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885B1 -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885B1
KR100470885B1 KR10-2002-0033098A KR20020033098A KR100470885B1 KR 100470885 B1 KR100470885 B1 KR 100470885B1 KR 20020033098 A KR20020033098 A KR 20020033098A KR 100470885 B1 KR100470885 B1 KR 100470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chloride
container
chloride solution
vessel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546A (ko
Inventor
이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to KR10-2002-003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8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염화칼슘용액을 제조하는 교반부와 제조된 염화칼슘용액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서로 분리 설치하여 설치 공간에 따라 적정장소에 임의로 실시운영 가능하도록 한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염화칼슘과 물을 수용 저장하며 교반기에 의해 교반하면서 염화칼슘용액을 제조하는 제1용기를 갖는 교반부, 제1용기와는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교반부에서 제조된 염화칼슘용액을 일시 수용하는 제2용기를 갖는 저장부, 제1용기와 제2용기를 서로 연락되게 설치하며 제1용기로부터 염화칼슘용액을 제2용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관을 갖는 이송부, 및 제2용기에 설치되어 제설용 차량에 염화칼슘용액을 주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주수건을 갖는 주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Manufacture device of calcium chloride dissolution for road snow removing}
본 발명은 도로의 제설작업에 사용하는 염화칼슘용액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제설 작업에 신속히 사용함에 최적인 용액 상태로 제조할 수 있는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이 쌓인 도로에는 모래를 살포하여 차량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거나 고체상태의 염화칼슘을 살포하여 눈이 빨리 녹도록 하여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모래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와 고체염화칼슘을 이용한 제설 중 어느 한 가지만을 선택하여 이용하였는데, 그 효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물론, 모래와 고체상태의 염화칼슘을 함께 살포하면 되겠지만 그렇게 하는 경우 모래 속에 염화칼슘이 섞여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염화칼슘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모래 살포에 의한 미끄럼 방지와 염화칼슘에 의한 제설작용에 따른 2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액상의 염화칼슘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아직까지 제설에 적합한 농도의 염화칼슘용액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염화칼슘용액을 대량으로 생산하지 못하고 있음이 현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모래와 함께 살포하더라도 뛰어난 제설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주는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를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번호 제265976호로 특허 받았다.
그러나, 상기 선 특허는 차량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통상 염화칼슘을 보관하는 장소는 창고 등과 같은 장소에 보관되어 있으므로, 염화칼슘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염화칼슘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필히 상기 염화칼슘이 보관되어 있는 창고로 이동하거나, 혹은 염화칼슘을 함께 이동시켜야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염화칼슘용액을 제조하는 교반부와 제조된 염화칼슘용액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서로 분리 설치하여 설치 공간에 따라 적정장소에 임의로 실시운영 가능하도록 한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염화칼슘과 물을 혼합 교반하여 도로의 제설작업용 염화칼슘용액을 제조하도록 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화칼슘과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 용적의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 내부로 염화칼슘을 공급하도록 하는 호퍼와, 상기 제1용기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파이프와, 상기 호퍼의 입구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공급되는 염화칼슘을 일정 용량씩 간헐적으로 투하시켜 염화칼슘 용해를 용해하게 하는 회전공급기와, 상기 제1용기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제1용기 내부로 공급된 물과 염화칼슘을 섞어주기 위한 교반기로 이루어져 염화칼슘용액을 제조하는 교반부와, 상기 제1용기와는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교반부에서 제조된 염화칼슘용액을 저장할 수 있는 소정 용적의 제2용기로 이루어진 저장부와,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를 연결하며 상기 제1용기의 염화칼슘용액을 제2용기로 이송하기 위한 이동로를 제공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을 통해 제1용기로부터 제2용기로 염화칼슘용액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펌프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염화칼슘용액을 필요에 따라 개폐하는 볼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 이송부와, 상기 제2용기의 일측에 설치된 배출파이프와, 상기 배출파이프에 연결 설치된 고무호스 및 상기 고무호스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염화칼슘용액을 제설용 차량으로 공급하는 자동주수건으로 이루어진 주수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교반기는 모터에 의해 회동하는 회전축을 상기 제1용기의 중심부에 수직하게 설치하고 그 회전축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교반날개들을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제1용기의 내벽에는 소정 간격으로 격벽들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공급기는 모터에 의해 회동하는 회전축을 상기 호퍼의 입구에 수평하게 설치하고 그 회전축에는 공급날개들을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공급되는 염화칼슘을 일정 용량의 소량씩 간헐적으로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는 교반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교반부(100)는 물과 고체 상태의 염화칼슘을 공급하고 섞어서 고체상태의 염화칼슘이 물에 녹도록 하여 염화칼슘용액을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한 번에 많은 양의 염화칼슘용액을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충분한 크기의 용적을 갖는 제1용기(1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용기(110)의 일 측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파이프(112)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는 볼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용기(110)의 상단 일측에는 고체상태의 염화칼슘을 공급할 수 있는 호퍼(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호퍼(120)의 입구(122)에는 상기 염화칼슘의 공급을 간헐적으로 일정량 투입시키는 회전공급기(130)가 설치되는데, 이는 도 6과 도 7 및 도 8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러한 회전공급기(130)가 호퍼(120)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은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한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1용기(110)의 중앙부에는 염화칼슘과 물을 균일하게 섞을 수 있도록 해주는 교반기(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반기(140)는 상하부에 각각 교반날개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과 모터 등으로 구성하면 되는데, 이는 도 5를 보면 알 수 있다.
상기 제1용기(110)에는 비중계(150)와 레벨 게이지(160)가 설치되어 있다. 비중계(150)는 염화칼슘의 농도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레벨 게이지(160)는 제1용기(110)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알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상기 제1용기(110)의 내부에 물이 일정량 이상 공급되면 레벨 게이지(160)가 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파이프(112)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하여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소정의 경보수단이 이를 알려주면 사용자가 파이프(112)에 설치된 볼 밸브를 작동시켜 물의 공급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제1용기(110)의 하단 일 측에는 드레인 밸브(18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작업 완료 후 제1용기(110)의 바닥에 잔류되어 있는 이물질을 수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용기(110)는 제1지지틀(190)에 고정 지지되어 염화칼슘이 보관되는 창고와 같은 실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지틀(190)은 제1용기(11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각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1용기(1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사각 형태로 구성함이 좋다. 상기 제1용기(110)를 염화칼슘이 보관되는 창고 내에 설치함으로서 염화칼슘의 공급을 원활히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용기(110)의 상부에는 염화칼슘을 호퍼(120)내로 자동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컨베이어(124)를 설치함이 좋다. 이 컨베이어(124)의 설치에 의해 상기 제1용기(110)내로 공급되는 염화칼슘을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자동화를 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는 저장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저장부(200)는 제1용기(110)에서 제조된 염화칼슘용액을 저장하였다가 제설용 차량에 공급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가능하면 제1용기(110)보다는 훨씬 큰 충분한 용적을 갖는 제2용기(2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용기(210)는 대략 원통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원통형을 다수 개로 분리한 후 커플링 방식에 의해 결합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2용기(210)의 용량을 커플링방식에 의해 무한적으로 증대하여 염수 제조 및 저장 능력을 탄력적으로 운영 가능하여 그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커플링 방식에 의한 결합은 염화칼슘용액이 누수되지 않고 완전 밀폐 가능하도록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결합함이 좋다.
상기 제2용기(210)에는 레벨 게이지(220)와 비중계(230) 및 드레인 밸브(24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레벨 게이지(220)는 제1용기(110)에서 제조되어 공급되는 염화칼슘용액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제2용기(210)에 일정량 이상 공급되면 이를 감지하여 펌프의 작동이 멈출 수 있도록 하면 작업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용기(210)에는 순환(circulation)용 배관(250)을 제2용기(210)의 내부와 연락되게 설치하여 그 순환용 배관(250)을 통해 제2용기(210)에 저장되어 있는 염화칼슘용액을 순환시킴으로써 염화칼슘이 바닥으로 침전되는 일이 없이 농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즉, 도 1의 표시와 같이, 제2용기(210)의 저부에서 상부로 순환되는 배관(250)을 설치 후 그 순환용 배관(250)을 통하여 제2용기(210)에 저장되어 있던 염화칼슘용액을 일정 시간마다 순환되게 하면, 제2용기(210)에 저장된 염화칼슘용액은 지속적으로 유동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염화칼슘용액 중 염화칼슘이 제2용기(210)의 바닥에 침전되는 일이 없이 염화칼슘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레인 밸브(240)는 제2용기(210)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수시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용기(210)는 제2지지틀(260)에 고정 지지되어 실외에 설치됨이 좋다. 상기 제2용기(210)가 실외에 설치됨으로서 제2용기(210)에 저장되어 있는 염화칼슘용액을 제설용 차량으로 쉽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틀(260)은 제2용기(21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각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2용기를 설치할 있도록 구성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에는 이송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이송부(300)는 창고 내에 설치된 제1용기(110)와 실외에 설치된 제2용기(210)를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1용기(110)에서 제조된 염화칼슘용액이 제2용기(21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이송관(310)이 소정의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이송관(310)을 도면에서는 짧은 거리의 직선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1용기(110)와 제2용기(210)를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이송관(310)을 길게 하여 적절한 부위를 절곡하여 설치되도록 함은 당연하다.
상기 이송관(310)은 염화칼슘용액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상기 이송관(310)을 통해 제1용기(110)로부터 제2용기(210)로 염화칼슘용액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펌프(320)와, 상기 이송관(310)을 통해 이송되는 염화칼슘용액을 필요에 따라 개폐하는 볼 밸브(330,332), 솔레노이드 밸브(340)가 각 요소마다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에는 주수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주수부(400)는 상기 제2용기(210)에 저장되어 있는 염화칼슘용액을 제설용 차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용기(210)의 일 측에 설치된 순환용 배관(250)과 연락되게 한 배출파이프(410)가 설치되고, 이 배출파이프(410)에는 고무호스(42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고무호스(420)의 끝에는 염화칼슘용액을 제설용 차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동 주수건(430)이 설치된다. 상기 고무호스(420)는 자동주수건(430)을 이용하여 제설용 차량에 염화칼슘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자동주수건(430)은 제설용 차량에 염화칼슘용액이 일정량 공급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펌프(440)를 멈추어주도록 하여 주수의 편리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자동 주수건(430)에 의해 제설용 차량에 염화칼슘용액이 일정량 공급된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구성은 주유장치에서 이용하고 있는 기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작반(50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조작반(500)은 레벨 게이지(160,220)등의 측정값에 따라 펌프(320), 회전공급기(130), 교반기(140) 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 조작반(500)에는 경고등(510)과 부저 등을 설치하여 레벨 게이지의 측정값이 일정 이상되면 경보신호를 발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조작반(500)에 의해 제1용기(110) 내의 물 공급, 염화칼슘 투하, 교반, 이송 등 염화칼슘용액의 제조 및 제2용기(210)로의 이송 등을 무인화로 운영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또 각각의 세부 작업 공정 진행시마다 운영자에게 공정도를 알려 줄 수 있다. 즉, 일 측의 물 공급 파이프(112)에 설치된 볼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고 제1용기(110)에 물을 공급한다. 제1용기(110)에 규정된 양의 물이 공급되면 이는 레벨 게이지(160)에 의해 감지되고, 이에 따라 파이프(112)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는 자동으로 닫혀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 이와 동시에 조작반(500)에 설치된 표시등(510)이 점등한다.
한편, 회전공급기(130)를 간헐적으로 작동시켜 호퍼(120)를 통해 규정된 용량의 염화칼슘을 소량씩 투입한다. 그런 다음 교반기(140)를 작동시켜 투입된 염화칼슘이 균일한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용기(110)내부의 물을 저어준다.
일정 시간 경과 후 염화칼슘 용해작업이 완료되면 염화칼슘용액의 염화칼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비중계(150)를 이용하여 농도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염화칼슘이 적정 농도를 유지하고 있으면 제2용기(210)로 이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물 또는 염화칼슘을 제1용기(110)로 더 첨가하여 교반기(140)를 다시 작동시켜 혼합하고 염화칼슘의 농도를 재확인 후 적정 수준의 염화칼슘 농도를 유지하고 있으면 그 용액을 제2용기(210)로 이송한다. 염화칼슘 농도 확인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용기(110)에서 제2용기(210)로 염화칼슘용액을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볼 밸브(330,332), 솔레노이드 밸브(340)등의 2웨이 밸브를 열고 펌프(320)를 작동시켜 제1용기(110)와 제2용기(210)를 연결한 이송관(310)을 통해 염화칼슘용액을 이송시키면 된다. 이때 제1용기(110)에 있는 염화칼슘용액의 이송이 완료되면 이는 제2용기(210)에 설치되어 있는 레벨 게이지(220)에 감지되어 자동으로 펌프(320)의 작동이 중지됨으로써 불필요한 펌프(320) 작동을 방지한다.
제2용기(210)로 이송된 염화칼슘용액의 저장량은 레벨 게이지(24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염화칼슘 농도는 비중계(230)를 통해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제2용기(210)에서 별도의 경로를 따라 설치된 순환(circulation)용 배관(250)을 통해 제2용기(210)에 저장되어 있는 염화칼슘용액을 순환시킴으로써 염화칼슘 농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로 제설을 위해 염화칼슘용액을 살포하도록 된 제설용 차량에 상기 염화칼슘용액을 공급하면 된다.
염화칼슘용액 제조 작업을 다시 시작하기 위해서는 제1용기(110) 바닥에 잔류되어 있는 이물질을 드레인 밸브(180)를 열어 배출시킨 후 잠그고 앞에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물론, 제2용기(210)에 잔류되어 있는 이물질 역시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드레인 밸브(240)를 이용하여 수시로 배출시켜야 양질의 염화칼슘용액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언급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염화칼슘용액 제조장치도어는 물 및 염화칼슘을 공급하여 눈을 녹이는데 적절한 수준의 염화칼슘 농도를 유지하는 염화칼슘용액을 대량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해준다.
도 4는 제1용기와 제2용기에 각각 설치되는 비중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용기(110) 또는 제2용기(210)의 일측에 투명관(152)을 연결하고 여기에 눈금(153)이 표시되어 있는 소정 비중의 부체(154)를 배치하여 염화칼슘용액의 농도를 측정하면 된다. 즉, 제설에 가장 효과적인 염화칼슘농도를 갖는 염화칼슘용액에 부체(154)를 띄운 상태에서 그 용액의 수면과 일치하는 높이에 눈금(153)을 표시하고, 이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투명관(152)에 투입하여 작업자가 그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면 염화칼슘용액이 적정 염화칼슘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체(154)에 표시된 눈금(153)이 염화칼슘용액의 수면(155)아래로 잠기면 염화칼슘 농도가 부족한 상태임을 알 수 있고, 눈금(153)이 염화칼슘용액의 수면(155)보다 높이 부상하면 염화칼슘의 농도가 적정 수준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염화칼슘의 농도가 적정 수준일 경우 부체(154)에 표시된 눈금(153)은 염화칼슘용액 수면(155)과 일치한다. 즉,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비중계를 이용하면 작업자는 염화칼슘용액에서의 염화칼슘농도가 적정치를 유지하고 있는 가를 쉽게 알 수 있다.
도 5는 교반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1용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제1용기에 설치된 호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과 도 8은 호퍼의 입구에 설치된 회전공급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는 교반부(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부(100)에 구비된 제1용기(110)는 대략 원통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물과 염화칼슘을 섞어서 한 번에 많은 양의 염화칼슘용액을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용적을 갖고 있어야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용기(110)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주고 또한 염화칼슘용액을 제2용기(21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연결관(310)이 연결되어 있고, 여기에 볼 밸브(330)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용기(110)의 타측으로는 드레인 밸브(1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드레인 밸브(180)는 제1용기(110)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수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용기(110)의 상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호퍼(1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호퍼(120)는 염화칼슘을 제1용기(110)내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호퍼(120)의 입구(122)에는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전공급기(130)가 설치된다. 이 회전공급기(130)는 모터(132)에 의해 회전하도록 회전축(134)이 상기 입구(122)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34)에는 방사상으로 공급날개(136)들이 설치되어 상기 공급날개(136)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염화칼슘을 간헐적으로 공급하다. 즉, 상기 모터(132)를 구동하여 회전축(134)을 간헐적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회전축(134)에 설치된 공급날개(136)가 회전되어 일정량의 염화칼슘이 일정 시간을 두고 간헐적으로 투여된다. 즉, 염화칼슘을 소량씩 투여하여 물에 쉽게 녹을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호퍼(120)옆쪽으로 중앙부위에 교반기(1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교반기(140)는 염화칼슘과 물이 골고루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142)와 회전축(144) 및 회전축(144)의 상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교반날개(146a,146b)들로 구성된다. 상부에 설치되는 교반날개(146a)는 교반기능을 담당하고, 하부에 설치되는 교반날개(146b)는 하부에 침전된 염화칼슘을 부상시켜 교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용기(110)의 내벽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격벽(148)들을 형성하여 교반기에 의해 상기 물과 염화칼슘이 혼합 교반될 때 보다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벽(148)들은 90도 간격으로 형성함이 좋다.
삭제
상기 교반기(140)는 파이프(112)를 통해 제1용기(110) 내부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호퍼(120)를 통해 규정된 용량의 염화칼슘을 소량씩 간헐적으로 투입하여 용해를 쉽게 하도록 하며 교반기(140)를 규정된 시간만큼 작동시켜 염화칼슘을 용해시키면 된다. 염화칼슘의 농도는 앞에서 설명한 비중계를 이용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제설작업에 적합한 농도의 염화칼슘용액을 대량으로 만들 수 있어 제설 작업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고, 또 교반기와 저장부를 분리하여 교반부 만을 염화칼슘이 보관되는 창고 내에 설치할 수 있어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염화칼슘용액 제조장치의 구체적인 기술을 첨부도면과 같이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만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이 기술내용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화칼슘용액 제조장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고 하면 쉽게 이해할 수가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에 사용된 비중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에 구비된 교반부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에 구비된 호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호퍼 입구에 설치된 회전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반부 110 - 제1용기
112 - 물 공급파이프 120 - 호퍼
130 - 회전공급기 140 - 교반기
200 - 저장부 210 - 제2용기
300 - 이송부 310 - 이송관
400 - 주수부 410 - 배출파이프
420 - 고무호스 430 - 자동주수건

Claims (3)

  1. 제1용기에서 염화칼슘과 물을 혼합 교반하고, 교반혼합된 염화칼슘용액을 이송관을 통해 제2용기로 이송하여 저장하였다가, 제2용기에 구비된 배출파이프의 고무호스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된 도로의 제설작업용 염화칼슘용액을 제조하도록 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에 연락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파이프 및 상기 제1용기 내부로 염화칼슘을 공급하도록 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입구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공급되는 염화칼슘을 일정 용량씩 간헐적으로 투하시키는 상기 호퍼의 입구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동하는 회전축 그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공급되는 염화칼슘을 소량씩 간헐적으로 공급하도록 한 공급날개들로 이루어진 염화칼슘공급용 회전공급기와, 상기 제1용기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제1용기 내부로 공급된 물과 염화칼슘을 섞어주기 위한 상기 제1용기의 중심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동하는 회전축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교반 날개들 상기 교반날개 들이 설치된 상기 제1용기의 내벽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격벽들로 된 염화칼슘용액 제조용 교반기를 구비하여 염화칼슘용액을 제조하도록 한 교반부 ;
    상기 교반부의 제1용기와는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2용기의 내부와 연락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염화칼슘용액에서 염화칼슘이 상기 제2용기의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염화칼슘용액을 순환하기 위한 순환용 배관으로 이루어진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제2용기와 상기 교반부의 제1용기를 연결하는 상기 이송관과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용기의 염화칼슘용액을 상기 이송관을 통해 제2용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펌프와, 상기 이송관을 개폐하게 설치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염화칼슘용액을 차단하거나 유동되게 하는 볼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염화칼슘용액을 저장하는 상기 제2용기의 상기 배출파이프에 설치된 상기 고무호스의 끝에 설치되어 상기 염화칼슘용액을 제설용 차량으로 공급하는 자동주수건으로 이루어진 주수부를 포함하는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2-0033098A 2002-06-14 2002-06-14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KR100470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098A KR100470885B1 (ko) 2002-06-14 2002-06-14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098A KR100470885B1 (ko) 2002-06-14 2002-06-14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090U Division KR200288269Y1 (ko) 2002-06-14 2002-06-14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546A KR20030096546A (ko) 2003-12-31
KR100470885B1 true KR100470885B1 (ko) 2005-03-08

Family

ID=3238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098A KR100470885B1 (ko) 2002-06-14 2002-06-14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8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534B1 (ko) * 2006-04-27 2007-05-16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주수장치
KR101344439B1 (ko) * 2013-04-22 2013-12-26 주식회사 자동기 만수위 방지와 만수위시 비상작동이 가능한 염수저장 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034B1 (ko) * 2006-04-27 2007-05-30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 제조를 위한 염화칼슘 공급장치
KR100744949B1 (ko) * 2007-04-26 2007-08-02 이텍산업 주식회사 염화칼슘용액 제조장치
KR100744950B1 (ko) * 2007-05-14 2007-08-02 이텍산업 주식회사 염수 제조장치
KR100853509B1 (ko) * 2007-08-14 2008-08-21 주식회사 자동기 염화용액 제조용 급속 교반장치
KR100780883B1 (ko) * 2007-08-14 2007-11-30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 제설용 염화용액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33330B1 (ko) * 2008-02-15 2008-05-28 이텍산업 주식회사 즉각적인 주수 중단이 가능한 염수저장탱크
KR101222661B1 (ko) * 2011-04-22 2013-01-16 (주) 여진 염수 제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811A (en) * 1987-07-01 1989-01-13 Masanobu Makise Production of salt-free calcium chloride
KR19980033495A (ko) * 1998-04-18 1998-07-25 이계석 염화칼슘용액제조장치
KR19990042665A (ko) * 1997-11-27 1999-06-15 김두완 제설작업용 모래와 염화 칼슘의 자동 혼합 및 낙하 적재장치
KR200188532Y1 (ko) * 2000-01-17 2000-07-15 이병화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
KR100271317B1 (ko) * 1998-03-12 2001-04-02 민병률 제설재혼합이송장치의염화칼슘저장호퍼
JP2001152423A (ja) * 1999-11-30 2001-06-05 Wakasawan Energ Kenkyu Center 融雪及び融雪に伴う水溶液の活用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811A (en) * 1987-07-01 1989-01-13 Masanobu Makise Production of salt-free calcium chloride
KR19990042665A (ko) * 1997-11-27 1999-06-15 김두완 제설작업용 모래와 염화 칼슘의 자동 혼합 및 낙하 적재장치
KR100271317B1 (ko) * 1998-03-12 2001-04-02 민병률 제설재혼합이송장치의염화칼슘저장호퍼
KR19980033495A (ko) * 1998-04-18 1998-07-25 이계석 염화칼슘용액제조장치
JP2001152423A (ja) * 1999-11-30 2001-06-05 Wakasawan Energ Kenkyu Center 融雪及び融雪に伴う水溶液の活用システム
KR200188532Y1 (ko) * 2000-01-17 2000-07-15 이병화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534B1 (ko) * 2006-04-27 2007-05-16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주수장치
KR101344439B1 (ko) * 2013-04-22 2013-12-26 주식회사 자동기 만수위 방지와 만수위시 비상작동이 가능한 염수저장 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546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8360B1 (en) Apparatus for dissolving particulate solids in liquids
US4734198A (en) Dialysis solution mixing system
JP5735460B2 (ja) 溶液製造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445617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dispensing fertilizer or insecticide
KR100470885B1 (ko)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KR100723035B1 (ko) 도로 제설을 위한 염화칼슘용액 제조장치용 필터
KR20110126304A (ko) 도로 제설을 위한 염화칼슘용액 제조용기의 자동세척장치
US7240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micro-ingredient feed additives to animal feed rations
KR102450635B1 (ko) 자율작업형 제설용액 제조장치
KR101849854B1 (ko) 농약 정량 공급기
KR100723034B1 (ko)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 제조를 위한 염화칼슘 공급장치
KR100265976B1 (ko)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KR100718534B1 (ko)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주수장치
CN110583509A (zh) 一种猪饲料喂料器
KR200288269Y1 (ko)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US20140269153A1 (en) Chemical solution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KR101063766B1 (ko) 폴리머 이송 용해장치
KR20130050286A (ko) 고체 화학적 용해기 및 방법
US41870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lithographic fountain solution
KR100714183B1 (ko) 도로 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주수대
WO2016064739A1 (en) Antimicrobial capture system with carbon container
CA24231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osing, dissolving and spraying enzymes on solid feed products
US7582205B1 (en) Brine mixing apparatus
KR100780883B1 (ko) 도로 제설용 염화용액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80178175A1 (en) Apparatus for making a solution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