버(53)을 접촉할 수 없다.
표시장치(20)을 도2a에 도시되는 상태로부터 윗쪽으로 틸트시켜 가면, 자석(26)과 레버(53)이 떨어져, 레버(53)에 도달하는 자속이 저하되어 간다. 이 때문에, 소정 각도(제3 각도)에서 제2 스프링(53b)의 부세력이 자석(26)에 의한 흡인력을 상회하여, 레버(53)이 촬상장치(1)의 전방측, 즉 촬상장치 본체(10) 내에 수납된다. 도 8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180도까지 틸트시키면, 자석(26)과 레버(53)은 별로 떨어지지 않지만, 레버(53)의 수납 상태가 유지된다. 그 때문에, 레버(53)과 표시장치(2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의해, 레버(53)의 오조작, 및 레버(53)과 표시장치(20)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하, 도 9을 참조하여, 표시장치(20)을 동작시켰을 경우의 표시장치(20)의 표시 전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은, 표시장치(20)을 동작시켰을 경우의 표시장치(20)의 표시 전환 방법의 설명도다. 도 9에서는, 설명에 불필요한 부재는 표시하지 않고 있다. 도9a은, 표시장치(20)이 도2a에 도시되는 상태의 촬상장치(1)을 나타내고 있다. 도 9b은,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180도만큼 틸트시킨 상태의 촬상장치(1)을 나타내고 있다. 도 9c은, 표시장치(20)을 하단까지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촬상장치(1)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표시장치(20)을 틸트시킨 경우의 표시장치(20)의 표시 전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9a 및 도 9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자석(26)은, 보호 커버(23)에 형성된 오목부(23a)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촬상장치(1)은, 기판(미도시) 위에 실장된 자기센서(71, 72)을 구비한다.
표시장치(20)을 도9a에 도시되는 상태로부터 도 9b에 도시되는 상태로 틸트시킨 경우, 표시장치(20)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자기센서(제2 검출수단)(71)에 검출되는 자석(26)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이 소정값(제2 소정값)보다 커진다. 이때, 표시장치(20)의 표시 화상의 방향의 전환이 행해진다. 촬영시에는 셀프 촬영에 적합한 상하 반전 및 거울상 표시로 전환되고, 재생시에는 거울상 표시는 행해지지 않고 상하만 반전된 표시로 전환된다.
표시장치(20)을 도 9b에 도시되는 상태로부터 도9a에 도시되는 상태로 틸트시킨 경우, 표시장치(20)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자기센서(71)에 검출되는 자석(26)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이 소정값보다 작아진다. 이때, 표시장치(20)의 표시가 통상의 방향이 되도록 전환이 행해진다.
이상에서, 표시장치(20)을 소정 각도(제4 각도)보다 큰 각도만큼 틸트시킨 경우에, 표시장치(20)의 표시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다음에, 표시장치(20)을 슬라이드시킨 경우의 표시장치(20)의 표시 전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장치(20)을 도9a에 도시되는 상태로부터 도 9c에 도시되는 상태로 슬라이드시킨 경우, 표시장치(20)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자기센서(제1 검출수단)(72)에 검출되는 자석(26)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이 소정값(제1 소정값)보다 커진다. 여기에서, 소정 위치는, 표시장치(20)의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량만큼 슬라이드한 위치다. 이때, 표시장치(20)의 표시가 정지하고, 전자 뷰파인더(50)의 표시가 개시된다.
표시장치(20)을 도 9c에 도시되는 상태로부터 도9a에 도시되는 상태로 슬라이드시킨 경우, 표시장치(20)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자기센서(72)에 검출되는 자석(26)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이 소정값보다 작아진다. 이때, 전자 뷰파인더(50)의 표시가 정지하고, 표시장치(20)의 표시가 개시된다.
이상에서, 표시장치(20)을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량보다 큰 거리만큼 슬라이드시킨 경우에, 표시장치(20)의 표시를 정지하고, 전자 뷰파인더(50)의 표시를 개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자 뷰파인더(50)을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전자 뷰파인더(50)이 노출하고, 촬영자측으로 돌출한다. 그 상태에서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틸트시킨 경우, 표시장치(20)이 전자 뷰파인더(50)과 간섭하여, 표시장치(20)나 전자 뷰파인더(50)에 흠이 가거나, 최악의 경우, 고장나 버린다.
이하, 표시장치(20)과 전자 뷰파인더(50)의 간섭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있는 상태의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틸트시킬 경우의 거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은,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있는 상태의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틸트시킬 경우의 거동의 설명도다. 도 10에서는, 설명에 불필요한 부재는 표시하지 않고 있다.
도 10a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촬상장치(1)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b은,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있는 상태의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틸트시킨 상태의 촬상장치(1)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c은,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의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틸트시킨 상태의 촬상장치(1)을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의 우측 도면은, 부분 확대도다.
촬상장치(1)의 본체 배면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3개의 돌기부(규제부재)(13a)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13a)는, 배면 커버(13)의 내면에 고정된 배면 인너(미도시)에 형성된 돌기 형상이며, 배면 커버(13)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도 10a에 도시되는 상태에서는, 돌기부(13a)는 어느쪽의 부재에도 당접하지 않고 있다. 도 10b에 도시되는 상태에서는, 3개의 돌기부(13a)는 각각, 보호 커버(23)에 설치된 세움벽의 선단부(피당접부)(23c)에 당접한다. 돌기부(13a)와 선단부(23c)이 당접함으로써, 표시장치(20)의 도 10b에 도시되는 위치로부터 윗쪽으로의 틸트 동작이 규제된다.
또한, 도 10c에 도시되는 상태에서는,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틸트시킨 경우에도, 돌기부(13a)는 어느쪽의 부재에도 당접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 10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시장치(20)은, 윗쪽으로 180도까지 틸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20)과 전자 뷰파인더(50)이 접촉하기 전에, 돌기부(13a)가 선단부(23c)에 당접한다. 이 때문에, 표시장치(20)의 틸트 동작에 의한, 표시장치(20)과 전자 뷰파인더(5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실시예에서는, 3개의 돌기부(13a)가 설치되고, 각 돌기부는 보호 커버(23)에 설치된 선단부(23c)에 당접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촬상장치 본체(10)에 설치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부가 표시장치(20)에 설치된 피당접부에 당접가능하면, 돌기부의 수, 돌기부가 설치되는 위치, 및 피당접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제약은 없다.
또한, 돌기부(13a)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있는 상태의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틸트시킬 경우의 틸트 동작이 규제되는 각도(제1 각도)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1 각도는, 0도 이상의 각도다. 즉, 제1 각도는, 0도이어도 된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돌기부(13a)의 위치를 상하로 조정했을 경우의 표시장치(20)의 거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은, 돌기부(13a)의 위치를 상하로 조정했을 경우의 표시장치(20)의 거동의 설명도다. 도 11에서는, 설명에 불필요한 부재는 표시하지 않고 있다.
도 11a은, 돌기부(13a)의 위치를 상측으로 조정했을 경우의 촬상장치(1)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b은, 돌기부(13a)를 하측으로 조정했을 경우의 촬상장치(1)을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의 우측 도면은, 부분 확대도다.
도 11a에 도시되는 상태에서는, 돌기부(13a)는 보호 커버(23)에 설치된 세움벽의 내벽(피당접부)(23b)에 당접하고 있다. 돌기부(13a)가 내벽 23b에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장치(20)은 도 11a의 상태로부터 윗쪽으로 틸트 동작을 행할 수 없다.
도 11b에 도시되는 상태에서는, 돌기부(13a)는, 표시장치(20)이 도 10b에 도시되는 상태의 틸트 동작각보다 큰 틸트 동작각을 갖는 상태에서, 선단부(23c)에 당접하고 있다. 이때, 보호 커버(23)의 최하면이 촬상장치 본체(10)의 저면보다 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촬상장치(1)을 책상 위에 두거나, 삼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있는 상태의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틸트시킨 경우, 틸트 동작이 규제되어, 표시장치(20)과 전자 뷰파인더(5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자 뷰파인더(50)이 돌출한 상태에서, 전자 뷰파인더(50)을 수납 방향으로 누르지 않고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표시장치(20)과 전자 뷰파인더(50)가 간섭해 버린다.
이하, 도 12을 참조하여,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있는 상태의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슬라이드시킬 경우의 거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은, 표시장치(20)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한 상태에서, 윗쪽으로 슬라이드시킬 경우의 거동의 설명도다. 도 12에서는, 설명에 불필요한 부재는 표시하지 않고 있다.
도 12a은, 표시장치(20)이 도 2a에 도시되는 상태의 촬상장치(1)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b은, 전자 뷰파인더(50)이 도중까지 돌출한 상태의 촬상장치(1)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c은, 전자 뷰파인더(50)이 사용 위치(정지 위치)까지 돌출한 상태의 촬상장치(1)을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의 우측 도면은, 부분 확대도다.
전자 뷰파인더(50)의 아래쪽에는, 로크 레버(56)이 구비되어 있다. 촬상장치 본체(10)에 설치된 축(1a)는, 로크 레버(56)에 형성된 가이드홈(56c)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자 뷰파인더(50)은, 촬상장치 본체(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로크 레버(56)은, 제5 스프링(56b)에 의해 촬상장치(1)의 배면측으로 부세되어 있다. 표시장치(20)이 도 12a에 도시되는 상태, 즉 전자 뷰파인더(50)이 수납 상태일 경우, 로크 레버(56)에 설치된 구부림부(56a)는 전자 뷰파인더(50)의 아래쪽에 설치된 돌기부(50d)에 눌려 있다. 그 때문에, 전자 뷰파인더(50)은, 촬상장치 본체(1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때, 표시장치(20)은, 로크 레버(56)에 간섭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1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전자 뷰파인더(50)이 돌출해 왔을 경우, 전자 뷰파인더(50)의 돌기부(50d)도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로크 레버(56)이 제5 스프링(56b)에 부세됨으로써 후방으로 이동을 개시하여, 로크 레버(56)의 선단부가 슬라이드 플레이트(32)의 상단에 걸리는 위치까지 돌출한다.
전자 뷰파인더(50)이 도 12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2c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돌출했을 경우, 가이드홈(56c)의 단부에 축(1a)가 당접함으로써, 로크 레버(56)은 도 12b의 위치 이상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표시장치(20)을 도 12b나 도 12c에 도시되는 상태로부터 윗쪽으로 슬라이드시키려고 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32)의 상단이 로크 레버(56)의 선단과 간섭하여, 윗쪽으로의 슬라이드에 로크가 걸린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전자 뷰파인더(50)이 돌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있는 상태의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한, 표시장치(20)과 전자 뷰파인더(5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뷰파인더(50)을 도 12b에 도시되는 상태로부터 도 12c에 도시되는 상태까지 돌출해도, 로크 레버(56)은 도 12b의 위치 이상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전자 뷰파인더(50)의 이동량에 대하여, 로크 레버(56)의 이동량을 절감하고, 로크 레버(56)과 표시장치(20)의 내부 부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레버(56)의 로크가 해제되는 타이밍을 전자 뷰파인더(50)이 촬상장치(1)에 수납되는 상태까지 늦추는 것이 가능해져, 표시장치(20)과 전자 뷰파인더(50)의 간섭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상황에 있어서도 표시장치(20)의 틸트 동작에 의한 표시장치(20)과 전자 뷰파인더(50)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실시예에서는, 전자 뷰파인더(50)이 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에 연동해서 돌출하는 구성이 이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뷰파인더(50)이 별도 설치된 레버나 조작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돌출하는 구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전자 뷰파인더(50) 자체를 집어서 돌출시키는 구성이나, 누름으로써 돌출하는 구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20)을 슬라이드한 영역으로부터 전자 뷰파인더(50)이 노출하는 구성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학식의 파인더나 스트로보 장치 등의 다른 장치가 노출하는 구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실시예2
도 13을 참조하여, 표시장치(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은, 표시장치(20)의 동작 설명도다.
도 13a은, 표시장치(20)이 촬상장치(1)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촬영자는 정면의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촬영 화상의 재생 표시를 할 수 있다.
도 13b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촬영자는 전자 뷰파인더(50)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전자 뷰파인더(50)은 표시장치(20)이 존재하지 않게 된 영역을 향함으로써, 촬상장치(1)의 본체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가능한 위치(사용 위치)로 돌출한다. 전자 뷰파인더(50)은, 소형 디스플레이, 렌즈, 및 접안창(51)을 구비하고 있다. 촬영자는, 접안창(51)을 거쳐 전자 뷰파인더(50)을 들여다봄으로써, 촬영할 피사체 상의 확인을 하거나, 촬영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c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킨 도 13b의 상태로부터 위쪽으로 180도 틸트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표시장치(20)의 표시면이 피사체측을 향하여, 촬영자는, 셀프 촬영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표시장치(20)은, 전자 뷰파인더(50)이 사용 위치로 돌출한 상태에서 틸트시켜도 충돌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 뷰파인더(50)을 사용한 후,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표시장치(20)을 윗쪽으로 틸트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표시장치(20)은, 촬상장치 본체에 대하여, 도 13a의 상태와 도 13c의 상태 사이의 임의의 각도가 되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조정은, 주로 촬영자가 촬상장치(1)을 낮게 잡고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에 행해진다.
도 13d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45도만큼 틸트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는, 주로 촬영자가 촬상장치(1)을 높게 잡고 촬영할 경우에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자에 대한 촬상장치(1)의 위치가 변화한 경우에도, 표시장치(20)을 틸트시킴으로써 표시장치(20)의 표시면을 촬영자쪽을 향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촬영자는 최적의 상태에서 표시장치(20)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더구나, 전자 뷰파인더(50)을 사용 위치로 돌출시킨 상태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표시장치(20)을 임의의 각도로 틸트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다음에, 도 14을 참조하여, 표시장치(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은, 표시장치(20)의 전개 사시도다. 도 14에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촬상장치 본체(10) 및 힌지장치(30)도 표시되어 있다.
표시장치(20)은, 보호창(21), 촬영자가 접촉함으로써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패널(미도시), 액정 디스플레이(22), 및 커버부재(23)을 구비한다.
보호창(21)은, 외형이 액정 디스플레이(22)의 외형보다도 크고, 액정 디스플레이(22) 및 터치패널을 상처·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패널이다. 본실시예에서는, 보호창(21)로서, 두께가 0.5∼1.0mm 정도인 강화유리를 사용하고 있지만, 광선투과율이 높은 아크릴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보호창(21)은, 터치패널 및 액정 디스플레이(22)과 일체의 상태에서, 외주를 따라 형성된 일본어 □자 형상의 양면 테이프(24)에 의해 커버부재(23)에 접착되어 있다. 커버부재(23)은, 표시장치(20)의 주위를 덮고, 표시장치(20)을 보호하는 외관부품이다.
터치패널은, 정전 용량 방식이며, 터치패널의 배선은, 투명 도전막인 ITO(Indium Tin Oxide)에 의해 형성된다. 터치패널은, 일반적으로는 글래스로 형성되지만, 투명하고, ITO의 어닐 등의 온도를 견디는 것이 가능하면 수지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투명 수지재료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22)의 배면에는, 기판(61)이 양면 테이프(미도시)에 의해 부착 고정되어 있다. 기판(61)은, 기판(61) 위에 실장된 커넥터를 거쳐, 액정 디스플레이(22)에 설치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2a)에 접속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은, 제1 단부가 기판(61) 위에 실장된 커넥터를 거쳐 기판(61)에 접속되고, 제2단부가 촬상장치(1)의 내부에 설치된 주 기판(미도시)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 기판으로부터의 전기신호가 표시장치(20)에 전달된다.
스페이서(25)은, 몰드 수지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커버부재(23)에, 보호창(21)의 조립 방향과 역방향에서 맞붙여져 있다. 스페이서(25)은, 커버부재(23)과 후술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7) 사이에 끼워져, 커버부재(23)과 슬라이드 플레이트(27)의 틈을 막는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자석(자기장 발생수단)(26)은, 커버부재(23)에 형성된 오목부(23a)에 수납되어, 접착 고정되어 있다. 후술하는 자기센서가 자석(26)의 위치에 의해 변화하는 자속을 검출함으로써, 표시장치(20)의 표시의 온 오프 전환이나 표시 방향의 전환이 실행된다. 자기센서는, 일반적으로 자속을 검출하는 소자로서, 거대 자기저항(Giant Magnet Resistance: GMR) 소자나 반도체 홀 소자가 이용되고 있다. GMR 소자는, 자기저항 효과를 이용해서 주면에 평행한 자속을 검출하는 디바이스이며, 자속이 강할수록 전기 저항이 증가하는 성질을 갖는 합금(구체적으로는, 니켈, 철, 코발트를 주성분으로 한다)으로 구성된다. GMR 소자를 판정 회로에 짜넣음으로써, GMR 센서가 형성된다. 본실시예에서는, 자석(26)의 위치에 의해 변화하는 자속을 GMR 센서로 검출하여, 표시장치(20)의 표시 전환을 행하고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7)은, 힌지장치(30)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 가능하게 유지되고, 판금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부품이며, 스페이서(25)을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커버부재(23)에 대해 나사 멈춤 고정된다.
클릭 플레이트(28)은, 슬라이드 플레이트(27)에 고정되고, 판 스프링 형상을 가진 판금부품이며, 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 동작시에 수납 위치 및 슬라이드 위치의 양쪽에 있어서 클릭 느낌을 내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더 기구(29)은, 스페이서(25)과 슬라이드 플레이트(27)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 동작시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부세한다.
다음에, 도 15 및 도16을 참조하여, 힌지장치(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은, 힌지장치(30)의 전개 사시도다. 도 15에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촬상장치 본체(10) 및 표시장치(20)도 표시되어 있다. 도16은, 힌지장치(30)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힌지장치(30)은, 베이스 플레이트(제1힌지부재)(31), 암 플레이트(제2힌지부재)(32), 힌지 커버(33), 및 스탠드 플레이트(34, 35)을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 및 암 플레이트(32)의 양단에는, 구부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 플레이트(34, 35)은, 촬상장치(1)의 배면을 덮는 배면 커버(13)에 대하여, 나사(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1)의 구부림부의 아래쪽에는, 회전 축부(31c)이 설치되어 있다. 스탠드 플레이트 34의 구부림부에는 회전 축부(34a)가 설치되어 있다 스탠드 플레이트 35의 구부림부에는 회전 축부(35a)가 설치되어 있다. 스탠드 플레이트 34a는, 회전 축부 34a가 회전 축부 31c과 동축이 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맞붙여진다. 스탠드 플레이트 35은, 회전 축부 35a가 회전 축부 31c과 동축이 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맞붙여진다. 회전 축부 31c, 34a는, 클릭 플레이트(44a)를 끼운 상태에서 핀(43a)에 의해 리벨 고정된다. 회전 축부 31c, 35a는, 클릭 플레이트(44b)을 끼운 상태에서 핀(43b)에 의해 리벨 고정된다. 회전 축부(31c)은 클릭 플레이트(44a, 44b)으로부터의 부세력과 마찰저항력을 받고, 베이스 플레이트(31)은 스탠드 플레이트(34, 35)에 대해 적당한 회전 부하를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임의의 각도로 유지가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1) 및 암 플레이트(32)의 구부림부의 윗쪽에는 각각, 회전 축부 31b 및 회전 축부 32f가 조립시에 동축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전 축부 31b, 32f는, 클릭 플레이트(42a, 42b)을 끼운 상태에서 핀(41a, 41b)에 의해 리벨 고정되어 있다. 회전 축부 31b, 32f는 클릭 플레이트(42a, 42b)으로부터의 부세력과 마찰저항력을 받고, 암 플레이트(32)은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대해 적당한 회전 부하을 수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임의의 각도로 유지가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암 플레이트(32)의 구부림부의 윗쪽의 양측에는, 판금의 엣지를 보호하기 위한 힌지 커버(33a, 33b)이 고정된다. 암 플레이트(32)의 양단은 일본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 각각에 슬라이드 레일(32a, 32b)이 끼워 넣고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7)은, 슬라이드 레일(32a, 32b)을 거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 가능하게 맞붙여진다. 암 플레이트(32)에는, 슬라이드 핀(32c)이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핀(32c(은, 클릭 플레이트(28)에 대해 걸린 상태에서 슬라이드 동작가능하다.
또한, 암 플레이트(32)에는, 요크 플레이트(32d)가 고정되어 있다. 요크 플레이트(32d)는, 표시장치(20)을 슬라이드한 상태에 있어서, 자석(26)에 대해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베이스 플레이트(31) 및 암 플레이트(32)에는 각각, 플렉시블 가드(31a, 32e)가 설치되어 있다 플렉시블 가드(31a, 32e)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을 덮고 있다.
다음에, 도17을 참조하여, 표시장치(20)의 동작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도17은, 표시장치(20)의 동작 범위의 설명도다. 도17a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동작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7b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동작시킨 상태로부터 윗쪽으로 180도 틸트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7c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45도 틸트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a의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7)이 힌지장치(30)에 대해 슬라이드함으로써, 표시장치(20)은 촬상장치 본체(10)에 대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해서 정지하고 있다. 이때, 커버부재(23)의 당접부(미도시)이 암 플레이트(32)의 단면(미도시)에 대해 당접함으로써, 표시장치(20)의 위치가 정해진다. 도 17a의 상태에서는, 힌지장치(30)은, 촬상장치 본체(10)에 대해 슬라이드하고 있지 않다.
도17b의 상태에서는, 표시장치(20)이 촬상장치 본체(10)에 당접하는 동시에, 암 플레이트(32)에 설치된 구부림부(32g)가 베이스 플레이트(31)에 설치된 오목부(31e)에 당접한다.
도17c의 상태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31)에 설치된 구부림부(31d)가 스탠드 플레이트(34)에 설치된 오목부(34b)에 당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의해, 표시장치(20)은 힌지장치(3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가능하고, 힌지장치(30)은 촬상장치 본체(10)에 대하여, 윗쪽으로 180도, 아래쪽으로 45도의 틸트 동작가능하다.
다음에, 도18 및 도 19을 참조하여, 슬라이드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18은, 슬라이드 플레이트(27)의 암 플레이트(32)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시의 동작 설명도다. 도 19은, 표시장치(20)이 슬라이드한 상태에서 틸트했을 경우의 전자 뷰파인더(50)에 대한 회전 궤적을 표시하는 단면도다.
도 18a은, 표시장치(20)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8b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도 17a의 상태)을 나타내고 있다. 도18c은, 표시장치(20)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의 클릭 플레이트(28) 및 슬라이드 핀(32c)의 확대도다.
도 18a에 있어서, 표시장치(20)은 수납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플레이트(27)은 수납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때, 클릭 플레이트(28)과 슬라이드 핀(32c)은 챠지되어 있고, 슬라이드 플레이트(27)을 윗쪽으로 부세하는 힘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23)은 암 플레이트(32)의 단면(미도시)에 당접해서 정지하고, 수납 위치에 인입하는 부세력이 발생하고 있다.
도18b에 있어서, 표시장치(20)은 슬라이드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플레이트(27)은 촬상장치 본체(10)에 대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때, 슬라이드 플레이트(27)을 아래쪽으로 부세하는 힘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23)은 암 플레이트(32)의 단면(미도시)에 당접해서 정지하고, 슬라이드 위치에 인입하는 부세력이 발생하고 있다.
도18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클릭 플레이트(28)과 슬라이드 핀(32c)은 판 스프링 형상에 의해, 수납 위치 및 슬라이드 위치의 양쪽의 위치에 있어서 인입하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슬라이드 동작시의 도중의 위치에 있어서는, 적당한 부하가 발생하도록, 클릭 플레이트(28)이 변형해서 슬라이드 핀(32c)에 대해 마찰력이 발생한다.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시장치(20)은, 슬라이드 위치로부터 회전 중심(70)을 중심으로 윗쪽으로의 틸트 회전 동작을 행한다. 커버부재(23)의 단부(23b)은, 표시장치(20)의 틸트 회전 동작시에, 촬상장치 본체(10)로부터 배면으로 돌출한 전자 뷰파인더(50)에 접촉하지 않도록 클리어런스를 확보한 상태의 궤적을 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중심(70)으로부터 단부(23b)까지의 거리 r(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량)은, 전자 뷰파인더(50)의 돌출량에 의해 설정된다. 이때, 부주의로 슬라이드량을 크게 설정하면, 표시장치(2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거리 r는 표시장치(20)이 전자 뷰파인더(5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요 최소한의 클리어런스로 설정하면 된다.
도18b의 슬라이드 플레이트(27)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 표시장치(20)은 전자 뷰파인더(50)와 적당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한 슬라이드량이며, 클릭 플레이트(28)에 의한 부세력에 의해 부주의하게 슬라이드 이동해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20 및 도21을 참조하여, 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 동작시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의 느슨함을 억제하기 위한 슬라이더 기구(29)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20은, 슬라이더 기구(29)의 동작 설명도다. 도21은, 슬라이더 기구(29)의 단면도다.
도 20a은, 표시장치(20)이 슬라이드 동작했을 경우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슬라이더 기구(29) 중,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에 끼워지도록 내부에서 접하는 슬라이더(슬라이드 부재)(29a(는, 2개의 인장 스프링(29b)에 의해 아래쪽으로 부세되어 있다. 슬라이더(29a)는, 표시장치(20) 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도 20a의 상태에 있어서, 인장 스프링(29b)은 가장 신장된 상태가 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은, 슬라이더(29a)를 거쳐 아래쪽으로 인장되어 정지하고 있다. 도 20a의 상태에 있어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에 가해지는 텐션은 가장 큰 상태이며, 슬라이더(29a)는 표시장치(20) 내에서 가장 위쪽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도20b은, 표시장치(20)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경우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20b의 상태에 있어서, 인장 스프링(29b)은 가장 수축한 상태가 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은, 슬라이더(29a)를 거쳐 아래쪽으로 인장되어 정지하고 있다. 도20b의 상태에 있어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에 가해지는 텐션은 가장 작은 상태이며, 슬라이더(29a)는 표시장치(20) 내에서 가장 아래쪽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도 21a은, 표시장치(20)이 슬라이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장치(20)의 내부로부터 이어지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은 아래쪽으로 뻗은 후, 슬라이더(29a)에 접촉하면서 윗쪽으로 되접어 꺾어진다. 암 플레이트(32)를 따라 위쪽으로 뻗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은, 다시 아래쪽으로 되접어 꺾어진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은, 더 아래쪽으로 뻗은 후, 촬상장치 본체(10)의 개구부(10a)로부터 내부에 삽입되어, 미도시의 주 기판(전자기판)에 접속된다. 도 21a에 있어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은, 슬라이더(29a)에 접촉하는 되접어꺾임부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인장되어 정지하고 있다. 이때, 인장 스프링(29b)에 의한 부세력은, 가장 커진다.
도21b은, 표시장치(20)이 수납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은, 도 21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되접어 꺾어져, 촬상장치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슬라이더(29a_의 위치는 윗쪽 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인장 스프링(29b)에 의한 부세력은 가장 작아진다.
다음에, 도22를 참조하여, 슬라이더 기구(29)에, 회전 롤러를 추가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22은, 슬라이더 기구(29)의 구성 설명도다.
도 22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슬라이더(29a)는 스페이서(25)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29b)의 제1 단부는 스페이서(25)의 발톱부(25a)에 대해 걸리고, 제2단부는 슬라이더(29a)에 대해 걸린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29a)는 표시장치(20) 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인장 스프링(29b)에 의해 아래쪽으로 부세된다.
도22b은, 슬라이더 기구(29)의 내부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다. 슬라이더(29a)의 중앙부에는 접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회전 롤러(29c)이 배치되어 있다. 회전 롤러(29c)은, 슬라이더(29a)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과의 마찰저항에 의해 회전을 행한다.
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슬라이더(29a)가 상하 이동할 때, 회전 롤러(29c)이 회전함으로써,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에 가해지는 접동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에의 대미지를 경감하고, 내부 배선의 단선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슬라이더 기구(29)에 의해, 표시장치(20)을 슬라이드 동작시킬 때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동시에, 접동 부하에 의한 배선의 단선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시에는, 힌지장치(틸트의 회전 중심)을 이동하지 않고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윗쪽으로 180도 틸트 회전시킬 때에, 배면으로 돌출한 전자 뷰파인더(50)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표시장치(20)의 내부에 슬라이드시의 인입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표시장치(20)을 수납 위치와 슬라이드 위치의 각각에 확실하게 인입해서 정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더구나, 표시장치(20) 내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의 슬라이더 기구(29)을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시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62)의 느슨함 및 단선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실시예에서는, 전자 뷰파인더(50)가 돌출하는 구성에 대해서,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장치(20)의 슬라이드 동작에 연동해서 전자 뷰파인더(50)이 돌출하는 구성이나, 별도 설치된 레버나 조작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돌출하는 구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20)을 슬라이드한 영역으로부터 전자 뷰파인더(50)이 노출하는 구성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학식의 파인더나 다른 장치가 노출하는 구성이 사용되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촬상장치(전자기기)
10 촬상장치 본체(본체 유닛)
20 표시장치(제1 표시 유닛)
50 전자 뷰파인더(제2 표시 유닛)

Claims (19)

  1. 본체 유닛과,
    제1 표시 유닛과,
    제2 표시 유닛을 갖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과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겹친 상태에서, 상기 본체 유닛과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겹친 영역의 내부에 상기 제2 표시 유닛을 수납하고 있고,
    상기 제2 표시 유닛은,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해서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존재하지 않게 된 영역을 향해, 상기 본체 유닛의 내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유닛은, 상기 제1 표시 유닛의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동작해서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존재하지 않게 된 영역을 향해, 상기 본체 유닛의 내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한 후, 상기 본체 유닛의 내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2 표시 유닛에 근접하도록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틸트 동작했을 경우, 상기 제2 표시 유닛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한 후, 상기 본체 유닛의 내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2 표시 유닛에 근접하도록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틸트 동작했을 경우, 상기 제2 표시 유닛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본체 유닛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한 후, 상기 본체 유닛의 내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2 표시 유닛에 근접하도록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틸트 동작했을 경우에 상기 제2 표시 유닛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과 상기 제1 표시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더 갖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연결 유닛을 거쳐,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한, 틸트 동작 및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 유닛 및 상기 연결 유닛의 적어도 한쪽에는, 규제부재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틸트 동작했을 경우,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상기 제2 표시 유닛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표시 유닛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은, 제1 소정값보다 큰 자속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1 표시 유닛의 표시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2 표시 유닛의 표시를 개시시키는 제1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검출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량보다 큰 거리만큼 슬라이드 동작했을 경우, 상기 제1 표시 유닛에 설치된 자석에 의해 상기 제1 소정값보다 큰 자속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본체 유닛의 배면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제1 표시 유닛의 주위를 덮어, 상기 제1 표시 유닛을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슬라이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틸트 동작했을 경우에 상기 규제부재에 당접하는 피당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틸트 동작하고, 상기 규제부재가 상기 제1 표시 유닛에 당접했을 경우에, 상기 제1 표시 유닛의 최하면이 상기 본체 유닛의 저면보다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은,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부세하는 부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아래쪽으로 제1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틸트 동작했을 경우, 또는 윗쪽으로 제2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틸트 동작했을 경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유닛의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아래쪽으로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각도로 틸트 동작했을 경우, 또는 윗쪽으로 상기 제2 각도보다 큰 각도로 틸트 동작했을 경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자석의 흡인력과 반대 방향의 상기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본체 유닛의 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틸트 동작하지 않고 있을 경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유닛의 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1 표시 유닛에 유지되어, 상기 제1 표시 유닛과 함께 슬라이드 동작을 행하는 제1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유닛의 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1 표시 유닛과 함께 슬라이드 동작을 행하도록,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 6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은, 제2 소정값보다 큰 자속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1 표시 유닛의 표시 화상의 방향을 변경하는 제2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검출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제3 각도보다 큰 각도로 틸트 동작했을 경우, 상기 제1 표시 유닛에 설치된 자석에 의해 상기 제2 소정값보다 큰 자속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과 상기 제1 표시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더 갖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연결 유닛을 거쳐,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한, 틸트 동작 및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의 상기 연결 유닛에 대한 슬라이드 량은,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틸트 동작했을 경우에 상기 본체 유닛의 내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2 표시 유닛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에 유지되어 있는 제1힌지부재와, 상기 제1힌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제2힌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제2힌지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는,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틸트 동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제 15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제1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힌지부재는, 제2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세수단 및 상기 제2 부세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유닛을, 상기 본체 유닛에 수납되어 있는 위치 및 슬라이드 동작한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9. 제 15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유닛과 상기 본체 유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 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의 내부에 슬라이드 동작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제2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 부재를 소정의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3 부세수단을 더 갖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제2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텐션이 가해지도록 배치되어 있어,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제1 표시 유닛이 상기 본체 유닛에 수납되어 있는 위치와 슬라이드 동작한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텐션이 가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97024460A 2017-03-06 2018-02-22 전자기기 KR102219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41194 2017-03-06
JPJP-P-2017-041194 2017-03-06
JP2018029208A JP6611839B2 (ja) 2017-03-06 2018-02-21 電子機器
JPJP-P-2018-029208 2018-02-21
PCT/JP2018/006461 WO2018163846A1 (ja) 2017-03-06 2018-02-22 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741A true KR20190112741A (ko) 2019-10-07
KR102219409B1 KR102219409B1 (ko) 2021-02-24

Family

ID=6359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460A KR102219409B1 (ko) 2017-03-06 2018-02-22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87523B2 (ko)
JP (1) JP6611839B2 (ko)
KR (1) KR102219409B1 (ko)
CN (1) CN1103838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5397B2 (ja) * 2018-03-14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転操作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7191617B2 (ja) * 2018-09-26 202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7224828B2 (ja) * 2018-09-27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7224883B2 (ja) * 2018-12-06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035A (ja) 1999-10-26 2001-05-11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4120490A (ja) * 2002-09-27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JP2011097312A (ja) * 2009-10-29 2011-05-12 Canon Inc 撮像装置
KR20130053040A (ko) * 2011-11-14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JP2014045314A (ja) * 2012-08-27 2014-03-13 Sony Corp 撮像装置
JP2015204568A (ja) * 2014-04-15 201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3608B1 (en) * 1995-06-08 2006-11-07 Minolta Co., Ltd. Camera
US5768096A (en) * 1996-10-30 1998-06-16 Hewlett-Packard Company Portable computer with movable display panels forming a concatenated display screen in response to opening the computer
US5740480A (en) * 1997-02-20 1998-04-14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movable first lens cover which supports movable second lens cover which opens during movement of first lens cover
FI112573B (fi) * 1998-06-04 2003-12-15 Nokia Corp Kamerallinen matkaviestin
JP2001280979A (ja) 2000-03-31 2001-10-10 Kenwood Corp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995625B2 (ja) * 2003-03-31 2007-10-24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型無線端末機
JP4500732B2 (ja) * 2005-05-27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4182991B2 (ja) * 2006-06-05 2008-11-1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遮光部材
US8432485B1 (en) * 2007-12-19 2013-04-30 Logitech Europe S.A. Optimized designs for embedding webcam modules with superior image quality in electronics displays
US7751195B2 (en) * 2007-12-28 2010-07-06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slide and tilt mechanism
JP5077049B2 (ja) * 2008-04-24 2012-11-21 オンキヨ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この表示装置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装置
JP5456081B2 (ja) * 2012-02-03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JP6065537B2 (ja) * 2012-11-16 2017-01-2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機器及び情報機器のリンク機構
JP2014123896A (ja) * 2012-12-21 2014-07-03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65762B2 (ja) 2014-01-31 2018-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9716818B2 (en) * 2015-05-07 2017-07-25 Canon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apparatus having first case and second case rotatable relative to first case, and imaging apparatus having detachable illumination apparatus
JP5848484B1 (ja) * 2015-07-24 2016-01-27 稔 稲葉 ディジタルカメラ
US9586532B1 (en) * 2015-09-03 2017-03-07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with entertainment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035A (ja) 1999-10-26 2001-05-11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4120490A (ja) * 2002-09-27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JP2011097312A (ja) * 2009-10-29 2011-05-12 Canon Inc 撮像装置
KR20130053040A (ko) * 2011-11-14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JP2014045314A (ja) * 2012-08-27 2014-03-13 Sony Corp 撮像装置
JP2015204568A (ja) * 2014-04-15 201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11839B2 (ja) 2019-11-27
JP2018148554A (ja) 2018-09-20
US20190394403A1 (en) 2019-12-26
US10887523B2 (en) 2021-01-05
CN110383808B (zh) 2021-03-09
KR102219409B1 (ko) 2021-02-24
CN110383808A (zh)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7523B2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7165723A (ja) 蓋の開閉機構
JP6575513B2 (ja) 撮像装置
US969294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US1080554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equipped with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US20080180568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US1095179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movable part that is movable between retracted position and projecting position
CN110958383B (zh) 装配有电子取景器的摄像设备
WO2018163846A1 (ja) 電子機器
JP6265762B2 (ja) 電子機器
US8922710B2 (en) Imaging apparatus with cover member for covering an operation member
JP6238773B2 (ja) 電子機器
JP6238771B2 (ja) 電子機器
US917905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lidable display section
JP7224883B2 (ja) 撮像装置
JP7434019B2 (ja) 電子機器及び蓋ユニット
JP6265763B2 (ja) 電子機器
JP2022127311A (ja) 電子機器
JP6173084B2 (ja) 撮像装置
JP2005215078A (ja) 電子機器
JP6253287B2 (ja) 撮像装置
JP4521198B2 (ja) カメラ
JP2010008709A (ja) 蓋開閉機構及び電子機器
JP2015023402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