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685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685A
KR20190106685A KR1020190017487A KR20190017487A KR20190106685A KR 20190106685 A KR20190106685 A KR 20190106685A KR 1020190017487 A KR1020190017487 A KR 1020190017487A KR 20190017487 A KR20190017487 A KR 20190017487A KR 20190106685 A KR20190106685 A KR 20190106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cover
assembly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384B1 (ko
Inventor
문성국
배준석
최성규
경기영
천희준
송용민
이신휘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267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72690A1/ko
Priority to CN202210348533.3A priority patent/CN114659166B/zh
Priority to US16/978,174 priority patent/US12098862B2/en
Priority to CN201980017594.8A priority patent/CN111886449B/zh
Publication of KR20190106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685A/ko
Priority to KR1020240054023A priority patent/KR20240060544A/ko
Priority to KR1020240054022A priority patent/KR2024006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4Transmiss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커버무빙모듈이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커버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이 상기 도어커버와 함께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도어커버를 정면토출구 밖으로 완전히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면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커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도어어셈블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실내기가 배치되고, 실외에 실외기가 배치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난방 또는 제습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실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실내기,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실내기 및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 등이 있다.
종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실내팬이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조화된 공기가 원거리로 토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191413에는, 실내기 주변의 공기를 원거리로 유동시키기 위한 써큘레이터가 구비되었다.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 10-1191413에 기재된 에어써큘레이터는 실내기에 설치되지만, 공조된 공기를 직접 유동시키지는 못하고, 실내기 상측의 실내공기를 원거리로 유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써큘레이터는 공조된 공기를 직접 유동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공조된 공기를 타켓 영역에 집중 공급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온도 불균형이 발생된 타켓 영역을 선택적으로 공기조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에는 실내기의 캐비닛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유닛이 배치된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의 도어유닛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개구를 막고, 실내기가 작동될 때에는 전방으로 도어유닛이 이동되어 개구를 개방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는 도어유닛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를 개폐시키지만, 개방된 개구의 전방에 도어유닛이 위치되기 때문에, 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의 도어유닛에 의한 개구 개방은 원거리로 공기를 유동시키는데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이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는 도어만 전진되어 개구를 개방시킬 뿐, 송풍팬은 외관패널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송풍팬에 의해 유동된 공기가 외관패널 내부의 구조물과 저항을 발생시켜 원거리로 공기를 유동시키는데 많은 유동손실을 발생시킨다.
한국 등록특허 10-1191413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
본 발명은 원거리팬어셈블리이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도어커버어셈블리가 정면토출구를 폐쇄하고, 원거리팬어셈블리가 작동될 때에는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정면토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개방된 정면토출구를 통해 팬하우징어셈블리가 도어어셈블리 밖으로 돌출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거리팬어셈블리이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도어커버어셈블리가 정면토출구를 폐쇄하고, 원거리팬어셈블리가 작동될 때에는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정면토출구를 개방할 수 있는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면토출구를 통해 캐비닛어셈블리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면토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를 도어어셈블리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면토출구를 폐쇄할 때에는 도어커버어셈블리의 도어커버가 프론트패널과 연속된 면을 제공하고, 정면토출구를 개방할 때에는 도어커버어셈블리의 도어커버가 프론트패널의 배면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커버어셈블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어셈블리의 전후방향 두께 및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커버어셈블리의 상하 이동 시 상측 구조물 또는 하측 구조물과 충돌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커버무빙모듈이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커버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이 상기 도어커버와 함께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도어커버를 정면토출구 밖으로 완전히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에 의해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 내측에서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 1 정면개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1 정면개방 상태에서,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의 후방에서 정면토출구(201) 하측으로 이동되고, 정면토출구가 상기 도어커버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제 2 정면개방을 제공한다.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의 작동 시, 상기 도어커버가 상기 정면토출구 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도어커버를 정면토출구에서 분리할 수 있고,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작동 시, 상기 도어커버가 상기 정면토출구 밖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토출공기의 유로 밖으로 도어커버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커버를 토출공기의 유로 밖으로 이동시켜 토출공기와 도어커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는 상기 정면토출구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의 전면과 연속된 평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정면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되지 않을 때, 상기 정면토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를 폐쇄하기 때문에, 공조된 공기가 정면토출구를 통해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를 폐쇄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캐비닛어셈블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를 폐쇄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면토출구의 개방 시, 상기 도어커버가 상기 정면토출구의 하측 및 상기 프론트패널의 후방 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토출공기와 도어커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은, 상기 도어커버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에 배치되고, 도어커버모터축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커버모터; 상기 도어커버모터축 결합되고, 상기 도어커버 및 도어커버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썬기어; 상기 썬기어(1620)와 치합되고, 상기 썬기어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 상기 도어커버하우징 및 도어커버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들과 각각 치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들이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성기어들의 회전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커버가이드; 상기 도어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가이드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시, 상기 커버가이드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고, 상기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의 전진 또는 후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는 무버;를 포함한다. 상기 유성기어들 및 썬기어가 커버가이드의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하고, 상기 무버의 전후 방향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커버가이드의 내측에 상기 도어커버모터, 썬기어 및 복수개의 유성기어가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커버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도어어셈블리의 전후방향 두께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커버가이드의 내주면에 상기 유성기어들과 각각 치합되는 가이드기어가 배치되기 때문에, 유성기어들 및 커버가이드의 치합을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모터, 썬기어 및 복수개의 유성기어가 도어커버의 코어개구부에 삽입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커버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도어어셈블리의 전후방향 두께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에 형성된 무빙모듈설치부 내측에 상기 커버가이드 및 무버가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커버가이드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가이드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가이드웨이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웨이는 상기 커버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웨이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무버는 상기 가이드웨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무버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이드의 회전 시, 상기 무버가이드 및 가이드웨이의 상호 간섭이 발생되고, 상기 상호간섭에 의해 상기 무버가이드가 상기 가이드웨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커버가이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무버가이드가 상기 가이드웨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무버를 전후 방향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전후 방향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웨이가 커버가이드의 내외측을 관통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무버가이드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무버가이드가 가이드웨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무버가이드가 커버가이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거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커버가이드의 회전 시 무버가이드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무버가이드가 가이드웨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과,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을 포함하고,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 및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작동에 의해 도어커버하우징의 양측을 균일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 및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이 도어커버어셈블리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를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 및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이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의 전후 방향 길이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활 수 있다.
상기 좌측 랙에 형성된 랙치형부 및 상기 우측 랙에 형성된 랙치형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기 때문에, 좌측 랙 및 우측 랙이 도어커버하우징을 양측에서 가압하고, 상하 이동되는 도어커버하우징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이 좌측 랙 및 우측 랙 사이에 끼인 구조이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후방 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어어셈블리는 복수개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기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어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된 웜기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어구동모터의 작동 시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상하 이동 시,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상측 위치를 감지하는 상단 위치 센서; 및 상기 패널모듈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상하 이동 시,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상측 위치를 감지하는 하단 위치 센서;가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 과도 이동을 방지하고, 과도 이동에 대한 충돌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도어커버무빙모듈이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커버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이 상기 도어커버와 함께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도어커버를 정면토출구 밖으로 완전히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에 의해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 내측에서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 1 정면개방을 제공하고, 제 1 정면개방 상태에서,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의 후방에서 정면토출구(201) 하측으로 이동되고, 정면토출구가 상기 도어커버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제 2 정면개방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의 작동 시, 상기 도어커버가 상기 정면토출구 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도어커버를 정면토출구에서 분리할 수 있고,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작동 시, 상기 도어커버가 상기 정면토출구 밖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토출공기의 유로 밖으로 도어커버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커버를 토출공기의 유로 밖으로 이동시켜 토출공기와 도어커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상기 도어커버는 상기 정면토출구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의 전면과 연속된 평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정면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되지 않을 때, 상기 정면토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를 폐쇄하기 때문에, 공조된 공기가 정면토출구를 통해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를 폐쇄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캐비닛어셈블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도어커버가 정면토출구를 폐쇄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은 상기 정면토출구의 개방 시, 상기 도어커버가 상기 정면토출구의 하측 및 상기 프론트패널의 후방 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토출공기와 도어커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발명은 유성기어들 및 썬기어가 커버가이드의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하고, 상기 무버의 전후 방향 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째, 상기 커버가이드 내측에 상기 도어커버모터, 썬기어 및 복수개의 유성기어가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커버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도어어셈블리의 전후방향 두께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한번째, 상기 커버가이드의 내주면에 상기 유성기어들과 각각 치합되는 가이드기어가 배치되기 때문에, 유성기어들 및 커버가이드의 치합을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두번째, 상기 도어커버모터, 썬기어 및 복수개의 유성기어가 도어커버의 코어개구부에 삽입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커버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도어어셈블리의 전후방향 두께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세번째,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에 형성된 무빙모듈설치부 내측에 상기 커버가이드 및 무버가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네번째, 상기 커버가이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무버가이드가 상기 가이드웨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무버를 전후 방향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전후 방향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다섯번째, 상기 가이드웨이가 커버가이드의 내외측을 관통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무버가이드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무버가이드가 가이드웨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여섯번째, 상기 무버가이드가 커버가이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거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커버가이드의 회전 시 무버가이드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무버가이드가 가이드웨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아홉번째,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과,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을 포함하고,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 및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작동에 의해 도어커버하우징의 양측을 균일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무번째, 상기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 및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이 도어커버어셈블리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를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물한번째, 상기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 및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이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의 전후 방향 길이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물두번째, 상기 좌측 랙에 형성된 랙치형부 및 상기 우측 랙에 형성된 랙치형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기 때문에, 좌측 랙 및 우측 랙이 도어커버하우징을 양측에서 가압하고, 상하 이동되는 도어커버하우징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물세번째,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이 좌측 랙 및 우측 랙 사이에 끼인 구조이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후방 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물네번째, 상기 기어어셈블리는 복수개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기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어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된 웜기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어구동모터의 작동 시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물다섯번째,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상하 이동 시,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상측 위치를 감지하는 상단 위치 센서; 및 상기 패널모듈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상하 이동 시,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상측 위치를 감지하는 하단 위치 센서;가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 과도 이동을 방지하고, 과도 이동에 대한 충돌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커버가 후진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강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정면토출구가 개방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전진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커버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상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강된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0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0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도어어셈블리 내부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카메라모듈이 도시된 도어어셈블리 상측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22은 도 6에 도시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우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후방 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팬하우징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프론트팬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근접센서 및 하단 근접센서가 도시된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위치 센서와 하단 위치 센서가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배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서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도어어셈블리의 배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예시된 순서도이다.
도 3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예시된 순서도이다.
도 3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예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커버가 후진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강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정면토출구가 개방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전진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와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10)와 연결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팬(미도시)과, 상기 실내기(10)에서 토출된 냉매를 공급받은 후 기체 냉매만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방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101)에서는 냉매가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다.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10)에서는 냉매가 응축되어 실내 공기를 가열시킨다.
<<실내기의 구성>>
상기 실내기(10)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101)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300)(400)와, 상기 팬어셈블리(300)(4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실내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8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600)와,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포집하는 무빙클리너(70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1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면에 배치된 측면토출구(3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300)(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의 안쪽에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후,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유동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상측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상측에 위치시켜 토출공기를 실내의 먼 곳까지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300)는 실내 공간의 먼 곳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될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다.
특히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익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조립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2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200)의 전면 중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부공간(S)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부공간(S) 중 일부만을 개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개폐는 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폐는 일부만 열리는 것으로서, 상기 가습어셈블리(800)의 물공급을 위한 것이고, 상기 가습어셈블리(800)의 물탱크(810)가 노출될 정도의 면적만을 노출시킨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2단 개폐는 최대로 열리는 것으로서, 설치 및 수리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2단 개폐를 제한하는 도어스토퍼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부로 회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부로 이동된 필터어셈블리(600)에서 필터만을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각각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이동하면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에 붙은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이물질은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의 회동 시 간접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8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으로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상기 팬어셈블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800)는 분리가능한 물탱크(8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8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800)의 상측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팬어셈블리(300)(400)에 배치된다.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측면토출구(301)로 공기를 토출하고,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복수개의 팬(310)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310) 3개가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310)은 사류형 원심팬이 사용된다. 상기 팬(31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팬(310)은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되, 상기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전방 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되는 팬케이싱(320)과, 상기 팬케이싱(320)에 결합되고,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팬(310)을 포함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정면 및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밀착되어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케이싱(320)의 측면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팬케이싱(320)에 측면토출구(301)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2)에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토출베인이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는 상기 팬케이싱(3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팬(310)은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팬(310)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일렬로 적층된다.
상기 팬(310)은 사류형 원심팬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전방 측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도 8은 도 1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커버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상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강된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0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0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어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가 형성된 프론트패널(210)과,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는 패널토출구(1101)가 형성된 패널모듈(1100)과, 상기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와, 상기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을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과, 상기 패널모듈(1100) 상측에 배치되고, 실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900)과, 상단이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패널모듈 어셈블리(11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가이드(1800)를 포함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프론트패널(210)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패널토출구(1101)는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정면토출구(201) 및 패널토출구(1101)의 면적 및 형상은 동일하다. 정면토출구(201)가 패널토출구(110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패널모듈(1100)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에 실내기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프론트패널(1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1100)을 투과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프론트패널(1100)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고, 노출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패널(21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500)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프론트패널의 구성>>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실내기의 전면에 배치된다. 프론트패널(210)은 프론트패널바디(212)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정면토출구(201)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의 좌측면을 커버하는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의 우측면을 커버하는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좌우 폭에 비해 상하 갈이가 매우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에 비해 상하 길이는 3배 이상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좌우 폭에 비해 전후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에 비해 전후 두께는 1/4 이하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는 정면토출구(201)의 하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디스플레이 개구부(202)가 정면토출구(201)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정면토출구(201)의 중심과 디스플레이 개구부(202)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중심선(C)은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대칭된다.
상기 중심선(C) 상에 상기 카메라모듈(1900)의 카메라(1950)가 배치된다.
정면토출구(201)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형상은 토출그릴(450)의 정면형상에 대응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 토출그릴(450)이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정면토출구(201)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토출그릴(450)을 노출시키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토출그릴(450)이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해 상기 프론트패널(21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토출그릴(450)이 프론트패널(210) 전방으로 돌출되면, 토출그릴(450)를 통과한 공기와 프론트패널(210)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토출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는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에 고정된 패널모듈(1100)의 좌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는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에 고정된 패널모듈(1100)의 우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는 패널모듈(110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의 후방측 단에서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측으로 돌출된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가 더 배치된다.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의 후방측 단에서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측으로 돌출된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가 더 배치된다.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는 상기 패널모듈(1100)의 배면에 위치된다. 즉, 패널모듈(1100)은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 사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 사이의 간격을 프론트패널의 내부간격(I)으로 정의한다. 상기 내부간격(I)은 프론트패널(210)의 전후 두께보다 짧다.
그리고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 사이의 간격을 프론트패널의 개방간격(D)으로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개방간격(D)은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W) 보다 짧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는 교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직교된다.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을 구성하는 프론트패널바디(212),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 전체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전체가 알루미늄재질이다.
그래서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는 프론트패널바디(212)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되고,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에서 반대편으로 절곡된다.
전체가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프론트패널(210)을 용이하게 절곡하기 위해,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1 벤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2 벤딩홈(21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및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3 벤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4 벤딩홈(21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벤딩홈들은 프론트패널(2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벤딩홈들은 절곡부위 안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2벤딩홈(213a)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사이드의 사이각을 직각으로 형성시키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제 1, 2벤딩홈(213a)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사이드의 절곡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지 않고, 절곡과정에서 임이의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3, 4 벤딩홈(213b)도 제 1, 2 벤딩홈(213a)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프론트패널(210)의 상측에는 패널 어퍼개구부(203) 및 패널 로어개구부(204)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10)는 하나의 금속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패널 어퍼개구부(203) 및 패널 로어개구부(204)는 같은 면적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널모듈(1100)의 두께는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의 간격과 같거나 작다. 상기 패널모듈(1100)은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 또는 패널 로어개구부(204)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널모듈(1100)은 프론트패널엔드(215)(217)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에 삽입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정면토출구(20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프론트패널(210)에 의해 은닉된다. 카메라모듈(1900)은 작동시에만 프론트패널(210) 상측으로 노출되고,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프론트패널(210) 배면에 숨겨진다.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카메라모듈(1900)의 측면 및 배면을 감싸고, 체결부재(미도시)는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5)(217)를 관통하여 카메라모듈(1900)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좌우 폭과 카메라모듈(1900)의 좌우 폭이 같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좌우 폭과 패널모듈(1100)의 좌우 폭이 같게 형성된다 .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전후 두께와 카메라모듈(1900)의 전후 두께는 같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전후 두께와 패널모듈(1100)의 전후 두께도 같게 형성된다 .
그래서 상기 카메라모듈(1900) 및 패널모듈(1100)은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 사이에 위치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에 지지될 수 있다.
<<패널모듈의 구조>>
상기 패널모듈(1100)은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보다 상하 길이가 매우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패널모듈(1100)을 하나의 파트로 제작할 경우, 프론트패널(210)의 패널 어퍼개구부(203) 또는 패널 로어개구부(204)를 통해 삽입하는데 제약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1100)은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 2개로 제작하고, 어퍼패널모듈(1110)은 패널 어퍼개구부(203)를 통해 프론트패널(210) 내부로 삽입하고, 로어패널모듈(1120)은 패널 로어개구부(204)를 통해 프론트패널(210) 내부로 삽입한다.
2파트로 제작할 경우, 어퍼패널모듈(1110) 또는 로어패널모듈(1120)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일체화된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뒤틀림을 억제하고, 외력에 대해 강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어퍼패널모듈(1110)만 분리하면 되고,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로어패널모듈(1120)만 교체하면된다.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에 삽입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을 지지하며,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변형 및 휨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사출물로 제작된다. 사출물로 제작된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프론트패널바디(212), 각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 및 각 프론트패널엔드(215)(217)에 접촉된다.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이 프론트패널바디(212), 각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 및 각 프론트패널엔드(215)(217)를 지지하기 때문에, 금속재질로 형성된 프론트패널(210)의 휨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외부 충격이 빈번하게 가해지는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전체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도어어셈블리(200)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체면이 아닌 일부면적만을 지지한다. 즉,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전후 방향으로 다수의 굴곡을 형성하고,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에서 일부 면적을 지지한다.
<어퍼패널모듈의 구성>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은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배치되는 어퍼패널바디(1130)와,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정면토출구(201)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는 패널토출구(1101) 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토출구(1101)는 상기 정면토출구(201)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는 모두 원형으로 형성된다. 토출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 사이에 개스킷(20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205)은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개스킷(205)에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이 밀착된다. 상기 개스킷(205)의 배면에 상기 패널토출구(1101)가 위치된다.
상기 패널토출구(1101)은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면적과 같거나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면적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스킷(205)의 설치구조를 감안하여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직경보다 좀 더 크게 상기 패널토출구(1101)가 형성된다. 상기 개스킷(205)은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내측면 및 패널토출구(1101)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프론트패널(210) 사이를 밀폐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토출그릴(450)은 상기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순서대로 관통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토출그릴(450)이 외부로 돌출될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팬하우징(430) 전방측 단은 상기 개스킷(205)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430)의 전방측 단이 개스킷(205)에 밀착되면, 팬하우징(430)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도어어셈블리(200)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토출공기가 도어어셈블리(200)의 내부로 누설되는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200) 내부에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론트패널(210)이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냉방 시 도어어셈블리(200) 내부로 누설되는 토출공기는 정면토출구(201) 주변을 냉각시키고, 상기 정면토출구(201) 주변에 다량의 이슬맺힘을 유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모듈(1110)에 도어커버어셈블리(1200) 및 디스플레이모듈(1500)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 및 디스플레이모듈(1500) 모두 어퍼패널모듈(1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프론트패널(210) 두께 내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은 디스플레이 설치부(1113)가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113)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113)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500)이 어퍼패널바디(113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113)는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어퍼패널모듈(1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프론트패널(210)의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를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500)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모듈(1500)의 디스플레이(1510)는 프론트패널(210)의 전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즉, 디스플레이모듈(1500)의 디스플레이(1510) 전면은 프론트패널(21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전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을 관통하는 케이블을 통해 전원 및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의 배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하측으로 이동되면,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과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패널모듈(1100)과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패널모듈(1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특히,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 내부에서 상호 조립되기 때문에,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 시, 흔들림 또는 작동소음을 최소화시킨다.
이를 위해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 중 어느 하나는 상대측으로 돌출된 패널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돌출끼움부가 수용되는 패널끼움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패널모듈(1110)에 패널돌출부(1113)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돌출부(1113)는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패널돌출부(1113)를 수용하고, 상기 패널돌출부(1113)와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되기 위해 상기 로어패널모듈(1120)에 패널끼움부(1123)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끼움부(1123)는 로어패널모듈(1120)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로어패널모듈의 구성>
상기 로어패널모듈(1120)은,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설치된다. 상기 로어패널모듈(1120)은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 안에 설치된다. 로어패널모듈(1120)은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을 지지하며,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과 조립된다.
로어패널모듈(112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 안에 설치되어 프론트패널(210)의 변형을 방지한다. 로어패널모듈(1120)은 어퍼패널모듈(1110)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상기 로어패널모듈(112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에 조립되는 로어패널바디(1122)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패널바디(1122) 상측에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에 패널돌출부(1113)와 상호 끼움결합되는 패널끼움부(1123)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끼움부(1123)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로어패널모듈(1120)에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구동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엔드(217)를 각각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로어패널모듈(1120)이 프론트패널(210)에 고정된다.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부재는 모두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엔드(217)의 배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체결구조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숨겨진다.
특히 금속재질로 형성된 프론트패널(210)의 외부면에 체결부재 또는 체결을 위한 홀이 노출되지 않고 은닉된다.
<<도어커버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켜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경로를 확장시킨다.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는 개방된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도어어셈블리(2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할 때,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에 배치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1210)와, 상기 도어커버(1210)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는 도어커버하우징(1220)과,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 및 도어커버(121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커버(1210)의 배면에 조립되고, 상기 도어커버(12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커버무빙모듈(1600)과,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 또는 도어어셈블리(2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커버(1210)는, 정면토출구(201)에 삽입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과 연속된 면을 제공한다.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1210)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1210)가 정면토출구(201)에서 분리된 후,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작동시켜 도어커버어셈블리(1200) 전체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에 의해 도어커버(121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에 의해 도어커버(1210)가 정면토출구(201)에서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과 도어커버(1210)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를 제 1 정면개방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정면개방일 때,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커버(1210)에 가려지고,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정면개방일 때, 캐비닛 내부의 공기는 상기 도어커버(1210) 및 프론트패널(210) 사이에의 갭을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1210)의 후방에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가 위치된다. 상기 제 1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1210)는 프론프패널바디(212)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1210)가 정면토출구(201)의 후방에서 정면토출구(201) 하측으로 이동되고, 정면토출구(201)가 도어커버(121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상태를 제 2 정면개방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121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원거리팬 어셈블리(400)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1210)는 프론프패널바디(212)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는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 밖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가 프론트패널(210)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실내를 향해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 또는 도어커버(1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1500)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 시, 상기 도어커버(1210)가 하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1500)와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제 2 정면개방 시, 상기 도어커버(1210) 및 디스플레이(1500)의 배면을 소정간격 이격된다.
즉, 상기 제 1 정면개방 시, 상기 도어커버(1210)는 상기 프론트패널(210) 두께보다 더 많이 후방으로 이동되어야만, 상기 제 2 정면개방 동작 시 상기 도어커버(1210) 및 디스플레이(150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1210)는, 프론트패널(210)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아우터도어커버(1212)와,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과 조립되고,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너도어커버(1214)와,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과 상호 간섭을 통해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전진 또는 후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는 무버(1230)를 포함한다.
상기 무버(1230)는 후술하는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커버가이드(1640)와 조립된다. 상기 무버(1230)는 상기 커버가이드(1640)가 회전될 때 상호 간섭되고, 상기 무버(1230)와 결합된 도어커버(1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는 정면토출구(201)의 면적 및 형상과 동일하다.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는 정면토출구(201)의 면적 또는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이너도어커버(1214)는 아우터도어커버(1212)보다 넓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가 정면토출구(20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가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아우터도어커버(1212)는 직경 및 형상이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는 정면토출구(201) 보다 직경이 큰 원형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하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아우터도어커버(1212) 사이의 경계를 커버한다.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는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재질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커버(1212)는 전체가 알루미늄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는 전면만 금속재질로 코팅되어도 무방하다. 전면만 금속재질로 코팅되는 경우, 도어커버(1210)의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 및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작동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는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에 삽입될 때,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면 및 후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는,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으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중심과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중심은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너도어커버(1214)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이너도어커버(1214)는 중심에 공간에 형성된 링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는, 중심에 위치되고,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배면에 밀착되는 코어도어커버(1215)와,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 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외측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보더도어커버(1216)와,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 및 보더도어커버(1216)을 연결하고,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와 이격되어 공간(1119)을 형성시키는 커넥트도어커버(1217)와,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 커넥트도어커버(1217) 및 보더도어커버(1216)을 연결하고, 상기 커넥트도어커버(1217)에서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 측으로 돌출된 커넥트리브(1218)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트리브(1218)는 이너도어커버(1214)의 중심에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커넥트리브(1218)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중심에 대해 등각도로 배치된다.
상기 커넥트리브(118)의 전면은 상기 아우터도어(1212)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트리브(1218)의 배면은 상기 커넥트도어커버(1217)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커넥트리브(1218)의 내측면은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에 연결되고 외측면은 상기 보더도어커버(116)에 연결된다.
상기 공간(1119)은,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 보더도어커버(1216) 및 복수개의 커넥트리브(1218)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공간(1119)은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공간(1119)은 등각도로 배치된다. 상기 커넥트리브(1218) 및 공간(1119)의 구조로 인해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강성이 향상된다.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는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더도어커버(1216)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에는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일부 구성이 삽입되는 코어개구부(1211)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개구부(1211)에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일부 구성이 삽입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보더도어커버(1216)는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보더도어커버(1216)는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외측가장자리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된 보더플랜지(1213)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 및 이너도어커버(1214)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더플랜지(1213)는 상기 도어커버(121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형성된다.
상기 보더플랜지(1213)는 이너도어커버(1214)보다 후방측에 위치된다. 보더플랜지(1213)는 이너도어커버(1214) 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더플랜지(1213)는 아우터도어커버(12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커버(1210)가 프론트패널(210)의 정면토출구(201)에 삽입될 때, 상기 보더플랜지(1213)는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아우터도어커버(1212) 사이의 경계에 밀착된다.
상기 보더플랜지(1213)는 정면에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더플랜지(1213)에 개스킷(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아우터도어커버(1212) 사이의 경계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1210)가 프론트패널(210)에 밀착될 때, 상기 개스킷은 접속소음을 감소시키고,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아우터도어커버(1212) 사이의 경계를 밀폐시킬 수 있다.
원거리팬 어셈블리(400)가 작동되지 않고, 근거리팬 어셈블리만 작동될 때,상기 경계를 통해 냉기가 누설되면, 상기 경계부분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보더플랜지(1213)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홈(121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213a)은 정면에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1213a)에 상기 개스킷이 인서트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두께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두께 중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래서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은 도어어셈블리(200)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두께를 최소화하면,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작동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코어개구부(1211)은 아우터도어커버(1214)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코어개구부(1211)에 후술하는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모터가 삽입된다.
상기 무버(1230)는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에 배치된다. 무버(1230)는 이너도어커버(1214)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버(1230)는 별도로 제작된 후, 이너도어커버(1214)에 조립된다. 그래서 상기 무버(1230)는 이너도어커버(1214)과 조립되기 위한 조립구조가 배치된다.
상기 무버(1230)는 이너도어커버(1214)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무버바디(1232)와, 상기 무버바디(1232)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후술하는 커버가이드(1640)의 가이드웨이(1650)에 삽입되는 무버가이드(1234)를 포함한다.
상기 무버바디(1232)는 정면에서 볼 때 전체적인 형상이 링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무버바디(1232)에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와 체결되는 무버체결부(1236)가 형성된다. 상기 무버체결부(1236)는 무버바디(123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무버체결부(1236)의 돌출방향은 무버가이드(1234)의 돌출방향과 반대이다.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에는 상기 무버체결부(1236)와 대응되는 체결부(1214a)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14a)는 코어개구부(1211)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14a)는 무버바디(1232)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무버바디(1232)의 내주면에는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의 후단을 지지하는 무버바디서포터(1233)가 배치된다.
상기 무버바디(1232) 및 무버가이드(1234)는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무버바디(1232)는 도어커버(1210)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무버바디(1232)는 후술하는 커버가이드(1640)와 간섭될 수 있는 길이까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버가이드(1234)는 상기 무버바디(1232)와 직교된다. 상기 무버가이드(1234)는 프론트패널바디(212)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버가이드(1234)의 돌출방향은 상기 커버가이드(1640)과의 결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버바디(1232)는 커버가이드(1640)의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무버가이드(1234)는 무버바디(123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무버바디(1232)가 커버가이드(1640)의 외부에 위치되는 경우, 가이드돌기는 무버바디(123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무버가이드(1234)는 후술하는 커버가이드(1640)의 가이드웨이(1650)에 조립되고, 상기 커버가이드(1640)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웨이(1650)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은 어퍼패널(11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은 상기 어퍼패널(11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도어하우징커버(1222)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도어커버수납부(1223)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도어커버수납부(1223)와 연통되고, 상기 도어커버수납부(1223)보다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이 설치되는 무빙모듈설치부(1224)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는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에 위치된다.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좌측 및 우측은 상기 내부간격(I) 안에 위치되고, 대부분은 상기 개방간격(D)을 통해 노출된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좌측 및 우측은 각 프론프패널엔드(215)(217)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각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전후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도어커버하우징(1220)가 후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어커버하우징(1220)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된다.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는 프론트패널(2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내부간격(I)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는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의 전후 방향 두께는 상기 내부간격(I)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작동 시, 도어커버(1210)는 후방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커버수납부(1223)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폐쇄하고 있을 때, 상기 도어커버(1210)는 도어커버하우징(1220)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프론트패널(210)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된다.
도어커버수납부(1223)는 도어커버(1210)를 수용하기 위해 전방이 개구되고,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도어커버수납부(1223)는 도어커버하우징(1222)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의 상면(1222a)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커버(1210)의 가장자리를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상면(1222a) 하측에 상기 도어커버(121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면(1222a) 하측에 상기 도어커버수납부(1223)가 배치된다.
상기 상면(1222a)의 곡률중심은 상기 도어커버(1210)의 곡률중심과 일치될 수 있다. 상기 상면(1222a)은 상기 도어커버(1210)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어퍼패널바디(1130)에는 도어커버하우징(1220)과 상호 간섭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도어커버탑월(1114)이 배치된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어퍼패널바디(1130)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상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상측면은 정면에서 볼 때 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 보다 직경이 큰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상측면 전체를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의 하측면에 도어커버하우징(1220)이 밀착되고, 캐비닛 내부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패널토출구(1101)과 같은 곡률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패널토출구(1101) 보다 큰 곡률반경으로 형성된다.
도어커버탑월(1114)은 카메라모듈(1900) 측으로 캐배닛 내부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냉기가 상기 카메라모듈(1900) 측으로 직접 공급될 경우, 카메라모듈(1900)에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도어커버탑월(1114)은 패널토출구(1101)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면(1222a)이 도어커버탑월(1114)과 접촉되면, 도어커버(1210),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가 전후 방향에 대해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정위치까지 상승되지 않을 경우, 도어커버(1210)는 어퍼패널바디(1130)에 걸려 정면토출구(201)로 이동될 수 없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의 각 측면(1222b)은 프론트패널(210)의 각 프론트패널엔드(215)(217)과 대향된다. 상기 측면(1222b)은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에 위치되고, 상기 내부간격(I)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무빙모듈설치부(1224)는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무빙모듈설치부(1224)는 도어커버수납부(1223)와 연통되고, 도어커버수납부(1223)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무빙모듈설치부(1224)는 전방이 개구되고,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무빙모듈설치부(1224)는 도어커버(121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도어커버(121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무빙모듈설치부(1224)의 전후 방향 두께는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두께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빙모듈설치부(1224)는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무빙모듈설치부(1224)의 중심과 도어커버(1210)의 중심은 일치된다.
그리고 무빙모듈설치부(1224)에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구성 대부분이 설치된다.
<<도어커버무빙모듈의 구성>>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은, 상기 도어커버(12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은 제 1 정면개방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도어커버(121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커버(1210)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액체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이동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도어커버(1210)는 모터 및 다관절 링크구조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링크구조 및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조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는 구조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어어셈블리(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증가시킬 수 밖에 없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은 도어커버모터의 회전력을 상호 간섭을 통해 변환시켜 상기 도어커버(12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구조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전후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은, 도어커버(1210)의 후방에 위치되고,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설치되고, 도어커버모터축(1611)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커버모터(1610)와, 상기 도어커버모터축 결합되고, 상기 도어커버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썬기어(1620)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썬기어(1620)와 치합되고, 상기 썬기어(162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1630)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 및 도어커버(12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1630)들이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1630)들과 각각 치합되고, 상기 유성기어(1630)들의 회전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도어커버(1210)와의 상호 간섭을 통해 상기 도어커버(1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커버가이드(1640)를 포함한다.
상기 썬기어(1620)는 피니언기어이고,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유성기어(1630)는 피니언기어이고,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성기어(1630)는 3개가 배치된다. 3개의 유성기어(1630)는 각각 썬기어(1620)의 외측면에 치합되고, 상기 썬기어(1620)의 회전 시 동시에 회전된다.
복수개의 유성기어(1630)들 및 썬기어(1620)는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무빙모듈설치부(1224)에 삽입된다. 상기 무빙모듈설치부(1224)에는 상기 썬기어(1620)가 설치되는 썬기어설치부(1225)와, 각 유성기어(1630)가 설치되는 각각의 유성기어설치부(1226)가 배치된다.
상기 썬기어설치부(1225)는 썬기어(1620)의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썬기어(1620)는 썬기어설치부(1225)에 조립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는 상기 썬기어(1620)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는 무빙모듈설치부(1224) 내부에 위치된다.
도어커버모터(1610)의 도어커버모터축(1611)은 전방에서 후방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도어커버모터(1610)의 후방에 배치된 썬기어(1620)와 결합된다.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를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고정시키기 위해 모터하우징(1660)이 더 배치된다.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가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배면에 위치될 경우, 도어커버모터(1610)가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커버모터(1610)를 도어커버하우징(122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를 고정하기 위한 모터하우징(1660)을 배치한다.
상기 모터하우징(1660)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하우징(1660)은 도어커버모터(1610)가 조립된 상태로 무빙모듈설치부(1224) 내부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하우징(1660)은 커버가이드(1640)의 내부에 위치되고, 커버가이드(1640)는 모터하우징(166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이다.
정면에서 볼 때, 도어커버모터(1610) 및 커버가이드(1640) 사이에 상기 모터하우징(1660)이 위치된다. 전후방향으로 볼 때, 도어커버하우징(1220) 및 도어커버(1210) 사이에 모터하우징(1660)이 위치된다.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와 상기 모터하우징(1660)이 조립되었을 때 전후 방향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어커버모터(1610)는 상기 모터하우징(1660)을 관통하는 형태로 조립된다.
이를 위해 모터하우징(1660)은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가 관통되는 모터관통부(1662)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관통부(1662)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관통부(1662)는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코어개구부(1211)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모터하우징(166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는 상기 모터관통부(1662)를 관통하고, 상기 코너개구부(1211)에 삽입된다.
도어커버모터(1610)는 조립되는 구조물인 모터하우징(1660)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어커버(1210)의 구조물 내부로도 삽입되기 때문에, 도어어셈블리(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커버가이드(1640)는 도어커버하우징(1220) 및 도어커버(1210) 사이에 배치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커버가이드(1640)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링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는 상기 유성기어(1630)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는 정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 및 도어커버(1210)는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커버가이드(1640)의 회전 시 상호 간섭을 통해 상기 도어커버(1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는, 링형태로 형성된 커버가이드바디(1640)와, 상기 커버가이드바디(1640)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유성기어(1630)들과 치합되는 가이드기어(1642)와, 상기 커버가이드바디(164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커버간섭부(1230, 본 실시예에서 무버가이드(1234))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무버가이드(1234)와의 상호 간섭을 통해 상기 도어커버(1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가이드웨이(165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가 유성기어(1630)의 작동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커버(1210)의 무버(1230)는 상기 커버가이드(1640)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킨다. 상기 상호 간섭 시 무버가이드(1234)는 회전되진 않지만, 상기 커버가이드(1640)가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웨이(1650)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기어(1642)는 링기어 형태이다. 상기 가이드기어(1642)는 커버가이드바디(1640)의 내주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웨이(1650)는 상기 커버가이드바디(1642)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웨이(1650)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가이드(1640)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이드웨이(1650)가 커버가이드(1640)의 내외측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버가이드(1234)는 상기 가이드웨이(1650)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웨이(1650)의 관통방향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전면과 평행하다. 상기 가이드웨이(1650) 및 무버가이드(1234)의 결합방향은 전후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다.
상기 가이드웨이(1650)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무버가이드(1234)가 상기 가이드웨이(1650)와 상호 간섭되고, 상기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무버가이드(1234)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가이드웨이(1650)는 상기 커버가이드바디(1642)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버가이드바디(1642)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완만한 곡선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웨이(1650)의 전후 방향 길이만큼 상기 도어커버(1210)가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가이드웨이(1650)는 복수개소에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3개가 배치된다. 3개의 가이드웨이(1650)는 커버가이드(16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웨이(1650) 및 무버가이드(1234)는 상호 간섭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이드웨이(1650)가 커버가이드(16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가이드(1640)의 회전 시, 상기 무버가이드(1234)는 회전되지 않지만 상기 가이드웨이(1650)를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된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의 축중심은 상기 썬기어(1620)의 축중심과 일치된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는 무빙모듈설치부(1224)에 삽입되고, 상기 무빙모듈설치부(1224)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기어(1642)는 커버가이드바디(1642)의 내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기어(1642)는 커버가이드(1640)의 축중심을 향하도록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의 내측에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 복수개의 유성기어(1630)들, 썬기어(1620)가 배치되고,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구성>>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프론트패널(210)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제 2 정면개방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1개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이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겸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지지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을 좌우 2개 배치한다.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프론트패널(2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도어커버(1210)가 결합된 도어커버하우징(1220)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설치공간은 상기 내부간격(I) 이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는 프론트패널(210)의 두께 이하로 설치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전후 방향 두께는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두께 이하이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은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에 의해 상기 정면토출구(201)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제 2 정면개방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향하는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경로에 배치된 도어커버(1210)는,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작동에 의해 정면토출구(201)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1210)가 수직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도어커버(1210)의 어느 부분도 상기 정면토출구(201)와 오버랩되지 않는다.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경로 밖으로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을 이동시킨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상기 토출그릴(450)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과,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을 포함한다.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 및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은 동일한 구성이고 좌우 대칭이다.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 또는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1710)과,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배치되고, 상기 랙(1710)과 치합되고, 회전 시 상기 랙(1710)을 따라 이동되는 기어어셈블리(1730)와,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구동모터(1720)와,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 및 랙(171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무빙레일(1790)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기어어셈블리(1730) 및 기어구동모터(1720)이 설치되는 기어하우징(17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하우징(1780)이 배치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 및 기어구동모터(1720)는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직접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어하우징(1780)에 기어어셈블리(1730) 및 기어구동모터(1720)를 조립한 후, 기어하우징(1780)을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조립한다.
상기 랙(171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랙(171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에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 또는 패널모듈(11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랙(1710)을 직접 설치할 경우,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프론트패널(210)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홀을 통해 냉기가 누설될 수도 있고,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프론트패널(21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론트패널(210)이 아닌 패널모듈(1100)에 랙(1710)을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1710)은 어퍼패널모듈(1110)에 조립된다. 상기 랙(1710)은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중 상기 내부간격(I)에 삽입된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랙(1710)은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1710)은 2개가 배치되고, 각 랙(1710)은 프론트패널(21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내부간격(I)에 각각 배치된다. 복수개 랙(1710)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프론트패널(21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랙을 좌측 랙이라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랙을 우측 랙이라 정의한다. 상기 좌측 랙 및 우측 랙은 좌우 대칭이다.
<랙의 구성 및 설치구조>
상기 랙(1710, rack)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랙바디(1712)와, 상기 랙바디(1712)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 내부간격(I)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랙바디(17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 랙치형부(1711)를 포함한다.
상기 랙치형부(1711)는 상기 랙바디(1712)에서 반대편 프론트패널사이드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랙치형부(1711)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랙바디(1712)에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치형부(1711) 및 랙바디(1712)는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랙치형부(1711)는 치형이 수평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랙치형부(1711)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기어어셈블리는 상기 랙치형부(1711)와 상호 치합되고, 상기 랙치형부(171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1710)는, 상기 랙바디(1712)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7)에 밀착되는 랙밀착부(1713)와, 상기 랙바디(1712)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과 조립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랙걸림부(1714)와, 상기 랙바디(1712)에 배치되고, 상하무빙레일(1790)이 배치되는 레일설치부(171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랙치형부(1711), 랙바디(1712), 랙밀착부(1713), 랙걸림부(1714) 및 레일설치부(1719)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랙치형부(1711), 랙바디(1712), 랙밀착부(1713), 랙걸림부(1714) 또는 레일설치부(1719) 중 일부를 별도로 제작한 후, 조립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랙밀착부(1713)는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7)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랙(1710)을 고정하는 체결부재는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7) 및 랙밀착부(1713)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랙밀착부(1713)는 랙바디(1712)와 교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직교된다. 상기 랙밀착부(1713)는 프론트패널(210)의 전면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랙바디(1712)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랙바디(1712)에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랙바디(1712)에서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 반대편 프론트패널사이드(215)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랙(17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은 상기 레일설치부(1719)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은 랙밀착부(1713)의 좌우 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오목하게 형성된 레일설치부(1719) 내에 상하무빙레일(1790)를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랙(1710) 및 상하무빙레일(179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랙바디(1712)에서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는 내부간격(I)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대편 프론트패널사이드을 향해 개구된다. 개구된 부분으로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이 삽입된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상기 랙바디(1712)와 연결된 제 1 레일설치벽(1719a)과, 상기 제 1 레일설치벽(1719a)과 교차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하무빙모듈(1790)이 고정되는 제 2 레일설치벽(1719b)과, 상기 제 2 레일설치벽(1719b)과 교차되고, 상기 제 1 레일설치벽(1719a)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3 레일설치벽(1719c)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제 1 레일설치벽(1719a), 제 2 레일설치벽(1719b) 및 제 3 레일설치벽(1719c)에 둘러싸인 레일설치공간(1719d)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설치공간(1719d)는 반대편 프론트패널사이드를 향해 개구된다.
제 1 레일설치벽(1719a)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랙밀착부(1713)과 대향된다. 제 2 레일설치벽(1719b)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프론트패널사이드(216)(217)과 대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레일설치벽(1719a) 및 제 2 레일설치벽(1719b)은 직교된다.
랙밀착부(1713), 제 1 레일설치벽(1719a) 및 제 2 레일설치벽(1719b) 사이에 랙공간(17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1710)은 사출성형을 통해 랙밀착부(1713), 제 1 레일설치벽(1719a), 제 2 레일설치벽(1719b), 제 3 레일설치벽(1719c) 및 랙걸림부(1714)를 일체로 제작하기 때문에 각 구성이 유사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랙공간(1710a)은 프론트패널사이드(216)(217) 측으로 개구된다. 상기 랙공간(1710a)의 개구방향과 상기 레일설치공간(1719d)의 개구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상기 레일설치공간(1719d)의 개구방향은 상기 랙치형부(1711)의 돌출방향과 같다.
상기 랙공간(1710a)은 설치된 프론트패널사이드(216)를 향해 개구되고, 레일설치공간(1719d)은 설치되지 않은 반대편 프론트패널사이드(217)를 향해 개구된다.
상기 랙걸림부(1714)는 상기 레일설치부(1719)에서 어퍼패널모듈(111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랙걸림부(1714)는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의 배면에 삽입되고, 상기 랙(171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랙걸림부(1714)는 상기 제 3 레일설치벽(1719c)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 1 랙걸림부(1714a)와, 상기 제 1 랙걸림부(1714b)에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랙걸림부(1714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랙걸림부(1714a) 및 제 2 랙걸림부(1714b)는 교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 "형상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 2 랙걸림부(1714b)는 어퍼패널모듈(1110)과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은 상기 랙(171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은, 프론트패널(210)에 배면에 배치되는 어퍼패널바디(1130)와,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정면토출구(201)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는 패널토출구(1101)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프론트패널(210)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가 형성되는 어퍼패널프론트(1132)와,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와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측면 내측에 위치되는 어퍼패널사이드(1134)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는 도어커버하우징(1220) 및 프론트패널(21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어퍼패널사이드(1134)는 상기 랙(1170) 및 프론트패널(210)의 측면(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사이드)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어퍼패널사이드(1134)는 랙(1170)을 지지하고, 상기 랙(1170)과 조립될 수 있다.
어퍼패널사이드(1134)는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또는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 및 어퍼패널사이드(1134)는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 및 어퍼패널사이드(1134)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을 지지하는 패널프론트지지부(1135)와,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에 배치된 개스킷(205)과 결합되는 패널프론트결합부(1136)와,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에 형성되고, 상기 랙(1710)과 조립되어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패널프론트삽입부(1137)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상기 어퍼패널사이드(1134)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프론트패널사이드(214)(126)에 밀착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프론트패널사이드를 지지하는 제 1 패널사이드지지부(1138)와, 상기 어퍼패널사이드(1134)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프론트패널엔드(215)(217)를 지지하는 제 2 패널사이드지지부(1139)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굴곡으로 형성한다.
상기 패널프론트결합부(1136)는 패널토출구(1101)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상기 패널프론트결합부(1136)는 어퍼패널바디(113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토출구(1101)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패널프론트지지부(1135)는 어퍼패널바디(113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밀착된다.
상기 패널프론트삽입부(1137)는 어퍼패널바디(113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다.
패널프론트삽입부(1137)는 어퍼패널바디(113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후방 측에 랙걸림부(1714)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방향에 대해 적어도 2개소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상기 패널프론트삽입부(1137)가 프론트패널(210)의 지지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상기 패널프론트삽입부(1137) 보다 상기 패널프론트지지부(1135)가 패널토출구(1101) 측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패널프론트삽입부(1137)는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프론트지지부(1135) 및 패널프론트삽입부(1137)는 어퍼패널프론트(113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패널프론트지지부(1135), 패널프론트삽입부(1137) 및 어퍼패널프론트(113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어퍼패널프론트(1132) 및 프론트패널(210)의 배면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어퍼패널사이드(1134)는 프론트패널사이드(214)(126)의 내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널사이드지지부(1138)는 어퍼패널사이드(1134)에서 프론트패널사이드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에 내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제 2 패널사이드지지부(1139)는 어퍼패널사이드(1134)에서 프론트패널엔드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엔드에 내측면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패널프론트지지부(1135), 패널프론트삽입부(1137), 제 1 패널사이드지지부(1138) 및 제 2 패널사이드지지부(1139)를 통해 프론트패널(210)을 지지하고,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 및 프론트패널(210)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한다.
<상하무빙레일의 구성>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은, 제 1 레일설치벽(1719a), 제 2 레일설치벽(1719b) 및 제 3 레일설치벽(1719c)에 둘러싸인 레일설치공간(1719d)에 배치된다.
상하무빙레일(1790)은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특히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조리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은 랙(1710) 및 도어커버하우징(1220)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하무빙레일(1790)은 레일설치부(1719) 및 도어커버하우징(1220) 사이에 배치된다.
상하무빙레일(1790)은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하무빙레일(1790)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측면 바깥쪽에 위치된다.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를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측면에 배치하여 도어어셈블리(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하무빙레일(1790)은 랙(1710)에 설치된 제 1 레일(1792)과,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설치된 제 2 레일(179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레일(1792)는 상기 레일설치부(1719)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설치공간(1719d)에 수용된다. 제 1 레일(1792)는 레일설치공간(1719d)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랙(1710)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레일(1794)는 상기 제 1 레일(1792)과 조립되고, 상기 제 1 레일(179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1 레일(1792) 및 제 2 레일(1794) 사이에 복수개의 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은 제 1 레일(1792) 및 제 2 레일(1794)의 마찰을 저감시킨다.
상기 제 2 레일(1794)의 일부는 상기 제 1 레일(1792)과의 조립을 위해 상기 레일설치공간(1719d)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레일(1794)은 좌우 방향에 대하여, 랙치형부(1711) 밖으로 돌출되지 않고, 배면에서 볼 때, 상기 랙치형부(1711)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제 2 레일(1794)는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측면에 조립된다. 상기 제 1 레일(1792) 및 제 2 레일(1794)은 상하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이 상하 이동될 때, 상기 제 1 레일(1792) 및 제 2 레일(1794)은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마찰을 저감시킨다.
<기어어셈블리 및 기어구동모터의 구성>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 및 랙(1710)의 치합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된다.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 및 랙(1710)의 치합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하 높이가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높낮이를 유지시키는 별도의 구성이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는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의 구동력을 상기 랙(1710)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하중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어셈블리(1720)는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는,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제 1 치형부(174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치형부(1741)를 통해 상기 랙(1710)과 치합되고, 상기 랙(1710)과 치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기어(1740)와,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형성된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1 치형부(1751)를 통해 상기 제 1 기어(1740)의 제 1 치형부(1741)와 치합되는 제 2 기어(1750)와,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치형으로 형성된 제 3-1 치형부(1761) 및 제 3-2 치형부(1762)를 포함하고, 상기 제 3-1 치형부(1761)를 통해 상기 제 2 기어(1750)의 제 2-2 치형부(1752)와 치합되는 제 3 기어(1760)와,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3-2 치형부(1762)와 치합되고,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웜기어(177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의 모터축(1721)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의 모터축(1721)은 상기 웜기어(1770)를 관통한다. 상기 웜기어(1770)의 축중심은 상기 모터축(1721)과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기어(1740)는 랙(1710) 및 제 2 기어(1750)과 각각 치합된다.
상기 제 2 기어(1750)는 상기 제 1 기어(1740) 및 제 3 기어(1760)과 각각 치합된다.
상기 제 3 기어(1760)는 상기 제 2 기어(1750) 및 웜기어(1770)과 각각 치합된다.
상기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의 각 치형은 피니언기어 타입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의 각 회전축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치형부(1741)는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배치된다.
제 1 치형부(1741) 및 랙치형부(1711)가 치합되는 위치와, 상기 제 1 치형부(1741) 및 제 2-1 치형부(1751)가 치합되는 위치는 서로 다르다.
제 1 치형부(1741), 랙(1710)의 랙치형부(1711) 및 제 2-1 치형부(1751)는 모두 같은 크기 및 형태의 치형으로 형성된다.
제 1 치형부(1741), 랙(1710)의 랙치형부(1711) 및 제 2-1 치형부(1751)는 모두 동일한 피니언기어 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는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피니언기어 타입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는 제 1 기어(1740)와 같이 하나의 치형이 배치되는 대신, 서로 다른 2개의 치형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기어(1750)는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가 배치되고,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제 2 기어(1750)의 회전축 방향(본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 2 기어(1750)에서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서로 다른 치형으로 형성된다.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모두 피니언기어 치형으로 형성된다.
정면에서 볼 때,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각각 지름이 다른 원형으로 배치된다.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 중 어느 하나가 전방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가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1 치형부(1751)는 제 2-2 치형부(1752)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제 2-1 치형부(1751)는 상기 제 1 치형부(1741) 및 제 3-2 치형부(1762)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1750)는 제 1 기어(1740) 및 제 3 기어(1760)와 동시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기어(1750)와 같은 치형이 상기 제 1 기어(1740) 및 제 3 기어(1760)에도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제 2-2 치형부(1352), 제 1 치형부(1341) 및 제 3-1 치형부(1361)는 동일한 규격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기어(1750)는 제 2-1 치형부(1751)의 직경보다 제 2-2 치형부(1752)의 직경이 더 크다.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의 직경을 다르게 배치하여 제 1 기어(1740) 및 제 3 기어(1760)와 동시에 치합되는 치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기어(1740) 및 제 2 기어(1750)가 치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 1 기어(1740)는 상기 제 2-2 치형부(1752)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제 2-1 치형부(1751)가 제 2-2 치형부(1752)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의 전후 방향 배치가 반대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 2 기어(1750)에서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서로 다른 치형으로 형성된다.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모두 피니언기어 형태의 치형이다.
상기 제 3 기어(1760)는 제 3-1 치형부(1761) 및 제 3-2 치형부(1762)를 포함한다. 제 3-1 치형부(1761) 및 제 3-2 치형부(176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웜기어(1770)과 치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3-1 치형부(1761) 및 제 3-2 치형부(1762)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웜기어(1770)과 치합되는 제 3-2 치형부(1762)의 직경이 제 3-1 치형부(176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2 치형부(1762)는 웜기어치형부(1771)과 치합되기 때문에, 제 3-1 치형부(1761)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경우, 상기 웜기어치형부(1771)와 제 3-1 치형부(1761)가 간섭될 수 있다. 상기 제 3-2 치형부(1762) 및 웜기어치형부(1771)는 웜기어 방식으로 치합되고, 웜기어 치합을 통해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2 치형부(1762)의 직경이 상기 제 3-1 치형부(1761) 보다 크다.
웜기어(1770)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 3-2 치형부(1762)는 상기 3-1 치형부(1761) 보다 후방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3 기어(1760)의 회전축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3-1 치형부(1761) 및 제 3-2 치형부(1762)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3-1 치형부(1761)는 제 3-2 치형부(1762)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제 3-1 치형부(1761)는 제 2-2 치형부(1752)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고, 제 3-2 치형부(1762)는 제 2-1 치형부(1751)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2 치형부(1762)는 웜기어(1770)과 치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 3-2 치형부(1762)의 치형은 웜기어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1 치형부(1761)는 상기 제 2-2 치형부(1752)와 치합되기 때문에, 피니언기어 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웜기어(177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이고, 회전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웜기어(1770)는 외주면에 웜기어치형(1771)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스파이럴 형태다.
상기 웜기어(1770)의 회전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웜기어치형(1771)은 수직방향의 외력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1770)의 회전축이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에서 수직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웜기어(1770)는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웜기어(1770)의 회전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 3 기어(1760)에서 가해지는 수직방향 외력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웜기어(1770)의 배치를 통해 별도의 스토퍼 등을 구현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자중은 랙(1710) 및 제 1 기어(1740)의 치합과, 웜기어(1770) 및 제 3 기어(1760)의 치합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웜기어(1770)은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의 모터축(1721)과 직접 연결된다.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의 모터축(1721)은 상기 웜기어(1770)의 회전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는 스텝모터가 사용되고, 상기 제 3 기어(176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상기 웜기어(1770)가 회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어하우징(1780)에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제 3 기어(1760), 웜기어(1770) 및 기어구동모터(1720)가 조립된다.
상기 기어하우징(1780)은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의 회전축을 제공한다. 상기 기어하우징(1780)에 형성된 각 보스(1742)에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가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하우징(1780)은 제 1 기어하우징(1781) 및 제 2 기어하우징(1782)을 포함하다.
제 1 기어하우징(1781) 및 제 2 기어하우징(1782) 사이에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제 3 기어(1760), 웜기어(1770) 및 기어구동모터(1720)가 설치된다.
제 1 기어하우징(1781) 및 제 2 기어하우징(1782) 중 어느 하나에서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각 보스(1742)가 돌출된다. 상기 보스(1742)는 제 1 기어하우징(1781)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기어하우징(1781)이 제 2 기어하우징(1782)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기어하우징(1781)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배면에 조립된다.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의 기어들 중 상기 제 1 기어(1740)만 상기 기어하우징(1780)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기어(1740)는 상기 기어하우징(1780)의 측면을 관통하고,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기어(1740)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기어하우징(1780)의 측면 일부는 개구된다.
상기 기어하우징(1780) 밖으로 돌출된 상기 제 1 기어(1740)의 제 1 치형부(1741)는 상기 랙(1710)의 랙치형부(1711)과 치합된다. 제 1 치형부(1741) 및 랙치형부(1711)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하 방향에 상호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치형부(1741) 및 랙치형부(1711) 전방에 상하무빙레일(1790)이 배치된다.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은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제 2 기어(1750)가 배치된 평면에 위치된다.
<케이블가이드의 구성>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에 연결된 케이블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밖에 없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전후 방향 두께가 폭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이 상하로 이동될 때, 케이블의 꼬임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이동되는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 및 패널모듈(1100) 사이에 케이블이 끼워져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작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케이블가이드(18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가이드(1800)는 상측단이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조립되고, 하측단이 패널모듈(1100)에 조립된다.
상기 케이블가이드(1800)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케이블가이드(1810)와, 상기 패널모듈(110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케이블가이드(1820)와, 상기 제 1 케이블가이드(1810) 및 제 2 케이블가이드(1820) 각각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케이블가이드(18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케이블가이드(1810)는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의 내측에 배치되고,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공간(1813)과,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 본 실시예에서 도어커버하우징)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1 회전부(1811)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케이블가이드(183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2 회전부(181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15)는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은 "∪"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케이블삽입공간(181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케이블가이드(1810)의 케이블삽입공간(1813)은 상측을 향해 개구된다.
제 1-1 회전부(1811)는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의 상측단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된다. 제 1-1 회전부(1811)는 도어커버하우징(1220)과 힌지연결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과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1 회전부(1811)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케이블가이드(1810)이 상대회전된다.
제 1-2 회전부(1812)는 상기 제 1-1 회전부(1811)과 동일한 구조이다. 상기 제 1-2 회전부(1812)는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의 하측단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된다. 제 1-2 회전부(1812)는 상기 연결케이블가이드(1830)의 상측과 힌지연결되고, 상기 연결케이블가이드(1830)과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블가이드(1820)는 케이블가이드바디(1825)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25)의 내측에 배치되고,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공간(1823)과,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25)의 일측에 배치되고, 연결케이블가이드(183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1 회전부(1821)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25)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모듈)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2 회전부(1822)를 포함한다.
제 2 케이블가이드(1820)는 제 1 케이블가이드(1810)와 구성이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도면으로 대체한다.
상기 연결케이블가이드(1830)는 케이블가이드바디(1835)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35)의 내측에 배치되고,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공간(1833)과,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35)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케이블가이드(181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3-1 회전부(1831)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35)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케이블가이드(182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2 회전부(1832)를 포함한다.
연결케이블가이드(1830)는 제 1 케이블가이드(1810)와 구성이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도면으로 대체한다. 상기 제 1-1 회전부(1811) 및 도어커버하우징(1220)을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시키는 제 1 핀(1841)이 배치된다. 상기 제 1-2 회전부(1812) 및 제 2-1 회전부(1821)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시키는 제 2 핀(1842)이 배치된다. 상기 제 2-2 회전부(1822) 및 제 3-1 회전부(1831)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시키는 제 3 핀(1843)이 배치된다. 상기 제 3-2 회전부(1832) 및 제 어퍼패널모듈(1110)을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시키는 제 4 핀(1844)이 배치된다.
제 1 케이블가이드(1810) 및 연결케이블가이드(1830)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강될 때, 상기 제 1 케이블가이드(1810) 및 연결케이블가이드(1830)의 사이각은 작아진다.
제 2 케이블가이드(1820) 및 연결케이블가이드(1830)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강될 때, 상기 제 2 케이블가이드(1820) 및 연결케이블가이드(1830)의 사이각은 작아진다.
상기 제 2-2 회전부(1822)는 어퍼패널모듈(1110)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동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강될 때, 제 1-1 회전부(1811), 제 1-2 회전부(1812), 제 3-1 회전부(1831), 제 3-2 회전부(1832), 제 2-1 회전부(1821)는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도어커버모터(1610),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기어구동모터(1720)에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은 도어커버모터(1610) 또는 기어구동모터(1720)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도어슬라이드모듈의 구성>>
상기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은 도어어셈블리(200)를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은 도어어셈블리(20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은 도어어셈블리(200) 또는 캐비닛어셈블리(1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와 상호 간섭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한다.
상기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1310)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랙(1310)과 치합되고, 회전 시 상기 랙(1310)을 따라 이동되는 기어어셈블리(133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어셈블리(13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구동모터(132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어셈블리(1330) 및 기어구동모터(1320)가 설치되는 기어하우징(138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측 구조물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고정된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고정플레이트(190)가 배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90)는 폭에 비해 상하 방향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랙(131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1310)은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랙(1310, rack)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랙바디(1312)와, 상기 랙바디(1312)에 배치되고, 상기 랙바디(1312)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랙바디(1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 랙치형부(1311)를 포함한다.
상기 랙치형부(1311)는 상측을 향하게 형성되거나 하측을 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치형부(1311)는 랙바디(1312)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랙치형부(1311)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랙바디(1312)에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치형부(1311) 및 랙바디(1312)는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랙치형부(1311)는 치형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복수개의 랙치형부(1311)는 좌우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기어어셈블리는 상기 랙치형부(1311)와 상호 치합되고, 상기 랙치형부(1311)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기어어셈블리(1330)는, 상기 기어하우징(1380)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제 1 치형부(134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치형부(1341)를 통해 상기 랙(1310)과 치합되고, 상기 랙(1310)과 치합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기어(1340)와, 상기 기어하우징(1380)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형성된 제 2-1 치형부(1351) 및 제 2-2 치형부(135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1 치형부(1351)를 통해 상기 제 1 기어(1340)의 제 1 치형부(1341)와 치합되는 제 2 기어(1350)와, 상기 기어하우징(1380)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치형으로 형성된 제 3-1 치형부(1361) 및 제 3-2 치형부(1362)를 포함하고, 상기 제 3-1 치형부(1361)를 통해 상기 제 2 기어(1350)의 제 2-2 치형부(1352)와 치합되는 제 3 기어(1360)와, 상기 기어하우징(1380)에 배치되고, 상기 제 3-2 치형부(1362)와 치합되고, 상기 기어구동모터(132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웜기어(137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어(1340), 제 2 기어(1350) 및 제 3 기어(1360)의 각 치형은 피니언기어 타입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어(1340), 제 2 기어(1350) 및 제 3 기어(1360)는 전후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기어(1340), 제 2 기어(1350) 및 제 3 기어(1360)는 프론트패널(210)의 프론트바디(21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기어(1340), 제 2 기어(1350) 및 제 3 기어(1360)의 각 회전축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구동모터(1320)의 모터축(1321)은 상기 웜기어(1370)를 관통한다. 상기 웜기어(1370)의 회전축은 상기 모터축(1321)과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축(1321)은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볼 때 대각선으로 배치된다. 상기 모터축(1321)의 방향과 랙(1310)의 배치방향은 교차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축(1321)의 방향과 랙(1310)의 배치방향은 0도 초과 90도 미만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어(1340)는 상기 기어하우징(1380)에 설치되고, 일부가 상기 기어하우징(1380) 밖으로 돌출된다. 상기 기어하우징(1380) 밖으로 돌출된 부분과 상기 랙(1310)이 치합된다.
상기 제 1 기어(1340)는 랙(1310) 및 제 2 기어(1350)과 각각 치합된다.
상기 제 2 기어(1350)는 상기 제 1 기어(1340) 및 제 3 기어(1360)과 각각 치합된다.
상기 제 3 기어(1360)는 상기 제 2 기어(1350) 및 웜기어(1370)과 각각 치합된다.
상기 제 1 기어(1340)는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피니언기어이다.
상기 제 1 치형부(1341)는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배치된다.
제 1 치형부(1341) 및 랙치형부(1311)가 치합되는 위치와, 제 1 치형부(1341) 및 제 2-1 치형부(1351)가 치합되는 위치는 서로 다르다. 제 1 치형부(1341), 랙(1310)의 랙치형부(1311) 및 제 2-1 치형부(1351)는 모두 같은 크기 및 형태의 치형으로 형성된다.
제 1 치형부(1341), 랙(1310)의 랙치형부(1311) 및 제 2-1 치형부(1351)는 모두 동일한 피니언기어 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기어(1350) 및 제 3 기어(1360)는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피니언기어 타입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기어(1350) 및 제 3 기어(1360)는 제 1 기어(1340)와 같이 하나의 치형이 배치되는 대신, 서로 다른 2개의 치형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기어(1350)는 제 2-1 치형부(1351) 및 제 2-2 치형부(1352)가 배치되고, 제 2-1 치형부(1351) 및 제 2-2 치형부(1352)는 제 2 기어(1350)의 회전축 방향(본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열된다.
즉, 제 2-1 치형부(1351) 및 제 2-2 치형부(1352)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2-1 치형부(1351) 및 제 2-2 치형부(1352)는 모두 피니언기어 타입의 치형으로 형성되지만, 제 2-1 치형부(1351) 및 제 2-2 치형부(1352)는 서로 다른 치형으로 형성된다.
정면에서 볼 때, 제 2-1 치형부(1351) 및 제 2-2 치형부(1352)는 각각 지름이 다른 원형으로 배치된다.
제 2-1 치형부(1351) 및 제 2-2 치형부(1352) 중 어느 하나가 전방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가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1 치형부(1351)가 제 2-2 치형부(1352)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제 2-1 치형부(1351)는 상기 제 1 치형부(1341) 및 제 3-2 치형부(1362)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1350)는 제 1 기어(1340) 및 제 3 기어(1360)와 동시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기어(1350)와 같은 치형이 상기 제 1 기어(1340) 및 제 3 기어(1360)에도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제 2-2 치형부(1352), 제 1 치형부(1341) 및 제 3-1 치형부(1361)는 동일한 규격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기어(1350)는 제 2-1 치형부(1351)의 직경보다 제 2-2 치형부(1352)의 직경이 더 크다. 제 2-1 치형부(1351) 및 제 2-2 치형부(1352)의 직경을 다르게 배치하여 제 1 기어(1340) 및 제 3 기어(1360)와 동시에 치합되는 치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기어(1340) 및 제 2 기어(1350)가 치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 1 기어(1340)는 상기 제 2-2 치형부(1352) 보다 전방 측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제 2-1 치형부(1351)가 제 2-2 치형부(1352) 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2-1 치형부(1351) 및 제 2-2 치형부(1352)의 전후 방향 배치가 반대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 2 기어(1350)에서 제 2-1 치형부(1351) 및 제 2-2 치형부(1352)는 서로 다른 치형으로 형성된다. 제 2-1 치형부(1351) 및 제 2-2 치형부(1352)는 모두 피니언기어 형태의 치형이다.
상기 제 3 기어(1360)는 제 3-1 치형부(1361) 및 제 3-2 치형부(1362)를 포함한다. 제 3-1 치형부(1361) 및 제 3-2 치형부(136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웜기어(1370)과 치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3-1 치형부(1361) 및 제 3-2 치형부(1362)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웜기어(1370)과 치합되는 제 3-2 치형부(1362)의 직경이 제 3-1 치형부(136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2 치형부(1362)는 웜기어치형부(1371)과 치합되기 때문에, 제 3-1 치형부(1361)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경우,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3 기어(1360)의 회전축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3-1 치형부(1361) 및 제 3-2 치형부(1362)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3-1 치형부(1361)는 제 3-2 치형부(1362)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제 3-1 치형부(1361)는 제 2-2 치형부(1352)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고, 제 3-2 치형부(1362)는 제 2-1 치형부(1351)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2 치형부(1362)는 웜기어(1370)과 치합되고, 상기 제 3-2 치형부(1362)의 치형은 피니언기어 타입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1 치형부(1361)는 상기 제 2-2 치형부(1352)와 치합되기 때문에, 피니언기어 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웜기어(137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이고, 회전축이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웜기어(1370)는 외주면에 웜기어치형(1371)이 형성되고, 스파이럴 형태다.
상기 웜기어(1370)의 회전축이 경사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3 기어(136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웜기어(1370)은 상기 기어구동모터(1320)의 모터축(1321)과 직접 연결된다. 상기 기어구동모터(1320)의 모터축(1321)은 상기 웜기어(1370)의 회전중심을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구동모터(1320)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기어하우징(1380)에 제 1 기어(1340), 제 2 기어(1350), 제 3 기어(1360), 웜기어(1370) 및 기어구동모터(1320)가 조립된다.
상기 기어하우징(1380)은 제 1 기어(1340), 제 2 기어(1350) 및 제 3 기어(1360)의 회전축을 제공한다. 상기 기어하우징(1380)에 형성된 각 보스(1342)에 제 1 기어(1340), 제 2 기어(1350) 및 제 3 기어(1360)가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하우징(1380)은 제 1 기어하우징(1381) 및 제 2 기어하우징(1382)을 포함하다.
제 1 기어하우징(1381) 및 제 2 기어하우징(1382) 사이에 제 1 기어(1340), 제 2 기어(1350), 제 3 기어(1360), 웜기어(1370) 및 기어구동모터(1320)가 설치된다.
제 1 기어하우징(1381) 및 제 2 기어하우징(1382) 중 어느 하나에서 제 1 기어(1340), 제 2 기어(1350) 및 제 3 기어(1360)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각 보스(1342)가 돌출된다. 상기 보스(1342)는 제 1 기어하우징(1381)에서 전방 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기어하우징(1381)이 제 2 기어하우징(1382)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기어하우징(1381)은 고정플레이트(190) 전면에 조립된다.
상기 기어어셈블리(1330)의 기어들 중 상기 제 1 기어(1340)만 상기 기어하우징(1380)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기어(1340)는 상기 기어하우징(1380)의 상면을 관통하고,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기어(1340)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기어하우징(1380)의 상면 일부는 개구된다.
상기 기어하우징(1380) 밖으로 돌출된 상기 제 1 기어(1340)의 제 1 치형부(1341)는 상기 랙(1310)의 랙치형부(1311)과 치합된다.
기어하우징(1380)이 캐비닛어셈블리(100) 측 구조물에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어구동모터(1320)의 작동 시, 제 1 기어(1340)는 제자리에서 회전되고, 상기 제 1 기어(1340)과 치합된 상기 랙(131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은 도어어셈블리(200)의 중간 높이에 위치된다. 이는 도어어셈블리(200)의 무게중심과 연관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어셈블리(200)를 이동시키는 기어구동모터(1320)가 1개만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어셈블리(200)의 무게중심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이 배치되는 경우, 랙이 배치된 부분만 이동되고 반대편은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의 도어어셈블리(200)가 폭에 비해 높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이다.
금속재질의 프론트패널(210)을 포함하는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측에 랙이 배치되는 경우, 기어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하측만 이동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자중에 의해 상측은 이동되지 않거나 늦게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도어어셈블리(200)의 이동 시 딜레이가 발생되면 도어어셈블리(200)의 이동 시 작동소음을 발생될 수 있고, 도어어셈블리(200)가 일시적으로 멈췄다 이동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도어어셈블리(200)의 상하 높이에 대해 중간부분에 랙(1310)이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기어구동모터(1320)만 작동시켜도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 및 하측을 포함한 전체를 균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사이드무빙 어셈블리>>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사이드무빙어셈블리(14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무빙어셈블리(1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 및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한다.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이 작동될 때, 사이드무빙어셈블리(1400)이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랙(1310) 및 기어어셈블리(1330)의 작동만으로도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현될 수 있지만, 자연스러운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무빙어셈블리(14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 중간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무빙어셈블리(14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에 배치된 탑레일(1410)과,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중간에 배치된 미들레일(1420)과,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측에 배치된 바텀레일(1430)과,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조립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상측에 걸쳐지는 탑서포터(144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하단이 걸쳐지는 바텀서포터(1450)을 포함한다.
상기 탑레일(1410), 미들레일(1420) 및 바텀레일(1430)은 모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탑레일(1410), 미들레일(1420) 및 바텀레일(1430)은 도어어셈블리(2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탑레일(1410)은, 제 1 탑레일(1412) 및 제 2 탑레일(14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탑레일(1412)은 도어어셈블리(2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제 1 탑레일(1412)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탑레일(1412)는 도어어셈블리(200) 중 어퍼패널모듈(11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탑레일(1414)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탑레일(1412)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탑레일(1414)은 탑서포터(1440)와 결합되고, 상기 탑서포터(1440)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고정된다.
제 1 탑레일(1412) 및 제 2 탑레일(1414)은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 1 탑레일(1412) 및 제 2 탑레일(1414) 사이에는 베어링(1415)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이 제 1 탑레일(1412) 및 제 2 탑레일(1414)의 상대이동 시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미들레일(1420)은, 제 1 미들레일(1422) 및 제 2 미들레일(14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미들레일(1422)은 도어어셈블리(2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제 1 미들레일(1422)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미들레일(1422)는 도어어셈블리(200) 중 로어패널모듈(112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미들레일(1424)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미들레일(1422)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
제 1 미들레일(1422) 및 제 2 미들레일(1424)은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 1 미들레일(1422) 및 제 2 미들레일(1424)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이 제 1 미들레일(1422) 및 제 2 미들레일(1424)의 상대이동 시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바텀레일(1430)은, 제 1 바텀레일(1432) 및 제 2 바텀레일(14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텀레일(1432)은 도어어셈블리(2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제 1 바텀레일(1432)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바텀레일(1432)는 도어어셈블리(200) 중 로어패널모듈(112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텀레일(1434)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에 배치된 구조물(본 실시예에서 바텀서포터)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바텀레일(1432)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
제 1 바텀레일(1432) 및 제 2 바텀레일(1434)은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 1 바텀레일(1432) 및 제 2 바텀레일(1434)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이 제 1 바텀레일(1432) 및 제 2 바텀레일(1434)의 상대이동 시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에 의해 도어어셈블리(2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탑서포터(1440) 및 바텀서포터(145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자리에 위치된다.
탑서포터(144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중을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분산시킨다. 바텀서포터(145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측을 받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 시 마찰을 저감한다.
상기 탑서포터(1440)는 도어어셈블리(200) 측 구조물(본 실시예에서 제 2 탑레일(1414)에 조립되는 탑고정부(1442)와, 상기 탑고정부(1442)에서 캐비닛어셈블리(10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걸쳐지는 탑레이부(1444)와, 상기 탑레이부(1444)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전후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탑걸림부(1446)를 포함한다.
상기 탑고정부(1442)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탑고정부(1442)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밀착되어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탑고정부(1442)는 도어어셈블리(200) 측 구조물에 조립되고, 본 실시예에서 제 2 탑레일(1414)에 체결된다.
상기 제 2 탑레일(1414)의 후방에 상기 탑고정부(1442)가 위치된다.
상기 탑레이부(1444) 및 탑고정부(1442)는 일체로 제작된다.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상기 탑고정부(1442) 및 탑레이부(1444)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탑레이부(1444)는 탑고정부(1442)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레이부(1444)는 상기 탑고정부(144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탑레이부(1444)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좌우 이동 시, 탑레이부(1444) 및 제 2 탑레일(1414)는 제자리에 위치되고, 제 1 탑레일(1412) 및 도어어셈블리(200)만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된다.
상기 탑걸림부(1446)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후 방향으로 걸림을 형성한다.
탑걸림부(1446)는 탑레이부(1444)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탑걸림부(1446)는 하측을 향해 오목한 홈의 형태이고, 상기 탑레이부(144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탑걸림부(1446)는 상측을 향해 개구된 걸림부홈(1446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홈(1446a)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탑레이부(1444)는 상기 탑걸림부(1446)에 대해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 1 탑레이부(1444a)와, 상기 탑걸림부(1446)에 대해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 2 탑레이부(1444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탑레이부(1444a) 및 제 2 탑레이부(1444b) 사이에 상기 탑걸림부(1446)가 위치된다.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상측에는 상기 탑걸림부(1446)가 삽입되고, 상기 탑걸림부(1446)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탑서포터설치부(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바텀서포터(145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측 구조물에 고정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이동 시 마찰을 최소화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텀서포터(1450)는 고정플레이트(190)와 결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9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고정된 구조물이고, 본 실시예에서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이 상기 고정플레이트(190)에 설치된다.
상기 바텀서포터(1450)는, 도어어셈블리(2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배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측 구조물(본 실시예에서 고정플레이트(190))에 조립되는 바텀서포터바디(1460)와, 상기 바텀서포터바디(1460)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9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바텀서포터걸림부(1454)와, 상기 바텀서포터바디(146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하단이 걸쳐져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지지하고, 상기 바텀서포터바디(146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바텀휠(1456)과, 상기 바텀서포터바디(146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이동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부(1458)를 포함한다.
상기 바텀서포터바디(1460)는 상기 캐비닛 측 구조물(본 실시예에서 고정플레이트(190))에 조립되는 서포터플레이트(1470)와, 상기 서포터플레이트(1470)에 결합되고, 상기 바텀휠(1456)이 설치되는 서포터바디(14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터플레이트(1470)는 금속재질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작하고, 상기 서포터바디(1480)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제작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서포터플레이트(1470) 및 서포터바디(1480)를 모두 사출성형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이 경우, 강도저하를 피할 수 없다. 상기 바텀서포터(145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중을 지지해야하기 때문에, 전체를 합성수지로 제작할 경우, 강도저하로 인해 파손 또는 휨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도어어셈블리(200)가 회전을 통해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바텀서포터(145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중을 항상 지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바텀서포터(1450) 전체를 금속재질로 제작할 경우, 서포터휠(1456)의 설치구조 및 센서설치부(1458)의 설치구조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텀서포터바디(1460)는 고정플레이트(190)의 후방에 위치된다. 바텀서포터바디(1460)는 고정플레이트(190)의 배면에 체결고정된다.
상기 서포터플레이트(1470)는, 캐비닛측 구조물인 고정플레이트(190)에 밀착되는 서포터플레이트바디(1472)와, 상기 서포터플레이트바디(1472)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90)를 향해 절곡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90)와 좌우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바텀서포트걸림부(1454)와, 상기 서포터플레이트바디(1472)에 형성된 상기 서포터바디(1480)가 설치되는 서포터바디 설치부(1474)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플레이트(1470)는 고정플레이트(19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고정플레이트(190)에 체결된다. 상기 서포터플레이트(1470)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90)와의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체결홀(1471)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터플레이트(1470)에 바텀서포터걸림부(1454)가 형성된다. 상기 바텀서포터걸림부(1454)는 서포터플레이트(1470)를 절곡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텀서포터걸림부(1454)는 고정플레이트(19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밀착된다. 바텀서포터걸림부(1454)는 고정플레이트(190)를 향해 절곡된다. 바텀서포터걸림부(1454)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90)와 좌우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바텀서포터걸림부(1454)는 서포터바디(148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90)는, 상기 바텀서포터바디(1460)가 끼워지는 고정플레이트 삽입부(19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 삽입부(191)는 고정플레이트(190)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 삽입부(191)는 상측면이 막히고, 하측 및 좌우측은 개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 삽입부(191) 및 고정플레이트(190) 배면 사이에 갭(192)이 형성된다.
그래서 바텀서포터바디(146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삽입부(191)의 하측에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텀서포터바디(1460)의 상단이 상기 갭(192)에 삽입되고, 고정플레이트 삽입부(191)가 상기 바텀서포터바디(146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바텀서포터바디(1460)가 고정플레이트(190)에 조립될 때, 상기 고정플레이트 삽입부(191) 및 바텀서포터걸림부(1454)가 상기 바텀서포터바디(1460)의 설치위치를 제한한다. 그래서 상기 바텀서포터바디(1460)가 고정플레이트 삽입부(191)에 삽입되면, 고정플레이트(190) 및 바텀서포터바디(1460)에 형성된 각 체결홀(1471)이 체결가능하게 정렬된다.
상기 서포터바디 설치부(1474)는 상기 서포터플레이트바디(1472)를 절곡하여 형성된다. 서포터바디 설치부(1474)에 상기 서포터바디(1480)가 조립된다.
상기 서포터바디 설치부(1474)는 서포터플레이트바디(1472)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서포터바디(1480)의 설치공간을 확보한다.
상기 서포터바디(1480)는 도어어셈블리(200)보다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측에 상기 바텀휠(1456)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바디(1480)에 적어도 2개의 바텀휠(1456)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서포터바디(148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텀휠(1456)는 좌우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서포터바디(1480)는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하단레일(206)이 삽입되는 레일삽입부(1486)와, 상기 바텀휠(1456)의 휠축(1483)이 삽입되는 회전축홀(1481)을 포함한다.
레일삽입부(1486)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삽입부(1486)는 바텀휠(1456)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바텀휠(1456)의 상단이 레일삽입부(1486)와 오버랩된다.
상기 바텀휠(1456)이 상단은 상기 레일삽입부(1486)의 상단(1486a) 보다 낮고 상기 레일삽입부(1486)의 하단(1486b)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회전축홀(1481)은 상기 레일삽입부(1486)의 하단(1486b) 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6)의 하단레일(206)이 상기 레일삽입부(1486)에 삽입되고, 상기 바텀휠(1456)의 상단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도어어셈블리(200) 및 바텀서포터(145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200) 및 바텀서포터(1450)의 전후 방향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바텀서포터(1450)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된다.
본 실시예는 도어어셈블리(200) 및 바텀서포터(1450)의 전후 방향 이격거리르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바텀휠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바텀서포터(1450)에 가해지는 하중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바텀휠(1456)은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휠홈(1456a)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레일(206)은 상기 휠홈(1456a)에 거치된다.
상기 바텀휠(1456)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1457)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1457)은 바텀휠(1456)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회전축(1457)과 바텀휠(1456)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휠축(1483)은 상기 회전축(1457)을 관통한다. 상기 바텀휠(1456)은 상기 휠축(1483)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휠축(1483)은 상기 바텀휠(1456) 및 회전축(1457)을 관통하고, 서포터바디(1480)의 회전축홀(148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서포터바디(1480)의 후방측에 상기 휠축(1483)과 체결되는 축고정부재(1485)가 배치된다. 상기 서포터바디(1480)는 후방 측에서 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축고정부재 홈(1484)가 형성된다.
상기 휠축(1483)은 상기 서포트바디(1480)를 관통하여 축고정부재(1485)에 고정되고, 상기 바텀휠(1456)은 상기 휠축(1483)에 관통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설치부(1458)는 서포트바디(1480)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트바디(1480)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센서설치부(1458)에 도어감지센서(207)가 배치된다.
상기 도어감지센서(207)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거리를 감지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상기 위치감지인자(208)가 배치된다.
상기 위치감지인자(208)는 상기 도어감지센서(207)에 대응된다. 상기 위치감지인자(208)는 도어어셈블리(200)의 배면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는 로퍼패널모듈(1120)의 배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어셈블리(200)의 좌우 이동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홀센서 및 영구자석이 사용된다. 그래서 상기 도어감지센서(207)는 홀센서가 사용되고, 상기 위치감지인자(208)는 영구자석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도어감지센서로 포토센서가 사용되고, 위치감지인자로 도어어셈블리에 배치된 리브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포토센서의 광신호를 상기 리브가 차단할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좌우 이동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도어어셈블리 내부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카메라모듈이 도시된 도어어셈블리 상측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카메라모듈의 구성>>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도어어셈블리(200,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모듈(1110))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카메라모듈(1900)은 작동시에만 도어어셈블리(200) 밖으로 노출되고,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도어어셈블리(200) 내부에 숨겨진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개구된 카메라개구부(1911)가 형성된 카메라모듈하우징(1910)과,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를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카메라(1950)와,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1950)가 배치되는 카메라바디(1920)와, 상기 카메라바디(1920)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19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1950)를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1930)와,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1950)가 설치된 카메라바디(19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모듈(1960)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은 어퍼패널모듈(1110)의 일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은 어퍼패널모듈(1110)과 별도로 제작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은 패널 어퍼개구부(203)을 커버한다.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의 탑월(1912)은 프론트패널(2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를 차폐한다.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의 탑월(1911)에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가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는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의 탑월(191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은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가 형성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탑월(1912)과, 상기 하우징탑월(19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하우징레프트월(1913)과, 상기 하우징탑월(19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우측면에 밀착되는 하우징라이트월(1914)과, 상기 하우징탑월(19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레트프월(1913) 및 하우징라이트월(1914)를 연결하는 하우징이너월(1915)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레프트월(1913)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하우징라이트월(1914)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하우징레프트월(1913) 및 하우징라이트월(1914)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레프트월(1913) 및 하우징라이트월(1914)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이너월(1915)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이너월(1915)은 도어커버탑월(1114)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의 도어커버탑월(1114)을 기준으로 상측에 하우징이너월(1915)이 배치되고, 하측에 도어커버하우징(1220)이 위치된다.
하우징이너월(1915)의 하측단은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이너월(1915)의 하측단(1916)도 정면에서 볼 때,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이너월(1915)의 하측단(1916)이 상측으로 오목한 호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는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에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는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는 상기 카메라이동모듈(196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에 상기 카메라(195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바디(1920)의 상단보다 상기 카메라(1950)의 상단이 더 높게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이동모듈(1960)의 작동 시 상기 카메라바디(1920)는 탑월(19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카메라(1950)는 상기 탑월(1912) 밖으로 노출된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의 상단(1921)이 상기 탑월(1912)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탑월(1912)은 상기 카메라바디(1920)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겸한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는, 상기 카메라제어부(1930)가 설치되는 카메라제어설치부(192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201)의 중심과 디스플레이 개구부(202)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중심선(C)은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중심선(C) 상에 상기 카메라모듈(1900)의 카메라(1950)가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제어설치부(1922)는 중심선(C)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그리고 카메라바디(1920)의 하측단(1926)도, 상기 하우징이너월(1915)의 하측단(1916)과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의 하측단(1926)이 상측으로 오목한 호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바디(1920) 하측단(1926)의 곡률반경은 상기 하우징이너월(1915) 하측단(1916) 곡률반경과 같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에 지지되고,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상기 카메라바디(19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1950)는 카메라바디(1920)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바디(192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카메라(1950)는 카메라이동모듈(1960)의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20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95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 하측으로 이동되고, 사용자의 시선에서 숨겨진다.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 및 카메라(1950)는 중심선(C) 상에 위치되고, 상기 중심선(C)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950)의 상측면(1951)은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를 커버할 수 있다.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카메라(1950)의 상측면(1951)은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의 상측면(본 실시예에서 탑월(1912))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카메라이동모듈(1960)은 상기 카메라바디(19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카메라이동모듈(1960)은, 상기 카메라바디(1920)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195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카메라무빙랙(1962)과, 상기 카메라랙(1962)와 치합되는 카메라기어(1964)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고정된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무빙기어(196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카메라무빙모터(1966)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무빙랙(1962)은 다수개의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각 치형들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카메라무빙랙(196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기어(1964)는 피니언기어이다. 상기 카메라기어(1964)는 카메라무빙모터(1966)의 모터축(1967)에 결합된다.
상기 카메라무빙모터(1966)의 작동 시, 상기 카메라기어(1964)가 제자리에서 회전되고, 상기 카메라무빙랙((1962)이 카메라기어(1964)와 치합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바디(1920)의 좌우를 균일하게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카메라무빙랙(1962)은 중심선(C)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중심선(C)의 좌측에 배치된 카메라무빙랙(1962)을 제 1 카메라무빙랙(1962a)이라 하고, 우측에 배치된 카메라무빙랙(1962)을 제 2 카메라무빙랙(1962b)이라 정의한다. 배치만 다를 뿐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상기 중심선(C)의 좌측에 배치된 카메라무빙기어(1964)을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라 하고, 우측에 배치된 카메라무빙기어(1964)을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라 정의한다. 배치만 다를 뿐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의 회전축은 좌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카메라무빙모터(1966)를 사용하여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를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가 결합되는 무빙기어샤프트(1965)가 배치된다.
상기 무빙기어샤프트(1965)의 좌측에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가 조립되고, 우측에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가 조립된다.
무빙기어샤프트(1965)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무빙기어샤프트(1965)의 회전축과 카메라무빙모터(1966)의 모터축(1967)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무빙모터(1966)는 캐비닛어셈블리(100) 측 고정된 구조물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무빙모터(1966)는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카메라무빙모터(1966)는 도어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어퍼패널모너ㅌ(1110) 또는 프론트패널(210) 등의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와 달리 카메라무빙모터(1966) 및 카메라무빙랙(1962)를 설치위치를 반대로 바꿔도 무방하다.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카메라바디(1920)의 양단을 균일하게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무빙랙(1962a) 및 제 2 카메라무빙랙(1962b)은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된다. 또한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도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된다.
도 20은 도 6에 도시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우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후방 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팬하우징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프론트팬하우징의 사시도이다.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고, 실내에 직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도어어셈블리(200)의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프로젝션 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작동시에만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상측벽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여 공기를 토출시키되,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스티어링그릴(3450)은 정면토출구(20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정면토출구(201) 밖에 위치시킴으로서,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도어어셈블리(200) 등의 구조물로 인한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공간의 먼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어퍼가이드하우징 및 로어가이드하우징)과, 상기 가이스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상기 정면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가이드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를 상기 가이드하우징을 따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347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가 형성된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와,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과 조립되고, 상측에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이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을 포함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과 연통되는 팬흡입구(3411)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내부에 배치되는 리어팬하우징(3410)과,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팬흡입구(3411)에서 흡입된 공기를 사류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팬(3420)과,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와 결합되고, 상기 팬(34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팬(3420)이 조립되고, 상기 팬(3420)에 의해 가압된 공기를 사류방향으로 안내하는 프론트팬하우징(3430)과,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방에 배치되고, 모터축(3441)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을 관통하여 상기 팬(3420)과 조립되고, 상기 팬(342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3440)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및 팬모터(3440)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 틸팅가능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을 통해 안내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스티어링그릴(3450)과,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및 스티어링그릴(34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겨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틸팅시키는 스티어링어셈블리(1001)(1002)를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또는 로어가이드하우징(346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후 방향 이동 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및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팬흡입구(3411)로 안내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후 방향 이동 시 확장 또는 축소되는 에어가이드(3510)를 더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거리 팬어셈블리(400) 중 액추에이터(347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조립체를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로 정의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리어팬하우징(3410), 프론트팬하우징(3430), 팬(3420), 스티어링그릴(3450), 팬모터(3440) 및 스티어링어셈블리(1001)(1002)를 포함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액추에이터(347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히 구현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 사이에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 및 어퍼가이드하우징(3520)는 고정된 구조물이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 팬흡입구(3411), 팬(342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를 통과한 후,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서 토출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일체로 제작된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을 가이드하우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하우징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해 전면이 개구되고, 공기 흡입을 위해 후면에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위해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으로 각각 제작한 후 조립한다.
<어퍼가이드하우징의 구성>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가이드하우징의 상부를 구성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감싸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를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을 제외한 다른 유로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은 냉각된 공기를 스티어링그릴(3450)로 안내하는 단일화된 유로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도어어셈블리(200)에 냉각된 공기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상측 나머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형태 및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상측에 배치된다. 체결을 통해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일체화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내측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배치되고,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가 형성된 리어월(3522)과, 상기 리어월(3522)의 측면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레프트월(3523) 및 라이트월(3524)과, 상기 리어월(352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탑월(3525)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는 리어월(3522)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는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는 팬흡입구(3411)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도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의 직경보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직경이 더 크다.
상기 레프트월(3523)은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위치되고, 라이트월(3524)은 우측에 위치된다. 상기 레프트월(3523) 및 라이트월(3524)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탑월(3525)은 상기 리어월(2522), 레프트월(3523) 및 라이트월(3524)을 연결한다. 상기 탑월(3525) 하측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위치된다.
미작동 시, 상기 레프트월(3523), 라이트월(3524) 및 탑월(3525) 사이에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위치된다. 작동 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최대 전진 시에도,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이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최대 전진 시,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후단(3410b)은 상기 레프트월(3523) 및 라이트월(3524)의 전방측 단(3523a)(3524a)보다 후방측에 위치된다.
작동 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을 벗어날 경우,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을 받으면 어퍼가이드하우징(3520)과 걸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초기위치로 미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을 벗어날 경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에서 팬흡입구(3411)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리어월(3522)에는 상기 에어가이드(35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52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526)은 리어월(3522)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고정부(3526)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 고정부(3526)는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 바깥쪽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3526)는 4개소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저면(3527)은 개구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저면(3527)도 폐쇄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하측에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이 배치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이 상기 저면(3527)을 폐쇄하기 때문에 상기 저면(3527)을 개방된 형태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리어월(3522)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좌우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로만 유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월(3522)의 폭이 열교환어셈블리(500)의 폭보다 좁을 경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가 원거리 팬어셈블리(400) 바깥쪽을 통해 도어어셈블리(20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일 경우, 냉방 시 냉기가 도어어셈블리(200)를 냉각시켜 이슬맺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리어월(3522) 및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을 서로 대향되고, 상기 리어월(3522)이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면에 최대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월(3522)을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열교환된 공기를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로 유동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레프트월(3523), 라이트월(3524) 및 탑월(3525)의 전후 방향 길이를 F1으로 정의한다.
상기 레프트월(3523) 또는 라이트월(35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각각 가이드홈(355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550)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55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지지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레프트월(3523)에 형성된 가이드홈(3550)을 제 1 가이드홈(3551)로 정의하고, 상기 라이트월(3524)에 형성된 가이드홈(3550)를 제 2 가이드홈(3552)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은 상기 수납공간(S1)에서 레프트월(3523) 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은 상기 수납공간(S1)에서 라이트월(3524) 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은 상기 레프트월(3523)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내부공간(S1)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은 상기 라이트월(3524)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내부공간(S1)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은 저면(3551a), 측면(3551b) 및 상면(3551c)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은 저면(3552a), 측면(3552b) 및 상면(3552c)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의 저면(3551a)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의 저면(3552a)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중을 지지한다.
후술하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가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 및 제 2 가이드홈(355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 및 제 2 가이드홈(3552)은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의 이동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를 지지한다.
<로어가이드하우징의 구성>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가이드하우징의 하부를 구성한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이동가능하게 거치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 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거치하고,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과 조립되고, 내부에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S1)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후방 측만 수납되고, 전방 측은 수납공간(S1)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납공간(S1)이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전체를 수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팬케이싱(320)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이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지지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때문이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전후 방향 길이를 F2로 정의한다. 상기 로어가이하우징(3460)의 전후 방향 길이(F2)는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전후 방향 길이(F1)보다 길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저면을 폐쇄하고, 상측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이동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거치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347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베이스(3462)와,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과,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465)와,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팬하우징)과 상호 간섭되고, 상기 팬하우징(340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가이드(3467)와, 상기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태이고, 상기 액추에이터(3470)에 결합되는 케이블(미도시)이 관통되는 케이블관통부(346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하우징베이스(3462),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를 연결하고, 하우징베이스(3462),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하우징리어월(3466)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후방 측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은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리어월(3522)와 대향되고, 상기 리어월(3522)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의 상측단(3466a)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와 동일한 라인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의 상측단(3466a)은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된다.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의 상측단(3466a)은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를 가리지 않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은 하우징베이스(3462),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를 연결시켜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후방 측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스토퍼(3465)는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 보다 전방 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3465)는 하우징베이스(3562)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3465) 중 하나는 하우징베이스(3462) 및 레프트사이드월(3463)를 연결하게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하우징베이스(3462)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을 연결하게 배치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과도하게 전방 이동될 경우, 상기 스토퍼(3465)에 지지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는 가이드하우징의 외부와 내부의 수납공간(S1)을 연통시킨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는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케이블관통부(3461)는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와 함께 케이블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관통부(3461)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지 못하는 짧은 길이로 형성될 경우, 액추에이터(3470)와의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내측 및 외측을 연통시킨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이동 시, 가이드모터와 연결된 배선도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을 따라 배선이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모터(3472)와의 결선 신뢰성을 제공한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팬케이싱(320)과 결합을 위한 체결부(3468)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3468)는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이동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2개가 배치되고, 하나는 레프트사이드월(3463)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라이트사이드월(3464) 측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하우징베이스(346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좌우 이동을 제한한다.
<리어팬하우징의 구성>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팬하우징어셈블리의 후면을 형성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전방에 위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월(3522)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후면을 커버하는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와, 상기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의 내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팬흡입구(3411)와, 상기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과 결합되는 체결부(3414)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3414)는 프론트팬하우징(3430)과의 조립을 위해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3414)는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정면에서 볼 때 내부에 팬흡입구(3411)가 형성된 도넛형상이다. 특히, 리어팬하우징바디(3412)는 정면에서 볼 때 도넛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프론트팬하우징(3430)과 함께 팬(3420)을 감싸는 구성이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 사이에 상기 팬(3420)이 배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후면을 커버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후단에 조립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지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는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과 평행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팬흡입구(3411)의 직경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 및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에어가이드(3510)가 배치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는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바디(3412)는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리어팬하우징(34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후면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에 조립되고, 상기 팬흡입구(3411)를 감싸게 배치된다.
<프론트팬하우징의 구성>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팬(3420)에 의해 유동된 공기를 스티어링그릴(3450)로 안내하는 유로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모터(3440)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팬모터(344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방에 팬모터(3440)가 위치되고, 후방에 상기 팬(3420)이 위치되고, 하측에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이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아우터팬하우징(3432)과, 전방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3440)가 설치되는 이너팬하우징(3434)과, 상기 아우퍼팬하우징(3432) 및 이너팬하우징(3434)를 연결하는 베인(3436)과,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3440)가 조립되는 모터설치부(3448)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은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가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은 상기 액추에이터(347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개구된 전면을 제 1 팬개구면(3431)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은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단은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내부를 공간(S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은 상기 공간(S2)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은 전면이 개구되고,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이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내측에 오목한 내부를 공간(S3)으로 정의한다. 상기 팬모터(3440)는 상기 공간(S3)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과 체결 고정된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개구된 전면을 제 2 팬개구면(3433)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의 유동을 고려하여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을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은 상기 공간(S3)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은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은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 및 제 2 팬개구면(3433)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이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틸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단은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 및 제 2 팬개구면(343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3440)를 체결고정하기 위해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 모터설치부(3438)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설치부(3438)는 상기 공간(S3)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팬모터(3440)는 모터마운트(34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마운트(3442)가 상기 모터설치부(3438)에 체결된다.
상기 모터설치부(3438)는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설치부(3438)는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3440)의 모터축을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을 관통하고 후방을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후방에 배치된 팬(3420)과 결합된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는 상기 팬모터(3440)의 모터축이 관통되는 축홀(3437)이 형성된다.
상기 팬모터(3440)는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S3)에 삽입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토출공기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스티어링베이스(1070)는 이너팬하우징(3434)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S3)을 폐쇄시킨다. 상기 팬모터(3440)는 토출공기의 유로 밖에 배치되기 때문에, 토출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팬모터(3440)는 이너팬하우징(3434)의 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후방에서 흡입되는 공기와의 저항도 배제할 수 있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를 고정시키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를 지지하는 체결보스(3439)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3439)는 3개소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C1)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체결보스(3439) 및 모터설치부(3438)는 상기 공간(S3)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 및 상기 체결보스(3439)의 조립 시, 상기 모터설치부(3438)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의해 은닉된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 및 아우터팬하우징(3432)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인(3436)은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 및 이너팬하우징(3434)을 일체로 연결시킨다.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 이너팬하우징(3434) 및 베인(3436)은 상기 팬(3420)에서 토출된 공기에 직진성을 부가한다.
한편,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외부에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는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에 배치된 제 1 가이드홈(3551) 및 제 2 가이드홈(355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는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에 지지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554)는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에 지지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결합된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축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554)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결합된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축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의 롤러축과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554)의 롤러축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554)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단은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하우징베이스(3462)과 이격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가 결여될 경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중이 액추에이터(3470)에 전가되고,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야 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의 지지에 의해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단이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액추에이터(3470)의 작동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팬의 구성>
상기 팬(3420)은 리어팬하우징(341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팬(3420)는 조립된 리어팬하우징(341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 팬(3420)은 상기 팬흡입구(34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사류방향으로 토출한다. 상기 팬(3420)는 후방에 배치된 팬흡입구(341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여기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사류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류방향은 전방 및 원주 방향 사이를 의미한다.
<에어가이드 및 에어가이드 브래킷의 구성>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0) 및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어퍼가이드하우징)을 결합시키고,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 및 팬흡입구(3411)을 연결시킨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및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팬흡입구(3411)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후 방향 이동 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탄성재질이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하우징 및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에어가이드(3510)를 상기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어퍼가이드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과, 상기 에어가이드(3510)를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본 실시예에서 리어팬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탄성재질이고,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전방 측(본 실시예에서 팬하우징어셈블리 측)에 에어가이드 아웃릿(3511)이 형성되고, 후방 측(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하우징 측)에 에어가이드 인릿(3513)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 아웃릿(3511)의 직경은 G1이고, 상기 에어가이드 인릿(3513)의 직경은 G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G1 및 G2이 동일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G2가 G1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G1의 크기는 상기 팬흡입구(3411)의 크기와 대응되고, 상기 G2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크기와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G1이 팬흡입구(3411)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팬흡입구(3411) 전체가 상기 에어가이드 아웃릿(3511)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G2는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직경(G4)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은 상기 에어가이드(3510)의 후단(3514)을 상기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어퍼가이드하우징)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은 상기 에어가이드(3510)의 전단(3512)를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은, 링형태로 형성된 브래킷바디(3532)와, 상기 브래킷바디(3532)에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바디(353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브래킷체결부(3534)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바디(3532)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바디(3532)의 직경을 G3로 정의한다. 상기 브래킷바디(3532)의 직경 G3은 에어가이드 인릿(3513)의 직경 G2 보다 작고,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직경 G4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단(3513)은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를 통과하여 리어월(3522)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브래킷바디(3532)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단(3513)을 상기 리어월(3522)에 밀착시킨다.
체결부재(본 실시예에서 스크류)는 브래킷체결부(3534)를 관통하여 리어월(3522)에 체결된다.
상기 리어월(3522)의 배면에는 상기 브래킷체결부(3534)가 위치되는 제 1 브래킷설치부(3522a)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브래킷설치부(3522a)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체결부(3534)가 일부 삽입되며, 작업자는 상기 제 1 브래킷설치부(3522a)를 통해 브래킷체결부(3534)의 조립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브래킷체결부(3534)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배치된다. 상기 브래킷체결부(3534)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이 리어월(3522)의 배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이동 시 에어가이드(3510)의 후단(351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이 리어월(3522)의 배면에 조립되기 때문에, 에어가이드(3510)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은 에어가이드(3510)의 후단(3513) 전체를 가압하여 리어월(3522)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에어가이드(3510)의 후단(3513) 전체가 균일하게 지지되고, 특정 위치에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을 고정하는 체결부재는 에어가이드(3510)를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에어가이드(35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은 스냅링이 사용된다.
스냅링 형태의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배면에는 제 2 브래킷설치부(3415)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브래킷설치부(3415)는 배면에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팬흡입구(3411) 보다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브래킷설치부(3415)는 리어팬하우징(3410)의 배면에서 후방 및 바깥쪽으로 연장된 리브이고, 바깥쪽에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에 삽입되는 홈(3416)이 형성된다. 상기 홈(3416)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중심축(C1)에 대해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게 개구되고, 상기 중심축(C1)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배면에는 상기 에어가이드(3510)의 올바른 위치로 수납시키는 가이드벽(3417)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벽(3417)은 제 2 삽입벽(3528b)과 대향되고, 상기 제 2 삽입벽(3528b)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후방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벽(3417)은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액추에이터의 구성>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내기의 작동 시,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진시키고, 실내기의 정지 시,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후진시킨다.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 또는 리니어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전달하여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배치된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른 작동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중심축(C1)과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중심이 일치하게 배치된다.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중심축(C1)을 따라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상기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어퍼가이드하우징 또는 로어가이드하우징)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이드모터(3472)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가이드축(3474)와, 상기 가이드축(3474)의 좌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축(3474)과 함께 회전되는 제 1 가이드기어(3476)와, 상기 가이드축(3474)의 우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축(3474)과 함께 회전되는 제 2 가이드기어(3477)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와 치합되는 제 1 랙(3478)과,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기어(3477)와 치합되는 제 2 랙(3479)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모터(3472), 제 1 가이드기어(3476), 제 2 가이드기어(3477) 및 가이드축(3474)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설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진 또는 후진 시 함께 이동된다.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와 치합되는 상기 제 1 랙(3478) 및 상기 제 2 가이드기어(3477)와 치합되는 상기 제 2 랙(3479)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모터(3472), 제 1 가이드기어(3476), 제 2 가이드기어(3477) 및 가이드축(3474)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랙(3478)(3479) 및 가이드기어(3476)(3477)의 상호 치합에 의해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전진 또는 후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모터(3472)는 1개가 사용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을 균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축(3474)이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축(3474)의 양단에 각각 제 1 가이드기어(3476) 및 제 2 가이드기어(3477)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축(3474)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은 가이드축(3474)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 2 가이드기어(3477)는 상기 가이드축(3474)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각 가이드기어(3476)(3477)와 치합되는 랙(3478)(3479)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 및 제 2 가이드기어(3477)는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 1 가이드기어(3476) 및 제 2 가이드기어(3477)는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하우징베이스(3462) 상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은 상기 가이드기어(3476)(3477)의 하측에 배치되고, 치합을 통해 상기 가이드기어(3476)(3477)와 상호 간섭된다.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는 상기 제 1 랙(3478)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굴러 이동되고, 상기 제 2 가이드기어(3477) 역시 상기 제 2 랙(347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굴러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모터(3472)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좌측 하부 또는 우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모터축은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 또는 제 2 가이드기어(3477)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가이드모터(3472)가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 및 제 2 가이드기어(3477)가 동시 회전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좌측 및 우측이 동일한 힘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터(3472)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는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이동을 위한 모터가이드홈(3469)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은 가이드모터(3472)의 이동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은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하우징베이스(3462)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은 제 1 랙(3478) 또는 제 2 랙(3479)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은 제 1 랙(3478) 또는 제 2 랙(3479) 보다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를 통해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설치 및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을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시켜 상기 가이드모터(3472)를 제 1 가이드기어(3476) 또는 제 2 가이드기어(3477)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고, 동력전달을 위한 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히 구현하기 위해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팬하우징(343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 사이에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이 더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좌측 및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좌측을 결합시킨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각각 결합되고, 슬라이딩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우측 및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우측을 결합시킨다.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라이트사이드월(3464)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각각 결합되고, 슬라이딩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하중 중 일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전후 이동을 원활히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좌측 및 우측을 지지하고,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좌측 및 우측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좌측 및 우측을 동일한 속도 및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이동속도 및 거리가 불균일할 경우, 상기 원거리어셈블리(400)가 뒤뚱거리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이동속도 및 거리가 불균일할 경우, 스티어링그릴(3450)이 정면토출구(201)의 내측으로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구름마찰을 통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이동 시 마찰을 최소화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각종 데이터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4215),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4256),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4270), 무빙클리너(700), 가습어셈블리(800),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240), 및, 상기 제어부(4240)의 제어에 따라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밸브, 풍향 조절 수단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428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4215)는, 실내외의 온도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와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 공기질을 센싱하는 먼지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온도를 측정하며, 토출구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센서부(4215)는, 하나 이상의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4215)는, 근접센서(4217)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4217)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근접센서(4217)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센서(4217)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하부, 베이스(130)의 전면부 또는 도어어셈블리(200)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모듈(150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4217)는 소정거리 내에 소정의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접근신호를 제어부(4240)로 입력할 수 있다. 근접센서(4217)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근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215)는,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유닛들의 위치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240)는, 센서부(4215)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4256)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하는 것으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센서부(4215)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4256)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한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4256)에는 음성 인식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4240)는 오디오 입력부(42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음성 인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간단한 음성 인식은 공기조화기가 수행하고, 자연어 처리 등 고차원의 음성 인식은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호출어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공기조화기는 음성 명령어를 수신하기 위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기조화기는 호출어 음성 입력 여부까지의 음성 인식 과정만 수행하고, 이후의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음성 인식은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시스템 자원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복잡한 자연어 인식 및 처리는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메모리(4256)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명령의 음원 파일이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음원 파일은 통신부(4270)을 통하여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음원 파일은 기설정된 시간 경과 또는 기설정된 동작 수행 후에 삭제될 수 있다.
통신부(427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소정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각종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공기조화기가 구비하는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공기조화기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는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또는 외부의 소정 서버,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등과 연결 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 스마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27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와 통신하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하여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른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40)는 통신부(4270)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상태 정보, 사용자의 음성 명령 등을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4270)를 통하여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4240)는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4280)는 실내팬들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428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구비되는 서큘레이터 팬, 서큘레이터 팬 하단의 기타 송풍팬 등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280)는 열교환기가 공급되는 냉매를 증발 또는 응축시켜 주변의 공기를 열 교환하도록 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4280)는 제어부(424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 풍향 조절 수단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4240)는 공기조화기 내 소정 유닛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구동부(4280)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인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부(428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이 회전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28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서큘레이터 이동부(미도시)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280)는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구동부(4280)는 도어어셈블리(2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부(4280)는 서큘레이터 구동부, 도어어셈블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클리너(700)은 필터부에 설치되어, 필터부의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무빙클리너(700)은 청소로봇(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로봇은 필터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터부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청소로봇은 필터부를 청소하면서 살균램프를 이용하여 필터부를 살균할 수 있다. 무빙클리너(700)은 청소로봇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습어셈블리(800)은, 물탱크(810)의 물을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가습어셈블리(800)은 스팀을 발생시켜 공기를 가습하고, 가습된 공기가 공조된 공기와 함께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습어셈블리(800)에는 진동을 이용한 진동식, 가열식, 물을 분사하는 분사방식을 사용될 수 있고, 그외 다양한 가습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424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메모리(4256)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통신부(4270)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240)는, 디스플레이모듈(1500), 조작부(4230) 등을 통해 입력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실외기와의 데이터 송수신하여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에 의해 공조된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동부(42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240)는 설정되는 동작모드 또는 센서부(4215)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이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40)는, 가습어셈블리(800)이 동작하여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고, 필터가 청소되도록 무빙클리너(7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240)는 센서부(4215) 또는 비전모듈(1900)을 통해 재실자를 감지하며,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240)는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인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모듈(150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원부(4299), 비전모듈(1900),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4220), 소정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500), 소정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4291)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4299)는 공기조화기의 각 유닛들로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4299)는 연결되는 사용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각 유닛에서 요구되는 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4299)는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4299)는 동작전원을 실외기(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4220)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 사용자 음성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입력부(42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MI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더 정확히 수신하기 위하여 오디오 입력부(4220)는 복수의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는,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4220)는 아날로그 소리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거나 처리부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 음성 명령을 제어부(4240) 또는 소정 서버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입력부(422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입력부(4220)는 각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등 오디오 신호 처리를 위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동작모드, 동작상태, 에러상태 등을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150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공기조화기는 별도의 조작부(4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423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로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4291)는, 제어부(4240)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 동작모드, 동작상태, 에러상태 등의 알림 메시지,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등을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4291)는, 제어부(424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비전모듈(1900)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실내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는 공기조화기 주변, 외부 환경 등을 촬영하는 것으로, 이러한 카메라는 촬영 효율을 위해 각 부위별로 여러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렌즈와, 광학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상이 맺히는 다수개의 광 다이오드(photodiode, 예를 들어, pixel)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미지 센서(예를 들어, CMOS image sensor)와, 광 다이오드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영상을 구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정지영상은 물론이고, 정지영상으로 구성된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카메라가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은 메모리(4256)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전모듈(1900)에서 획득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비전모듈(1900)은 도어어셈블리(200)에 설치되고, 경우에 따라 캐비닛의 상측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비전모듈(1900)은, 미동작시,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승강 후 동작할 수도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제어부(42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어부(4240)는 기능에 따라 메인 제어부(4241), 비전모듈 제어부(4242), 전원공급 제어부(4243), 조명 제어부(4244),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4245), 가습어셈블리 제어부(4246), 무빙클리너 제어부(42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어부(4241 내지 247)는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모듈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비전모듈(1900), 무빙클리너(700), 가습어셈블리(80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메인 제어부(4241)는 나머지 제어부(4242 내지 247)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각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4241)와 나머지 제어부(4242 내지 247)는 버스(BUS) 형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각 모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설치되어, 해당 모듈의 자체 동작을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모듈(1500)에는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4245)이 구비되고, 가습어셈블리(800)에 가습어셈블리 제어부(4246)가 구비되어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3에 도시된 제어부(424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4240) 및 공기조화기 내 유닛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4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비전모듈(1900), 각종 데이터를 센싱하는 센서부(4215),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4220), 조작부(423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4256),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4270), 공기조화기에 구현된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4280), 소정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500), 소정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4291), 가습어셈블리(800), 무빙클리너(700),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240), 및, 프로세서(4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4의 공기조화기의 내부 블록도는, 도 32와 유사하나, 프로세서(4260)가 더 구비되며, 오디오 입력부(4220), 오디오 출력부(4291), 통신부(4270), 및 프로세서(4260)가 하나의 단일 모듈인 음성 인식 모듈(4205) 내에 구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듈(4205)은, 통신부(4270)와 프로세서(426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오디오 입력부(4220)와 상기 오디오 출력부(4291)는 별도의 일체형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260)는, 오디오 입력부(4220), 오디오 출력부(4291), 통신부(427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2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프로세서(4260)는 오디오 입력부(42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음성 인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호출어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프로세서(4260)는 음성 명령어를 수신하기 위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로세서(4260)는 호출어 음성 입력 여부까지의 음성 인식 과정만 수행하고, 이후의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음성 인식은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260)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의 인식 이후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신부(4270)를 통하여,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60)는 통신부(4270)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상태 정보, 사용자의 음성 명령 등을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4270)를 통하여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4260)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4240)로 전송하고, 제어부(4240)는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결국, 음성 인식 모듈(4205)을 통해, 음성 데이터 획득, 서버 시스템과의 통신, 및 대응하는 사운드 출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성 인식 모듈(4205)은, 공기조화기 외에, 다양한 전자 기기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부착되는 것 없이, 별도의 장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 분석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원격제어장치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어셈블리(200),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도어커버(1210), 상기 도어커버(1210)에 동력을 제공하는 기어구동모터(1720),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1210)의 이동을 감지하는 상단 위치 센서(4841)와 하단 위치 센서(4842)를 포함하는 위치 센서부(4840), 및,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와 상기 하단 위치 센서(4842)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4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위치 센서(4841) 및 하단 위치 센서(4842)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커버(1210) 또는 도어커버하우징(1220))을 감지할 수 있다. 상단 위치 센서(4841) 및 하단 위치 센서(4842)는 리미트 스위치, 홀센서 또는 포토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단 위치 센서(4841)는 상하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하 이동 시,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먼저 감지하는 제 1 상단 위치 센서(4841a)와, 상기 제 1 상단 위치 센서(4841a)의 감지 후에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감지하는 제 2 상단 위치 센서(4841b)를 포함한다.
상단 위치 센서(4841)의 경우, 제 1 상단 위치 센서(4841a)가 제 2 상단 위치 센서(4841b) 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제 1 상단 위치 센서(4841a) 및 제 2 상단 위치 센서(4841b)가 상하 높이차를 형성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상단 위치 센서(4841a) 감지 후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이동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제 1 상단 위치 센서(4841a) 감지 후 기어구동모터(172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 상기 제 2 상단 위치 센서(4841b) 감지 후,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하단 위치 센서(4842)도 상하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위치 센서(4842)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하 이동 시,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먼저 감지하는 제 1 하단 위치 센서(4842a)와, 상기 제 1 하단 위치 센서(4842a)의 감지 후에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감지하는 제 2 하단 위치 센서(4842b)를 포함한다.
하단 위치 센서(4842)의 경우, 제 1 하단 위치 센서(4842a)가 제 2 하단 위치 센서(4842b)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제 1 하단 위치 센서(4842a) 및 제 2 하단 위치 센서(4842b)가 상하 높이차를 형성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하단 위치 센서(4842a) 감지 후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이동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제 1 하단 위치 센서(4842a) 감지 후 기어구동모터(172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 상기 제 2 하단 위치 센서(4842b) 감지 후,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도어커버(1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200)의 내측 일면에는 도어커버(1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스텝(Step) 모터를 이용하여 기구 구조물을 이동할 수 있다. 스텝 모터는, 펄스 수에 비례하여 회전하고, 입력 주파수에 비례하여 회전 속도가 변화한다. 따라서, 기구 구조물의 이동량은 펄스 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제어가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로는 스텝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어구동모터(1720)는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도어어셈블리(200)의 내측 일면에는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커버(1210)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 부재, 레일 부재, 스토퍼(stopper)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커버(1210)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제어부(4240)는, 제품 온(on)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커버(121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제어하고, 제품 오프(off)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커버(12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품 오프(off) 명령은,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끄는 파워 오프(power off)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제품 오프(off) 명령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이 동작하지 않고, 도어커버(1210)가 닫혀 있는 특정 모드에 대응하는 명령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품 온(on) 명령은,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 온(power on)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제품 온(on) 명령은, 도어커버(1210)가 열리고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이 동작하는 특정 모드에 대응하는 명령일 수 있다.
한편, 도어커버(121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이동하여 열리고 닫힐 때, 스토퍼(stopper)까지 오버스윙(overswing)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 발생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제품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커버(1210)의 상하 방향 슬라이딩 이동시 위치를 간편하게 파악하고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1210)의 이동을 감지하는 상단 위치 센서(4841)와 하단 위치 센서(4842)를 포함하는 위치 센서부(48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치 센서부(4840)의 센싱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위치 센서(4841)와 하단 위치 센서(4842)는, 적외선(IR) 송수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커버(1210)의 이동 시작점(최고점), 이동 끝점(최저점)에 적외선(IR) 송수신 모듈이 위치하여, 도어커버(1210)의 위치를 감지하고, 제어부(4240)는 감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센서부(4840)는 홀(Hall) IC, 트리거 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도어커버(1210)의 개폐 여부 및/또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4215)는 위치 센서부(48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4240)는, 위치 센서부(4840)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4240)는, 위치 센서부(4840)와 도어커버(121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4245)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424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제어부(4245)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4245)일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상단 위치 센서(4841)와 하단 위치 센서(4842) 및,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에 가장 가까운 보드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에 구비되는 보드(board)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모듈(15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4245)가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와 하단 위치 센서(4842)에서 센싱되는 데이터를 수신, 처리하고,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연결 구조를 더 간략하게 구성하고, 처리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부(4241)는 메인 제어부(4241)일 수 있다. 메인 제어부(4241)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팬 구동, 이동,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동부(4280)가 메인 제어부(4241)의 제어에 따라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팬 구동, 이동,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은, 서큘레이터 팬(810), 적어도 서큘레이터 팬(810)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는 스티어링어셈블리(1001)(1002), 적어도 서큘레이터 팬(81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서큘레이터 이동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어셈블리(1001)(1002)는, 2중 조인트, 기어랙 구조를 이용한 2축 회전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전체 또는 적어도 서큘레이터 팬(810)이 향하는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이동부(83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이 전진 또는 후진하기 위한 모터와 기구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큘레이터 이동부(830)는, 스텝(step) 모터, 상기 스텝 모터의 회전에 따라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을 이동시키는 기어 부재, 레일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은, 메인 제어부(4241)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4241)는 상단 근접센서 및/또는 비전모듈(1900)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위치에 따라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을 스마트(smart)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감지되면,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이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한 후에, 서큘레이터 팬(810)이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냉방, 공기 청정 시 공기를 더 멀리 사용자에 가깝게 보낼 수 있다.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은, 제품 오프 명령에 기초하여, 후진 이동하고, 제품 온(on) 명령에 기초하여 전진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4240)는, 제품 온(on)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커버(121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제어하고, 제품 오프(off)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커버(12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4245)는, 제품 온(on)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커버(121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제어하고, 제품 오프(off)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커버(12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어커버(1210)가 열린 후,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이 전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음성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을 통한 터치 입력으로 사용자의 제품 오프(off) 명령이 수신되면,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이 후진하여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1210) 및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이동 전에, 위치 센서부(4840)의 센싱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도어커버(1210)의 현재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커버(1210)의 이동 시작점(최고점)에 배치되는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만 도어커버(1210) 또는 도어커버하우징(1220)이 감지되면,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1210)가 닫혀 있다고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위치 센서(4841)의 센싱값에 따라,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1210)가 도어커버(1210)의 이동 시작점(최고점)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도어커버(1210)의 이동 끝점(최고점)에 배치되는 하단 위치 센서(4842)에서만 도어커버(1210) 또는 도어커버하우징(1220)이 감지되면,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1210)가 열려 있다고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하단 위치 센서(4842)의 센싱값에 따라,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1210)가 도어커버(1210)의 이동 끝점(최고점)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1210)의 현재 위치 및 동작 명령에 따라 상하 방향의 도어커버(1210) 슬라이딩 이동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4245)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을 통한 제품 온 터치 명령에 따라, 도어커버(121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4245)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을 통한 제품 오프 터치 명령에 따라, 도어커버(121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4245)는, 메인 제어부(4241)의 제어에 따라 도어커버(12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240)는, 온/오프 동작에 따른 일정 위치에서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면,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도어커버(1210)가 기설정된 시작점(최고점) 또는 끝점(최저점)에 도달하면,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회전이 최종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240)는, 제품 온(on) 명령이 수신되고,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면, 상기 도어커버(121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품 온(on) 명령에 따라, 도어커버(1210)의 열림(open) 동작이 시작되기 전에,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1210)의 초기 위치를 판별하고, 이상이 없으면, 열림(open)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제어부(4240)는, 초기 위치부터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기설정된 최대 설정값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에 의한 도어커버(1210)의 이동량이 맥스(Max)가 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에 의한 이동 속도 및/또는 이동량을 맥스(Max)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제품 온(on) 명령에 따라, 도어커버(1210)의 열림(open) 동작이 시작된 후에, 상기 하단 위치 센서(4842)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위치 센서(4842)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기설정된 최저점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1210)가 갑자기 정지하면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에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커버(1210)가 스토퍼를 오버스윙으로 계속 밀고 들어가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완전히 열리기 전에 감속함으로써, 오버스윙 및 소음 발생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제어부(4240)는, 오프(off) 명령이 수신되고, 상기 하단 위치 센서(4842)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면, 상기 도어커버(12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품 오프(off) 명령에 따라, 도어커버(1210)의 닫힘(close) 동작이 시작되기 전에,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1210)의 초기 위치를 판별하고, 이상이 없으면, 닫힘(close)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4240)는, 초기 위치부터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기설정된 최대 설정값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에 의한 도어커버(1210)의 이동량이 맥스(Max)가 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에 의한 이동 속도 및/또는 이동량을 맥스(Max)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제품 오프(off) 명령에 따라, 도어커버(1210)의 닫힘(close) 동작이 시작된 후에,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기설정된 최고점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1210)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감속함으로써, 오버스윙 및 소음 발생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커버(1210)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사용자가 손을 뺄 수 있는 시간 및 기회를 더 제공함으로써, 손끼임 사고 등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도어커버(1210)가 열리는 동작 중에, 도어커버(1210)가 하단 위치 센서(4842)에서 감지되기 시작하면,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4245)는,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RPM을 감속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4245)는, 도어커버(1210)가 끝점(최저점)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어커버(1210)가 닫히는 동작 중에, 도어커버(1210)가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감지되기 시작하면,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4245)는,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RPM을 감속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4245)는, 도어커버(1210)가 시작점(최고점)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커버(1210)의 정확한 위치 제어 및 오버스윙 방지 설계가 가능하고, 도어커버(1210)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어커버(1210)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 중에 특정 위치에서 감속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커버(1210)가 닫히는 과정 중에 최종 닫힘 위치인 시작점(최고점) 위치로부터 이격된 소정 위치에서부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RPM을 감속함으로써, 손끼임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제품 온/오프 동작 명령에 따른 도어커버(1210) 초기 위치 확인 과정에서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지 않는 이상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상 상황은, 정전, 초기화, 기구 걸림 등의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초기 위치 확인 과정에서,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와 상기 하단 위치 센서(4842)가, 상기 도어커버(1210)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12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와 상기 하단 위치 센서(4842) 모두가 상기 도어커버(1210)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12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감지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기설정된 최대 설정값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커버(1210)의 상기 상측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상 상황 대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버스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기설정된 최고점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커버(1210)의 상기 상측 방향 이동에도,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커버(1210)를 다시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커버(1210)를 상측 방향으로 최대치 이동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도어커버(1210)의 감지에 실패한 경우에는, 더 이상 상기 도어커버(1210)를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황은 센서 고장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오디오 출력부(4291)는, 상기 위치 센서부(4840)의 고장을 안내하는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위치 센서부(4840)의 고장을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 초기화, 기구 걸림 등의 변수에도 유연하게 대응하고, 기구 오버스윙의 소음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맥스(Max) 스텝 후, 위치 신호가 획득되지 않는 위치 센서(4841, 842) 고장시에,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를 정지하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소음 발생 및 고장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센서 고장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도어커버(1210)가 닫히는 과정 중에, 사용자의 손이 토출구와 닫히고 있는 도어커버(1210)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비전모듈(1900)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4240)는, 근접센서 및/또는 비전모듈(1900)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커버(121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240)는, 근접센서 및/또는 비전모듈(1900)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위치에 기초하여,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구동, 이동,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에 최적화된 기류 제어가 가능하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예시된 순서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제품 온(on) 동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910).
사용자는 음성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을 통한 터치 입력 또는 리모컨 조작 등의 방법으로 제품 온(on)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품 온(on) 동작 명령에 따라, 상단 위치 센서(4841)는, 도어커버(1210)의 초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S920).
즉, 제품 온(on) 동작 명령에 따라, 제어부(4240)는, 상단 위치 센서(4841)의 센싱 데이터를 확인하여(S920), 이상이 없으면, 열림(open) 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30).
이 경우에, 제어부(4240)는, 초기 위치부터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맥스(Max) 스텝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30). 예를 들어,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에 의한 도어커버(1210)의 이동량이 맥스(Max)가 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하단 위치 센서(4842)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면(S940),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RPM이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50).
또한, 상기 하단 위치 센서(4842)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기설정된 최저점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60).
이에 따라, 도어커버(1210)의 열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버스윙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도어커버(1210)가 시작점(최고점)인 닫힘 최종 위치(완전히 닫혔을 때의 위치)까지 클로즈(close)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도어커버(1210)가 끝점(최저점)인 열림 최종 위치(완전히 열렸을 때의 위치)까지 오픈(open)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상단 근접센서(1010) 및/또는 비전모듈(1900)이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전모듈(1900)은 공기조화기 동작 중에만 상승하여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품 오프(off) 동작 명령에 따라, 비전모듈(1900)도 하강하여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손끼임 방지 등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인체 감지는 상단 근접센서(1010)에서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단 근접센서(1010)에는 광센서, PIR 센서, 도플러 센서 등 인체 감지 가능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단 근접센서(1010)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단 근접센서(1010)가 디스플레이모듈(1500)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제품 오프 명령 등을 입력하고 후퇴하지 않는 경우 등을 정확하고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단 근접센서(1010)를 위한 회로 소자 등이 디스플레이모듈(1500)에 구비되는 보드(board)에 실장 가능하므로, 회로, 연결선을 더 간략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어커버(1210)는 정면토출구(4201)를 개폐할 수 있고, 열교환된 공기, 정화된 공기 등 공기조화기에서 처리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어커버(1210)는, 캐비닛어셈블리 동작 시 열려,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이 외부로 노출되어 정면토출구(4201)로 공기가 토출되거나,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이 정면토출구(4201)를 통하여 전진 이동하도록 하고, 동작이 종료되면 닫혀 정면토출구(4201)를 폐쇄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200)의 내측 또는 후면에는 정면토출구(4201) 개방 시, 도어커버(1210)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200)의 내측 일면에는 도어커버(1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커버(121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측에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커버(121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도어커버(121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공간 이용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또는, 도어커버(121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측으로 후진 이동 후,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어커버(121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측으로 후진 이동 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공간 이용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도어커버(1210)가 열리면,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은 도어어셈블리(200)을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적어도 일부는 정면토출구(4201)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동작이 종료되면,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측 방향으로 후진 이동하고, 도어커버(1210)의 이동으로 토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도어커버(1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일예는, 기어구동모터(1720),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피니언, 한 쌍의 피니언이 양 단부에 배치되는 샤프트(shaft), 랙(17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로 스텝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는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일 수 있다.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회전 각도는 입력 펄스의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입력 펄스 360개에 한 바퀴를 회전하는 스텝 모터인 경우, 펄스 1개가 입력될 때마다 1도 정도 회전할 수 있다.
스텝 모터는, 가격이 저렴하고, 정확한 각도(위치) 제어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스텝 모터의 구동 방식은, 전류의 방향을 기준으로, 유니폴라(unipolar) 구동과 바이폴라(bipolor) 구동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스텝 모터의 구동 방식은 여자 전류의 제어 방법을 기준으로 정전압 구동, 전압변환 구동, 정전류 구동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텝 모터의 구동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어커버(1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도 상술한 예와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는 샤프트의 양측 단부 또는 일측 단부에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회전하면, 도어커버(1210)는 상기 랙(17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품 오프(off)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4240)는 상단 근접센서(1010) 및/또는 비전모듈(1900)의 센싱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기준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1210)가 이동하여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커버(1210)의 닫힘 동작 중 손끼임 사고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1210)의 이동을 감지하는 상단 위치 센서(4841)와 하단 위치 센서(48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위치 센서(4841)와 하단 위치 센서(4842)는, 각각, 도어커버(1210)의 이동 시작점(최고점), 이동 끝점(최저점)에 적외선(IR) 송수신 모듈이 위치하여, 도어커버(12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정상 동작 시, 상기 도어커버(1210)는 상단 위치 센서(4841)와 하단 위치 센서(4842)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닫힌 상태에서의 도어커버(1210)는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감지되고, 열린 상태에서의 도어커버(1210)는 하단 위치 센서(4841)에서 감지될 수 있다.
제품 온/오프 동작 명령에 따라,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1210)의 최초 위치를 확인하고, 도어커버(1210)를 반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최초 위치에서 반대 위치로 이동시 반대 위치의 감지 센서에 감지가 시작되면,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를 감속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1210)가 목표 지점(최고점 또는 최저점)에 도달하면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어커버(1210)가 정확한 초기 위치에 있지 않더라도, 상단 위치 센서(4841) 또는 하단 위치 센서(4842)에서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면, 제어부(4240)는 도어커버(12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커버(12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상단 위치 센서(4841)와 하단 위치 센서(4842) 사이에 두 센서(4841, 842) 모두로부터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지 않는 비정상 동작 조건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커버(1210)가 상단 위치 센서(4841)와 하단 위치 센서(4842) 사이 중간 위치 영역에 있을 때, 전원코드 오프(off) 또는 정전시 이러한 비정상 동작 조건이 발생할 수 있다.
비정상 동작 조건이 발생하면, 제어부(4240)는, 보상 운전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240)는,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도어커버(1210)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닫힘 동작으로 초기화 보상 운전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4240)는, 맥스(Max) 스텝으로 동작하도록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에 제어부(4240)는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면, 감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커버(1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4240)는 무조건 도어커버(1210)를 정지시키고, 센서 고장모드로 대응할 수 있다. 센서 고장모드에서, 제어부(4240)는 센서 고장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오디오 출력부(4291) 및/또는 디스플레이모듈(15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예시된 순서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제품 오프(off) 동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410).
사용자는 음성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을 통한 터치 입력 또는 리모컨 조작 등의 방법으로 제품 오프(off)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품 오프(off) 동작 명령에 따라, 하단 위치 센서(4842)는, 도어커버(1210)의 초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S1420).
즉, 제품 오프(off) 동작 명령에 따라, 제어부(4240)는, 하단 위치 센서(4842)의 센싱 데이터를 확인하여(S1420), 이상이 없으면, 닫힘(close) 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30).
이 경우에, 제어부(4240)는, 초기 위치부터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맥스(Max) 스텝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30). 예를 들어,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에 의한 도어커버(1210)의 이동량이 맥스(Max)가 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후,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면(S1240),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RPM이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50).
또한,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기설정된 최고점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60).
이에 따라, 도어커버(1210)의 닫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버스윙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예시된 순서도로, 비상 상황 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예시된다.
도 38을 참조하면, 도어커버(1210)가 상단 위치 센서(4841)와 하단 위치 센서(4842) 사이 중간 위치 영역에 있을 때, 전원코드 오프(off) 또는 정전 또는 초기화 리셋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비정상 동작 조건이 발생할 수 있다. (S1510).
이러한 비정상 동작 조건에서는, 상단 위치 센서(4841)와 하단 위치 센서(4842) 모두가 도어커버(1210)를 감지하지 못한다(S1520).
이 경우에, 제어부(4240)는,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도어커버(1210)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닫힘 동작으로 초기화 보상 운전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4240)는, 맥스(Max)스텝으로 동작하도록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를 제어할 수 있다(S1530).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기 시작하면(S1540),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의 RPM이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50).
또한, 상기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상기 도어커버(1210)가 기설정된 최고점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240)는, 상기 도어커버 스텝 모터(85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60).
한편, 상단 위치 센서(4841)에서 도어커버(1210)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4240)는 무조건 도어커버(1210)를 정지시키고, 센서 고장모드로 대응할 수 있다. 센서 고장모드에서, 제어부(4240)는 센서 고장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오디오 출력부(4291) 및/또는 디스플레이모듈(15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상 상황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소음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품 온/오프 시, 상단 위치 센서와 하단 위치 센서에서 순차적으로 감지되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어구동모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단 위치 센서와 하단 위치 센서에서 도어커버가 감지되지 않는 이상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류를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성 인식 기능, 가습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미동작시 내부에 모듈들을 청결하고 안전하게 수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캐비닛어셈블리 200 : 도어어셈블리
300 : 근거리팬 어셈블리 400 : 원거리팬 어셈블리
500 : 열교환어셈블리 600 : 필터어셈블리
1000 : 캐비닛어셈블리 1100 : 패널모듈
1200 : 도어커버어셈블리 1300 : 도어슬라이드모듈
1400 : 사이드무빙어셈블리 1500 : 디스플레이모듈
1600 : 도어커버무빙모듈 1700 : 도어하우징무빙모듈
1800 : 케이블가이드 1900 : 카메라모듈
3400 : 팬하우징어셈블리

Claims (23)

  1. 내부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S) 및 실내를 연통시키는 흡입구가 배치되는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정면토출구가 형성된 도어어셈블리;
    상기 도어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정면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커버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는,
    상기 정면토출구에 배치되는 도어커버;
    상기 도어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의 후방에 위치되는 도어커버하우징;
    상기 도어커버하우징 및 도어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에 결합되고, 도어커버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커버무빙모듈;
    상기 도어커버하우징 또는 도어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와 함께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을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따라 이동시키는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의 작동 시, 상기 도어커버는 상기 정면토출구 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작동 시, 상기 도어커버는 상기 정면토출구 밖으로 이동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정면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전면을 제공하는 프론트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커버는 상기 정면토출구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의 전면과 연속된 평면을 제공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정면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전면을 제공하는 프론트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면토출구의 개방 시, 상기 도어커버는 상기 정면토출구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은,
    상기 도어커버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에 배치되고, 도어커버모터축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커버모터;
    상기 도어커버모터축 결합되고, 상기 도어커버 및 도어커버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썬기어;
    상기 썬기어(1620)와 치합되고, 상기 썬기어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
    상기 도어커버하우징 및 도어커버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들과 각각 치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들이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성기어들의 회전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커버가이드;
    상기 도어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가이드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시, 상기 커버가이드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고, 상기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의 전진 또는 후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는 무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이드의 내측에 상기 도어커버모터, 썬기어 및 복수개의 유성기어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이드의 내주면에 상기 유성기어들과 각각 치합되는 가이드기어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정면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전면을 제공하는 프론트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커버는,
    상기 정면토출구에 삽입되고, 상기 프론트패널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아우터도어커버; 상기 아우터도어커버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무버와 조립되고, 상기 무버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너도어커버; 상기 이너도어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도어커버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코어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커버모터, 썬기어 및 복수개의 유성기어는 상기 코어개구부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은, 전면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무빙모듈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빙모듈설치부 내측에 상기 커버가이드 및 무버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커버가이드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가이드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가이드웨이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웨이는 상기 커버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웨이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무버는 상기 가이드웨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무버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이드의 회전 시, 상기 무버가이드 및 가이드웨이의 상호 간섭이 발생되고, 상기 상호간섭에 의해 상기 무버가이드가 상기 가이드웨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커버가이드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가이드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가이드웨이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웨이는 상기 커버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웨이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커버가이드의 회전 시, 상기 무버가이드 및 가이드웨이의 상호 간섭이 발생되고, 상기 상호간섭에 의해 상기 무버가이드가 상기 가이드웨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버는,
    상기 도어커버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무버바디;
    상기 무버바디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가이드의 가이드웨이에 삽입되는 상기 무버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무버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가이드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무버가이드는 상기 무버바디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무버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무버의 내측에 상기 커버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무버가이드는 상기 무버바디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정면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전면을 제공하는 프론트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은,
    상기 프론트패널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치형부가 형성된 랙;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랙과 치합되고, 상기 랙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기어어셈블리;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과,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패널은,
    상기 정면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바디; 상기 프론트패널바디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된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 상기 프론트패널바디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된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 및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은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의 전후 방향 길이 내에 배치되는 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좌측면을 향하게 배치된 좌측 랙;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우측면을 향하게 배치된 우측 랙;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랙에 형성된 랙치형부 및 상기 우측 랙에 형성된 랙치형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어어셈블리는 복수개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기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어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된 웜기어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정면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제공하는 프론트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패널은 전체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은,
    상기 정면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바디; 상기 프론트패널바디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된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 상기 프론트패널바디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된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의 후방측 단에서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 측으로 절곡된 제 1 프론트패널엔드;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의 후방측 단에서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 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엔드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엔드와 개방간격(D)을 형성하는 제 2 프론트패널엔드;를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좌측면을 향하게 배치된 좌측 랙;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우측면을 향하게 배치된 우측 랙;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패널바디 및 제 1 프론트패널엔드 사이에 상기 좌측 랙이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바디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 사이에 상기 우측 랙이 배치되고,
    상기 좌측 랙에 형성된 랙치형부 및 상기 우측 랙에 형성된 랙치형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프론트패널바디 및 도어커버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엔드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에 조립되는 패널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랙은 상기 패널모듈의 좌측에 조립되고, 상기 우측 랙은 상기 패널모듈의 우측에 조립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은 상기 좌측 랙 및 우측 랙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좌측 랙 및 우측 랙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정면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제공하는 프론트패널; 상기 프론트패널 및 도어커버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조립되는 패널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모듈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상하 이동 시,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상측 위치를 감지하는 상단 위치 센서; 및 상기 패널모듈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상하 이동 시,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상측 위치를 감지하는 하단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하단 위치 센서는 상기 정면토출구 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상단 위치 센서는 상기 정면토출구의 높이 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90017487A 2018-03-07 2019-02-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661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2676 WO2019172690A1 (ko) 2018-03-07 2019-03-0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2210348533.3A CN114659166B (zh) 2018-03-07 2019-03-07 空调的室内机
US16/978,174 US12098862B2 (en) 2018-03-07 2019-03-07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N201980017594.8A CN111886449B (zh) 2018-03-07 2019-03-07 空调的室内机
KR1020240054023A KR20240060544A (ko) 2018-03-07 2024-04-2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240054022A KR20240063075A (ko) 2018-03-07 2024-04-2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26954 2018-03-07
KR1020180026954 2018-03-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4022A Division KR20240063075A (ko) 2018-03-07 2024-04-2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240054023A Division KR20240060544A (ko) 2018-03-07 2024-04-2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685A true KR20190106685A (ko) 2019-09-18
KR102661384B1 KR102661384B1 (ko) 2024-04-26

Family

ID=680713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487A KR102661384B1 (ko) 2018-03-07 2019-02-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90024277A KR102239327B1 (ko) 2018-03-07 2019-02-2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277A KR102239327B1 (ko) 2018-03-07 2019-02-2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2098862B2 (ko)
KR (2) KR102661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251B1 (ko) * 2021-02-10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3206A (zh) * 2018-03-16 2022-04-22 Lg电子株式会社 空调设备的室内机
JP7130002B2 (ja) * 2019-01-31 2022-09-02 広東美的制冷設備有限公司 空調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KR102525638B1 (ko) 2021-01-22 2023-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634138B1 (ko) 2021-01-22 202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13405182A (zh) * 2021-07-15 2021-09-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机头及冷风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706B1 (ko) * 1995-12-21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215045B1 (ko) * 1996-03-21 1999-08-16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4720577B2 (ja) * 2006-03-29 2011-07-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給気型換気装置
KR101191413B1 (ko) 2009-08-18 2012-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20170010293A (ko)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99375B1 (ko) * 2014-09-04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582Y2 (ja) 1977-11-30 1983-04-04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ツト
US5461875A (en) * 1993-06-24 1995-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outlet opening/closing apparatus of air-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0125750B1 (ko) 1993-12-16 1998-04-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방법
KR0125474Y1 (ko) * 1995-10-31 1998-11-02 김광호 공기조화기 토출구 개폐장치
KR100215048B1 (ko) 1996-03-21 1999-08-16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H11287651A (ja) 1998-04-02 1999-10-19 Kaijo Corp 屋内位置決め装置
KR100303815B1 (ko) * 1998-10-30 2001-09-24 윤종용 슬라이드도어개폐장치
KR20040084281A (ko) 2003-03-27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7123139B2 (en) 2004-05-25 2006-10-17 Tac Ab Wireless integrated occupancy sensor
KR20080042396A (ko) 2006-11-09 200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가이드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270619B1 (ko) 2006-12-08 201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90003873A (ko) * 2007-07-05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476296B1 (ko) 2008-06-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7442B1 (ko) 2008-11-10 2015-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03282B1 (ko) 2008-11-14 201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466299B1 (ko) 2009-01-22 2014-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708680B1 (ko) 2010-07-15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US8843239B2 (en) 2010-11-19 2014-09-23 Nest Labs, Inc. Methods, systems, and related architectures for managing network connected thermostats
KR101727915B1 (ko) 2010-12-09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117449A (ko) 2011-04-15 2012-10-24 송경애 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CN102192577A (zh) 2011-05-18 2011-09-21 格兰仕(中山)家用电器有限公司 落地式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2014534405A (ja) 2011-10-21 2014-12-18 ネスト・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フレンドリーな、ネットワーク接続された学習サーモスタット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40012437A (ko) 2012-07-20 2014-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40019106A (ko) 2012-08-03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988330B1 (ko) 2012-10-08 2019-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CN202928018U (zh) 2012-10-25 2013-05-08 宁波奥克斯空调有限公司 柜式空调的显示装置
KR101561738B1 (ko) 2013-11-14 2015-10-20 이재부 하우스 환풍기
CN203964297U (zh) 2014-03-28 2014-11-26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US20150338111A1 (en) 2014-05-23 2015-11-26 Lennox lndustries lnc. Variable Speed Outdoor Fan Control
US10107515B2 (en) 2014-06-05 2018-10-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VAC controller with proximity sensor
KR101668922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33782B1 (ko) 2015-01-13 2016-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41386B1 (ko) 2015-07-17 202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9353965B1 (en) 2015-08-26 2016-05-31 Google Inc. Automated display adjustment for smart-home device based on viewer location or other sensed viewer-related parameters
CN109312952B (zh) 2016-06-21 2021-05-07 三菱电机株式会社 开闭盖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706B1 (ko) * 1995-12-21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215045B1 (ko) * 1996-03-21 1999-08-16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4720577B2 (ja) * 2006-03-29 2011-07-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給気型換気装置
KR101191413B1 (ko) 2009-08-18 2012-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2199375B1 (ko) * 2014-09-04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170010293A (ko)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251B1 (ko) * 2021-02-10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327B1 (ko) 2021-04-13
KR20190106716A (ko) 2019-09-18
KR102661384B1 (ko) 2024-04-26
US20210041134A1 (en) 2021-02-11
US12098862B2 (en) 202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668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01672B1 (ko) 공기조화기
KR10239063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4006054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090100851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1836999B (zh) 空调设备
CN111868444A (zh) 空调设备的室内机
CN110243018B (zh) 空调机的室内机
KR20200108235A (ko) 에어컨 실내기
KR2020010643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2056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90137219A (ko) 공기조화기
KR102335055B1 (ko) 공기조화기
KR20210079899A (ko) 공기조화기
KR102163624B1 (ko) 공기조화기
KR102673394B1 (ko) 공기조화기
KR102146865B1 (ko) 공기조화기
JP6289745B2 (ja) 換気扇
KR20120081901A (ko) 공기 조화기
JP2004293864A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