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37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7371A KR20150047371A KR1020130127367A KR20130127367A KR20150047371A KR 20150047371 A KR20150047371 A KR 20150047371A KR 1020130127367 A KR1020130127367 A KR 1020130127367A KR 20130127367 A KR20130127367 A KR 20130127367A KR 20150047371 A KR20150047371 A KR 201500473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discharge body
- air
- port
- discharg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흡입구와 제1토출구가 형성되고 제1흡입구의 개구방향과 상기 제1토출구의 개구방향이 상이하며 제1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토출바디와; 제2흡입구와 제2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흡입구의 개구방향과 제2토출구의 개구방향이 상이하며 제1회전중심축과 평행한 제2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토출바디와;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토출바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실내의 특정 방향으로 공조 공기를 집중 토출하기 용이하고, 2방향의 기류가 보다 다양한 조합으로 선택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바디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에는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바디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바디는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위치 고정되게 배치되어 위치 고정인 상태에서 실내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토출바디의 다른 예는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승된 위치에서 실내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고, 공기조화기의 내측으로 하강되어 보관될 수 있다.
또한, 토출바디의 또 다른 예는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상부에서 회전 동작되면서 토출바디의 주변으로 좌우 입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공기 토출구가 하나의 헤더에 둘레 방향으로 따라 이격 형성되므로, 실내의 특정 방향을 향해 공조 공기를 집중 토출하기 용이하지 않고, 다양한 기류를 선택하기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어 공간을 통과한 후 제1토출구로 토출되고 상기 제1흡입구의 개구방향과 상기 제1토출구의 개구방향이 상이하며 제1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토출바디와; 제1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어 공간을 통과한 후 제1토출구로 토출되고 상기 제2흡입구의 개구방향과 제2토출구의 개구방향이 상이하며 상기 제1회전중심축과 평행한 제2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토출바디와;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토출바디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바디 구동기구는 상기 제1토출바디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기구와; 상기 제2토출바디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는 상기 제1토출바디의 공기토출모드시 상기 제1토출바디의 좌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도부터 상기 제1토출바디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도까지의 범위 이내로 상기 제1토출바디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기구는 상기 제2토출바디의 공기토출모드시 상기 제2토출바디의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도부터 상기 제2토출바디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도까지의 범위 이내로 상기 제2토출바디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와 제2회전기구는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의 동시 토출일 때의 최대 회전 각도가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 중 어느 하나의 단독 토출일 때의 최대 회전 각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의 개구방향과 상기 제1토출구의 개구방향은 직교할 수 있고, 상기 제2흡입구의 개구방향과 상기 제2토출구의 개구방향은 직교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흡입구의 개구방향과 상기 제2흡입구의 개구방향은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바디는 상기 제1토출구가 형성된 중공 통을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구의 반대면이 막힐 수 있다.
상기 제2토출바디는 상기 제2토출구가 형성된 중공 통을 포함하고 상기 제2흡입구의 반대면이 막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패널과; 상기 흡입패널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패널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로 송풍하는 송풍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제1토출바디의 제1흡입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송풍유닛과, 상기 제2토출바디의 제2흡입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송풍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상기 제1송풍유닛으로 흡입되게 조절하는 제1공기조절부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상기 제2송풍유닛으로 흡입되게 조절하는 제2공기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1토출구가 마주보는 위치일 때 상기 제1토출구를 가리며, 상기 제 2 토출구가 마주보는 위치일때 상기 제2토출구를 가리는 리어 패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토출바디의 제1토출구 및 제2토출바디의 제2토출구가 모두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1토출바디의 제1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고, 제2토출바디의 제2토출구가 은닉되는 제 2 모드와, 상기 제1토출바디의 제1토출구가 은닉되고, 제2토출바디의 제2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 3 모드와, 상기 제1토출바디의 제1토출구 및 제2토출바디의 제2토출구가 모두 은닉되는 제 4 모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는 전면 중 좌측에 상기 제1토출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토출바디 수용부가 형성되고, 전면 중 우측에 상기 제2토출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토출바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바디 수용부와 제2토출바디 수용부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바디 수용부와 제2토출바디 수용부는 라운드지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토출바디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바디가 공조하는 영역의 온도 정보를 표시하는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토출바디가 공조하는 영역의 온도 정보를 표시하는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토출바디 중 제1토출구 하측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토출바디 중 제2토출구 하측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는 좌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는 일부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의 사이에 상기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토출바디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1토출바디와 곡률이 같은 제1하부패널과, 상기 제2토출바디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2토출바디와 곡률이 같은 제2하부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패널과 제2하부 패널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토출바디 상면 및 상기 제2토출바디 상면을 덮는 탑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는 상기 탑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제1토출바디 중 상기 제1흡입구 반대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기구는 상기 탑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제2토출바디 중 상기 제2흡입구 반대편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패널과; 상기 흡입패널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흡입패널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흡입패널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제1토출바디의 제1흡입구로 송풍하는 제1송풍유닛과; 상기 흡입패널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제2토출바디의 제2흡입구로 송풍하는 제2송풍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의 상측에 상기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의 특정 방향으로 공조 공기를 집중 토출하기 용이하고, 2방향의 기류가 보다 다양한 조합으로 선택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2개의 토출바디가 실내의 좌측 영역과 실내의 우측 영역을 분담하여 상호 독립적으로 공조시킬 수 있고, 집중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성을 보다 다양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2개의 토출바디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서로 상이하여, 하나의 실내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할 공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회전하는 루버로 풍향을 조절하는 경우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미사용시 토출바디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관이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실내에 위치할 때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이예의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가 도시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1모드시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2모드시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3모드시 횡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4모드시 횡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4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이예의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가 도시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1모드시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2모드시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3모드시 횡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4모드시 횡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4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실내에 위치할 때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이예의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가 도시된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A)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와 토출바디 구동기구(6)를 포함한다.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는 공기조화기(A)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각각 독립적으로 토출할 수 있고, 실내의 서로 다른 영역(R1)(R2)을 향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토출바디 구동기구(6)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토출바디 구동기구(6)는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기구(8)와;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기구(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제1토출바디(2)를 제1회전중심축(P)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2토출바디(4)를 제2회전중심축(Q)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잇다. 공기조화기(A)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패널(12)과; 흡입패널(12)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14)와; 흡입패널(12)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14)를 통과시킨 후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로 송풍하는 송풍장치(16)를 더 포함한다. 송풍장치(16)는 제1토출바디(2)의 제1흡입구(21)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송풍유닛(17)과, 제2토출바디(2)의 제2흡입구(41)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송풍유닛(18)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A)가 설치된 실내를 공기조화기(A)를 기준으로 좌측 영역(R1)과 우측 영역(R2)으로 구분할 때, 좌측 영역(R1)은 공기조화기(A)의 좌측부터 공기조화기(A)의 전방까지 일 수 있고, 우측 영역(R2)은 공기조화기(A)의 우측부터 공기조화기(A)의 전방까지 일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제2토출바디(4)의 좌측에 위치되어 공조된 공기를 실내의 좌측 영역(R1)으로 토출할 수 있고, 제2토출바디(4)는 제1토출바디(2)의 우측에 위치되어 공조된 공기를 실내의 우측 영역(R2)으로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A)는 거실의 어느 한 벽에 근접하고 거실의 중앙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A)는 제1토출바디(2)가 거실의 좌측 영역(R1)과 우측 영역(R2) 중 어느 한 영역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고, 제2토출바디(2)가 거실의 좌측 영역(R1)과 우측 영역(R2) 중 다른 한 영역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거실은 좌측 영역(R1)과 우측 영역(R2)이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에 의해 독립적으로 공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A)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 중 어느 하나가 거실을 향할 수 있고, 다른 하나가 주방을 향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거실과 주방은 둘 중 어느 하나가 좌측 영역(R1)일 때 다른 하나가 우측 영역(R2)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A)는 제1토출바디(2)가 거실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제2토출바디(4)가 주방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반대로, 공기조화기(A)는 제1토출바디(2)가 주방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제2토출바디(4)가 거실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즉, 거실과 주방은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에 의해 독립적으로 공조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제1흡입구(21)와 제1토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제1흡입구(21)로 공기가 흡입되어 공간(S1)을 통과한 후 제1토출구(22)로 토출될 수 있다. 공간(S1)은 제1토출바디(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제1토출구(22)가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제1흡입구(21)의 개구방향과 제1토출구(22)의 개구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제1흡입구(21)와 제1토출구(22)는 제1토출바디(2)에 나란하거나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제1흡입구(21)의 개구방향과 제1토출구(22)의 개구방향이 직교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제1흡입구(21)의 반대면이 막힐 수 있다. 공기는 제1흡입구(21)를 통해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고, 공간(S1)에서 유동방향이 전환된 후 제1토출구(22)로 토출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제1회전중심축(P)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제1흡입구(21)를 중심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가 상하로 길게 형성될 경우, 제1토출바디(2)는 상하로 긴 중공 통(23)과, 중공 통(23)의 상부에 형성된 상판(24)과, 중공 통(23)의 하부에 형성된 하판(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흡입구(21)는 하판(25)에 수직방향(Z)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토출구(22)는 중공 통(23)에 수평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24)은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중공 통(23)은 중공 원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토출구(22)는 중공 통(23)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구(22)는 중공 통(23)에 중공 통(2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중공 통(23)의 원주 방향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구(22)는 길이 방향의 높이가 원주 방향의 폭 보다 길 수 있다. 제1토출구(22)는 중공 통(23)의 원주방향으로 최소 30°만큼 개구될 수 있고, 최대 150°만큼 개구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하판(24)에 중공 통(23) 보다 크기가 작고 중공된 하부 통(26)이 돌출될 수 있다. 제1흡입구(21)는 하부 통(26)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중공 통(23)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1토출바디(2)는 공기조화기의 외관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그 회전 위치에 상관없이, 좌측부부터 전면부까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좌측 외관 및 공기조화기의 좌측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는 제1토출바디(2)의 하부에서 제1토출바디(2) 내부로 상승 유입될 수 있고, 제1토출바디(2)의 내부에서 유동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전환된 후 제1토출구(22)를 통해 제1토출바디(2)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2흡입구(41)와 제2토출구(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내부에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2흡입구(41)로 공기가 흡입되어 공간(S2)을 통과한 후 제1토출구(42)로 토출될 수 있다. 공간(S2)은 제3토출바디(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2흡입구(41)로 흡입된 공기가 제2토출바디(4)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2토출구(42)로 토출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2토출구(42)가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2흡입구(41)와 제2토출구(42)의 개구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제2흡입구(41)와 제2토출구(42)는 제2토출바디(4)에 나란하거나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2흡입구(41)의 개구방향과 제2토출구(42)의 개구방향이 직교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2흡입구(41)의 반대면이 막힐 수 있다. 공기는 제2흡입구(41)를 통해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고, 공간(S2)에서 유동방향이 전환된 후 제2토출구(42)로 토출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1회전중심축(P)과 평행한 제2회전중심축(Q)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2흡입구(41)를 중심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1토출바디(2)와 동일 구조일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1토출바디(2)와 크기가 같을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1토출바디(2)와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제2흡입구(41)의 개구 방향은 제1흡입구(21)의 개구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가 상하로 길게 형성될 경우, 제2토출바디(4)는 상하로 긴 중공 통(43)과, 중공 통(43)의 상부에 형성된 상판(44)과, 중공 통(43)의 하부에 형성된 하판(45)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흡입구(41)는 하판(45)에 수직방향(Z)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토출구(42)는 중공 통(43)에 수평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판(44)은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제2토출구(42)는 제1토출구(22)와 형상 및 크기가 같을 수 있다. 중공 통(43은 중공 원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내부에 공간(S2)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구(42)는 중공 통(43)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구(42)는 중공 통(4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중공 통(43)의 원주 방향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구(42)는 길이 방향 높이가 원주 방향 폭 보다 길 수 있다. 제2토출구(42)는 중공 통(43)의 원주방향으로 최소 30°만큼 개구될 수 있고, 최대 150°만큼 개구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하판(44)에 중공 통(43) 보다 크기가 작고 중공된 하부 통(46)이 돌출될 수 있다. 제2흡입구(41)는 하부 통(46)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중공 통(43)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2토출바디(4)는 공기조화기의 외관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그 회전 위치에 상관없이, 우측부부터 전면부까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우측 외관 및 공기조화기의 우측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는 제2토출바디(4)의 하부에서 제2토출바디(4) 내부로 상승 유입될 수 있고, 제2토출바디(4)의 내부에서 유동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전환된 후 제2토출구(42)를 통해 제2토출바디(4)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는 좌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는 일부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의 사이에는 틈이 존재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A)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 사이의 틈이 클 경우 공기조화기(A)의 좌우 폭이 클수 있다.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 사이의 거리(L1)는 제1토출바디(2)의 좌우 방향 폭(D1) 및 상기 제2토출바디(4)의 좌우 방향 폭(D1) 보다 짧을 수 있다.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중공 통(23)(43)을 포함할 경우, 제1토출바디(2)의 좌우 방향 폭은 제1토출바디(2)의 직경(D1)과 같을 수 있으며, 제2토출바디(4)의 좌우 방향 폭은 제2토출바디(4)의 직경(D2)과 같을 수 있다.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 사이의 거리(L1)는 제1토출바디(2)의 직경(D1) 및 제2토출바디(4)의 직경(D2)의 각각 보다 짧을 수 있다.
제1회전기구(8)와 제2회전기구(10)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1회전기구(8)가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킬 때, 제2회전기구(10)는 정지상태일 수 있다. 반대로 제2회전기구(10)가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킬 때, 제1회전기구(8)는 정지상태일 수 있다. 제1회전기구(8)와 제2회전기구(10)는 제1토출바디(2)의 공기 토출방향과 제2토출바디(4)의 공기 토출방향이 평행하게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8)와 제2회전기구(10)는 제1토출바디(2)의 공기 토출방향과 제2토출바디(4)의 토출방향이 서로 정반대되게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회전기구(8)가 제1토출바디(2)를 제1회전각도(예를 들면, 40°)회전시켰을 때, 제2회전기구(10)는 제2토출바디(4)를 제1회전각도 보다 작은 제2회전각도(예를 들면, 30°)로 회전시키거나 제2토출바디(4)를 제1회전각도 보다 큰 제3회전각도(예를 들면, 60°)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모터(27)와, 모터(27)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28)와, 구동기어(28)에 치합되고 제1토출바디(2)에 구비된 종동기어(29)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28)는 모터(27)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 1 기어일 수 있고, 종동기어(29)는 제1토출바디(2)에 설치되고 제 1 기어에 치합된 제 2 기어일 수 있다. 종동기어(29)는 제1토출바디(2)의 하부 통(2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제1토출구(22)가 좌측 방향(X1)을 향하거나 좌측 전방의 경사방향(X1Y)을 향하거나 전방 방향(Y)을 향하거나 우측 전방의 경사 방향(X2Y)을 향하게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우측 전방의 경사 방향(X2Y)는 제1토출바디(2)의 제1토출구(22)가 제2토출바디(4)의 전방을 향하는 경사 방향일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제1토출바디(2)의 공기토출모드시 제1토출바디(2)의 좌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도부터 제1토출바디(2)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도까지의 범위 이내로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제1토출구(22)가 후방을 향할 때를 기준으로 제1토출구(22)가 제1토출바디(2)의 좌측 방향(X1)을 향하는 제1각도(H)로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제1토출구(22)가 제1토출바디(2)의 좌측 전방의 경사방향(X1Y)를 향하는 제2각도(I,I>H)로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제1토출구(22)가 제1토출바디(2)의 전방 방향(Y)를 향하는 제3각도(J,J>I)로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제1토출구(22)가 제1토출바디(2)의 우측 전방의 경사 방향(X2Y)을 향하는 제4각도(K,K>J)로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제1토출구(22)가 제1토출바디(2)의 우측을 향하는 제5각도로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제1토출바디(2)의 공기토출모드시 제1토출바디(2)를 제1각도(H) 내지 제4각도(K)의 범위로 회전시킨 후 제1각도(H) 내지 제4각도(K)의 범위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제1토출바디(2)의 공기토출모드시 제1토출바디(2)를 제1각도(H) 내지 제4각도(K)의 범위에서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의 동시 토출시와, 제1토출바디(2)의 단독 토출시, 제1토출바디(2)를 상이한 패턴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의 동시 토출시, 제1토출바디(2)를 제1각도(H) 내지 제3각도(J)의 범위로 회전시킨 후 제1각도(H) 내지 제3각도(J)의 범위에서 정지시키거나, 제1토출바디(2)를 제1각도(H) 내지 제3각도(J)의 범위에서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회전기구(8)는 제2토출바디(4)로 공기를 토출하지 않고, 제1토출바디(2)의 단독 토출시 제1토출바디(2)를 제1각도(H) 내지 제4각도(K)의 범위로 회전시킨 후 제1각도(H) 내지 제4각도(K)의 범위에서 정지시키거나, 제1토출바디(2)를 제1각도(H) 내지 제4각도(K)의 범위에서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8)와 제2회전기구(10)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의 동시 토출일 때의 최대 회전 각도가,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 중 어느 하나의 단독 토출일 때의 최대 회전 각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회전기구(8)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의 동시 토출시 제3각도(J)가 최대 회전 각도일 수 있고, 제1토출바디(2)의 단독 토출시 제4각도(K,K>J)가 최대 회전 각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바디(2)가 공조하는 영역(R1)의 온도 정보를 표시하는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30)가 표시하는 온도 정보는 제1토출바디(2)가 공조하는 영역(R1)의 희망온도인 것이 가능하고, 제1토출바디(2)가 공조하는 영역(R1)의 현재온도인 것이 가능하며, 제1토출바디(2)가 공조하는 영역(R1)의 희망온도와, 제1토출바디(2)가 공조하는 영역(R1)의 현재온도인 것이 가능하다.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50)는 제1토출바디(2) 중 제1토출구(22) 하측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토출바디(2)가 공조하는 영역(R1)의 온도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30)는 제1토출바디(2)의 불사용시, 제1토출바디(2)의 제1토출구(22)와 함께 리어 패널(80)을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30)는 리어 패널(80)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전면 좌측 및 좌측면의 외관이 간결해질 수 있으며,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30)가 리어 패널(8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30)를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와 리어 패널(80)에 의해 은닉되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 무빙기구로 기능할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모터(47)와, 모터(47)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48)와, 구동기어(48)에 치합되고 제2토출바디(4)에 구비된 종동기어(49)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48)는 모터(47)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 1 기어일 수 있고, 종동기어(49)는 제2토출바디(4)에 설치되고 제 1 기어에 치합된 제 2 기어일 수 있다. 종동기어(49)는 제2토출바디(4)의 하부 통(46)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2토출구(42)가 우측 방향(X2)을 향하거나 우측 전방의 경사방향(X2Y)을 향하거나 전방 방향(Y)을 향하거나 좌측 전방의 경사 방향(X1Y)을 향하게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좌측 전방의 경사 방향(X1Y)은 제2토출바디(4)의 제1토출구(42)가 제1토출바디(2)의 전방을 향하는 경사 방향일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2토출바디(4)의 공기토출모드시 제2토출바디(4)의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도부터 제2토출바디(4)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도까지의 범위 이내로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2토출구(42)가 후방을 향할 때를 기준으로 제2토출구(42)가 제2토출바디(4)의 우측 방향(X2)을 향하는 제1각도(L)로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2토출구(42)가 제2토출바디(4)의 우측 전방의 경사방향(X2Y)를 향하는 제2각도(M,M>L)로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1토출구(42)가 제2토출바디(4)의 전방 방향(Y)을 향하는 제3각도(N,N>M)로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1토출구(42)가 제2토출바디(4)의 좌측 전방의 경사 방향(X1Y)을 향하는 제4각도(O,O>N)로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2토출구(42)가 제2토출바디(4)의 좌측을 향하는 제5각도로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2토출바디(4)의 공기토출모드시 제2토출바디(4)를 제1각도(L) 내지 제4각도(O)의 범위로 회전시킨 후 제1각도(L) 내지 제4각도(O)의 범위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제2토출바디(4)의 공기토출모드시 제2토출바디(4)를 제1각도(L) 내지 제4각도(O)의 범위에서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의 동시 토출시와, 제2토출바디(4)의 단독 토출 시, 제2토출바디(4)를 상이한 패턴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의 동시 토출시 제2토출바디(4)를 제1각도(L) 내지 제3각도(N)의 범위로 회전시킨 후 제1각도(L) 내지 제3각도(N)의 범위에서 정지시키거나, 제2토출바디(4)를 제1각도(L) 내지 제3각도(N)의 범위에서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2회전기구(10)는 제1토출바디(2)로 공기를 토출하지 않고,
제2토출바디(4)의 단독 토출시, 제2토출바디(4)를 제1각도(L) 내지 제4각도(0)의 범위로 회전시킨 후 제1각도(L) 내지 제4각도(O)의 범위에서 정지시키거나, 제2토출바디(4)를 제1각도(L) 내지 제4각도(O)의 범위에서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8)와 제2회전기구(10)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의 동시 토출일 때의 최대 회전 각도가,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 중 어느 하나의 단독 토출일 때의 최대 회전 각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의 동시 토출시 제3각도(N)가 최대 회전 각도일 수 있고, 제2토출바디(4)의 단독 토출시 제4각도(O,O>N)가 최대 회전 각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2토출바디(4)가 공조하는 영역(R2)의 온도 정보를 표시하는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50)가 표시하는 온도 정보는 제2토출바디(4)가 공조하는 영역(R2)의 희망온도인 것이 가능하고, 제2토출바디(4)가 공조하는 영역(R2)의 현재온도인 것이 가능하며, 제2토출바디(4)가 공조하는 영역(R2)의 희망온도와, 제2토출바디(4)가 공조하는 영역(R2)의 현재온도인 것이 가능하다.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50)는 제2토출바디(4) 중 제2토출구(42) 하측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토출바디(4)가 공조하는 영역(R1)의 온도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50)는 제2토출바디(4)의 불사용시, 제2토출바디(4)의 제2토출구(42)와 함께 리어 패널(80)을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50)는 리어 패널(80)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전면 우측 및 우측면의 외관이 간결해질 수 있으며,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50)가 리어 패널(8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50)를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와 리어 패널(80)에 의해 은닉되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 무빙기구로 기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가 함께 공기를 토출할 때,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 각각의 토출 방향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토출모드를 갖을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좌측 방향(X1)과, 좌측 전방의 경사방향(X1Y)과, 전방 방향(Y)인 대략 3방향의 토출 방향을 갖거나, 좌측 방향(X1)과, 좌측 전방의 경사방향(X1Y)과, 전방 방향(Y)과, 우측 전방의 경사방향(X2Y)인 대략 4방향의 토출 방향을 갖을 수 있다.
그리고, 제2토출바디(4)는 우측 방향(X2)과 우측 전방의 경사방향(X1Y)과, 전방 방향(Y)인 3방향의 토출 방향을 갖거나, 우측 방향(X2)와 우측 전방의 경사방향(X1Y)과, 전방 방향(Y)과, 좌측 전방의 경사방향(X2Y)인 대략 4방향의 토출 방향을 갖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가 함께 공기를 토출할 때,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 각각이 대략 3방향의 토출 방향을 갖게 제어될 때, 총 9개의 토출 방향을 갖을 수 있다. 제1토출바디(2)가 좌측 방향(X1)의 토출 방향일 때, 제2토출바디(4)는 우측 방향(X2)의 토출방향이거나 우측 전방의 경사방향(X1Y)의 토출방향이거나 전방 방향(Y)의 토출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1토출바디(2)가 좌측 전방의 경사방향(X1Y)의 토출 방향일 때, 제2토출바디(4)는 우측 방향(X2)의 토출방향이거나 우측 전방의 경사방향(X1Y)의 토출방향이거나 전방 방향(Y)의 토출방향일 수 있다. 제1토출바디(2)가 전방 방향(Y)의 토출 방향일 때, 제2토출바디(4)는 우측 방향(X2)의 토출방향이거나 우측 전방의 경사방향(X1Y)의 토출방향이거나 전방 방향(Y)의 토출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1토출바디(2)가 좌측 방향(X1)과 좌측 전방의 경사방향(X1Y)과, 전방 방향(Y)의 3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제2토출바디(4)는 우측 방향(X2)과 전방 방향(Y)으로 왕복 회전되는 스윙 토출 모드일 수 있다. 반대로, 제2토출바디(4)가 우측 방향(X2)과 우측 전방의 경사방향(X1Y)과, 전방 방향(Y)의 3방향의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제1토출바디(2)는 좌측 방향(X1)과 전방 방향(Y)으로 왕복 회전되는 스윙 토출 모드일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바디(2)는 좌측 방향(X1)과 전방 방향(Y)으로 왕복 회전되는 스윙 토출 모드일 때, 제2토출바디(4)는 우측 방향(X2)과 전방 방향(Y)으로 왕복 회전되는 스윙 토출 모드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가 함께 공기를 토출할 때,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 각각이 대략 4방향의 토출 방향을 갖게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토출 방향의 조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흡입패널(12)은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가 공기조화기(A)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패널로서,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가 공기조화기(A)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패널(12)은 후술하는 리어 패널(80)에 설치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에는 흡입패널(12)이 설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흡입패널(12)은 리어 패널(80)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패널(12)에는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13)이 설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13)은 공기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기 중의 이물질을 방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교환기(14)는 흡입패널(12)과 송풍장치(16)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4)는 흡입패널(12)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실내에서 흡입패널(12)을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14)를 통과하여 송풍장치(16)로 유동될 수 있다. 열교환기(14)는 공기조화기(A)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과 제2송풍유닛(18)은 열교환기(14)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은 열교환기(14)의 일부 영역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고, 제2송풍유닛(18)은 열교환기(14)의 다른 영역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은 축류팬과 원심팬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은 원심팬 중 시로코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은 모터(52), 모터(52)에 설치된 임펠러(54)와, 임펠러(54)를 둘러싸는 팬하우징(56)을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56)은 열교환기(14)를 통과한 공기가 팬하우징(56)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구(57)와, 임펠러(5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58)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이 회전중심축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은 토출부(58)가 제1토출바디(2)의 제1흡입구(21)과 연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토출바디(2)의 제1흡입구(21)는 토출부(58)에 회전가능하게 연통될 수 있고, 제1토출바디(2)의 제1흡입구(21)와 토출부(58) 중 적어도 하나에는 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54)에 의해 토출부(58)로 유동된 공기는 토출부(58)를 통과하여 제1토출바디(2)의 제1흡입구(2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은 토출부(58)가 별도의 안내덕트(59)를 통해 제1토출바디(2)의 제1흡입구(21)와 연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안내덕트(59)는 팬하우징(56)과 제1토출바디(2)의 제1흡입구(21)를 연결하는 연결덕트일 수 있다. 안내덕트(59)는 제1송풍유닛(17)의 일부 구성이 될 수 있다. 안내덕트(59)는 일측이 팬하우징(56)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제1토출바디(2)의 제1흡입구(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의 제1흡입구(21)는 안내덕트(59)에 회전 가능하게 연통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의 제1흡입구(21)와 안내덕트(59)의 사이에는 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54)에 의해 토출부(58)로 유동된 공기는 토출부(58)를 통과하여 안내덕트(59)로 유입될 수 있고, 안내덕트(59)에 안내될 수 있다. 안내덕트(59)에 안내된 공기는 안내덕트(59)를 통과하여 제1토출바디(2)의 제1흡입구(21)로 유입될 수 있다. 안내덕트(59)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은 제1토출바디(2)의 공기토출모드시 구동될 수 있다.
제2송풍유닛(18)은 축류팬과 원심팬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은 원심팬 중 시로코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송풍유닛(18)은 모터(62), 모터(62)에 설치된 임펠러(64)와, 임펠러(64)를 둘러싸는 팬하우징(66)을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66)은 열교환기(14)를 통과한 공기가 팬하우징(66)으로 흡입되는 흡입구(67)와, 임펠러(6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68)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송풍유닛(18)이 회전중심축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할 수 있다.
제2송풍유닛(18)은 토출부(68)가 제2토출바디(4)의 제2흡입구(41)와 연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토출바디(4)의 제2흡입구(41)는 토출부(68)에 회전 가능하게 연통될 수 있고, 제2토출바디(4)의 제2흡입구(41)와 토출부(68) 중 적어도 하나에는 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64)에 의해 토출부(68)로 유동된 공기는 토출부(68)를 통과하여 제2토출바디(4)의 제2흡입구(41)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송풍유닛(18)은 토출부(68)가 별도의 안내덕트(69)를 통해 제2토출바디(4)의 제2흡입구(41)와 연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안내덕트(69)는 팬하우징(66)과 제2토출바디(4)의 제2흡입구(41)를 연결하는 연결덕트일 수 있다. 안내덕트(69)는 제2송풍유닛(18)의 일부 구성이 될 수 있다. 안내덕트(69)는 일측이 팬하우징(66)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제2토출바디(4)의 제2흡입구(4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의 제2흡입구(41)는 안내덕트(69)에 회전 가능하게 연통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의 제2흡입구(41)와 안내덕트(69)의 사이에는 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64)에 의해 토출부(68)로 유동된 공기는 토출부(68)를 통과하여 안내덕트(69)로 유입될 수 있고, 안내덕트(69)에 안내될 수 있다. 안내덕트(69)에 안내된 공기는 안내덕트(69)를 통과하여 제2토출바디(4)의 제2흡입구(41)로 유입될 수 있다. 안내덕트(69)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제2송풍유닛(18)은 제2토출바디(4)의 공기토출모드시 구동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과 제2송풍유닛(18)은 그 회전중심축이 평행할 수 있다. 제2송풍유닛(18)은 제1송풍유닛(17)과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송풍유닛(17)의 팬 하우징(56)의 적어도 일부가 제2송풍유닛(18)의 팬 하우징(66)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은 그 모터(52)가 제2송풍유닛(18)의 팬 하우징(66) 옆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송풍유닛(18)은 그 모터(62)가 제1송풍유닛(17)의 팬 하우징(56) 옆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의 모터(52)가 제1송풍유닛(17)의 팬 하우징(56)의 전방에 위치될 경우 제2송풍유닛(18)의 모터(62)는 제2송풍유닛(18)의 팬 하우징(66)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반대로, 제1송풍유닛(17)의 모터(52)가 제1송풍유닛(17)의 팬 하우징(56)의 후방에 위치될 경우, 제2송풍유닛(18)의 모터(62)는 제2송풍유닛(18)의 팬 하우징(66)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A)는 열교환기(14)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제1송풍유닛(17)으로 흡입되게 조절하는 제1공기조절부(19)와, 열교환기(14)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상기 제2송풍유닛으로 흡입되게 조절하는 제2공기조절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기조절부(19)는 제1토출바디(2)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제1토출바디(2)가 공조하는 영역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부일 수 있다. 제1공기조절부(19)는 제1송풍유닛(17)의 구동시, 외부의 공기가 열교환기(14)와 제1송풍유닛(17)의 사이의 틈을 통해 제1송풍유닛(17)으로 흡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조절부(19)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패널(12) 이외로 흡입되게 형성된 제1에어홀(71)과, 제1에어홀(71)을 개방도를 조절하는 제1에어홀 조절기구(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에어홀(71)은 제1송풍유닛(17)의 구동시,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가 흡입패널(12) 및 열교환기(14)를 바이패스하여 열교환기(14)와 제1송풍유닛(17) 사이로 흡입되는 위치에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제1에어홀(71)은 실내의 공기가 열교환기(14)를 바이패스하여 제1송풍유닛(17)으로 흡입되는 열교환기 바이패스홀일 수 있다. 제1에어홀(71)은 공기조화기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좌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교환기(14)의 좌측 옆에 열교환기(14)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열교환기(14)와 제1송풍유닛(17)의 사이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에어홀 조절기구(72)는 제1에어홀(71)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과, 개폐판을 회전시키는 개폐판 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판은 제1에어홀(7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개폐판 회전기구는 개폐판에 회전축이 연결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판 회전기구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개폐판으로 전달하는 링크나 기어 등의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기조절부(19)는 개폐판의 위치에 따라 제1에어홀(71)의 개방도가 조절될 수 있다. 개폐판이 제1에어홀(71) 전부를 막는 위치이면, 외부의 공기는 제1에어홀(71)을 통해 공기조화기(A) 내부로 흡입되지 않는다. 개폐판이 제1에어홀(71) 전부를 개방하는 위치이면, 외부의 공기는 제1에어홀(71)을 통해 공기조화기(A)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개폐판이 제1에어홀(71) 일부를 개방하고 나머지를 막는 위치이면, 외부의 공기는 제1에어홀(71)을 통해 공기조화기(A)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데, 제1에어홀(71)이 전부 개방되는 경우 보다는 소량의 공기가 공기조화기(A)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2공기조절부(20)는 제2토출바디(4)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제2토출바디(4)가 공조하는 영역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일 수 있다. 제2공기조절부(20)는 제2송풍유닛(18)의 구동시, 외부의 공기가 열교환기(14)와 제2송풍유닛(18)의 사이의 틈을 통해 제2송풍유닛(18)으로 흡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기조절부(20)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패널(12) 이외로 흡입되게 형성된 제2에어홀(76)과, 제2에어홀(76)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제2에어홀 조절기구(7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에어홀(76)은 실내의 공기가 열교환기(14)를 바이패스하여 제2송풍유닛(18)으로 흡입되는 열교환기 바이패스홀일 수 있다. 제2에어홀(76)은 공기조화기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우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교환기(14)의 우측 옆에 열교환기(14)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열교환기(14)와 제1송풍유닛(17)의 사이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공기조절부(20)는 제2에어홀(76)이 제1에어홀(71)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이고, 제2에어홀 조절기구(77)가 제1에어홀 조절기구(72)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조화기(A)는 제1토출바디(2)를 통과해 제1토출구(22)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제2토출바디(4)를 통과해 제2토출구(42)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A)는 제1토출구(22)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2토출구(44)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보다 높거나 낮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A)는 제1에어홀 조절기구(72)가 제1에어홀(71)을 개방될 때, 제2에어홀 조절기구(77)가 제2에어홀(76)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1에어홀(71)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4)에서 냉각된 공기와 혼합되어 제2송풍유닛(17)으로 흡입될 수 있으며, 제1토출바디(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제2토출바디(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A)는 제1에어홀 조절기구(72)가 제1에어홀(71)을 막을 때, 제2에어홀 조절기구(77)가 제2에어홀(76)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제1토출바디(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제2토출바디(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A)는 제1에어홀 조절기구(72)가 제1에어홀(71)를 제1개방도로 개방될 때, 제2에어홀 조절기구(77)가 제2에어홀(76)을 제1개방도 보다 작은 제2개방도로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에어홀(71)로는 제2에어홀(76) 보다 다량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고, 제1에어홀(71)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4)에서 냉각된 공기와 혼합되어 제1송풍유닛(17)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제2에어홀(76)로는 제1에어홀(71) 보다 소량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잇고, 제2흡입홀(76)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4)에서 냉각된 공기와 혼합되어 제2송풍유닛(18)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제2토출바디(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반대로, 공기조화기(A)는 제1에어홀 조절기구(72)가 제1에어홀(71)를 제1개방도로 개방될 때, 제2에어홀 조절기구(77)가 제2에어홀(76)을 제1개방도 보다 큰 제3개방도로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제1토출바디(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제2토출바디(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토출바디(2)는 좌측 영역(R1)을 22°로 온도 조절할 수 있고, 제2토출바디(4)는 우측 영역(R2)을 20°로 온도 조절할 수 있다. 열교환기(14)에 의해 냉각된 공기의 온도가 20°일 때, 제1에어홀 조절기구(72)는 열교환기(14)와 열교환되지 않는 공기(예를 들면, 24°의 공기)를 열교환기(14)와 제1송풍유닛(17)의 사이로 유입되게 조절될 수 있고, 제1토출바디(2)에서는 열교환기(14)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온도(20°) 보다 소정온도 높은 온도(22°)의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리어 패널(8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80)은 제 1토출구(22)가 마주보는 위치일 때 제1토출구(22)를 가릴 수 있다. 리어 패널(80)은 제 2 토출구(42)가 마주보는 위치일 때 제2토출구(42)를 가릴 수 있다. 리어 패널(80)은 제1토출바디(2)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토출바디 수용부(82)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은 제2토출바디(4)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토출바디 수용부(8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 수용부(82)와 제2토출바디 수용부(84)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 수용부(82)와 제2토출바디 수용부(84)는 라운드지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은 공기조화기의 배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패널(80)은 하나의 부재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토출바디(2)의 제1토출구(22)가 대략 후방 방향을 향하게 회전되면, 제1토출구(22)는 제1토출바디 수용부(82)를 마주볼 수 있고, 제1토출구(22)는 제1토출바디 수용부(82)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보호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의 제2토출구(42)가 대략 후방 방향을 향하게 회전되면, 제2토출구(42)는 제2토출바디 수용부(84)를 마주볼 수 있고, 제2토출구(42)는 제2토출바디 수용부(84)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보호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A)는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토출바디 서포터(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바디 서포터(90)는 제1토출바디(2)의 하부 통(26)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제1관통공(91)과, 제2토출바디(4)의 하부 통(46)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죄는 제2관통공(92)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바디 서포터(90)는 공기조화기(A)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바디 서포터(90)는 제1송풍유닛(17) 및 제2송풍유닛(18)이 위치하는 하부 공간과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가 위치하는 상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토출바디 서포터(90)는 후술하는 제1하부패널(98)의 상부 및 제2하부패널(99)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토출바디 서포터(90)는 리어 패널(80)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토출바디(2)는 그 하면이 토출바디 서포터(90)를 마주볼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그 하판(25)이 토출바디 서포터(90)에 안착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는 그 하부 통(26)이 제1관통공(91)으로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고, 하부 통(26)이 그 하측에 위치하는 제1송풍유닛(17)과 연통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그 하면이 토출바디 서포터(90)를 마주볼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그 하판(45)이 토출바디 서포터(9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그 하부 통(46)이 제2관통공(92)로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고, 하부통(46)이 그 하측에 위치하는 제2송풍유닛(18)과 연통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의 사이에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디스플레이(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4)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4)는 그 양측면이 오목하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94)는 좌우 방향 폭(L2)이 제1토출바디(2)의 좌우 방향 폭(D1) 및 상기 제2토출바디(4)의 좌우 방향 폭(D1) 보다 짧을 수 있다.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중공 통(23)(43)을 포함할 경우, 제1토출바디(2)의 좌우 방향 폭은 제1토출바디(2)의 직경(D1)과 같을 수 있으며, 제2토출바디(4)의 좌우 방향 폭은 제2토출바디(4)의 직경(D2)과 같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94)는 좌우 방향 폭(L2)는 제1토출바디(2)의 직경(D1) 및 제2토출바디(4)의 직경(D2)의 각각 보다 짧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94)는 제1토출바디(2)의 중공 통(23)과 제2토출바디(4)의 중공 통(43)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94)는 리어 패널(80)에 설치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의 제1토출바디 수용부(82)와 제2토출바디 수용부(84) 사이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잇다. 디스플레이(94)의 좌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제1토출바디(2)의 중공 통(23)을 마주볼 수 있고, 제1토출바디(2)의 중공 통(23)을 마주보는 부분은 제1토출바디(2)의 중공 통(23)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94)의 우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제2토출바디(4)의 중공 통(43)을 마주볼 수 있고, 제2토출바디(4)의 중공 통(43)을 마주보는 부분은 제2토출바디(4)의 중공 통(43)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바디(2)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1토출바디(2)와 곡률이 같은 제1하부패널(98)과, 제2토출바디(4)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2토출바디(4)와 곡률이 같은 제2하부패널(9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패널(98)과 제 2하부 패널(99)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하부패널(98)은 제1토출바디(2)의 중공 통(23)과 곡률이 같을 수 있다. 제2하부패널(99)는 제2토출바디(4)의 중공 통(43)과 곡률이 같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A)는 베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80)은 베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하부패널(98)과 제2하부패널(99)은 베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하부패널(98)은 그 하단에 베이스(100)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좌측단이 리어 패널(80)의 좌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하부패널(99)는 그 하단이 베이스(100)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우측단이 리어 패널(80)의 우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영역(R1)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104)와, 제2영역(R2)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10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인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등의 인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1개의 인체감지센서가 좌측 영역(R1)과 우측 영역(R2)의 인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인체감지센서가 좌측 영역(R1)의 인체를 감지하고, 제2인체감지센서가 우측 영역(R2)의 인체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제1회전기구(8)와 제2회전기구(10)와 제1송풍유닛(17)과 제2송풍유닛(18)을 제어하는 제어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8)는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30)와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8)는 제1에어홀 조절기구(72)와 제2에어홀 조절기구(77)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8)는 디스플레이(94)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02)로 제1영역(R1)의 공조 여부와, 제2영역(R2)의 공조 여부와, 제1영역(R1)의 희망온도, 제2영역(R2)의 희망온도, 제1토출바디(2)의 스윙 여부와, 제2토출바디(4)의 스윙 여부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08)는 제1영역(R1)의 공조 여부와, 제2영역(R2)의 공조 여부에 따라, 제1회전기구(8)와 제2회전기구(10)와 제1송풍유닛(17) 및 제2송풍유닛(18)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8)는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의 공조 여부가 입력되면, 제1토출바디(2)의 제1토출구(22) 및 제2토출바디(4)의 제2토출구(42)가 모두 외부로 노출되게 제1회전기구(8)와 제2회전기구(10)를 제어할 수 있고, 제1송풍유닛(17) 및 제2송풍유닛(18)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08)는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 중 제1영역(R1)의 공조 여부가 입력되고, 제2영역(R2)의 공조 여부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1토출바디(2)의 제1토출구(22)가 외부로 노출되게 제1회전기구(8)를 제어할 수 있고, 제1송풍유닛(17)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08)는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 중 제2영역(R2)의 공조 여부가 입력되고, 제1영역(R1)의 공조 여부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2토출바디(4)의 제2토출구(42)가 외부로 노출되게 제2회전기구(10)를 제어할 수 있고, 제2송풍유닛(18)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08)는 제1영역(R1) 및 제2영역(R2) 모두의 공조 여부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1회전기구(8)와 제2회전기구(10)를 유지할 수있고, 제1송풍유닛(17) 및 제2송풍유닛(18)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08)는 제1영역(R1)의 희망온도와 제2영역(R2)의 희망온도가 상이할 경우 제1에어홀 조절기구(72)와 제2에어홀 조절기구(77)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8)는 제1영역(R1)에 위치하는 인체에 따라 제1회전기구(8)와 제1송풍유닛(17)을 제어할 수 있고, 제1영역(R1)에 위치하는 인체에 따라 제2회전기구(10) 및 제2송풍유닛(18)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어부(108)는 제1토출바디(2)가 좌우 스윙 회전되게 제1회전기구(8)를 제어할 때, 제2토출바디(4)를 좌우 스윙 회전되지 않고 토출 방향이 일정하게 제2회전기구(10)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반대로 제2토출바디(3)가 좌우 스윙 회전되게 제2회전기구(10)를 제어할 때, 제1토출바디(2)를 좌우 스윙 회전되지 않고 토출 방향이 일정하게 제1회전기구(8)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08)는 사용자가 제1영역(R1)에서 공기조화기(A) 앞을 지나 제2영역(R2)으로 옮겨가는 경우, 제1토출바디(2)가 제1영역(R1)으로 공기를 토출하다가 정지하고, 제2토출바디(2)가 제2영역(R2)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1모드시 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2모드시 횡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3모드시 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4모드시 횡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출바디(2)의 제1토출구(22) 및 제2토출바디(4)의 제2토출구(42)가 모두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모드를 갖는다. 제1모드는 열교환기(14)와 열교환된 공기를 좌측 영역(R1)과 우측 영역(R2)의 각각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다.
제1회전기구(8)는 제 1 모드시, 제1토출구(22)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패널(80)을 마주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각도로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 1 모드시, 제2토출구(42)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패널(80)을 마주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각도로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회전기구(8)는 후술하는 제2모드시 보다 제1토출바디(2)의 최대 회전 각도를 작게 할 수 있고, 제1토출바디(2)는 제1토출바디(2)의 좌측에서부터 제1토출바디(2)의 전방 까지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회전기구(10)는 후술하는 제3모드시 보다 제2토출바디(2)의 최대 회전 각도를 작게 할 수 있고, 제2토출바디(2)는 제2토출바디(4)의 우측에서부터 제2토출바디(4)의 전방까지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 1 모드는 제1토출구(22)가 외부로 노출되는 범위 내에서 제1토출바디(2)가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제 1 모드는 제2토출구(32)가 외부로 노출되는 범위 내에서 제2토출바디(4)가 회전 동작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출바디(2)의 제1토출구(22)가 외부로 노출되고, 제2토출바디(4)의 제2토출구(42)가 은닉되는 제 2 모드를 갖는다. 제 2 모드는 열교환기(14)와 열교환된 공기를 제1토출바디(2)를 통해 좌측 영역(R1)으로 집중 토출하는 모드이다.
제1회전기구(8)는 제 2 모드시, 제1토출구(22)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패널(80)을 마주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각도로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 2 모드시, 제2토출구(42)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패널(80)을 마주보는 위치에 제2토출바디(4)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회전기구(8)는 제1모드시 보다 제1토출바디(2)의 최대 회전 각도를 크게 할 수 있고, 제1토출바디(2)는 제1토출바디(2)의 좌측에서부터 제1토출바디(2)의 우측 전방까지의 넓은 영역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 2 모드는 제2토출바디(4)가 정지 상태일 수 있고, 제1토출구(22)가 외부로 노출되는 범위에서 제1토출바디(2)가 회전 동작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출바디(2)의 제1토출구(22)가 은닉되고, 제2토출바디(4)의 제2토출구(42)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 3 모드를 갖는다. 제 3 모드는 열교환기(14)와 열교환된 공기를 제2토출바디(4)를 통해 우측 영역(R1)으로 집중 토출하는 모드이다.
제1회전기구(8)는 제 3 모드시, 제1토출구(22)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패널(80)을 마주보는 위치에 제1토출바디(2)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 3 모드시, 제2토출구(42)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각도로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회전기구(10)는 제1모드시 보다 제2토출바디(4)의 최대 회전 각도를 크게 할 수 있고, 제2토출바디(4)는 제2토출바디(4)의 우측에서부터 제2토출바디(4)의 좌측 전방까지의 넓은 영역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 3 모드는 제1토출바디(2)가 정지 상태일 수 있고, 제2토출구(42)가 외부로 노출되는 범위에서 제2토출바디(4)가 회전 동작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출바디(2)의 제1토출구(22) 및 제2토출바디(4)의 제2토출구(42)가 모두 은닉되는 제 4 모드를 갖는다. 제 4 모드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가 모두 정지일 수 있다. 제 4 모드는 제1토출바디(2)나 제2토출바디(4)를 통해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지 않는 모드이다.
제1회전기구(8)는 제 4 모드시, 제1토출구(22)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패널(80)을 마주보는 위치에 제1토출바디(2)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0)는 제 4 모드시, 제2토출구(42)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패널(80)을 마주보는 위치에 제2토출바디(4)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 4 모드시, 제1토출구(22) 및 제2토출구(42)는 리어 패널(80)에 의해 가려지는 상태이고, 외부에서 이물질이 제1토출구(22) 또는 제2토출구(42)로 침투되는 것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바디(2) 상면 및 제2토출바디(4) 상면을 덮는 탑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기구(118)는 탑 커버(110)에 설치되어 제1토출바디(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118)는 제1토출바디(2) 중 제1흡입구(21) 반대편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회전기구(120)는 탑 커버(110)에 설치되어 제2토출바디(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120)는 제2토출바디(4) 중 제2흡입구(41) 반대편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탑 커버(110)와, 제1회전기구(118) 및 제2회전기구(12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탑 커버(110)는 내부에 제1회전기구(118)와 제2회전기구(12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10)는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의 상측에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잇다.
제1토출바디(2)는 제1회전기구(118)와 연결되기 위한 회전축(3)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은 제1토출바디(2)의 상판(24)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은 탑 커버(110)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탑 커버(11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1회전기구(118)는 제1토출바디(2)의 회전축(3)에 직결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기구(118)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모터(27)와, 제1기어(28)와, 제2기어(29)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모터(27)는 탑 커버(110)의 내부에 위치되게 탑 커버(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기어(28)는 모터(27)의 회전축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기어(29)는 제1토출바디(2)의 회전축(3)에 배치되고 제1기어(28)에 치합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4)는 제2회전기구(120)와 연결되기 위한 회전축(5)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5)은 제2토출바디(4)의 상판(44)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5)은 탑 커버(110)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탑 커버(11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2회전기구(120)는 제2토출바디(4)의 회전축(5)에 직결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기구(120)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모터(47)와, 제1기어(48)와, 제2기어(49)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모터(47)는 탑 커버(110)의 내부에 위치되게 탑 커버(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기어(48)는 모터(47)의 회전축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기어(49)는 제2토출바디(4)의 회전축(5)에 배치되고 제1기어(48)에 치합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는 토출바디 서포터(90)에 올려진 상태에서 토출바디 서포터(90)와 탑 커버(1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는 각각의 하부가 토출바디 서포터(90)에 지지될 수 있고, 그 각각의 상부가 탑 커버(110)에 지지될 수 있으며, 토출바디 서포터(90)와 탑 커버(110) 사이에서 안정감있게 회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흡입패널(12)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제1열교환기(14A)와; 흡입패널(12)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제2열교환기(14B)와; 흡입패널(12)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1열교환기(14A)를 통과시킨 후 제1토출바디(2)의 제1흡입구(21)로 송풍하는 제1송풍유닛(17)과; 흡입패널(12)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2열교환기(14B)를 통과시킨 후 제2토출바디(4)의 제2흡입구(41)로 송풍하는 제2송풍유닛(18)을 포함하고, 제1열교환기(14A)와, 제2열교환기(14B)와, 제1송풍유닛(17)과, 제2송풍유닛(18)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 중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2개의 열교환기(14A)(14B)와, 2개의 송풍유닛(17)(18) 및 2개의 토출바디(2)(4)를 갖는 공기조화기일 수 있다. 제1열교환기(14A)와, 제1송풍유닛(17) 및 제1토출바디(2)가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후 제1토출바디(2)를 통해 토출하는 제1공조부로 기능할 수 있고, 제2열교환기(14B)와, 제2송풍유닛(18) 및 제2토출바디(4)가 제1공조부와 별도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후 제2토출바디(4)를 통해 토출하는 제2공조부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달리, 제1,2 열교환기(14A)(14B)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열교환기(14A)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와, 제2열교환기(14B)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가 상이할 경우, 제1송풍유닛(17)에서 제1토출바디(2)로 송풍된 후 제1토출바디(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제2송풍유닛(18)에서 제2토출바디(4)로 송풍된 후 제2토출바디(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낮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2 열교환기(14A)(14B)의 냉매 유로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제1열교환기(14A)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와 제2열교환기(14B)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상이하게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열교환기(14A)로 냉매를 공급하는 제1팽창밸브와, 제2열교환기(14B)로 냉매를 공급하는 제2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팽창밸브의 개도와 제2팽창밸브의 개도를 상이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제1열교환기(14A)와 제2팽창밸브(14B)의 온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은 제1열교환기(14A)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송풍유닛(18)은 제2열교환기(14B)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실내의 좌측 영역(R1)과 우측 영역(R2)를 각각 독립적인 풍향 및 온도로 조절할 수 있고,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제1공기조절부(19) 및 제2공기조절부(20)와 함께 제어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4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의 상측에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의 길이 방향(Z)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디스플레이(1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30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중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 각각은 수직방향(Z)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는 서로 접촉되게 배치되거나 좌우 방향으로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제1토출바디(2) 및 제2토출바디(4)의 상측에 좌우 방향(X)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좌우 방향 폭(L3)은 제1토출바디(2)의 직경(D1)과 제2토출바디(4)의 직경(D2)의 합과 같거나 합보다 조금 클 수 있다. 공기조화기(A)는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의 사이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1토출바디(2)와 제2토출바디(4)를 최대한 서로 가깝게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좌우 방향으로 슬림해질 수 있고, 보다 컴팩트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제1토출바디(2)가 좌측 전방의 경사방향(X1Y)과 전방 방향(Y)과 우측 전방의 경사방향(X2Y)의 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제2토출바디(4)가 우측 전방의 경사방향(X2Y)과 전방 방향(Y)과 좌측 전방의 경사방향(X1Y)의 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2: 제1토출바디
4: 제2토출바디
6: 토출바디 구동기구 8: 제1회전기구
10: 제2회전기구 12: 흡입패널
14: 열교환기 16: 송풍장치
17: 제1송풍유닛 18: 제2송풍유닛
19: 제1공기조절부 20: 제2공기조절부
21: 제1흡입구 22: 제1토출구
23: 중공 통 24: 상판
25: 하판 26: 하부 통
30: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 41: 제2흡입구
42: 제2토출구 43: 중공 통
44: 상판 45: 하판
46: 하부 통 50: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
80: 리어 패널 82: 제1토출바디 수용부
84: 제2토출바디 수용부 98: 제1하부패널
99: 제2하부패널
6: 토출바디 구동기구 8: 제1회전기구
10: 제2회전기구 12: 흡입패널
14: 열교환기 16: 송풍장치
17: 제1송풍유닛 18: 제2송풍유닛
19: 제1공기조절부 20: 제2공기조절부
21: 제1흡입구 22: 제1토출구
23: 중공 통 24: 상판
25: 하판 26: 하부 통
30: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 41: 제2흡입구
42: 제2토출구 43: 중공 통
44: 상판 45: 하판
46: 하부 통 50: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
80: 리어 패널 82: 제1토출바디 수용부
84: 제2토출바디 수용부 98: 제1하부패널
99: 제2하부패널
Claims (28)
- 제1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어 공간을 통과한 후 제1토출구로 토출되고 상기 제1흡입구의 개구방향과 상기 제1토출구의 개구방향이 상이하며 제1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토출바디와;
제1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어 공간을 통과한 후 제1토출구로 토출되고 상기 제2흡입구의 개구방향과 제2토출구의 개구방향이 상이하며 상기 제1회전중심축과 평행한 제2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토출바디와;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토출바디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바디 구동기구는
상기 제1토출바디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기구와;
상기 제2토출바디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기구는 상기 제1토출바디의 공기토출모드시 상기 제1토출바디의 좌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도부터 상기 제1토출바디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도까지의 범위 이내로 상기 제1토출바디를 회전시키는 공기조화기.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기구는 상기 제2토출바디의 공기토출모드시 상기 제2토출바디의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도부터 상기 제2토출바디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도까지의 범위 이내로 상기 제2토출바디를 회전시키는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기구와 제2회전기구는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의 동시 토출일 때의 최대 회전 각도가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 중 어느 하나의 단독 토출일 때의 최대 회전 각도 보다 작은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구의 개구방향과 상기 제1토출구의 개구방향은 직교하며,
상기 제2흡입구의 개구방향과 상기 제2토출구의 개구방향은 직교하며,
상기 제1흡입구의 개구방향과 상기 제2흡입구의 개구방향은 평행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는 상기 제1토출구가 형성된 중공 통을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구의 반대면이 막히고,
상기 제2토출바디는 상기 제2토출구가 형성된 중공 통을 포함하고 상기 제2흡입구의 반대면이 막힌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패널과;
상기 흡입패널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패널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로 송풍하는 송풍장치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제1토출바디의 제1흡입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송풍유닛과,
상기 제2토출바디의 제2흡입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상기 제1송풍유닛으로 흡입되게 조절하는 제1공기조절부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상기 제2송풍유닛으로 흡입되게 조절하는 제2공기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1토출구가 마주보는 위치일 때 상기 제1토출구를 가리며, 상기 제 2 토출구가 마주보는 위치일 때 상기 제2토출구를 가리는 리어 패널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의 제1토출구 및 제2토출바디의 제2토출구가 모두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1토출바디의 제1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고, 제2토출바디의 제2토출구가 은닉되는 제 2 모드와,
상기 제1토출바디의 제1토출구가 은닉되고, 제2토출바디의 제2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 3 모드와,
상기 제1토출바디의 제1토출구 및 제2토출바디의 제2토출구가 모두 은닉되는 제 4 모드를 갖는 공기조화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패널는 전면 중 좌측에 상기 제1토출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토출바디 수용부가 형성되고, 전면 중 우측에 상기 제2토출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토출바디 수용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 수용부와 제2토출바디 수용부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공기조화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 수용부와 제2토출바디 수용부는 라운드지게 함몰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토출바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가 공조하는 영역의 온도 정보를 표시하는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토출바디가 공조하는 영역의 온도 정보를 표시하는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토출바디 중 제1토출구 하측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토출바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토출바디 중 제2토출구 하측 위치에 설치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는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토출바디의 좌우 방향 폭 및 상기 제2토출바디의 좌우 방향 폭 보다 짧은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는 일부가 마주보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19 항 내지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와 제2토출바디의 사이에 상기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1토출바디와 곡률이 같은 제1하부패널과,
상기 제2토출바디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2토출바디와 곡률이 같은 제2하부패널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패널과 제2하부 패널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 상면 및 상기 제2토출바디 상면을 덮는 탑 커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기구는 상기 탑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제1토출바디 중 상기 제1흡입구 반대편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기구는 상기 탑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제2토출바디 중 상기 제2흡입구 반대편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패널과;
상기 흡입패널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흡입패널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흡입패널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제1토출바디의 제1흡입구로 송풍하는 제1송풍유닛과;
상기 흡입패널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제2토출바디의 제2흡입구로 송풍하는 제2송풍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의 상측에 상기 제1토출바디 및 제2토출바디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7367A KR20150047371A (ko) | 2013-10-24 | 2013-10-24 | 공기조화기 |
CN201410083642.2A CN104566894B (zh) | 2013-10-24 | 2014-03-07 | 空气调节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7367A KR20150047371A (ko) | 2013-10-24 | 2013-10-24 |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7371A true KR20150047371A (ko) | 2015-05-04 |
Family
ID=5308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7367A KR20150047371A (ko) | 2013-10-24 | 2013-10-24 |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47371A (ko) |
CN (1) | CN104566894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52459A (zh) * | 2016-08-31 | 2016-11-23 |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
US11913658B2 (en) | 2019-12-27 | 2024-0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purifier |
WO2024071691A1 (ko) * | 2022-09-28 | 2024-04-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공기 살균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221B1 (ko) * | 2015-07-08 | 2017-03-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0875A (ko) * | 2005-12-09 | 2007-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1166375B1 (ko) * | 2005-12-09 | 2012-07-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080013392A (ko) * | 2006-08-08 | 2008-0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CN101334194A (zh) * | 2007-06-25 | 2008-12-31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柜式空调器的室内机 |
KR101346834B1 (ko) * | 2007-08-14 | 2014-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KR101749658B1 (ko) * | 2010-09-01 | 2017-06-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N102980244A (zh) * | 2011-09-02 | 2013-03-20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分体落地式空调器 |
CN202709387U (zh) * | 2011-10-21 | 2013-01-30 | Lg电子株式会社 | 空气调节器 |
CN202792268U (zh) * | 2012-09-24 | 2013-03-1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空调器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
-
2013
- 2013-10-24 KR KR1020130127367A patent/KR2015004737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
- 2014-03-07 CN CN201410083642.2A patent/CN104566894B/zh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52459A (zh) * | 2016-08-31 | 2016-11-23 |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
US11913658B2 (en) | 2019-12-27 | 2024-0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purifier |
WO2024071691A1 (ko) * | 2022-09-28 | 2024-04-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공기 살균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566894B (zh) | 2018-11-16 |
CN104566894A (zh) | 2015-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45305B2 (ja) | 空気調和機 | |
EP3714214B1 (en) | Air conditioner | |
JP5664644B2 (ja) |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 |
JP5678953B2 (ja) |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 |
KR102320677B1 (ko) | 공기조화기 | |
CN213019951U (zh) | 空调室内机 | |
EP2208943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80127223A (ko) | 공기조화기 | |
CN114046563B (zh) | 空调室内机 | |
KR20150047371A (ko) | 공기조화기 | |
CN112747368A (zh) | 空调室内机 | |
JP2015045500A (ja) |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 |
JP2018059675A (ja) | 空気調和機 | |
CN113074417B (zh) | 空气调节器 | |
KR20190051677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CN108317605B (zh) | 一种空调器室内挂机 | |
KR20090113630A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JP2014092287A (ja) | 空気調和装置、その制御方法 | |
KR20230069898A (ko) | 공기조화기 | |
CN111164349B (zh) | 空调 | |
JP6085998B2 (ja) | 空気調和機 | |
JP6160806B2 (ja) |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 |
CN212252878U (zh) | 竖式壁挂空调室内机 | |
KR102392958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JP6164394B2 (ja) |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