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532Y1 -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 - Google Patents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532Y1
KR200188532Y1 KR2020000001160U KR20000001160U KR200188532Y1 KR 200188532 Y1 KR200188532 Y1 KR 200188532Y1 KR 2020000001160 U KR2020000001160 U KR 2020000001160U KR 20000001160 U KR20000001160 U KR 20000001160U KR 200188532 Y1 KR200188532 Y1 KR 200188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procket
drive shaft
cylinder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화
Original Assignee
이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화 filed Critical 이병화
Priority to KR2020000001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5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60Mixing sol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7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55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a rotary discharge means, e.g. a screw beneath the receptacle
    • B01F35/754551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a rotary discharge means, e.g. a screw beneath the receptacle using helical screw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20Halides
    • C01F11/24Chlor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2057/0093Means or measures for transport, shipping or packa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래와 염화칼슘을 용이하게 혼합함은 물론 혼합된 제설용 모래를 일정량씩 포대에 넣어 밀봉되게 구성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복수개의 투입공(12)이 형성된 투입판(14)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결합고정되며, 하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출관(16)이 돌출구성되고, 이 배출관(16)의 자유단 하부에 배출공(18)이 형성되며, 이 배출관(16)의 자유단 상부에 배출관(16)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1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통체(10)와, 상기 통체(10)의 수용공간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양측에 모래와 염화칼슘을 혼합하는 블레이드(22)가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타측이 통체(10)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이 통체(10)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부분에 제 1스프로킷(26)이 장착된 회전축(24)과, 상기 배출관(16)의 내측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이 통체(10)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부분에 제 2스프로킷(30)이 결합고정된 스크루 컨베이어(28)와, 상기 통체(10)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으로 구동축(32a)이 돌출구성된 제 1모터(34)와, 상기 통체(10)의 하단 일측에 구동축(32b)이 제 1모터(34)의 구동축(32a)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고, 이 구동축(32b)의 자유단에 제 3스프로킷(38)이 결합고정된 제 2모터(36)와, 상기 제 2모터(36)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과 타측에 제 1구동축(40) 및 제 2구동축(42)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제 1구동축(40) 자유단에 제 4스프로킷(46)이 결합고정된 감속기(44)와, 상기 제 1모터(34)의 구동축(32a)과 감속기(44)의 제 2구동축(42) 자유단에 밀착고정되어 제 1모터(34)의 구동력을 감속기(44)로 전달하는 벨트(48)와, 상기 회전축(24)의 제 1스프로킷(26)과 감속기(44)의 제 4스프로킷(46)에 치합되어 감속기(44)의 구동력을 회전축(24)으로 전달하는 제 1체인(50)과,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28)의 제 2스프로킷(30)과 제 2모터(36)의 제 3스프로킷(38)에 치합되어 제 2모터(36)의 구동력을 스크루 컨베이어(28)로 전달하는 제 2체인(52)과, 상기 배출공(18)이 형성된 배출관(16)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지지플레이트(54)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4)의 하단에 장착되어 배출공(18)을 통하여 배출되는 제설용 모래의 양을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제 2모터(36)의 구동을 제어하는 리밋 스위치(56)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4)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개의 로울러(58)와, 상기 로울러(58)의 상단 부분에 장착되어 포대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열융착기(60)와, 상기 열융착기(60)의 일측에 장착되어 열융착기(60)를 선택적으로 작동 및 정지시키는 푸쉬버튼(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Device of mixing calcium chloride with sand}
본 고안은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래와 염화칼슘을 용이하게 혼합함은 물론 혼합된 제설용 모래를 일정량씩 포대에 넣어 밀봉되게 구성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이용하여 눈길이나 빙판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바퀴가 그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미끄러지면서 공회전하여 주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경사도로의 주행시에는 그 주행능력을 완전하게 상실하여 상당한 교통체증을 유발함은 물론 미끄럼에 의한 교통사고로 인하여 인명피해까지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눈길이나 빙판길에서의 자동차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의 가장자리에 모래와 염화칼슘이 일정양 혼합된 제설용 모래포대를 위치하여 자동차의 안전운행을 도모하였다.
상기와 같이 모래와 염화칼슘이 일정양 혼합된 제설용 모래포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히 모든 작업을 직접 수행하여야 함으로 작업자가 제설용 모래포대를 제작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즉, 제설용 모래포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삽 등을 이용하여 모래와 염화칼슘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상태에서 혼합된 제설용 모래를 일정양씩 포대에 넣어 포대를 밀봉하여야 함으로 많은 인원이 필요로 함은 물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모래와 염화칼슘을 용이하게 혼합함은 물론 혼합된 제설용 모래를 일정량씩 포대에 넣어 밀봉되게 구성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체인이 스프로킷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통체 12 : 투입공
14 : 투입판 16 : 배출관
18 : 배출공 20 : 도어
22 : 블레이드 24 : 회전축
26 : 제 1스프로킷 28 : 스크루 컨베이어
30 : 제 2스프로킷 34 : 제 1모터
36 : 제 2모터 38 : 제 3스프로킷
40 :제 1구동축 42 : 제 2구동축
44 :감속기 46 : 제 4스프로킷
48 : 벨트 50 : 제 1체인
52 : 제 2체인 54 : 지지플레이트
56 : 리밋 스위치 58 : 로울러
60 : 열융착기 62 : 푸쉬버튼
64 : 컨베이어 90 :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복수개의 투입공이 형성된 투입판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결합고정되며, 하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출관이 돌출구성되고, 이 배출관의 자유단 하부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이 배출관의 자유단 상부에 배출관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통체와, 상기 통체의 수용공간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양측에 모래와 염화칼슘을 혼합하는 블레이드가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타측이 통체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이 통체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부분에 제 1스프로킷이 장착된 회전축과, 상기 배출관의 내측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이 통체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부분에 제 2스프로킷이 결합고정된 스크루 컨베이어와, 상기 통체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으로 구동축이 돌출구성된 제 1모터와, 상기 통체의 하단 일측에 구동축이 제 1모터의 구동축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고, 이 구동축의 자유단에 제 3스프로킷이 결합고정된 제 2모터와, 상기 제 2모터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과 타측에 제 1구동축 및 제 2구동축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제 1구동축 자유단에 제 4스프로킷이 결합고정된 감속기와, 상기 제 1모터의 구동축과 감속기의 제 2구동축 자유단에 밀착고정되어 제 1모터의 구동력을 감속기로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회전축의 제 1스프로킷과 감속기의 제 4스프로킷에 치합되어 감속기의 구동력을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제 1체인과,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의 제 2스프로킷과 제 2모터의 제 3스프로킷에 치합되어 제 2모터의 구동력을 스크루 컨베이어로 전달하는 제 2체인과,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관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단에 장착되어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제설용 모래의 양을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제 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리밋 스위치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개의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의 상단 부분에 장착되어 포대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열융착기와, 상기 열융착기의 일측에 장착되어 열융착기를 선택적으로 작동 및 정지시키는 푸쉬버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체인이 스프로킷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통체(10)가 구비되고, 이 통체(10)의 상단에는 복수개의 투입공(12)이 형성된 투입판(14)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결합고정된다. 통체(10)의 하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출관(16)이 돌출구성되고, 이 배출관(16)의 자유단 하부에는 배출공(18)이 형성된다. 배출관(16)의 자유단 상부에는 배출관(16)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1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통체(10)의 수용공간 중심부에는 블레이드(22)가 양측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회전축(24)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된다. 회전축(24)의 타측은 통체(10)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이 통체(10)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회전축(24)에는 제 1스프로킷(Sprocket)(26)이 장착된다.
배출관(16)의 내측에 스크루 컨베이어(Screw Conveyor)(28)가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스크루 컨베이어(28)의 일측은 통체(10)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이 통체(10)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스크루 컨베이어(28)에는 제 2스프로킷(Sprocket)(30)이 결합고정된다. 통체(10)의 하단 일측에 구동축(32a),(32b)을 갖는 제 1모터(34) 및 제 2모터(36)가 설치되고, 이 제 1모터(34)의 구동축(32a)과 제 2모터(36)의 구동축(32b)은 서로 다른 방향을 갖도록 통체(10)의 하단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제 2모터(36)의 구동축(32b) 자유단에는 제 3스프로킷(Sprocket)(38)이 결합고정된다. 제 2모터(36)의 일측에 제 1구동축(40) 및 제 2구동축(42)을 갖는 감속기(44)가 설치되고, 이 감속기(44)의 제 1구동축(40) 자유단에는 제 4스프로킷(Sprocket)(46)이 결합고정된다. 제 1모터(34)의 구동축(32a)과 감속기(44)의 제 2구동축(42) 자유단에는 제 1모터(34)의 구동력을 감속기(44)로 전달하는 벨트(48)가 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된다.
회전축(24)의 제 1스프로킷(26)과 감속기(44)의 제 4스프로킷(46)에 감속기(44)의 구동력을 회전축(24)으로 전달하는 제 1체인(5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스크루 컨베이어(28)의 제 2스프로킷(30)과 제 2모터(36)의 제 3스프로킷(38)에는 제 2모터(36)의 구동력을 스크루 컨베이어(28)로 전달하는 제 2체인(5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된다. 배출공(18)이 형성된 배출관(16)의 하단에 지지플레이트(54)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지지플레이트(54)의 하단에는 배출공(18)을 통하여 배출되는 제설용 모래의 양을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제 2모터(36)의 구동을 제어하는 리밋 스위치(Limit Switch)(56)가 장착된다. 지지플레이트(54)의 일측에 복수개의 로울러(58)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로울러(58)의 상단 부분에는 포대를 열융착하는 열융착기(60)가 장착된다. 이 열융착기(60)의 일측에는 열융착기(60)를 선택적으로 작동 및 정지시키는 푸쉬버튼(62)이 장착된다. 로울러(58)의 하단에 로울러(58)에서 이송되는 포대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64)가 구비되고, 이 컨베이어(64)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가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모래와 염화칼슘을 혼합할 경우 통체(10)의 상단에 경사지게 고정된 투입판(14)에 모래와 염화칼슘을 일정양만큼 공급한다. 투입판(14)으로 공급된 모래와 염화칼슘은 투입판(14)에 형성된 투입공(12)을 통하여 통체(10)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된다. 모래와 염화칼슘이 통체(10)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면, 회전축(24)의 블레이드(22)에 의하여 모래와 염화칼슘이 혼합된다. 이때, 제 1모터(34)의 구동력이 감속기(44)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감속되고, 이 감속된 구동력이 제 1체인(50)을 통하여 회전축(24)으로 공급된다. 회전축(24)의 회전으로 인하여 모래와 염화칼슘이 혼합되면, 혼합된 모래와 염화칼슘은 회전축(24)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크루 컨베이어(28)에 의하여 배출관(16)으로 이송된다. 이때, 제 2모터(36)의 구동력이 제 2체인(52)을 통하여 스크루 컨베이어(28)로 전달된다.
혼합된 모래와 염화칼슘이 스크루 컨베이어(28)에 의하여 배출관(16)으로 이송되면, 배출관(16)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공(18)을 통하여 혼합된 모래와 염화칼슘이 지지플레이트(54)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공(18)에는 포대가 위치되어 있음으로 배출되는 제설용 모래는 포대로 유입된 상태를 갖는다. 배출공(18)을 통하여 제설용 모래가 지지플레이트(54)로 배출되는 도중 지지플레이트(54)로 공급된 제설용 모래의 무게로 인하여 지지플레이트(54)가 리밋 스위치(56)에 접촉되면, 배출공(18)을 통하여 배출되는 제설용 모래가 더이상 배출되지 않는다. 즉, 지지플레이트(54)의 하단에 배출공(18)을 통하여 배출되는 제설용 모래의 무게를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제 2모터(36)의 구동을 제어하는 리밋 스위치(56)가 장착되어 있음으로 배출되는 제설용 모래에 의하여 지지플레이트(54)가 리밋 스위치(56)에 접촉되면, 제 2모터(42)가 정지되는 것이다.
리밋 스위치(56)에 의하여 일정양의 제설용 모래가 포대로 공급되면, 포대를 지지플레이트(54)에서 이탈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54)의 복원으로 인하여 제 2모터(36)가 구동된다. 즉, 지지플레이트(54)에 지지플레이트(54)가 리밋 스위치(56)에 접촉되는 무게가 공급되면 제 2모터(36)의 구동이 정지되고, 공급된 무게가 해제되면 제 2모터(36)가 다시 구동되는 것이다. 포대가 지지플레이트(54)에서 이탈되면, 열융착기(60)를 이용하여 제설용 모래가 저장된 포대를 밀봉한다. 열융착기(60)의 일측에 열융착기(6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푸쉬버튼(62)이 장착되어 있음으로 용이하게 포대를 밀봉할 수 있는 것이다. 열융착기(60)에 의하여 제설용 포대가 밀봉되면, 밀봉된 포대를 지지플레이트(54)의 일측에 장착된 로울러(58)에 안착시킨다. 밀봉된 포대가 지지플레이트(54)의 일측에 장착된 로울러(58)에 안착되면, 밀봉된 포대가 로울러(58)의 회전에 의하여 컨베이어(64)로 이송되고, 컨베이어(64)로 이송된 밀봉된 포대는 컨베이어(64)에 의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된다.
통체(10)의 수용공간으로 모래와 염화칼슘이 일정양 공급되면 회전축(24)에 의하여 모래와 염화칼숨이 혼합되고, 이 혼합된 제설용 모래는 스크루 컨베이어(28)에 의하여 포대에 일정양씩 배출되며, 이 포대는 열융착기(60)에 의하여 밀봉되어 공급됨으로 적은 인력으로 모래와 염화칼슘이 용이하게 혼합됨은 물론 일정양씩 분류하여 밀봉할 수 있는 것이다. 적은 인력으로 많은 양의 제설용 모래를 일정양씩 분류하여 밀봉할 수 있음으로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는 모래와 염화칼슘을 용이하게 혼합함은 물론 혼합된 제설용 모래를 일정량씩 포대에 넣어 밀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복수개의 투입공(12)이 형성된 투입판(14)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결합고정되며, 하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출관(16)이 돌출구성되고, 이 배출관(16)의 자유단 하부에 배출공(18)이 형성되며, 이 배출관(16)의 자유단 상부에 배출관(16)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1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통체(10)와,
    상기 통체(10)의 수용공간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양측에 모래와 염화칼슘을 혼합하는 블레이드(22)가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타측이 통체(10)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이 통체(10)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부분에 제 1스프로킷(26)이 장착된 회전축(24)과,
    상기 배출관(16)의 내측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이 통체(10)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부분에 제 2스프로킷(30)이 결합고정된 스크루 컨베이어(28)와,
    상기 통체(10)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으로 구동축(32a)이 돌출구성된 제 1모터(34)와,
    상기 통체(10)의 하단 일측에 구동축(32b)이 제 1모터(34)의 구동축(32a)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고, 이 구동축(32b)의 자유단에 제 3스프로킷(38)이 결합고정된 제 2모터(36)와,
    상기 제 2모터(36)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과 타측에 제 1구동축(40) 및 제 2구동축(42)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제 1구동축(40) 자유단에 제 4스프로킷(46)이 결합고정된 감속기(44)와,
    상기 제 1모터(34)의 구동축(32a)과 감속기(44)의 제 2구동축(42) 자유단에 밀착고정되어 제 1모터(34)의 구동력을 감속기(44)로 전달하는 벨트(48)와,
    상기 회전축(24)의 제 1스프로킷(26)과 감속기(44)의 제 4스프로킷(46)에 치합되어 감속기(44)의 구동력을 회전축(24)으로 전달하는 제 1체인(50)과,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28)의 제 2스프로킷(30)과 제 2모터(36)의 제 3스프로킷(38)에 치합되어 제 2모터(36)의 구동력을 스크루 컨베이어(28)로 전달하는 제 2체인(52)과,
    상기 배출공(18)이 형성된 배출관(16)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지지플레이트(54)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4)의 하단에 장착되어 배출공(18)을 통하여 배출되는 제설용 모래의 양을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제 2모터(36)의 구동을 제어하는 리밋 스위치(56)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4)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개의 로울러(58)와,
    상기 로울러(58)의 상단 부분에 장착되어 포대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열융착기(60)와,
    상기 열융착기(60)의 일측에 장착되어 열융착기(60)를 선택적으로 작동 및 정지시키는 푸쉬버튼(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된 포대가 컨베이어(64)에 의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
KR2020000001160U 2000-01-17 2000-01-17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 KR200188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160U KR200188532Y1 (ko) 2000-01-17 2000-01-17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160U KR200188532Y1 (ko) 2000-01-17 2000-01-17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532Y1 true KR200188532Y1 (ko) 2000-07-15

Family

ID=1963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160U KR200188532Y1 (ko) 2000-01-17 2000-01-17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5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885B1 (ko) * 2002-06-14 2005-03-08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KR100676406B1 (ko) 2005-02-03 2007-01-30 신공항하이웨이 주식회사 제설제 교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885B1 (ko) * 2002-06-14 2005-03-08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KR100676406B1 (ko) 2005-02-03 2007-01-30 신공항하이웨이 주식회사 제설제 교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67762T3 (es) Maquina de construccion para trabajar superficies de suelos.
US7510365B2 (en) Bulk materials bagger and method
CA21435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distributing loose particulate materials
KR200188532Y1 (ko) 염화칼슘 및 모래 혼합기
KR101410945B1 (ko) 혼합장치
KR200421100Y1 (ko) 정방향회전 롤 세륜기
US5716014A (en) Self-advancing crushing machine
KR100748303B1 (ko) 덤프트럭 장착형 제설제 살포장치
JP3797451B2 (ja) 原料土供給装置
JPH11124826A (ja) 除雪機の氷状雪面破砕装置
KR200344624Y1 (ko) 모래 비닐 포장장치
JP5009754B2 (ja) 自走式処理機械の操作装置
CN115559254A (zh) 一种道路桥梁用小型物化双效除冰装置
CN210596944U (zh) 一种公路施工划线装置
JP2012096728A (ja) 車両用ターンテーブル及び車両用ターンテーブルを用いた車両の方向転換方法
CN110700174A (zh) 一种道路桥梁用小型物化双效除冰机
CN219386151U (zh) 一种磁力吸铁车
KR200203630Y1 (ko) 비닐 모래 자동 포장기
CN1448582A (zh) 可实现铣刨机排料速度自适应控制的方法及装置
KR100466704B1 (ko)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JPS6345991B2 (ko)
KR100448263B1 (ko) 적설 용해장치
KR200391869Y1 (ko) 차량탑재용 제설장치
CN113062249B (zh) 一种高速公路垃圾清扫装置
CN221052303U (zh) 一种摊铺机用料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