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039B1 -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039B1
KR102490039B1 KR1020217037621A KR20217037621A KR102490039B1 KR 102490039 B1 KR102490039 B1 KR 102490039B1 KR 1020217037621 A KR1020217037621 A KR 1020217037621A KR 20217037621 A KR20217037621 A KR 20217037621A KR 102490039 B1 KR102490039 B1 KR 102490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suction device
control unit
capacity
notif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1788A (ko
Inventor
마나부 야마다
마나부 다케우치
히로후미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0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5506A/ko
Publication of KR2021014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7/02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detachable connect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61M2205/584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having a color c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7Ligh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흡인에 필요한 요소의 잔량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흡인 장치를 제공한다. 흡인 장치(100B)는,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는 제1 요소(126) 및 제2 요소(104)와, 에어로졸의 흡인자에 대해서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108)와, 제1 요소(126)에 대해 검지 또는 추정된 제1 용량이 제1 임계값 미만이며 또한 제2 요소(104)에 대해 검지 또는 추정된 제2 용량이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통지부(108)를 제1 모드로 기능시키고, 제1 용량이 제1 임계값 미만이며 또한 제2 용량이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통지부(108)를 제1 모드와는 다른 제2 모드로 기능시키는 제어부(106)를 포함한다. 제1 요소(126)에 대해, 에어로졸의 계속적인 생성에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는, 제2 요소(104)에 대한 당해 빈도보다 높다.

Description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INHALATION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OPERATING SAME}
본 개시는, 유저가 흡인하는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와, 그러한 흡인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 담배나 네뷸라이저 등의, 유저가 흡인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흡인 장치에 있어서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원이나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기 위한 향미원 등의 요소를 특정의 흡인 횟수마다 교환하지 않으면, 충분한 흡인 체험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없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등을 이용하여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에 의해 요소의 교환을 촉구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원이나 향미원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 타이밍에 통지를 행해도, 그 타이밍에 유저가 LED에 반드시 주위를 기울이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러한 통지는 에어로졸의 흡인중 등의 상황에 있어서 유저가 간과하기 쉬운 것이었다.
이 문제에 대한 다른 해결책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흡인의 누적 시간이 소정의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에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전자식 증기 공급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유저에 대해서 시각적으로 통지를 행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유저에 대해서 적절한 타이밍에 요소의 교환을 촉구하는 것은 아니었다.
또, 일반적인 전자 담배나 네뷸라이저를 이용하여 만족할만한 흡인을 행하기 위해서는,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잔량뿐만 아니라,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원의 잔량이나,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기 위한 향미원의 잔량도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의 흡인에 필요한 이 요소들은, 각각의 특성이나 탑재 용량에 기인하여, 잔량을 회복시키는 타이밍이나 빈도가 크게 다른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하여, 이 복수의 요소들의 잔량을 각각 적절한 타이밍에 회복시키는 것은 유저에게 있어 결코 간단하지 않았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특허문헌 2에는, 에어로졸원을 갖는 제1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과 향미원을 갖는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연동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잔량을 회복시키는 타이밍이나 빈도가 크게 다른 흡인에 필요한 복수 요소의 회복의 필요성을, 유저가 이해하기 쉽게 통지하는 점에 있어서는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원 및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기 위한 향미원을 이용하여 흡인 체험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전자 담배나 네뷸라이저 등의 흡인 장치에 있어서는, 에어로졸원 및 향미원의 잔량을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충분한 흡인 체험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없다. 그러나, 에어로졸원 및 향미원은, 잔량을 회복시키는 타이밍이나 빈도가 크게 다르므로, 이 요소들의 잔량을 각각 적절히 관리하는 것은 결코 간단하지 않았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특허문헌 2에는, 에어로졸원을 갖는 제1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과 향미원을 갖는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연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 요소들의 잔량을 관리하기 위한 부담을 저감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아울러 제1 카트리지나 제2 카트리지의 교환 타이밍을 알리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로 이 요소들의 잔량을 관리하기 위한 부담을 저감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요소들의 교환 타이밍에 있어서, 제2 카트리지만을 교환하면 되는 것인지, 아울러 제1 카트리지도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 판별하기 어려운 점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 이 요소들의 교환 타이밍에 있어서, 어떻게 알리면 흡인을 계속할 수 있도록 복수 요소의 잔량 회복을 유저에게 촉구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점에 대해서도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15/052513호 특허문헌 2: 국제공개 제2016/076178호
본 개시는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려고 하는 제1 과제는,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흡인에 필요한 요소의 교환, 충전(充塡), 충전(充電) 등의 타이밍을 유저가 인식하기 쉬운 흡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려고 하는 제2 과제는,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흡인에 필요한 요소의 잔량 회복을 유저가 소홀히 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는 흡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려고 하는 제3 과제는,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흡인에 필요한 요소의 잔량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흡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축적한 용량을 소비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되는 요소와, 기정(旣定)의 변수를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와, 상기 에어로졸의 흡인자에 대해서 통지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지부와, 검지 또는 추정된 상기 용량이 임계값 미만이고 또한 상기 변수가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을 요구하기 위한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통지부를 제1 모드로 기능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흡인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 상기 통지부를 기능시키는 경우,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을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량이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조건은, 상기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조건보다 엄격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량이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조건이 충족될 가능성은, 상기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조건이 충족될 가능성보다 낮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기정의 계속 시간을 넘는 상기 변수의 검지를 포함한다. 상기 용량이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계속 시간은, 상기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계속 시간보다 길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기정의 값을 넘는 절대값을 갖는 상기 변수의 검지를 포함한다. 상기 용량이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기정의 값은, 상기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기정의 값보다 크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중에 상기 통지부를 제2 모드로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은 동일하다.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양태는 상이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중에 상기 통지부를 제2 모드로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은 상이하다.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양태는 동일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흡인 장치는 복수의 상기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에 관해서만, 상기 용량이 임계값 미만이고 또한 상기 변수가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을 요구하기 위한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모드로 상기 통지부를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로 상기 통지부를 기능시키고,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를 가장 긴 시간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흡인 장치는 복수의 상기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에 관해서만, 상기 용량이 임계값 미만이고 또한 상기 변수가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을 요구하기 위한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모드로 상기 통지부를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의 상기 통지부의 기능이 종료된 후, 상기 용량이 소정의 값으로 돌아왔다고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의 상기 통지부의 기능이 종료된 후에, 상기 요소의 상기 용량이 소정의 값으로 돌아온 횟수를 계수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로 상기 통지부를 기능시키고,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를 가장 긴 시간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요소가 분리된 경우에 상기 통지부의 기능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인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축적한 용량을 소비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되는 요소에 대해 검지 또는 추정된 용량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검지된 기정의 변수가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을 요구하기 위한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켰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검지 또는 추정된 상기 용량이 상기 임계값 미만이고 또한 상기 변수가 상기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에어로졸의 흡인자에 대해서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설명한 제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축적한 용량을 소비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요소와, 상기 에어로졸의 흡인자에 대해서 통지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지부와, 상기 복수의 요소 중의 각각의 요소에 관해서, 검지 또는 추정된 용량이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는 요건을 포함하는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통지부를 기능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건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엄격한, 흡인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충족될 가능성이 낮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많은 요건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에 대한 요구를 취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의 상기 조건은, 상기 요구의 검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통지부를 보다 긴 시간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각각에, 상이한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각각의 상기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요소 각각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한색계(寒色系)에 가깝게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에 관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과, 상기 에어로졸 생성중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이 동일해지도록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낮은 것일수록,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난색계(暖色系)에 가깝게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요소의 상기 용량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다른 요소의 상기 용량과는 다른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2개의 요소의 상기 용량은, 동일한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요소가 분리된 경우에 상기 통지부의 기능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인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축적한 용량을 소비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요소 중의 각각의 요소에 대해, 검지 또는 추정된 용량이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는 요건을 포함하는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상기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에어로졸의 흡인자에 대해서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조건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엄격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축적한 용량을 소비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요소와, 상기 에어로졸의 흡인자에 대해서 통지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지부와, 상기 복수의 요소 중의 각각의 요소에 관해서, 검지 또는 추정된 용량이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며 또한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통지부를 기능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건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엄격한, 흡인 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인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축적한 용량을 소비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요소 중의 각각의 요소에 대해, 검지 또는 추정된 용량이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검지 또는 추정된 상기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하이며 또한 상기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에어로졸의 흡인자에 대해서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조건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엄격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 상기 설명한 제3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축적한 용량을 소비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요소와, 상기 에어로졸의 흡인자에 대해서 통지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지부와, 상기 제1 요소에 대해 검지 또는 추정된 제1 용량이 제1 임계값 미만이며 또한 상기 제2 요소에 대해 검지 또는 추정된 제2 용량이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통지부를 제1 모드로 기능시키고, 상기 제1 용량이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며 또한 상기 제2 용량이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지부를 상기 제1 모드와는 다른 제2 모드로 기능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소에 대해, 상기 에어로졸의 계속적인 생성에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상기 제2 요소에 대한 당해 빈도보다 높은, 흡인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를 다른 발광색으로 발광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상기 제2 모드와 비교해 한색계에 가깝게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를 상이한 시간동안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통지부를 기능시키는 시간을, 상기 제2 모드와 비교해 짧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흡인 장치는, 기정의 변수를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용량이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제2 용량이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변수가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을 요구하기 위한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통지부를 상기 제1 모드로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 상기 통지부를 기능시키는 경우,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을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이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조건은, 상기 제1 용량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조건보다 엄격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이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조건이 충족될 가능성은, 상기 제1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조건이 충족될 가능성보다 낮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기정의 계속 시간을 넘는 상기 변수의 검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용량이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계속 시간은, 상기 제1 용량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계속 시간보다 길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기정의 값을 넘는 절대값을 갖는 상기 변수의 검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용량이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기정의 값은, 상기 제1 용량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기정의 값보다 크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중에,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상기 통지부를 제3 모드로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3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은 동일하고,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3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양태는 상이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중에,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상기 통지부를 제3 모드로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3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은 상이하고,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3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양태는 동일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의 상기 통지부의 기능이 종료된 후, 상기 제1 용량이 소정의 값으로 돌아왔다고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의 상기 통지부의 기능이 종료된 후, 상기 제1 용량이 소정의 값으로 돌아온 횟수를 계수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흡인 장치는,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축적한 용량을 소비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의 각각의 요소에 관해서, 검지 또는 추정된 용량이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는 요건을 포함하는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통지부를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건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엄격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충족될 가능성이 낮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많은 요건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에 대한 요구를 취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의 상기 조건은, 상기 요구의 검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통지부를 보다 긴 시간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각각에 대한 상기 통지부가 구비하는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다르게 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요소의 상기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요소 각각에 대한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상기 통지부가 구비하는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한색계에 가깝게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에 관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과, 상기 에어로졸 생성중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색이 동일해지도록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낮은 것일수록, 상기 통지부가 구비하는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난색계에 가깝게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요소의 상기 용량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다른 요소의 상기 용량과는 다른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2개의 요소의 상기 용량은, 동일한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흡인 장치는,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축적한 용량을 소비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의 각각의 요소에 관해서, 검지 또는 추정된 용량이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는 요건을 포함하는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통지부를 기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건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낮은 것일수록 느슨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1개의 요소가 분리된 경우에 상기 통지부의 기능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축적한 용량을 소비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흡인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요소에 대해 검지 또는 추정된 제1 용량이 제1 임계값 미만이며 또한 상기 제2 요소에 대해 검지 또는 추정된 제2 용량이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에어로졸의 흡인자에 대해서 제1 모드로 통지를 행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용량이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며 또한 상기 제2 용량이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에어로졸의 흡인자에 대해서, 상기 제1 모드와는 다른 제2 모드로 통지를 행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소에 대해, 상기 에어로졸의 계속적인 생성에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상기 제2 요소에 대한 당해 빈도보다 높은, 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흡인에 필요한 요소의 교환, 충전, 충전 등의 타이밍을 유저가 인식하기 쉬운 흡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흡인에 필요한 복수 요소의 잔량 회복을 유저가 이해하기 쉬운 흡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흡인에 필요한 요소의 잔량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흡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흡인 장치의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흡인 장치의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의 동작의 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의 다른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의 동작의 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의 동작의 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 실시형에 의한 흡인 장치의 동작의 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전자 담배나 네뷸라이저(nebulizer)를 포함하지만,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유저가 흡인하는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흡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흡인 장치(100A)의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a는, 흡인 장치(100A)가 구비하는 각 컴퍼넌트를 개략적이면서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각 컴퍼넌트 및 흡인 장치(100A)의 엄밀한 배치, 형상, 치수, 위치 관계 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닌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도 1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흡인 장치(100A)는, 제1 부재(102) 및 제2 부재(104)를 구비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례로서, 제1 부재(102)는, 제어부(106), 통지부(108), 배터리(110), 센서(112) 및 메모리(114)를 포함해도 된다. 일례로서, 제2 부재(104)는, 리저버(116), 무화부(霧化部)(118), 공기 도입 유로(120), 에어로졸 유로(121) 및 마우스피스부(122)를 포함해도 된다. 제1 부재(102) 내에 포함되는 컴퍼넌트의 일부가 제2 부재(104) 내에 포함되어도 된다. 제2 부재(104) 내에 포함되는 컴퍼넌트의 일부가 제1 부재(102) 내에 포함되어도 된다. 제2 부재(104)는, 제1 부재(10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제1 부재(102) 및 제2 부재(104) 내에 포함되는 모든 컴퍼넌트가, 제1 부재(102) 및 제2 부재(104) 대신에 동일한 케이스체 내에 포함되어도 된다.
리저버(116)는 에어로졸원을 보유한다. 예를 들면, 리저버(116)는, 섬유상 또는 다공질성의 소재로 구성되어, 섬유 간의 간극이나 다공질 재료의 세공(細孔)에 액체로서의 에어로졸원을 보유한다. 앞서 설명한 섬유상 또는 다공질성의 소재에는, 예를 들면 코튼이나 유리 섬유, 또는 담배 원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리저버(116)는,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글리세린이나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코올, 물 등의 액체이다. 흡인 장치(100A)가 네뷸라이저 등의 의료용 흡입기인 경우, 에어로졸원은 또한 환자가 흡입하기 위한 약제를 포함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원은, 가열하는 것에 의해 향끽미 성분을 방출하는 담배 원료나 담배 원료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리저버(116)는, 소비된 에어로졸원을 보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져도 된다. 또는, 리저버(116)는, 에어로졸원이 소비되었을 때에 리저버(116) 자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에어로졸원은 액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체여도 된다. 에어로졸원이 고체인 경우의 리저버(116)는, 예를 들면 섬유상 또는 다공질성의 소재를 이용하지 않는 공동(空洞)의 용기여도 된다.
무화부(118)는,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센서(112)에 의해 흡인 동작이 검지되면, 무화부(118)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윅(도시하지 않음)이, 리저버(116)와 무화부(118)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윅의 일부는 리저버(116)의 내부를 통해 에어로졸원과 접촉한다. 윅의 다른 일부는 무화부(118)로 뻗어 있다. 에어로졸원은, 윅의 모세관 효과에 의해 리저버(116)로부터 무화부(118)로 이동된다. 일례로서, 무화부(118)는, 배터리(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히터를 구비한다. 히터는, 윅과 접촉 또는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흡인 동작이 검지되면, 제어부(106)는, 무화부(118)의 히터를 제어하여, 윅을 통하여 이동된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 당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한다. 무화부(118)의 다른 예는, 에어로졸원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무화하는 초음파식 무화기여도 된다. 무화부(118)에는 공기 도입 유로(120)가 접속되고, 공기 도입 유로(120)는 흡인 장치(100)의 외부로 통하고 있다. 무화부(118)에 있어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공기 도입 유로(120)를 통하여 도입된 공기와 혼합된다. 에어로졸과 공기의 혼합 유체는, 화살표(124)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유로(121)로 송출된다. 에어로졸 유로(121)는, 무화부(118)에 있어서 생성된 에어로졸과 공기의 혼합 유체를 마우스피스부(122)까지 수송하기 위한 관상(管狀) 구조를 갖는다.
마우스피스부(122)는, 에어로졸 유로(121)의 종단에 위치하고, 에어로졸 유로(121)를 흡인 장치(100A)의 외부에 대해서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유저는, 마우스피스부(122)를 입에 물고 흡인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공기를 구강 내에 도입한다.
통지부(108)는, LED 등의 발광 소자, 디스플레이, 스피커, 바이브레이터 등을 포함해도 된다. 통지부(108)는, 필요에 따라 발광, 표시, 발성, 진동 등에 의해, 유저에 대해서 어떠한 통지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110)는, 통지부(108), 센서(112), 메모리(114), 무화부(118) 등의 흡인 장치(100A)의 각 컴퍼넌트에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110)는, 흡인 장치(100A)의 소정의 포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외부 전원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충전할 수 있어도 된다. 배터리(110)만을 제1 부재(102) 또는 흡인 장치(100A)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도 되고, 새로운 배터리(110)와 교환할 수 있어도 된다. 또, 제1 부재(102) 전체를 새로운 제1 부재(102)와 교환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110)를 새로운 배터리(110)와 교환할 수 있어도 된다.
센서(112)는, 공기 도입 유로(120) 및/또는 에어로졸 유로(121) 내의 압력의 변동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 또는 유량을 검지하는 유량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센서(112)는 또 리저버(116) 등의 컴퍼넌트의 중량을 검지하는 중량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센서(112)는 또 흡인 장치(100A)를 이용한 유저에 의한 퍼프의 횟수를 계수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센서(112)는 또 무화부(118)로의 통전 시간을 적산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센서(112)는 또 리저버(116) 내의 액면의 높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센서(112)는 또 배터리(110)의 SOC(State of Charge, 충전 상태), 전류 적산값, 전압 등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전류 적산값은, 전류 적산법이나 SOC-OCV(Open Circuit Voltage, 개회로 전압)법 등에 의해 구해져도 된다. 센서(112)는 또 유저가 조작 가능한 조작 버튼 등이어도 된다.
제어부(10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구성된 전자 회로 모듈이어도 된다. 제어부(106)는, 메모리(114)에 격납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에 따라 흡인 장치(100A)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메모리(114)는, ROM, RAM, 플래쉬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이다. 메모리(114)에는, 상기와 같은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 외에, 흡인 장치(100A)의 제어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 등이 격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메모리(114)는, 통지부(108)의 제어 방법(발광, 발성, 진동 등의 양태 등), 센서(112)에 의해 검지된 값, 무화부(118)의 가열 이력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격납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필요에 따라 메모리(114)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 흡인 장치(100A)의 제어에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메모리(114)에 격납한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흡인 장치(100B)의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인 장치(100B)는, 도 1a의 흡인 장치(100A)가 구비하는 구성에 더해, 제3 부재(126)를 구비한다. 제3 부재(126)는 향미원(128)을 포함해도 된다. 일례로서, 흡인 장치(100B)가 전자 담배인 경우, 향미원(128)은 담배에 포함되는 향끽미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유로(121)는, 제2 부재(104) 및 제3 부재(126)에 걸쳐 뻗어 있다. 마우스피스부(122)는 제3 부재(126)에 구비된다.
향미원(128)은,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기 위한 컴퍼넌트이다. 향미원(128)은 에어로졸 유로(121)의 도중에 배치된다. 무화부(118)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과 공기의 혼합 유체(이하, 혼합 유체를 간단히 에어로졸이라는 경우도 있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는, 에어로졸 유로(121)를 지나 마우스피스부(122)까지 흐른다. 이와 같이, 향미원(128)은, 에어로졸의 흐름에 관해서 무화부(118)보다 하류에 마련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무화부(118)보다 향미원(128) 쪽이, 에어로졸 유로(121) 내에서 마우스피스부(122)와 가까운 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무화부(118)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향미원(128)을 통과한 후 마우스피스부(122)에 이른다. 에어로졸이 향미원(128)을 통과할 때, 향미원(128)에 포함되는 향끽미 성분이 에어로졸에 부여된다. 일례로서, 흡인 장치(100B)가 전자 담배인 경우, 향미원(128)은, 살담배, 또는 담배 원료를 입상, 시트상 혹은 분말상으로 성형한 가공물 등의, 담배에서 유래된 것이어도 된다. 향미원(128)은 또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나 허브 등)로 만들어진 비담배에서 유래된 것이어도 된다. 일례로서, 향미원(128)은 니코틴 성분을 포함한다. 향미원(128)은 멘톨 등의 향료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향미원(128)에 더해, 리저버(116)도 향끽미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흡인 장치(100B)는, 향미원(128)에 담배에서 유래된 향미 물질을 보유하고, 리저버(116)에는 비담배에서 유래된 향미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유저는, 마우스피스부(122)를 입에 물고 흡인하는 것에 의해,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공기를 구강 내에 도입할 수 있다.
제어부(106)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인 장치(100A 및 100B)(이하, 통틀어 「흡인 장치(100)」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각 실시형태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100)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06)가 도 2에 나타나는 모든 스텝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그러나, 도 2의 일부 스텝이 흡인 장치(100) 내의 다른 컴퍼넌트에 의해 실행되어도 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스텝 202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흡인 장치(100)의 요소의 용량을 검지 또는 추정한다. 여기에서, 「요소」란, 축적한 용량을 소비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되는 컴퍼넌트를 의미한다. 일례로서 도 1a에 나타나는 흡인 장치(100A)의 구성을 갖는 전자 담배의 경우, 제1 부재(102)는 배터리(110)를 포함하는 배터리 수용부로 할 수 있고, 제2 부재(104)는 리저버(116)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수용부(또는 배터리(110)) 및 카트리지(또는 리저버(116))가 상기 「요소」에 해당된다. 여기에서, 「용량」이란, 배터리(110)의 잔량, 리저버(116)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의 잔량 등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도 1b에 나타나는 흡인 장치(100B)의 구성을 갖는 전자 담배의 경우, 제1 부재(102)는 배터리(110)를 포함하는 배터리 수용부로 할 수 있고, 제2 부재(104)는 리저버(116)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로 할 수 있으며, 제3 부재(126)는 향미원(128)을 포함하는 캡슐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수용부(또는 배터리(110)), 카트리지(또는 리저버(116)) 및 캡슐(또는 향미원(128))이 「요소」에 해당된다. 여기에서, 「용량」이란, 배터리(110)의 잔량, 리저버(116) 내의 에어로졸원의 잔량, 향미원(128)에 포함되는 향끽미 성분이나 에어로졸원의 잔량 등을 의미한다. 향미원(128)이나 리저버(116)의 체적, 중량 등은, 흡인 장치(100)의 사용에 수반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향미원(128)이나 리저버(116)의 체적, 중량 등이 반드시 「용량」에 상당하지는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요소의 용량은 다양한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센서(112)는 중량 센서여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센서(112)를 이용하여 요소의 중량(예를 들면, 리저버(116)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이 액체나 담배인 경우에 있어서의, 당해 액체나 담배의 중량)을 검지하여, 검지된 중량을 당해 요소의 용량이라고 판단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센서(112)는, (리저버(116)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 등의)액면의 높이를 검지할 수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센서(112)를 이용하여 요소의 액면의 높이를 검지하여, 검지된 액면의 높이에 근거하여 당해 요소의 용량을 추정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메모리(114)는, 무화부(118)에 대한 통전 시간의 적산값을 격납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메모리(114)로부터 취득된 적산 통전 시간에 근거하여, 요소의 용량(예를 들면, 리저버(116)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의 잔량, 담배의 향끽미 성분의 잔량, 향미원(128)에 포함되는 향끽미 성분의 잔량 등)을 추정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메모리(114)는, 유저가 흡인 장치(100)에 대해서 행한 흡인(전자 담배의 예에 있어서는 「퍼프」)의 횟수를 격납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메모리(114)로부터 취득된 흡인 횟수에 근거하여, 요소의 용량을 추정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메모리(114)는, 무화부(118)의 가열 이력에 관한 데이터를 격납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메모리(114)로부터 취득된 당해 데이터에 근거하여, 요소의 용량을 추정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메모리(114)는, 배터리(110)의 SOC(State of Charge, 충전 상태), 전류 적산값 및/또는 전압에 관한 데이터를 격납해도 된다. 센서(112)가 이 값들을 검지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이 데이터들에 근거하여, 요소(특히, 배터리(110))의 용량을 검지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스텝 204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스텝 202에 있어서 검지 또는 추정된 요소의 용량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임계값은 메모리(114)에 격납되어 있어도 되고, 제어부(106)는 임계값을 메모리(114)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용량이 임계값 미만이 아닌 경우(스텝 204의 「No」), 처리는 스텝 202 전으로 돌아간다. 용량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스텝 204의 「Yes」), 처리는 스텝 206으로 진행된다.
스텝 20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기정의 변수를 검지한다. 일례에 있어서, 센서(112)가, 공기 도입 유로(120) 및/또는 에어로졸 유로(121)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기정의 변수는 압력이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센서(112)가, 공기 도입 유로(120) 및/또는 에어로졸 유로(121) 내의 압력 대신에 유로 내의 유량을 검지하는 유량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기정의 변수는 유량이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흡인 장치(100)가 구동용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기정의 변수는 당해 버튼이 눌린 것을 나타내는, 응력이나 전류값 등이어도 된다.
또한, 센서(112)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당해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2개는 상이한 물리량을 검출해도 된다. 스텝 202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흡인 장치(100)의 요소의 용량을 검지 또는 추정하기 위해서, 복수의 센서 중 일부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스텝 20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기정의 변수를 검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센서 중 다른 일부를 이용해도 된다.
스텝 208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스텝 206에 있어서 검지된 변수가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켰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기정의 조건이란, 흡인 장치(100)에 있어서 에어로졸의 생성을 요구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변수가 압력 또는 유량인 경우, 기정의 조건은, 기정의 계속 시간을 넘어 압력 또는 유량이 검지되는 것이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변수가 압력 또는 유량인 경우, 기정의 조건은, 기정의 값을 넘는 절대값을 갖는 압력 또는 유량이 검지되는 것이어도 된다. 변수가 압력 이외의 다른 값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다양한 조건을 기정의 조건으로서 설정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검지된 변수가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스텝 208의 「No」), 처리는 스텝 206 전으로 돌아간다. 검지된 변수가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스텝 208의 「Yes」), 처리는 스텝 210으로 진행된다.
스텝 210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유저(즉, 흡인 장치(100)의 흡인자)에 대해서 소정의 통지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소정의 양태를 갖는 제1 모드로 기능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소정의 양태(예를 들면, 점멸)로 LED를 동작시켜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요소의 교환, 충전, 충전 등(이하, 필요에 따라 「교환 등」이라고 부른다)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표시를 행하는, 디스플레이를 동작시켜도 된다. 다른 예로서 통지부(108)가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스피커를 동작시켜도 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100)의 동작의 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06)가 도 3에 나타나는 모든 스텝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그러나, 도 3의 일부 스텝이 흡인 장치(100) 내의 다른 컴퍼넌트에 의해 실행되어도 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여기에서는, 흡인 장치가 도 1b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B)의 구성을 갖고, 흡인 장치(100B)의 제3 부재(126)(향미원(128)을 포함한다)가 도 2에 관련해 설명한 「요소」인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 부재(102)(또는 배터리(110))나 제2 부재(104)(또는 리저버(116))가 「요소」여도 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처리는 스텝 302에 있어서 개시된다. 스텝 302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유저에 의한 흡인 장치(100)의 퍼프의 개시를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례로서, 센서(112)가 압력 센서 또는 유량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센서(112)로부터 취득된 압력 또는 유량이 기정의 값을 넘었을 때에,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또 센서(112)에 의해 압력이 검지되는 계속 시간이 기정의 계속 시간을 넘을 때,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흡인 장치(100)가 개시용 버튼을 구비하고 있고, 당해 버튼이 눌린 경우에,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스텝 302의 「No」), 처리는 스텝 302 전으로 돌아간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302의 「Yes」), 처리는 스텝 304로 진행된다.
스텝 304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終止) 전압(예를 들면, 3.2V)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인 경우(스텝 304의 「No」), 처리는 스텝 306으로 진행된다. 스텝 30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3 모드로 기능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를 포함하는 경우, 제3 모드는, LED를 적색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한편,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보다 큰 경우(스텝 304의 「Yes」), 처리는 스텝 308로 진행된다.
스텝 308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배터리(110)의 전압이 만충전 전압으로부터 소정값 Δ를 뺀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배터리(110)의 전압이 만충전 전압-Δ 이하가 아닌 경우(스텝 308의 「No」), 만충전 전압-Δ<배터리 전압≤만충전 전압과 같은 관계가 된다. 이때, 처리는 스텝 310으로 진행된다. 스텝 310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정전력 제어에 의해 무화부(118)에 통전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6)는, 배터리(110)로부터 무화부(118)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해서 펄스폭 변조(PWM)를 행하여, 무화부(118)에 공급되는 전력값이 일정해지도록, 배터리(110)의 출력 전압의 변화에 따라 펄스폭을 조정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06)는 펄스폭 변조(PWM) 제어 대신에 펄스 주파수 변조(PFM) 제어를 행해도 된다. 한편, 배터리(110)의 전압이 만충전 전압-Δ 이하인 경우(스텝 308의 「Yes」), 처리는 스텝 312로 진행된다. 스텝 312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배터리(110)로부터의 전력에 대해서 펄스폭 변조를 행하지 않고, 듀티비=100%로 무화부(118)에 통전한다.
처리는 스텝 314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2 모드로 기능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당해 LED를 청색으로 점등시켜도 된다.
처리는 스텝 316으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메모리(114)나 제어부(106) 등에 격납될 수 있는 흡인 시간(TL)을 0으로 설정한다.
처리는 스텝 318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소정 시간 Δt가 경과할 때까지 기다려, TL=TL+Δt로 설정한다.
처리는 스텝 320으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퍼프의 종료를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례에 있어서, 센서(112)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센서(112)로부터 취득된 압력이 소정의 값 이하가 되었을 때에, 퍼프가 종료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퍼프의 종료가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320의 「Yes」), 처리는 스텝 324로 진행된다. 퍼프의 종료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스텝 320의 「No」), 처리는 스텝 322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TL이 소정의 상한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TL이 소정의 상한 시간 이상이 아닌 경우(스텝 322의 「No」), 처리는 스텝 318 전으로 돌아간다. TL이 소정의 상한 시간 이상인 경우(스텝 322의 「Yes」), 처리는 스텝 324로 진행된다.
스텝 324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배터리(110)와 무화부(118)를 연결하는 전기 회로 내에 마련된 스위치를 제어하는 등 하여, 무화부(118)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처리는 스텝 326으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통지부(108)의 기능을 정지한다. 일례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청색으로 점등하고 있던 통지부(108)의 LED를 오프로 한다.
또한, 퍼프의 종료가 검지되지 않고(스텝 320의 「No」) 또한 TL이 소정의 상한 시간 이상인(스텝 322의 「Yes」) 경우, 제어부(106)는 스텝 324에 있어서 무화부(118)로의 통전을 정지한 후, 퍼프의 종료를 검지할 때까지, 제2 모드(예를 들면, 통상의 흡인시의 모드)에서의 통지부(108)의 기능을 계속해도 된다. 그 후, 스텝 32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통지부(108)의 기능을 정지한다. 퍼프가 계속되는 한 통지부(108)가 제2 모드로 계속 기능하기 때문에, 에어로졸 생성을 정지하여, 유저가 위화감을 느끼는 유저 익스피리언스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처리는 스텝 328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메모리(114)나 제어부(106) 등에 격납될 수 있는 적산 시간 TA를 TA=TA+TL로 설정한다.
처리는 스텝 330으로 진행된다. 스텝 330은, 도 2의 스텝 204의 일례이다. 스텝 330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TA가 소정의 임계값 시간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임계값 시간은, 흡인 장치(100B)의 요소(이 예에서는, 제3 부재(126) 또는 향미원(128))의 용량(이 예에서는, 향미원(128)에 포함되는 향끽미 성분의 잔량)이, 충분한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값을 하회한다고 추정되는, 흡인 장치(100B)에 대한 흡인의 적산 시간으로 할 수 있다. 임계값 시간은, 미리 메모리(114) 등에 격납되어 있어도 된다.
TA가 임계값 시간 이하인 경우(스텝 330의 「No」), 처리는 스텝 302 전으로 돌아간다. TA가 임계값 시간보다 큰 경우(스텝 330의 「Yes」), 처리는 스텝 332로 진행된다.
스텝 332 및/또는 334는, 도 2의 스텝 208의 일례이다. 스텝 332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례에 있어서, 센서(112)가 압력 센서 또는 유량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센서(112)로부터 취득된 압력 또는 유량이 기정의 값을 넘는 절대값을 가질 때,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스텝 332의 「No」), 처리는 스텝 332 전으로 돌아간다. 즉, 제어부(106)는,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는 것을 기다린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332의 「Yes」), 처리는 스텝 334로 진행된다.
스텝 334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퍼프가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에 걸쳐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소정 시간은 메모리(114)에 격납되어 있어도 된다. 퍼프가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되지 않는 경우(스텝 334의 「No」), 처리는 스텝 332 전으로 돌아간다. 퍼프가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되었을 경우(스텝 334의 「Yes」), 처리는 스텝 336으로 진행된다. 스텝 334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백그라운드 노이즈의 발생에 기인하여 스텝 332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다고 잘못 판정되었을 경우에도, 이후의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 332 및 334의 처리는 모두 실행되어도 되고, 한쪽만 실행되어도 된다.
제어부(106)는, 스텝 332 및 334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므로, 적산 시간의 초과뿐만 아니라, 그 후의 퍼프 검지에 근거하여, 통지부(108)를 제1 모드로 기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흡인 장치(100)를 이용한 흡연 등을 하려고 한 타이밍에 통지부(108)가 제1 모드로 기능하므로, 유저는, 용량이 적어진 요소를 교환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채기 쉬워진다.
스텝 33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무화부(118)로의 통전을 금지한다. 또한, 스텝 336의 처리는, 스텝 330과 스텝 332 사이에서 행해져도 된다.
처리는 스텝 338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1 모드로 기능시킨다.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1 모드로 기능시킬 때, 무화부(118)로의 통전을 금지하고 있으므로, 에어로졸의 생성을 정지해 둘 수 있다. 에어로졸의 생성을 정지하기 위해서, 제어부(106)는, 센서(112)를 불능화하거나 무화부(118)로의 급전 회로를 개방해도 된다. 에어로졸의 생성을 정지하는 것에 의해, 유저의 주의가 환기되므로, 유저는, 요소의 교환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더욱 알아채기 쉬워진다. 또한, 요소의 용량이 부족할 때에 불완전한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흡인 체험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인 경우, 제1 모드는, LED를 청색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요소의 용량이 부족한 것을 유저가 알아챌 수 있도록, 통지부(108)를 어느 정도 긴 시간(예를 들면, 40초)에 걸쳐 기능시켜도 된다.
스텝 338에 있어서 통지부(108)를 제1 모드로 기능시키기 위한 조건인 스텝 332와 스텝 334의 조건은, 스텝 314에 있어서 통지부(108)를 제2 모드로 기능시키기 위한 조건인 스텝 302의 조건보다 엄격해도 된다. 또는, 스텝 332와 스텝 334의 조건이 충족될 가능성은, 스텝 302의 조건이 충족될 가능성보다 낮아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텝 334의 판정에 이용되는 상기의 기정의 값은, 스텝 302의 판정에 이용되는 기정의 값보다 커도 된다. 상기의 스텝 334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스텝 332와 스텝 334를 통해, 적어도 스텝 334의 상기의 소정 시간에 걸친 퍼프의 계속이 요구되기 때문에, 스텝 338에 있어서 통지부(108)를 제1 모드로 기능시키기 위한 조건인 스텝 332와 스텝 334에 있어서의 퍼프의 판정에 이용되는 계속 시간은, 스텝 314에 있어서 통지부(108)를 제2 모드로 기능시키기 위한 조건인 스텝 302의 판정에 이용되는 계속 시간보다 길어도 된다. 이러한 특징들에 의해, 통상의 흡인시에 있어서는, 유저의 퍼프 동작에 대한 에어로졸 생성의 응답을 양호하게 하여, 위화감 없는 흡인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통지부(108)가 제1 모드로 기능해야 할 때에, 백그라운드 노이즈에 기인하여 흡인 장치(100)가 잘못해서 통상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무화부(118)로의 통전시와 비교해 긴 시간 퍼프를 행해도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고, 그 후에 스텝 338에서 통지를 행하기 때문에, 유저가 흡인 장치(100)의 동작에 의문을 가진 상태, 다시 말하면 유저가 흡인 장치(100)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상태에서, 용량의 회복이 필요하다는 것을 유저가 눈치채게 할 수 있다.
통지부(108)가 LED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스텝 338의 제1 모드 및 스텝 314의 제2 모드에 있어서, 발광 소자의 발광색은 동일해도 된다. 예를 들면, 양쪽의 발광색이 청색이어도 된다. 이때,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있어서, 발광 소자의 발광 양태는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발광 소자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점멸하고, 제2 모드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점등해도 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있어서 발광 소자의 발광색이 상이하고, 발광 소자의 발광 양태가 동일해도 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있어서, 발광 소자의 발광색 및 발광 양태가 모두 달라도 된다. 이러한 특징들에 의해, 발광 소자가 통상과는 다른 동작을 했을 때에, 흡인에 관한 어떠한 이상이 발생했다는 것을 유저가 인식할 수 있으므로, 요소의 교환 등을 유저에게 촉구하기 쉬워진다.
처리는 스텝 340으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무화부(118)로의 통전의 금지를 해제한다. 이때, 제어부(106)는, 요소의 용량이 소정의 값(예를 들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값)으로 돌아왔다고 추정해도 된다. 유저가 간과하기 어려운 통지가 이미 통지부(108)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므로, 제1 모드에서의 통지부(108)의 기능의 완료 후에는, 용량이 부족한 요소가 교환 등이 되어 있을 개연성이 높다. 이로 인하여, 요소의 교환 등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검지할 목적을 위해서만 이용되는, 감합 검지나 스위치용의 제어 로직이나 소자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적산 시간이나 교환 횟수의 카운트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처리는 스텝 342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요소의 용량이 소정의 값으로 돌아온 횟수(N)를 계수한다. N은 메모리(114)에 격납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부(106)는, N을 1만 증분해도 된다. 이 특징에 의해, 요소의 교환 등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검지할 목적을 위해서만 이용되는, 감합 검지나 스위치를 위한 제어 로직이나 소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흡인 장치(100)의 제품 수명이나 다른 요소의 소모 정도 등을 추정하는데 유용한 파라미터인 상기 요소의 교환 횟수를 계수할 수 있다. 또한, N은 반드시 정수일 필요는 없고, 대신에 실수를 이용해도 된다. 또, N을 특정의 값과 비교하는 경우는, N의 차원은 퍼센트(%)여도 된다.
처리는 스텝 344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적산 시간 TA를 리셋(0으로 설정)한다. 처리는 스텝 302 전으로 되돌아간다.
도 1a 및 도 1b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인 장치(100)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흡인 장치(100A)는, 제1 부재(예를 들면, 배터리 수용부)(102)(또는 배터리(110)) 및 제2 부재(예를 들면, 카트리지)(104)(또는 리저버(116))를 요소로서 포함한다. 흡인 장치(100B)는, 추가로 제3 부재(예를 들면, 캡슐)(126)(또는 향미원(128))를 요소로서 포함한다. 제어부(106)는, 복수의 요소 중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에 관해서만, 도 2에 나타내는 처리나, 도 3의 스텝 328부터 344의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a의 예에 있어서, 제2 부재(104)(또는 리저버(116))의 교환 빈도가 제1 부재(102) 내의 배터리(110)의 충전의 빈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06)는, 제2 부재(104)의 용량이 소정의 임계값 미만이며(스텝 204의 「Yes」), 또한 (센서(112)에 의해 검지된 압력 또는 유량 등의)변수가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의 생성을 요구하기 위한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스텝 208의 「Yes」)에만, 제1 모드로 통지부(108)를 기능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도 1b의 예에 있어서, 제3 부재(126)(또는 향미원(128))를 제1 부재(102) 및 제2 부재(104)보다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어부(106)는, 제3 부재(126)에 관해서만, 도 2의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이 특징에 의해, 통지부(108)가 통상과는 다른 동작을 했을 때에, 흡인에 관해서 가장 교환 빈도가 높은 요소에 어떠한 조작이 필요하다는 것을 유저가 인식할 수 있으므로, 유저에 대해서 당해 요소의 교환 등을 촉구하기 쉬워진다.
도 3에 관련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06)는, 제1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제1, 제2 및 제3 모드)로 통지부(108)를 기능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이 복수의 모드 중의 제1 모드에 있어서, 통지부(108)를 가장 긴 시간에 걸쳐 기능시켜도 된다. 이 특징에 의해, 요소의 교환 등을 요청할 때의 통지부(108)의 동작 시간이 다른 상황에 있어서의 통지부(108)의 동작 시간보다 길어지므로, 요소의 교환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유저가 놓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흡인 장치(100)가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흡인 장치(100)로부터 적어도 1개의 요소가 분리된 경우에, 통지부(108)의 기능을 중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흡인 장치가 도 1a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A)의 구성을 갖고, 제2 부재(104)가 분리 가능한 경우, 제어부(106)는, 제2 부재(104)가 분리된 경우에 통지부(108)의 기능을 중단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흡인 장치가 도 1b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B)의 구성을 갖고, 제2 부재(104) 및 제3 부재(126)가 분리 가능한 경우, 제어부(106)는, 이 부재들 중 1개 또는 양쪽 다 분리된 경우에 통지부(108)의 기능을 중단해도 된다. 이러한 흡인 장치(100)로부터 적어도 1개의 요소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이미 유저가 통지부(108)의 통지를 인식한 상태라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통지부(108)의 기능을 중단하면, 배터리(110)의 전력의 낭비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도 3에 나타나는 스텝의 일부를 생략해도 되고, 또 일부 스텝의 순서를 바꿔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텝 306에 있어서 통지부를 제3 모드로 기능시키기 전에 스텝 302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를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시 말하면, 스텝 304에 있어서 제어부가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 후에, 제어부는 스텝 302를 실행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3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3 모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라는 1개의 요건만이 포함되는 것이 명확할 것이다.
또는, 제어부(106)는 스텝 302 이후의 처리에서, 항상 스텝 304의 판정을 계속해도 된다. 즉 스텝 308부터 344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06)가 검지하는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가 되면(스텝 304가 「Yes」), 인터럽트 처리로서 스텝 306을 실행하고,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3 모드로 기능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3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3 모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에, 스텝 302에 있어서의 퍼프의 검지를 개시했는지 여부라는 요건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 요건은 스텝 302에 있어서 「Yes」라고 판단된 후의 스텝 중 어느 하나에서 스텝 304가 충족되면 된다는 비교적 느슨한 것이다. 이에 대해, 스텝 338에 있어서 통지부(108)를 제1 모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스텝 330에 있어서 제어부(106)가, 적산 시간 TA가 소정의 임계값 시간보다 크다고 판정(스텝 330이 「Yes」)된 직후에, 제어부(106)가 스텝 332와 스텝 334에 관해서 「Yes」라고 판정했다는 비교적 엄격한 요건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스텝 306은 에어로졸 생성중에도 실행될 수 있는 처리인데 대해, 스텝 338은 에어로졸 생성중에는 충족될 수 없는 처리이다.
상기 설명한 설명에 있어서,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는, 도 1a 또는 도 1b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흡인 장치, 및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개시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당해 프로세서에, 도 2 혹은 도 3에 나타내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또는 당해 프로그램을 격납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100)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06)가 도 4에 나타나는 모든 스텝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그러나, 도 4의 일부 스텝이 흡인 장치(100) 내의 다른 컴퍼넌트에 의해 실행되어도 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처리는 스텝 402에서 개시되고, 제어부(106)는, 흡인 장치(100)의 복수의 요소 중의 각각의 요소에 대해, 용량을 검지 또는 추정한다. 「요소」 및 「용량」과 같은 용어의 의미는, 제1 실시형태에 관련해 이미 설명되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인 장치(100)는 복수의 요소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도 1a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A)는, 제1 부재(예를 들면, 배터리 수용부)(102)(또는 배터리(110)) 및 제2 부재(예를 들면, 카트리지)(104)(또는 리저버(116))를 요소로서 갖는다. 도 1b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B)는, 이들 2개의 요소에 더해, 제3 부재(예를 들면, 캡슐)(126)(또는 향미원(128))를 요소로서 갖는다. 제1 실시형태에 관련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요소의 용량은 다양한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요소(예를 들면, 제1 부재(102)의 배터리(110))의 용량은,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다른 요소(예를 들면, 제3 부재(캡슐)(126))의 용량과는 다른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요소의 용량은,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다른 요소의 용량과 동일한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슐(126)의 용량 및 카트리지(104)의 용량은 모두, 무화부(118)로의 누적 통전 시간 또는 누적 전력량에 근거하여 검지 또는 추정되어도 된다. 또, 배터리(110)의 용량 및 카트리지(104)의 용량은 모두, 누적 전류값에 근거하여 검지 또는 추정되어도 된다.
처리는 스텝 404로 진행된다. 스텝 404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스텝 402에 있어서 검지 또는 추정된 요소의 용량이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는 요건을 포함하는,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각 요소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 및 기정의 조건은, 당해 요소와 관련지어져 메모리(114)에 격납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부(106)는 당해 임계값 및 기정의 조건을 메모리(114)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요소에 관해서, 상기의 기정의 조건은, 요소의 용량이 임계값 이하라는 요건에 더해, 다른 요건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적어도 1개의 요소에 관해서, 기정의 조건은, 흡인 장치(100)에 있어서 검지된 기정의 변수가 기정의 요건을 충족시킨다는 요건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일례에 있어서, 센서(112)가, 공기 도입 유로(120) 및/또는 에어로졸 유로(121)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 또는 유량을 검지하는 유량 센서인 경우, 기정의 변수는 압력 또는 유량이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흡인 장치(100)가 구동용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기정의 변수는 당해 버튼이 눌린 것을 나타내는, 응력이나 전류값 등이어도 된다.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스텝 404의 「No」), 처리는 스텝 402 전으로 돌아간다.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스텝 404의 「Yes」), 처리는 스텝 406으로 진행된다. 스텝 40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유저(즉, 흡인 장치(100)의 흡인자)에 대해서 소정의 통지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소정의 양태로 기능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제1 부재(102)(또는 배터리(110))에 설정된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특정의 양태로 기능시켜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2 부재(104)(또는 리저버(116))에 설정된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다른 양태로 기능시켜도 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제3 부재(126)(또는 향미원(128))에 설정된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또 다른 양태로 기능시켜도 된다. 스텝 406의 통지는, 요소의 교환, 충전, 충전 등(이하, 필요에 따라 「교환 등」이라고 부른다)이 필요하다는 것을 유저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행해진다.
스텝 402에 있어서 판정되는 기정의 조건은, 흡인 장치(100)가 구비하는 복수의 요소 중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이하, 통틀어 「에어로졸」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엄격하다. 일례에 있어서, 기정의 조건은, 복수의 요소 중 당해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충족될 가능성이 낮다. 다른 예에 있어서, 기정의 조건은, 복수의 요소 중 당해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많은 요건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흡인 장치가 도 1a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A)의 구성을 갖고, 제2 부재(104)(또는 리저버(116))의 교환 빈도가 제1 부재(102) 내의 배터리(110)의 충전의 빈도보다 높은 경우, 제2 부재(104)에 대해서 설정되는 기정의 조건은, 제1 부재(102)의 배터리(110)에 대해서 설정되는 기정의 조건보다 엄격하다. 또, 흡인 장치가 도 1b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B)의 구성을 갖고, 제3 부재(126)(또는 향미원(128))의 교환 빈도가 가장 높고, 이어서 제2 부재(104)의 교환 빈도가 높으며, 제1 부재(102)의 배터리(110)의 충전 빈도가 가장 낮은 경우, 제3 부재(126)에 대해서 설정되는 기정의 조건이 가장 엄격하고, 이어서 제2 부재(104)에 대해서 설정되는 기정의 조건이 엄격하며, 제1 부재(102)의 배터리(110)에 대해서 설정되는 기정의 조건이 가장 느슨해도 된다. 또 도 1b의 구성에 있어서, 제1 부재(102)의 배터리(110) 및 제3 부재(126)에만 기정의 조건이 설정되어 있고, 제2 부재(104)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건도 설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스텝 402에 있어서, 배터리(110)의 용량 및 제3 부재(126)의 용량만이 검지 또는 추정되고, 스텝 404에 있어서, 배터리(110) 및 제3 부재(126)에 대해 설정된 기정의 조건만이 판정된다. 제3 부재(126)의 교환 빈도가 제1 부재(102)의 배터리(110)의 충전 빈도보다 높은 경우, 제3 부재(126)에 설정되는 조건은 배터리(110)에 설정되는 조건보다 엄격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인 장치(100)는, 복수의 동일한 요소 또는 복수의 동종의 요소를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b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B)는, 복수의 제3 부재(예를 들면, 제1 및 제2 캡슐)(126)(또는 제1 및 제2 향미원)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캡슐은, 동일한 최대 용량을 갖는 동일한 종류의 향미원을 포함해도 되고, 다른 최대 용량을 갖는 동일한 종류의 향미원을 포함해도 되며, 동일한 최대 용량을 갖는 다른 종류의 향미원을 포함해도 되고, 다른 최대 용량을 갖는 다른 종류의 향미원을 포함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스텝 402에 있어서, 제1 캡슐의 용량 및 제2 캡슐의 용량은, 동일한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되어도 된다. 제1 캡슐의 교환 빈도가 제2 캡슐의 교환 빈도보다 높은 경우, 스텝 404에 있어서 판정되는, 제1 캡슐에 설정되는 기정의 조건은, 제2 캡슐에 설정되는 기정의 조건보다 엄격하다. 흡인 장치(100)가 복수의 배터리(110) 및/또는 복수의 제2 부재(예를 들면, 카트리지)(104)(또는 리저버(116))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도 4의 실시형태의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100)의 다른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처리는 스텝 502에서 개시된다. 스텝 502의 처리는 스텝 402의 처리와 동일하다.
처리는 스텝 504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스텝 502에 있어서 검지 또는 추정된 요소의 용량이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아닌 경우(스텝 504의 「No」), 처리는 스텝 502 전으로 돌아간다. 용량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스텝 504의 「Yes」), 처리는 스텝 506으로 진행된다.
스텝 50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스텝 504에 있어서 용량이 임계값 이하라고 판정된 요소에 대해 설정된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기정의 조건」에 대해서는 도 4에 관련해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스텝 506의 「No」), 처리는 스텝 506 전으로 돌아간다.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스텝 506의 「Yes」), 처리는 스텝 508로 진행된다. 스텝 508의 처리는 스텝 406의 처리와 동일하다.
도 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텝 506에 있어서 판정되는 기정의 조건은, 흡인 장치(100)가 구비하는 복수의 요소 중,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엄격하다. 또, 흡인 장치(100)는, 복수의 동일한 요소 또는 복수의 동종의 요소를 구비해도 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100)의 동작의 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06)가 도 6에 나타나는 모든 스텝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그러나, 도 6의 일부 스텝이 흡인 장치(100) 내의 다른 컴퍼넌트에 의해 실행되어도 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여기에서는, 흡인 장치가 도 1b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B)의 구성을 갖고, 흡인 장치(100B)의 제1 부재(예를 들면, 배터리 수용부)(102)(또는 배터리(110)), 제2 부재(예를 들면, 카트리지)(104)(또는 리저버(116)) 및 제3 부재(예를 들면, 캡슐)(126)(또는 향미원(128))가 도 4 및 도 5에 있어서의 「요소」인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동일한 요소나 복수의 비슷한 요소가 존재해도 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한, 도 6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재(102)(또는 배터리(110)) 및 제3 부재(캡슐)(126)(또는 향미원(128))에 대해서만, 임계값이나 기정의 조건에 관한 판정이 이루어지며, 제2 부재(카트리지)(104)(예를 들면, 리저버(116))에 대해서는 이러한 판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도 6의 실시형태는, 제2 부재(104)가 임계값이나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및 제2 부재(104)에 대해서 임계값이나 기정의 조건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흡인 장치(100B)의 요소인 배터리(110) 및 캡슐(126) 중,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는, 캡슐(126) 쪽이 높은 것으로 한다. 일례에 있어서, 캡슐(126)이 10회 교환되는 동안에, 배터리(110)는 1회 충전되면 된다.
처리는 스텝 602에 있어서 개시된다. 스텝 602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유저에 의한 흡인 장치(100)의 퍼프의 개시를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례로서 센서(112)가 압력 센서 또는 유량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센서(112)로부터 취득된 압력 또는 유량이 기정의 값을 넘었을 때에,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또 센서(112)에 의해 압력 또는 유량이 검지되는 계속 시간이 기정의 계속 시간을 넘을 때,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흡인 장치(100)가 개시용 버튼을 구비하고 있고, 당해 버튼이 눌린 경우에,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스텝 602의 「No」), 처리는 스텝 602 전으로 돌아간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602의 「Yes」), 처리는 스텝 604로 진행된다.
스텝 604는, 흡인 장치(100B)의 하나의 요소로서의 배터리(110)에 관한 도 4의 스텝 404 또는 도 5의 스텝 504(및 스텝 506)의 일례이다. 스텝 604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배터리(110)의 전압이 임계값(방전 종지 전압(예를 들면, 3.2V) 등)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인 경우(스텝 604의 「No」), 처리는 스텝 606으로 진행된다. 스텝 606은, 배터리(110)에 관한 도 4의 스텝 406 또는 도 5의 스텝 508의 일례이다. 스텝 60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양태는, LED를 적색으로 5.4초간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그 후,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보다 큰 경우(스텝 604의 「Yes」), 처리는 스텝 608로 진행된다.
스텝 608부터 612의 처리는 도 3의 스텝 308부터 312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처리는 스텝 614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2 양태로 기능시킨다. 제2 양태는, 유저가 흡인 장치(100B)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흡인을 행하고 있을 때의 통지부(108)의 동작 양태이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를 포함하는 경우, 스텝 614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당해 LED를 청색으로 정상적으로 점등시켜도 된다.
스텝 616부터 628의 처리는 도 3의 스텝 316부터 328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630부터 634는, 흡인 장치(100B)의 하나의 요소로서의 제3 부재(캡슐)(126)에 관한 도 4의 스텝 404 또는 도 5의 스텝 504 및 506의 일례이다. 스텝 630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적산 시간 TA가 소정의 임계값 시간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임계값 시간은, 캡슐(126)의 용량(예를 들면, 향미원(128)에 포함되는 향끽미 성분의 잔량)이, 충분한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값을 하회한다고 추정되는, 흡인 장치(100B)에 대한 흡인의 적산 시간으로 할 수 있다. 임계값 시간은, 미리 메모리(114) 등에 격납되어 있어도 된다. TA가 임계값 시간 이하인 경우(스텝 630의 「No」), 캡슐(126)의 용량이 캡슐(126)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것이 되어, 처리는 스텝 602 전으로 돌아간다. TA가 임계값 시간보다 큰 경우(스텝 630의 「Yes」), 캡슐(126)의 용량이 캡슐(126)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고 판정된 것이 되어, 처리는 스텝 632로 진행된다.
스텝 632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례에 있어서, 센서(112)가 압력 센서 또는 유량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센서(112)로부터 취득된 압력 또는 유량이 기정의 값을 넘는 절대값을 가질 때,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스텝 632의 「No」), 처리는 스텝 632 전으로 돌아간다. 즉, 제어부(106)는,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는 것을 기다린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632의 「Yes」), 처리는 스텝 634로 진행된다.
스텝 634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퍼프가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초)에 걸쳐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소정 시간은 메모리(114)에 격납되어 있어도 된다. 퍼프가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되지 않는 경우(스텝 634의 「No」), 처리는 스텝 632 전으로 돌아간다. 퍼프가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되었을 경우(스텝 634의 「Yes」), 처리는 스텝 636으로 진행된다. 스텝 634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백그라운드 노이즈의 발생에 기인하여 스텝 632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다고 잘못 판정되었을 경우에도, 이후의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 632 및 634의 처리는 모두 실행되어도 되고, 한쪽만 실행되어도 된다.
스텝 63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무화부(118)로의 통전을 금지한다. 또한, 스텝 636의 처리는, 스텝 630과 스텝 632의 사이에서 행해져도 된다.
처리는 스텝 638로 진행된다. 스텝 638은, 캡슐(126)에 관한 도 4의 스텝 406 또는 도 5의 스텝 508의 일례이다. 스텝 638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3 양태로 기능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를 포함하는 경우, 제3 양태는, LED를 청색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캡슐(126)의 용량이 부족한 것을 유저가 알아챌 수 있도록, 통지부(108)를 어느 정도 긴 시간(예를 들면, 40초)에 걸쳐 기능시켜도 된다.
스텝 640부터 644의 처리는 도 3의 스텝 340부터 344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638에 있어서 캡슐(126)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3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스텝 6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보다 엄격하다. 교환 등의 빈도가 높은 요소일수록, 통지부(108)가 동작하기 위한 조건이 엄격하기 때문에, 통지부(108)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쉽다. 따라서 교환 등의 빈도가 높은 요소에 대해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부(108)의 동작을 유저가 놓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스텝 6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라는 1개의 요건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 스텝 638에 있어서 캡슐(126)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3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i) TA가 임계값 시간보다 크고, 및 (ii)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다는 2개의 요건을 포함하고, 추가로 (iii) 퍼프가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되었다는 또 하나의 요건을 포함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 또는 도 5의 처리에 관련해 캡슐(126)에 관해서 판정되는 조건은, 당해 처리에 관련해 배터리(110)에 관해서 판정되는 조건보다 많은 요건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조건은, 흡인 장치(100B)의 복수의 요소 중,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많은 요건을 포함해도 된다. 교환 등의 빈도가 높은 요소일수록, 통지부(108)가 동작하기 위한 조건이 많은 요건을 포함하므로, 통지부(108)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쉽다. 따라서 교환 등의 빈도가 높은 요소에 대해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부(108)의 동작을 유저가 놓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도 6에 나타나는 스텝의 일부를 생략해도 되고, 또 일부 스텝의 순서를 바꿔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텝 606에 있어서 통지부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전에 스텝 602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를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시 말하면, 스텝 604에 있어서 제어부가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 후에, 제어부는 스텝 602를 실행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6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라는 1개의 요건만이 포함되는 것이 명확할 것이다.
또, 제어부(106)는, 스텝 602 이후의 처리에서, 항상 스텝 604의 판정을 계속해도 된다. 즉 스텝 608부터 644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06)가 검지하는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가 되면(스텝 604가 「Yes」), 인터럽트 처리로서 스텝 606을 실행하고,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6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에, 스텝 602에 있어서의 퍼프의 검지를 개시했는지 여부라는 요건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 요건은 스텝 602에 있어서 「Yes」라고 판단된 후의 스텝 중 어느 하나에서 스텝 604가 충족되면 된다는 비교적 느슨한 것이다. 이에 대해, 스텝 638에 있어서 캡슐(126)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3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스텝 630에 있어서 제어부(106)가, 적산 시간 TA가 소정의 임계값 시간보다 크다고 판정(스텝 630이 「Yes」)된 직후에, 제어부(106)가 스텝 632와 스텝 634에 관해서 「yes」라고 판정했다는 비교적 엄격한 요건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스텝 606은 에어로졸 생성중에도 실행될 수 있는 처리인데 대해, 스텝 638은 에어로졸 생성중에는 충족될 수 없는 처리이다.
또는, 제어부(106)는, 스텝 602가 「Yes」라고 판정된 직후에만, 스텝 604의 판정을 행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6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라는 요건에 더해, 퍼프의 개시를 검지했다는 요건을 포함한다. 그러나, 스텝 6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스텝 638에 있어서 캡슐(126)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3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에 포함되는 (iii) 퍼프가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되었다는 요건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느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4 또는 도 5의 처리에 관련해 캡슐(126)에 관해서 판정되는 조건은, 당해 처리에 관련해 배터리(110)에 관해서 판정되는 조건보다 많은 요건을 포함한다.
스텝 632에 관련해, 제어부(106)는, 에어로졸의 생성에 대한 요구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6)는, 센서(112)가 소정의 값보다 큰 압력을 검지했을 경우에, 에어로졸의 생성에 대한 요구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센서(112)가, 소정의 값보다 큰 압력을 검지했던 것에 응답해, 에어로졸의 생성에 대한 요구를 제어부(106)에 보내는 경우, 제어부(106)는, 당해 요구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해도 된다. 상기의 요구의 검지는, 스텝 632에 있어서의 퍼프의 개시의 검지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와 캡슐(126) 중, 상기 설명한 빈도가 가장 높은 캡슐(126)에 관해서 판정되어야 할 조건은, 상기의 요구의 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특징에 의해, 교환 등의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는, 통지부(108)를 기능시키기 위한 조건으로서 퍼프 검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저가 흡인을 행하는 것을 명확하게 원하고 있을 때 통지부(108)가 동작하므로, 유저가 통지부(108)의 동작을 놓칠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스텝 632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다고 판정될 때의 조건은, 스텝 602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다고 판정될 때의 조건보다 엄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텝 632의 판정에 이용되는 기정의 값은, 스텝 602의 판정에 이용되는 기정의 값보다 커도 된다. 또, 스텝 632의 판정에 이용되는 계속 시간은, 스텝 602의 판정에 이용되는 계속 시간보다 길어도 된다.
스텝 606 및 638에 관련해, 제어부(106)는, 복수의 요소 중 상기 설명한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당해 요소에 관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통지부(108)를 보다 긴 시간 기능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캡슐(126)이 배터리(110)보다 상기 빈도가 높기 때문에, 스텝 638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기능하는 시간은, 스텝 606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기능하는 시간보다 길어도 된다. 이 특징에 의해, 교환 등의 빈도가 높은 요소에 관해서, 유저가 통지부(108)의 동작을 놓칠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통지부(108)가 LED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복수 요소의 각각에 대해 다른 발광색을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6)는, 배터리(110)에 관한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적색으로 설정하고, 캡슐(126)에 관한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청색으로 설정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복수의 요소 중의 각각의 요소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설명한 빈도에 근거하여, 각각의 요소에 대해서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설정해도 된다. 이 특징에 의해, 어느 요소를 교환해야 할 것인지 등을 유저가 인식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제어부(106)는,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한색계에 가까워지도록 설정해도 된다. 빈번하게 점등하는 색을 한색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유저를 과도하게 경계시키지 않고, 평상시의 사용 감각으로 교환 작업을 유저에게 촉구할 수 있다.
또, 제어부(106)는,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낮은 것일수록,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난색계에 가까워지도록 설정해도 된다. 보다 넓은 개념으로는, 제어부(106)는,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파장이 짧은 색으로 설정하고, 상기 빈도가 낮은 것일수록,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파장이 긴 색으로 설정해도 된다. 교환 등의 빈도가 낮은 요소에 관해서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난색계로 하는 것에 의해, 드물게 교환 등이 필요한 요소의 교환 타이밍이 찾아왔을 때에 유저의 주의를 강하게 끌어당길 수 있다.
제어부(106)는 또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에 관해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발광 소자의 발광색과, 에어로졸 생성중의 발광 소자의 발광색이 동일해지도록, 발광 소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예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스텝 614의 통상 동작에 있어서의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청색으로 설정하고, 배터리(110) 및 캡슐(126) 중 상기 빈도가 가장 높은 캡슐(126)에 관련지어져 있는, 스텝 638에 있어서의 발광 소자의 발광색도 청색으로 설정해도 된다. 이 특징에 의해, 교환 등의 빈도(즉, 유저에 대한 통지의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에 대해 교환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유저 익스피리언스를 해치지 않으면서 유저에게 이해시킬 수 있다.
제어부(106)는,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요소가 분리된 경우에, 통지부(108)의 기능을 중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6의 예에서는, 제2 부재(104) 및 제3 부재(126)가 분리 가능한 경우, 제어부(106)는, 이 부재들 중 1개 또는 양쪽 다 분리된 경우에 통지부(108)의 기능을 중단해도 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100)의 동작의 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흡인 장치가 도 1b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B)의 구성을 갖고, 배터리 수용부(102)(또는 배터리(110)), 카트리지(104)(또는 리저버(116)) 및 캡슐(126)(또는 향미원(128))이 도 4 및 도 5에 있어서의 「요소」인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또한, 도 7의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110), 카트리지(104) 및 캡슐(126)에 대해, 임계값이나 기정의 조건에 관한 판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흡인 장치(100B)의 요소인 배터리(110), 카트리지(104) 및 캡슐(126) 중,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는, 캡슐(126)이 가장 높고, 이어서 카트리지(104)가 높으며, 배터리(110)가 가장 낮은 것으로 한다. 일례에 있어서, 캡슐이 10회 교환되는 동안에, 카트리지(104)는 2회 교환되면 되고, 배터리(110)는 1회 충전되면 된다.
처리는 스텝 702에서 개시된다. 스텝 702부터 728의 처리는 도 6의 스텝 602부터 628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의 스텝 606과 마찬가지로, 스텝 70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양태는, LED를 적색으로 5.4초간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스텝 729, 746 및 748은, 흡인 장치(100B)의 하나의 요소로서의 카트리지(104)에 관한 도 4의 스텝 404 또는 도 5의 스텝 504 및 506의 일례이다. 스텝 729부터 734는, 흡인 장치(100B)의 하나의 요소로서의 캡슐(126)에 관한 도 4의 스텝 404 또는 도 5의 스텝 504 및 506의 일례이다.
스텝 729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카트리지(104)의 용량이 소정의 임계값 용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카트리지(104)의 용량이 임계값 용량보다 큰 경우(스텝 729의 「Yes」), 처리는 스텝 730으로 진행된다. 스텝 730부터 744의 처리는 도 6의 스텝 630부터 644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스텝 734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퍼프가 제1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초)에 걸쳐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 스텝 738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3 양태로 기능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를 포함하는 경우, 제3 양태는, LED를 청색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캡슐(126)의 용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유저가 알아챌 수 있도록, 통지부(108)를 어느 정도 긴 시간(예를 들면, 40초)에 걸쳐 기능시켜도 된다.
스텝 729에 있어서, 카트리지(104)의 용량이 임계값 용량 이하인 경우(스텝 729의 「No」), 처리는 스텝 746으로 진행된다. 스텝 74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례에 있어서, 센서(112)가 압력 센서 또는 유량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센서(112)로부터 취득된 압력 또는 유량이 기정의 값을 넘는 절대값을 가질 때,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또 센서(112)에 의해 압력 또는 유량이 검지되는 계속 시간이 기정의 계속 시간을 넘을 때,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스텝 746의 「No」), 처리는 스텝 746 전으로 돌아간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746의 「Yes」), 처리는 스텝 748로 진행된다.
스텝 748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퍼프가 제2 소정 시간(예를 들면, 0.5초)에 걸쳐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제2 소정 시간은 메모리(114)에 격납되어 있어도 된다. 퍼프가 제2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되지 않는 경우(스텝 748의 「No」), 처리는 스텝 746 전으로 돌아간다. 퍼프가 제2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되었을 경우(스텝 748의 「Yes」), 처리는 스텝 750으로 진행된다. 스텝 746 및 748의 처리는, 모두 실행되어도 되고, 한쪽만 실행되어도 된다. 또는, 스텝 746 및 748의 처리는 생략되어도 된다.
스텝 750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무화부(118)로의 통전을 금지한다. 또한, 스텝 750의 처리는, 스텝 729와 스텝 746의 사이에 행해져도 된다.
처리는 스텝 752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4 양태로 기능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를 포함하는 경우, 제3 양태는, LED를 녹색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카트리지(104)의 용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유저가 알아챌 수 있도록, 통지부(108)를 어느 정도 긴 시간(예를 들면, 20초)에 걸쳐 기능시켜도 된다.
스텝 7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라는 1개의 요건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 스텝 752에 있어서 카트리지(104)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4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i) 카트리지(104)의 용량이 임계값 용량 이하인 것, 및 (ii) 퍼프의 개시가 검지된 것이라는 2개의 요건을 포함하고, 추가로 (iii) 퍼프가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 것이라는 또 하나의 요건을 포함해도 된다. 또, 스텝 738에 있어서 캡슐(126)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3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i) 카트리지(104)의 용량이 임계값 용량보다 큰 것, (ii) TA가 임계값 시간보다 큰 것, 및 (iii) 퍼프의 개시가 검지된 것이라는 3개의 요건을 포함하고, 추가로 (iv) 퍼프가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된 것이라는 또 하나의 요건을 포함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 또는 도 5의 처리에 관련해 캡슐(126)에 관해서 판정되는 조건은 가장 많은 요건을 포함하고, 당해 처리에 관련해 카트리지(104)에 관해서 판정되는 조건은 다음으로 많은 요건을 포함하며, 당해 처리에 관련해 배터리(110)에 관해서 판정되는 조건은 가장 적은 요건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흡인 장치(100B)의 복수의 요소 중,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높은 요소에 설정된 조건일수록, 많은 요건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06)는 도 7에 나타나는 스텝의 일부를 생략해도 되고, 또 일부 스텝의 순서를 바꿔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텝 706에 있어서 통지부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전에 스텝 702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를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시 말하면, 스텝 704에 있어서 제어부가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 후에, 제어부는 스텝 702를 실행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7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라는 1개의 요건만이 포함되는 것이 명확할 것이다.
또, 제어부(106)는 스텝 702 이후의 처리에서, 항상 스텝 704의 판정을 계속해도 된다. 즉 스텝 708부터 754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06)가 검지하는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가 되면(스텝 704가 「yes」), 인터럽트 처리로서 스텝 706을 실행하고,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7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에, 스텝 702에 있어서의 퍼프의 검지를 개시했는지 여부라는 요건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 요건은 스텝 702에 있어서 「yes」라고 판단된 후의 스텝 중 어느 하나에서 스텝 704가 충족되면 된다는 비교적 느슨한 것이다. 이에 대해, 스텝 738에 있어서 캡슐(126)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3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스텝 730에 있어서 제어부(106)가, 적산 시간 TA가 소정의 임계값 시간보다 크다고 판정(스텝 730이 「yes」)된 직후에, 제어부(106)가 스텝 732와 스텝 734에 관해서 「yes」라고 판정했다는 비교적 엄격한 요건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스텝 752에 있어서 카트리지(104)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4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스텝 729에 있어서 제어부(106)가, 카트리지 용량이 소정의 임계값 용량 미만이라고 판정(스텝 729가 「No」)한 직후에, 제어부(106)가 스텝 746과 스텝 748에 관해서 「Yes」라고 판정했다는 비교적 엄격한 요건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스텝 706은 에어로졸 생성중에도 실행될 수 있는 처리인데 대해, 스텝 738과 스텝 752는 에어로졸 생성중에는 충족될 수 없는 처리이다.
또, 제어부(106)는 스텝 704가 「Yes」라고 판정된 직후에만, 스텝 704의 판정을 행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7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라는 요건에 더해, 퍼프의 개시를 검지했다는 요건을 포함한다. 그러나, 스텝 706에 있어서 배터리(110)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1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은, 스텝 738에 있어서 캡슐(126)에 관해서 통지부(108)를 제3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 또는 스텝 752에 있어서 카트리지(104)에 관해서 통지부를 제4 양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조건에 포함되는 (iii) 퍼프가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되었다는 요건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느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캡슐(126)과 카트리지(104)에 관해서 판정되는 조건은, 당해 처리에 관련해 배터리(110)에 관해서 판정되는 조건보다 많은 요건을 포함한다.
스텝 732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다고 판정되기 위한 요건은, 스텝 746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다고 판정되기 위한 요건보다 엄격해도 된다. 일례에 있어서, 센서(112)가 압력 센서 또는 유량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스텝 732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센서(112)로부터 취득된 압력이 제1 소정의 값을 넘는 경우에,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한편, 스텝 74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센서(112)로부터 취득된 압력이 제1 소정의 값보다 작은 제2 소정의 값을 넘는 경우에,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 스텝 734에 있어서 판정에 이용되는 제1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초)은, 스텝 748에 있어서 판정에 이용되는 제2 소정 시간(예를 들면, 0.5초)보다 길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 또는 도 5의 처리에 관련해 캡슐(126)에 관해서 판정되는 조건은, 당해 처리에 관련해 카트리지(104)에 관해서 판정되는 조건보다, 충족될 가능성이 낮다. 다시 말하면, 흡인 장치(100B)의 복수의 요소 중,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높은 요소에 설정된 조건일수록, 충족될 가능성이 낮다. 교환 등의 빈도가 높은 요소일수록, 통지부(108)가 동작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통지부(108)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쉽다. 따라서 교환 등의 빈도가 높은 요소에 대해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부(108)의 동작을 유저가 놓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설명에 있어서,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는, 도 1a 또는 도 1b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흡인 장치 및 도 4부터 도 7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개시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당해 프로세서에, 도 4로부터 도 7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내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또는 당해 프로그램을 격납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3 실시형태>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100)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06)가 도 8에 나타나는 모든 스텝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그러나, 도 8의 일부 스텝이 흡인 장치(100) 내의 다른 컴퍼넌트에 의해 실행되어도 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처리는 스텝 802에 있어서 개시되고, 제어부(106)는, 흡인 장치(100)의 제1 요소의 용량을 검지 또는 추정한다. 「요소」 및 「용량」과 같은 용어의 의미는, 제1 실시형태에 관련해 이미 설명되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인 장치(100)는 복수의 요소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도 1a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A)는, 제1 부재(예를 들면, 배터리 수용부)(102)(또는 배터리(110)) 및 제2 부재(예를 들면, 카트리지)(104)(또는 리저버(116))를 요소로서 갖는다. 도 1b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B)는, 이들 2개의 요소에 더해, 제3 부재(예를 들면, 캡슐)(126)(또는 향미원(128))를 요소로서 갖는다. 흡인 장치(100)는 또 복수의 동일한 요소 또는 복수의 동종의 요소를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b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B)는, 복수의 제3 부재(예를 들면, 제1 및 제2 캡슐)(126)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캡슐은, 동일한 최대 용량을 갖는 동일한 종류의 향미원을 포함해도 되고, 다른 최대 용량을 갖는 동일한 종류의 향미원을 포함해도 되며, 동일한 최대 용량을 갖는 다른 종류의 향미원을 포함해도 되고, 다른 최대 용량을 갖는 다른 종류의 향미원을 포함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흡인 장치(100)는, 복수의 카트리지(104)나 복수의 배터리(110)를 요소로서 포함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흡인 장치가 도 1b의 흡인 장치(100B)의 구성을 갖고, 배터리(110), 카트리지(104) 및 캡슐(126)을 요소로서 구비하는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도 1a의 흡인 장치(100A) 등의 다른 구성의 흡인 장치에 대해서도 본 실시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분명할 것이다.
요소의 용량은 다양한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센서(112)는 중량 센서여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센서(112)를 이용하여 요소의 중량(예를 들면, 카트리지(104) 내의 리저버(116)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이 액체나 담배인 경우에 있어서의, 당해 액체나 담배의 중량)을 검지하여, 검지된 중량을 당해 요소의 용량이라고 판단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센서(112)는, (카트리지(104) 내의 리저버(116)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 등의)액면의 높이를 검지할 수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센서(112)를 이용하여 요소의 액면의 높이를 검지하여, 검지된 액면의 높이에 근거하여 당해 요소의 용량을 추정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메모리(114)는, 무화부(118)에 대한 통전 시간의 적산값을 격납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메모리(114)로부터 취득된 적산 통전 시간에 근거하여, 요소의 용량(예를 들면, 카트리지(104) 내의 리저버(116)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의 잔량, 담배의 향끽미 성분의 잔량, 캡슐(126) 내의 향미원(128)에 포함되는 향끽미 성분의 잔량 등)을 추정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메모리(114)는, 유저가 흡인 장치(100)에 대해서 행한 흡인(전자 담배의 예에 있어서는 「퍼프」)의 횟수를 격납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메모리(114)로부터 취득된 흡인 횟수에 근거하여, 요소의 용량을 추정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메모리(114)는, 무화부(118)의 가열 이력에 관한 데이터를 격납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메모리(114)로부터 취득된 당해 데이터에 근거하여, 요소의 용량을 추정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메모리(114)는, 배터리(110)의 SOC(State of Charge, 충전 상태), 전류 적산값 및/또는 전압에 관한 데이터를 격납해도 된다. 센서(112)가 이 값들을 검지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06)는, 이 데이터들에 근거하여, 요소(특히, 배터리(110))의 용량을 검지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센서(112)는, 캡슐(126) 및/또는 카트리지(104)가 분리된 것을 검지하는 감합 검지 기능(또는 접속 검지 기능)을 가져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캡슐(126)이 분리된 것을 센서(112)가 검지했을 경우에, 캡슐(126)의 용량이 제로라고 추정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또 카트리지(104)가 분리된 것을 센서(112)가 검지했을 경우에, 카트리지(104)의 용량이 제로라고 추정해도 된다.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요소의 용량은,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다른 요소의 용량과는 다른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요소의 용량은,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다른 요소의 용량과 동일한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슐(126)의 용량 및 카트리지(104)의 용량은 모두, 무화부(118)로의 누적 통전 시간 또는 누적 전력량에 근거하여 검지 또는 추정되어도 된다. 또, 배터리(110)의 용량 및 카트리지(104)의 용량은 모두, 누적 전류값에 근거하여 검지 또는 추정되어도 된다.
처리는 스텝 804로 진행된다. 스텝 804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스텝 802에 있어서 검지 또는 추정된 제1 요소(예를 들면, 캡슐(126))의 용량이 제1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임계값은, 제1 요소와 관련지어져 메모리(114)에 격납되어도 된다. 제어부(106)는 제1 임계값을 메모리(114)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요소의 용량은 다양한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요소의 용량을 검지 또는 추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제1 임계값은 다양한 형식 및 값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요소의 용량이 제1 임계값 미만이 아닌 경우(스텝 804의 「No」), 처리는 스텝 802 전으로 돌아간다. 제1 요소의 용량이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스텝 804의 「Yes」), 처리는 스텝 806으로 진행된다. 스텝 80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흡인 장치(100)의 제2 요소(예를 들면, 카트리지(104))의 용량을 검지 또는 추정한다.
처리는 스텝 808로 진행된다. 스텝 808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스텝 806에 있어서 검지 또는 추정된 제2 요소의 용량이 제2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요소의 용량은 다양한 방법으로 검지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요소의 용량을 검지 또는 추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제2 임계값은 다양한 형식 및 값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요소의 용량이 제2 임계값 미만이 아닌 경우(스텝 808의 「No」), 처리는 스텝 810으로 진행된다. 스텝 810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흡인 장치(100)의 흡인자(유저)에 대해서 제1 모드로 통지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1 모드로 기능시킨다. 통지부(108)는, LED 등의 발광 소자, 디스플레이, 스피커, 바이브레이터 등을 포함해도 된다. 통지부(108)는, 필요에 따라 발광, 표시, 발성, 진동 등에 의해, 유저에 대해서 어떠한 통지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스텝 808의 「No」인 경우, 제어부(106)는, 추가로, 센서(112)에 의해 검지되는 기정의 변수가, 에어로졸의 생성을 요구하기 위한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켰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당해 기정의 변수가 당해 기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제어부(106)는, 스텝 810에 있어서, 통지부(108)를 제1 모드로 기능시켜도 된다. 일례에 있어서, 기정의 변수는 압력 또는 유량이어도 되고, 기정의 조건은, 당해 압력 또는 당해 유량이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기 위한 소정의 값 이상인 것을 포함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기정의 조건은, 압력 또는 유량이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기 위한 소정 시간에 걸쳐 계속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특징들에 의해, 스텝 804 및 808의 판정 결과에 근거할 뿐만 아니라, 유저가 흡인 장치(100)를 이용하여 흡인을 하려고 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는 것에도 근거하여, 통지부(108)가 제1 모드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유저는, 제1 요소(예를 들면, 캡슐(126))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더욱 알아채기 쉬워진다.
제2 요소의 용량이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스텝 808의 「Yes」), 처리는 스텝 812로 진행된다. 스텝 812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유저에 대해서 제2 모드로 통지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2 모드로 기능시킨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요소(예를 들면, 캡슐)의 용량만이 부족한 경우와, 제1 요소 및 제2 요소(예를 들면, 카트리지)의 용량이 모두 부족한 경우에, 통지부(108)를 다른 모드로 기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제1 요소만을 교환해야 할지, 아니면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모두 교환해야 할지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흡인 장치(100)는, 적어도 제1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기정의 조건은, 당해 복수 요소의 각각 관하여, 검지 또는 추정된 용량이 당해 요소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는 요건을 포함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이러한 기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통지부(108)를 기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조건은, 복수의 요소 중 에어로졸의 계속적인 생성에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엄격해도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조건은, 복수의 요소 중 에어로졸의 계속적인 생성에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가 낮은 것일수록 느슨해도 된다. 또, 상기 조건은,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충족될 가능성이 낮아도 된다. 또는, 상기 조건은,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많은 요건을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특징들에 의해, 빈번하게 교환 등이 이루어지는 요소에 대해 통지부(108)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당해 요소의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부(108)의 동작을 유저가 놓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어부(106)는, 에어로졸의 생성에 대한 요구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의 상기 조건은, 이 요구의 검지를 포함해도 된다. 이 특징에 의해, 교환 등의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는, 통지부(108)를 기능시키기 위한 조건으로서 퍼프 검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저가 흡인을 행하는 것을 명확하게 원하고 있을 때 통지부(108)가 동작하므로, 유저가 통지부(108)의 동작을 놓칠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제어부(106)는,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통지부(108)를 보다 긴 시간 기능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특징에 의해, 유저는, 교환 등의 빈도가 높은 요소에 대해, 통지부(108)가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놓치기 어려워진다.
통지부(108)가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복수 요소의 각각에 대해, 발광 소자의 발광색이 다르도록 설정해도 된다. 이로써, 유저는, 어느 요소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 등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106)는 또 복수 요소의 상기 빈도에 근거하여, 복수 요소의 각각에 대해,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특징에 의해, 어느 요소를 교환해야 할 것인지 등을 유저가 인식하기 쉬워진다. 제어부(106)는 또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높은 것일수록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한색계에 가깝게 설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빈번하게 점등하는 색을 한색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유저를 과도하게 경계시키지 않고, 평상시의 사용 감각으로 교환 작업을 유저에게 촉구할 수 있다. 제어부(106)는 또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에 관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발광 소자의 발광색과 에어로졸 생성중의 발광 소자의 발광색이 동일해지도록, 발광 소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특징에 의해, 교환 등의 빈도(즉, 유저에 대한 통지의 빈도)가 가장 높은 요소에 대해 교환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유저 익스피리언스를 해치지 않으면서 유저에게 이해시킬 수 있다. 제어부(106)는 또 복수의 요소 중 상기 빈도가 낮은 것일수록,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난색계에 가깝게 설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교환 등의 빈도가 낮은 요소에 관해서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난색계로 하는 것에 의해, 드물게 교환 등이 필요한 요소의 교환 타이밍이 찾아왔을 때에 유저의 주의를 강하게 끌어당길 수 있다.
도 8의 처리에 있어서, 제1 요소에 대한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이하, 통틀어 「에어로졸」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을 계속해서 생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갖는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는 빈도는, 제2 요소에 대한 당해 빈도보다 높다. 일례에 있어서, 제1 요소(캡슐(126))가 5회 교환되는 동안에, 제2 요소(카트리지(104))는 1회 교환되면 된다.
도 8의 처리에 있어서, 캡슐(126)이 제1 요소이며, 배터리(110)가 제2 요소여도 된다. 일례에 있어서, 캡슐(126)이 10회 교환되는 동안에, 배터리(110)는 1회 충전되면 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흡인 장치(100)의 동작의 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06)가 도 9에 나타나는 모든 스텝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그러나, 도 9의 일부 스텝이 흡인 장치(100) 내의 다른 컴퍼넌트에 의해 실행되어도 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여기에서는, 흡인 장치가 도 1b에 나타내는 흡인 장치(100B)의 구성을 갖고, 흡인 장치(100B)가 배터리(110), 카트리지(104) 및 캡슐(126)을 요소로서 가지며, 캡슐(126)이 도 8에 있어서의 제1 요소에 해당하고, 카트리지(104)가 제2 요소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또, 캡슐(126)이 5회 교환되는 동안에, 카트리지(104)가 1회 교환되면 된다고 가정한다.
처리는 스텝 902에 있어서 개시된다. 스텝 902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유저에 의한 흡인 장치(100)의 퍼프의 개시를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례로서 센서(112)가 압력 센서 또는 유량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6)는, 센서(112)로부터 취득된 압력 또는 유량이 기정의 값을 넘었을 때에,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또 센서(112)에 의해 압력 또는 유량이 검지되는 계속 시간이 기정의 계속 시간을 넘을 때,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흡인 장치(100)는 개시용 버튼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제어부(106)는, 당해 버튼이 눌린 경우에, 퍼프가 개시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스텝 902의 「No」), 처리는 스텝 902 전으로 돌아간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902의 「Yes」), 처리는 스텝 904로 진행된다.
스텝 904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배터리(110)의 전압이 임계값(방전 종지 전압(예를 들면, 3.2V) 등)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 이하인 경우(스텝 904의 「No」), 처리는 스텝 906으로 진행된다. 스텝 90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4 모드로 기능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를 포함하는 경우, 제4 모드는, LED를 적색으로 5.4초간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4 모드는, 바이브레이터를 5.4초간 진동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그 후,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배터리(110)의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보다 큰 경우(스텝 904의 「Yes」), 처리는 스텝 908로 진행된다.
스텝 908부터 912의 처리는 도 3의 스텝 308부터 312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처리는 스텝 914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3 모드로 기능시킨다. 제3 모드는, 유저가 흡인 장치(100B)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흡인을 행하고 있을 때의 통지부(108)의 동작 양태이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를 포함하는 경우, 스텝 914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당해 LED를 청색으로 정상적으로 점등시켜도 된다.
스텝 916부터 928의 처리는 도 3의 스텝 316부터 328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930은, 흡인 장치(100B)의 제1 요소로서의 캡슐(126)에 관한 도 8의 스텝 804의 일례이다. 스텝 930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적산 시간 TA가 소정의 임계값 시간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임계값 시간은, 캡슐(126)의 용량(예를 들면, 향미원(128)에 포함되는 향끽미 성분의 잔량)이, 충분한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값을 하회한다고 추정되는, 흡인 장치(100B)에 대한 흡인의 적산 시간으로 할 수 있다. 임계값 시간은, 미리 메모리(114) 등에 격납되어 있어도 된다. TA가 임계값 시간 이하인 경우(스텝 930의 「No」), 캡슐(126)의 용량이 제1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것이 되어, 처리는 스텝 902 전으로 돌아간다. TA가 임계값 시간보다 큰 경우(스텝 930의 「Yes」), 캡슐(126)의 용량이 제1 임계값 미만이라고 판정된 것이 되어, 처리는 스텝 932로 진행된다.
스텝 932부터 936의 처리는 도 3의 스텝 332부터 336의 처리와 동일하다. 스텝 932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다고 판정될 때의 조건은, 스텝 902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다고 판정될 때의 조건보다 엄격해도 된다. 또는, 스텝 932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다고 판정될 때의 조건이 충족될 가능성은, 스텝 902에 있어서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다고 판정될 때의 조건이 충족될 가능성보다 낮아도 된다. 일례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기정의 값을 넘는 절대값을 갖는 변수(예를 들면, 압력 또는 유량)의 검지를 포함해도 된다. 이때, 스텝 932의 판정에 이용되는 기정의 값은, 스텝 902의 판정에 이용되는 기정의 값보다 커도 된다. 퍼프의 개시가 검지되었다고 판정될 때의 상기 조건은 또 스텝 934에 있어서, 퍼프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것을 포함해도 된다. 일례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기정의 계속 시간을 넘는 변수(예를 들면, 압력)의 검지를 포함해도 된다. 스텝 902에 있어서도 이러한 계속 시간을 이용한 판정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스텝 934의 판정에 이용되는 계속 시간은, 스텝 902의 판정에 이용되는 계속 시간보다 길어도 된다. 이러한 특징들에 의해, 통상의 흡인시에 있어서는, 유저의 퍼프 동작에 대한 에어로졸 생성의 응답을 양호하게 하여, 위화감 없는 흡인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캡슐(126)의 용량이 제1 임계값 미만일 때, 백그라운드 노이즈에 기인하여 흡인 장치(100)가 잘못해서 통상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처리는 스텝 938로 진행된다. 스텝 938은, 흡인 장치(100B)의 제2 요소로서의 카트리지(104)에 관한 도 8의 스텝 808의 일례이다. 스텝 938에 있어서, N은 캡슐(126)이 교환된 횟수를 나타낸다. 스텝 938에 있어서, 「소정 횟수」란, 카트리지(104)가 1회 교환되는 동안에 캡슐(126)이 교환되어야 할 횟수를 나타낸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도 9의 예에서는, 카트리지(104)가 1회 교환되는 동안에 캡슐(126)은 5회 교환되므로, 여기에서는 소정 횟수는 5이다. 따라서 N≥5인 경우, 캡슐(126) 및 카트리지(104)를 모두 교환할 필요가 있고, N이 5보다 작은 경우, 캡슐(126)만 교환할 필요가 있고, 카트리지(104)를 교환할 필요는 없다.
스텝 938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N이 소정 횟수(여기에서는, 5)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N은 메모리(114)에 격납되어 있어도 된다. N이 소정의 횟수 미만인 경우(스텝 938의 「No」)는, 도 8에 있어서의 스텝 808에 있어서의 「No」에 대응한다. 즉, 이때, 제1 요소인 캡슐(126)의 용량은 제1 임계값 미만이지만, 제2 요소인 카트리지(104)의 용량은 제2 임계값 이상이다. 이 경우, 처리는 스텝 940으로 진행된다. 스텝 940에 있어서는, 도 8의 스텝 810과 마찬가지로,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1 모드로 기능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모드는, 발광 소자를 청색으로 40초간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모드는, 바이브레이터를 2초간 진동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통지부(108)를 제1 모드로 기능시키는 경우, 제어부(106)는 에어로졸의 생성을 정지해도 된다. 이것은 스텝 936의 처리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6)는 무화부(118)로의 통전을 금지한다.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유저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어, 유저는, 캡슐(126)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더욱 알아채기 쉬워진다. 또한, 캡슐(126)의 잔량이 부족할 때에 불완전한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흡인 체험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지부(108)가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스텝 940에 있어서의 제1 모드와 스텝 914에 있어서의 제3 모드에 있어서, 발광 소자의 발광색은 동일해도 되고, 발광 소자의 발광 양태는 달라도 된다. 또는, 제1 모드와 제3 모드에 있어서, 발광 소자의 발광색은 달라도 되고, 발광 소자의 발광 양태는 동일해도 된다. 또는, 제1 모드와 제3 모드에 있어서, 발광 소자의 발광색 및 발광 양태가 모두 달라도 된다. 이러한 특징들에 의해, 캡슐(126)의 용량이 부족할 때, 흡인에 관련된 어떠한 이상이 발생했다는 것을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어, 캡슐(126)의 교환을 유저에게 촉구하기 쉬워진다.
처리는 스텝 942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무화부(118)로의 통전의 금지를 해제한다. 이때, 제어부(106)는, 캡슐(126)의 용량이 소정의 값(예를 들면, 에어로졸 또는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값)으로 돌아왔다고 추정해도 된다. 유저가 간과하기 어려운 통지가 이미 통지부(108)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므로, 제1 모드에서의 통지부(108)의 기능의 완료 후에는, 용량이 부족한 캡슐(126)이 교환되어 있거나 할 개연성이 높다. 상기의 특징에 의하면, 캡슐(126)의 교환 등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검지할 목적을 위해서만 이용되는, 감합 검지나 스위치를 위한 제어 로직이나 소자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적산 시간이나 교환 횟수의 카운트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06)는 또 제1 모드에서의 통지부(108)의 기능이 종료된 후, 캡슐(126)의 용량이 소정의 값으로 돌아온 횟수를 계수해도 된다. 이 특징에 의해, 요소의 교환 등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검지할 목적을 위해서만 이용되는, 감합 검지나 스위치를 위한 제어 로직이나 소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흡인 장치(100)의 제품 수명이나 다른 요소의 소모 정도 등을 추정하는데 유용한 파라미터인 상기 요소의 교환 횟수를 계수할 수 있다.
처리는 스텝 944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N을 1만 증분한다. 이로써, 캡슐(126)이 교환된 횟수가 1만 증가한다. 스텝 946에 있어서, 제어부(106)는, 적산 시간 TA를 리셋한다(0으로 설정한다).
스텝 938에 있어서 N이 소정 횟수인 경우(스텝 「938」의 「Yes」)는, 도 8에 있어서의 스텝 808에 있어서의 「Yes」에 대응한다. 즉, 이때, 제1 요소인 캡슐(126)의 용량은 제1 임계값 미만이고 또한 제2 요소인 카트리지(104)의 용량은 제2 임계값 미만이다. 따라서 캡슐(126)과 카트리지(104)를 모두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처리는 스텝 948로 진행된다. 스텝 948에 있어서는, 도 8의 스텝 812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06)는 통지부(108)를 제2 모드로 기능시킨다. 일례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LED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제2 모드는, 발광 소자를 녹색으로 60초간 점멸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106)는, 스텝 940에 있어서의 제1 모드와 스텝 948에 있어서의 제2 모드에 있어서, 통지부(108)의 발광 소자를 다른 발광색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특징에 의해, 캡슐(126)만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와 캡슐(126) 및 카트리지(104)를 모두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에, 발광 소자의 발광색이 바뀌므로, 유저는, 어느 요소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 등을 이해하기 쉽다.
제어부(106)는, 제1 모드에 있어서의 발광 소자의 발광색을, 제2 모드에 있어서의 발광색과 비교해 한색계에 가깝게 설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로써, 캡슐(126)만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는, 발광 소자는 한색계의 색으로 발광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교환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는 것을 유저가 인식하기 쉬워져, 캡슐(126)만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 아니면 캡슐(126)과 카트리지(104)를 모두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를 더욱 알기 쉬워진다.
제어부(106)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 있어서, 통지부(108)를 다른 길이의 시간동안 기능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로써, 캡슐(126)만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 아니면 캡슐(126)과 카트리지(104)를 모두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를 더욱 알기 쉬워진다. 제어부(106)는, 제1 모드에 있어서 통지부(108)를 기능시키는 시간을, 제2 모드에 있어서 통지부(108)를 기능시키는 시간과 비교해 짧게 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로써, 캡슐(126)만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통지부(108)가 기능하는 시간이 짧아진다. 따라서 단시간에 완료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유저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캡슐(126)만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 아니면 캡슐(126)과 카트리지(104)를 모두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를 더욱 알기 쉬워진다.
다른 예에 있어서, 통지부(108)가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2 모드는, 바이브레이터를 60초간 진동시키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처리는 스텝 950으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무화부(118)로의 통전의 금지를 해제한다. 이 처리는 스텝 942의 처리와 동일하다.
처리는 스텝 952로 진행되며, 제어부(106)는 N을 1로 설정한다. 이로써, 캡슐(126)이 교환된 횟수가 1로 리셋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946으로 진행된다.
제어부(106)는,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요소가 분리된 경우에, 통지부(108)의 기능을 중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9의 예에서는, 카트리지(104) 및 캡슐(126)이 분리 가능한 경우, 제어부(106)는, 이들 중 1개 또는 양쪽 다 분리된 경우에 통지부(108)의 기능을 중단해도 된다.
상기 설명한 설명에 있어서,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는, 도 1a 또는 도 1b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흡인 장치, 및 도 8 또는 도 9에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개시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당해 프로세서에, 도 8 혹은 도 9에 나타내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또는 당해 프로그램을 격납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가 설명되었지만, 이것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실시형태의 변경, 추가, 개량 등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설명한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한정되어서는 안 되고,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규정되어야 한다.
100A, 100B…흡인 장치, 102…제1 부재, 104…제2 부재, 106…제어부, 108…통지부, 110…배터리, 112…센서, 114…메모리, 116…리저버, 118…무화부, 120…공기 도입 유로, 121…에어로졸 유로, 122…마우스피스부, 124…화살표, 126…제3 부재, 128…향미원

Claims (10)

  1. 에어로졸원을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접속되는 흡인 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무화부(霧化部)를 포함하고,
    상기 무화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에어로졸에는, 향미원(香味源)으로부터 향미가 부여되며,
    에어로졸의 계속적인 생성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상기 에어로졸원의 교환의 빈도는, 상기 향미원의 교환의 빈도보다 낮고,
    상기 흡인 장치는,
    상기 무화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유저가 상기 흡인 장치를 이용하여 흡인을 하려고 할 때에 검지(檢知)되는 에어로졸 생성 요구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취득된 경우에 있어,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상기 흡인 장치에서 생성 가능으로 인정되는 상기 향미원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무화부로 전력을 공급시켜 상기 에어로졸원을 무화시키지 않고, 상기 향미원의 교환을 촉구하기 위한 제1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
    를 구비하는, 흡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에어로졸원 및 상기 향미원 중 적어도 한쪽의 잔량(殘量)에 관한 통지를 행하는, 흡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취득된 경우에 있어,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상기 흡인 장치에서 생성 가능으로 인정되는 상기 향미원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 상기 카트리지 내의 상기 에어로졸원의 잔량에 관계없이 상기 제1 통지를 행하는, 흡인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취득된 경우에 있어,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상기 흡인 장치에서 생성 가능으로 인정되는 상기 향미원이 존재할 때에, 상기 제1 통지와 다른 제2 통지를 행하는, 흡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로졸의 계속적인 생성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의 빈도는, 상기 향미원의 교환의 빈도보다 낮은, 흡인 장치.
  6.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흡인 장치는,
    상기 무화부로의 통전 시간의 적산값에 근거하여 상기 에어로졸원 및 상기 향미원 중 적어도 한쪽의 잔량을 추정하는 제어부,
    를 더 구비하는, 흡인 장치.
  7.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흡인 장치는,
    흡인을 검지하는 흡인 검지부와,
    상기 흡인 검지부에 의해 흡인이 검지된 횟수에 근거하여 상기 에어로졸원 및 상기 향미원 중 적어도 한쪽의 잔량을 추정하는 제어부,
    를 더 구비하는, 흡인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액체 상태의 상기 에어로졸원을 수용하는 탱크를 포함하는, 흡인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향미원은, 담배 유래 또는 비(非)담배 유래의 가공물인, 흡인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디스플레이인, 흡인 장치.
KR1020217037621A 2017-01-24 2017-01-24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90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1640A KR20230015506A (ko) 2017-01-24 2017-01-24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2221 WO2018138751A1 (ja) 2017-01-24 2017-01-24 吸引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197022994A KR102331615B1 (ko) 2017-01-24 2017-01-24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994A Division KR102331615B1 (ko) 2017-01-24 2017-01-24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640A Division KR20230015506A (ko) 2017-01-24 2017-01-24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788A KR20210141788A (ko) 2021-11-23
KR102490039B1 true KR102490039B1 (ko) 2023-01-18

Family

ID=6297798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994A KR102331615B1 (ko) 2017-01-24 2017-01-24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37001640A KR20230015506A (ko) 2017-01-24 2017-01-24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17037621A KR102490039B1 (ko) 2017-01-24 2017-01-24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994A KR102331615B1 (ko) 2017-01-24 2017-01-24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37001640A KR20230015506A (ko) 2017-01-24 2017-01-24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540562B2 (ko)
EP (2) EP3545780A4 (ko)
JP (1) JP6644157B2 (ko)
KR (3) KR102331615B1 (ko)
CN (1) CN108882750B (ko)
CA (1) CA3048780C (ko)
EA (1) EA037736B1 (ko)
WO (1) WO2018138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37736B1 (ru) * 2017-01-24 2021-05-17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Ингаля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программа для его работы
US10897925B2 (en) 2018-07-27 2021-01-26 Joseph Pandolfino Articles and formulations for smoking products and vaporizers
US20200035118A1 (en) 2018-07-27 2020-01-30 Joseph Pandolfino Methods and products to facilitate smokers switching to a tobacco heating product or e-cigarettes
JP2020058237A (ja) 2018-10-04 2020-04-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制御回路、吸引成分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7128709B2 (ja) * 2018-10-04 2022-08-3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
JP6561188B1 (ja) * 2018-10-11 2019-08-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制御回路、吸引成分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545880B1 (ja) * 2018-10-11 2019-07-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制御回路、吸引成分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EP3987956A4 (en) * 2019-06-18 2023-01-11 Japan Tobacco Inc. INHALATION DEVICE, POWER SUPPLY AND METHOD
JP6630867B1 (ja) * 2019-06-19 2020-01-1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制御回路、吸引成分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630866B1 (ja) * 2019-06-19 2020-01-1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制御回路、吸引成分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10731545B (zh) * 2019-10-18 2022-12-27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雾化组件加热控制方法、装置、电子雾化装置及存储介质
KR102318695B1 (ko) * 2019-12-23 2021-10-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다중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GB202000221D0 (en) * 2020-01-08 2020-02-19 Nicoventures Trading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JP6909885B1 (ja) * 2020-02-25 2021-07-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JP6909884B1 (ja) * 2020-02-25 2021-07-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KR102544199B1 (ko) * 2020-06-24 2023-06-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2022015342A (ja) * 2020-07-08 2022-01-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ユニット
JP2022015341A (ja) * 2020-07-08 2022-01-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ユニット
JP2022015340A (ja) * 2020-07-08 2022-01-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ユニット
US20220015440A1 (en) * 2020-07-15 2022-01-20 Altria Client Services Llc Nicotine electronic vaping devices having nicotine pre-vapor formulation level detection and auto shutdown
US20220015439A1 (en) * 2020-07-15 2022-01-20 Altria Client Services Llc Non-nicotine electronic vaping devices having non-nicotine pre-vapor formulation level detection and auto shutdown
WO2023218326A1 (en) * 2022-05-12 2023-11-16 Philip Morris Products S.A. Colour differentiation for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178A1 (ja) * 2014-11-10 2016-05-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パッケージ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2010A (en) 1983-03-07 1987-07-21 Safeway Products, Inc. In-line electric heater for an aerosol delivery system
US5269327A (en) 1989-12-01 1993-12-14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article
US5452711A (en) 1992-12-24 1995-09-26 Exar Corporation Small form factor atomizer
KR100289448B1 (ko) 1997-07-23 2001-05-02 미즈노 마사루 향미발생장치
US8851068B2 (en) 2009-04-21 2014-10-07 Aj Marketing Llc Personal inhalation devices
KR200457694Y1 (ko) * 2009-10-01 2011-12-29 윤홍선 전자담배
CN102524962A (zh) * 2010-12-15 2012-07-04 松江区泗泾小学 一种吸烟提醒器
EP2468118A1 (en) * 2010-12-24 2012-06-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means for disabling a consumable
KR102617155B1 (ko) 2011-08-16 2023-12-21 쥴 랩스, 인크. 저온 전자 증발 장치 및 방법
CN202233002U (zh) * 2011-08-26 2012-05-30 龙功运 具有计数显示功能的电子香烟
US20140053856A1 (en) 2012-08-21 2014-02-27 Qiuming Liu Electronic Cigarette Device
GB2507103A (en) 2012-10-19 2014-04-23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JP2015052513A (ja) 2013-09-06 2015-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
KR101828728B1 (ko) 2013-09-30 2018-02-12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
GB2519101A (en) 2013-10-09 2015-04-15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CN103734915B (zh) 2014-01-13 2016-09-14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限定使用寿命的电子烟及限定电子烟使用寿命的方法
CN203662027U (zh) * 2014-01-24 2014-06-25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
US20150224268A1 (en) 2014-02-07 2015-08-1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harging Accessory Device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and Related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s for Aerosol Delivery Devices
US9839238B2 (en) * 2014-02-28 2017-12-12 Rai Strategic Holdings, Inc. Control body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EP3123186A2 (en) 2014-03-28 2017-02-01 SIS Resourc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attery charge level indication in an electronic vapor device
WO2015161485A1 (zh) * 2014-04-24 2015-10-29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搜寻同类型电子烟的方法和系统
EP3138424B1 (en) * 2014-05-02 2019-06-12 Japan Tobacco Inc.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er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4106844B (zh) 2014-06-23 2017-10-10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电子烟控制器及电子烟
JP6394259B2 (ja) 2014-10-09 2018-09-26 富士通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認証装置
TWI601485B (zh) 2014-11-10 2017-10-11 日本煙草產業股份有限公司 非燃燒型香味吸嚐器及控制方法
WO2016101248A1 (zh) 2014-12-26 2016-06-30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控制方法及电子烟
KR20160086118A (ko) 2015-01-09 2016-07-19 오재호 하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전자담배
KR20150000824U (ko) * 2015-01-09 2015-02-26 주식회사 에바코 흡입 장치의 잔여 흡입횟수 표시 구조
CN107530511B (zh) * 2015-04-30 2020-08-04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非燃烧型香味抽吸器
CN204969463U (zh) 2015-07-22 2016-01-20 中国烟草总公司广东省公司 一种智能雾化香薰烟
EA037736B1 (ru) * 2017-01-24 2021-05-17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Ингаля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программа для его работы
GB201718462D0 (en) * 2017-11-08 2017-12-20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Vapour provision systems
JP6795271B2 (ja) * 2018-06-22 2020-12-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178A1 (ja) * 2014-11-10 2016-05-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パッケ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48780A1 (en) 2018-08-02
KR20190103316A (ko) 2019-09-04
CA3048780C (en) 2022-11-15
KR20210141788A (ko) 2021-11-23
EA201991318A1 (ru) 2020-02-25
US20190335816A1 (en) 2019-11-07
WO2018138751A1 (ja) 2018-08-02
EA037736B1 (ru) 2021-05-17
EP3545780A1 (en) 2019-10-02
KR20230015506A (ko) 2023-01-31
JP6644157B2 (ja) 2020-02-12
KR102331615B1 (ko) 2021-11-25
CN108882750B (zh) 2022-07-26
US11540562B2 (en) 2023-01-03
CN108882750A (zh) 2018-11-23
JPWO2018138751A1 (ja) 2019-01-31
EP3987963A1 (en) 2022-04-27
EP3545780A4 (en)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039B1 (ko) 흡인 장치와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US10758688B1 (en) Inhaler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operating the same
US11925750B2 (en) Inhaler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operating the same
JP7245311B2 (ja) 吸引装置
JP6987294B1 (ja) 吸引装置
JP6660457B2 (ja) 吸引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19689B2 (ja) 吸引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992062B2 (en) Inhaler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