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613A -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613A
KR20220017613A KR1020200097802A KR20200097802A KR20220017613A KR 20220017613 A KR20220017613 A KR 20220017613A KR 1020200097802 A KR1020200097802 A KR 1020200097802A KR 20200097802 A KR20200097802 A KR 20200097802A KR 20220017613 A KR20220017613 A KR 2022001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snow removal
removal solution
pip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상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7613A/ko
Publication of KR2022001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72Fluidis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2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e.g. grit or salt 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에 도로면 제설작업을 위하여 사용하는 염수나 염화칼슘 용액 등의 저장탱크에서는, 염수나 염화칼슘 용액을 장시간 보관하게 되면 침전물이 발생하고, 침전물이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퇴적하게 되면 퇴적된 침전물이 굳어져서 눌어붙는 현상 즉 침착현상이 발생된다. 침전물이나 이로 인한 침착물의 발생은 염수나 염화칼슘 용액의 농도가 낮아지게 만들 뿐만 아니라, 퇴적된 침전물이 바닥이나 벽에 침착되어 침착물로 변하면 제거가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계속되는 침전으로 인하여 저장탱크 안에서 침착층을 점점 두껍게 만들게 되어 저장탱크의 저장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침착층은 저장탱크 내벽의 부식을 초래하게 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저장탱크 내에서 제설용액에 대하여 회전하는 수류를 발생시킴으로서 침전물을 용해시켜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Storage Tank for Snow Removal Solutions Preventing Precipitate Deposition}
본 발명은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에 도로면 제설작업을 위하여 사용하는 염수나 염화칼슘 용액 등의 저장탱크에서는, 염수나 염화칼슘 용액을 장시간 보관하게 되면 침전물이 발생하고, 침전물이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퇴적하게 되면 퇴적된 침전물이 굳어져서 눌어붙는 현상 즉 침착현상이 발생된다. 침전물이나 이로 인한 침착물의 발생은 염수나 염화칼슘 용액의 농도가 낮아지게 만들 뿐만 아니라, 퇴적된 침전물이 바닥이나 벽에 침착되어 침착물로 변하면 제거가 어려워지고, 계속되는 침전으로 인하여 저장탱크 안에서 침착층을 점점 두껍게 만들게 되어 저장탱크의 저장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침착층은 저장탱크 내벽의 부식을 초래하게 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저장탱크 내에서 제설용액에 대하여 회전하는 수류를 발생시킴으로서 침전물을 용해시켜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절기에 들어서면 눈이 내리거나, 급격한 기온강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도로면에 결빙현상이 발생하는데, 도로면의 결빙현상은 차량의 통행을 어렵게 만들어 교통체증을 유발시키고 특정지역을 고립시키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각종 교통사고를 유발하여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피해까지도 발생시킨다. 이러한 노면결빙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염화칼슘 등을 도로면에 뿌리거나, 염화칼슘 용액이나 염수 등 제설용액을 만들어 도로면에 분사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제설용액을 도로면에 분사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제설용액이 담긴 저장탱크를 차량에 탑재하고 이동하면서 제설용액을 살수할 수 있는 제설용액 살수차가 도로를 주행하면서 노면의 결빙구간을 향해 제설용액을 직접적으로 살수하여 왔으나, 제설용액 살수차의 진입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지역에서는 제설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제설용액 살수차가 제설용액 살수를 위해 출동하더라도 교통체증 등으로 인하여 작업이 지체됨으로써 결빙된 전체 도로에 대하여 살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도 있어왔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분사장치를 통하여 제설용액을 분사하는 제설용액 분사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제설용액 살포차량이나 제설용액 분사시스템에 사용되는 제설용액은, 소금이나 염화칼슘을 물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도로면에 대한 제설작업은 언제 어디서 요구될지 모르고, 강설이나 결빙 등은 갑작스러운 날씨변화로 발생되는 것이 태반인 반면, 염수나 염화칼슘용액을 만들 때는 제설제가 물에 잘 용해될 수 있도록 일정시간 동안 교반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만드는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따라서 강설이나 결빙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제설용액을 그때그때 만들어 쓰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제설용액을 대량으로 미리 만들어서 저장탱크에 보관하였다가, 강설 또는 결빙이 발생하면 즉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동절기라 하더라도 눈이 날마다 내리는 것은 아니며 기온 또한 영하가 아닌 경우가 많으므로, 제설작업에 대비하여 제설용액을 제조하여 저장탱크에 저장하였다 하더라도 날마다 사용하지는 않게 되므로 저장된 상태에서 장시간 보관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특히 이상기온이 계속되어 강설 또는 결빙이 발생하지 않는 날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는 미리 제조된 제설용액은 상당한 기간 동안 저장탱크에 보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탱크에 제설용액을 장시간 저장하게 되면, 소금이나 염화칼슘이 녹아있던 염수나 염화칼슘 용액 중에서 일부 성분이 다시 고체로 응고되어 침전물이 발생하게 되는데, 발생되는 침전물은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퇴적하게 되며, 바닥면에 퇴적되는 침전물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굳어져서 바닥면 또는 벽면에 엉겨 붙어 침착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제설용액에 침전물이 발생하게 되면, 적정농도로 제조되었던 염수나 염화칼슘 용액의 농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결빙지역에 살포하였을 때 제설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장시간 보관된 제설용액은 그 성능이 저하되어 제설효율을 낮게 만들며 이에 따라 제설작업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고 그 결과 재작업 또는 보완작업에 따른 비용발생 및 교통장애 시간의 증가 등을 초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침전물이 퇴적하게 되고, 침전물을 장시간 방치하면 퇴적된 침전물은 바닥이나 벽에 단단하게 침착되게 되므로, 침착된 퇴적물은 저장탱크를 비워낸 후 긁어내지 않는 한 제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일단 침착물이 생기게 되면 계속하여 그 위에 덧대지는 침착물이 한 층 더 용이하게 생겨나서 침착물이 적층되는데, 이에 따라 저장탱크 벽과 바닥에는 침착물이 점점 두껍게 형성되게 된다. 그 결과 저장탱크의 용량이 줄어들게 될 뿐만 아니라 침착물로 인하여 저장탱크의 바닥면과 벽면에 부식을 초래하게 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저장탱크의 바닥면과 내주면의 경계지역인 코너부에서는 제거하기가 더 어려운 침착물이 두껍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침착물은 긁어내기도 어렵고, 잘못 긁어내다가는 저장탱크를 손상시키고 이로 인한 부식의 심화로 인하여 누수 및 수명단축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설용액 저장탱크에서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바닥면이나 내벽면 또는 코너부 등에 침전물의 퇴적으로 인한 침착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설용액 저장탱크에 침전물 또는 침착물이 발생하여 농도가 낮아지더라도 다시 녹여서 제설용액 안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설용액의 농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시키고 제설용액의 품질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전물 또는 침착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함에 있어 사람이 수작업으로 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적은 에너지비용으로 침착물 발생방지가 가능하게 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설용액 저장탱크의 바닥면이나 내벽 면 또는 코너부 등에 침착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뛰어나서 수명이 길은 제설용액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제설용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상기 제설용액을 공급하는 공급배관;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 중심이 상기 공급배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설용액을 공급받는 분사배관; 상기 분사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분사배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설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흡입배관; 흡입구가 상기 흡입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제설용액을 회수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에 대한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 및 일단은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공급배관의 상단에 연결되는 순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배관이 상기 공급배관의 하단과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며,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 각각의 수평 분사각도는 상기 분사배관의 길이방향과 직각이며,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 각각의 수직 분사각도는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경사진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 중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의 수평 분사각도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 쪽으로 경사진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흡입배관은 복수이며, 복수의 흡입배관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되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흡입배관 각각의 타단은 하나로 연결되되 상기 순환펌프의 흡입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흡입배관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벽을 관통하여 일정길이가 삽입되되, 상기 저장탱크의 벽에 삽입되는 부분은 상기 분사노즐이 분사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흡입배관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높이는 상기 분사배관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흡입배관의 일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벽을 관통하여 일정길이가 삽입되되, 상기 저장탱크의 벽에 삽입되는 부분은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분사배관과 직각이며, 길이방향 중심이 상기 공급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설용액을 공급받는 제2분사배관; 및 상기 제2분사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분사배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설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제2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는, 저장탱크의 바닥면 위 일정높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 중심이 공급배관의 하단에 연결되어 제설용액을 공급받는 분사배관과, 분사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분사배관으로 공급되는 제설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가지고 있어서 제설용액 저장탱크 내에 회전하는 수류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침전물이 발생하여 바닥에 가라앉는다 하더라도 회전하는 수류에 의하여 제설용액이 회전하면서 침전물이 다시 용해하게 되므로 침전물이 바닥면이나 내벽 면 등에 퇴적되어 침착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침전물 또는 침착물이 발생하더라도 회전수류에 의하여 제설용액이 회전하면서 침착물을 떼어내고, 침전물 또는 침착물이 제설용액에 다시 용해되므로, 제설용액의 농도를 항상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품질이 우수한 제설용액을 항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전물이 바닥면 등에 퇴적되어 침착물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탱크 바닥면 또는 내벽의 손상을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설용액 저장탱크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길게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흡입구가 흡입배관에 연결되어 저장탱크로부터 제설용액을 회수하는 순환펌프를 가지고 있으며, 순환펌프가 저장탱크에 보관된 제설용액을 흡입하여 순환배관 및 공급배관을 통하여 분사배관으로 보내어 복수의 분사노즐에서 물줄기가 분사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순환펌프의 압력에 의하여 복수의 분사노즐에서 물줄기가 고압으로 분사됨으로써, 저장탱크 내에서 회전하는 수류를 만들어 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침착물을 제거하고, 침착물과 침전물을 용이하게 녹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분사노즐은, 분사배관이 공급배관의 하단과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복수의 분사노즐에서 분출되는 물줄기는, 저장탱크 내에서, 공급배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회전하는 수류에 의하여 침전물을 용이하게 녹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분사노즐 각각의 수평 분사각도는 분사배관의 길이방향과 직각이며, 복수의 분사노즐 각각의 수직 분사각도는 저장탱크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경사진 각도로 하였기 때문에 분사노즐에서 발생되는 고압의 물줄기가 저장탱크의 바닥 및 내주면에 퇴적되는 침전물에 대하여 충격을 주어 떼어내면서 밀어내기 때문에 침전물이 저장탱크의 바닥 및 내벽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배관이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위치는 분사배관보다 높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분사노즐에서 발생되는 고압의 물줄기는 회전하는 수류를 만들어내고, 만들어진 수류의 흐름은 상층부에 있는 흡입배관을 통하여 순환펌프의 강력한 흡입력에 의하여 빨려 올라가게 되므로, 분사노즐에 의하여 발생된 회전수류가 저장탱크 전체에 걸쳐서 회전하면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도록 형성되므로 발생된 침전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녹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흡입배관을 복수로 할 수 있고, 복수의 흡입배관 각각의 일단은 저장탱크에 연결되되,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연결되며, 복수의 흡입배관 각각의 타단은 하나로 연결되되 흡입구에 연결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분사배관에서 공급배관과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각각 반대방향으로 분사되어 회전하는 수류가 복수의 흡입배관 각각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저장탱크 내에서 발생되는 수류가 더욱 강한 힘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침전물을 더욱 용이하게 녹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흡입배관 각각의 일단은 저장탱크의 벽을 관통하여 일정길이가 삽입되되, 저장탱크의 벽에 삽입되는 각도는 저장탱크의 바닥면을 향하여 수직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아래쪽에서 회전하는 제설용액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위쪽으로 올라오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은 에너지를 투입하고도 침전물을 더욱 용이하게 녹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흡입배관 각각의 일단은 저장탱크의 벽을 관통하여 일정길이가 삽입되되, 저장탱크의 벽에 삽입되는 각도는 분사노즐이 분사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수평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회전하는 수류에 대하여 흡입배관이 더욱 강한 흡입력으로 빨아들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은 에너지를 투입하고도 침전물을 더욱 용이하게 녹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며, 제어수단은 모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순환펌프를 항상 가동하지 않고도, 침전물의 발생정도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작동되므로 순환펌프 가동에 따른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고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제설용액 저장탱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제설용액 저장탱크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A-A'단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B-B'단면).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대하여 다른 방향에서 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C-C'단면).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분사배관 및 분사노즐을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흡입배관의 위치를 다르게 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분사배관 및 분사노즐을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분사배관 및 분사노즐을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흡입배관, 분사배관 및 분사노즐에 대하여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 제5실시예의 흡입배관, 분사배관 및 분사노즐에 대하여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 제6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 제7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 제8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 제9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 제10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제설용액 저장탱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제설용액 저장탱크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도 1에서 A-A'단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제설용액 저장탱크는, 저장탱크(100)와 공급배관(200) 및 배출배관(12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공급배관(200) 및 상기 배출배관(120)에는 공급밸브(210) 및 배출밸브(121)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설용액 저장탱크에서는 교반기(미도시)에서 제조된 제설용액(101)을 상기 공급배관(200)을 통하여 공급받아 저장한 뒤, 상기 제설용액(101)이 상기 배출배관(120)을 통하여 배출되기 전까지는 계속하여 상기 저장탱크(100) 내에 고여 있게 되며, 상기 제설용액(101)이 장시간동안 저장되게 되면 상기 제설용액(101)에 녹아있던 소금이나 염화칼슘 용액의 고형분이 응고되면서 침전물(102)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침전물(102)은 상기 제설용액(101)의 아래쪽으로 가라앉게 되어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에 퇴적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에 퇴적된 상기 침전물(102)들은 시간이 갈수록 서로 엉기면서 달라붙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에 눌어붙어서 침착물(102)로 변하고 시간이 감에 따라 점점 두꺼운 침착층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바닥면이나 벽면에 눌어붙은 침착물(102)들은, 상기 배출배관(120)을 통하여 상기 제설용액(101)을 배출한다 하더라도 계속하여 상기 저장탱크(100) 내에 남아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과 내주면이 만나는 코너부분에서는 더욱 두껍고 제거하기 힘든 침착물(102)로 변화되어 간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00)에 새로운 제설용액(101)이 담겨지게 되면, 이미 형성된 침착물(102) 위에 새로운 침전물(102)이 낙하하여 더 두꺼운 침착물(102) 층으로 적층되며, 이러한 침착물(102)들은 상기 저장탱크(100)를 비워놓은 상태에서 물리적인 힘으로, 인위적으로 제거하지 않는 한 계속하여 존재하면서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과 내벽을 부식시킴은 물론 상기 저장탱크(100)의 용량을 계속하여 줄어들게 만든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도 3의 B-B'단면)가 도 5에는 다른 방향에서 본 측단면도(C-C'단면)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분사배관 및 분사노즐을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흡입배관의 위치를 다르게 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의 제1실시예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탱크(100), 공급배관(200), 분사배관(300), 분사노즐(400), 흡입배관(500), 순환펌프(600), 모터(610) 및 순환배관(70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탱크(100)는 상기 공급배관(200)을 통하여 공급되는 제설용액(101)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상기 저장탱크(100)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설용액(101)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공급배관(200)을 통하여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지만, 별도의 공급수단(110)을 통하여 공급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저장탱크(100)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설용액(101)을 상기 공급배관(200)을 통하여 공급받게 되면, 상기 분사배관(300)을 통하여 상기 분사노즐(400)로 분사되고, 상기 제설용액(101)은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을 향하여 분사되기 때문에, 이전에 저장했던 제설용액(101)으로 말미암아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에 눌어붙어 있던 침착물(102)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설용액(101)을 상기 공급배관(200)을 통하여 공급받지 않고 상기 공급수단(110)을 통하여 공급받게 되면 단시간 내에 상기 저장탱크(100)에 상기 제설용액(101)을 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공급배관(200)은 상기 저장탱크(100)의 상면 중심부에서부터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 가까이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는 상기 저장탱크(10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배관(200)의 하단에는 상기 분사배관(300)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분사배관(300)은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며, 길이방향 중심이 상기 공급배관(200)의 하단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급배관(200)으로부터 상기 제설용액(101)을 공급받아 양쪽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분사노즐(400)을 통하여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일정높이 즉, 상기 분사배관(300)의 아래쪽과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과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400)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줄기가 상기 분사배관(300)의 아래쪽을 통하여 회전수류를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가 바람직한데, 10 ~ 20cm의 높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400)은 상기 분사배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분사배관(300)으로 공급되는 제설용액(101)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배관(300)이 상기 공급배관(200)의 하단과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도 6의 경우처럼 아래쪽을 향한 분사노즐(400)들에서 분출된 상기 제설용액(101)은 상기 저장탱크(100)의 아래쪽 4/4분면 내벽에 부딪히면서 내벽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돌게 되고, 위쪽을 향한 분사노즐(400)들에서 분출된 상기 제설용액(101)은 상기 저장탱크(100)의 위쪽 2/4분면 내벽에 부딪히면서 이 또한 내벽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돌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설용액(101)은 상기 저장탱크(100) 내에서 한 방향으로 도는 회전수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탱크(100)의 하부 일 측면에는 상기 흡입배관(500)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흡입배관(500)의 타단은 상기 순환펌프(600)의 흡입구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순환펌프(600)는 상기 모터(610)로부터 회전동력을 공급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600)의 토출구에는 상기 순환배관(700)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순환배관(700)의 타단은 상기 공급배관(200)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설용액(101)이 상기 저장탱크(100)에 채워진 후 상기 공급밸브(210) 및 상기 배출밸브(121)가 잠겨 진 상태에서, 상기 순환펌프(600)가 상기 모터(610)에 의하여 가동되면, 상기 순환펌프(600)는 상기 흡입배관(500)을 통하여 상기 저장탱크(100)로부터 상기 제설용액(101)을 흡입한 후 상기 순환배관(700)을 통하여 상기 공급배관(200)으로 공급하게 되며, 상기 공급배관(200)은 상기 분사배관(300)으로 상기 제설용액(101)을 공급하게 되고, 상기 분사배관은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400)을 통하여 상기 제설용액(101)을 강한 압력으로 분출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은 회전수류(파란색 원형 화살표 참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수류를 따라 회전하던 상기 제설용액(101)은 상기 흡입배관(500)을 통하여 상기 순환펌프(600)로 다시 흡입되게 된다. 상기 순환펌프(600)는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상기 제설용액(101)을 흡입하여 분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400)에서 강한 압력으로 상기 제설용액(101)이 분출되도록 하고 상기 흡입배관(500)에서는 상기 제설용액(101)을 강하게 빨아들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400) 각각의 수평 분사각도는 상기 분사배관(300)의 길이방향과 직각(90°)이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400) 각각의 수직 분사각도(θ1)는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경사진 각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분사각도(θ1)는 40° 내지 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직 분사각도(θ1)가 45°로 되었을 때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에 붙어있는 침착물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인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400) 각각은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을 향하여 분사되면서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에 붙어있거나 붙으려는 상태에 있는 침착물(102)들을 분리시키면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100)의 내부를 회전하는 수류를 형성하면서 돌다가 상기 흡입배관(500) 근처에 오게 되면 상기 흡입배관(500)을 통하여 상기 순환펌프(600)로 다시 흡입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이나 내벽에는 침착물(102)이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침전물(102)들은 녹아서 다시 상기 제설용액(101)에 용해되므로 상기 제설용액(101)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흡입배관의 위치를 다르게 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저장탱크(100)에 연결되는 흡입배관(500)은, 상기 저장탱크(100)의 하부 일 측면에 설치되지 않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100)의 상면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종단 입구가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 위 적정 높이에 오도록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의 분사배관(300) 및 분사노즐(400)을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제2실시예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400)의 수평 분사각도(θ2)는 상기 저장탱크(100)의 내벽 쪽으로 경사진 각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침착물(102)은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 중에서 상기 저장탱크(100) 내벽과의 경계인 코너 부분에 많이 발생되고, 코너 부분에 발생되는 침착물(102)은 잘 떨어지지 않게 되므로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400)의 수평 분사각도(θ2)를 상기 저장탱크(100)의 내벽 쪽으로 함으로써, 코너 부분에 침착물(102)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400) 중 일부의 수평 분사각도(θ1)를 상기 저장탱크(100)의 내벽 쪽으로 경사진 각도로 하고, 나머지는 상기 분사배관(30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90°)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 상기 저장탱크(100)의 내벽 쪽으로 경사진 분사노즐(400)들은 본 발명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코너 부분에 침착물(102)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나머지 분사노즐(400)들은 상기 분사배관(3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이기 때문에 시계방향으로 도는 회전수류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는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 제4실시예에서 상기 흡입배관(500), 상기 분사배관(300) 및 상기 분사노즐(400)을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배관(500)을 복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상기 흡입배관(500)이 두 개(500a, 500b)로 도시되어 있으나, 세 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복수의 흡입배관(500)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저장탱크(100)에 연결되되 서로 대칭되는 위치(짝수인 경우) 또는 상기 저장탱크(100)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저장탱크(100)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흡입배관(500) 각각의 타단은 하나로 연결되되 상기 순환펌프(600)의 흡입구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흡입배관(500)을 두 개(500a, 500b)로 했을 경우, 상기 흡입배관(500a, 500b) 각각이 상기 저장탱크(100)와 연결되는 지점은,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분사배관(300) 중 상기 분사노즐(400)이 위치한 쪽의 바로 뒤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저장탱크(100)의 내부에서 상기 제설용액(101)의 회전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400)에서 분출된 상기 제설용액(101)은 상기 저장탱크(100)의 내부를 회전하면서 밀려오게 되는데(파란색 원형화살표 참조), 상기 저장탱크(100)를 반 바퀴 돌아서 반대쪽 분사배관(300) 가까이 오게 되면, 상기 제설용액(101)의 흐름이 점점 약해지게 되므로 느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흡입배관(500a, 500b) 각각의 위치를 상기 분사배관(300) 중 상기 분사노즐(400)이 위치한 쪽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하면, 상기 흡입배관(500a, 500b)에서 흡입하는 힘에 의하여 빠르게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400)로부터 상기 흡입배관(500a, 500b)까지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그 흐름이 상기 저장탱크(100)의 내벽 면과 바닥면 사이의 코너를 쓸고 지나갈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 제5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 제5실시예에서, 상기 흡입배관(500), 상기 분사배관(300) 및 상기 분사노즐(400)을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 제5실시예는, 상기 복수의 흡입배관(500) 각각(500a, 500b)의 일단은 상기 저장탱크(100)의 벽을 관통하여 일정길이가 삽입되되, 상기 저장탱크(100)의 벽에 삽입되는 부분은 상기 분사노즐(400)이 분사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흡입배관(500) 각각(500a, 500b)을 상기 분사노즐(400)이 분사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경우,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설용액(101)이 상기 저장탱크(100)의 내부를 회전하면서 밀려오다가 상기 저장탱크(100)를 반 바퀴 돌아서 반대쪽 분사배관(300) 가까이 오게 되면(파란색 원형화살표 참조) 상기 복수의 흡입배관(500) 각각(500a, 500b)이 흡입하는 힘에 의하여 더욱 빠르게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400)로부터 상기 흡입배관(500a, 500b)까지의 흐름이 제4실시예보다도 더욱 원활해지고, 그 흐름이 상기 저장탱크(100)의 내벽과 바닥면 사이의 코너를 더욱 효과적으로 쓸고 지나갈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8실시예서는, 상기 흡입배관(100)이 상기 저장탱크(100)에 연결되는 높이가 상기 분사배관(300)보다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흡입배관(500)이 상기 저장탱크(100)에 연결되는 높이를 상기 분사배관(300)보다 높게 하는 경우,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 가까이에서 발생되는 회전수류가 상기 저장탱크(100)의 상부까지 전달되면서 상기 저장탱크(100) 전체에 회전수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제설용액(101)내에 발생되는 침전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용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에 침전하여 침적하는 침적물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 가까이에서 발생되는 회전수류가 상부 쪽에 있는 상기 흡입배관(500) 쪽으로 흐르게 되므로 상기 분사노즐(400)에서 분출된 상기 제설용액(101)은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을 쓸면서 회전하다가 상기 흡입배관(500)을 통하여 발생하는, 상기 순환펌프(600)의 흡입력에 의하여 점점 위쪽으로 이동하다가 마침내 상시 흡입배관(500) 속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저장탱크(100) 내에서 상기 제설용액(101)은 상부까지 움직이는 회전수류를 형성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설용액(101)에 발생되는 침전물(102)은 상기 제설용액(101)에 다시 효과적으로 용해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배관(500)의 일단을 상기 저장탱크(100)의 벽을 관통하여 일정길이가 삽입되되, 상기 저장탱크(100)의 벽에 삽입되는 부분은 상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하게 되면 하부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이동하던 상기 제설용액(101)이 상기 흡입배관(500)으로 빨려들 때 더욱 강력하게 빨려들게 된다.
도 16 및 도 17에는 본 발명 제9실시예 및 제10실시예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 및 제10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제2분사배관(310) 및 복수의 제2분사노즐(41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2분사배관(310)은 상기 분사배관(300)과 직각이며, 길이방향 중심이 상기 공급배관(200)에 연결되어 상기 제설용액(101)을 공급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의 제2분사노즐(410)은, 상기 제2분사배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분사배관(310)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설용액(101)을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분사배관(300) 및 상기 분사노즐(400)에 의하여 발생되는 회전수류가 상기 제2분사배관(310) 및 상기 제2분사노즐(410)에 의하여 그 힘이 강화되기 때문에 상기 저장탱크(100) 내에서 강력한 회전수류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100) 바닥면 및 벽면에 발생되는 침착물, 침전물(102)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용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분사배관(310)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배관(300)과 같은 높이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배관(300)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에는 도 3, 도 10 및 도 13 내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모터(61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620)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 경우 상기 제어수단(620)은 상기 모터(610)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620)은 상기 모터(610)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순환펌프(600)를 항상 가동하지 않고도, 침전물(102)의 발생정도를 감안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순환펌프(600) 가동에 따른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저장탱크
101 제설용액 102 침전물, 침착물, 침착층
110 공급수단 111 공급수단 밸브
120 배출배관 121 배출밸브
200 공급배관
210 공급밸브
300 분사배관
310 제2분사배관
400 분사노즐
410 제2분사노즐
500, 500a, 500b 흡입배관
600 순환펌프
610 모터
620 제어수단
700 순환배관

Claims (9)

  1. 제설용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상기 제설용액을 공급하는 공급배관;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 중심이 상기 공급배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설용액을 공급받는 분사배관;
    상기 분사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분사배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설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흡입배관;
    흡입구가 상기 흡입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제설용액을 회수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에 대한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 및
    일단은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공급배관의 상단에 연결되는 순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배관이 상기 공급배관의 하단과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며,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 각각의 수평 분사각도는 상기 분사배관의 길이방향과 직각이며,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 각각의 수직 분사각도는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경사진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 중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의 수평 분사각도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 쪽으로 경사진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은 복수이며,
    복수의 흡입배관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되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흡입배관 각각의 타단은 하나로 연결되되 상기 순환펌프의 흡입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입배관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벽을 관통하여 일정길이가 삽입되되, 상기 저장탱크의 벽에 삽입되는 부분은 상기 분사노즐이 분사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높이는 상기 분사배관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의 일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벽을 관통하여 일정길이가 삽입되되, 상기 저장탱크의 벽에 삽입되는 부분은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배관과 직각이며, 길이방향 중심이 상기 공급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설용액을 공급받는 제2분사배관; 및
    상기 제2분사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분사배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설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제2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KR1020200097802A 2020-08-05 2020-08-05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KR20220017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802A KR20220017613A (ko) 2020-08-05 2020-08-05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802A KR20220017613A (ko) 2020-08-05 2020-08-05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613A true KR20220017613A (ko) 2022-02-14

Family

ID=8025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802A KR20220017613A (ko) 2020-08-05 2020-08-05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76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864B1 (ko) * 2022-09-21 2023-05-12 유한회사 대호 김치제조용 염수 대량 생산장치
CN118062431A (zh) * 2024-04-24 2024-05-24 江苏乾屹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盐废水用存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864B1 (ko) * 2022-09-21 2023-05-12 유한회사 대호 김치제조용 염수 대량 생산장치
CN118062431A (zh) * 2024-04-24 2024-05-24 江苏乾屹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盐废水用存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7613A (ko) 침착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용액 저장탱크
JP4754462B2 (ja) 沈砂池の集砂装置
JP6311077B2 (ja) 液化除雪装置
KR20150093960A (ko) 노면 제설차량
CN1709591A (zh) 洗净材料制造方法、洗净材料制造装置和洗净系统
KR101467832B1 (ko) 염수용액 제조 살포기
KR200490978Y1 (ko) 차량용 액상 제설제 살포장치
JP5431683B2 (ja) 道路維持車両
KR101306797B1 (ko) 셀프 세차장의 세차부스
CN213739120U (zh) 一种污泥沉淀分离处理装置
KR20170120961A (ko) 야채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야채 세정 시스템
KR20190109975A (ko)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382563B1 (ko) 염화칼슘 살포를 겸한 차량전방 살수식 염수제설기
KR101405031B1 (ko) 피드백 유입관을 가지는 고효율 침전조
WO2011142186A1 (ja) バラストタンクの排砂装置及び排砂方法
JP6552541B2 (ja) 凍結防止液の散布循環システム
CN216540035U (zh) 一种工业脱硫塔的清洗装置
KR102587058B1 (ko) 상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제설용액 공급시스템 및 저장장치
CN104929077B (zh) 一种用于路面融雪除冰的涂料喷洒车
KR100713212B1 (ko) 하수박스 내부 퇴적토 방류시설
JPH10311635A (ja) 製氷水タンクの洗浄構造
KR20120026406A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JP2004202493A (ja) スカム除去装置
CN218712546U (zh) 一种用于化浆系统的冲洗装置
KR20080107591A (ko) 배수 갑문의 토사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