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455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455A
KR20200099455A KR1020190045543A KR20190045543A KR20200099455A KR 20200099455 A KR20200099455 A KR 20200099455A KR 1020190045543 A KR1020190045543 A KR 1020190045543A KR 20190045543 A KR20190045543 A KR 20190045543A KR 20200099455 A KR20200099455 A KR 20200099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bile terminal
actuator
thruster
m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수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756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EP3925200A4/en
Priority to PCT/KR2020/001411 priority patent/WO2020166856A1/en
Priority to US16/784,179 priority patent/US10972592B2/en
Publication of KR2020009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2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3 프레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 영역,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및 2 영역들 사이에 연장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며, 제 3 영역은 상기 제 2 프레임에 감겨지며 상기 제 2 프레임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프레임을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 3 프레임을 상기 제 2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화면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최근들어, 방송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도 상당히 다양해져 왔으며, 상기 디바이스의 성능도 이에 따라 향상되어 왔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단순히 방송되는 컨텐츠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컨텐츠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발전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 음악 감상, 인터넷 쇼핑, 사용자 맞춤정보등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기능의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상시적인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로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상시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진화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충분한 탄성을 가져 큰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말릴 수 있는 정도로 변형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말려진 플레서블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며 원하는 크기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몸체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는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원하는 크기로 확장되는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레서블 디스플레이에 의한 장점을 극대화하도록 이동 단말기는 구조적 및 기능적 측면에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꺾이는 지점을 특정 위치로 한정하지 않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확장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꺾인 측면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2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3 프레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 영역,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및 2 영역들 사이에 연장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며, 제 3 영역은 상기 제 2 프레임에 감겨지며 상기 제 2 프레임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프레임을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 3 프레임을 상기 제 2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 1 영역만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으로 상기 제 3 영역을 인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3 프레임의 이동을 상기 제 2 프레임의 슬라이드와 동기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은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제 1 영역만을 상기 제 1 프레임의 전면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으로 상기 인출된 제 3 영역을 수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3 프레임이 이동을 시작하는 위치를 상기 제 2 프레임이 이동을 시작하는 위치와 동기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3 프레임이 이동을 시작하는 시점을 상기 제 2 프레임이 이동을 시작하는 시점과 동기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3 프레임의 이동속도를 상기 제 2 프레임의 이동 속도와 동기화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1 액츄에이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3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2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상기 제 3 액츄에이터의 이동과 동기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의 양측부와 마주하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는 상기 서포터에 나사 결합하여, 이의 제 1 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서포터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는: 상기 서포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서포터에 나사 결합하는 추진기(thruster)로 이루어지며, 상기 추진기는 이의 제 1 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서포터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밀도록(thrust)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진기는 길게 연장된(elongated) 몸체와 상기 몸체 외면에 형성된 나사(thread)를 갖는 스크류 기어로 이루어지며, 제 1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배치되며 상기 추진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를 수용하여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서포터에 대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서포터로부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서포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및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레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리세스와 상기 레일의 대향되는 표면들사이에 개재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터내에 수용되며 상기 리세스와 상기 레일의 표면들과 접촉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의 상기 제 1 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진기는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을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있다. 또한, 상기 추진기는 상기 서포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추진기와 나사결합하는 보조 추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추진기는 상기 추진기의 제 1 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인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추진기의 나사는 상기 추진기의 나사와 동일한 감김방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꺾이는 지점을 특정 위치로 한정하지 않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확장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터치입력 등에 어려움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꺾인 측면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측면에서 바라본 이동 단말기의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들이다.
도 5는 도 2의 A-A 및 B-B를 따라 얻어진 이동 단말기의 제 1 및 제 2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6은 이동 단말기의 사이드 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C-C, D-D 및 E-E를 따라 얻어진 사이드 프레임들의 단면도들이다.
도 8은 구동부의 작동 및 상기 작동에 의해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및 제 2 상태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9는 제 1 상태에서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2 상태에서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구동부의 제 3 액츄에이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F-F를 따라 얻어진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구동부의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의 구동 메커니즘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 1 상태에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한 제 1-3 프레임들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들이다.
도 15는 제 2 상태에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한 제 1-3 프레임들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이동 단말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설명된 실시예들의 원리 및 구성(configuration)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프로세서 및 이를 지원하는 다른 전자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프로세서 및 전자부품들은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제어부(180)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191)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측면에서 바라본 이동 단말기의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며,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들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A-A 및 B-B를 따라 얻어진 이동 단말기의 제 1 및 제 2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들에서, 도 3(a), 도 4(a) 및 도 5(a)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며, 도 3(a), 도 4(b) 및 도 5(b)는 이동 단말기의 제 2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는 수축되며, 제 2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151)의 크기도 제 2 상태보다 작아진다. 반면, 제 1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방향(D1)으로 확장되어 제 2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제 2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크기 및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제1 상태보다 더 커진다. 다음의 설명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이의 디스플레이(151)가 확장(extend or enlarge)되는 방향은 제 1 방향(D1),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 수축(contact or retract) 또는 축소(reduce)되는 방향은 제2 방향(D2)이라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들(D1,D2)에 수직인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태의 이동 단말기와 같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는 제1 상태에서, 도 3(b)와 같이 화면을 확장하여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는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면적이 확대되며 도 4(b)와 같이 배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면적이 축소된다. 즉, 제1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51)의 배면에 위치하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2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는 휘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이용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기본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기본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변형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기본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기본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변형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케이스(또는 하우징)(즉, 후술되는 제 1-3 프레임(101-103))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전환(제 1 또는 제 2 상태), 즉 이동 단말기(100)의 크기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에서의 크기 변화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러한 수동적인 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없이 변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외력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자동적으로 변형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100)는 후술되는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양 측부들중 어느 한 측부에서 감겨지면서(roll) 180도 꺽여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는 그와 같은 측부를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다른 부분은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는 상기 전면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에 배면에 위치하는 이의 다른 부분은 상기 배면에 이동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측부에서 감겨지거나 풀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의 이동 단말기(100) 배면에 배치되는 부분을 이동시켜, 이의 이동 단말기(100) 전면에 배치되는 영역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면적은 정해져 있고 하나의 연속적인 몸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면적이 늘어나면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면적이 줄어든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1)는 후술되는 제 1 프레임(101)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제 2 프레임(102)내에, 정확하게는 상기 제 2 프레임(102)의 어느 한 측부에 감겨질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서의 디스플레이부(151)의 면적을 조절하도록 제 2 프레임(102)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 2 프레임(102)에 감겨지면서 상기 제 2 프레임(102)로부터 인출(withdraw or pulled out)되거나 이에 인입(insert or pushed into)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이동 단말기(100)의 다른 관련 구성요소들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후술된다.
통상적으로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100)의 케이스 또는 하우징에 제공되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비롯하여 배면까지 커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의해 상기 케이스 또는 하우징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부위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안테나가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AOD: Antenna on Display)는 패턴이 새겨진 전극층과 유전층이 겹겹이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형태의 안테나이다.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는 기존의 구리 니켈도금 방식으로 구현하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기술보다 더 얇게 구현할 수 있어 두께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면서 외관으로 드러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는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직접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양면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의 세부적인 구성이 상세하게 다음에서 설명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 2가 기본적으로 참조되며, 도 3-도 5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및 제 2 상태들에서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세부적인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 프레임(101)과 제1 프레임(101)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프레임(102) 그리고 제2 프레임(102)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프레임(1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2)은 전방부, 후방부 및 측면부를 포함하며,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이들 결합된 제 1 및 제 2 프레임들(102)에 의해 육면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제 1-3 프레임(101-103)의 구성을 고려할 때, 상기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의 운동은 슬라이드 운동이 될 수 있다.
먼저, 제 1 프레임(101)는 이동 단말기(100)의 메인 바디에 해당되며, 그 내부에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101)은 이와 같은 공간내에 상기 제 1 프레임(10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프레임(102)를 수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프레임(101)은 도 2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전방부(1011) 및 이동 단말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1 후방부(1012) 및 제 2 후방부(10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전방부(1011), 제 1 후방부(1012) 및 제 2 후방부(1013)은 대체적으로 평평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후방부(1012) 및 제 2 후방부(1013)은 서로 결합되는 별도의 부재들로 이루어지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 1 전방부(1011)와 제 1 후방부/제 2 후방부(1012,1013)은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측면부(101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101)내의 공간내에 이동 단말기(100)의 부품으로서 제어부(180) 및 전원공급부(190)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전자회로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이 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 및 관련 부품들이 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제 2 프레임(102) 및 구동부(200)도 제 1 프레임(101)내에 수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연속적인 몸체를 가지며 이동 단말기(100)내에 감기면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해당하는 제 1 전방부(1011)에 배치되며, 동시에 이의 다른 부분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 해당하는 제 1 및 제 2 후방부(1012,1013)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다양한 물리적 입력부(120) 및 센서부(140)의 설치를 위해 제 2 후방부(1013)에만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제 1 후방부(1012)는 항상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각종 버튼, 스위치, 카메라(121), 플래쉬와 같은 입력부(120)와 근접센서(141)와 같은 센서부(140)가 이에 배치될 수 있다. 통상의 바형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단말기의 전면 에만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반대편의 사물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면서 촬영하기 위해서는 카메라가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되며, 사용자 자신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면서 촬영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카메라가 단말기의 전면에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이의 전면 및 배면 둘 다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때는 카메라(121)와 동일면에 있는 디스플레이부, 즉 도면상 이동 단말기(100) 배면상의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반대편의 사물을 촬영할 때는 카메라(121)와 반대면에 있는 디스플레이부, 즉 도면상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상의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의 카메라(121)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을 촬영할 수도 있고 사용자를 촬영할 수도 있다. 카메라는 광각, 초광각, 망원 등 화각이 다른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제1 후방부(1012)상에 카메라 이외에 근접센서 음향출력부 등이 위치할 수 있으며, 안테나(116)가 설치될 수도 있다.
측면부(1014)는 제 1 프레임(101)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 1 전방부(1011)와 제 1 후방부/제 2 후방부(1012,1013)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102)이 제 1 프레임(101)에 수용되며 또한 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이러한 제 2 프레임(102)의 제 1 프레임(101)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제 1 프레임(101)의 일부는 개방될 필요가 있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서, 제 2 프레임(102)는 제 1 프레임(101)의 양 측부들중 어느 하나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측면부(1014)는 그와 같은 측부에 형성되지 않아 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프레임(101)은 실제적으로 폐쇄된 제 1 측부(101a)와 상기 제 1 측부(101a)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개방되는 제 2 측부(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1014)는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전원 포트나 이어잭이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60)나 음량버튼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12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측면부(1014)는 안테나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2)은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2 전방부(1021) 및 이동 단말기(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3 후방부(10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101)의 제 1 전방부(1011), 제 1 및 제 2 후방부(1012,1013)과 마찬가지로, 제 2 전방부(1021) 및 제 3 후방부(1023)은 대체적으로 평평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도 다양한 부품을 수용하며, 이동중에 제 1 프레임(101)내에 수용된 부품들과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 2 전방부(1021) 및 제 3 후방부(1022)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 1 프레임(101)내의 부품들과 간섭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에 배치되도록 제 2 프레임(102)내에서 감겨지면서 180도로 꺽여질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51)의 배열(arrangement)를 위해, 제 2 프레임(102)은 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10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1028)은 제 2 프레임(102)의 내부에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151)는 사용자에게 좋은 품질의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에서 평평하게 전개(spread)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개를 위해서는 디스플레이(151)에 적절한 장력이 제공되어야 한다. 적절한 장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롤러(1028)는 디스플레이(151)의 측단부(side edge or side end)(도면에서, 측단부(151d))와 인접하는 제 1 프레임(101)의 제 1 측부(101a)로부터 멀어지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102)는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제 1 및 제 2 측부(102a,102b)를 포함하며, 제 1 측부(102a)가 제 2 측부(102b)보다 제 1 프레임, 정확하게 이의 제 1 측부(101a)로부터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롤러(1028)은 제 1 프레임(101)의 제 1 측부(101a)에 대향되는 제 2 프레임(102)의 제 1 측부(102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028)은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방향, 즉 제 2 프레임(10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2 프레임(102), 정확하게는 제 3 후방부(1022)의 상부 및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소정 곡률을 가지고 완만하게 휘어지면서 롤러(1028)에 감길 수 있다. 또한, 롤러(1028)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제 2 프레임(102)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1028)은 디스플레이부(151)을 실제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측방향(lateral direction), 즉,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02)이 슬라이드할 때, 상기 제 2 프레임(102)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는 서로 다른 방향들(즉,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로 제 2 프레임(102)에 상대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이동을 롤러(1028)는 회전하면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롤러(1028)은 제 2 프레임(102)의 제 1 측부(102a)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부(102a)는 실제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최외각 측부에 해당된다. 만일 제 2 플레임(102)의 제 1 측부(102a)가 노출되는 경우, 롤러(1028)에 감긴 디스플레이부(151)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프레임(102)는 제 1 측부(102a)에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102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024)은 제 2 프레임(1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 1 측부(102a)를 커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러(1028) 및 이에 감긴 디스플레이부(151)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 프레임(1024)에 의해 제 2 프레임(102)는 실질적으로 폐쇄된 제 1 측부(102a)를 가지게 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1024)는 제 1 프레임(101)의 측면부(1014)와 함께 실질적으로 이동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중에 제 1 프레임(101)내의 부품들과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2 프레임(102)은 제 1 측부(102a)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개방되는 제 2 측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프레임(102)은 제 1 프레임(10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 1 프레임(101)에 대해 소정의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프레임(1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01)의 측부, 정확하게는 개방된 제 2 측부(101b)를 통해 제 1 프레임(10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프레임의 제 2 측부(102b)는 폐쇄되는 제 1 프레임(101)의 제 1 측부(101a)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제 2 프레임의 제 1 측부(102a)는 상기 제 1 측부(101a)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측부(102b)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측부, 즉 이의 제 2 측부(101b)를 통해 상기 제 1 프레임(101)내에 삽입된다. 제 1 측부(102b)는 제 1 프레임(101)내에 삽입되지 않고 제 1 프레임(101)외부에 항상 위치되며, 이에 따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이러한 제 2 프레임(102)의 제 1 측부(102b)도 제 1 프레임(101)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위치관계로 인해, 제 2 프레임(102)는 이동 단말기(100) 또는 제 1 프레임(10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프레임(101)으로부터 확장하거나 이에 수축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방향(D1,D2)는 기본적으로 이동 단말기(100) 또는 제 1 프레임(10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1 및 제 2 방향(D1,D2)는 이동 단말기(100) 또는 제 1 프레임(101)의 측방향(lateral direction) 또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D1)의 이동에서 제 2 프레임(102)는 제 1 프레임(101)로부터 확장되며, 이에 따라 제 1 방향(D1)은 제 2 프레임(102)가 제 1 프레임(101)로부터 멀어지게, 즉 이동 단말기(100) 또는 제 1 프레임(101)의 바깥쪽으로(outwardly) 이동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2 방향(D1)의 이동에서 제 2 프레임(102)는 제 1 프레임(101)으로 수축된다. 따라서, 제 2 방향(D1)은 제 1 방향(D1)과 대향되는 방향이며, 제 2 프레임(102)이 제 2 프레임(101)에 가까워지게, 즉 이동 단말기(100) 또는 제 1 프레임(101)의 안쪽으로(inwardly) 이동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제 1 방향(D1)으로 이동될 때, 이러한 제 2 프레임(102)은 확장되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배치되던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에 힘을 가해 추가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시키며, 이러한 추가적인 배치를 위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프레임(102)은 제 1 방향(D1)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을 상대적으로 확장된 전면 디스플레이부(151)를 갖는 제 2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2 프레임(102)은 제 2 방향(D2)으로 이동될 때, 원 상태로 수축하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던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에 힘을 가해 다시 이동단말기(100)의 후면에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프레임(102)은 제 2 방향(D2)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을 상대적으로 축소된 전면 디스플레이부(151)를 갖는 제 1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프레임(102)은 이동 방향(즉,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를 앞서 정의된 제 1 또는 제 2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방향(D1,D2)으로의 확장 및 수축동안, 제 2 프레임(102)는 제 1 프레임(101)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프레임(101), 정확하게는 이의 제 1 전방부(1011), 제 1 및 제 2 후방부(1012,1013)과 오버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01)의 제 1 전방부(1011)에 의해 결합되어 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프레임(102)의 제 2 전방부(1021)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제 2 전방부(1021)가 제 1 전방부(1011)과 디스플레이부(151)사이에 개재되면,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제 2 전방부(1021)과의 마찰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방부(1021)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방부(1011) 아래(below)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2 전방부(1021)의 전면은 제 1 전방부(1011)의 배면과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의 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 1 전방부(1011)의 배면은 제 2 전방부(1021)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102)의 이동 방향(D1 또는 D1)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배면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정지되는 제 1 프레임(101)이 아닌 제 2 프레임(102)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과 연동하여 이동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 2 프레임(102)에 결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 2 프레임(102)의 제 3 후방부(1022)는 제 1 프레임(101)의 제 2 후방부(1013)의 아래(below)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3 후방부(1022)의 전면은 제 2 후방부(1013)의 배면과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의 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 2 후방부(1013)의 배면은 제 3 후방부(1022)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제 3 후방부(1022)는 제 1 프레임, 정확하게는 제 2 후방부(1013)의 외부로 노출되며, 디스플레이부(15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은 제 1 및 제 2 방향(D1,D2)으로의 확장 및 수축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 자체의 크기, 특히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확장 및 축소 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는 의도된 제 1 및 제 2 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확장 또는 축소된 전면만큼 이동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 2 프레임(102)에 고정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확장 또는 축소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맞게 원활하게 이동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디스플레이부(151)는 제 2 프레임(10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 1 측단부(side edge or side end)(151d)와, 이에 대향되며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 제 2 측단부(151e)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측단부(151)는 제 1 프레임(101) 전면, 즉, 이의 제 1 전방부(1011)의 전면에 배치되며 이동 단말기(100)의 측부, 즉, 제 1 프레임의 제 1 측부(101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제 2 측단부(151e)가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제 2 프레임(102)의 제 3 후방부(1022)에 인접하므로, 제 2 프레임(102)의 제 3 후방부(1022)에 제 1 및 제 2 방향(D1,D2)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구조적으로 강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제 2 측단부(151e)에는 제 3 프레임(103)이 결합될 수 있다. 제 3 프레임(103)은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3 프레임(103)이 제 2 측단부(151e)를 대신하여 제 2 프레임, 즉 이의 제 3 후방부(1022)에 제 1 및 제 2 방향(D1,D2)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는 이동 단말기(100) 또는 제 2 프레임(102)의 측방향, 즉 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10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3 프레임(103)은 상기 슬롯(1025)에 의해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3 프레임(103)은 슬롯(1025)를 따른 이동을 위해 예를 들어, 상기 슬롯(1025)에 삽입되는 돌출부(protusi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제 1-3 프레임들(103)의 구성(configuration)과 연계하여, 디스플레이부(151)는 이의 일측, 즉 제 1 측단부(151d)로부터 대향되는 제 2 측단부(151e)를 향해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1 영역(1511) 및 상기 제 1 영역(1511)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측단부(151e)로부터 상기 제 1 측단부(151d)을 향해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2 영역(15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은 제 1 및 제 2 영역(1511,1512)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영역(15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3 영역들(1511,1512,1513)은 서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연속적인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102)의 이동방향에 따른 제 3 영역(1513)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의 이동을 위해, 제 1 영역(1511)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이동되지 않게 고정되며, 제 2 영역(1512)가 이동 단말기의 후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이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 1 영역(1511)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프레임(101), 즉 제 1 전방부(101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영역(1511)은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시에도 이동되지 않도록 제 1 프레임(101), 즉 제 1 전방부(1011)의 전면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항상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3 영역(1513)은 제1 영역(1511)에 인접하며, 제 2 프레임(102)내로 연장되어 들어가(extend into) 롤러(1028)에 감길 수 있다. 제 3 영역(1513)은 연속적으로 다시 제 2 프레임(102)로부터 연장되어 나와(extend out) 부분적으로 제2 프레임(102), 즉 제 3 후방부(1022)의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2 프레임(102), 즉 제 3 후방부(1022)는 제 1 프레임(101),즉 제 2 후방부(1013)에 인접하며 함께 이동 단말기(100)의 리어 케이스를 형성하므로, 제 3 영역(1513)은 제 1 프레임(101)의 배면에도 배치된다고 설명될 수 있다.
제 2 영역(1512)은 제 3 영역(1513)에 인접하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프레임, 즉 이의 제 3 후방부(102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영역(1512)는 제2 프레임(102)에 직접 결합하지 않고 제3 프레임(103)에 결합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02), 즉 제 3 후방부(1022)에 측방향(즉,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1025)이 형성되며 제3 프레임(103)은 슬롯(102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4(b)에 슬롯(1025)은 제2 프레임(102)의 배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 프레임(102)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영역(1512)는 제 3 프레임(103)과 함께 제 2 프레임(102)에 대해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로 이동할 수 있으나, 제 2 영역(1512)의 이동은 슬롯(1025)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내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제 2 영역(1512)은 제 2 프레임(102)이 확장 또는 수축되어도 제 2 프레임(102)외부로 이동하지 않으며, 제 2 프레임(102)의 확장 또는 수축된 거리만큼 제 2 프레임(102)내에서 슬롯(102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영역(1512)는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항상 노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영역(1511)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전면에 항상 노출되며, 제 2 영역(1512)은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배면에 항상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 3 영역(1513)은 제 1 및 제 2 영역(1511,1512)사이에 배치되어, 제 2 프레임(102)의 이동 방향(D1,D2)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배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3 영역(1513)의 선택적인 배치로 인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01)의 제 2 후방부(1013)은 제 1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2 및 제 3 영역(1512,1513) 및 제 3 후방부(1022)에 의해 커버되는 반면, 제 2 상태에서는 제 3 영역(1513)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이동하며, 제 3 후방부(1022)도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하므로, 이동 단말기(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의 제 2 전방부(1021)는 제 1 상태에서는 제 1 프레임(101)의 제 1 전방부(1011)아래에 배치되나 제 2 상태에서는 제 1 프레임(101)으로부터 이동되어 나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3 영역(1513)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영역(1511,1512)는 항상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배면에 배치되므로, 제1 영역(1511)과 제2 영역(1512)의 곡률은 변화하지 않고 편평한 기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영역(1513)은 제2 프레임(102)내에서 롤러(1028)에 감기어 절곡될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시 제 3 영역(1513)은 롤러(1028)에 어느 한 방향으로 감기면서 제 2 프레임(102)으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확장될 수 있다. 반면,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전환시 제 3 영역(1513)은 롤러(1028)에 반대방향으로 감기면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부터 제 2 프레임(102)으로 수축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제 2 프레임(102)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책처럼 펼쳐지는 형태의 폴더블 이동 단말기는 특정위치만 반복적으로 접히기 때문에 상기 특정위치가 파손되기 쉽다. 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부위, 즉 롤러(1028)에 감기는 부위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및 제 2 상태, 즉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부위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변형 및 피로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부(15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구성(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태전환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동상태전환동안의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이 설명된다. 그러나, 다음에서 설명되는 제 1-3 프레임(101-103)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작동은 사용자의 힘이 아닌 다른 동력원이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후술되는 구동부(200)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3(a), 도 4(a) 및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제 2 프레임(102)은 제 1 프레임(102)내로 완전하게 수축된다. 따라서, 제 1 프레임(101)의 전면에 고정된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1 영역(1511)만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영역(1511)은 제 1 프레임(101), 즉 이의 제 1 전방부(1011)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 3 영역(1513)은 대부분 제 2 영역(1512)과 함께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배치되며, 부분적으로 롤러(1028)에 감긴 상태로 제 2 프레임(102)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 배면의 제 3 영역(1513)은 제 2 프레임, 즉 이의 제 3 후방부(10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영역(1512)은 제 2 프레임(즉, 제 3 후방부(1022))상에 배치되는 제 3 프레임(103)에 의해 고정되며, 제 2 프레임(10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상태에서, 제 2 프레임(102)이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b),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102)은 제 1 방향(D1)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 1 프레임(101)으로부터 확장되며,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 크기, 특히 이의 전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방향(D1)의 이동중 제 2 프레임(102)은 제 1 방향(D1)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힘, 즉 장력을 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제 1 프레임(101)에는 고정되나 제 2 프레임(102)에는 제 3 프레임(103)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 2 프레임(102)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제 3 영역(1513)은 제 2 프레임(102)의 롤러(1028)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감겨나갈(rolled out) 수 있다. 즉, 제 3 영역(1513)은 제 2 프레임(102)으로부터 인출(withdraw or pulled out), 확장(extend), 또는 이동해 나갈(move out) 수 있다. 동시에, 제 3 영역(1513), 특히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배치된 부분은 상기 배면으로부터 제 2 프레임(102)의 롤러(1028)로 감겨 들어오거나(rolled into) 제 2 프레임(102)내로 인입(insert or pushed in), 수축(retract) 또는 이동해 들어올(move in) 수 있다. 제 3 영역(1513)의 전부가 제 2 프레임(102)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인출되지 않으며, 제 3 영역(1513)의 일부는 여전히 롤러(1028)에 말린 상태로 제 2 프레임(102)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3 영역(1513)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제 2 영역(1512)도 제 3 프레임(103)과 함께 제 2 프레임(102)에 대해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1512) 및 제 3 프레임(103)은 제 2 프레임(102)에 구속되어 제 2 프레임(102)과 함께 제 1 프레임(101)에 대해서도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영역(1512) 및 제 3 프레임(103)은 제 2 프레임(102) 뿐만 아니라 제 1 프레임(101)에 대해서도 제 1 방향(D1)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프레임(102)의 이동 거리보다도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 2 영역(1512)의 제 1 방향(D1)으로의 긴 이동을 인해, 제 3 영역(1513)은 원활하게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의 확장과 비례하는 제 3 영역(1513)의 이동을 위해, 제 2 영역(1512) 및 제 3 프레임(103)의 제 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제 3 영역(1513) 및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에 비례하도록 그와 같은 제 3 영역(1512) 및 제 2 프레임(102)의 제 1 방향(D1)으로의 이동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2)이 제 1 방향(D1)으로 완전하게 확장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는 제 1 및 제 3 영역(1511,1513)이 배치되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는 제 2 영역(1512)만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3 영역(1511,1513)은 제 1 프레임(즉 이의 제 1 전방부(1011)) 및 제 2 프레임(즉 이의 제 2 전방부(10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 즉 이의 제 3 후방부(1022)는 제 1 방향(D1)으로의 확장하면서 제 1 프레임의 제 2 후방부(1013)를 노출시키며, 이동하는 제 3 영역(1513)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확장된 전면 디스플레이부(151)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2 상태에서 제 2 프레임(102)이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다시 도 3(a),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2)는 제 2 방향(D2)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 1 프레임(101)으로 수축되며,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 크기, 특히 이의 전면을 축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중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은 앞서 설명된 제 1 방향(D1)으로의 이동에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간략하게, 제 3 영역(1513)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부터 제 2 프레임(102)의 롤러(1028)로 감겨들어가거나 제 2 프레임(102)으로 인입, 수축, 또는 이동해 들어갈 수 있다. 동시에, 제 3 영역(1513)은 제 2 프레임(102)의 롤러(1028)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으로 감겨 나가거나 인출, 확장 또는 이동해 나갈 수 있다. 제 3 영역(1513)의 전부가 제 2 프레임(102)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으로 인출되지 않으며, 제 3 영역(1513)의 일부는 여전히 롤러(1028)에 말린 상태로 제 2 프레임(102)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3 영역(1513)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제 2 영역(1512)도 제 3 프레임(103)과 함께 제 2 프레임(102)에 대해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 2 영역(1512) 및 제 3 프레임(103)은 제 2 프레임(102)에 구속되어 제 2 프레임(102)과 함께 제 1 프레임(101)에 대해서도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영역(1512) 및 제 3 프레임(103)은 제 2 프레임(102) 뿐만 아니라 제 1 프레임(101)에 대해서도 제 2 방향(D2)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프레임(102)의 이동 거리보다도 긴 거리를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 2 영역(1512)의 긴 이동을 인해, 제 3 영역(1513)은 원활하게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으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의 수축과 비례하는 제 3 영역(1513)의 이동을 위해, 제 2 영역(1512) 및 제 3 프레임(103)의 제 2 방향(D2)으로의 이동은 제 3 영역(1513) 및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에 비례하도록 그와 같은 제 3 영역(1512) 및 제 2 프레임(102)의 제 2 방향(D2)으로의 이동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2)이 제 2 방향(D2)으로 완전하게 수축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 1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축소된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이드 프레임(1024)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이동 단말기의 사이드 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C-C, D-D 및 E-E를 따라 얻어진 사이드 프레임들 및 이에 인접한 구성요소들의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며, 사이드 프레임(1024) 및 이에 인접한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이드 프레임(1024)은 불투명한 소재 또는 투명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불투명한 소재와 투명한 소재를 섞어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a)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024)는 불투명부(1024a)의 중간에 투명부(1024b)을 포함하여, 롤러(1038)에 말린 디스플레이부(151)을 노출시키는 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1024)는 도 6(b)와 같이 보다 확장된 투명부(1024b)의 영역을 가져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확장할 수도 있다. 투명부(1024b)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나 문자를 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측면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입력을 위해 부분적으로 사이드 프레임(1024)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부분에 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돌기 부분을 터치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024)은 롤러(1028)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곡률에 상응하는 내측면을 도 7과 같이 가운데 부분은 더 두껍게 형성하여 자연스러운 곡면을 가지면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6(c)와 같이 소정 패턴의 투명부(1024b)를 구성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가 오는 경우 순차적으로 빛이 발광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동할 수 있다.
또는, 메지시나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푸쉬가 있는 경우 롤러(1028)에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특정색의 빛을 사출하는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광출력부(154)를 구비할 필요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투명부(1024b)는 전투명이 아닌 반투명한 소재를 이용하여 은은하게 빛이 퍼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d)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024)의 영역을 두께 방향 너비를 얇게 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단부에 측면방향 일부영역까지 연장된 엣지영역을 구비한 형태의 단말기를 구현할 수도 있다.
사이드 프레임(1024)는 아웃폴딩 방식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꺾이는 면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 발생하는 파손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사이드 프레임(1024)뿐만 아니라, 롤러(1028)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display panel)(151b)과 표시패널(151b)의 배면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151c)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51b)은 플렉서블한 영상표시장치로서 예를 들어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들 수 있다. 백플레이트(151c)는 표시패널(151b)의 배면에 구비되어 표시패널(151b)을 지지하기 위해 강성을 가지면서 표시패널(151b)이 휘어지는 경우 그와 함께 휘어질 수 있는 금속 플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백플레이트(151c)와 표시패널(151b)은 접합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접합부재는 폼재질과 같이 소정 범위 내에서 신축가능한 OCA와 같은 양면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재는 백플레이트(151c)와 표시패널(151b) 사이의 곡률반경 차에 의한 밀림현상을 상쇄할 수 있다.
제 3 영역(1513)의 변형시 꺾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백플레이트(151c) 중 제3 영역(1513)에 상응하는 영역은 표면에 제3 방향, 즉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홈은 백 플레이트(151c)의 상단 및 하단사이에 일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백플레이트(151c)는 강성을 가지고 있으나 디스플레이부(151)의 처짐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의 제3 영역(1513)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00)은 제3 방향, 즉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의 복수개의 지지바(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러한 지지바(31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 및 하단사이에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들 지지바들(31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들 지지바(310)들은 큰 폭을 갖지 않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휨변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꺾어지는 경우 지지바(310)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각각의 지지바(310)는 백플레이트(151c)에 접착되는 부분의 면적보다 반대 면의 면적이 작도록 사다리꼴 형상 또는 삼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바(310)는 플라스틱 사출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310)의 내측에 금속재질의 강성바(320)를 삽입하여 지지 프레임(3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00)의 두께는 제1 프레임(101)의 제1 전방부(1011)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제1 전방부(1011)의 내측에 위치하던 제 2 전방부(1021)는 제 2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3 영역(1513)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제2 전방부(1021)와 디스플레이부(151), 즉 백플레이트(151c)사이에 제1 전방부(1011)의 두께만큼 이격 공간이 발생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3 영역(1513)이 쳐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지지 프레임(300)은 제2 전방부(1021)와 디스플레이부(151), 즉 백플레이트(151c) 사이의 이격 공간을 채우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3 영역(1513)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지지 프레임(230)의 두께는 제2 전방부(1021)와 백플레이트(151c) 사이의 이격 공간, 즉 제1 전방부(1011)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 즉 이의 제 3 후방부(1022)와 디스플레이부(151)사이에는 제 3 프레임(103)의 두께로 인한 이격이 발생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00)은 이러한 이격도 채울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3 영역(1513)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00)은 제 3 영역(1513)에만, 정확하게는 상기 제 3 영역(1513)의 배면에만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00)이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경우 제2 프레임(102)의 제2 전방부(1021)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의 두께는 제1 프레임의 제1 전면부(1011)과 관계없이 설정될 수 있다.
롤러(1028)는 지지 프레임(300)의 표면과 접촉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밀리지 않고 롤러(1028)에 감기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028)는 이의 원주면상에 배치되며, 지지바들(310)사이에 결합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028)의 표면에 제1 톱니(1028a)가 형성되고 지지 프레임(300)의 표면에도 제1 톱니(1028a)와 맞물리는 제2 톱니(31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커버(104)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여 후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후면 커버(104)의 제1 후방부(1012)를 커버하는 부분은 적어도 카메라(121)나 플래쉬 등에 대응되는 위치는 투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후면 커버(104)는 제1 프레임(101)에 결합되며, 실제적으로 제 1 후방부(1012)상에 직접 결합되면서 이를 커버할 수 있다. 후면 커버(104)는 제2 프레임(102)의 제3 후방부(1022), 제3 프레임(103)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는 결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들을 단순히 커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면 커버(104)는 제2 프레임(102)의 제3 후방부(1022), 제3 프레임(103)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총 두께만큼 제 2 후방부(1013)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 커버(104)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면커버(104)는 이동 단말기(100)가 제1 상태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커버하고 제2 상태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 3 후방부(1022)의 이동에 의해 노출되는 제 2 후방부(1013)를 커버하고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104)는 제2 프레임(10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상태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전부, 즉 제 1 후방부(1012) 및 디스플레이부(151)를 커버하나, 제2 상태에서는 제2 프레임(102)과 같이 이동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에 의해 노출되는 제 2 프레임(102)의 제 3 후방부(1022)와 제3 프레임(103)에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 영역(1512)을 커버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2 프레임(102)을 수동으로 이동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확장하는 경우, 불균일하게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뒤틀리거나 제1 프레임(101)이나 제2 프레임(102)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을 위해 제 2 프레임(102)에 균일하게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00)는 사용자의 지시 또는 소정의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제 2 프레임(102)에 힘을 가하면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200)가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8은 구동부의 작동 및 상기 작동에 의해 실행되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및 제 2 상태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며, 이러한 도 8을 참조하여, 구동부(200)의 작동원리가 먼저 설명된다.
구동부(200)는 제 2 프레임(102)을 제1 프레임(10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제3 프레임(103)을 제2 프레임(10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부(200)는 제 2 프레임(102)을 제 1 프레임(101)에 대해 제 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 3 프레임(103)을 제 2 프레임(102)에 대해 제 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방향(D1)으로의 이동에 의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전환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단말기(100)의 전면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는 확장된 전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한편(alternatively), 구동부(200)는 제 2 프레임(102)를 제 1 프레임(102)에 대해 제 1 방향(D1)에 반대방향인 제 2 방향(D2)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 3 프레임(103)을 같은 제 2 방향(D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2 방향(D1)으로의 이동에 의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전환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단말기(100)의 배면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는 축소된 전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도록 복귀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이와 같은 기본적인 이동이외에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전환을 위해 요구되는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 및 이에 연계된 디스플레이부(151)의 모든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을 제 2 상태로 만들기 위해, 제 2 프레임(102)은 제 1 프레임(101)에 대해 기설정된 제 1 거리(d1)만큼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3 프레임(103), 즉 제 2 영역(1512)은 제 2 프레임(102)에 결합되므로, 제 2 프레임(102)와 함께 제 1 프레임(101)에 대해 제 1 거리(d1)만큼 제 1 방향(D1)으로 기본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에 의해 제 1 방향(D1)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은 제 1 거리(d1)와 동일한 제 2 거리(d2)만큼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된 제 2 거리(d2)만큼 디스플레이부(151), 정확하게는 제 3영역(1513)을 이동단말기(100)의 전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프레임(103)은 추가적으로 제 1 거리(d1)과 동일한 제 2 거리(d2)만큼 제 2 프레임(102)에 대해서도 제 1 방향(D1)으로 더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 즉 제 3 프레임(103)은 제 2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제 1 방향(D1)으로 제 2 프레임(102)의 이동거리인 제 1 거리(d1)의 2배인 제 3 거리(d3)만큼 이동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이동 단말기(100)을 제 1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된 것과 반대되게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이 이동할 수 있다. 간략하게, 제 2 프레임(102)는 제 1 거리(d1)만큼 제 1 프레임(101)에 대해 제 2 방향(D2)로 이동하며, 제 1 프레임(101)에 대한 제 1 거리(d1)만큼의 이동에 추가적으로 제 3 프레임(103)은 제 2 프레임(102)에 대해 제 2 방향(D2)으로 제 2 거리(d2)만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 즉 제 3 프레임(103)은 제 1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제 2 방향(D1)으로 제 2 프레임(102)의 이동거리인 제 1 거리(d1)의 2배인 제 3 거리(d3)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구동부(200)는 제 3 프레임(103)을 제 2 프레임(102) 뿐만 아니라 제 1 프레임(101)에 대해서도 이동시켜,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긴 거리 즉, 제 3 거리(d3)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51)가 이러한 전면의 증가 및 감소에 비례하여 이동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서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확장 및 축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구동부(200)는 제 3 프레임(103)의 이동, 즉 슬라이드를 제 2 프레임(102)의 이동, 즉 슬라이드와 동기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부(100)는 제 3 프레임(103)이 이동을 시작하는 시점을 제 2 프레임(102)이 이동을 시작하는 시점과 동기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동부(200)는 제 3 프레임(103)과 제 2 프레임(102)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시적인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의 이동은 이동 단말기(100)상의 동일한 위치에서 시작될 수 있다. 즉, 구동부(200)는 제 3 프레임(103)이 이동을 시작하는 위치를 제 2 프레임(102)이 이동을 시작하는 위치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시작시점 및 이동시작위치의 동기화와 더불어, 구동부(100)는 제 3 프레임(103)의 이동속도를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속도와 동기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00)는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을 동일한 시간내에 제 1 및 제 2 프레임(101,102) 각각에 대해 동일한 거리(즉, 제 2 프레임(102)의 경우, 제 1 프레임(101)에 대해서 제 1 거리(d1), 제 3 프레임(103)의 경우 제 1 프레임(102)에 대해서 제 2 거리(d2))를 동일한 지점으로부터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프레임(103)은 제 2 프레임(102)에 의해 운반되어 기본적으로 제 1 거리(d1)를 이동하므로, 이와 같은 동기화된 이동에 의해, 제 2 프레임(102)의 이동거리에 비례하게 이동하면서 전체적으로 제 1 및 제 2 거리(d1,d2)의 합에 해당하는 제 3 거리(d3)로 길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구동부(200)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 전면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상기 전면에서 원활하게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구되는 조건들을 만족시키도록 구동부(200)는 구성되며, 도 8에 간략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210), 상기 서포터(2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액츄에이터(220), 상기 제 2 액츄에이터(2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액츄에이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220)는 서포터(210)에 대해 소정의 방향들, 즉 제 1 및 제 2 방향(D1,D2)들로 직선 왕복운동하며, 제 2 프레임(102)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제 1 액츄에이터(220)에 대해 제 1 및 제 2 방향(D1,D2)들로 직선 왕복운동하며, 제 3 프레임(103)을 이동키시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동부(200)는 직선적으로 왕복운동하는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220,230)을 스테이지(stage)로서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구조(telescopic)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통해, 구동부(200)는 요구되는 바와 같은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의 이동 거리를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0)는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의 이동의 동기화를 위해 제 1 액츄에이터(210)의 이동과 제 2 액츄에이터(220)의 이동을 동기화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00)의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220,230)은 제 2 프레임 및 제 3 프레임(102,103)과 연계하여 이들 프레임(102,103)에 동력을 제공하며, 앞서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전환을 위해 이들 프레임들(102,103)에 요구되는 이동들을 함께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00)의 부품들의 구성 및 작동은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구동부(20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팩한 모듈로서 형성되며, 이동 단말기(100)내의 제한된 내부공간내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이들 프레임(102,103)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되는(stationary) 제 1 프레임(101)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자리부(seat)(1013a)가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에 인접하는 제 1 프레임(101)의 제 2 후방부(1013)에 형성된다. 이러한 자리부(1013a)는 상기 제 2 및 제3 프레임(102,103)에 개방 또는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상기 자리부(1013a)내에 설치되며, 이의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220,230)는 제 2 및 제 3 프레임들(102)을 이동시키도록 이들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하나의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일 구동부(200)로도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의 보다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한 쌍의 구동부(200)가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구동부(200)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방향(D1,D2)으로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220,230)을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측방향, 즉 이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한 쌍의 구동부(200)는 이격된 두 지점들에서 균일한 힘을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에 가할 수 있으므로, 이들 프레임들(102,103)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된 개략적 설명에 뒤이어, 구동부(200)가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9는 제 1 상태에서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 2 상태에서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구동부의 제 3 액츄에이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더 나아가, 도 12는 도 9의 F-F를 따라 얻어진 구동부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구동부의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의 구동 메커니즘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도 13은 구동부(200)의 구조의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 구동부(200)의 배면, 즉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과의 결합부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를 정면에서 봤을 때,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는 실제적으로 뒤집힌 상태로 이동 단말기(100)내에 배치된다. 또한, 도 9(b) 및 도 10(b)에서, 제 1 액츄에이터(220)의 내부 구조를 잘 보여주기 위해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일부, 즉 하우징(221)이 제거되어 있다.
도 9-도 13을 참조하면, 구동부(200)는 이동가능한 부품들(component), 즉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210,2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서포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210)는 베이스(2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공간내에 설치되도록 좁고 연장된(elongated)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211)는 이동 부품들, 특히 제 1 액츄에이터(210)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서포터(210)는 측벽(21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212)은 베이스(211)에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베이스(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측벽(212)은 베이스(211)의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측벽(212)은 제 1 액츄에이터(210)의 측부와 마주하며, 이에 따라 제 1 액츄에이터(210)의 서포터(210) 길이방향으로의 이동, 즉 제 1 및 제 2 방향(D1,D2)으로의 직선왕복운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측벽(212)은 상기 제 1 액츄에이터(210)의 측부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서포터(210)는 추가적인 측벽(2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포터(210)는 베이스(211)의 측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측벽(2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210)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채널(channel)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측벽(212)은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양측부와 각각 마주하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210)는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220,230)의 상대적 운동을 위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 2 및 제 3 프레임(102,103)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되는 제 1 프레임(101)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210)은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220,230)과 함께 제 2 후방부(1013)의 자리부(1013a)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베이스(211)가 인접한 제 1 전방부(1011)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2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211a)을 포함하며,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공(211a)를 이용하여 제 1 프레임, 정확하게는 제 1 전방부(10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0)는 서포터(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액츄에이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220)는 서포터(210)에 대해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제 1 액츄에이터(220)는 소정 길이로 서포터(210)로부터 확장되거나 서포터(210)로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액츄에이터(220)는 제 2 프레임(102)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프레임(102)을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프레임(102)이 수행하는 슬라이드 운동과 마찬가지로, 제 1 액추에이터(220)의 운동도 서포터(210)에 대해 슬라이드 운동에 해당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220)은 먼저 제 1 하우징(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221)은 서포터(210), 정확하게는 이의 측벽(2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 액츄에이터(220)를 전체적으로 서포터(21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하우징(221)은 측벽(221a)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221a)은 서포터(210)의 베이스(211)에 수직하게 배향될 수 있으며, 서포터(210)의 측벽(212)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측벽(221a)도 서포터(210)의 측벽(212)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측벽(221a)은 서포터(210)의 측벽(2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측벽(2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측벽(221a)는 서포터(210)의 측벽(212)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211)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벽(21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이동을 위해 이들 측벽(211a)은 서포터(210)의 측벽들(212)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221)은 제 2 프레임(102)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 1 액츄에이터(220)는 제 2 프레임(10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하우징(221)은 측벽(221a)에 연결되며 상기 측벽(221a)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커버(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21b)는 체결공(221e)을 포함하며, 도 2, 도 14 및 도 1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공(221e)를 이용하여 제 2 프레임(102), 정확하게는 이의 제 3 후방부(10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221)이 한 쌍의 측벽들(221a)를 갖는 경우, 커버(221b)는 한 쌍의 측벽들(221a)를 연결시킬 수 있으며, 제 1 액츄에이터(210)의 부품들을 감쌀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제 1 하우징(221)은 서포터(210)에 결합되어 상기 서포터(210)와 함께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하나의 컨테이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테이너내에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210,220)의 부품들을 보호되도록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액츄에이터(220)는 제 1 하우징(221)내에 수용되는 추진기(thruster)(222)를 포함할 수 있다. 추진기(222)는 길게 연장된(elongated) 몸체(222a)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22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갖는 로드(rod)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추진기(222)는 몸체(222a)의 표면에 형성되는 나사(thread)(222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추진기(222)는 전체적으로 스크류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진기(222)는 다른 구조에 나사결합된(thread-coupled 상태로 회전에 의해 이동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제 1 액츄에이터(220) 및 이에 연결된 제 2 프레임(20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추진기(222) 특히 이의 나사(222b)는 제 2 프레임(201)에 요구되는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나사 결합(thread-coupling)은 두 개의 부재들은 서로에 대해 상대운동을 할 수 있도록 나사을 이용하여 결합시킨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나사 결합에서, 어느 하나의 부재에 형성된 나사가 다른 하나에 형성된 나사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 결합된 두개의 부재중 어느 하나의 부재는 다른 하나의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직선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나사 결합의 정의는 다음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며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추진기(222)는 제 1 하우징(221)내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향되며, 상기 제 1 하우징(2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하우징(221)은 서로 소정 간격, 즉 추진기(222)의 길이만큼 이격되는 한 쌍의 베어링(221c,221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베어링들(221c,221d)에 의해 추진기(222)의 양 끝단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221)이 한 쌍의 측벽들(221a)를 갖는 경우, 추진기(222)은 이들 측벽들(221a) 사이에 이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베어링들(221c,221d)은 측벽들(221a)과 결합되며, 이들을 가로지도록 배향될 수 있다.
추진기(222)는 또한, 서포터(221)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포터(210)는 이의 일부,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1)에 제공되는 슬리브(21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213)는 추진기(222)와 결합되는 나사(threa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러한 나사는 슬리브(213)의 내주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213)는 필요한 경우 서포터(210)의 측벽(212)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 하우징(2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opened portion) (도면상 제 1 하우징(221)의 하부, 이동 단말기(100)의 실제배향에서는 제 1 하우징(221)의 상부)을 포함할 수 있다. 추진기(222)는 이와 같은 제 1 하우징(221)의 개방부를 통해 서포터(210)에 노출되며, 이에 따라 슬리브(213)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추진기(222)와 슬리브(213)사이에는 원활한 상대이동을 위해 볼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진기(222)는 도 12 및 도 1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방향(rotation direction)(R1) 및 상기 제 1 회전방향(R1)에 반대되는 제 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회전방향(R1)은 시계방향이 될 수 있으며, 제 2 회전방향(R2)은 반시계방향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진기(222)가 제 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기(222)에 결합된 서포터(210)가 나사결합에 의해 추진기(222)의 나사를 따라 방향(A)로 이동, 즉 후진할 수 있다. 그러나, 서포터(210)는 제 1 프레임(10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슬리브(231)에 결합된 상태로 추진기(222)가 서포터(210)에 상대적으로 상기 방향(A)에 반대되는 방향(즉, 제 1 방향(D1))으로 이동 및 전진할 수 있다. 또한, 추진기(222)가 제 2 회전방향(R2)로 회전하면, 추진기(222)는 서포터(210)에 상대적으로 상기 방향(A), 즉 제 2 방향(D2)으로 이동 및 후퇴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추진기(222)는 제 1 하우징(221)을 포함하여 다른 제 1 액츄에이터(220)의 부품들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추진기(222)는 그 자신이 서포터(210)과의 나사결합에 의해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1 액츄에이터(220)의 부품들도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들에 의해, 구동부(200), 즉 이의 제 1 액츄에이터(220)는 서포터(210)로부터 소정길이로 확장되거나(제 1 방향(D1)의 이동) 원위치로 수축(제 2 방향(D2)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액츄에이터(220)에 제 2 액츄에이터(230)이 결합되므로, 추진기(222)는 상기 제 2 액츄에이터(230)도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추진기(222)는 이의 제 1 또는 제 2 회전방향(R1,R2)의 회전에 의해 서포터(210)에 상대적으로 제 1 액츄에이터(210)를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으로 밀어붙이도록(thrust)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액츄에이터(210)는 실질적으로 추진기(222) 자체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제 1 액츄에이터(210)는 서포터(210)에 나사결합하여 그 자신의 회전방향(R1 또는 R2)에 따라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고도 설명될 수 있다.
한편, 제 1 액츄에이터(220)는 추진기(22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진기(222)는 구동부(200) 외부의 동력원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모터(223)을 포함함으로써, 제 1 액추에이터(220)는 자체 추진 메커니즘(self-propelled mechanism)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23)는 제 1 하우징(221)내에 수용되며, 제 1 하우징(2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223)는 측벽(221a) 또는 커버(221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모터(223)는 변속장치를 통해 추진기(222)와 연결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20)의 컴팩한 크기를 위해 추진기(222)에 직결될 수 있다. 모터(223)는 추진기(222)에 직결되는 경우,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21)의 다른 부분에 지지되지 않고 추진기(222)를 지지하는 베어링(221d)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원활한 동력전달을 위해 모터(223), 정확하게는 이의 구동축은 추진기(222)와 동축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221b)는 모터(223)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절개부(cut-out)(221g)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221g)를 통해 모터(223)은 제 1 액츄에이터(220) 외부로 노출되며, 이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 및 수리될 수 있다. 또한, 서포터(210)도 베이스(211)에 형성되며,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절개부(221g)와 정렬되는 절개부(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211b)는 절개부(221g)와 실제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상태, 즉 제 1 액추에이터(220)이 완전히 수축된 상태에서에서 서로 정렬 및 연통될 수 있다. 정렬된 절개부들(211b,221g)에 의해 모터(223)는 보다 용이하게 접근가능해지고 보다 편리하게 수리될 수 있다.
다른 한편, 구동부(200)는 제 1 액츄에이터(210)의 보다 원활한 이동을 위해 추가적으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가이드로서, 레일(212a)이 서포터(210)에 제공될 수 있다. 레일(212a)은 서포터(210), 정확하게는 이의 측벽(212)로부터 제 1 액츄에이터(220), 정확하게는 이의 측벽(221a)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레일(212a)은 서포터(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로서, 리세스(221f)가 제 1 액츄에이터(210)에 제공될 수 있다. 리세스(221f)는 제 1 액츄에이터(210), 정확하게는 이의 측벽(221a)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세스(221f)는 레일(212a)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일(212a)의 표면은 리세스(221f)의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세스(221f) 및 레일(212a)에 의해 제 1 액츄에이터(220)는 서포터(2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로서, 베어링 메카니즘(201)이 리세스(221f)와 레일(212a)에 추가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베어링 메커니즘(201)은 리세스(221f)와 레일(212a)의 대향되는 표면들사이에 개재되는 리테이너(201a)와 상기 리테이너(201a)에 수용되는 베어링(20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테이너(201a)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자리부(seat)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201b)는 이러한 자리부에 수용되며, 리세스(221f)와 레일(212a)의 표면들과 접촉하면서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리세스(221f)와 레일(212a)의 표면들에는 서로 대향되게 홈들(221h,212b)가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201b)은 홈들(221h,212b)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상기 홈들(221h,212b)을 따라 안정적으로 구름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홈들(221h,212b)을 이용하여 베어링 메커니즘(201)은 보다 안정적으로 제 1 액츄에이터(210)의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0)는 제 1 액츄에이터(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액츄에이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제 1 액츄에이터(220)에 대해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제 3 프레임(103)과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3 프레임(103)을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3 프레임(103)의 슬라이드 운동과 마찬가지로, 관련된 구성을 고려할 때, 제 2 액츄에이터(230)의 운동도 슬라이드 운동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102)은 이동 단말기(100) 전면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기 위해, 제 1 프레임(101)로부터 소정 길이로 확장 또는 수축되므로, 상기 제 2 프레임(102)에 결합되는 구동부(200)의 일부, 즉 제 1 액츄에이터(220)도 서포터(210)로부터 그와 같은 소정길이로 확장 도는 수축될 수 있다. 반면, 제 3 프레임(103)은 확장 또는 축소된 이동 단말기(100) 전면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확장시키거나 상기 전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151)를 회수(withdraw)시키기 위해, 제 2 프레임(102)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 2 프레임(102)내에서만, 즉 제 2 프레임(102)에 의해 확장되거나 수축되는 거리만큼만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프레임(103)에 결합된 제 2 액츄에이터(230), 즉 구동부(200)의 일부도 제 1 액츄에이터(220) 외부로 이동해 나가지 않고 제 1 액츄에이터(230)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230)의 확장거리 또는 수축거리만큼만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추진기(222)는 요구되는 제 2 프레임(201)의 이동 거리(즉, 확장 또는 수축거리)에 해당하는 거리를 가지므로, 제 2 액츄에이터(230)도 추진기(222)에 결합되어 제 1 액츄에이터(220)내에서 상기 추진기(222)의 길이만큼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먼저, 도 11-도 1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제 2 하우징(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231)은 제 1 액츄에이터(220), 정확하게는 제 1 하우징(2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 2 액츄에이터(230)를 전체적으로 제 1 액츄에이터(22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제 1 액츄에이터, 즉 이의 제 1 하우징(221)은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221j)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221j)은 제 2 프레임(102)에 결합되는 커버(221b)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하우징(231)은 슬롯(221j)내에 수용되며, 이의 이동은 상기 슬롯(221j)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롯(221j)은 제 2 액츄에이터(220)를 수용하며 상기 제 2 액츄에이터(220)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슬롯(221j)은 제 2 액츄에이터(220)가 제 2 프레임(102)의 제 3 후방부(1022)에 결합될 때, 상기 제 3 후방부(1022)에 형성되는 슬롯(1025)과 연통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231)은 슬롯들(221j,1025)을 통해 제 2 프레임(102)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제 3 프레임(103)과 결합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31)에 의해 제 2 액츄에이터(230)은 제 3 프레임(103)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프레임(103)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슬롯들(221j,1025)의 길이는 제 2 프레임(102)에 요구되는 이동거리, 즉 제 2 프레임(102)의 확장 또는 수축거리, 더 나아가 추진기(222)의 길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이러한 슬롯들(221j,1025)에 따라 이의 제한된 거리만큼만을 제 1 액츄에이터(220)내에서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을 따라 왕복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하우징(231)은 리테이너(231a)와 상기 리테이너(231a)에 결합되는 헤드(231b)를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231a)는 추진기(222)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 2 액츄에이터(230)을 제 1 액츄에이터(220), 정확하게는 추진기(222)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231b)는 슬롯들(221j,1025)을 통해 제 2 프레임(102)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하우징(221)에서, 헤드(231b)가 제 3 프레임(103)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231b)는 체결공(231c)을 포함하며,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공(231c)를 이용하여 제 3 프레임(10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231)은 이의 몸체, 즉 헤드(231a)에 형성되는 자리부(seat)(231d)와 상기 자리부(231d)에 배치되는 베어링(231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자리부(231d)와 베어링(231e)은 제 1 액츄에이터(220), 즉 이의 제 1 하우징(221)의 커버(221b)의 표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231e)은 커버(221b)와 접촉하면서 구르며, 제 2 액츄에이터(230)가 제 1 액츄에이(220)에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의 제 1 하우징(221)은 커버(221b)의 표면에 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홈(221i)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231e)은 홈(221i)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구르는 동안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제 1 액츄에이터(220)에 대해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제 2 하우징(231)내에 수용되는 보조추진기(thruster)(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추진기(232)는 원형 단면을 갖는 로드(rod)로 이루어지는 몸체(232a)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추진기(232)는 몸체(232a)의 표면에 형성되는 나사(thread)(232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추진기(232)도 추진기(222)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스크류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추진기(232)는 제 2 하우징(231)내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향되며, 상기 제 2 하우징(2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보조 추진기(232)는 이의 중심축이 추진기(222)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하우징(231)은 이의 내부, 정확하게는 헤드(231a)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231f)를 포함하며, 보조 추진기(232)는 상기 공간(231f)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간(231f)는 보조 추진기(232)의 외형(outer profile)에 부합하는(conform)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2 하우징(231) 또는 이의 헤드(231a)는 보조 추진기(232)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보조 추진기(232)는 몸체(232a)의 양 끝단들로부터 이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돌기(protrusion)(23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231) 또는 헤드(231a)는 돌기(232c)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리브(231i)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231i)는 공간(231f)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configuration)에 의해 보조 추진기(232)는 제 2 하우징(231)내에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액츄에이터, 즉 보조 추진기(232)는 또한, 제 1 액츄에이터, 즉 추진기(222)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추진기(232)는 추진기(222)와 직접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원활한 이동을 위해, 보조 추진기(232)는 베어링(231h)를 이용하여 추진기(222)와 결합할 수 있다. 즉, 보조 추진기(232)와 추진기(222)사이에 베어링(231h)이 개재되며, 이들 추진기들(222,232)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어링(231h)은 보조 추진기(232)와 추진기(222)의 나사산들(peak)사이의 나사골(bottom)들내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추진기(222)의 회전시 나사골을 따라 구르면서(roll) 인접한 보조 추진기(2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동 메커니즘에서, 추진기(222)는 구동부(driver)가 되며, 보조 추진기(232)는 종동부(follower)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231h)는 제 2 하우징(231), 즉 이의 리테이너(231b)에 형성되는 자리부(231g)내에 구름가능하게(rollably)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231h)는 자리부(231g)로부터 제 2 하우징(231)의 내부 및 외부를 향해 즉, 보조 추진기(232)와 추진기(222)를 향해 부분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보조 추진기(232)와 추진기(222)에 구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추진기(222)가 제 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는 경우, 추진기(222)에 결합된 서포터(210)는 나사결합에 의해 추진기(222)의 나사를 따라 방향(A)로 이동하는 반면, 추진기(222)를 갖는 제 1 액츄에이터(220)는 방향(A)에 반대되는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추진기(222)가 제 2 회전방향(R2)로 회전할 때도 서포터(210)는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제 2 방향(D2)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서포터(210)는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이동방향과 반대되게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액츄에이터(230)도 단순하게 추진기(222)에 나사결합되는 경우, 서포터(210)와 마찬가지로 제 1 액츄에이터(22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 3 프레임(103)을 제 2 프레임(102)과 동일한 방향, 즉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 2 액츄에이터(230)은 제 1 액츄에이터(2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제 1 액츄에이터(2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이유로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 1 액츄에이터(2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보조 추진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추진기(232)는 추진기(222)의 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추진기(232)가 추진기(222)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추진기(222)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추진기(222)의 나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로 결합된 나사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면, 이들 나사들은 서로 반대방향들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반대방향 회전을 위해, 보조 추진기(232)는 상기 추진기(222)와 동일한 감김방향(winding direction)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기(232)와 보조 추진기(232)는 동일한 우선나사(righ-handed thread or helix)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추진기(222)가 제 1 방향(R1)으로 회전하면, 제 1 액츄에이터(220)는 서포터(210)에 상대적으로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제 1 액츄에이터(220)에 운반되면서 이와 함께 서포터(210)에 상대적으로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추진기(222)가 제 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는 동안, 보조 추진기(232)는 제 1 방향(R1)에 반대되는 제 2 회전방향(R2)로 회전하게 되며, 추진기(222)의 나사를 따라 제 1 액츄에이터(220)에 상대적으로 제 1 방향(D1)으로 추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한편(alternatively), 추진기(222)가 제 2 방향(R1)으로 회전하면, 제 1 액츄에이터(22)는 서포터(210)에 상대적으로 제 2 방향(D2)로 이동하며, 제 2 액추에이터(230)도 제 1 액츄에이터(220)와 함께 서포터에 상대적으로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추진기(232)는 반대되는 제 1 방향(R1)으로 회전하면서 추진기(222)의 나사를 따라 제 1 액추에이터(220)에 상대적으로 제 2 방향(D2)으로 추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조 추진기(232)는 제 2 하우징(231)을 포함하여 다른 제 2 액츄에이터(230)의 부품들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보조 추진기(232)는 그 자신이 추진기(222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2 액츄에이터(230)의 부품들도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추진기(232)는 추진기(222)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을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반대방향의 회전에 의해 제 1 액츄에이터(220)에 상대적으로 제 2 액츄에이터(230)를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으로 밀어붙이도록(thrust)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실질적으로 보조 추진기(232) 자체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제 1 액츄에이터(220), 즉 추진기(222)에 나사결합하며 이의 제 1 또는 제 2 회전방향(R1,R2)의 회전에 의해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고도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추진기(232)는 추진기(222)에 의해 구동에 종속되는(dependent) 종동부에 해당하므로, 제 1 액츄에이터(220)의 관점에서, 제 1 액츄에이터(220) 또는 이의 추진기(222)는 그 자신의 제 1 또는 제 2 회전방향(R1,R2)의 회전에 의해 제 2 액츄에이터(230) 또는 보조 추진기(232)를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로 이동시킨다고 설명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보조 추진기(220) 및 이에 연결된 제 2 액츄에이터(230)는 제 1 액츄에이터(220) 뿐만 아니라 서포터(210)에 대해서도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서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확장 및 축소를 위해 제 3 프레임(103)에 요구되는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추진기(222)는 서포터(210)의 슬리브(213)에 나사 결합되며, 또한 제 2 액츄에이터(230)의 보조 추진기(23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추진기(222)가 제 1 또는 제 2 회전방향(R1,R2)로 회전하면, 제 1 액츄에이터(220)가 서포터(210)에 대해 제 1 또는 제 2 방향(D1,D2)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 2 액츄에이터(230)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추진기(222)는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210,220)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00)는 이러한 추진기(222)에 의해 제 2 액츄에이터(230)의 이동을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이동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부(200)는 단일 구동부인 추진기(222)만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220,230)를 함께 구동시키며, 이에 따라 제 2 액츄에이터(230)가 이동을 시작하는 시점을 제 1 액츄에이터(220)가 이동을 시작하는 시점과 동기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츄에이터(230)은 제 1 및 제 2 상태에서 제 1 액츄에이터(230) 끝단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구동부(200)는 동일한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220,230)을 이동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시작시점 및 이동시작위치의 동기화와 더불어, 구동부(200)는 제 2 액츄에이터(230)의 이동속도를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이동속도와 동기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진기(222) 및 보조 추진기(232)는 동일 속도의 이동을 위해 동일한 피치(pitch)를 갖는 나사들(222b,232b)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동일시간의 추진기(222)의 회전동안 추진기(222)는 서포터(210)에 대해 그리고 보조 추진기(232)는 추진기(222)에 대해 동일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00)는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220,230)을 이에 결합된 제 2 및 제 3 프레임들(102,103)과 함께 동일한 시간내에 동일한 거리를 동일한 지점으로부터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액츄에이터(22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액츄에이터에 의해 소정거리를 운반되면서 그와 같은 거리를 추가적으로 이동하므로, 이에 연결된 제 3 프레임(103)은 요구되는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구동부(200)는 이동 단말기(100) 전면의 증가 및 감소시키며, 이러한 전면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상기 전면에서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구동부(2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이 구동부(200)의 작동과 연계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4는 제 1 상태에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한 제 1-3 프레임들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들이며, 도 15는 제 2 상태에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한 제 1-3 프레임들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들이다. 도 14 및 도 15에서, 구동부(200)는 제 1-3 프레임들(101-103)과의 상관관계를 잘 보여주기 위해 이동 단말기 외부에 확대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서, 구동부(200) 부품들과 제 1-3 프레임들(101-103)의 결합관계는 점선들로 표시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제 2 프레임(102)은 제 1 프레임(102)내로 완전하게 수축된다. 따라서, 제 1 프레임(101)의 전면에 고정된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1 영역(1511)만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 3 영역(1513)은 대부분 제 2 영역(1512)과 함께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배치되며, 부분적으로 롤러(1028)에 감긴 상태로 제 2 프레임(102)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프레임(101)은 제 2 영역(1512)에 결합되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서 제 1 지점(A1)에 배치된다.
이러한 프레임들(101-102)의 배치와 연계하여, 구동부(200)의 서포터(210)는 제 1 프레임(101), 즉 이의 제 1 전방부(1011)에 고정된다. 또한, 제 1 액츄에이터(220)는 제 2 프레임(102), 즉 이의 제 3 후방부(1022)에 결합되며, 제 2 프레임(102)와 마찬가지로 서포터(210)내로 완전하게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츄에이터(230)은 제 2 프레임(102), 즉 이의 제 3 후방부(1022)를 통해 제 3 프레임(103)과 결합되며, 마찬가지로 제 1 지점(A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상태에서, 제 2 프레임(102)이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태전환을 위해 제 1 액츄에이터(220)가 이에 결합된 제 2 프레임(102)와 함께 제 1 프레임(101)/서포터(210)에 대해 제 1 지점(A1)으로부터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추진기(222)에 의해 제 2 액추에이터(230)는 제 1 액츄에이터(220)와 동기화되어 있으므로,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이동과 동시에 제 2 액츄에이터(230)도 제 3 프레임(103)과 함께 동일한 제 1 지점(A1)으로부터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220)는 계속 이동하여 제 1 프레임(101)에 상대적으로 제 1 지점(A1)과 제 2 지점(A2)사이의 제 1 거리(d1)만큼 이동하며, 이러한 이동의 결과로 제 3 지점(A3)까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프레임(102)도 제 1 액츄에이터(220)에 의해 제 1 거리(d1)만큼 이동하여 제 3 지점(A3)까지 확장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220)과 제 2 프레임(102)은 제 1 거리(d1)만큼 제 3 지점(A3)까지 확장되므로, 제 2 지점(A2)과 제 3 지점(A3)사이의 제 2 거리(d2), 즉 확장거리는 제 1 거리(d1)와 동일하다. 제 1 액츄에이터(220)와 제 2 프레임(102)이 제 1 프레임(101)/서포터(210)에 대해 제 3 지점(A3)까지 이동 및 확장되는 동안, 제 2 액츄에이터(230) 및 제 3 프레임(103)은 제 1 액츄에이터(220)에 운반되면서 제 1 프레임(101)/서포터(210)에 상대적으로 제 1 거리(d1)를 이동하면서 동시에 제 1 액츄에이터(220)를 따라 제 2 프레임(102)/제 1 액츄에이터(220)에 상대적으로 제 1 방향(D1)으로 추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220)와 제 2 프레임(102)가 제 3 지점(A3)까지의 이동 및 확장을 완료하면, 제 2 액츄에이터(230) 및 제 3 프레임(103)도 제 1 지점(A1)으로부터 제 2 지점(A2)를 지나 제 3 지점(A3)까지 이동되며, 결과적으로 제 1 거리(d1)에 추가적으로 제 2 거리(d2), 즉 제 2 프레임(102)의 확장거리만큼 더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1 거리(d1) 또는 제 2 거리(d2)에 2배만큼 제 2 액츄에이터(230) 및 제 3 프레임(103)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액츄에이터(230) 및 제 3 프레임(103)의 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3 영역(1513)은 제 2 프레임(102)를 통해 확장된 거리, 즉 제 2 거리(d2)만큼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츄에이터(230) 및 제 3 프레임(103)의 이동과 제 1 액츄에이터(220) 및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기화되므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도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2)이 제 1 방향(D1)으로 완전하게 확장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는 제 1 및 제 3 영역(1511,1513)이 배치되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는 제 2 영역(1512)만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확장된 전면 디스플레이부(151)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2 상태에서 제 2 프레임(102)이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5의 제 2 상태에서 다시 도 14의 제 1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전환을 위해 제 1 액츄에이터(220)가 이에 결합된 제 2 프레임(102)와 함께 제 3 지점(A2)에서 시작하여 제 2 방향(D2)으로 제 1 프레임(101)/서포터(210)에 상대적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220)의 이동과 동시에 제 2 액츄에이터(230)도 제 3 프레임(103)과 함께 동일한 제 3 지점(A3)으로부터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220)는 계속 이동하여 제 1 프레임(101)에 상대적으로 제 3 지점(A3)과 제 2 지점(A1)사이의 제 2 거리(d2)만큼 이동하며, 이러한 이동의 결과로 제 1 지점(A1)까지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프레임(102)도 제 1 액츄에이터(220)에 의해 제 2 거리(d2)만큼 이동하여 제 1 지점(A1)까지 수축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220)와 제 2 프레임(102)이 제 1 프레임(101)/서포터(210)에 대해 제 1 지점(A1)까지 이동 및 수축되는 동안, 제 2 액츄에이터(230) 및 제 3 프레임(103)은 제 1 액츄에이터(220)에 운반되면서 제 1 프레임(101)/서포터(210)에 상대적으로 제 2 거리(d2)를 이동하고 동시에 제 1 액츄에이터(220)를 따라 제 2 프레임(102)/제 1 액츄에이터(220)에 상대적으로 제 2 방향(D2)으로 추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220)와 제 2 프레임(102)이 제 1 지점(A1)까지의 이동 및 수축을 완료하면, 제 2 액츄에이터(230) 및 제 3 프레임(103)도 제 3 지점(A2)으로부터 제 2 지점(A2)를 지나 제 1 지점(A1)까지 이동되며, 결과적으로 제 2 거리(d2)에 추가적으로 제 1 거리(d1), 즉 제 2 프레임(102)의 수축거리만큼 더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1 거리(d1) 또는 제 2 거리(d2)에 2배만큼 제 2 액츄에이터(230) 및 제 3 프레임(103)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액츄에이터(230) 및 제 3 프레임(103)의 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3 영역(1513)은 제 2 프레임(102)를 통해 수축된 거리, 즉 제 1 거리(d1)만큼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츄에이터(230) 및 제 3 프레임(103)의 이동과 제 1 액츄에이터(220) 및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이 동기화되므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도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2)이 제 2 방향(D2)으로 완전하게 수축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 1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01: 제 1 프레임
102: 제 2 프레임 103: 제3 프레임
200: 구동부 210: 서포터
220: 제 1 액츄에이터 230: 제 2 액츄에이터

Claims (20)

  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2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3 프레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 영역,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및 2 영역들 사이에 연장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며, 제 3 영역은 상기 제 2 프레임에 감겨지며 상기 제 2 프레임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프레임을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 3 프레임을 상기 제 2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제 1 영역만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으로 상기 제 3 영역을 인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3 프레임의 이동을 상기 제 2 프레임의 슬라이드와 동기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은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만을 상기 제 1 프레임의 전면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으로 상기 인출된 제 3 영역을 수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3 프레임이 이동을 시작하는 위치를 상기 제 2 프레임이 이동을 시작하는 위치와 동기화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3 프레임이 이동을 시작하는 시점을 상기 제 2 프레임이 이동을 시작하는 시점과 동기화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3 프레임의 이동속도를 상기 제 2 프레임의 이동 속도와 동기화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1 액츄에이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3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2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상기 제 3 액츄에이터의 이동과 동기화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의 양측부와 마주하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는 상기 서포터에 나사 결합하여, 이의 제 1 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서포터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는:
    상기 서포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서포터에 나사 결합하는 추진기(thruster)로 이루어지며,
    상기 추진기는 이의 제 1 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서포터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밀도록(thrust)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는 길게 연장된(elongated) 몸체와 상기 몸체 외면에 형성된 나사(thread)를 갖는 스크류 기어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배치되며 상기 추진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서포터에 대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서포터로부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서포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및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레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리세스와 상기 레일의 대향되는 표면들사이에 개재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터내에 수용되며 상기 리세스와 상기 레일의 표면들과 접촉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의 상기 제 1 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는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을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는 상기 서포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에 나사결합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추진기와 나사결합하는 보조 추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추진기는 상기 추진기의 제 1 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인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를 수용하여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추진기의 나사는 상기 추진기의 나사와 동일한 감김방향을 갖는 이동 단말기.
KR1020190045543A 2019-02-14 2019-04-18 이동 단말기 KR20200099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756529.2A EP3925200A4 (en) 2019-02-14 2020-01-30 MOBILE DEVICE
PCT/KR2020/001411 WO2020166856A1 (en) 2019-02-14 2020-01-30 Mobile terminal
US16/784,179 US10972592B2 (en) 2019-02-14 2020-02-06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05920P 2019-02-14 2019-02-14
US62/805,920 2019-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55A true KR20200099455A (ko) 2020-08-24

Family

ID=7204365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543A KR20200099455A (ko) 2019-02-14 2019-04-18 이동 단말기
KR1020217025754A KR20210116542A (ko) 2019-02-14 2019-06-24 이동 단말기
KR1020217024756A KR20210118850A (ko) 2019-02-14 2019-12-03 이동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754A KR20210116542A (ko) 2019-02-14 2019-06-24 이동 단말기
KR1020217024756A KR20210118850A (ko) 2019-02-14 2019-12-03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2019474B2 (ko)
EP (2) EP3926933A4 (ko)
KR (3) KR20200099455A (ko)
WO (4) WO2020166761A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4629B1 (en) 2020-09-28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2045396A1 (ko) * 2020-08-27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50589A1 (ko) * 2020-09-01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WO2022054997A1 (ko) * 2020-09-14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2060096A1 (ko) * 2020-09-18 2022-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의 제조 방법
WO2022080785A1 (ko) * 2020-10-12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80694A1 (ko) * 2020-10-12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85824A1 (ko) * 2020-10-22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 글래스, 커버 글래스 제조방법 및 이동 단말기
WO2022097901A1 (ko) * 2020-11-05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롤링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00914A (ko) * 2021-06-25 2023-01-03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기기
WO2023153783A1 (ko) * 2022-02-14 2023-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40842B2 (en) 2020-10-12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20240050891A (ko) * 2022-10-12 2024-04-19 주식회사 파인엠텍 자동 롤-슬라이드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US11974406B2 (en) 2020-10-12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4128752A1 (ko) * 2022-12-12 2024-06-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455A (ko) * 2019-02-14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1654802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46027S (ko) * 2019-04-10 2021-11-08
JP1654799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1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5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46030S (ko) * 2019-04-10 2021-11-08
CN111866225A (zh) * 2019-04-26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00128319A (ko) * 2019-05-03 2020-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D933625S1 (en) * 2019-06-05 2021-10-19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Mobile phone
JP1653374S (ja) * 2019-07-11 2020-02-25 携帯電話機
JP1653371S (ja) * 2019-07-11 2020-02-25 携帯電話機
JP1653370S (ja) * 2019-07-11 2020-02-25 携帯電話機
KR20220035089A (ko) * 2019-07-19 202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491289B (zh) * 2019-07-29 2024-03-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JP1663173S (ja) * 2019-08-08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175S (ja) * 2019-08-27 2020-07-06 携帯電話機
EP4047912A4 (en) * 2019-10-18 2023-08-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2606675B1 (ko) * 2019-10-24 202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010027A (zh) * 2019-12-19 2021-06-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显示屏组件和电子装置
EP4080855A4 (en) * 2019-12-19 2023-09-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WHEELS
KR20210083442A (ko) * 2019-12-26 2021-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지지부의 제조 방법
CN111010829B (zh) * 2019-12-26 2021-03-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132512B (zh) * 2019-12-31 2022-09-23 华为技术有限公司 具有卷曲屏的电子设备
WO2021148130A1 (en) * 2020-01-24 2021-07-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upport structure for a slidable display
WO2021193993A1 (ko) * 2020-03-26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206193A1 (ko) * 2020-04-09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10130299A (ko) * 2020-04-21 2021-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116091B1 (en) * 2020-04-27 2021-09-07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screen and display device
US11315447B2 (en) * 2020-05-26 2022-04-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CN111510536A (zh) * 2020-05-26 2020-08-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2004908A1 (ko) * 2020-06-30 2022-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833743B (zh) * 2020-07-02 2021-12-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WO2022014907A1 (en) 2020-07-14 2022-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EP3964923A4 (en) 2020-07-14 2022-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SCROLLABLE DISPLAY
US10893130B1 (en) * 2020-07-25 2021-01-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212873896U (zh) * 2020-08-12 2021-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989061B2 (en) 2020-09-23 2024-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102274481B1 (ko) * 2020-10-12 2021-07-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56042B1 (ko) * 2020-10-13 2021-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력을 유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14985B1 (ko) * 2020-10-27 2022-06-29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기기
KR102289369B1 (ko) * 2020-11-05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4180905A4 (en) * 2020-11-06 2024-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SCREEN AND ITS OPERATING METHOD
CN116235235A (zh) * 2020-11-06 2023-06-06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散热构件的电子设备
US11968630B2 (en) 2020-11-06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able structure
WO2022108213A1 (ko) * 2020-11-17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WI798923B (zh) * 2020-11-18 2023-04-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WO2022114265A1 (ko) * 2020-11-26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2114264A1 (ko) * 2020-11-26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720147B2 (en) * 2020-12-01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P4224280A4 (en) * 2020-12-04 2024-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EP4239444A4 (en) * 2020-12-04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 ELECTRONIC DEVICE
EP4242815A4 (en) * 2020-12-04 2024-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SCREEN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
CN114596772B (zh) * 2020-12-07 2024-05-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伸缩驱动机构和电子设备
CN114598759A (zh) * 2020-12-07 2022-06-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AU2021410394A1 (en) * 2020-12-23 2023-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electronic device
CN116868560A (zh) * 2021-02-26 2023-10-10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
CN113114821B (zh) * 2021-04-29 2023-03-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5529776A (zh) * 2021-06-25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滑轨机构、伸缩屏结构及电子设备
CN115529365A (zh) * 2021-06-25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驱动机构及电子设备
CN115529366A (zh) * 2021-06-25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滑轨机构、伸缩屏结构及电子设备
DE102021118526A1 (de) 2021-07-19 2023-01-19 Audi Aktiengesellschaft Verkleidungsanordnung für eine Rückseite einer zwischen einem eingefahrenen und einem ausgefahrenen Zustand verfahrbaren flexiblen Anzeigeeinheit sowie Anzeigevorrichtung mit der Anzeigeeinheit und der Verkleidungsanordnung sowie Kraftfahrzeug
CN113707024B (zh) 2021-09-02 2023-08-0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20230054074A (ko) * 2021-10-15 202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모터 구동 제어 방법
WO2023113305A1 (ko) * 2021-12-13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WO2023113152A1 (ko) * 2021-12-14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CN114263819B (zh) * 2021-12-31 2023-11-2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支撑组件、支撑机构及显示装置
WO2023153629A1 (ko) * 2022-02-14 2023-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틸팅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71904A1 (ko) * 2022-03-11 2023-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와 전력 관리 회로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71906A1 (ko) * 2022-03-11 2023-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접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82640A1 (ko) * 2022-03-21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82799A1 (ko) * 2022-03-23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WO2023182619A1 (ko) * 2022-03-25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우징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91340A1 (ko) * 2022-03-31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91254A1 (ko) * 2022-04-01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95631A1 (ko) * 2022-04-06 2023-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구동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5035804A (zh) * 2022-07-05 2022-09-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4014691A1 (ko) * 2022-07-14 2024-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에 의해 야기된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880B1 (ko) * 2003-07-10 2005-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KR100663543B1 (ko) * 2004-03-0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팝-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586979B1 (ko) * 2004-09-02 200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수동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
CN101171621B (zh) * 2006-01-06 2012-02-15 夏普株式会社 便携终端装置
KR101107127B1 (ko) * 2010-01-12 2012-01-31 주식회사 다이아벨 이동 단말기
US8928552B2 (en) * 2010-12-01 2015-01-06 Sony Corporation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thereof
KR101273182B1 (ko) * 2011-02-18 2013-06-17 주식회사 팬택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US9286812B2 (en) * 2011-06-07 2016-03-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extendable assembly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JP2014072884A (ja) * 2012-10-01 2014-04-21 Hiroshi Akaha 画面伸縮型スマートフォン及び画面伸縮型タブレット
KR20150095434A (ko) * 2014-02-13 2015-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US10691172B2 (en) * 2014-07-30 2020-06-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shape changing support panel
KR20160058329A (ko) * 2014-11-14 2016-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306982B1 (ko) * 2015-05-29 2021-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
WO2016200062A1 (ko) * 2015-06-08 2016-12-15 엘지전자(주) 이동단말기
KR102415655B1 (ko) * 2015-07-07 202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25327B1 (ko) * 2015-07-31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69741B1 (ko) * 2015-08-05 2022-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20170024350A (ko) * 2015-08-25 2017-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850587B2 (ja) * 2015-11-18 2021-03-3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KR102470945B1 (ko) * 2016-06-15 2022-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591365B1 (ko) * 2016-09-12 2023-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US10564749B2 (en) * 2017-01-09 2020-02-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20190004618A (ko) * 2017-07-04 2019-01-14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CN108259649B (zh) * 2018-02-09 2021-07-30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系统和控制方法
KR20200099455A (ko) * 2019-02-14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165897B2 (en) * 2019-02-14 2021-11-02 Lg Electronics Inc. Roll-slide mobile terminal
WO2020166856A1 (en) * 2019-02-14 2020-08-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0888B2 (en) 2020-08-27 2022-10-04 Lg Electronics Inc. Slidable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WO2022045396A1 (ko) * 2020-08-27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50589A1 (ko) * 2020-09-01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WO2022054997A1 (ko) * 2020-09-14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2060096A1 (ko) * 2020-09-18 2022-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의 제조 방법
US11693452B2 (en) 2020-09-28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2065624A1 (en) * 2020-09-28 2022-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1204629B1 (en) 2020-09-28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2080785A1 (ko) * 2020-10-12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80694A1 (ko) * 2020-10-12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40842B2 (en) 2020-10-12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1974406B2 (en) 2020-10-12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2085824A1 (ko) * 2020-10-22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 글래스, 커버 글래스 제조방법 및 이동 단말기
WO2022097901A1 (ko) * 2020-11-05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롤링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00914A (ko) * 2021-06-25 2023-01-03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기기
WO2023153783A1 (ko) * 2022-02-14 2023-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50891A (ko) * 2022-10-12 2024-04-19 주식회사 파인엠텍 자동 롤-슬라이드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WO2024128752A1 (ko) * 2022-12-12 2024-06-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25200A1 (en) 2021-12-22
KR20210118850A (ko) 2021-10-01
US20200264660A1 (en) 2020-08-20
WO2020166769A1 (ko) 2020-08-20
WO2020166761A1 (ko) 2020-08-20
EP3926933A4 (en) 2022-11-16
EP3925200A4 (en) 2022-12-28
US12019474B2 (en) 2024-06-25
EP3926933A1 (en) 2021-12-22
WO2020166798A1 (ko) 2020-08-20
KR20210116542A (ko) 2021-09-27
WO2020166766A1 (ko) 2020-08-20
US11815948B2 (en) 2023-11-14
US20220124188A1 (en)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9455A (ko) 이동 단말기
US10972592B2 (en) Mobile terminal
KR102281347B1 (ko) 이동 단말기
CN111565239B (zh) 移动终端
US11375053B2 (en) Mobile terminal
US11283910B2 (en) Mobile terminal
KR20200117741A (ko)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KR20220081973A (ko) 이동 단말기
KR20200124989A (ko)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KR102643357B1 (ko) 이동 단말기
KR1026374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2326B1 (ko) 이동 단말기
KR20220088879A (ko) 이동 단말기
US11671525B2 (en) Mobile terminal
KR2022008408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319009A1 (en) Mobile terminal
KR102662327B1 (ko) 이동 단말기
KR20220118465A (ko) 이동 단말기
US11997223B2 (en) Mobile terminal
US20220408573A1 (en) Mobile terminal
KR20230047173A (ko) 이동 단말기
KR102662314B1 (ko) 이동 단말기
US20230007112A1 (en) Mobile ter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