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251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251B1
KR102412251B1 KR1020210018771A KR20210018771A KR102412251B1 KR 102412251 B1 KR102412251 B1 KR 102412251B1 KR 1020210018771 A KR1020210018771 A KR 1020210018771A KR 20210018771 A KR20210018771 A KR 20210018771A KR 102412251 B1 KR102412251 B1 KR 102412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lamp
fan
air conditioner
gu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결
박형호
유기봉
최지은
사공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251B1/ko
Priority to CN202110885272.4A priority patent/CN11490971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브이램프를 구비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원형의 팬흡입구와, 축방향과 반경방향 사이로 공기를 토출하는 환형의 팬토출구가 형성된 송풍팬; 내측에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더; 상기 제 1 가이더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더와 사이에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 2 가이더; 및 상기 제 1 가이더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팬토출구를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유브이램프를 구비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브이램프를 구비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성되고, 공기 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고 한다.
공기조화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토출시키기 위해 공기에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송풍팬은 공기의 유동 방향에 따라 축류팬, 원심팬, 사류팬 등으로 구분된다.
축류팬은 팬 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구조의 팬이다. 원심팬은 팬 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구조의 팬이다. 사류팬은 팬 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축방향과 반경방향 사이로 토출하는 구조의 팬이다.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사류팬을 구비할 수 있고,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송풍팬은 일반적으로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실내 열교환기보다 후류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가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경우,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을 작동하는 경우, 실내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송풍팬에 접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는 이물질이 함유될 수 있고,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동시키는 송풍팬에 공기 중의 이물질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송풍팬에 지속적으로 응축수가 접촉되고 이물질이 축적된 경우, 세균이 증식할 수 있다. 송풍팬에 세균이 증식할 경우, 인체에 유해한 공기를 실내 공간에 토출하여 인체 건강에 치명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송풍팬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송풍팬을 살균할 수 있다.
상기와 관련하여, 국내 공개 특허 10-2010-0099093은 열교환기의 표면을 살균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브이 LED와 자외선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구비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발명은 송풍팬을 살균하는 것이 아닌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장치이고, 열교환기는 차지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이를 모두 살균시키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유브이LED 및 반사판이 필요하여 구조가 크고 복잡하며 생산비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국내 공개 특허 10-2020-0110993은 송풍팬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살균장치를 구비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발명은 송풍팬이 원심팬이고, 공기 유로가 원심팬에 적합한 구조였다. 따라서, 이러한 살균장치를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또는 사류팬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자외선 광이 토출구의 외부로 유출되어 인체 건강에 유해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 특허 10-2010-0099093 한국 공개 특허 10-2020-011099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부에 배치된 송풍팬을 살균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자외선 광이 토출구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공기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송풍팬을 살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살균효과를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생산비용을 최소화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유입되지 않는 살균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원형의 팬흡입구와, 축방향과 반경방향 사이로 공기를 토출하는 환형의 팬토출구가 형성된 송풍팬; 내측에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더; 상기 제 1 가이더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더와 사이에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 2 가이더; 및 상기 제 1 가이더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팬토출구를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유브이램프를 구비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팬토출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팬흡입구에서 상기 팬토출구를 바라볼 때 상기 송풍팬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으로부터 경사각을 형성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각은, -30도 내지 3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더는, 상기 송풍팬의 팬흡입구 측에 원형의 공기흡입구를 형성하는 오리피스부,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오리피스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가이드면, 및 상기 송풍팬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가이드면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제 1-2 가이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은, 공기 유동 상류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허브, 상기 허브와 이격되고 상기 허브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 쉬라우드, 및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쉬라우드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일단이 상기 팬흡입구를 형성하고, 타단이 상기 허브와 사이에 상기 팬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는, 모터축과 결합되는 미들허브 및 상기 미들허브와 이어지고 상기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사이드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브이램프는, 상기 사이드허브를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는, 상기 미들허브와 상기 사이드허브를 잇는 커넥팅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의 전단은, 상기 유브이램프와 상기 커넥팅허브를 잇는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더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가이드면, 상기 제 2-1 가이드면과 연속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가이드면, 및 상기 제 2-2 가이드면과 연속되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3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브이램프는, 상기 팬토출구 및 상기 제 2-2 가이드면을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브이램프의 자외선 광 조사 각도는 12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브이램프는, 상기 제 2-3 가이드면의 적어도 일부를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유브이램프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반대 측에 상기 유브이램프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유브이램프로부터 조사된 자외선 광이 투과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 1 가이더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유브이램프가 상기 윈도우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유브이램프가 상기 윈도우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구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와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더에 상기 유브이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 광이 통과하도록 램프홀이 형성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제 1 가이더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유브이램프를 구비한 살균모듈을 포함하여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송풍팬을 살균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살균모듈을 제 1 가이더에 배치하여, 사류팬인 송풍팬의 허브와 블레이드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유브이램프의 자외선 광이 제 2 가이더에 조사되어 공기 유동 경로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넷째, 살균모듈의 자외선 조사 방향을 송풍팬의 팬토출구를 향하도록 설정하여 자외선 광이 토출구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살균모듈을 제 1 가이더에 배치하고, 살균모듈을 제 1 가이더의 표면과 연속되도록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여섯째, 반사판을 구비하지 않아 생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일곱째, 살균모듈에 실러를 배치하여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살균모듈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과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후면과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제 1 가이더 및 송풍팬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제 1 가이더 및 송풍팬을 확대하여 공기흡입구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 1 가이더 및 송풍팬을 팬토출구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 1 가이더, 송풍팬 및 제 2 가이더의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살균모듈이 송풍팬을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살균모듈이 송풍팬 및 제 2 가이더를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살균모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살균모듈의 베이스에 인쇄회로기판 및 유브이램프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살균모듈의 베이스에 실러 및 윈도우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살균모듈에 유브이램프가 윈도우와 이격되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표시되는 전(F), 후(R), 좌(Le), 우(Ri), 상(U), 하(D)의 표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설명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기준이 달라지면, 상기의 방향 설정은 달리 파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과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후면과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21)와 타측에 형성된 토출구(111)가 배치되는 케이스(100), 흡입구(121)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에 유입된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200), 열교환기(200)로부터 열교환된 공기에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팬(300), 열교환기(200)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111)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더(130), 제 1 가이더(130)와 사이에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 2 가이더(140), 및 송풍팬(300)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송풍팬 등을 살균하는 살균모듈(4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00)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및 측면 적어도 일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110), 후면 및 측면 나머지 일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론트 패널(110)의 측면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11)는 프론트 패널(1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11)에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베인(112)이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11)는 프론트 패널(110)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송풍팬(300)과 별도로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서큘레이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서큘레이터(500)는 케이스(100) 내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프론트 패널(110)의 상측에 서큘레이터(500)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도록 서큘레이터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어 패널(120)의 후면에 외부 공기가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21)는 리어 패널(1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21)에는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 내부에는 열교환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00)는 흡입구(121)와 토출구(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00)는 송풍팬(300)과 흡입구(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00)는 흡입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00)는 흡입구(12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제 1 가이더(130) 및 송풍팬(300)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100) 내부에 송풍팬(300)이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00)은 케이스 내부 공간의 흡입구(121)와 토출구(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00)은 열교환기(200)와 토출구(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00)은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00)이 복수 개 배치될 경우, 각각의 송풍팬(30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00)은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축방향과 반경방향 사이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사류팬일 수 있다. 송풍팬(30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되는 원형의 팬흡입구(351)와, 흡입된 공기가 축방향과 반경방향 사이 방향으로 투출되는 환형의 팬토출구(341)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300)은 송풍모터(310)와 결합될 수 있다. 송풍모터(310)는 송풍모터축(311)을 통해 송풍팬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 5는 도 4의 제 1 가이더(130) 및 송풍팬(300)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 1 가이더(130) 및 송풍팬(300)을 팬토출구(341)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 1 가이더(130), 송풍팬(300) 및 제 2 가이더(140)의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송풍팬(300)은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공기 유동의 상류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허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320)는 송풍모터축(311)과 고정 결합되는 미들허브(321)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허브(321)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원판 형상일 수 있다. 미들허브(321)는 단면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
허브(320)는 사이드허브(3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허브(323)는 팬흡입구(351) 측에서 팬토출구(341) 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허브(323)는 송풍모터(3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허브(323)의 단면은 축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
허브(320)는 커넥팅허브(3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허브(322)는 미들허브(321)와 사이드허브(323) 사이에 배치되어, 미들허브(321)와 사이드허브(323)를 연결할 수 있다. 커넥팅허브(322)는 미들허브(321)와 사이드허브(323)를 완만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단면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
송풍팬(300)은 공기에 송풍력을 제공하는 날개 형상의 블레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33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블레이드(3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블레이드(330)는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
블레이드(330)는 허브(320)의 회전방향에 따라 공기를 밀어내는 부분이 블레이드 내측면(332)이고, 블레이드 내측면(332)의 반대 부분이 블레이드 외측면(331)이다. (도 7)
블레이드(330)는 일단이 허브(320)와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쉬라우드(34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블레이드(330)의 일단을 허브코드(333), 블레이드(330)의 타단을 쉬라우드코드(334)라고 지칭한다. (도 7)
송풍팬(300)은 송풍팬(30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쉬라우드(340)를 포함할 수 있다. 쉬라우드(340)는 허브(32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허브(3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쉬라우드(340)는 단면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쉬라우드(340)는 단면이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반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쉬라우드(340)는 단면이 팬흡입구(351)에서 팬토출구(341)로 갈수록 반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쉬라우드(340) 및 사이드허브(323)는 모두 단면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송풍팬(300)을 통과하는 공기는 경사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 7)
쉬라우드(340)는 공기가 송풍팬(300)으로 흡입될 때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가이더(35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가이더(350)는 쉬라우드(34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가이더(350)는 쉬라우드(340)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단면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입가이더(350)는 미들허브(321)보다 공기 유동의 상류측으로 더욱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
쉬라우드(340)의 후단에는 공기가 송풍팬(300)으로 유입되는 원형의 팬흡입구(35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가이더(350)를 포함하는 경우, 흡입가이더(3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형의 팬흡입구(351)를 형성할 수 있다. 열교환기(200)를 통과한 공기는 원형의 팬흡입구(351)를 통해 송풍팬(300)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송풍팬(300)에 유입될 수 있다. (도 7)
쉬라우드(340)의 전단에는 공기가 송풍팬(300)으로부터 토출되는 팬토출구(341)가 형성될 수 있다. 팬토출구(341)는 쉬라우드(340)와 사이드허브(323) 사이에 형성되어 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330)를 통과한 공기는 환형의 팬토출구(341)를 통해 송풍팬(300)의 회전축 방향과 반경 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7)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송풍팬(300)과 별도로 서큘레이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500)는 송풍팬(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500)는 전방 방향을 향해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서큘레이터(500)는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케이스(100)에 서큘레이터(500)가 배치될 경우, 프론트 패널(110)의 상측에 서큘레이터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500)를 통과한 공기는 서큘레이터홀(11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제 1 가이더(130)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더(130)의 내측에는 송풍팬(300)이 배치된다. 제 1 가이더(130)는 송풍팬(30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이더(130)는 송풍팬(300)의 흡입가이더(350) 및 쉬라우드(34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더(130)는 오리피스부(132), 제 1-1 가이드면(133), 제 1-2 가이드면(134), 제 1-3 가이드면(135), 제 1-4 가이드면(136), 제 1-1 절곡부(137), 제 1-2 절곡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더(130)는 송풍팬(300)의 팬흡입구(351) 측에 원형의 공기흡입구(131)를 형성하는 오리피스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부(132)는 열교환기(200)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팬(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도 5)
오리피스부(132)는 일단부가 팬흡입구(351)로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부(132)의 일단부는 흡입가이더(35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팬(300)으로부터 역류하는 공기가 오리피스부(132)와 흡입가이더(350) 사이의 틈으로 안내될 수 있고, 공기는 송풍팬(300)으로 재유입될 수 있다. (도 7)
제 1 가이더(130)는 제 1-1 가이드면(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1 가이드면(133)은 쉬라우드(340) 및 흡입가이더(35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1 가이드면(133)은 오리피스부(1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1 가이드면(133)은 단면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
제 1 가이더(130)는 제 1-2 가이드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2 가이드면(134)은 송풍팬(30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쉬라우드(34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 1-2 가이드면(134)은 단면이 제 1-1 가이드면(133)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1 가이드면(133)과 제 1-2 가이드면(134) 사이에는 제 1-1 절곡부(137)가 배치되어 제 1-1 가이드면(133)과 제 1-2 가이드면(134)이 서로 완만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
제 1 가이더(130)는 제 1-3 가이드면(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3 가이드면(135)은 제 1-2 가이드면(134)으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3 가이드면(135)의 단면의 경사각은 제 1-2 가이드면(134)의 단면의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도 7)
제 1 가이더(130)는 제 1-4 가이드면(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4 가이드면(136)은 제 1-3 가이드면(135)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4 가이드면(136)은 단면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3 가이드면(135)과 제 1-4 가이드면(136) 사이에는 제 1-2 절곡부(138)이 배치되어 제 1-3 가이드면(135)과 제 1-4 가이드면(136)이 서로 완만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제 2 가이더(140)를 포함한다. 제 2 가이더(140)는 제 1 가이더(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더(140)는 제 2-1 가이드면(141), 제 2-2 가이드면(142), 제 2-3 가이드면(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이더(140)는 제 2-1 가이드면(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1 가이드면(141)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1 가이드면(141)은 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1 가이드면(141)은 송풍팬(300)의 허브(3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1 가이드면(141)의 내측에는 송풍팬의 송풍모터(3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1 가이드면(141)에는 모터의 단부가 결합되는 모터결합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1 가이드면(141)에는 송풍모터(310)의 송풍모터축(311)이 관통하는 모터관통홀(147)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1 가이드면(141)의 외측에는 송풍팬(300)의 허브(320), 블레이드(330), 쉬라우드(3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더(140)는 제 2-2 가이드면(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2 가이드면(142)은 미들허브(32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2 가이드면(142)은 제 2-1 가이드면(14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2 가이드면(142)은 단면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1 가이드면(141)과 제 2-2 가이드면(142) 사이에는 제 2-1 절곡부(144)가 배치되어, 제 2-1 가이드면(141)과 제 2-2 가이드면(142)은 서로 완만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더(140)는 제 2-3 가이드면(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3 가이드면(143)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3 가이드면(143)의 단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3 가이드면(143)은 제 2-2 가이드면(14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2 가이드면(142)과 제 2-3 가이드면(143) 사이에는 제 2-2 절곡부(145)가 배치되어, 제 2-2 가이드면(142)과 제 2-3 가이드면(143)이 서로 완만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가이더(130)와 제 2 가이더(140) 사이에 공기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더(130)와 제 2 가이더(140)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 경로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 1-4 가이드면(136)의 외측 단부와 제 2-3 가이드면(143)의 외측 단부 사이에 토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30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축방향과 반경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토출구(111)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제 1 가이더(130)와 제 2 가이더(140)가 형성하는 공기의 유동 경로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고,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유동 경로는 제 2-2 가이드면(14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살균모듈(400)을 포함한다. 살균모듈(400)은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송풍팬(300)을 살균할 수 있다. 살균모듈(400)은 팬토출구(341)를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유브이램프(430)를 포함한다.
살균모듈(400)은 팬토출구(341)와 토출구(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모듈(400)은 팬토출구(341)로부터 팬흡입구(351)를 향하는 방향으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살균모듈(400)은 팬흡입구(351) 측에서 팬토출구(341) 측을 바라볼 때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경사각을 형성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각이 -30도 내지 30도 사이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모듈(40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광이 토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살균모듈(400)의 자외선 광 조사 범위를 넓히면서 동시에, 살균모듈(400)이 설치되는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다른 구성들과 간섭되지 않은 채 살균모듈(400)이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살균모듈(400)은 제 1 가이더(130)의 제 1-2 가이드면(134)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모듈(400)의 유브이램프(430)는 쉬라우드(340)의 전단보다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모듈(400)의 유브이램프(430)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쉬라우드(340)의 전단과 사이드허브(323)의 전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살균모듈(400)이 송풍팬(300)을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유브이램프(430)와 커넥팅허브(322)를 잇는 가상의 직선을 제 1 직선(L1)이라고 할 때, 쉬라우드(340)의 전단은 제 1 직선(L1)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브이램프(43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광이 송풍팬(30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사이드허브(323)의 전체를 살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만약, 쉬라우드(340)의 전단이 제 1 직선(L1)보다 전방에 배치된 경우, 유브이램프(43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광이 사이드허브(323)의 일부에만 조사되어 살균효과가 저하될 수도 있다.
살균모듈(400)은 하나의 송풍팬에 두개 이상의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모듈(400)의 살균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공기조화기가 복수 개의 송풍팬(300)을 구비한 경우, 살균모듈(400)은 각각의 송풍팬(300) 마다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서큘레이터(500)를 구비한 경우, 살균모듈(400)은 서큘레이터(500)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살균모듈(400)이 송풍팬(300) 및 제 2 가이더(140)를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유브이램프(430)는 팬토출구(341) 및 제 2-2 가이드면(142)을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θ1 및 θ2). 제 2-2 가이드면(142)은 단면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팬토출구(34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제 2-2 가이드면(142)에 부딪히면서, 제 2-2 가이드면(142)에 수분이 축적될 수 있다. 수분이 축적될 경우, 세균 등이 증식하여 오염도가 증가할 수 있다. 유브이램프(430)의 자외선 광 조사 범위가 제 2-2 가이드면(142)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세균 증식에 의한 오염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유브이램프(430)의 자외선 광 조사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12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모듈(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팬(300)과 제 2-2 가이드면(142)을 모두 살균할 수 있고(θ1 및 θ2), 또한, 제 2-3 가이드면(143)의 적어도 일부를 살균할 수 있다(θ3). 이 경우, 제 2-3 가이드면(143)의 표면을 살균하여 세균 증식 등을 방지하고 오염도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브이램프(430)의 조사된 자외선 광이 제 2-3 가이드면(143)을 향하도록 배치
된 경우에도, 자외선 광의 조사 범위는 제 2-3 가이드면(143)의 전단을 초과하지는 않는다. 그렇지 않은 경우, 자외선 광이 토출구(111)를 향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브이램프(430)와 제 2-3 가이드면(143)의 전단을 잇는 가상의 직선을 제 2 직선(L2)라고 하면, 유브이램프(43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광의 조사 범위는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브이램프(430)의 자외선 광 조사 각도는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 사이의 사이각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유브이램프(430)의 조사 각도가 120도 형성된 경우,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 사이의 사이각은 120도 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살균모듈(400)의 살균 범위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유브이램프(430)의 자외선 광 조사 각도가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 사이의 사이각과 같아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 자외선 광의 굴절, 산란 및 반사 등에 의하여 자외선 광이 토출구(111) 밖으로 유출될 수 있다. 때문에, 유브이램프(430)의 자외선 광 조사 각도는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의 사이각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0은 살균모듈(400)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살균모듈(400)의 베이스(420)에 인쇄회로기판(431) 및 유브이램프(430)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살균모듈(400)의 베이스(420)에 실러(450) 및 윈도우(440)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살균모듈(400)에 유브이램프(430)가 윈도우(440)와 이격되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살균모듈(400)을 상세히 설명한다.
살균모듈(400)은 유브이램프(430), 유브이램프(430)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431), 유브이램프(43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 광이 투과하는 윈도우(440)를 포함한다. 살균모듈(400)은 인쇄회로기판(431)과 윈도우(440)가 배치되는 베이스(420), 베이스(420)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3)
유브이램프(430)는 UV LED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UV-C LED일 수 있다. UV-C LED는 자외선 광 중에서도 빛의 파장이 100nm ~ 280nm인 UV-C 광을 발광할 수 있다. UV-C 광은 염색체의 변이를 일으킬 수 있어 단세포 유기물이나 미생물 등을 살균하기에 효과적이다.
유브이램프(430)는 인쇄회로기판(431)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유브이램프(430)는 인쇄회로기판(431)의 하측면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31)은 유브이램프(4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유브이램프(43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
유브이램프(43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 광은 윈도우(440)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된다. 윈도우(440)는 투명한 소재일 수 있다. 윈도우(440)는 바람직하게는 석영유리 소재일 수 있다. 석영유리는 넓은 파장 범위의 투과 특성을 가지고, 불순물이 극히 미량으로 포함되어, 자외선 투과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윈도우(44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윈도우(440)는 유브이램프(4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440)는 유브이램프(43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
인쇄회로기판(431)은 베이스(420)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20)는 바닥면(428)을 형성하는 베이스바디(421), 베이스바디(4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측벽(422), 제 2 측벽(423), 제 3 측벽(4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측벽(422)과 제 2 측벽(423)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3 측벽(424)은 제 1 측벽(422)의 가장자리와 제 2 측벽(423)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측벽(422)과 제 2 측벽(423)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안내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측벽(424)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홀더(425)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426)와 홀더(425)는 바닥면(428)으로부터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31)은 유브이램프(430)가 베이스바디(421)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안내부(426)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홀더(42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바디(421)에는 인쇄회로기판(43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배선이 배치되는 배선홀(42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베이스(420)는 윈도우(440)가 배치되는 윈도우 장착부(441)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장착부(441)는 베이스(420)의 하측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윈도우(440)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장착부(441)는 중앙에 개구부(O)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O)는 유브이램프(43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를 통해서 유브이램프(430)의 자외선 광이 윈도우(440)를 통과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
베이스(420)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수분이 살균모듈(4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러(450)가 배치될 수 있다. 실러(450)는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일 수 있다. 실러(450)는 윈도우 장착부(441)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러(450)는, 윈도우 장착부(441)의 개구부(O)를 제외한, 윈도우(440)의 가장자리 테두리만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윈도우 장착부(441)는 윈도우(440) 및 실러(450)를 포함하는 형상에 대응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
윈도우(440)는 유브이램프(4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장착부(441)의 개구부(O)는 유브이램프(4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유브이램프(430)는 윈도우(44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장착부(441) 개구부(O)의 너비, 유브이램프(430)와 윈도우(440) 사이의 이격 거리, 윈도우(440)를 기준으로 한 유브이램프(430)의 위치에 따라서, 유브이램프(430)의 자외선 광 조사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3)
유브이램프(430)는 윈도우(440) 또는 윈도우 장착부(441)의 개구부(O)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모듈(400)을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유브이램프(430)의 중심은 윈도우(440) 또는 윈도우 장착부(441) 개구부(O)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 장착부(441) 개구부(O)의 너비 및, 유브이램프(430)와 윈도우(44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동일한 조건에서, 유브이램프(430)의 자외선 광 조사 각도가 최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 광 조사 각도는 12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유브이램프(430)는 윈도우(440) 또는 윈도우 장착부(441)의 개구부(O)의 중심을 기준으로 토출구(111) 측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살균모듈(400)을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유브이램프(430)의 중심은 윈도우(440) 또는 윈도우 장착부(441)의 개구부(O) 중심보다 토출구(111)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브이램프(43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광의 조사 범위가 송풍팬(300)의 팬토출구(341) 향하여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θ1).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2 가이드면(142)이나(θ2) 제 2-3 가이드면(143)의 적어도 일부(θ3)를 향하여도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유브이램프(43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광이 토출구(111)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3)
살균모듈(400)은 베이스(420)가 배치되는 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10) 내부에는 베이스(42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411)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 1 가이더(130)에 결합되거나 전기 배선이 배치되기 위한 제 1 돌출부(412) 및 제 2 돌출부(413)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20)는 베이스바디(421)의 하면이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우징(410)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410)의 하단부 모서리와 베이스바디(421)는 하나의 평면 상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도 6을 참조하면, 살균모듈(400)은 제 1 가이더(130)에 배치될 때, 윈도우(440)가 제 1 가이더(130)의 표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윈도우(440)가 제 1 가이더(130)의 표면과 연속적인 면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살균모듈(400)이 실러(450)를 포함하는 경우, 실러(450) 또한 제 1 가이더(130)의 표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거나, 제 1 가이더(130)의 표면과 연속적인 면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팬(300)의 팬토출구(341)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동할 때, 제 1 가이더(130)에서 공기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유동 방향에 따라 살균모듈(400)의 특정 부분에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가이더(130)에는 유브이램프(430)에서 조사된 자외선 광이 통과하는 램프홀(139)이 형성될 수 있다. 램프홀(139)은 유브이램프(4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램프홀(139)의 형상은 윈도우 장착부(441)의 개구부(O)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램프홀(139)의 크기는 적어도 개구부(O)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더(130)에 램프홀(139)이 형성된 경우, 살균모듈(400)은 제 1 가이더(130) 및 제 2 가이더(140)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것이 아닌, 제 1 가이더(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모듈(400)의 하우징(410) 등이 공기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아, 공기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프론트 패널
111 : 토출구
112 : 토출베인
113 : 서큘레이터홀
120 : 리어 패널
121 : 흡입구
130 : 제 1 가이더
131 : 공기흡입구
132 : 오리피스부
133 : 제 1-1 가이드면
134 : 제 1-2 가이드면
135 : 제 1-3 가이드면
136 : 제 1-4 가이드면
137 : 제 1-1 절곡부
138 : 제 1-2 절곡부
139 : 램프홀
140 : 제 2 가이더
141 : 제 2-1 가이드면
142 : 제 2-2 가이드면
143 : 제 2-3 가이드면
144 : 제 2-1 절곡부
145 : 제 2-2 절곡부
146 : 모터결합부
147 : 모터관통홀
200 : 열교환기
300 : 송풍팬
310 : 송풍모터
311 : 송풍모터축
320 : 허브
321 : 미들허브
322 : 커넥팅허브
323 : 사이드허브
330 : 블레이드
331 : 블레이드 외측면
332 : 블레이드 내측면
333 : 허브코드
334 : 쉬라우드코드
340 : 쉬라우드
341 : 팬토출구
350 : 흡입가이더
351 : 팬흡입구
400 : 살균모듈
410 : 하우징
411 : 삽입 공간
412 : 제 1 돌출부
413 : 제 2 돌출부
420 : 베이스
421 : 베이스바디
422 : 제 1 측벽
423 : 제 2 측벽
424 : 제 3 측벽
425 : 홀더
426 : 안내부
427 : 배선홀
428 : 바닥면
430 : 유브이램프
431 : 인쇄회로기판
440 : 윈도우
441 : 윈도우 장착부
450 : 실러
500 : 서큘레이터
L1 : 제 1 직선
L2 : 제 2 직선
O : 개구부

Claims (18)

  1.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원형의 팬흡입구와, 축방향과 반경방향 사이로 공기를 토출하는 환형의 팬토출구가 형성된 송풍팬;
    내측에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더;
    상기 제 1 가이더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더와 사이에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 2 가이더; 및
    상기 제 1 가이더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팬토출구를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유브이램프를 구비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팬토출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팬흡입구에서 상기 팬토출구를 바라볼 때 상기 송풍팬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으로부터 경사각을 형성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은,
    -30도 내지 30도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더는,
    상기 송풍팬의 팬흡입구 측에 원형의 공기흡입구를 형성하는 오리피스부,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오리피스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가이드면, 및
    상기 송풍팬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가이드면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제 1-2 가이드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공기 유동 상류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허브,
    상기 허브와 이격되고 상기 허브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 쉬라우드, 및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쉬라우드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일단이 상기 팬흡입구를 형성하고,
    타단이 상기 허브와 사이에 상기 팬토출구를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모터축과 결합되는 미들허브 및
    상기 미들허브와 이어지고 상기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사이드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브이램프는,
    상기 사이드허브를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미들허브와 상기 사이드허브를 잇는 커넥팅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의 전단은,
    상기 유브이램프와 상기 커넥팅허브를 잇는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더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가이드면,
    상기 제 2-1 가이드면과 연속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가이드면, 및
    상기 제 2-2 가이드면과 연속되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3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브이램프는,
    상기 팬토출구 및 상기 제 2-2 가이드면을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브이램프의 자외선 광 조사 각도는 120도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브이램프는,
    상기 제 2-3 가이드면의 적어도 일부를 향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유브이램프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반대 측에 상기 유브이램프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유브이램프로부터 조사된 자외선 광이 투과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 1 가이더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유브이램프가 상기 윈도우의 중앙에 배치된 공기조화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유브이램프가 상기 윈도우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구 측에 가깝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와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실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더에 상기 유브이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 광이 통과하도록 램프홀이 형성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제 1 가이더의 외측에 배치된 공기조화기.
KR1020210018771A 2021-02-10 2021-02-10 공기조화기 KR102412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771A KR102412251B1 (ko) 2021-02-10 2021-02-10 공기조화기
CN202110885272.4A CN114909716B (zh) 2021-02-10 2021-08-03 空气调节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771A KR102412251B1 (ko) 2021-02-10 2021-02-10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251B1 true KR102412251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771A KR102412251B1 (ko) 2021-02-10 2021-02-1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2251B1 (ko)
CN (1) CN114909716B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4046A1 (en) * 2007-06-28 2009-01-01 Mcellen John J Ceiling lighting fixture with UV-C air sterilization
KR20100099093A (ko) 2007-06-28 2010-09-10 플라스모겐 인크 조직 치료 장치
US20160303271A1 (en) * 2010-11-18 2016-10-20 Oy Halton Group Ltd. Air Purific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KR20190106685A (ko) * 2018-03-0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190292315A1 (en) * 2016-12-28 2019-09-26 Darrin Niemiec Ceiling tile with built-in air flow mechanism and uv air purifying device
KR20200084157A (ko) * 2019-01-02 2020-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10993A (ko) 2019-03-18 2020-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200112591A (ko) * 2019-03-19 2020-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KR20210105739A (ko) * 2020-02-19 2021-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651A (ko) * 2014-09-11 2016-03-2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60087303A (ko) * 2015-01-13 2016-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769817B1 (ko) * 2015-10-30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102393890B1 (ko) * 2016-07-22 202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7527707U (zh) * 2017-09-27 2018-06-22 深圳市海司恩科技有限公司 具有杀菌功能的空调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4046A1 (en) * 2007-06-28 2009-01-01 Mcellen John J Ceiling lighting fixture with UV-C air sterilization
KR20100099093A (ko) 2007-06-28 2010-09-10 플라스모겐 인크 조직 치료 장치
US20160303271A1 (en) * 2010-11-18 2016-10-20 Oy Halton Group Ltd. Air Purific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20190292315A1 (en) * 2016-12-28 2019-09-26 Darrin Niemiec Ceiling tile with built-in air flow mechanism and uv air purifying device
KR20190106685A (ko) * 2018-03-0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084157A (ko) * 2019-01-02 2020-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10993A (ko) 2019-03-18 2020-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200112591A (ko) * 2019-03-19 2020-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KR20210105739A (ko) * 2020-02-19 2021-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09716B (zh) 2023-11-28
CN114909716A (zh)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3674C (zh) 空调
KR101729021B1 (ko) 공기청정기
KR102033689B1 (ko) 공기조화기
KR102519504B1 (ko) 공기조화기
CN213526638U (zh) 杀菌面板灯
KR102412251B1 (ko) 공기조화기
KR102596217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02864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US20210108813A1 (en) Air conditioner and venti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KR20000056583A (ko) 공기 조화기
KR102454764B1 (ko) 공기조화기
CN213334689U (zh) 一种室内空调器
KR2005008341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9913240U (zh) 风管机
KR102645955B1 (ko)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
CN217540558U (zh) 一种新型等离子风扇吸顶灯
EP4339522A1 (en) Air conditioner
CN215112936U (zh) 一种空调器
CN217235851U (zh) 空调内机及空调
CN217816366U (zh) 一种吸入式杀菌灯及照明灯具
CN117928021A (zh) 空调机的室内机及空调机
JP7168880B2 (ja) 空気調和機
KR101615257B1 (ko) 공기조화기
RU202125U1 (ru) Светодиодн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104436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