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299A -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299A
KR20190104299A KR1020190108040A KR20190108040A KR20190104299A KR 20190104299 A KR20190104299 A KR 20190104299A KR 1020190108040 A KR1020190108040 A KR 1020190108040A KR 20190108040 A KR20190108040 A KR 20190108040A KR 20190104299 A KR20190104299 A KR 20190104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hot water
fruit
kind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2509B1 (ko
Inventor
강기원
Original Assignee
강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원 filed Critical 강기원
Priority to KR102019010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50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08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2Lac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28Saccharose, suc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18Mann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지황 뿌리생지황 뿌리,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역활성 증진 또는 치매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는 7종의 허브식물과 백밀의 열수추출물의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of dementia}
본 발명은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7종의 허브식물과 백밀(꿀)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또는 치매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7종의 허브식물과 백밀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와 같은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와 환경의 변화 속에서 현대인들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면역력 저하로 인해 각종 질병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질병 치료를 위해 막대한 비용을 소모하고 있다. 특히, 최근 오염된 공기 및 신생활 변화 등의 이유로 알러지성 질환은 여러 알러지 유발인자에 의해 인체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항진시켜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interleukin-1), IL-6(interleukin-6),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din), 류코트리엔(luecotriene), MMP-9(matrix metalloproteinase-9) 및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같은 염증유발 물질을 과도하게 유도하여 이는 염증반응으로 진행되어 여러가지 질병 및 면역 과민반응 증상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이러한 면역체계의 붕괴로 인해 신경세포의 손상 및 손실로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치매가 발병하고 있으며 그 치매의 발병시기도 점차 빨라지고 있다.
이러한 치매(dementia)는 정상적으로 생활해오던 사람이 다양한 원인에 인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이전에 비해 인지 기능이 지속적이고 전반적으로 저하되는 일종의 증후군으로, 병리학적으로는 신경세포의 손상 및 손실에 의해 기억, 집중, 언어 및 인지 등에 심한 장애가 오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궁극적으로는 사망에 이르게 하는 뇌 질환이다. 이러한 치매의 원인 질환들로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파킨슨씨 병(Parkinson's disease), 루이체 치매(Lewy body dementia), 무도병(Huntington's disease), 크루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cob disease), 픽스씨 병(Pick's disease) 등이 알려져 있다.
그 중 알츠하이머 질환(AD)은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점진적인 신경세포의 퇴화로 인해 인지능력 상실을 가져온다. 뇌 조직내 아밀로이드 플라그 및 아밀로이드로서 존재하는, 원섬유 형태의 아밀로이드-β 단백질 (Aβ)로 명명되는 39-43개 아미노산 펩티드의 축적을 특징으로 한다. 알츠하이머 병에서 Aβ 침착은 뇌의 신경세포 및 간질세포에게 유해하고, 그 결과 알츠하이머 병의 특징적인 특성인 뇌 염증 및 신경세포 사멸을 일으킨다.
AD로 사망한 환자의 두뇌에서는 노인성 플라그(senile plaque)와 신경원섬유의 엉킴(neurofibrillary tangles)이 병리학적 특성으로 나타난다. 이 중 노인성 플라그는 세포 외부에 단백질과 죽은 세포 등이 축적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주 구성 성분은 아밀로이드-베타(Amyloid-β(Aβ)라는 펩티드이다.
AD 환자의 주요 특징인 인지 작용의 점진적 상실은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Aβ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보인다. Aβ는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amyloid precursor protein: 이하 "APP"라 칭함)로부터 단백질 분해(proteolysis)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전구물질인 APP는 β-세크라타제(BSCE) 및 γ-세크라타제에 의해 분해되어 Aβ가 생성된다. 그러나 α-세크라타제에 의해 APP가 절단될 경우 Aβ의 생성을 억제하고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APPα의 생성을 유도하므로 α-세크라타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개선의 방법이다. 또한, 체내에서 SIRT1이 활성화되면 다양한 전사조절인자들을 탈아세틸화시킴으로써 α-세크라타제를 활성화시킨다.
한편 니코틴 수용체 저해제인 ABT-418, 무스카린 수용체 저해제인 자노멜린, 아세틸콜린 전구체인 레시틴, 아세틸-L-카르니틴, 금속 킬레이터인 데스페리옥사민, 리오퀴놀, 베타-쉬트 브레이커인 iAβ5, iAβ11, 항산화제인 비타민 E, 은행잎 추출물, 멜라토닌, 이데베논, sAPP 방출제인 니코틴, 아세틸콜린, 카바콜, 베타 세크라타제 또는 감마 세크라타제 저해제인 OM99-1, OM99-2, OM99-3, Z-VLL-CHO, 항염증제인 NSAIDs계 약물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효과가 약간의 병리적 증상을 완화 또는 진행 정도를 늦추는 정도로 생겨 미미하거나 자체의 독성때문에 실제 적용이 어려운 물질이 대부분이어서 안정하며 효과적인 AD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생지황(Rehmannia glutinosa)은 현삼과(Scrophulariaceae) 식물인 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sch.)의 근경으로, 주성분으로는 카탈폴(Catalpol), 베르바스코스 만니톨(Verbascose mannitol), 글루코스(Glucose), 마니노트리오스(Maninotriose), 비타민 A(Vitamin A)를 포함하고 있다. 생지황은 성분이 차고 맛이 달며 독이 없고 모든 열을 풀어주고 피를 깨뜨리며, 신음을 보하고 정(精)과 혈을 북돋아 주며, 혈증(血症)을 다스리는데 쓰인다.
홍삼(紅蔘)은 수삼(水蔘, Panax ginseng C.A. Meyer)의 뿌리를 쪄서 말린 붉은 인삼을 말한다. 홍삼의 주요 성분으로는 백삼과 같이 배당체(glycosides), 인삼향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 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있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외에도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와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피로회복, 면역력 증진,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한 혈액 흐름 개선에 관한 기능성이 인정되었다.
백복령(Poria cocos Wolf)은 흰솔풍령이라고도 불리며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버섯으로써,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중초를 보해주며 습을 빼주고 수액대사를 돕고 정신을 안정시켜주는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전국 각지의 소나무를 베어낸 곳에 자라며 재배도 한다. 베어 낸 지 여러 해 지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라는데, 소나무 그루터기 주변을 쇠꼬챙이로 찔러서 찾아낸다. 지름 30~50㎝ 쯤의 덩어리로 겉은 소나무 껍질처럼 거칠고 속은 희다. 적송의 뿌리에 기생하며 맛은 달고 심심하며 성질이 평(平)하여 보(補)하는 작용이 있고 이뇨작용을 하지만 강하지 않다. 옛날부터 강장제로 사용되었다. 폐경(肺經)·비경(脾經)·심경(心經)·신경(腎經)·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하여 비장을 보하고 가래를 삭이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약리실험 결과에 의하면 이뇨작용과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 진정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면역 부활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비장이 허(虛)하여 몸이 붓는 경우와 담음병에 사용한다. 또, 게우는 데나 복수·설사·건망증·수면장애 등에도 처방한다. 위·간·이자·신장 등의 질병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질병을 앓고 난 후 허약한 사람이나 만성 위장병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이용되고 남녀의 임독성 질병은 물론 모든 성병과 부인병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밀(Apis cerana)은 기를 더해주고 중초(中焦)를 보해주고 폐를 자양하며 마른 것을 부드럽게 해주고 장을 부드럽게 하며 통증을 멎게하고 해독 살충하는 효능이 있는 꿀의 약재명이다.
구기자(Lycium chinense)는 가지 과에 속하는 구기자나무의 열매이다. 구기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장과이고 건조시켰을 때에 겉이 쭈글쭈글하고 속에는 많은 씨가 들어있다. 구기자의 성분은 Carotene 3.39㎎%, vitamin B1 0.23㎎%, vitamin B2 0.33㎎%, nicotin acid 1.7㎎%, vitamin C 3㎎%을 함유하고, β-sitosterol, linoleic acid 등 각종 무기성분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강장보신(强壯補身) 및 강압명목(强壓明目)의 효과를 지니고 있고, 저비중 콜레스테롤의 장내흡수를 억제 강하하여 간장보호에 효과적이며, 고혈압, 협심증, 동맥경화 및 당뇨병 등의 성인병에 탁월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지니고 있는 동시에, 시력보호 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山茶萸科:Cornaceae)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산수유나무 (Cornus officinalis Sieb. et.Zucc)의 성숙한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과육과 씨앗을 분리하여 육질은 술과 차 및 한약의 재료로 사용하며 과육(果肉)에는 코르닌(cornin),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타닌(tannin), 사포닌(Saponin) 등의 배당체와 포도주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그밖에 비타민 A와 다량의 당(糖)도 포함되어 있다. 종자에는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성분 중 코르닌은 부교감신경의 흥분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과육을 약용하였다.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등에 의하면 강음(强陰), 신정(腎精)과 신기(腎氣)보강, 수렴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 두통, 이명(耳鳴), 해수병, 해열, 월경과다 등에 약재로 쓰이며 식은땀, 야뇨증 등의 민간요법에도 사용된다. 차나 술로도 장복하며, 지한(止汗), 보음(補陰) 등의 효과가 있다.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는 공 모양으로 지름 약 1cm이고 짙은 붉은 빛깔이다. 속에는 붉은 즙과 불그스레한 갈색 종자가 1∼2개 들어 있다.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5가지 맛이 나며 그 중에서도 신맛이 강하다. 종류에는 오미자(북오미자), 남오미자, 흑오미자 등이 있다. 시잔드린, 고미신, 시트럴, 사과산, 시트르산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쓴다. 폐 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 거담 작용이 있어서 기침이나 갈증 등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말린 열매를 찬물에 담가 붉게 우러난 물에 꿀, 설탕을 넣어 음료로 마시거나 화채나 녹말편을 만들어 먹는다. 밤, 대추, 미삼을 함께 넣고 끓여 차를 만들거나 술을 담그기도 한다.
백하수오(Cynanchum wilfordii)는 자양(字樣), 강장(强壯), 보혈(補血), 익정(益情)의 용도로 사용되며, 레시틴성분과 부신피질호르몬 형태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동맥경화증을 예방하고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통변시키며, 신경쇠약을 안정시키고 조루증을 치료한다. 동의보감에는 염증을 삭히고 가래와 담을 없애며 종기, 치질, 만성피로로 몸이 마르는 것, 산후병, 대하 등을 치료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03395호에 고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성 치매 또는 알츠하이머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공지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99960호에 식물에서 유래한 플라보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 공지되어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7종의 허브식물과 백밀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면역증강 또는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는 공지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7종의 허브식물과 백밀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면역증강 또는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생지황 뿌리 20중량%, 홍삼근 20중량%, 백복령 뿌리 10중량%, 백밀(꿀) 10중량%, 구기자 열매 10중량%, 산수유 열매 10중량%, 오미자 열매 10중량% 및 백하수오 뿌리 10중량%를 수세건조 후 세밀한 것을 배합한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 총 중량의 20배(w/w)의 정제수를 가수하여 약탕기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허브식물의 열수추출물을 2겹 거즈로 여과한 다음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농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감압농축한 열수추출물을 동물실험 및 세포실험을 통해 효능을 시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에서 얻은 열수추출물을 공시재료로 사용하여 면역증강과 치매 예방 및 개선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7종의 허브식물과 백밀을 중량비 2:2:1:1:1:1:1:1의 열수추출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면역증강 또는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실험동물에 복강투여에 따른 체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RAW 264.7 세포에 투여했을 때 NO 방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C57BL/6 마우스 비장세포에 투여했을 때 B-림프구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5xFAD 마우스에 복강투여했을 때 마크로파지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5xFAD 마우스에 복강투여했을 때 SIRT1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5xFAD 마우스에 복강투여했을 때 Amyloid bet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HEK293 세포에 투여했을 때 sAPP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HEK293 세포에 투여했을 때 sAPP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로 이루어진 혼합 허브식물에서 열수추출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실시예1. 본 발명 8종 약재의 허브식물의 열수추출물의 제조
생지황 뿌리 200g, 홍삼근 200g, 백복령 뿌리 100g, 백밀(꿀) 100g, 구기자 열매 100g, 산수유 열매 100g, 오미자 열매 100g 및 백하수오 뿌리 100g을 칭량하여 세밀하고 배합한 다음(표1) 증류수를 허브식물 총 중량의 20배(w/w)를 가수한 후 가스 약탕기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였다. 상기 열수추출물을 냉각한 후 2겹 거즈로 여과한 다음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농축하여 열수추출물의 농축액 2kg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 원료성분 배합비(중량%)
구분 명칭 함량
1 생지황 뿌리 20
2 홍삼근 20
3 백복령 뿌리 10
4 백밀(꿀) 10
5 구기자 열매 10
6 산수유 열매 10
7 오미자 열매 10
8 백하수오 뿌리 10
Total amount 100
실시예2. 실험동물 준비실험동물은 7주령의 수컷 5xFAD 마우스와 C57BL/6를 구입하여 1주일간 새로운 사육환경(온도 22±3℃, 습도 50±10%)에 적응시키고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식하도록 하였다.
실험예1.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 투여시 체중변화
상기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2의 실험동물에 1, 10, 100mg/mL 농도로 복강투여하였고 1주일간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여 변화를 확인하였다.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복강투여하였다.
실험 결과, 도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 1~100mg/mL 농도에서 실험동물의 급격한 체중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 투여가 건강에 유해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2.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의 독성
본 발명 상기 실시예1에서 얻은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의 독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RAW 264.7 세포가 5 x 104cells/well이 되도록 24 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에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1, 10 및 100mg/mL 농도로 함유한 세포배양액으로 교환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를 48시간 배양한 후 MTT assay를 실시하여 살아있는 세포수를 formazan을 isopropanol에 용해시킨 다음 57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대조군으로는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하기 표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은 독성이 없는 무독성(non-toxic)임을 확인하였다
Saline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ug/mL)
1 10 100
1 1.196 0.987 0.965 0.944
2 1.161 1.061 0.987 0.951
3 1.148 0.971 0.961 0.991
Mean 1.168 1.006 0.971 0.962
% of control 100.0 86.1 83.1 82.3
실험예3. 항산화활성 측정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기 위해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uM DPPH 1mL와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 1mL를 혼합하여 상온, 암소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ascrobic acid를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은 LPS로 자극을 주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하기 수학식1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실험 결과, 도2에서 알 수 있듯이 음성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이 증가되어 항산화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4. NO 방출량을 통한 면역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NO 방출량을 측정하여 면역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RAW 264.7 세포를 LPS 100ng/mL 농도로 자극을 준 후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10mg/mL 농도로 처리하여 NO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LPS 무처리군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도3에서 알 수 있듯이 10mg/mL 농도에서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의 NO 방출량이 74.3%로 다량의 NO를 방출시켜 면역 활성이 현저히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5. B-림프구 자극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B-림프구 자극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2에 기재된 C57BL/6 마우스를 비장적출실험에 사용하였다. 비장세포는 10% FBS가 첨가된 RPMI1640 배지에서 배양하여 48well plate에 옮긴 후 LPS를 25ug/mL 농도로 자극을 준 후 상기 실시예1에서 얻은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10mg/mL 농도로 처리하여 2일동안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실험결과, 도4에서 알 수 있듯이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에서 B-림프구가 활성화되어 면역활성이 현저히 증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6. 마크로파지 활성을 통한 면역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100mg/kg 농도로 상기 실시예2의 5xFAD 마우스에 복강투여하고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동일조건으로 투여하였다. 마우스에 복강 투여 2일 후 희생시켜 마크로파지(macrophage)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마크로파지를 1x108 개/mL 농도로 RPMI 1640 배지에 재분산시키고 분산액을 200uL씩 분주한 다음 37℃에서 24시간 동안 5% CO2 배양기에서 배양시켰고 0.1% Triton X-100을 첨가하여 세포막을 용해시켜 분비되는 리소좀의 포스파타아제의 양을 ELISA reader기로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마크로파지 활성 증강을 통해 면역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5에서 알 수 있듯이 양성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마크로파지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어 면역활성 증강효과가 입증되었다.
실험예7. SIRT1 수준 증가 측정
치매 예방 및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추출물을 100mg/kg 농도로 상기 실시예2의 5xFAD 마우스에 복강투여하여 SIRT1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마우스에 복강 투여 2일 후 희생시켜 뇌조직을 적출하여 액화질소로 급속 냉각시켰고 실험시 사용하였다. 상기단계에서 적출한 뇌조직을 BCA 정량법으로 단백질량을 정량하였고 50ug의 단백질을 10% SDS-PAGE 젤을 이용하여 웨스턴블롯을 시행하여 SIRT1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생리식염수를 양성 대조군으로는 resveratrol 10uM 농도로 투여하였다.
실험 결과, 도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이 양성 대조군에 비해 SIRT1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의 치매 예방 및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8. Aβ 억제효과 측정
치매의 원인이 되는 Aβ의 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치매 예방 및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100mg/kg 농도로 상기 실시예2의 5xFAD 마우스에 복강투여하고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동일조건으로 투여하였다. 마우스에 복강 투여 2일 후 희생시켜 혈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혈액 중 상층액(serum)만을 분리해 Aβ 정량 Elisa kit(Thermo fisher)를 사용하여 Aβ량을 정량하였다.
실험 결과, 도7에서 알 수 있듯이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 8종의 허브식물의 열수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Aβ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 8종의 허브식물의 열수추출물에 의해 치매의 원인이 되는 Aβ의 생성이 현저히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9. sAPPα 및 sAPPβ 발현량 측정
sAPPα 및 sAPPβ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치매 예방 및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EK293 세포를 plate에 10% FBS 및 1% streptomycin이 첨가된 DMEM배지를 이용하여 세포가 80~90% 자라도록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고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배양액에서 배지를 제거 후 세포를 0.9mL DMEM 배지로 회수한 후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10mg/mL 농도로 현탁한 것 0.1mL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 대신 DMEM 배지 0.1mL을 첨가하여 이용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배양한 배양물을 10% SDS-PAGE 젤을 이용하여 웨스턴블롯을 시행하여 sAPPα 및 sAPPβ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도8 및 도9에서 알 수 있듯이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에서 sAPPα의 발현량은 증가하였고 sAPPβ의 발현량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에 의해 SIRT1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여 α-세크라타제 발현이 증가하였고 이로써 sAPPα 발현량은 증가, sAPPβ의 발현량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어 치매의 원인이 되는 Aβ의 생성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에 포함할 수 있는 식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 락토즈,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설탕시럽, 메틸셀룰로즈,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이 바람직하였다.
또, 상기 성분들 외에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중에서 선택하여 그 어느 하나의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었다.
이하에는 본 발명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제의 구체적인 조성을 설명한다.
제조예1. 건강 보조 식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의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은 하기 표3의 성분함량으로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본 제품은 환제, 캡슐제 등 제형으로 제품화 할 수 있다.
식품 성분 함량
재료명 함량(중량%)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 농축액 75.37
비타민A아세테이트 0.01
비타민E 0.08
비타민B1 0.01
비타민B2 0.01
비타민B6 0.04
비타민B12 0.00
비타민C 0.75
비오틴 0.00
니코틴산아미드 0.13
엽산 0.00
판토텐산 칼슘 0.04
황산제1철 0.13
산화아연 0.06
탄산마그네슘 1.91
제1인산칼륨 1.13
제2인산칼슘 4.15
구연산칼륨 6.78
탄산칼슘 7.54
염화마그네슘 1.87
합계 100.00
제조예2. 발효 음료 제조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의 농축액이 함유된 음료를 하기 표4의 함량으로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본 제품은 팩의 제형으로 제품화하였다.
음료 성분 함량
재료명 함량(중량%)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 농축액 10.0
액상과당(wt%) 12.0
덱스트린(wt%) 0.5
구연산(wt%) 0.13
젖산칼슘(wt%) 1.6
비타민C(wt%) 0.03
구연산삼나트륨(wt%) 0.02
젤탄검(wt%) 0.03
정제수(wt%) 잔량
합계(wt%) 100.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 등 8종 약재의 열수추출물은 면역활성 증진은 물론 치매 예방 및 개선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건강 기능성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생지황 뿌리, 홍삼근, 백복령 뿌리, 백밀, 구기자 열매, 산수유 열매, 오미자 열매 및 백하수오 뿌리를 중량비 2:2:1:1:1:1:1:1로 이루어진 8종 약재를 세밀하여 얻은 분말에 20배(w/w)의 정제수를 가수하여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다음, 냉각 후 2겹 거즈로 여과한 후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농축하여 제조된 열수추출물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아밀로이드-베타의 생성을 억제하는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 락토즈,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셀룰로즈,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90108040A 2019-09-02 2019-09-02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92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40A KR102092509B1 (ko) 2019-09-02 2019-09-02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40A KR102092509B1 (ko) 2019-09-02 2019-09-02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455A Division KR20180117088A (ko) 2018-10-19 2018-10-19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299A true KR20190104299A (ko) 2019-09-09
KR102092509B1 KR102092509B1 (ko) 2020-03-23

Family

ID=6795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040A KR102092509B1 (ko) 2019-09-02 2019-09-02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050B1 (ko) 2021-05-25 2024-02-28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참당귀를 포함하는 한방차의 제조방법
KR20230099385A (ko) 2021-12-27 2023-07-04 참들애바이오푸드영농조합법인 하수오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508A (ko) * 2004-01-15 2005-07-21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신경세포 보호활성이 있는 복합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71704A (ko) * 2007-12-28 2009-07-02 퓨리메드 주식회사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19852B1 (ko) * 2014-10-14 2015-05-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백하수오, 건지황, 원지 및 석창포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또는 인지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3916A (ko) * 2015-06-12 2015-07-01 김병균 오미자 혼합 추출 음료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508A (ko) * 2004-01-15 2005-07-21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신경세포 보호활성이 있는 복합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71704A (ko) * 2007-12-28 2009-07-02 퓨리메드 주식회사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19852B1 (ko) * 2014-10-14 2015-05-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백하수오, 건지황, 원지 및 석창포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또는 인지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3916A (ko) * 2015-06-12 2015-07-01 김병균 오미자 혼합 추출 음료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509B1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4376A (ko) 철갑상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92509B1 (ko)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077152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24704B1 (ko) 탈모 또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KR100516180B1 (ko) 항고지혈증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4624263B2 (ja) ツボクサとゴマを含む、脳の強壮剤としての薬草製剤
US7399491B2 (en) Health promoting functional foods fortified with herbs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Roy et al. Herbs Used In Peptic Ulcer: A Review.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WO2018182151A1 (ko) 치매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167628B1 (ko)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KR20180117088A (ko)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0803385B1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용 조성물과 식품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1285A (ko) 가랑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및 혈관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20140146017A (ko) 남성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18215B1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