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955B1 -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955B1
KR102645955B1 KR1020210062951A KR20210062951A KR102645955B1 KR 102645955 B1 KR102645955 B1 KR 102645955B1 KR 1020210062951 A KR1020210062951 A KR 1020210062951A KR 20210062951 A KR20210062951 A KR 20210062951A KR 102645955 B1 KR102645955 B1 KR 102645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indoor
housing bod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5130A (ko
Inventor
김준우
이한빛
김은호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1006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955B1/ko
Priority to CN202221125845.XU priority patent/CN217464746U/zh
Publication of KR2022015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F04D29/28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rotors of the squirrel-cag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30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D2300/40Organic materials
    • F05D2300/43Synthetic polymers, e.g. plastics;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는 내부에 송풍팬을 수용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송풍팬의 원주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되는 스크롤부 및 상기 스크롤부로부터 연장되어 공기가 토출되며 토출구에 댐퍼가 설치되는 토출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에는 상기 댐퍼 내측에 위치하는 토출구의 컷 오프 수직면에 평행되며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면과 상기 컷 오프 수직면 사이에서 상기 토출구에 대해 상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부의 공기를 살균처리하는 살균 수단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는 토출부 내부의 공기에 대해 살균처리함으로써, 살균처리로부터 주변 부재를 보호하여 주변 부재에 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에 부착된 바이러스, 박테리아, 미생물 등이 공기와 함께 하우징 본체의 토출부로 유동하더라도 토출되기 전 공기 중의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미생물 등에 대해 살균처리하여 토출된 공기의 질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BLOWER AN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공기조화기에 사용 가능한 살균기능을 갖는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를 청정 또는 환기시키는 공기조화기 등에 송풍기를 사용되어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외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급기실 또는 실외배기실 내에 살균모듈이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급기실 또는 실외배기실 내에 직접 노출되어 설치되는 살균모듈의 배치구조인 경우,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살균모듈 주변의 단열재, 사출 부품, 전선 등 부재가 변색, 손상 및 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살균처리로부터 주변 부재를 보호하여 주변 부재에 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송풍팬을 수용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송풍팬의 원주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되는 스크롤부 및 상기 스크롤부로부터 연장되어 공기가 토출되며 토출구에 댐퍼가 설치되는 토출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에는 토출구의 컷 오프 수직면에 평행되며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면과 상기 컷 오프 수직면 사이에서 상기 토출구에 대해 상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부의 공기를 살균처리하는 살균 수단이 배치되는, 송풍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급기실, 상기 실내급기실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기실,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급기실, 상기 실외급기실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실내배기실, 및 상기 실내급기실에서 실외배기실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실외급기실에서 실내배기실로 유동하는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를 포함하고, 공기청정 모드에서 상기 실내급기실 및 상기 실내배기실을 연통하게 하는 공기청정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배기실에는 실내배기구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기가 설치되는, 공기조화기가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는 하우징 본체의 토출부의 양측면에서 송풍팬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면과 토출구의 컷 오프 수직면 사이에 살균 수단을 배치하는 구조를 통해, 사용 시 하우징 본체의 토출부 내부의 공기에 대해 살균처리함으로써, 살균처리로부터 주변 부재를 보호하여 주변 부재에 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에 부착된 바이러스, 박테리아, 미생물 등이 공기와 함께 하우징 본체의 토출부로 유동하더라도 토출되기 전 공기 중의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미생물 등에 대해 충분히 살균처리하여 토출된 공기의 질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살균 수단이 토출부의 양측면에 배치됨으로 토출부 내부의 전체 공기에 대해 전면적으로 충분한 살균처리를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송풍기의 송풍팬의 팬 날개에 대해서도 살균처리 할 수 있으며, 또한 살균수단이 토출구에 대해 상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함으로, 대부분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의 상측 영역에 대해 효과적으로 살균처리하여 살균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송풍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는 살균 수단이 송풍기의 토출부에 설치되어 공기 청정 통로를 통해 실내배기실로 재순환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급기실을 통해 실내배기실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송풍기의 토출부로 유입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미생물 등에 대해 살균처리하여 청정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공기조화기의 실내배기실 내의 송풍기의 주변 부재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오픈 시, 살균 수단의 오작동으로부터 사용자의 육안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 확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하우징 본체의 일부의 외측면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하우징 본체의 일부의 내측면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하우징 본체의 일부의 내측면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공기조화기는 실내급기실 또는 실외배기실 내에 살균모듈이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 등에 대한 살균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급기실 또는 실외배기실 내에 직접 노출되어 설치된 살균모듈의 배치구조인 경우,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살균모듈 주변의 단열재, 사출 부품, 전선 등 부재가 변색, 손상 및 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살균처리로부터 주변 부재를 보호하여 주변 부재에 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아래에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를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하우징 본체의 일부의 외측면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하우징 본체의 일부의 내측면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하우징 본체의 일부의 내측면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살균 수단을 제거한 하우징 본체의 일부(예로 제1 하우징부분과 제2 하우징부분으로 조립된 분리구조일 경우, 제1 하우징부분 또는 제2 하우징부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0)는 내부에 송풍팬(20)을 수용하고, 상기 송풍팬(20)의 회전축(O)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송풍팬(20)의 원주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되는 스크롤부(111) 및 상기 스크롤부(111)로부터 연장되어 공기가 토출되며 댐퍼(40)가 설치되는 토출부(112)가 구비되는 하우징 본체(11)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에 상기 하우징 본체(11) 내부의 공기를 살균처리하는 살균 수단(30)이 배치된다.
살균 수단(30)은 구체적으로 토출부(112)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에서 토출구(1121)의 컷 오프 수직면(A)에 평행되며 상기 송풍팬(20)의 회전축(O)을 지나는 수직면(B)과 상기 컷 오프 수직면(A) 사이에 위치하며, 토출구(1121)에 대해 상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 오프(Cut off) 수직면(A)은 송풍팬(20)의 회전축(O)을 지나는 수직면에 평행되며, 토출구(1121)의 시작 지점인 컷 오프된 지점, 즉 토출구(1121)의 내측 단부와 스크롤부(111)의 시작 지점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직면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의 양측면에서 송풍팬(20)의 회전축(O)을 지나는 수직면(B)과 토출구(1121)의 컷 오프 수직면(A) 사이에 살균 수단(30)을 배치하는 구조를 통해, 사용 시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 내부의 공기에 대해 살균처리함으로써, 살균처리로부터 주변 부재를 보호하여 주변 부재에 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에 살균 수단(30)을 배치함으로써, 송풍팬(20)에 부착된 바이러스, 박테리아, 미생물 등이 공기와 함께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로 유동하더라도 토출되기 전 공기 중의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미생물 등에 대해 충분히 살균처리함으로써 토출된 공기의 질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살균 수단(30)이 토출부(112)의 양측면에 배치됨으로 토출부(112) 내부의 전체 공기에 대해 전면적으로 충분한 살균처리를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송풍기(10)의 송풍팬(20)에 대해서도 살균처리 할 수 있으며, 또한 살균수단(30)이 토출구(1121)에 대해 상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함으로, 대부분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12)의 상측 영역에 대해 효과적으로 살균처리하여 살균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송풍기(10)는 공기조화기 등 강제 송풍이 필요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도 1 내지 도 6을 결부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에 살균 수단(30)이 배치된 송풍기(10)를 공기조화기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구조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200)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급기실(210), 상기 실내급기실(210)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기실(220),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급기실(230), 상기 실외급기실(230)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실내배기실(240), 및 상기 실내급기실(210)에서 실외배기실(230)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실외급기실(230)에서 실내배기실(240)로 유동하는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250)를 포함하고, 공기청정 모드에서 상기 실내급기실(210) 및 상기 실내배기실(240)을 연통하게 하는 공기청정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배기실(240)에는 실내배기구(241)에 배치되며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포함하는 송풍기(1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살균 수단(30)이 송풍기(10)의 토출부(112)에 설치되어 공기 청정 통로를 통해 실내배기실(240)로 재순환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급기실(230)을 통해 실내배기실(240)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송풍기(10)의 토출부(112)로 유입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미생물 등에 대해 살균처리하여 청정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공기조화기(200)의 실내배기실(240) 내의 송풍기(10)의 주변 부재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200)의 오픈 시, 살균 수단(30)의 오작동으로부터 사용자의 육안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 확보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조화기(200)는 또한 실외배기실(230)에도 실외송풍기(300)가 설치될 수 있다. 실외송풍기(300)는 실제 수요에 따라 상기 송풍기(1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 통로는 실제 수요에 따라 적절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로 실내급기실(210)과 실외급기실(230)을 연통하는 방식, 또는 실외배기실(210)과 실외급기실(230)을 연통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실내급기실(210)과 실외급기실(230)이 인접한 격벽(260) 또는 실외배기실(220)과 실외급기실(230)이 인접한 격벽(270)에 댐퍼를 설치하는 구조로 공기청정 통로가 구현될 수 있어, 공기청정 모드에서 실내공기를 실내급기실(210)로부터 유입되어 실외급기실(230), 또는 실외배기실(210) 및 실외급기실(230)을 경유하여 다시 실내배기실(240)을 통해 실내로 재순환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살균 수단(30)은 동일한 형태로 대칭되게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수단(30)의 광범위한 살균범위 및 균일한 살균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살균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살균 수단(30)은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살균 수단(30)은 UV-C 등 UV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살균 수단(3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제 수요에 따라 살균기능을 가진 살균 수단이라면 예로 살균기능을 가진 가시광선, UV-A, UV-B 등 자외선 LED 모듈 등 기타 살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살균 수단(30)은 실제 구조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 내부에 설치될 수 있거나, 필요한 부분 예로 살균 기능을 하는 구성만 하우징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기타 구성은 하우징 본체(11)의 벽에 내장 또는 외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LED 모듈은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외측면(113)에 장착되는 기판(31) 및 상기 기판(31)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에 형성되는 통공(115)을 통해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내측면(114)으로 노출되는 UV LED 소자(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필요한 부분인 UV LED 소자(32)만 하우징 본체(11)의 내측면(114)으로 노출시켜 자외선으로부터 기판(31)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UV LED 소자(32)는 UVC LED 소자일 수 있다. 살균 수단(30)의 UV LED 소자가 하우징 본체(11)의 내측면(114)으로 노출시키고 하우징 본체(11)의 외측면에 장착된 기판(31) 및 하우징 본체(11)에 의해 토출부(112)의 외부로의 광노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실내배기실(240) 내의 주변 부재의 광노화 등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 통공(115)의 주변에 위치되는 하우징 본체(11)의 내측면(114)은 외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UV LED 소자(32)로부터의 자외선을 확산시키는 안내면(1141)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면(1141)에 의해 UV LED 소자(32)의 조사범위를 넓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안내면(1141)은 하우징 본체(11)의 통공(115)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삿갓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면(1141)은 상기 통공(115)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을 따라 경사면 또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하우징 본체(11)의 통공(115) 주변의 내측면은 안내면(1141)이 아닌 평탄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토출부(112) 내의 공기를 살균처리하는 동시에 송풍팬(20)의 팬 날개(21)에 대해서도 충분한 살균처리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안내면(1141)은 상기 회전축(O)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송풍팬(20)의 팬 날개(21) 영역과 교차영역을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UV LED 소자(32)는 이러한 구조를 갖는 안내면(1141)에 의해 송풍팬(20)의 팬 날개(21)에 대해 전체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토출부(112)의 양측면에서 안내면(1141)에 의해 UV LED 소자(32)가 120도의 조사각(α)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본체(11)의 통공(115)의 주변에 위치되는 하우징 본체(11)의 외측면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기판(31)이 장착되는 돌출면(1131)으로 구성되고, 기판(31)의 외측면은 상기 토출구(1121)의 외측둘레면에 대해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수단(30)의 기판(31)을 하우징 본체(11)의 돌출면(1131)에 밀착되게 장착시켜 UV LED 소자(32)가 하우징 본체(11)의 통공(115)에 외부로의 광노출 없이 설치되어 안내면(1141)을 통해 토출부(112) 내부로 확산되면서 각 영역에 모두 조사되어 충분한 살균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면(1131)의 돌출 높이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기판(31)이 하우징 본체(11)의 외측면에 장착 시 토출구(1121)의 외측둘레면에 대해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송풍기의 설치 시 설치가 용이하고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 수단(30)의 장착구조에 대해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일 예로, 하우징 본체(11)의 외측면(113) 또는 내측면(114)에 장착홈을 형성하여 기판(31)을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 수단(30)은 실제 구조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내측면(114)은 장기간 자외선 노출로 인한 광노화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폴리 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재질, 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뷰타다이엔(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재질 또는 폴리우레탄 폼(Poly Eurethane Foam, PE 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폴리 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재질, 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뷰타다이엔(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재질 또는 폴리우레탄 폼(Poly Eurethane Foam, PE 폼) 재질로 하우징 본체(11)의 내측면(114)이 이루어질 경우, 강도 변화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의 양측면에서 송풍팬(20)의 회전축(O)을 지나는 수직면(B)과 토출구(1121)의 컷 오프 수직면(A) 사이에 살균 수단(30)을 배치하는 구조를 통해, 사용 시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 내부의 공기에 대해 살균처리함으로써, 살균처리로부터 주변 부재를 보호하여 주변 부재에 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에 살균 수단(30)을 배치함으로써, 송풍팬에 부착된 바이러스, 박테리아, 미생물 등이 공기와 함께 하우징 본체(11)의 토출부(112)로 유동하더라도 토출되기 전 공기 중의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미생물 등에 대해 살균처리함으로써 토출된 공기의 질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살균 수단(30)이 토출부(112)의 양측면에 배치됨으로 토출부(112) 내부의 전체 공기에 대해 전면적으로 충분한 살균처리를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송풍기(10)의 송풍팬(20)에 대해서도 살균처리 할 수 있으며, 또한 살균수단(30)이 토출구(1121)에 대해 상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함으로, 대부분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12)의 상측 영역에 대해 효과적으로 살균처리하여 살균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을 갖는 송풍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는 살균 수단(30)이 송풍기(10)의 토출부(112)에 설치되어 공기 청정 통로를 통해 실내배기실(240)로 재순환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급기실(230)을 통해 실내배기실(240)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송풍기(10)의 토출부(112)로 유입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미생물 등에 대해 살균처리하여 청정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공기조화기의 실내배기실(240) 내의 송풍기(10)의 주변 부재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오픈 시, 살균 수단(30)의 오작동으로부터 사용자의 육안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 확보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송풍기 11 하우징 본체
111 스크롤부 1111 흡입구
112 토출부 1121 토출구
113 외측면 1131 돌출면
114 내측면 1141 안내면
115 통공 20 송풍팬
21 팬 날개 30 살균 수단
31 기판 32 UV LED 소자
40 댐퍼 200 공기조화기
210 실내급기실 220 실외배기실
230 실외급기실 240 실내배기실
241 실내배기구 250 전열교환기
300 실외송풍기 O 회전축
A 컷 오프(Cut off) 수직면 B 수직면

Claims (9)

  1. 내부에 송풍팬을 수용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송풍팬의 원주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되는 스크롤부 및 상기 스크롤부로부터 연장되어 공기가 토출되며 토출구에 댐퍼가 설치되는 토출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는 송풍기로서,
    상기 토출부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에는 상기 댐퍼 내측에 위치하는 토출구의 컷 오프 수직면에 평행되며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면과 상기 컷 오프 수직면 사이에서 상기 토출구에 대해 상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부의 공기를 살균처리하는 LED 모듈을 포함하는 살균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LED 모듈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측면으로 노출되는 UV LED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통공의 주변에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측면은 상기 외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UV LED 소자로부터의 자외선을 확산시키는 안내면을 구성하는, 송풍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상기 통공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삿갓 형태로 이루어지는, 송풍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상기 통공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을 따라 경사면 또는 곡면을 이루는, 송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UV LED 소자는 UVC LED 소자이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회전축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송풍팬의 팬 날개 영역과 교차 영역을 가지게 구성되는, 송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주변에 위치되는 하우징 본체의 외측면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이 장착되는 돌출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판의 외측면은 상기 토출구의 외측둘레면에 대해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송풍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측면은 폴리 프로필렌 재질, ABS 재질 또는 폴리우레탄 폼(Poly Eurethane Foam, PE 폼) 재질로 이루어지는, 송풍기.
  9.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급기실, 상기 실내급기실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기실,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급기실, 상기 실외급기실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실내배기실, 및 상기 실내급기실에서 실외배기실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실외급기실에서 실내배기실로 유동하는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청정 모드에서 상기 실내급기실 및 상기 실내배기실을 연통하게 하는 공기청정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배기실에는 실내배기구에 배치되며 제1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풍기가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KR1020210062951A 2021-05-14 2021-05-14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 KR10264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951A KR102645955B1 (ko) 2021-05-14 2021-05-14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
CN202221125845.XU CN217464746U (zh) 2021-05-14 2022-05-11 鼓风机及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951A KR102645955B1 (ko) 2021-05-14 2021-05-14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130A KR20220155130A (ko) 2022-11-22
KR102645955B1 true KR102645955B1 (ko) 2024-03-12

Family

ID=8327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951A KR102645955B1 (ko) 2021-05-14 2021-05-14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5955B1 (ko)
CN (1) CN217464746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39579Y (zh) * 2003-07-24 2004-09-08 浙江兴昌风机有限公司 消毒风机
KR101924133B1 (ko) * 2017-06-14 2018-12-03 (주)세화하이테크 살균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927B1 (ko) * 2019-03-13 2022-04-1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39579Y (zh) * 2003-07-24 2004-09-08 浙江兴昌风机有限公司 消毒风机
KR101924133B1 (ko) * 2017-06-14 2018-12-03 (주)세화하이테크 살균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464746U (zh) 2022-09-20
KR20220155130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5904A (en) Air disinfection unit
KR20200135261A (ko) 살균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645955B1 (ko) 송풍기 및 공기조화기
EP1814604A1 (en) Apparatus for reducing the bacterial content of the air
KR101408988B1 (ko) 살균 처리가 가능한 외부 디퓨져 여과필터
CN113790500A (zh) 具有杀菌功能的送风装置及送风方法
KR102191549B1 (ko) 살균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JP2012242038A (ja) 送風装置
CN111829090A (zh) 拦截消杀式空气消毒机
CN110894991A (zh) 空调内机、空调器
JP7168880B2 (ja) 空気調和機
KR102412251B1 (ko) 공기조화기
CN217844226U (zh) 空调器室内机
US11160896B1 (en) Light blocking apparatus and air purifier
CN218762869U (zh) 换气式紫外线面板灯
CN213687072U (zh) 除湿机的紫外线杀菌组件和除湿机
KR20230139181A (ko) 공기조화기
CN218209821U (zh) 一种空调器用深紫外杀菌模块
KR102504500B1 (ko) 살균램프가 내장된 크로스팬
KR102603940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533493B1 (ko) 공기조화기
WO2022230206A1 (ja) 空気調和機
WO2022068580A1 (zh) 除菌组件及具有该除菌组件的空调器
JP2023132087A (ja) 遮光装置および空気処理装置
JP2024046213A (ja) 遮光装置および空気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