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125A - 옹벽용 쌓기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용 쌓기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125A
KR20190112125A KR1020197026213A KR20197026213A KR20190112125A KR 20190112125 A KR20190112125 A KR 20190112125A KR 1020197026213 A KR1020197026213 A KR 1020197026213A KR 20197026213 A KR20197026213 A KR 20197026213A KR 20190112125 A KR20190112125 A KR 20190112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front wall
concrete
ch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야노
Original Assignee
시만토콘쿠리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38674A external-priority patent/JP635973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36715A external-priority patent/JP6359750B1/ja
Application filed by 시만토콘쿠리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만토콘쿠리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대형 콘크리트 블록 쌓기를 이용한 구조물은, 동일한 두께의 린타입 옹벽 등에 한정되어 있고, 다른 구조물로의 활용을 할 수 없으며, 생땅과 구조물의 접촉면에 있어서 불연속성을 구비하고 있다. 전면벽재와 후면재 및 당해 양재를 연결하는 연결재를 구비하고, 당해 연결재는, 상기 양재 사이에 상현재와 하현재 및 당해 상현재의 일방측의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하현재의 타방측의 단부와 결합되는 경사재로 이루어지는 안정된 골조평면을 복수면 형성하는 블록체에 의하여 과제가 해결된다.

Description

옹벽용 쌓기블록
본 발명은, 블록 쌓기를 이용한 옹벽(擁壁) 등의 토목 구조물의 축조에 관한 것이다.
토목 구조물의 축조에 관하여, 노동력 부족을 보충하면서, 일정한 공사기간에 일정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제품(precast 製品)의 활용은 불가결한 요소로 되어 있다. 종래의 현장 타설(現場 打設)의 콘크리트 옹벽(concrete 擁壁)이나 콘크리트 호안(concrete 護岸)을 대신하여, 대형 블록 쌓기를 활용한 구축물의 축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형 옹벽블록(大型 擁壁block)은, 현장조건에 의하여 서로 다른 구배(句配)나 버팀폭 등의 규격이 채용되기 때문에, 제작하기 위해서는 그들에 맞는 전용의 형틀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비용이나 제작기간에 영향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블록의 대형화는, 중량이 크고 충전공간을 포함한 블록체적이 크게 되어, 블록의 현장으로의 반입이나 설치에 관해서도 커다란 과제로 되어 있다. 출원인은, 일본국 실용신안 등록3156212호에 있어서 폭의 확장이 자유로운 대형 블록의 고안에 의하여, 금구(金具)에 의한 전벽과 후벽의 연결에 의하여 버팀폭을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의 경량화를 가져오는 제안을 하고 있다.
종래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大型 concrete block)은, 상기 출원인 제안의 콘크리트 블록(concrete block)을 포함하여, 동등한 두께로 연직방향의 연속설치에 의한 자립성(自立性)이 낮다. 게다가, 블록을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concrete 構造物)은, 일반적으로 생땅(natural ground)과 콘크리트 벽재의 접촉면에 있어서 완전한 불연속면을 형성한다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이 불연속면은, 콘크리트 옹벽의 안정에 관해서는 콘크리트 옹벽과 생땅의 마찰각도를 작게 하고, 안정계산 상에서는 옹벽의 전도, 슬라이딩에 대하여 불리하게 작용한다.
이 대책으로서, 블록 배면과 생땅 경사면의 사이에 프레임재(frame材)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해서 블록과 일체로 함으로써, 뒷채움 재(back-filling 材)를 블록과 일체화(一體化)를 도모하여, 옹벽으로서의 안정을 도모하는 공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98095). 또한 블록을 사용한 옹벽에 있어서 생땅 경사면에 봉상 보강재(捧上 補强材)를 압입하고, 콘크리트 블록(concrete block)과 당해 봉상 보강재를 연결시키는 경사면 보강옹벽(傾斜面 補强擁壁)의 제안(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1-210004)에는, 생땅과 블록의 불연속면의 형성을 시정하는 효과도 있다.
: 일본국 실용신안 등록3156212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98095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1-210004호 공보
대표적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 쌓기를 이용한 옹벽은, 도로개량, 하천개수, 조성공사 등에 사용되지만, 과제는 몇 가지 있다. 축조하는 구조물의 형상이, 동등한 두께의 린타입 옹벽(lean-type 擁壁) 등에 한정되어 있고, 기타의 구조물로의 활용이 가능하지 않는 상황이다. 또한 생땅과 구조물의 후면벽재의 접촉면에 있어서 불연속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불안정성을 시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의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의 제안은, 공사기간 면이나 비용 면에서의 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수평방향 또는 연직방향으로 연속설치되고, 내포하는 공간에 충전재를 충전함으로써 구조물을 구축하는 블록체로서, 대향하는 전면벽재와 후면재 및 당해 양재를 연결하는 연결재를 구비하고, 당해 연결재는, 상기 양재 사이에 상현재와 하현재 및 당해 상현재의 일방측의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하현재의 타방측의 단부와 결합되는 경사재로 이루어지는 안정된 골조평면을 복수면 형성하는 블록체.
상기의 후면재가 프레임 조립재인 블록체.
상기의 후면재가 청구항1의 벽재의 외재면과 서로 다른 외재면의 구배를 구비하는 후면벽재인 블록체.
청구항1의 연결재가 강재인 청구항1 내지 청구항3의 블록체.
전면벽재와 후면재의 사이에 양재를 연결하는 연결재를 설치한다. 당해 연결재는, 그 길이의 자유도에 의하여 용이하게 양면재 사이의 폭 및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1조의 상현재, 하현재 및 경사재가 양면재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안정된 골조평면을 복수면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블록체를 형성하고, 동일한 두께의 블록체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구조물의 전면구배나 후면구배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 자립성을 구비하는 블록체에 대하여, 후면재로서 프레임 조립재를 사용함으로써, 속채움 충전재와 뒷채움 충전재료로서, 예를 들면 콘크리트를 일체적으로 충전할 수 있고, 생땅과 구조물의 접촉면에 있어서 불연속면을 형성한다는 성질이 개선되고, 생땅과 일체적으로 구조물이 구축되고, 구조물과 생땅 사이의 마찰각도로 큰 값을 기대할 수 있어, 구조물의 안정에 기여한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적용할 수 없었던 중력식 옹벽이나 둑이나 댐 본체 등의 구조물에의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연결재에 강재를 사용함으로써, 블록체의 경량화에 공헌하고 있다.
도1은, 블록체의 연속설치상황의 설명도이다. (실시예1)
도2는, 후면재가 프레임 조립재인 블록체의 설명도이다. (실시예1)
도3은, 후면재가 후면벽재인 블록체의 설명도이다. (실시예1)
도4는, 전면벽재 및 후면재의 설명도이다. (실시예1)
도5는, 연결재 및 연결재와 전면벽재 또는 후면재의 결합 상황도이다. (실시예1)
도6은, 본 발명의 블록체에 의한 어스 리테이닝 옹벽의 설명도이다. (실시예1)
도7은, 전면벽재와 동일한 구배의 후면 프레임 조립재의 블록체의 설명도이다. (실시예2)
도8은, 절토 사면에 후면재로서 프레임 조립재의 블록체를 사용한 설명도이다. (실시예2)
도9는, 전면벽재의 구배가 서로 다른 둑체 구축에 관한 설명도이다. (실시예3)
도10은, 비교적 규모가 큰 둑체 구축에 관한 설명도이다. (실시예4)
도11은, 블록체를 사용한 언제(댐) 구축에 관한 설명도이다. (실시예5)
일반적으로, 옹벽(擁壁)(4)의 축조에 관한 것으로서, 옹벽면(擁壁面)의 공간측(空間側)을 옹벽의 앞이라고 하고, 지반측(地盤側)을 뒤라고 한다. 따라서 옹벽의 부위에 관해서는, 각각 옹벽전면(擁壁前面)(41), 옹벽후면(擁壁後面)(42)이라고 부른다. 본 발명의 블록체(block體)(1)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기본적으로는 블록설치 시에 있어서의 공간측을 전면(前面)이라고 하고 지반측을 후면(後面)이라고 한다. 따라서 전면이 벽재(壁材)인 경우에 전면벽재(前面壁材)(2)라고 하고, 후면을 형성하는 부재는, 후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면재 혹는 띠모양의 부재 또는 그들의 집합체를 포함하여 후면재(後面材)(21)라고 부른다. 전면측과 후면측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둑(48)과 같은 구조에 관해서는, 양측을 전면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블럭체의 부위로서는, 전면벽재, 후면재 모두 블록체 밖으로 면하는 측을 외재면(外材面)(11)이라고 하고, 내포하는 공간측을 내재면(內材面)(12)이라고 부른다.
전면벽재 및 후면재의 외재면에는 상변, 하변, 좌우의 측변 또는 빗변을 갖음과 아울러 상변면(上邊面)(13), 하변면(下邊面)(14), 좌우의 측변면(側邊面)(15) 또는 빗변면을 갖는다. 사각형의 블록체의 연속설치에서는, 인접하는 블록체 사이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는, 좌측변면과 우측변면 또는 우측변면과 좌측변면을 접한다. 연직방향으로는, 상변면과 하변면을 접하도록 설치한다. 다만, 블록 사이에 스페이서(spacer)(29)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구배(句配)에 관해서는, 수평으로부터의 상승이, 가로 1.0에 대하여 세로 1.0을 1할구배(1割句配)라고 부르고, 가로 0.1 내지 0.9에 대하여 세로 1.0을 1분(1分) 내지 9분구배(9分句配)라고 한다.
연결재(連結材)(3)는, 대략 수평으로 상방에 설치되는 부재를 상현재(上弦材)(31)라고 하고, 하방에 설치되는 부재를 하현재(下弦材)(32)라고 하고, 당해 양현재(兩弦材)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를 경사재(傾斜材)(33)라고 한다. 전면벽재(2) 및 후면재(21)의 내재면(12)에는, 연결재와의 결합장소인 결합부(結合部)(26)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1
도1에 나타내는 전면(41)이 5분구배이고, 후면(42)이 2분구배인 린타입 옹벽(lean-type 擁壁)(4)의 구축에, 본 발명의 블록체(1)를 사용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은 측면으로부터의 설명도이며, 내포공간(內包空間)(16)의 충전재는 나타내지 않고 있다. 연직방향으로 블록체를 3단으로 쌓은 것이다. 블록체의 전면벽재(2)의 외재면(11)이 5분구배이며, 후면재(21)의 외재면이 2분구배이다. 최하단(最下段)의 블록체부터 최상단(最上段)의 블록체까지, 전면벽재 및 후면재는 모두 각각 같은 형상이다. 연결재(3)의 길이의 조정에 의하여 연속하는 벽면을 형성하고 있다. 즉 최하단의 블록체의 전면벽재와 후면재의 상변 사이의 간격을 중간단(中間段)의 블록체의 전면벽재와 후면재의 외면 하변 사이의 간격과 동등하게 함으로써, 중간단의 블록체와 연속하는 외재면을 형성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중간단의 블록체의 전면벽재와 후면재의 외면 상변 사이의 간격을 최상단의 블록체의 전면벽재와 후면재의 외면 하변 사이의 간격과 동등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양쪽 외재면을 단일한 구배로 연속되는 블록체로 하여 그들을 연속설치함으로써, 상기의 일체(一體)의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도2에, 도1에 나타내는 블록체(1)의 연속설치상황에 있어서의 중간단의 블록체에 후면재(21)로서, 상하 한 쌍의 횡재(橫材)(24)와 좌우 한 쌍의 종재(縱材)(25)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조립재(frame 組立材)(23)를 사용한 경우의 블록체의 평면도(1), 정면도(2), 측면도(3), 배면도(4)를 나타낸다. 외재면(11)이 5분구배인 전면벽재(2)와 외재면이 2분구배인 프레임 조립재는, 내재면(12)이 마주 보는 상태로 대향하고 있고 연결재(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재의 배치는, 전면벽재의 내면 상부에는 상현재(31) 단부(端部)와 포개어 경사재(33) 단부를 결합하는 결합부(26)가 있고, 하부에는 하현재(32)를 결합하는 결합부가 있다. 한편, 프레임 조립재의 내면 상부에는 상현재의 결합부가 있고, 하부에는 하현재 단부 및 경사재 단부의 결합부가 있다. 도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들의 연결재의 결합에 의한 1조(組)의 상현재, 하현재 및 경사재는, 전면벽재 및 후면재 사이의 연직방향으로 골조평면(38)을 1면 형성하고, 전면벽재와 프레임 조립재에는, 각각 결합부를 4곳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연직방향의 골조평면이 2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 같이 독립된 2개의 평면이 형성되어 있지만, 상현재 또는 하현재가 중복하는 것 같은 2개의 골조평면에 의해서도 안정된 블록체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는 결합부가 3곳이어도 좋다.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블록체(1)의 연속설치상황에 있어서의 중간단의 블록체에 후면재(21)로서, 후면벽재(後壁材面)(22)를 사용한 경우의 블록체의 평면도(1), 정면도(2), 측면도(3)를 나타낸다. 연결재(3)의 설치상황, 결합부(26)의 배치상황은, 상기의 후면재로서 프레임 조립재(23)를 사용한 경우와 동일하다. 도3에는, 상하의 블록체 사이에서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 볼록부(17)와 어긋남 방지 오목부(18) 및 크레인에의 설치에 필요한 행거(hanger)(19)의 설치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4는, 전면벽재(2) 또는 후면재(21)의 기본적 형상을 나타낸다. 도4(1)은 정면도로서 전면벽재의 내재면(12)을 나타내고 있다. 도4(2)는 상변면(13)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4(3)은 측변면(15)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내재면의 4곳에 설치된 볼록부가 결합부(26)이며, 도4(2)에 나타내는 측면측의 연직면이 접합면(27)으로 되어 있고, 중앙부에 삽입구멍(28)이 배치되어 있다. 이 벽재는 높이 1∼1.5m, 가로폭 1.5∼2.0m, 두께 10∼15cm 정도의 4각형상의 판에 결합부를 설치한 것이며, 소정의 형틀에 생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제조된다. 4각형상의 판의 전면벽재의 내재면과 외재면(11)의 사이에는, 보조철근으로서 메시근(mesh筋)이 배근(背筋)으로 되어 있지만, 도면 상에는 생략하고 있다. 전면벽재는, 설치되는 전면구배에 의하여 측변길이는 변화된다.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 전면수직의 경우이고,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 5분구배의 경우이다. 본 예에서는, 상변면 및 하변면(14)의 구배에 의한 처리는 생략하고 있다. 후면재의 후면벽재(22)에 관해서는, 외형상은 전면벽재와 대략 동일하다. 후면재가 프레임 조립재(23)인 경우에는, 벽재 중앙부의 파선의 부분을 중공(中空)으로 하고, 결합부로부터 외측부를 잘라낸 구조로 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2곳의 어긋남 방지 볼록부(17)와 하변면(14)의 어긋남 방지 오목부(18)의 형성장소는, 상변, 하변의 길이의 1/4의 위치이고 엇갈림식 배치로 블록을 쌓아 올리는 것도 상정한 것이다.
도5에 연결재(3) 및 연결상황을 나타낸다. 본 예에서 전면벽재(2)와 후면재(21)를 연결하는 연결재는, 소정의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휨강도를 구비하는 강재(鋼材)를 사용한다. 상현재(31)와 당해 상현재의 일방측의 단부와 결합하는 경사재(33)를 도5(1) 및 도5(2)에 나타내고, 하현재(32)의 일방측의 단부를 도5(3) 및 도5(4)에 나타낸다. 하현재의 타방측의 단부에 있어서 경사재와 결합하고 있는 상황은, 도5(1) 및 도5(2)에 준하는 것이므로 생략한다. 상기한 기본적 형상의 전면벽재에 관해서는, L6×50×50 ∼ L6×75×75mm 정도의 L형강(L型鋼)(36)을 양현재로 사용하고, 6×50 ∼ 6×75mm 정도의 평강(平鋼)(37)을 경사재로 사용하며, 각 부재 모두의 양단부에는 볼트 관입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금구(結合金具)로는, 지름 16mm이고 길이 50mm 정도의 볼트(35)를 사용하고, 접합면(27)에 형성된 인서트구멍(insert穴)(28)의 인서트(insert)와 짝으로 되어 있어, 나사결합할 수 있다. 도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재의 상현재인 L형강은 수평면을 상방으로, 하현재는 수평면을 하방으로 되도록 배치하여 전면벽재 및 후면재를 연결하고, 결합부(26)에서는 접합면에 단독 또는 경사재와 포개어, 볼트체결되어 있다.
블록체(1)의 연속설치에 의한 옹벽(4)의 구축상황을 도6에 나타낸다. 도6(1)은, 옹벽축조 전의 생땅(natural ground)(46)의 상태를 파선으로 표시한다. 생땅을 필요한 만큼 굴삭한 후에, 기초 쇄석(基礎 碎石) 또는 기초 콘크리트(基礎 concrete)(43)를 시공하고, 본 발명의 블록체를 설치하고, 도5(2)에 나타내는 블록체 수평방향의 양단에 정지형틀(52)을 설치하고, 연속설치하는 블록체의 전면벽재(2), 후면재(21) 및 상기 정지형틀에 의한 내포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이다. 블록체를 모두 쌓아올린 후에, 내포공간에 속채움 콘크리트(44)를 타설할 필요는 없다. 블록체의 쌓아올리는 상황에 따라 몇 번으로 나누어서 타설하면 좋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이음매에는 보강 철근을 배치한다. 본 케이스에서는 12개의 블록체에 의하여 어스 리테이닝 옹벽(earth retaining 擁壁)이 구축되어 있다. 본 옹벽은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에 의한 옹벽과 다르고, 옹벽후면(42)의 토압(흙의 압력)에 대한 안정을 고려할 때, 린타입 옹벽이 구축될 수 있다.
실시예2
도7은, 전면벽재(2) 및 프레임 조립재(23)가 5분구배의 블록체(1)이며, 도8은, 이 블록체를 사용한 옹벽(4) 구축의 실시예이다. 비교적 안정된 연암(軟岩)의 생땅(46)에 있어서의 도로확장공사 등을 시공하는 경우를 실시예로서 나타낸다. 시공순서는 아래와 같다. (1) 블록 배면구배와 같은 구배로, 블록 배면으로부터 뒷채움 공간(48)의 두께를 예비로 하여 절토공(切土工)을 한다. 본 예에서는 5분구배의 절토면(47)에서, 뒷채움 공간의 버팀폭은 뒷채움 콘크리트(45)의 골재지름을 배려하여 생 콘크리트의 유입의 용이성을 배려할 필요가 있다. 10cm 이상이 바람직하다. (2) 도8(2)의 절토면 정면도(도면에서는 B-B단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절토면에 투수매트(透水mat)(50)를 펼쳐서 설치한다. 투수매트는 절토면측에 투수면(透水面), 블록체측에 불투수면(不透水面)으로 하고, 물빼기 관(51)의 설치장소에서는 불투수면을 구멍내어, 투수매트로부터의 지하수를 물빼기 관으로 유도한다. 절토면의 대강 2m2 이하에 1곳 정도의 물빼기 관을 배관한다. (3) 바닥 굴착면에 기초 콘크리트(43)를 타설한다. (4) 도8(3) 및 도8(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 위로 최하단의 블록체를 설치한다. (5) 도8(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하단의 블록체 전면의 되메우기 재(49)를 투입하고, 단단히 굳힌 후에, 블록체의 속채움 콘크리트(44)와 절토면에 접촉하는 뒷채움 콘크리트(45)를 동시에 타설한다(도8(3)에서는, 2번째 단의 블록체 설치 후의 몸통채움 및 뒷채움 콘크리트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6) 최하단의 콘크리트 블록 위에 2번째 단의 콘크리트 블록(concrete block)을 설치한다. 도8(4)에서는, 블록체를 설치한 후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지만, 블록체를 상하로 같은 위치에 설치하는 직선배열로 하고 있다. 콘크리트 타설 이음매는, 도8(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블록체의 중간 정도의 높이의 면으로 한다.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여 블록체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7) 다음에 3번째 단의 블록체를 설치하고, 몸통채움 및 뒷채움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8) 순차적으로, 블록체 설치와 콘크리트 타설을 반복하여 구조물을 구축한다. 이 블록체는, 자립 안정성이 높고, 속채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블록의 내포공간으로부터 블록 뒤의 부분으로 콘크리트가 돌아 들어가서 배면과 생땅 사이의 뒷채움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실시예3
도9에 전면벽재(2)의 외재면(11)의 구배가 서로 다른, 연속된 블록체(1)의 설치예를 나타낸다. 해안둑(53) 등의 전면구배가 변화하는 구조물에 본 블록체를 적용하는 경우이다. 본 예에서는, 블록체의 전면벽재(2)의 외재면 구배는, 최하단은 1할구배, 2번째 단은 5분구배, 3번째 단은 2분구배, 최상단은 연직으로 되어 있다. 후면재(21)에 관해서는, 후면벽재(22) 또는 프레임 조립재(23)를 사용하지만, 외재면이 공간인 경우에는, 전면벽재와 동등한 후면벽재를 사용한다. 또한 블록체의 연속으로는,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연속을 확보한 경우도 포함되며, 본 예에서는, 전면벽재의 외재면 구배의 2분구배와 연직의 블록체에는, 스페이서(29)가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4
도10에서는, 전면벽재(2)와 프레임 조립재(23)의 구배가 서로 다른 블록체(1)를 외측에 전면벽재, 내측에 프레임 조립재를 배치하고, 복수의 짝이 되도록 연속설치한 둑(53)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0(1)의 측면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면벽재가 5분구배, 프레임 조립재는 연직이다. 구조물 전체의 형상을 감안하여, 블록체를 배치할 필요가 있지만, 프레임 조립재에 관해서는 연직이 될 필요는 없다. 도10의 블록체의 연속설치는, 연속설치한 블록체 전체로서의 자립된 안정성을 갖고, 높이방향으로 전 블록을 연속설치한 후에, 내포공간(16) 및 블록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타설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5
도11은, 콘크리트 언제(concrete 堰堤)(54) 구축에 관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11(1)에 언제 본체의 하류측으로부터의 정면도, 도11(2)에 언제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면 상 중앙의 물 안내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블록체(1)의 조립상황을 도11(3)의 블록체(1)의 조립 측면도에 나타낸다. 도11(3)에 의하면, 언제 본체의 하방부에서는, 상류측에 전면벽재(2) 및 프레임 조립재(23)를 1분구배로 하는 블록체와, 하류측에 전면벽재 및 프레임 조립재를 2분구배로 하는 블록체를 수평방향으로 짝이 되는 상태로 연속설치해서 배치하여, 짝이 되는 블록 간의 내측의 블록간 공간을 형성하고, 블록체의 내포공간(16)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을 채용한다. 언제 상방부에서는, 상류측에 1분구배의 전면벽재, 하류측에 2분구배의 전면벽재를 갖는 블록체를 설치하고, 둑마루 부근에서는, 상하류측 모두 연직인 전면벽재를 갖는 블록체를 설치한다. 본 예에서는, 둑체의 두께가 큰 하방부에서, 후면재로서 프레임 조립재의 블록체를 활용하고 있다.
1 블록체
11 외재면
12 내재면
13 상변면
14 하변면
15 측변면
16 내포공간
17 어긋남 방지 볼록부
18 어긋남 방지 오목부
19 행거
2 전면벽재
21 후면재
22 후면벽재
23 프레임 조립재
24 횡재
25 종재
26 결합부
27 접합면
28 삽입구멍
29 스페이서
3 연결재
31 상현재
32 하현재
33 경사재
34 볼트 관입구멍
35 결합 볼트
36 L형강
37 평강
38 골조평면
4 옹벽
41 전면
42 후면
43 기초 쇄석 또는 기초 콘크리트
44 속채움 콘크리트
45 뒷채움 콘크리트
46 생땅
47 절토면
48 뒷채움 공간
49 되메우기 재
50 투수매트
51 물빼기 관
52 정지형틀
53 둑 또는 제방
54 언제

Claims (5)

  1. 수평방향 또는 연직방향으로 연속설치되고, 내포하는 공간에 충전재를 충전함으로써, 구조물을 구축하는 블록체(block體)로서,
    대향하는 전면벽재(前面壁材)와 프레임 조립재(frame 組立材) 및 샹기 양재(兩材)를 연결하는 연결재(連結材)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재는, 상기 양재 사이에 상현재(上弦材)와 하현재(下弦材) 및 상기 상현재의 일방측(一方側)의 단부(端部)와 결합되고, 상기 하현재의 타방측(他方側)의 단부와 결합되는 경사재(傾斜材)로 이루어지는 안정된 골조평면을 복수면 형성하는
    블록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조립재가, 상하 한 쌍의 횡재(橫材)와 좌우 한 쌍의 종재(縱材)를 구비한 프레임 조립재인 블록체.
  3. 수평방향 또는 연직방향으로 연속설치되고, 내포하는 공간에 충전재를 충전함으로써, 구조물을 구축하는 블록체로서,
    대향하는 전면벽재와 상기 전면벽재의 외재면과 서로 다른 외재면의 구배를 구비하는 후면벽재(後壁材面) 및 상기 양재를 연결하는 연결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재는, 상기 양재 사이에 상현재와 하현재 및 상기 상현재의 일방측의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하현재의 타방측의 단부와 결합되는 경사재로 이루어지는 안정된 골조평면을 복수면 형성하는
    블록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가 강재(鋼材)인 블록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블록체를 연속설치하여 구축하는 콘크리트 구조물(concrete 構造物).
KR1020197026213A 2017-07-18 2018-06-08 옹벽용 쌓기블록 KR201901121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38674A JP6359733B1 (ja) 2017-07-18 2017-07-18 擁壁用積ブロック
JPJP-P-2017-138674 2017-07-18
JPJP-P-2017-236715 2017-12-11
JP2017236715A JP6359750B1 (ja) 2017-12-11 2017-12-11 擁壁用積ブロック
PCT/JP2018/021974 WO2019017108A1 (ja) 2017-07-18 2018-06-08 擁壁用積ブロッ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125A true KR20190112125A (ko) 2019-10-02

Family

ID=6501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213A KR20190112125A (ko) 2017-07-18 2018-06-08 옹벽용 쌓기블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190112125A (ko)
CN (1) CN110520574A (ko)
PH (1) PH12019502864A1 (ko)
TW (1) TWI646239B (ko)
WO (1) WO201901710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004A (ja) 1998-01-23 1999-08-03 Kensetsu Kikaku Consultant:Kk 斜面補強擁壁工法
JP2005098095A (ja) 2003-09-04 2005-04-14 Jiro Okamoto 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及び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の構築方法
JP3156212U (ja) 2009-10-08 2009-12-17 高幡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協同組合 控幅自在大型擁壁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9935A (en) * 1975-11-10 1977-05-17 Sumitomo Metal Ind Breast wall
JPS52141806U (ko) * 1976-04-22 1977-10-27
JPH06193068A (ja) * 1992-12-25 1994-07-12 Sumikin Kozai Kogyo Kk 土留め施工方法
JP2784641B2 (ja) * 1995-12-11 1998-08-06 武茂 下ノ原 構築用ブロック体用の係合部材
CN2703033Y (zh) * 2004-03-18 2005-06-01 东营桩建水力插板技术有限公司 堤坝和桥梁插入施工的组合桩体
CN202899166U (zh) * 2012-09-28 2013-04-24 日铁住金建材株式会社 石块填充构造框
CN104652475B (zh) * 2015-02-27 2016-09-21 重庆大学 一种桁架式挡土墙
CN205711974U (zh) * 2016-04-28 2016-11-23 江苏元大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挡土墙
CN106677205A (zh) * 2016-11-11 2017-05-17 重庆大学 一种装配式异形钢管桩组合挡土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004A (ja) 1998-01-23 1999-08-03 Kensetsu Kikaku Consultant:Kk 斜面補強擁壁工法
JP2005098095A (ja) 2003-09-04 2005-04-14 Jiro Okamoto 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及び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の構築方法
JP3156212U (ja) 2009-10-08 2009-12-17 高幡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協同組合 控幅自在大型擁壁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46239B (zh) 2019-01-01
WO2019017108A1 (ja) 2019-01-24
CN110520574A (zh) 2019-11-29
PH12019502864A1 (en) 2020-09-28
TW201908571A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792A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US6565289B2 (en)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KR100870150B1 (ko)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
KR20190006671A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의 구조적 연속화 시공방법
JP2017210787A (ja) 開削トンネルの耐震構造
KR101136240B1 (ko) 거푸집 및 지하외벽 수직철근 겸용 철재수직토류판과 그 지지구조
JP2011214248A (ja) 盛土の補強構造
US3798914A (en) Panel connectors for reinforced concrete diaphragm walls
JP6678487B2 (ja) 地下構造躯体構築方法
JP5146117B2 (ja) 地盤改良体からなる擁壁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05669211U (zh) 一种预制重力式挡墙
JP7232714B2 (ja) 基礎の構築方法
KR20150061712A (ko) 제방차수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제방축조공법
KR101684389B1 (ko) 벽체형성을 위한 강재띠 phc 말뚝,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12125A (ko) 옹벽용 쌓기블록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2152085B1 (ko) 오픈 셀 케이슨 구조물 및 시공 방법
KR102202598B1 (ko)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CN109137887B (zh) 一种穿越溶洞的地下连续墙结构、施工方法以及支护装置
CN106854874B (zh) 一种地下拼接墙及用于该地下拼接墙的预制混凝土桩
CN112323816A (zh) 卸荷式组合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JP6359750B1 (ja) 擁壁用積ブロック
JP6070894B1 (ja) 重力式プレキャスト防潮堤
JPS5851092B2 (ja) 先行支保枠による土留設置工法
CN217870601U (zh) 一种加固装配式挡土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