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241B1 -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241B1
KR101275241B1 KR1020100069432A KR20100069432A KR101275241B1 KR 101275241 B1 KR101275241 B1 KR 101275241B1 KR 1020100069432 A KR1020100069432 A KR 1020100069432A KR 20100069432 A KR20100069432 A KR 20100069432A KR 101275241 B1 KR101275241 B1 KR 101275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aper
winding
unit
groo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608A (ko
Inventor
박기한
Original Assignee
박기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한 filed Critical 박기한
Priority to KR1020100069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2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6Winding involving particular drive arrangement
    • B65H2301/41461Winding involving particular drive arrangement centr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종이의 휴대시 전자종이의 면적을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종이를 보호하고, 사용시 전자종이의 넓은 시야각이 확보되도록 말림 없이 전개할 수 있는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종이의 일측단의 고정 및 전자종이와 외부 기기 간의 연결을 위한 포트부를 마련한 수동케이스와, 상기 전자종이의 타측단을 고정하며 전자종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권취하는 권취부가 마련된 구동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종이가 권취된 상태에서 전개시 전자종이의 굽힘력에 저항하여 전자종이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밴딩 저항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Appratus for unfolding and rolling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본 발명은 전자종이의 휴대시 전자종이의 면적을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종이를 보호하고, 사용시 전자종이의 넓은 시야각이 확보되도록 말림 없이 전개할 수 있는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종이는 표시 매체 중 가장 우수한 시각 특성이 있는 디지털 종이이다. 일반 종이처럼 둘둘 말아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전자 종이는 PDP 및 LC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의 다음 세대로 여겨지고 있다. 전자 종이는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가 필요로 하는 기반 기술로서, 일반 종이 인쇄물과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신할 수 있어서 머지않아 종이와 같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다. 전자 종이는 종래의 종이 인쇄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LCD와 같이 백라이트가 필요 없기 때문에 배터리의 수명이 오래가고, 원가절감 및 경량화의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시 전자종이의 면적을 줄여서 휴대를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전자종이를 보호하고, 사용시 전자종이의 장점인 넓은 시야각이 확보되도록 말림 없이 전개할 수 있는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종이의 일측단의 고정 및 전자종이와 외부 기기 간의 연결을 위한 포트부를 마련한 수동케이스와, 상기 전자종이의 타측단을 고정하며 전자종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권취하는 권취부가 마련된 구동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같은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는, 상기 전자종이가 권취된 상태에서 전개시 전자종이의 굽힘력에 저항하여 전자종이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밴딩 저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자종이는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의 길이방향으로 권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는 전자종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권취부는 둘레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권취돌기를 형성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자동, 또는 수동구동 여부를 결정하여 전자종이를 권취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딩 저항부는 전자종이의 일면에 접착되며 상기 전자종이의 권취홈과 대응되는 고정홈 및 길이방향에 라인홈을 형성한 필름과, 상기 수동케이스와 구동케이스에 양측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라인홈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축이 구비된 자바라 링크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시 전자종이의 면적이 줄어들어 휴대성이 향상되고, 동시에 외부 충격에 따른 보호 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시 전자종이를 지지함으로써 전자종이의 장점인 넓은 시야각을 제한하지 않는 장점이 있고, 수명이 다한 전자종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전자종이를 권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트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는 크게 수동케이스(10)와, 구동케이스(40)로 구성되며, 밴딩 저항부(9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동케이스(10)는 전자종이(200)의 일측단의 고정 및 전자종이와 외부 기기 간의 연결을 위한 포트부(30)가 마련되어 있고, 구동케이스(40)는 상기 전자종이의 타측단을 고정하며 전자종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권취하는 권취부(7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밴딩 저항부(90)는 상기 전자종이(200)가 권취된 상태에서 전개시 전자종이의 굽힘력에 저항하여 전자종이를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전자종이(200)는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의 길이방향으로 권취홈(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트부(30)는 전자종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부(70)는 둘레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권취돌기(52)를 형성한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의 자동, 또는 수동구동 여부를 결정하여 전자종이를 권취하는 구동부(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딩 저항부(90)는 전자종이의 일면에 접착되며 상기 전자종이의 권취홈(1)과 대응되는 고정홈(83) 및 길이방향에 라인홈(81)을 형성한 필름(82)과, 상기 수동케이스(10)와 구동케이스(40)에 양측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라인홈(81)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축(85)이 구비된 자바라 링크(80)로 구성될 수 있다.
< 실시예 1 >
상기와 같은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에서, 전자종이(200)는 상,하부의 길이방향으로 권취홈(1)이 형성된다. 권취홈(1)은 회전축(51)의 권취돌기(52)에 삽입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권취홈(1)에 의해 전자종이(200)는 회전축(51)에 안정적으로 권취될 수 있다.
수동케이스(10)는 포트부(30)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포트부(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부(25)와, 상기 회로부(25)와 연결되며 외부 기기(예컨대, 휴대폰)와 연결될 다수개의 포트들(제1 포트(27), 제2 포트, …, 제N 포트)과, 상기 회로부(25)와 연결되며 수동케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된 버튼부(24)로 구성된다.
포트에는 연결잭(310)을 통해 외부 기기(300)와 연결되고, 회로부(25)는 외부 기기(300)의 신호를 입력받아 별도의 내장된 프로그램 수행을 거쳐 전자종이(200)에 전달한다. 버튼부(24)는 예컨대, 전자종이(20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나, 화질 조정, 또는 전자종이(200)의 온/오프 등에 사용된다.
구동케이스(40)는 둘레의 상,하부에 전자종이(200)의 권취홈(1)을 끼울 수 있는 권취돌기(52)를 형성한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을 자동, 또는 수동구동여부를 결정하여 전자종이를 권취하는 구동부(60)로 구성된다.
구동부(60)는 회전축(51)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모터(61)와, 모터(61)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모터제어부(62)와, 상기 회전축(51)과 연결된 수동권취롤(65)과, 모터(61)의 구동여부를 선택하는 선택버튼(63)으로 구성된다.
밴딩 저항부(90)는 필름(82)과, 자바라 링크(80)로 구성된다.
필름(82)은 전자종이(200)와 대응되는 면을 확보하여 전자종이(200)의 배면에 부착된다. 물론 이러한 필름(82)은 회전축(51)에 롤링되기 위해서 플렉시블한 타입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길이방향의 상,하부에 상기 전자종이(200)의 권취홈(1)과 대응되는 고정홈(83)을 형성한다. 또한, 중앙측 길이방향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라인홈(81)이 형성되어 있다.
자바라 링크(8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케이스(10)와 구동케이스(40)에 각각 두 개씩 장착되는 고정편(86)에 양측이 장착되며 상기 라인홈(81)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축(85)이 구비된 자바라 형태의 구성으로, 지지축(85)은 필름(82)의 배면을 지지하고, 자바라 링크(80)의 상,하부 측은 길이방향으로 신축되고 동시에 필름(82)의 배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전자종이(80)의 전개 및 권취시 전자종이(80)의 굽힘이 방지되어 전자종이(80)가 평평해진다.
한편, 이러한 자바라 링크(80)의 구성 포함으로, 수동케이스(10) 및 구동케이스(40)의 배면은 자바라 링크(8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절개부를 형성하면 전자종이(200) 권취시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의 배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전자종이(200)를 권취한 상태에서의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의 정면은 전자종이(200)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좋고, 또한 전자종이(200)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 실시예 1의 동작관계 >
- 전자종이(200) 사용시 -
전자종이(200)가 권취된 상태에서 전자종이(200)를 사용하려면 수동케이스(10)와 구동케이스(40)를 잡고 수동으로 잡아당긴다. 다음 버튼부(24)를 이용하여 전자종이(20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활성화시킨다.
밴딩 저항부(90)는 도 2와 같이 펼쳐져 지지축(85) 및 자바라 링크(80)의 상,하부가 전자종이(200)의 굽힘력에 저항하여 전자종이(200)를 평평하게 한다.
- 전자종이(200) 미사용시 수동권취 -
구동부(60)의 수동권취롤(64)을 수동으로 돌려 전자종이(200)를 권취한다.
또는, 구동부(60)의 선택버튼(63)을 짧게 누르거나, 한번 누른 다음 수동권취롤(64)을 수동으로 돌려 전자종이(200)를 권취한다.
여기서 전자가 효율적이지만, 수동권취롤(64)로 권취시 선택버튼(63)을 누를 수도 있기에 선택버튼(63)을 통해 모터제어부(62)에 신호를 인가하여 모터제어부(62)를 통해 모터(61)가 구동되지 않도록 한 다음 수동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밴딩 저항부(90)는 도 3과 같이 좁혀지고 수동케이스(10)와 구동케이스(40)의 배면에 형성된 절개부에 수용된다.
- 전자종이(200) 미사용시 자동권취 -
구동부(60)의 선택버튼(63)을 길게 누르거나, 두 번 누르면, 모터제어부(62)가 모터(61)를 구동하여 자동으로 전자종이(200)를 권취한다.
밴딩 저항부(90)는 도 3과 같이 좁혀지고 수동케이스(10)와 구동케이스(40)의 배면에 형성된 절개부에 수용된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전자종이 300: 휴대폰
1: 권취홈 10: 수동케이스
20: 제어부 30: 포트부
40: 구동케이스 51: 회전축
52: 권취돌기 60: 구동부
70: 권취부 80: 자바라 링크
81: 라인홈 82: 필름
83: 고정홈 85: 지지축
90: 밴딩 저항부

Claims (3)

  1. 전자종이(200)의 일측단의 고정 및 전자종이와 외부 기기 간의 연결을 위한 포트부(30)를 마련한 수동케이스(10)와;
    상기 전자종이의 타측단을 고정하며 전자종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권취하는 권취부(70)가 마련된 구동케이스(40)와;
    상기 전자종이(200)가 권취된 상태에서 전개시 전자종이의 굽힘력에 저항하여 전자종이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밴딩 저항부(90);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종이(200)는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의 길이방향으로 권취홈(1)이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30)는 전자종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권취부(70)는 둘레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권취돌기(52)를 형성한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의 자동, 또는 수동구동 여부를 결정하여 전자종이를 권취하는 구동부(60)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딩 저항부(90)는 전자종이의 일면에 접착되며 상기 전자종이의 권취홈(1)과 대응되는 고정홈(83) 및 길이방향에 라인홈(81)을 형성한 필름(82)과, 상기 수동케이스(10)와 구동케이스(40)에 양측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라인홈(81)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축(85)이 구비된 자바라 링크(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00069432A 2010-07-19 2010-07-19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 KR101275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432A KR101275241B1 (ko) 2010-07-19 2010-07-19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432A KR101275241B1 (ko) 2010-07-19 2010-07-19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08A KR20120008608A (ko) 2012-02-01
KR101275241B1 true KR101275241B1 (ko) 2013-06-14

Family

ID=4583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432A KR101275241B1 (ko) 2010-07-19 2010-07-19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2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04331A (ja) * 2016-12-30 2020-02-06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サポー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400B1 (ko) * 2012-11-01 2014-06-03 한국원자력연구원 고에너지 방사선 및 입자 발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8689A (ja) * 2001-12-28 2003-07-11 Nagai:Kk 携帯電話機
KR20050003366A (ko) * 2002-05-23 2005-01-10 가부시키가이샤 오에스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
JP2009021660A (ja) * 2007-07-10 2009-01-29 Fujifilm Corp デジタルカメラ
KR20110082941A (ko) * 2010-01-12 2011-07-20 주식회사 다이아벨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8689A (ja) * 2001-12-28 2003-07-11 Nagai:Kk 携帯電話機
KR20050003366A (ko) * 2002-05-23 2005-01-10 가부시키가이샤 오에스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
JP2009021660A (ja) * 2007-07-10 2009-01-29 Fujifilm Corp デジタルカメラ
KR20110082941A (ko) * 2010-01-12 2011-07-20 주식회사 다이아벨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04331A (ja) * 2016-12-30 2020-02-06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サポー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08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7229B1 (ko)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75628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JP5186507B2 (ja) ヒンジ付きフレームにより支持された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KR101870889B1 (ko) 표시 장치
KR100818170B1 (ko) 두루마리형 유연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CN101634760B (zh) 显示装置
US20150047796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050118266A (ko) 표시장치
KR102628935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9584727B (zh) 终端设备
US20240023256A1 (en) Rollabl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CN107229372A (zh) 一种显示终端及电子设备
US10931166B1 (en) Flexible display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40101124A (ko)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210606390U (zh) 一种可折叠显示装置
CN111524459A (zh) 显示装置
KR20170080017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8136282B2 (en) Display means
CN210429133U (zh) 屏幕组件以及电子设备
CN111933028A (zh) 显示装置
WO2019111609A1 (ja) 表示装置
KR101275241B1 (ko) 전자종이 전개 및 권취장치
CN215987896U (zh) 一种柔性显示模组及柔性显示装置
CN113851052A (zh) 滑卷屏机构、显示装置
CN212156402U (zh) 一种屏下支撑结构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