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704A -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704A
KR20090071704A KR1020070139575A KR20070139575A KR20090071704A KR 20090071704 A KR20090071704 A KR 20090071704A KR 1020070139575 A KR1020070139575 A KR 1020070139575A KR 20070139575 A KR20070139575 A KR 20070139575A KR 20090071704 A KR20090071704 A KR 20090071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dementia
tmt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현수
강문규
김재윤
이나연
김영은
심인섭
Original Assignee
퓨리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리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퓨리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1704A/ko
Priority to PCT/KR2008/007751 priority patent/WO2009091130A2/en
Publication of KR2009007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4Alismataceae (Water-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능력, 기억능력 및 인지능력에 관여된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숙지황, 구기자, 산약, 산수유, 백봉령, 목단피 및 택사로 이루어진 생약재 혼합물인 구기지황탕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기지황탕, 치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인지능력, 학습능력, 기억능력

Description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dementia}
본 발명은 학습, 기억력 및 인지능력에 관여된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숙지황, 구기자, 산약, 산수유, 백봉령, 목단피 및 택사로 이루어진 생약재 혼합물인 구기지황탕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양 약초들은 많은 유용한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고, 그 물질들은 많은 신경퇴행성질환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보고들은 동양약초들은 신경퇴행성질환의 발현을 막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발표하고 있다.
또한, 많은 연구 결과들은 전통적인 생약재가 신경퇴화 질병의 병리학적 결과를 막는데 잠재력이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생약재를 이용하여 신경퇴행성질환, 특히 치매를 치료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자들 또한 생약재를 이용하여 치매를 치료하고자 계속적인 연구를 하였고, 그 결과, 숙지황, 구기자, 산약, 산수유, 백복령, 목단피 및 택사로 이루어 진 생약재를 알콜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이 기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부터, 치매 또는 알츠하이머병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특성중의 하나가 기억능력 감퇴이기 때문에, 이 생약재 알코올 추출물을 치매 또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한국특허 제 491429호).
그러나, 기억력 감퇴는 치매 또는 알츠하이머병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나타내는 하나의 특성일 뿐, 단순히 기억능력을 증진시키는 것만으로는 치매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고 할 수는 없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치매의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생약재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하였다.
즉, 병리학적으로 치매가 어떻게 오는지에 대해서는 완전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간접적으로 치매환자들의 뇌에서 정상적인 사람보다 아세틸콜린을 합성하는 콜린아세틸트랜스퍼라제(ChAT)가 감소한다는 사실로부터, 콜린아세틸트랜스퍼라제의 활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학습능력, 인지능력, 기억능력 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는 생약재 성분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숙지황, 구기자, 산약, 산수유, 백봉령, 목단피 및 택사로 이루어진 생약재 혼합물인 구기지황탕의 열수 추출물이 상기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능력, 인지능력 및 기억능력의 저하 및, 콜린아세틸트랜스퍼라제의 활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치매 또는 알츠하이머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약제학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매 또는 알츠하이머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숙지황 : 구기자 : 산약 : 산수유 : 백복령 : 목단피 : 택사가 30~40 : 30~40 : 10~20 : 10~20 : 5~10 : 5~10 : 5~10 중량비(w/w)로 이루어진 생약재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은 숙지황 : 구기자 : 산약 : 산수유 : 백복령 : 목단피 : 택사가 30~40 : 30~40 : 10~20 : 10~20 : 5~10 : 5~10 : 5~10 중량비(w/w)로 이루어진 생약재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첨가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 생약 성분구성을 효과적으로 조성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상품화함으로서, 장기간 복용이나 다소의 과다 복용으로도 부작용이나 독성을 일으키지 아니하므로 의약품 또는 건강식품 개념으로 누구나 편안하게 복용하여 치매를 사전에 예방하고 지속적인 치매 치료를 통해 확실한 투여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학습능력, 인지능력 및 기억력 향상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수험생과 일반인들의 기능성 식품과 건강식품으로도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숙지황, 구기자, 산약, 산수유, 백봉령, 목단피 및 택사로 구성된 생약재 혼합물인 구기지황탕의 열수 추출물로서, 구기지황탕을 구성하는 각각의 생약재 성분은 다음과 같은 효능을 갖고 있다.
즉, 숙지황(熟地黃; Steamed Rehmannia Radix, Rehmannia glutinosa (GAERTNER )LIBOSCHITZ)은 혈당 강하 작용, 순환기 계통에 작용하여 강심 및 이뇨작용, 간기능 보호작용 및 항균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가진다.
구기자(枸杞子; Lycium Fructus, Lycium chinense MILL.)는 비특이성 면역 증강 작용이 있어서 망상내피 계통의 탐식 능력을 현저하게 높이는 동시에 조절작용, 구기자를 달인 물은 조혈기능 촉진작용 및 생물자극제로 닭의 사료에 섞어 주면 달걀의 무게와 수를 크게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혈압과 혈당 강하작용, 콜레 스테롤치의 강하 작용, 항 지방간의 작용, 생장 촉진 작용, 암세포 억제작용 및 자궁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가진다.
산약(山藥; Discoreae Rhizoma, Discorea batatas DECNE.)은 혈당을 내리며 소화기 계통에 작용하여 장관의 조율성 활동에 현저한 작용을 하고 항노화 작용이 있어 수명연장 효과 등의 약리작용을 가진다.
산수유(山茱萸; Cornus Fuctus,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 )는 혈당강하작용, 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 포도상 구균, 이질균의 억제작용, 복수암 세포의 억제작용, 면역계통에 림프세포 증식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및 심근의 수축력 증진 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가진다.
백복령(白茯笭; Hoelen, Poria cocos(FR.)WOLF)은 이뇨 작용, 혈당강하 작용, 심장의 수축력 증가작용 및 면역증강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가진다.
목단피(牧丹皮; Moutan Cortex Radicis, Paeonia suffruticosa ANDR)는 진통, 진정, 해열, 항경련작용, 항염증작용, 혈전형성억제작용, 항알러지작용 및 위액분비억제 등의 약리작용을 가진다.
택사(澤瀉; Alismatis Rhizoma, Alisma canaliculatum A. BR. et BOUCHE)는 이뇨작용, 이명과 시력저하 개선 등의 약리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한 효능을 갖는 숙지황 : 구기자 : 산약 : 산수유 : 백복령 : 목단피 및 택사를 30~40 : 30~40 : 10~20 : 10~20 : 5~10 : 5~10 : 5~10 중량비(w/w)로 혼합한 후, 물로서 열수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생약재 혼합물에 불순물이 함유되지 않은 증류수(distilled water), 특히 3차 증류수를 첨가하여 80 내지 1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공한다.
이때, 열수 추출의 온도가 80℃ 보다 낮거나 시간이 1시간 보다 짧은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잘 용출되지 않으며, 온도가 100℃ 보다 높거나 시간이 3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유효성분이 분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온도와 시간의 범위에서 열수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열수 추출방법은 환류 추출법과 가압증류법에 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 방법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은 열수 추출 후, 추출액을 여과하여 농축하거나, 농축된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여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법으로 얻어진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치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약재 추출물을 0.01~99.9%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50%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 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를 함유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약물 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100 mg/kg 내지 8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0 mg/kg 내지 6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바람직하게는 1~6회를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흰쥐에 경구 투여, 복강 내 투여 및 피하 주사시의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복강 내 투여 독성시험에 의한 최소 치사량(MLD)은 적어도 생약재 추출물 5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치료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식품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원료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보혈제, 보양제, 피부미백제 등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 요법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청심연자음 등과 같은 여러 한의학 처방들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구기지황탕 추출물의 제조
아래의 표 1 의 비율에 따른 숙지황, 구기자, 산약, 산수유, 백복령, 목단피 및 택사의 혼합 분말 600g을 3차 증류수 1ℓ가 담긴 플라스크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환류 추출에 의한 열수 추출을 하고, 거즈로 여과한 여액을 감압여과기(Eyela. Japan)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구기지황탕'이라 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120g의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성분 함량(g)
숙지황(Steamed Rehmannia Radix(Korea)) 16
구기자(Lycium Fructus(Korea)) 16
산약(Discoreae Rhizoma(Korea)) 8
산수유(Cornus Fuctus(Korea)) 8
백복령(Hoelen(Korea)) 4
목담피(Moutan Cortex Radicis(Korea)) 4
택사(Alismatis Rhizoma(Korea)) 4
합계 60
<참고예 1> 실험 준비
<1-1> 실험 동물 준비
수놈 스프라그-다우리 랫트를 사용했으며, 체중은 250-280g이었다. 이들 실험동물은 경기도에 있는 샘타코 실험동물회사로부터 구입했다. 실험을 행하기전 실험동물들은 적어도 1주일간 환경에 적응을 시켰다. 이들 실험동물들은 빛이 통제된 조건(12/12-hr light/dark cycle)하에서 각 개인 케이지에서 사육되었다. 사육실 온도는 23℃로 유지되었으며, 실험동물들이 동물사료와 물을 원하는대로 섭취하도록 놔두었다.
<1-2> 약물 처리
실험 동물들은 다음의 네 그룹으로 나누어 약물처리를 하였다.
(1) 정상군 - 전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그룹. 이하 "Normal" 혹은 "Nor"라 칭함.
(2) TMT(Trimethyltin) 처리군- TMT 6.0 mg/kg를 0.9% 생리식염수에 녹여 실험동물에 복강투여한 그룹. 이하, "TMT" 혹은 "TMT+CON"라 칭함.
(3) TMT 및 혼합 생약재 추출물 처리군- TMT 6.0 mg/kg를 0.9% 생리식염수에 녹여 실험동물에 복강투여하여 각자의 케이지로 돌려보낸 다음, 혼합 생약재 추출물 400 mg/kg을 생리식염수에 녹여 2주동안 구강으로 투여한 그룹. 이하 "TMT+GJT"로 칭함.
(4) TMT 및 구기자 처리군- 혼합 생약재 추출물 대신에 구기자를 투여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TMT+GJT 그룹과 동일하게 처리한 그룹. 이하, "TMT+LF"로 칭함.
<실험예 1> 모리스(Morris) 수중 미로를 이용한 공간 학습 및 기억능력 측정
수중미로는 유리섬유(fiberglass)적층재로 만들어진 둥근 수조이다. 하얀색으로 전체가 칠해져 있고 직경은 200cm이며 높이는 35cm이다. 그 수중미로는 21cm높이로 물이 채워져 있고 물의 온도는 23ㅁ 2℃로 유지되었다. 그 수조는 테두리로부터 똑같은 거리의 북, 동, 남, 서의 방향으로 4개의 사분원으로 나뉘어 진다. 수중미로 실험동안, 직경 15cm, 높이 20 cm의 투명한 도피대를 수조벽면으로부터 약 50cm 떨어지게 북동사분면 중심 수면 밑 1.5 cm에 위치하게 한다. 수조바깥쪽에 방향을 알 수 있는 표징을 표시하여 동물들이 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한다. 그 표징들은 실험 기간 내내 남아있게 한다. CCD 카메라는 수조 바로위 벽면에 부착하고 비디오리코더 및 추적장치(tracking device) (SMART; Pan-Lab, Barcelona, 스페인)에 연결시켜 컴퓨터에서 자동적으로 동물에 의해 이동된 경로를 기록한다.
TMT를 투여한 후, 15일째 되는 날부터 동물들은 6일동안 계속해서 하루에 4번의 훈련과 도피대 찾기 실험 3번씩을 받았다. 각 동물들은 7일째 도피대를 제거한뒤 도피대 위치를 찾아내는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동안 동물들은 위에서 언급한 고정된곳에 있는 숨겨진 도피대를 찾도록 훈련을 받는다. 각 도피대 찾기 실험은 최대 180초 동안 지속되었고 수면밑에 있는 도피대를 찾아내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록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도피대를 찾아내는 시간이 6일 동안 훈련을 받는 동안 상당한 정도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정상군(Normal)과 비교해 TMT 처리군은 매우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는 TMT가 콜린성 뉴론을 파괴하여 기억력을 손상시킴을 의미한다. 하지만, TMT에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처리한 그룹은 거의 정상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TMT 처리군과는 1일부터 5일까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TMT에 의해 손상된 콜린성 뉴론을 회복시켜 기억력이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동물들은 6일 동안 상기 실험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훈련시키고, 7일째 되는 날 도피대를 치우고 도피대가 있었던 반대쪽에 동물들을 풀어놓고 도피대가 있었던 사분원을 포함한 다른 사사분면에서 머문 시간을 전체 60초 동안 측정하였고 나중에 각 사분원에서 머문 시간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피대가 포함된 사분원에 머문시간의 전체 퍼센트가 7일째 도피대를 치우고 시험한날에 TMT에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처리한 그룹은 거의 정상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TMT 처리군과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로 TMT에 의해 손상된 콜린성 뉴론을 회복시켜 기억력이 또한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치매 동물 모델에서의 신경 화학적 변화에 관한 실험
해마(Hippocampus) 부위에서 ChAT(choline Acetyltransferase) 및 PKC(단백질인산화효소) 면역화학조직염색을 통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성 신경세포 및 하향류(down-stream) 신호전달관여 단백질을 관찰하였다.
즉, 모든 행동 실험이 끝난 직후 실험동물을 소듐펜토바비탈(sodium pentobarbital(100mg/kg, i.p.)로 마취시키고 4% 포르마린 고정액을 심장을 통해 관류시킨 다음 뇌를 꺼내 같은 고정액으로 2~3시간동안 고정시키고, 마이크로톰(microtome(Leica, CM1850, 독일))을 이용하여 뇌 조직을 배측(dorsal)과 복측(ventral)의 해마, 내측 중격 부위에서 30㎛의 두께로 자른 다음 제1기 면양 다클론성 ChAT 항체( Primary sheep polyclonal ChAT antibody) 및 PKC 항체(Cambridge Research Biochemicals, Wilmington, DE, 미합중국)와 함께 4℃에서 72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흔들어 주면서 배양하였다.
그 후 3회 이상 조직을 PBST로 씻은 다음 2시간 동안 실온에서 2% 토끼 혈청을 함유하는 PBST에서 200배 희석한 biotinylated anti-sheep serum(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 USA)에 반응시킨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Vectastain Elite ABC reagent(Vector)에 담구고, PBS로 몇 번 헹군 다음 조직을 염화니켈(nickel chloride)로 강화시키고 착색제로서 디아미노벤즈아딘(diaminobenzadine(DAB))을 사용하여 발현시켰다. 모든 처리를 거친 뇌 조직을 젤라틴 도포 슬라이드(gelatine-coated slide)에 고정하고 공기를 제거하면서 커버글라스를 덮은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200ㅧ 200㎛ 크기의 현미경 4각 격자(rectangle grid)를 사용하여 200배로 확대하여 해마에서 ChAT와 PKC-면역활성(immunoreactive)신경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도 3으로부터, TMT+GJT 그룹이 TMT 처리군과 비교해 상당한 정도의 ChAT가 회복됨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로 TMT에 의해 손상된 콜린성 뉴론이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4로부터 TMT+GJT 그룹이 TMT 처리군과 비교해 상당한 정도의 PKC가 회복됨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로 TMT에 의해 손상된 콜린성 뉴론이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들로부터, TMT처리는 해마의 CA1과 CA2에서의 ChAT 및 PKC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는 이부위들에서 이들 활성의 감소를 회복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와 관련한 동물행동실험인 수중미로시험에서 총 6일동안 첫날부터 다섯째날까지 유의성 있게 도피대를 찾는 시간을 줄였고, 7일째 도피대를 치우고 도피대가 있는 사분원에 머문시간을 잰 결과, TMT 처리군과 비교해 매우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TMT에 의해 손상된 해마부위의 콜린성 뉴론이 본 발명의 조성물 의해 회복되어 콜린성 뉴론의 대표적인 활성 지표인 ChAT 및 PKC의 활성을 회복시키는 결과에 의해 앞에서 설명한 수중미로시험에서의 실험동물들의 공간학습 및 작업기억능력의 감소를 회복시키는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매치료환자의 손상된 학습 및 기억능력, 인지능력 등을 회복시킬 수 있어 치료의 예방 및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0㎎, 옥수수전분 90.0 ㎎, 유당 180㎎, 엘-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8.0㎎, 폴리비닐피롤리돈 5.0㎎ 및 에탄올 적량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습식과립법으로 과립화하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8 ㎎을 가하여 혼합한 후 1정이 600㎎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제제예 2> 연질 캅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0㎎, 콩기름 180.0㎎, 황납 40.0㎎, 야자경화유 128.0㎎, 대두인지질 20.5㎎, 젤라틴 212.0㎎, 글리세린(비중 1.24) 50.0㎎, d-소루비톨 76.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54㎎,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90㎎, 메칠바닐린 0.56㎎ 및 황색 203호 적량을 약전 제제 총칙중 연질캅셀의 제법에 따라 1 캅셀 중에 함유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0mg, 옥수수전분 83.0mg, 유당 175.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0mg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1캅셀에 360mg이 함유되도록 충전하였다.
<제제예 4> 식품 및 음료의 제조
본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4-1> 츄잉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생약재 추출물 0.24~0.64%, 껌베이스 20%, 설탕 76.36~76.76%, 후르츠향 1% 및 물 2%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4-2> 아이스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생약재 추출물 0.24~0.64%, 유지방 10.0%, 무지유고형분 10.8%, 설탕 12.0%, 물엿 3.0%, 유화안정제(스팬, span) 0.5 %, 향료(스트로베리) 0.15% 및 물 63.31~62.91 %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4-3>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혼합 생약재 추출물 0.48~1.28㎎, 꿀 522㎎, 치옥토산아미드 5㎎, 니코틴산아미드 10㎎,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염산피리독신 2㎎, 이노시톨 30㎎, 오르트산 50㎎ 및 물 200㎖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도 1은 네 그룹의 랫트의 모리스 수중 미로 훈련 시험의 인지능력효율의 비교 그래프로서, 각 미로 시험당 평균 이동 수영 시간, 그룹 각각의 하루에 4 회 시험의 6 일 동안의 평균치를 나타낸 것이다(정상그룹의 해당 데이터와 비교한 효율 ; *p < 0.05 , TMT 만을 처리한 그룹의 해당 데이터와 비교한 효율 ; #p < 0.05, TMT 만을 처리한 그룹의 해당 데이터와 비교한 효율; ##p < 0.01).
도 2는 네 그룹의 랫트들의 모리스 수중 미로 시험의 기억 효율의 비교 도표로서, 각 시험당 플렛폼 수영 소요 시간평균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TMT 만으로 처리한 그룹의 해당 데이터와 비교하여 ###p < 0.001).
도 3은 수중 미로 시험 7일 째의 수술 후의 정상, TMT, TMT+LF 및 TMT+GJT 그룹의 해마 부위 CA1과 CA3부분내의 ChAT 면역 활성 세포의 분포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수중 미로 숙달 과제시험 7일 째의 수술 후의 정상, TMT, TMT+LF 및 TMT+GJT 그룹의 해마 부위 CA1과 CA3부분의 PKC 면역 활성 세포들의 분포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6)

  1. 숙지황 : 구기자 : 산약 : 산수유 : 백복령 : 목단피 : 택사를 30~40 : 30~40 : 10~20 : 10~20 : 5~10 : 5~10 : 5~10 중량비(w/w)로 혼합된 생약재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은 생약재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80 내지 1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추출한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환제, 엑기스, 액제, 산제, 분말, 그레뉼, 과립제, 침제, 캅셀제 또는 주사제 형태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숙지황 : 구기자 : 산약 : 산수유 : 백복령 : 목단피 : 택사를 30~40 : 30~40 : 10~20 : 10~20 : 5~10 : 5~10 : 5~10 중량비(w/w)로 혼합된 생약재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과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건강 보조 식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은 생약재 혼합물에 물 을 첨가하여 80 내지 1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추출한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식품.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보조 식품은 껌류, 유제품, 과자류 음료, 차류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식품.
KR1020070139575A 2007-12-28 2007-12-28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71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575A KR20090071704A (ko) 2007-12-28 2007-12-28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CT/KR2008/007751 WO2009091130A2 (en) 2007-12-28 2008-12-29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dement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575A KR20090071704A (ko) 2007-12-28 2007-12-28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704A true KR20090071704A (ko) 2009-07-02

Family

ID=4088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575A KR20090071704A (ko) 2007-12-28 2007-12-28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71704A (ko)
WO (1) WO2009091130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6760A (zh) * 2015-09-30 2015-12-02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治疗小儿脑瘫的中药及其制备方法
WO2018182151A1 (ko) * 2017-03-31 2018-10-04 강기원 치매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90104299A (ko) * 2019-09-02 2019-09-09 강기원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163B1 (ko) * 2014-12-19 2017-01-19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복령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1437B1 (ko) 2014-12-19 2016-11-01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상심자 및 복령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474A (ko) * 1998-06-20 2000-01-15 신민규 퇴행성 대뇌 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KR100491429B1 (ko) * 2002-04-01 2005-05-25 퓨리메드 주식회사 기억능력 증진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KR100842052B1 (ko) * 2004-05-19 2008-06-30 한국 한의학 연구원 뇌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018570A (ko) * 2005-08-10 2007-02-1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육미지황탕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6760A (zh) * 2015-09-30 2015-12-02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治疗小儿脑瘫的中药及其制备方法
WO2018182151A1 (ko) * 2017-03-31 2018-10-04 강기원 치매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90104299A (ko) * 2019-09-02 2019-09-09 강기원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91130A3 (en) 2009-10-22
WO2009091130A2 (en)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40412B (zh) 一种解酒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10111451B2 (en) Food, beverag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astern prickly pea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90014376A (ko) 철갑상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90071704A (ko)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01390B1 (ko)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720695B1 (ko) 변비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4516958B2 (ja) 抗糖尿病用組成物
JP6369931B2 (ja) 抗肥満剤
CN104645294B (zh) 一种治疗小儿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316565B (zh) 一种降血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1759901B (zh) 一种治疗儿童功能性腹痛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031033B (zh) 一种含有枸杞叶的降血糖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940428B (zh) 一种含有枸杞子的降血糖组合物及其用途
CN103432502B (zh) 一种治疗消化性溃疡病的中成药
KR102652533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41350A (ko) 홍삼 추출물 및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363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568564B (zh) 一种多肽组件复合物、多肽组件双层片及制备工艺和应用
KR101914738B1 (ko) 흑삼 꽃봉오리 및 흑삼 지근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80515B1 (ko)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30704A1 (ko) 황기 및 단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107362A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20220157170A (ko) 두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49568A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