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18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181A
KR20230139181A KR1020220037516A KR20220037516A KR20230139181A KR 20230139181 A KR20230139181 A KR 20230139181A KR 1020220037516 A KR1020220037516 A KR 1020220037516A KR 20220037516 A KR20220037516 A KR 20220037516A KR 20230139181 A KR20230139181 A KR 20230139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case
air conditioner
flow fan
steriliz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송승용
정수현
박근영
신수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181A/ko
Priority to PCT/KR2023/000818 priority patent/WO2023182632A1/ko
Publication of KR20230139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횡류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횡류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횡류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횡류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므로, 복수개의 자외선램프를 갖는 살균모듈을 횡류팬의 회전축 방향 길이를 모두 커버하도록 배치하여 횡류팬의 전면적을 빈 틈 없이 살균함으로써, 횡류팬을 커버할 수 있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횡류팬에 균일하게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난방, 환기, 및/또는 냉방 등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공기를 조절하고 순환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팬, 열교환기, 챔버, 댐퍼 등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팬의 종류는 공기조화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그 중 특히, 횡류팬(CFF, Cross Flow Fan)은 회전 방향으로 만곡한 다수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팬블럭(fan block)을 가지는 팬으로서,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자외선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곰팡이 등 유해세균을 친환경적으로 살균한다. 공기조화기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에서 살균 기능을 탑재하기 위하여 자외선을 널리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인체가 과량의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피부암, 백내장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제품 사용시 뿐 아니라, 제품 설계 및 제조시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공기조화기의 경우, 열교환 등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은 공기조화기의 구조상 증발이 어려워 세균 번식의 주된 원인이 된다. 특히, 좁고 깊은 틈새 공간이 다수개 형성되는 팬의 경우 세균 번식에 더욱 취약하며, 구조상 청소 및 관리가 더욱 까다로운 편이어서 문제가 된다.
또한 종래 공기조화기는, 종래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11194호와 유사하게, UV LED 조사모듈을 가지는 팬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공기조화기는, 횡류팬이 사용되는 경우 횡류팬의 전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형태의 살균모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1119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횡류팬의 길이를 모두 커버하며 횡류팬에 빈 틈 없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및 접근 편의가 향상된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내지 유통이 완료된 공기조화기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팬에 인접하게 배치됨에도 공기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이 간이한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한적인 공기조화기의 내부 공간에서 횡류팬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사각을 넓힘과 동시에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자외선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횡류팬에 균일하게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용량에 따라 길어질 수 있는 횡류팬에도 손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갖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횡류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횡류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횡류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횡류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외선램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살균모듈을 횡류팬이 갖는 회전축 방향의 길이를 모두 커버하도록 배치하여 횡류팬의 전면적을 빈 틈 없이 살균함으로써, 횡류팬을 커버할 수 있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케이스는, 천장으로 수납되고 상기 횡류팬이 수용되는 어퍼케이스; 및 상기 어퍼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어 실내 공간으로 노출되고,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가 배치되는 로워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어퍼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워케이스 및 살균모듈은, 상기 어퍼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공간으로 노출되는 로우케이스를 탈착할 경우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어퍼케이스의 하부에 살균모듈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접근 편의가 향상된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횡류팬으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하우징은, 상기 횡류팬과 대향되는 일면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배치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배치공간에 매립되어 상기 살균모듈을 체결시키는 매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모듈의 배치공간이 제조 내지 유통이 완료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형상과 관계없이 간단한 절곡 내지 리세스 공정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도록하여, 제조 내지 유통이 완료된 공기조화기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팬을 살균하기 위해 살균모듈이 팬에 인접하게 배치됨에도, 공기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살균모듈을 매립함으로써, 공기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램프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바; 상기 PCB바가 체결되는 램프케이스; 상기 램프케이스가 체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램프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개구홀이 형성되는 모듈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PCB바를 램프케이스에 체결 한 뒤 램프케이스를 모듈케이스에 체결함으로써 제작이 간이한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모듈케이스는, 상기 복수개의 개구홀에서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측 조사각을 제한하는 돌출부; 상기 복수개의 개구홀에서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의 반대측 조사각을 확장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모듈의 자외선 토출부의 형상을 자외선의 조사각을 고려하여 형성함으로써, 제한적인 열교환기의 내부 공간에서 횡류팬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사각을 넓힘과 동시에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자외선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램프의 인접한 자외선램프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램프와 상기 횡류팬간의 거리와 소정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램프간의 이격 거리와 자외선램프와 횡류팬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회전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횡류팬에 균일하게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횡류팬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횡류팬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열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용량에 따라 길어질 수 있는 횡류팬에 대하여 모듈화된 살균모듈을 복수개 배치하여 손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확장이 용이한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횡류팬이 갖는 회전축 방향의 길이를 모두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횡류팬의 전면적을 빈 틈 없이 살균할 수 있는 살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간으로 노출되는 로우케이스를 탈착할 경우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어퍼케이스의 하부에 살균모듈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접근 편의가 향상된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살균모듈의 배치공간이 제조 내지 유통이 완료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형상과 관계없이 간단한 절곡 내지 리세스 공정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도록하여, 제조 내지 유통이 완료된 공기조화기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팬을 살균하기 위해 살균모듈이 팬에 인접하게 배치됨에도, 공기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살균모듈을 매립함으로써, 공기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PCB바를 램프케이스에 체결 한 뒤 램프케이스를 모듈케이스에 체결함으로써 제작이 간이한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살균모듈의 자외선 토출부의 형상을 자외선의 조사각을 고려하여 형성함으로써, 제한적인 열교환기의 내부 공간에서 횡류팬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사각을 넓힘과 동시에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자외선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자외선램프간의 이격 거리와 자외선램프와 횡류팬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회전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횡류팬에 균일하게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용량에 따라 길어질 수 있는 횡류팬에 대하여 모듈화된 살균모듈을 복수개 배치하여 손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확장이 용이한 살균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의 조사각을 나타내는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 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의 조사각을 나타내는 공기조화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램프 및 PCB바의 정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램프 및 횡류팬의 확대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예를 들어 '2'가 '2a' 및/또는 '2b'를 포함하는 의미임은 당연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스(2)는, 흡입구(2ba) 및 토출구(2bb)를 형성한다. 케이스(2)는, 공기조화기(1)의 내부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케이스(2)는, 어퍼케이스(2a) 및 로워케이스(2b)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2a)는, 천장으로 수납되고 내부에 횡류팬(18)이 수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2a)는, 내부에 컨트롤박스(14), 열교환기(16), 및/또는 보조집수부(12)를 더 수용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2a)는, 횡류팬(18)으로부터 토출구(2bb)까지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하우징(2a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하우징(2aa)은, 어퍼케이스(2a)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하우징(2aa)은, 어퍼케이스(2a)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횡류팬(18)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가이드하우징(2aa)의 표면을 따라 토출구(2bb)로 유동될 수 있다.
가이드하우징(2aa)은, 횡류팬(18)과 대향되는 일면이 절곡(또는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배치공간(S)을 포함할 수 있다. 배치공간(S)은, 살균모듈(100)이 매립될 수 있도록 살균모듈(100)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치공간(S)은, 횡류팬(18)으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횡류팬(18)으로부터 토출구(2bb)까지의 공기유동경로(F)와 인접한 일면이 절곡(또는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1 참조)
배치공간(S)은, 가이드하우징(2aa)의 일면이 단순히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제조 내지 유통이 완료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1)의 형상과 관계없이 간단한 절곡 공정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살균모듈(100)은 제조 내지 유통이 완료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1)에도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로워케이스(2b)는, 어퍼케이스(2a)의 하측에 배치되어 실내 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다. 로워케이스(2b)에는, 흡입구(2ba) 및 토출구(2bb)가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2ba) 및 토출구(2bb)는, 로워케이스(2b)의 일부가 개구되어 실내 공간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워케이스(2b)는, 내부에 메인집수부(10), 베인(8), 그릴(4), 및/또는 필터(6)를 수용할 수 있다.
로워케이스(2b)는, 어퍼케이스(2a)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내 공간으로 노출된 로워케이스(2b)를 탈착하여 어퍼케이스(2a) 내지 어퍼케이스(2a)의 내부 공간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횡류팬(18)(CFF, Cross Flow Fan)은,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의 유동을 형성한다. 횡류팬(18)의 동작으로 인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는 흡입구(2ba)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6)를 거쳐 토출구(2bb)로 토출될 수 있다. 횡류팬(18)은, 회전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을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열교환기(16)는, 열교환에 따라 표면에 맺히는 응축수가 흘러내리도록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14)에는,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어부(PCB)(미도시) 및 전원(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집수부(10)는, 열교환기(16)의 하측 말단에 배치되어, 열교환기(16)에 맺히는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다. 메인집수부(10)는, 응축수가 고일 수 있는 그릇(Bowl)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 메인집수부(10)에는, 응축수를 흡입하여 배수하기 위한 팬(Fan)(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보조집수부(12)는, 열교환기(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교환기(16)의 하측에 나열되어, 열교환기(16)에 맺히는 응축수를 집수한 뒤 집수한 응축수가 메인집수부(10)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그릴(4)은, 흡입구(2ba)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낼 수 있다.
필터(6)는, 흡입구(2ba) 중 그릴(4)의 하류에 배치되어, 그릴(4)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낼 수 있다.
베인(8)은, 토출구(2bb)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살균모듈(100)은, 횡류팬(18)의 회전축 방향으로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고, 횡류팬(18)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즉, 살균모듈(100)은, 살균모듈(100)의 길이 방향이 횡류팬(18)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살균모듈(100)이 조사하는 자외선에 의하여, 횡류팬(18)은 살균될 수 있다. 살균모듈(100)은, 횡류팬(18)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외선램프(102)를 포함한다. 자외선램프(102)는, 예를 들어, LED소자로 이루어진 UV광원일 수 있다.
따라서, 살균모듈(100)이 횡류팬(18)이 갖는 회전축 방향의 길이를 커버하면서 횡류팬(18)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횡류팬(18)의 전면적을 빈 틈 없이 살균할 수 있다.
살균모듈(100)은, 어퍼케이스(2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모듈(100)은, 어퍼케이스(2a)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모듈(100)은, 어퍼케이스(2a)에 후킹되어 살균모듈(100)을 체결시키는 후킹부(108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모듈(100)의 후킹부(108a)는, 어퍼케이스(2a) 하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탄성의 부재로 형성되어, 어퍼케이스(2a) 하부에 후킹될 수 있다. 살균모듈(100)의 후킹부(108a)는, 후술할 모듈케이스(108)의 일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공간으로 노출되는 로우케이스를 탈착할 경우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어퍼케이스(2a)의 하부에 살균모듈(100)이 배치되어, 살균모듈(100)의 설치 및 접근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살균모듈(100)은, 배치공간(S)에 매립되어 살균모듈(100)을 체결시키는 매립부(10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모듈(100)의 매립부(108b)는, 횡류팬(18)으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가이드하우징(2aa)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배치공간(S)에 매립될 수 있다. 매립부(108b)는, 배치공간(S)에 매립되어 살균모듈(100)을 가이드하우징(2aa)에 체결시킬 수 있다. 매립부(108b)는, 후술할 모듈케이스(108)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11 참조)
따라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팬을 살균하기 위해 살균모듈(100)이 팬에 인접하게 배치됨에도, 살균모듈(100)이 공기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매립됨으로써 공기조화기(1)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살균모듈(100)은, 복수개의 자외선램프(102)가 배치되고, 복수개의 자외선램프(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바(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CB바(10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막대 형태로서, 복수개의 자외선램프(102)(예를 들어, LED소자)가 횡류팬(18)의 회전축 방향으로 일렬로 이격되어 나열되도록 할 수 있다.
살균모듈(100)은, PCB바(104)가 체결되는 램프케이스(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램프케이스(106)는, PCB바(104)가 수용될 수 있도록, PCB바(104)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램프케이스(106)와 PCB바(104)는, 복수개의 볼트홀을 공유하여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램프케이스(106)는, 외부의 충격과 이물로부터 PCB바(104)를 보호하고 PCB바(104)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살균모듈(100)은, 램프케이스(106)가 체결되는 모듈케이스(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케이스(108)는, 상술한 매립부(108b)와 후킹부(108a)로 구분될 수 있다. 모듈케이스(108)의 매립부(108b)는, 램프케이스(106)를 수용하도록 일면이 개구된 반폐쇄된 공간을 형성하고, 개구된 일면을 통해 램프케이스(106)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모듈케이스(108)의 매립부(108b)는, 배치공간(S)을 형성하는 가이드하우징(2aa)의 일면과 접촉되면서 가이드하우징(2aa)에 매립될 수 있다. 모듈케이스(108)의 후킹부(108a)는, 어퍼케이스(2a)에 후킹 가능하도록 매립부(108b)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형태의 후크(Hook)일 수 있다. 모듈케이스(108)는, 외부의 충격과 이물로부터 램프케이스(106)를 보호하고 램프케이스(106)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모듈케이스(108)는, 어퍼케이스(2a)에 체결되어 살균모듈(100)을 어퍼케이스(2a)와 체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PCB바(104)를 램프케이스(106)에 체결 한 뒤, 램프케이스(106)를 모듈케이스(108)에 체결함으로써 간이하게 살균모듈(100)을 조립할 수 있도록하여, 살균모듈(100)의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듈케이스(108)에는, 복수개의 자외선램프(102)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개구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듈케이스(108)의 매립부(108b)에는, PCB바(104)가 체결된 램프케이스(106)를 수용함에 따라 PCB바(104)에 배치된 복수개의 자외선램프(102)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개구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개구홀(110)을 통하여 복수개의 자외선램프(102)가 발광하는 자외선은, 횡류팬(18)에 조사될 수 있다.
모듈케이스(108)는, 복수개의 개구홀(110)에서 흡입구(2ba) 및 토출구(2bb)측으로부터 흡입구(2ba) 및 토출구(2bb)의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흡입구(2ba) 및 토출구(2bb)측 조사각을 제한하는 돌출부(108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참조) 돌출부(108c)는, 개구홀(110)을 통하여 토출되는 살균모듈(100)의 자외선이 흡입구(2ba) 및 토출구(2bb)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듈케이스(108)는, 복수개의 개구홀(110)에서 흡입구(2ba) 및 토출구(2bb)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흡입구(2ba) 및 토출구(2bb)의 반대측 조사각을 확장하는 경사부(108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참조) 경사부(108d)는, 개구홀(110)을 통하여 토출되는 살균모듈(100)의 자외선이 더 넓은 면적의 횡류팬(18)에 조사되도록 조사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살균모듈(100)의 자외선 토출부의 형상을 자외선의 조사각을 고려하여 형성함으로써, 제한적인 공기조화기(1)의 내부 공간에서 횡류팬(18)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사각을 넓힘과 동시에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자외선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자외선램프(102)의 인접한 자외선램프(102)간의 이격 거리(X)는, 복수개의 자외선램프(102)와 횡류팬(18)간의 거리(Y)와 소정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소정 비율이란, 횡류팬(18)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균일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실험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X가 110~140mm일 경우, Y는 40mm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 참조)
따라서, 자외선램프(102)간의 이격 거리와 자외선램프(102)와 횡류팬(18)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회전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횡류팬(18)에 균일하게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모듈(10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살균모듈(100)은, 횡류팬(18)의 길이(즉, 횡류팬(18)의 회전축 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횡류팬(18)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열될 수 있다. (도 10 참조)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의 용량 내지 크기가 커짐에 따라 함께 길어지는 횡류팬(18)의 길이에도, 횡류팬(18)의 길이 방향으로 모듈화된 살균모듈(100)을 추가 배치함으로써 손쉽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1)의 용량에 따라 커질 수 있는 횡류팬(18)에 대하여 모듈화된 살균모듈(100)을 복수개 배치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살균모듈(100)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수 있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설명에서는 횡류팬(18)으로부터 토출구(2bb)까지의 공기 유로측에 배치공간(S)이 형성되어 살균모듈(100)이 매립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흡입구(2ba)로부터 횡류팬(18)까지의 공기 유로측에 살균모듈(100)이 매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설명에서는 일반적으로 횡류팬(18)이 사용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횡류팬(18)이 사용되는 공기조화기(1)라면 공기조화기(1)의 종류와 무관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100)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다.

Claims (10)

  1.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횡류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횡류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횡류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횡류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천장으로 수납되고 상기 횡류팬이 수용되는 어퍼케이스; 및
    상기 어퍼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어 실내 공간으로 노출되고,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가 배치되는 로워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어퍼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케이스 및 살균모듈은,
    상기 어퍼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어퍼케이스에 후킹되어 상기 살균모듈을 체결시키는 후킹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횡류팬으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하우징은,
    상기 횡류팬과 대향되는 일면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배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배치공간에 매립되어 상기 살균모듈을 체결시키는 매립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램프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바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PCB바가 체결되는 램프케이스; 및
    상기 램프케이스가 체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램프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개구홀이 형성되는 모듈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케이스는,
    상기 복수개의 개구홀에서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측 조사각을 제한하는 돌출부; 및
    상기 복수개의 개구홀에서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의 반대측 조사각을 확장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램프의 인접한 자외선램프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복수개의 자외선램프와 상기 횡류팬간의 거리와 소정 비율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횡류팬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횡류팬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열되는 공기조화기.
KR1020220037516A 2022-03-25 2022-03-25 공기조화기 KR20230139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516A KR20230139181A (ko) 2022-03-25 2022-03-25 공기조화기
PCT/KR2023/000818 WO2023182632A1 (ko) 2022-03-25 2023-01-17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516A KR20230139181A (ko) 2022-03-25 2022-03-2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181A true KR20230139181A (ko) 2023-10-05

Family

ID=8810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516A KR20230139181A (ko) 2022-03-25 2022-03-2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9181A (ko)
WO (1) WO202318263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194A (ko) 2019-08-30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Uv led 조사모듈을 가지는 팬하우징이 있는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8532A (en) * 1987-08-04 1989-02-08 Sanyo Electric Co Air conditioner
HK1063577A2 (en) * 2004-06-23 2004-11-26 John Mfg Ltd Photoelectron air-purifying disinfecting and air conditioning machine.
JP2011226717A (ja) * 2010-04-21 2011-11-10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KR102305234B1 (ko) * 2015-01-28 2021-09-29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광원 유닛
KR20200131115A (ko) * 2019-05-13 2020-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74640B1 (ko) * 2021-05-31 2022-03-16 주식회사 샤인레즈 살균모듈이 장착되는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194A (ko) 2019-08-30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Uv led 조사모듈을 가지는 팬하우징이 있는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2632A1 (ko)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1688A (ko) 공기조화기
CN118049702A (zh) 空调机
KR20200102864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US20220193299A1 (en) Air Sterilizing And Lighting Apparatus
KR20230139181A (ko) 공기조화기
KR20210151666A (ko) 멸균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CN111765530A (zh) 空调用杀菌组件及空调器
CN110894991A (zh) 空调内机、空调器
WO2018063132A2 (en) A plant growing cabinet with improved air flow
JP2021177837A (ja) 殺菌装置付き空気循環装置
CN217464746U (zh) 鼓风机及空调
JP7284779B2 (ja) 空気調和機
CN212618788U (zh) 一种空调室内机及采用其的空调器
KR102458760B1 (ko)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스탠드형 전열교환기
KR102459078B1 (ko)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US11160896B1 (en) Light blocking apparatus and air purifier
KR20200082992A (ko) 공기 조화기
CN214249870U (zh) 除菌组件及具有该除菌组件的空调器
CN219414997U (zh) 一种带紫外线净化功能的风管机
CN214369692U (zh) 一种吸顶灯
KR102504500B1 (ko) 살균램프가 내장된 크로스팬
KR102388409B1 (ko) 살균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230142854A (ko) 공기조화기
KR20070047105A (ko) 공기조화기의 자외선램프 설치구조
BG113340A (bg) Универсално ултравиолетово дезинфекциращо устройство за стайни климатици и система, включваща такова устройств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