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975A -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975A
KR20190109975A KR1020180031725A KR20180031725A KR20190109975A KR 20190109975 A KR20190109975 A KR 20190109975A KR 1020180031725 A KR1020180031725 A KR 1020180031725A KR 20180031725 A KR20180031725 A KR 20180031725A KR 20190109975 A KR20190109975 A KR 20190109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snow
water supply
removing agent
snow re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to KR102018003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9975A/ko
Publication of KR2019010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15/00824
    • B01F15/00344
    • B01F15/0254
    • B01F15/02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1Amount of delivered fluid during a peri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제 용해 장치에 사용되는 호퍼 부분에 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설제 용해 장치의 용해과정에서 제설제의 투입시 호퍼 내부에서 용해되는 물의 공급방향을 다양화 함으로써 용해되는 속도를 향상시키며, 제설제의 용해 과정시 발생되는 거품 및 이물질의 자가 제거가 가능한 호퍼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Hopper for dissolving snow remover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설제 용해 장치에 사용되는 호퍼 부분에 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설제 용해 장치의 용해과정에서 제설제의 투입시 호퍼 내부에서 용해되는 물의 공급방향을 다양화 함으로써 제설제가 용해되는 속도를 향상시키며, 제설제의 용해 과정시 발생되는 거품 및 이물질의 자가 제거가 가능한 호퍼에 대한 발명이다.
도로는 사람과 화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국가 기간시설 중 하나이다. 따라서, 각 국가의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도로의 유지 보수 및 안전관리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의무를 가진다. 특히, 겨울철 도로의 결빙은 국민의 생명과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기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겨울철 도로의 결빙과 관련된 안전문제에 대비해 대응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에 따라 각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도로의 결빙 문제와 관련하여 대량의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및 제설제를 구비해왔으며, 고체상태의 염화칼슘 및 제설제를 도로에 살포하는 방법으로 노면의 결빙문제를 해결해왔다. 그러나, 고체상태의 제설제의 경우 해빙 범위가 국부적이라는 점과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고체 제설제의 단점을 보완하여, 액체 상태의 제설용액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액체 상태의 제설 용액의 경우 주로 제설 용액 제조 장치를 통해 용해하는 과정을 거쳐 사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대량의 제설제 용액의 용해 및 제조가 가능한 제설 용액 제조 장치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제설제 용해 장치에 구비된 제설제 용해 호퍼의 경우, 대량 용해 작업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큰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용기의 형태로 제작되어 왔다, 최근에는 대량의 제설제가 호퍼 내부에서 투입될 경우 용해 효율이 감소되는 점을 고려하여 살수 노즐 및 용해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치를 추가함으로써, 용해속도를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제설제 용액의 용해작업을 거쳐 토출된 제설제 용액의 경우 용액 내부에 고체상태로 잔존하는 제설제 및 염화칼슘의 비율이 적지 않아 최적의 상태인 제설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설제 용액 내부에서 고체상태의 제설제가 잔존할 경우 고체상태의 제설제를 분리시키는 작업을 위해 별도의 노동력이 소비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설제 용액의 용해 및 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거품생성으로 인하여 잦은 세척 및 오작동을 야기하여 작업효율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설제 용해 호퍼에서 토출되는 제설제를 급속 교반부로 운송시,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으로 인해 운송시간 및 운송 중 컨베이어 벨트에 별도의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설제 용액 용해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의 토출방향을 다양화 하여 제설제 용액의 용해 효율을 향상시키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호퍼 내부에서 살수되는 하나 이상의 물 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호퍼의 자가 청소가 가능한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급속 교반부가 직하형 방식으로 호퍼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호퍼에 투입된 제설제가 급속 교반부로 운송되는 시간을 단축시킨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호퍼 내부의 고체상태로 잔존하는 제설제를 분리시키는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최적의 상태인 제설제를 공급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고체 상태의 제설제를 파쇄하는 파쇄부의 파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제설제 용액의 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호퍼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 공급부는 하나 이상의 살수 노즐을 구비한 제1 물 공급관, 상기 제1 물 공급관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제1 물 공급관의 살수 방향과 상이한 구조로 형성된 제2 물 공급관,과 물 공급부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물 공급관의 토출구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물 공급관 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물 공급관 보호부는 상기 제2 물 공급관의 토출구가 형성된 면을 기준으로 3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로 형성된 빗면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판상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판상구조는 서로다른 방향에서 포개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한다.
또한, 제설제 용해 호퍼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설제 포대 파쇄부, 제설제 용해 호퍼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용액 배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액 배출 조절부는 기어(gear)의 물림으로 고형 제설제를 파쇄하는 파쇄 모듈,상기 파쇄 모듈에 의해 토출되는 용액의 양에 비례하여 개폐가 조절되는 개폐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쇄 모듈과 개폐 모듈 및/또는 밸브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설제의 농도를 파악하는 농도 측정 모듈, 물 유입량을 측정하는 유입량 측정 모듈, 상기 농도 측정 모듈과 상기 유입량 측정 모듈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저장모듈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파쇄부의 적정 이동속도를 산출하는 이동 속도 계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폐 모듈은 상기 파쇄 모듈에서 토출되는 용액 및 제설제를 전달받는 개폐 조절판, 상기 개폐 조절판과 연결되어 있는 개폐 실린더(cylinder)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한다.
또한, 회전 교반으로 제설제를 용해시키는 급속 교반부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급속 교반부는 제설제 용해 호퍼의 하단부와 직하형 구조로 연결된 구조이며, 하나 이상의 임펠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를 제공한다.
또한, 밸브 모듈에 살수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 파쇄 모듈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 개폐 모듈에 개폐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쇄 모듈에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단계는 호퍼 내부에 투입된 물 유입량 대비 제설제 용액의 농도를 바탕으로 파쇄 모듈에 구동 신호가 인가 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개폐 모듈에 개폐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 이후에, 급속 교반부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급속 교반부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는 임펠러의 회전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 이후에 호퍼 내부에 투입된 물 유입량 측정 신호가 저장 모듈로 인가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물 유입량 측정 신호가 상기 저장 모듈로 인가되는 단계 이후에 저장 모듈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파쇄모듈의 적정 이동속도와 물 공급부로부터 유입될 적정 유입량이 산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저장 모듈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파쇄모듈의 적정 이동속도와 물 공급부로부터 유입될 적정 유입량이 산출되는 단계 이후에, 제설제 용액의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용량에 따라 파쇄모듈에 상기 적정 이동속도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와 밸브 모듈에 물 유입량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호퍼 내부에 투입된 물 유입량 측정 신호가 저장 모듈로 인가되는 단계는 호퍼 내부에서 생성된 거품 및 또는 이물질의 유입량을 측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호퍼 내부에서 생성된 거품 및/또는 이물질의 유입량을 측정하는 단계 이후에,밸브 모듈에 살수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의 세척 및 거품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용해작업을 위해 물 공급시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다양화 하여 효율적인 분해작업이 가능한 호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호퍼 내부에 구비된 노즐을 통해 호퍼 내부의 자가청소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유지 관리 및 세척작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절약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호퍼와 급속 교반부가 직하형 구조로 연결되어 호퍼에서 투입된 제설제를 급속 교반부로 운반시 소비되는 노동력과 전력을 단축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잔존하는 고체상태의 제설제 분리와 용해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 용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용해된 제설제 용액의 양에 따라 배출량이 조절됨으로써, 제설제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호퍼 내부에 구비된 제1 물 공급관, 제2 물 공급관에 의해 물이 살수됨으로써, 용액제조시 거품발생으로 인한 오작동 및 잦은 세척작업으로 인한 작업성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파쇄모듈에 형성된 파쇄기어의 물림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제설제 용해 호퍼로 토출되는 제설제 용액의 농도를 자가 조정하여 최적의 상태인 제설제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번째, 본 발명은 호퍼 내부에서 용해 및 분해과정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므로 용해시 부하가 경감되고 용액의 생산시간을 단축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번째, 잔존하는 고체상태의 제설제 분리와 용해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 용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도는 년간 도로상의 교통 사고 발생 비율 통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도는 겨울철 시간대별 교통사고 발생 비율을 통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도는 행정안전부에서 공개한 겨울철 자연재난 대비 시도별 염화칼슘 및 제설제 보유 현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도는 제설제 용해 호퍼와 급속 교반부에 대한 본 출원인의 이전 발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도는 본 출원인의 이전 발명인 염화칼슘용액 제조기의 염화칼슘 분진 흡수 활용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 6도는 본 발명인 제설제 용해 장치에 구비된 제설제 용해 호퍼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의 물 공급관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9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2 물 공급관 보호부의 구조적 특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도는 본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물 공급관 보호부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 내부의 제2 물 공급관에서 물이 공급/순환되는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조절부의 구성요소를 강조한 도면이다.
도면 1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요소인 개폐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급속 교반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1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 내부에서 제설제가 용해 및 분해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급속 교반부의 용해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쇄모듈의 구동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호퍼의 청소 및 거품 제거 상황시 구동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 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 1도는 년간 도로상의 교통사고 사고발생 비율 통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도의 통계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주로 겨울철인 12월부터 2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특히, 노면이 미끄러운 겨울철 빙판길에 의한 사고발생률이 급증하는 시기이며, 여름철 대비 대비 약 4배 이상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면 2도는 겨울철 시간대별 교통사고 발생 비율을 통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도에 통계에 따라 눈길, 빙판길에서는 출근시간대의 교통사고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출퇴근시간대의 교통이동이 가장 활발히 일어나는 만큼, 출근 시간시 빙판길 사고는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높다. 도면 1도와 2도에 제시된 통계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이, 겨울철에 형성된 빙판길은 안전사고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겨울철 도로의 결빙문제는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위협하는 재난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도로의 결빙과 관련한 안전관리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면 3도는 행정안전부에서 2016년 공개한 겨울철 자연재난 대비 시도별 염화칼슘 및 제설제 보유 현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도에 따라 서울시를 비롯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겨울철 빙판길 관련 재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매년 대량의 염화칼슘 및 제설제를 확보한다. 도면 3도를 통해 유추 할 수 있듯이 매년 겨울철 빙판길 관련 재난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대량의 염화칼슘이 소비 되고 있다. 과거에는 고체 형태의 염화칼슘을 살포하는 방식으로 겨울철 빙판길을 예방하였으나, 최근에는 고체 형태의 제설제에 비해 효과가 빠르며 광범위하게 살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액체 상태의 제설제를 이용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제설제를 효과적으로 용해하는 제설제 용해 장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제설제 용해 장치의 경우 대량의 제설제가 빠른시간 안에 용해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제설제 용해 장치의 경우 제설제가 투입되는 호퍼 내부에 용해 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성요소 혹은 호퍼 내부에서 제설제를 운반하는 구성요소를 추가함으로써 제설제 용해 장치가 제작되어 왔다.
도면 4도는 제설제 용해 호퍼와 급속 교반부에 대한 본 출원인의 이전 발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도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의 하단부는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컨베이어 밸트는 급속 제설제 용해 호퍼에 투입된 제설제 및 염화칼슘을 급속 교반부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도로의 결빙으로 인한 제설제 살포 작업의 경우 대량의 제설제를 빠른 시간안에 용해 하여 살포 할수록 도로의 결빙으로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제설제 용해 장치는 경우 빠른 시간 내에 대량의 제설제를 용해 해야만 한다. 그러나,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 제설제 용해 장치의 경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급속 교반부로 제설제를 운송시, 컨베이어 벨트에서 급속 교반부로 운송되는 과정에서 소비되는 시간이 많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었으며,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을 위하여 별도의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면 5도는 본 출원인의 발명인 염화칼슘용액 제조기의 염화칼슘 분진 흡수 활용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 5도에 따른 염화칼슘용액 제조기의 염화칼슘 분진 흡수 활용 장치의 경우 다량의 제설제를 빠른 시간 안에 제조 해야 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호퍼 상단에 제설제 파쇄부 혹은 칼날을 구비하는 방식이 소개되었다. 도면 5도에 따른 제설제 용해 장치는 제설제 포대를 제설제와 별도로 분리시키는 과정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제설 제설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도면 5도에 소개된 제설제 용해 장치와 같이 호퍼 혹은 용기 내부의 구성요소를 추가함으로써 제설제 용해의 효율은 향상되었으나, 용해작업을 거쳐 토출된 제설제 용액의 경우 용해가 완벽하게 완료되지 못하여 고체상태로 잔존하는 제설제의 비율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설제를 액체 상태로 용해 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고체상태의 제설제에 비하여 살포될 수 있는 범위가 넓으며, 고체 상태의 제설제에 비하여 효과가 빠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체상태의 제설제로 용해 되지 못하고 고체상태의 제설제가 잔존하는 상태로 제설제 용해 장치에서 토출된다면, 순수한 액체 상태의 제설제에 비해 빠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고체상태 제설제의 잔존시 제설제가 살포될 수 있는 범위 작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동일한 면적의 노면에 살포시 더 많은 제설제가 소비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체상태의 제설제가 잔존하는 경우 노면의 결빙과 같은 겨울철 안전문제에 더 많은 비용이 소비 될 수 있다. 또한, 제설제의 용해 작업의 경우, 제설제 용해 작업 도중 거품발생 및 이물질 발생으로 인한 오작동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제설제 용해 장치 내부의 이물질 혹은 거품 발생의 경우,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의 방지를 위해 작동을 중지시키고 내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구동 효율이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호퍼 내부에 서로 다른 살수 방향을 가진 하나 이상의 물 공급부(200)를 구비함으로써, 용해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용액 제조시 거품발생으로 인한 장비오작동을 예방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100)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설제 용해 장치(10)에 구비된 호퍼 내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다양화 하여 국부적인 용해를 방지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100)를 제공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인 제설제 용해 호퍼(100)와 급속 교반부(700) 사이에서 제설제가 운반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 대신 제설제 용해 호퍼(100)에서 제설제가 급속 교반부(700)에 직하 방식으로 형성되어 급속 교반부(700)로 운송하는 시간을 단축 시킨 제설제 용해 호퍼(100)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외에도 호퍼 내부의 구비된 구성요소를 파쇄장치 및 교반장치를 추가함으로써 최적의 상태인 제설제 용액으로 용해될 수 있는 제설제 용해 호퍼(100)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퍼 내부에서 토출되는 제설제의 양에 비례하여 개폐되는 개폐모듈(560)을 구비하였다. 개폐모듈(560)에 의해 개폐되는 정도를 확인 하며, 그에 따라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에 투입될 제설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설제 용해 작업시 제설제 용액의 투입 비율을 손쉽게 조절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제설제 용해 호퍼(100)내부에 파쇄 모듈(540)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파쇄 모듈(540)은 호퍼에 투입되는 고체 상태의 제설제를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파쇄 모듈(540)의 구성요소인 파쇄기어(545)의 경우 기어의 물림 속도가 제어 될 수 있다. 기어의 물림 속도가 감소 될 경우 제설제 파쇄 속도가 감소되며, 기어의 물림 속도가 빠를 경우 경우 제설제 파쇄 속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제설제 용액의 제조시 투입될 제설제의 용량과 물의 양에 따라 용해 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도면 6도는 본 발명인 제설제 용해 장치에 구비된 제설제 용해 호퍼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도에 따라 본 발명인 제설제 용해 호퍼(100)는 제설제 용해 장치(10)에 구비되어 제설제 용해 호퍼(100)에서 투입된 제설제 용액은 저장 탱크로 토출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설제 용해 장치(10)는 제어부(900)를 제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설제 용해 과정을 제어 할 수 있다.
도면 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설제 용해 호퍼 (100)는 용해의 효율을 돕는 물 공급부(200) 이외에 용액 배출 조절부(500)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제설제 용해 호퍼(100) 상단에 제설제 포대 파쇄부(80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도면 7도 상에서 물 공급부(200)의 구성요소는 제1 공급관(240)만 표시되어 있으나, 호퍼 내부에 제1 물 공급관 (240)이외에도 제2 물 공급관(2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물 공급관(260)에 대한 설명은 도면 8도를 활용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의 물 공급관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100)는 종래에 관련발명에서 제시된 물 공급부 이외에 별도의 제2 물 공급관(260)를 더 포함하여 제설제 용해시 토출되는 물의 공급방향을 다양화 하였다. 또한, 물 공급부(200)는 밸브 모듈(250)에 의해 제어 될 수 있으며, 밸브 모듈(250)은 제1 물 공급관(240) 및 제2 물 공급관(260)에 연결되어 물의 흐름을 제어 할 수도 있다. 대량의 제설제가 투입되는 제설제 용해 호퍼(100)의 경우, 다량의 제설제가 용해 되도록 큰 용량의 제설제가 투입 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설제 용해 제조시 통상적으로 포대 단위의 제설제를 투입하여 용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고체상태의 제설제가 포대 단위로 호퍼에 투입 될 경우, 포대 내부에서 단단하게 응결된 고체 상태로 투입되기 때문에,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에서 용해를 돕기 위한 물이 공급되더라도, 제설제의 표면에만 살수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용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는 제설제 덩어리의 부피가 크므로 물 공급부(200)에서 물이 공급될 지라도 제설제 덩어리의 국부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100)의 경우 하단부에 제2 물 공급관(26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물 공급관(260)은 제1 물 공급관(240)의 살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토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큰 부피로 인해 제1 물 공급관(240)에서 국부적으로 물을 공급받았던 제설제의 덩어리는 제2 물 공급관(260)에서 물 공급시 제1 물 공급관(240)의 살수 방향으로 인해 공급받지 못했던 물이 보충됨으로써 용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9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2 물 공급관 보호부의 구조적 특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9도상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물 공급관 보호부(300)는 제2 물 공급관(260)의 토출구가 형성된 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60도 이하의 각도로 형성된 판상구조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면 9도에 따라 제2 물 공급관 보호부(300)는 하나 이상의 판상의 구조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대칭되며 하나 이상의 판상 구조가 서로 포개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도면 9도에 표현된 제2 물 공급관(260)의 토출구는 제2 물 공급관 보호부(300)의 방향으로 물이 토출되어 제설제의 용해를 원활하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제2 물 공급관(260)의 토출구의 토출 방향이 파쇄 모듈(540)이 위치한 제설제 용해 호퍼(100)의 하단으로 물이 토출되도록 형성되어 제2 물 공급관(260)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에 의해 파쇄 모듈(54) 및 개폐 모듈(560)이 세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제2 물 공급관(260)의 토출구가 제설제 용해 호퍼(100)의 하단으로 물이 토출 되도록 구성 될 경우, 파쇄 모듈(540)에서 이루어 지는 용해 및 고체 제설제의 분해 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제2 물 공급부(260)의 토출 방향은 제설제의 용해작업 또는 제설제 용해 호퍼(100)의 세척작업 에 따라 제2 물 공급관(260)의 토출 방향이 제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면 10도는 본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물 공급관 보호부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도에 표현된 일부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요소인 제2 물 공급관 보호부 (300)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 10도 상에서 제외하였다.
제2 물 공급관 보호부(300)의 개구부(350)는 제2 물 공급관(260)의 토출구에 비해 작은 크기의 개구부(350)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시 제설제 용해 호퍼(100) 상단부에서 고체 상태의 제설제 및 물이 낙하 될 경우, 제2 물 공급관 보호부(300)의 판상구조가 대칭구조로 구성된 부분에 도달하게 될 수 있다. 제설제 용해 호퍼(100)상단부 에서 미처 파쇄되지 못하여 용해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는 고체 상태의 제설제의 경우 제2 물 공급관 보호부(300)가 빗면이 접하는 부분에서 부가적으로 파쇄작업이 이루어 지게 되며, 부피가 작아 용해되기에 원활한 상태가 된 제설제의 작은 덩어리의 경우 제2 물 공급관 보호부(300)에 형성된 개구부(350)를 통하여 낙하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제2 물 공급관 보호부(300)는 제2 물 공급부(260)의 토출구를 제설제 용해 호퍼(100) 상부에서 낙하되는 고체 상태의 제설제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2 물 공급관(260)을 보호하기 위한 제2 물 공급관 보호부(300)는 제2 물 공급관(260)의 개구부와 일정 거리 이상의 간격 분리된 구조로 형성 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 1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 내부의 제2 물 공급부에서 물이 공급/순환되는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설제 용해과정은 제2 물 공급관(260)에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이 제2 물 공급관 보호부(300)를 경유하여 30도 내지 60도 이하의 각도로 양방향에 분사 됨으로써, 물의 압력이 전달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에 충분한 양의 물이 저장 혹은 용해되고 있을 경우, 제2 물 공급관(260)에서 전달되는 물의 압력이 호퍼 내부에 전달되며, 호퍼 내부의 저장된 용액은 제2 물 공급관(260)에서 전달된 물의 압력으로 인하여 회전되어 용해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설제의 용해 과정 이외에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의 세척 작업시 제2 물 공급부(260)에서 공급되는 물은 호퍼 내부에 다방향으로 분사되어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의 세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염화칼슘 및 제설제가 제설제 용해 호퍼(100) 하단으로 낙하될 경우, 부피가 큰 제설제는 제2 물 공급관 보호부(300)에 구성된 개구부(350)를 통과하지 못하여 하단으로 토출 되지 못하고 제2 물 공급관(260)가 물을 공급하는 방향에 따라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에 공급된 물 과 제설제가 회전하게 되어 용해되는 단계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1 물 공급관(240)와 제2 물 공급관(260)에서 물이 분사될 경우,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 전체에 살수 될 수 있으며, 이는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에서 공급되는 물만으로도 자가 청소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설제 용해 중 물 공급부(200)에 의해 물을 살수하여 거품발생을 방지 혹은 제거함으로써, 거품발생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장비의 오작동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조절부의 구성요소를 강조한 도면이다.
도면 12도에 따라 용액 배출 조절부(500)는 파쇄모듈(540)과 개폐모듈(560)로 나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쇄모듈(540)은 제어부(90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제어부(900)는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에 투입되는 물의 유입량과 제설제 용액이 용해되어 저장 탱크로 배출 되었을 경우, 측정된 농도와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에 살수된 물의 양에 따라 파쇄모듈(540)에 형성된 파쇄기어(545)의 물림 속도가 제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파쇄기어(545)의 물림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설제 용해 작업시 제설제 농도를 자가 조절 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면 1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에 사용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부(900)는 용해작업이 완료되어 저장탱크의 저장된 제설제 용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 모듈(910a), 호퍼에 투입된 물의 유입량을 측정하는 유입량 측정 모듈(910b), 농도 측정 모듈(910a)과 유입량 측정 모듈(910b)에서 측정된 정보를 보관하는 저장 모듈(920), 저장 모듈(92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파쇄기어(545)의 적정 이동 속도를 계산하는 이동 속도 계산 모듈(930), 이동 속도 계산 모듈(930)에서 산출한 적정 이동 속도를 바탕으로 파쇄모듈(540)과 개폐모듈(560) 및 밸브 모듈(25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제어 모듈(950)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0)는 농도 측정 모듈(910a)과 유입량 측정 모듈(910b)을 바탕으로 파쇄기어(545)의 적정 이동 속도를 계산하여, 이상적인 농도를 가진 제설제 용액을 제조 혹은 용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밸브 모듈(250)에 의해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 할 수 있으며, 개폐 모듈(560)에 의해 제설제 용해 호퍼(100)에서 배출되는 제설제의 정도를 조절 할 수있다. 도면 13도에 따라 농도 측정 모듈(910a)에서 측정된 농도값이 유입량 측정 모듈(910b)의 물의 유입량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농도 초과시, 이동 속도를 계산(930)은 적정 이동 속도가 낮은 값으로 계산되어 파쇄모듈(540)의 파쇄기어(545)의 구동속도를 낮추며, 밸브 모듈(250)에서 물 공급부(200)의 유량이 증가하도록 제어 될 수 있다. 파쇄 기어(545)의 구동속도가 감소됨으로써, 파쇄 기어(545)가 파쇄하는 고체 제설제의 양은 감소하게 되므로, 용해 시 제설제의 농도가 감소되는 단계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농도 측정 모듈(910a)에서 측정된 농도값이 유입량 측정 모듈(910b)의 물의 유입량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농도 미만시, 이동 속도를 계산 모듈(930)은 적정 이동 속도가 높은 값으로 계산되어 파쇄 모듈(540)의 파쇄 기어(545)의 구동속도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제어 되며, 밸브 모듈(250)에 의해 물 공급부(200)의 유량이 감소되도록 제어 될 수 있다. 또한, 파쇄 기어(545)의 구동속도가 상승됨으로써, 파쇄 기어(545)가 파쇄하는 고체 제설제의 양은 증가하게 되므로 용해 시 제설제의 농도가 증가되는 단계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면 1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요소인 개폐 모듈(56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4도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 모듈(560)은 개폐 조절판(564)과 개폐 실린더(566)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개폐 실린더는(566)는 개폐 조절판(564)과 연결되어 개폐 조절판(564)을 자동제어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파쇄 모듈(560)에 의해 파쇄된 고체 제설제 및 제설용액은 파쇄 모듈(560)로부터 토출되어 개폐 조절판(564)에 낙하 될 수 있도록 구성 될 수 있다. 낙하된 제설제 및 제설용액이 개폐 조절판(564)으로 낙하 된 이후에, 낙하된 제설제 및 제설용액의 양에 비례하여 개폐 조절판(564)이 열리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개폐 실린더(566)는 파쇄모듈(540)에서 낙하된 제설용액 및 제설제의 양에 비례하여 구동되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개폐 실린더(566)는 개폐 조절판(564)과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개폐 조절판(564)이 작동되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면 14도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개폐 조절판(564)의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동 도중 급속 교반부(700)로 유입되는 제설제를 조절함으로써 급속 교반부(700)의 용해과정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제설제 용해 호퍼(100)의 구동 중 투입되는 제설제를 조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급속 교반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15도에 따라 상기 급속 교반부(700)는 제설제 용해 호퍼(100)의 하단에 위치하며, 제설제 용해 호퍼(100)에서 완료되지 못한 용해 작업을 완료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 15도에 따른 급속 교반부(700)는 본 발명인 제설제 용해 호퍼(100)와 직하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급속 교반부(700)를 직하 구조로 연결함으로써, 제설제 용해 호퍼(!00)에서 급속 교반부(700)로 운반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제설제 운반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제거함으로써, 효율적인 제설제 용해가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5도에 따라 제설제 용해 호퍼(100)의 개폐 모듈(560)에서 낙하된 제설제 용액과 고체 상태의 제설제는 용해부 내부의 다수의 임펠라(710)에 의해 용해부(700)의 배출구(750)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설제 용액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임펠라(710)의 회전에 의해 용액을 최종 교반할 수 있도록 구성 될 수 있다. 도면 15도에 따른 급속 교반부(700)의 격벽(720)은 하나 이상의 격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해된 제설제 용액이 격벽(720)의 상부 혹은 격벽(720)의 하부를 경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설제 용액이 격벽(720)의 항,하부를 교차로 경유하며, 급속 교반부(700) 내부의 임펠라(710)의 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용해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면 1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 내부에서 제설제가 용해 및 분해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6도에 따른 제설제의 용해 및 분해 과정은 제1 물 공급관(240)에서 살수되는 단계(S16-1), 제2 물 공급관 보호부(300)에서 분해 및/또는 용해되는 단계(S16-2), 제2 물 공급부(260) 에서 살수되는 단계(S16-3), 파쇄 모듈(540)의 파쇄기어(545)에 의해 고체 상태의 제설제가 분해되는 단계(S16-4)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면 16도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순서에 의하면, 고체 상태의 제설제는 단계적으로 분해되어 제설제 용해 장치에서 용해된 제설제 용액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1 물 공급관(240) 및 제2 물 공급관(260)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부피가 큰 고체 제설제의 살수범위를 향상시켜 용해 효율을 돕는 효과가 있다.
도면 1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급속 교반부의 용해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7도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급속 교반부(700)는 제설제 용해 호퍼(100)에서 배출된 제설제 및 제설용액이 임펠러 회전(S17-1, S17-3) 및 격벽을 통과(S17-2, S17-4)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거침으로써 제설제의 용해가 완성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완성된 제설제 용액은 용해부의 배출구에서 배출(S17-5)됨으로써, 용해가 완성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도면 17도에 따른 급속 교반부(700)에서 용해과정을 거친 제설제 용액은 고체 상태의 제설제를 완전히 용해 시킴으로써, 결빙된 노면의 해빙 및 눈의 어는점을 효과적으로 낮춰 해빙의 효율 및 해빙속도를 증대시키는 제설제 용액으로 사용 될 수 있다.
도면 1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쇄 모듈의 구동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8도에 따른 파쇄 모듈(540)의 구동 순서는 제설제 용액의 농도가 측정되는 단계(S18-1), 호퍼 내부에 유입된 물 유입량이 측정되는 단계(S18-2), 제설제의 농도와 물 유입량의 측정결과가 저장되는 단계(S18-3), 측정 결과에 따른 물의 유입량 대비 제설제 용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S18-4), 용액의 농도에 따라 적정 이동속도가 감소(S18-5a)되거나, 증가(S18-5b)되는 단계, 계산된 정적 이동속도값에 따라 파쇄 기어(545)에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단계(S18-6)로 구성 될 수 있다. 도면 18도에 따른 파쇄 모듈(540)의 구동은 제어부(9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900)내부에 구성된 각 측정 모듈에 따라, 용해된 용액의 농도 및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에 유입된 물의 유입량이 측정된다. 또한, 측정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파쇄 모듈(540)에 구비된 파쇄 기어(545)의 적정 속도를 측정하여 제설제 용액의 용해도 설정 할 수 있으며, 적정 물 공급량 및 제설제 투입량을 파악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면 1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의 청소 및 거품 제거 상황시 구동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9도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100)는 내부의 제1 물 공급관(240) 및 제2 물 공급관(260)에 구비된 살수 노즐에 의해 자가 청소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제설제의 용해 중 거품생성으로 인한 작업효율의 저하를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9도에 따라 제설제 용해 호퍼(100)의 청소 및 거품 제거 상황시, 유입량 측정 모듈(910b)에 의해 제설제 용해 호퍼(100) 내부에서 생성 혹은 유입되는 이물질 및 거품량을 측정하는 단계 이후에, 밸브 모듈(250)에 의해 제1 물 공급부관 살수 단계(S19-1), 제2 물 공급관의 살수단계(S19-2)의 단계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또는 제2 물 공급관의 살수단계(S19-1) 이후 제1 물 공급관의 살수 단계(S19-2)로 구동 될 수 있다. 도면 19도에 따른 제설제 용해 호퍼(100)의 거품 제거 작업은 제어부(900)의 자가 작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제설제 용해 및 제조시 거품 발생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장비의 오작동 및 잦은 세척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이 저하되는 상황을 예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 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설제 용해 장치
100: 제설제 용해 호퍼
200: 물 공급부
240: 제1 물 공급관
260: 제2 물 공급관
250: 밸브 모듈
300: 제2 물 공급관 보호부
350: 개구부
500: 용액 배출 조절부
540: 파쇄 모듈
545: 파쇄 기어
560: 개폐 모듈
564: 개폐 조절판
566: 개폐 실린더
700: 급속 교반부
710: 임펠라
720: 격벽
750: 배출구
800: 제설제 포대 파쇄부
900: 제어부
910a: 농도 측정 모듈
910b: 유입량 측정 모듈
920: 저장 모듈
930: 이동 속도 계산 모듈

Claims (1)

  1. 호퍼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 공급부는 하나 이상의 살수 노즐을 구비한 제1 물 공급관;
    상기 제1 물 공급관 보다 낮은 위치에서 형성되며, 상기 제1 물 광급관의 살수 방향과 상이한 구조로 형성된 제2 물 공급관;
    물 공급부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물 공급관 보호부는 상기 제2 물 공급관의 토출구가 형성된 면을 기준으로 30도 이상 60도 이하의 각도로 형성된 빗면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판상구조로 형성되며, 판상구조는 서로다른 방향에서 포개어지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물 공급관 보호부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용해 호퍼.
KR1020180031725A 2018-03-19 2018-03-19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90109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25A KR20190109975A (ko) 2018-03-19 2018-03-19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25A KR20190109975A (ko) 2018-03-19 2018-03-19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975A true KR20190109975A (ko) 2019-09-27

Family

ID=6809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725A KR20190109975A (ko) 2018-03-19 2018-03-19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99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635B1 (ko) * 2022-07-04 2022-10-07 리텍 주식회사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KR102468201B1 (ko) * 2022-07-04 2022-11-18 리텍 주식회사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KR102532867B1 (ko) * 2022-09-13 2023-05-17 리텍 주식회사 조제 면적 및 교반 균질성이 향상된 제설용액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635B1 (ko) * 2022-07-04 2022-10-07 리텍 주식회사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KR102468201B1 (ko) * 2022-07-04 2022-11-18 리텍 주식회사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KR102532867B1 (ko) * 2022-09-13 2023-05-17 리텍 주식회사 조제 면적 및 교반 균질성이 향상된 제설용액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9975A (ko)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US64468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snow-ice treatment material on pavement
US7108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snow-ice treatment liquid on pavement
KR101907076B1 (ko)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467832B1 (ko) 염수용액 제조 살포기
KR20120034915A (ko) 제설장치
KR20180068616A (ko) 제설제 로딩 기능을 구비한 제설제 저장 탱크
US28604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super-cooled ice
KR101011998B1 (ko) 액상 제설재 살포장치
US6736153B1 (en) Brin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101931066B1 (ko)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커터식 절개장치
EP2221434A1 (fr) Installation de lavage des matériels de chantier et de traitement, suivi d'un recyclage, des eaux utilisées pour un tel lavage
KR101960407B1 (ko)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로 제설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교반장치
CN107687150B (zh) 一种用于除雪机的融雪装置
KR101960409B1 (ko) 암염 또는 덩어리진 염화물로 제설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교반장치
KR101214891B1 (ko) 액체-고형분 겸용 살포기
KR102441275B1 (ko) 제설제 로딩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9990074660A (ko) 제설재 혼합 이송장치의 염화칼슘 저장호퍼
CN211849223U (zh) 一种市政道路维护用铲雪破冰机
CN209669775U (zh) 一种公路养护用融雪剂泼洒装置
KR20220017613A (ko)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JP3295694B2 (ja) スチロール樹脂の液化処理装置
CN220644040U (zh) 一种公路施工养护器
CN211446773U (zh) 一种环卫用便捷快速道路除雪除冰器
JPH10311635A (ja) 製氷水タンクの洗浄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