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603A -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603A
KR20190104603A KR1020197024063A KR20197024063A KR20190104603A KR 20190104603 A KR20190104603 A KR 20190104603A KR 1020197024063 A KR1020197024063 A KR 1020197024063A KR 20197024063 A KR20197024063 A KR 20197024063A KR 20190104603 A KR20190104603 A KR 20190104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elt
conveyor
conveyor belt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344B1 (ko
Inventor
타카시 오다기리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2Guides for slid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가, 컨베이어 본체와, 상면과 컨베이어 벨트의 비반송면 사이로 부상용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공기 분출구가 설치된 왕로측 벨트 지지체와, 복수의 공기 분출구와 연통된 헤더실을 가지고, 왕로측 벨트 지지체의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급기 헤더와, 급기 헤더로 공기를 보내는 블로어와, 헤더실로 개구하는 입구와, 왕로측 벨트 지지체의 상면이고 컨베이어 벨트의 반송면보다 상방으로 개구하는 출구를 연결하고, 헤더실에 쌓인 분진을 입구로부터 출구로 안내하는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와, 배출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본 발명은, 석탄 등의 잔물질을 반송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예를 들어, 화력 발전소에서의 석탄, 석고 및 습회(濕灰), 제철소에서의 철광석 및 부원료 등의 잔물질(이하, 반송물이라고 칭한다)을 원활하게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로서, 분진 대책 및 소음 대책에 유효한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일 예가 나타나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서는, 컨베이어 벨트의 왕로(往路)측 및 복로(復路)측의 각각에 대해 홈통 모양의 트로프(trough)가 설치되고, 각각의 트로프 상을 컨베이어 벨트가 통과한다. 각 트로프의 저부에는 다수의 공기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공기 분출구를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트로프를 따라 연장되는 급기 헤더(에어 덕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기 헤더에 압송된 공기가, 각 공기 분출구를 통해 컨베이어 벨트와 트로프 사이로 분출하여, 컨베이어 벨트를 부상시킨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11-11642호 공보
본원의 발명자는, 설치되어 수년 이상 경과한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급기 헤더의 내부에 분진이 쌓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부상하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와 트로프의 틈새는 얼마 안되고, 또한, 그 틈새에서 공기가 유출하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와 트로프 사이에 반송물에서 나온 분진이 들어가 급기 헤더에 침입할 일은 거의 없다고 하는 것이 당업자에게 공통된 인식이다. 따라서, 종래의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급기 헤더의 내부에 쌓인 분진을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급기 헤더의 내부에 쌓인 분진을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한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무단(無端, endless) 모양의 컨베이어 벨트를 가지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반송면 상에 반송물을 놓아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컨베이어 본체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왕로부분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면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비반송면 사이로 부상용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공기 분출구가 설치된 왕로측 벨트 지지체와,
상기 복수의 공기 분출구와 연통된 헤더실을 가지고, 상기 왕로측 벨트 지지체의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급기 헤더와,
상기 급기 헤더로 공기를 보내는 블로어(blower)와,
상기 헤더실로 개구하는 입구와, 상기 왕로측 벨트 지지체의 상면이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반송면보다 상방으로 개구하는 출구를 연결하고, 상기 헤더실에 쌓인 분진을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로 안내하는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와,
상기 배출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서는, 개폐 장치를 조작하여 배출 통로를 개방하고, 블로어로 헤더실에 공기를 보내면, 헤더실에 쌓인 분진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 떠오르고, 공기의 흐름을 따라 배출 통로를 통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반송면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분진은, 컨베이어 벨트의 반송면에 낙하하고,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반송물과 함께 반송된다. 이와 같이,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급기 헤더의 내부(헤더실)에 쌓인 분진을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서, 상기 왕로측 벨트 지지체가, 상기 반송물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원호 모양을 나타내고, 상기 덕트가, 상기 왕로측 벨트 지지체의 원호의 외주를 따라 원호 모양으로 연장되는 상기 배출 통로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배출 통로는, 하방에 있는 입구에서 상방에 있는 출구를 향하는 원호 모양의 유로가 된다. 따라서, 배출 통로를 통하는 공기 및 그에 동반하는 분진이 막힘없이 출구로 운반되고,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가, 상기 왕로측 벨트 지지체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복로부분을 지지하는 복로측 벨트 지지체와, 상기 복로측 벨트 지지체를 통과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반송면이 위쪽이 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반전시키는 벨트 반전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반송물과 함께 반송된 분진은, 컨베이어 벨트의 접어 꺾어지는 부분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지지만, 분진 중 미세한 것은 반송면에 부착하여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것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복로측 벨트 지지체를 통과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반송면이 위쪽이 되도록 컨베이어 벨트가 반전되므로, 복로측 벨트 지지체의 상면에 분진이 부착하거나 낙하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기 헤더의 내부(헤더실)에 쌓인 분진을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한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반송물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왕로 트로프 및 급기 헤더의 반송물의 반송 방향과 평행한 단면의 개략도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의 개략도이고, 도 2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의 반송물(F)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케이싱(20)을 투과하여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의 내부 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는, 컨베이어 본체(Cm)와, 왕로측 벨트 지지체(이하, 「왕로 트로프(4)」라고 칭한다)와, 복로측 벨트 지지체(이하, 「복로 트로프(5)」라고 칭한다)와, 왕로 트로프(4) 및 복로 트로프(5)에 설치된 급기 헤더(6, 7)와, 급기 헤더(6, 7)로 공기를 압송하는 블로어(10)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본체(Cm)는, 무단 모양의 컨베이어 벨트(1), 구동 풀리(2), 종동 풀리(3) 및 모터(미도시)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 벨트(1)는, 머리 풀리인 구동 풀리(2)와 꼬리 풀리인 종동 풀리(3) 사이에 감겨져 있다. 구동 풀리(2)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구동 풀리(2)와 종동 풀리(3) 사이에는, 컨베이어 벨트(1)의 왕로부분(1a)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왕로 트로프(4)와, 컨베이어 벨트(1)의 복로부분(1b)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복로 트로프(5)가 설치되어 있다. 복로 트로프(5)는, 왕로 트로프(4)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로 트로프(5)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와 구동 풀리(2) 사이 및 복로 트로프(5)의 길이 방향 다른쪽 단부와 종동 풀리(3) 사이에는, 벨트를 180도 반전시키는 제1, 제2 벨트 반전 기구(8a, 8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벨트 반전 기구(8a)는, 컨베이어 벨트(1)의 복로부분(1b)의 이동 방향의 상류부에서, 반송면(반송물(F)을 놓는 면)이 아래쪽 상태인 컨베이어 벨트(1)를 반송면이 위쪽 상태로 반전하는 구성이다. 제2 벨트 반전 기구(8b)는, 컨베이어 벨트(1)의 복로부분(1b)의 이동 방향의 하류부에서, 반송면이 위쪽 상태인 컨베이어 벨트(1)를 반송면이 아래쪽 상태로 반전하는 구성이다. 제1, 제2 벨트 반전 기구(8a, 8b)는,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1)를 비틀어서 반전시키는 복수의 롤러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3은 왕로 트로프(4) 및 급기 헤더(6)의 반송물(F)의 반송 방향과 평행한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왕로 트로프(4)는, 단면이 대체로 아래쪽 반원호 모양이고, 컨베이어 벨트(1)의 왕로부분(1a)에 의한 반송물의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왕로 트로프(4)의 저부에는, 왕로 트로프(4)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나열되는 공기 분출구(4a)가 설치되어 있다.
왕로 트로프(4)의 하부에는, 해당 왕로 트로프(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급기 헤더(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련의 왕로 트로프(4)에 대해, 적어도 1개의 급기 헤더(6)가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렬적으로 나열된 복수의 급기 헤더(6)가 설치되어 있다. 각 급기 헤더(6)의 내부에는, 공기 분출구(4a)와 연통된 헤더실(61)이 형성되어 있다.
급기 헤더(6)에는, 블로어(10)에서 압송되어 오는 공기를 헤더실(61)로 도입하는 급기구(6a)가 설치되어 있다. 급기구(6a)와 블로어(10)는, 배관(11)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왕로 트로프(4)에서는, 급기구(6a)는 왕로 트로프(4)의 하부에 설치되고,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지만, 급기구(6a)의 위치는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급기 헤더(6)에는, 그 길이 방향의 단부에, 배출 통로(80)의 입구(6b)가 개구하고 있다. 배출 통로(80)의 입구(6b)는, 급기구(6a)로부터 급기 헤더(6)의 길이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 통로(80)의 입구(6b)는, 급기 헤더(6)의 측부에서 옆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배출 통로(80)의 입구(6b)의 개구 면적은, 각 공기 분출구(4a)의 개구 면적과 비교하여, 충분히 크다.
배출 통로(80)의 출구(4b)는, 왕로 트로프(4)의 상면이고 컨베이어 벨트(1)의 반송면보다 상부로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 출구(4b)와 전술한 입구(6b)가 덕트(81)로 연결되어 있다. 이 덕트(81)에 의해, 입구(6b)와 출구(4b)를 연결하는 배출 통로(80)가 형성되어 있다. 덕트(81)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 통로(80)의 통로 단면적은, 공기 분출구(4a)의 각 공기 분출구(4a)의 개구 면적과 비교하여, 충분히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 덕트(81)는, 왕로 트로프(4)의 하면을 따라 급기 헤더(6)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 통로(80)는, 급기 헤더(6)의 길이 방향의 일방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급기 헤더(6)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급기구(6a)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급기 헤더(6)의 길이 방향의 양방의 단부에 배출 통로(80)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배출 통로(80)는, 개폐 장치(82)에 의해 개폐가 전환된다. 배출 통로(80)가 개방되어 있을 때는, 배출 통로(80)의 입구(6b)에서 출구(4b)까지 공기 및 그와 동반하는 분진의 이동이 허용된다. 배출 통로(80)가 폐지되어 있을 때는, 배출 통로(80)의 입구(6b)에서 출구(4b)까지의 공기 및 그와 동반하는 분진의 이동이 저지된다. 개폐 장치(82)는, 폐지 시에는, 개폐 장치(82)를 기밀하게 밀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 장치(82)는, 슬라이드식 셔터, 밸브 등의, 개폐 장치(82)의 개폐를 전환하는 장치이면 그 형태는 불문한다. 또한, 개폐 장치(82)는, 자동식이어도 수동식이어도 좋다. 개폐 장치(82)가 수동식인 경우에는, 케이싱(20)의 외측에 개폐 장치(82)의 조작구가 설치된다.
복로 트로프(5)는, 단면이 대체로 아래쪽 반원호 모양이고, 컨베이어 벨트(1)의 복로부분(1b)에 의한 반송물(F)의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복로 트로프(5)의 저부에는, 해당 복로 트로프(5)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나열되는 공기 분출구(5a)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복로 트로프(5)는, 왕로 트로프(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복로 트로프(5)의 하부에는, 해당 복로 트로프(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급기 헤더(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련의 복로 트로프(5)에 대해 직렬적으로 나열된 복수의 급기 헤더(7)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급기 헤더(7)의 내부에는, 공기 분출구(5a)와 연통된 헤더실(71)이 형성되어 있다.
급기 헤더(7)에는, 블로어(10)에서 압송되어 오는 공기를 헤더실(71)로 도입하는 급기구(7a)가 설치되어 있다. 급기구(7a)와 블로어(10)는, 배관(11)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급기 헤더(7)는, 배출 통로(80)(덕트(8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급기 헤더(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컨베이어 본체(Cm), 왕로 트로프(4), 복로 트로프(5) 및 급기 헤더(6, 7)는, 케이싱(20)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20)에는, 컨베이어 벨트(1)로 공급되는 반송물(F)의 입구(21)와, 컨베이어 벨트에서 반송한 반송물(F)의 출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20)에는, 버그 필터(23)를 사이에 두고 집진 팬(24)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블로어(10) 및 집진 팬(24)이 구동된다. 블로어(10)로부터, 배관(11)을 통해 급기 헤더(6)의 헤더실(61)로 압송된 공기는, 공기 분출구(4a)로부터 왕로 트로프(4)의 상면과 컨베이어 벨트(1)의 왕로부분(1a)의 비반송면 사이로 분출하고, 컨베이어 벨트(1)를 부상시킨다. 마찬가지로, 블로어(10)로부터 배관을 통해 급기 헤더(7)의 헤더실(71)로 압송된 공기는, 공기 분출구(5a)로부터 복로 트로프(5)의 상면과 컨베이어 벨트(1)의 복로부분(1b)의 비반송면 사이로 분출하고, 컨베이어 벨트(1)를 부상시킨다.
이이서, 컨베이어 본체(Cm)의 모터가 구동되어, 구동 풀리(2)가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한다. 컨베이어 벨트(1)는, 구동 풀리(2)의 회전에 의해 구동 풀리(2)와 종동 풀리(3) 사이를 주회(周回)하고, 입구(21)로부터 공급되는 반송물(F)을 구동 풀리(2)측으로 반송하고, 출구(22)를 통해 배출한다. 컨베이어 벨트(1)에서 반송 중인 반송물(F)로부터 발생한 분진은, 집진 팬(24)에 의한 케이싱(20) 내의 강제 배기에 의해, 버그 필터(23)에 포집된다.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를 정지할 때에는, 컨베이어 본체(Cm)의 모터가 정지되고, 블로어(10) 및 집진 팬(24)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러면, 케이싱(20) 내에 떠올라 있는 분진은 침강하여, 대부분은 컨베이어 벨트(1)에 낙하하지만, 왕로 트로프(4)의 상면에 낙하하는 것도 있다. 왕로 트로프(4)의 상면에 낙하한 분진의 일부는, 컨베이어 벨트(1)와 왕로 트로프(4)의 상면 사이를 통해, 공기 분출구(4a)를 통과하고, 급기 헤더(6)의 헤더실(61)로 낙하한다. 이와 같이 헤더실(61)로 침입하는 분진은 얼마 안되지만, 분진(D)은 헤더실(61)에 쌓여 간다.
그래서, 예를 들어, 1~수년의 비교적 긴 기간 간격으로, 헤더실(61)의 청소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헤더실(61)에 쌓인 분진(D)이 제거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가 정지한 상태에서, 개폐 장치(82)를 조작하여 배출 통로(80)를 개방하고, 블로어(10)를 구동하여 급기 헤더(6)의 헤더실(61)로 공기를 압송한다. 또한, 급기 헤더(6)의 급기구(6a)와 블로어(10)를 연결하는 배관(11), 급기 헤더(7)의 급기구(7a)와 블로어(10)를 연결하는 배관(11)의 각각에, 각 급기구(6a, 7a)로의 급기와 정지를 전환하는 밸브가 설치되고, 청소하는 급기 헤더(6)에 선택적으로 급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 통로(80)의 입구(6b)는 공기 분출구(4a)와 비교하여 개구 면적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급기구(6a)로부터 헤더실(61)로 유입한 공기는 배출구(6b)를 통하여 배출 통로(80)로 유입한다. 헤더실(61) 내에 발생한 기류에 의해, 헤더실(61) 내에 쌓인 분진(D)은 떠오르고, 떠오른 분진(D)은 기류를 따라 입구(6b)를 통하여 배출 통로(80)로 유입한다.
배출 통로(80)에 유입한 분진은, 기류에 의해 출구(4b)까지 운반되고, 출구(4b)에서 분출한다. 또한, 배출 통로(80)의 출구(4b)는, 수평 방향 또는 그보다 경사지게 상방을 향해 개구하고 있고, 배출 통로(80)의 출구(4b)에서 분출한 분진은, 컨베이어 벨트(1)의 왕로부분(1b)의 반송면에 낙하한다. 컨베이어 벨트(1)의 반송면에 낙하한 분진은, 다음에 컨베이어 벨트(1)를 주회시킬 때에, 반송물과 함께 컨베이어 벨트(1)에 의해 반송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는, 무단 모양의 컨베이어 벨트(1)를 가지고, 컨베이어 벨트(1)의 반송면 상에 반송물(F)을 놓아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컨베이어 본체(Cm)와, 컨베이어 벨트(1)의 왕로부분(1a)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면과 컨베이어 벨트(1)의 비반송면 사이로 부상용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공기 분출구(4a)가 설치된 왕로 트로프(4)(왕로측 벨트 지지체)와, 복수의 공기 분출구(4a)와 연통된 헤더실(61)을 가지고, 왕로 트로프(4)의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급기 헤더(6)와, 급기 헤더(6)로 공기를 보내는 블로어(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헤더실(61)로 개구하는 입구(6b)와, 왕로 트로프(4)의 상면이고 컨베이어 벨트(1)의 반송면보다 상방으로 개구하는 출구(4b)를 연결하고, 헤더실(61)에 쌓인 분진을 입구(6b)로부터 출구(4b)로 안내하는 배출 통로(80)를 형성하는 덕트(81)와, 배출 통로(80)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8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컨베이어 벨트(1)의 정지 시에, 개폐 장치(82)를 조작하여 배출 통로(80)를 개방하고, 블로어(10)로 헤더실(61)에 공기를 압송하면, 헤더실(61)에 쌓인 분진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 떠오르고, 공기의 흐름을 따라 배출 통로(80)를 통하여 컨베이어 벨트(1)의 반송면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분진은, 컨베이어 벨트(1)의 반송면에 낙하하고, 컨베이어 벨트(1)에 의해 반송물(F)과 함께 반송되어, 유효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는, 급기 헤더(6)의 내부(헤더실(61))에 쌓인 분진을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는, 왕로 트로프(4)(왕로측 벨트 지지체)는 반송물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원호 모양을 나타내고, 덕트(81)는 그 왕로 트로프(4)의 원호의 외주를 따라 원호 모양으로 연장되는 배출 통로(80)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출 통로(80)는, 하방에 있는 입구(6b)에서 상방에 있는 출구(4b)를 향하는 원호 모양의 유로가 된다. 따라서 배출 통로(80)를 통하는 공기 및 그에 동반하는 분진이 막힘없이 출구(4b)로 운반되고, 출구(4b)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는, 왕로 트로프(4)(왕로측 벨트 지지체)의 하방에 위치하고, 컨베이어 벨트(1)의 복로부분(1b)을 지지하는 복로 트로프(5)(복로측 벨트 지지체)와, 복로 트로프(5)를 통과하는 컨베이어 벨트(1)의 반송면이 위쪽이 되도록, 컨베이어 벨트(1)를 반전시키는 벨트 반전 기구(8a, 8b)를 더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벨트(1)에 낙하하여 반송물과 함께 반송된 분진은, 컨베이어 벨트(1)의 접어 꺾어지는 부분에서 컨베이어 벨트(1)의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지지만, 분진 중 미세한 것은 반송면에 부착하여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것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복로 트로프(5)를 통과하는 컨베이어 벨트(1)의 반송면이 위쪽이 되도록 컨베이어 벨트(1)가 반전되므로, 복로 트로프(5)의 상면에 분진이 부착하거나 낙하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의 구체적인 구조 및/또는 기능의 상세를 변경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1: 컨베이어 벨트
1a: 왕로부분
1b: 복로부분
2: 구동 풀리
3: 종동 풀리
4: 왕로 트로프(왕로측 벨트 지지체)
4a: 공기 분출구
4b: (배출 통로의) 출구
5: 복로 트로프(복로측 벨트 지지체)
5a: 공기 분출구
6: 급기 헤더
6a: 급기구
6b: (배출 통로의) 입구
7: 급기 헤더
7a: 급기구
8a, 8b: 벨트 반전 기구
9: 클리너
10: 블로어
20: 케이싱
21: 입구
22: 출구
23: 버그 필터
24: 집진 팬
61, 71: 헤더실
80: 배출 통로
81: 덕트
82: 개폐 장치
100: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Cm: 컨베이어 본체
F: 반송물
D: (쌓인) 분진

Claims (3)

  1. 무단 모양의 컨베이어 벨트를 가지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반송면 상에 반송물을 놓아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컨베이어 본체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왕로부분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면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비반송면 사이로 부상용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공기 분출구가 설치된 왕로측 벨트 지지체와,
    상기 복수의 공기 분출구와 연통된 헤더실을 가지고, 상기 왕로측 벨트 지지체의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급기 헤더와,
    상기 급기 헤더로 공기를 보내는 블로어와,
    상기 헤더실로 개구하는 입구와, 상기 왕로측 벨트 지지체의 상면이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반송면보다 상방으로 개구하는 출구를 연결하고, 상기 헤더실에 쌓인 분진을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로 안내하는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와,
    상기 배출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로측 벨트 지지체는, 상기 반송물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원호 모양을 나타내고,
    상기 덕트는, 상기 왕로측 벨트 지지체의 원호의 외주를 따라 원호 모양으로 연장되는 상기 배출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로측 벨트 지지체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복로부분을 지지하는 복로측 벨트 지지체와,
    상기 복로측 벨트 지지체를 통과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반송면이 위쪽이 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반전시키는 벨트 반전 기구를 더 구비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20197024063A 2017-02-15 2018-01-24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2147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5635A JP6814654B2 (ja) 2017-02-15 2017-02-15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装置
JPJP-P-2017-025635 2017-02-15
PCT/JP2018/002052 WO2018150818A1 (ja) 2017-02-15 2018-01-24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603A true KR20190104603A (ko) 2019-09-10
KR102147344B1 KR102147344B1 (ko) 2020-08-24

Family

ID=6317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063A KR102147344B1 (ko) 2017-02-15 2018-01-24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584200B1 (ko)
JP (1) JP6814654B2 (ko)
KR (1) KR102147344B1 (ko)
CN (1) CN109996747B (ko)
TW (1) TWI656084B (ko)
WO (1) WO20181508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725B1 (ko) * 2021-07-15 2022-06-15 박강원 화재 감시 수단이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1047B2 (en) * 2016-09-16 2020-09-22 Bruks Rockwood, Llc Air-supported belt conveyor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12573089A (zh) * 2020-11-23 2021-03-30 安徽胜利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笔记本外壳同心圆拉丝排列输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642A (ja) 1997-06-18 1999-01-19 Sumitomo Heavy Ind Ltd 空気浮上式コンベヤの清掃装置
JP3537574B2 (ja) * 1996-01-18 2004-06-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空気供給機構
JP3728888B2 (ja) * 1997-08-19 2005-12-21 宇部興産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装置
JP4186342B2 (ja) * 1999-09-27 2008-11-26 宇部興産株式会社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9581A (en) * 1959-12-07 1963-05-14 Moar John Floating conveyor belt
JPS53161486U (ko) * 1977-05-25 1978-12-18
JP3475570B2 (ja) * 1995-04-21 2003-12-0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
JP3485407B2 (ja) * 1995-12-25 2004-01-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ア装置
JP3363069B2 (ja) * 1997-06-13 2003-01-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空気浮上式コンベヤの落粉除去装置
JP4012634B2 (ja) * 1998-08-17 2007-11-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装置
JP2001259558A (ja) * 2000-03-16 2001-09-25 Yuushin Kk ピグ及びその使用法
JP4597306B2 (ja) * 2000-04-12 2010-12-15 Ihi運搬機械株式会社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
JP4675495B2 (ja) * 2001-03-30 2011-04-20 カワサキプラント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ア装置
JP2002302225A (ja) * 2001-03-30 2002-10-18 Kawasaki Heavy Ind Ltd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ア装置
JP2003261213A (ja) * 2002-03-11 2003-09-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
JP4321152B2 (ja) * 2003-07-23 2009-08-26 宇部興産機械株式会社 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装置
JP2011001145A (ja) * 2009-06-17 2011-01-06 Ihi Transport Machinery Co Ltd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ア
CN104418002A (zh) * 2013-08-31 2015-03-18 湖州市千金宝云机械铸件有限公司 一种悬浮式胶带机
JP6491473B2 (ja) * 2014-12-26 2019-03-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574B2 (ja) * 1996-01-18 2004-06-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空気供給機構
JPH1111642A (ja) 1997-06-18 1999-01-19 Sumitomo Heavy Ind Ltd 空気浮上式コンベヤの清掃装置
JP3728888B2 (ja) * 1997-08-19 2005-12-21 宇部興産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装置
JP4186342B2 (ja) * 1999-09-27 2008-11-26 宇部興産株式会社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725B1 (ko) * 2021-07-15 2022-06-15 박강원 화재 감시 수단이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344B1 (ko) 2020-08-24
CN109996747B (zh) 2020-12-04
EP3584200A1 (en) 2019-12-25
CN109996747A (zh) 2019-07-09
JP2018131294A (ja) 2018-08-23
TWI656084B (zh) 2019-04-11
EP3584200A4 (en) 2020-12-30
WO2018150818A1 (ja) 2018-08-23
TW201841812A (zh) 2018-12-01
JP6814654B2 (ja) 2021-01-20
EP3584200B1 (en)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4603A (ko)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1593710B1 (ko)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방법 및 반송 장치
KR100860424B1 (ko) 투사처리장치
EP0594730B1 (en) Modular classifier
KR102216149B1 (ko)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장치
WO2002074666A1 (fr) Transporteur a courroie et equipement auxiliaire associe
US20190085550A1 (en) Screening device
WO2011036587A2 (en) System for extraction and transport of light ashes by means of a steel belt conveyor
WO20150895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and/or classifying particulate material
KR102411127B1 (ko) 원료 이송 컨베이어장치
US851054A (en) Pneumatic conveyer.
JP3363069B2 (ja) 空気浮上式コンベヤの落粉除去装置
RU2144415C1 (ru) Фильтр рукавный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JP2803996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5436132B2 (ja) ケース型粉粒体フローコンベヤ
JPH1159840A (ja)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
CN207138092U (zh) 一种防止给煤机堵塞的机构
RU180216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еспыливани разгрузочной тележки ленточного конвейера
US328269A (en) Middlings-purifier
SU783155A1 (ru) Отде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импульсного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ера
US458965A (en) barnard
US521604A (en) braver
JP5109461B2 (ja) 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装置
TW202124238A (zh) 用於可澆注的運送材料的運送機
SU131939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проката от окал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