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201B1 -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201B1
KR102468201B1 KR1020220081918A KR20220081918A KR102468201B1 KR 102468201 B1 KR102468201 B1 KR 102468201B1 KR 1020220081918 A KR1020220081918 A KR 1020220081918A KR 20220081918 A KR20220081918 A KR 20220081918A KR 102468201 B1 KR102468201 B1 KR 10246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removal
removal agent
liquid
soli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진
이경훈
이상곤
최민욱
Original Assignee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6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bunkers or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2Level of material in a container or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32Concentration, pH, pOH, p(ION) or oxygen-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3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 B01F35/71731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using a h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유닛,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 펌프유닛을 구비하여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제조 및 저장하고 액상 제설제가 필요한 제설차량에 액상 제설제를 상차할 수 있다. 또한,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을 구비하여 액상 제설제 제조에 필요한 고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공급하고 고상 제설제가 필요한 제설차량에 고상 제설제를 상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액상 제설제의 재료인 물과 고상 제설제를 공급받아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들과, 제조된 액상 제설제 뿐만 아니라 고상 제설제를 상차하는 과정들이 한 장소에서 별도의 인력 없이 자율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액상 제설제의 제조에서 공급까지 걸리는 시간이 또한 대폭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이 절감되고, 액상 제설제 제조 공급에 있어서의 불편함이 해소되며, 액상 및 고상 제설제의 공급과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Snow removal agent loading system capable of autonomous operation}
본 발명은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 도로의 적설과 결빙 구간을 융빙 또는 융설하기 위해 염화나트륨(소금),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과 같은 고상 제설제를, 제설차량에 장착된 제설제 살포장치를 통해 도로에 살포한다.
최근에는 고상 제설제와 물을 교반하여 만든 액상 제설제를 도로에 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액상 제설제는 도로의 점착율을 높여 예비살포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적은 양을 뿌리더라도 지속 효과가 우수하다.
제설작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액상 제설제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하고, 고상 제설제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하며, 고상제설제와 액상제설제를 혼합하여 살포하는 습염살포작업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므로, 액상 제설제를 적재한 제설차량과 고상 제설제를 적재한 제설차량은, 액상 제설제와 고상 제설제를 보충하기 위해 각각의 보급처를 수시로 왕복 이동해야 한다.
또한, 제설작업에 필요한 제설제를 제조, 저장, 상차하는 작업이 통합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제설차량의 이동량이 많이 요구되고, 보급처의 설치 비용 및 인력 관리 비용이 커 경제성이 떨어지고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10-1307492)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은,
고상 제설제를 저장하고, 상기 고상 제설제를 물로 용해하여 액상 제설제를 제조하는 제조유닛;
상기 제조유닛에서 제조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제설차량에 공급할 수 있는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
상기 제조유닛과 상기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의 연결 유로를 제어하며 상기 물 또는 상기 액상 제설제를 이동시키는 펌프 제어부와, 상기 펌프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을 상기 펌프 제어부로 전달하는 물 공급배관과, 상기 제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조유닛에서 제조된 액상 제설제를 흡입하는 흡입배관으로 구성된 펌프유닛; 및
상기 제조유닛으로 상기 고상 제설제를 공급하며, 제설차량에 상기 고상 제설제를 적재할 수 있는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을 포함하여,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제조하며, 상기 액상 제설제와 상기 고상 제설제를 제설차량에 상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조유닛,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 펌프유닛을 구비하여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제조 및 저장하고 액상 제설제가 필요한 제설차량에 액상 제설제를 상차할 수 있다. 또한,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을 구비하여 액상 제설제 제조에 필요한 고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공급하고 고상 제설제가 필요한 제설차량에 고상 제설제를 상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액상 제설제의 재료인 물과 고상 제설제를 공급받아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들과, 제조된 액상 제설제 뿐만 아니라 고상 제설제를 상차하는 과정들이 한 장소에서 별도의 인력 없이 자율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액상 제설제의 제조에서 공급까지 걸리는 시간 또한 대폭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이 절감되고, 액상 제설제 제조 공급에 있어서의 불편함이 해소되며, 액상 및 고상 제설제의 공급과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조유닛이 수용홈과 유출홀이 형성된 저장 호퍼에 고상 제설제를 수용하고 제1회전노즐과 제2회전노즐을 통해 물 및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여 고상 제설제를 용해시켜 액상 제설제를 제조한다. 따라서 저장 호퍼에 고상 제설제를 수용하고 서서히 흘러내리게 하여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양만큼 액상 제설제를 바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상 제설제가 용해된 액상 제설제를 순환 과정을 통해 고상 제설제의 용해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원하는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의 제조유닛,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 펌프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3에 도시된 제조유닛,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 펌프유닛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회전노즐이 배치된 저장 호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저장 호퍼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회전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의 액상 제설제 자동 제조의 물 공급 및 1차 용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의 액상 제설제 자동 제조의 2차 용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의 액상 제설제 자동 제조의 3차 용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의 액상 제설제 자동 제조의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 저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의 액상 제설제 또는/및 고상 제설제의 상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은 제설차량에 공급되는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제조하며, 고상 제설제와 액상 제설제를 제설차량에 상차까지 할 수 있다. 제설제 상차 시스템은 휴게소 또는, 도로변 또는, 공터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은 제조유닛(100),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 펌프유닛(300),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400)로 구성된다.
[제조유닛(100)]
제조유닛(100)은 고상 제설제를 저장하고, 고상 제설제를 물로 용해하여 액상 제설제를 제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유닛(100)은 교반용 챔버(110), 저장 호퍼(120), 제1회전노즐(130), 제2회전노즐(140),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으로 구성된다.
<교반용 챔버(110)>
교반용 챔버(110)는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내부에는 저장 호퍼(12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용 챔버(11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교반용 챔버(110) 내부에 배치되는 저장 호퍼(120)도 이에 상응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교반용 챔버(110)가 원통으로 형성되면, 저장 호퍼(120)도 이에 상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교반용 챔버(110)는 저장 호퍼(120)에 의해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양분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는 고상 제설제가 수용되고, 하부영역에는 고상 제설제가 물에 용해된 액상 제설제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는 약 5.5톤의 고상 제설제가 수용될 수 있고, 하부영역에는 약 1000리터의 액상 제설제가 수용될 수 있다.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는 분할구조물(111)이 배치된다. 이러한 분할구조물(111) 위로 고상 제설제가 적재되어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 수용된 고상 제설제가 뭉치는 것을 방지한다.
교반용 챔버(110) 내부에는 저장 호퍼(120) 위로 적재된 고상 제설제의 양을 측정하는 변위측정센서(S3)가 배치된다. 변위측정센서(S3)는 분할구조물(111)에 설치되어, 고상 제설제의 양이 설정된 양 아래로 내려가면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변위측정센서(S3)는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는 펌프유닛(300)의 흡입배관(330)이 관통하며, 흡입배관(330)의 입구를 차폐하는 스크린망(N)이 배치된다. 스크린망(N)은 물에 녹지 않은 고상 제설제가 흡입배관(3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는 교반용 챔버(110)의 내부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액상 제설제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S2)가 배치된다. 수위측정센서(S2)로는 전자레벨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는 액상 제설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S1)가 배치된다.
<저장 호퍼(120)>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호퍼(120)에는 고상 제설제를 수용하는 수용홈(10)이 형성되고 액상 제설제가 유출되는 유출홀(20)이 형성된다.
저장 호퍼(120)는 제1경사플레이트(121), 수평플레이트(122), 제2경사플레이트(123), 지지플레이트(124)로 구성된다. 제1경사플레이트(121)는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수평플레이트(122)는 제1경사플레이트(121)에 결합된다. 제2경사플레이트(123)는 수평플레이트(122)에 결합되고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124)는 제1경사플레이트(121)의 단부에서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연장되며, 교반용 챔버(110)의 내측벽에 결합된다.
수용홈(10)은 제1경사플레이트(121), 수평플레이트(122), 제2경사플레이트(123)에 의해 형성된다.
유출홀(20)은 제1경사플레이트(121)와 제2경사플레이트(123)에 각각에 형성된 슬릿홀(21)과 수평플레이트(122)에 형성된 타공홀(22)로 이루어진다. 슬릿홀(21)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장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슬릿홀(21)이 제1경사플레이트(121)와 제2경사플레이트(123)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타공홀(22)은 원형의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타공홀(22)이 수평플레이트(122)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회전노즐(130)>
제1회전노즐(130)은 고상 제설제가 수용된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 위치한다. 제1회전노즐(130)은 수용홈(10)에 배치되며, 고상 제설제로 물을 분사하며 회전한다. 제1회전노즐(130)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수용홈(10)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회전노즐(13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고상 제설제가 1차적으로 용해된다. 고상 제설제가 물에 용해된 액상 제설제는 저장 호퍼(120)의 유출홀(20)을 통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으로 배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노즐(130)은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에 결합되는 고정 몸체(131)와, 고정 몸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 또는 액상 제설제가 분사되는 분사공(133)이 형성된 회전 몸체(132)로 구성된다. 분사공(133)은 회전 몸체(132)의 측벽에 형성되어 물이 회전 몸체(132)의 측방향으로 분사된다. 분사공(133)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노즐(140)>
제2회전노즐(140)은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며,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며 회전한다. 제2회전노즐(140)은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에 연결되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회전노즐(140)은 제1회전노즐(130)의 하측영역에 배치되며, 흡입배관(330)으로부터 흡입된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며 회전한다.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서 하부영역으로 배출된 액상 제설제에는 완전히 용해되지 못하고 입자가 작아진 고상 제설제가 함유되어 있다. 제2회전노즐(140)은 흡입된 액상 제설제를 분사함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하부영역에 채워진 액상 제절제를 섞어 고상 제설제가 함유된 액상 제설제를 2차적으로 용해시킨다.
제2회전노즐(140)은 제1회전노즐(13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은 제1회전노즐(130)과 펌프유닛(300)에 연결되며, 물이 유동된다.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의 일단은 펌프유닛(300)에 연결된다.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의 다른 일단은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 배치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 배치된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은 사각 형상의 수용홈(10)을 따라 사각 형상의 배관을 형성하며, 제1회전노즐(130)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된다.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과 펌프유닛(300) 사이에는 절환밸브(V)가 배치된다. 절환밸브(V)는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과 펌프유닛(30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한다.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은 제2회전노즐(140)과 펌프유닛(300)에 연결되며, 물이 유동된다.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의 일단은 펌프유닛(300)에 연결된다.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의 다른 일단은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은 저장 호퍼(120)의 중앙 하부영역으로 연장되어 제2회전노즐(140)이 연결된다.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과 펌프유닛(300) 사이에는 절환밸브(V)가 배치된다. 절환밸브(V)는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과 펌프유닛(30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한다.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200)는 제조유닛(100)에 연결되어 제조유닛(100)으로 물을 공급하고 제조유닛(100)으로부터 액상 제설제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는 저장용 챔버(210), 저장용 공급배관(220)로 구성된다.
저장용 챔버(210)는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된다. 저장용 챔버(210)의 내부에는, 저장용 챔버(210)의 내부에 저장된 물 또는 액상 제설제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S2)가 배치된다. 또한, 저장용 챔버(210)의 내부에는 액상 제설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S1)가 배치된다.
저장용 공급배관(220)은 저장용 챔버(210)와 펌프유닛(300)에 연결되며, 교반용 챔버(110)에 수용된 액상 제설제가 유동된다. 저장용 공급배관(220)의 일단은 저장용 챔버(210)에 연결되고, 저장용 공급배관(220)의 다른 일단은 펌프유닛(300)에 연결된다.
저장용 공급배관(220)과 펌프유닛(300) 사이에는 절환밸브(V)가 배치된다. 절환밸브(V)는 저장용 공급배관(220)과 펌프유닛(30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한다.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에는 저장용 챔버(210)에 연결되며 저장용 챔버(210)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를 제설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탱크에 공급하는 연결배관(미도시)이 형성된다.
[펌프유닛(300)]
펌프유닛(300)은 제조유닛(100)과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에 연결되며, 제조유닛(100)으로 물을 공급하고, 제조유닛(100)에서 제조된 액상 제설제를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로 공급한다.
펌프유닛(300)은 펌프 제어부(310), 물 공급배관(320), 흡입배관(330)으로 구성된다.
펌프 제어부(310)는 제조유닛(100)과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의 연결 유로를 제어하며 물 또는 액상 제설제를 이동시킨다. 펌프 제어부(310)에는 물 및 액상 제설제의 유동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펌프(미도시)가 구비된다. 펌프 제어부(310)는 제조유닛(100)과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에 구비된 농도측정센서(S1)와 수위측정센서(S2)에서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농도와 수위에 따라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 저장용 공급배관(220), 물 공급배관(320), 흡입배관(330)에 연결된 절환밸브(V)를 각각 개폐하여 물과 액상 제설제와 같은 유체가 이동하는 연결 유로를 형성하며, 연결 유로로 유체를 이동시킨다.
물 공급배관(320)은 펌프 제어부(310)에 연결되며, 물을 펌프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물 공급배관(320)은 주변 지역의 상수원 또는 별도의 물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다.
흡입배관(330)은 제조유닛(100)에 연결되어 제조유닛(100)에서 제조된 액상 제설제를 흡입한다. 흡입배관(330)의 일단은 저장용 챔버(110)의 하부 영역에 연통되고, 흡입배관(330)의 다른 일단은 펌프 제어부(310)에 연결된다.
흡입배관(330)과 펌프유닛(300) 사이에는 절환밸브(V)가 배치된다. 절환밸브(V)는 흡입배관(330)과 펌프유닛(30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한다.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400)]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400)은 제조유닛(100)으로 고상 제설제를 공급하며, 제설차량에 고상 제설제를 적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400)은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 저장챔버용 받침대(420), 스크류 컨베이어(430), 상차용 호퍼(440)로 구성된다.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에는 고상 제설제가 내부에 수용된다.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는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되며, 제조유닛(100)의 교반용 챔버(110)보다 큰 용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의 내부에는 고상 제설제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변위측정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고상 제설제의 양이 설정된 양 아래로 내려가면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는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의 충전구(미도시)를 열고 고상 제설제를 충전할 수 있다. 변위측정센서(미도시)는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저장챔버용 받침대(420)는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를 지면에 대해 이격시킨다. 저장챔버용 받침대(420)는 4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며, 고상 제설제의 상차를 위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의 아래로 제설차량이 진입하게 된다.
스크류 컨베이어(430)는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에 연결되며,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의 내부에 수용된 고상 제설제를 제조유닛(100)의 교반용 챔버(110)로 전달한다. 스크류 컨베이어(430)는 제조유닛(100)의 교반용 챔버(110) 내에 설치된 변위측정센서(S3)로부터 고상 제설제의 양을 전달받아, 고상 제설제의 양이 설정된 양 아래로 내려가면 교반용 챔버(110)에 고상 제설제를 보충한다.
상차용 호퍼(440)는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에 연결되며,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의 내부에 수용된 고상 제설제를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410)의 하부 영역에 위치한 제설차량으로 전달한다. 상차용 호퍼(440)는 벨로우즈와 같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높이의 제설차량에 용이하게 고상 제설제를 상차할 수 있다. 상차용 호퍼(440)에는 제설차량의 차량용 탱크의 입구를 감지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제설차량의 차량용 탱크의 열린 입구가 감지되면 상차용 호퍼(440)의 입구를 열어 고상 제설제를 상차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기본적으로 참조한다.
액상 제설제 자동 제조
초기 상태에서, 각 유로의 절환밸브(V)는 닫혀 있고, 제조유닛(100)의 저장 호퍼(120)에는 고상 제설제가 채워져 있다.
[물 공급 및 1차 용해]
도 7을 참조한다.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의 저장용 챔버(210)에 배치된 수위측정센서(S2)로부터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아래로 내려간 경우, 펌프유닛(300)의 펌프 제어부(310)는 펌프유닛(300)의 물 공급배관(320)과 제조유닛(100)의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의 절환밸브(V)를 열어 유로를 형성한다. 펌프 제어부(310)는 물 공급배관(320)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을 통해 제조유닛(100)의 교반용 챔버(110)로 유동시킨다.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에 연결된 제1회전노즐(130)을 통해 물이 회전하며 분사된다. 제1회전노즐(130)은 회전하며 제1경사플레이트(121)와 제2경사플레이트(123)를 향해 물을 분사한다. 고상 제설제가 용해된 액상 제설제가 유출홀(20)을 통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으로 떨어진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으로 떨어진 액상 제설제에는 완전히 녹지 못하고 입자가 작아진 고상 제설제가 함유되어 있다.
[순환에 의한 2차 용해]
도 8을 참조한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수위측정센서(S2)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거나, 농도측정센서(S1)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농도가 약 5~10% 정도가 되면, 펌프 제어부(310)는 물 공급배관(320)의 절환밸브(V)를 닫고 흡입배관(330)의 절환밸브(V)를 열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채워진 액상 제설제를 흡입한다. 스크린망(N)을 통해 녹지 못한 고상 제설제가 걸러지고 액상 제설제가 흡입배관(330)과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을 통해 제1회전노즐(130)로 순환하여 분사된다. 액상 제설제는 고상 제설제가 추가로 더 용해되어 농도가 더 진해진다.
[순환에 의한 3차 용해]
도 9를 참조한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농도측정센서(S1)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농도가 약 15% 정도가 되면, 펌프 제어부(310)는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의 절환밸브(V)를 닫고,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의 절환밸브(V)를 열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채워진 액상 제설제를 흡입한다. 스크린망(N)을 통해 녹지 못한 고상 제설제가 걸러지고 액상 제설제가 흡입배관(330)과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을 통해 제2회전노즐(140)로 순환하여 분사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채워진 액상 제설제 속에 배치된 제2회전노즐(140)은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며 회전하여 미쳐 녹지 못한 고상 제설제를 용해시킨다. 이렇게 했는데도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농도측정센서(S1)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농도가 20%가 안되면, 순환에 의한 2차 용해를 다시 시도한다.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 저장]
도 10을 참조한다.
교반용 챔버(110)의 농도측정센서(S1)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농도가 약 20% 정도가 되면, 펌프 제어부(310)는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의 절환밸브(V)를 닫고, 저장용 공급배관(220)의 절환밸브(V)를 열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채워진 액상 제설제를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의 저장용 챔버(210)로 이동시킨다.
교반용 챔버(110)의 수위측정센서(S2)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로 낮아지면, 펌프 제어부(310)는 흡입배관(330)과 저장용 공급배관(220)의 절환밸브(V)를 닫고, 물 공급배관(320)과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의 절환밸브(V)를 열어, 상술한 액상 제설제 제조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제조유닛(100)에서 제조된 액상 제설제가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를 채워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에 배치된 수위측정센서(S2)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펌프 제어부(310)는 모든 절환밸브(V)를 닫고, 액상 제설제 제조를 중단한다.
제설차량에 액상 제설제 또는/및 고상 제설제의 상차
도 11을 참조한다.
제설작업에 투입되는 제설차량은 3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는 고상 제설제만 살포하는 제설차량으로, 이 경우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400)으로부터 고상 제설제만을 전달받아 적재한다.
두 번째는 액상 제설제만 살포하는 제설차량으로, 이 경우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의 연결배관(미도시)을 통해 저장용 챔버(210)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만을 전달받아 적재한다.
세 번째는 액상 제설제 제조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물과 고상 제설제로부터 액상 제설제를 직접 제조할 수 있는 제설차량이다. 이 경우 고상 제설제와 액상 제설제가 모두 필요하므로,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400)으로부터 고상 제설제를 전달받아 적재하고,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의 연결배관(미도시)을 통해 저장용 챔버(210)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를 전달받아 적재한다.
첫 번째 형태의 제설차량과 같이 고상 제설제의 적재만 필요한 경우, 제설차량이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400)로 이동하여 고상 제설제를 적재할 차량용 탱크의 입구를 열고, 입구를 상차용 호퍼(440)에 맞추면, 상차용 호퍼(440)가 열리고, 고상 제설제가 차량용 탱크에 상차된다.
두 번째 형태의 제설차량과 같이 액상 제설제의 적재만 필요한 경우, 제설차량이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200)로 이동하고 액상 제설제를 적재할 차량용 탱크에, 저장용 챔버(210)에 연결된 연결배관(미도시)을 연결하여, 액상 제설제를 차량용 탱크에 상차한다.
세 번째 형태의 제설차량과 같이 고상 제설제와 액상 제설제가 모두 필요한 경우, 제설차량이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400)로 이동하여 고상 제설제를 차량용 탱크에 상차할 동안, 액상 제설제를 적재할 차량용 탱크에, 저장용 챔버(210)에 연결된 연결배관(미도시)을 연결하여, 액상 제설제를 차량용 탱크에 상차한다.
100: 제조유닛 110: 교반용 챔버
120: 저장 호퍼 121: 제1경사플레이트 122: 수평플레이트 123: 제2경사플레이트
124: 지지플레이트 130: 제1회전노즐
140: 제2회전노즐 150: 교반용 제1공급배관
160: 교반용 제2공급배관 200: 저장탱크
210: 저장용 챔버 220: 저장용 공급배관
300: 펌프유닛 310: 펌프 제어부
320: 물 공급배관 330: 흡입배관
400: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 410: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
420: 저장챔버용 받침대 430: 스크류 컨베이어
440: 상차용 호퍼 N: 스크린망
S1: 농도측정센서 S2: 수위측정센서
S3: 변위측정센서 V: 절환밸브

Claims (5)

  1. 삭제
  2. 고상 제설제를 저장하고, 상기 고상 제설제를 물로 용해하여 액상 제설제를 제조하는 제조유닛;
    상기 제조유닛에서 제조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제설차량에 공급할 수 있는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
    상기 제조유닛과 상기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의 연결 유로를 제어하며 상기 물 또는 상기 액상 제설제를 이동시키는 펌프 제어부와, 상기 펌프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을 상기 펌프 제어부로 전달하는 물 공급배관과, 상기 제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조유닛에서 제조된 액상 제설제를 흡입하는 흡입배관으로 구성된 펌프유닛; 및
    상기 제조유닛으로 상기 고상 제설제를 공급하며, 제설차량에 상기 고상 제설제를 적재할 수 있는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을 포함하여,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제조하며, 상기 액상 제설제와 상기 고상 제설제를 제설차량에 상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은,
    상기 고상 제설제가 내부에 수용된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
    상기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를 지면에 대해 이격시키는 저장챔버용 받침대;
    상기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고상 제설제를 상기 제조유닛으로 전달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및
    상기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고상 제설제를 상기 고상 제설제용 저장챔버의 하부 영역에 위치한 상기 제설차량으로 전달하는 상차용 호퍼를 포함하는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3. 고상 제설제를 저장하고, 상기 고상 제설제를 물로 용해하여 액상 제설제를 제조하는 제조유닛;
    상기 제조유닛에서 제조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제설차량에 공급할 수 있는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
    상기 제조유닛과 상기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의 연결 유로를 제어하며 상기 물 또는 상기 액상 제설제를 이동시키는 펌프 제어부와, 상기 펌프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을 상기 펌프 제어부로 전달하는 물 공급배관과, 상기 제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조유닛에서 제조된 액상 제설제를 흡입하는 흡입배관으로 구성된 펌프유닛; 및
    상기 제조유닛으로 상기 고상 제설제를 공급하며, 제설차량에 상기 고상 제설제를 적재할 수 있는 고상 제설제용 저장탱크유닛을 포함하여,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제조하며, 상기 액상 제설제와 상기 고상 제설제를 제설차량에 상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조유닛은,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액상 제설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와 상기 액상 제설제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가 배치된 교반용 챔버;
    상기 교반용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상 제설제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액상 제설제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된 저장 호퍼;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며, 상기 고상 제설제로 물 또는 상기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며 회전하는 제1회전노즐;
    상기 교반용 챔버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며 회전하는 제2회전노즐;
    상기 제1회전노즐과 상기 펌프유닛에 연결되는 교반용 제1공급배관; 및
    상기 제2회전노즐과 상기 펌프유닛에 연결되는 교반용 제2공급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호퍼는,
    상기 교반용 챔버의 하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플레이트;
    상기 제1경사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수평플레이트;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교반용 챔버의 상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플레이트 및 수평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제2경사플레이트; 및
    상기 제1경사플레이트의 단부에서 교반용 챔버의 상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연장되며, 교반용 챔버의 내측벽에 결합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제설제용 저장탱크는,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되는 저장용 챔버;
    상기 저장용 챔버와 상기 펌프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액상 제설제를 상기 저장용 챔버의 내부로 유동시키는 저장용 공급배관;
    상기 저장용 챔버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액상 제설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 및
    상기 저장용 챔버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액상 제설제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KR1020220081918A 2022-07-04 2022-07-04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KR102468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18A KR102468201B1 (ko) 2022-07-04 2022-07-04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18A KR102468201B1 (ko) 2022-07-04 2022-07-04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201B1 true KR102468201B1 (ko) 2022-11-18

Family

ID=8423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918A KR102468201B1 (ko) 2022-07-04 2022-07-04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2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660A (ko) * 1998-03-12 1999-10-05 민병률 제설재 혼합 이송장치의 염화칼슘 저장호퍼
KR20110126304A (ko) *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 제설을 위한 염화칼슘용액 제조용기의 자동세척장치
KR101307492B1 (ko) 2011-04-22 2013-09-11 구성득 액상 염화칼슘 살포장치
KR20190109975A (ko)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992082B1 (ko) * 2019-02-19 2019-10-01 장현실 도로결빙방지 및 노면물세척용 스마트 클린로드시스템 및 그 설치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660A (ko) * 1998-03-12 1999-10-05 민병률 제설재 혼합 이송장치의 염화칼슘 저장호퍼
KR20110126304A (ko) *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 제설을 위한 염화칼슘용액 제조용기의 자동세척장치
KR101307492B1 (ko) 2011-04-22 2013-09-11 구성득 액상 염화칼슘 살포장치
KR20190109975A (ko)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992082B1 (ko) * 2019-02-19 2019-10-01 장현실 도로결빙방지 및 노면물세척용 스마트 클린로드시스템 및 그 설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635B1 (ko)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JP5735460B2 (ja) 溶液製造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334776B2 (en) Method and system having an intermediate holding vessel for combining chemical injection substances for a spray system
US4734198A (en) Dialysis solution mixing system
US5819776A (en) Liquid de-icer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597701B1 (ko) 순환 공급수단을 갖는 염화물 제조 및 살포 시스템
CN107182207A (zh) 多功能水箱
KR101849854B1 (ko) 농약 정량 공급기
KR20110126304A (ko) 도로 제설을 위한 염화칼슘용액 제조용기의 자동세척장치
KR102468201B1 (ko)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KR100676407B1 (ko) 차량용 액상 제설제 살포장치
CN110616881B (zh) 清洗系统、注浆设备和注浆设备的补料清洗控制方法
KR100723034B1 (ko)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 제조를 위한 염화칼슘 공급장치
KR200490978Y1 (ko) 차량용 액상 제설제 살포장치
CN212397630U (zh) 一种用于土壤修复的环保设备
KR100470885B1 (ko)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KR102532867B1 (ko) 조제 면적 및 교반 균질성이 향상된 제설용액 제조장치
KR100718534B1 (ko)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주수장치
US10471399B1 (en) Brine maker
KR19980033495A (ko) 염화칼슘용액제조장치
KR102445107B1 (ko)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KR20180021731A (ko) 용액을 만드는 장치 및 관련 방법
KR100505768B1 (ko) 도로 제설을 위한 제설 용액 제조장치
KR100714183B1 (ko)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주수대
KR102557155B1 (ko) 도로용 자동 살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