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138A -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 - Google Patents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138A
KR20190110138A KR1020197026364A KR20197026364A KR20190110138A KR 20190110138 A KR20190110138 A KR 20190110138A KR 1020197026364 A KR1020197026364 A KR 1020197026364A KR 20197026364 A KR20197026364 A KR 20197026364A KR 20190110138 A KR20190110138 A KR 20190110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flavor
aerosol
puff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861B1 (ko
Inventor
히로후미 마츠모토
아키히코 스즈키
마나부 다케우치
타쿠마 나카노
마사후미 타로라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3Particle size control by passing the aerosol trough sieves o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f the injector type
    • A61M11/065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f the injector type using steam as driving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f the injecto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Abstract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전지를 적어도 가지는 전원 유닛과, 에어로졸원 및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1 카트리지와, 향미원을 적어도 가지고 있고, 무화부에 의하여 무화된 에어로졸을 통과함으로써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는 제2 카트리지와,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의 검지에 따라,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도록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NON-COMBUSTING FLAVOR INHALER AND PACKAGE}
본 발명은, 제2 카트리지 및 제1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예를 들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전지를 적어도 가지는 전원 유닛과, 에어로졸원 및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霧化部)를 적어도 가지는 제1 카트리지와, 향미원을 적어도 가지는 제2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제2 카트리지 및 제1 카트리지는 교환 가능하다.
특허문헌 1: WO2013/116558호 공보
제1의 특징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로서, 적어도 전지를 가지는 전원 유닛과, 에어로졸원 및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상기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1 카트리지와, 적어도 향미원을 가지고 있고, 상기 무화부에 의하여 무화된 에어로졸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는 제2 카트리지와,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의 검지에 따라,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도록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의 특징은,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의 검지에 따라, 제1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회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또는 제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퍼프(puff) 동작의 회수 또는 상기 무화부에 대한 통전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의 특징은, 제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상기 무화부에 대한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이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함과 동시에,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리셋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의 특징은, 제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상기 무화부에 대한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이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유저의 소정 조작에 의하여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리셋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5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지의 교환 타이밍 또는 상기 전지의 충전 타이밍의 검지에 따라, 상기 전지의 교환 타이밍 또는 상기 전지의 충전 타이밍을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의 특징은, 제6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지의 출력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전지의 교환 타이밍 또는 상기 전지의 충전 타이밍을 검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8의 특징은, 제4의 특징 또는 제5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이 소정값에 달하고 나서 상기 카운트값이 리셋될 때까지,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9의 특징은,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상기 무화부에 대한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로서, 제1 카운터 및 제2 카운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트값이 제1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운터의 카운트값이 제2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상기 제1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며, 상기 제2 소정값은, 상기 제1 소정값의 정수배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의 특징은, 제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이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상기 제1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5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통전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지에 대한 지시로서, 상기 무화부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도록 상기 전지에 지시하는 소정 지시를 상기 전지에 대해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상기 소정 기간은,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의 상한값보다도 짧은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11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화부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상기 소망 범위에 들도록, 상기 전지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상기 소정 지시를 변경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12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 경우에,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는 검지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의 특징은, 제1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판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에 있어서, 상기 검지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5의 특징은, 제1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상기 판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도록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의 특징은, 제14의 특징 또는 제15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상기 검출 처리를 실시할 때까지에 있어서 퍼프 동작이 개시된 경우에, 퍼프 동작의 개시에 따라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개시하기까지, 상기 검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의 특징은, 제13의 특징 내지 제16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퍼프 동작의 종료의 검지에 따라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 경우에, 상기 검지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8의 특징은, 제13의 특징 내지 제16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 경우에, 상기 검지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9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18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사용하는 패키지로서, 에어로졸원 및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상기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1 카트리지와, 향미원을 적어도 가지는 제2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카트리지의 수는, 상기 제1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정해져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0의 특징은, 제19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에는, 상기 제1 카트리지에 허용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인 허용 퍼프 회수 또는 상기 제1 카트리지에 허용되는 통전 시간인 허용 통전 시간이 정해져 있고,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상기 무화부에 대한 통전 시간이 소정값에 달하는 타이밍이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이며, 상기 제2 카트리지의 수는, 상기 허용 퍼프 회수 또는 상기 허용 통전 시간을 상기 소정값으로 나눈 몫의 정수 부분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21의 특징은, 제19의 특징에 있어서,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상기 무화부에 대한 통전 시간이 제1 소정값에 달하는 타이밍이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이고, 상기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상기 무화부에 대한 통전 시간이 제2 소정값에 달하는 타이밍이 상기 제1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이며, 상기 제2 소정값은, 상기 제1 소정값의 정수배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의 특징 내지 제16의 특징에 있어서, 판정 기간이란, 현재의 퍼프 동작이 종료하고 나서 다음의 퍼프 동작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보다도 짧다고 상정되는 기간이면 된다. 판정 기간으로서는, 예를 들면, 3초 등의 기간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지는 1초로 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원 유닛(1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카트리지(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카트리지(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 카트리지(3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 카트리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원 수용체(31)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5에 나타내는 A-A단면도)이다.
[도 8]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원 수용체(31)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7에 나타내는 B-B단면도)이다.
[도 9]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개공(開孔)(32A)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개공(32A)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도 11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개공(32A)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도 1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개공(32A)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C-C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도 15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어 회로(50)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도 16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듀티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도 17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듀티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도 18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9] 도 19는, 변경예 1에 관련되는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도 20은, 변경예 2에 관련되는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도 21은, 변경예 3에 관련되는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도 22는, 변경예 4에 관련되는 에어로졸의 양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도 23은, 변경예 4에 관련되는 에어로졸의 양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도 24는, 변경예 4에 관련되는 에어로졸의 양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도 25는, 변경예 4에 관련되는 에어로졸의 양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 도 26은, 변경예 5에 관련되는 제어 회로(50)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도 27은, 변경예 6에 관련되는 제어 회로(50)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도 28은, 변경예 7에 관련되는 제어 회로(50)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도 29는, 변경예 8에 관련되는 패키지(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도 30은, 변경예 9에 관련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개시의 개요]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제2 카트리지의 수명은, 제1 카트리지의 수명과 상이한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새로운 지견에 근거하여, 배경 기술에서 언급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참조하면, 상술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서는, 제1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 또는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유저에게 알리지 않아서, 유저의 편리성을 해치고 있다.
개시의 개요에 관련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적어도 전지를 가지는 전원 유닛과, 에어로졸원 및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상기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1 카트리지와, 적어도 향미원을 가지고 있고, 상기 무화부에 의하여 무화된 에어로졸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는 제2 카트리지와,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의 검지에 따라,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도록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개시의 개요에서는, 제어부는,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의 검지에 따라,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도록 알림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유저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 형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원 유닛(1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카트리지(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카트리지(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단, 도 4에서는, 후술하는 리저버(reservoir)(21)가 생략되어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 카트리지(3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 카트리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원 수용체(31)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5에 나타내는 A-A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원 수용체(31)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7에 나타내는 B-B단면도)이다. 단, 도 6에서는, 후술하는 향미원(31A)이 생략되어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비흡구단에서 흡구단을 향하는 방향인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전원 유닛(10)과,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를 가진다. 제1 카트리지(20)는, 전원 유닛(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제2 카트리지(30)는, 제1 카트리지(2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는, 각각, 교환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전원 유닛(10)은,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전지(11)를 적어도 가진다. 전지(11)는, 일회용 타입의 전지여도 되고, 충전 타입의 전지여도 된다. 전지(11)의 출력전압의 초기값은, 1.2V 이상 4.2V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지(11)의 전지 용량은, 100mAh 이상 1000mAh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제1 카트리지(20)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1 카트리지(20)는, 리저버(21)와, 무화부(22)와, 유로 형성체(23)와, 외부틀체(24)와, 엔드 캡(25)을 가진다. 제1 카트리지(20)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에어로졸 유로로서, 무화부(22)보다도 하류 측에 배치된 제1 유로(20X)를 가진다. 또한, 에어로졸 유로에 있어서, 무화부(22)에 가까운 측을 상류라고 칭하고, 무화부(22)에서 떨어진 측을 하류라고 칭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리저버(21)는, 에어로졸원(21A)을 저류(貯留)한다. 리저버(21)는, 제1 유로(20X)(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유로 형성체(23)의 주위에 위치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저버(21)는, 유로 형성체(23)와 외부틀체(24) 사이의 공극 내에 위치한다. 리저버(21)는, 예를 들면, 수지 웹이나 면(綿) 등의 다공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 리저버(21)는, 액체의 에어로졸원(21A)을 수용하는 탱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에어로졸원(21A)은,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액체를 포함한다.
무화부(22)는, 전지(1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21A)을 무화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화부(22)는, 소정 피치로 권선되는 전열선(코일)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무화부(22)는, 1.0Ω 이상 3.0Ω 이하의 범위의 저항값을 가지는 전열선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피치는, 전열선이 접촉하지 않는 값 이상이며, 작은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피치는, 예를 들면, 0.4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피치는, 에어로졸원(21A)의 무화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피치란, 서로 인접하는 전열선의 중심의 간격이다.
유로 형성체(23)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유로 형성체(23)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유로(20X)를 형성하는 통 모양 형상을 가진다.
외부틀체(24)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외부틀체(24)는, 유로 형성체(23)를 수용하는 통 모양 형상을 가진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부틀체(24)는, 엔드 캡(25)보다도 하류 측에 연장됨과 동시에 제2 카트리지(30)의 일부를 수용한다.
엔드 캡(25)은, 유로 형성체(23)와 외부틀체(24) 사이의 공극을 하류측부터 막는 캡이다. 엔드 캡(25)은, 리저버(21)에 저류되는 에어로졸원(21A)이 제2 카트리지(30) 측으로 새는 사태를 억제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제2 카트리지(30)는, 향미원(31A)을 적어도 가진다. 제2 카트리지(30)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에 장착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카트리지(30)는, 제1 카트리지(20)에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제2 카트리지(30)의 일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카트리지(20)의 외부틀체(24)에 수용된다.
제2 카트리지(30)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2 카트리지(30)는, 향미원 수용체(31)와, 메시(mesh)체(32)와, 필터(33)와, 캡(34)을 가진다. 제2 카트리지(30)는, 에어로졸 유로로서, 제1 유로(20X)보다도 하류에 배치된 제2 유로(30X)를 가진다.
제2 카트리지(30)는,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된 에어로졸을 통과시킴으로써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한다. 여기서,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31A)을 가열하지 않고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향미원(31A)에서 실질적으로 에어로졸이 발생하지 않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소정 방향 A에 있어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대 사이즈는, 4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방향 A에 있어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대 사이즈는, 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정 방향 A에 있어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소 사이즈는, 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방향 A에 있어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소 사이즈는, 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대 사이즈는, 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대 사이즈는,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소 사이즈는, 3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2 카트리지(30)의 최소 사이즈는, 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원 수용체(31)는, 통 모양 형상을 가지고 있고,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유로(30X)를 형성한다. 향미원 수용체(31)는, 향미원(31A)을 수용한다.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는 향미원(31A)은, 제2 유로(30X) 내에 수용된다. 여기서,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에어로졸원(21A)을 저류하는 리저버(21)의 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유로(20X)의 사이즈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걸쳐 일정한 단면적을 가지는 외부틀체(24)에 제2 카트리지(30)가 수용되는 케이스에 있어서는, 결과적으로, 제2 유로(30X)의 사이즈는, 상술한 제1 유로(20X)의 사이즈보다도 커지기 쉽다.
향미원(31A)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가 발생하는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는 원료편에 의하여 구성된다. 원료편의 사이즈의 하한은, 0.2mm 이상 1.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편의 사이즈의 하한은, 0.2mm 이상 0.7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사이즈가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에서 향끽미(香喫味) 성분이 제거되기 쉽다.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으로서는, 살담배, 담배 원료를 입상(粒狀)으로 성형한 성형체를 사용할 수 있다. 향미원(31A)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허브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원(31A)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은, 예를 들면, JIS Z 8801에 준거(準據)한 스텐레스체를 사용하고, JIS Z 8815에 준거해 선별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0.71mm의 체눈을 가지는 스텐레스체를 사용하여, 건조식 또한 기계식 진탕법에 의하여 20분간에 걸쳐 원료편을 선별함으로써, 0.71mm의 체눈을 가지는 스텐레스체를 통과하는 원료편을 얻는다. 이어서, 0.212mm의 체눈을 가지는 스텐레스체를 사용하여, 건조식 또한 기계식 진탕법에 의하여 20분간에 걸쳐 원료편을 선별함으로써, 0.212mm의 체눈을 가지는 스텐레스체를 통과하는 원료편을 제거한다. 즉,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은, 상한을 규정하는 스텐레스체(체눈=0.71mm)를 통과하고, 하한을 규정하는 스텐레스체(체눈=0.212mm)를 통과하지 않는 원료편이다. 따라서,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사이즈의 하한은, 하한을 규정하는 스텐레스체의 체눈에 의하여 정의된다. 또한,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사이즈의 상한은, 상한을 규정하는 스텐레스체의 체눈에 의하여 정의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향미원 수용체(31)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에어로졸 유로(流路)(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향미원 수용체(31)의 상류 단부(端部)(여기에서는, 메시체(32))의 외연에서 상류측(실시 형태에서는, 유로 형성체(23) 혹은 엔드 캡(25)측)에 돌출하는 돌출부(31E)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31E)는, 향미원 수용체(31)의 상류 단부(여기에서는, 메시체(32))의 외연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있어도 되고, 향미원 수용체(31)의 외연을 따라 간헐적으로 설치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외부틀체(24)와 향미원 수용체(31)의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돌출부(31E)는, 향미원 수용체(31)의 상류 단부(여기에서는, 메시체(32))의 외연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테이퍼 부분(31T)의 상류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에 에어로졸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향미원 수용체(31)의 외벽면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여 퍼지는 테이퍼 부분(31T)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 부분(31T)은, 향미원 수용체(31)의 외벽면의 일부에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테이퍼 부분(31T)의 테이퍼각(角) α는, 예를 들면, 5도 정도이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향미원 수용체(31)의 내벽면에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여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리브(31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리브(31R)의 수는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31R)의 하류 단부는, 향미원 수용체(31)의 하류 단부에 도달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소정 방향 A에 있어서, 메시체(32)에서 리브(31R)의 하류 단부까지의 길이(L2)는, 메시체(32)에서 향미원 수용체(31)의 하류 단부까지의 길이(L1)보다도 짧다. 바꾸어 말하면, 향미원 수용체(31)에 필터(33)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리브(31R)의 하류 단부는, 향미원 수용체(31)의 하류 단부에 도달하지 않고 필터(33)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시체(32)는, 향미원(31A)보다도 상류(비흡구측)에 배치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메시체(32)는, 향미원 수용체(31)의 상류 단부에 배치된다. 매우 작은 향미원 수용체(31)에 메시체(32)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메시체(32)의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향미원 수용체(31) 및 메시체(32)가 일체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시체(32)는, 향미원 수용체(31)의 일부이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향미원 수용체(31) 및 메시체(32)는, 수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수지 및 ABS 수지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성형성 및 텍스처의 관점에서는,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원 수용체(31) 및 메시체(32)는, 금형 성형이나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시체(32)는, 도 8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개공(32A)을 가진다.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은, 180° 이하의 내각을 가지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은,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의 중심을 통과하는 폭으로서, 가장 작은 폭을 가지는 최소폭(Wmin)과, 가장 큰 폭을 가지는 최대폭(Wmax)을 가진다. 최소폭(Wmin)은,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사이즈의 하한보다도 작다. 상세하게는, 실제로는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이 비구형이기 때문에, 원료편의 탈락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최소폭(Wmin)은,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사이즈의 하한의 1/2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폭(Wmax)은, 최소폭(Wmin)보다도 크다. 예를 들면, 최대폭(Wmax)은, 원료편의 사이즈의 하한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최대폭(Wmax)은, 최소폭(Wmin)의 √2배 이상 6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은, 원형과는 상이한 형상이다. 또한,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은, 원료편이 개공(32A)에 딱 맞기 어렵기 때문에, 사각형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공(32A)이 가지는 사각형의 형상의 각변은, 개공(32A)의 제조로 발생하는 비선형 부분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개공(32A)이 가지는 사각형의 형상의 각 정점은, 개공(32A)의 제조로 발생하는 곡선 부분을 포함해도 된다.
여기서,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은, 도 9∼도 12에 나타내듯이,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꼴, 육각형 및 팔각형 중에서 선택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의 형상은, 도 9∼도 11에 나타내듯이, 1종류이어도 되고, 도 12에 나타내듯이, 2종류이어도 된다.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의 형상은, 3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개공(32A)의 배열 효율성이나 제조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도 1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복수의 개공(32A)은, 서로 이웃하는 개공(32A)의 각각이 가지는 변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이웃하는 개공(32A)의 간격(P)은, 0.15mm 이상 0.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메시체(32)의 두께는, 0.1mm 이상 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33)는, 소정 섬유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원료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거칠기를 가진다. 필터(33)는, 향미원(31A)보다도 하류에 배치된다. 필터(33)는,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필터이다. 캡(34)은, 필터(33)보다도 하류(흡구측)에 설치된다.
또한, 향미원 수용체(31)(여기에서는, 메시체(32)를 포함한다), 필터(33) 및 캡(34)은, 서로 접착 또는 용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시체(32)가 가지는 개공의 모두가 상술한 개공(32A)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시체(32)가 가지는 개공은, 상술한 개공(32A) 이외의 개공을 포함해도 된다.
(접속 상태)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의 접속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C-C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단, 도 13에서는, 리저버(21), 무화부(22), 향미원(31A), 필터(33) 및 캡(34)이 생략되어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3에 나타내듯이, 제1 유로(20X)와 제2 유로(30X)의 사이에는, 제2 유로(30X) 내의 에어로졸의 흐름의 편향을 억제하도록, 제1 유로(20X)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로졸의 흐름을 조정하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가 설치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는, 유로 형성체(23)의 하류 단부와 향미원 수용체(31)의 상류 단부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는, 엔드 캡(25)과 메시체(32)의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향미원 수용체(31)에 수용되는 향미원(31A)의 충전율은, 향미원 수용체(31)의 용량에 대하여 100%가 아니어도 된다. 즉, 향미원 수용체(31) 내에 공극이 발생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단,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는, 향미원(31A)의 충전율이 100%는 아닌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극과 상이한 것은 물론이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소정 방향 A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1 유로(20X)의 중심에서 제1 유로(20X)의 외측을 향하는 직선상에 있어서, 제1 유로(20X)의 외연에서 제2 유로(30X)의 외면까지의 거리를 쉬프트(shift) 거리라 한 경우에, 소정 방향 A에 있어서의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의 길이(LG)는, 쉬프트 거리 중, 가장 큰 쉬프트 거리를 고려하여 정해져도 된다. 즉,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의 길이(LG)는, 가장 큰 쉬프트 거리에 따라 정해져도 된다. 향미원 수용체(31) 내를 흐르는 에어로졸의 흐름의 편향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가장 큰 쉬프트 거리가 길수록,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의 길이(LG)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의 길이(LG)는, 가장 큰 쉬프트 거리의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듯이, 소정 방향 A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1 유로(20X) 및 제2 유로(30X)가 동일 축의 원인 경우에는, 소정 방향 A에 있어서의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의 길이(LG)는, 제1 유로(20X)의 반경(R1)과 제2 유로(30X)의 반경(R2)의 차이(즉, 쉬프트 거리)에 따라 정해진다.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 수용체(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향미원 수용체(31)의 상류 단부(여기에서는, 메시체(32))의 외연에서 상류측(실시 형태에서는, 유로 형성체(23) 또는 엔드 캡(25)측)에 돌출하는 돌출부(31E)를 가진다. 즉, 향미원 수용체(31)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를 형성하는 스페이서로서 돌출부(31E)(제1 돌출부)를 가진다.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 형성체(23)(제1 유로(20X))의 하류 단부의 전체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원 수용체(31)(제2 유로(30X))의 상류 단부의 전체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제1 유로(20X)로부터 제2 유로(30X)로 인도되는 에어로졸의 흐름을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는, 유로 형성체(23)(제1 유로(20X))의 하류 단부보다도 상류측으로 확장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는, 향미원 수용체(31)(제2 유로(30X))의 상류 단부보다도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불필요한 공간에 에어로졸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를 구성하는 내벽면은, 유로 형성체(23)(제1 유로(20X))의 하류 단부의 외연에서 향미원 수용체(31)(제2 유로(30X))의 상류 단부의 외연에 걸쳐, 단차를 포함하지 않고 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듯이,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엔드 캡(25)의 외연(25out)은, 외부틀체(24)의 내벽면(24in)과 접하고 있고, 엔드 캡(25)의 내연(25in)은, 유로 형성체(23)의 외연(25out)과 유로 형성체(23)의 내연(25in)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하류측에서 엔드 캡(25)을 제거하기 어렵다. 또한, 엔드 캡(25)을 외부틀체(24) 내에 배치할 때에, 엔드 캡(25)이 유로 형성체(23)에 간섭하기 어렵다.
(제어 회로)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어 회로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5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어 회로(50)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듯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알림부(40) 및 제어 회로(50)를 가진다.
알림부(40)는, 각종 정보를 알린다. 알림부(40)는, 발광 소자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진동 소자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되며, 음(音)출력 소자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알림부(40)는, 발광 소자, 진동 소자 및 음출력 소자 중, 2 이상의 소자의 조합이어도 된다. 알림부(40)는, 전원 유닛(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림부(40)는, 제1 카트리지(20)에 설치되어도 되고, 제2 카트리지(30)에 설치되어도 된다.
제어 회로(50)는, 검지부(51)와, 알림 제어부(52)와, 전력 제어부(53)를 가진다.
검지부(51)는, 퍼프 동작을 검지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검지부(51)는, 흡인 센서에 접속되어 있고, 흡인 센서의 출력 결과에 근거하여 퍼프 동작을 검지한다. 또한, 검지부(51)는,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검지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검지부(51)는, 전지(11)와 무화부(22)를 접속하는 전력선 위에 설치된 전압 센서에 접속되어 있고, 전압 센서의 출력 결과에 근거하여 전력 공급을 검지한다.
알림 제어부(52)는, 각종 정보를 알리도록 알림부(4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알림 제어부(52)는,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의 검지에 따라,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도록 알림부(40)를 제어한다. 알림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의 발광에 의하여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알려도 되고, 진동 소자의 진동에 의하여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알려도 되고, 음출력 소자의 출력음에 의하여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알려도 된다.
여기서, 알림 제어부(52)는,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에 근거하여,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한다. 또한, 퍼프 동작의 회수는, 상술한 검지부(51)에 의하여 검지되는 퍼프 동작에 의하여 특정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은, 상술한 검지부(51)에 의하여 검지되는 전력 공급에 의하여 특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알림 제어부(52)는,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52X)를 가진다. 알림 제어부(52)는, 카운터(52X)의 카운트값이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함과 동시에, 카운터(52X)의 카운트값을 리셋한다. 또한, 알림 제어부(52)는, 제2 카트리지(30)가 교환되고 나서 카운터(52X)의 카운트값을 리셋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알림 제어부(52)는, 카운터(52X)의 카운트값이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알려, 유저의 소정 조작에 의하여 카운터(52X)의 카운트값을 리셋한다. 유저의 소정 조작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의 전원의 온 또는 오프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스위치나 버튼) 또는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스위치나 버튼)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의 조작이어도 된다. 혹은, 소정의 유저 조작은, 검지부(51)가 퍼프 동작을 검출 가능하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의 흡구에서 숨을 불어넣는 조작이어도 된다. 혹은, 유저의 소정 조작은, 검지부(51)가 퍼프 동작을 검출 가능하고, 일반적인 퍼프 동작과 식별 가능한 모양이면, 숨을 흡입하는 동작(예를 들면, 단시간에 2회의 흡입 동작)이어도 된다. 카운터(52X)는, 카운트업 타입의 카운터이어도 되고, 카운트다운 타입의 카운터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52)는,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의 검지에 따라,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도록 알림부(4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52)는,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회수에 근거하여,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알림 제어부(52)는,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회수가 소정 회수에 달한 경우에,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52)는, 전지(11)의 교환 타이밍 또는 전지(11)의 충전 타이밍의 검지에 따라, 전지(11)의 교환 타이밍 또는 전지(11)의 충전 타이밍을 알리도록 알림부(4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52)는, 전지(11)의 출력전압에 근거하여, 전지(11)의 교환 타이밍 또는 전지(11)의 충전 타이밍을 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알림 제어부(52)는, 전지(11)의 출력전압이 소정 임계값을 밑돌았을 경우에, 교환 타이밍 또는 전지(11)의 충전 타이밍을 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알림 제어부(52)는,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에 근거하여, 전지(11)의 교환 타이밍 또는 전지(11)의 충전 타이밍을 검지해도 된다. 상세하게는, 알림 제어부(52)는,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이 소정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전지(11)의 교환 타이밍 또는 전지(11)의 충전 타이밍을 검지해도 된다.
또한, 알림부(40)는,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과 동일하게, 발광 소자의 발광, 진동 소자의 진동 또는 음출력 소자의 출력음에 의하여,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 전지(11)의 교환 타이밍 또는 전지(11)의 충전 타이밍을 알린다.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에 대한 지시로서,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도록 전지(11)에 지시하는 소정 지시를 전지(11)에 대하여 출력한다. 소정 지시의 출력은, 퍼프 동작마다 1회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전력 제어부(53)는, 퍼프 동작이 실시되고 있는 퍼프 기간에 있어서 무화부(22)로의 전력의 출력을 전지(11)에 지시하지만, 퍼프 동작이 실시되고 있지 않은 비(非)퍼프 기간에 있어서 무화부(22)로의 전력의 출력을 전지(11)에 지시하지 않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퍼프 기간 및 비퍼프 기간은, 상술한 검지부(51)에 의하여 검지되는 퍼프 동작에 의하여 특정 가능하다.
여기서, 전력 제어부(53)는,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소정 지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소정 지시를 변경한다. 또한, 전력 제어부(53)는,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전력 제어부(53)는, 유저가 실제로 퍼프 동작을 실시하고 있는 퍼프 기간 내이어도, 퍼프 기간이 소정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전력 제어부(53)는, 퍼프 동작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 전이어도, 퍼프 동작이 종료된 경우에는,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의하여, 퍼프 동작을 하지 않은 기간(비퍼프 기간)에 에어로졸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비퍼프 기간에 있어서 에어로졸 유로 내에 에어로졸이 체류, 응축하는 것에 의하여 액적이 발생하고, 비퍼프 기간에 계속되는 퍼프 동작으로 생성하는 에어로졸이 액적에 트랩되는 사태가 억제되어, 소망 범위의 에어로졸량 공급의 방해가 되는 우려 및 액적에 기인하는 끽미의 열화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간은,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의 상한값보다도 짧다. 또한, 소정 기간은,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퍼프 기간의 평균값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퍼프 기간의 평균값은, 표준 퍼프 기간의 상한값보다도 짧은 것은 물론이다.
소정 기간은, 유저의 퍼프 기간의 편차를 억제하기 위해서 정해지기 때문에, 퍼프 기간이 소정 기간보다도 긴 유저가 일정 수 이상 존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소정 기간은,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기간이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퍼프 기간의 평균값보다도 짧은 것에 의하여, 과반수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의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을 소정 기간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퍼프 기간의 편차에 기인하는 에어로졸의 양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기간은, 1초 이상 3초 이하이다. 소정 기간이 1초 이상인 것에 의하여,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이 퍼프 기간에 비하여 너무 짧아지지 않고, 유저에게 주는 위화감이 경감된다. 한편, 소정 기간이 3초 이하인 것에 의하여,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이 소정 기간으로 고정되는 퍼프 동작을 일정 수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기간은, 1.5초 이상 2.5초 이하이어도 된다. 이에 의하여, 유저에게 주는 위화감이 더욱 경감되어,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이 소정 기간으로 고정되는 퍼프 동작을 늘릴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소정 기간은, 미리 정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는, 소정 기간은, 복수의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준 퍼프 기간이란,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유저의 퍼프 기간 중의 하한값과 복수의 유저의 퍼프 기간 중의 상한값 사이의 기간이다. 하한값 및 상한값은, 유저의 퍼프 기간 데이터의 분포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평균값의 95% 신뢰 구간의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도출해도 되고, m±nσ(여기서, m은 평균값, σ은 표준 편차, n는 정(正)의 실수)로서 도출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소정 지시를 변경(또는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지(11)에서 무화부(22)로 공급되는 전력량이 펄스 제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경우에는, 전력 제어부(53)는, 소정 지시의 변경으로서, 전지(11)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1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지(11)에 대하여 출력하는 듀티비(duty ratio)를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력 제어부(53)는, 도 16에 나타내듯이, 전지(11)에서 무화부(22)로 전력을 공급하는 온(on) 시간의 간격(펄스 간격)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부(53)는, 펄스 간격(P1)을 펄스 간격(P2)으로 변경함으로써, 1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지(11)에 대하여 출력하는 듀티비를 증대시킨다.
혹은, 전력 제어부(53)는, 도 17에 나타내듯이, 전지(11)에서 무화부(22)로 전력을 공급하는 온 시간의 길이(펄스 폭)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부(53)는, 펄스폭(W1)을 펄스폭(W2)으로 변경함으로써, 1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지(11)에 대하여 출력하는 듀티비를 증대시킨다.
또한,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소정 지시의 변경으로서, 듀티비를 단계적으로 증대시켜도 되고, 듀티비를 연속적으로 증대시켜도 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에 근거하여, 전지(11)의 축전량을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전력 제어부(53)는,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에 근거하여, 전지(11)의 축전량을 추정해도 된다. 또한, 퍼프 동작의 회수는, 상술한 검지부(51)에 의하여 검지되는 퍼프 동작에 의하여 특정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은, 상술한 검지부(51)에 의하여 검지되는 전력 공급에 의하여 특정 가능하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력 제어부(53)는, 카운터(52X)의 카운트값이 소정값에 달하고 나서 카운트값이 리셋될 때까지,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전력 제어부(53)는,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이 알림되고 나서 카운트값이 리셋될 때까지,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카트리지(30)가 교환될 때까지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이 정지된다. 따라서, 적은 향미량을 에어로졸에 부여하는 것밖에 할 수 없는 제2 카트리지(30)의 사용이 억제된다.
(제어 방법)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8은, 1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지(11)에서 무화부(22)로 공급되는 전력량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플로우는, 퍼프 동작의 개시의 검지에 의하여 개시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플로우의 전제로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즉, 전력 제어부(53))는, 퍼프 동작이 실시되고 있는 퍼프 기간에 있어서 무화부(22)로의 전력의 출력을 전지(11)에 지시하지만, 퍼프 동작을 하지 않은 비퍼프 기간에 있어서 무화부(22)로의 전력의 출력을 전지(11)에 지시하지 않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스텝(S10)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즉,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의 축전량을 추정한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지(1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에 근거하여, 전지(11)의 축전량을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S20)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즉,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에 대하여 출력하는 소정 지시(예를 들면, 듀티비)를 결정한다. 상세하게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전지(11)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듀티비를 증대시키도록, 전지(11)에 대하여 출력하는 듀티비를 결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소정 지시의 변경으로서, 듀티비를 증대시킨다.
스텝(S30)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즉, 전력 제어부(53))는,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퍼프 기간이 소정 기간을 초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스텝(S50)의 처리로 이동하고,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는, 스텝(S40)의 처리로 이동한다.
스텝(S40)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즉, 전력 제어부(53))는, 퍼프 동작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는, 스텝(S30)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퍼프 동작의 종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검지부(51)가 퍼프 동작을 검출 가능하면, 검지부(51)에 의하여 검지되어도 된다. 혹은, 퍼프 동작의 종료는, 무화부(22)로의 전력을 실행하는지 아닌지를 전환하기 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스위치나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검지되어도 된다.
스텝(S50)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즉, 전력 제어부(53))는, 유저가 실제로 퍼프 동작을 실시하고 있는 퍼프 기간 내이어도,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작용 및 효과)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제어부(53)는,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소정 기간은,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의 상한값보다도 짧다. 따라서, 퍼프 기간이 소정 기간보다도 긴 유저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사용해도, 전지(11)의 축전량의 극단적인 감소가 억제되고,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소정 지시를 제어하기 쉽다.
이와 같이, 유저의 퍼프 기간의 길이 및 전지(11)의 축전량에 의하지 않고, 끽연 개시(전지(11)의 축전량이 충분한 초기 단계)부터 끽연 종료(즉, 전지(11)의 축전량이 감소하는 종기 단계)까지의 퍼프 동작을 통하여, 1회의 퍼프 동작당 공급되는 에어로졸의 양을 소망 범위에 들도록 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1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지(11)에 대하여 출력하는 소정 지시를 변경한다. 전지(11)의 축전량이 충분한 초기 단계와 전지(11)의 축전량이 불충분한 종기 단계와의 사이에 있어서,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실제로 공급되는 전력량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유저의 퍼프 기간의 길이 및 전지(11)의 축전량에 의하지 않고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을 소망 범위에 들도록 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알림 제어부(52)는,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의 검지에 따라,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도록 알림부(40)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유저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알림 제어부(52)는,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의 검지에 따라,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도록 알림부(40)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을 유저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알림 제어부(52)는,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회수에 근거하여,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수명)을 검지한다. 따라서,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의 검지가 용이하다. 또한, 제2 카트리지(30)를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제1 카트리지(20)의 수명이 다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수명)은, 1개의 제1 카트리지(20)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제2 카트리지(30)의 수(교환 회수)와 대응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알림 제어부(52)는, 전지(11)의 교환 타이밍 또는 전지(11)의 충전 타이밍의 검지에 따라, 전지(11)의 교환 타이밍 또는 전지(11)의 충전 타이밍을 알리도록 알림부(40)를 제어한다. 따라서, 전지(11)의 교환 타이밍 또는 전지(11)의 충전 타이밍을 유저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제어부(53)는, 카운터(52X)의 카운트값이 소정값에 달하고 나서 카운트값이 리셋될 때까지,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따라서, 제2 카트리지(30)가 교환될 때까지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이 정지된다. 따라서, 적은 향미량을 에어로졸에 부여하는 것 밖에 할 수 없는 제2 카트리지(30)의 사용이 억제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제어부(53)는,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소정 지시를 제어하고,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따라서, 1회의 퍼프 동작으로 소비되는 전력량의 편차가 감소하기 때문에, 퍼프 동작의 회수에 근거하여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는 경우에,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의 검지 정도(精度)가 향상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유로(20X)와 제2 유로(30X)의 사이에는, 제2 유로(30X) 내의 에어로졸의 흐름의 편향을 억제하도록, 제1 유로(20X)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로졸의 흐름을 조정하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가 설치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유로(20X)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로졸이 제2 유로(30X) 내에 있어서 치우치지 않고 향미원을 통과하기 쉽다.
실시 형태에서는, 리저버(21)는, 제1 유로(20X)(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유로 형성체(23)의 주위에 위치한다. 이에 의하여, 제1 유로(20X)(소정 방향 A)에 있어서 제1 카트리지(20)의 전체 길이를 억제하면서, 에어로졸원(21A)을 저류하는 리저버(21)의 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2 유로(30X)의 사이즈는, 제1 유로(20X)의 사이즈보다도 크다. 바꾸어 말하면,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1 유로(20X)가 작기 때문에, 유로 형성체(23)의 주위에 위치하는 리저버(21)의 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2 유로(30X)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향미원(31A)로부터 향끽미 성분을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엔드 캡(25)의 외연(25out)은, 외부틀체(24)의 내벽면(24in)과 접하고 있고, 엔드 캡(25)의 내연(25in)은, 유로 형성체(23)의 외연(25out)과 유로 형성체(23)의 내연(25in)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의하여, 하류측으로부터 엔드 캡(25)을 제거하기 어렵다. 또한, 엔드 캡(25)을 외부틀체(24) 내에 배치할 때에, 엔드 캡(25)이 유로 형성체(23)에 간섭하기 어렵다.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 방향 A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1 유로(20X)의 중심에서 제1 유로(20X)의 외측을 향하는 직선상에 있어서, 제1 유로(20X)의 외연에서 제2 유로(30X)의 외면까지의 거리를 쉬프트 거리로 한 경우에, 소정 방향 A에 있어서의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의 길이(LG)는, 쉬프트 거리 중, 가장 큰 쉬프트 거리에 따라 정해진다. 이에 의하여, 제1 유로(20X)로부터 제2 유로(30X)로 인도되는 에어로졸의 흐름을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로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제1 유로(20X)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로졸이 제2 카트리지(30) 내에 있어서 치우치지 않고 향미원(31A)을 통과하기 쉽다.
실시 형태에서는, 메시체(32)에 설치되는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은, 180° 이하의 내각을 가지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은,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의 중심을 통과하는 폭으로서, 가장 작은 폭을 가지는 최소폭(Wmin)과, 가장 큰 폭을 가지는 최대폭(Wmax)을 가진다. 여기서, 최소폭(Wmin)은,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사이즈보다도 작기 때문에,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고, 최대폭(Wmax)은, 최소폭(Wmin)보다도 크기 때문에, 메시체의 전체로서 개공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용의 제2 카트리지(30)에 있어서, 향미원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탈락을 억제하면서, 메시체(32)의 전체로서 개공율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개공(32A)의 최대폭(Wmax)은,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사이즈의 하한보다도 크다. 따라서, 메시체(32)의 전체로서 개공율이 향상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개공(32A)의 최대폭(Wmax)은, 개공(32A)의 최소폭(Wmin)의√2배 이상 6배 이하이다. 따라서, 최대폭(Wmax)이 최소폭(Wmin)의 √2배 이상인 것에 의하여, 메시체(32)의 전체로서 개공율이 향상되고, 최대폭(Wmax)이 최소폭(Wmin)의 6배 이하인 것에 의하여, 메시체(32)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개공(32A)의 각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꼴, 육각형 및 팔각형 중에서 선택된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개공(32A)은, 서로 이웃하는 개공(32A)의 각각이 가지는 변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서로 이웃하는 개공(32A)의 간격(P)은, 0.15mm 이상 0.30mm 이하이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개공(32A)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메시체(32)의 전체로서 개공율을 향상시키면서도, 메시체(32)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 수용체(31)의 내벽면에는,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여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리브(31R)가 설치된다. 따라서, 리브(31R)가 향미원 수용체(31)를 보강하면서도, 향미원 수용체(31) 내에 있어서 소정 방향 A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흐름이 리브(31R)에 의하여 저해되지 않고, 향미원(31A)에서 향끽미 성분을 취출하기 쉽다.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 수용체(31)의 외벽면은,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여 퍼지는 테이퍼 부분(31T)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카트리지(30)가 제1 카트리지(20)의 외부틀체(24)에 감합되기 쉽고, 향미원 수용체(31)의 외형의 제조 오차를 허용하면서도, 제2 카트리지(30)의 탈락이 억제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 방향 A에 있어서, 메시체(32)로부터 리브(31R)의 하류 단부까지의 길이(L2)는, 메시체(32)로부터 향미원 수용체(31)의 하류 단부까지의 길이(L1)보다도 짧다. 바꾸어 말하면, 리브(31R)의 하류 단부는, 향미원 수용체(31)의 하류 단부에 달하지 않고 필터(33)와 접한다. 따라서, 리브(31R)가 향미원 수용체(31)를 보강하면서도, 필터(33)의 위치 결정의 기능을 다한다.
[변경예 1]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1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상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 수용체(31)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를 형성하는 스페이서로서 돌출부(31E)(제1 돌출부)를 가진다. 이에 대하여, 변경예 1에서는, 향미원 수용체(31)는, 돌출부(31E)를 가지지 않는다.
도 19는, 변경예 1에 관련되는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단, 도 19에서는, 리저버(21), 무화부(22), 향미원(31A), 필터(33) 및 캡(34)이 생략되어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9에 나타내듯이, 향미원 수용체(31)는, 향미원(31A)을 수용하는 본체부(31P)와, 본체부(31P)의 측면에 배치되는 플랜지부(31Q)를 가진다.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플랜지부(31Q)는, 본체부(31P)보다도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으며, 또한, 외부틀체(24)의 내면과 동일한 정도 이상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9에서는, 플랜지부(31Q)는, 본체부(31P)의 하류 단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틀체(24)의 내면에 걸리는 태양(態樣)이면, 본체부(31P)의 측면의 어디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외부틀체(24)의 하류 단부부터 엔드 캡(25)까지의 거리(L3)(즉, 외부틀체(24)가 플랜지부(31Q)와 당접하는 부분부터 엔드 캡(25)의 하류 단부까지의 거리)는, 본체부(31P)의 길이(L4)(즉, 플랜지부(31Q)의 상류 단부부터 본체부(31P)의 상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길다. 따라서, 플랜지부(31Q)가 외부틀체(24)의 하류 단부에 걸림으로써, 향미원 수용체(31)가 돌출부(31E)를 가지지 않아도, 제1 유로(20X)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로졸의 흐름을 조정하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카트리지(20)는 엔드 캡(25)을 가지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틀체(24)의 하류 단부부터 유로 형성체(23)의 하류 단부까지의 거리(즉, 외부틀체(24)가 플랜지부(31Q)와 당접하는 부분부터 유로 형성체(23)의 하류 단부까지의 거리)는, 본체부(31P)의 길이(즉, 플랜지부(31Q)의 상류 단부부터 본체부(31P)의 상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길다.
[변경예 2]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2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 수용체(31)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를 형성하는 스페이서로서 돌출부(31E)(제1 돌출부)를 가진다. 이에 대하여, 변경예 2에서는, 향미원 수용체(31)는, 돌출부(31E)를 가지지 않는다.
도 20은, 변경예 2에 관련되는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단, 도 20에서는, 리저버(21), 무화부(22), 향미원(31A), 필터(33) 및 캡(34)이 생략되어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돌출부(25E)는, 향미원 수용체(31)의 상류 단부(바람직하게는, 상류 단부의 외연)와 접촉한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엔드 캡(25)은,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엔드 캡(25)의 하류 단부의 외연에서, 하류측(향미원 수용체(31)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5E)를 가진다. 돌출부(25E)는, 엔드 캡(25)의 외연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있어도 되고, 엔드 캡(25)의 외연을 따라 간헐적으로 설치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외부틀체(24)와 향미원 수용체(31)의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돌출부(25E)는, 엔드 캡(25)의 외연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테이퍼 부분(31T)의 상류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에 에어로졸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31E)를 대신하여 돌출부(25E)를 마련함으로써, 향미원 수용체(31)가 돌출부(31E)를 가지지 않아도, 제1 유로(20X)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로졸의 흐름을 조정하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카트리지(20)는 엔드 캡(25)을 가지지 않은 경우에는, 유로 형성체(23)는,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유로 형성체(23)의 하류 단부의 외연에서, 하류측(향미원 수용체(31)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5E)와 같은 돌출부를 가진다.
[변경예 3]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3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상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 방향 A에서 볼 때 제1 유로(20X)는 제2 유로(30X)와 완전하게 중복된다. 또한,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2 유로(30X)의 사이즈는, 제1 유로(20X)의 사이즈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변경예 3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듯이, 소정 방향 A로부터 볼때, 제1 유로(20X)는, 제2 유로(30X)와 완전하게 중복되어 있지 않고, 제2 유로(30X)로부터 시프트(shift)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2 유로(30X)의 사이즈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제1 유로(20X)의 사이즈와 동일한 정도이어도 되고, 제1 유로(20X)의 사이즈보다도 작아도 된다. 단, 제2 유로(30X)의 사이즈는, 제1 유로(20X)의 사이즈보다도 커도 된다.
[변경예 4]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4에 관하여, 도 22∼도 2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상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22∼도 25에 있어서, 세로축은, 에어로졸의 양(도 22∼도 25에서는, TPM(Total Particulate Matter)양)(mg/퍼프 동작)을 나타내고 있고, 가로축은, 퍼프 동작의 회수(Puff number)를 나타내고 있다. 세로축 및 가로축은, 양자의 교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값을 나타내고 있다.
변경예 4에서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력 제어부(53)는,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소정 기간은,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의 상한값보다도 짧다.
또한,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은, 유저가 실제로 퍼프 동작을 실시하는 퍼프 기간 및 전지(11)에 대하여 출력하는 출력전압에 의존한다. 여기에서는,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이, 평균 2.4초, 표준 편차 1초의 정규 분포에 따른다고 간주할 수 있는 케이스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표준 퍼프 기간의 상한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m+nσ(여기서, m은 평균값, σ은 표준 편차, n은 정의 실수)로서 도출되고 있고, 예를 들면, 3초∼4초 정도이다. 여기에서는, 표준 퍼프 기간의 상한값이 3초(n=0.6)인 케이스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샘플 E에 있어서, 전지(11)의 출력전압의 초기값은, 4.2V이며, 전지(11)의 전지 용량은, 220mAh이다. 또한, 무화부(22)는, 권선되는 전열선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열선의 저항값은, 3.5Ω이다. 도 22에 있어서, 샘플 E1은, 샘플 E를 1회의 퍼프 동작 당 2초의 퍼프 기간으로 흡인한 경우에 있어서의 퍼프 회수와 에어로졸의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샘플 E2는, 샘플 E를 1회의 퍼프 동작 당 3초의 퍼프 기간으로 흡인한 경우에 있어서의 퍼프 회수와 에어로졸의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표준 퍼프 기간이 평균 2.4초, 표준 편차 1초의 정규 분포에 따르는 경우, 샘플 E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회의 퍼프 동작 당 3초 이상의 퍼프 기간으로 흡인하는 확률은, 약 27%이며,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사상(事象)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샘플 F에 있어서, 전지(11) 및 무화부(22)의 구성은, 샘플 E와 동일하다. 도 23에 있어서, 샘플 F1은, 샘플 F를 1회의 퍼프 동작 당 2초의 퍼프 기간으로 흡인한 경우에 있어서의 퍼프 회수와 에어로졸의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샘플 F2는, 샘플 F를 1회의 퍼프 동작 당 3초의 퍼프 기간으로 흡인한 경우에 있어서의 퍼프 회수와 에어로졸의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단, 샘플 F1 및 샘플 F2에서는, 전력 제어부(53)는,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여기에서는, 2.2초)이 경과한 경우에,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여기서, 2.2초라고 하는 소정 기간은,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의 상한값보다도 짧고, 퍼프 기간의 평균값보다도 짧은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샘플 G에 있어서, 전지(11)의 구성은, 샘플 E, F와 동일하다. 한편, 무화부(22)는, 소정 피치로 권선되는 전열선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열선의 저항값은, 2.9Ω인 점에 있어서 샘플 E, F와 상이하다. 도 24에 있어서, 샘플 G1은 샘플 G를 1회의 퍼프 동작 당 2초의 퍼프 기간으로 흡인한 경우에 있어서의 퍼프 회수와 에어로졸의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샘플 G2는, 샘플 G를 1회의 퍼프 동작 당 3초의 퍼프 기간으로 흡인한 경우에 있어서의 퍼프 회수와 에어로졸의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단, 샘플 G1 및 샘플 G2에서는, 전력 제어부(53)는,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여기에서는, 2.2초)이 경과한 경우에,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샘플 H에 있어서, 전지(11) 및 무화부(22)의 구성은, 샘플 G와 동일하다. 단, 무화부(22)를 구성하는 전열선의 소정 피치는, 0.35mm∼0.40mm의 범위에서 균일하게 돌려 감아지고 있고, 샘플 G의 소정 피치보다도 좁다. 도 25에 있어서, 샘플 H1은, 샘플 H를 1회의 퍼프 동작 당 2초의 퍼프 기간으로 흡인한 경우에 있어서의 퍼프 회수와 에어로졸의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샘플 H2는, 샘플 H를 1회의 퍼프 동작 당 3초의 퍼프 기간으로 흡인한 경우에 있어서의 퍼프 회수와 에어로졸의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샘플 H1 및 샘플 H2에서는, 샘플 G와 동일하게, 전력 제어부(53)는,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여기에서는, 2.2초)이 경과한 경우에,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단, 샘플 H1 및 샘플 H2에서는, 검지부(51)에 의하여 검지되는 전지(11)의 출력전압의 값에 의하여,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시의 듀티비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지(11)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전지(11)의 출력전압이 저하되기 때문에, 전지(11)의 출력전압의 저하에 따라, 무화부(22)에 공급되는 전력의 듀티비를 증대시킨다.
이러한 전제하에 있어서, 도 22에 나타내듯이, 퍼프 기간과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이 퍼프 기간의 길이에 의하지 않고 일치하는 샘플 E에 관해서는, 퍼프 기간이 3초인 경우와 2초인 경우에서, 에어로졸의 양이 크게 변동한다. 또한, 샘플 E1과 샘플 E2의 기울기를 비교하여 알 수 있듯이, 퍼프 기간, 즉 통전 시간이 길어질수록, 초기의 퍼프부터 종기의 퍼프에서의 에어로졸의 양의 변동은 현저하다.
발명자들은, 이러한 결과에 착안하여,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의 상한값보다도 짧은 소정 기간을 설정하고, 1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의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도 23에 나타내듯이, 퍼프 기간이 3초인 샘플 F2에 관해서도, 초기의 퍼프부터 종기의 퍼프에서의 에어로졸의 양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에 의하여, 유저의 퍼프 기간의 편차에 의한 에어로졸의 양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발명자들은, 이러한 결과에 착안하여,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이 소정 기간인 경우에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무화부(22)의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도 24에 나타내듯이, 초기의 퍼프부터 종기의 퍼프에 있어서, 보다 긴 퍼프 회수에 걸쳐,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을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음을 찾아내었다. 여기서, 도 24에 나타내는 샘플 G2와 도 23에 나타내는 샘플 F2를 비교하면, 샘플 G2는, 샘플 F2보다도 긴 퍼프 회수에 걸쳐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을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는 한편, 초기의 퍼프부터 종기의 퍼프에 걸쳐 에어로졸의 양의 변동폭에 관해서는, 샘플 F2에 있어서의 변동폭보다도 증대하고 있다. 이는, 무화부(22)의 구성의 변경에 의하여, 1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의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공급 전력량이 증대하기 때문이다.
또한, 발명자들은, 이러한 결과에 착안하여, 이하의 변경을 실시함으로써, 에어로졸의 양의 감소율을 저감시킬 수 있음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전지(11)의 출력전압의 저하에 따라, 무화부(22)에 공급되는 전력의 듀티비를 증대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의 양의 감소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열선의 소정 피치를 좁힘으로써도, 에어로졸의 양의 감소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경에 의하여, 도 25에 나타내듯이, 퍼프 기간이 2초인 H1 및 퍼프 기간이 3초인 H2의 모두에 대해서도, 초기의 퍼프부터 종기의 퍼프의 전 기간에 걸쳐,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찾아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하여, 발명자들은,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에 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새로운 것을 알아내었다.
(1) 전력 제어부(53)는, 무화부(2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여기서, 소정 기간은,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의 상한값보다도 짧고, 퍼프 기간의 평균값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2) 무화부(22)의 전열선의 저항값은,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이 소정 기간인 경우에, 소망 범위의 에어로졸의 양을 무화하도록 결정된다. 여기서, 전열선의 저항값은,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공급되는 전압이, 전지(11)의 축전량이 불충분한 종기 단계에 있어서의 전압이라고 하여,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이 소정 기간인 경우에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또한, 전력 제어부(53)는, 초기의 퍼프부터 종기의 퍼프의 전 기간에 걸쳐,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전지(11)의 출력전압의 저하에 따라, 무화부(22)에 공급되는 전력의 듀티비를 증대시킨다.
상술한 제어에 의하여, 유저의 퍼프 기간의 길이에 의하지 않고, 전지(11)의 축전량이 충분한 초기 단계로부터 전지(11)의 축전량이 불충분한 종기 단계에 걸쳐, 전지(11)에서 무화부(22)로 실제로 공급되는 전력량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고, 에어로졸의 양을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변경예 4에 있어서는, 무화부(22)를 구성하는 전열선의 소정 피치 및 저항값의 조정에 의하여, 무화부(22)는, 적어도 무화부(22)의 사용 개시시(바꾸어 말하면, 전지(11)의 만충전시)에 있어서, 1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에어로졸 공급량의 소망 범위보다도 다량의 에어로졸을 무화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제하에 있어서, 전력 제어부(53)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지시(여기에서는, 듀티비)는, 무화부(22)에 의하여 소정 기간에 있어서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소정 기간의 길이에 근거하여 정해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 기간을 정함으로써, 유저의 퍼프 기간의 길이의 편차에 기인하는 에어로졸의 양의 변동이 억제된 상태에 있어서, 소정 기간의 길이에 근거하여 소정 지시가 정해진다. 따라서, 전지(11)의 축전량이 충분한 초기 단계(끽연 개시)에서 전지(11)의 축전량이 불충분한 종기 단계(끽연 종료)에 걸쳐, 유저의 퍼프 기간의 길이에 의하지 않고, 간단하고 쉽게 에어로졸의 양을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변경예 4에 있어서,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소망 범위)의 상한은, 4.0mg/1 퍼프 동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은, 3.0mg/1 퍼프 동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값이 상한임으로써, 제2 카트리지(30)에 수용되는 향미원(31A)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열화가 억제된다.
한편,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소망 범위)의 하한은, 0.1mg/1 퍼프 동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값이 하한임으로써, 유저에게 부족감을 주지 않는 양의 에어로졸을 공급할 수 있고, 제2 카트리지(30)에 수용되는 향미원(31A)으로부터 향끽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의하여 취출할 수 있다.
[변경예 5]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5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 기간은, 복수의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에 따라 정해진다. 이에 대하여, 변경예 5에서는, 소정 기간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를 실제로 사용하는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된다.
도 26은, 변경예 5에 관련되는 제어 회로(50)의 기능 블록을 주로 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에서는, 도 15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도 15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도 26에 나타내듯이, 제어 회로(50)는, 도 15에 나타내는 구성에 더하여, 메모리(54) 및 연산부(55)를 가진다.
메모리(54)는, 유저가 퍼프 동작을 실시하는 기간인 퍼프 기간을 기억한다.
연산부(55)는, 메모리(54)에 기억된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상술한 소정 기간을 연산한다. 즉, 소정 기간은, 메모리(54)에 기억된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된다. 단, 소정 기간은, 상술한 표준 퍼프 기간의 상한보다도 짧은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연산부(55)는, 소정 기간을 이하의 순서로 연산한다.
제1, 초기설정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에 따라 소정 기간(I초)이 미리 정해져 있다.
제2, 예를 들면, 일정기간(예를 들면, 제1 카트리지(20)의 사용을 개시하고 나서 제1 카트리지(20)를 교환할 때까지)에 검지된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평균값을 도출한다.
제3, 소정 기간을 평균값(X초)으로 변경한다.
제4, X초 흡인했을 때의 무화부(22)로의 공급 전력량이 초기설정시의(I초 흡인했을 때의) 공급 전력량과 동일해지도록 듀티비를 변경한다. 즉, 평균값(X)<초기설정값(I)의 경우에는, 각 전지 전압에 대응한 듀티비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킨다. 한편, 평균값(X)>초기설정치(I)의 경우에는, 듀티비를 낮게 한다.
또한, 소정 기간은, 예를 들면, 일정기간(예를 들면,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마다 재연산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및 효과)
변경예 5에서는, 소정 기간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를 실제로 사용하는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된다. 따라서,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할 때에 참조되는 소정 기간으로서, 유저에게 적합한 기간을 세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유저의 실제의 퍼프 기간에 적합한 소정 시간을 세트함으로써, 복수의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소정 기간을 이용하는 케이스와 비교하여, 퍼프 기간이 긴 유저에 대해서는, 퍼프 기간의 전체에 걸친 에어로졸의 공급에 의하여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고, 퍼프 기간이 짧은 유저에 대해서는, 소망 범위의 에어로졸이 공급되는 퍼프 동작의 수를 늘릴 수 있다.
[변경예 6]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6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 기간은, 복수의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에 따라 정해진다. 이에 대하여, 변경예 6에서는, 소정 기간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를 실제로 사용하는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된다.
도 27은, 변경예 6에 관련되는 제어 회로(50)의 기능 블록을 주로 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에서는, 도 15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도 15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27에 나타내듯이, 제어 회로(50)는, 도 15에 나타내는 구성에 더하여, 메모리(54) 및 인터페이스(56)를 가진다.
메모리(54)는, 유저가 퍼프 동작을 실시하는 기간인 퍼프 기간을 기억한다.
인터페이스(56)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와는 별도로 설치된 외부 장치(200)와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56)는, USB 포트이어도 되고, 유선 LAN 모듈이어도 되고, 무선 LAN 모듈이어도 되며, 근거리 통신 모듈(예를 들면, Bluetooth나 Felica)이어도 된다. 외부 장치(200)는, 퍼스널 컴퓨터이어도 되고, 스마트 폰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인터페이스(56)는, 메모리(54)에 기억된 퍼프 기간을 외부 장치(200)로 송신한다. 인터페이스(56)는, 외부 장치(200)에 의하여 퍼프 기간에 근거한 통계로부터 연산된 소정 기간을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외부 장치(200)는, 변경예 5에 관련되는 연산부(55)와 동일한 방법으로 소정 기간을 연산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작용 및 효과)
변경예 6에서는, 소정 기간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를 실제로 사용하는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된다. 따라서,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할 때에 참조되는 소정 기간으로서, 유저에게 적합한 기간을 세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유저의 실제의 퍼프 기간에 적합한 소정 시간을 세트함으로써, 복수의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소정 기간을 이용하는 케이스와 비교하여, 퍼프 기간이 긴 유저에 대해서는, 퍼프 기간의 전체에 걸친 에어로졸의 공급에 의하여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고, 퍼프 기간이 짧은 유저에 대해서는, 소망 범위의 에어로졸이 공급되는 퍼프 동작의 수를 늘릴 수 있다.
[변경예 7]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7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알림 제어부(52)는,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52X)를 가진다. 이에 대하여, 변경예 7에서는, 알림 제어부(52)는, 도 28에 나타내듯이,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52X)로서 제1 카운터(52A) 및 제2 카운터(52B)를 가진다.
또한, 변경예 7에 있어서는, 제1 카트리지(20)의 수명은, 제2 카트리지(30)의 수명×T(T는 정수)+β인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β란, 제2 카트리지(30)의 수명보다도 작은 값이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림 제어부(52)는, 제1 카운터(52A)의 카운트값이 제1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한다. 알림 제어부(52)는, 제2 카운터(52B)의 카운트값이 제2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한다. 제2 소정값은, 제1 소정값의 정수배이다.
혹은, 알림 제어부(52)는, 제1 카운터(52A)의 카운트값이 소정값 P에 달한 경우에,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함과 동시에, 제2 카운터(52B)의 카운트값을 증가해도 된다. 이에 의하여, 알림 제어부(52)는, 제2 카운터(52B)의 카운트값이 소정값 Q에 달한 경우에,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해도 된다. 즉, 알림 제어부(52)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회수가 소정 회수(소정값 Q)에 달한 경우에,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2 소정값이 제1 소정값의 정수배임으로써, 알림 제어부(52)는, 결과적으로,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회수에 근거하여,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변경예 7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52)는, 제1 카운터(52A)의 카운트값이 제1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함과 동시에 제1 카운터(52A)의 카운트값을 리셋해도 된다. 혹은, 알림 제어부(52)는, 제1 카운터(52A)의 카운트값이 제1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고, 유저의 소정 조작에 의하여 제1 카운터(52A)의 카운트값을 리셋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전력 제어부(53)는, 제1 카운터(52A)의 카운트값이 제1 소정값에 달하고 나서 카운트값이 리셋될 때까지,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경예 7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52)는, 제2 카운터(52B)의 카운트값이 제2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함과 동시에, 제2 카운터(52B)의 카운트값을 리셋해도 된다. 혹은, 알림 제어부(52)는, 제2 카운터(52B)의 카운트값이 제2 소정값에 달한 경우에,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고, 유저의 소정 조작에 의하여 제2 카운터(52B)의 카운트값을 리셋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전력 제어부(53)는, 제2 카운터(52B)의 카운트값이 제2 소정값에 달하고 나서 카운트값이 리셋될 때까지,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및 효과)
변경예 7에서는, 제2 소정값이 제1 소정값의 정수배이기 때문에,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을 반복하는 경우이어도,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동일 타이밍으로 알림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경예 8]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8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8에 있어서는, 제1 카트리지 및 제2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패키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변경예 8에 관련되는 패키지(300)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에 나타내듯이, 패키지(300)는,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를 가진다. 제2 카트리지(30)의 수는, 제1 카트리지(20)의 수명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내는 패키지(300)에서는, 1개의 제1 카트리지(20) 및 5개의 제2 카트리지(30)를 가진다. 바꾸어 말하면, 5개의 제2 카트리지(30)를 다 사용한 경우에 1개의 제1 카트리지(20)의 수명이 다하도록, 제2 카트리지(30)의 수가 정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카트리지(20)에는, 제1 카트리지(20)에 허용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인 허용 퍼프 회수 또는 제1 카트리지(20)에 허용되는 통전 시간인 허용 통전 시간이 정해져 있다. 허용 퍼프 회수 및 허용 통전 시간은, 에어로졸원(21A)의 고갈을 억제하기 위한 값이다. 바꾸어 말하면, 허용 퍼프 회수 및 허용 통전 시간은, 무화부(22)로 안정적으로 에어로졸원(21A)을 공급함과 동시에, 적절한 에어로졸을 무화할 수 있는 상한값이다.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으로서,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이 소정값에 달하는 타이밍이 정해져 있다. 제2 카트리지(30)의 수는, 허용 퍼프 회수 또는 허용 통전 시간을 소정값으로 나눈 몫의 정수 부분이다. 여기서, 허용 퍼프 회수 또는 허용 통전 시간은, 소정값으로 나뉘어 떨어지지 않아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카트리지(20)의 수명은, 제2 카트리지(30)의 수에 대하여 여유를 가진 수명이어도 된다.
혹은,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이 제1 소정값에 달하는 타이밍이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이다. 퍼프 동작의 회수 또는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이 제2 소정값에 달하는 타이밍이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이다. 제2 소정값은, 제1 소정값의 정수배 T이다. 정수배 T는, 패키지(300)에 포함되는 제2 카트리지(30)의 수이다.
(작용 및 효과)
변경예 8에서는, 제2 카트리지(30)의 수는, 제1 카트리지(20)의 수명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을 반복하는 경우이어도,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이 일치하기 때문에,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바꾸어 말하면, 패키지(300)에 포함되는 제2 카트리지(30)를 다 사용함으로써,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 타이밍을 유저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변경예 9]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9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9에서는,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 경우에,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검지하는 검지 처리를 실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카트리지(30)를 교환해야 할 본래의 타이밍(예를 들면, 무화부(22)로의 통전 시간이 소정값에 달하는 타이밍)이 퍼프 동작의 도중에 포함되는 경우이어도,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이 계속된다. 제2 카트리지(30)를 교환해야 할 본래의 타이밍에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강제적으로 정지해 버리는 케이스와 비교하여, 최후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소망량의 에어로졸을 공급 가능하고, 유저에게 주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판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에 있어서, 검지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판정 기간이란, 현재의 퍼프 동작이 종료하고 나서 다음의 퍼프 동작이 개시할 때까지의 기간보다도 짧다고 상정되는 기간이면 된다. 판정 기간으로서는, 예를 들면, 3초나 1초 등의 기간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음의 퍼프가 개시하기까지 검출 처리를 실시할 가능성이 높고, 다음의 퍼프 동작(최후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소망량의 에어로졸이 공급되지 않는 사태가 억제된다.
또한, 알림 제어부(52)는, 검지 처리에 있어서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이 검지된 경우에,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판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도록 알림부(4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알림 처리).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음의 퍼프가 개시되기까지 알림 처리가 실시될 가능성이 높고, 소망량의 에어로졸이 공급되지 않는 다음 퍼프 동작을 유저가 개시하지 않도록 재촉할 수 있다.
단,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검출 처리를 실시할 때까지에 있어서 퍼프 동작이 개시된 경우에, 퍼프 동작의 개시에 따라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개시하기까지, 검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전력 제어부(53)는, 다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재개하기 전에 있어서, 검지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소망량의 에어로졸이 공급되지 않는 사태가 억제된다. 또한, 알림 제어부(52)는, 검지 처리에 있어서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이 검지된 경우에, 다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재개하기 전에 있어서, 알림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방법)
이하에 있어서, 변경예 9에 관련되는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30은, 1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30에 나타내듯이, 스텝(S110)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즉, 제어 회로(50), 이하 동일)는, 퍼프 동작의 개시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스텝(S120)의 처리로 이동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대기 상태가 된다.
스텝(S120)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개시한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전지(11)에 지시하는 소정 지시를 전지(11)에 대해서 출력해도 된다.
스텝(S130)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퍼프 동작의 종료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스텝(S140)의 처리로 이동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대기 상태가 된다. 단,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유저가 실제로 퍼프 동작을 실시하고 있는 퍼프 기간 내이어도,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해도 된다.
스텝(S140)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스텝(S150)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카운터(52X)의 카운트업을 실시한다. 카운터(52X)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퍼프 동작의 회수를 카운트해도 되고, 무화부(22)에 대한 통전 시간을 카운트해도 된다.
스텝(S160)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카운터(52X)의 카운트값이 소정값에 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스텝(S170)의 처리로 이동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스텝(S110)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스텝(S170)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는, 종료 처리를 실시한다. 종료 처리는, 예를 들면, 알림부(40)로부터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는 처리이어도 되고,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의 전원을 강제적으로 오프하는 처리이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0에 나타내는 플로우에서는, 스텝(S150)(카운터(52X)의 카운트업) 및 스텝(S160)(카운터(52X)의 카운트값이 소정값에 달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은,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판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에 있어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S160)(예를 들면,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는 처리)도,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판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에 있어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여 설명했으나,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질 것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카트리지(20)가 엔드 캡(25)을 가지지만,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리저버(21)가 에어로졸원(21A)의 누설을 억제 가능한 구성(예를 들면, 탱크)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카트리지(20)는 엔드 캡(25)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G)는, 유로 형성체(23)의 하류 단부와 향미원 수용체(31)의 상류 단부의 사이에 형성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카트리지(30)가 제1 카트리지(20)(돌출부(25E))에 수용되지만,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원 유닛(10)이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를 수용해도 된다. 혹은,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는, 서로 대향하는 단면(端面)에서 접속되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는, 예를 들면, 나사를 조임으로써 접속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지만, 엔드 캡(25)은, 리저버(21)에 대한 에어로졸원(21A)의 재충전 등을 억제하기 위하여, 리저버(21)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서는, 엔드 캡(25)은,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엔드 캡(25)의 외연으로부터, 하류측(향미원 수용체(31)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5E)를 가진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엔드 캡(25)이 설치되지 않은 케이스에서는, 에어로졸 유로(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유로 형성체(23)의 외연으로부터, 하류측(향미원 수용체(31)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5E)를 유로 형성체(23)가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돌출부(25E)는, 향미원 수용체(31)의 상류 단부(예를 들면, 상류 단부의 외연)와 접촉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무화부(22)가 소정 피치로 권선되는 전열선(코일)인 케이스를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화부(22)를 구성하는 전열선의 형상은 임의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무화부(22)가 전열선에 의하여 구성되는 케이스를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화부(22)는, 초음파에 의하여 에어로졸원(21A)을 무화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카트리지(20)가 교환 가능하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카트리지(20)를 변경하여, 리저버(21) 및 무화부(22)를 가지는 무화 유닛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에 설치되어 있고, 무화 유닛은 교환되지 않는 유닛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카트리지(30)가 교환 가능하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카트리지(30)를 대신하여, 향미원(31A)을 가지는 향미원 유닛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에 설치되어 있고, 향미원 유닛은 교환되지 않는 유닛이어도 된다. 단, 제2 카트리지(30)가 필수의 특징인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는 교환 가능하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가 가지는 구성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패키지(300)가 1개의 제1 카트리지(20)를 가진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키지(300)는, 2 이상의 제1 카트리지(2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펄스 제어에 의하여 제어한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의 출력전압을 제어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전력 제어부(53)는, 전지(11)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소정 지시를 변경(또는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부(53)는, 소정 지시의 변경으로서, 전지(11)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전지(11)에 대하여 출력하는 지시 전압을 증대하여도 된다. 전지(11)의 출력전압의 변경(또는 보정)은, 예를 들면, DC/DC 컨버터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DC/DC 컨버터는, 강압 컨버터이어도 되고, 승압 컨버터이어도 된다. 또한, 전력 제어부(53)는, 무화부(22)에 의하여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소망 범위에 들어가도록, 펄스 제어 및 출력전압의 쌍방을 제어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제어부(53)는, 소정 지시의 변경으로서, 전지(11)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1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지(11)에 대하여 출력하는 듀티비를 증대시킨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력 제어부(53)는, 소정 지시의 변경으로서, 전지(11)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전지(11)로부터 무화부(2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기 위한 소정 기간을 연장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검지부(51)는, 전지(11)와 무화부(22)를 접속하는 전력선 위에 설치된 전압 센서에 접속되어 있고, 전압 센서의 출력 결과에 근거하여 전력 공급을 검지한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검지부(51)는, 전지(11)와 무화부(22)를 접속하는 전력선 위에 설치된 전류 센서에 접속되어 있고, 전류 센서의 출력 결과에 근거하여 전력 공급을 검지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제어부(53)는, 퍼프 동작을 하고 있는 퍼프 기간에 있어서 무화부(22)로의 전력의 출력을 전지(11)에 지시하지만, 퍼프 동작을 하지 않은 비퍼프 기간에 있어서 무화부(22)로의 전력의 출력을 전지(11)에 지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력 제어부(53)는, 무화부(22)로의 전력의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스위치나 버튼)의 조작에 따라, 무화부(22)로의 전력의 출력을 바꾸어도 된다. 즉,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의 조작에 따라, 퍼프 동작 및 비퍼프 동작이 교체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제1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 또는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유저에게 알림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발생하는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는 복수의 원료편에 의해 구성되는 향미원과,
    상기 향미원을 수용하는 향미원 수용체를 가지며,
    상기 향미원 수용체는,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대해서 교환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향미원 수용체는, 상기 향미원 수용체의 내부에서 상기 향미원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향미원 수용체는, 상기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복수의 개공을 적어도 일단에 가지며,
    상기 향미원 수용체의 외벽면(外壁面)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내주면(內周面)과 감합하는 감합부(嵌合部)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향미원 수용체는, 소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에어로졸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향미원 수용체는, 상기 향미원 수용체 내에서의 상기 에어로졸 유로의 상류단(上流端)인 상기 향미원 수용체의 상류단측으로부터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삽입되며,
    상기 감합부는, 상기 향미원 수용체의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을 향해서 퍼지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는, 상기 향미원 수용체의 하류단 근방에 형성되는 카트리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원료편은, 상기 복수의 개공(開孔)을 통과하지 않으며,
    상기 향미원 수용체는, 상기 향미원 수용체의 상류단에, 상기 복수의 개공이 형성된 상류측 유공벽(有孔壁)을 가짐과 함께, 상기 향미원 수용체의 하류측에, 상기 복수의 개공이 형성된 하류측 유공벽을 가지며,
    상기 상류측 유공벽의 개공율은, 상기 하류측 유공벽의 개공율보다 큰 카트리지.
  5.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霧化)하는 무화부를 구비하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향미원 수용체는, 상기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하기 위한 흡구단(吸口端)을 가지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무화부에서 발생하여 상기 카트리지를 통과하는 에어로졸의 흐름을 조정하는 에어로졸류 조정 챔버를 더 구비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는, 무화부 수용체에 수용되며,
    상기 카트리지는,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상기 무화부 수용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KR1020197026364A 2014-11-10 2015-11-04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 KR102145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4/079777 2014-11-10
PCT/JP2014/079777 WO2016075747A1 (ja) 2014-11-10 2014-11-10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パッケージ
PCT/JP2015/081047 WO2016076178A1 (ja) 2014-11-10 2015-11-04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パッケー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599A Division KR102022169B1 (ko) 2014-11-10 2015-11-04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138A true KR20190110138A (ko) 2019-09-27
KR102145861B1 KR102145861B1 (ko) 2020-08-19

Family

ID=5595386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599A KR102022169B1 (ko) 2014-11-10 2015-11-04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
KR1020197026364A KR102145861B1 (ko) 2014-11-10 2015-11-04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
KR1020197017947A KR102015755B1 (ko) 2014-11-10 2015-11-04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599A KR102022169B1 (ko) 2014-11-10 2015-11-04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947A KR102015755B1 (ko) 2014-11-10 2015-11-04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0342258B2 (ko)
EP (3) EP3560365B1 (ko)
JP (4) JP6461190B2 (ko)
KR (3) KR102022169B1 (ko)
CN (2) CN110477458A (ko)
AU (1) AU2015347931B2 (ko)
EA (1) EA033222B1 (ko)
ES (1) ES2788477T3 (ko)
MY (1) MY182966A (ko)
WO (2) WO2016075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45631A1 (en) 2005-07-19 2016-12-01 James Monsees Portable devices for generating an inhalable vapor
US9249334B2 (en) 2012-10-11 2016-02-02 Nanocomposix, Inc. Silver nanoplate compositions and methods
GB2513061B (en) 2013-01-24 2016-10-19 Fontem Holdings 4 Bv Method, composition and apparatus for functionalization of aerosols from non combustible smoking articles
US10279934B2 (en) 2013-03-15 2019-05-07 Juul Labs, Inc.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USD842536S1 (en) 2016-07-28 2019-03-05 Juul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9549573B2 (en) 2013-12-23 2017-01-24 Pax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159282B2 (en) 2013-12-23 2018-12-25 Juul Labs, Inc. Cartridge for use with a vaporizer device
PT3508080T (pt) 2013-12-23 2021-03-02 Juul Labs Int Inc Sistemas e métodos de dispositivo de vaporização
USD825102S1 (en) 2016-07-28 2018-08-07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cartridge
US20160366947A1 (en) 2013-12-23 2016-12-22 James Monsees Vaporizer apparatus
US10058129B2 (en)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076139B2 (en) 2013-12-23 2018-09-18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CA2948851A1 (en) 2014-05-16 2015-11-19 Pax 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erosolizing a smokeable material
EA033136B1 (ru) * 2014-11-10 2019-08-30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Ингалятор ароматизирующего вещества без горения
CN107205480A (zh) * 2014-11-19 2017-09-26 富特姆4有限公司 用于使来自非可燃吸烟制品的气溶胶功能化的方法、组合物和装置
WO2016079596A1 (en) 2014-11-19 2016-05-26 Fontem Holdings 4 B.V. Method, composition and apparatus for functionalization of aerosols from non combustible smoking articles
CA2969728C (en) 2014-12-05 2023-06-13 Pax Labs, Inc. Calibrated dose control
EP3413960B1 (en) 2016-02-11 2021-03-31 Juul Labs, Inc.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CO2018009342A2 (es) 2016-02-11 2018-09-20 Juul Labs Inc Cartuchos de fijación segura para dispositivos vaporizadores
US10405582B2 (en) 2016-03-10 2019-09-10 Pax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with lip sensing
EP3439724B1 (en) * 2016-04-04 2023-11-01 Nexvap SA A mobile inhaler and a container for using therewith
USD849996S1 (en) 2016-06-16 2019-05-28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D851830S1 (en) 2016-06-23 2019-06-18 Pax Labs, Inc. Combined vaporizer tamp and pick tool
USD848057S1 (en) 2016-06-23 2019-05-07 Pax Labs, Inc. Lid for a vaporizer
USD836541S1 (en) 2016-06-23 2018-12-25 Pax Labs, Inc. Charging device
JP7157732B2 (ja) * 2016-07-29 2022-10-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ゲルを収容するカートリッジを備え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US10791760B2 (en) 2016-07-29 2020-10-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system including a cartridge containing a gel
GB2553136B (en) 2016-08-25 2020-09-16 Nerudia Ltd Device and system
GB201615603D0 (en) * 2016-09-14 2016-10-2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Receptacle section
GB201615601D0 (en) * 2016-09-14 2016-10-2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Receptacle section
GB201615602D0 (en) * 2016-09-14 2016-10-2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Receptacle Section
CN106263040A (zh) * 2016-09-14 2017-01-04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具
US11660403B2 (en) 2016-09-22 2023-05-30 Juul Labs, Inc. Leak-resistant vaporizer device
MY189888A (en) * 2016-11-10 2022-03-17 Nicoventures Trading Ltd Tobacco blend
CN109922674B (zh) * 2016-11-10 2022-10-11 尼科创业贸易有限公司 烟草混合物
US10834970B2 (en) 2016-12-02 2020-11-17 VMR Products, LLC Combination vaporizer
GB201700136D0 (en) 2017-01-05 2017-02-2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rticle
EP3346798B1 (fr) * 2017-01-10 2020-06-17 Shenzhen Innokin Technology Co., Ltd. Un atomiseur de cigarette électronique équipé d'une puce d'enregistrement et une cigarette électronique équipée dudit atomiseur ainsi que son procédé de contrôle
GB201700620D0 (en) 2017-01-13 2017-03-01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rticle
DE212017000292U1 (de) 2017-01-24 2019-09-17 Japan Tobacco Inc. lnhalationsvorrichtung
KR102490039B1 (ko) * 2017-01-24 2023-01-18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JP6462966B2 (ja) * 2017-01-24 2019-01-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7119521A1 (de) 2017-08-25 2019-02-28 Hauni Maschinenbau Gmbh Verdampfereinheit für einen Inhalator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Verdampfereinheit
USD887632S1 (en) 2017-09-14 2020-06-16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KR102131278B1 (ko) * 2017-09-26 2020-07-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히터에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
JP6860687B2 (ja) 2017-10-18 2021-04-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香味吸引器、バッテリユニット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04820B2 (ja) * 2017-10-18 2023-01-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吸引成分生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698657B1 (en) * 2017-10-18 2023-09-20 Japan Tobacco Inc. Inhalation component generation device
CN111278308B (zh) * 2017-10-18 2022-05-31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控制吸引成分生成装置的方法、以及存储介质
WO2019077710A1 (ja) * 2017-10-18 2019-04-2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吸引成分生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36329B2 (ja) * 2017-10-18 2021-09-1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香味吸引器、バッテリユニット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91357B2 (ja) * 2017-10-18 2021-06-1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吸引成分生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698658B1 (en) 2017-10-18 2022-07-20 Japan Tobacco Inc. Inhalation component generation device and inhalation component generation system
GB201717496D0 (en) * 2017-10-24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cartridge for an aerosol provision device
JP6892929B2 (ja) * 2017-10-24 2021-06-2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当該方法をプロセッサ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GB201717498D0 (en) 2017-10-24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GB201717497D0 (en) * 2017-10-24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mouthpiece assembly
GB201718462D0 (en) 2017-11-08 2017-12-20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Vapour provision systems
GB201720338D0 (en) 2017-12-06 2018-01-17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Component for an aerosol-generating apparatus
EP3777576B1 (en) * 2018-03-26 2023-12-06 Japan Tobacco Inc. Aerosol gener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210112855A1 (en) * 2018-05-17 2021-04-22 Toa Industry Co., Ltd. Aroma cartridge
US20210259318A1 (en) * 2018-07-03 2021-08-26 Jt International S.A.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apour Generating Device
WO2020021599A1 (ja) 2018-07-23 2020-01-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たばこ材料の製造方法、たばこ材料、たばこ香味液の製造方法、たばこ香味液、および加熱型香味吸引器
US11690963B2 (en) 2018-08-22 2023-07-04 Qnovia, Inc. Electronic device for producing an aerosol for inhalation by a person
US11517685B2 (en) 2019-01-18 2022-12-06 Qnovia, Inc. Electronic device for producing an aerosol for inhalation by a person
JP2020058236A (ja) 2018-10-04 2020-04-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制御回路、吸引成分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20058237A (ja) 2018-10-04 2020-04-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制御回路、吸引成分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557391B1 (ja) * 2018-10-11 2019-08-0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制御回路、吸引成分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561188B1 (ja) * 2018-10-11 2019-08-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制御回路、吸引成分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WO2020081874A1 (en) 2018-10-18 2020-04-23 Respira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 for producing an aerosol for inhalation by a person
JP6617189B1 (ja) * 2018-10-31 2019-12-1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吸引器、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制御方法、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制御プログラム
JP2022506527A (ja) 2018-11-05 2022-01-17 ジュール・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気化器デバイス用のカートリッジ
US11564287B2 (en) 2018-11-05 2023-01-24 Juul Labs, Inc. Cartridges with vaporizable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ionic component
JP6660457B2 (ja) * 2018-12-26 2020-03-1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09687B1 (ja) 2018-12-27 2019-11-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GB201901198D0 (en) * 2019-01-29 2019-03-20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nsumable unit for an inhalation device, and a consumable unit for an inhalation device
JP7158557B2 (ja) * 2019-02-27 2022-10-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成分生成制御装置、香味成分生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01903231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KR102325370B1 (ko) * 2019-07-23 2021-11-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증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A208741S (en) 2019-08-01 2022-04-07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generating device
JP6719689B2 (ja) * 2020-02-06 2020-07-0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88138B1 (ja) * 2020-02-25 2021-06-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
JP6909885B1 (ja) * 2020-02-25 2021-07-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JP6909884B1 (ja) * 2020-02-25 2021-07-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JP6911168B1 (ja) * 2020-02-25 2021-07-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WO2021199159A1 (ja) * 2020-03-30 2021-10-0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522277A (ja) * 2020-04-23 2023-05-29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エアロゾル発生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
JP2020137528A (ja) * 2020-06-15 2020-09-0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45311B2 (ja) * 2020-06-15 2023-03-2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
KR102564029B1 (ko) * 2020-08-04 2023-08-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USD985187S1 (en) 2021-01-08 2023-05-02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generator
US11910826B2 (en) 2021-01-18 2024-02-27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capsules
JP2021072819A (ja) * 2021-01-21 2021-05-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吸引成分生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D984730S1 (en) 2021-07-08 2023-04-25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generator
KR102648881B1 (ko) * 2022-01-27 2024-03-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3946A (ja) * 1991-04-19 1993-06-22 Philip Morris Prod Inc 喫煙物品用の熱的に放出しうるゲル基材香味源
JPH05277191A (ja) * 1991-09-10 1993-10-26 Philip Morris Prod Inc 熱的に調整された香味発生器
KR20130046826A (ko) * 2011-10-28 2013-05-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흡입장치
KR20130052119A (ko) * 2011-11-11 2013-05-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향미 전달 기구
WO2013116558A1 (en) 2012-01-31 2013-08-08 Altria Client Services Inc. Electronic cigarette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7400U (ko) * 1987-02-10 1988-08-19
US6040560A (en) * 1996-10-22 2000-03-21 Philip Morris Incorporated Power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ical smoking system
DK1265504T3 (da) * 2000-03-23 2009-11-23 Pmpi Llc Elektrisk rygesystem og fremgangsmåde
CN101522244B (zh) 2006-08-01 2013-06-26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气雾吸引器
GB2461008B (en) * 2006-12-08 2011-08-10 Exchange Supplies Ltd Nicotine inhalation device
CN102405074B (zh) * 2009-02-23 2014-08-13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非加热型香味吸引器
JP2011087569A (ja) * 2009-05-15 2011-05-06 Jbs:Kk 電子タバコ、および充電ユニット
EP2319334A1 (en) * 2009-10-27 2011-05-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 smoking system having a liquid storage portion
EP2563172B2 (en) * 2010-04-30 2022-05-04 Fontem Holdings 4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CN103068266B (zh) * 2010-08-24 2014-12-17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非加热型香味吸取器及香味盒的制造方法
LT3508083T (lt) 2010-08-24 2021-09-27 Jt International S.A. Inhaliacinis prietaisas apimantis medžiagų naudojimo kontrolę
EP2468118A1 (en) * 2010-12-24 2012-06-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means for disabling a consumable
US8528569B1 (en) * 2011-06-28 2013-09-10 Kyle D. Newton Electronic cigarette with liquid reservoir
JP5272200B2 (ja) * 2011-08-25 2013-08-28 和彦 清水 無煙喫煙治具
US9999247B2 (en) * 2011-10-25 2018-06-19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heater assembly
TW201340894A (zh) 2011-12-20 2013-10-16 British American Tobacco Co 吸煙物件及其他氣流輸送物件(二)
US9289014B2 (en) * 2012-02-22 2016-03-22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improved heater element
US20130340775A1 (en) * 2012-04-25 2013-12-26 Bernard Juster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 network with an electronic cigarette
US8881737B2 (en) * 2012-09-04 2014-11-11 R.J. Reynolds Tobacco Company Electronic smoking article comprising one or more microheaters
US9854841B2 (en) * 2012-10-08 2018-01-02 Rai Strategic Holdings, Inc.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US10058122B2 (en) * 2012-10-25 2018-08-28 Matthew Steingraber Electronic cigarette
WO2014066730A1 (en) * 2012-10-25 2014-05-01 Lbs Imports, Llc. Electronic cigarette
US20150351456A1 (en) * 2013-01-08 2015-12-10 L. Perrigo Company Electronic cigarette
US8910640B2 (en) 2013-01-30 2014-12-1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Wick suitable for use in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UA118101C2 (uk) * 2013-02-22 2018-11-26 Олтріа Клайєнт Сервісиз Ллк Електронний курильний виріб
CA2902502A1 (en) * 2013-02-22 2014-08-28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US9993023B2 (en) * 2013-02-22 2018-06-12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US10098381B2 (en) * 2013-03-15 2018-10-16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WO2014155378A1 (en) * 2013-03-27 2014-10-02 Ian Michael Solomon Modified risk tobacco product
JP6174432B2 (ja) * 2013-03-29 2017-08-02 日東工器株式会社 バッテリ式穿孔機
US20150224268A1 (en) * 2014-02-07 2015-08-1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harging Accessory Device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and Related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s for Aerosol Delivery Devices
GB201413025D0 (en) * 2014-02-28 2014-09-03 Beyond Twenty Ltd Beyond 3
KR101837885B1 (ko) * 2014-05-02 2018-03-12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컴퓨터 읽기 가능 매체
WO2015175715A1 (en) * 2014-05-13 2015-11-19 Loec, Inc.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inductively charging batteries in electronic cigarettes
US20150335070A1 (en) * 2014-05-20 2015-11-2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Electrically-powered aerosol delivery system
US10058123B2 (en) * 2014-07-11 2018-08-2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Heater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and methods of formation thereof
WO2016049876A1 (zh) * 2014-09-30 2016-04-07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雾化组件以及电子烟
CN206227718U (zh) * 2016-09-26 2017-06-09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3946A (ja) * 1991-04-19 1993-06-22 Philip Morris Prod Inc 喫煙物品用の熱的に放出しうるゲル基材香味源
JPH05277191A (ja) * 1991-09-10 1993-10-26 Philip Morris Prod Inc 熱的に調整された香味発生器
KR20130046826A (ko) * 2011-10-28 2013-05-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흡입장치
KR20130052119A (ko) * 2011-11-11 2013-05-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향미 전달 기구
WO2013116558A1 (en) 2012-01-31 2013-08-08 Altria Client Services Inc. Electronic cigar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42258B2 (en) 2019-07-09
WO2016076178A1 (ja) 2016-05-19
JP6461190B2 (ja) 2019-01-30
EP3207811A4 (en) 2018-07-25
JPWO2016076178A1 (ja) 2017-07-13
AU2015347931B2 (en) 2019-02-14
US20190307166A1 (en) 2019-10-10
EP3560365B1 (en) 2020-06-24
JP2019193642A (ja) 2019-11-07
EA033222B1 (ru) 2019-09-30
MY182966A (en) 2021-02-05
EP3560365A1 (en) 2019-10-30
KR102022169B1 (ko) 2019-09-17
US20170238606A1 (en) 2017-08-24
JP6649523B2 (ja) 2020-02-19
CN110477458A (zh) 2019-11-22
CN107072319B (zh) 2021-02-26
EA201791039A1 (ru) 2017-09-29
JP2019050815A (ja) 2019-04-04
EP3207811A1 (en) 2017-08-23
AU2015347931A1 (en) 2017-06-29
JP6545348B2 (ja) 2019-07-17
US10757972B2 (en) 2020-09-01
JP6461421B1 (ja) 2019-01-30
CN107072319A (zh) 2017-08-18
KR20170076768A (ko) 2017-07-04
KR20190076066A (ko) 2019-07-01
ES2788477T3 (es) 2020-10-21
JP2019050809A (ja) 2019-04-04
EP3632243A1 (en) 2020-04-08
WO2016075747A1 (ja) 2016-05-19
KR102145861B1 (ko) 2020-08-19
KR102015755B1 (ko) 2019-08-28
EP3207811B1 (en)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169B1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패키지
JP6498838B1 (ja)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制御方法
AU2019204391B2 (en) Cartridge and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KR101924744B1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JP6913193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器
JP6660418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器
JP2021182917A (ja) カートリッジ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