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99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999B1
KR102462999B1 KR1020210009439A KR20210009439A KR102462999B1 KR 102462999 B1 KR102462999 B1 KR 102462999B1 KR 1020210009439 A KR1020210009439 A KR 1020210009439A KR 20210009439 A KR20210009439 A KR 20210009439A KR 102462999 B1 KR102462999 B1 KR 10246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an
suction
filter
dispos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6482A (ko
Inventor
최성규
송홍창
김형수
임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9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99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6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이 외측커버를 통해서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흡입모듈이 베이스커버를 통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소음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는 필터청소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CONDITIONER}
본 발명은 흡입구의 필터모듈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흡입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이 외측커버를 통해서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흡입모듈이 베이스커버를 통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소음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는 필터청소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천장형, 벽걸이형 및 스탠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는, 토출구가 케이스의 전면이나 측면에 형성되고, 흡입구가 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흡입구에 배치되는 필터도 케이스의 후방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6401호에는, 흡입구가 후방에 형성되는 스탠드형 실내기로서, 흡입구에 필터가 배치되고, 필터의 후방에는 필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필터에 이물질을 흡입하는 필터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상의 필터청소기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팬모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커버에 의해서 지지 및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RPM으로 회전하는 흡입팬모듈의 송풍팬 및 송풍모터의 진동이 외측커버로 전달되고, 외측커버에 의해서 증폭되어 소음이 급격히 증가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이 변형이 용이하게 발생될 부분에 해당하는 외측커버에 의해서 흡입팬모듈이 지지되기 때문에 외측커버의 변형시 흡입팬모듈이 정위치에서 고정되지 못하고 이탈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6401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흡입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이 외측커버를 통해서 전달되지 않도록, 흡입모듈과 외측커버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고 이격시켜 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모듈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을 베이스커버에 구비되도록 하여 외측커버의 변형시에도 흡입모듈의 이탈을 방지하고 흡입모듈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케이스, 필터모듈, 및 필터청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청소기는, 일면이 상기 필터모듈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커버와,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외측커버와, 상기 베이스커버와 상기 외측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에 고정되는 흡입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외측커버와 미접촉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흡입모듈로부터 생성되는 진동이 외측커버로 전달되어 소음이 증폭되는 것이 방지되고, 소음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모듈은 전체적으로 상기 외측커버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흡입팬하우징; 상기 흡입팬의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흡입팬모터; 및 일단부가 상기 흡입팬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팬모터를 수용하는 흡입팬모터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이 상기 베이스커버에 지지되고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커버는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을 고정하는 흡입모듈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입모듈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의 타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를 향해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 의해서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의 타단부가 지지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의 후방면과 걸림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타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강리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입모듈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는, 일단부가 베이스커버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타단부는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의 외면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타단부는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보강리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이 외측커버를 통해서 전달되지 않도록, 흡입모듈과 외측커버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고 이격시켜 소음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모듈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을 베이스커버에 구비되도록 하여 외측커버의 변형시에도 흡입모듈의 이탈을 방지하고 흡입모듈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필터청소기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필터청소기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필터청소기에서 외측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10은 도 7의 부분확대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를 구성하는 어셈블리 구조의 전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각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전체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Ⅰ케이스(Ⅰ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방 토출구 및 양측면에 형성된 측면토출구를 개폐하거나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도어 어셈블리(Ⅱ케이스(Ⅰ의 내측에 배치되고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팬 어셈블리(Ⅲ송풍팬 어셈블리(Ⅲ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어셈블리(Ⅳ케이스(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Ⅵ필터 어셈블리(Ⅵ의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및 케이스(Ⅰ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어셈블리(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Ⅰ는 후방으로 흡입구(111)를 형성하고, 내측에 열교환기(41)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어퍼케이스(11)와, 리어어퍼케이스(11)의 하측에 배치되고 가습 어셈블리(Ⅴ의 일부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2)와, 베이스부(12)의 후방 및 측방을 커버하는 리어로어케이스(13)와, 리어어퍼케이스(11) 및 리어로어케이스(13)의 개구된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어퍼케이스(11)는, 전체적으로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리어로어케이스(13) 및 베이스부(12)의 상측에 배치된다. 개구된 전면에는 후술하는 전면패널(14)이 배치되며, 개구된 상면에는 탑커버(15)가 배치된다.
리어어퍼케이스(11)는 내부에 열교환기(41)와, 전방송풍모듈(31)과,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구성물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리어어퍼케이스(11)의 내측에는 열교환기(41)가 장착되는 열교환기 장착부재(미도시)와, 전방송풍모듈(31)이 장착되는 전방송풍모듈 장착부재(미도시)와,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장착되는 측방송풍모듈 장착부재(미도시)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리어어퍼케이스(11)의 후방에는 흡입구(111)가 형성되며, 흡입구(111) 측에는 필터 어셈블리(Ⅵ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리어어퍼케이스(11) 후방에서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어어퍼케이스(11)의 후방에서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모듈(62a, 62b, 62c, 62d) 사이에는, 필터청소기(72)의 상하방향(U-D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형태의 이동가이더(71)가 배치된다.
이동가이더(71)는, 리어어퍼케이스(11) 후방에서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하방향(U-D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리어어퍼케이스(11)의 후방에는, 레일 형태의 이동가이더(71)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이온화부(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온화부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으로, 흡입구(111)로 유동하는 공기를 이온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리어로어케이스(13)의 후방 하부면에는, 열교환 어셈블리(Ⅳ의 냉매관(42)이 관통하는 냉매관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리어로어케이스(13)의 후방 하부면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관통하는 전원선홀(13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2)는 리어어퍼케이스(11) 하측에 배치되어, 내측에 가습 어셈블리(Ⅴ의 구성인 수조(51)와 히팅부(미도시) 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베이스부(12)는 내측에 필터청소 어셈블리(Ⅶ에 연결되는 전원선이 감기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2)는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2)의 외둘레에는 리어로어케이스(13), 및 도어 어셈블리(Ⅱ의 측면도어 유닛(22)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2)에는, 필터청소 어셈블리(Ⅶ와 연결되는 전원선이 관통하는 전원선 관통홀(미도시), 가습 어셈블리(Ⅴ의 가습유로관(미도시)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가습유로관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2)의 상측에는 리어어퍼케이스(11)가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어퍼케이스(11)를 포함하는 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하로 배치되는 베이스부(12)와 리어어퍼케이스(11)가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2)와 리어어퍼케이스(11)의 전면에 전면패널(14)이 배치된다.
전면패널(14)은 실내기(1)의 전면을 형성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위치로서 전방송풍모듈(3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열교환 어셈블리(Ⅳ에 의해 열교환이 완료된 공기가 전방송풍모듈(31)에 의해 가속되어 배출되는 전면토출구(141)가 형성된다.
또한, 전면패널(14)에는, 실내공간의 조건을 감지하는 카메라센서(142)가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센서(142)는 전면패널(14)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실내공간의 조건이란, 실내공간의 크기, 실내공간에 존재하는 재실자의 수, 재실자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
도어 어셈블리(Ⅱ는, 전면패널(14)에 형성되는 전면토출구(141)를 개폐하고 전면토출구(141)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방 도어모듈(21)과,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개폐하는 측면 도어모듈(22)과,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 베인모듈(23)을 포함한다.
전방 도어모듈(21)은, 전면토출구(14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폐쇄하는 최후방 위치와,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는 최전방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전방 도어모듈(21)이 최전방 위치로 돌출된 상태에서 전방지향기류를 생성하는 운전 모드는, 후술하는 간접풍 운전모드와 구별하기 위해서 직접풍 운전모드로서 규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전방 도어모듈(21)은 최후방 위치와 최전방 위치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면맞춤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면맞춤 위치는, 전방 도어모듈(21)의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211)이 전면패널(14)의 전방면과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에 해당한다.
면맞춤 위치에 전방 도어 모듈(21)이 정지되면, 전방 도어모듈(21)의 외면의 형상에 의해 전면토출구(141)로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이 아닌 전면토출구(141)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를 향해 배출되는 측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운전모드는 간접풍 운전모드로 규정될 수 있다.
한편, 도어모듈(21)의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211)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유닛(미도시)에 의해 생성되는 빛은 아우터패널(211)를 거쳐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211)은, 사용자에게 실내기(1)의 운전 상태, 실내기(1) 주변의 공기질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게 된다.
측면 도어모듈(22)은, 케이스(Ⅰ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토출구(224a, 224b)를 개폐하는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측면 도어모듈(22)은, 실내기(1)가 전체적으로 작동이 중단된 상태 및 실내기(1)의 전방송풍모듈(31)만 작동되는 상태와 같이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토출구(224a, 224b)가 측면 도어모듈(22)을 통해 폐쇄되도록 하여,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미세먼지 등이 유입되어 내부에 고착되거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측면 도어모듈(22)은. 전후방향(F-R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개폐하는 한 쌍의 측면 도어(221a, 221b)와, 각각의 측면 도어(221a, 221b)에 구동력을 생성하는 측면 도어 구동부(222a, 222b)와, 각각의 측면 도어(221a, 221b) 및 측면 도어 구동부(222a, 222b)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면 도어(221a, 221b)는, 측면토출구(224a, 224b)를 완전히 폐쇄하는 최전방 위치로부터 측면토출구(224a, 224b)를 완전히 개방하는 최후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심미감을 형성하고 전면패널(14)과 리어어퍼케이스(11)에 대한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측면 도어(221a, 221b)는 케이스(Ⅰ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소정의 폭으로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연장되고, 측면 도어(221a, 221b)의 외면은 리어어퍼케이스(11)와 전면패널(14)과 동질감을 형성할 수 있는 재질 및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면 도어(221a, 221b)의 이동 가능한 지지를 위해서, 일단이 측면 도어(221a, 221b)에 부착되며 타단이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 이동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커넥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측면 도어 구동부(222a, 222b)는, 전동방식으로 측면 도어(221a, 221b)를 구동할 수 있도록 기어모터와, 기어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을 선형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어모터는, 고정부재에 해당하는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으며, 피니언기어에 기어물림되는 랙기어는 측면 도어(221a, 221b)의 내측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도어(221a, 221b)는 케이스(Ⅰ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측면 도어(221a, 221b)의 폭에 비해서 높이가 매우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단일 구동부만으로는 개별 측면 도어(221a, 221b)를 효과적으로 구동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개별 측면 도어(221a, 221b)에 대해서 각각 2개씩 측면 도어 구동부(222a, 222b)가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각각 개별 측면 도어(221a, 221b)이 상단 및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은 측면 도어(221a, 221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리어어퍼케이스(11) 및 리어로어케이스(13)와 함께 케이스(Ⅰ의 양측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히는,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은 리어어퍼케이스(11)와 전면패널(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는 상하방향(U-D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토출구(224a, 224b)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은 서포트프레임(223a, 223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 및 고정되어, 케이스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베인모듈(23)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에 의해서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방지향기류는 전방방향(F-방향)에 대해서 약 25도 내외의 유효 토출각을 갖는 토출기류로서 규정될 수 있다.
한편,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 구비되는 측면 베인(225a, 225b)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베인이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이 아닌 다른 부재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측면 베인이 후술하는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의 토출가이드(326)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 측면 베인(225a, 225b)이 구비되고 토출가이드(326)에 측면 베인(3261)이 동시에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베인모듈(23)은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되는 전방지향기류를 측방지향기류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에 배출되는 공기는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의 측면 베인(225a, 225b) 또는 토출가이드(326)의 측면 베인(3261)에 의해서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제어 베인모듈(23)은 이와 같이 전방지향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베인으로서 역할을 한다. 전방지향기류의 방향 전환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전방 측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어 베인(231a, 231b)에 의해서 이루어 진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 베인모듈(23)의 제어 베인(231a, 231b)은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는 직접풍 모드로 운전 중일 경우에는 전면패널(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어 베인(231a, 231b)은 측면토출구(224a, 224b)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의 기류에 대해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지향기류가 유지된다.
다만, 직접풍 모드로부터 간접풍 모드로 전환을 위해서 제어 베인 구동부(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어 베인(231a, 231b)은 전술한 수납 위치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개시된다.
수평 이동이 개시되면, 제어 베인(231a, 231b)은 최종 전개 위치까지 이동이 완료된 후 정지된다.
제어 베인(231a, 231b)이 최종 전개 위치까지 이동이 완료되면, 측면토출구(224a, 224b)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는 제어 베인(231a, 231b)에 의해서 저항을 받게 되고, 특히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전방 단부 측을 통과하는 공기는 직접적으로 제어 베인(231a, 231b)과 충돌하게 되면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다.
이 때, 측면토출구(224a, 224b)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 중에서 전방 단부 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가장 빠르기 때문에 제어 베인(231a, 231b)과 충돌하게 되면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 공기는 후방 측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영향에 의해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과하는 공기는 전체적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되어 측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도 3에는 좌측면토출구(224a) 및 우측면토출구(224b)에 대응하여 각각 좌측 제어 베인(231a) 및 우측 제어 베인(231b)이 한 개씩 구비되는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측 제어 베인(231a) 및 우측 제어 베인(231b)이 각각 다수개로 분할되어 구비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고 볼 것이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좌우측에 각각 한 개씩 (231a, 231b)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제어 베인(231a, 231b)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어 베인 구동부(미도시)는 전동방식으로 제어 베인(231a, 231b)을 구동할 수 있도록 기어모터와, 기어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미도시)와,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을 선형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어모터는,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피니언기어에 기어물림되는 랙기어는 제어 베인(231a, 231b)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제어 베인(231a, 231b)에 부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베인(231a, 231b)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랙기어가 부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홀(231h)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 어셈블리>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실내기(1)의 전면토출구(141)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전방송풍모듈(31), 실내기(1)의 양측의 측면토출구(224a, 224b)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전방송풍모듈(31)과 3개의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송풍모듈(31)과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열교환 어셈블리(Ⅳ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방송풍모듈(31)은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의 상측에 배치된다. 전방송풍모듈(31)은 전면패널(14)에 형성된 전면토출구(141)로 공기를 토출한다.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송풍팬(311), 전방송풍모터(312), 및 전방송풍팬하우징(3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송풍하우징(313)과 전술한 전방 도어모듈(21)의 구조적인 형태 및 전방 도어모듈(21)의 위치 선택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의 원거리로 배출되는 직접풍 모드로 운전되거나 공기가 전면토출구(141)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를 향해 배출되는 간접풍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전방송풍모듈(31)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복수 개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 각각은 토출되는 공기를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각각의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측방송풍팬(321a, 321b, 321c), 측방송풍모터(322a, 322b, 322c), 측방송풍팬하우징(323a, 323b, 323c), 흡입가이드(325a, 325b, 325c), 및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열교환기(41) 전방에 배치되고, 열교환된 공기를 측방흡입가이드(325a, 325b, 325c)를 통해 흡입하고,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를 거쳐 측면토출구(224a, 224b)로 배출시킬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측면 베인(225a, 225b) 또는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의 측면 베인에 의해 토출기류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측면 베인(225a, 225b) 또는 토출가이드(326)의 측면 베인(3261)에 의해 결정되는 기류를 전방지향기류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열교환 어셈블리>
열교환 어셈블리(Ⅳ는 리어어퍼케이스(11)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교환 어셈블리(Ⅳ)는,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41)와, 열교환기(41)로 냉매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관은 열교환기(41)로 유입되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입관(42) 열교환기(41)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출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41)는 송풍팬 어셈블리(Ⅲ의 후방에 배치된다. 열교환기(41)는 흡입구(111)와 토출구(22, 141)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기(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41)는 필터 어셈블리(Ⅵ와 송풍팬 어셈블리(Ⅲ사이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41)는 복수의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과, 전방송풍모듈(31)가 상하로 배치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41)는 리어어퍼케이스(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1)는 리어어퍼케이스(11) 내측에 형성되는 열교환기 체결부(미도시)에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
가습 어셈블리(Ⅴ는 실내기(1) 외부로 가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Ⅴ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51), 수조(51)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미도시), 히팅된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된 가습토출노즐(미도시), 히팅부)에서 히팅된 가습공기를 가습토출노즐)로 가이드하는 가습유로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리어어퍼케이스(11)의 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리어어퍼케이스(11)의 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111)에 배치되어,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리어어퍼케이스(1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111)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를 포함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을 흡입구(111)에 배치시키거나, 리어어퍼케이스(11)의 측방면의 외측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이 장착되는 필터장착부재(미도시) 및 필터장착부재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필터모듈이 흡입구에 배치될 때, 좌우로 형성되는 필터모듈의 폭방향으로 필터장착부재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리어어퍼케이스(11)의 흡입구(111) 좌측을 커버하는 제1필터모듈(62a, 62b)과, 리어어퍼케이스(11)의 흡입구(111) 우측을 커버하는 제2필터모듈(62c, 62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모듈(62a, 62b)은, 흡입구(111) 좌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거나, 리어어퍼케이스(11)의 좌측면의 좌측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모듈(62c, 62d)은, 흡입구(111) 우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거나, 리어어퍼케이스(11)의 우측면의 우측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모듈(62a, 62b)과 제2 필터모듈(62c, 62d)이 모두 흡입구(111)에 배치될 때, 필터청소기(72)가 이동가능한 면을 형성한다.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필터장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큰 먼지가 걸러지는 프리필터(621), 이온화부로 이온화된 공기 입자를 집진하여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필터부(미도시), 및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프리필터(621)가 장착되고, 필터장착부재에 장착되는 필터케이스(6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케이스(622)에는 프리필터(621)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흡입홀이 형성된다. 필터케이스(622)는 프리필터(621)가 장착되는 면에서 수직리브(6221)와 수평리브(62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리브(6221)와 수평리브(6222)는 서로 격자형태를 형성하며, 필터케이스(622)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프리필터(621)는 메쉬형태로 이루어져, 필터모듈(62a, 62b, 62c, 62d)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크기가 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의 하단부(60a)는, 리어로어케이스(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의 하단부(60a)는, 이하에서 설명할 필터청소 어셈블리(Ⅶ의 필터청소기(72)가 이동가이더(7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범위에서 최하단에 배치될 때, 필터청소기(72)의 상단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청소 어셈블리>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 어셈블리(Ⅵ후방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필터 어셈블리(Ⅵ) 외측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프리필터(621)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한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 어셈블리(Ⅵ) 후방에서 상하방향(U-D 방향)으로 이동하며, 필터 어셈블리(Ⅵ)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72), 필터청소기(7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더(71), 및 필터청소기(72)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청소기의 세부 구성>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를 설명한다.
필터청소기(72)는, 리어어퍼케이스(11)의 후방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청소기(72)는, 가이드레일(7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프리필터(621)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필터청소기(72)는, 필터청소기(72)가 리어어퍼케이스(11) 또는 하부케이스(13)의 후방에 배치될 때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 상, 하방향을 설명한다. 따라서, 기준이 변경되면, 상기의 방향관계도 다르게 설명될 수 있다. 이는 필터청소기(72)를 설명의 용이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필터청소기(72)는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721, 7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721, 722)은, 이동가이더(71)에 장착될 때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커버(721), 베이스커버(721)의 후방으로 배치되고 베이스커버(721)와 결합으로 내측에 먼지통(727)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외측커버(72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커버(721)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과 평행한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청소기(72)가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후방에서 이동할 때, 베이스커버(721)가 필터모듈(62a, 62b, 62c, 62d)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베이스커버(721)에는, 필터청소기(72)가 가이드레일(71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때, 가이드레일(711)이 삽입되는 가이드레일홈(7211)이 형성된다.
베이스커버(721)는, 전체적으로, 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가이드레일홈(7211)이 형성되는 부분과,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홈(7211)은 베이스커버(721)를 좌우로 구분하는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홈(7211)을 통해서 베이스커버(721)에 장착되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와 이동기어(725a, 725b)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홈(7211)은 베이스커버(721)에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커버(721)에는 에지테이터(723a, 723b)가 배치되는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이 형성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가이드레일홈(7211)의 좌측과 우측으로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이 형성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가이드레일홈(7211)의 좌측에 제1 에지테이터홈(7213a)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홈(7211)의 우측에 제2 에지테이터홈(7213b)이 형성된다.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은(7213a, 7213b) 각각 베이스커버(721)로부터 후방방향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721)는,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을 형성하는 부분에서, 베이스커버(721)로부터 후방방향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을 포함한다.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은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을 형성하는 부분에서 에지테이터(723a, 723b)의 외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후방방향으로 볼록한 'U'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은 베이스커버(721)의 상부에 형성된다.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 각각은,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 및 이동기어(725a, 725b)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필터청소기(72)를 이동시키는 이동기어(725a, 725b)와, 필터청소기(72)를 필터모듈(62a, 62b, 62c, 62d) 측으로 밀착시키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배치된다.
이동기어(725a, 725b)는 베이스커버(721)의, 외측커버(722)를 향하는,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베이스커버(721)의,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을 향하는,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동기어(725a, 725b)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이동기어(725a, 725b)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보다 필터모듈(62a, 62b, 62c, 62d)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가이드레일(7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기어레일에 맞물리는 한 쌍의 이동기어(725a, 725b)가 배치된다. 가이드레일홈(721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기어(725a, 725b)는 일부가 가이드레일홈(7211)에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가이드레일(7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롤러레일(7112a, 7112b)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배치된다. 복수의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이동기어(725a, 725b)의 상측에서 한 쌍이 배치되고, 이동기어(725a, 725b)의 하측에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필터청소기(72)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에 접촉하여 필터청소기(72)의 상하이동을 보조하는 보조롤러(7215a, 7215b)를 포함한다. 베이스커버(721)에 필터모듈(62a, 62b, 62c, 62d)에 접촉하며, 회전하는 보조롤러(7215a, 7215b)가 배치된다. 보조롤러(7215a, 7215b)는 베이스커버(721)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보조롤러(7215a, 7215b)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이 형성하는 면과 평행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배치된다.
보조롤러(7215a, 7215b)는, 리어어퍼케이스(11)의 좌측에 배치되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 보조롤러(7215a)와, 리어어퍼케이스(11)의 우측에 배치되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 보조롤러(7215b)를 포함한다. 제1 보조롤러(7215a)와, 제2 보조롤러(7215b) 각각은, 가이드레일홈(7211)에서 좌우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조롤러(7215a)와, 제2보조롤러(7215b)는, 리어어퍼케이스(11) 후방에 좌우로 배치된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수직리브(622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외측커버(722)는, 베이스커버(721)의 후방 측에 배치된다. 외측커버(722)는 베이스커버(721)와 결합하여, 내측에 필터청소기(72)의 구성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외측커버(722)는 필터청소기(72)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면(7221), 필터청소기(72)의 하측을 커버하는 하면 및 상면(7221)과 하면(7222) 사이에 배치되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둘레면(7223, 7224a, 7224b)을 포함할 수 있다.
둘레면(7223, 7224a, 7224b)은, 후방을 향해 배치되고, 곡면을 형성하는 후방면(7223)과, 후방면(7223)의 양단부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양측면(7224a, 7224b)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커버(722)의 상면(7221)은 에지테이터(723a, 723b)가 배치되는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의 상측을 커버한다.
외측커버(722)의 상면(7221)에는, 가이드레일(711)이 수용되는 상측홈(7221a)이 형성된다. 상측홈(7221a)은, 가이드레일홈(7211)의 상측에 형성되고, 가이드레일홈(7211)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커버(722)의 둘레면(7223, 7224a, 7224b)에는 먼지통(727)이 삽입되는 먼지통삽입홀(7225)이 형성된다.
먼지통삽입홀(7225)은 외측커버(72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삽입홀(7225)은, 외측커버(722)의 둘레면(7223, 7224a, 7224b)에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개구면을 형성하여, 사용자에 의한 먼지통의 인입이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삽입홀(7225)은, 둘레면(7223, 7224a, 7224b)의 양측면(7224a, 7224b) 중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삽입홀(7225)은, 양측면(7224a, 7224b) 중 좌측면(7224a)에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먼지통삽입홀(7225)이 양측면(7224a, 7224b) 중 우측면(7224b)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측커버(722)의 하면(7222)에는, 흡입팬(7293)의 작동으로 필터청소기(72)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커버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커버(722)의 하면(7222)에는, 가이드레일(711)이 수용되는 하측홈(7222a)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홈(7222a)은 가이드레일홈(7211)의 하측에 형성되고, 가이드레일홈(7211)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기어(725a, 725b)는, 가이드레일(711)의 기어레일과 맞물린다. 이동기어(725a, 725b)는 기어레일과 맞물려 회전하고, 회전으로 필터청소기(7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기어(725a, 725b)는,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톱니바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동기어(725a, 725b)는 피니언기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기어(725a, 725b)는, 가이드레일(7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기어레일과 각각 맞물리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기어(725a, 725b)는 가이드레일홈(7211)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이동기어(725a)와, 가이드레일홈(7211)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이동기어(725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이동기어(725a)와 제2 이동기어(725b)는 각각 베이스커버(721)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이동기어(725a)와 제2 이동기어(725b) 각각은,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이 형성하는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제1 이동기어(725a)와 제2 이동기어(725b) 각각은, 가이드레일홈(7211)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동일한 간격 이격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동기어(725a)와 제2 이동기어(725b) 각각은, 가이드레일홈(7211)에 형성되는 이동기어홀(7211a)을 통해, 일부가 가이드레일홈(7211)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홈(7211)으로 노출된 제1 이동기어(725a)와 제2 이동기어(725b) 각각은, 가이드레일(711) 양측면에 형성된 기어레일 각각과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기어모터(7251a, 7251b)는 하우징(721, 722) 내측에 배치된다. 기어모터(7251a, 7251b)는 베이스커버(721)의 내측면에 장착된다. 기어모터(7251a, 7251b)는 이동기어(725a, 725b)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어모터(7251a, 7251b)는 한 쌍의 이동기어(725a, 725b)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기어모터(7251a, 7251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기어(725a)에 연결되는 제1 기어모터(7251a)와, 제2 이동기어(725b)에 연결되는 제2 기어모터(7251b)를 포함한다. 제1 기어모터(7251a) 및 제2 기어모터(7251b)는 각각 제1 이동기어(725a)와, 제2 이동기어(725b)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제1 기어모터(7251a) 및 제2 기어모터(7251b)는 각각 제1 이동기어(725a)와, 제2 이동기어(725b)를 동일한 속도롤 회전시킨다.
필터청소기(72)는, 기어모터(7251a, 7251b)의 회전력을 이동기어(725a, 725b)로 전달하는 별도의 연결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기어(7252a, 7252b)는 기어모터(7251a, 7251b)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이동기어(725a, 725b)와 맞물려, 이동기어(725a, 725b)를 회전시킬 수 있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가이드레일(711)에 접촉한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가이드레일(711)에 접촉하여, 필터청소기(72)의 이동을 보조하고, 필터청소기(72)가 가이드레일(7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필터청소기(72)를 필터모듈(62a, 62b, 62c, 62d) 측으로 밀착시킨다. 여기서, “밀착시킨다.의 의미는, 필터청소기(72)의 적어도 일부분이 필터모듈(62a, 62b, 62c, 62d)과 접촉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필터청소기(72)의 에지테이터(723a, 723b)의 일부분이 필터모듈(62a, 62b, 62c, 62d)과 접촉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필터청소기(72)를 필터모듈(62a, 62b, 62c, 62d) 측으로 밀착시킬 때, 베이스커버(721)와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이동기어(725a, 725b)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베이스커버(721)의 외면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베이스커버(721)의 외면이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롤러 홈부(7214)에 배치된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이동기어(725a, 725b)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에지테이터(723a, 723b)는, 하우징(721, 72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에지테이터(723a, 723b)는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에지테이터(723a, 723b)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외측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지테이터(723a, 723b)는 회전하면서 필터모듈(62a, 62b, 62c, 62d)에 끼인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에지테이터(723a, 723b)는, 필터청소기(72)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에지테이터(723a)와, 필터청소기(72)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에지테이터(723b)를 포함한다. 제1 에지테이터(723a)는 가이드레일홈(7211)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에지테이터홈(7213a)에 배치된다. 제2 에지테이터(723b)는 가이드레일홈(7211)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에지테이터홈(7213b)에 배치된다.
제1 에지테이터(723a)와 제2 에지테이터(723b)는 각각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외측면과 평행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바의 외둘레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블레이드(7232)를 포함한다.
회전바는 양단부가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장착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일단부는 에지테이터(723a, 723b)를 회전시키는 에지테이터모터(7233)에 연결될 수 있다.
필터청소기(72)는, 에지테이터모터(7233)의 회전력을 에지테이터(723a, 723b)로 전달하는 에지테이터기어(7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지테이터기어(7234)는, 한 쌍의 에지테이터(723a, 723b) 각각으로 에지테이터모터(7233)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7232)는 회전바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블레이드(7232)는, 회전바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7232)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 방향으로 배치될 때, 필터모듈(62a, 62b, 62c, 62d)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에지테이터(723a, 723b)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7232)의 단부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외측면에 맞닿을 수 있다.
먼지통(727)은 연결하우징(728)에 형성되는 먼지통삽입부(7281)로 삽입되어, 에지테이터(723a, 723b)로 필터모듈(62a, 62b, 62c, 62d)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용한다. 먼지통(727)은, 필터청소기(72)의 측면에 형성된 먼지통삽입홀(7225)을 통해, 연결하우징(728)에 형성되는 먼지통삽입부(7281)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통(727)은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형상을 가진다. 먼지통(727)은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후방에 배치되는 필터청소기(72)의 측면으로 삽입되고, 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먼지통삽입홀(7225)은, 필터청소기(72)의 측면에 형성되고, 먼지통(727)은,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리어어퍼케이스(11)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먼지통(727)은 전방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실내기의 전방 또는 측방면에서 먼지통(727)을 용이하게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삽입선단부(727a)는, 먼지통(727)이 필터청소기(72)의 일측으로 삽입될 때, 가장 먼저 먼지통삽입홀(7225)을 지나는 부분이고, 삽입후단부(727b)는, 가장 마지막으로 먼지통삽입홀(7225)에 삽입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노출부(7273)는, 먼지통(727)이 필터청소기(72) 내측으로 삽입완료된 상태에서, 일부가 필터청소기(72)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노출부(7273)는, 사용자가 먼지통(727)을 필터청소기(72)에 삽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측커버(7274)는, 상측으로 먼지통바디(7272)와 결합된다. 하측커버(7274)는, 하측에 흡입모듈(729)로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연결하우징(728)은, 하우징(721, 722) 내측에 배치되어, 먼지통(727)의 인입 또는 인출을 가이드하는 역할한다. 연결하우징(728)은,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과 먼지통(727)을 연결한다. 또한, 연결하우징(728)은, 먼지통(727)과 흡입모듈(729)을 연결한다.
연결하우징(728)은, 하우징(721, 722)의 내측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연결하우징(728)은, 베이스커버(721)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하우징(728)은, 먼지통(727)이 삽입되는 먼지통삽입부(7281),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과 먼지통삽입부(7281)에 삽입된 먼지통(727)을 연결하는 흡입연결관(7282a, 7282b)을 포함한다.
먼지통삽입부(7281)는, 먼지통(727)이 삽입되도록 먼지통(727)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먼지통삽입부(7281)는,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먼지통(727)의 외둘레를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먼지통삽입부(7281)의 상측에는, 흡입연결관(7282a, 7282b)이 배치된다. 먼지통삽입부(7281)는 하측으로 흡입모듈(729)의 일측과 연결되는 흡입팬연결관(7292)을 구비한다.
흡입연결관(7282a, 7282b)은, 먼지통삽입부(7281)의 상측에 배치된다. 흡입연결관(7282a, 7282b)은, 먼지통삽입부(7281)와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을 연결한다. 한 쌍의 흡입연결관(7282a, 7282b)은,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 각각과 연결된다. 한 쌍의 흡입연결관(7282a, 7282b)은,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이 형성하는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의 일측에 장착된다.
한 쌍의 흡입연결관(7282a, 7282b)은, 먼지통삽입부(7281)와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하우징(728)은, 베이스커버(721) 및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부(7283)를 포함한다.
한 쌍의 흡입연결관(7282a, 7282b)에는,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에 끼워지는 체결후크(7284)가 형성된다.
연결하우징(728)은, 체결후크(7284)와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에 의해, 베이스커버(7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연결하우징(728)이 베이스커버(721)에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되기 전에, 예비적으로 연결하우징(728)을 베이스커버(72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터청소기(72)에는 전원선(731)으로 공급받은 전원으로, 필터청소기(72)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74)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74)은, 하우징(721, 722)의 내측에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74)은, 먼지통(727)이 삽입되는 먼지통삽입홀(7225)이 배치되는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모듈(729)은,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에서 먼지통(727)으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흡입모듈(729)은, 흡입팬모터(7291)와, 흡입팬모터(7291)에 의해 회전하며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흡입팬(7293)을 포함한다.
흡입팬(7293)이 회전할 때,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에 존재하는 공기와 이물질이 먼지통(727)으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팬(7293)은, 먼지통(727)의 하측에 배치된다. 흡입팬(7293)은, 상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면의 하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흡입팬모터(7291)는, 흡입팬(7293)의 하측에 배치된다.
흡입팬(7293)은, 상하로 분할되어 있는 흡입팬하우징(729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측 흡입팬하우징(7294)은 흡입팬(7293)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를 형성하고, 상측 흡입팬하우징(7294)의 상측에는 흡입팬연결관(7292)이 연결된다.
상측 흡입팬하우징(7294)은 흡입팬(7293)을 하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측 흡입팬하우징(7294)의 하부에는 흡입팬모터하우징(7295a, 7295b)이 고정된다.
흡입팬모터하우징(7295a, 7295b)은, 흡입팬모터(7291)를 구성하는 로터 와 스테이터 등이 내부에 수용되는 제1 모터하우징(7295a)을 포함한다. 제1 모터하우징(7295a)은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고 흡입팬(7293)의 회전축선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흡입팬모터하우징(7295a, 7295b)은, 제1 모터하우징(7295a)과 일체로 또는 별체로 형성되는 제2 모터하우징(7295b)을 더 포함한다. 도 7에는 제2 모터하우징(7295b)이 제1 모터하우징(7295a)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제2 모터하우징(7295b)이 제1 모터하우징(7295a)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모터하우징(7295b)은 제1 모터하우징(7295a)의 외주면의 일부로서, 베이스커버(721)를 향하는 전방 측에 형성되며, 상측면은 흡입팬하우징(7294)에 연결된다. 즉, 제2 모터하우징(7295b)은 제1 모터하우징(7295a)과 흡입팬하우징(7294)을 지지하고 이들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모터하우징(7295b)의 전면은 베이스커버(721)를 향하는 전방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2 모터하우징(7295b)의 후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즉, 제2 모터하우징(7295b)은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반원통 형상을 갖게 된다.
볼록한 곡면으로 구성되는 제2 모터하우징(7295b)의 전면은 베이스커버(721)에 형성되는 흡입모듈지지부(7219)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한, 제2 모터하우징(7295b)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1 모터하우징(7295a)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평탄면을 갖는 제2 모터하우징의 전면은 후술하는 흡입모듈지지부(7219)의 걸림돌기(72191b)가 계합하는 걸림면(7295b1)으로 작용하게 된다.
흡입모듈(729)은, 한 쌍의 기어모터(7251a, 7251b) 사이에 배치된다. 흡입팬(7293)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둘레면에 배치되는 기어모터(7251a, 7251b)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흡입팬(7293)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외측커버(722)의 하면에 형성되는 커버배출구(미도시)를 통해 필터청소기(7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팬연결관(7292)은, 먼지통(727)의 토출구와 흡입팬(7293)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흡입팬연결관(7292)은, 연결하우징(728)의 먼지통삽입부(7281)의 하면과 연결된다.
먼지통삽입부(7281)의 하면에 연결되는 흡입팬연결관(7292)의 상측은, 먼지통삽입부(7281)의 하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팬연결관(7292)은, 흡입팬(7293)과 가까워질수록 내부단면적이 줄어드는 구조를 갖는다. 즉, 흡입팬연결관(7292)은, 먼지통삽입부(7281)에 연결되는 상측에서 흡입모듈(729)과 연결되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의 단면적이 줄어든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팬연결관(7292)에는, 흡입팬(7293)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입그릴(72921)이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72921)은, 먼지통(727)이 먼지통삽입부(7281)로부터 분리될 때, 흡입팬(7293) 방향으로 유동하는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흡입그릴(72921)은, 흡입팬연결관(729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흡입모듈(729)의 흡입팬(7293)과 흡입팬모터(7291)는 필터청소기(72)의 구성물 중에서 가장 높은 회전수로 작동하는 부품이다. 따라서 필터청소기(72)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은 대부분 흡입팬(7293)과 흡입팬모터(7291)로부터 생성된다.
또한, 흡입팬(7293)과 흡입팬모터(7291)의 후방 측에는 외측커버(722)의 후방면(7223)이 매우 근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외측커버(722)의 후방면(7223)은 전체적으로 상당히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외측커버(722)의 후방면(7223)은 직접적으로 베이스커버(721)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흡입팬(7293)과 흡입팬모터(7291)를 통해서 생성되는 진동이 외측커버(722)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외측커버(722)에 의해서 증폭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큰 소음이 생성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팬(7293)과 흡입팬모터(7291)를 포함하는 흡입모듈(729)은 전체적으로 외측커버(722)와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측커버(722)의 후방면(7223)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 때, 흡입모듈(729)은 외측커버(722)의 하면과도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흡입모듈(729)은 외측커버(722)로부터 분리 및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흡입모듈(729)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는 베이스커버(721)에 구비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커버(721)의 후면에는 흡입모듈(729)을 지지하기 위한 흡입모듈지지부(7219)가 구비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모듈지지부(7219)는, 베이스커버(721)의 후면의 하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흡입모듈(729)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72191)와, 제1 지지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지지부(72192)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72191)는, 일단부가 베이스커버(721)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흡입모듈(729)의 흡입팬모터하우징(7295a, 7295b)를 향해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부(72191a)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부(72191a)는 대체로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평판 형상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제1 플레이트부(72191a)의 상측면은 제2 모터하우징의 하단면에 면접촉하도록 배치되며, 흡입모듈(729)를 하부에서 지지하게 된다.
제1 플레이트부(72191a)는 흡입모듈(729)의 하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플레이트부(72191a)를 상측방향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가하는 상태로 제2 모터하우징(7295b)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플레이트부(72191a)의 하측면에는 제1 플레이트부(72191a)의 강성 및 탄성을 보강하기 위한 제1 보강리브(72191c)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리브(72191c)는 제2 모터하우징(7295b)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도록, 제1 플레이트부(72191a)의 하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고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보강리브(72191c)는 제1 플레이트부(72191a)의 양측면 에지를 따라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자유단이 되는 제1 플레이트부(72191a)의 타단부는 제1 모터하우징(7295a)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제1 플레이트부(72191a)의 타단부와 제1 모터하우징(7295a)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 제1 모터하우징(7295a)에 대한 전방방향에 대한 지지구조가 형성된다.
제1 모터하우징(7295a)에 대한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1 플레이트부(72191a)의 타단부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모터하우징(7295a)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밀착홈(72192ah)이 형성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부(72191a)의 좌우방향(Le-Ri방향) 폭은 제1 모터하우징(7295a)의 좌우방향(Le-Ri방향)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제1 플레이트부(72191a)의 타단부로서 밀착홈(72192ah)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72191b)가 형성된다.
한 쌍의 걸림돌기(72191b)는 각각 제1 플레이트부(72191a)의 타단부로서 밀착홈(72192ah)의 양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걸림돌기(72191b)는 각각 제1 플레이트부(72191a)의 타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서 제2 모터하우징(7295b)의 후방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걸림돌기(72191b)는 걸림면(7295b1)으로서 작용하는 제2 모터하우징(7295b)의 후방면에 면접촉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걸림돌기(72191b)와 걸림면(7295b1) 사이의 걸림구조를 통해서 제2 모터하우징(7295b)이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밀착홈(72192ah)과 한 쌍의 걸림돌기(72191b)에 의해서 흡입팬모터하우징(7295a, 7295b)이 전후방향(F-R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동시에 상하방향(U-D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흡입모듈지지부(7219)의 제2 지지부(72192)는 제1 지지부(72191)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72192)는, 일단부가 베이스커버(721)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흡입모듈(729)의 흡입팬모터하우징(7295a, 7295b)를 향해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부(72192a)를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부(72192a)는 대체로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전술한 제1 플레이트부(72191a)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자유단이 되는 제2 플레이트부(72192a)의 타단부는 제2 모터하우징(7295b)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제2 플레이트부(72192a)의 타단부와 제2 모터하우징(7295b)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 제2 모터하우징(7295b)에 대한 전방방향(F-방향)에 대한 지지구조가 형성된다.
제2 모터하우징(7295b)에 대한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2 플레이트부(72192a)의 타단부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모터하우징(7295b)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밀착홈(72192ah)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부(72191a)와 유사하게 제2 플레이트부(72192a)는 대체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상태로 베이스커버(721)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부(72191a)와 마찬가지로 제2 플레이트부(72192a)의 하측면에는 제2 플레이트부(72192a)의 강성 및 탄성을 보강하기 위한 제2 보강리브(72192b)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강리브(72192b)는 제2 플레이트부(72192a)의 하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고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 보강리브(72192b)는 제2 플레이트부(72192a)의 양측면 에지를 따라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실내기 Ⅰ: 케이스
Ⅱ: 도어 어셈블리 Ⅲ: 송풍팬 어셈블리
Ⅳ: 열교환 어셈블리 Ⅴ: 가습 어셈블리
Ⅵ: 필터 어셈블리 Ⅶ: 필터청소 어셈블리
21: 전방 도어모듈 22: 측면 도어모듈
224a, 224b: 측면토출구 225a, 225b: 측면 베인
23: 제어 베인모듈 31: 전방송풍모듈
311: 전방송풍팬 313: 전방송풍팬하우징
32a, 32b, 32c: 측방송풍모듈
322a, 322b, 322c: 측방송풍모터
321a,321b,321c: 측방송풍팬
323a, 323b, 323c: 측방송풍팬하우징
72: 필터청소기 721: 베이스커버
722: 외측커버 723a, 723b: 에지테이터
725a, 725b: 이동기어 727: 먼지통
728: 연결하우징 729: 흡입모듈
7291: 흡입팬모터 7292: 흡입팬연결관
7293: 흡입팬 7294: 흡입팬하우징
7295a, 7295b: 흡입팬모터하우징

Claims (13)

  1. 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흡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모듈; 및
    상기 필터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필터모듈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청소기는, 일면이 상기 필터모듈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커버와,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외측커버와, 상기 베이스커버와 상기 외측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에 고정되는 흡입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외측커버와 미접촉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흡입팬하우징;
    상기 흡입팬의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흡입팬모터; 및
    일단부가 상기 흡입팬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팬모터를 수용하는 흡입팬모터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이 상기 베이스커버에 지지되고 고정되는 공기조화기.
  2. 제1 항에서,
    상기 흡입모듈은 전체적으로 상기 외측커버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공기조화기.
  3. 삭제
  4. 제1 항에서,
    상기 베이스커버는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을 고정하는 흡입모듈지지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 항에서,
    상기 흡입모듈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의 타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5 항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를 향해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 의해서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공기조화기.
  7. 제6 항에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의 후방면과 걸림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8. 제6 항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타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5 항에서,
    상기 흡입모듈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 항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일단부가 베이스커버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0 항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타단부는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의 외면과 접촉하게 되는 공기조화기.
  12. 제11 항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타단부는 상기 흡입팬모터하우징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되는 공기조화기.
  13. 제12 항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210009439A 2021-01-22 2021-01-22 공기조화기 KR10246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439A KR102462999B1 (ko) 2021-01-22 2021-01-22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439A KR102462999B1 (ko) 2021-01-22 2021-01-2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482A KR20220106482A (ko) 2022-07-29
KR102462999B1 true KR102462999B1 (ko) 2022-11-03

Family

ID=8260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439A KR102462999B1 (ko) 2021-01-22 2021-01-2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9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1342B2 (en) * 2018-03-07 2023-01-03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493848B1 (ko) 2019-03-04 202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482A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623492B (zh) 空调
KR2023011596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4623491B (zh) 空调
CN114688614B (zh) 空调机
KR101392313B1 (ko) 공기조화기
KR102462999B1 (ko) 공기조화기
CN114811720B (zh) 空调的室内机
KR2006002070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4445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2010667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94516B1 (ko) 공기조화기
KR10255873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7888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84299B1 (ko) 공기조화기
KR102400760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22103A (ko) 공기조화기
CN114763930B (zh) 空调机
KR10222851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25638B1 (ko)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081613A (ko) 공기조화기
CN110748975B (zh) 一种一体式空调
KR2006002070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76405A (ko) 공기조화기
KR10110142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392312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