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638B1 -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638B1
KR102525638B1 KR1020210009260A KR20210009260A KR102525638B1 KR 102525638 B1 KR102525638 B1 KR 102525638B1 KR 1020210009260 A KR1020210009260 A KR 1020210009260A KR 20210009260 A KR20210009260 A KR 20210009260A KR 102525638 B1 KR102525638 B1 KR 102525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vanes
air
processo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6389A (ko
Inventor
문성국
유기봉
금교하
박수준
권민구
임태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638B1/ko
Priority to CN202210066033.0A priority patent/CN114811910A/zh
Publication of KR2022010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389A/ko
Priority to KR1020230052132A priority patent/KR20230061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골고를 냉난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천장형, 벽걸이형 및 스탠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는, 토출구가 케이스의 전면이나 측면에 형성되고, 흡입구가 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를 비롯하여 천장형 또는 벽결이형 실내기는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환이나 기류전환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와 관련하여 선행 문헌 1(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9748호)에는 출구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 형상의 아우터 에어가이드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로서, 아우터 에어가이드의 이너 가이드면과 아우터 면을 관통하여 에어홀을 형성함으로써 아우터 면에 대한 이슬맺힘을 최소화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 문헌 1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또는 기류방향과, 에어홀의 관통 각도 사이에 상당한 격차가 발생하고 단면적이 비교적 작은 미세홀 형태로 에어홀이 가공되기 때문에, 에어홀로 유입되는 공기에 상당한 수준의 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동손실 및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에어홀 내부에 먼지 등 오염원이 고착되어 에어홀이 폐색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 문헌 1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에어홀의 관통 각도가 아우터 면에 거의 수직이 되기 때문에 에어홀을 통과한 공기는 에어홀을 단순히 통과하여 지나갈 뿐이며, 에어가이드의 아우터 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없다. 따라서 이너 가이드면과 아우터 면 사이의 온도차 감소 효과는 매우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한 이슬맺힘 억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 문헌 2(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0293호)는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 도어 블레이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동작부 및 도어 블레이드와 개구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여, 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개구의 전방으로 직진되거나 개구로부터 방사형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유닛이 개시된다.
또한, 선행 문헌 3(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6716호)는 도어패널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센서와, 일단부에 근접센서가 배치되는 근접 센서홀을 형성하고, 전방글라스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근접센서가 배치되는 간격을 유지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선행 문헌2 및 3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측면에서 토출되어 실내기의 전방으로 향하는 공기의 풍향, 속도, 기류의 변화를 제어하는 구조가 개시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해당 문헌들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단지 공기를 토출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을 뿐, 공기가 토출되는 복수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방향을 움직임을 제어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포함된 복수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9748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029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6716호
종래에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포함된 복수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베인들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베인들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해당 팬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에 다양한 형태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팬들 각각에 대한 동작 시간, 및 해당 베인의 동작에 기반하여 자연풍의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기반하여,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기반하여, 복수의 베인들의 네 개의 베인들 중 두 개의 베인들의 움직임이 다른 두 개의 베인들의 움직임과 상이하도록 상기 네 개의 베인들 각각에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상황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가 집중, 상 집중, 확산, 우 확산, 및 좌 확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베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다른 적어도 하나의 베인과 다르게 움직이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풍향 제어부에 포함된 전방 토출구의 제어를 통해 공기를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시간 동안 공기 조화기를 집중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시키고, 제2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 집중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시키고, 제3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집중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시키고, 제4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확산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를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상 집중 모드에 기반한 동작,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집중 모드에 기반한 동작, 및 상기 제4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확산 모드에 기반한 동작을 포함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외관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실내 공간의 사용자의 위치, 및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실내 공간의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골고를 냉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기반하여, 복수의 베인들의 네 개의 베인들 중 두 개의 베인들의 움직임이 다른 두 개의 베인들의 움직임과 상이하도록 상기 네 개의 베인들 각각에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상단과 하단에 공기를 골고루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상황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을 결정함으로써, 실내 환경에 대응되도록 공기 조화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를 집중, 상 집중, 확산, 우 확산, 및 좌 확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시킴으로써, 실내 환경에 맞게 적절한 모드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집중적으로 냉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집중적으로 냉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하단의 측방을 냉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하단의 측방을 냉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베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다른 적어도 하나의 베인과 다르게 움직이게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냉난방을 골고루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풍향 제어부에 포함된 전방 토출구의 제어를 통해 공기를 선택적으로 토출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최적으로 냉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시간 동안 공기 조화기를 집중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시키고, 제2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 집중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시키고, 제3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집중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시키고, 제4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확산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자연풍과 유사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를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상 집중 모드에 기반한 동작,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집중 모드에 기반한 동작, 및 상기 제4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확산 모드에 기반한 동작을 포함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자연풍과 유사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외관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실내 공간의 사용자의 위치, 및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실내 공간의 상황을 식별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상황에 따른 모드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결정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공기 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도어모듈과 전방송풍모듈이 결합한 전방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단면도이다.
도 3d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3e은 도 3b에서 전방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f은 도 3e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베인을 도시한 전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베인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베인을 Y-Y'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를 X-X'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4a에 도시된 좌측 베인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집중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상 집중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확산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우 확산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좌 확산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각 베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5a는 도 13a의 집중 모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b는 도 13b의 상 집중 모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c는 도 13c의 확산 모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d는 도 13d의 우 확산 모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e는 도 13e의 좌 확산 모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자연풍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자연풍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를 구성하는 어셈블리 구조의 전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각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전체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예: 실내기)는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Ⅰ), 케이스(Ⅰ)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방 토출구 및 양측면에 형성된 측면 토출구를 개폐하거나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도어 어셈블리(Ⅱ), 케이스(Ⅰ)의 내측에 배치되고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팬 어셈블리(Ⅲ), 송풍팬 어셈블리(Ⅲ)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어셈블리(Ⅳ), 케이스(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Ⅵ), 필터 어셈블리(Ⅵ)의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 어셈블리(Ⅶ), 및 케이스(Ⅰ)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어셈블리(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Ⅰ)는 후방으로 흡입구(111)를 형성하고, 내측에 열교환기(41)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어퍼케이스(11)와, 리어어퍼케이스(11)의 하측에 배치되고 가습 어셈블리(Ⅴ)의 일부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2)와, 베이스부(12)의 후방 및 측방을 커버하는 리어로어케이스(13)와, 리어어퍼케이스(11) 및 리어로어케이스(13)의 개구된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어퍼케이스(11)는, 전체적으로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리어로어케이스(13) 및 베이스부(12)의 상측에 배치된다. 개구된 전면에는 후술하는 전면패널(14)이 배치되며, 개구된 상면에는 탑커버(15)가 배치된다.
리어어퍼케이스(11)는 내부에 열교환기(41)와, 전방송풍모듈(31)과,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구성물을 지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리어어퍼케이스(11)의 내측에는 열교환기(41)가 장착되는 열교환기 장착부재(미도시)와, 전방송풍모듈(31)이 장착되는 전방송풍모듈 장착부재(미도시)와,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장착되는 측방송풍모듈 장착부재(미도시)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리어어퍼케이스(11)의 후방에는 흡입구(111)가 형성되며, 흡입구(111) 측에는 필터 어셈블리(Ⅵ)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리어어퍼케이스(11) 후방에서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어어퍼케이스(11)의 후방에서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모듈(62a, 62b, 62c, 62d) 사이에는, 필터청소기(72)의 상하방향(U-D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형태의 이동가이더(71)가 배치된다.
이동가이더(71)는, 리어어퍼케이스(11) 후방에서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하방향(U-D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리어어퍼케이스(11)의 후방에는, 레일 형태의 이동가이더(71)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이온화부(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온화부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으로, 흡입구(111)로 유동하는 공기를 이온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리어로어케이스(13)의 후방 하부면에는, 열교환 어셈블리(Ⅳ)의 냉매관(42)이 관통하는 냉매관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리어로어케이스(13)의 후방 하부면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관통하는 전원선홀(13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2)는 리어어퍼케이스(11) 하측에 배치되어, 내측에 가습 어셈블리(Ⅴ)의 구성인 수조(51)와 히팅부(미도시) 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베이스부(12)는 내측에 필터청소 어셈블리(Ⅶ)에 연결되는 전원선이 감기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2)는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2)의 외둘레에는 리어로어케이스(13), 및 도어 어셈블리의 측면도어 유닛(22)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2)에는, 필터청소 어셈블리(Ⅶ)와 연결되는 전원선이 관통하는 전원선 관통홀(미도시), 가습 어셈블리(Ⅴ)의 가습유로관(미도시)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가습유로관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2)의 상측에는 리어어퍼케이스(11)가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어퍼케이스(11)를 포함하는 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하로 배치되는 베이스부(12)와 리어어퍼케이스(11)가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2)와 리어어퍼케이스(11)의 전면에 전면패널(14)이 배치된다.
전면패널(14)은 실내기(1)의 전면을 형성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위치로서 전방송풍모듈(3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열교환 어셈블리(Ⅳ)에 의해 열교환이 완료된 공기가 전방송풍모듈(31)에 의해 가압되어 배출되는 전방토출구(141)가 형성된다.
또한, 전면패널(14)에는, 실내공간의 조건을 감지하는 카메라센서(142)가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센서(142)는 전면패널(14)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실내공간의 조건이란, 실내공간의 크기, 실내공간에 존재하는 재실자의 수, 재실자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
도어 어셈블리(Ⅱ)는, 전면패널(14)에 형성되는 전방토출구(141)를 개폐하고 전방토출구(141)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방 도어모듈(21)과,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개폐하는 측면 도어모듈(22)과,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베인모듈(23)을 포함한다.
전방 도어모듈(21)은, 전방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폐쇄하는 최후방 위치와,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는 최전방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전방 도어모듈(21)이 최전방 위치로 돌출된 상태에서 전방지향기류를 생성하는 운전 모드는, 후술하는 간접풍 운전모드와 구별하기 위해서 직접풍 운전모드로서 규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전방 도어모듈(21)은 최후방 위치와 최전방 위치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면맞춤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면맞춤 위치는, 전방 도어모듈(21)의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211)이 프런트케이스(14)의 전방면과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에 해당한다.
면맞춤 위치에 전방 도어 모듈(21)이 정지되면, 전방 도어모듈(21)의 외면의 형상에 의해 전방토출구(141)로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이 아닌 전방토출구(141)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를 향해 배출되는 측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운전모드는 간접풍 운전모드로 규정될 수 있다.
한편, 도어모듈(21)의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211)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유닛(미도시)에 의해 생성되는 빛은 아우터패널(211)를 거쳐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211)은, 사용자에게 실내기(1)의 운전 상태, 실내기(1) 주변의 공기질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게 된다.
측면 도어모듈(22)은, 케이스(Ⅰ)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토출구(224a, 224b)를 개폐하는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측면 도어모듈(22)은, 실내기(1)가 전체적으로 작동이 중단된 상태 및 실내기(1)의 전방송풍모듈(31)만 작동되는 상태와 같이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토출구(224a, 224b)가 측면 도어모듈(22)을 통해 폐쇄되도록 하여,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미세먼지 등이 유입되어 내부에 고착되거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측면 도어모듈(22)은. 전후방향(F-R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개폐하는 한 쌍의 측면 도어(221a, 221b)와, 각각의 측면 도어(221a, 221b)에 구동력을 생성하는 측면 도어 구동부(222a, 222b)와, 각각의 측면 도어(221a, 221b) 및 측면 도어 구동부(222a, 222b)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면 도어(221a, 221b)는, 측면토출구(224a, 224b)를 완전히 폐쇄하는 최전방 위치로부터 측면토출구(224a, 224b)를 완전히 개방하는 최후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 내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심미감을 형성하고 전면패널(14)과 리어어퍼케이스(11)에 대한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측면 도어(221a, 221b)는 케이스(Ⅰ)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소정의 폭으로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연장되고, 측면 도어(221a, 221b)의 외면은 리어어퍼케이스(11)과 전면패널(14)과 동질감을 형성할 수 있는 재질 및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면 도어(221a, 221b)의 이동 가능한 지지를 위해서, 일단이 측면 도어(221a, 221b)에 부착되며 타단이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 이동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커넥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측면 도어 구동부(222a, 222b)는, 전동방식으로 측면 도어(221a, 221b)를 구동할 수 있도록 기어모터와, 기어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을 선형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어모터는, 고정부재에 해당하는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으며, 피니언기어에 기어물림되는 랙기어는 측면 도어(221a, 221b)의 내측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도어(221a, 221b)는 케이스(Ⅰ)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측면 도어(221a, 221b)의 폭에 비해서 높이가 매우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단일 구동부만으로는 개별 측면 도어(221a, 221b)를 효과적으로 구동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개별 측면 도어(221a, 221b)에 대해서 각각 2개씩 측면 도어 구동부(222a, 222b)가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각각 개별 측면 도어(221a, 221b)이 상단 및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은 측면 도어(221a, 221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리어어퍼케이스(11) 및 리어로어케이스(13)와 함께 케이스(Ⅰ)의 양측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히는,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은 리어어퍼케이스(11)와 전면패널(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는 상하방향(U-D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토출구(224a, 224b)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은 서포트프레임(223a, 223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 및 고정되어, 케이스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베인모듈(23)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에 의해서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 구비되는 측면 베인(225a, 225b)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베인이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이 아닌 다른 부재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측면 베인이 후술하는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의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 측면 베인(225a, 225b)이 구비되고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에 측면 베인(3261)이 동시에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인모듈(23)은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되는 전방지향기류를 측방지향기류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에 배출되는 공기는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의 측면 베인(225a, 225b) 또는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의 측면 베인(3261)에 의해서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베인모듈(23)은 이와 같이 전방지향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베인으로서 역할을 한다. 전방지향기류의 방향 전환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전방 측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인들(231a, 231b)에 의해서 이루어 진다.
보다 상세히, 베인모듈(23)의 베인들(231a, 231b)은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는 직접풍 모드로 운전 중일 경우에는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베인들(231a, 231b)은 측면토출구(224a, 224b)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의 기류에 대해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지향기류가 유지된다.
다만, 직접풍 모드로부터 간접풍 모드로 전환을 위해서 베인 구동부(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되면, 베인들(231a, 231b)은 전술한 수납 위치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개시된다.
수평 이동이 개시되면, 베인들(231a, 231b)은 최종 전개 위치까지 이동이 완료된 후 정지된다.
베인들(231a, 231b)이 최종 전개 위치까지 이동이 완료되면, 측면토출구(224a, 224b)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는 베인들(231a, 231b)에 의해서 저항을 받게 되고, 특히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전방 단부 측을 통과하는 공기는 직접적으로 베인들(231a, 231b)과 충돌하게 되면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다.
이 때, 측면토출구(224a, 224b)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 중에서 전방 단부 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가장 빠르기 때문에 베인들(231a, 231b)과 충돌하게 되면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 공기는 후방 측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영향에 의해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과하는 공기는 전체적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되어 측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도 3a에는 좌측면토출구(224a) 및 우측면토출구(224b)에 대응하여 각각 좌측 베인(231a) 및 우측 베인(231b)이 한 개씩 구비되는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측 베인(231a) 및 우측 베인(231b)이 각각 다수개로 분할되어 구비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고 볼 것이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좌우측에 각각 한 개씩 (231a, 231b)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베인들(231a, 231b)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4a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베인 구동부(미도시)는 전동방식으로 베인들(231a, 231b)을 구동할 수 있도록 기어모터와, 기어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미도시)와,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을 선형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어모터는,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피니언기어에 기어물림되는 랙기어는 베인들(231a, 231b)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베인들(231a, 231b)에 부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인들(231a, 231b)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랙기어가 부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홀(231h)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 어셈블리>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실내기(1)의 전방토출구(141)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전방송풍모듈(31), 실내기(1)의 양측의 측면토출구(224a, 224b)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전방송풍모듈(31)과 3개의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송풍모듈(31)과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열교환 어셈블리(Ⅳ)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방송풍모듈(31)은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의 상측에 배치된다. 전방송풍모듈(31)은 전면패널(14)에 형성된 전방토출구(141)로 공기를 토출한다.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송풍팬(311), 전방송풍모터(미도시), 및 전방송풍팬하우징(3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송풍하우징(313)과 전술한 전방 도어모듈(21)의 구조적인 형태 및 전방 도어모듈(21)의 위치 선택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의 원거리로 배출되는 직접풍 모드로 운전되거나 공기가 전방토출구(141)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를 향해 배출되는 간접풍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전방송풍모듈(31)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복수 개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 각각은 토출되는 공기를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각각의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측방송풍팬(321a, 321b, 321c), 측방송풍모터(322a, 322b, 322c), 측방송풍팬하우징(323a, 323b, 323c), 흡입가이드(325a, 325b, 325c), 및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열교환기(41) 전방에 배치되고, 열교환된 공기를 측방흡입가이드(325a, 325b, 325c)를 통해 흡입하고,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를 거쳐 측면토출구(224a, 224b)로 토출시킬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측면 베인(225a, 225b) 또는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의 측면 베인(3261)에 의해 토출기류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측면 베인(225a, 225b) 또는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의 측면 베인(3261)에 의해 결정되는 기류를 전방지향기류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열교환 어셈블리>
열교환 어셈블리(Ⅳ)는 리어어퍼케이스(11)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교환 어셈블리(Ⅳ)는,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41)와, 열교환기(41)로 냉매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관은 열교환기(41)로 유입되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입관(42) 열교환기(41)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출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41)는 송풍팬 어셈블리(Ⅲ)의 후방에 배치된다. 열교환기(41)는 흡입구(111)와 토출구(22, 141)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기(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41)는 필터 어셈블리(Ⅵ)와 송풍팬 어셈블리(Ⅲ) 사이에 배치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41)는 복수의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과, 전방송풍모듈(31)가 상하로 배치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41)는 리어어퍼케이스(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1)는 리어어퍼케이스(11) 내측에 형성되는 열교환기 체결부(미도시)에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
가습 어셈블리(Ⅴ)는 실내기(1) 외부로 가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Ⅴ)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51), 수조(51)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미도시), 히팅된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된 가습토출노즐(미도시), 히팅부)에서 히팅된 가습공기를 가습토출노즐)로 가이드하는 가습유로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리어어퍼케이스(11)의 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리어어퍼케이스(11)의 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111)에 배치되어,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리어어퍼케이스(1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111)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를 포함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을 흡입구(111)에 배치시키거나, 리어어퍼케이스(11)의 측방면의 외측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이 장착되는 필터장착부재(미도시) 및 필터장착부재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필터모듈이 흡입구에 배치될 때, 좌우로 형성되는 필터모듈의 폭방향으로 필터장착부재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리어어퍼케이스(11)의 흡입구(111) 좌측을 커버하는 제1필터모듈(62a, 62b)과, 리어어퍼케이스(11)의 흡입구(111) 우측을 커버하는 제2필터모듈(62c, 62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모듈(62a, 62b)은, 흡입구(111) 좌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거나, 리어어퍼케이스(11)의 좌측면의 좌측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모듈(62c, 62d)은, 흡입구(111) 우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거나, 리어어퍼케이스(11)의 우측면의 우측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모듈(62a, 62b)과 제2 필터모듈(62c, 62d)이 모두 흡입구(111)에 배치될 때, 필터청소기(72)가 이동가능한 면을 형성한다.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필터장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큰 먼지가 걸러지는 프리필터(621), 이온화부로 이온화된 공기 입자를 집진하여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필터부(미도시), 및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프리필터(621)가 장착되고, 필터장착부재에 장착되는 필터케이스(6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케이스(622)에는 프리필터(621)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흡입홀이 형성된다. 필터케이스(622)는 프리필터(621)가 장착되는 면에서 수직리브(6221)와 수평리브(62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리브(6221)와 수평리브(6222)는 서로 격자형태를 형성하며, 필터케이스(622)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프리필터(621)는 메쉬형태로 이루어져, 필터모듈(62a, 62b, 62c, 62d)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크기가 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의 하단부(60a)는, 리어로어케이스(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의 하단부(60a)는, 이하에서 설명할 필터청소 어셈블리(Ⅶ)의 필터청소기(72)가 이동가이더(7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범위에서 최하단에 배치될 때, 필터청소기(72)의 상단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청소 어셈블리>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 어셈블리(Ⅵ) 후방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필터 어셈블리(Ⅵ) 외측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프리필터(621)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한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 어셈블리(Ⅵ) 후방에서 상하방향(U-D 방향)으로 이동하며, 필터 어셈블리(Ⅵ)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72), 필터청소기(7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더(71), 및 필터청소기(72)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도어모듈(21)과 전방송풍모듈(31)이 결합한 전방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단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3b 및 도 3c에서는 전방토출구(141)가 폐쇄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실시예에서, 전방도어모듈(21), 전방송풍모듈(31) 및 모듈케이스(41)는 서로 결합하여 전방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전방도어모듈(21)은 상기 케이스(Ⅰ)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방토출구(141)를 개폐하거나 기류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전방송풍모듈(31)은 상기 전방도어모듈(21)과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Ⅰ)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토출구(141)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모듈케이스(41)는 상기 전방도어모듈(21)과 상기 전방송풍모듈(31)이 장착되고, 전방도어모듈(21)과 전방송풍모듈(31)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모듈케이스(41)는 전방도어모듈(21)과 전방송풍모듈(31)을 이루는 각 부품들이 장착되기에 적절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방도어모듈(21)은 제1링(214), 제1실린더(215), 제1모터(216), 유성기어장치(217), 서포트플레이트(218), 캐리어하우징(2191) 및 제2링(21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링(214)은 제1모터(216)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1링(214)은 제1실린더(215)와 결합하고, 제1링(214)이 회전함에 따라 제1실린더(215)는 전방어셈블리의 전후방향 즉, 실내기의 전후방향으로 직선형의 경로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다.
제1링(214)은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실린더(215)는 제1링(214)의 외주에 장착되어 제1링(214)이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링(214)은 서포트플레이트(218)에 장착되어, 회전하지만,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린더(215)는 상기 제1링(214)의 외주에 장착되고, 상기 제1링(214)에 커플링되어 상기 제1링(214)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215)의 전방부에는 에이가이드링이 결합하고, 제2링(2192)은 제1실린더(215)의 이동에 따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3c 및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토출구(141)를 개패하고, 상기 전방토출구(141)의 개도(opening rate)를 조절할 수 있다.
제1모터(216)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제1링(214)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모터(216)의 회전 및 정지동작은 공기조화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216)는 서포트플레이트(218)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217)는 상기 제1모터(216)의 회전축에 결합하고, 제1모터(216)의 구동력을 상기 제1링(214)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유성기어장치(217)는 제1모터(216)의 회전축으로 구동력이 입력되고, 제1링(214)에서 구동력이 출력될 수 있다.
서포트플레이트(218)는 상기 제1링(214)과 결합하고, 상기 제1모터(216) 및 상기 유성기어장치(217)가 수용될 수 있다. 제1모터(216)는 서포트플레이트(218)에 장착되고, 회전축을 통해 유성기어장치(217)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캐리어하우징(2191)은 상기 제1링(214), 상기 제1실린더(215) 및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8)가 장착될 수 있다. 캐리어하우징(2191) 자신은 회전 또는 전후방향 이동을 하지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캐리어하우징(2191)에 장착된 제1링(214)은 제1모터(21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캐리어하우징(219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하우징(2191)에 장착된 제1실린더(215)는 제1모터(21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캐리어하우징(219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2링(2192)은 상기 제1실린더(215)의 전방부에 결합할 수 있다. 제2링(2192)은 제1실린더(215)에 장착되어 상기 제1실린더(215)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캐리어하우징(219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디스플레이조명유닛(210)도 상기 제1실린더(215)의 전방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실린더(215)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실린더(215), 제2링(2192) 및 디스플레이조명유닛(210)은 함께 전방어셈블리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방도어모듈(21)은 디스플레이와 조명을 위한 디스플레이조명유닛(2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조명유닛(210)은 이너패널(213), 인쇄회로기판(212) 및 아우터패널(2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너패널(213)은 상기 제1실린더(215)에 결합하여, 상기 제1실린더(215)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2)은 상기 이너패널(213)에 수용되고, 전기적인 작동을 위한 회로, 각종의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우터패널(211)은 이너패널(213)에 결합하고, 상기 이너패널(213)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부(2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패널(211)의 전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디스플레이부(211a)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1a)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도형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패널(211)의 전면에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송풍팬(311), 팬하우징(313), 제1 제어베인(315), 전방송풍모터(312), 제2 제어베인(316) 및 디퓨저(317)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송풍팬(311)은 전방송풍모터(312)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여, 전방토출구(141)로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전방토출구(141)는 링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전방송풍팬(311)은 전방토출구(141)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기의 유동형상 및 유동경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를 위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송풍팬(311)은 팬허브(3111), 슈라우드(3112) 및 블레이드(3113)를 포함할 수 있다.
팬허브(3111)는 전체적으로 전방송풍팬(311)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전방어셈블리의 전방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슈라우드(3112)는 상기 팬허브(3111)와 이격되어 상기 팬허브(3111)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팬허브(3111)와 함께 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슈라우드(3112)도 전체적으로 전방송풍팬(311)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전방어셈블리의 전방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3113)는 상기 팬허브(3111)와 상기 슈라우드(311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블레이드(3113)는 전방송풍팬(311)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팬허브(3111)와 슈라우드(3112)가 전술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전방송풍팬(311)은 링형상의 토출구에 대응하는 공기의 유동형상 및 유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팬하우징(313)은 상기 전방송풍팬(311)이 장착되고, 상기 전방송풍팬(311)으로부터 상기 전방토출구(141)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3)은 내주면을 형성하는 내측벽과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벽이 서로 직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유동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는 상기 유동공간을 지나감으로써 전방토출구(141)의 링형상에 대응하는 유동형상 및 유동경로를 가질 수 있다.
제1 제어베인(315)은 상기 전방송풍팬(311)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송풍팬(31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제2 제어베인(316)은 상기 제1 제어베인(315)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제어베인(316)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제1베인(315)과 제2베인(316)은 전방토출구(141)의 링형상에 대응하도록,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기는 제1베인(315)과 제2베인(316)을 지나면서 그 유동경로(stream line)가 전후방향으로 선형성이 증가할 수 있다.
팬하우징(313)의 유동공간을 지나온 공기는 상기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팬하우징(313)의 내측벽과 외측벽이 부딪혀 전후방향으로 유동하는 성분이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는 제1베인(315)과 제2베인(316)을 통과하면서 전방어셈블리의 전방부로 직진하는 성분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공기의 유동경로가 전후방향으로 선형성이 증가하여 전방토출구(141)로 토출될 수 있다.
전방송풍모터(312)는 상기 제1베인(315)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회전축이 상기 전방송풍팬(311)에 결합할 수 있다. 전방송풍모터(312)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하여 상기 전방송풍팬(3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전방송풍모터(312)를 제1베인(315)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전방송풍모터(312)가 장착되고, 자신은 제1베인(315)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베인(315)의 내측벽에 결합하는 모터지지부(312a)가 전방어셈블리에 구비될 수 있다.
디퓨저(317)는 상기 제2베인(316)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링(2192)과 함께 상기 전방토출구(141)를 형성할 수 있다. 디퓨저(317)는 전방토출구(141)의 외주면을 형성하고, 제2링(2192)은 전방토출구(141)의 내주면을 형성하여, 상기 전방토출구(141)는 디퓨저(317)와 제2링(2192)에 의해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e는 도 3b에서 전방토출구(141)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f는 도 3e의 단면도이다.
제2링(2192)은 바디부(2192a)와 에어가이드부(2192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192a)는 상기 제1실린더(215)에 결합하고,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2192a)는 제1실린더(215)의 이동에 따라 전방어셈블리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부(2192b)는 상기 바디부(2192a)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링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215)의 이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방토출구(141)를 개폐하거나 기류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부(2192b)가 내주면을 형성하고, 디퓨저(317)가 외주면을 형성하여 전방토출구(141)를 형성하고, 따라서, 상기 전방토출구(141)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실린더(215)가 전방어셈블리의 후방으로 이동하면, 에어가이드부(2192b)도 상기 제1실린더(215)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토출구(141)의 폭은 좁아지고, 결국에는 상기 전방토출구(141)는 폐쇄될 수 있다.
도 3f를 참조하면, 제1실린더(215)가 전방어셈블리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에어가이드부(2192b)도 상기 제1실린더(215)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토출구(141)는 개방될 수 있다. 제1실린더(215)가 최대로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토출구(141)의 폭은 최대가 되고, 이때 전방토출구(141)의 개도도 최대가 될 수 있다.
제1실린더(215)에는 내주에 상기 제1실린더(215)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관통홀(2153a)이 구비되는 제1결합부(21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패널(213)에는 내주에 상기 이너패널(213)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관통홀(2153a)과 대응하는 제2관통홀(2131a)이 구비되는 제2결합부(21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2153)와 제2결합부(213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제1결합부(2153)와 제2결합부(2131)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제1관통홀(2153a)과 제2관통홀(2131a)에 볼트 등의 결합기구를 체결하여 이너패널(213)은 제1실린더(215)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패널(213)은 제1실린더(215)와 함께 전방어셈블리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너패널(213)과 제1실린더(215)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링(2192)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베인의 세부 구성>
이하 도 4a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인(231a, 231b)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되는 전방지향기류를 측방지향기류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 4a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231a, 231b)은 좌측면토출구(224a)의 전방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좌측 베인(231a)과, 우측면토출구(224b)의 전방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우측 베인(231b)을 포함한다.
좌측 베인(231a)과 우측 베인(231b)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좌우 구분없이 교차 설치가능하다.
베인(231a, 231b)은, 수직방향 길이(Lv)가 수평방향 폭(Wv)보다 훨씬 더 큰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수직방향 길이(Lv)는 측면토출구(224a, 224b)를 전면에서 전체적으로 가릴 수 있는 수치로서 결정될 수 있다. 즉, 수직방향 길이(Lv)는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수직방향 또는 상하방향 길이보다는 더 크거나 같게 설정된다.
또한, 베인(231a, 231b)은 전체적으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한편, 실내기(1)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에 해당하는, 베인(231a, 231b)의 외측 단부면에 인접한 위치에는 베인(231a, 231b)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리고 외측 단부면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슬릿(2313a, 2313b)이 형성된다.
관통 슬릿(2313a, 2313b)은 베인(231a, 231b)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까지 관통하여 연장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는 공기 통로로서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관통 슬릿(2313a, 2313b)은, 베인(231a, 231b)의 외측 단부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외측 단부면에 나란하여 연장되는 제1 슬릿(2314a, 2314b)과, 제1 슬릿(2314a, 2314b)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 슬릿(2314a, 2314b)에 대해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슬릿(2315a, 2315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슬릿(2314a, 2314b)과 제2 슬릿(2315a, 2315b)이 베인(231a, 231b)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슬릿(2314a, 2314b)과 제2 슬릿(2315a, 2315b)은 수평방향 폭(WH1, WH2)이 수직방향 길이(Ws1, Ws2)보다 훨씬 작은 장홀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미세홀 형태의 에어홀이 적용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저항이 감소될 수 있고, 먼지 등에 의해서 공기 통로가 폐색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제1 슬릿(2314a, 2314b)과 제2 슬릿(2315a, 2315b)을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저항 감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제1 슬릿(2314a, 2314b)과 제2 슬릿(2315a, 2315b)의 단면적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 슬릿(2314a, 2314b)의 단면적 및 제2 슬릿(2315a, 2315b)의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결과, 제1 슬릿(2314a, 2314b)의 전면 개구와 후면 개구의 사이즈는 동일하게 유지되고, 제2 슬릿(2315a, 2315b)의 전면 개구와 후면 개구의 사이즈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나아가 제1 슬릿(2314a, 2314b)과 제2 슬릿(2315a, 2315b)의 형상 및 사이즈는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슬릿(2314a, 2314b)의 수직방향 길이(Ws1)와 제2 슬릿(2315a, 2315b)의 수직방향 길이(Ws2)는 서로 동일하게, 제1 슬릿(2314a, 2314b)의 수평방향 폭(WH1)과 제2 슬릿(2315a, 2315b)이 수평방향 폭(WH2)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슬릿(2314a, 2314b)의 통과 공기유량과 제2 슬릿(2315a, 2315b)의 통과 공기유량을 거의 동일하게 유지하여, 베인(231a, 231b)의 전면부에서의 국소적 온도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5에는 제1 슬릿(2314a, 2314b)이 형성되는 수직방향 위치와 제2 슬릿(2315a, 2315b)이 형성되는 수직방향 위치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는 달리 제1 슬릿(2314a, 2314b)이 형성되는 수직방향 위치와 제2 슬릿(2315a, 2315b)이 형성되는 수직방향 위치를 서로 달리하여 배치하는 구성, 즉 수평방향으로 제1 슬릿(2314a, 2314b)과 제2 슬릿(2315a, 2315b)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인(231a, 231b)은 전면패널의 후면에서 전체적으로 숨겨진 상태가 되는 수납 위치로부터 전개 위치까지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만, 전개 위치에서 히든 배인은 부분적으로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되며, 바람직하게는 베인(231a, 231b)의 후면부를 기준으로 제1 슬릿(2314a, 2314b)의 후면 개구와 제2 슬릿(2315a, 2315b)의 후면 개구가 전체적으로 측면토출구(224a, 224b)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에 노출되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231a, 231b)의 후면부는 노출영역(2312a-1)과 비노출영역(2312a-2)로 구분될 수 있다. 노출영역(2312a-1)에 관한 상세 내용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베인(23)은 커버브라켓(232), 제어베인(231), 베인 구동부(233) 및 장착케이싱(234)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브라켓(232)은 상기 케이스(Ⅰ)에 결합할 수 있다. 커버브라켓(232)은 전면패널(14)의 내측면에 예를 들어, 볼트 등에 의해 결합하고, 베인(231)은 상기 커버브라켓(232)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커버브라켓(232)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인(231)은 상기 커버브라켓(232)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브라켓(232)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인(231)은 측면토출구(224)의 전방에 배치되고, 베인(231)은 커버브라켓(232)의 측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따라 상기 측면토출구(224)와 케이스(Ⅰ)의 전후방향으로 일부 중첩되고, 그 중첩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베인(231)은 슬릿이 없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토출구(224)로부터 배출되는 전방지향기류의 공기는, 측면토출구(224)와 베인(231)의 중첩면적이 달라짐에 따라 다양하게 그 유동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베인 구동부(233)는 상기 커버브라켓(232)에 장착되고, 상기 베인(231)을 상기 커버브라켓(232)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장착케이싱(234)은 상기 베인 구동부(23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커버브라켓(232)에 장착시킬 수 있다.
베인(231)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베인(231)의 이동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231)은 상기 케이스(Ⅰ)의 상하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인(231)은 케이스(Ⅰ)의 상하방향으로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인(23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베인 구동부(233)와 장착케이싱(234)은 베인(23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인(23)의 케이스(Ⅰ)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베인(231)도 상기 케이스(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인(231)이 케이스(Ⅰ)의 상하방향으로 2개로 구비되는 경우, 베인(231)은 총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베인(231)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베인(231)의 동작은 공기조화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총4개의 베인(231)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예를 들어, 4개의 베인(231)의 케이스(Ⅰ)의 측방향 이동위치는 서로 다를 수 있고, 따라서 베인(231)과 측면토출구(224)의 케이스(Ⅰ)의 전후방향 중첩면적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복수의 베인(231)을 별도로 제어하여 각각의 베인(231)의 케이스(Ⅰ)의 측방향 이동위치는 서로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실내에 다양한 형태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인의 작용>
이하 도 6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인(231a, 231b)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베인(231a, 231b)이 전면패널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에서 베인(231a, 231b)은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과하는 공기의 기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측면 도어(221a, 221b)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측면토출구(224a, 224b)가 완전 개방되면,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이 완료되고 측방송풍모터 및 측방송풍팬에 의해 가압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기류(Fm)는 측면 베인(225a, 225b)에 의해 전방을 향하는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상태는 직접풍 모드로 운전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직접풍 모드로부터, 공기의 기류를 측면지향기류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베인(231a, 231b)이 전술한 수납 위치로부터 전개 위치까지 수평이동된다.
즉, 좌측 베인(231a)은 좌측방향(Le 방향)을 향해 전개 위치로 수평이동되고, 우측 베인(231b)은 우측방향(Ri 방향)을 향해 수평이동된다.
이와 같이 좌측 베인(231a)과 우측 베인(231b)이 각각의 전개 위치로 이동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토출구(224a)로 배출되는 공기의 기류(Fm)는 좌측 베인(231a)에 의해 기류방향이 좌측으로 전환되고, 우측면토출구(224b)로 배출되는 공기의 기류(Fm)는 우측 베인(231b)에 의해 기류방향이 우측으로 전환된다.
즉, 측면토출구(224a, 224b)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는 각각의 베인(231a, 231b)에 의해서 저항을 받게 되고, 특히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전방 단부 측을 통과하는 공기는 직접적으로 베인(231a, 231b)과 충돌하게 되면서 이동 방향이 전환되고,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가 전체적으로 변환되어 실내기(1)는 직접풍 모드로부터 간접풍 모드로 운전 상태가 전환된다.
다만, 도 7에는 좌측 베인(231a)과 우측 베인(231b)이 모두 전개 위치로 수평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좌측 베인(231a)과 우측 베인(231b) 중 어느 하나만 전개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좌측 베인(231a)과 우측 베인(231b)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켜 어느 일측은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도록 하고 타측은 측방지향기류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냉방 운전으로 가동 중인 경우에는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서 실내공기보다 더 낮은 온도를 갖는 공기가 토출되고, 토출되는 공기는 전개되어 있는 베인(231a, 231b)의 후면부의 온도를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수준으로 낮추게 된다.
따라서 베인(231a, 231b)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온도 편차에 의해서 전면부에 이슬맺힘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베인(231a, 231b)의 전면부 및 후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슬릿(2313a, 2313b)은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Fm) 중 적어도 일부 기류(Fs)를 베인(231a, 231b)의 전면부를 향해 유동시켜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Fm) 중 적어도 일부 기류(Fs)가 효과적으로 그리고 유동 손실 없이 관통 슬릿(2313a, 2313b)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위치에서 베인(231a, 231b)은 후면부를 기준으로 제1 슬릿(2314a, 2314b)의 후면 개구와 제2 슬릿(2315a, 2315b)의 후면 개구가 전체적으로 측면토출구(224a, 224b)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에 노출된다. 즉, 제1 슬릿(2314a, 2314b)과 제2 슬릿(2315a, 2315b)은 전체적으로 노출영역(2312a-1)에 배치된다.
이 때, 전면패널의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측면토출구(224a, 224b)는 베인(231a, 231b)의 노출영역(2312a-1)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베인(231a, 231b)의 노출영역(2312a-1)에 의해 측면지향기류를 형성하되, 토출되는 냉기 유로에 놓이게 되는 노출영역(2312a-1)을 최소화하여 베인(231a, 231b)의 전면부에서의 이슬맺힘 가능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지향기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수평방향 폭(Wd) 중에서 노출영역(2312a-1)에 의해서 토출구가 가려지는 부분의 수평방향 폭(W1)은, 노출영역(2312a-1)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는 부분의 수평방향 폭(Wd1)에 비해서 더 크게, 보다 상세히는 노출영역(2312a-1)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는 부분의 수평방향 폭(Wd1)에 2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또는 기류방향과, 베인(231a, 231b)에 형성된 관통 슬릿(2313a, 2313b)의 경사각 사이의 격차를 최소화하여 유동손실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의 측면토출구(224a, 224b)는 전면패널에 인접한 위치로서 전면패널의 후방 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각의 측면토출구(224a, 224b)에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은 수평방향(Ri-Le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제3 경사각(a3)을 갖도록 기울어져 있다.
즉, 도 9를 기준으로 좌측면 베인(225a)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면(2251a)과 후방 가이드면(2252a)을 구비하되 전방 가이드면(2251a)과 후방 가이드면(2252a)은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와 제3 경사각(a3)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좌측면 베인(225a)의 제3 경사각(a3)에 대응하여, 좌측 베인(231a)의 제1 슬릿(2314a)의 경사각(a1) 및 제2 슬릿(2315a)의 경사각(a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는 좌측 베인(231a)의 제1 슬릿(2314a)은, 외측 단부면(2316a)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내벽면(WF1), 및 제1 내벽면(WF1)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내벽면(WF2)을 구비하고, 제1 내벽면(WF1) 및 제2 내벽면(WF2)은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와 제1 경사각(a1)을 형성한다.
나아가 좌측 베인(231a)의 제2 슬릿(2315a)은, 외측 단부면(2316a)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3 내벽면(WF3), 및 제3 내벽면(WF3)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4 내벽면(WF4)을 구비하고, 제3 내벽면(WF3) 및 제4 내벽면(WF4)은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와 제2 경사각(a2)을 형성한다.
이 때, 제1 경사각(a1) 및 제2 경사각(a2)은 모두 좌측면 베인(225a)의 제3 경사각(a3)과 대체로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좌측면토출구(224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또는 기류방향과, 좌측 베인(231a)에 형성된 제1 슬릿(2314a) 및 제2 슬릿(2315a)의 경사각(a1, a2)이 대체로 일치하게 됨에 따라, 좌측면토출구(224a)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효과적으로 그리고 유동저항이 최소화되어 제1 슬릿(2314a) 및 제2 슬릿(2315a)으로 도입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인(231a, 231b)은 제1 슬릿(2314a, 2314b)의 후면 개구 및 제2 슬릿(2315a, 2315b)의 후면 개구로 도입된 기류가 베인(231a, 231b)의 전면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의 온도 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에 대해서 도 9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좌측 베인(231a)의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릿(2314a)의 전면 개구(H11) 및 후면 개구(H12)의 모서리, 그리고 제2 슬릿(2315a)의 전면 개구(H21) 및 후면 개구(H22)의 모서리는 각각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는 제1 슬릿(2314a)의 제1 내벽면(WF1)과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H11e1)는 제1 곡률(R1)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1 슬릿(2314a)의 제1 내벽면(WF1)과 좌측 베인(231a)의 후면부(2312a)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H12e1)는 제1 곡률(R1)보다 더 작은 제2 곡률(R2)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1 슬릿(2314a)의 제2 내벽면(WF2)과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H11e2)는 제2 곡률(R2)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제1 슬릿(2314a)의 제2 내벽면(WF2)과 좌측 베인(231a)의 후면부(2312a)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H12e2)는 제1 곡률(R1)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2 슬릿(2315a)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제2 슬릿(2315a)의 제3 내벽면(WF3)과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H21e1)는, 제1 슬릿(2314a)과 동일하게 제1 곡률(R1)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2 슬릿(2315a)의 제3 내벽면(WF3)과 좌측 베인(231a)의 후면부(2312a)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H22e1)는 제1 슬릿(2314a)과 동일하게 제2 곡률(R2)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슬릿(2315a)의 제4 내벽면(WF4)과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H21e2)는, 제1 슬릿(2314a)과 동일하게 제2 곡률(R2)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제2 슬릿(2315a)의 제4 내벽면(WF4)과 좌측 베인(231a)의 후면부(2312a)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H22e2)는 제1 슬릿(2314a)과 동일하게 제1 곡률(R1)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슬릿(2314a)과 제2 슬릿(2315a)의 후면 개구(H12, H22)의 모서리에 곡률을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에 대한 저항이 최소화되어 효과적으로 제1 슬릿(2314a)과 제2 슬릿(2315a)으로 기류(Fs)가 도입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슬릿(2314a)과 제2 슬릿(2315a)의 전면 개구(H11, H21)의 모서리에, 특히 제1 슬릿(2314a)의 전면 개구(H11)의 외측 모서리(H11e1)와 제2 슬릿(2315a)의 전면 개구(H21)의 외측 모서리(H21e1)에 형성되는 제1 곡률(R1)을 제2 곡률(R2)보다는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전면 개구(H11, H21)를 통과하는 기류(Fs)가 부드럽게 모서리를 타고 넘으면서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를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슬릿(2314a)과 제2 슬릿(2315a)을 통과한 기류(Fs)가 효과적으로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를 냉각할 수 있게 되고, 전면부(2311a)와 후면부(2312a) 사이의 온도 격차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모서리에 곡면을 형성하여 공기 유동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구성은, 베인(231a, 231b)의 외측 단부면(2316a)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기준으로, 좌측 베인(231a)의 외측 단부면, 즉 좌측 단부면(2316a)과 전면부(2311a)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2316a-2)는, 제1 슬릿(2314a) 및 제2 슬릿(2315a)과 동일하게 제2 곡률(R2)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 베인(231a)의 외측 단부면(2316a), 즉 좌측 단부면과 후면부(2312a)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2316a-1)는, 제1 슬릿(2314a) 및 제2 슬릿(2315a)과 동일하게 제1 곡률(R1)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의 베인(231a, 231b)은, 전면부에 생성될 수 있는 물방울 또는 이슬이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도 1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이슬 맺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정의 깊이로 전면부로부터 함몰되어 있고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수평홈이 구비된다.
복수의 수평홈은,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에 생성될 수 있는 이슬이 중력방향 또는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일종의 트랩 또는 포켓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홈은, 이슬맺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좌측 베인(231a)을 기준으로,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로서 전개 위치에서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이슬맺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수평홈(HG)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1 슬릿(2314a)의 전면 개구(H11)와 제2 슬릿(2315a)의 전면 개구(H21) 사이의 전면부(2311a) 영역, 그리고 제1 슬릿(2314a)이 전면 개구(H11)와 좌측 단부면 사이의 전면부(2311a) 영역에 전체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수평홈(HG)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슬에 대한 트랩 또는 포켓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형태로서, 리브 형태의 복수의 수평돌기를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수평돌기는 좌측 베인(231a)의 전면부(2311a)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수평돌기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이슬에 대한 트랩 또는 포켓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좌측 베인(231a) 및 좌측면토출구(224a)를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에 대한 세부 구성은 동일하게 우측 베인(231b) 및 우측면토출구(224b)에 적용 가능하다. 우측 베인(231b) 및 우측면토출구(224b)에 대해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예: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1100)는 통신부(1110), 입력부(1120), 표시부(1130), 저장부(1140), 센서부(1150), 풍량 제어부(1160), 모터부(1170), 풍향 제어부(1180), 및 프로세서(1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장치(1100)의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장치(1100)의 구성 요소들이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1110)는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1110)는 실외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다른 공기 조화기(구체적으로, 실외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통신부(1110)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예: TV, 환기 시스템, 선풍기, 냉장도 등)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10)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예: 리모콘)로부터 공기 조화기(예: 실내기(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111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외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1120)는 사용자로부터 공기 조화기(1)의 운전에 관한 데이터, 예컨대 운전설정, 운전모드, 온도, 풍량, 풍향 등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프로세서(119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120)는 스위치, 버튼 등의 물리적인 조작부재를 포함하거나 터치키,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전기적인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120)는 사용자로부터 운전모드(예: 쾌속 모드, 쾌적 모드, 인체순응 모드, 자연풍 모드, 취침 모드, 휴식 모드, 절전 모드, 상집중 모드, 집중 모드, 확산 모드, 좌 확산 모드, 우 확산 모드, 산들 바람 모드 등)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프로세서(1190)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운전모드로 공기 조화기(1)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1130)는 공기 조화기(1)의 동작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의 외면(예: 도 1의 아우터패널(211))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14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통신부(1110), 입력부(1120), 표시부(1130), 저장부(1140), 센서부(1150), 풍량 제어부(1160), 모터부(1170), 풍향 제어부(1180), 및 프로세서(1190))에 의해 획득되거나 또는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예: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획득된 정보, 측정된 정보, 제어 신호 등), 및 이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1140)는 공기 조화기(1)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140)는 공기 조화기(1)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140)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모드(예: 쾌속 모드, 쾌적 모드, 인체순응 모드, 자연풍 모드, 취침 모드, 휴식 모드, 절전 모드, 상집중 모드, 집중 모드, 확산 모드, 좌 확산 모드, 우 확산 모드, 산들 바람 모드 등)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각각의 모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베인 각도, 각 베인을 제어하는 각 모터의 제어 정보, 공기 조화기(1)에 포함된 각 팬의 RPM(revolution per minute)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각 운전 모드에 따른 운전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각 운전 모드에 따른 동작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하말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저장부(114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140)는 상기 프로세서(119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140)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115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공기 조화기(1)의 외관 또는 내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위치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내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50)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151), 실내의 사용자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1152), 및 실내의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비젼 센서(1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1151)는 복수의 온도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공기 조화기(1)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 실내 공간의 온도, 냉매를 흡입하는 배관 온도, 냉매를 토출하는 배관 온도 등을 감지하여 프로세서(119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공기 조화기(1))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션 센서(1152)는 공기 조화기(1)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모션 센서(1152)는 공기 조화기(1)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션 센서(1152)는 공기 조화기(1)가 설치된 실내공간에서 움직이거나, 휴식을 취하거나, 요리를 하거나, 운동을 하거나, 책상에 앉아 있거나, TV를 보거나, 식사를 하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션 센서(1152)는 프로세서(1190)의 제어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실내공간을 스캔할 수 있고, 실내공간에 위치한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모션 센서(1152)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모션 센서(1152)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고, 재실자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재실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모션 센서(1152)는 인체(재실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모션 센서(1152)의 감지 동작은 미리 설정된 감지주기(예컨대, 10초)마다 수행될 수 있으며, 재실자의 감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후술하는 프로세서(119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비젼 센서(1153)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예: RGB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젼 센서(1153)는 재실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재실자가 서 있는지, 앉아 있는지, 누워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젼 센서(1153)는 획득된 이미지에서 재실자에 대한 뎁스(depth)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재실자와 공기 조화기(1) 간의 거리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젼 센서(1153)는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획득한 이미지를 저장부(1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풍량 제어부(1160)는 각각의 측면 토출구(224a, 224b), 및 전방토출구(14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풍량 제어부(1160)는 프로세서(119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각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부(1170)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터부(1170)는 전방 토출구(141)의 방향을 제어하는 전방 모터(1175), 제1 베인(231a1)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1 모터(1171), 제2 베인(231b1)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2 모터(1172), 제3 베인(231a2)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3 모터(1173), 및 제4 베인(231b2)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4 모터(1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부(1170)에 포함된 복수의 모터들 각각은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풍향 제어부(1180)의 전방 토출구(141), 각각의 베인에 물리적인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풍향 제어부(1180)는 각 베인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향 제어부(1180)는 프로세서(119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토출구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거나 각 베인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150)에 의해 재실자가 감지되는 경우 풍향 제어부(1180)는 프로세서(1190)의 제어에 따라 토출구 또는 베인의 각도를 재실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풍향 제어부(1180)는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풍향 제어부(1180)는 하나 이상의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풍향 제어부(1180)는 공기 조화기(1)의 양 측면 각각에 하나의 베인이 배치될 수 있거나, 두 개의 베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풍향 제어부(1180)은 두 개의 베인들 또는 네 개의 베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풍향 제어부(1180)는 세 개의 베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베인은 해당 모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1120)는 사용자로부터 운전 모드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 받아 프로세서(119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예: 리모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119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90)는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운전모드로 공기 조화기(1)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실내환경을 스스로 감지하여 공기 조화기(1)를 맞춤형 운전모드로 구동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운전모드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 한해 공기 조화기(1)의 각 운전모드로 구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이러한 구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동작중인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15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기류 속도, 및 실내 환경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류 속도, 상기 실내 환경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상기 프로세서(119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유선 통신 또는 상기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프로세서(119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140)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부(1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부(1130)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인공지능 칩(예: ThinQ)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공지능 칩에 대한 알고리즘은 상기 프로세서(119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 칩은 인간의 뇌 신경망을 모방한 프로세서로서 다양한 데이터를 스스로 분석, 인지, 추론, 판단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90)는 센서부(1150)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인공지능 칩을 통해 재실자의 위치, 움직임, 상태, 상황 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공기 조화기(1)의 동작 모드를 결정 및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공기 조화기(1)의 운전에 기반하여, 상기 풍향 제어부(1180)에 포함된 복수의 베인들(141, 231a1, 231b1, 231a2, 231b2)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90)는 공기 조화기(1)가 동작되는 운전 모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1180)에 포함된 복수의 베인들(141, 231a1, 231b1, 231a2, 231b2) 각각이 해당 모터의 제어 하에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들(141, 231a1, 231b1, 231a2, 231b2)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 중 두 개의 베인들의 움직임이 다른 두 개의 베인들의 움직임과 상이하도록 상기 네 개의 베인들 각각에 대응되는 모터(1171, 1172, 1173, 117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들(141, 231a1, 231b1, 231a2, 231b2)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움직임이 나머지 베인의 움직임과 상이하도록 상기 네 개의 베인들 각각에 대응되는 모터(1171, 1172, 1173, 117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네 개의 베인들 각각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풍향 제어부(1180)에 포함된 전방 토출구(141)의 제어를 통해 공기를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센서부(115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1151, 1152, 1153)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상황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들(141, 231a1, 231b1, 231a2, 231b2) 각각에 대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외관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151, 1152, 1153)를 통해 실내 공간의 사용자의 위치, 및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151, 1152, 1153)를 통해 실내 공간의 사용자의 위치, 및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획득에 기반하여, 재실자가 서 있는지, 앉아 있는지, 누워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비젼 센서(1153)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재실자에 대한 뎁스(depth)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재실자와 공기 조화기(1) 간의 거리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이미지를 통해 재실자가, 거실에 있는지, 부엌에 있는지, 소파에 앉아 있는지, 책상에 앉아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통신부(1110)를 통해 수신된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와 페어링된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예: 리모콘)을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집중, 상 집중, 확산, 우 확산, 및 좌 확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118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집중, 상 집중, 확산, 우 확산, 및 좌 확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되도록,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집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집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이 상기 수납 위치로 이동되도록 해당 모터(1171, 1172, 1173, 1174)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공기를 전방으로 집중적으로 토출하는 집중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집중 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231a1, 231b1)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231a2,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상 집중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b1)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다른 두 개의 베인들(231a2, 231b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해당 모터(1171, 1172, 1173, 1174)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공기를 전방 및 측방으로 토출하는 상 집중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상 집중 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231a1, 231b1)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베인(231a1, 231b1)이 측방을 향하도록 토출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제1 및 제2 베인(231a1, 231b1)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1171, 1172)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베인(231a1, 231b1)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231a2, 231b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231a2, 231b2)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1173, 1174)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해당 모터(1171, 1172, 1173, 1174)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공기를 측방으로 토출하도록 하는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를 확산 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231a1, 231b1)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인(231a1, 231b1)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1171, 117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231a2, 231b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231a2, 231b2)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1173, 1174)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우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a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b1, 231b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해당 모터(1172, 1174)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공기를 전방 및 우측방으로 토출하도록 하는 우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우 확산 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단의 좌 측면에 배치된 제1 베인(231a1)과,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단의 좌 측면에 배치된 제3 베인(231a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단의 우 측면에 배치된 제2 베인(231a2)과,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단의 우 측면에 배치된 제4 베인(231b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및 제4 베인(231a2, 231b2)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1172, 1174)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좌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a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해당 모터(1171, 1173)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b1,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공기를 전방 및 좌측방으로 토출하도록 하는 좌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좌 확산 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단의 좌 측면에 배치된 제1 베인(231a1)과,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단의 좌 측면에 배치된 제3 베인(231a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3 베인(231a1, 231a2)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1171, 1173)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단의 우 측면에 배치된 제2 베인(231a2)과,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단의 우 측면에 배치된 제4 베인(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풍향 제어부(1180)에 포함된 복수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 및 전방 토출구(141) 각각이 이동되도록 모터부(1170) 내의 각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쾌속 모드, 쾌적 모드, 인체순응 모드, 취침 모드, 휴식 모드, 절전 모드, 및 자연풍 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로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자연풍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90)가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자연풍으로 운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190)는 제1 시간(예: 3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집중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상 집중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제2 시간 이후의 제3 시간(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집중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제3 시간 이후의 제4 시간(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확산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시간에 기반하여 순서대로 진행된 집중 모드, 상 집중 모드, 집중 모드 및 확산 모드 동작 이후, 상기 제2 시간(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상기 상 집중에 기반한 동작, 상기 제3 시간(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상기 집중에 기반한 동작, 및 상기 제4 시간(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상기 확산에 기반한 동작을 포함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90)는 이러한 상 집중 모드, 집중 모드 및 확산 모드에 따른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자연풍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동작 정보가 입력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210).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통신부(111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예: 리모콘)로부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입력부(1120)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동작 모드(쾌속 모드, 쾌적 모드, 인체순응 모드, 취침 모드, 휴식 모드, 절전 모드, 자연풍 모드, 상집중 모드, 집중 모드, 확산 모드, 좌 확산 모드, 우 확산 모드, 산들 바람 모드 등)에 대한 정보, 및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 동작 온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동작 정보에 포함된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S1212).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동작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어떤 모드로 동작할지, 몇 시간 동안 동작할지, 또는 몇 도로 동작할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식별된 운전 정보에 기반하여 네 개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214).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식별된 운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풍향 제어부(1180)에 포함된 복수의 베인들(141, 231a1, 231b1, 231a2, 231b2) 각각(또는 일부 동일)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공기 조화기(1)가 동작되는 운전 모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1180)에 포함된 복수의 베인들(141, 231a1, 231b1, 231a2, 231b2) 각각을 해당 모터의 제어를 통해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에 기반하여,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 중 두 개의 베인들이 향하는 방향이 다른 두 개의 베인들이 향하는 방향과 상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에 기반하여, 상기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향하는 방향이 나머지 베인이 향하는 방향과 상이하도록 상기 네 개의 베인들 각각에 대응되는 모터(1171, 1172, 1173, 117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네 개의 베인들 각각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풍향 제어부(1180)에 포함된 전방 토출구(141)의 이동(또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센서부(115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1151, 1152, 1153)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상황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들(141, 231a1, 231b1, 231a2, 231b2) 각각에 대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외관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151, 1152, 1153)를 통해 실내 공간의 사용자의 위치, 및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151, 1152, 1153)를 통해 실내 공간의 사용자의 위치, 및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획득에 기반하여, 재실자가 서 있는지, 앉아 있는지, 누워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비젼 센서(1153)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재실자에 대한 뎁스(depth)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재실자와 공기 조화기(1) 간의 거리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이미지를 통해 재실자가, 거실에 있는지, 부엌에 있는지, 소파에 앉아 있는지, 책상에 앉아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통신부(1110)를 통해 수신된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와 페어링된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예: 리모콘)을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집중, 상 집중, 확산, 우 확산, 및 좌 확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집중, 상 집중, 확산, 우 확산, 및 좌 확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되도록,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집중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해당 모터(1171, 1172, 1173, 1174)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공기를 전방으로 집중적으로 토출하도록 하는 집중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상 집중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b1)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해당 모터(1171, 1172)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다른 두 개의 베인들(231a2, 231b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해당 모터(1173, 1174)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공기를 전방 및 측방으로 토출하도록 하는 상 집중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해당 모터(1171, 1172, 1173, 1174)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공기를 측방으로 토출하도록 하는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우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a2)을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b1, 231b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해당 모터(1172, 1174)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공기를 전방 및 우측방으로 토출하도록 하는 우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좌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a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을 향하도록 해당 모터(1171, 1173)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b1, 231b2)을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공기를 전방 및 좌측방으로 토출하도록 하는 좌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풍향 제어부(1180)에 포함된 복수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 및 전방 토출구(141) 각각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모터부(1170) 내의 각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쾌속 모드, 쾌적 모드, 인체순응 모드, 취침 모드, 휴식 모드, 절전 모드, 및 자연풍 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로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S1216).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과정(S1214)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제어에 기반하여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전방송풍팬(311), 및 측방송풍팬(321a, 321b, 321c) 중 적어도 하나를 해당 RPM에 따라 제어하고, 상기 RPM에 의해 제어된 팬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풍향 제어부(1180)에 포함된 전방 토출구(141)의 제어를 통해 공기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집중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상 집중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확산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우 확산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좌 확산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집중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상기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집중 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231a1, 231b1)을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상기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231a2, 231b2)을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집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은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공기 조화기(1)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상 집중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b1)을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는,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상 집중 모드로 동작되도록, 다른 두 개의 베인들(231a2, 231b2) 각각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Ri 방향 또는 Le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상기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상 집중 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231a1, 231b1)을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상기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231a2,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Ri 방향 또는 Le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상 집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및 제2 베인(231a1, 231b1)은 공기 조화기(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베인(231a2, 231b2)은 공기 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Ri 방향, 및 Le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상기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확산 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231a1, 231b1)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Ri 방향, 및 Le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상기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231a2,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Ri 방향, 및 Le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231a2, 231b2)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1173, 117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확산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베인(231a1, 231b1, 231a2, 231b2)은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공기 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우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b1, 231b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Ri 방향)을 향하고, 다른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a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상기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우 확산 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2 및 제4 베인(231b1,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Ri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상기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좌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3 베인(231a1, 231a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우 확산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2 및 제4 베인(231b1, 231b2)은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공기 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3 베인(231a1, 231a2)은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공기 조화기(1)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3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좌 확산 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b1,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1)는, 다른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a2)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Le 방향)을 향하도록 해당 모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상기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좌 확산 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2 및 제4 베인(231b1,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상기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좌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3 베인(231a1, 231a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측방(Le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좌 확산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2 및 제4 베인(231b1, 231b2)은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공기 조화기(1)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3 베인(231a1, 231a2)은 프로세서(1190)의 제어 하에, 공기 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각 베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집중 모드(1411)는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이 모두 공기 조화기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 집중 모드(1412)는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b1)이 공기 조화기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고,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2, 231b2)이 공기 조화기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하 집중 모드(1413)는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b1)이 공기 조화기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된 상태로 유지되고,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2, 231b2)이 공기 조화기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확산 모드(1414)는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이 공기 조화기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우 확산 모드(1415)는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a2)이 공기 조화기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고,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b1, 231b2)이 공기 조화기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좌 확산 모드(1416)는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b1, 231b2)이 공기 조화기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고,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a2)이 공기 조화기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프로세서(11190)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의 베인은 다른 적어도 하나의 베인과 다른 상태(예: 공기 조화기(1)의 내부에 배치, 또는 공기 조화기(1)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1)의 다양한 모드들(1417, 1718, 1419, 1420, 1421, 1422, 1423, 1424, 1425, 1426)은 프로세서(11190)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의 베인은 다른 적어도 하나의 베인과 다른 상태(예: 공기 조화기(1)의 내부에 배치, 또는 공기 조화기(1)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로 유지된 상태에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5a는 도 13a의 집중 모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b는 도 13b의 상 집중 모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c는 도 13c의 확산 모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d는 도 13d의 우 확산 모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e는 도 13e의 좌 확산 모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가 도 13a와 같이 집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은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집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좌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3 베인(231a1, 231a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1511)는 제1 궤적(1512)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2 및 제4 베인(231b1, 231b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1513)는 제2 궤적(1514)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위해, 상기 공기 조화기(1)는 각각의 베인과 해당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베인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반하여 실내의 상부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과 하부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베인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반하여,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상부와 하부를 집중 모드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가 도 13b와 같이 상 집중 모드(및 하 확산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b1)은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두 개의 베인들(231a2, 231b2)은 공기 조화기(1)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상 집중 모드(및 하 확산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단의 좌 측면에 배치된 제1 베인(231a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1521a)는 제3 궤적(1522a)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단의 좌 측면에 배치된 제3 베인(231a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1521b)는 제4 궤적(1522b)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1)가 상 집중 모드(및 하 확산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단의 우 측면에 배치된 제2 베인(231b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1523a)는 제5 궤적(1524a)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단의 우 측면에 배치된 제3 베인(231b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1523b)는 제6 궤적(1524b)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위해, 상기 공기 조화기(1)는 각각의 베인과 해당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베인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반하여 실내의 상부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과 하부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베인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반하여,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상부를 집중 모드로 공기를 토출하고, 실내의 하부를 확산 모드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가, 도 13c와 같이, 확산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은 공기 조화기(1)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확산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좌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3 베인(231a1, 231a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1531)는 제7 궤적(1532)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2 및 제4 베인(231b1, 231b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1533)는 제8 궤적(1534)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위해, 상기 공기 조화기(1)는 각각의 베인과 해당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베인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반하여 실내의 상부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과 하부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베인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반하여,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상부와 하부를 확산 모드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가, 도 13d와 같이, 우 확산 모드(및 좌 집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좌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a2)은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우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b1)은 공기 조화기(1)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확산 모드(및 좌 집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좌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3 베인(231a1, 231a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1541)는 제9 궤적(1542)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2 및 제4 베인(231b1, 231b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1543)는 제10 궤적(1544)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위해, 상기 공기 조화기(1)는 각각의 베인과 해당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베인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반하여 공기 조화기(1)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과 후측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베인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반하여, 공기 조화기(1)는 공기 조화기(1)의 좌측을 집중 모드로 공기를 토출하고, 우측을 확산 모드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5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가, 도 13e와 같이, 좌 확산 모드(및 우 집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좌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a2)은 공기 조화기(1)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우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b1)은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가 확산 모드(및 우 집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좌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3 베인(231a1, 231a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1551)는 제11 궤적(1552)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2 및 제4 베인(231b1, 231b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1553)는 제12 궤적(1554)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위해, 상기 공기 조화기(1)는 각각의 베인과 해당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베인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반하여 공기 조화기(1)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과 후측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베인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반하여, 공기 조화기(1)는 공기 조화기(1)의 좌측을 확산 모드로 공기를 토출하고, 우측을 집중 모드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자연풍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자연풍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16,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자연풍 모드가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610).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쾌속 모드, 쾌적 모드, 인체순응 모드, 취침 모드, 휴식 모드, 절전 모드, 자연풍 모드, 상집중 모드, 집중 모드, 확산 모드, 좌 확산 모드, 우 확산 모드, 및 산들 바람 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공기 조화기(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통신부(111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입력부(1120)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쾌속 모드, 쾌적 모드, 인체순응 모드, 취침 모드, 휴식 모드, 절전 모드, 자연풍 모드, 상집중 모드, 집중 모드, 확산 모드, 좌 확산 모드, 우 확산 모드, 및 산들 바람 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공기 조화기(1)가 동작될 수 있는 다양한 동작 모드들 중에서 선택된 또는 지정된 자연풍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통신부(111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입력부(1120)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가 동작해야 하는 설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제1 시간(예: 30분) 동안 네 개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612).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1 시간(t1)(예: 30분) 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는,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서(1190)는 공기 조화기(1)를 제1 시간(t1)(예: 30분) 동안 집중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제2 시간 동안 네 개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614).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 중 두 개의 베인들(231a1, 231b1)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하고, 다른 두 개의 베인들(231a2,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2 시간(t2)(예: 10분) 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제1 시간(t1)(예: 3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집중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t1)(예: 30분)이 지나면, 상기 제2 시간(t2)(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상 집중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제2 시간(t2)(예: 10분)의 일정 시간(예: 3분) 단위로 공기 조화기(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321a, 321b, 321c)을 RPM의 세기에 기반하여 반복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팬(321a, 321b, 321c)은 RPM과 풍량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각 팬의 RPM 제어 값에 기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상기 RPM은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복수의 베인들(141, 231a1, 231b1, 231a2, 231b2)을 통해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팬들(예: 전방송풍팬(311), 및 측방송풍팬(321a, 321b, 321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팬들(311, 321a, 321b, 321c) 각각은 동작 모드(예: 취침, 약풍, 중풍, 강풍, 파워풍 등)에 따른 RPM에 기반하여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팬들(311, 321a, 321b, 321c) 각각을 평균 RPM인 695RPM에서 875RPM(2단 내지 4단) 범위 내에서 동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팬들(311, 321a, 321b, 321c) 각각에 대한 RPM 제어 값들은 단지 일 실시 예이며, 다른 RPM 제어 값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제3 시간 동안 네 개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616).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3 시간(t3)(예: 10분) 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제1 시간(t1)(예: 30분) 및 상기 제2 시간(t2)(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집중 모드 및 상 집중 모드로 순차적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t1)(예: 30분) 및 상기 제2 시간(t2)(예: 10분)이 지나면, 상기 제3 시간(t3)(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집중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제4 시간 동안 네 개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제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618).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네 개의 베인들(231a1, 231b1, 231a2, 231b2)을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외부 방향으로 토출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4 시간(t4)(예: 10분) 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제1 시간(t1)(예: 30분), 상기 제2 시간(t2)(예: 10분), 및 상기 제3 시간(t3)(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집중 모드, 상 집중 모드, 및 집중 모드로 순차적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t1)(예: 30분), 상기 제2 시간(t2)(예: 10분), 및 상기 제3 시간(t3)(예: 10분)이 지나면, 상기 제4 시간(t4)(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확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시간(t1 내지 t4)에 기반하여 순서대로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집중 모드, 상 집중 모드, 집중 모드 및 확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1190)는 상기 제2 시간(t2)(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상기 상 집중에 기반한 동작, 상기 제3 시간(t3)(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상기 집중에 기반한 동작, 및 상기 제4 시간(t4)(예: 10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상기 확산에 기반한 동작을 포함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90)는 이러한 상 집중 모드, 집중 모드 및 확산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예: 30분) 단위로 반복적으로 수행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자연풍 모드에 따른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동작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620).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도 17에 도시된 모드들에 따라 공기 조화기(1)가 동작하는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쾌속 모드, 쾌적 모드, 인체순응 모드, 자연풍 모드, 상집중 모드, 집중 모드, 확산 모드, 좌 확산 모드, 우 확산 모드, 및 산들 바람 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동작되는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동작 시간이, 상기 통신부(111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입력부(1120)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포함된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동작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과정(S1614)으로 회귀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동작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예: 프로세서(1190))는 상기 자연풍 모드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각각의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도시된 순서에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100: 장치 1110: 통신부
1120: 입력부 1130: 표시부
1140: 저장부 1150: 센서부
1151: 온도 센서 1152: 모션 센서
1153: 비젼 센서 1160: 풍량 제어부
1170: 모터부 1171: 제1 모터
1172: 제2 모터 1173: 제3 모터
1174: 제4 모터 1175: 전방 모터
1180: 풍향 제어부 231a1: 제1 베인
231b1: 제2 베인 231a2: 제3 베인
231b2: 제4 베인

Claims (24)

  1.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베인들을 포함하는 풍향 제어부;
    상기 복수의 베인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터들을 포함하는 모터부; 및
    상기 풍향 제어부, 및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 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베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베인들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복수의 모터들을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운전 모드에 기 설정된 동작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 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공기를 토출하도록 설정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들의 네 개의 베인들 중 두 개의 베인들의 움직임이 다른 두 개의 베인들의 움직임과 상이하도록 상기 네 개의 베인들 각각에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상황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가 집중, 상 집중, 확산, 우 확산, 및 좌 확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상기 풍향 제어부를 제어하는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이 상기 집중인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이 상기 상 집중인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고 하도록 설정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이 상기 확산인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고 하도록 설정된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이 상기 우 확산인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의 좌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3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3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의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2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고 하도록 설정된 장치.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이 상기 좌 확산인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의 좌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3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3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의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2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장치.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인이 다른 적어도 하나의 베인과 다르게 움직이게 제어하도록 설정된 장치.
  1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풍향 제어부에 포함된 전방 토출구의 제어를 통해 공기를 선택적으로 토출하도록 설정된 장치.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자연풍으로 운전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집중에 기반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상 집중에 기반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제2 시간 이후의 제3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집중에 기반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제3 시간 이후의 제4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확산에 기반하여 동작시키도록 설정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시간 이후,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상 집중에 기반한 동작,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집중에 기반한 동작, 및 상기 제4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확산에 기반한 동작을 포함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된 장치.
  1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외관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실내 공간의 사용자의 위치, 및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황을 식별하도록 설정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장치.
  16.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 모드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식별된 운전 모드에 따라 복수의 베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베인들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복수의 모터들을 제어하는 과정;
    상기 식별된 운전 모드에 기 설정된 동작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
    상기 변경된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들의 네 개의 베인들 중 두 개의 베인들의 움직임이 다른 두 개의 베인들의 움직임과 상이하도록 상기 네 개의 베인들 각각에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이 집중에 기반한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이 상 집중에 기반한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이 확산에 기반한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하단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이 우 확산에 기반한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의 좌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3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3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의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2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에 대한 동작이 좌 확산에 기반한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의 좌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3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측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3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의 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2 및 제4 베인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및 제4 베인에 각각 대응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자연풍으로 운전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베인들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과정은,
    제1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집중에 기반하여 동작시키는 제1 과정;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 집중에 기반하여 동작시키는 제2 과정;
    상기 제2 시간 이후의 제3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상기 집중에 기반하여 동작시키는 제3 과정; 및
    상기 제3 시간 이후의 제4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조화기를 확산에 기반하여 동작시키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 이후, 상기 제2 과정 내지 상기 제4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009260A 2021-01-22 2021-01-22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25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260A KR102525638B1 (ko) 2021-01-22 2021-01-22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202210066033.0A CN114811910A (zh) 2021-01-22 2022-01-20 用于控制空调机的运转的装置和方法
KR1020230052132A KR20230061308A (ko) 2021-01-22 2023-04-20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260A KR102525638B1 (ko) 2021-01-22 2021-01-22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132A Division KR20230061308A (ko) 2021-01-22 2023-04-20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389A KR20220106389A (ko) 2022-07-29
KR102525638B1 true KR102525638B1 (ko) 2023-04-24

Family

ID=825278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260A KR102525638B1 (ko) 2021-01-22 2021-01-22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230052132A KR20230061308A (ko) 2021-01-22 2023-04-20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132A KR20230061308A (ko) 2021-01-22 2023-04-20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25638B1 (ko)
CN (1) CN1148119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886B1 (ko) * 2005-09-26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9978A (en) * 1992-05-04 1994-04-05 Carrier Corporation Air sweep mechanism
KR101085903B1 (ko) * 2006-11-09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384151B1 (ko) * 2006-12-08 201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32759A (ko) * 2008-09-18 2010-03-2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멀티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513480B1 (ko) 2015-07-17 202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610037B1 (ko) 2017-02-01 202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39327B1 (ko) 2018-03-07 202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40953B1 (ko) * 2018-04-10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공기 조화기, 클라우드 서버, 및 이들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886B1 (ko) * 2005-09-26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389A (ko) 2022-07-29
CN114811910A (zh) 2022-07-29
KR20230061308A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967B1 (ko) 공기 조화기
KR101214282B1 (ko) 공기 조화기
KR101065548B1 (ko) 공기 조화기
KR20120039456A (ko) 공기 조화기
EP3936782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4623492B (zh) 空调
CN114623491B (zh) 空调
JP4285959B2 (ja) 空気調和機
CN114688614B (zh) 空调机
KR2023011596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25638B1 (ko)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5723734B2 (ja) 空気調和機
KR101827293B1 (ko) 공기조화기
CN114811911B (zh) 用于控制空调机的运转的装置和方法
KR2009011363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4574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6196306B (zh) 一种空调出风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控制方法
KR2022010667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044650A (ko) 공기조화기
KR100789711B1 (ko)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KR102462999B1 (ko) 공기조화기
KR10221265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5873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4688611B (zh) 一种空调器、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JPH1078253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