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157A -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157A
KR20190108157A KR1020197025196A KR20197025196A KR20190108157A KR 20190108157 A KR20190108157 A KR 20190108157A KR 1020197025196 A KR1020197025196 A KR 1020197025196A KR 20197025196 A KR20197025196 A KR 20197025196A KR 20190108157 A KR20190108157 A KR 20190108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lug connector
socket housing
circlip 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256B1 (ko
Inventor
이리나 뢰트케만
제바스티안 그리펜슈트로
플로리안 학케마이어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10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improving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5Casing or ring with bayonet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소켓 하우징(1)과, 이 소켓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파지된 나사 부착부(2)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구조 형상으로서, 특히 진동, 및 정기적이고, 그리고/또는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충격들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인장력 및 레버력(F)에 대해 증가된 안정성을 보장하는 상기 구조 형상을 명시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소켓 하우징(1) 및 나사 부착부(2)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1)은, 내부에 함몰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루브(11)를 구비한 원형 횡단면의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나사 부착부(2)는, 내부에 함몰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그루브(22)를 구비한 원형 횡단면의 내부 표면을 포함하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그 외에도, 소켓 하우징(1) 상에서 나사 부착부(2)를 회전 가능하게 파지하기 위해, 자신의 내주연으로 제1 그루브(11) 내에 배치되고 자신의 외주연으로는 제2 그루브(22) 내에 배치되는 서클립 링(5)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통해 해결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유형 정의 부분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plug connector housing)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들은, 플러그 연결부의 의도되지 않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된 상태에서 메이팅 커넥터(mating connector) 상에 플러그 커넥터를 나사로 조임 결합하기 위해 적합하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유형의 나사 조임 결합부들은 예컨대 독일 공보 DE 20 2013 100 979 U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소켓 하우징(socket housing)을 포함한 원형 플러그 커넥터가 개시된다. 상기 원형 플러그 커넥터는, 나사 부착부(screw attachment)로서 형성되어 플러그 측에서 소켓 하우징 상에 배치되어 있는 잠금 고정 수단(locking means)을 포함한다. 잠금 고정 수단의 내면 상에는 암나사부가 제공되며, 이 암나사부를 통해 원형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연결부의 기계적 잠금 고정을 위해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 상으로 나사 조임될 수 있다.
소켓 하우징 상에서의 나사 부착부의 회전 가능한 파지는 상기 구조 유형의 경우 통상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나사 부착부의 내부 표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개별 래칭 러그들을 통해 풀린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조립, 다시 말하면 소켓 하우징 상으로의 나사 부착부의 끼움은 소켓 하우징 및/또는 나사 부착부의 상응하는 변형성을 전제조건으로 한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 단점은, 소켓 하우징 상에서 나사 부착부의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이 다수의 적용 분야를 위해 충분히 안정적이지 않다는 점에 있다. 실제로 확인된 점에 따르면, 예컨대 특히 소켓 하우징에 연결된 무거운 케이블을 통해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를 통해 야기되는 횡력은, 상응하는 레버 작용을 통해, 특히 진동, 및 정기적이고, 그리고/또는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충격들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최악의 경우에는 심지어 소켓 하우징으로부터 나사 부착부를 분리할 수 있고 그렇게 하여 전기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상응하는 상황들은, 예컨대 식품 산업의 분야에서, 생산 라인에서, 또는 철도 분야에서도, 메이팅 커넥터가 부착 하우징에 의해 벽면에 장착되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독일 특허 및 상표청은 본원 출원에 대한 우선권 출원에서 하기 종래 기술을 조사하였다. - DE 20 2012 101 303 U1호, CH 232 218 A호, DE 82 55 66 B호, 및 DE 20 2013 100 979 U1호.
본 발명의 과제는, 소켓 하우징과, 이 소켓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파지된 나사 부착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구조 형상으로서, 전술한 문제들을 방지하고 끼워진 상태에서 인장력 및 레버력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보장하는 상기 구조 형상을 명시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 제1항의 대상을 통해 해결된다.
본원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소켓 하우징과 나사 부착부를 포함한다. 소켓 하우징은, 내부에 함몰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루브를 구비한 원형 횡단면의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나사 부착부는, 내부에 함몰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그루브를 구비한 원형 횡단면의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그 외에도, 소켓 하우징 상에서 나사 부착부를 회전 가능하게 파지하기 위해, 자신의 내주연으로 제1 그루브 내에 배치되고 자신의 외주연으로는 제2 그루브 내에 배치되는 서클립 링(circlip ring)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켓 하우징에 작용하는 힘이 서클립 링을 통해 나사 부착부의 주연의 대부분으로 전달된다는 장점이 있다. 최종적으로, 서클립 링은, 매우 큰 면적에서, 예상되는 지속적인 축력 및/또는 횡력에 대한 반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렇게, 전술한 힘들은 균질하게 거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전체 주연에 걸쳐서 분배된다. 이렇게 하여, 나사 부착부는 소켓 하우징 상에서 강한 하중 재하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파지된다. 이는, 시뮬레이션들 및 상응하는 경험적 조사들(empirical investigations)에서 증명되는 것처럼, 진동, 및 산발적으로, 그리고/또는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충격들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은, 본원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구성에 비해 좀 더 덜 탄력적으로 구성되기만 하면 된다는 점에 있는데, 그 이유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조립이 서클립 링의 변형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이며, 다시 말하면 하우징 컴포넌트들, 요컨대 소켓 하우징 및/또는 나사 부착부의 변형은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소켓 하우징 및/또는 나사 부착부는,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 예컨대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자신의 형태를 통해, 종래 기술에서 해당하는 경우보다 더 높은 강성을 보유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서도, 소켓 하우징 및 나사 부착부는, 의도하지 않게 상호 간에 풀리지 않으면서, 발생하는 힘들을 더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서클립 링은 탄력 있는 재료로, 특히 탄력 있는 강재로, 예컨대 탄력 있는 특수강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어서, 서클립 링은 원칙적으로 탄력 있는 플라스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서클립 링은 원형 기본 형태를 보유하며, 그리고 한 위치에서 개방되어 형성되며, 그렇게 하여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특히 팽창 및 압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그루브뿐만 아니라 제2 그루브 및 서클립 링 역시도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그루브, 제2 그루브 및 서클립 링의 폭들은 서로 일치한다. 그렇게 하여, 서클립 링은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형상 결합 방식으로 두 그루브들 내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나사 부착부와 소켓 하우징 간의 축 방향 변위는 서클립 링 및 그루브들의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측면 표면들을 통해 방지된다.
상기 폭은 원칙적으로 삽입 방향으로, 다시 말하면 조립된 플러그 커넥터의 대칭축의 방향으로 측정된다. 그루브들의 깊이 및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는 원칙적으로 그에 직각으로 반경 방향으로 측정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서클립 링의 프로파일은, 자신의 폭보다 더 큰 높이를 보유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소켓 하우징 상에서 나사 부착부를 안정적으로 파지하도록, 서클립 링의 의도되는 반경 방향 탄성의 조건에서, 가능한 축 방향 변위에 대항하여 충분히 큰 반경 방향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특히 서클립 링은 조립된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제2 그루브에서와 동일한 깊이로 제1 그루브 내로 맞물려 고정된다. 이런 위치는, 서클립 링이 각자의 그루브 내에서 동일한 힘을 견뎌 내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그와 반대로, 비대칭형 분배의 조건에서, 최대 파지력은 각각 상대적으로 더 낮은 맞물림 깊이에 의해 결정되고, 그로 인해 전술한 균일한 위치에서, 또는 적어도 상대적으로 더 균일한 위치에서 해당하는 경우보다 더 낮다. 제조 기술 측면의 공차들의 고려 하에, 전술한 효과를 바람직하게 활용하기 위해,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그루브 내로의 서클립 링의 맞물림의 깊이는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의 40%와 60% 사이, 바람직하게는 45%와 55% 사이, 그리고 특히 47.5%와 52.5% 사이일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 및 두 그루브들의 깊이는, 플러그 커넥터가 케이블의 예상되는 지속적인 인장력들, 진동력들, 및 산발적으로 또는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충격들의 합에 대해 충분한 반력을 인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선택된다. 그렇게 하여, 나사 부착부는 소켓 하우징 상에서 상기 힘들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파지된다.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 및 두 그루브들의 깊이는 충분히 큰 범위에 걸쳐 각각의 요건들에 임의로 매칭될 수 있으며, 이때 그렇게 하여 의도되지 않는 부작용들은 발생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나사 부착부는, 소켓 하우징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단부 상에,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의 메이팅 나사산 내로 또는 상으로 나사 조임하기 위한 나사 나사산(screw thread)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른바 "부분 나사산"을 포함한다. 특히 나사 나사산/부분 나사산은 암나사부이고 메이팅 나사산은 상응하는 수나사부이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들의 경우 나사 부착부는 수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고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은 암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은, 예컨대 벽면에, 예컨대 철도 차량 또는 생산 공장의 벽면에, 예컨대 생산 기계 근처에 부착되는 부착 하우징일 수 있다. 이런 경우, 그와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진동, 및 정기적이고, 그리고/또는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충격들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에서도, 상응하는 케이블 힘들(calbe forces)의 지속적인 레버 작용에 노출되며, 이는 연결부의 안정성에 대한 특별한 요건들을 설정한다. 상기 유형의 요건들은 예컨대 식품 산업의 분야에서, 생산 라인에서, 또는 철도 교통에서도 설정되며, 그럼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분야들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서클립 링은 예비 조립 동안 반경 방향으로 탄성 팽창되어 거의 노력하지 않고도 소켓 하우징의 위쪽으로 밀어 끼워진다. 그에 이어서, 서클립 링은,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이완되고 이와 동시에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그루브 내에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소켓 하우징의 제1 그루브 내에 포착(catch)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그루브는, 서클립 링이 상기 예비 조립된 상태에서도 추가로 반경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을 정도로 깊게 형성된다. 그렇게 하여, 서클립 링은 실질적인 조립 동안, 다시 말하면 소켓 하우징 상으로 나사 부착부를 끼울 때,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탄성 만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나사 부착부는 소켓 하우징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단부 상에서 내면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2 그루브에 직접 이어지는 방식으로 챔퍼부(chamf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서클립 링은 조립 공정 동안 나사 부착부를 끼우는 것을 통해 상대적으로 더 깊게, 특히 완전하게 제1 그루브 내로 잠길 수 있다. 나사 부착부가 최종적으로 소켓 하우징 상으로 끼워지고 그에 따라 소켓 하우징에 상대적으로 자신의 최종 위치에 위치되는 즉시, 서클립 링은, 결과적으로 나사 부착부의 제2 그루브 내로도 맞물려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다시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이완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서클립 링은 최종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두 그루브들 내로 잠기며, 그럼으로써 서클립 링은 자신의 내주연으로 제1 그루브 내에 배치되고 자신의 외주연으로는 제2 그루브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소켓 하우징 상에서 나사 부착부를 회전 가능하게 파지한다.
또한, 상기 바람직한 구현예의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그루브의 깊이는 최소한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와 같은 크기다. 그렇게 하여, 서클립 링은 조립 공정 동안, 특히 반경 방향으로의 탄성 압축을 통해 제1 그루브 내에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즉 달리 말하면, 상기 방식으로 소켓 하우징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그루브 내로 완전하게 잠길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제조 기술 측면의 이유들에서, 제1 그루브의 깊이를 필요한 것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렇게, 상기 바람직한 구현예의 경우, 제1 그루브의 깊이는 제조 기술 측면의 공차들의 범주에서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에 상응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예컨대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의 0.75배와 1.5배 사이일 수 있으며, 특히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의 0.825배와 1.25배 사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의 0.9배와 1.2배 사이일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의 0.95배와 1.1배 사이일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구현예는, 나사 부착부가 비교적 작게 형성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제2 그루브의 깊이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그루브 내로의 서클립 링의 잠김 깊이에만 상응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 대안의 구현예에서, 서클립 링은 우선 예컨대 특수 공구를 이용한 대안의 예비 조립 동안, 반경 방향으로 탄성 압축되면서 나사 부착부 내로 삽입되며, 그리고 그렇게 우선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는 방식으로 이완되고 이와 동시에 부분적으로 상기 제2 그루브 내로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나사 부착부의 제2 그루브 내에 포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2 그루브는, 서클립 링이 상기 예비 조립된 상태에서도 그 외에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팽창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보유한다. 그렇게 하여, 서클립 링은 대안의 조립 동안, 다시 말해 이런 경우 나사 부착부 내로 소켓 하우징을 삽입할 때, 소켓 하우징을 통해 우선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탄성 만곡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2 그루브 내로 상대적으로 더 깊게, 특히 완전하게 잠길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켓 하우징은 적어도 나사 부착부로 향해 있는 자신의 단부 상에서 외면에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켓 하우징이 최종적으로 나사 부착부 내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나사 부착부에 상대적으로 자신의 최종 위치에 위치하는 즉시, 서클립 링은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이완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조립의 종료를 위해 소켓 하우징의 제1 그루브 내로도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서클립 링은 이처럼 최종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두 그루브들 내로 잠기며, 그럼으로써 서클립 링은 자신의 내주연으로 제1 그루브 내에 배치되고 자신의 외주연으로는 제2 그루브 내에 배치되게 되며, 그리고 소켓 하우징 상에서 나사 부착부를 회전 가능하게 파지한다.
상기 대안의 구현예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2 그루브의 깊이는 최소한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와 같은 크기이다. 그렇게 하여, 서클립 링은, 대안의 조립 공정 동안, 특히 반경 방향으로의 탄성 팽창을 통해, 제2 그루브 내에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상기 방식으로 소켓 하우징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 그루브 내로 완전하게 잠길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제조 기술 측면의 이유들에서, 제1 그루브의 깊이를 필요한 것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렇게, 상기 대안의 구현예의 경우, 제2 그루브의 깊이는, 제조 기술 측면의 공차들의 범주에서,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에 상응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예컨대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의 0.75배와 1.5배 사이일 수 있으며, 특히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의 0.825배와 1.25배 사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의 0.9배와 1.2배 사이일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의 0.95배와 1.1배 사이일 수 있다.
상기 대안의 구조 형상은 경우에 따라, 각각의 더 상세한 제조 기술 측면의 조건들에 따라서, 본원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조립성을 수월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변형예는, 전술한 이유들에서, 바람직하게는 나사 부착부가 여하히 약간 상대적으로 더 큰 지름을 보유하는 것인, 다시 말하면 제2 그루브의 충분한 깊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만 특히 크게 구성되지 않아도 되는 것인 구조 형상들을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고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상응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b는 선행 도면에서 래칭 메커니즘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의 플러그 영역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a는 나사 부착부를 도시한 3D 도면이다.
도 3b는 소켓 하우징을 도시한 3D 도면이다.
도 3c는 서클립 링을 도시한 3D 도면이다.
도면들에는,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도들이 포함되어 있다. 부분적으로, 유사하지만,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 않은 요소들을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이용된다. 유사한 요소들의 다양한 모습들은 상이한 축척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상응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이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소켓 하우징(1)을 포함하고, 플러그 측에는 암나사부(23)를 구비하여 소켓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나사 부착부(2)를 포함한다. 대향하여 위치하는 소켓 하우징(1)의 케이블 연결면 상에는, 도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케이블(4)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케이블의 중력은 수직 레버력(F)의 형태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작용한다.
소켓 하우징(1)은 여기서는 단지 프로파일로만 도시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루브(11)를 포함하며, 이 제1 그루브 내로는 나사 부착부(2)의 3개의 래칭 러그(24)가 맞물려 고정되며, 그럼으로써 나사 부착부(2)는 소켓 하우징(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파지되게 된다. 그러나 단면도에는 상기 3개의 래칭 러그(24) 중 단지 하나의 래칭 러그(24)만이 확인되는데, 그 이유는 다른 두 래칭 러그들은 상기 래칭 러그에 대해 120°만큼 오프셋 되어 나사 부착부(2)의 원형 횡단면의 내주연 상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렇게 하여 상기 횡단면에서는 눈에 띄지 않기 때문이다. 래칭 러그(24)는, 소켓 하우징(1)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면 상에, 별도로 표시되지 않은 경사부를 포함하며, 이 경사부는 조립 동안 소켓 하우징(1)의 램프부(14)(ramp)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런 방식으로, 소켓 하우징(1) 및/또는 나사 부착부(2)는, 조립 공정 동안, 소켓 하우징(1) 상으로의 나사 부착부(2)의 끼움 및 제1 그루브(11) 내에서의 나사 부착부의 래칭 러그들(24)의 맞물림 고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로 그에 상응하게 변형되며, 그럼으로써 나사 부착부(2)는 조립된 상태에서 소켓 하우징(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파지되게 된다. 그러나 그런 이유에서, 래칭 러그들(24)의 형태는 그들의 조립성을 필요로 하게 하고 특히 래칭 러그들의 높이 및 그에 따라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으로 향해 있는 자신들의 힘 흡수 표면의 크기가 제한된다는 점 역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상기 유형의 조립을 위해 필요한, 소켓 하우징(1) 및/또는 나사 부착부(2)의 탄성은, 발생할 수 있는 인장력 및 레버력에 대한 안정성을 위해 특히 불리하게, 그리고 그로 인해 심하게 제한된다.
상기 구성의 또 다른 단점은, 예컨대 무거운 케이블(4)에 의한 하중 재하를 통해 발생하는 것과 같은 강한 레버력(F)은, 특히 진동 및 충격들의 추가적인 영향이 있는 상태에서, 자칫하면 상기 고정을 의도하지 않는 방식으로 풀고 플러그 연결부를 강제로 분리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결국, 래칭 러그들(24)의 상기 기하학적 배치구조의 경우, 가장 불리한 조건들 하에서, 하중 재하의 대부분은, 상응하는 기하학적 위치에 위치되는 단일의 래칭 러그(24)의 비교적 작은 작용면에 작용한다. 도면에서는, 각각의 래칭 러그(24)가,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면에서만 작용면을 포함하고 타측 면에는 조립의 수월함을 위해 전술한 경사부를 포함하는 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레버력들을 통한, 그리고 특히 각각의 해당 방향에 따라 진동 및 충격들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소켓 하우징(1)의 변형은, 자칫하면, 각각의 래칭 러그(2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그루브(11)로부터 빠져 밀리고, 그리고/또는 빠져 진동되게 할 수 있다. 이는, 힘 흡수를 위해 가용한 유효 표면을 감소시키고 이렇게 제1 그루브(11)로부터 래칭 러그(24)의 파손 이탈의 확률을 훨씬 더 높아지게 한다. 다시 말해, 종래 기술에 상응하는 구조 형상은 특히 상응하는 주변 조건들 하에서 오직 조립성과 작동 중 안정성, 다시 말해 작동 안전성의 절충안일 뿐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는, 한편으로, 나사 부착부(2)가 자신의 원형 횡단면의 내주연 상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그루브(22)를 포함하는 점에서, 전술한 종래 기술과 구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이 다양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3c에서 개별 부품으로서 도시되어 있으면서 거의 완전하게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클립 링(5)은 제1 그루브(11) 내로뿐만 아니라 제2 그루브(22) 내로도 맞물려 고정된다. 이상적인 방식으로, 제1 그루브(11) 및 제2 그루브(22) 내에서 서클립 링의 맞물림의 깊이는 거의 동일한 크기이며, 그럼으로써 힘 흡수를 위해 가용한, 서클립 링(5)의 유효한 힘 흡수 표면은, 모든 방향으로 최적화되게 된다. 제조 기술 측면의 공차들을 고려할 때, 각각의 그루브 내로의 서클립 링(5)의 맞물림의 깊이는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H)의 40%와 60% 사이, 바람직하게는 45%와 55% 사이, 특히 47.5%와 52.5% 사이이다. 또한, 나사 부착부(2)는 소켓 하우징(1)의 방향으로 향상된 조립을 위해 챔퍼부(21)를 포함하며, 이 챔퍼부는 조립된 상태에서 추가로, 상응하는 실링 링(6)과도 상호작용한다.
조립 동안, 도 1에 도시된 배치구조에 비해, 소켓 하우징(1)은 더 이상 변형될 필요가 없다. 그렇게 하여, 소켓 하우징은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플러그 연결부의 안정성에 도움이 된다. 소켓 하우징 대신, 서클립 링(5)은 조립 동안 상응하는 기능을 담당 수행할 수 있으며, 그리고 소켓 하우징(1) 상으로 나사 부착부(2)를 끼울 때 챔퍼부(21)가 작용하는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고 그렇게 일시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깊게, 이상적인 경우에는 완전하게 제1 그루브(11) 내로 잠길 수 있다. 나사 부착부(2)가 완전하게 끼워지고 두 그루브들(11, 22)이 서로 포개어지는 즉시, 서클립 링(5)은 조립의 종료를 위해 자신의 외부 영역으로, 그리고 그에 따라 마찬가지로 자신의 외주연으로 나사 부착부(2)의 제2 그루브(22) 내로 맞물려 고정되지만, 그러나 자신의 내부 영역, 그리고 그에 따라 자신의 내주연은 제1 그루브(11) 내에 잔존한다. 그에 따라, 종래 기술에 비해, 한편으로 거의 완전하게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클립 링의 형태를 통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클립 링의 프로파일 표면의 높이(H)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고 자신의 탄성 편향이 전술한 이유들에서 심히 제한되는 것인 래칭 러그(24)의 높이보다 두 배 이상 클 수 있는 것을 통해, 서클립 링(5)과 각각의 그루브(11, 22) 사이에 거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분명하게 확대되어 힘을 흡수하는 작용면이 또한 각각 제공된다.
도 2b에는, 관련 메커니즘이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특히 서클립 링(5)의 직사각형 프로파일, 다시 말하면 직사각형 서클립 링 프로파일이 분명하게 보인다. 또한, 서클립 링 프로파일이 비록 제1 그루브(11) 및 제2 그루브(22)와 동일한 폭(B)을 보유하기는 하지만, 그러나 예비 조립된 상태에서 자신의 높이(H) 방향으로 제1 그루브(11)를 완전하게 채우지 않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서클립 링(5)은 여기에 도시된 배치구조에서 추가로 반경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11)의 깊이가 최소한 서클립 링 프로파일의 높이(H)인 점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서클립 링(5)은 조립 동안 제1 그루브(11) 내로 완전하게 잠길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소켓 하우징 상으로의 나사 부착부(2)의 끼움은 현저하게 수월해지게 된다.
도 2c에는, 나사 부착부(2)가 자신의 암나사부(23)로 메이팅 나사산(33) 상에 나사 조임되는 것인 필적하는 배치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이팅 나사산(33)은, 명확성을 이유로 도면에 완전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고 예컨대 수직 표면 상에, 예컨대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부착 하우징으로서 구현되어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의 플러그 영역(3)에 속한다.
도 3a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그루브(22)와 암나사부(23)를 포함하는 나사 부착부(2)가 3D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신의 제1 그루브(11)를 포함하는 소켓 하우징(1)이 3D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c에는, 서클립 링(5)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서클립 링은 개방되어 형성되며, 다시 말하면 영역(5')에서 끊어져 있다. 프로파일에서, 서클립 링은 직사각형 형태를 보유하며, 그리고 높이(H) 및 폭(B)을 포함한다. 서클립 링의 높이(H)는 반경 방향으로, 다시 말해 자신의 반경(R)의 방향으로 측정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소켓 하우징(1)의 대칭축에도 상응하는 대칭축(A)은 링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서클립 링(5)의 폭(B)은 축 방향(A)으로, 다시 말해 삽입 방향으로 측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클립 링(5)은 탄력 있는 강재로 구성된다.
1: 소켓 하우징
11: 제1 그루브
14: 램프부
2: 나사 부착부
21: 챔퍼부
22: 제2 그루브
23: 암나사부
24: 래칭 러그
3: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의 플러그 영역
33: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의 메이팅 나사산
4: 케이블
5: 서클립 링
5': 서클립 링의 끊김부
6: 실링 링
F: 레버력
H: 서클립 링의 프로파일의 높이
B: 서클립 링의 프로파일의 폭
R: 서클립 링의 반경
A: 대칭축

Claims (11)

  1. 소켓 하우징(1) 및 나사 부착부(2)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이며, 소켓 하우징(1)은, 내부에 함몰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루브(11)를 구비한 원형 횡단면의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나사 부착부(2)는, 내부에 함몰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그루브(22)를 구비한 원형 횡단면의 내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그 외에도, 소켓 하우징(1) 상에서 나사 부착부(2)를 회전 가능하게 파지하기 위해, 조립된 상태에서 자신의 내주연으로 제1 그루브(11) 내에 배치되고 자신의 외주연으로는 제2 그루브(22) 내에 배치되는 서클립 링(5)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서클립 링(5)은 탄력 있는 재료로 제조되고, 원형 기본 형태를 보유하고, 한 위치(5')에서 개방되어 형성되며, 그로 인해 반경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서클립 링(5)은 반경 방향(R)으로 탄성 팽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 압축될 수도 있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 부착부(2)는, 소켓 하우징(1)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단부 상에,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의 메이팅 나사산(33) 또는 부분 메이팅 나사산 상으로 나사 조임하기 위한 암나사부(23)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클립 링(5)은, 제조 기술 측면의 공차들의 범주에서, 반경 방향으로 제2 그루브(22)에서와 동일한 깊이로 제1 그루브(11) 내로 맞물려 고정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그루브(11)는, 제조 기술 측면의 공차들의 범주에서, 최소한 서클립 링(5)의 프로파일의 높이(H)에 상응하는 깊이를 보유하며, 그럼으로써 서클립 링(5)은 제1 그루브(11) 내에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나사 부착부(2)는, 조립의 수월함을 위해, 소켓 하우징(1)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단부 상에서 내면에 챔퍼부(21)를 포함하며, 상기 챔퍼부를 통해, 제1 그루브(11) 내에 예비 조립된 서클립 링(5)은, 소켓 하우징(1) 상으로 나사 부착부(2)를 끼울 때, 우선 탄성 압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제2 그루브(22) 내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그루브(22)는, 제조 기술 측면의 공차들의 범주에서, 반경 방향(R)으로, 최소한 서클립 링(5)의 프로파일의 높이(H)에 상응하는 깊이를 보유하며, 그럼으로써 서클립 링(5)은 제2 그루브(22) 내에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소켓 하우징(1)은, 조립의 수월함을 위해, 적어도 나사 부착부(2)로 향해 있는 자신의 단부 상에서 외면에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제2 그루브(22) 내에 예비 조립된 서클립 링(5)은, 나사 부착부(2) 내로 소켓 하우징(1)을 삽입할 때, 우선 탄성 팽창될 수 있으며, 그리고 최종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 그루브(11) 내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그루브(11)뿐만 아니라 제2 그루브(22) 및 서클립 링(5) 역시도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그루브(11), 제2 그루브(22), 및 서클립 링(5)의 프로파일은 동일한 폭(B)을 보유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KR1020197025196A 2017-01-31 2018-01-15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KR102197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1870.0 2017-01-31
DE102017101870.0A DE102017101870A1 (de) 2017-01-31 2017-01-31 Steckverbindergehäuse
PCT/DE2018/100022 WO2018141326A1 (de) 2017-01-31 2018-01-15 Steckverbinder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157A true KR20190108157A (ko) 2019-09-23
KR102197256B1 KR102197256B1 (ko) 2021-01-05

Family

ID=6115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196A KR102197256B1 (ko) 2017-01-31 2018-01-15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65987B2 (ko)
EP (1) EP3577726B1 (ko)
KR (1) KR102197256B1 (ko)
CN (1) CN110235313B (ko)
DE (1) DE102017101870A1 (ko)
WO (1) WO2018141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3914A (zh) * 2018-10-18 2019-01-25 郑州福禄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的防水连接器结构
CN109638566B (zh) * 2018-11-08 2020-11-03 河南省鼎润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光伏连接器装置
CN112164926B (zh) * 2020-10-12 2022-03-04 贵州理工学院 一种通信连接器
CN112821140A (zh) * 2021-01-05 2021-05-18 郑祺 一种防松动防误触的安全插座
WO2024042056A1 (en) * 2022-08-26 2024-02-29 Stäubli Electrical Connectors Ag Housing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mponent
CN117438839B (zh) * 2023-12-21 2024-03-15 四川宇飞连接电子有限公司 一种防水型双向双端面抗拉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790A (en) * 1983-11-04 1985-07-30 International Telephone & Telegraph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grounding ring
US6086400A (en) * 1997-10-17 2000-07-11 Electro Adapter, Inc. Self-locking cable connector coupling
US20140342605A1 (en) * 2013-05-20 2014-11-2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rfi protection
DE202013012011U1 (de) * 2013-02-05 2015-02-03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gehäus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32218A (de) 1943-02-22 1944-05-15 Hermes Patentverwertungs Gmbh Abschlussgerät am Ende von mehradrigen Kabeln mit Zugentlastung von Kabeladern.
DE822266C (de) 1946-04-12 1951-11-26 Gen Motors Corp Elektrische Kupplung
DE825566C (de) * 1949-11-22 1951-12-20 Wilhelm Harting Elektrotechnik Trennstecker
DE10353886B3 (de) * 2003-11-18 2005-02-10 U.I. Lapp Gmbh Gehäuseanordnung für einen Stecker einer elektrischen Steckpaarung
KR101208362B1 (ko) * 2011-07-27 2012-12-05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풀림 방지용 커넥터
DE202012101303U1 (de) 2012-04-12 2013-07-16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gehäuse
DE202013100979U1 (de) 2013-03-07 2013-03-2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Oberflächenoptimierter Steckverbinder
CN205790636U (zh) * 2016-07-12 2016-12-07 陕西华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低泄漏高可靠的半刚性sma弯式射频同轴连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790A (en) * 1983-11-04 1985-07-30 International Telephone & Telegraph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grounding ring
US6086400A (en) * 1997-10-17 2000-07-11 Electro Adapter, Inc. Self-locking cable connector coupling
DE202013012011U1 (de) * 2013-02-05 2015-02-03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gehäuse
US20140342605A1 (en) * 2013-05-20 2014-11-2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rfi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7726B1 (de) 2021-08-18
WO2018141326A1 (de) 2018-08-09
DE102017101870A1 (de) 2018-08-02
KR102197256B1 (ko) 2021-01-05
US20190348798A1 (en) 2019-11-14
EP3577726A1 (de) 2019-12-11
US10665987B2 (en) 2020-05-26
CN110235313B (zh) 2021-02-26
CN110235313A (zh) 2019-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8157A (ko)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CN107781270B (zh) 带垫圈的螺钉
US7850485B2 (en) Plug connector for front plate or back plate assembly
US9929477B2 (en) Torque limited screw for electrical connector
CN102074843A (zh) 具有弯曲的应力消除元件的插接式连接器壳体
US9175714B2 (en) Plug-in nut
WO2016024601A1 (ja) ルーフマウントアンテナ取付構造
KR102224508B1 (ko) 나사 패스너 배열체 및 이를 위한 와셔 조립체
CN102985707B (zh) 防松螺母及具备防松螺母的耦合单元
US20150034380A1 (en) Housing wall screw connection for a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WO2015099183A1 (ja) リアホルダ
CA1073066A (en) Junction piece for electric wiring
JP2011058628A (ja) ねじ付きボルト及びナットを有するねじ継手
JP2009516340A (ja) 導電性連結器
EP2493040B1 (en) Cable gland
KR20150114293A (ko) 가요전선관 커넥터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CN113464523B (zh) 紧固元件
KR101891042B1 (ko) 나사형 결합 너트 및 고정 고리를 갖춘 전기 조립체
KR20110005702A (ko) 구조 유닛
US20210254785A1 (en) Support Element,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Assembly
US9912098B2 (en) Connector with wire cover
KR20110123015A (ko) 차량 현가암의 부시 구조
CN216055205U (zh) 一种连接组件
JP6212371B2 (ja) 固定手段の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