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115A -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것을 시용(施用)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것을 시용(施用)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115A
KR20190110115A KR1020197024466A KR20197024466A KR20190110115A KR 20190110115 A KR20190110115 A KR 20190110115A KR 1020197024466 A KR1020197024466 A KR 1020197024466A KR 20197024466 A KR20197024466 A KR 20197024466A KR 20190110115 A KR20190110115 A KR 20190110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rice
plant
group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291B1 (ko
Inventor
히로유키 하기와라
나츠코 아라키
미키오 츠다
Original Assignee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0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1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10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 A01N47/12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a —O—CO—N< group, or a thio analogue thereof, neither directly attached to a ring nor the nitrogen atom being a member of a heter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21/00Plant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3/00Fungic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톨프로카브,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그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벼 도열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병해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것을 시용(施用)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본 발명은, 소정의 식물 병해를 방제(防除)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수 많은 화학 약제가, 식물 병해 방제를 위해서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유사 골격을 가지는 동일 작용계의 화학 약제를, 동종(同種)의 식물 병해를 방제하기 위해, 해당 화학 약제의 빈번한 사용이나 과잉 투여 등이 실시됨으로써, 해당 화학 약제에 대한 식물 병원균의 내성화(耐性化)의 문제가 현저하게 되고 있다.
한편, 최근, 감소 농약 작물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나 화학 농약에 의한 환경 부하의 저감화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 이하, "MBI제"라고 약기(略記)한다.)란, 사상균류의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하는 살균제이다. 사상균에 의한 병해인 벼 도열병균(Pyricularia oryzae)이나 참외류 탄저병균(Colletotrichum lagenarium)에 있어서는, 식물체에 대한 침입에는 부착기(付着器)의 멜라닌화가 필수인 것(비특허문헌 1), MBI제는, 부착기의 멜라닌화를 저해함으로써 식물체에 대한 침입을 저해하여,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2). 한편, MBI제는, 벼의 도열병균이나 참외류의 탄저병균 이외의, 식물체에 대한 침입에 부착기의 멜라닌화가 필수가 아닌 그 밖의 사상균 및 멜라닌 생합성 경로를 가지지 않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식물 병해에 대하여는 방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생각되고 있다.
MBI제로서, 톨프로카브(Tolprocarb), 피로퀼론(Pyroquilon), 트라이사이클라졸(Tricyclazole), 프탈라이드(Phthalide), 카프로파미드(Carpropamid), 다이클로사이메트(Diclocymet) 및 페녹사닐(Fenoxanil)이 알려져 있고, 벼 도열병 방제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MBI제는, 각각의 화합물이 저해되는 멜라닌 생합성에 관련되는 효소의 종류에 따라 3 종류로 분류되고 있다. FRAC Code List에서는, 톨프로카브는 멜라닌 생합성 경로의 폴리케티드 합성 효소(Polyketide synthase in melanin biosynthesis),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는 멜라닌 생합성 경로의 환원 효소(Dehydratase in melanin biosynthesis), 카프로파미드, 다이클로사이메트 및 페녹사닐은 멜라닌 생합성 경로의 탈수 효소(Reductase in melanin biosynthesis)를 저해하는 점에서, 각각, MBI-P(MBI-Polyketide synthase), MBI-R(MBI-Reductase) 및 MBI-D(MBI-Dehydratase)로 분류되고 있다(비특허문헌 3).
본 발명에 관련되는 톨프로카브는, 식물 병해 방제 작용을 나타내는 다이아민 유도체이며, 특히 사상균에 의한 병해인 벼 도열병(Pyricularia oryzae)에 대하여,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발견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톨프로카브를 포함하는 다이아민 유도체와 다른 살균제, 살충제 및 살진드기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병해충 방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또한,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공지(公知)인 톨프로카브를 포함하는 일반식(DD)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그러나, 톨프로카브를 유일한 벼 도열병에 대한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제(製劑)는, 사상균에 의한 병해인 벼 도열병 및 세균에 의한 병해인 벼 세균성벼알마름병(Burkholderia glumae)으로 농약 등록을 가지지만, 상기 이외의 식물 병해에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피로퀼론은, 공지의 화합물이며, 벼 도열병에 대하여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4). 또한, 그 제조법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5). 또한, 피로퀼론 자체는 포함되지 않지만, 피로퀼론의 유연(類緣)화합물인 피롤로퀴롤리논계 화합물에 있어서, 예를 들면 황색 포도 구균(Staphylococcus aureus) 등의 그람(gram)양성 세균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등의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6). 그러나, 특허문헌 6에 기재된 피로퀼론의 유연화합물 중 어느 화합물도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세균류에 대한 항균 활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피로퀼론을 유일한 벼 도열병에 대한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제는, 사상균에 의한 병해인 벼 도열병 및 세균에 의한 병해인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으로 농약 등록을 가진다. 그러나, 예를 들면 사상균에 의한 병해인 참외류의 탄저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 이외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특허문헌 7).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라이사이클라졸은 벼 도열병에 대하여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는 공지의 화합물이다(비특허문헌 4). 그러나, 트라이사이클라졸을 유일한 벼 도열병에 대한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제는, 사상균에 의한 병해인 벼 도열병으로 농약 등록을 가지지만, 상기 이외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프탈라이드는 벼 도열병에 대하여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는 공지의 화합물이다(비특허문헌 5). 또한, 프탈라이드를 유일한 벼 도열병에 대한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제는, 사상균에 의한 병해인 벼 도열병으로 농약 등록을 가진다. 그러나, 예를 들면 사상균에 의한 병해인 참외류의 탄저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개시되어 있지만(특허문헌 7), 상기 이외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MBI-R제인, 피로퀼론 및 프탈라이드, 및 MBI-D제인, 페녹사닐 및 다이클로사이메트에 관하여, 사상균에 의한 식물 병해인 탄저병의 방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7).
멜라닌 생합성 경로의 탈수 효소를 저해하고, MBI-D제로서 공지인 카프로파미드는, 세균에 의한 병해인 벼 흰잎마름병(Xanthomonas oryzae pv. oryzae) 및 배추 무름병(Erwinia carotovora subsp.carotovora)에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공지이다(특허문헌 8). 그러나, 그 작용성은 멜라닌 생합성 경로와는 관계가 없는 숙주 식물에 대한 저항성 유도에 따른 것이며, 동일한 멜라닌 생합성 경로에 작용하는 MBI-P제나 MBI-R제여도, 그들의 병해에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는 예상할 수 없었다. 따라서, MBI-P제인 톨프로카브를 원예 작물에 사용하고, 그 병해에 대하여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알려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MBI-R제인,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를 원예 작물에 사용하여, 탄저병을 제외한 병해에 대하여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도 알려지지 않았다.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MBI-P제, MBI-R제 및 MBI-D제)는, 배지 상에서, 현저한 균사 신장 저해 활성("항균 활성"이라고도 한다.)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 알려져 있고, 멜라닌의 축적이 저해됨으로써, 배지 상에 있어서의 균총(菌叢)의 착색이 저해된다(균총 착색 저해 활성). MBI제에 있어서는, 배지 상에서 방제 효과를 검정(檢定)하는 경우, 균총 착색 저해 활성이 지표가 된다.
특허문헌 1 : WO2005/042474 특허문헌 2 : WO2006/106811 특허문헌 3 : WO2008/075453 특허문헌 4 : GB1394373 특허문헌 5 : US4550165 특허문헌 6 : US20080221110 특허문헌 7 : JPA2008024682 특허문헌 8 : JP2000109404
비특허문헌 1 : Acta Biochemica Polonica 2006, 53, (3): 429-443(Review) 비특허문헌 2 : Pesticide Outlook 2001, 12, 32-35 비특허문헌 3 : FRAC Code List 2016 비특허문헌 4 : Pesticid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1978, 8(1):26-32 비특허문헌 5 : Japanese Journal of Phytopathology 1982, 48(1):58-63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배경 기술 하에 이루어진 것이지만, 기존의 식물 병해 방제제에 관한 지견(知見)에 의하면, 톨프로카브,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그들의 염은, 벼 도열병 등 기지(旣知)의 대조 식물 병해와는 상이한 사상균병, 세균병 또는 바이러스병의 방제를 제공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고, 이들 식물 병해에 대하여, 새로운 식물 병해 방제제 및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톨프로카브,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이들 대조 병해인 벼 도열병 등 기지의 병해와는 상이한 식물 병해에 대하여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병해 생식 환경에 투여하는 유효성분량이 낮아도 고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식물에 약해(藥害)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은, 새로운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시용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톨프로카브,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그들의 염에 관하여, 벼 도열병 등 기지의 대조 식물 병해와는 상이한 사상균병, 세균병, 또는 바이러스병 등의 식물 병해에 대한 효과에 관하여, 예의(銳意) 검토한 결과, 톨프로카브 또는 그 염은 사상균병인 벼 도열병 이외의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 이외의 세균병 또는 바이러스병에 대한 식물 병해에 대하여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고, 또한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프탈라이드 또는 그들의 염은 벼 도열병 및 탄저병 이외의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 이외의 세균병 또는 바이러스병 등의 식물 병해에 대하여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시용 방법은, 특허문헌 1 내지 8 및 비특허문헌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신규한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내지 [18] 에 관한 것이다.
[1] 톨프로카브,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그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벼 도열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병해에 사용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2] 상기 유효성분이 톨프로카브 또는 그 염인 [1]에 기재된 조성물.
[3] 상기 유효성분이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그들의 염이며, 식물 병해가 벼 도열병 및 탄저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에 기재된 조성물.
[4] 상기 식물 병해가 원예 작물의 사상균병,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에 기재된 조성물.
[5] 상기 식물 병해가 탄저병을 제외한 원예 작물의 사상균병,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에 기재된 조성물.
[6] 상기 세균병이 벼 흰잎마름병 및/또는 벼 내영갈변병(內穎褐變病)인 [1]에 기재된 조성물.
[7] 상기 식물 병해가 Xanthomonas(산토모나스) 속균에 의한 병해, Pseudomonas(슈도모나스) 속균에 의한 병해 및 Erwinia(에르위니아) 속균에 의한 병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세균에 의한 병해, 흰가루병 및 노균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사상균에 의한 병해, 및 CMV(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TYLCV(토마토 황화(黃化) 엽권(葉卷) 바이러스) 및 RSV(벼 줄무늬잎마름 바이러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바이러스에 의한 병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에 기재된 조성물.
[8] 톨프로카브,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프탈라이드 또는 그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벼 도열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병해에 사용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
[9] 상기 유효성분이 톨프로카브 또는 그 염인 [8] 기재의 방법.
[10] 상기 유효성분이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그들의 염이며, 벼 도열병 및 탄저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병해에 사용하는 [8] 기재의 방법.
[11] 상기 식물 병해가 원예 작물의 사상균병,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8] 기재의 방법.
[12] 상기 식물 병해가 탄저병을 제외한 원예 작물의 사상균병,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8] 기재의 방법.
[13] 세균병이 벼 흰잎마름병 및/또는 벼 내영갈변병인 [8] 기재의 방법.
[14] 상기 식물 병해가 Xanthomonas(산토모나스) 속균에 의한 병해, Pseudomonas(슈도모나스) 속균에 의한 병해 및 Erwinia(에르위니아) 속균에 의한 병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세균에 의한 병해, 흰가루병 및 노균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사상균에 의한 병해, 및 CMV(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TYLCV(토마토 황화 엽권 바이러스) 및 RSV(벼 줄무늬잎마름 바이러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바이러스에 의한 병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8] 기재의 방법.
[15] 상기 조성물의 시용 방법이 식물체 또는 토양에 대한 처리인 [8]에 기재된 식물 병해 방제 방법.
[16] 상기 시용 방법이 토양에 대한 처리로서, 옮겨심기 전, 옮겨심기 시 혹은 옮겨심기 후의 토양 관주, 토양 혼화 및/또는 토양 표면에 대한 처리인 [15]에 기재된 식물 병해 방제 방법.
[17] 상기 시용 방법이 식물체에 대한 산포(散布)인 [15]에 기재된 식물 병해 방제 방법.
[18] 상기 시용 방법이 종자에 대한 처리인 [15]에 기재된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 시용 방법에 의하면, 톨프로카브,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그들의 염이, 이들 대조(對照) 식물 병해와는 상이한 사상균병, 세균병, 또는 바이러스병 등의 식물 병해, 예를 들면, 세균에 의한 병해인 벼 흰잎마름병(Xanthomonas oryzae pv. oryzae), 벼 내영갈변병(Erwinia herbicola), 배추 무름병(Erwinia carotovora subsp.carotovora), 오이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lachrymans) 및 양배추 흑부병(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사상균에 의한 병해인 오이 흰가루병(Sphaerotheca cucurbitae), 토마토 흰가루병(Oidium neolycopersici) 및 오이 노균병(Pseudoperonospora cubensis), 바이러스인 CMV(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TYLCV(토마토 황화 엽권 바이러스) 및 RSV(벼 줄무늬잎마름 바이러스) 등에 있어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특허출원의 제1의 발명인,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인, MBI-P제(톨프로카브 혹은 그 염) 및 MBI-R제(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프탈라이드 혹은 그들의 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벼 도열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 톨프로카브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 유효성분이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그들의 염인 경우, 벼 도열병 및 탄저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인, MBI-P제(톨프로카브 혹은 그 염) 또는 MBI-R제(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프탈라이드 혹은 그들의 염)는, 공지의 화합물이며, 해당 화합물의 유리체(遊離體)는, 각각 CAS No. 911499-62-2, 57369-32-1, 41814-78-2, 27355-22-2로서 개시되어 있고, 유효성분으로서, 해당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벼에 대하여만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상법(常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즉, 해당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1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다른 유효성분을 첨가하고, 적어도 1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얻어진 해당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담체를 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습윤제, 고착제, 증점제, 방균방미제(防菌防黴劑), 착색제, 안정제 등의 제제용 보조제를 첨가하고, 상법에 따라, 적절한 때에, 예를 들면, 입제(粒劑), 수화제(水和劑), 플로어블제(flowable劑), 과립 수화제, 분제(粉劑), 유제(乳劑) 등으로 제제화(製劑化)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함유량은, 통상, 중량비로, 0.005~99%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1~90%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8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함유량은, 제제 형태에 따라 상이하고, 적절히 선택되지만, 통상, 분제에서는, 0.01~30중량%이고, 수화제에서는, 0.1~80중량%이고, 입제에서는, 0.5~25중량%이고, 유제에서는, 2~50중량%이고, 플로어블제제(flowable製劑)에서는, 1~50중량%이고, 드라이(dry) 플로어블제제에서는, 1~80중량%이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분제에서는, 0.05~10중량%이고, 수화제에서는, 5~60중량%이고, 입제에서는, 2~15중량%이고, 유제에서는, 5~50중량%이고, 플로어블제제에서는, 5~50중량%이고, 드라이 플로어블제제에서는, 5~60중량%이다.
상기 조성물에 사용되는 담체란, 처리해야 할 부위로의 유효성분의 도달을 e돕고, 또한 유효성분의 저장, 수송,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합되는 합성 혹은 천연의 무기 또는 유기 물질을 의미하고, 통상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고체 또는 액체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특정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체 담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몬몰리로나이트, 카올리나이트, 규조토, 백토, 탈크(talc), 클레이(clay), 버미큘라이트, 석고, 탄산칼슘, 비정질 실리카, 황산암모늄 등의 무기물질; 대두분(大豆粉), 목분(木粉), 톱밥, 소맥분, 유당, 자당, 포도당 등의 식물성 유기물질; 또는 요소(尿素)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담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자일렌, 쿠멘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및 나프텐류; n-파라핀, iso-파라핀, 유동(流動) 파라핀, 케로신, 광유(鑛油), 폴리뷰텐 등의 파라핀계 탄화수소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다이옥세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틸에터 등의 에터류; 에탄올, 프로판올, 에틸렌글라이콜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뷰틸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류; 다이메틸폼아마이드,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등의 비(非)프로톤성 용매; 또는 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유효성분의 효력을 더 증강하기 위해서, 제제의 제형, 처리 방법 등을 고려하여, 목적에 따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결합제, 붕괴제, 안정제, pH조정제, 방균방미제(防菌防黴劑), 증점제, 소포제, 동결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유화, 분산, 확전(擴展) 및/또는 습윤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솔비탄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터, 자당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수지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다이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다이알킬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의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알킬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에터, 알킬페닐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아마이드,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닐에터, 폴리옥시알킬렌벤질페닐에터, 폴리옥시알킬렌스티릴페닐에터, 고급 알코올의 폴리옥시알킬렌 부가물 및 폴리옥시에틸렌에터 및 에스터형 실리콘 및 불소계 계면활성제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벤질페닐에터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터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설페이트, 파라핀설포네이트, 알칸설포네이트, AOS, 다이알킬설포석시네이트, 알킬벤젠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다이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물, 알킬다이페닐에터다이설포네이트, 리그닌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설포석신산하프에스터, 지방산염, N-메틸-지방산설콕시네이트, 수지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페닐에터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다이알킬페닐에터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벤질화페닐에터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벤질화 페닐페닐에터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화 페닐에터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화 페닐페닐에터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포스페이트,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이민, 알킬포스페이트, 트라이폴리인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아크릴산과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아마이드메틸프로페인설폰산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 음이온형 고분자 계면활성제, 알킬트라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메틸폴리옥시에틸렌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N-메틸피리디늄브로마이드, 모노메틸화 암모늄클로라이드, 다이알킬메틸화 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펜타메틸프로필렌아민다이클로라이드, 알킬다이메틸벤잘코늄클로라이드, 벤제토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다이알킬다이미노에틸벤타인, 알킬다이메틸벤질벤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습윤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 다이옥틸설포석시네이트, 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알킬황산나트륨, 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알킬황산나트륨,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 알킬설포석신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터, 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또는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터 등을 들 수 있다.
고착제로서는,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왁스, 폴리비닐알킬에터, 알킬페놀의 포르말린 축합물, 전분의 인산에스터, 합성 수지 에멀젼, 전분류, 수지 분말, 수팽윤성(水膨潤性) 고분자 물질,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긴산나트륨, 폴리바이닐알코올, 아라비아검, CMC 나트륨 또는 벤토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로서는, 예를 들면, CMC 나트륨 또는 클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힌더드 페놀계의 산화방지제, 또는 벤조트리아졸계, 힌더드 아민계의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pH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아세트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방균방미제로서는, 예를 들면, 1,2-벤조아이소싸이아졸린-3-온 등의 공업용 살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잔탄검, 구아검, CMC 나트륨, 아라비아검, 폴리바이닐알코올 또는 몬몰리로나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소포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동결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라이콜, 에틸렌글라이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보조제는, 이상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벵갈라(Bengala), 솔벤트 레드 23, 씨·아이·애시드·블루 1(C. I. Acid Blue 1), 씨·아이·애시드·옐로우 23(C·I·Acid·Yellow 23)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특허출원의 제2의 발명인, 식물 병해 방제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은, 본 특허출원의 제1의 발명인,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인 MBI-P제(톨프로카브 및 그 염), 및 MBI-R제(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프탈라이드 및 그 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벼 도열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병해를 방제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의 시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 개체(個體)에 대한 경엽(莖葉) 산포 처리, 묘상(苗箱) 처리, 수도이앙기(水田植機)에 의한 측조(側條) 시용, 전면수(田面水)에 대한 수면(水面) 시용, 토양 표면에 대한 산포 처리, 토양 표면에 대한 산포 처리 후의 토양 혼화, 토양 중으로의 주입 처리, 토양 중으로의 주입 처리 후의 토양 혼화, 토양 관주 처리, 토양 관주 처리 후의 토양 혼화, 식물 종자에 대한 분사 처리, 식물 종자에 대한 도말 처리, 식물 종자에 대한 침지 처리 또는 식물 종자에 대한 분의(粉衣) 처리, 식물 종자와의 혼합 처리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시용 할 수 있는 한, 어느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통상, 당업자가 이용하는 어떠한 시용 방법에 있어서도 충분한 효력을 발휘한다.
또한, 시용 방법이 토양에 대한 처리인 경우, 재배 작물의 옮겨심기 전, 옮겨심기 시 혹은 옮겨심기 후의 토양 관주, 토양 혼화 및/또는 토양 표면에 대한 처리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과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과 본 발명에 기재되지 않은 기지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상대제(相對劑)로서, 조합하여 식물 병해를 방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그 시용 방법은, 상기의 시용법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지만, 시용에 관련되는, 처리의 순서, 처리할 때까지의 시간(기간) 및 처리 회수 등의 구체적인 방법은,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효과가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상이 되는 식물 병해, 식물, 그 밖의 시용에 관련되는 환경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별개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즉, 적어도 1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조합하고, 혹은 단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식물 또는 별개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본 발명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인 유효성분 이외의 기지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적절히 조합하여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물로 희석하여 처리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별개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즉, 적어도 1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조합하고, 혹은 단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식물 또는 별개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이 되도록 사용 시에 혼합하여, 혼합물로서 조제할 수도 있다. 이들 조성물은, 물로 더 희석하여, 산포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탱크 믹스법).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의 시용량 및 시용 농도는,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효과가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대상 작물, 대상 유해 생물, 유해 생물의 발생 정도, 화합물의 제형, 시용 방법 및 각종 환경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해당 조성물을 산포하는 경우에는, 통상, 유효성분량은, 헥타르당 10~10,000g이며, 바람직하게는, 헥타르당 25~5,000g이다. 또한, 해당 조성물의 수화제, 플로어블제 또는 유제를 물로 희석하여 산포하는 경우, 그 희석 배율은, 통상, 5~50,000배이고, 바람직하게는, 10~20,000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0,000배이다. 또한, 해당 조성물을 사용하여 종자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통상, 종자 1kg당 0.001~50g이며, 바람직하게는, 0.01~10g이다.
해당 조성물을 식물 개체에 대한 경엽 산포 처리, 토양 표면에 대한 산포 처리, 토양 중으로의 주입 처리, 토양 관주 처리 등 실시하는 경우는, 해당 조성물을 적절한 담체에, 적절한 농도로 해당 조성물을 희석한 후,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해당 조성물을 식물 종자에 접촉시키는 경우는, 그대로 식물 종자를 해당 조성물에 침지해도 된다. 또한, 해당 조성물은, 이것을 적절한 담체에 적절한 농도로 희석한 후, 식물 종자에 침지, 분의, 분사, 도말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분의·분사·도말 처리하는 경우의 해당 조성물의 사용량은, 통상, 건조 식물 종자 중량의 0.05~50%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0.1~30%이지만, 그 사용량은, 이들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처리 대상이 되는 식물 종자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적절한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물 또는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의 액체 담체; 벤토나이트, 몬몰리로나이트, 카올리나이트, 규조토, 백토, 탈크, 클레이, 버미큘라이트, 석고, 탄산칼슘, 비정질 실리카, 황산암모늄 등의 무기물질, 대두분, 목분, 톱밥, 소맥분, 유당, 자당, 포도당 등의 식물성 유기물질: 또는 요소 등의 고체 담체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식물체란, 광합성을 하여 운동하지 않고 생활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벼, 밀, 보리, 옥수수, 포도, 사과, 배, 복숭아, 앵두, 감, 귤, 대두, 강남콩, 딸기, 감자, 양배추, 배추, 양상추, 토마토, 오이, 가지, 수박, 사탕무, 시금치, 완두, 호박, 사탕수수, 담배, 피망, 고구마, 참마, 곤약, 유채, 면, 해바라기, 튤립, 국화, 파, 양파, 마늘, 생강, 잔디 및 유전자 조작 식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원예 작물이란, 과수(식용으로 하는 과실을 맺는 목본식물(木本植物)), 야채(옥수수, 벼 및 맥류를 제외한 식용으로 재배되는 초본식물) 및 화훼류(관상용으로 재배되는 작물)를 가리키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포도, 사과, 배, 복숭아, 앵두, 감, 귤, 대두, 강남콩, 딸기, 감자, 양배추, 배추, 양상추, 토마토, 오이, 가지, 수박, 시금치, 완두, 호박, 사탕수수, 담배, 피망, 고구마, 참마, 곤약, 유채, 면, 해바라기, 튤립, 국화, 파, 양파, 마늘, 생강, 및 이들 유전자 조작 작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식물 종자란, 유식물(幼植物)이 발아되기 위한 영양분을 저장하여 농업상 번식에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옥수수, 대두, 면, 벼, 설탕 무우, 밀, 보리, 해바라기, 토마토, 오이, 가지, 시금치, 완두, 호박, 사탕수수, 담배, 피망, 유채 등의 종자; 참마, 감자, 고구마, 곤약 등의 종아(種芽); 식용 백합, 튤립 등의 구근(球根)이나 락교(rakyo) 등의 종구(種球); 또는 유전자 등을 인공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만들어진 식물로서, 예를 들면, 자연계에 원래 존재하는 것이 아닌 제초제 내성을 부여한, 대두, 옥수수, 면 등; 한랭지에 적응한, 벼, 담배 등; 살충 물질 생산능을 부여한, 옥수수, 면, 감자 등의 형질 전환을 받은 종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상대제로서, 예를 들면, 다른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살균제, 제초제, 식물 성장 조절제, 미생물 농약 등의 농약, 토양 개량제 또는 비효(肥物) 물질과의 혼합 사용은 물론, 이들과의 혼합 제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살균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레스린, 테트라메트린, 레스메트린, 페노트린, 푸라메트린, 페르메트린, 시페르메트린, 데르타메트린, 시할로스린, 시플루트린, 펜프로파트린, 트랄로메트린, 시클로프로트린, 푸르시트리네이트, 플루발리네이트, 아크리나트린, 테플루트린, 비펜트린, 엔펜트린, 베타사이플루스린, 시페르메트린, 펜발레레이트, 에스펜발레레이트, 플루브로시트리네이트, 메트플루스린, 프로플루스린, 다이메플루스린, 플루브로시스리네이트, 시라플루오펜, 제충국(除蟲菊) 엑기스, 에트펜프록스, 할펜프록스, DDVP, 시아노포스, 펜티온, 페니트로티온, 테트라클로르빈포스, 다이메틸빈포스, 프로파포스, 메틸파라티온, 테메포스, 폭심, 아세페트, 아이소펜포스, 살리티온, DEP, EPN, 에티온, 메카르밤, 피리다펜티온, 다이아지논, 피리미포스메틸, 에트림포스, 이속사티온, 퀴날포스, 크롤피리포스메틸, 크롤피리포스, 포살론, 포스메트, 메티다티온, 옥시데브로포스, 바미드티온, 말라티온, 펜토에이트, 다이메토에이트, 포르모티온, 싸이오메톤, 에틸싸이오메톤, 포레이트, 터부포스, 프로페노포스, 프로싸이오포스, 술프로포스, 피라클로포스, 모노클로토포스, 날레드, 포스싸이아제이트, 트라이클로르폰, 에토프로포스, 카두사포스, 클로르펜빈포스, 다이클로펜티온, 에틸싸이오메톤, 메타미드포스, 다이클로르보스, 테브피림포스, 오메트에이트, 트라이아조포스, 옥시데메톤메틸, 아진포스메틸, 클로르에톡시포스, 다이크로토포스, 다이설포톤, 파나미포스, 포스파미돈, 트라이클로르폰, 클로르메포스, 데메톤-S-메틸, 메빈포스, 파라티온, 테부피림포스, MEP, 마라톤, DCIP, MPP, NAC, MTMC, MIPC, BPMC, XMC, PHC, MPMC, 에싸이오펜카브, 벤다이오카브, 피리미카브, 카보설판, 벤푸라카브, 메소밀, 옥사밀, 알디카브, 싸이오디카브, 알라니카브, 카보퓨란, 메싸이오카브, 페노싸이오카브, 포메타네이트, 자일릴메틸카바메이트, 프로폭서, 아이소프로카브, 퓨라싸이오카브,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아세타미프리드, 디노테퓨란, 티아메톡삼, 싸이아클로프리드, 클로싸이아니딘, 브로모프로피레이트, 다이코폴, 엔도설판, 린단, 다이플루벤주론, 클로르플루아주론, 테플루벤주론, 트라이플루무론, 플루페노크스론, 플루사이클록수론, 헥사플루무론, 플루아주론, 다이아펜티우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비스트라이플루론, 크로마페노지드, 할로페노지드, 메톡시페노지드, 루페누론, 시로마진, 트라이아자메이트, 테브페노지드, 부프로페진, 아이소프로티올레인, 황산니코틴, 폴리나크틴 복합체, 아바멕틴, 미르베멕틴, 레피멕틴, BT제, 스피노사드, 로테논, 카르탑, 싸이오시크람, 벤설탑, 티플루자미드, 플루트라닐, 메프로닐, 펜시클론, 에타복삼, 옥시카복신, 카복신, 시르싸이오팜, 카프로파미드, 다이클로사이메트, 페녹사닐, 아족시스트로빈, 메트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쿠레속심메틸, 플루옥사스트로빈, 트라이플록시스트로빈, 다이목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카스가마이신, 바리다마이신, 블라스트사이딘S벤질아미노벤젠설폰산염, 폴리옥신, 테클로프타람,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스트렙토마이신, 블라스트사이딘·S, 미르디오마이신, 폴리옥신류, 페림존, 페나리몰, 피리페녹스, 누아리몰, 부피리메이트, 시메코나졸, 푸라메트필, 이프코나졸, 트라이플루미졸, 프로클로라즈, 페프라조에이트, 이마자릴, 이미벤코나졸, 에트리디아졸, 에폭시코나졸, 옥스포코나졸퓨말산염, 다이니코나졸, 다이페노코나졸, 시프로코나졸, 테트라코나졸, 테브코나졸, 트라이아지메놀, 트라이아디메폰, 트라이티코나졸, 비테르타놀, 히멕사졸, 펜브코나졸, 플루킨코나졸, 플루시라졸, 플루트리아포르, 프로싸이오코나졸, 프로피코나졸, 브롬코나졸, 헥사코나졸, 펜코나졸, 메트코나졸, 구리, 노닐 페놀 설폰산구리, 염기성 염화구리, 염기성 황산구리, 옥신구리, DBEDC, 무수 황산구리, 수산화 제2구리, 티오파네이트메틸, 베노밀, 싸이아벤다졸, 싸이오파네이트, 카르벤다짐, 푸베리다졸, EDDP, IBP, 톨클로포스메틸, 포세틸, 다이노캡, 피라조포스, 메타락실, 옥사딕실, 베나락실, 메타락실-M,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빈클로졸린, 클로졸리네이트, 티우람, 만제브, 프로피네브, 디네브, 메티람, 만네브, 지람, 아모밤, 하이드록시이속사졸, 메타설포캅, 클로르피클린, 플루설파미드, 다조메트, 메틸아이소싸이오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시이속사졸칼륨, 에클로메졸, 1,3-다이클로로프로펜, TPN, 캡탄, 메파니피림, 시프로디닐, 피리메타닐, 유채유(油), 머신유, 황, 석회 황합제(石灰黃合劑), 황산아연, 펜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차아염소산염, 다이메토모르프,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르프, 스피록사민, 트라이데모르프, 도데모르프, 플루모르프, 클로르벤질레이트, 페니소브로몰레이트, 테트라지폰, CPCBS, BPPS, 키노메티오네이트, 아미트라즈, 벤조메이트, 헥시치아족스, 산화펜부타주석, 시헥사틴, 디에노클로르, 클로펜테진, 피리다벤, 펜피록시메이트, 페나자킨, 테브펜피라드, 피리미지펜, 아세퀴노실, 비페나제이트, 에톡사졸,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노메시펜, 아마이드플루메트, 디플로비다진, 케르센, 피메트로진, 피프로닐, 페녹시카브, 피리프록시펜, 메토프렌, 하이드로프렌, 퀴노프렌, 엔드설판, 트라이아슬론, 벤조에핀, 에마멕틴벤조산염, 에마멕틴벤조에이트, 플루피라조포스, 플루아크리피림, 플루페나진, 인독사카브, 톨펜피라드, 감마사이할로스린, 액티프롤, 아세토프롤, 아마이드플루메트, 클로르페나필, 플로니카미드, 플루페네림, 피리다릴, 올레인산나트륨, 올레인산칼륨, 아자디라크틴, 카밤, 카밤나트륨, 프로파르지트, 아조시클로틴, 벤족시메이트, 메타알데하이드, 프로트리펜부트, 벤클로티아즈, 플루벤디아마이드, 메타플루미졸, 황산니코틴, 석회질소, 머신유, 벤설탑, 플루벤즈아마이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시안트라닐리프롤, 피리플루퀴나존, 메타플루미존, 옥솔린산, 슈도모나스 CAB-02, 트리코데르마·아트로비라이드, 플루디옥소닐, DPC, 4-[3-(3,4-다이메톡시페닐)-3-(4-플루오로페닐)아크릴로일]모르폴린, 아닐라진, 이프로발리카브, 이마자릴, 이미녹타딘알베실산염, 퀴녹시펜, 키노메티오네이트, 금속 은, 퀸토젠, 구아자틴, 클로로탈로닐, 클로로네브, 시아조파미드, 다이에토펜카브, 다이클로플루아니드, 다이클로란, 다이티아논, 다이플루메트림, 다이메티리몰, 시목사닐, 실티오팜, 스피록사민, 족사미드, 티아디아진, 도딘, 트리포린, 톨리플루아나이드, 니트로탈아이소프로필, 파목사돈, 페나미돈, 페니트로판, 펜피클로닐, 펜헥사미드, 폴펫, 플루아지남, 플루오로이미드, 프로파모카브, 프로파모카브염산염, 프로필렌 글라이콜지방산에스터, 프로헥사디온칼슘염, 벤티아졸, 벤티아발리카브아이소프로필, 마이클로뷰타닐, 유기 니켈, 레스베라트롤, 펜티오피라드, 디클로메진, 이미녹타딘아세트산염, 티아니딜, 티아디닐, 프로베나졸, 아시벤조랄-S-메틸, 만디프로파미드, 피리벤카브, 아미설브롬, 이소타아닐, 테부플로퀸, 플루오피콜라이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종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대제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노테퓨란, 티아메톡삼, 플루설파미드, 시메코나졸, 펜티오피라드 등을 들 수 있고,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승(相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종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승 효과란, 복수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서는 예상할 수 없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 병해란, 주로 사상균, 세균, 바이러스에 의한 병해를 가리킨다. 사상균이란, 진균문(眞菌門) 또는 변형균문(變形菌門)에 속하는 진핵생물로, 진균문에는 담자균아문, 포자낭균아문, 불완전균아문, 접합균아문 및 편모균 아문(알균류)이 포함되고, 세포벽은 키틴·글루칸 또는 셀룰로오스·글루칸으로이루어지며, 사상(絲狀), 분기를 가지는 영양체를 형성하여, 포자(胞子)를 형성하는 현미경적 크기의 미생물이다. 변형균문은 영양체로서 변형체를 형성하여, 유주자(遊走子)를 형성하는 현미경적 크기의 미생물이다. 세균이란, 원핵생물에 속하는 최소의 세포 생물이며, 구상(球狀), 간상(桿狀) 또는 나선상(狀)이다. 세포벽 펩타이드의 조성에 의해 그람양성 세균과 그람음성 세균으로 나누어지며, 많은 식물 병원 세균은 그람음성 세균에 속한다. 또한, 세포벽이 결핍되어 부정형(不整形)인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류도 포함한다. 바이러스란, DNA 또는 RNA로 이루어지는 핵산과,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외곽(캡시드(capsid))으로 싸인 것으로, 일반적으로 봉상(棒狀), 끈상(狀), 구상(球狀), 쌍구상(雙球狀), 간균(桿菌) 또는 사상(絲狀)이고, 전자현미경적인 크기이며, 캡시드를 가지지 않는 저분자량 RNA만으로 이루어지는는 바이로이드(viroi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종 또는 그 이상의 식물 병해나 1종 또는 그 이상의 사상균, 세균, 바이러스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해당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제 방법은, 유효성분인 톨프로카브,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프탈라이드 또는 그들의 염이 방제 대조(對照)로 하는 식물 병해, 즉 벼 도열병(Pyricularia oryzae) 및 벼 세균성벼알마름병(Burkholderia glumae)에 대하여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벼 도열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병해에 대하여 유효하다.
이하에, 본 발명이 방제 대상으로 하는 구체적 병해를 예시한다.
식물 병해로서는, 예를 들면, 사상균에 의한 병해로서, 벼 도열병(Pyricularia oryzae), 문고병(Thanatephorus cucumeris (Frank) Donk), 참깨엽고병(Cochliobolus miyabeanus), 벼키다리병(Gibberella fujikuroi), 묘입고병(Pythium spp., Fusarium spp., Trichoderma spp., Rhizopus spp., Rhizoctonia solani 등), 벼누룩병(Claviceps virens), 흑수병(Tilletia barelayana); 밀류의 흰가루병(Erysiphe graminis f.sp.hordei;  f.sp.tritici), 녹병(Puccinia striiformis;  Puccinia graminis, Puccinia recondita, Puccinia hordei), 반엽병(Pyrenophora graminea), 망반병(Pyrenophora teres), 붉은곰팡이병(Fusarium graminearum, Fusarium culmorum, Fusarium avenaceum, Microdochium nivale), 설부병(Typhula incarnata, Typhula ishikariensis, Micronectriella nivalis), 알몸흑수병(Ustilago nuda, Ustilago tritici, Ustilago nigra, Ustilago avenae), 여물흑수병(Tilletia caries, Tilletia pancicii), 안문병(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그루썩음병(Rhizoctonia cerealis), 운형병(Rhynchosporium secalis), 엽고병(Septoria tritici), 껍질마름병(Leptosphaeria nodorum), 묘입고병(Fusarium spp., Pythium spp., Rhizoctonia spp., Septoria nodorum, Pyrenophora spp.), 입고병(Gaeumannomyces graminis), 탄저병(Colletotrichum gramaminicola), 맥각병(Claviceps purpurea), 반점병(Cochliobolus sativus); 옥수수붉은곰팡이병(Fusarium graminearum 등), 묘입고병(Fusarium avenaceum, Penicillium spp, Pythium spp., Rhizoctonia spp), 녹병(Puccinia sorghi), 참깨엽고병(Cochliobolus heterostrophus), 흑수병(Ustilago maydis), 탄저병(Colletotrichum gramaminicola), 북방반점병(Cochliobolus carbonum); 포도 의 노균병(Plasmopora viticola), 녹병(Phakopsora ampelopsidis), 흰가루병(Uncinula necator), 흑두병(Elsinoe ampelina), 만부병(Glomerella cingulata), 흑부병(Guignardia bidwellii), 덩글쪼김병(Phomopsis viticola), 그을음점병(Zygophiala jamaicensis), 회색곰팡이병(Botrytis cinerea), 아고병(Diaporthe medusaea), 자문우병(Helicobasidium mompa), 백문우병(Rosellinia necatrix); 사과 흰가루병(Podosphaera leucotricha), 흑성병(Venturia inaequalis), 반점낙엽병(Alternaria alternata(Apple pathotype)), 적성병(Gymnosporangium yamadae), 모닐리아병(Monillia mali), 부란병(Valsa ceratosperma), 륜문병(Botryosphaeria berengeriana), 탄저병(Colletotrichum acutatum), 그을음점병(Zygophiala jamaicensis), 검댕얼룩병(Gloeodes pomigena), 흑점병(Mycosphaerella pomi), 자문우병(Helicobasidium mompa), 백문우병(Rosellinia necatrix), 동고(胴枯)병(Phomopsis mali, Diaporthe tanakae), 갈반병(Diplocarpon mali); 배의 흑반병(Alternaria alternata(Japanese pear pathotype)), 흑성병(Venturia nashicola), 적성병(Gymnosporangium haraeanum), 륜문병(Physalospora piricola), 동고병(Diaporthe medusaea, Diaporthe eres), 서양배 역병(Phytophthora cactorum); 복숭아 흑성병(Cladosporium carpophilum), 포모프시스 부패병(Phomopsis sp.), 역병(Phytophthora sp.), 탄저병(Gloeosporium laeticolor); 앵두 탄저병(Glomerella cingulata), 유과균핵병(Monilinia kusanoi), 회성병(Monilinia fructicola); 감 탄저병(Gloeosporium kaki), 낙엽병(Cercospora kaki;  Mycosphaerella nawae), 흰가루병(Phyllactinia kakikora); 감귤 흑점병(Diaporthe citri), 누룩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 더뎅이병(Elsinoe fawcettii); 토마토, 오이, 두류(豆類), 딸기, 감자, 양배추, 가지, 양상추 등의 회색곰팡이병(Botrytis cinerea); 토마토, 오이, 두류, 딸기, 감자, 유채, 양배추, 가지, 양상추 등의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토마토, 오이, 두류, 무우, 수박, 가지, 유채, 피망, 시금치, 사탕무 등 각종 야채의 묘입고병(Rhizoctonia spp., Pythium spp., Fusarium spp., Phythophthora spp., Sclerotinia sclerotiorum 등); 참외류의 노균병(Pseudoperonospora cubensis), 오이 흰가루병(Sphaerotheca cucurbitae), 흰가루병(Sphaerotheca fuliginea), 탄저병(Colletotrichum lagenarium), 덩글마름병(Mycosphaerella melonis), 덩글쪼김병(Fusarium oxysporum), 역병(Phytophthora parasitica, Phytophthora melonis, Phytophthora nicotianae, Phytophthora drechsleri, Phytophthora capsici 등); 토마토 륜문병(Alternaria solani), 잎곰팡이병(Cladosporium fulvam), 토마토 흰가루병(Oidium neolycopersici),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근부병(Pythium myriotylum, Pythium dissotocum), 탄저병(Colletotrichum phomoides); 가지 흰가루병(Sphaerotheca fuliginea 등), 그을음곰팡이병(Mycovellosiella nattrassii),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갈색부패병(Phytophthora capsici); 유채 흑반병(Alternaria brassicae), 십자화과 흑반병(Alternaria brassicae 등), 백반병(Cercosporella brassicae), 근후병(Leptospheria maculans), 뿌리혹병(Plasmodiophora brassicae), 노균병(Peronospora brassicae); 양배추 그루썩음병(Rhizoctonia solani), 위황병(Fusarium oxysporum); 배추 고부병(Rhizoctonia solani), 황화병(Verticillium dahlie); 파 녹병(Puccinia allii), 흑반병(Alternaria porri), 백견병(Sclerotium rolfsii. Sclerotium rolfsii), 백색역병(Phytophthora porri); 대두 자반병(Cercospora kikuchii), 흑두병(Elsinoe glycinnes), 흑점병(Diaporthe phaseololum), 라이족토니아근부병(Rhizoctonia solani), 줄기역병(Phytophthora megasperma), 노균병(Peronospora manshurica), 녹병(Phakopsora pachyrhizi), 탄저병(Colletotrichum truncatum),; 강남콩 탄저병(Colletotrichum lindemuthianum); 낙화생 흑삽병(Mycosphaerella personatum), 갈반병(Cercospora arachidicola); 완두콩의 흰가루병(Erysiphe pisi), 노균병(Peronospora pisi); 잠두 노균병(Peronospora viciae),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감자 하역병(Alternaria solani), 흑모반병(Rhizoctonia solani),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은카병(Spondylocladium atrovirens), 건부병(Fusarium oxysporum, Fusarium solani), 분상(粉狀) 더뎅이병(Spongospora subterranea); 사탕무 갈반병(Cercospora beticola), 노균병(Peronospora schachtii), 흑근병(Aphanomyces cochioides), 점무늬병(Phoma batae); 당근 흑엽고병(Alternaria dauci); 딸기 흰가루병(Sphaerotheca humuli),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탄저병(Gromerella cingulata), 과실 부패병(Pythium ultimum Trow var.ultimum); 차 망병병(Exobasidium reticulatum), 백성병(Elsinoe leucospila), 탄저병(Colletotrichum theaesinensis), 륜문병(Pestalotiopsis longiseta); 담배 적성병(Alternaria alternata(Tobacco pathotype)),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earum), 탄저병(Colletotrichum tabacum), 역병(Phytophthora parasitica); 목화 입고병(Fusarium oxysporum); 해바라기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장미 흑성병(Diplocarpon rosae), 흰가루병(Sphaerotheca pannosa), 역병(Phytophthora megasperma), 노균병(Peronospora sparsa); 국화 갈반병(Septoria chrysanthemi-indici), 백녹병(Puccinia horiana), 역병(Phytophthora cactorum); 또는 잔디 역부병(Rhizoctonia solani), 달러 스폿병(Sclerotinia homoeocarpa), 카브랄리아 엽고병(Curvularia geniculata), 녹병(Puccinia zoysiae), 헬민토스포리움 엽고병(Cochliobolus sp.), 운형병(Rhynchosporium secalis), 입고병(Gaeumannomyces graminis), 탄저병(Colletotrichum graminicola), 설부갈색 소립 균핵병(Typhula incarnata), 설부흑색 소립 균핵병(Typhula ishikariensis), 설부대립 균핵병(Sclerotinia borealis), 페어리링(Marasmius oreades 등), 피시움병(Pythium aphanidermatum 등) 등을 들 수 있고, 세균에 의한 병해로서, 벼 흰잎마름병(Xanthomonas oryzae pv. oryzae), 벼 내영갈변병(Erwinia herbicola), 벼 세균성벼알마름병(Burkholderia glumae), 벼 묘입고세균병(Burkholderia plantarii), 벼 조반(條斑)세균병(Xanthomonas translucens f. sp. oryzae), 벼 조반세균병(Burkholderia andropogonis), 과수의 갈반(褐斑)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양상추, 생강 등의 부패병(Pseudomonas cichorii), 대두 엽소병(X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야채류의 무름병(Erwinia carotovora subsp.carotovora), 유채과 흑부병(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유채과 흑반세균병(Pseudomonas cannabina pv. alisalensis, Pseudomonas syringae pv. maculicola 또는 alisalensis 및 Pseudomonas viridiflava), 양상추 반점세균병(Xanthomonas axonopodis pv. vitians), 참외류의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lachrymans), 참외류의 연고세균병(Pseudomonas viridiflava), 참외류의 과실오반(汚斑)세균병(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복숭아 천공세균병(Pseudomona syringae pv. syringae, Erwinia nigrifluens, Xanthomonas campestris pv. pruni), 앵두 수지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화훼의 위조세균병(Burkholderia caryophylli), 가지과 청고병(Ralstonia solanacearum), 장미과 화상병(Erwinia amylovora), 잔디 엽고세균병(Xanthomonas campestris pv. graminis), 잔디 달무리무늬병(Pseudomonas syringae pv. atropurpurea), 잔디 엽초부패병(Pseudomonas fuscovaginae), 잔디 갈조(褐條)병(Acidovolax avenae subsp. avenae), 잔디 주고(株枯)세균병(Burkholderia plantarii) 등을 들 수 있고,
바이러스, 바이로이드에 의한 병해로서, 알팔파 모자이크 바이러스(AMV), 알스토메리아X바이러스(AlsVX), 아라비스 모자이크 바이러스(ArMV), 사과 크로로틱 립 스폿 바이러스(ACLSV), 사과 모자이크 바이러스(ApMV), 아스파라거스 바이러스 1(AV-1), 대맥 줄무늬 위축 바이러스(BaYMV), 잠두 위조 바이러스(BBWV), 강남콩 모자이크 바이러스(BCMV), 사탕무 모자이크 바이러스(BtMV), 사탕무 괴저성 엽매 황화 바이러스(BNYVV), 사탕무 서부 위황(萎黃) 바이러스(BWYV), 잠두 모자이크 바이러스(BBNV), 우엉 얼룩무늬 바이러스(BdMV), 선인장X바이러스(CVX), 고추 퇴록 (退綠) 바이러스(CaCV), 콜리플라워 모자이크 바이러스(CaMV), 카네이션 잠재 바이러스(CLV), 카네이션 얼룩무늬 바이러스(CarMV), 앵두 엽권 바이러스(CLRV), 밀 모자이크 바이러스(CWMV), 참마 괴저 모자이크 바이러스(ChYNMV), 감귤 리프골 바이러스(CiLRV), 클로버 엽매 황화 바이러스(ClYVV), 참외류 퇴록 황화 바이러스(CCYV), 수박 녹반(綠斑) 모자이크 바이러스(CGMMV),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 국화B 바이러스(CVB), 무화과 모자이크 바이러스(FMV), 마늘A 바이러스(GarV-A), 포도맛 무과(無果) 수반 바이러스(GAaV), 포도과 바이러스(GINV), 포도 엽권 수반 바이러스(GLRaV), 용담 모자이크 바이러스(GMV), 호프 모자이크 바이러스(HpMV), 아이리스 황반(黃斑) 바이러스(IYSV), 오이 녹반 모자이크 바이러스(KGMMV), 상추 큰 엽맥 수반 바이러스(LBVaV), 멜론 괴저 반점 바이러스(MNSV), 멜론 황화 바이러스(MYSV), 상추 큰 엽맥 미라피포리 바이러스(MiLBVV), 양파 위축 바이러스(OYDV), 고추 미반(微斑) 바이러스(PMMoV), 매화 윤문(輪紋) 바이러스(PPV), 낙화생 왜화(矮化) 바이러스(PSV), 감자X바이러스(PVX), 감자Y바이러스(PVY), 벼 위축 바이러스(RDV), 무우 모자이크 바이러스(RMV), 벼 줄무늬잎마름 바이러스(RSV), 강남콩 남부 모자이크 바이러스(SBMV), 온주(溫州) 위축 바이러스(SDV), 대두 모자이크 바이러스(SMV), 고구마 얼룩무늬 모자이크 바이러스(SPFMV), 스쿼시 모자이크 바이러스(SqMV), 토마토 아스파미 바이러스(TAV), 담배 엽권 바이러스(TbLcV), 담배 윤점(輪点) 바이러스(TbRsV), 토마토 흑색윤점 바이러스(TBRV), 토마토 퇴색 위축 바이로이드(TCDVd),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MV), 토마토 모자이크 바이러스(ToMV), 담배 줄기 괴저 바이러스(TRV), 토마토 황화 바이러스(TSWV), 순무 모자이크 바이러스(TuMV), 토마토 황화 엽권 바이러스(TYLCV), 호박 모자이크 바이러스(WMV), 호박 황반(黃斑) 모자이크 바이러스(ZYMV), 감자 깔죽 바이로이드(PSTVd), 사과 바이로이드(ASSVd), 국화 퇴록(退綠) 얼룩무늬 바이로이드(CChMVd), 감귤 엑소코티스 바이로이드(CEVd), 토마토 퇴록 위축 바이로이드(TCDVd) 등이 있고, 그 밖의 병해로서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나 스피로플라스마(Spiroplasma) 등에 의한 병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병해로서는, Xanthomonas(산토모나스) 속균에 의한 병해, Pseudomonas(슈도모나스) 속균에 의한 병해 및 Erwinia(에르위니아) 속균에 의한 병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균에 의한 병해 흰가루병 및 노균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상균에 의한 병해, 및 CMV(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TYLCV(토마토 황화 엽권 바이러스) 및 RSV(벼 줄무늬잎마름 바이러스)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병해로서는, 벼 흰잎마름병(Xanthomonas oryzae pv. oryzae), 벼 내영갈변병(Erwinia herbicola), 벼 세균성벼알마름병(Burkholderia glumae), 벼 묘입고세균병(Burkholderia plantarii), 토마토 흰가루병(Oidium neolycopersici), 오이 흰가루병(Sphaerotheca cucurbitae), 오이 노균병(Pseudoperonospora cubensis), 유채과 무름병(Erwinia carotovora subsp.carotovora), 유채과 흑부병(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참외류의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lachrymans), 토마토 황화 엽권 바이러스(TYLCV),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 벼 줄무늬잎마름 바이러스(RSV)를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 병해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의 효과의 관점에서, 상기 중에서도 원예 작물의 사상균병,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저병을 제외한 원예 작물의 사상균병,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보다 바람직하다. 벼의 세균병으로서는, 벼 흰잎마름병 및/또는 벼 내영갈변병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제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제제예 및 시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제제예 중에 기재된 각 성분의 배합부 수는 모두 중량부 수를 의미한다.
본 시험에 사용한 화합물을 이하에 나타낸다.
화합물(a) 톨프로카브
화합물(b) 피로퀼론
화합물(c) 트라이사이클라졸
화합물(d) 프탈라이드
비교 화합물(e) 카프로파미드
비교 화합물(f) 다이클로사이메트
비교 화합물(g) 페녹사닐
비교 화합물(h) 프로베나졸
비교 화합물(i) 아시벤조랄S메틸
제제예 1 간이 유제(簡易乳劑)(E)
본 발명의 화합물(a) 1부를 아세톤(propan-2-one) 100부에 용해하여, 간이 유제를 얻었다. 이 간이 유제를, 관주시험에서는 물에, 산포 시험에서는 그라민(등록상표) S(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터 15부, 폴리나프틸메테인설폰산나트륨 4부,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터 5부 및 물 76부를 포함한다.: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0.03% 용액에 현탁시켜, 간이 유제 E(a)를 얻었다.
또한, 동일하게 하여, 화합물(a) 대신에, 화합물(b), 화합물(c) 및 화합물(d)를 사용하여, 각각, 간이 유제 E(a), 간이 유제 E(b), 간이 유제 E(c) 및 간이 유제 E(d)를 동일하게 얻었다.
제제예 2 입제(G1)
본 발명의 화합물(b) 30부, 벤토나이트 22부, 탈크 45부 및 솔폴(등록상표) 5060(계면활성제:토호가가쿠(주) 제) 3부를 균일하게 혼련하고, 바스켓 조립기로 조립한 후, 얻어진 조립물을 건조시켜 입제(粒劑) 100부를 얻었다.
제제예 3 입제(G2)
본 발명의 화합물(a) 15부, 벤토나이트 60부, 탈크 21부, 도데실벤젠설폰산소다 1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터 1부 및 리그닌설폰산소다 2부를 혼합한 후, 적당량의 물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련하고, 바스켓 조립기로 조립한 후, 얻어진 조립물을 건조시켜 입제 100부를 얻었다.
제제예 4 수화제(W1)
본 발명의 화합물(c) 50부, 탄산칼슘 40부, 솔폴(등록상표) 5039(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화이트 카본의 혼합물:토호가가쿠(주) 제) 5부 및 화이트 카본 5부를 균일하게 혼합 분쇄하여 수화제(水和劑)로 했다.
제제예 5 수화제(W2)
본 발명의 화합물(d) 30부, 카올리나이트 63부, 솔폴(등록상표) 5039(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화이트 카본의 혼합물:토호가가쿠(주) 제) 5부 및 화이트 카본 2부를 균일하게 혼합 분쇄하여 수화제로 했다.
제제예 6 유제(EC)
본 발명의 화합물(b) 20부, 자일렌 55부, N, 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0부, 솔폴(등록상표) 2680(계면활성제:토호가가쿠(주) 제) 5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유제로 했다.
제제예 7 플로어블제(FL)
본 발명의 화합물(a) 40부, 솔폴(등록상표) 3353(비이온성 계면활성제:토호가가쿠(주) 제) 5부, 잔탄검의 1% 수용액 5부, 물 40부, 에틸렌글라이콜 10부 중 유효성분 이외의 성분을 균일하게 용해하고, 이어서 본 발명 화합물을 첨가하여 잘 교반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샌드밀로 습식 분쇄하여, 플로어블제를 얻었다.
제제예 8 분제(粉劑)(D)
본 발명의 화합물(c) 5부, 클레이 95부를 균일하게 혼화하여, 분제를 얻었다.
참고 제제예 1 제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고, 화합물(a) 대신에, 비교 화합물(e), 화합물(f), 비교 화합물(g), 비교 화합물(h) 및 비교 화합물(i)를 사용하여, 각각, 간이 유제 E(e), 간이 유제 E(f), 간이 유제 E(g), 간이 유제 E(h) 및 간이 유제 E(i)를 얻었다.
시험예 1 배추 무름병 예방 시험(산포 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5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배추(품종:무소우(無雙))를 본엽 2~3엽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1에서 제작한, 화합물(a)~(d) 또는 비교 화합물(e)~(h)를 함유하는, 간이 유제 E(a)~E(h)를 단독으로 전착제(展着劑)인 그라민(등록상표) S(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0.03%를 함유시킨 증류수에 현탁시켜, 피검(被檢)배추 개체에 소정 농도가 되도록, 해당 현탁액을 산포하고, 산포 3일 후에, 해당 개체에 무름병균을 접종했다.
접종법은 이하와 같다; 무름병균 현탁액(Erwinia carotovora subsp.carotovora)에 곤충침을 담그고, 산포 처리한 배추 잎을 찌름으로써 접종했다. 그 후, 온실 내에 포트를 넣고, 발병을 촉진한 후, 발병을 정도별로 조사함으로써 방제값을 산출했다. 방제 효과는 방제값 20 미만을 C(방제 효과가 낮고, 또는 없다), 방제값 20 이상을 B(방제 효과가 확인된다), 방제값 50 이상을 A(높은 방제 효과가 확인된다)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발병 정도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발병 정도 0:무(無)발병(병반면적율 0%), 1:접종 위치의 주변에만 발병이 확인되지만, 진전되지 않음, 2:접종 위치의 주변에 진전된 병반이 확인됨, 3:접종 위치의 주변에 진전된 병반이 확인되고, 또한 유관(維管) 다발을 통해서 병반이 확대되어 있음.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 정도/무처리구의 발병 정도)×100
Figure pct00003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화합물(a)~(d)는 산포에 의한 시용에서 배추 무름병에 대하여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d)는 비교 화합물(e)~(h)와 동등 또는 낮은 농도에 있어서도, 비교 화합물(e)~(h)를 웃도는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d) 및 비교 화합물(e)~(h)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배추(품종:무소우)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2 배추 무름병 예방 시험(관주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5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배추(품종:무소우)를 본엽 2~3엽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1 또는 참고 제제예 1에서 제작한, 화합물(a)~(c) 또는 비교 화합물(e)~(h)를 함유하는, 간이 유제 E(a)~E(c), E(e)~E(h)를 단독으로 증류수에 현탁시켜 접종 10일 전에 배추 밑둥(株元)에 해당 현탁제 5ml를 관주했다. 접종법은 이하와 같다; 배추 무름병균 현탁액(Erwinia carotovora subsp.carotovora)에 곤충침을 담그고, 산포된 배추 잎을 찌름으로써 접종했다. 그 후, 습실 내에 포트를 넣고, 발병을 촉진한 후, 발병을 정도별로 조사함으로써 방제값을 산출했다. 방제 효과는 방제값 20 미만을 C(방제 효과가 낮고, 또는 없다), 방제값 20 이상을 B(방제 효과가 확인된다), 방제값 50 이상을 A(높은 방제 효과가 확인된다)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발병 정도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발병 정도 0:무발병(병반면적율 0%), 1:접종 위치의 주변에만 발병이 확인되지만, 진전되지 않음, 2:접종 위치의 주변에 진전된 병반이 확인됨, 3:접종 위치의 주변에 진전된 병반이 확인되고, 또한 유관 다발을 통해서 병반이 확대되어 있음.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處理區)의 발병 정도/무처리구(無處理區)의 발병 정도)×100
Figure pct00004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화합물(a)~(c)는 관주에 의한 시용에서 배추 무름병에 대하여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c)는 비교 화합물(e)~(h)와 동등 또는 낮은 농도에 있어서도, 비교 화합물(e)~(h)와 동등 정도의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c) 및 비교 화합물(e)~(h)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배추(품종:무소우)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3 양배추 흑부병 예방 시험(관주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5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양배추(품종:사계확(四季穫))를 본엽 2~3엽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1 또는 참고 제제예 1에서 제작한, 화합물(a)~(c) 또는 비교 화합물(h)을 함유하는, 간이 유제 E(a)~E(c) 및 E(h)를 단독으로 증류수에 현탁시켜 접종 10일 전에 양배추 밑둥에 해당 현탁액 5ml를 관주했다. 접종법은 이하와 같다; 양배추 흑부병균 현탁액(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을 양배추잎에 산포함으로써 접종했다. 그 후, 습실 내에 포트를 넣고, 발병을 촉진한 후, 발병을 정도별로 조사함으로써 방제값을 산출했다. 방제 효과는 방제값을 기본으로 실용성의 판정을 실시하고, 방제값 20 미만을 C(방제 효과가 낮고, 또는 없다), 방제값 20 이상을 B(방제 효과가 확인된다), 방제값 50 이상을 A(높은 방제 효과가 확인된다)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발병 정도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발병 정도 0:무발병(병반면적율 0%), 1:잎둘레에만 발병이 확인되지만, 진전되지 않음, 2:잎둘레로부터 유관 다발을 따라 진전된 병반이 확인됨, 3:잎 면적의 50% 이상의 발병 또는 고사(枯死).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 정도/무처리구의 발병 정도)×100
Figure pct00005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화합물(a)~(c)는 관주에 의한 시용에서 양배추 흑부병에 대하여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c)는 비교 화합물(h)보다 낮은 농도에 있어서도, 비교 화합물(h)을 웃도는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c) 및 비교 화합물(h)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양배추(품종:사계확)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4 오이 반점세균병 예방 시험(산포 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5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오이(품종:사가미 반백(相模半白))를 본엽 1~2엽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1 또는 참고 제제예 1에서 제작한, 화합물(a)~(d) 또는 비교 화합물(e)~(h)를 함유하는, 간이 유제 E(a)~E(h)를 단독으로 전착제인 그라민(등록상표) S(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0.03%를 함유시킨 증류수에 현탁시켜 피검 오이 개체에 소정 농도가 되도록, 해당 현탁액을 산포하고, 산포 3일 후에, 해당 개체에 오이 반점세균 병균 현탁액(Pseudomonas syringae pv. lachrymans)를 오이에 분무 접종했다. 그 후, 습실 내에 포트를 넣고, 발병을 촉진한 후, 발병을 정도별로 조사함으로써 방제값을 산출했다. 방제 효과는 방제값을 기본으로 실용성의 판정을 실시하고, 방제값 20 미만을 C(방제 효과가 낮고, 또는 없다), 방제값 20 이상을 B(방제 효과가 확인된다), 방제값 50 이상을 A(높은 방제 효과가 확인된다)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발병 정도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발병 정도 0:무발병(병반면적율 0%), 1:병반면적율 1~24%, 2:병반면적율 25~49%, 3:병반면적율 50% 이상.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 정도/무처리구의 발병 정도)×100
Figure pct00006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화합물(a)~(d)는 오이 반점세균병에 대하여 관주에 의한 시용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d)는 비교 화합물(e)~(h)보다 낮은 농도에 있어서도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d) 및 비교 화합물(e)~(h)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오이(품종:사가미 반백)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5 오이 반점세균병 예방 시험(관주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5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오이(품종:사가미 반백)를 본엽 1~2엽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1 또는 참고 제제예 1에서 제작한, 화합물(a)~(c) 또는 비교 화합물(h)을 함유하는, 간이 유제 E(a)~E(c) 및 E(h)를 단독으로 증류수에 현탁시켜, 접종 10일 전에 오이 밑둥에 해당 현탁액 5ml를 관주했다. 접종법은 이하와 같다; 오이 반점세균 병균 현탁액(Pseudomonas syringae pv. lachrymans)을 오이에 분무 접종했다. 그 후, 습실 내에 포트를 넣고, 발병을 촉진한 후, 발병을 정도별로 조사함으로써 방제값을 산출했다. 방제 효과는 방제값 20 미만을 C(방제 효과가 낮고, 또는 없다), 방제값 20 이상을 B(방제 효과가 확인된다), 방제값 50 이상을 A(높은 방제 효과가 확인된다)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발병 정도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발병 정도 0:무발병(병반면적율 0%), 1:병반면적율 1~24%, 2:병반면적율 25~49%, 3:병반면적율 50% 이상.]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 정도/무처리구의 발병 정도)×100
Figure pct00007
상기 표 5의 결과로부터, 화합물(a)~(c)는 오이 반점세균병에 대하여 관주에 의한 시용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c)는 비교 화합물(h)보다 낮은 농도에 있어서도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c) 및 비교 화합물(h)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오이(품종:사가미 반백)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6 오이 흰가루병 예방 시험(산포 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5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오이(품종:사가미 반백)를 본엽 1엽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1 또는 참고 제제예 1에서 제작한, 화합물(a)~(d) 또는 비교 화합물(e)~(h)를 함유하는, 간이 유제 E(a)~E(h)를 단독으로 전착제인 그라민(등록상표) S(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0.03%를 함유시킨 증류수에 현탁시켜 피검 오이 개체에 소정 농도가 되도록, 해당 현탁액을 산포하고, 약액을 건조한 후, 당일 중에 접종했다. 접종법은 이하와 같다; 오이 흰가루병균 포자 현탁액(Sphaerotheca cucurbitae)을 오이에 분무 접종했다. 그 후, 온실 내에서 발병을 촉진한 후, 발병을 정도별로 조사함으로써 방제값을 산출했다. 방제 효과는 방제값 20 미만을 C(방제 효과가 낮고, 또는 없다), 방제값 20 이상을 B(방제 효과가 확인된다), 방제값 50 이상을 A(높은 방제 효과가 확인된다)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발병 정도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발병 정도 0:무발병(병반면적율 0%), 1:병반면적율 1~24%, 2:병반면적율 25~49%, 3:병반면적율 50% 이상.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 정도/무처리구의 발병 정도)×100
Figure pct00008
상기 표 6의 결과로부터, 화합물(a)~(d)는 오이 흰가루병에 대하여 산포에 의한 시용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d)는 비교 화합물(e)~(h)보다 낮은 농도에 있어서도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d) 및 비교 화합물(e)~(h)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오이(품종:사가미 반백)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7 오이 노균병 예방 시험(산포 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5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오이(품종:사가미 반백)를 본엽 1엽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1 또는 참고 제제예 1에서 제작한, 화합물(a)~(d) 또는 비교 화합물(h)을 함유하는, 간이 유제 E(a)~E(d) 및 E(h)를 단독으로 전착제인 그라민(등록상표) S(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0.03%를 함유시킨 증류수에 현탁시켜 피검 오이 개체에 소정 농도가 되도록, 해당 현탁액을 산포하고, 약액을 건조한 후, 당일 중에 접종했다. 접종법은 이하와 같다; 오이 노균병균 포자 현탁액(Pseudoperonospora cubensis)을 오이에 분무 접종했다. 그 후, 습실 내에서 발병을 촉진한 후, 발병을 정도별로 조사함으로써 방제값을 산출했다. 방제 효과는 방제값 20 미만을 C(방제 효과가 낮고, 또는 없다), 방제값 20 이상을 B(방제 효과가 확인된다), 방제값 50 이상을 A(높은 방제 효과가 확인된다)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발병 정도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발병 정도 0:무발병(병반면적율 0%), 1:병반면적율 1~24%, 2:병반면적율 25~49%, 3:병반면적율 50% 이상.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 정도/무처리구의 발병 정도)×100
Figure pct00009
상기 표 7의 결과로부터, 화합물(a)~(d)는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 산포에 의한 시용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d) 및 비교 화합물(h)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오이(품종:사가미 반백)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8 토마토 흰가루병 예방 시험(토양 혼화 시험)
온실 내에서 토마토 흰가루병 예방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에는 직경 20cm의 플라스틱 포트를 사용했다. 시험 약제로서, 시판의 톨프로카브(화합물(a)) 3% 함유 입제(상품명; 산브라스(등록상표) 입제(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및 피로퀼론(화합물(b)) 5% 함유 입제(상품명; 코라톱(등록상표) 입제(신젠타져팬(주) 제))을 3kg/10a 상당량을 포트 전면(全面)에 토양 혼화했다. 또한 화합물(c)를 함유하는 간이 유제 E(c)를 증류수에 현탁시켜 포트 전면에 관주하여 혼화했다. 비교예로서 프로베나졸(비교 화합물(h)) 8% 함유 입제(상품명; 오리제메이트(등록상표) 입제(Meiji Seika 파르마(주) 제)) 3kg/10a 상당량을 포트 전면에 토양 혼화했다.약제 처리한 직경 20cm의 플라스틱 포트에 본엽 4엽기까지 생육시킨 토마토(품종:오오가타 후쿠쥬(大型福壽))를 정식(定植)했다. 포트 모종을 유리 온실 내에서 육묘하고, 자연발생한 토마토 흰가루병(Oidium neolycopersici)을 약제 처리 1개월 후에 조사했다. 조사에 있어서, 1 포트당 6 복엽(複葉)의 발병 지수를 조사하여, 발병도를 산출했다. 발병도로부터 방제값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발병 정도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발병 지수 0:무발병(병반면적율 0%), 1:병반면적율 5%미만, 2:병반면적율 5% 이상 25%미만, 3:병반면적율 25% 이상 50%미만, 4:병반면적율 50% 이상.
발병도는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발병도=(((발병 지수 0의 복엽수×0)+(발병 지수 1의 복엽수×1)+(발병 지수 2의 복엽수×2)+(발병 지수 3의 복엽수×3)+(발병 지수 4의 복엽수×4/(조사 복엽수×4))×100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 정도/무처리구의 발병 정도)×100
Figure pct00010
상기 표 8의 결과로부터, 화합물(a) 3% 함유 입제, 화합물(b) 5% 함유 입제, 화합물(c)은 토마토 흰가루병에 대하여, 비교 약제인 비교 화합물(h) 8% 함유 입제보다도 낮은 화합물량에 있어서, 전면 토양 혼화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 3% 함유 입제, 화합물(b) 5% 함유 입제, 화합물(c) 및 비교 화합물(h) 8% 함유 입제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토마토(품종:오오가타 후쿠쥬)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9 양배추 무름병 예방 시험(포장 시험)
온실 내에서, 셀 트레이에서 육묘한 양배추 모종(품종:킨케이 201호)을 본엽 3엽기까지 생육시켜, 바닥면(床面)이 토양인 유리 온실에 정식했다. 정식 시에, 시판 제제인, 톨프로카브(화합물(a)) 3% 함유 입제(상품명; 산브라스(등록상표) 입제(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피로퀼론(화합물(b)) 5% 함유 입제(상품명; 코라톱(등록상표) 입제(신젠타져팬(주) 제)) 및 프로베나졸(비교 화합물(h)) 8% 함유 입제(상품명; 오리제메이트(등록상표) 입제(Meiji Seika 파르마(주) 제))를, 각각 3kg/10a, 3kg/10a 및 6kg/10a가 되도록 식혈(植穴) 처리했다. 온실 내 포장(圃場)에서 결구기(結球期)까지 생육시킨 후, 무름병균 접종원(Erwinia carotovora subsp.carotovora)을 양배추에 분무 접종했다. 병반이 충분히 진전된 후, 방제 효과를 조사했다. 조사에 있어서, 주(株) 마다 발병 지수를 조사하여, 발병도를 산출했다. 발병도로부터 방제값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발병 정도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발병 지수 0:무발병, 1:외엽(外葉)의 일부에만 발병(출하 가능), 2:외엽과 결구엽(結球葉)의 일부에 발병(피해 부분을 제거하여, 소구(小球)로서 출하 가능하지만, B급품이 된다), 3:결구엽의 대부분이 발병되고, 혹은 그 이상의 피해가 있는 것(출하 불가능).
발병도는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발병도=(((발병 지수 0의 주 수(株數)×0)+(발병 지수 1의 주 수×1)+(발병 지수 2의 주 수×2)+(발병 지수 3의 주 수×3)/(조사주 수×3))×100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도/무처리구의 발병도)×100
Figure pct00011
상기 표 9의 결과로부터, 화합물(a) 3% 함유 입제 및 화합물(b) 5% 함유 입제는 양배추 무름병에 대하여 정식 시 식혈처리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비교 화합물(h) 8% 함유 입제보다 적은 처리량으로도 비교 화합물(h) 8% 함유 입제가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 3% 함유 입제, 화합물(b) 5% 함유 입제 및 비교 화합물(h) 8% 함유 입제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양배추(품종:킨케이(金系) 201호)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10 오이 반점세균병 예방 시험(포장 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5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오이(품종:사가미 반백)를 본엽 2엽기까지 생육시켜, 노지(露地) 포장에 정식했다. 정식 시에, 시판 제제인, 톨프로카브(화합물(a)) 3% 함유 입제(상품명; 산브라스(등록상표) 입제(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피로퀼론(화합물(b)) 5% 함유 입제(상품명; 코라톱(등록상표) 입제(신젠타져팬(주) 제)) 및 프로베나졸(비교 화합물(h)) 8% 함유 입제(상품명; 오리제메이트(등록상표) 입제(Meiji Seika 파르마(주) 제))를, 각각 6kg/10a, 6kg/10a 및 7.5kg/10a가 되도록 식혈 처리했다. 약 3주간 생육시킨 후, 오이 반점세균 병균 접종원(Pseudomonas syringae pv. lachrymans)을 오이 하엽(下葉)에 분무 접종했다. 병반이 충분히 진전된 후, 방제 효과를 조사했다. 조사에 있어서, 발병 지수를 조사하고, 발병도를 산출하여, 발병도로부터 방제값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발병 정도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발병 지수 0:조사주(調査株) 중에 발병옆(葉) 없음, 1:조사주 중의 발병엽률이 5% 미만, 2:조사주 중의 발병엽률이 5%~25%, 3:조사주 중에 발병엽률이 26%~49%, 4:조사주 중의 발병엽률이 50% 이상.
발병도는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발병도=(((발병 지수 0의 엽수(葉數)×0)+(발병 지수 1의 엽수×1)+(발병 지수 2의 엽수×2)+(발병 지수 3의 엽수×3)+(발병 지수 4의 엽수×4)/(조사엽수×4))×100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도/무처리구의 발병도)×100
Figure pct00012
상기 표 10의 결과로부터, 화합물(a) 3% 함유 입제 및 화합물(b) 5% 함유 입제는 오이 반점세균병에 대하여 정식 시 식혈처리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비교 화합물(h) 8% 함유 입제보다 적은 처리량에서도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 3% 함유 입제, 화합물(b) 5% 함유 입제 및 비교 화합물(h) 8% 함유 입제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오이(품종:사가미 반백)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11 벼 흰잎마름병 예방 시험(관주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5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벼(품종:행풍)를 본엽 3엽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1 또는 참고 제제예 1에서 제작한, 화합물(a)~(d) 또는 비교 화합물(e)~(h)를 함유하는, 간이 유제 E(a)~E(h)를 단독으로 증류수에 현탁시켜, 접종 10일 전에 벼 밑둥에 해당 현탁액 5ml를 관주했다. 접종법은 이하와 같다; 벼 흰잎마름병균 현탁액(Xanthomonas oryzae pv. oryzae)에 가위를 담그고, 벼잎의 선단(先端)을 잘라내는 것으로 접종했다(전엽(剪葉) 접종). 그 후, 습실 내에 포트를 넣고, 발병을 촉진한 후, 잘라낸 벼잎 선단으로부터의 백화(白化) 길이를 조사하여, 방제값을 산출했다. 방제 효과는 방제값 20 미만을 C(방제 효과가 낮고, 또는 없다), 방제값 20 이상을 B(방제 효과가 확인된다), 방제값 50 이상을 A(높은 방제 효과가 확인된다)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평균 백화 길이/무처리구의 평균 백화 길이)×100
Figure pct00013
상기 표 11의 결과로부터, 화합물(a)~(d)는 벼 흰잎마름병에 대하여 관주에 의한 시용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d) 및 비교 화합물(e)~(h)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벼(품종:사치카제(幸風))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12 벼 흰잎마름병 예방 시험(포장 시험)
상법에 근거하여 육묘상자로 재배한 벼 모종(품종:히노히카리)에, 시판 제제인 톨프로카브(화합물(a)) 4%, 디노테퓨란(살충 성분) 6%, 클로란트라닐리프롤(살충 성분) 0.75% 함유 입제(상품명; 산트리플(등록상표) 상입제(箱粒劑)(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및 프로베나졸(비교 화합물(h)) 24%, 피프로닐(살충 성분) 1% 함유 입제(상품명; Dr.오리제(등록상표) 프린스(등록상표) 입제 10(Meiji Seika 파르마(주) 제))를 50g/상자의 비율로 처리하여, 같은 날에 논에 이식했다. 접종법은 이하와 같다; 미리 벼 흰잎마름병균(Xanthomonas oryzae pv. oryzae)을 접종한 벼 모종을, 이식 당일에 시험구의 주위에 이식했다. 그 후, 상법에 근거하여 재배 관리를 실시하고, 수확 약 20일 전에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 있어서, 각 구(區) 500엽에 대하여 발병 지수를 조사하여, 발병도를 산출했다. 발병도로부터 방제값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발병 지수
0:병반면적/잎면적의 비율이 0, 1:동(同) 1/4 이하, 2:동(同) 1/2 전후, 3:동(同) 3/4 전후, 4:동(同) 7/8 이상인 엽수(葉數).
발병도는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발병도=(((발병 지수 0의 엽수×0)+(발병 지수 1의 엽수×1)+(발병 지수 2의 엽수×2)+(발병 지수 3의 엽수×3)+(발병 지수 4의 엽수×4)/(조사엽수×4))×100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도/무처리구의 발병도)×100
Figure pct00014
상기 표 12의 결과로부터, 화합물(a) 4% 함유 혼합 입제(산트리플(등록상표) 상입제)는 벼 흰잎마름병에 대하여 이식 당일 처리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 4% 함유 혼합 입제 및 비교 화합물(h) 24% 함유 혼합 입제(Dr.오리제(등록상표) 프린스(등록상표) 입제 10)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벼(품종:히노히카리)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13 벼 내영갈변병 예방 시험(포장 시험)
상법에 근거하여 육묘상자에서 재배한 벼 모종(품종:니코마루)에, 시판 제제인 톨프로카브(시험 화합물(a)) 9%, 디노테퓨란(살충 성분) 12% 함유 입제(상품명; 하이퍼 킥(등록상표) 상입제(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및 프로베나졸(비교 화합물(h)) 24%, 피프로닐(살충 성분) 1% 함유 입제(상품명; Dr.오리제(등록상표) 프린스(등록상표) 입제 10(Meiji Seika 파르마(주) 제))를 50g/상자의 비율로 처리하여, 같은 날에 논에 이식했다. 상법에 근거하여 재배 관리를 실시하고, 자연발생한 벼 내영갈변병을 이식 약 3개월 후(호숙기(糊熟期))에 조사했다. 조사에 있어서, 각 이삭에 관하여 발병 지수를 조사하여, 발병도를 산출했다. 발병도로부터 방제값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발병 지수
0:발병이 확인되지 않음, 1:발병립(病粒粒) 수가 5립 이하인 이삭, 2:발병립 수가 6~15립의 이삭, 3:발병립수가 16립 이상의 이삭.
발병도는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발병도=(((발병 지수 0의 이삭 수×0)+(발병 지수 1의 이삭 수×1)+(발병 지수 2의 이삭 수×2)+(발병 지수 3의 이삭 수×3)/(조사 이삭 수×3))×100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도/무처리구의 발병도)×100
Figure pct00015
상기 표 13의 결과로부터, 시험 화합물(a) 9% 함유 혼합 입제(하이퍼 킥(등록상표) 상입제)는 벼 내영갈변병(Erwinia herbicola)에 대하여 이식 당일 처리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시험 화합물(a) 9% 함유 혼합 입제 및 비교 화합물(h) 24% 함유 혼합 입제(Dr.오리제(등록상표) 프린스(등록상표) 입제 10)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벼(품종:니코마루)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14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 예방 시험(관주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8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오이(품종:사가미 반백)를 본엽 2엽 전개기(展開期)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1 또는 참고 제제예 1에서 제작한, 화합물(a) 또는 비교 화합물(i)을 함유하는, 간이 유제 E(a) 또는 E(i)를 단독으로 증류수에 현탁시켜 접종 1일 전에 오이 밑둥에 해당 현탁제 10ml를 관주했다. 접종법은 이하와 같다;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이병(罹病) 오이잎을 유발에서 갈아 으깨어 접종원을 제작했다. 오이잎에 카보랜덤(나카라이테스크(주) 제; 600mesh)을 뿌리고, 접종원에 담근 면봉으로 그 표면을 문지르는 것으로 접종했다. 그 후, 온실 내에서 발병을 촉진하고 발병 후에 방제 효과를 조사했다. 발병 정도별로 발병주(發病株) 수를 조사하여, 발병 정도로부터 발병도를 산출했다. 발병도로부터 방제값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발병 정도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발병 정도 0:무발병, 1:발병(모자이크 증상) 2:발병(급성위조(急性萎凋)) 발병도=(((발병 정도 0의 주(株) 수×0)+(발병 정도 1의 주 수×1)+(발병 정도 2의 주 수×2)/(조사주(調査株)×2))×100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 정도/무처리구의 발병 정도)×100
Figure pct00016
상기 표 14의 결과로부터, 시험 화합물(a)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에 대하여 접종 1일 전 처리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은 비교 화합물(i)보다 낮은 농도에 있어서도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합물(a) 및 비교 화합물(i)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오이(품종:사가미 반백)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15 오이 모자이크병(CMV) 예방 시험(관주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8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오이(품종:사가미 반백)를 본엽 2엽 전개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1 또는 참고 제제예 1에서 제작한, 화합물(a) 또는 (b)를 함유하는, 간이 유제 E(a) 또는 E(b)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화합물과 혼합하고 증류수에 현탁시켜 접종 3일 전에 오이 밑둥에 해당 현탁제 10ml를 관주했다. 접종법은 이하와 같다; 오이 모자이크병 이병 오이잎을 유발에서 갈아 으깨서 접종원을 제작했다. 오이잎에 카보랜덤(나카라이테스크(주) 제; 600mesh)을 뿌리고, 접종원에 담근 면봉으로 그 표면을 문지르는 것으로 접종했다. 그 후, 온실 내에서 발병을 촉진하고, 발병 후에 방제 효과를 조사했다. 발병 정도별로 발병주 수를 조사하여, 발병 정도로부터 발병도를 산출했다. 발병도로부터 방제값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발병 지수
0:무발병, 1:발병(모자이크 증상) 2:발병(급성위조)
발병도=(((발병 지수 0의 주 수×0)+(발병 지수 1의 주 수×1)+(발병 지수 2의 주 수×2)/(조사주 수×2))×100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 정도/무처리구의 발병 정도)×100
상승(相乘) 효과는 이하의 코르비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상승 효과(기대치)=(화합물 A의 방제 효과+화합물 B의 방제 효과)-(화합물 A의 방제 효과×화합물 B의 방제 효과)/100
각 화합물끼리를 혼합하여 시용한 경우의 방제 효과가 기대치를 웃돈 경우에, 상승 효과가 있다고 판단했다.
Figure pct00017
상기 표 15의 결과로부터, 시험 화합물(a) 및 (b)는 오이 모자이크병(CMV)에 대하여 접종 3일 전 처리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시험 화합물(a)와 디노테퓨란(살충 성분), 시험 화합물(b)와 티아메톡삼(살충 성분)을 혼합하고 시용함으로써, 단독에서의 시용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상승 효과). 또한, 시험 화합물(a)(b), 디노테퓨란, 티아메톡삼, 및 비교 화합물(h)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오이(품종:사가미 반백)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16 토마토 황화 엽권병(TYLCV) 예방 시험(관주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9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토마토(품종:세카이이치(世界一))를 본엽 4엽 전개기까지 생육시켰다. 톨프로카브(a) 3% 함유 입제(상품명; 산브라스(등록상표) 입제(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피로퀼론(b) 5% 함유 입제(상품명; 코라톱(등록상표) 입제(신젠타져팬(주) 제)) 및 디노테퓨란 1% 함유 입제(상품명; 스타크루(등록상표) 입제(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고 토마토 밑둥에 소정량 처리했다. 약제 처리 7일 후에 TYLCV 보독(保毒) 타바코 코나지라미 바이오 타입 Q 성충을 1마리/주(株), 3일간 흡즙 (吸汁)시켜 접종했다. 그 후, 온실 내에서 발병을 촉진하고, 발병 후에 방제 효과를 조사했다. 발병 정도별로 발병 지수를 조사하여, 발병 지수로부터 발병도를 산출했다. 발병도로부터 방제값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16에 나타낸다.
발병 지수
0:무발병, 1:초기의 발병이 확인된다 (발병 지연) 2:발병이 확인된다
발병도=(((발병 지수 0의 주 수×0)+(발병 지수 1의 주 수×1)+(발병 지수 2의 주 수×2)/(조사주 수×2))×100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 정도/무처리구의 발병 정도)×100
상승 효과는 이하의 코르비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상승 효과(기대치)=(화합물 A의 방제 효과+화합물 B의 방제 효과)-(화합물 A의 방제 효과×화합물 B의 방제 효과)/100
각 화합물끼리를 혼합하여 시용한 경우의 방제 효과가 기대치를 웃돈 경우에, 상승 효과가 있다고 판단했다.
Figure pct00018
상기 표 16의 결과로부터, 시험 화합물(a) 및 (b)는 토마토 황화 엽권병(TYLCV)에 대하여 접종 7일 전 처리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시험 화합물(a) 또는 시험 화합물(b)와 디노테퓨란(살충 성분)을 혼합하고 시용함으로써, 단독에서의 시용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상승 효과). 또한, 시험 화합물(a)(b), 및 디노테퓨란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토마토(품종:세카이이치)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17 벼 줄무늬잎마름 병(RSV) 예방 시험(육묘상자 시용 포장 시험)
온실 내에서 상법에 근거하여 벼(품종:히노히카리) 유묘(幼苗)를 생육시켜, 노지 논에 이식했다. 제제예 2에 준하여 제작된 톨프로카브(a) 4% 함유 입제 및 디노테퓨란(살충 성분) 6% 함유 입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고, 이식 당일에 육묘상자에 상자당 50g을 처리했다. 이식 35일 후에 RSV 보독 히메트비운카 유충을 1주간 방사(放飼)하고, 벼를 흡즙시켜 접종했다. 이식 79일 후, 99일 후에 움푹 패인 이삭의 유무를 조사했다.
Figure pct00019
상기 표 17의 결과로부터, 시험 화합물(a)와 디노테퓨란(살충 성분)을 혼합하고 시용함으로써, 벼 줄무늬잎마름 병(RSV)에 대하여 육묘상자 시용에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디노테퓨란(살충 성분)을 단독으로 시용한 경우에는 움푹 패인 이삭의 발생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었던 것에 대하여, 시험 화합물(a)를 혼합하여 시용하면 그 효과를 더욱 증강시킬 수 있었다. 또한, 시험 화합물(a), 및 디노테퓨란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벼(품종:히노히카리)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18 배추 무름병 예방 시험(토양 혼화 시험)
온실 내에서, 직경 12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심어진 배추(품종:무소우)를 본엽 5엽 전개기까지 생육시켰다. 톨프로카브(a) 3% 함유 입제(상품명; 산브라스(등록상표) 입제(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피로퀼론(b) 5% 함유 입제(상품명; 코라톱(등록상표) 입제(신젠타져팬(주) 제)), 시메코나졸(살균 성분) 1.5% 함유 입제(상품명; 몬가릿트(등록상표) 입제(미쓰이가가쿠아그로(주) 제)), 및 펜티오피라드(살균 성분) 20% 함유 플로어블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포트 토양에 소정량 혼화 한 후, 배추를 정식(定植)했다. 약제 처리 14일 후에 배추 무름병균을 접종했다. 종법(種法)은 이하와 같다; 배추 무름병균 현탁액(Erwinia carotovora subsp.carotovora)에 곤충침을 담그고, 산포된 배추 잎을 찌름으로써 접종했다. 그 후, 25℃습실 내에서 2일간 관리하여 발병을 촉진하고, 발병 후에 방제 효과를 조사했다. 발병 정도별로 발병 지수를 조사하여, 발병 지수로부터 발병도를 산출했다. 발병도로부터 방제값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18에 나타낸다.
발병 지수
0:무발병(병반면적율 0%), 1:접종 위치의 주변에만 발병이 확인되지만, 진전되지 않음, 2:접종 위치의 주변에 진전된 병반이 확인됨, 3:접종 위치의 주변에 진전된 병반이 확인되고, 또한 유관 다발을 통해서 병반이 확대되어 있음.
발병도=(((발병 지수 0의 엽수×0)+(발병 지수 1의 엽수×1)+(발병 지수 2의 엽수×2)+(발병 지수 3의 엽수×3))/(조사엽수×3))×100
방제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방제값=(1-처리구의 발병 정도/무처리구의 발병 정도)×100
상승 효과는 이하의 코르비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상승 효과(기대치)=(화합물 A의 방제 효과+화합물 B의 방제 효과)-(화합물 A의 방제 효과×화합물 B의 방제 효과)/100
각 화합물끼리를 혼합하여 시용한 경우의 방제 효과가 기대치를 웃돈 경우에, 상승 효과가 있다고 판단했다.
Figure pct00020
상기 표 18의 결과로부터, 시험 화합물(a) 및 (b)는 배추 무름병에 대하여 정식 시 전면 토양 혼화로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시험 화합물(a) 또는 시험 화합물(b)와 시메코나졸(살균 성분) 또는 펜티오피라드(살균 성분)를 혼합하여 시용함으로써, 단독에서의 시용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뛰어난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상승 효과). 또한, 시험 화합물(a)(b), 시메코나졸, 및 펜티오피라드의 시용에 의해, 식물체 배추(품종:무소우)에 약해 증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 톨프로카브(Tolprocarb)(화합물 a), 피로퀼론(Pyroquilon)(화합물 b), 트라이사이클라졸(Tricyclazole)(화합물 c) 또는 프탈라이드(Fthalide)(화합물 d)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식물 병해(예를 들면, 세균에 의한 병해인 벼 흰잎마름병, 벼 내영갈변병, 배추 무름병, 오이 반점세균병 및 양배추 흑부병, 사상균에 의한 병해인 토마토 흰가루병, 오이 흰가루병 및 오이 노균병, 바이러스에 의한 병해인 CMV(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TYLCV(토마토 황화 엽권 바이러스) 및 RSV(벼 줄무늬잎마름 병) 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지금까지의 사용 방법에서는 예상할 수 없는 뛰어난 방제 효과를 발현시켜, 높은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유효성분 단독뿐만 아니라, 다른 농약 활성 성분과 혼합하여도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유효성분 단독, 또는 다른 농약 유효성분과 혼합하고 제제화한 농약 제제에 있어서도 높은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식물에 약해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는 점에서, 뛰어난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17년 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출원 특원2017-036468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開示)의 전부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18)

  1. 톨프로카브,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그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벼 도열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병해에 사용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 톨프로카브 또는 그 염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그들의 염이며, 상기 식물 병해가 벼 도열병 및 탄저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해가 원예 작물의 사상균병,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해가 탄저병을 제외한 원예 작물의 사상균병,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균병이 벼 흰잎마름병 및/또는 벼 내영갈변병인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해가 Xanthomonas(산토모나스) 속균에 의한 병해, Pseudomonas(슈도모나스) 속균에 의한 병해 및 Erwinia(에르위니아) 속균에 의한 병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세균에 의한 병해, 흰가루병 및 노균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사상균에 의한 병해, 및 바이러스병인 CMV(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TYLCV(토마토 황화 엽권 바이러스) 및 RSV(벼 줄무늬잎마름 바이러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바이러스에 의한 병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조성물.
  8. 톨프로카브,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그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벼 도열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병해에 사용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 톨프로카브 또는 그 염인 청구항 8 기재의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 피로퀼론, 트라이사이클라졸 및 프탈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그들의 염이며, 벼 도열병 및 탄저병을 제외한 사상균병, 벼 세균성벼알마름병을 제외한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 병해에 사용하는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해가 원예 작물의 사상균병,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해가 탄저병을 제외한 원예 작물의 사상균병, 세균병 및 바이러스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세균병이 벼 흰잎마름병 및/또는 벼 내영갈변병인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해가 Xanthomonas(산토모나스) 속균에 의한 병해, Pseudomonas(슈도모나스) 속균에 의한 병해 및 Erwinia(에르위니아) 속균에 의한 병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세균에 의한 병해, 흰가루병 및 노균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사상균에 의한 병해, 및 CMV(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TYLCV(토마토 황화 엽권 바이러스) 및 RSV(벼 줄무늬잎마름 바이러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바이러스에 의한 병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방법.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시용 방법이 식물체 또는 토양에 대한 처리인 식물 병해 방제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시용 방법이 토양에 대한 처리이며, 옮겨심기 전, 옮겨심기 시 혹은 옮겨심기 후의 토양 관주, 토양 혼화 및/또는 토양 표면에 대한 처리인 식물 병해 방제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시용 방법이 식물체에 대한 산포인 식물 병해 방제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시용 방법이 종자에 대한 처리인 식물 병해 방제 방법.
KR1020197024466A 2017-02-28 2018-02-27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것을 시용(施用)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KR102272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36468 2017-02-28
JPJP-P-2017-036468 2017-02-28
PCT/JP2018/007253 WO2018159609A1 (ja) 2017-02-28 2018-02-27 植物病害防除組成物およびそれを施用する植物病害の防除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115A true KR20190110115A (ko) 2019-09-27
KR102272291B1 KR102272291B1 (ko) 2021-07-01

Family

ID=6337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466A KR102272291B1 (ko) 2017-02-28 2018-02-27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것을 시용(施用)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85076B2 (ko)
EP (1) EP3590341A4 (ko)
JP (2) JP6772364B2 (ko)
KR (1) KR102272291B1 (ko)
CN (1) CN110325040B (ko)
BR (1) BR112019017522B1 (ko)
CA (1) CA3054406C (ko)
WO (1) WO2018159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4011B (zh) * 2019-12-19 2021-04-23 安徽农业大学 丙硫菌唑高效降解菌w313、菌剂及应用
CN113249229B (zh) * 2021-05-14 2021-11-30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假瓶霉属内生真菌p-b313及其应用
CN113973847B (zh) * 2021-12-02 2022-04-26 华南农业大学 一种利用薇甘菊萎蔫病毒和氯吡嘧磺隆防除薇甘菊的方法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94373A (en) 1972-05-17 1975-05-14 Pfizer Ltd Control of plant diseases
US4550165A (en) 1982-03-25 1985-10-29 Ciba Geigy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1,2,5,6-tetrahydro-4H-pyrrolo-[3,2,1-ij]-quinolin-4-one
JP2000109404A (ja) 1998-10-01 2000-04-18 Nippon Bayer Agrochem Co Ltd 植物細菌病防除剤
KR20020086733A (ko) * 2000-03-30 2002-11-18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피로퀼론 및 네오니코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05042474A1 (ja) 2003-10-31 2005-05-12 Mitsui Chemicals, Inc. ジアミ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有効成分とする植物病害防除剤
WO2006106811A1 (ja) 2005-03-31 2006-10-12 Mitsui Chemicals, Inc. 有害生物防除組成物
KR20080024682A (ko) 2006-09-14 2008-03-19 하용수 유성기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로보트의 감속주행륜
WO2008075453A1 (ja) 2006-12-19 2008-06-26 Mitsui Chemicals, Inc. 有害生物防除組成物
US20080221110A1 (en) 2005-10-21 2008-09-11 Nathalie Cailleau Compounds
KR20090024813A (ko) * 2006-07-03 2009-03-09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살충제와 살진균제의 상승작용성 혼합물
KR20130018662A (ko) * 2010-03-03 2013-02-2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 방제 방법
KR20130018665A (ko) * 2010-03-03 2013-02-2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 방제 방법
JP2016079185A (ja) * 2014-10-20 2016-05-16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植物病害虫防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3704A (en) 1967-08-30 1972-05-16 Kureha Chemical Ind Co Ltd Agricultural fungicide and bactericide,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ame and a process for controlling rice blast
BE789918A (fr) 1971-10-12 1973-04-11 Lilly Co Eli Benzothiazoles dans la lutte contre les organismes phytopathogenes
CA1022458A (en) 1971-10-12 1977-12-13 Charles J. Paget (Jr.) Benzothiazole compounds for controlling plant pathogenic organisms
US4008325A (en) 1972-05-17 1977-02-15 Pfizer Inc. Control of rice blast disease employing certain pyrido compounds
HU165912B (ko) 1972-10-10 1974-12-28
JPS54117028A (en) 1978-03-01 1979-09-11 Kumiai Chem Ind Co Ltd Method for control of rice blast
US4595755A (en) 1982-03-25 1986-06-17 Ciba-Geigy Corporation 5-halo-1,2,3-(1,2-dihydropyrrolo)-4-quinolones
EP0976326B1 (en) 1998-07-30 2003-05-02 Nihon Nohyaku Co., Ltd. Fung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a 1,2,3-tiadiazole derivative and its use
DE602006006851D1 (ko) 2005-09-29 2009-06-25 Syngenta Ltd
TW200800029A (en) 2005-12-22 2008-01-01 Syngenta Participations Ag Methods and composition for growth engineering and disease control
JP2008024682A (ja) 2006-07-25 2008-02-07 Kureha Corp 植物の炭疽病防除剤、及びその防除方法
JP4871959B2 (ja) 2006-11-29 2012-02-08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病害虫防除組成物及び病害虫被害予防方法
AU2009357098B2 (en) 2009-12-22 2014-06-05 Mitsui Chemicals Crop & Life Solutions, Inc.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by applying the same
KR101821011B1 (ko) 2011-09-26 2018-01-22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농원예용 살균제 조성물
TW201418223A (zh) * 2012-10-25 2014-05-16 Du Pont 經取代之甲苯基殺真菌劑
US9770025B2 (en) 2013-10-03 2017-09-26 Syngenta Participations Ag Fungicidal compositions
JP2017036468A (ja) 2015-08-07 2017-02-16 株式会社Uacj 銅合金管
BR112018006292B1 (pt) 2015-10-09 2022-07-26 Nippon Soda Co., Ltd. Composição fungicida para uso agrícola e hortícola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94373A (en) 1972-05-17 1975-05-14 Pfizer Ltd Control of plant diseases
US4550165A (en) 1982-03-25 1985-10-29 Ciba Geigy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1,2,5,6-tetrahydro-4H-pyrrolo-[3,2,1-ij]-quinolin-4-one
JP2000109404A (ja) 1998-10-01 2000-04-18 Nippon Bayer Agrochem Co Ltd 植物細菌病防除剤
KR20020086733A (ko) * 2000-03-30 2002-11-18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피로퀼론 및 네오니코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05042474A1 (ja) 2003-10-31 2005-05-12 Mitsui Chemicals, Inc. ジアミ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有効成分とする植物病害防除剤
WO2006106811A1 (ja) 2005-03-31 2006-10-12 Mitsui Chemicals, Inc. 有害生物防除組成物
US20080221110A1 (en) 2005-10-21 2008-09-11 Nathalie Cailleau Compounds
KR20090024813A (ko) * 2006-07-03 2009-03-09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살충제와 살진균제의 상승작용성 혼합물
KR20080024682A (ko) 2006-09-14 2008-03-19 하용수 유성기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로보트의 감속주행륜
WO2008075453A1 (ja) 2006-12-19 2008-06-26 Mitsui Chemicals, Inc. 有害生物防除組成物
KR20130018662A (ko) * 2010-03-03 2013-02-2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 방제 방법
KR20130018665A (ko) * 2010-03-03 2013-02-2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 방제 방법
JP2016079185A (ja) * 2014-10-20 2016-05-16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植物病害虫防除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Acta Biochemica Polonica 2006, 53, (3): 429-443(Review)
비특허문헌 2 : Pesticide Outlook 2001, 12, 32-35
비특허문헌 3 : FRAC Code List 2016
비특허문헌 4 : Pesticid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1978, 8(1):26-32
비특허문헌 5 : Japanese Journal of Phytopathology 1982, 48(1):58-6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54406A1 (en) 2018-09-07
BR112019017522B1 (pt) 2023-11-28
KR102272291B1 (ko) 2021-07-01
US20200000094A1 (en) 2020-01-02
RU2019130322A3 (ko) 2021-03-30
JP6772364B2 (ja) 2020-10-21
JP2021006553A (ja) 2021-01-21
WO2018159609A1 (ja) 2018-09-07
EP3590341A4 (en) 2021-03-10
EP3590341A1 (en) 2020-01-08
CN110325040B (zh) 2022-04-05
CA3054406C (en) 2022-05-03
RU2019130322A (ru) 2021-03-30
JPWO2018159609A1 (ja) 2019-11-07
US11185076B2 (en) 2021-11-30
BR112019017522A2 (pt) 2020-04-07
CN110325040A (zh) 2019-10-11
JP7038776B2 (ja)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8776B2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およびそれを施用する植物病害の防除方法
CN104302179A (zh) 宿主防御诱导物用于防治有用植物中的细菌有害生物的用途
TW201521583A (zh) 二硫雜己環並四羧醯亞胺於防治有用植物中細菌性有害生物體之用途
CN106922694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12136825A (zh) 一种杀菌组合物
JP6774575B2 (ja) 殺菌性化合物を有効成分とする薬害軽減剤、並びに該薬害軽減剤と除草性化合物を含む薬害軽減された除草性組成物
CN106922695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08260593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06922698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06922720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06922697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06922693A (zh) 一种杀菌组合物
RU2797834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путем ее нанесения
CN114365744A (zh) 一种包含噻霉酮和苯醚双唑的杀菌组合物
CN108260597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06922699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12056316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06922712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06922705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06922700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06922696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12042661A (zh) 一种杀菌组合物
WO2024091619A1 (en) Water dispersible granule acylhydrazone apyrase inhibitor formulation
CN110384102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10301449A (zh) 一种杀菌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