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630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630A
KR20090113630A KR1020080039442A KR20080039442A KR20090113630A KR 20090113630 A KR20090113630 A KR 20090113630A KR 1020080039442 A KR1020080039442 A KR 1020080039442A KR 20080039442 A KR20080039442 A KR 20080039442A KR 20090113630 A KR20090113630 A KR 20090113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charge port
discharge
occupan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현
박내현
송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3630A/ko
Priority to CN2008101114199A priority patent/CN101493246B/zh
Publication of KR20090113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 영역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위치 감지수단을 통해 재실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분할된 소정 영역 중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제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토출구의 개도량 및 풍향 조절 베인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으로 토출기류가 도달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으며, 재실자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의 공기를 냉,난방 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위치 감지수단, 토출구, 풍향 조절 베인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제어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 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 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 상태로 조절한다. 이렇게 공기조화기와 같은 생활의 편의 제품이 점차적으로 확대, 사용되면서 소비자들은 높은 에너지 사용 효율과, 성능 향상 및 사용에 편리한 제품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 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액자형 공기조화기와, 거실에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림형 공기조화기와, 하나의 실내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되어 가 정집과 같이 좁은 장소에서 이용되도록 구성된 싱글형 공기조화기와, 회사 또는 음식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매우 큰 용량으로 구성된 중대형 공기조화기와, 다수개의 실내기를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제어하여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으로 토출기류가 도달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재실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수단, 실내 영역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위치 감지수단을 통해 재실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분할된 소정 영역 중 상기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발령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 조화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내 영역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위치 감지수단을 구동하여 재실자의 위치 및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 및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된 소정 영역 중 상기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재실자 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제어하여 공기 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및 거리측정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로부터 재실자의 위치, 방향 및 거리 등을 파악하는 것이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센서유닛을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거리측정센서를 통해 거리 측정 시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운전 정지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 에 나타내는 공기조화기가 운전 중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본체(2)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4, 6)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4, 6)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본체(2)의 내부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거나, 또는 정화되는 등의 공조 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8, 10)가 형성된다.
본체(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편의를 위해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본체(2)는 하부에 공기 흡입구(4, 6)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 기 토출구(8, 10)가 형성되어, 공기 흡입구(4, 6)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공조한 후 공기 토출부(8, 10)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유로를 갖는다.
본체(2)는 베이스(12), 캐비닛(20), 하부 및 상부 패널(미도시)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본체(2)의 저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닛(20)과 상기 하부 패널 등을 지지한다.
캐비닛(20)은 본체(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고,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하부 패널은 좌측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된 좌측 하부 패널(미도시)과, 우측 공기 흡입구(6)가 형성된 우측 하부 패널(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좌측 하부 패널은 캐비닛(20)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좌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4)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우측 하부 패널은 캐비닛(20)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우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8)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부 패널은 캐비닛(2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좌측 토출부(미도시)에 좌측 공기 토출구(8)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토출부는 좌측 베인(22)의 닫힘 시 좌측 베인(22)에 돌출되게 구비된 좌측 풍향조절부(24)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본체(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패널은 우측 토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우측 토출부에 우측 공기 토출구(10)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우측 토출부는 우측 베인(26)의 닫힘 시 우측 베인(26)에 돌출되게 구비된 우측 풍향조절부(28)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본체(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의 전방에는 전면 패널(30)이 좌,우 중 일측으로 중심으로 회동되게 연결된다. 전면 패널(30)은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과 상기 우측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측 하부 패널과 우측 하부 패널의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과 우측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좌,우 중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체(2)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본체(2) 내부로 흡입한 후 본체(2)의 외부로 토출되게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미도시)와, 송풍기에서 송풍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본체(2)에는 공기 흡입구(4, 6)와 공기 토출구(8, 10) 중 적어도 하나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22, 26)이 설치된다. 이하, 베인(22, 26)은 공기 흡입구(4, 6)와 공기 토출구(8, 10)를 동시에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 모두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본체(2)에는 공기 토출구(42)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40)이 형성되고, 토출구 유닛(40)이 본체(2)의 내측 상부에서 본체(2)의 위로 상승되고 본체(2)의 위에서 본체(2)의 내측으로 하강되는 토출부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본체(2)는 그 상면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면을 갖거나 그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토출구 유닛(40)은 본체(2)의 개구면이나 개구부를 통해 승강 구동된다.
본체(2)에는 토출구 유닛(40)의 상부에 위치 감지수단(1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위치 감지수단(130)은 적외선 센서 모듈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공조부(2)와 근접한 영역 및 먼 영역을 스캐닝하며 인체를 감지한다. 이때, 적외선 센서 모듈은 상,하,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적외선 센서 모듈이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실내 전체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적외선 센서 모듈이 3개 이상 설치되어, 공조부(2)와 근접한 영역과, 공조부(2)와 먼 영역영역 및 공조부(2)와 근접한 영역과 먼 영역 사이의 영역을 분할하여 감지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위치 감지수단(130)은 토출구 유닛(4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그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의 내부 또는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입력수단(110), 출력수단(120), 위 치 감지수단(130), 제어수단(140), 구동수단 및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며, 구동수단은 실내팬(150), 실내열교환기(160), 밸브 조절수단(170), 풍향 조절수단(180) 및 토출구 제어수단(19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한 각 구성의 입출력 및 동작 제어는 제어수단(140)의 제어명령에 의해 이루어진다.
입력수단(110)은 누름 조작 또는 터치를 통한 데이터 입력 장치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수단(140)으로 인가한다. 또한, 입력수단(110)은 실내기의 운전에 따른 사용자 명령, 설정데이터가 입력되며, 실내기의 구동명령, 또는 동작정지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140)으로 인가한다.
출력수단(120)은 문자, 숫자, 심볼 이미지의 출력이 가능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공조기의 운전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출력수단(120)은 스피커 또는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동작 상태에 따라 경고음 또는 효과음을 출력하거나, 램프가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하여 공조기의 동작 상태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수단(120)은 제어수단(140)의 제어명령에 따라, 사용자 명령의 입력을 위한 화면 및 제어메뉴를 표시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위치 감지수단(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이 중 일부는 공조부(2)와 근접한 영역을 스캐닝하면서 인체를 감지하고, 나머지가 공조부(2)와 상대적으로 먼 영역을 스캐닝하면서 인체를 감지한다. 물론, 하나의 적외선 센서 모듈이 상,하,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며 공조부와 근접한 영역 및 먼 영역을 모두 스캐닝하며, 특정 영역에 위치한 인체를 감지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위치 감지수단(130)은 실내에 위치한 인체의 위치 및 방향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체크 하도록 한다.
실내팬(150)은 실내열교환기(160)에서 생성된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장치로서, 실내열교환기(160)의 어느 일 측에 구비된다. 이때, 실내팬(150)은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바람을 생성한다. 이때, 실내팬(150)은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가변되므로, 실내로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수단이 된다.
실내열교환기(160)는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의 증발 또는 응축시켜 주변의 공기를 열 교환함으로써, 냉 또는 온의 공기를 생성한다.
한편, 밸브 조절수단(170)은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여, 제어부(120)의 제어명령에 따라, 냉매배관에 연결된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서, 실내열교환기(160)로 유입되는 냉매의 종류와 양을 조절하고, 또는 실내열교환기(160)로 냉매가 팽창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풍향 조절수단(180)은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로, 실내기의 케이스의 토출구에 구비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상하좌우로 변경되도록 한다. 이때, 풍향 조절수단(180)은 실내기 토출구에 구비되는 베인을 포함한다.
여기서, 좌측 토출구 및 우측 토출구에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좌,우 풍향 조절 베인이 배치된다. 한편, 상부 토출구에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상, 하로 조절하는 상하 풍향 조절 베인과, 토출 기류의 방향을 좌, 우로 조절하는 좌우 풍향 조절 베인이 배치된다.
토출구 제어수단(190)은 좌측 토출구 및 우측 토출구의 개도를 제어하며, 공 조부(2)의 상부에 구비된 토출구 유닛의 개도를 제어한다.
제어수단(140)은 실내 영역을 특정 기준에 의해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 분할된 영역에 따라 토출구 제어수단(190), 풍향 조절수단(180), 밸브 조절수단(170)을 각각 다르게 제어하도록 한다.
이때, 실내 영역은 거리(m) 및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즉,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근거리 영역과 먼거리 영역으로 분할하거나, 혹은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한다. 물론, 그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한편, 실내 영역은 공조부에 배치된 토출구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3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이때, 실내 영역은 좌측 토출구가 배치된 좌측방향의 제1 영역, 상부 토출구 유닛이 배치된 방향의 제2 영역, 우측 토출구가 배치된 우측 방향의 제3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물론, 분할된 각각의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거리를 기준으로 다시 분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 소정 수로 분할된 실내 영역에 대한 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한다.
제어수단(140)은 실내 영역을 소정 수로 분할한 후, 위치 감지수단(130)을 통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재실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수단(140)은 소정 수로 분할된 실내 영역과 비교하여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을 판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수단(140)은 소정 수로 분할된 실내 영역 중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하는 조건에 따라 토출구 제어수단(190), 풍향 조절수단(180), 밸브 조 절수단(170)을 제어하고, 실내 열교환기(160) 및 실내팬(150)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으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먼저, 도 5a 및 도 5b는 제어수단에 의해 소정수로 분할된 실내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실내 영역의 일측 끝단에는 공조부가 배치된다. 이때, 배치된 공조부를 기준으로 하여 실내 영역은 수평 방향으로 90도 각도를 갖는다. 제어수단(140)은 위치 감지수단(1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 모듈을 통해 실내 공간을 감지하고, 이때 감지된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갖도록 하여 8개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편의상, 일정 각도에 의해 분할된 영역은 1 내지 8의 번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수단(140)은 8개로 분할된 각 영역을 거리별로 5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한다. 이때, 거리별로 분할된 5개의 영역은 가까운 영역부터 A, B, C, D, E로 칭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영역은 방향별로 8개의 영역(1 내지 8)으로 분할되고, 거리별로 5개의 영역(A 내지 E)으로 분할되어, 총 40개의 영역(A1 내지 E8)으로 분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내 영역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의 위치에 따라 크게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좌측 토출구의 위치에 따른 제1 영역, 상부 토출구 유닛의 위치에 따른 제2 영역 및 우측 토출구의 위치에 따른 제3 영역으로 구분된다.
이때,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서, '1', '2' 영역은 좌측 토출구의 좌, 우 풍향 조절 베인에 의해 토출 기류가 조절된다. 또한, '1', '2' 영역에서 'A', 'B', 'C', 'D', 'E' 영역은 상부 토출구 유닛의 상, 하 풍향 조절 베인에 의해 토출 기류가 조절된다.
또한, 제 2 영역에서, '3', '4', '5', '6' 영역은 상부 토출구 유닛의 좌, 우 풍향 조절 베인에 의해 토출 기류가 조절되며, '3', '4', '5', '6' 영역에서 'A', 'B', 'C', 'D', 'E' 영역은 상부 토출구 유닛의 상, 하 풍향 조절 베인에 의해 토출 기류가 조절된다.
또한, 제3 영역에서 '7', '8' 영역은 우측 토출구의 좌, 우 풍향 조절 베인에 의해 토출 기류가 조절된다. 또한, '7', '8' 영역에서 'A', 'B', 'C', 'D', 'E' 영역은 상부 토출구 유닛의 상, 하 풍향 조절 베인에 의해 토출 기류가 조절된다.
도 6은 도 5a와 같이 분할된 영역 중 재실자가 어느 한 영역에 위치함에 따른 토출구 개도 여부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재실자가 제1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좌측 토출구와 상부 토출구 유닛은 개도 되고, 우측 토출구는 차폐된다. 또한, 재실자가 제2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좌측 토출구와 우측 토출구는 차폐되고, 상부 토출구 유닛만이 개도 된다. 또한, 재실자가 제3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우측 토출구와 상부 토출구 유닛은 개도 되고, 좌측 토출구는 차폐된다.
이때, 제1 영역이나 제3 영역에 재실자가 위치한 경우, 설정에 따라 상부 토출구 유닛이 개도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a는 각 토출구에서 좌, 우 풍향 조절수단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좌측 토출구는 제2 영역으로 토출기류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개도량을 적게하고, 좌,우 풍향조절 베인을 좌측으로 적게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영역으로 토출기류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개도량을 많이 하고, 좌,우 풍향조절 베인을 좌측으로 많이 회전하도록 한다.
한편, 우측 토출구는 제 7 영역으로 토출기류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개도량을 적게하고, 좌,우 풍향조절 베인을 우측으로 적게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제 8 영역으로 토출기류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개도량을 많이 하고, 좌,우 풍향조절 베인을 우측으로 많이 회전하도록 한다.
한편, 상부 토출구에 배치된 좌,우 풍향 조절 베인은 제3 영역 내지 제6 영역으로 토출기류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서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 중 제3 영역은 좌측으로 약간 치우치도록 조절되며, 제 6 영역은 우측으로 약간 치우치도록 조절된다. 또한, 제 1 영역 및 제2 영역은 좌측으로 많이 회전되도록 하며, 제 7 영역 및 제 8 영역은 우측으로 많이 회전되도록 한다.
도 7b는 상부 토출구에 배치된 상,하 풍향 조절 베인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B 영역과 같이 근거리 영역의 경우, 상,하 풍향 조절 베인은 하향조절되어, 근거리 영역으로 토출기류가 도달하도록 하며, E 영역과 같이 먼거리 영역의 경우, 상,하 풍향 조절 베인은 상향 조절되어, 먼거리 영역으로 토출기류가 도달하도록 한다. 한편, C, D 영역과 같이 근거리 영역과 먼거리 영역의 사이의 거리 영역에는 상,하 풍향 조절 베인이 중앙으로 오도록 조 절함으로써, 재실자가 위치한 거리에 따라 토출기류가 해당 위치에 도달하도록 풍향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내기 온(on) 동작 시(S100), 제어수단(140)은 위치 감지수단(130)의 구동을 제어하여, 위치 감지수단(1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 모듈이 구동되도록 한다(S110). 이때, 제어수단(140)은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재실자의 위치 및 방향을 감지한다(S120).
만일, 소정시간 이상 재실자가 한 영역에 위치한 경우(S130), 제어수단(140)은 재실자의 위치에 따라 토출구 제어수단(190), 밸브 조절수단(170) 및 풍향 조절수단(180)으로 제어신호를 발령하여 각각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140 내지 S170).
즉, 재실자가 좌측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되면(S140), 제어수단(140)으로부터 발령된 제어신호에 따라 토출구 제어수단(190), 밸브 조절수단(170) 및 풍향 조절수단(180)을 통해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이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으로 맞추도록 한다. 즉, 좌측 토출구를 개도시키고(S142), 이때 재실자의 위치에 따라 좌,우 풍향 조절 베인의 회전각도를 제어한다(S144). 따라서, 제어수단(140)은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맞는 조건에 따라 팬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S146), 공기조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S170). 이러한 동작은 별도의 종료 명령이 입력되거나, 혹 은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이 변경되지 않는 한 계속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재실자가 우측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되면(S150), 제어수단(140)으로부터 발령된 제어신호에 따라 토출구 제어수단(190), 밸브 조절수단(170) 및 풍향 조절수단(180)을 통해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이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으로 맞추도록 한다. 즉, 우측 토출구를 개도시키고(S152), 이때 재실자의 위치에 따라 좌,우 풍향 조절 베인의 회전각도를 제어한다(S154). 따라서, 제어수단(140)은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맞는 조건에 따라 팬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S156), 공기조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S170). 이러한 동작은 별도의 종료 명령이 입력되거나, 혹은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이 변경되지 않는 한 계속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재실자가 중양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수단(140)은 좌측 토출구 및 우측 토출구를 차폐시키고, 재실자의 위치에 따라 상부 토출구에 배치된 좌,우 풍향 조절 베인의 회전각도를 제어한다(S162). 따라서, 제어수단(140)은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맞는 조건에 따라 팬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S164), 공기조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S170). 이러한 동작은 별도의 종료 명령이 입력되거나, 혹은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이 변경되지 않는 한 계속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이 변경된 경우(S180), 제어수단(140)은 'S120' 내지 'S170'의 과정의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재실자의 위치에 따른 영역별 토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
만일, 입력수단(110)을 통해 동작 종료명령이 인가된 경우에는(S190), 구동수단의 동작이 종료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조화 동작을 종료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응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블록도,
도 5a 내지 도 7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 그리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입력수단 120: 출력수단
130: 위치 감지수단 140: 제어수단
150: 실내팬 160: 실내열교환기
170: 밸브 조절수단 180: 풍향 조절수단
190: 토출구 제어수단

Claims (12)

  1. 본체에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재실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수단;
    실내 영역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위치 감지수단을 통해 재실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분할된 소정 영역 중 상기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발령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 조화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수단은, 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영역은, 거리(m) 및 방향(°)을 기준으로 분할된 것인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의 방향에 따라 적어도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것인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분할된 소정 영역 중 상기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상기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된 토출구에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좌,우 토출 베인이 배치된 공기 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토출구에는, 상기 토출 기류의 방향을 상, 하로 조절하는 상하 풍향 조절 베인 및 상기 토출 기류의 방향을 좌, 우로 조절하는 좌우 풍향 조절 베인이 배치된 공기조화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분할된 소정 영역 중 상기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상기 베인을 제어하여 상기 토출 기류의 풍향을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분할된 소정 영역 중 상기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상기 토출 기류의 온도, 풍량 및 풍속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치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10. 실내 영역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위치 감지수단을 구동하여 재실자의 위치 및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 및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된 소정 영역 중 상기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제어하여 공기 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에 대한 개도량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재실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에 배치된 베인을 제어하여 토출 기류의 풍향을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080039442A 2008-01-25 2008-04-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3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442A KR20090113630A (ko) 2008-04-28 2008-04-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2008101114199A CN101493246B (zh) 2008-01-25 2008-06-12 空调机及其动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442A KR20090113630A (ko) 2008-04-28 2008-04-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630A true KR20090113630A (ko) 2009-11-02

Family

ID=4155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442A KR20090113630A (ko) 2008-01-25 2008-04-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363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9706A (zh) * 2014-10-08 2015-01-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图像识别的空调控制方法、系统及空调设备
CN104566827A (zh) * 2015-01-01 2015-04-29 上海新祁环境科技有限公司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CN105546741A (zh) * 2015-12-23 2016-05-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及其控制方法
CN106705397A (zh) * 2017-01-24 2017-05-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面板、室内机及其控制方法
CN104197488B (zh) * 2014-08-08 2017-06-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风机导风装置及空调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7488B (zh) * 2014-08-08 2017-06-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风机导风装置及空调器
CN104279706A (zh) * 2014-10-08 2015-01-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图像识别的空调控制方法、系统及空调设备
CN104279706B (zh) * 2014-10-08 2017-03-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图像识别的空调控制方法、系统及空调设备
CN104566827A (zh) * 2015-01-01 2015-04-29 上海新祁环境科技有限公司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CN104566827B (zh) * 2015-01-01 2017-10-03 上海新祁环境科技有限公司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CN105546741A (zh) * 2015-12-23 2016-05-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及其控制方法
CN105546741B (zh) * 2015-12-23 2018-09-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及其控制方法
CN106705397A (zh) * 2017-01-24 2017-05-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面板、室内机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191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536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447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1047731A (ja) 空気調和機の吐出気流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40132854A (ko) 공기조화장치
WO2004044498A1 (ja) 空気調和装置
JP7477904B2 (ja) 空調システム
KR2009011363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6299A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JP6621025B2 (ja) 空気調和機
JP2018146197A (ja) 空気調和機
KR2009009152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4035087A (ja) 空気調和機
KR10164519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47371A (ko) 공기조화기
JP7230339B2 (ja) 空気調和装置
JP2020085402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6952266B2 (ja) 空気調和機
JP2018179416A (ja) 空気調和機
KR2009011362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4519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362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22061B1 (ko) 공조 유닛
CN106152379A (zh) 一种混流空调及其混流控制方法
KR20050104674A (ko) 에어커튼 기능이 구비되는 공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