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107B1 -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 Google Patents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107B1
KR102445107B1 KR1020220003804A KR20220003804A KR102445107B1 KR 102445107 B1 KR102445107 B1 KR 102445107B1 KR 1020220003804 A KR1020220003804 A KR 1020220003804A KR 20220003804 A KR20220003804 A KR 20220003804A KR 102445107 B1 KR102445107 B1 KR 102445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removal
removal agent
liquid
supply pip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Priority to KR1020220003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65Mixing liquids with solids by introducing liquids in solid material, e.g. to obtain slu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2Vehicle-mounted 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2Mobile apparatus, e.g. watering-veh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차에 장착되는 제조유닛과, 저장탱크와, 분사유닛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액상 제설제 살포 중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가 부족해지는 경우 근처 주유소, 휴게소 등에서 쉽게 물을 공급받아 바로 액상 제설제를 제조하여 저장탱크를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액상 제설제의 제설작업 거리를 현저히 늘릴 수 있다. 또한, 살포 중 저장된 액상 제설제가 부족해지면 보급처로 복귀하여 저장탱크에 액상 제설제를 보충한 후 다시 해당 도로로 돌아가서 제설작업을 재개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복귀하고 보충하는데 걸리는 시간, 비용을 줄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제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Liquid deicer manufacturing and spraying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 도로의 적설과 결빙 구간을 융빙 또는 융설하기 위해 염화나트륨(소금),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과 같은 고상 제설제를, 제설차에 장착된 제설제 살포장치를 통해 도로에 살포한다.
이러한 제설제 살포방법은 강설이 시작된 후 제설제를 살포하여 융설을 실시하는 본격적인 제설작업과, 강설이 시작되기 전에 사전에 도로에 제설제를 살포하여 결빙을 예방하는 예비살포로 나누어진다.
통상적으로 동계에 제설작업을 시행하면, 총작업량의 60%이상은 사전에 제설제를 살포하는 예비살포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건조한 노면에 고상 제설제를 예비살포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풍에 의해 도로 밖으로 제설제가 이탈하여, 실제 강설시 융설 효과가 떨이지고, 효과 유지를 위해 2차 작업을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고상 제설제와 물을 교반하여 만든 액상 제설제를 도로에 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액상 제설제는 보급처에서 제조된 후 제설차의 저장탱크에 저장되고, 제설차가 작업 대상 도로를 주행하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를 살포하게 된다. 이러한 액상 제설제는 도로의 점착율을 높여 예비살포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적은 양을 뿌리더라도 지속 효과가 우수하다.
그런데 액상 제설제의 문제점은 통상 20~30%의 농도로 제조되기 때문에 고상 제설제보다 많은 양을 뿌려야 된다는 것이며, 제설차의 저장탱크 용량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로 커버할 수 있는 도로의 길이도 제한적이다.
종래 차량용 액상 제설제 살포장치는 일반적으로 12000L의 액상 제설제를 저장하여 약 30km(국토부 2차로 예비살포 10g/㎡ 기준)의 거리를 예비살포하는데 그쳤다. 따라서 살포 중 저장된 액상 제설제가 부족해지면 보급처로 복귀하여 저장탱크에 액상 제설제를 보충한 후 다시 해당 도로로 돌아가서 제설작업을 재개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신속한 제설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고 제설차 이동, 제설용액 보충 등으로 인한 시간 및 비용 소모가 컸다.
또 한 가지 문제점은 도로에는 수많은 액상 제설제 분사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제설작업 필요시 제설용액을 원격으로 살포하고 있으며, 제설용액이 떨어졌을 때는 수시로 제설차량을 이용하여 보충하고 있으나, 한 번에 이동하고 보충할 수 있는 용량의 한계로 계속적인 반복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10-1307492)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는,
고상 제설제를 저장하고, 상기 고상 제설제를 물로 용해하여 액상 제설제를 제조하는, 제설차에 장착된 제조유닛;
상기 제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조유닛으로 상기 고상 제설제를 용해하는 물을 공급하고, 상기 제조유닛에서 제조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설차에 장착된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설차에 장착된 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설차에 장착되는 제조유닛과, 저장탱크와, 분사유닛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액상 제설제 살포 중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가 부족해지는 경우 근처 주유소, 휴게소 등에서 쉽게 물을 공급받아 바로 액상 제설제를 제조하여 저장탱크를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액상 제설제의 제설작업 거리를 현저히 늘릴 수 있다. 또한, 살포 중 저장된 액상 제설제가 부족해지면 보급처로 복귀하여 저장탱크에 액상 제설제를 보충한 후 다시 해당 도로로 돌아가서 제설작업을 재개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복귀하고 보충하는데 걸리는 시간, 비용을 줄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제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조유닛이 수용홈과 유출홀이 형성된 저장 호퍼에 고상 제설제를 수용하고 제1회전노즐과 제2회전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고상 제설제를 용해시켜 액상 제설제를 제조한다. 따라서 저장 호퍼에 고상 제설제를 수용하고 서서히 흘러내리게 하여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양만큼 액상 제설제를 바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조유닛과 저장탱크 사이에 물과 액상 제설제를 순환시켜 원하는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가 설치된 제설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회전노즐과 제2회전노즐이 배치된 저장 호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저장 호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회전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의 물공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의 액상 제설제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의 제조용액 분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1)는 제조유닛(100), 저장탱크(200), 분사유닛(300)으로 구성된다.
[제조유닛(100)]
제조유닛(100)은 제설차(V)에 장착되며, 고상 제설제가 물에 용해된 액상 제설제를 제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유닛(100)은 교반용 챔버(110), 저장 호퍼(120), 제1회전노즐(130), 제2회전노즐(140), 교반용 공급배관(150), 제1펌프(160)로 구성된다.
<교반용 챔버(110)>
교반용 챔버(110)는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내부에는 저장 호퍼(12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용 챔버(11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교반용 챔버(110) 내부에 배치되는 저장 호퍼(120)도 이에 상응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교반용 챔버(110)가 원통으로 형성되면, 저장 호퍼(120)도 이에 상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교반용 챔버(110)는 저장 호퍼(120)에 의해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양분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는 고상 제설제가 수용되고, 하부영역에는 고상 제설제가 물에 용해된 액상 제설제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는 약 5.5톤의 고상 제설제가 수용될 수 있고, 하부영역에는 약 1000리터의 액상 제설제가 수용될 수 있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는 저장탱크(200)의 후술할 저장용 공급배관(220)이 관통하며, 저장용 공급배관(220)의 입구를 차폐하는 스크린망(N)이 배치된다. 스크린망(N)은 물에 녹지 않은 고상 제설제가 저장용 공급배관(2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는 교반용 챔버(110)의 내부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액상 제설제의 양을 측정하는 제1전자레벨게이지(L1)가 배치된다.
<저장 호퍼(12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호퍼(120)에는 고상 제설제를 수용하는 수용홈(10)이 형성되고 액상 제설제가 유출되는 유출홀(20)이 형성된다. 또한, 저장 호퍼(120)의 중앙영역에는 교반용 공급배관(150)이 관통하는 관통홀(30)이 형성된다.
저장 호퍼(120)는 제1경사플레이트(121), 수평플레이트(122), 제2경사플레이트(123)로 구성된다. 제1경사플레이트(121)는 교반용 챔버(110)의 내측벽에 결합되며,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수평플레이트(122)는 제1경사플레이트(121)에 결합된다. 제2경사플레이트(123)는 수평플레이트(122)에 결합되고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수용홈(10)은 제1경사플레이트(121), 수평플레이트(122), 제2경사플레이트(123)에 의해 형성된다.
유출홀(20)은 제1경사플레이트(121)와 제2경사플레이트(123)에 각각에 형성된 슬릿홀(21)과 수평플레이트(122)에 형성된 타공홀(22)로 이루어진다. 슬릿홀(21)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장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슬릿홀(21)이 제1경사플레이트(121)와 제2경사플레이트(123)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타공홀(22)은 원형의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타공홀(22)이 수평플레이트(122)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회전노즐(130)>
제1회전노즐(130)은 고상 제설제가 수용된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 위치한다. 제1회전노즐(130)은 수용홈(10)에 배치되며, 고상 제설제로 물을 분사하며 회전한다. 제1회전노즐(130)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수용홈(10)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회전노즐(13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고상 제설제가 1차적으로 용해된다. 고상 제설제가 물에 용해된 액상 제설제는 저장 호퍼(120)의 유출홀(20)을 통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으로 배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노즐(130)은 교반용 공급배관(150)에 결합되는 고정 몸체(131)와, 고정 몸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분사되는 분사공(133)이 형성된 회전 몸체(132)로 구성된다. 분사공(133)은 회전 몸체(132)의 측벽에 형성되어 물이 회전 몸체(132)의 측방향으로 분사된다. 분사공(133)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노즐(140)>
제2회전노즐(140)은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위치한다. 제2회전노즐(140)은 저장 호퍼(120)의 관통홀(30)을 관통하는 교반용 공급배관(150)에 연결되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회전노즐(140)은 제1회전노즐(130)의 하측영역에 배치되며, 물을 분사하며 회전한다.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서 하부영역으로 배출된 액상 제설제에는 완전히 용해되지 못하고 입자가 작아진 고상 제설제가 함유되어 있다. 제2회전노즐(140)은 고상 제설제가 함유된 액상 제설제를 2차적으로 용해시킨다.
제2회전노즐(140)은 제1회전노즐(13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교반용 공급배관(150), 제1펌프(160)>
교반용 공급배관(150)은 저장탱크(200)와 제1회전노즐(130) 및 제2회전노즐(140)에 연결되며, 물이 유동된다.
교반용 공급배관(150)의 일단은 저장용 챔버(210)의 하단에 연결된다.
교반용 공급배관(150)의 다른 일단은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 연결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 연결된 교반용 공급배관(150)은 두 지류로 분지된다. 한 지류는 사각 형상의 수용홈(10)을 따라 사각 형상의 배관을 형성하며, 제1회전노즐(13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된다. 다른 한 지류는 저장 호퍼(120)의 관통홀(30)을 관통하여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으로 연장되며, 제2회전노즐(140)이 연결된다.
또한, 교반용 공급배관(15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외부용 공급배관(170)이 연결된다. 외부용 공급배관(170)과 교반용 공급배관(150) 사이에는 제1방향전환밸브(V1)가 배치된다. 제1방향전환밸브(V1)는 교반용 공급배관(150)과 외부용 공급배관(17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한다.
제1펌프(160)는 교반용 공급배관(150)에 연결되며, 물을 유동시킨다. 즉, 제1펌프(160)는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 또는 액상 제설제를 흡입하여 유동시킨다.
[저장탱크(200)]
저장탱크(200)는 제설차(V)에 장착된다. 저장탱크(200)는 제조유닛(100)에 연결되어 제조유닛(100)으로 물을 공급하고 제조유닛(100)으로부터 액상 제설제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저장탱크(200)는 저장용 챔버(210), 저장용 공급배관(220), 제2펌프(230)로 구성된다.
저장용 챔버(210)는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된다. 저장용 챔버(210)의 내부에는, 저장용 챔버(210)의 내부에 저장된 물 또는 액상 제설제의 양을 측정하는 제2전자레벨게이지(L2)가 배치된다. 또한, 저장용 챔버(210)의 내부에는 액상 제설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S1)가 배치된다.
저장용 공급배관(220)은 저장용 챔버(210)와 교반용 챔버(110)에 연결되며, 교반용 챔버(110)에 수용된 액상 제설제가 유동된다. 저장용 공급배관(220)의 일단은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연결된다. 저장용 공급배관(220)의 다른 일단은 저장용 챔버(210)의 상단에 연결된다.
제2펌프(230)는 저장용 공급배관(220)에 연결되며, 교반용 챔버(110)에 수용된 액상 제설제를 저장용 챔버(210)로 유동시킨다.
[분사유닛(300)]
분사유닛(300)은 제설차(V)에 장착되며, 저장탱크(200)에 연결되어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를 도로에 분사한다.
분사유닛(300)은 분사노즐(310), 분사용 공급배관(320), 제2방향전환밸브(V2)로 구성된다.
분사노즐(310)은 액상 제설제를 도로 노면으로 분사한다. 분사노즐(310)은 다수 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노즐(310)은 제설차(V)의 후방에 배치되며, 후방을 향해 액상 제설제를 분사한다. 그러나 분사노즐(310)은 필요에 따라 제설차(V)의 전방, 측방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향으로 액상 제설제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용 공급배관(320)은 분사노즐(310)에 연결되어 액상 제설제를 분사노즐(310)로 유동시킨다.
제2방향전환밸브(V2)는 분사용 공급배관(320)과 교반용 공급배관(150)에 연결된다. 제2방향전환밸브(V2)는 교반용 공급배관(150)으로 유동되는 액상 제설제를 분사용 공급배관(320)으로 방향 전환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기본적으로 참조한다.
[액상 제설제 및 고상 제설제 충진]
액상 제설제 및 고상 제설제 보급처에서, 저장 호퍼(120)에 고상 제설제를 채우고, 저장용 챔버(210)에 액상 제설제를 채운다. 제설차가 제설 장소로 출발한다. 제설 장소에 도착하여 액상 제설제를 도로에 살포하여 제설 작업을 진행한다.
[물 공급]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를 모두 사용하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탱크(200)에 채운다. 이를 위해, 제설 장소에서 가까운 주유소나 휴게소에 들른다. 주유소나 휴게소에서 물을 공급받는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방향전환밸브(V1)를 조정하여 저장용 챔버(210)에서 교반용 챔버(110)와 연통되는 교반용 공급배관(150)의 유로를 차단하고, 외부용 공급배관(170)과 교반용 공급배관(150) 사이의 유로를 개방한다.
외부용 공급배관(170)을 통해 외부에서 물을 공급한다. 공급된 물은 외부용 공급배관(170)과 교반용 공급배관(150)을 통해 저장용 챔버(210)에 저장된다. 저장용 챔버(210) 내부에 배치된 제2전자레벨게이지(L2)에 의해 저장된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저장용 챔버(210)에 물이 모두 채워지면, 물 공급을 멈추고, 제1방향전환밸브(V1)를 조정하여 외부용 공급배관(170)과 교반용 공급배관(150)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저장용 챔버(210)에서 교반용 챔버(110)로 연통되는 교반용 공급배관(150)의 유로를 개방한다.
이러한 작업은 액상 제설제 제조시간을 줄이기 위해 물 공급을 받아서 바로 제조를 시작하고, 제조된 제설용액을 저장용 챔버(210)로 채울 수도 있다.
[액상 제설제 제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방향전환밸브(V2)를 조정하여, 교반용 공급배관(150)과 분사용 공급배관(320)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저장용 챔버(210)에서 교반용 챔버(110)로 연통되는 교반용 공급배관(150)의 유로를 개방한다.
제1펌프(160)를 작동시켜, 저장탱크(200)의 저장용 챔버(210)에 저장된 물을 교반용 공급배관(150)으로 유동시킨다.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 수용된 고상 제설제는 저장 호퍼(120)의 제1경사플레이트(121)와 제2경사플레이트(123)를 타고 내려와 수용홈(10)에 채워져 있다. 교반용 공급배관(150)을 통해 이동된 물은 제1회전노즐(130)과 제2회전노즐(140)을 통해 분사된다. 제1회전노즐(130)은 회전하며 제1경사플레이트(121)와 제2경사플레이트(123)를 향해 물을 분사한다. 고상 제설제가 용해된 액상 제설제가 유출홀(20)을 통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으로 떨어진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으로 떨어진 액상 제설제에는 완전히 녹지 못하고 입자가 작아진 고상 제설제가 함유되어 있다. 제2회전노즐(140)은 물을 분사하며 회전하여 미쳐 녹지 못한 고상 제설제를 2차적으로 용해시킨다.
제1펌프(160)가 작동되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채워진 액상 제설제를 흡입한다. 스크린망(N)을 통해 녹지 못한 고상 제설제가 걸러지고 액상 제설제가 저장용 공급배관(220)을 통해 저장용 챔버(210)로 이동된다.
저장용 챔버(210)로 이동된 액상 제설제는 다시 교반용 공급배관(150)을 통해 교반용 챔버(110)로 순환된다. 저장용 챔버(210) 내부에 배치된 농도측정센서(S1)가 액상 제설제의 농도를 측정하여 목표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순환과정이 반복된다. 액상 제설제의 농도가 목표 농도에 도달하고 저장용 챔버(210)가 일정수위까지 채워지면 액상 제설제의 제조를 중단한다.
[액상 제설제 분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방향전환밸브(V2)를 조정하여, 교반용 공급배관(150)과 분사용 공급배관(320)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고, 저장용 챔버(210)에서 교반용 챔버(110)로 연통되는 교반용 공급배관(150)의 유로를 차단한다.
저장용 챔버(210)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는 교반용 공급배관(150)과 분사용 공급배관(320)을 유동하여 분사노즐(310)을 통해 도로 노면으로 분사된다.
한편, 분사용 공급배관(320)의 한쪽 라인은 드레인 밸브를 설치하여, 저장용 챔버(210)를 보충하거나, 제설용액 또는 물을 드레인(drain)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1: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10: 수용홈 20: 유출홀
21: 슬릿홀 22: 타공홀
30: 관통홀 100: 제조유닛
110: 교반용 챔버 120: 저장 호퍼
121: 제1경사플레이트 122: 수평플레이트
123: 제2경사플레이트 130: 제1회전노즐
131: 고정 몸체 132: 회전 몸체
133: 분사공 140: 제2회전노즐
150: 교반용 공급배관 160: 제1펌프
170: 외부용 공급배관 200: 저장탱크
210: 저장용 챔버 220: 저장용 공급배관
230: 제2펌프 300: 분사유닛
310: 분사노즐 320: 분사용 공급배관
L1: 제1전자레벨게이지 L2: 제2전자레벨게이지
N: 스크린망 S1: 농도측정센서
V1:제1방향전환밸브 V2:제2방향전환밸브

Claims (5)

  1. 삭제
  2. 고상 제설제를 저장하고, 상기 고상 제설제를 물로 용해하여 액상 제설제를 제조하는, 제설차에 장착된 제조유닛;
    상기 제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조유닛으로 상기 고상 제설제를 용해하는 물을 공급하고, 상기 제조유닛에서 제조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설차에 장착된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는, 제설차에 장착된 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조유닛은,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되는 교반용 챔버;
    상기 교반용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상 제설제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액상 제설제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된 저장 호퍼;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며, 상기 고상 제설제로 물을 분사하며 회전하는 제1회전노즐;
    상기 제1회전노즐의 하측 영역에 배치되며, 물을 분사하며 회전하는 제2회전노즐;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제1회전노즐 및 상기 제2회전노즐에 연결되며, 물이 유동되는 교반용 공급배관; 및
    상기 교반용 공급배관에 연결되며, 물을 유동시키는 제1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호퍼는,
    상기 교반용 챔버의 내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교반용 챔버의 하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플레이트;
    상기 제1경사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교반용 챔버의 상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플레이트 및 수평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제2경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홀은,
    상기 제1경사플레이트와 상기 제2경사플레이트에 각각에 형성된 슬릿홀과 수평플레이트에 형성된 타공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호퍼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교반용 공급배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KR1020220003804A 2022-01-11 2022-01-11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KR102445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04A KR102445107B1 (ko) 2022-01-11 2022-01-11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04A KR102445107B1 (ko) 2022-01-11 2022-01-11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107B1 true KR102445107B1 (ko) 2022-09-20

Family

ID=8344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804A KR102445107B1 (ko) 2022-01-11 2022-01-11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1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249A (ko) * 2003-08-18 2005-03-03 젠텍미디어 주식회사 차량 탑재용 제설수 살포장치
KR200396225Y1 (ko) * 2005-06-28 2005-09-21 최창덕 눈을 사용하여 제설액을 제조 후 살포하는 장치
KR101307492B1 (ko) 2011-04-22 2013-09-11 구성득 액상 염화칼슘 살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249A (ko) * 2003-08-18 2005-03-03 젠텍미디어 주식회사 차량 탑재용 제설수 살포장치
KR200396225Y1 (ko) * 2005-06-28 2005-09-21 최창덕 눈을 사용하여 제설액을 제조 후 살포하는 장치
KR101307492B1 (ko) 2011-04-22 2013-09-11 구성득 액상 염화칼슘 살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8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snow-ice treatment liquid on pavement
KR100939807B1 (ko) 제설시스템
KR102450635B1 (ko)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KR101970107B1 (ko) 온라인 통합관리형 제설액 살포 시스템
KR101594155B1 (ko) 도로 물청소 기능을 구비한 제설제 살포장치
KR101467832B1 (ko) 염수용액 제조 살포기
KR100927070B1 (ko) 다목적용 차량용 살수 시스템 및 융설제 가열 살포장치
KR102445107B1 (ko)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KR100676407B1 (ko) 차량용 액상 제설제 살포장치
JP5459981B2 (ja) 道路維持車両
JP5431683B2 (ja) 道路維持車両
KR102382563B1 (ko) 염화칼슘 살포를 겸한 차량전방 살수식 염수제설기
KR20190002064U (ko) 차량용 액상 제설제 살포장치
US3589614A (en) Pressure spray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90109975A (ko)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998225B1 (ko) 노면 살수차
KR102414446B1 (ko) 와류를 통한 수류 교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설액 생성 시스템
KR200396225Y1 (ko) 눈을 사용하여 제설액을 제조 후 살포하는 장치
NO334397B1 (no) Fremgangsmåte og innretning for stasjonær distribuering av et flytende tiningsmiddel
KR102468201B1 (ko)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RU250534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водного раствора соли, в частности хлорида кальция,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ачестве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антиобледенителя, а такж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водного раствор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ачестве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антиобледенителя
CN210797166U (zh) 一种能够处理表面积雪的路面
EP0580712B1 (en) Rotating liquid distributor for use with a spreader for liquid manure, water or other liquids with other compounds added
JP2002081035A (ja) 路面清掃車及び路面の清掃方法
KR100879619B1 (ko) 믹서트럭용 살수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