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635B1 -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635B1
KR102450635B1 KR1020220081913A KR20220081913A KR102450635B1 KR 102450635 B1 KR102450635 B1 KR 102450635B1 KR 1020220081913 A KR1020220081913 A KR 1020220081913A KR 20220081913 A KR20220081913 A KR 20220081913A KR 102450635 B1 KR102450635 B1 KR 102450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removal
removal agent
liquid snow
liquid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진
이경훈
이상곤
최민욱
Original Assignee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65Mixing liquids with solids by introducing liquids in solid material, e.g. to obtain slu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2Level of material in a container or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32Concentration, pH, pOH, p(ION) or oxygen-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4Measuring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3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 B01F35/71731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using a h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65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suction, vacuum, e.g. with a pipet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7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차량에 공급되는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제조한다. 이로 인해, 액상 제설제가 자율작업에 의해 설정된 농도로 제조되어 저장탱크에 바로 채워지게 되므로, 액상 제설제의 제조에서 공급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액상제설제의 제조에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액상 제설제 제조 공급에 있어서의 불편함이 해소된다.

Description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Autonomous snow removal solution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고상 제설제와 물을 교반하여 만든 액상 제설제를 도로에 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액상 제설제는 도로의 점착율을 높여 예비살포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적은 양을 뿌리더라도 지속 효과가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액상 제설제는 교반기가 설치된 제설창고에서 제조되어 해당 지점 주변 지역에 설치된 저장탱크들에는 배관으로 이송되거나, 원거리 지점에 설치된 저장탱크에는 차량으로 옮겨져 저장되었다가 그 주변 작업 대상 도로를 작업하는 제설차량에 보충된다.
이러한 액상 제설제의 특징은 약 20% 내외의 농도를 가지므로 고체 제설제에 비해 보관시 부피가 크므로 이동 및 운반시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는 교반기에서 액상 제설제를 제조하는 작업이 작업자가 교반기가 설치된 지점에 상주하며 고상 제설제와 물을 지속적으로 보충하면서 농도를 맞추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졌고, 제조된 액상 제설제를 저장탱크에 채우기 위해서 차량이 교반기와 저장탱크들 사이를 여러 번 왕복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각 지점마다 교반기와 저장탱크를 같이 설치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겠으나, 종래의 교반기는 비쌀 뿐만 아니라 액상 제설제를 제조하기 위해 각 지점마다 인력이 배치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10-1307492)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는,
제설차량에 공급되는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제조하기 위해,
고상 제설제를 저장하고, 상기 고상 제설제를 물로 용해하여 액상 제설제를 제조하는 제조유닛;
상기 제조유닛에서 제조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되는 저장용 챔버와, 상기 저장용 챔버와 상기 펌프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액상 제설제를 상기 저장용 챔버의 내부로 유동시키는 저장용 공급배관과, 상기 저장용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 제설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와, 상기 저장용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 제설제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로 구성된 저장탱크; 및
상기 제조유닛과 상기 저장탱크의 연결 유로를 제어하며 상기 물 또는 상기 액상 제설제를 이동시키는 펌프 제어부와, 상기 펌프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을 상기 펌프 제어부로 전달하는 물 공급배관과, 상기 제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조유닛에서 제조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흡입하는 흡입배관으로 구성된 펌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설차량에 공급되는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제조한다. 이로 인해, 액상 제설제가 자율작업에 의해 설정된 농도로 제조되어 저장탱크에 바로 채워지게 되므로, 액상 제설제의 제조에서 공급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액상제설제의 제조에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비용이 절감되고 액상 제설제 제조 공급에 있어서의 불편함이 해소된다.
본 발명은 제조유닛이 수용홈과 유출홀이 형성된 저장 호퍼에 고상 제설제를 수용하고 제1회전노즐과 제2회전노즐을 통해 물 및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여 고상 제설제를 용해시켜 액상 제설제를 제조한다. 따라서 저장 호퍼에 고상 제설제를 수용하고 서서히 흘러내리게 하여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양만큼 액상 제설제를 바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상 제설제가 용해된 액상 제설제를 순환 과정을 통해 고상 제설제의 용해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원하는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회전노즐이 배치된 저장 호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저장 호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회전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의 물 공급 및 1차 용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의 2차 용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의 3차 용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의 저장탱크 저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는 제설차량에 공급되는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제조한다.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는 휴게소 또는, 도로변 또는, 공터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는 제조유닛(100), 저장탱크(200), 펌프유닛(300)으로 구성된다.
[제조유닛(100)]
제조유닛(100)은 고상 제설제를 저장하고, 고상 제설제를 물로 용해하여 액상 제설제를 제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유닛(100)은 교반용 챔버(110), 저장 호퍼(120), 제1회전노즐(130), 제2회전노즐(140),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으로 구성된다.
<교반용 챔버(110)>
교반용 챔버(110)는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내부에는 저장 호퍼(12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용 챔버(11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교반용 챔버(110) 내부에 배치되는 저장 호퍼(120)도 이에 상응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교반용 챔버(110)가 원통으로 형성되면, 저장 호퍼(120)도 이에 상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교반용 챔버(110)는 저장 호퍼(120)에 의해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양분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는 고상 제설제가 수용되고, 하부영역에는 고상 제설제가 물에 용해된 액상 제설제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는 약 5.5톤의 고상 제설제가 수용될 수 있고, 하부영역에는 약 1000리터의 액상 제설제가 수용될 수 있다.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는 분할구조물(111)이 배치된다. 이러한 분할구조물(111) 위로 고상 제설제가 적재되어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 수용된 고상 제설제가 뭉치는 것을 방지한다.
교반용 챔버(110) 내부에는 저장 호퍼(120) 위로 적재된 고상 제설제의 양을 측정하는 변위측정센서(S3)가 배치된다. 변위측정센서(S3)는 분할구조물(111)에 설치되어, 고상 제설제의 양이 설정된 양 아래로 내려가면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변위측정센서(S3)는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는 펌프유닛(300)의 흡입배관(330)이 관통하며, 흡입배관(330)의 입구를 차폐하는 스크린망(N)이 배치된다. 스크린망(N)은 물에 녹지 않은 고상 제설제가 흡입배관(3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는 교반용 챔버(110)의 내부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액상 제설제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S2)가 배치된다. 수위측정센서(S2)로는 전자레벨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는 액상 제설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S1)가 배치된다.
<저장 호퍼(12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호퍼(120)에는 고상 제설제를 수용하는 수용홈(10)이 형성되고 액상 제설제가 유출되는 유출홀(20)이 형성된다.
저장 호퍼(120)는 제1경사플레이트(121), 수평플레이트(122), 제2경사플레이트(123), 지지플레이트(124)로 구성된다. 제1경사플레이트(121)는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수평플레이트(122)는 제1경사플레이트(121)에 결합된다. 제2경사플레이트(123)는 수평플레이트(122)에 결합되고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124)는 제1경사플레이트(121)의 단부에서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연장되며, 교반용 챔버(110)의 내측벽에 결합된다.
수용홈(10)은 제1경사플레이트(121), 수평플레이트(122), 제2경사플레이트(123)에 의해 형성된다.
유출홀(20)은 제1경사플레이트(121)와 제2경사플레이트(123)에 각각에 형성된 슬릿홀(21)과 수평플레이트(122)에 형성된 타공홀(22)로 이루어진다. 슬릿홀(21)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장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슬릿홀(21)이 제1경사플레이트(121)와 제2경사플레이트(123)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타공홀(22)은 원형의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타공홀(22)이 수평플레이트(122)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회전노즐(130)>
제1회전노즐(130)은 고상 제설제가 수용된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 위치한다. 제1회전노즐(130)은 수용홈(10)에 배치되며, 고상 제설제로 물을 분사하며 회전한다. 제1회전노즐(130)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수용홈(10)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회전노즐(13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고상 제설제가 1차적으로 용해된다. 고상 제설제가 물에 용해된 액상 제설제는 저장 호퍼(120)의 유출홀(20)을 통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으로 배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노즐(130)은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에 결합되는 고정 몸체(131)와, 고정 몸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 또는 액상 제설제가 분사되는 분사공(133)이 형성된 회전 몸체(132)로 구성된다. 분사공(133)은 회전 몸체(132)의 측벽에 형성되어 물이 회전 몸체(132)의 측방향으로 분사된다. 분사공(133)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노즐(140)>
제2회전노즐(140)은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며,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며 회전한다. 제2회전노즐(140)은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에 연결되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회전노즐(140)은 제1회전노즐(130)의 하측영역에 배치되며, 흡입배관(330)으로부터 흡입된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며 회전한다.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서 하부영역으로 배출된 액상 제설제에는 완전히 용해되지 못하고 입자가 작아진 고상 제설제가 함유되어 있다. 제2회전노즐(140)은 흡입된 액상 제설제를 분사함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하부영역에 채워진 액상 제절제를 섞어 고상 제설제가 함유된 액상 제설제를 2차적으로 용해시킨다.
제2회전노즐(140)은 제1회전노즐(13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은 제1회전노즐(130)과 펌프유닛(300)에 연결되며, 물이 유동된다.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의 일단은 펌프유닛(300)에 연결된다.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의 다른 일단은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 배치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상부영역에 배치된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은 사각 형상의 수용홈(10)을 따라 사각 형상의 배관을 형성하며, 제1회전노즐(130)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된다.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과 펌프유닛(300) 사이에는 절환밸브(V)가 배치된다. 절환밸브(V)는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과 펌프유닛(30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한다.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은 제2회전노즐(140)과 펌프유닛(300)에 연결되며, 물이 유동된다.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의 일단은 펌프유닛(300)에 연결된다.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의 다른 일단은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은 저장호퍼(120)의 중앙 하부영역으로 연장되어 제2회전노즐(140)이 연결된다.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과 펌프유닛(300) 사이에는 절환밸브(V)가 배치된다. 절환밸브(V)는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과 펌프유닛(30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한다.
[저장탱크(200)]
저장탱크(200)는 제조유닛(100)에 연결되어 제조유닛(100)으로 물을 공급하고 제조유닛(100)으로부터 액상 제설제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저장탱크(200)는 저장용 챔버(210), 저장용 공급배관(220)으로 구성된다.
저장용 챔버(210)는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된다. 저장용 챔버(210)의 내부에는, 저장용 챔버(210)의 내부에 저장된 물 또는 액상 제설제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S2)가 배치된다. 또한, 저장용 챔버(210)의 내부에는 액상 제설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S1)가 배치된다.
저장용 공급배관(220)은 저장용 챔버(210)와 펌프유닛(300)에 연결되며, 교반용 챔버(110)에 수용된 액상 제설제가 유동된다. 저장용 공급배관(220)의 일단은 저장용 챔버(210)에 연결되고, 저장용 공급배관(220)의 다른 일단은 펌프유닛(300)에 연결된다.
저장용 공급배관(220)과 펌프유닛(300) 사이에는 절환밸브(V)가 배치된다. 절환밸브(V)는 저장용 공급배관(220)과 펌프유닛(30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한다.
저장탱크(200)에는 저장용 챔버(210)에 연결되며 저장용 챔버(210)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를 제설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탱크에 공급하는 연결배관(미도시)이 형성된다.
[펌프유닛(300)]
펌프유닛(300)은 제조유닛(100)과 저장탱크(200)에 연결되며, 제조유닛(100)으로 물을 공급하고, 제조유닛(100)에서 제조된 액상 제설제를 저장탱크(200)로 공급한다.
펌프유닛(300)은 펌프 제어부(310), 물 공급배관(320), 흡입배관(330)으로 구성된다.
펌프 제어부(310)는 제조유닛(100)과 저장탱크(200)의 연결 유로를 제어하며 물 또는 액상 제설제를 이동시킨다. 펌프 제어부(310)에는 물 및 액상 제설제의 유동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펌프(미도시)가 구비된다. 펌프 제어부(310)는 제조유닛(100)과 저장탱크(200)에 구비된 농도측정센서(S1)와 수위측정센서(S2)에서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농도와 수위에 따라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 저장용 공급배관(220), 물 공급배관(320), 흡입배관(330)에 연결된 절환밸브(V)를 각각 개폐하여 물과 액상 제설제와 같은 유체가 이동하는 연결 유로를 형성하며, 연결 유로로 유체를 이동시킨다.
물 공급배관(320)은 펌프 제어부(310)에 연결되며, 물을 펌프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물 공급배관(320)은 주변 지역의 상수원 또는 별도의 물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다. 한편, 고상 제설제는 교반용 챔버(110) 상부영역의 충전구(미도시)를 열고 상부영역 안으로 수작업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흡입배관(330)은 제조유닛(100)에 연결되어 제조유닛(100)에서 제조된 액상 제설제를 흡입한다. 흡입배관(330)의 일단은 저장용 챔버(110)의 하부 영역에 연통되고, 흡입배관(330)의 다른 일단은 펌프 제어부(310)에 연결된다.
흡입배관(330)과 펌프유닛(300) 사이에는 절환밸브(V)가 배치된다. 절환밸브(V)는 흡입배관(330)과 펌프유닛(30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기본적으로 참조한다.
초기 상태에서, 각 유로의 절환밸브(V)는 닫혀 있고, 제조유닛(100)의 저장 호퍼(120)에는 고상 제설제가 채워져 있다.
[물 공급 및 1차 용해]
도 6을 참조한다.
저장탱크(200)의 저장용 챔버(210)에 배치된 수위측정센서(S2)로부터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아래로 내려간 경우, 펌프유닛(300)의 펌프 제어부(310)는 펌프유닛(300)의 물 공급배관(320)과 제조유닛(100)의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의 절환밸브(V)를 열어 유로를 형성한다. 펌프 제어부(310)는 물 공급배관(320)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을 통해 제조유닛(100)의 교반용 챔버(110)로 유동시킨다.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에 연결된 제1회전노즐(130)을 통해 물이 회전하며 분사된다. 제1회전노즐(130)은 회전하며 제1경사플레이트(121)와 제2경사플레이트(123)를 향해 물을 분사한다. 고상 제설제가 용해된 액상 제설제가 유출홀(20)을 통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으로 떨어진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으로 떨어진 액상 제설제에는 완전히 녹지 못하고 입자가 작아진 고상 제설제가 함유되어 있다.
[순환에 의한 2차 용해]
도 7을 참조한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수위측정센서(S2)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거나, 농도측정센서(S1)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농도가 약 5~10% 정도가 되면, 펌프 제어부(310)는 물 공급배관(320)의 절환밸브(V)를 닫고 흡입배관(330)의 절환밸브(V)를 열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채워진 액상 제설제를 흡입한다. 스크린망(N)을 통해 녹지 못한 고상 제설제가 걸러지고 액상 제설제가 흡입배관(330)과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을 통해 제1회전노즐(130)로 순환하여 분사된다. 액상 제설제는 고상 제설제가 추가로 더 용해되어 농도가 더 진해진다.
[순환에 의한 3차 용해]
도 8을 참조한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농도측정센서(S1)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농도가 약 15% 정도가 되면, 펌프 제어부(310)는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의 절환밸브(V)를 닫고,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의 절환밸브(V)를 열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채워진 액상 제설제를 흡입한다. 스크린망(N)을 통해 녹지 못한 고상 제설제가 걸러지고 액상 제설제가 흡입배관(330)과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을 통해 제2회전노즐(140)로 순환하여 분사된다.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채워진 액상 제설제 속에 배치된 제2회전노즐(140)은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며 회전하여 미쳐 녹지 못한 고상 제설제를 용해시킨다. 이렇게 했는데도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농도측정센서(S1)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농도가 20%가 안되면, 순환에 의한 2차 용해를 다시 시도한다.
[저장탱크(200) 저장]
도 9를 참조한다.
교반용 챔버(110)의 농도측정센서(S1)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농도가 약 20% 정도가 되면, 펌프 제어부(310)는 교반용 제2공급배관(160)의 절환밸브(V)를 닫고, 저장용 공급배관(220)의 절환밸브(V)를 열어, 교반용 챔버(110)의 하부영역에 채워진 액상 제설제를 저장탱크(200)의 저장용 챔버(210)로 이동시킨다.
교반용 챔버(110)의 수위측정센서(S2)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로 낮아지면, 펌프 제어부(310)는 흡입배관(330)과 저장용 공급배관(220)의 절환밸브(V)를 닫고, 물 공급배관(320)과 교반용 제1공급배관(150)의 절환밸브(V)를 열어, 상술한 액상 제설제 제조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제조유닛(100)에서 제조된 액상 제설제가 저장탱크(200)를 채워 저장탱크(200)에 배치된 수위측정센서(S2)에 의해 측정된 액상 제설제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펌프 제어부(310)는 모든 절환밸브(V)를 닫고, 액상 제설제 제조를 중단한다.
제설차량이 저장용 챔버(210)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를 반복적으로 공급받아, 저장용 챔버(210)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밑으로 내려가면, 다시 상술한 액상 제설제 제조 과정이 반복된다.
100: 제조유닛 110: 교반용 챔버
120: 저장 호퍼 121: 제1경사플레이트
122: 수평플레이트 123: 제2경사플레이트
124: 지지플레이트 130: 제1회전노즐
140: 제2회전노즐 150: 교반용 제1공급배관
160: 교반용 제2공급배관 200: 저장탱크
210: 저장용 챔버 220: 저장용 공급배관
300: 펌프유닛 310: 펌프 제어부
320: 물 공급배관 330: 흡입배관
N: 스크린망 S1: 농도측정센서
S2: 수위측정센서 S3: 변위측정센서
V: 절환밸브

Claims (5)

  1. 삭제
  2. 제설차량에 공급되는 설정된 농도의 액상 제설제를 자동으로 제조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액상 제설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와 상기 액상 제설제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가 배치된 교반용 챔버; 상기 교반용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고상 제설제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액상 제설제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된 저장 호퍼;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며, 상기 고상 제설제로 물 또는 상기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며 회전하는 제1회전노즐; 상기 교반용 챔버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액상 제설제를 분사하며 회전하는 제2회전노즐; 상기 제1회전노즐과 펌프유닛에 연결되는 교반용 제1공급배관; 및 상기 제2회전노즐과 상기 펌프유닛에 연결되는 교반용 제2공급배관을 포함하는 제조유닛;
    상기 제조유닛에서 제조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되는 저장용 챔버와, 상기 저장용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액상 제설제를 상기 저장용 챔버의 내부로 유동시키는 저장용 공급배관과, 상기 저장용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 제설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센서와, 상기 저장용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 제설제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로 구성된 저장탱크; 및
    상기 제조유닛과 상기 저장탱크의 연결 유로를 제어하며 상기 물 또는 상기 액상 제설제를 이동시키는 펌프 제어부와, 상기 펌프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을 상기 펌프 제어부로 전달하는 물 공급배관과, 상기 제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조유닛에서 제조된 상기 액상 제설제를 흡입하는 흡입배관으로 구성된 펌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호퍼는,
    상기 교반용 챔버의 하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플레이트;
    상기 제1경사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수평플레이트;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교반용 챔버의 상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플레이트 및 수평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제2경사플레이트; 및
    상기 제1경사플레이트의 단부에서 교반용 챔버의 상부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연장되며, 교반용 챔버의 내측벽에 결합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용 챔버 내부에는 상기 저장 호퍼 위로 적재된 고상 제설제의 양을 측정하는 변위측정센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측정센서는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KR1020220081913A 2022-07-04 2022-07-04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KR102450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13A KR102450635B1 (ko) 2022-07-04 2022-07-04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13A KR102450635B1 (ko) 2022-07-04 2022-07-04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635B1 true KR102450635B1 (ko) 2022-10-07

Family

ID=8359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913A KR102450635B1 (ko) 2022-07-04 2022-07-04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6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867B1 (ko) * 2022-09-13 2023-05-17 리텍 주식회사 조제 면적 및 교반 균질성이 향상된 제설용액 제조장치
KR102554346B1 (ko) * 2022-12-06 2023-07-11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고체 제설제 입자의 낙하 속도 조절을 통한 염수 혼합율 증대용 믹싱 플레이트가 구비된 혼합 챔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304A (ko) *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 제설을 위한 염화칼슘용액 제조용기의 자동세척장치
KR101307492B1 (ko) 2011-04-22 2013-09-11 구성득 액상 염화칼슘 살포장치
KR20190109975A (ko)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992082B1 (ko) * 2019-02-19 2019-10-01 장현실 도로결빙방지 및 노면물세척용 스마트 클린로드시스템 및 그 설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304A (ko) *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 제설을 위한 염화칼슘용액 제조용기의 자동세척장치
KR101307492B1 (ko) 2011-04-22 2013-09-11 구성득 액상 염화칼슘 살포장치
KR20190109975A (ko)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992082B1 (ko) * 2019-02-19 2019-10-01 장현실 도로결빙방지 및 노면물세척용 스마트 클린로드시스템 및 그 설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867B1 (ko) * 2022-09-13 2023-05-17 리텍 주식회사 조제 면적 및 교반 균질성이 향상된 제설용액 제조장치
KR102554346B1 (ko) * 2022-12-06 2023-07-11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고체 제설제 입자의 낙하 속도 조절을 통한 염수 혼합율 증대용 믹싱 플레이트가 구비된 혼합 챔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635B1 (ko)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US10334776B2 (en) Method and system having an intermediate holding vessel for combining chemical injection substances for a spray system
JP5735460B2 (ja) 溶液製造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507298B2 (en) Cleaning equipment and use thereof
US68749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chemicals
KR101849854B1 (ko) 농약 정량 공급기
US78622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xing a cleaning solution for a vehicle washing system
KR100339825B1 (ko) 화학제의 정밀한 혼합, 이송 및 전달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5445193A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liquids for the treatment of photosensitive material
KR102468201B1 (ko) 자율작업이 가능한 제설제 상차 시스템
KR102532867B1 (ko) 조제 면적 및 교반 균질성이 향상된 제설용액 제조장치
JP6655647B2 (ja) 農薬供給機
KR20030096546A (ko)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KR19980033495A (ko) 염화칼슘용액제조장치
US11167255B2 (en) Apparatus for making a solution and related methods
KR102445107B1 (ko) 제설차용 액상 제설제 제조살포장치
KR100879619B1 (ko) 믹서트럭용 살수장치
JP4806807B2 (ja) 液体タンク装置
KR200288269Y1 (ko)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KR100505768B1 (ko) 도로 제설을 위한 제설 용액 제조장치
JPH1157945A (ja) どぶ漬装置
KR102586340B1 (ko) 선택적 농도 조절이 가능한 와류 방식의 염수 용액 제조 시스템
JPH04194623A (ja) 染液の自動調製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139862B1 (ko) 정량공급기 및 이를 구비하는 농약 정량 공급 장치
CN211864922U (zh) 一体式全自动连续加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