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319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319A
KR20200128319A KR1020190052476A KR20190052476A KR20200128319A KR 20200128319 A KR20200128319 A KR 20200128319A KR 1020190052476 A KR1020190052476 A KR 1020190052476A KR 20190052476 A KR20190052476 A KR 20190052476A KR 20200128319 A KR20200128319 A KR 20200128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se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8319A/ko
Priority to US16/843,233 priority patent/US11029733B2/en
Publication of KR2020012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모듈의 상기 제1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영역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모듈을 노출시키는 개구부의 사이즈를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동작 시 상기 표시모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바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접히거나 권취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은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 중 확장형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을 포함하고, 플렉서블 표시 모듈은 필요에 따라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확장된다. 플렉서블 표시 모듈 아래에 지지부가 배치되고, 지지부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모듈의 지지 성능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모듈의 상기 제1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영역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모듈을 노출시키는 개구부의 사이즈를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동작 시 상기 표시모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바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고정 결합된 제1 케이스, 및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 유닛이 고정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복수의 지지바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복수의 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이 커지고,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복수의 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이 작아진다.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스토핑 홈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기둥부; 및 상기 지지 기둥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바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바는 상기 제1 스토핑 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스토핑 홈 내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의 지지 롤러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지지 롤러를 서로 연결하는 제1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링크 유닛은, 제1 링크 바; 상기 제1 링크 바를 인접하는 두 개의 지지롤러 중 제1 지지롤러에 연결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링크 바를 상기 두 개의 지지롤러 중 제2 지지롤러에 연결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지롤러는, 상기 제2 고정부를 수용하는 이동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이동홈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롤러의 간격이 조절된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외측벽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지지부를 지지하는 서브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들 중 상기 서브 지지 플레이트와 가장 인접한 인접 지지롤러를 연결하는 제2 링크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링크 유닛은, 제2 링크 바; 상기 제2 링크 바를 상기 인접 지지롤러에 연결하는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2 링크바를 상기 서브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제4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4 고정부를 수용하는 제2 스토핑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4 고정부의 상기 제2 스토핑 홈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인접 지지롤러와 상기 서브 지지 플레이트의 간격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확장 모드에서 복수의 지지바들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복수의 지지바들이 지지 유닛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확장 모드에서 표시 모듈의 지지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확장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 및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모듈 및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회전 유닛 및 지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기본 모드에서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회전 유닛, 지지 유닛 및 링크 유닛의 결합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Ⅳ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모드에서의 지지 유닛과 링크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절단선 Ⅲ-Ⅲ`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확장 모드에서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회전 유닛 및 지지 유닛의 결합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모드에서의 지지 유닛과 링크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본 모드에서의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회전 유닛 및 지지 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 모드에서의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회전 유닛 및 지지 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확장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및 표시 모듈(DM)이 수용된 케이스(CS)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케이스(CS)의 상부에 정의된 개구부(OP)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케이스(CS)는 제1 케이스(CS1) 및 제2 케이스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CS1) 및 제2 케이스(CS2)는 서로 결합되어 표시 모듈(DM)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케이스(CS1)는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도록 제2 케이스(CS2)에 결합된다.
이하,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은 제2 방향(DR2)으로 정의된다.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 봤을 때"의 의미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케이스들(CS1,CS2)의 세부적인 구성은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의 노출면(즉, 케이스(CS)의 개구부(OP)를 통해 노출된 표시면)의 면적은 제1 케이스(CS1)의 이동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DM)은 플렉서블 표시 모듈일 수 있으며,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SP, 이하 도 3에 도시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케이스(CS1)에 연결되고, 제1 케이스(CS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지지 플레이트(SP)도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개구부(OP)를 통해 노출된 표시 모듈(DM)의 부분(즉, 상기 표시면(DS, 도 3에 도시됨)) 외에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표시 모듈(DM)의 부분이 제2 케이스(CS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케이스(CS1)의 이동에 따라 개구부(OP)의 사이즈가 제1 방향(DR1)으로 증가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SP) 상에 배치된 표시 모듈(DM)은 제1 케이스(CS1)의 이동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SP)와 함께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여, 개구부(OP)를 통해 노출된 표시 모듈(DM)의 노출면(즉, 표시면) 역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확대된 화면을 통해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이 기본 사이즈로 설정된 표시 장치(DD)의 상태는 기본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이 확장된 표시 장치(DD)의 상태는 확장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 및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모듈 및 지지 플레이트의 측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 표시 모듈(DM) 및 지지 플레이트(SP)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며, 도 4는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표시 모듈(DM) 및 지지 플레이트(SP)의 측면을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은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NA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면(DS)의 제1 영역(AA1)은 기본 모드에서 도 1의 개구부(OP)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공되어, 기본 모드에서의 화면 사이즈를 결정한다. 즉, 기본 모드에서, 개구부(OP)는 표시면(DS)의 제1 영역(AA1)을 노출시키고, 제2 및 제3 영역(AA2, NAA)은 개구부(OP)를 통해 노출되지 않는다. 다른 일 예로, 기본 모드에서 개구부(OP)는 제1 영역(AA1) 및 제2 영역(AA2)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2 영역(AA2)은 제1 영역(AA1)에 인접하고, 표시 장치(DD)가 확장 모드로 동작할 경우, 제1 영역(AA1) 뿐만 아니라 제2 영역(AA2)의 일부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즉, 노출된 제2 영역(AA2)의 일부분의 면적만큼 표시 장치(DD)의 화면 사이즈가 증가할 수 있다.
제3 영역(NAA)은 제2 영역(AA2)에 인접한다. 즉, 제2 영역(AA2)은 제1 영역(AA1)과 제3 영역(NAA) 사이에 정의된다. 제3 영역(NAA)은 표시 장치(DD)의 화면으로 활용되지 않는 비유효 영역이다.
표시 모듈(DM) 아래에 지지 플레이트(SP)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표시 모듈(DM)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에로, 지지 플레이트(SP)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지지부(SP1), 복수개의 지지바들(SB), 및 제2 지지부(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SP1)는 표시 모듈(DM)의 제1 영역(AA1)을 지지하고, 복수개의 지지바들(SB)은 표시 모듈(DM)이 제2 영역(AA2)을 지지한다. 제2 지지부(SP2)는 표시 모듈(DM)의 제3 영역(NAA)을 지지한다.
복수개의 지지바들(SB)은 제1 지지부(SP1)와 제2 지지부(S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바들(SB)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복수개의 지지바들(SB) 각각은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을 기준으로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된 지지바들(SB)이 도시되었으나, 지지바들(SB)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바들(SB)은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관절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지지부(SP1)는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SP1)는 표시 모듈(DM)의 제1 영역(AA1)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지지부(SP2)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지지부(SP2)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장변들 및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SP2)는 표시 모듈(DM)의 제3 영역(NAA)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SP)는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의 반대면인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SP1)는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과 반대하는 후면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의 제1 영역(AA1)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들(SB) 및 제2 지지부(SP2)은 표시 모듈(DM)의 후면에 배치되어,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NAA)을 지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모듈(DM)과 지지 플레이트(SP) 사이에 접착제가 배치되어 지지 플레이트(SP)를 표시 모듈(DM)의 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착제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접착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회전 유닛 및 지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표시 모듈(DM), 표시 모듈(DM)이 수용된 케이스(CS), 회전 유닛(RU) 및 지지 유닛(SU)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CS)는 제1 케이스(CS1) 및 제2 케이스(CS2)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CS1) 및 제2 케이스(CS2)는 서로 결합되어 표시 모듈(DM)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케이스(CS1)는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도록 제2 케이스(CS1)에 결합된다.
제1 케이스(CS1)는 제1 외측벽부(OSW1), 제2 외측벽부(OSW2), 제3 외측벽부(OSW3) 및 제1 바닥부(B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벽부(OSW1) 및 제2 외측벽부(OSW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외측벽부(OSW2)는 제2 방향(DR2)으로 제1 외측벽부(OSW1)와 마주볼 수 있다. 제1 외측벽부(OSW1) 및 제2 외측벽부(OSW2)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케이스(CS1)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외측벽부(OSW1)의 내측면 및 제2 외측벽부(OSW2)의 내측면에 제공되어 제2 케이스(CS2)와 결합된 후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일 수 있다.
제1 외측벽부(OSW1)의 내측면 및 제2 외측벽부(OSW2)의 내측면에 제1 가이드홈(GG1)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GG1)에는 지지 플레이트(SP)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OSW2)의 일측들은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케이스들(CS1, CS2)이 서로 결합될 때, 제2 케이스(CS2)에 접촉되는 부분이며,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 OSW2)의 끝단들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 OSW2)의 일측들의 반대측들은 제1 및 제2 외측벽부들(OSW1, OSW2)의 타측들로 정의된다.
제3 외측벽부(OSW3)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여 제1 외측벽부(OSW1)의 타측 및 제2 외측벽부(OSW2)의 타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외측벽부(OSW3)의 외면은 외곽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닥부(BP1)는 제1 및 제2 방향들(DR1, 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닥부(BP1)는 제1 외측벽부(OSW1)의 하단, 제2 외측벽부(OSW2)의 하단, 및 제3 외측벽부(OSW3)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케이스(CS1)는 지지 플레이트(SP)의 제1 지지부(SP1)를 지지하는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를 더 포함한다.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의 일단은 제1 케이스(CS1)의 제3 외측벽(OSW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는 제1 지지부(SP1)와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즉,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는 제1 지지부(SP1)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케이스(CS2)는 제1 측벽부(SW1), 제2 측벽부(SW2), 제3 측벽부(SW3), 및 제2 바닥부(B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부(SW1) 및 제2 측벽부(SW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측벽부(SW2)는 제2 방향(DR2)으로 제1 측벽부(SW1)와 마주볼 수 있다. 제1 측벽부(SW1) 및 제2 측벽부(SW2)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부(SW1)의 내측면 및 제2 측벽부(SW2)의 내측면 각각에는 제1 가이드 홈(GG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내측면들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 케이스(CS1)의 내측면들을 정의할 수 있다.
사시도의 관측 위치상 제1 측벽부(SW1)의 내측면에 정의된 제2 가이드 홈(GG2)이 도 6에 도시되었으나, 제2 측벽부(SW2)의 내측면에도 제2 가이드 홈(GG2)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GG2)은 제1 연장홈(EX1), 제2 연장홈(EX2), 및 곡선홈(CU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홈(EX1)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연장홈(EX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1 연장홈(EX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방향(DR1)으로 제2 연장홈(EX2)의 길이가 제1 연장홈(EX1)의 길이보다 길게 도시되었으나, 제2 연장홈(EX2)의 길이와 제1 연장홈(EX1)의 길이의 관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케이스(CS1, CS2)가 결합될 때, 제1 연장홈(EX1)은 제1 케이스(CS1)의 형성된 제1 가이드 홈(GG1)과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곡선홈(CUP)은 제1 연장홈(EX1)의 일단으로부터 제2 연장홈(EX2)의 일단까지 곡선 형상을 갖고 연장할 수 있다. 곡선홈(CUP)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2 케이스(CS2)의 양측들 중 제2 케이스(CS2)의 일측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연장홈(EX1)의 일단 및 제2 연장홈(EX2)의 일단은 제2 케이스(CS2)의 일측에 인접할 수 있다. 곡선홈(CUP)는 제2 케이스(CS2)의 일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측벽부(SW3)는 제2 케이스(CS2)의 일측을 정의할 수 있다. 제3 측벽부(SW3)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여 제1 측벽부(SW1)의 일측 및 제2 측벽부(SW2)의 일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측벽부(SW3)의 외면은 외곽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측벽부(SW3)의 외면의 반대면인 제3 측벽부(SW3)의 내면은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닥부(BP2)는 제1 및 제2 방향들(DR1, 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닥부(BP2)는 제1 측벽부(SW1)의 하단, 제2 측벽부(SW2)의 하단, 및 제3 측벽부(SW3)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회전 유닛(RU)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 유닛(RU)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축부(AP) 및 축부(AP)를 감싸는 기둥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축부(AP)는 기둥부(CP)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축부(AP)의 양단은 기둥부(CP)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노출될 수 있다. 회전 유닛(RU)은 축부(AP)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유닛(RU)은 제2 케이스(CS2) 내에 배치되고, 제2 케이스(CS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유닛(RU)의 양단은 제1 측벽부(SW1) 및 제2 측벽부(SW2)에 정의된 제1 홀들(H1)에 각각 삽입되어 제2 케이스(CS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부(AP)의 양단이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에 정의된 제1 홀들(H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제1 홀들(H1)은 제1 및 제2 측벽부들(SW1,SW2)의 일측들에 인접할 수 있다. 회전 유닛(RU)의 양단이 제2 케이스(CS2)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복수의 지지바들(SB)은 회전 유닛(RU)의 외면을 따라 곡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지바들(SB)의 일부는 회전 유닛(RU)의 상부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회전 유닛(RU)의 측부에 배치되며, 나머지 일부는 회전 유닛(RU)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 케이스(CS1)의 이동 시 회전 유닛(RU)이 회전함으로써 지지바들(SB)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CS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회전 유닛(RU)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 유닛(RU)의 측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바들(SB)은 회전 유닛(RU)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 유닛(SU)은 제2 케이스(CS2)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 유닛(SU)은 제1 측벽부(SW1) 및 제2 측벽부(SW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유닛(SU)은 제3 측벽부(SW3)에 인접할 수 있다.
지지 유닛(SU)은 제1 및 제2 지지 롤러(SR1, SR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롤러(SR1, SR2)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롤러(SR1)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1 지지 기둥부(SRP1) 및 제1 지지 기둥부(SRP1)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바(P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돌출바(PB)는 제1 지지 기둥부(SRP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케이스(CS2)의 제1 및 제2 측벽부(SW1, SW2)에는 제1 스토핑 홈(SG1)이제공된다. 제1 스토핑(stopping) 홈(SG1)은 제1 연장홈(EX1)과 제2 연장홈(EX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토핑 홈(SG1)은 상기 돌출바(PB)를 수용하고, 제1 지지 롤러(SR1)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지지 롤러(SR2)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지지 기둥부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 및 지지 플레이트(SP)는 회전 유닛(RU)을 따라 접혀진 형태로 제1 및 제2 케이스(CS1, CS2)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의 양단부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GG1, GG2)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기본 모드에서 지지 플레이트(SP)의 제1 지지부(SP1)는 제1 가이드 홈(GG1) 및 제1 연장홈(EX1)에 배치되어 표시모듈(DM)의 제1 영역(AA1)을 지지한다. 기본 모드에서 지지바들(SB)은 곡선홈(CUP) 및 제2 연장홈(EX1)에 배치되어 표시모듈(DM)의 접혀진 부분(즉, 제2 영역(AA2))을 지지할 수 있다.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는 지지 플레이트(SP)의 후면에 배치되어 제1 지지부(SP1)를 지지한다.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는 지지 유닛(SU)과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와 제1 바닥부(BP1)는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와 제1 바닥부(BP1) 사이에는 각종 부품들(배터리 또는 구동 소자 등)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기본 모드에서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회전 유닛, 지지 유닛 및 링크 유닛의 결합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Ⅳ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모드에서의 지지 유닛과 링크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제1 케이스(CS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될 때, 지지 유닛(SU)을 제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링크 유닛(LU1, LU2)을 더 포함한다. 링크 유닛(LU1, LU2)은 제1 링크 유닛(LU1) 및 제2 링크 유닛(LU2)을 포함한다.
제1 링크 유닛(LU1)은 제1 지지 롤러(SR1)를 제2 지지 롤러(SR2)에 연결한다. 제1 링크 유닛(LU1)은 제1 링크 바(LB1), 제1 고정부(LS1) 및 제2 고정부(LS2)를 포함한다. 제1 링크 바(LB1)는 원하는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링크 바(LB1)의 길이는 제1 지지 롤러(SR1)와 제2 지지 롤러(SR2)를 이격시키고자 하는 간격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링크 바(LB1)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 고정부(LS1, LS2)와 각각 결합되기 위한 제1 및 제2 고정홈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고정부(LS1)는 제1 링크 바(LB1)의 일단을 제1 지지 롤러(SR1)에 고정시킨다. 제1 고정부(LS1)는 제1 고정 스크류일 수 있다. 제1 고정부(LS1)는 제1 링크 바(LB1)의 제1 고정홈을 관통하여 제1 지지 롤러(SR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링크 바(LB1)는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제1 지지 롤러(SR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 롤러(SR2)는 제2 고정부(LS2)를 수용하기 위한 이동 홈(MG)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고정부(LS2)는 이동홈(MG) 내에서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고정부(LS2)에 의해 제2 지지 롤러(SR2)는 제1 링크 바(LB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정부(LS2)가 이동홈(MG)의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 롤러(SR1, SR2) 사이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제2 고정부(LS2)가 이동홈(MG)의 제1 위치(P1)에 있는 경우, 제1 지지 롤러(SR1)와 제2 지지 롤러(SR2) 사이의 간격이 가장 작을 수 있다. 반면, 제2 고정부(LS2)가 이동홈(MG)의 제2 위치(P2)에 있는 경우, 제1 지지 롤러(SR1)와 제2 지지 롤러(SR2) 사이의 간격이 가장 클 수 있다. 기본 모드에서 제2 고정부(LS2)는 제1 위치(P1)에 위치하여, 제1 지지 롤러(SR1)와 제2 지지 롤러(SR2)를 제1 간격(d1)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간격(d1)은 제1 지지 롤러(SR1)와 제2 지지 롤러(SR2)의 중심축간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동홈(MG)은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10에서는 이동홈(MG)이 곡선 형태로 제공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링크 유닛(LU2)은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와 제2 지지 롤러(SR2)를 연결한다. 제2 링크 유닛(LU2)은 제2 링크 바(LB2), 제3 고정부(LS3) 및 제4 고정부(LS4)를 포함한다. 제2 링크 바(LB2)는 원하는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링크 바(LB2)의 길이는 제2 지지 롤러(SR2)와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를 이격시키고자 하는 간격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링크 바(LB2)의 양단에는 제3 및 제4 고정부(LS3, LS4)와 각각 결합되기 위한 제3 및 제4 고정홈이 제공될 수 있다.
제3 고정부(LS3)는 제2 링크 바(LB2)의 일단을 제2 지지 롤러(SR2)에 고정시킨다. 제3 고정부(LS3)는 제2 고정 스크류일 수 있다. 제3 고정부(LS3)는 제2 링크 바(LB2)의 제3 고정홈을 관통하여 제2 지지 롤러(SR2)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는 제1 및 제2 측벽부(SW1, SW2)의 내측면과 각각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면(SS1, SS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측면(SS1, SS2)은 제2 지지 롤러(SR2)와 인접하는 일측에 제2 스토핑 홈(SG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스토핑 홈(SG2)은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의 제1 및 제2 측면(SS1, SS2)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스토핑 홈(SG2)에는 제4 고정부(LS4)가 수용된다. 제4 고정부(LS4)는 제2 스토핑 홈(SG2) 내에서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4 고정부(LS4)에 의해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는 제2 링크 바(LB2)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고정부(LS4)가 제2 스토핑 홈(SG2)의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와 제2 지지 롤러(SR2) 사이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제4 고정부(LS4)가 제2 스토핑 홈(SG2)의 제3 위치(P3)에 있는 경우, 제2 지지 롤러(SR2)와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 사이의 간격이 가장 작을 수 있다. 반면, 제4 고정부(LS4)가 제2 스토핑 홈(SG2)의 제4 위치(P4)에 있는 경우, 제2 지지 롤러(SR2)와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 사이의 간격이 가장 클 수 있다. 기본 모드에서 제4 고정부(LS4)는 제3 위치(P3)에 위치하여, 제2 지지 롤러(SR2)와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를 제2 간격(d2)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간격(d2)은 제2 지지 롤러(SR2)의 중심축과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의 끝단면(ES)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절단선 Ⅲ-Ⅲ`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확장 모드에서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회전 유닛 및 지지 유닛의 결합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모드에서의 지지 유닛과 링크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2,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확장 모드시, 제1 케이스(CS1)는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제1 케이스(CS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제1 케이스(CS1)에 고정 결합된 표시 모듈(DM) 및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개구부(OP)를 통해 노출된 표시 모듈(DM)의 화면이 확장될 수 있다. 즉, 표시 모듈(DM)의 화면은 제1 영역(AA1) 및 제2 영역(AA2)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OP)를 통해 노출된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AA2)은 복수의 지지바들(SB)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확장 모드에서, 복수의 지지바들(SB)은 지지 유닛(SU)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확장 모드에서 제1 케이스(CS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는 제1 케이스(CS1)를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1 케이스(CS1)의 이동에 따라 지지 유닛(SU)도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지지바들(SB)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2 링크 유닛(LU2)을 통해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와 연결된 제2 지지 롤러(SR2)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고, 제1 링크 유닛(LU1)을 통해 제2 지지 롤러(SR2)와 연결된 제1 지지 롤러(SR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의 이동에 의해서, 제4 고정부(LS4)의 위치가 제3 위치(P3)에서 제4 위치(P4)로 변화됨으로써,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와 제2 지지 롤러(SR2)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다. 또한, 제2 지지 롤러(SR2)가 이동함에 따라 제2 고정부(LS2)의 위치가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변화됨으로써, 제1 지지 롤러(SR1)와 제2 지지 롤러(SR2) 사이의 간격이 증가한다.
즉, 기본 모드에서 제1 및 제2 지지 롤러(SR1, SR2)가 제1 간격(d1, 도 10에 도시됨)으로 이격되었다면, 확장 모드에서 제1 및 제2 지지 롤러(SR1, SR2)는 제1 간격(d1)보다 큰 제3 간격(d3)으로 이격된다.
기본 모드에서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와 제2 지지 롤러(SR2)가 제2 간격(d2, 도 10에 도시됨)으로 이격되었다면, 확장 모드에서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와 제2 지지 롤러(SR2)는 제2 간격(d2)보다 큰 제4 간격(d4)으로 이격된다.
이처럼, 확장 모드에서 복수의 지지바들(SB)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더라도, 복수의 지지바들(SB)은 제1 및 제2 지지 롤러(SR1, SR2)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 모드에서 개구부(OP)를 통해 노출된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AA2, 도 3에 도시됨)이 복수의 지지바들(SB)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지지 롤러(SR1, SR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표시 모듈(DM)의 지지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에서는 지지 유닛(SU)이 두 개의 지지 롤러(SR1, SR2)를 구비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지지 유닛(SU)에 구비되는 롤러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본 모드에서의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회전 유닛 및 지지 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 모드에서의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회전 유닛 및 지지 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지지 유닛(SU)은 복수의 제1 지지볼(SSB1) 및 복수의 제2 지지볼(SSB2)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지지볼(SSB1)은 제2 방향(DR2)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복수의 제2 지지볼(SSB2)은 제2 방향(DR2)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지지 유닛(SU)은 제1 및 제2 연결바(CB1, CB2)를 포함한다. 제1 연결바(CB1)에는 복수의 제1 지지볼(SSB1)이 결합된다. 제2 연결바(CB2)에는 복수의 제2 지지볼(SSB2)이 결합된다.
제2 케이스(CS2)의 제1 및 제2 측벽부(SW1, SW2)에는 제1 스토핑 홈(SG1)이제공된다. 제1 스토핑 홈(SG1)은 제1 연결바(CB1)를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제1 측벽부(SW1)의 제1 스토핑 홈(SG1)은 제1 연결바(CB1)의 일단을 수용하고, 제2 측벽부(SW2)의 제1 스토핑 홈(SG1)은 제1 연결바(CB1)의 타단을 수용한다. 따라서, 제1 스토핑 홈(SG1)은 복수의 제1 지지볼(SSB1)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제1 케이스(CS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될 때, 지지 유닛(SU)을 제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링크 유닛(SLU1, SLU2)을 더 포함한다. 링크 유닛(SLU1, SLU2)은 복수의 제1 링크 유닛(SLU1) 및 복수의 제2 링크 유닛(SLU2)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링크 유닛(SLU1)은 복수의 제1 지지볼(SSB1)과 복수의 제2 지지볼(SSB2)을 연결한다. 즉, 복수의 제1 링크 유닛(SLU1) 각각은 복수의 제1 지지볼(SSB1) 중 대응하는 제1 지지볼을 복수의 제2 지지볼(SSB2) 중 대응하는 제2 지지볼에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링크 유닛(SLU1) 각각은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1 링크 유닛(LU1)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링크 유닛(SLU2)은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와 복수의 제2 지지볼(SSB2)을 연결한다. 특히, 제2 링크 유닛(LU2)은 복수의 제2 지지볼(SSB2) 중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의 제1 및 제2 측면(SS1, SS2)에 각각 인접하는 두 개의 최외각 지지볼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링크 유닛(SLU2)은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2 링크 유닛(LU2)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의 제1 및 제2 측면(SS1, SS2)에는 복수의 제2 지지볼(SSB2)과 인접하여 제2 스토핑 홈(SG2)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스토핑 홈(SG2)에는 제2 링크 유닛(SLU2)의 일부분이 수용되어 제2 스토핑 홈(SG2) 내에서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확장 모드시, 제1 케이스(CS1)는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제1 케이스(CS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제1 케이스(CS1)에 고정 결합된 표시 모듈(DM) 및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개구부(OP)를 통해 노출된 표시 모듈(DM)의 화면이 확장될 수 있다.
확장 모드에서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AA2)이 제1 케이스(CS1)를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여 개구부(OP)와 중첩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개구부(OP)를 통해 노출된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AA2)은 복수의 지지바들(SB)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확장 모드에서, 복수의 지지바들(SB)은 복수의 제1 및 제2 지지볼(SSB1, SSB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확장 모드에서 제1 케이스(CS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는 제1 케이스(CS1)를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또한,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와 제2 링크 유닛(SLU2)에 의해 결합된 복수의 제2 지지볼들(SSB2)도 제1 케이스(CS1)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복수의 제1 링크 유닛(SLU1)에 의해 복수의 제2 지지볼들(SSB2)과 결합된 복수의 제1 지지볼들(SSB1)도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복수의 제1 지지볼들(SSB1)과 복수의 제2 지지볼들(SSB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 복수의 지지바들(SB)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확장 모드에서 개구부(OP)를 통해 노출된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AA2, 도 3에 도시됨)이 복수의 지지바들(SB)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1 및 제2 지지볼들(SSB1, SSB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표시 모듈(DM)의 지지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는 복수의 제1 및 제2 지지볼들 각각이 4 개의 지지볼로 구성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지지볼의 개수 및 이들의 간격 등 배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터치 감지부(TSP), 터치 감지부(TSP) 상에 배치된 윈도우(WIN), 및 터치 감지부(TSP)와 윈도우(WIN)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OC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들이 표시 패널(DP)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가요성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화소층(PXL), 화소층(PXL)을 덮도록 기판(SUB)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투명한 기판으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폴리 이미드(PI: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층(PXL)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층(PXL)은 복수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화소들 각각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들과 무기층들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수분/산소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외부의 입력(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 펜 등)을 감지하여 소정의 입력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들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표시 모듈(DM)의 제조시,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바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감지부(TSP)는 표시 패널(DP)과는 별도의 터치 패널로 제조되고, 접착제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레치 및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 및 터치 감지부(TSP)를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접착제(OCA)에 의해 터치 감지부(TSP)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OCA)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IN)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PX)는 유기 발광 소자(OLED) 및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E1), 제2 전극(E2), 및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O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애노드일 수 있으며, 제2 전극(E2)은 캐소드일 수 있다.
화소(PX)는 화소 영역(PA) 및 화소 영역(PA) 주변의 비화소 영역(NP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화소 영역(PA)에 배치되고, 트랜지스터(TR)는 비화소 영역(NPA)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 및 유기 발광 소자(OLED)는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SUB) 상에 버퍼층(BFL)이 배치되며, 버퍼층(BFL)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트랜지스터(TR)의 반도체층(SM)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SM)은 비정질(Amorphous) 실리콘 또는 다결정질(Poly) 실리콘과 같은 무기 재료의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SM)은 산화물 반도체(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반도체층(SM)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의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SM)을 덮도록 버퍼층(BFL) 상에 제1 절연층(INS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상에 반도체층(SM)과 중첩하는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반도체층(SM)의 채널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을 덮도록 제1 절연층(INS1) 상에 제2 절연층(IN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층간 절연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 상에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1 컨택홀(CH1)을 통해 반도체층(SM)의 소스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2 컨택홀(CH2)을 통해 반도체층(SM)의 드레인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덮도록 제2 절연층(INS2) 상에 제3 절연층(INS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은 평평한 상면을 제공하는 평탄화막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 상에 제1 전극(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3 절연층(INS3)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3 컨택홀(CH3)을 통해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화소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극(E1) 및 제3 절연층(INS3) 상에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PX_OP)가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PX_OP) 내에서 제1 전극(E1) 상에 유기 발광층(OEL)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생성하는 유기 물질들의 조합에 의해 백색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 발광층(OEL) 상에 제2 전극(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공통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화소(PX)를 덮도록 유기 발광 소자(OLE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SUB)과 박막 봉지층(TFE) 사이의 층은 화소층(PXL)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압(ELVDD)이 제1 전극(E1)에 인가되고, 제2 전압(ELVSS)이 제2 전극(E2)에 인가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고,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전이하면서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발광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발광함으로써,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 구조를 도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화소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M: 표시 모듈
CS: 케이스 CS1,CS2: 제1 및 제2 케이스
SW1,SW2,SW3: 제1, 제2, 및 제3 측벽부
OSW1,OSW2,OSW3: 제1, 제2, 및 제3 외측벽부
BP1,BP2: 제1 및 제2 바닥부 SU: 지지 유닛
RU: 회전 유닛 SP: 지지 플레이트
SSP: 서브 지지 플레이트 SP1: 제1 지지부
SP2: 제2 지지부 SB: 복수의 지지바
SR1: 제1 지지롤러 SR2: 제2 지지롤러
LU1: 제1 링크 유닛 LU2: 제2 링크 유닛

Claims (20)

  1.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모듈의 상기 제1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영역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모듈을 노출시키는 개구부의 사이즈를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동작 시 상기 표시모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바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고정 결합된 제1 케이스; 및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 유닛이 고정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복수의 지지바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롤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복수의 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이 커지고,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복수의 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는 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스토핑 홈이 제공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기둥부; 및
    상기 지지 기둥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바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바는 상기 제1 스토핑 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스토핑 홈 내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표시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롤러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지지 롤러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유닛은,
    제1 링크 바;
    상기 제1 링크 바를 인접하는 두 개의 지지롤러 중 제1 지지롤러에 연결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링크 바를 상기 두 개의 지지롤러 중 제2 지지롤러에 연결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롤러는,
    상기 제2 고정부를 수용하는 이동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이동홈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롤러의 간격이 조절되는 표시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외측벽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지지부를 지지하는 서브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들 중 상기 서브 지지 플레이트와 가장 인접한 인접 지지롤러를 연결하는 제2 링크유닛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유닛은,
    제2 링크 바;
    상기 제2 링크 바를 상기 인접 지지롤러에 연결하는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2 링크바를 상기 서브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제4 고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4 고정부를 수용하는 제2 스토핑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4 고정부의 상기 제2 스토핑 홈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인접 지지롤러와 상기 서브 지지 플레이트의 간격이 조절되는 표시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지지바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볼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바를 더 포함하고,
    각 연결바에는 상기 복수의 지지볼이 결합되는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스토핑 홈이 제공되는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바는 복수의 지지볼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바 중 제1 연결바는 상기 제1 스토핑 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스토핑 홈 내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표시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볼들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제1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외측벽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지지부를 지지하는 서브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바 중 상기 서브 지지 플레이트와 가장 인접한 연결바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볼과 상기 서브 지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링크유닛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90052476A 2019-05-03 2019-05-03 표시장치 KR20200128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476A KR20200128319A (ko) 2019-05-03 2019-05-03 표시장치
US16/843,233 US11029733B2 (en) 2019-05-03 2020-04-0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476A KR20200128319A (ko) 2019-05-03 2019-05-03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319A true KR20200128319A (ko) 2020-11-12

Family

ID=7301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476A KR20200128319A (ko) 2019-05-03 2019-05-03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29733B2 (ko)
KR (1) KR202001283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513A1 (ko) * 2020-11-26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차단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00913A (ko) * 2021-06-25 2023-01-03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신축 스크린 구조 및 전자기기
KR20230123337A (ko) * 2022-02-16 2023-08-23 주식회사 에스코넥 패널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663B1 (ko) * 2018-06-19 2023-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1654798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3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432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6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5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46026S (ko) * 2019-04-10 2021-11-08
JP1646029S (ko) * 2019-04-10 2021-11-08
JP1654800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2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1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9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46030S (ko) * 2019-04-10 2021-11-08
JP1663479S (ja) * 2019-10-24 2020-07-13 携帯電話機
EP4075414A4 (en) * 2019-12-13 2023-08-30 LG Electronics Inc. FLEXIBLE INDICATOR
KR20210076492A (ko) * 2019-12-16 2021-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격 보상 구조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WO2021132744A1 (ko) * 2019-12-23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4113489A4 (en) * 2020-02-28 2023-11-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1206193A1 (ko) * 2020-04-09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210694A1 (ko) * 2020-04-13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케이스
CN111425725A (zh) * 2020-05-21 2020-07-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屏下支撑结构及显示装置
CN111508373A (zh) * 2020-05-26 2020-08-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US11315447B2 (en) * 2020-05-26 2022-04-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US11227516B1 (en) * 2020-10-30 2022-01-18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CN116324946A (zh) * 2020-11-06 2023-06-23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KR20220065575A (ko) * 2020-11-13 2022-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턴이 형성된 폴리머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들
KR20220077429A (ko) * 2020-12-02 2022-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4254128A4 (en) * 2020-12-03 2024-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CN114694491A (zh) * 2020-12-28 2022-07-01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可拓展显示装置和电子设备
US11651712B2 (en) * 2020-12-30 2023-05-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214336182U (zh) * 2021-01-11 2021-10-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组件和显示装置
KR20220108244A (ko) * 2021-01-25 2022-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4246943A1 (en) * 2021-04-16 2023-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KR20220165319A (ko) * 2021-06-07 2022-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808492B (zh) * 2021-09-30 2022-11-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1998B (fi) * 1999-12-08 2003-10-15 Nokia Corp Käyttöliittymä
EP1642253B1 (en) * 2003-06-23 2012-10-03 Simon Richard Daniel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dible screen
JP2005249828A (ja) * 2004-03-01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EP2395497B1 (en) * 2004-10-05 2013-11-13 Creator Technology B.V. Rollable display device
US7830333B2 (en) * 2006-12-13 2010-11-0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lide-out information display
EP3531232A1 (en) * 2007-04-25 2019-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with edge protectors
KR101458659B1 (ko) * 2007-05-09 2014-11-05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가요성 디스플레이용 세척 유닛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101107127B1 (ko) 2010-01-12 2012-01-31 주식회사 다이아벨 이동 단말기
US8379377B2 (en) * 2010-01-20 2013-02-19 Creator Technology B.V.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extendable display section
KR101273182B1 (ko) * 2011-02-18 2013-06-17 주식회사 팬택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US9286812B2 (en) * 2011-06-07 2016-03-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extendable assembly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TWI608328B (zh) * 2013-10-24 2017-12-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2339290B1 (ko) * 2014-12-16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01500B1 (ko) * 2015-01-22 2021-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772657B2 (en) * 2015-04-30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KR101638167B1 (ko) * 2015-07-07 2016-07-08 장진우 플랙시블한 디스플레이패널이 구비된 단말기
KR101848891B1 (ko) * 2016-01-04 2018-04-16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KR102547146B1 (ko) 2016-07-07 2023-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3528B1 (ko) 2016-08-11 2023-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슬라이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1365B1 (ko) * 2016-09-12 2023-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595848B1 (ko) * 2016-10-11 2023-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CN108064402B (zh) * 2016-12-30 2020-06-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卷筒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JP2020504331A (ja) * 2016-12-30 2020-02-06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サポー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CN108064404B (zh) * 2016-12-30 2020-06-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支撑组件及显示装置
CN111326070B (zh) * 2018-12-17 2022-02-22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移动终端
US11003217B2 (en) * 2019-01-31 2021-05-11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US11165897B2 (en) * 2019-02-14 2021-11-02 Lg Electronics Inc. Roll-slide mobile terminal
KR20200099455A (ko) * 2019-02-14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513A1 (ko) * 2020-11-26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차단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00913A (ko) * 2021-06-25 2023-01-03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신축 스크린 구조 및 전자기기
KR20230123337A (ko) * 2022-02-16 2023-08-23 주식회사 에스코넥 패널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48727A1 (en) 2020-11-05
US11029733B2 (en)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8319A (ko) 표시장치
US11297723B2 (en) Display device
EP3716003B1 (en) Display device
KR102538741B1 (ko) 표시 장치
KR102639547B1 (ko) 표시 장치
KR102545020B1 (ko) 표시 장치
TWI723975B (zh) 顯示模組
US11106239B2 (en) Display device
KR20210069182A (ko) 표시 장치
US1175507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pporting part
US11569478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reliability
KR20210014243A (ko) 표시 장치
KR20200133871A (ko) 표시 장치
KR20200126449A (ko) 표시 장치
KR20200097850A (ko) 표시 장치
CN111128012B (zh) 显示装置
KR20200087917A (ko) 보호 필름,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220167512A1 (en) Display device
KR20210013474A (ko) 표시 장치
US20230350462A1 (en) Display device
KR102660537B1 (ko) 표시 장치
KR20240038199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