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498A - 플렉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498A
KR20140054498A KR1020120120058A KR20120120058A KR20140054498A KR 20140054498 A KR20140054498 A KR 20140054498A KR 1020120120058 A KR1020120120058 A KR 1020120120058A KR 20120120058 A KR20120120058 A KR 20120120058A KR 20140054498 A KR20140054498 A KR 20140054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flexible panel
fixed body
flexib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임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유섭 filed Critical 임유섭
Priority to KR102012012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4498A/ko
Publication of KR20140054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68Signs, boards or panels with tensioned or flexible display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면의 크기 조절이 용이하고 휴대성이 증대되어 상업적 가치를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플렉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시블 패널의 일정영역을 고정시키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에 일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자유로이 휘어짐이 가능한 플렉시블 패널, 상기 고정 몸체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나머지 부분을 방향 전환시켜 내부에 수납 보호하고 상기 플렉시블 패널에 대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며 상기 고정 몸체에 지지되는 상태로 섭동 이동되는 보호커버 조립체,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를 연결하며 가위 작동원리(Scissors Mechanism)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자동적인 섭동 이동을 수행하는 펼침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보호커버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이동 및 방향전환을 위해 롤러 및 모터1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에 수납된 상기 플렉시블패널의 보호를 위해 마찰방지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의 위치감지를 위한 거리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펼침 구동장치는 모터2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형 프레임, 상기 가변형 프레임에 상기 모터2가 나사원리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이송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곡면을 갖으며 휘어지는 플렉시블 표시장치의 휘어지는 부분을 꺽임이나 눌림으로부터 보호하고 필요시 플렉시블 표시장치의 펼침 정도를 모터 구동에 의해 조절하는 보호커버 조립체 및 펼침 구동장치가 적용된 플렉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영상기기 및 통신기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플렉시블 표시장치가 선보이고 있고 그에 따라 휴대성 증대를 위해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실린더 형태로 감거나 접는 플렉시블 표시장치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첫째,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품인 플렉시블 패널의 휘어짐 및 펼침이 용이하며 휘어지는 부분이 꺽임이나 눌림으로부터 보호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 플렉시블 패널의 일부분은 항시 판상형의 형태로 노출되어 있어 특별한 조작 없이도 즉시 표시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좀더 넓은 표시영역이 필요한 경우 플렉시블 패널의 수납부분을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펼침 구동장치에 의해 자동적인 표시영역의 확대 및 축소가 수행되고 플랙시블 패널의 장력 조절을 위한 별도의 모터가 적용되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셋째, 플렉시블 패널의 펼침 진행 과정 중 플렉시블 패널의 과도한 또는 과소한 장력 상태가 발생되어 플렉시블 패널이 손상되지 않도록 펼침 정도를 감지하며 그에 따라 모터들의 회전수를 적합하게 제어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렉시블 표시장치는 플렉시블 패널의 일부분이 고정 지지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일면에 일부분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고정 몸체를 벗어나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자유로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패널;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자유로이 휘어질 수 있는 나머지 부분을 방향 전환시켜 내부에 보호하며 펼침 과정에 따른 섭동 이동 및 장력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보호커버 조립체;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를 연결하며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펼침을 위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 이동을 가위 작동원리(Scissors Mechanism)를 이용해 수행하는 펼침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일부분이 판상형 영역을 형성하며 고정되고 상기 고정 몸체에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휘어짐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 내부로 인입된 후 내부에서 방향 전환되어 보호 수납된다.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는 휘어지는 플렉시블 패널의 화면표시 반대면을 지지하며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 내부로 인입된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방향전환, 플렉시블 패널의 장력 조절 및 이동을 위한 롤러; 상기 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1; 상기 롤러 및 모터1이 조립되고 상기 롤러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플렉시블 패널의 진출 경로가 형성되어있는 보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펼침 구동장치는 X자 형태로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에 고정부분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 고정되고 반대편 섭동부분은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가위 작동원리(Scissors Mechanism)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형 프레임; 상기 가변형 프레임의 섭동부분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 몸체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어느 한쪽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섭동 관통구가 형성되어있는 프레임 가이드; 상기 프레임 가이드의 섭동 관통구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고 양쪽 끝단은 상기 고정 몸체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어느 한쪽에 조립 고정되는 가이드 섭동핀; 상기 프레임 가이드가 적용되지 않은 상기 가변형 프레임의 섭동부분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몸체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어느 한쪽에 고정되는 모터2; 상기 모터2의 회전축이 연장되어 형성된 이송나사 또는 상기 모터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나사; 상기 프레임 가이드가 적용되지 않은 상기 가변형 프레임의 섭동부분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 몸체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어느 한쪽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이송나사에 조립되어 나사 원리에 의해 상기 가변형 프레임에 작동력을 전달하는 이송나사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에 대한 상기 가변형 프레임의 고정부분 회전축 고정 및 상기 가이드 섭동핀의 조립 고정을 위해 상기 보호커버에는 다수의 조립 관통구2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 또는 유지보수 완료 후 외관 향상을 위해 상기 조립 관통구2를 덮는 조립 덮개2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고정 몸체에 외삽 섭동되고 상기 플렉시블 패널이 인입되는 입구쪽의 개방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고정 몸체를 감싸는 형상을 이루고 화면 표시부분이 위치하는 상부면은 평면으로 펼쳐진 플렉시블 패널의 화면표시를 위한 노출을 위해 일정 면적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영상표시면 개방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렉시블 패널의 펼침시 화면표시 영역을 제외한 기타부분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가 상기 자유로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패널의 휘어지는 부분을 미끄러짐 없이 균일하게 방향 전환시키며 걸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롤러의 양측 끝단에는 스프로켓 형상의 돌출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상대물인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양측 끝단에는 일정 간격의 걸림 관통구가 평행하게 형성되어있을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롤러에 의해 방향전환 및 이동되는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면이 상기 보호커버와의 마찰에 의해 긁힘이나 이동저항을 받지 않도록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에는 마찰감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는 상기 고정 몸체의 일측면으로 상기 자유로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패널의 휘어지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단일 보호커버 조립체 및 단일 펼침 구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 몸체의 양쪽 측면으로 상기 자유로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패널의 휘어지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고정 몸체의 양측면에 한쌍의 보호커버 조립체 및 한쌍의 펼침 구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의 보호커버 조립체가 적용되는 실시예의 경우 한쪽의 보호커버 일부분은 나머지 다른 보호커버의 일부분에 내삽되며 섭동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에 따른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영역 확장을 상기 플렉시블 표시장치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몸체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 어느 한쪽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에 반응하는 거리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거리 센서의 지시값에 따라 다양한 모드의 표시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영역 확장 및 축소를 위한 펼쳐짐 조정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면에 대한 터치 조작 또는 상기 고정 몸체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어느 한쪽에 위치한 조작버튼을 작동시킴으로 인해 상기 펼침 구동장치의 모터2가 구동되어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위치가 이동되며 동시에 상기 모터1도 작동해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이동에 따른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장력조절 및 내부 수납을 위한 이동을 수행한다.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영역 확장 및 축소를 위한 펼쳐짐 조정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보호커버 조립체를 잡고 상기 고정 몸체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또는 상기 고정 몸체 쪽으로 밀어 넣는 조작에 의해 일정 정도 상기 보호 커버 조립체의 이동이 수행되고 이를 상기 거리 센서가 감지한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모터2 및 상기 모터1을 구동시켜 자동적인 펼쳐짐 조절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호커버의 바깥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를 잡아당길 때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영역 확장 및 축소를 위한 펼쳐짐 조정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상기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잡고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를 상기 고정 몸체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흔들어 주거나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가 상기 고정 몸체의 방향으로 수납 되도록 흔들어 주면 가속도 센서를 통해 이를 감지한 상기 플렉시블 표시장치는 사용자의 상기 행동 이벤트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상기 모터2 및 상기 모터1을 구동시켜 자동적인 펼쳐짐 조절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플렉시블 표시장치에 카메라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 이동에 상관없이 촬영이 가능하고 상기 카메라 구성품으로 인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에 장애가 발생치 않도록 상기 고정 몸체의 후면이 위치하는 상기 보호커버의 후면 바깥부분에 적용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몸체에 지지되며 상기 펼침 구동장치에 의해 섭동 이동되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에 의해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영역 확장 및 축소가 자동적으로 용이하게 수행되며 휘어지는 부분이 꺽임이나 눌림으로부터 보호되는 안정적인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에 따른 거리 센서의 지시값 변동을 이용해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펼쳐짐 정도를 인지해 펼쳐짐 정도에 따른 다양한 모드의 영상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보호커버 조립체의 내측 섭동에 따른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영역 축소 조작시 불필요한 상기 플렉시블 패널 부분을 모터1이 자동적으로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 부분으로 방향 전환시키며 이동시키는 수납방식이 적용됨으로 인해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영역이 일정한 장력을 갖으며 항상 판상형의 양호한 표시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양측 끝단에 일정 간격의 걸림 관통구가 평행하게 형성되어있고 이의 상대물인 상기 롤러의 양측 끝단에는 스프로켓 형상의 돌출부분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영역 변경 조작시 미끄러짐 없이 정확하게 구동력을 전달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 내부에 마찰감소재가 적용됨으로 인해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롤러에 의해 이동되는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면이 상기 보호커버와의 마찰에 의해 긁힘이나 이동저항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어 적은 구동력으로도 표시영역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의 바깥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형상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사용자에 의한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영역 확장 조작시 미끄러짐 없이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몸체에 영향을 받지 않는 보호커버의 일측에 연결잭 적용부 또는 조작버튼을 반영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연결잭을 연결한 상태에서도 상기 고정 몸체와 간섭없이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를 자유로이 섭동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 몸체의 후면이 위치하는 상기 보호커버의 후면쪽 바깥면에 카메라가 적용됨으로 인해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에 상관없이 카메라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몸체의 일측에 단일 보호커버 조립체 및 단일 펼침 구동장치가 적용되고 휴대가 용이하게 고정 몸체 쪽으로 섭동 이동되어 접혀있는 상태의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내어진 플렉시블 표시장치가 보다 넓은 영역의 화면표시가 가능하도록 상기 펼침 구동장치가 펼침 작동되어 내부에 수납된 플렉시블 패널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및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몸체의 양측에 한쌍의 보호커버 조립체 및 한쌍의 펼침 구동장치가 적용되어 고정 몸체의 양쪽으로 화면 확장이 가능하며 휴대가 용이하게 고정 몸체 쪽으로 섭동 이동되어 접혀있는 상태의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평면도,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내어진 플렉시블 표시장치가 보다 넓은 영역의 화면표시가 가능하도록 양쪽의 펼침 구동장치가 각각 펼침 작동되어 양쪽에 수납된 플렉시블 패널이 펼쳐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평면도, 플렉시블 패널이 숨김 처리된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나타내어진 플렉시블 표시장치의 일측에 위치한 하나의 보호커버 조립체만을 섭동 이동시켜 부분적인 화면확장이 이루어진 플렉시블 표시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평면도, 플렉시블 패널이 숨김 처리된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펼침 구동장치의 적용을 위한 형상들이 반영되어있는 고정 몸체의 후면부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1은 펼침 구동장치의 적용을 위한 형상들이 반영되어있는 보호커버의 평면도, 단면도, 사시도 및 부분 상세도이고,
도 12는 롤러 및 조립 덮개1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3은 모터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구현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몸체의 일측에 단일 보호커버 조립체 및 단일 펼침 구동장치가 적용되고 휴대가 용이하게 고정 몸체 쪽으로 섭동 이동되어 접혀있는 상태의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어진 플렉시블 표시장치가 보다 넓은 영역의 화면표시가 가능하도록 상기 펼침 구동장치가 펼침 작동되어 내부에 수납된 플렉시블 패널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및 상세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몸체의 양측에 한쌍의 보호커버 조립체 및 한쌍의 펼침 구동장치가 적용되어 고정 몸체의 양쪽으로 화면 확장이 가능하며 휴대가 용이하게 고정 몸체 쪽으로 섭동 이동되어 접혀있는 상태의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평면도,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어진 플렉시블 표시장치가 보다 넓은 영역의 화면표시가 가능하도록 양쪽의 펼침 구동장치가 각각 펼침 작동되어 양쪽에 수납된 플렉시블 패널이 펼쳐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평면도, 플렉시블 패널이 숨김 처리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내어진 플렉시블 표시장치의 일측에 위치한 하나의 보호커버 조립체만을 섭동 이동시켜 부분적인 화면확장이 이루어진 플렉시블 표시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평면도, 플렉시블 패널이 숨김 처리된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펼침 구동장치의 적용을 위한 형상들이 반영되어있는 고정 몸체의 후면부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1은 펼침 구동장치의 적용을 위한 형상들이 반영되어있는 보호커버의 평면도, 단면도, 사시도 및 부분 상세도이고, 도 12는 롤러 및 조립 덮개1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13은 모터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표시장치(100)는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정 범위를 갖는 부분은 상대물의 일면에 고정되어 휘어짐이 자유롭지 못하고 상기 상대물에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자유로이 휘어지며 방향 전환되어 펼쳐짐 조작되는 플렉시블 패널(10);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일부분이 고정되는 상대물인 고정 몸체(20);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자유로이 휘어질 수 있는 나머지 부분에 대한 보호 및 장력 조절기능을 수행하며 내부로 인입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화면표시면 반대쪽 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방향 전환시켜 내부에 보호하고 상기 고정 몸체(20)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단일의 보호커버 조립체(30); 상기 고정 몸체(20)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를 연결하며 가위 작동원리(Scissors Mechanism)에 의해 상기 고정 몸체(20)에 대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섭동 이동을 수행하는 단일의 펼침 구동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표시장치(100)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 정도 떨어진 중간 부분은 상대물의 일면에 고정되어 휘어짐이 자유롭지 못하고 상기 상대물에 고정되지 않은 양쪽의 나머지 부분은 자유로이 휘어지며 방향 전환되어 펼쳐짐 조작되는 플렉시블 패널(10);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 정도 떨어진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중간 부분이 고정되는 상대물인 고정 몸체(20);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자유로이 휘어질 수 있는 나머지 부분에 대한 보호 및 장력 조절기능을 수행하며 내부로 인입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화면표시면 반대쪽 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방향 전환시켜 내부에 보호하고 상기 고정 몸체(20)를 중심으로 마주보며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한쌍의 보호커버 조립체(30); 상기 고정 몸체(20)의 양쪽 측면 각각에 적용되어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 몸체(20)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를 연결하며 가위 작동원리(Scissors Mechanism)에 의해 상기 고정 몸체(20)에 대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섭동 이동을 수행하는 한쌍의 펼침 구동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이 상기 고정 몸체(20)에 전부 고정되지 않고 일정 부분만이 고정되는 것은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떨어지는 상기 고정 몸체(20)에 유연성이 뛰어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 전체가 고정된 경우보다 최소 곡률 적용이 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일정 부분만이 상기 고정 몸체(20)에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은 자유로이 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보관 문제와 더불어 사용시 판상 형태의 양호한 평면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되면 자유로이 휠 수 있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특성을 살려 휴대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보호 및 평면확보도 용이한 플렉시블 표시장치(100)를 구현 가능하게 된다.
도 1내지 도 13에 나타내어진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상기 고정 몸체(20)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나머지 부분을 방향 전환시켜 내부에 수납 보호하고 필요에 따라 평면 상태로 펼쳐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보호커버 조립체(30) 및 펼침 구동장치(80)를 적용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표시장치(100)는 단순히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을 이용한 영상표시를 수행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연결잭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음악 청취 및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내장된 카메라(93)를 활용하여 영상촬영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섭동 이동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상기 고정 몸체(10)에 연결잭을 적용하거나 또는 조작버튼을 자유로이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커버(40)와 대향되는 상기 고정 몸체(20) 측의 반대편 노출면에 연결잭 적용부 또는 조작버튼(21)이 위치된다.
그리고 도 1, 도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표시장치(100)에 카메라(93)가 적용될 경우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섭동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카메라(93)를 이용한 촬영에 상기 보호커버(40)가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보호커버(40)의 바깥면에 상기 카메라(93)가 적용된다.
상기 도 5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는 상기 고정 몸체(20)에 섭동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납 보호하는 보호커버(40); 상기 보호커버(4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 부분의 방향전환 및 꺽임 방지를 위한 안정적인 곡률유지를 위해 상기 보호커버(40)의 내부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조립되어 상기 플렉시블 패널(10)과의 접촉면을 지지하는 롤러(60); 및 상기 롤러(60)에 구동축이 연결되어 상기 롤러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기 도 5 및 도 1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40)의 일측 끝단은 상기 고정 몸체(20)를 감싸며 섭동하고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이 내부로 입출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된 입구부분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40)는 상기 보호커버(40) 내부에 조립되는 상기 롤러(60) 및 상기 모터1(70)의 조립 및 유지보수 용이함을 위해 상기 보호커버(40)의 일정 부분을 관통해 형성한 조립 관통구1(41)을 갖으며 상기 조립 관통구1(41)은 이물질의 유입 방지를 위해 상대물인 조립 덮개1(50)이 덮여서 유지된다. 또한 도 6내지 도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몸체(20)의 양쪽에 한쌍의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가 적용된 경우 휴대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보호커버 조립체(30)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펼쳐짐 정도가 최소인 상태에서 일측의 보호커버(40) 전방 입구 부분이 반대편에 위치하는 다른 쪽 보호커버(40)의 내측 공간으로 수납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40)의 내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방향 전환 이전 및 이후에도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이 상기 보호커버(40) 내부에서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며 불필요한 간섭없이 보관 및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양쪽 끝단이 위치하는 부분에 패널 경로 가이드(42)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패널 경로 가이드(42)와 별개로 상기 보호커버(40)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커버(4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 부분과 상기 보호커버(40) 내부면과의 접촉에 의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이동 저항 발생 및 긁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감소재(43)가 적용되며 상기 마찰감소재(43)는 상기 보호커버(40)의 내부 전 면적에 걸쳐 적용될 수도 있으나 적용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곡률 변경 지점과 같은 일부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가 상기 고정 몸체(20)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고정 몸체(20)측으로 최대한 섭동 이동되어 휴대성이 증가된 상태에서도 상기 고정 몸체(20)에 고정되어있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영상표시면이 상기 보호커버(40)에 가려지지 않고 사용자에게 항상 보여 질 수 있도록 상기 보호커버(40)의 일측면에는 상기 보호커버(40)의 일정 영역에 걸쳐 입구 부분까지 개방 형성된 영상표시면 개방구(44)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40)에는 상기 보호커버(40)의 바깥면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보호커버(40)로부터 미끌어지지 않도록 상기 보호커버(40)의 바깥면 일부분에 미끄럼방지형상(45)이 형성되어있다. 상기의 미끄럼방지형상(45)은 도 1내지 도 11에 나타내어진 실시예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40)의 바깥면으로 돌출된 돌기의 적용도 가능하고 미끄럼 방지를 수행할 수 있는 형상의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섭동 이동은 펼침 조작의 경우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터치 조작, 조작 버튼 조작, 손으로 상기 보호커버(40)를 잡아당겨 펼치거나 또는 상기 플렉시블 표시장치(100)를 바깥쪽으로 흔들어 이를 감지한 플렉시블 표시장치(100)가 전동력을 이용해 자력으로 펼쳐지게 하는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또한 반대의 경우로 접힘 조작의 경우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10) 터치 조작, 조작 버튼 조작, 손으로 상기 보호커버(4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를 내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플렉시블 표시장치(100)를 안쪽으로 흔들어 이를 감지한 플렉시블 표시장치(100)가 전동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접혀지는 방식이 적용된다.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펼침 조작 또는 접힘 조작의 수행은 상기 펼침 구동장치(80)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펼침 구동장치(80)는 상기 도 5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X자 형태로 상기 고정 몸체(20)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에 고정부분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 고정되고 반대편 섭동부분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와 상기 고정 몸체(20)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가변형 프레임(81); 상기 가변형 프레임 섭동부분(81b)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 몸체(20)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어느 한쪽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섭동 관통구가 형성되어있는 프레임 가이드(82); 상기 프레임 가이드(82)의 섭동 관통구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고 양쪽 끝단은 상기 고정 몸체(20)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어느 한쪽에 조립 고정되는 가이드 섭동핀(83); 상기 프레임 가이드(82)가 적용되지 않은 상기 가변형 프레임 섭동부분(81b)에 구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몸체(20)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어느 한쪽에 고정되는 모터2(84); 상기 모터2(84)의 회전축이 연장되어 형성된 이송나사(86) 또는 상기 모터2(84)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나사(86); 상기 프레임 가이드(82)가 적용되지 않은 상기 가변형 프레임 섭동부분(81b)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이송나사(86)가 조립되어 나사 원리에 의해 상기 가변형 프레임(81)에 작동력을 전달하는 이송나사 가이드(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렉시블 표시장치(100)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섭동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고정 몸체(20)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몸체(20)의 일측면으로 부터 인출되어 상기 가변형 프레임(81)과 간섭없이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로 연결되는 연결전선(23)이 적용된다. 상기 연결전선(23)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내부에 적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되며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 내부에 수납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과의 간섭 또한 방지된다.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 및 상기 펼침 구동장치(80)의 제어 수행을 위해 상기 플렉시블 표시장치(100)는 상기 고정 몸체(20)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어느 한곳에 적용되어 상기 모터1(70) 또는 상기 모터2(84)의 제어를 수행하는 모터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상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제어부(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 요소에는 패널의 터치 조작 또는 조작버튼 조작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 몸체(20)에 대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91); 상기 펼침 구동장치(80)의 펼쳐짐 제한범위 도달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92); 사용자의 상기 플렉시블 표시장치(100)의 특정 방향 흔들림 조작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95)가 포함된다.
상기 거리 센서(91) 및 가속도 센서(95)는 상기 고정 몸체(20)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어느 하나에 적용되며 별도의 적용 예시도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펼침 완료 및 접힘 완료를 감지하여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리미트스위치(92)는 다양한 위치에 적용 가능하므로 별도의 적용 예시도는 생략한다.
상기 도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펼침 구동장치(80)의 적용을 위해 상기 고정 몸체(20)의 일측에는 간섭 방지 및 조립을 위한 형상들이 반영되며 상기 가변형 프레임(81)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분이 제거 형성된 가변형 프레임 수납공간1(22); 상기 펼침 구동장치(80)의 구성품인 상기 이송나사 가이드(87)가 상기 고정 몸체(20)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제거 형성된 이송나사 가이드 섭동공간(24); 및 상기 펼침 구동장치(80)의 구성품인 상기 모터2(84)가 상기 고정 몸체(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모터2 고정공간(25)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도 1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펼침 구동장치(80)의 적용을 위해 상기 보호커버(40)의 일측에는 간섭 방지 및 조립을 위한 형상들이 반영되며 상기 가변형 프레임(81)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분이 제거 형성된 가변형 프레임 수납공간2(47); 상기 프레임 가이드(82)가 상기 보호커버(40)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제거 형성된 프레임 가이드 섭동공간(46); 상기 가변형 프레임 고정부분(81a)의 회전축 및 상기 가이드 섭동핀(83)이 조립 고정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제거 형성된 조립관통구2(49); 및 상기 연결전선(23)이 상기 펼침 구동장치(80)의 작동에 상관없이 간섭 없이 보호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연결전선 수납공간(48)이 포함된다.
사용자의 상기 플렉시블 패널(10) 터치 조작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노출된 측면 부분에 의한 사용자의 상처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섭동 이동시 상기 고정 몸체(20)에 고정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고정부분이 돌출되어 발생시키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 3의 Section Cut F-F 및 도 4의 Section Cut G-G에 나타내어진 실시예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일정 영역이 상기 고정 몸체(20)의 바깥면으로 부터 일정 깊이 안쪽에 고정된다.
또한 도 5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몸체(20)에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연결접속 부위(11)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의 섭동 이동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며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몸체(10)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가 위치하는 일측면 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연결접속 부위(11)가 배치된다.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펼침 또는 감김 수행과 더불어 펼침이 완료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면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지속적인 터치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이 조금씩 이동해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장력을 재조정 해주어야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패널(10)의 장력 조절을 포함한 펼침 또는 감김 수행을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손상 없이 균일하게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은 도 5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30) 내부에 인입된 상기 플렉시블 패널(10) 부분의 측면 양측 끝단으로 부터 중앙 부분을 향하여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마주보며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걸림 관통구(12)를 갖는다.
도 3내지 도 9 및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40) 내부에서 상기 롤러(60)를 감싸고 있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연속적인 방향 전환 및 이동이 상기 롤러(60)의 회전에 의해 미끄러짐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의 바깥 원주면에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에 형성된 상기 걸림 관통구(12)에 연속적으로 걸림 대응되는 스프로켓 형상의 돌출부분(61)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최소 곡률 유지를 위해 상기 보호커버(40)의 내부에 상기 롤러(60)의 적용이 요구되나 현재의 기술 여건상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의 허용 가능한 최소 곡률 반경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값을 갖음으로 인해 상기 롤러(60)와 관련된 점유 공간이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롤러(60)의 점유 공간은 상기 롤러(60)의 둘레 부분을 상기 플렉시블 패널(10)이 일정 부분 항상 감싸고 있음으로 인해 원주면 바깥쪽에서의 공간 활용가능성은 매우 낮다.
반면 상기 플렉시블 패널(10)과 접촉되지 않는 상기 롤러(60)의 양쪽 측면은 상기 롤러(60)의 회전축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용도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활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롤러(60)에 대한 회전축 지지기능과 더불어 상기 롤러(60)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롤러(60)는 상기 모터1(70)이 위치하는 반대쪽 면으로 부터 일정 깊이 제거하여 형성된 다용도 공간(62)을 갖는다. 또한 상기 다용도 공간(62)이 형성된 반대편의 공간에는 상기 롤러(60)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모터1(70)의 일부분이 상기 롤러(60)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1(70)이 위치하는 쪽의 바깥면으로 부터 일정 깊이 제거하여 형성된 모터1삽입공간(63)을 갖는다.
상기 다용도 공간(62)을 활용하는 하나의 구성품으로써 상기 다용도 공간(62)에는 바닥면은 막혀있는 상태로 중앙부분은 비어있는 실린더 형태를 이루고 실린더의 끝단은 상기 보호커버(40)의 상기 조립 관통구1(41)에 대응하는 형상이 반영되어있어 상기 다용도 공간(62)의 내부에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하고 삽입 적용시 실린더 끝단쪽의 바깥 원주면이 상기 다용도 공간(62)의 내측 원주면을 지지하여 상기 롤러(60)의 회전축 지지 역할 수행도 병행하는 포켓(64)이 조립된다.
상기 모터1(70)이 위치하는 쪽에 적용되는 상기 조립 덮개1(50)은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상기 모터1(70)이 고정되고 배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모터1 고정부(51) 및 상기 모터1(70)에 연결되는 배선의 일부분이 상기 롤러(60)에 간섭되지 않고 경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선 경유구(52)를 포함한다.
상기 포켓(64)이 삽입되는 쪽에 적용되는 상기 조립 덮개1(50)에는 내부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포켓(64)의 실린더 끝단 내측 원주면을 지지하여 상기 롤러(60)에 대한 간접적인 회전축 지지 역할 수행 및 상기 포켓(64)의 덮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포켓 지지부(53)가 형성된다.
상기 포켓(64)에는 USB스틱, 펜, 건전지 또는 이어폰과 같은 작은 공간을 갖는 물품들의 수납이 가능하며 예비의 베터리 또는 건전지(65)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 몸체와의 통전을 위해 상기 포켓(64) 및 상기 조립 덮개1(50)에는 상기 연결전선(23)과 접촉되는 전극(54)을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플렉시블 패널 11: 연결접속부위
12: 걸림 관통구 13: 영상표시면
20: 고정 몸체 21: 연결잭 적용부 또는 조작버튼
22: 가변형 프레임 수납공간1 23: 연결전선
24: 이송나사 가이드 섭동공간 25: 모터2 고정공간
30: 보호커버 조립체 40: 보호커버
41: 조립 관통구1 42: 패널 경로 가이드
43: 마찰감소재 44: 영상표시면 개방구
45: 미끄럼방지형상 46: 프레임 가이드 섭동공간
47: 가변형 프레임 수납공간2 48: 연결전선 수납공간
49: 조립 관통구2 49a: 조립 덮개2(도시 생략)
50: 조립 덮개1 51: 모터1 고정부
52: 배선 경유구 53: 포켓 지지부
54: 전극 60: 롤러
61: 스프로켓 형상의 돌출부분 62: 다용도 공간
63: 모터1삽입공간 64: 포켓
65: 베터리 또는 건전지 70: 모터1
80: 펼침 구동장치 81: 가변형 프레임
81a: 가변형 프레임 고정부분 81b: 가변형 프레임 섭동부분
82: 프레임 가이드 83: 가이드 섭동핀
84: 모터2 85: 모터2 고정판
86: 이송나사 87: 이송나사 가이드
90: 모터 제어부 91: 거리 센서
92: 리미트스위치 93: 카메라
95: 가속도 센서(도시 생략) 100: 플렉시블 표시장치

Claims (26)

  1.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정 범위를 갖는 부분은 상대물의 일면에 고정되어 휘어짐이 자유롭지 못하고 상기 상대물에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자유로이 휘어지며 방향 전환되어 펼쳐짐 조작되는 플렉시블 패널;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일부분이 고정되는 상대물인 고정 몸체;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자유로이 휘어질 수 있는 나머지 부분에 대한 보호 및 장력 조절기능을 수행하며 내부로 인입된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화면표시면 반대쪽 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방향 전환시켜 내부에 보호하고 상기 고정 몸체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단일의 보호커버 조립체;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를 연결하며 가위 작동원리(Scissors Mechanism)에 의해 상기 고정 몸체에 대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 이동을 수행하는 단일의 펼침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2.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 정도 떨어진 중간 부분은 상대물의 일면에 고정되어 휘어짐이 자유롭지 못하고 상기 상대물에 고정되지 않은 양쪽의 나머지 부분은 자유로이 휘어지며 방향 전환되어 펼쳐짐 조작되는 플렉시블 패널;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 정도 떨어진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중간 부분이 고정되는 상대물인 고정 몸체;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자유로이 휘어질 수 있는 나머지 부분에 대한 보호 및 장력 조절기능을 수행하며 내부로 인입된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화면표시면 반대쪽 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방향 전환시켜 내부에 보호하고 상기 고정 몸체를 중심으로 마주보며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한쌍의 보호커버 조립체;
    상기 고정 몸체의 양쪽 측면 각각에 적용되어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를 연결하며 가위 작동원리(Scissors Mechanism)에 의해 상기 고정 몸체에 대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 이동을 수행하는 한쌍의 펼침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 이동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상기 고정 몸체에 연결잭을 적용하거나 또는 조작버튼을 자유로이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와 대향되는 상기 고정 몸체 측의 반대편 노출면에 연결잭 적용부 또는 조작버튼이 위치하는 특징을 갖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4.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자유로이 휘어질 수 있는 나머지 부분을 보호하고 방향 전환 구성품이 조립되는 보호커버;
    상기 보호커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어 상기 플렉시블 패널과의 접촉면을 지지하며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방향전환을 수행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구동축이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구동시키고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장력을 조절하는 모터1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5.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구동장치는 X자 형태로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에 고정부분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 고정되고 반대편 섭동부분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와 상기 고정 몸체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가변형 프레임;
    상기 가변형 프레임의 섭동부분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 몸체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어느 한쪽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섭동 관통구가 형성되어있는 프레임 가이드;
    상기 프레임 가이드의 섭동 관통구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고 양쪽 끝단은 상기 고정 몸체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어느 한쪽에 조립 고정되는 가이드 섭동핀;
    상기 프레임 가이드가 적용되지 않은 상기 가변형 프레임의 섭동부분에 구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몸체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어느 한쪽에 고정되는 모터2;
    상기 모터2의 회전축이 연장되어 형성된 이송나사 또는 상기 모터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나사;
    상기 프레임 가이드가 적용되지 않은 상기 가변형 프레임의 섭동부분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이송나사가 조립되어 나사 원리에 의해 상기 가변형 프레임에 작동력을 전달하는 이송나사 가이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6.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표시장치는 상기 고정 몸체 또는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어느 한곳에 적용되어 상기 모터1 또는 상기 모터2의 제어를 수행하는 모터 제어부;
    상기 모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정 몸체에 대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
    상기 모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펼침 구동장치의 펼쳐짐 제한범위 도달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7.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플렉시블 패널 터치 조작시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노출된 측면 부분에 의한 사용자의 상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일정 영역이 상기 고정 몸체의 바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안쪽에 고정되는 특징을 갖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8.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에 상기 플렉시블 패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연결접속 부위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 이동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며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몸체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가 위치하는 일측면 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연결접속 부위가 배치되는 특징을 갖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9.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상기 플렉시블 패널에 대하여 미끄러짐 없이 펼침 조정 및 장력 유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렉시블 패널은 섭동 방향과 평행한 상기 플렉시블 패널 부분의 측면 양측 끝단으로 부터 중앙 부분을 향하여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마주보며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걸림 관통구가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몸체의 일측면으로 부터 인출되어 상기 가변형 프레임과 간섭없이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로 연결되는 연결전선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가변형 프레임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분이 제거 형성된 가변형 프레임 수납공간1;
    상기 펼침 구동장치의 구성품인 상기 이송나사 가이드가 상기 고정 몸체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제거 형성된 이송나사 가이드 섭동공간;
    상기 펼침 구동장치의 구성품인 상기 모터2가 상기 고정 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모터2 고정공간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 내부에 조립되는 상기 롤러 및 상기 모터1의 조립 및 유지보수 용이함을 위해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보호커버의 일정 부분을 제거해 형성한 조립 관통구1; 및
    상기 조립 관통구1에 적용되며 조립 및 유지보수 수행시 제거되고 작업 완료 후 상기 조립 관통구1을 덮어주는 조립 덮개1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가변형 프레임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분이 제거 형성된 가변형 프레임 수납공간2;
    상기 펼침 구동장치의 구성품인 상기 프레임 가이드가 상기 보호커버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제거 형성된 프레임 가이드 섭동공간;
    상기 가변형 프레임 고정부분의 회전축 및 상기 가이드 섭동핀이 조립 고정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제거 형성된 조립관통구2;
    상기 연결전선이 상기 펼침 구동장치의 작동에 상관없이 간섭없이 보호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연결전선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방향 전환 이전 및 이후에도 상기 플렉시블 패널이 상기 보호커버 내부에서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커버는 내부에 형성된 패널 경로 가이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1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플렉시블 패널 부분과 상기 보호커버 내부면과의 접촉에 의한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이동 저항 발생 및 긁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커버의 내부에는 마찰감소재가 적용되어있음을 특징으로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1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고정 몸체측으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가 최대한 섭동 이동된 상태에서도 상기 고정 몸체에 고정되어있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일부분인 영상표시면이 상기 보호커버에 가려지지 않고 사용자에게 보여져 즉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보호커버의 일정 영역에 걸쳐 개방 형성된 영상표시면 개방구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17. 제 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을 이용해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를 상기 고정 몸체 바깥쪽 방향으로 섭동 이동시킬 때 상기 보호커버의 바깥면을 잡고 있는 손가락이 상기 보호커버로부터 미끌어지지 않도록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보호커버의 바깥면 일부분에 형성된 미끄럼방지형상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1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 조립체의 섭동 이동에 상관없이 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몸체의 후면이 위치하는 상기 보호커버의 후면 바깥부분에 적용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1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를 중심으로 상기 한쌍의 보호커버 조립체가 대향되어 적용되는 경우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펼쳐짐 정도가 최소인 상태로 휴대될 수 있도록 일측의 상기 보호커버가 반대편에 위치하는 다른 쪽 보호커버의 내측 공간으로 내삽되며 수납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2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 내부에서 상기 롤러를 감싸고 있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연속적인 방향 전환 및 이동이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미끄러짐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의 바깥 원주면에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에 형성된 상기 걸림 관통구에 연속적으로 걸림 대응되는 스프로켓 형상의 돌출부분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2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의 바깥면과 일정 두께를 유지하며 상기 모터1이 위치하는 반대쪽 면으로 부터 일정 깊이 제거하여 형성된 다용도공간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2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모터1의 일부분이 상기 롤러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1이 위치하는 쪽의 바깥면으로 부터 일정 깊이 원통형으로 제거하여 형성된 모터1삽입공간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2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이 위치하는 쪽에 적용되는 상기 조립 덮개1은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상기 모터1이 고정되고 배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모터1 고정부; 및
    상기 모터1에 연결되는 배선의 일부분이 상기 롤러에 간섭되지 않고 경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선 경유구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공간을 활용하는 하나의 구성품으로써 상기 다용도공간에는 바닥면은 막혀있는 상태로 중앙부분은 비어있는 실린더 형태를 이루고 실린더의 끝단은 상기 보호커버의 상기 조립 관통구에 대응하는 형상이 반영되어있어 상기 다용도공간의 내부에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하고 삽입 적용시 실린더 끝단쪽의 바깥 원주면이 상기 다용도공간의 내측 원주면을 지지하여 상기 롤러의 회전축 지지 역할 수행도 병행하는 포켓이 조립되는 특징을 갖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이 위치되는 쪽에 적용되는 상기 조립 덮개1에는 내부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포켓의 실린더 끝단 내측 원주면을 지지하여 상기 롤러에 대한 간접적인 회전축 지지 역할 수행 및 상기 포켓의 덮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포켓 지지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에 베터리 또는 건전지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 몸체와의 통전을 위해 상기 포켓 및 상기 조립 덮개1에는 상기 연결전선과 접촉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KR1020120120058A 2012-10-28 2012-10-28 플렉시블 표시장치 KR20140054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058A KR20140054498A (ko) 2012-10-28 2012-10-28 플렉시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058A KR20140054498A (ko) 2012-10-28 2012-10-28 플렉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498A true KR20140054498A (ko) 2014-05-09

Family

ID=5088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058A KR20140054498A (ko) 2012-10-28 2012-10-28 플렉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4498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529A1 (ko) * 2016-01-08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8932012A (zh) * 2017-05-26 2018-12-04 三星显示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193095B2 (en) 2016-07-27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19027213A1 (ko) * 2017-07-31 2019-02-07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키보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키보드유닛
US10222831B2 (en) 2015-01-16 2019-03-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EP3565223A4 (en) * 2016-12-30 2020-07-29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BRACKET KIT AND DISPLAY DEVICE
WO2020216318A1 (zh) * 2019-04-25 2020-10-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WO2021049688A1 (ko) * 2019-09-11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2001346A1 (zh) * 2020-06-28 2022-0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170898A (zh) * 2021-11-18 2022-03-11 江苏麦克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用保护装置
CN114550580A (zh) * 2020-11-24 2022-05-27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壳体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2831B2 (en) 2015-01-16 2019-03-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17119529A1 (ko) * 2016-01-08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193095B2 (en) 2016-07-27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EP3565223A4 (en) * 2016-12-30 2020-07-29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BRACKET KIT AND DISPLAY DEVICE
CN108932012B (zh) * 2017-05-26 2024-01-23 三星显示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8932012A (zh) * 2017-05-26 2018-12-04 三星显示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499515B2 (en) 2017-05-26 2019-12-0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19027213A1 (ko) * 2017-07-31 2019-02-07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키보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키보드유닛
US11093007B2 (en) 2017-07-31 2021-08-17 Gananhandongjidul Inc. Image display device having keyboard and keyboard unit therefor
US11469395B2 (en) 2019-04-25 2022-10-11 Beijing Boe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WO2020216318A1 (zh) * 2019-04-25 2020-10-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WO2021049688A1 (ko) * 2019-09-11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2001346A1 (zh) * 2020-06-28 2022-0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550580A (zh) * 2020-11-24 2022-05-27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壳体
CN114170898A (zh) * 2021-11-18 2022-03-11 江苏麦克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用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4498A (ko) 플렉시블 표시장치
EP3832990B1 (en) Mobile terminal
EP1956721B1 (en) Case for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32456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273182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03576773B (zh) 电子设备
EP2127106B1 (en) Folding electronic device with continuous display
KR10152991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22013015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7429A (ko) 이동 단말기
KR20220149705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45024A (ko) 플렉시블 표시장치
KR20110044620A (ko)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EP2634765A2 (en) Roll-type flexible device for displaying
US9882595B2 (en) Housing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accessories
JP2013243588A (ja) 電子機器
CN113037892B (zh) 电子设备
JP2013161255A (ja) 情報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220042422A (ko) 이동 단말기
EP4050453A1 (en) Mobile terminal
KR20230002600A (ko) 이동 단말기
KR20220118465A (ko) 이동 단말기
KR101868289B1 (ko)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EP2624097B1 (en) Electronic device
KR2022005979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