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333A - 지지 조립체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지지 조립체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333A
KR20190100333A KR1020197021949A KR20197021949A KR20190100333A KR 20190100333 A KR20190100333 A KR 20190100333A KR 1020197021949 A KR1020197021949 A KR 1020197021949A KR 20197021949 A KR20197021949 A KR 20197021949A KR 20190100333 A KR20190100333 A KR 20190100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rod
slot
position limiting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러 리아오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원은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지 조립체를 제공하고, 제 1 본체, 제 2 본체 및 로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 1 본체는 제 1 위치 제한부 및 제 1 가이드 로드를 포함한다. 제 2 본체는 제 2 위치 제한부와 제 2 가이드 로드를 포함한다. 로드 어셈블리는 신축 구조를 형성하도록 힌지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로드 어셈블리는 제 1 고정 단부, 제 2 고정 단부, 제 1 이동 단부 및 제 2 이동 단부를 포함하며, 제 1 고정 단부와 제 1 위치 제한부가 협동하여 회전축 구조를 형성하고, 제 2 고정 단부와 제 2 위치 제한부가 협동하여 회전축 구조를 형성하며, 제 1 이동 단부는 제 1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이동 단부는 제 2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원은 표시 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원의 지지 조립체는 신축할 수 있으며, 치수 소형화 요구를 만족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스크린 치수를 확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 조립체 및 표시 장치
본원은 휴대 단말기의 플렉서블 스크린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예를 들어, 착용형 스마트 제품)의 발전과 그 응용이 점점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도 점점 더 많아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편리하게 휴대하기 위해 치수 소형화를 요구하거나, 편리하게 시청하기 위해 대화면을 요구하는 등이다. 기존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표시 화면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으며, 표시 화면 크기의 설계에 관하여, 치수가 큰 경우에는 단말기의 소형화에 불리하고, 편리하게 휴대할 수 없으며, 치수가 작은 경우에는 큰 화면으로 시청하는 요구를 충족할 수 없다.
치수 소형화 요구를 만족함과 동시에 대화면 시청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어떻게 설계하는지는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과제이다.
본원의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문제는,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지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지 조립체는 표시 장치의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지지 조립체는 신축할 수 있으며, 치수 소형화 요구를 만족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스크린 치수를 확대할 수 있다.
한 방면으로, 본원은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지 조립체를 제공하며,
제 1 본체, 제 2 본체 및 로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제 1 본체는 제 1 위치 제한부 및 제 1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고,
제 2 본체는 제 1 본체와 대향하게 설치되고, 또한 제 2 위치 제한부 및 제 2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며,
로드 어셈블리는 신축 구조를 형성하도록 힌지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로드 어셈블리는 로드 어셈블리의 한쌍의 대각선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 1 고정 단부 및 제 2 이동 단부와 로드 어셈블리의 다른 한쌍의 대각선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 2 고정 단부 및 제 1 이동 단부를 포함하며, 제 1 고정 단부와 제 1 위치 제한부가 협동하여 회전축 구조를 형성하고, 제 2 고정 단부와 제 2 위치 제한부가 협동하여 회전축 구조를 형성하며, 제 1 이동 단부는 제 1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이동 단부는 제 2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로드 어셈블리의 신축 과정에서 제 1 이동 단부와 제 2 이동 단부는 각각 제 1 가이드 로드와 제 2 가이드 로드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제 1 본체와 제 2 본체 사이의 거리 변화를 실현한다.
다른 한 방면으로, 본원은 또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 플렉서블 스크린과 상기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며, 플렉서블 스크린의 표시 화면 치수의 조정은 지지 조립체의 제 1 본체와 제 2 본체 사이의 거리 변화에 의해 달성된다.
본원의 지지 조립체는 표시 장치에 응용되고, 로드 어셈블리의 신축에 의해 제 1 본체와 제 2 본체 사이의 거리 변화를 실현하며, 따라서 지지 조립체 위에 설치된 플렉서블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치수를 조정하고, 치수 소형화 요구를 만족함과 동시에 시청 화면을 확대하는 요구를 만족할 수 있으며, 또한 제 1 이동 단부는 제 1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이동 단부는 제 2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로드 어셈블리의 신축 과정에서 평활하고 순조로우며, 걸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술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히 소개한다. 다음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할 뿐이고, 당업자는 또한 창조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도 있다는 점이 자명하다.
도 1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집결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다른 방향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전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다른 방향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도이며, 그 중에 플렉서블 스크린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1 본체부분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 1 본체의 제 1 외부 케이싱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제 1 본체의 받침대의 개략도이며, 그 중에서 제 1 가이드 로드는 받침대의 외부에 분해되어 있다.
도 9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제 1 본체의 기판과 로드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제 1 본체의 기판, 받침대 및 제 1 가압 플레이트를 조립한 다음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제 2 본체의 개략도이며, 그 중에서 릴 어셈블리는 제 2 본체에 장착되어 있다.
도 12는 도 11에 표시된 제 2 본체의 받침대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받침대의 다른 방향의 개략도이며, 그 중에서 제 2 가이드 로드는 받침대의 외부에 분해되어 있다.
도 14는 도 11에 표시된 제 2 본체의 다른 방향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로드 어셈블리와 제 1 가이드 로드, 제 2 가이드 로드가 전개 상태에서 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다른 방향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로드 어셈블리와 제 1 본체가 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제 1 연결 로드가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와 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다른 방향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제 2 연결 로드가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와 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로드 어셈블리와 제 1 본체가 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다른 방향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로드 어셈블리와 제 1 가이드 로드, 제 2 가이드 로드가 집결 상태에서 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회전 제한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회전 제한 구조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회전 제한 구조가 제 1 본체의 기판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원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릴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29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샤프트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샤프트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31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샤프트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제 1 엔드 커버의 개략도이다.
도 33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제 2 엔드 커버의 개략도이다.
도 34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릴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35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가 제 2 본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36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가 제 2 본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37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가 제 2 본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38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제 2 본체에 릴 어셈블리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39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전자 부품, 지지대, 연결 시트, 버튼의 분해도이다.
도 40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받침대에 전자 부품이 장착 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41은 도39에 도시된 구조 부재의 다른 방향의 개략도이다.
도 42는 도 39에 도시된 전자 부품, 지지대 및 연결 시트가 받침대에 조립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3은 도 39에 도시된 전자 부품, 지지대, 연결 시트 및 버튼이 받침대와 제 1 외부 케이싱에 조립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4는 도 39에 도시된 전자 부품, 지지대, 연결 시트 및 버튼이 제 1 외부 케이싱 내에 조립되고, 받침대에 조립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5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의 실시예들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다음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고,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는 점이 자명하다.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력 없이 본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원의 명세서, 청구범위 및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의 '첫째', '둘째', '셋째', '네번째'등 용어(존재하는 경우)는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는 데에 사용되며, 꼭 특정 순서 또는 전후 순위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은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 장치는 신축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과 도 2는 집결 상태에 있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고, 도 3과 도 4는 전개 상태에 있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다.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스크린(50)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지 조립체(100)와 플렉서블 스크린(50)를 감는 데에 사용되는 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릴 어셈블리는 지지 조립체(100)의 내부에 숨겨져 있다.
지지 조립체(100)는 서로 마주 향하게 설치된 제 1 본체(10)와 제 2 본체(20) 및 제 1 본체(10)와 제 2 본체(20) 사이에 연결된 로드 어셈블리(30)를 포함한다. 로드 어셈블리(30)는 신축 구조를 형성하도록 힌지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연결 로드를 포함함으로써 제 1 본체(10)와 제 2 본체(20)가 상대적으로 집결되거나 또는 전개되도록 한다. 제 1 본체(10)는 플렉서블 스크린(50)의 일단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 2 본체(20) 내부에는 릴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있으며, 플렉서블 스크린(50)은 릴 어셈블리에 감겨져 있다. 감겨진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되는 과정에서 플렉서블 스크린(50)은 당겨져 릴 어셈블리에서 석방된다.
지지 조립체(100)는 내부 구조를 감싸는 외부 케이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케이싱은 제 1 본체(10) 위에 위치한 제 1 외부 케이싱(11)과 제 2 본체(20) 위에 위치한 제 2 외부 케이싱(21)을 포함한다. 제 2 외부 케이싱(21)은 창구(211)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가 집결 상태에 있을 때, 제 2 외부 케이싱(21)의 창구(211)로부터 플렉서블 스크린(50)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다. 제 1 외부 케이싱(11)의 단부에는 스위치 모듈 버튼(60) 및 충전 인터페이스(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본체(10)는 받침대(12), 기판(14), 제 1 가압 플레이트(16)를 포함하고, 받침대(12), 기판(14) 및 제 1 가압 플레이트(16)는 서로 겹치게 설치된다. 기판(14)과 제 1 가압 플레이트(16)는 받침대(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 2 본체(20)는 베이스(22)를 포함하고, 릴 어셈블리(200)는 베이스(22)에 장착된다.
제 1 외부 케이싱(11)은 서로 마주 향하게 설치된 상부면(112)과 바닥면(114), 상부면(112)과 바닥면(114)의 일측에 연결된 측면(113), 상부면(112), 바닥면(114) 및 측면(113) 사이에 연결된 전단면(115)과 후단면(116)을 포함한다. 상부면(112), 바닥면(114), 전단면(115) 및 후단면(116) 사이에는 제 1 개구가 형성된다. 받침대(12), 기판(14) 및 제 1 가압 플레이트(16)는 조립된 다음에 제 1 개구로부터 제 1 외측 케이싱(11) 내에 배치된다. 제 1 외부 케이싱(11)의 전단면(115)에는 스위치 모듈 버튼(60)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117)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외부 케이싱(11)의 후단면(116)에는 충전 인터페이스(70)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118)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외부 케이싱(11)의 상부면(112)과 측면(113) 사이는 원호면 과도부를 가지며, 제 1 외부 케이싱(11)의 바닥면(114)과 측면(113) 사이도 원호면 과도부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면(112), 측면(113) 및 바닥면(114)은 함께 U자형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부 케이싱(21)은 제 1 외부 케이싱(11)과 유사하며, 제 2 외부 케이싱(21)의 상부면, 측면 및 바닥면은 함께 둘러싸 C자형 구조를 형성한다. 제 2 외부 케이싱(21)의 상부면과 측면의 연결부에는 창구(211)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외부 케이싱(21)의 전단면과 후 단면에는 나사 구멍을 설치할 수 있으며, 나사는 나사 구멍을 관통하여 제 2 본체(20)의 베이스(22)에 나사 결합한다.
본원은 제 1 본체(10)에 제 1 위치 제한부 및 제 1 가이드 로드를 설치하고, 제 2 본체(20)에 제 2 위치 제한부 및 제 2 가이드 로드를 설치하며, 로드 어셈블리(30)는 로드 어셈블리(30)의 한쌍의 대각선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 1 고정 단부 및 제 2 이동 단부와 로드 어셈블리(30)의 다른 한쌍의 대각선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 2 고정 단부 및 제 1 이동 단부를 포함하며, 제 1 고정 단부와 제 1 위치 제한부가 협동하여 회전축 구조를 형성하고, 제 2 고정 단부와 제 2 위치 제한부가 협동하여 회전축 구조를 형성하며, 제 1 이동 단부는 제 1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이동 단부는 제 2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드 어셈블리(30)의 신축 과정에서 제 1 이동 단부와 제 2 이동 단부는 각각 제 1 가이드 로드와 제 2 가이드 로드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제 1 본체(10)와 제 2 본체(20) 사이의 거리 변화를 실현한다. 제 1 가이드 로드와 제 2 가이드 로드는 슬라이딩 궤적 및 가이드 방향을 제공하고, 제 1 가이드 로드와 제 2 가이드 로드의 표면은 모두 매끄럽기 때문에, 제 1 이동 단부와 제 1 가이드 로드 사이의 슬라이딩 협동 및 제 2 가이드 로드와 제 2 이동 단부 사이의 슬라이딩 협동은 모두 매끄러운 협동이며, 마찰력에 의한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배합 부분에 윤활유를 추가하여 로드 어셈블리(30)가 신축할 때 더욱 순조롭게 할 수 있다.
도 8과 도 10을 참조하면, 받침대(12)는 서로 마주 향하게 설치된 상부면(121)과 바닥면(122), 바닥면(122)에 인접한 제 1 측면(12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받침대(12)의 상부면(121)은 플렉서블 스크린(50)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 1 가압 플레이트(16)는 받침대(12)의 상부면(121)에 고정되어 있으며, 플렉서블 스크린(50)은 제 1 가압 플레이트(16)와 받침대(12)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 1 가압 플레이트(16)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표시 장치가 전개되는 과정 또는 집결되는 과정에서, 플렉서블 스크린(50)은 받침대(12)의 상부면(121)에 평탄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 스크린(50)의 평탄도를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제 1 가압 플레이트(16)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고, 플렉서블 스크린(50)을 직접 외부 케이싱(즉 제 1 외부 케이싱(11))과 받침대(12)의 상부면(121) 사이에 끼울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설계 방식은 제 1 외부 케이싱(11)과 받침대(12) 사이의 적합 허용치(fit tolerance)를 확보하여야만 한다.
받침대(12)의 바닥면(122)은 제 1 위치 제한부(124)와 위치 제한 슬롯(125)을 포함하고, 제 1 위치 제한부(124)는 축 구멍 형상을 가지며, 제 1 가이드 로드(126)는 위치 제한 슬롯(125)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위치 제한 슬롯(125)은 길고 좁다란 모양이고, 위치 제한 슬롯(125)의 두개의 단면에 각각 수용 구멍(1252,1254)이 설치되어 있으며, 수용 구멍(1254)은 받침대(12)의 일단을 관통하여 받침대(12)의 외부와 연통된다. 제 1 가이드 로드(126)는 받침대(12)의 외부에서 수용 구멍(1254)을 관통하여 위치 제한 슬롯(125) 내로 들어가 다른 수용 구멍(1252)에 삽입되며, 따라서 제 1 가이드 로드(126)는 위치 제한 슬롯(125)에 장착된다. 수용 구멍(1252)은 나사 구멍이며, 제 1 가이드 로드(126)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12)의 바닥면(122)에는 또한 회로 캐비티(127)와 배터리 캐비티(128)가 설치되어 있다. 회로 캐비티(127)는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배터리 캐비티(128)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배터리 캐비티(128)는 위치 제한 슬롯(125)의 제 1 측면(123)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 위치한다. 회로 캐비티(127)는 배터리 캐비티(128)와 제 1 위치 제한부(124) 사이에 위치한다. 배터리 캐비티(128)와 회로 캐비티(127) 사이에는 버클(129)이 설치되어 있다. 버클(129)에는 제 1 결합 슬롯(1292)이 설치되어 있고, 제 1 위치 제한부(124)의 제 1 측면(123)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 제 2 결합 슬롯(1294)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결합 슬롯(1292)과 제 2 결합 슬롯(1294)은 서로 마주 향하게 설치되고, 양자는 함께 회로 기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14)은 받침대(12)의 바닥면(122)에 장착되고, 기판(14)과 받침대(12)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갭(G)은 제 1 측면(123)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로드 어셈블리(30)를 갭(G) 내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한다. 기판(14)에 있어서의 받침대(12)의 바닥면(122)에 대향하는 표면에는 계단(142)이 설치되어 있고, 계단(142)은 집결 상태에 있는 로드 어셈블리(30)의 위치를 제한하는 데에 사용된다.
기판(14)은 받침대(12)의 바닥면(122)에 대면하는 상부면(141)과 상부면(141)에 인접하는 제 2 측면(143)를 포함한다. 상부면(141)에는 회피 슬롯(144)이 설치되어 있고, 회피 슬롯(144)은 제 2 측면(142)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기판(14)의 제 2 측면(143)과 받침대(12)의 제 1 측면(123)은 동일한 평면에 있다. 제 1 측면(123)과 제 2 측면(141)은 모두 평면이다. 돌출 기둥과 위치 결정 구멍의 협동에 의해 기판(14)과 받침대(12)에 대하여 자리를 정하며, 그 다음에 나사로 고정 연결한다.
로드 어셈블리(30)의 연결 로드는 제 1 연결 로드와 제 2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제 1 연결 로드의 중심 위치와 제 2 연결 로드의 중심 위치는 연결 부재에 의해 힌지 구조를 형성한다. 로드 어셈블리(30)가 집결 상태에 있을 때, 제 1 연결 로드와 제 2 연결 로드는 집결되어 갭(G) 내로 밀어 넣게 되며, 연결 부재는 회피 슬롯(144)에 수용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부재는 나사이다.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2 본체(20)는 베이스(22)를 포함하고, 받침대(12)와 대향하는 베이스(22)의 측면에는 로드 어셈블리(30)를 수납하는 데에 사용되는 슬롯(221)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위치 제한부(224)는 슬롯(221) 내에 설치되고, 제 2 위치 제한부(224)는 나사 구멍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22)의 상부면에는 제 2 위치 제한부(224)와 대향하는 관통 구멍(2241)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220)의 바닥면에는 수용 슬롯(225)(도 13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 슬롯(225)은 슬롯(221)에 연통되고, 제 2 가이드 로드(226)는 수용 슬롯(225)에 장착된다. 제 2 가이드 로드(226)가 수용 슬롯(2250에 장착되는 구체적인 구조는 제 1 가이드 로드(126)가 위치 제한 슬롯(125) 에 장착되는 구체적인 구조와 동일하다.
슬롯(221)의 중간 위치에는 회피 슬롯(2211)이 설치되어 있고, 회피 슬롯(2211)과 제 1 본체(10)의 회피 슬롯(144)은 서로 마주 향하게 설치된다. 표시 장치가 집결될 때, 회피 슬롯(2211)과 및 회피 슬롯(144)은 함께 제 1 연결 로드와 제 2 연결 로드 사이에 힌지 연결된 연결 부재를 수용한다.
베이스(22)의 상부면은 릴 어셈블리(200)를 장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릴 어셈블리(200)는 플렉서블 스크린(50)을 감는 데에 사용된다. 장착부는 서로 마주 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 1 장착부(222)와 제 2 장착부(223)를 포함하고, 제 1 장착부(222)와 제 2 장착부(223)는 각각 베이스(22)의 대향하는 두개의 단면에 위치한다. 제 1 장착부(222)와 제 2 장착부(223) 사이에는 릴 어셈블리(2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장착부(222), 제 2 장착부(223) 및 베이스(22)는 일체 성형된다.
제 1 장착부(222)에는 관통 구멍(2221)이 설치되어 있고, 제 2 장착부(223)에는 관통 구멍(2231)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2221)과 관통 구멍(2231)은 동일한 축에 위치하고 있으며, 릴 어셈블리(200)를 장착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 2 장착부(223)에는 버클 슬롯(2232)과 오목부(2233)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233)는 제 2 장착부(223)의 제 1 장착부(222)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 위치한다. 오목부(2233)와 버클 슬롯(2232) 사이에는 칸막이(2234)가 설치되어 있으며, 버클 슬롯(2232)과 오목부(2233)는 모두 관통 구멍(2231)에 연통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2)에 있어서의 제 1 본체(10)과 마주 향하는 한쪽의 반대측 표면에는 틈새(227,228)가 형성되어 있고, 틈새(227,228)는 슬롯(221)에 연통되어 로드 어셈블리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15와 도 16은 로드 어셈블리(30)와 제 1 가이드 로드(126), 제 2 가이드 로드(226)가 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로드 어셈블리(30)는 힌지로 연결된 제 1 연결 로드(301)와 제 연결 로드(302)를 포함하고, 로드 어셈블리(30)의 한쌍의 대각선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 1 고정 단부(31)와 제 2 이동 단부(34), 로드 어셈블리(30)의 다른 한쌍의 대각선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 2 고정 단부(33)와 제 1 이동 단부(32)를 더 포함한다. 제 1 고정 단부(31)와 제 1 위치 제한부(124)가 협동하여 회전축 구조를 형성하고, 제 2 고정 단부(33)와 제 2 위치 제한부(224)가 협동하여 회전축 구조를 형성하며, 제 1 이동 단부(32)는 제 1 가이드 로드(1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이동 단부(34)는 제 2 가이드 로드(2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드 어셈블리(30)의 신축 과정에서 제 1 이동 단부(32) 및 제 2 이동 단부(34)는 각각 제 1 가이드 로드(126) 및 제 2 가이드 로드(226)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제 1 본체(10)와 제 2 본체(20) 사이의 거리 변화를 실현한다. 제 1 이동 단부(32)는 제 2 연결 로드(302)의 일단에 고정된 슬라이더(321)를 포함하고, 슬라이더(321)는 제 1 가이드 로드(126)에 슬리브되며, 또한 양자는 매끄럽게 접촉하고 있다. 로드 어셈블리(30)의 신축 과정에서 슬라이더(321)는 제 1 가이드 로드(126) 위에서 슬라이딩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이동 단부(34)는 제 1 연결 로드(301)의 일단에 고정된 슬라이더(341)를 포함하고, 슬라이더(341)는 제 2 가이드 로드(226)에 매끄럽게 슬리브되어 있다. 로드 어셈블리(30)의 신축 과정에서, 슬라이더(341)는 제 2 가이드 로드(226) 위에서 슬라이딩한다. 제 1 연결 로드(301)에 있어서의 슬라이더(341)의 설치 방향과 제 2 연결 로드(302)에 있어서의 슬라이더(321)의 설치 방향은 반대된다.
제 1 연결 로드(301)의 슬라이더(341)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일단을 제 1 고정 단부(31)로 설치하고, 제 2 연결 로드(302)의 슬라이더(321)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일단을 제 2 고정 단부(33)로 설치한다. 도 17, 도 18, 도 19는 제 1 연결 로드(301)와 제 1 본체(10), 제 2 본체(20)가 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1 본체(10)와 제 2 본체(20)가 상대적으로 집결되거나 또는 전개되는 과정에서, 제 1 연결 로드(301)는 제 1 고정 단부(31)를 중심으로 제 1 본체(10)에 대해 회전하고, 제 2 이동 단부(34)에 있는 슬라이더(341)는 제 2 가이드 로드(226)에서 슬라이딩한다. 제 1 연결 로드(301)와 제 1 본체(10) 사이의 협각은 제 1 본체(10)와 제 2 본체(20)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제 1 본체(10)와 제 2 본체(20)가 서로 집결되는 경우에 제 1 연결 로드(301)와 제 1 본체(10) 사이의 협각은 작아지고, 제 1 본체(10)와 제 2 본체(20)가 서로 전개되는 경우에 제 1 연결 로드(301)와 제 1 본체(10) 사이의 협각은 커진다. 도 20, 도 21, 도 22는 제 2 연결 로드(302)와 제 1 본체(10), 제 2 본체(20)가 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2 고정 단부(33)는 나사에 의해 제 2 본체(20)의 베이스(22)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본체(10)와 제 2 본체(20)가 상대적으로 집결되거나 또는 전개되는 과정에서 제 1 연결 로드(301)와 제 2 연결 로드(302)의 운동은 보조를 맞춘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 1 연결 로드(301)와 제 2 연결 로드(302)가 집결 상태에 있을 때, 제 1 가이드 로드(126)와 제 1 연결 로드(301)는 겹쳐지고, 제 2 가이드 로드(226)와 제 2 연결 로드(302)는 겹쳐지며, 제 1 연결 로드(301)의 슬라이더(341)는 제 1 가이드 로드(126)의 일단에 위치하고, 제 2 연결 로드(302)의 슬라이더(321)는 제 2 가이드 로드(226)의 일단에 위치한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연결 로드(301)와 제 2 연결 로드(302)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제 1 가이드 로드(126)는 제 1 연결 로드(301)의 외부에 위치하고, 제 1 연결 로드(301)의 슬라이더(341)는 제 1 가이드 로드(126)의 타단에 위치하며, 제 2 가이드 로드(226)는 제 2 연결 로드(302)의 외부에 위치하고, 제 2 연결 로드(302)의 슬라이더(321)는 제 2 가이드 로드(226)의 타단에 위치한다.
본원의 지지 조립체는 회전 제한 구조를 포함하고, 회전 제한 구조에 의해 전개되는 과정 또는 집결되는 과정에서 제 1 본체(10)는 제 2 본체(20)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제한 구조는 제 1 고정 단부(31)에 설치된다. 제 1 연결 로드와 제 2 연결 로드가 회전 과정에서 위치 제한될 수 있고, 임의의 위치에 제한될 수 있으며, 또는 지정된 여러 위치에 제한될 수 있고, 표시 장치가 집결되거나 전개되는 과정에서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는 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제한 구조는 제 2 고정 단부(33)에 설치되거나 또는 제 1 연결 로드와 제 2 연결 로드가 교차되어 힌지로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4, 도 25,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제 1 고정 단부(31)와 제 1 본체(10)의 회전 연결 부분에는 회전 제한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14)에는 구멍(147)이 형성되어 있고(도 9 및 도 27을 참조하십시오), 구멍(147)은 제 1 위치 제한부(124)와 대향하며, 제 1 위치 제한부(124)는 축 구멍 구조이고, 기판(14)의 구멍(147)과 제 1 위치 제한부(124)는 동축이다. 제 1 고정 단부(31)는 제 1 연결 로드(30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또한 동축인 돌출 샤프트(311)와 볼록 링(312)을 포함하고, 돌출 샤프트(311)는 제 1 위치 제한부(124)와 협동하고, 볼록 링(312)은 구멍(147) 내에 수용된다. 볼록 링(312)과 구멍(147) 내벽 사이의 마찰력은 로드 어셈블리(30)의 신축 과정에서의 위치 제한을 형성한다. 즉, 로드 어셈블리(30)의 신축 과정에서, 제 1 연결 로드(301)는 제 1 고정 단부(31)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 1 고정 단부(31)는 제 1 본체(10)에 대해 원래 위치에서 회전하며, 볼록 링(312)은 구멍(147) 내에서 회전한다. 볼록 링(312)과 구멍(147) 내벽 사이는 회전 과정의 감쇠를 형성하고, 이 감쇠력은 바로 볼록 링(312)과 구멍(147) 내벽 사이의 마찰력이며, 마찰력의 크기는 릴 어셈블리(200)의 스프링의 탄성 회복력을 상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개된 플렉서블 스크린(50)을 임의의 위치에 결정할 수 있다.
회전 제한 구조는 슬리브(313) 및 파스너(314)를 더 포함한다. 볼록 링(312)에는 복수개의 홈(3121)이 형성되어 있고, 홈(3121)은 볼록 링(312)에 있어서의 제 1 연결 로드(301)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에서 제 1 연결 로드(301)를 향해 연장되며, 인접한 두개의 홈(3121) 사이에 탭(3122)이 형성된다. 홈(3121)이 있기 때문에, 탭(3122)은 반경 방향에서 탄성 변형 능력을 가진다. 슬리브(313)는 테이퍼 형상의 외부 표면을 갖고, 볼록 링(312) 내에 수용되며, 또한 모든 탭(3122)의 내부 표면에 당접된다. 파스너(314)가 슬리브(313)를 관통하여 제 1 연결 로드(301)에 체결되어, 슬리브(313)를 볼록 링(312) 내에 고정하고 또한 탭(3122)이 외부로 펼쳐지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파스너(314)와 슬리브(313)의 협동에 의해, 슬리브(313)는 볼록 링(312) 내로 이동한다(제 1 연결 로드(301)를 향해 이동한다). 슬리브(313)는 테이퍼 형상의 외부 표면을 가지기 때문에, 슬리브(313)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탭(3122)을 밀어 밖으로 확장시키며, 따라서 볼록 링(312)과 구멍(147) 내벽의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슬리브(313)의 외부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3132)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3132)와 홈(3121)이 협동하여 슬리브(313)가 볼록 링(31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슬리브(313)의 이동 방향을 확보한다. 홈(3121)의 깊이(즉, 홈(3121)이 볼록 링(312)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치수)는 리브(3132)의 길이(즉, 리브(3132)가 볼록 링(312)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슬리브(313)가 볼록 링(312)에 대해 이동하는 공간을 보류한다.
파스너(314)는 나사이며, 파스너(314)는 헤드부(3142)와 나사 로드(3144)를 포함한다. 제 1 연결 로드(301)에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 구멍은 제 1 연결 로드(301)를 관통한다. 파스너(314)의 헤드부(3142)는 슬리브(313)의 제 1 연결 로드(301)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단면에 당접되고, 파스너(314)의 나사 로드(3144)는 나사 구멍과 협동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 샤프트(311)는 중공 구조이고, 즉 돌출 샤프트(311)에는 중심 구멍(3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 샤프트(311)의 중심 구멍(3112)과 제 1 연결 로드(301)의 나사 구멍은 연통되고, 또한 양자의 구경은 같을 수 있으며, 따라서 파스너(314)는 돌출 샤프트(311)의 중심 구멍(311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볼록 링(312)과 기판(14)의 구멍(147) 내벽 사이는 접지 경로의 일부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연결 로드(301)와 볼록 링(312)은 모두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록 링(312)과 제 1 연결 로드(301)는 용접 방식 또는 접착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기판(14)도 전기 전도 재료로 이루어지고, 기판(14)은 제 1 본체(10)의 전기 회로 기판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접지 탄성 시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볼록 링(312)과 구멍(147) 내벽이 접촉하면 로드 어셈블리(30)의 접지를 실현할 수 있다. 로드 어셈블리(30) 및 베이스(22)를 접지함으로써, 금속 부재가 표시 장치의 회로에 대한 전자기 간섭을 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 장치의 회로 기판에 안테나 모듈이 설치되면, 금속 부재는 안테나 모듈의 신호 송수신을 방해한다. 만약 상술한 접지 설치가 있으면, 간섭을 줄이고, 신호의 송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원에서 제공되는 릴 어셈블리(200)는 신축 가능하며 또한 플렉서블 스크린(50)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지 조립체(100) 내에 설치된다. 릴 어셈블리(200)는 릴(201), 제 1 엔드 커버(202), 제 2 엔드 커버(203), 스프링(204) 및 샤프트(205)를 포함한다. 샤프트(205)는 지지 조립체(100)에 고정되고, 스프링(204)은 샤프트(205)에 슬리브되며, 릴(201)은 스프링(204)의 외주에 슬리브된다. 제 1 엔드 커버(202)는 샤프트(205)의 일단에 슬리브되고, 또한 릴(201)의 일단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엔드 커버(203)는 샤프트(205)의 타단에 슬리브되고, 또한 샤프트(205)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제 2 엔드 커버(203)는 릴(20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프링(204)의 양단은 각각 제 1 엔드 커버(202)와 제 2 엔드 커버(203)에 고정된다. 릴(201)은 플렉서블 스크린(50)를 감는 데에 사용되며, 플렉서블 스크린(50)의 전개는 릴(201)을 회전시킨다.
릴(201)이 회전하면, 제 1 엔드 커버(202)는 릴(201)과 함께 회전하고, 제 2 엔드 커버(203)는 릴(201)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릴(201)이 회전하면, 스프링(204)의 일단은 제 1 엔드 커버(202)와 함께 회전하고, 타단은 제 2 엔드 커버(203)에 대해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탄성 회복력을 생성한다. 스프링(204)은 릴(201) 내에 수용된다. 릴(201)이 회전하면 스프링(204)은 비틀려서 탄력 회복력을 생성한다.
도 32,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돌기와 결합 슬롯의 협동에 의해 제 1 엔드 커버(202)와 릴(201) 사이의 원주 방향의 위치 제한이 실현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릴(201)은 양단에 개구가 형성된 중공 관형 구조를 가지며, 릴(201)에 있어서의 제 1 엔드 커버(202)와 협동하는 일단에는 결합 슬롯(2011)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엔드 커버(202)의 외부 표면에는 돌기(2021)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엔드 커버(202)가 릴(201) 일단의 개구로부터 릴(201)에 삽입될 때, 돌기(2021)는 결합 슬롯(2011) 내에 삽입되고, 제 1 엔드 커버(202)와 릴(201)은 원주 방향에서 고정 연결되며, 양자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릴(201)의 내부 표면에 돌기를 설치하고, 제 1 엔드 커버(202)에 결합 슬롯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협동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 1 엔드 커버(202)에는 그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 구멍(2022)이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205)는 관통 구멍(2022)을 관통한다. 관통 구멍(2022)은 제 1 엔드 커버(202)의 중심 관통 구멍이며, 즉 제 1 엔드 커버(202)의 중심은 관통 구멍의 축심이다.
제 1 엔드 커버(202)는 외경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기저부(2023), 슬리브 링(2024) 및 슬리브 튜브(2025)를 포함한다. 제 1 엔드 커버(202)는 계단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축 방향에서 기저부(2023)의 크기가 가장 작고, 기저부(2023)는 릴(201)의 일단을 덮으며, 기저부(2023)의 슬리브 링(2024)에 대면하는 계단면은 릴(201)의 단면에 대향하고, 기저부(2023)의 외부 표면과 릴(201)의 외부 표면은 동일 평면에 있다. 슬리브 링(2024)은 릴(201)의 내부 표면에 접촉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021)는 슬리브 링(2024)의 외주에 설치되며, 릴(201)에는 결합 슬롯(2011)이 설치되어 있고, 결합 슬롯(2011)은 릴(201)의 단면에 개구를 형성하여 돌기(2021)가 그 안에 삽입되도록 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링(2024)의 슬리브 튜브(2025)에 대면하는 계단면은 슬리브 튜브(2025)에 슬리브된 스프링(204)의 일단에 당접하는 데에 사용된다.
슬리브 튜브(2025)의 슬리브 링(2024)에 인접한 위치에는 스프링(204)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2026)이 형성되어 있다.
도 33과 도 37을 참조하면, 제 2 엔드 커버(203)에는 그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 구멍(2031)이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205)는 관통 구멍(2031)을 관통한다. 제 2 엔드 커버(203)는 외경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기저부(2032), 슬리브 링(2033) 및 슬리브 튜브(2034)를 포함한다. 슬리브 링(2033)은 릴(201)의 내부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축 구조를 형성한다. 기저부(2032)의 슬리브 링(2033)에 대면하는 계단면은 릴(201)의 단면에 대향하고, 기저부(2032)의 외경과 릴(201)의 외경은 동일하며, 즉 기저부(2032)의 외부 표면과 릴(201)의 외부 표면은 동일한 평면에 있다. 제 1 엔드 커버(202)와 제 2 엔드 커버(203)를 릴(201)의 양단에 장착한 다음에, 양자의 외부 표면은 통합된 원통형 구조를 형성한다. 슬리브 링(2033)의 슬리브 튜브(2034)에 대면하는 계단면은 슬리브 튜브(2034)에 슬리브된 스프링(204)의 일단에 당접하는 데에 사용된다. 관통 구멍(2031)의 내측면은 위치 제한 표면(2035)을 포함하며, 위치 제한 표면(2035)과 샤프트(205)가 협동하여 제 2 엔드 커버(203)를 원주 방향에서 샤프트(205)에 고정한다.
슬리브 튜브(2034)는 슬리브 링(2033)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한쪽에 위치한 슬리브 튜브 단면 및 슬리브 튜브 단면과 슬리브 링(2033) 사이에 연결된 슬리브 튜브 측면을 포함하고, 슬리브 튜브 측면에는 고정 구멍(2036)과 가이드 슬롯(2037)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구멍(2036)은 스프링(204)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가이드 슬롯(2037)은 고정 구멍(2036)에서 슬리브 튜브 단면과 슬리브 튜브 측면의 교차점까지 연장된다.
장착 과정에서, 먼저 샤프트(205)가 제 1 엔드 커버(202)를 통과하도록 하고, 스프링(204)을 샤프트(205)에 슬리브하여 스프링(204)의 일단이 제 1 엔드 커버(202)의 슬리브 튜브(2025)에 슬리브되도록 하고, 릴(201)을 스프링(204)의 외주에 슬리브하여 릴(201)의 일단이 제 1 엔드 커버(202)와 결합되도록 하며, 제 1 엔드 커버(202)의 돌기(2021)는 릴(201)의 결합 슬롯(2011)에 결합된다. 그 다음에, 제 2 엔드 커버(203)를 릴(201)의 타단에 장착한다. 제 2 엔드 커버(203)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먼저 제 2 엔드 커버(203)의 가이드 슬롯(2037)을 스프링(204)의 일단에 정렬하여 장착 과정에서 스프링(204)의 일단이 가이드 슬롯(2037) 내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스프링(204)의 일단이 이동하여 제 2 엔드 커버(203)의 고정 구멍(2036)과 마주치면, 스프링(204)의 일단은 자동적으로 고정 구멍(2036)에 맞물려서 제 2 엔드 커버(203)의 조립이 완료된다.
지지 조립체(100)는 서로 마주 향하게 설치된 제 1 장착부(222)와 제 2 장착부(223)를 포함하고, 스프링(204), 제 1 엔드 커버(202), 릴(201) 및 제 2 엔드 커버(203)는 제 1 장착부(222)와 제 2 장착부(223) 사이에 설치된다. 샤프트(205)는 제 1 장착부(222), 제 1 엔드 커버(202), 스프링(204)과 릴(201) 및 제 2 엔드 커버(203)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다음에 제 2 장착부(223)에 고정된다.
도 29,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샤프트(205)는 로드 부재(2051)와 로드 부재(2051)의 일단에 설치된 헤드 단부(2052)를 포함한다. 로드 부재(2051)의 헤드 단부(2052)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일단은 고정 단부(2053)이다. 헤드 단부(2052)는 제 1 장착부(222)에 있어서의 제 2 장착부(223)와 마주 향하는 한쪽의 반대편에 위치 제한되고, 고정 단부(2053)는 제 2 장착부(223)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헤드 단부(2052)에 있어서의 로드 부재(2051)와 마주 향하는 한쪽의 반대측 표면에 선형 홈(205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킹 도구와 협동하는 데에 사용된다. 고정 단부(2053)에는 환상 홈(20531)이 형성되어 있고, 환상 홈(20531)은 버클 시트(206)와 협동하여 샤프트(205)의 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며, 샤프트(205)가 지지 조립체(100)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 단부(2053)에는 노치(20532)와 슬롯(20533)이 형성되어 있다. 노치(20532)와 슬롯(20533)은 고정 단부(2053)의 반경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노치(20532)의 바닥면은 제 1 정지면(P1)을 형성하고, 슬롯(20533)의 바닥면은 제 2 정지면(P2)을 형성하며, 제 1 정지면(P1)과 제 2 정지면(P2)은 평행된다.
제 2 엔드 커버(203)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 구멍(2031)의 위치 제한 표면(2035)과 제 2 정지면(P2)이 협동하여 제 2 엔드 커버(203)를 원주 방향에서 샤프트(205)에 고정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릴 어셈블리는 버클(207)과 버클 시트(206)를 더 포함한다. 버클(207)은 한쌍의 체결 핀(2071)을 포함한다. 한쌍의 체결 핀(2071)은 노치(20532) 및 슬롯(20533)과 각각 협동하여 샤프트(205)의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를 결정한다. 제 2 장착부(223)에는 버클 슬롯(2232)과 오목부(2233)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2233)는 제 2 장착부(223)의 제 1 장착부(222)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 위치하며, 오목부(2233)와 버클 슬롯(2232) 사이에는 칸막이(2234)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장착부(223)에는 샤프트(205)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 구멍(2231)이 형성되어 있고, 버클 슬롯(2232)과 오목부(2233)는 모두 관통 구멍(2231)과 연통된다. 버클(207)은 버클 슬롯(2232)에 수용되어 샤프트(205)의 노치(20532) 및 슬롯(20533)과 협동한다. 버클 시트(206)는 오목부(2233)에 수용되어 샤프트(205)의 환상 홈(20531)과 협동한다.
플렉서블 스크린(50)이 전개되어 릴(201)을 회전시키면, 샤프트(205)는 고정된 상태이고, 제 1 엔드 커버(202)는 릴(201)과 함께 회전하지만 제 2 엔드 커버(203)는 고정된 상태이며, 스프링(204)의 제 1 엔드 커버(202)에 고정된 일단은 릴(201)과 함께 회전하지만, 스프링(204)의 제 2 엔드 커버(203)에 고정된 타단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프링(204)은 비틀려 탄성 변형되고, 릴(201)을 뒤로 잡아당기는 탄성 회복력이 생성된다.
회전 제한 구조의 제한으로 인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 1 본체(10)와 제 2 본체(20)가 서로 접근하도록 추진력을 인가하지 않으면 릴(201)은 자동으로 리바운드될 수 없다. 이 때, 회전 제한 구조의 마찰력은 사용자의 추진력에 의해 상쇄되고, 스프링(204)에 의해 생성된 탄성 회복력은 릴(201)을 구동하여 플렉서블 스크린(50)이 그 위에 감겨지도록 한다.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스프링(204) 및 릴(201)의 회전 관성에 의해, 회전 제한 구조의 항력을 극복하여 릴(201)은 플렉서블 스크린(50)이 완전히 감겨질 때까지 계속 회전한다.
스프링(204)의 느슨함과 조임의 정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수동으로 버클(207)을 버클 슬롯(2232)에서 꺼낸 다음에, 드라이버로 샤프트(205)의 헤드 단부를 회전시켜, 샤프트(205)를 회전시킨다. 제 2 엔드 커버(203)의 위치 제한 표면(2035)과 샤프트(205)의 제 2 정지면(P2)은 서로 당접되기 때문에, 샤프트(205)는 제 2 엔드 커버(203)를 회전시키고, 제 2 엔드 커버(203)는 제 2 엔드 커버(203)에 고정된 스프링(204)의 타단을 회전시킨다. 이 때, 제 1 엔드 커버(202)는 플렉서블 스크린(50)이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스프링(204)의 제 1 엔드 커버(202)에 고정된 한쪽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스프링(204)의 일단은 이동하지만 타단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204)의 느슨함과 조임의 정도가 변화된다. 조정이 완료된 후, 다시 버클(207)을 버클 슬롯(2232)에 삽입하여 다시 샤프트(205)의 위치를 제한한다. 주의해야 하는 것은, 스프링(204)의 느슨함과 조임의 정도는 반드시 반바퀴의 정수배 방식으로 조정하여야만 하며, 그렇지 않으면 조정한 후에 샤프트(205)의 제 1 정지면(P1)과 제 2 정지면(P2)이 수직 위치에 있지 않으면, 버클(207)의 위치 결정 홈은 샤프트(205)의 제 1 정지면(P1) 및 제 2 정지면(P2)과 순조롭게 당접될 수 없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서 제공되는 표시 장치의 지지 조립체(100)는 스위치 모듈 버튼(60) 및 충전 커넥터(70)와 같은 전자 부품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원은 전자 부품을 연결 시트와 함께 지지대에 장착하여 어셈블리를 형성한 다음, 다시 어셈블리를 받침대(12)에 장착한다.
본원은 전자 부품이 설치된 외부 케이싱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 지지 조립체는 받침대와 연결 시트를 포함한다. 받침대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 기판이 설치되어 있고, 받침대의 한쪽에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 전도성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시트는 전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당접 시트와 당접 시트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시트를 포함하고, 연결 시트는 외부 케이싱에 고정되며, 지지 시트는 이젝터 핀(Ejector Pin)에 의해 전기 전도성 시트와 당접되어 전기적 연결을 실현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도 40을 참조하면, 받침대(12)는 서로 인접한 상부면(1201), 측면(1202) 및 단면(1203)을 포함하고, 상부면(120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플렉서블 스크린이다)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단면(1203)에는 요홈(1204)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1204)에는 요홈(1204)에 인접하고 또한 요홈(1204)과 서로 연통되는 관통홈(1205)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홈(1205)은 받침대(12) 내부의 수용 공간에 연통된다. 관통홈(1205)에는 지지 조립체(100) 내부의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전도성 시트(1206)가 설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은 받침대(12) 내부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측면(1202)은 받침대(12)의 제 1 측면(123)과 대향하는 표면이며, 본 실시예의 측면(1202)은 받침대(12)의 제 2 본체(20)에서 멀리 떨어진 표면을 가르킨다.
도 39, 도 41 및 도 42를 참조하면, 스위치 모듈 버튼(60)을 예로 들면, 지지 조립체는 지지대(61), 연결 시트(62), 전자 부품(63), 버튼(64)을 포함한다. 지지대(61)는 상부면과 바닥면을 갖는 고정판(612)을 포함하고, 고정판(612)은 요홈(1204) 내에 장착된다.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지지대(61)는 대략 L자형이고, 지지대(61)는 고정판(612)의 바닥면의 하나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뒷막이(614)를 더 포함하며, 뒷막이(614)는 관통홈(1205)을 덮는다.
연결 시트(62)는 당접 시트(622)와 당접 시트(622)의 가장 자리로부터 만곡되어 연장되는 지지 시트(624)를 포함한다. 연결 시트(62)는 고정판(612)을 관통하고, 당접 시트(622)는 고정판(612)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지지 시트(624)는 고정판(612)의 바닥면의 한쪽에 위치하며, 지지 시트(624)는 관통홈(1205)에 설치되고, 또한 이젝터 핀(623)에 의해 전기 전도성 시트(12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젝터 핀(623)은 지지 시트(624)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시트(624)는 뒷막이(614)의 관통 홈에 대향하는 한쪽에 위치한다.
전자 부품(63)은 요홈(1204) 내에 설치되고 또한 당접 시트(6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전자 부품(63)에는 돌출 기둥(632)이 설치되어 있고, 돌출 기둥(632)의 표면에 도전부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판(612)에는 수용 구멍(6121)이 형성되어 있고, 당접 시트(622)에는 관통 구멍(6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 구멍(6221)은 수용 구멍(6121)을 바로 마주하고 있다. 돌출 기둥(632)은 관통 구멍(6221)을 관통하여 수용 구멍(6121)에 위치 결정되면, 도전부는 관통 구멍(6221)의 내부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전자 부품(63)과 당접 시트(622)의 전기적 연결을 실현한다.
도 43과 도 44를 참조하면, 외부 케이싱은 받침대(12)를 덮는 데에 사용되며, 본 실시예의 외부 케이싱은 제 1 외부 케이싱(11)을 말하며, 외부 케이싱에는 관통 구멍(118)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 케이싱의 내부 표면에는 제 1 장착부(111)가 설치되어 있으며, 뒷막이(614)에는 제 2 장착부(614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장착부(111)와 제 2 장착부(6142)가 협동하여, 지지대(61)는 연결 시트(62) 및 전자 부품(63)과 함께 외부 케이싱(즉 제 1 외부 케이싱(11))의 내부 표면에 장착되고, 관통 구멍(118)은 전자 부품(63)과 마주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케이싱 내부 표면의 제 1 장착부(222)는 고정 기둥이고, 뒷막이(614)의 제 2 장착부(223)는 고정 구멍이며, 고정 기둥과 고정 구멍이 협동하여 지지대(61)와 외부 케이싱의 위치 결정을 실현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대(61)는 양면 접착 방식에 의해 외부 케이싱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버클이 결합 구멍에 결합되는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받침대(12)의 요홈(1204)은 받침대(12)의 측면 방향에서 개구를 형성한다. 받침대(12)를 외부 케이싱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고정판(612)은 개구로부터 요홈(1204) 내에 삽입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부품(63)은 스위치 모듈이고, 고정판(612)의 상부면에 결합 슬롯(62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자 부품(63)은 결합 슬롯(6212) 내에 수용된다. 지지 조립체(100)는 버튼(64)을 더 포함한다. 외부 케이싱에는 관통 구멍(118)이 형성되어 있다. 전자 부품(63)에 있어서의 당접 시트(622)와 마주하는 한쪽의 반대편에는 돌기(634)가 설치되어 있으며, 돌기(634)와 버튼(64)이 협동하여, 버튼(64)의 일부는 외부 케이싱의 관통 구멍(118)에서 뻗어 나온다. 버튼(64)을 밀어 전자 부품(63)의 돌기(534)를 슬라이딩시켜 온/오프가 진행된다.
결합 슬롯(6212)의 바닥벽에는 삽입 슬롯(6214)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슬롯(6214)은 고정판(612)의 상부면과 고정판(612)의 바닥면을 연통한다. 삽입 슬롯(6214)은 연결 시트(62)를 통과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결합 슬롯(6212)의 측벽에 위치 제한 슬롯(6215)이 형성되어 있다. 전자 부품(63)의 가장 자리에 위치 제한 스트립(635)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 제한 슬롯(6215)과 위치 제한 스트립(635)이 협동하여 전자 부품(63)을 결합 슬롯(6212) 내에 제한한다.
조립 과정에서, 먼저 제 1 장착부(111)와 제 2 장착부(6142)의 협동에 의해 지지대(61)를 연결 시트(62) 및 전자 부품(63)과 함께 외부 케이싱(즉 제 1 외부 케이싱(11))의 내부 표면에 장착한다. 이 때, 관통 구멍(118)은 전자 부품(63)과 마주하고 있다. 이로써 전자 부품(63)의 예비 조립을 실현한다. 그 다음에 이젝터 핀이 받침대(12)의 전기 전도성 시트(1206)에 접촉할 때까지 전기 전도성 시트(1206)가 고정된 받침대(12)와 외부 케이싱(즉 제 1 외부 케이싱(11))을 서로 접근시킨다. 이 때, 전기 전도성 시트(1206)에 의해 이젝터 핀과 받침대(12)의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자 부품에 대한 전력 공급을 실현한다. 이와 같이 이젝터 핀과 전기 전도성 시트(1206)가 맞닿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도선을 채용할 경우에 조립 과정에서 도선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를 피할 수 있고, 조립 과정이 간단하면서도 편리하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젝터 핀은 연결 시트(62)의 지지 시트(624)의 받침대(12)에 대향하는 한쪽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젝터 핀은 받침대(12)의 전기 전도성 시트(1206)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부품은 충전 커넥터(70)이며, 전자 부품에는 충전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 조립체(100)는 받침대(12)를 덮는 외부 케이싱를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싱에는 관통 구멍(117)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117)은 충전 인터페이스에 바로 마주하고 있으며, 충전기가 관통 구멍(117)을 통과하여 충전 인터페이스와 협동하도록 한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2)의 일단에는 스위치 모듈이 설치되어 있고, 타단에는 충전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부 케이싱(11)의 전단면에는 스위치 모듈 버튼(64)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118)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외부 케이싱(11)의 후단면에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117)이 형성되어 있다.
도 45와 도 46을 참조하면, 제 1 본체(10)는 제 1 패드(19)를 더 포함한다. 제 1 가압 플레이트(16)와 제 1 패드(19)는 받침대(12)의 상부면에 서로 겹치게 설치된다. 플렉서블 스크린(50)을 보호하기 위해 제 1 패드(19)는 제 1 가압 플레이트(16)의 플렉서블 스크린(50)에 대면하는 표면에 부착된다. 플렉서블 스크린(50)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패드(19)는 스펀지와 같은 부드러운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제 2 본체(20)는 제 2 가압 플레이트(18)를 포함한다. 제 2 가압 플레이트(18)는 장착부에 설치되고 또한 릴 어셈블리(200)에 있어서의 제 2 본체(20)의 상부면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 위치한다. 플렉서블 스크린(50)은 제 2 가압 플레이트(18)와 릴 어셈블리(200) 사이의 간극을 통과한다.
도 46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스크린(50)과 회로 기판은 FPC(9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FPC(90)의 받침대(12)에 있어서의 제 2 본체(20)에서 멀리 떨어진 표면에 위치하는 부분은 접힌 상태로 설치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FPC(90)는 받침대(12)에 있어서의 제 2 본체(20)에서 멀리 떨어진 표면에서 U자형을 이룬다. FPC(90)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받침대(12)의 측면을 돌아 회로 기판(8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플렉서블 스크린(50)은 FPC(9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스크린(50)과 받침대(12)는 고정 관계가 없고, 따라서 FPC(90)를 돌게 하면 FPC(90)와 받침대(12)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할 수 있고, 플렉서블 스크린(50)을 당기는 과정에서 FPC를 당기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전기 연결선의 안전성 및 안정성이 확보된다.
제 1 본체(10)는 받침대(12)의 회로 캐비티(127)에 설치되어 회로 캐비티(127) 내의 회로 기판(80)과 갭(G)을 격리하는 차폐판(801)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차폐판(801)은 열전도 재료이며, 회로 기판(80)을 차폐함과 동시에 회로 기판(80)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명해야만 하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원의 기술방안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되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원의 보호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원에 개시된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수 있는 변경 또는 대체 방안은 모두 본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근거한다.

Claims (18)

  1.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지 조립체로서,
    제 1 본체, 제 2 본체 및 로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본체는 제 1 위치 제한부 및 제 1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본체는 상기 제 1 본체와 대향하게 설치되고, 또한 제 2 위치 제한부 및 제 2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 어셈블리는 신축 구조를 형성하도록 힌지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 어셈블리는 상기 로드 어셈블리의 한쌍의 대각선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 1 고정 단부 및 제 2 이동 단부와 상기 로드 어셈블리의 다른 한쌍의 대각선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 2 고정 단부 및 제 1 이동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고정 단부와 상기 제 1 위치 제한부가 협동하여 회전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고정 단부와 상기 제 2 위치 제한부가 협동하여 회전축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이동 단부는 상기 제 1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이동 단부는 상기 제 2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로드 어셈블리의 신축 과정에서 상기 제 1 이동 단부와 상기 제 2 이동 단부는 각각 상기 제 1 가이드 로드와 상기 제 2 가이드 로드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 사이의 거리 변화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는 받침대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인접한 제 1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제 1 위치 제한부와 위치 제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위치 제한부는 축 구멍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가이드 로드는 상기 위치 제한 슬롯에 장착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바닥면에 장착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받침대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상기 갭은 상기 제 1 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로드 어셈블리를 상기 갭 내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받침대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표면에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계단은 집결 상태에 있는 상기 로드 어셈블리의 위치를 제한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받침대의 바닥면에 대면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에 인접하는 제 2 측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에는 회피 슬롯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피 슬롯은 상기 제 2 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어셈블리의 상기 연결 로드는 제 1 연결 로드와 제 2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로드의 중심 위치와 상기 제 2 연결 로드의 중심 위치는 연결 부재에 의해 힌지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로드 어셈블리가 집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연결 로드와 상기 제 2 연결 로드는 집결되어 상기 갭 내로 밀어 넣게 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회피 슬롯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바닥면에는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는 회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바닥면에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는 배터리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캐비티는 상기 위치 제한 슬롯의 상기 제 1 측면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 위치하며, 상기 회로 캐비티는 상기 배터리 캐비티와 상기 제 1 위치 제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캐비티와 상기 회로 캐비티 사이에는 버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버클에는 제 1 결합 슬롯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위치 제한부의 상기 제 1 측면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 제 2 결합 슬롯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결합 슬롯과 상기 제 2 결합 슬롯은 서로 마주 향하게 설치되며, 양자는 함께 상기 회로 기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은 제 1 위치 제한부와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제 1 위치 제한부와 동축이며, 상기 제 1 고정 단부는 상기 연결 로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또한 동축인 돌출 샤프트와 볼록 링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샤프트는 상기 제 1 위치 제한부와 협동하고, 상기 볼록 링은 상기 구멍 내에 수용되며, 상기 볼록 링과 상기 구멍 내벽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로드 어셈블리의 신축 과정에서의 위치 제한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단부는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에 고정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가이드 로드에 슬리브되며, 또한 양자는 매끄럽게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로드 어셈블리의 신축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가이드 로드 위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와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로드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데에 사용되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위치 제한부는 상기 슬롯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위치 제한부는 나사 구멍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 2 위치 제한부와 대향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는 수용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슬롯은 상기 슬롯에 연통되고, 상기 제 2 가이드 로드는 상기 수용 슬롯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은 릴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릴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을 감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는 제 1 가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은 상기 제 1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대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는 제 1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 1 패드는 상기 제 1 가압 플레이트의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에 대면하는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는 제 2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은 상기 제 2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릴 어셈블리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과 상기 회로 기판은 FPC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FPC의 상기 받침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측면에서 멀리 떨어진 표면에 위치하는 부분은 접힌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는 상기 회로 캐비티에 설치되어 상기 회로 캐비티 내의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갭을 격리하는 차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조립체.
  18. 플렉서블 스크린과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7 항의 임의의 한 항에 기재된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의 표시 화면 치수의 조정은 상기 지지 조립체의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 사이의 거리 변화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97021949A 2016-12-30 2016-12-30 지지 조립체 및 표시 장치 KR201901003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113656 WO2018120086A1 (zh) 2016-12-30 2016-12-30 支撑组件及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333A true KR20190100333A (ko) 2019-08-28

Family

ID=6200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949A KR20190100333A (ko) 2016-12-30 2016-12-30 지지 조립체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87633A1 (ko)
EP (1) EP3565223A4 (ko)
JP (1) JP2020504331A (ko)
KR (1) KR20190100333A (ko)
CN (1) CN107980157A (ko)
WO (1) WO2018120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4402B (zh) * 2016-12-30 2020-06-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卷筒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CN110874123A (zh) * 2018-08-31 2020-03-10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门板滑动结构及采用该门板滑动结构的机箱
CN109058725B (zh) * 2018-09-14 2021-07-0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支撑组件及显示装置
CN109788091B (zh) * 2018-12-29 2021-08-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594708B2 (en) * 2019-03-26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571318B1 (ko) * 2019-04-18 2023-08-2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롤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5811B1 (ko) * 2019-04-25 2020-12-29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스크린 전개 및 수납 어셈블리 및 단말기
KR20200128319A (ko) * 2019-05-03 2020-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220303373A1 (en) * 2019-08-06 2022-09-22 Lg Electronics Inc. Roll-slide mobile terminal
CN110782798B (zh) * 2019-11-19 2022-07-0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13851042B (zh) * 2020-06-28 2023-06-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212724535U (zh) * 2020-08-26 2021-03-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2082059B (zh) * 2020-09-14 2022-03-0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支撑结构件及显示装置
EP4191373A4 (en) * 2020-11-12 2024-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ROLLER
US11675392B2 (en) 2020-12-01 2023-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CN113163034B (zh) * 2021-04-20 2023-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组件和电子装置
CN113701014B (zh) * 2021-05-29 2022-10-14 海南祺信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视觉网络化视频监控平台
CN113472925B (zh) * 2021-06-29 2023-09-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锁止装置及电子设备
CN113573515B (zh) * 2021-07-09 2022-10-04 西安环宇芯微电子有限公司 一种dsp测试图形生成系统及其实现方法
CN113724598B (zh) * 2021-08-31 2023-07-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穿戴设备
CN113888969B (zh) * 2021-09-23 2023-10-1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14046420A (zh) * 2021-11-23 2022-02-15 雷华 一种安全型物联网监控设备
CN114245625A (zh) * 2021-12-15 2022-03-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538319B (zh) * 2022-02-23 2023-09-08 深圳市中智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led显示屏安装的便于举升定位的固定方法及装置
CN114582242B (zh) * 2022-03-25 2023-11-2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14706286B (zh) * 2022-04-08 2023-06-16 深圳市芯科盈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进行分屏使用的智能手表
CN114708801B (zh) * 2022-04-29 2023-08-22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CN117061640A (zh) * 2022-05-06 2023-1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抽拉装置及电子设备
CN115111503B (zh) * 2022-08-02 2024-01-30 湛江市宝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保护功能的计算机显示器
CN116154701B (zh) * 2023-04-18 2023-07-07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平县供电公司 用于海洋上空电缆线架设的支撑装置
CN117419098B (zh) * 2023-12-19 2024-04-09 荣耀终端有限公司 转动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1998B (fi) * 1999-12-08 2003-10-15 Nokia Corp Käyttöliittymä
KR100543777B1 (ko) * 2003-08-25 2006-01-23 주식회사 엠투시스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JP2005249828A (ja) * 2004-03-01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WO2007148967A2 (en) * 2006-06-22 2007-12-27 Polymer Vision Limited Auto-closable flexible display device
US7830333B2 (en) * 2006-12-13 2010-11-0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lide-out information display
TWI371008B (en) * 2007-02-16 2012-08-21 Ind Tech Res Inst Flexible display
JP2009021660A (ja) * 2007-07-10 2009-01-29 Fujifilm Corp デジタルカメラ
WO2009044496A1 (ja) * 2007-10-05 2009-04-09 Panasonic Corporation 回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開閉式携帯端末
CN201194147Y (zh) * 2008-04-02 2009-02-11 宏炬德企业股份有限公司 显示屏伸缩架
JP5245677B2 (ja) * 2008-09-24 2013-07-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
JP2010136312A (ja) * 2008-12-05 2010-06-17 Ryoji Yobo 携帯電話機用拡大レンズ
JP2011081069A (ja) * 2009-10-05 2011-04-21 Sony Corp 表示装置
KR101275241B1 (ko) * 2010-07-19 2013-06-14 박기한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
KR101227644B1 (ko) * 2010-08-10 2013-01-3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286812B2 (en) * 2011-06-07 2016-03-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extendable assembly
JP2013083746A (ja) * 2011-10-07 2013-05-09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
KR20140054498A (ko) * 2012-10-28 2014-05-09 임유섭 플렉시블 표시장치
TWI582640B (zh) * 2013-01-10 2017-05-11 黃海濤 具可捲式螢幕的掌上型電子裝置及其顯示方法
CN103090172A (zh) * 2013-01-16 2013-05-08 江苏百弘视听科技有限公司 显示器支架
TWI608328B (zh) * 2013-10-24 2017-12-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2365299B1 (ko) * 2014-08-01 2022-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00024B1 (ko) * 2014-10-23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39290B1 (ko) * 2014-12-16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99026B1 (ko) * 2014-12-22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4536531A (zh) * 2014-12-25 2015-04-22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具有柔性显示屏的电子设备
KR101570869B1 (ko) *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1500B1 (ko) * 2015-01-22 2021-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06540B1 (ko) * 2015-04-30 202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390738B1 (ko) * 2015-05-29 2022-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4576B1 (ko) * 2015-06-15 2022-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78758B1 (ko) * 2015-06-19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1638167B1 (ko) * 2015-07-07 2016-07-08 장진우 플랙시블한 디스플레이패널이 구비된 단말기
CN205028195U (zh) * 2015-07-17 2016-02-10 广州奥翼电子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US10488959B2 (en) * 2015-11-04 2019-11-26 Dell Products L.P. Flexible roll-u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KR102434865B1 (ko) * 2015-11-27 202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613655B2 (en) * 2015-12-10 2020-04-07 Lg Electronics Inc. Rollabl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652970A (zh) * 2015-12-25 2016-06-08 王子韩 一种轴卷式柔性屏笔记本电脑
CN205485747U (zh) * 2016-01-29 2016-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屏幕支撑装置及显示装置
CN105872136B (zh) * 2016-03-14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及移动终端
CN205581492U (zh) * 2016-05-03 2016-09-14 上虞升辉摄影器材有限公司 摄影背景支撑架用横杆以及带有该横杆的背景支撑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5223A4 (en) 2020-07-29
WO2018120086A1 (zh) 2018-07-05
EP3565223A1 (en) 2019-11-06
JP2020504331A (ja) 2020-02-06
US20190387633A1 (en) 2019-12-19
CN107980157A (zh)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0333A (ko) 지지 조립체 및 표시 장치
KR20190100329A (ko) 지지 조립체 및 표시 장치
KR20190094470A (ko) 릴 어셈블리,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기
EP3355156A1 (en)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EP3537235A1 (en) Support assembly, dial plate and smart wristband
EP3536186A1 (en) Winding drum assembly, dial plate and smart wristband
WO2018137534A1 (en)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EP3537236A1 (en) Frame assembly, dial plate and smart wristband
EP3355154A1 (en) Electronic device
US11372447B2 (en) Trigger device and smart bracelet
KR20190100330A (ko)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기
WO2018081951A1 (zh) 腕带及智能手环
KR101023495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CN212163393U (zh) 一种电子设备
JP4471888B2 (ja) 折畳み式携帯通信機器
CN113851041A (zh) 显示装置和承载装置
CN113805653A (zh) 一种ai头戴式计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