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402A -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에 접합된 비수용성 히알루로난 기반 담체를 갖는 의약 제제,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에 접합된 비수용성 히알루로난 기반 담체를 갖는 의약 제제,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402A
KR20190099402A KR1020197016861A KR20197016861A KR20190099402A KR 20190099402 A KR20190099402 A KR 20190099402A KR 1020197016861 A KR1020197016861 A KR 1020197016861A KR 20197016861 A KR20197016861 A KR 20197016861A KR 20190099402 A KR20190099402 A KR 20190099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group
pharmaceutical
gly
equival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르게이 카렐
마틴 플레젤
로마나 술라코바
로만 프리칵
자나 소고르코바
지리 베탁
조세프 츠멜라
보이테흐 자포토키
블라디미르 벨레브니
Original Assignee
콘티프로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프로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콘티프로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90099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5Peptidic linkers, binders or spacers, e.g. peptidic enzyme-labile lin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53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fibre, a textile, a slab or a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히알루로난 및/또는 그 유도체 기반 담체를 갖는 의약 제제,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X)에 따른, 의약 물질과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유도체의 접합체
A-S-N (X),
또는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A는 의약 물질이고,
S는 의약 물질을 담체와 연결하는 수단이며,
N은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유도체 기반 담체이고,
m은 0 내지 1250이며,
n은 100 내지 12500이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로난 및/또는 그 유도체 기반 담체를 갖는 의약 제제, 및 그 생산,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신규한 의약 제제는 의약 및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에 접합된 비수용성 히알루로난 기반 담체를 갖는 의약 제제,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본 발명은 사용되는 담체가 활성제를 직접 운반하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히알루로난 및/또는 이의 유도체에 기반한 담체를 갖는 의약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약 제제의 제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hyaluronan, HA)는 β(1 → 4) 및 β(1 → 3)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D-글루쿠론산과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두 반복 단위로 구성된 비 황산화 글리코사미노글리칸으로 알려져 있다(도 1 참조). 순수한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5.104 ~ 5.106 g.mol-1의 범위이다. 이 매우 친수성인 다당류는 결합 조직, 피부, 관절의 윤활액(synovial fluid)의 일부를 형성하고 프로테오글리칸의 조직화, 수화 및 세포 분화와 같은 많은 생물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분자가 생체적합성이고, 신체에 고유하며, 분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조직 공학에 적합한 기재 또는 생활성 물질의 담체로 사용된다.
히알루로난 및 개질 또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그 유도체의 의약 분야에서의 용도는 상당히 광범위하다. 히알루로난의 화학적 변형은 일반적으로 2개의 반응 센터에서 수행된다: 카르복시기 상 및 1차 히드록시기 상. 또한, 아미노기가 N-아세틸기의 절단 후에 사용될 수 있다. 사카라이드 단위 중 어느 히드록시기가 반응에 참여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많은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기의 가장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N-아세틸글루코사민 단위의 1차 하이드록시(C6)가 선호됨을 볼 수 있다.
카르복시기는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로 전환될 수 있다. 카보디이미드2-5와 같은 펩타이드 또는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아이오디드6, 2-클로로-디메톡시-1,3,5-트리아진7, 카보닐디이미다졸8 등과 같은 다른 제제의 화학적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활성화제가 카르복시기를 아미드로 전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반응성인 중간체로의 전환을 위해 카르복시기 반응성을 증가시킨 후, 아민을 첨가하여 축합 반응에 의한 아미드를 제공한다. 에스테르는 에폭시드13-16 등을 사용하여 알킬할로겐화물과의 알킬화 반응, 디아조메탄11,12과의 반응에 의한 메틸 에스테르 합성 반응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히드록시기의 변형으로 인해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결합의 형성이 유도된다. 에테르는 에폭시드17-20, 디비닐설폰21-23, 에틸렌설파이드24와 반응의 의해, 글루타르데하이드(glutardehyde)25,26를 사용하여 헤미아세탈(hemiacetal)을 형성함으로써 쉽게 합성할 수 있다. 대칭 또는 혼합 무수물27-29이 에스테르 합성에 사용될 수 있고 또는 O-아실-O'-알킬카보네이트30가 활성화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적 변형은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기 위한 가교 결합 반응을 일으킨다.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SPPS)에서는 개개의 아미노기가 서서히 중합체 담체에 연결된다. 보호기(영구 또는 임시)가 부반응 및 원하지 않는 서열의 형성 위험을 줄이기 위해 모든 아미노산에 사용된다. Fmoc 및 Boc과 같은 보호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Fmoc 보호기는 염기성 환경에서 분해될 수 있고 Boc 보호기는 산성 환경에서 분해될 수 있다.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은 "축합 - 세척 - 보호기의 절단 - 세척"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합성된 펩타이드는 원하는 서열이 수득될 때까지 중합체 담체에 고정된 채로 유지된다. 이어서, 담체로부터의 절단 및 정제가 수행된다.
최근에는, 생체적합성 및 선택적으로 생분해성일 수 있는 담체를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알긴산염, 아가, 키틴, 히알루로난 또는 면화의 다당류에 기반한 담체가 기술되어 있다. 지금까지, 펩타이드는 항상 담체로부터 절단되어 왔다. 담체 상에서 합성되거나 고정된 펩타이드31,32의 생물학적 특성에 상호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그 유익한 생물학적 특성은 사용되지 않았다.
알긴산염은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의 다당류와의 반응에 사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담체이다. 도 2의 알긴산염의 구조식에서 볼 수 있듯이, 알긴산염은 (1→4)O-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β-D-mannuric acid와 α-L-guluronic acid의 반복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진 선형의 음전하성 다당류이다.
의약제용 약물 형태로서 알긴산염을 사용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정은 매트릭스 또는 겔에서 이러한 약물의 비공유 결합에 가장 자주 사용되었다. 알긴산염 겔은 고분자 펩타이드, 주로 효소, 세포 기관 또는 세포 전체33,34를 포획하는 분석 과정에도 사용되어 왔다.
펩타이드와 약물의 공유 결합을 통해 약물의 임상 잠재력을 강화하는 약물 동력학 및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는 정교한 투여 시스템으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알긴산염-펩타이드 접합체는 알긴산염의 카르복시기와 펩타이드33-35의 아미노기 사이의 아미드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공유결합된 펩타이드를 갖는 알긴산염은 상해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상처 치유는 그 부상에 대한 조직 반응이다. 이는 화학주성(chemotaxis), 세포 증식, 세포외 단백질 생성, 신생혈관생성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이다. 상처 치유 치료의 가능성 중 하나는 성장 인자35와 같은 자연적 자극제가 치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펩타이드에 의해 변형된 알긴산염 기반의 물질을 제조하였고, 상처 치유 과정에서의 그 유효성을 생체내 손상된 피부에서 연구하였다. 하이브리드 펩타이드 Ser-Ile-Arg-Val-X-Val-X-Pro-Gly(여기서 X = Ala 또는 Gly)를 함유하는 알긴산염 붕대로 처리한 토끼는 다른 펩타이드 Ser-Ile-Lys-Val-Ala-Val 및 Val-Pro-Val-Ala-Pro-Gly가 고정된 알긴산염 붕대35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상피화 및 더 큰 재생 조직의 부피를 나타냈다.
종이 형태의 셀룰로오스도 펩타이드의 제조에 사용되었다. 화학적 관점에서 볼 때, 셀룰로오스는 도 3의 구조식에 따라 β(1→4)O-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d-글루코스의 반복 단량체 단위로 구성된 선형 폴리사카라이드이다. 단지 낮은 수율로 펩타이드가 생성될 수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종이는 또한 기계적 안정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면화는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제외하고는 가장 순수한 형태의 셀룰로오스이며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수득할 수 있다. 면화가 SPPS의 담체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지에 연구되어 왔다. 이 경우, 펩타이드의 고정(anchoring)은 면의 하이드록시기와 펩타이드의 카르복시기 사이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수행된다. DMF 내 DIC/HOBt/DMAP에서 합성이 가장 자주 수행되었다.31,37,38.
최근에는, 섬유39-42, 박막43,44 또는 부직포40의 형태의 히알루론산 기반의 담체가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접근 형태의 사용을 통해 지금까지 사용된 다당류 담체의 설명된 결점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의약품에 대한 적절한 담체는 부족하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새로운 방법은 고상 합성법을 위한 섬유, 박막 또는 부직포 형태의 히알루론산 기반의 담체를 사용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 담체는 반응하는 동안 변하지 않고, 즉 섬유, 박막 또는 부직포의 형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는 펩타이드가 개별 아미노산에 의해 구성되거나 전체적으로 히알루론산 물질에 연결되는 고상 합성법이다. 지금까지, 히알루론산은 용액에서 변형되어 사용되었는데, 즉 히알루론산은 용해되고 반응이 수행되었다. 그 다음 그 유도체를 재료의 제조에 사용했다. 액상 및 고상 합성법의 차이점은 용액 합성 및 후속 방사(spinning)의 경우, 펩타이드가 섬유 내부에도 존재하므로 이용가능성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고상 합성은 펩타이드가 표면에만 존재할 때 비용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개별 유도체에 대해 상이한 방사 공정이 최적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발명의 요약
상기 단점은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유도체에 기반한 담체로 의료용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된 히알루론산 및 이의 유도체에 기반한 담체로 의약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도 1은 R = H+ 또는 Na이고 n이 100 내지 12500인 히알루로난을 도시한다.
도 2는 알긴산염의 구조식을 도시한다.
도 3은 셀룰로오스의 구조식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의 구조식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A는 의약 물질, S는 의약 물질을 담체와 연결시키는 수단, N은 히알루론산 및 그 유도체에 기초한 담체이고, m은 10 내지 1250이며, n은 100 내지 12500이다.
도 5는 결합 펩타이드를 갖는 히알루론산 또는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구조식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HYA는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이고, 펩타이드는 덴드리머 구조로 배열된 7개의 라이신 단위를 포함한다.
도 6은 RGD 모티브를 포함하는 천연 HYA 섬유에 부착된 Dil 염색된 NHDF 세포를 나타낸다. 이미지는 48시간 배양후 형광 현미경으로 얻은 것이다.
도 7은 부착되지 않은 Dil 염색된 NHDF 세포 집단의 존재 변화를 나타낸다. 이미지는 1, 2, 4, 및 7일간 배양한 후 형광 현미경으로 얻은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하기 일반식의 의약 물질과 히알루론산 및 이의 유도체의 접합체를 포함한다.
A-S-N (X),
또는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A는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 물질이고,
S는 의약 물질을 담체와 결합시키는 방법이고, -O- 또는 -NH-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며,
N은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유도체에 기반한 담체이고,
m은 10 내지 1250이며,
n은 100 내지 1250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비수용성이고 생분해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담체가 용해되지 않고 결합된 접합체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담체는 전체 제조 공정동안 불용성, 즉 고체 상으로 남아 있고, 동시에 생분해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담체가 무한 섬유, 실, 직물, 박막, 스테이플 섬유 및/또는 부직포 직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의약 물질이 일반식 X의 히알루론산 및 그 유도체의 접합체의 글루코사민 부분의 위치 6에서 담체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약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및 그 유도체에 에스테르 결합(반응식 1)으로 또는 환원적 아미노화(반응식 2)를 통해 결합된다.
Figure pct00002
반응식 1 - 에스테르화 반응, R-COOH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이다
Figure pct00003
반응식 2 - 환원성 아민화 반응, R은 펩타이드 또는 아미노산이고, R1은 아미드 또는 메틸 에스테르이다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팔미토일 히알루로난 또는 포르밀 히알루로난이고,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1.5x104 내지 2.5x106g.mol-1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의약 물질 A의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의 카르복시기(여기서, 의약 물질이 N-말단 보호기를 또한 포함함)가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 내에서 축합제로 활성화되어 반응성 중간체 I를 형성하고, 이는 유기 염기 및 촉매의 존재하에 담체와 반응하여 히알루론산 및 이의 유도체와 의약 물질과의 접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및 그의 유도체 기반 담체로 의약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 후, 의약 물질의 말단 N-보호기는 염기성 매질,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20% 피페리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2%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크-7-엔,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30% tert-부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20% 피페리딘인 염기성 매질 내에서 절단된다.
의약 물질 A는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담체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소수성 아미노산 Xaa, 바람직하게는 Xaa-Ahx-Ahx-Xaa에 의해 형성된 펩타이드에 기초한 선형 링커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히알루론산 및 이의 유도체의 접합체의 형성이 20℃ 내지 4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5℃의 온도에서, 2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축합제가 바람직하게는 4-니트로페놀, N-하이드록시 석신이미드, 2,4,5-트리클로로페놀, 2,3,4,5,6-펜타플루오로페놀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N,N'-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에틸클로로포르미에이트,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 우로늄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 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 보레이트, 4-트리에틸아미노-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p-톨루엔설포네이트, 및 프로필 포스폰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N,N'-디이소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가 N,N-디메틸 포름아미드, 디메틸 설폭시드, N-메틸-2-피롤리돈,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1,4-디옥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 포름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염기가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모르폴린, N-메틸모르폴린, N,N'-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 및 이미다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사용되는 촉매가 에틸(히드록시이미노) 시아노아세테이트, 히드록실 벤조트리아졸,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또는 1-히드록시-7-아자벤조 트리아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에틸(히드록시이미노)시아노아세테이트 및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사용되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의 양, 즉 의약 물질의 양이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이량체를 기준으로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3 당량에 해당하고, 사용되는 활성화제(축합제)의 양이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이량체를 기준으로 0.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3 당량이며, 사용되는 염기의 양은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이량체를 기준으로 10 당량 이하이고, 사용되는 촉매의 양은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이량체 당 0.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3 당량의 에틸(히드록시이미노) 시아노아세테이트 및 0.3 당량의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의약 물질, 축합제, 촉매 및 히알루론산 이량체의 몰비는 1 : 1 : 1 : 1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체 형태의 의약 제제는 활성 펩타이드 또는 아미노산의 투여 형태로 의약적 용도로 사용되고, 피부, 혀밑, 구강, 볼(buccal) 또는 개방형 상처 내로 국소 투여되도록 의도된다.
피부 투여용인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의약 물질로서 예를 들어 펩타이드 다라르긴(Dalargin)을 함유할 수 있다. 볼 또는 설하 투여용인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예를 들어 의약 물질로서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 리지프레신(Lysipressin) 또는 글리프레신(Glypressin)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함유할 수 있다. 볼 투여용인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예를 들어 항바이러스 약물 및 보조제, 또는 황체 형성 및 난포 자극 호르몬의 방출 인자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타이드를 함유할 수 있다. 개방 상처에 직접 투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의약 물질로서, 예를 들어 면역자극제로서 글리프레신, 다라르긴, 또는 AdDP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타이드를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하기 일반 화학식의 신규 화합물, 및 아래의 예에서 설명된 것처럼, 이러한 복합체 시스템을 고체 상의 공정으로 또는 의약 물질을 복합체 시스템에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이다.
A-S-N (X),
여기에서, 고체 담체 N은 링크 S에 의해 연결된 의약 물질 A를 포함하는 무한 섬유, 실, 직물, 박막, 스테이플 섬유 및 부직포 섬유 형태의 히알루론산 및 그 유도체로 제조된다.
의약 물질을 담체와 결합시키는 방법은 에스테르 결합 또는 환원성 아미노화에 의해 수행된다. 이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 고형 담체는 다양한 주 의약적 활성동안 의약 물질로부터 절단될 필요가 없고, 바람직하게는 점막 및 피부를 통해 상기 생체적합성 담체 상에 결합된 생물학적 활성 펩타이드 또는 아미노산의 침투를 촉진시키는 현대적 비-침습성 투여 형태로서 더 작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인간 및 동물 의약에서 의약적 용도로 사용되는 복잡하고 적합한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생물학적 활성동안 전체로서 작용하고, 의약 물질은 담체로부터 연장된 방식으로 서서히 방출될 수 있으며, 담체는 이어 자연적으로 및 본질적으로 제거된다. 담체는 또한 그 위에 결합된 의약 물질의 전체 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그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표 1은 펩타이드 및 그의 의약적 효과 및 그 투여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진피 투여용 의약 제제는 치유 효과를 갖는 의약 물질로서 펩타이드 다라르긴, 또는 호르몬 효과를 갖는 옥시토신을 포함한다. 구강, 볼 또는 설하 투여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항이뇨 효과 및 인자 VIII을 증가시켜 혈액 응고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 펩타이드, 주로 치과 수술에서 증압 효과(pressoric effect)를 나타내는 리시프레신(Lysipressin), 또는 출혈을 멈추기에 적합한 연장된 증압 효과를 갖는 글리프레신(Glypressin)(Terlipressin)을 포함한다. 볼 투여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항바이러스제 및 보조제로서 사용되는 의약 성분으로서 펩타이드, 예를 들어 AdDP, 또는 황체형성 및 난포 자극 호르몬(Fertirelin, Lecirelin)에 대한 방출 인자와 같은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개방형 상처로의 국소 투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출혈을 정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의약 물질로서 펩타이드 (Terlipressin) 및 상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한 다라르긴(Dalargin), 선택적으로 면역계의 국소 자극을 위한 AdDP를 포함한다.
펩타이드 표
펩타이드 명칭 펩타이드 서열 서열 번호 가능한 약리학적 효과
옥시토신 Cys-Tyr-Ile-Gln-Asn-Cys-Pro-Leu-Gly-NH2
(disulphide bridge Cys1-Cys6)
서열 번호 1 젖 분비 활성( milk-ejecting activity)에 영향
데스모프레신 Mpr-Tyr-Phe-Gln-Asn-Cys-Pro-D-Arg-Gly-NH2 (disulphide bridge Mpr1-Cys6) 서열 번호 2 이뇨 및 출혈 상태(diuresis and bleeding conditions)에 영향
다라르긴 H-Tyr-D-Ala-Gly-Phe-Leu-Arg-OH 서열 번호 3 치유 효과(Healing effects)
레시레린(Lecirelin) pGlu-His-Trp-Ser-Tyr-D-tertLeu-Leu-Arg-Pro-NHEt 서열 번호4 황체 형성 및 난포 자극 호르몬에 대한 방출 인자(releasing factor for luteinisation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s)에 영향
페르티레린(Fertirelin) pGlu-His-Trp-Ser-Tyr-Gly-Leu-Arg-Pro-NHEt 서열 번호 5 황체 형성 및 난포 자극 호르몬에 대한 방출 인자(releasing factor for luteinisation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s)에 영향
테르리프레신(Terlipressin) (Glypressin) Gly-Gly-Gly-Cys-Tyr-Phe-Gln-Asn-Cys-Pro-Lys-Gly-NH2 (disulphide bridge Cys1-Cys6) 서열 번호 6 혈압(blood pressure)에 영향
리시프레신(Lysipressin) (8-Lys-바소프레신) Cys-Tyr-Phe-Gln-Asn-Cys-Pro-Lys-Gly-NH2
(disulphide bridge Cys1-Cys6)
서열 번호 7 혈압(blood pressure)에 영향
AdDP Ala-igln-NH-Ad 항바이러스제 및 보조제
Ac-Arg-Gly-Asp-Gly-Gly-Gly-Nle-OH 서열 번호 8 생체외 부착성(adhesive pproperties (in vitro))에 영향
Fmoc-Arg-Gly-Asp-Gly-Gly-Gly-Nle-OH 서열 번호 9
Ac-Gly-Gly-Gly-Arg-Gly-Asp-OH 서열 번호 10
Fmoc-Gly-Gly-Gly-Arg-Gly-Asp-OH 서열 번호 11
Ac-Arg-Gly-Asp-Ahx-Ahx-Nle-OH 서열 번호 12
Fmoc-Arg-Gly-Asp-Ahx-Ahx-Nle-OH 서열 번호 13
Ac-Ahx-Ahx-Arg-Gly-Asp-OH 서열 번호 14
Fmoc-Ahx-Ahx-Arg-Gly-Asp-OH 서열 번호 15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기반 물질과 펩타이드의 접합체는 출원인의 시설-Contipro a.s., Dolni Dobruc, CZ에서 발명자에 의해 성공적으로 제조 및 시험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천연 HYA로부터의 섬유 및 천연 HYA로부터의 부직포를 특허 WO2013/16709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팔미토일 HYA로부터의 섬유는 특허 WO2014/08261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하기 실시예에서, "당량(eq.)"이라는 용어는 각 형태의 히알루론산의 반복 단위에 관한 것이다. 별다른 언급이 없는 경우, 백분율은 부피 당이다.
히알루론산 출발 형태의 분자량은 SEC-MALLS 방법에 의해 결정된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실시예에서는, 단지 후속적인 분석을 위해서, 비필수아미노산인 노르류신을 먼저 결합하여 아미노산의 비례적 발생을 용이하게 결정하였다. 그러나, 노르류신 결합이 필수 조건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실시예 1
순수 HYA 섬유에 Fmoc-Nle-OH 고정
1m의 순수 HYA 섬유(12mg, 0.03mmol,mw = 3.105 g.mol-1)를 프릿(frit)이 장착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3 당량의 Fmoc-Nle-OH, 3 당량 OxymaPure 및 0.3 당량의 DMAP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고,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 DCM 3 x 1.5㎖, IPA 3 x 1.5㎖, DCM 3 x 1.5㎖, DEE 3 x 1.5㎖로 세척하였다.
축합 반응의 수율은 Fmoc-방출 시험에 의해 치환체 S = 0.01862mmol/g으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2
H-Nle-O-HYA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moc-Nle-O-HYA 섬유 1m를 프릿이 장착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DMF 중 피페리딘 20% 용액 1.5㎖를 반응기내로 섬유에 첨가함으로써 Fmoc 보호기를 절단하였다. 반응을 18 ~ 23℃의 온도에서 5분동안 진행하였다. 절단 시간을 20분으로 연장하면서 반응을 반복한 다음,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종결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 DCM 3 x 1.5㎖, IPA 3 x 1.5㎖, DCM 3 x 1.5㎖, DEE 3 x 1.5㎖로 세척하였다.
반응을 정량하였다. 아미노기의 방출은 닌히드린 확인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확인되었다(Kaiser 테스트).
실시예 3
순수 HYA 섬유에 Fmoc-Nle-OH 고정
1m의 순수 HYA 섬유(12mg, 0.03mmol, Mw = 3.105g.mol-1)를 프릿이 장착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고, 섬유를 TH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THF 중 3 당량의 Fmoc-Nle-OH, 3 당량 OxymaPure 및 0.3 당량 DMAP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고,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THF 3 x 1.5㎖, DCM 3 x 1.5㎖, IPA 3 x 1.5㎖, DCM 3 x 1.5㎖, DEE 3 x 1.5㎖로 세척하였다. 축합 반응의 수율은 Fmoc-방출 시험에 의해 치환체 S = 0.01759mmol/g으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4
순수 HYA 섬유에 Fmoc-Nle-OH 고정
1m의 순수 HYA 섬유(12mg, 0.03mmol, Mw = 3.105g.mol-1)를 프릿이 장착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1 당량의 Fmoc-Nle-OH, 1 당량의 OxymaPure, 및 0.3 당량의 DMAP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였다.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1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 DCM 3 x 1.5㎖, IPA 3 x 1.5㎖, DCM 3 x 1.5㎖, DEE 3 x 1.5㎖로 세척하였다.
축합 반응의 수율은 Fmoc-방출 시험에 의해 치환체 S = 0.01804mmol/g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5
Fmoc-[Lys(Boc)] 4 -Nle-O-HYA의 제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1m의 H-Nle-O-HYA를 프릿이 구비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3 당량의 Fmoc-Lys(Boc)-OH 및 3 당량의 OxymaPure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였다.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ml, DCM 3 x 1.5ml, IPA 3 x 1.5ml, DCM 3 x 1.5ml, DMF 3 x 1.5ml로 세척하였다. Fmoc 보호기를 DMF 중 피페리딘 20% 용액 1.5㎖를 섬유를 갖는 반응기에 첨가함으로써 절단시켰다. 이 반응은 18 ~ 23℃의 온도에서 5분동안 진행되었다. 절단 시간을 20분으로 연장하면서 반응을 반복한 다음,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종결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 DCM 3 x 1.5㎖, IPA 3 x 1.5㎖, DCM 3 x 1.5㎖, DMF 3 x 1.5㎖로 세척하였다. 이 과정을 4회 반복하였다.
축합 반응의 수율은 Fmoc-방출 시험에 의해 mmol/g 단위의 치환체로 결정되었다. 생성 조성물(n found)은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아미노산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는 단계별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연속 합성법이다. 그러나, 상기 절차를 모든 상기 유도체에 대해 반복하였다. 개별 행은 상기 사이클을 완료후 제조된 접합체의 조성물을 나타낸다. 즉, 실시예 3에 기재된 절차를 완료한 후, 제1행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생성물을 수득한다. 그 후 절차를 반복하고, 제2행 등에 기술된 생성물을 수득한다.
화합물 S [mmol/g] n calculated [nmol] n found
[nmol]
H-Lys(Boc)-Nle-O-HYA 0.01839 0.290 0.295
H-Lys(Boc)-Lys(Boc)-Nle-O-HYA 0.01863 0.576 0.584
H-Lys(Boc)-Lys(Boc)-Lys(Boc)-Nle-O-HYA 0.01888 0.870 0.876
H-Lys(Boc)-Lys(Boc)-Lys(Boc)-Lys(Boc)-Nle-O-HYA 0.01856 1.189 1.194
실시예 6
덴드리머 구조로 배열된 7개의 라이신 단위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 - 순수 HYA 섬유의 사용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1m의 H-Nle-O-HYA를 프릿이 구비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3 당량의 Fmoc-Lys(Fmoc)-OH 및 3 당량의 OxymaPure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였다.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섬유를 갖는 반응기내로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ml, DCM 3 x 1.5ml, IPA 3 x 1.5ml, DCM 3 x 1.5ml, DMF 3 x 1.5ml로 세척하였다. Fmoc 보호기를 DMF 중 피페리딘 20% 용액 1.5㎖를 섬유를 갖는 반응기에 첨가함으로써 절단시켰다. 이 반응은 18 ~ 23℃의 온도에서 5분동안 진행되었다. 절단 시간을 20분으로 연장하면서 반응을 반복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 DCM 3 x 1.5㎖, IPA 3 x 1.5㎖, DCM 3 x 1.5㎖, DMF 3 x 1.5㎖로 세척하였다. 이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반응을 Fmoc-방출 시험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수율은 Fmoc-방출 시험에 의해 결정되었다. 도 5에 도시된 생성물의 조성물은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아미노산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는 단계별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연속 합성법이다. 그러나, 상기 절차를 모든 상기 유도체에 대해 반복하였다. 개별 행은 상기 사이클을 완료후 제조된 접합체의 조성물을 나타낸다. 즉, 실시예 3에 기재된 절차를 완료한 후, 제1행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생성물을 수득한다. 그 후 절차를 반복하고, 제2행 등에 기술된 생성물을 수득한다.
화합물 S [mmol/g] n calculated [nmol] n found
[nmol]
H-Lys-Nle-O-HYA 0.03381 0.25 0.262
H-Lys3-Nle-O-HYA 0.07169 0.77 0.799
H-Lys7-Nle-O-HYA 0.14211 1.84 1.876
실시예 7
순수 HYA의 섬유 상에 7개의 알라닌 단위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1m의 H-Nle-O-HYA를 프릿이 구비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3 당량의 Fmoc-Lys(Boc)-OH 및 3 당량의 OxymaPure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였다.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ml, DCM 3 x 1.5ml, IPA 3 x 1.5ml, DCM 3 x 1.5ml, DMF 3 x 1.5ml로 세척하였다. Fmoc 보호기를 DMF 중 피페리딘 20% 용액 1.5㎖를 섬유를 갖는 반응기에 첨가함으로써 절단시켰다. 이 반응은 18 ~ 23℃의 온도에서 5분동안 진행되었다. 절단 시간을 20분으로 연장하면서 반응을 반복하였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 DCM 3 x 1.5㎖, IPA 3 x 1.5㎖, DCM 3 x 1.5㎖, DMF 3 x 1.5㎖로 세척하였다. 이 과정을 Fmoc-Ala-OH에 대해 7회 반복하였다.
축합 반응의 수율은 Fmoc-방출 시험에 의해 mmol/g 단위의 치환체로 결정되었다. 생성 조성물은 개별 아미노산의 비례적 발생으로서 아미노산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물질의 순도를 물질의 분해 후 MS-HPLC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개별 분석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S [mmol/g] 아미노산 순도[%]
Ala Lys Nle
H-(Ala)7-Lys(Boc)-Nle-O-HYA 0.01798 7.28 1.03 1 86
실시예 8
팔미토일 HYA의 섬유에 Fmoc-Nle-OH의 고정
팔미토일 HYA(15mg, 0.03mmol, Mw = 3.105g.mol-1)로부터의 섬유 1m를 프릿이 장착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3 당량의 Fmoc-Nle-OH 및 3 당량의 OxymaPure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였다.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ml, DCM 3 x 1.5ml, IPA 3 x 1.5ml, DCM 3 x 1.5ml, DMF 3 x 1.5ml로 세척하였다.
축합 반응의 수율은 Fmoc-방출 시험에 의해 치환체 S = 0.01029mmol/g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9
H-Nle-O-palmitoyl HYA의 제조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1m의 Fmoc-Nle-O-팔미토일 HYA를 프릿을 갖춘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Fmoc 보호기를 DMF 중 피페리딘 20% 용액 1.5㎖를 반응기내로 섬유에 첨가함으로써 절단시켰다. 이 반응을 18 ~ 23℃에서 5분동안 진행하였다. 절단 시간을 20분으로 연장하면서 반응을 반복한 다음,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그 후, 섬유를 DMF 3 x 1.5㎖, DCM 3 x 1.5㎖, IPA 3 x 1.5㎖, DCM 3 x 1.5㎖, DEE 3 x 1.5㎖로 세척하였다.
반응을 정량하였다. 아미노기의 방출은 닌히드린 확인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확인되었다(Kaiser 테스트).
실시예 10
Fmoc-[Lys(Boc)] 4 -Nle-O-팔미토일 HYA의 제조
실시예 9에 따라 제조된 1m의 H-Nle-O-팔미토일 HYA를 프릿이 장착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3 당량의 Fmoc-Lys(Boc)-OH 및 3 당량의 OxymaPure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였다.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ml, DCM 3 x 1.5ml, IPA 3 x 1.5ml, DCM 3 x 1.5ml, DMF 3 x 1.5ml로 세척하였다. Fmoc 보호기를 DMF 중 피페리딘 20% 용액 1.5㎖를 반응기내로 섬유에 첨가함으로써 절단시켰다. 이 반응은 18 ~ 23℃의 온도에서 5분동안 진행되었다. 절단 시간을 20분으로 연장하면서 반응을 반복한 다음,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종결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 DCM 3 x 1.5㎖, IPA 3 x 1.5㎖, DCM 3 x 1.5㎖, DMF 3 x 1.5㎖로 세척하였다. 이 과정을 4회 반복하였다.
축합 반응의 수율은 Fmoc-방출 시험에 의해 mmol/g 단위의 치환체로 결정되었다. 생성 조성물(n found)은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아미노산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는 단계별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연속 합성법이다. 그러나, 상기 절차를 모든 상기 유도체에 대해 반복하였다. 개별 행은 상기 사이클을 완료후 제조된 접합체의 조성물을 나타낸다. 즉, 실시예 3에 기재된 절차를 완료한 후, 제1행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생성물을 수득한다. 그 후 절차를 반복하고, 제2행에 기술된 생성물을 수득한다.
화합물 S [mmol/g] N calculated [nmol] N foundo [nmol]
H-Lys(Boc)-Nle-O-palmitoyl HYA 0.01044 0.157 0.152
H-Lys(Boc)-Lys(Boc)-Nle-O-palmitoyl HYA 0.01057 0.314 0.318
H-Lys(Boc)-Lys(Boc)-Lys(Boc)-Nle-O-palmitoyl HYA 0.01061 0.478 0.469
H-Lys(Boc)-Lys(Boc)-Lys(Boc)-Lys(Boc)-Nle-O-palmitoyl HYA 0.01053 0.631 0.619
실시예 11
덴드리머 구조로 배열된 7개의 라이신 단위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 -팔미토일 HYA 섬유의 사용
실시예 9에 따라 제조된 1m의 H-Nle-O-팔미토일 HYA를 프릿이 구비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3 당량의 Fmoc-Lys(Boc)-OH 및 3 당량의 OxymaPure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였다.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ml, DCM 3 x 1.5ml, IPA 3 x 1.5ml, DCM 3 x 1.5ml, DMF 3 x 1.5ml로 세척하였다. Fmoc 보호기를 DMF 중 피페리딘 20% 용액 1.5㎖를 반응기내로 섬유에 첨가함으로써 절단시켰다. 이 반응은 18 ~ 23℃의 온도에서 5분동안 진행되었다. 절단 시간을 20분으로 연장하면서 반응을 반복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 DCM 3 x 1.5㎖, IPA 3 x 1.5㎖, DCM 3 x 1.5㎖, DMF 3 x 1.5㎖로 세척하였다. 이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반응을 Fmoc-방출 시험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수율을 Fmoc-방출 시험에 의해 결정하였다. 도 5(HYA는 팔미토일 히알루로난을 나타낸다)에서 보이는 생성물의 조성은, 표 6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아미노산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는 단계별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연속 합성법이다. 그러나, 상기 절차를 모든 상기 유도체에 대해 반복하였다. 개별 행은 상기 사이클을 완료후 제조된 접합체의 조성물을 나타낸다. 즉, 실시예 3에 기재된 절차를 완료한 후, 제1행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생성물을 수득한다. 그 후 절차를 반복하고, 제2행에 기술된 생성물을 수득한다.
화합물 S [mmol/g] N calculated [nmol] N found
[nmol]
H-Lys-Nle-O-palmitoyl HYA 0.00984 0.16 0.154
H-Lys3-Nle-O-palmitoyl HYA 0.02130 0.49 0.501
H-Lys7-Nle-O-palmitoyl HYA 0.04265 1.12 1.113
실시예 12
Fmoc-Lys-NH 2 의 포르밀HYA 섬유에 고정
1m의 포르밀 HYA 섬유(11mg, 0.028mmol, Mw = 3.105g.mol-1)를 프릿이 장착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3 당량의 Fmoc-Lys-NH2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였고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다. 3 당량의 picBH3을 첨가하였고, 반응을 이후 24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한 후,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ml, DCM 3 x 1.5ml, IPA 3 x 1.5ml, DCM 3 x 1.5ml, DEE 3 x 1.5ml로 세척하였다. Fmoc 보호기를 DMF 중 피페리딘 20% 용액 1.5㎖를 반응기내로 섬유에 첨가함으로써 절단시켰다. 이 반응은 18 ~ 23℃의 온도에서 5분동안 진행되었다. 절단 시간을 20분으로 연장하면서 반응을 반복하였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 DCM 3 x 1.5㎖, IPA 3 x 1.5㎖, DCM 3 x 1.5㎖, DEE 3 x 1.5㎖로 세척하였다.
아미노기의 방출은 닌히드린 확인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확인되었다(Kaiser 테스트).
실시예 13
순수 HYA 섬유에 RGD 모티프로 펩타이드 고정
1m의 순수 HYA 섬유(12mg, 0.03mmol, Mw = 3.105g.mol-1)를 프릿이 장착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3 당량의 적합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3 당량의 OxymaPure, 및 0.3 당량의 DMAP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였다.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ml, DCM 3 x 1.5ml, IPA 3 x 1.5ml, DCM 3 x 1.5ml, DEE 3 x 1.5ml로 세척하였다.
축합 반응의 수율은 Fmoc-방출 시험에 의해 mmol/g 단위의 치환체로 결정되었다. 생성물의 조성은 개별 아미노산의 비율로서 아미노산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물질의 순도는 물질의 분해후 MS-HPLC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개별 분석의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S [mmol/g] 아미노산 순도
[%]
Ahx Asp Gly Nle Arg
Ac-Arg-Gly-Asp-Gly-Gly-Gly-Nle-O-HYA - - 1.04 3.89 1 1.03 90
H-Arg-Gly-Asp-Gly-Gly-Gly-Nle-O-HYA 0.01802 - 1.01 3.91 1 0.97 82
H-Gly-Gly-Gly-Arg-Gly-Asp-Nle-O-HYA 0.01832 - 1.04 4.07 1 1.08 85
Ac-Arg-Gly-Asp-Ahx-Ahx-Nle-O-HYA - 2.20 1.04 1.06 1 1.01 95
H-Arg-Gly-Asp-Ahx-Ahx-Nle-O-HYA 0.01843 2.27 0.93 1.05 1 1.00 90
Ac-Ahx-Ahx-Arg-Gly-Asp-Nle-O-HYA - 2.21 1.03 1.26 1 1.01 86
H-Ahx-Ahx-Arg-Gly-Asp-Nle-O-HYA 0.01831 2.31 0.98 1.05 1 1.02 89
실시예 14
순수 HYA 부직포에 RGD 모티프를 갖는 펩타이드의 고정
순수 HYA(10.5mg, 0.03mmol, Mw = 1.04x106g.mol-1)의 부직포로 제조된 5mm 측면의 정사각형 5개를 프릿이 장착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물질을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3 당량의 적합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및 3 당량의 OxymaPure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였다.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ml, DCM 3 x 1.5ml, IPA 3 x 1.5ml, DCM 3 x 1.5ml, DEE 3 x 1.5ml로 세척하였다.
축합 반응의 수율은 Fmoc-방출 시험에 의해 mmol/g 단위의 치환체로 결정되었다. 생성물의 조성은 개별 아미노산의 비율적 발생으로서 아미노산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물질의 순도는 물질의 분해후 MS-HPLC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개별 분석의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S [mmol/g] 아미노산 순도
[%]
Ahx Asp Gly Nle Arg
H-Arg-Gly-Asp-Gly-Gly-Gly-Nle-O-HYA 0.01802 - 1.04 3.94 1 1.01 85
H-Gly-Gly-Gly-Arg-Gly-Asp-Nle-O-HYA 0.01832 - 1.06 4.14 1 1.07 76
Ac-Arg-Gly-Asp-Ahx-Ahx-Nle-O-HYA - 2.17 0.96 1.05 1 1.04 95
H-Arg-Gly-Asp-Ahx-Ahx-Nle-O-HYA 0.01843 2.15 1.01 1.12 1 1.06 88
실시예 15
순수 HYA 섬유에 펩타이드 Fmoc-(VPGLG) 2 -OH의 고정
1m의 순수 HYA 섬유(12mg, 0.03mmol, Mw = 3.105g.mol-1)를 프릿이 장착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3 당량의 펩타이드 Fmoc-(VPGLG)2-OH, 3 당량의 OxymaPure, 및 0.3 당량의 DMAP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였다.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ml, DCM 3 x 1.5ml, IPA 3 x 1.5ml, DCM 3 x 1.5ml, DEE 3 x 1.5ml로 세척하였다.
축합 반응의 수율은 Fmoc-방출 시험에 의해 mmol/g 단위의 치환체로 결정되었다. 생성물의 조성은 개별 아미노산의 비율적 발생으로서 아미노산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물질의 순도는 물질의 분해후 MS-HPLC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개별 분석의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S [mmol/g] 아미노산 순도[%]
Gly Leu Pro Val
H-(Val-Pro-Gly-Leu-Gly)2-O-HYA 0.01809 2.37 1.26 1.13 1 85
실시예 16
다라르긴의 순수 HYA 섬유에 고정
1m의 순수 HYA 섬유(12mg, 0.03mmol, Mw = 3.105g.mol-1)를 프릿이 장착된 2㎖ 주사기 반응기에 넣었다. 섬유를 DMF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였다. 0.5㎖의 무수 DMF 중 3 당량의 펩타이드 Fmoc-다라르긴, 3 당량의 OxymaPure, 및 0.3 당량의 DMAP의 용액을 반응기 외부에서 제조하였다. 모든 성분을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DIC를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을 반응기내로 섬유에 전달하였다. 반응을 이후 20시간동안 18 내지 23℃의 온도에서 진행하였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어서, 섬유를 DMF 3 x 1.5ml, DCM 3 x 1.5ml, IPA 3 x 1.5ml, DCM 3 x 1.5ml, DEE 3 x 1.5ml로 세척하였다.
축합 반응의 수율은 Fmoc-방출 시험에 의해 mmol/g 단위의 치환체로 결정되었다. 생성물의 조성은 개별 아미노산의 비율적 발생으로서 아미노산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물질의 순도는 물질의 분해후 MS-HPLC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개별 분석의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S [mmol/g] 아미노산 순도
[%]
ala Arg Gly Nle Leu Phe Tyr
H-Tyr-ala-Gly-Phe-Leu-Arg-Nle-O-HYA 0.01894 0.99 0.99 0.96 1 0.98 0.96 0.99 93
실시예 17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섬유상의 생체외 세포 부착
실시예 14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제조된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순수 HYA 섬유 및 대조 섬유를 1cm 조각으로 절단하고 24 웰을 구비한 비-접착성 패널 상으로 옮겼다. 일차 인간 섬유아세포(NHDF)를 형광 염료 DiI(Exmax/Emmax 549/565)로 미리 표기하고, 시험된 샘플로 채워진 웰에 105 세포의 양으로 접종하였다. 이어서 패널을 배양 조건(37℃, 5% CO2) 하에서 현탁액 상태로 세포를 유지하도록 진탕기(5시간/160rpm)로 진탕시켰다. 배양 24시간 후, 섬유를 새로운 배양 배지를 갖는 웰에 옮겼다. 그 다음, TRITC 필터(Exmax/Emmax, 549/565)를 사용하여 형광 현미경 Nikon Ti-Eclipse로 세포를 관찰하고 검출했다.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배양 7일동안 모니터링하였다.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는 견고하고 탄력적인 링커를 형성하는 6-아미노헥사노익 산 2 단위체를 통해 HYA에 결합된 펩타이드 H-Arg-Gly-Asp-Ahx-Ahx-Nle-OH를 갖는 섬유상에 있는 시간동안에만 부착 및 증식하였고, 따라서 RGD 펩타이드가 세포 부착 수용체에 접근가능하게 하였다. 반면, 펩타이드 H-Arg-Ahx-Arg-Gly-Asp-Nle-OH뿐만 아니라 펩타이드 H-Arg-Gly-Asp-Gly-Gly-Gly-Nle-OH 및 H-Gly -Gly-Gly-Arg-Gly-Asp-Nle-OH의 트리글리신 링커를 통한 연결은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포 부착을 지지하지 않았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포 부착을 지원하는 RGD 모티프는 세포 수용체, 결국 Ahx-링커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최소한의 도메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Ahx-링커의 긍정적 효과는 RGD 또는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결합된 펩타이드로 섬유를 시험함으로써 대체되었으며, NHDF는 RGD를 갖는 펩타이드에만 독점적으로 부착되었다.
실시예 18
RGD 모티프를 포함하는 순수 HYA의 부직포상의 생체외 세포 부착
실시예 1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된 고정된 펩타이드 H-Arg-Gly-Asp-Ahx-Ahx-Nle-OH를 갖는 HYA 부직포 및 대조 직물을 0.5cm 측면의 사각형으로 절단하고, 비-접착성 패널의 24웰 플레이트 상으로 옮겼다. 일차 인간 섬유아세포(NHDF)를 형광 염료 DiI(Exmax/Emmax 549/565)로 미리 표기하고, 시험된 샘플로 채워진 웰에 105 세포의 양으로 접종하였다. 이어서 패널을 배양 조건(37℃, 5% CO2) 하에서 현탁액 상태로 세포를 유지하도록 진탕기(5시간/160rpm)로 진탕시켰다. 배양 24시간 후, 섬유를 새로운 배양 배지를 갖는 웰에 옮겼다. 그 다음, TRITC 필터(Exmax/Emmax, 549/565)를 사용하여 형광 현미경 Nikon Ti-Eclipse로 세포를 관찰하고 검출했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배양 7일동안 모니터링하였다.
NHDF는 직물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었고 48시간 후에 특이적인 방식으로 신장되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히알루론산 및 그 유도체에 기반한 담체를 가진 새로운 의약 제제는 부착된 의약 물질로 치료하기 위한 적합한 약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새로운 투여 형태로 인해 복합 시스템의 고체 담체에 결합된 의약 물질은 활성이 개선 및 연장된다. 결합된 의약 물질과 함께 적합한 형태의 히알루론산은 인간 및 수 의약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약어 목록
AdDP 1-아다만틸아미드-(L)-알라닐-(D)-이소글루타민
Ahx 아미노헥사노산
Boc tert-부틸옥시카보닐
Castro Reagent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
DBU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크-7-엔
DCC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DCM 디클로로메탄
DEE 디에틸에테르
DIC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Dil 1,1'-디옥타데실-3,3,3',3'-테트라메틸 인도카르보시아닌 퍼클로레이트
DIPEA N,N'-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
DMAP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F N,N-디메틸 포름아미드
EDC 1-에틸-3-(3-디메틸 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
Fmoc 플루오레닐 메틸옥시 카르보닐
HATU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
HBTU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 우로늄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
HOAt 1-히드록시-7-아자벤조 트리아졸
HOBt N-하이드록시 벤즈트리아졸
HOSu N-하이드록시 숙신이미드
IPA 이소프로필 알코올
OxymaPure 에틸(하이드록시이미노)시아노 아세테이트
picBH3 피콜린 보란 착물
T3P 프로필 포스폰산 무수물
TBTU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 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 보레이트
WSCD 4-트리에틸아미노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p-톨루엔 설포네이트
문헌
1. Schante C. E. et al.: Carbohyd Polym 85, 469 (2011).
2. Danishefsky I., Siskovic E.: Carbohyd Res 16 (1), 199 (1971).
3. Bulpitt P., Aeschlimann D.: J Biomedmater Res 47 (2), 152 (1999).
4. Foullain N.,montanari S., Jeacomine I., Gambarelli S., Vignonm.: Carbohyd Polym 74 (3), 333 (2008).
5. Oh E., Park K., Kim K., Kim J., Yang J., Kong J.: J Control Release 141 (1), 2 (2010).
6. Magnani A., Rappuoli R., Lamponi S., Barbucci R.: Polym Advan Technol 11 (8-12), 488 (2000).
7. Bergman K., Elvingson C., Hilborn J., Svensk G., Bowden T.: Biomacromolecules 8 (7), 2190 (2007).
8. Bellini D., Topai A.: WO/2000/001733 (2000).
9. Della Valle F., Romeo A.: US4851521 (1986).
10. Pelletier S., Hubert P., Lapicque F., Payan E., Dellacherie E.: Carbohyd Polym 43 (4), 343 (2000).
11. Jeanloz R., Forchielli E.: J Biol Chem 186 (2), 495 (1950).
12. Hirano K., Sakai S., Isshikawa T., Avci F., Linhardt R., Toida T.: Carbohyd Res 340 (14), 2297 (2005).
13. Leach J., Bivens K., Patrick Jr. C., Schmidt C.: Biotechnol Bioeng 82 (5), 578 (2003).
14. Bencherif S., Srinivasan A., Horkay F., Hollinger J.,matyjaszewski K., Washburn N.: Biomaterials 29 (12), 1973 (2008).
15. Weng L., Gouldstone A., Wu Y., Chen W.: Biomaterials 29 (14), 2153 (2008).
16. Prata J., Barth T., Bencherif S., Washburn N.: Biomacromolecules 11(3), 769 (2010).
17. Laurent T., Hellsing K., Gelotte B.: Acta Chem Scand 18 (1), 274 (1964).
18. Yui N., Okano T., Sakurai Y.: J Control Release 22 (2), 105 (1992).
19. Tomihata K., Ikada Y.: Biomaterials 18 (3), 189 (1997).
20. Zhao X.: WO/2000/046253 (2000).
21. Balazs E., Leshchiner A.: US4582865 (1986).
22. Ramamurthi A., Vesely I.: J Biomedmater Res 60 (1), 196 (2002).
23. Eun J., Kang S., Kim B., Jiang G., Il H., Sei K.: J Biomedmater Res-A 86 (3), 685 (2008).
24. Serban M., Yang G., Prestwich G.: Biomaterials 29 (10), 1388 (2008).
25. Tomihata K., Ikada Y.: J Polym Sci Pol Chem 35 (16), 3553 (1997).
26. Crescenzi V. et al.: Carbohyd Polym 53 (3), 311 (2003).
27. Velebn
Figure pct00004
V., Hrdina R., Sulαkovα R.,Mlcochovα P., Holas T., Kremar.M: CZ302856 (2006).
28. Smejkalova D. et al.: WO/2014/082609 (2014).
29. Huerta-Angeles G., Bobek M., Prikopova E., Smejkalovα D., Velebn
Figure pct00005
V.: Carbohyd Polym 111, 883 (2014).
30. Buffa R., Velebn
Figure pct00006
V., Pospisilova L., Prikopova E., Pravdam., Nikod
Figure pct00007
m P., Palek L.: WO/2010/105582 A1 (2010).
31. Eichler J. et al.: Cotton-carrier for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1991).
32. Robertmarks: WO/2012/101612 A1 (2012).
33. Palmieri G., Cassani G., Fassina G.: J Chromatogr B 664, 127 (1995).
34. Morgan S.M., Al-Shamkhani A., Callant D., Schacht E., Woodley J.F., Duncan R.: Int J Pharm 122, 121 (1995).
35. Hashimoto T., Suzuki Y., Taniharam., Kakimaru Y., Suzuki K.: Biomaterials 25, 1407 (2004).
36. Frank R., Doring R., Tetrahedron 44, 6031 (1988).
37. Eichler J., Bienert M., Stierandova A., Lebl M.: Pept Res 4 (5), 296 (1991).
38. Eichler J. et al.: Innovation and Perspectives in Solid Phase Synthesis. Birmingham, UK: SPCC, 337-343 (1990).
39. Burgert L., Hrdina R..Masek D., Velebn
Figure pct00008
V.: WO/2012/089179 A1 (2012).
40. Burgert L et al.: WO/2013/167098 A2 (2013).
41. Betak J. et al.: WO/2014/082610 A1 (2014).
42. Scudlova J. et al.: WO/2014/082611 A1 (2014).
43. Foglarovam. et al.: WO/2016/141903 (2016).
44. Foglarovam. et al.: Carbohydr Polym 144, 68 (2016).
SEQUENCE LISTING <110> Contipro a.s. <120> Medical preparation with a carrier based on hyaluronan and/or derivatives thereof, method of prepration and use thereof <130> D4126-PCT/Lu <150> CZPV 2016-826 <151> 2016-12-22 <160> 15 <170> BiSSAP 1.3.6 <210> 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DISULFID <222> 1..6 <223> disulfide bridge <220> <223> Oxytocin <400> 1 Cys Tyr Ile Gln Asn Cys Pro Leu Gly 1 5 <210> 2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MOD_RES <222> 1 <223> Mpr SULFATATION <220> <221> DISULFID <222> 1..6 <223> disulfide bridge <220> <223> Desmopressin <400> 2 Xaa Tyr Phe Gln Asn Cys Pro Arg Gly 1 5 <210> 3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largin <400> 3 Tyr Ala Gly Phe Leu Arg 1 5 <210> 4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MOD_RES <222> 1 <223> pGlu PYRROLIDONE CARBOXYLIC ACID <220> <223> Lecirelin <220> <221> MOD_RES <222> 9 <223> NHEt <400> 4 Glu His Trp Ser Tyr Leu Leu Arg Pro 1 5 <210> 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MOD_RES <222> 1 <223> pGlu PYRROLIDONE CARBOXYLIC ACID <220> <223> Fertitrelin <220> <221> MOD_RES <222> 9 <223> NHEt <400> 5 Glu His Trp Ser Tyr Gly Leu Arg Pro 1 5 <210> 6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erlipressin <220> <221> DISULFID <222> 4..9 <223> disulfide bridge <400> 6 Gly Gly Gly Cys Tyr Phe Gln Asn Cys Pro Lys Gly 1 5 10 <210> 7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DISULFID <222> 1..6 <223> disulfide bridge <220> <223> Lysipressin <400> 7 Cys Tyr Phe Gln Asn Cys Pro Lys Gly 1 5 <210> 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MOD_RES <222> 1 <223> Ac ACETYLATION <220> <223> Effect on adhesive properties <220> <221> MOD_RES <222> 7 <223> Nle <400> 8 Arg Gly Asp Gly Gly Gly Xaa 1 5 <210> 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MOD_RES <222> 1 <223> Fmoc <220> <223> Effect on adhesive properties <220> <221> MOD_RES <222> 7 <223> Nle <400> 9 Arg Gly Asp Gly Gly Gly Xaa 1 5 <210> 10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MOD_RES <222> 1 <223> Ac ACETYLATION <220> <223> Effect on adhesive properties <400> 10 Gly Gly Gly Arg Gly Asp 1 5 <210> 11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MOD_RES <222> 1 <223> Fmoc <220> <223> Effect on adhesive properties <400> 11 Gly Gly Gly Arg Gly Asp 1 5 <210> 12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MOD_RES <222> 1 <223> Ac ACETYLATION <220> <223> Effect on adhesive properties <220> <221> MOD_RES <222> 4 <223> Ahx <220> <221> MOD_RES <222> 5 <223> Ahx <220> <221> MOD_RES <222> 6 <223> Nle <400> 12 Arg Gly Asp Xaa Xaa Xaa 1 5 <210> 13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MOD_RES <222> 1 <223> Fmoc <220> <223> Effect on adhesive properties <220> <221> MOD_RES <222> 4 <223> Ahx <220> <221> MOD_RES <222> 5 <223> Ahx <220> <221> MOD_RES <222> 6 <223> Nle <400> 13 Arg Gly Asp Xaa Xaa Xaa 1 5 <210> 14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MOD_RES <222> 1 <223> Ahx <220> <221> MOD_RES <222> 1 <223> Ac ACETYLATION <220> <223> Effect on adhesive properties <220> <221> MOD_RES <222> 2 <223> Ahx <400> 14 Xaa Xaa Arg Gly Asp 1 5 <210> 15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MOD_RES <222> 1 <223> Ahx <220> <221> MOD_RES <222> 1 <223> Fmoc <220> <223> Effect on adhesive properties <220> <221> MOD_RES <222> 2 <223> Ahx <400> 15 Xaa Xaa Arg Gly Asp 1 5

Claims (26)

  1. 하기 일반식(X)에 따른, 의약 물질과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유도체의 접합체
    A-S-N (X),
    또는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A는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 물질이고,
    S는 -O- 또는 -NH-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며,
    N은 히알루론산, 팔미토일 히알루로난 또는 포르밀 히알루로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담체이고, 그 분자량은 1.5x104 내지 2.5x106g.mol-1 범위이며,
    m은 10 내지 1250이고,
    n은 100 내지 12500이다)
    를 포함하고, 비수용성이고 생분해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로난 및/또는 그 유도체 기반 담체를 갖는 의약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담체(N)가 무한 섬유, 실, 직물, 박막, 스테이플 섬유 및/또는 부직포 직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약 물질(A)가 히알루론산 및 그의 유도체에 O 원자를 통해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또는 N 원자를 통해 환원성 아미노화에 의해 직접 고정되거나, 또는 소수성 아미노산 Xaa로 구성된 펩타이드 기반의 선형 링커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제제.
  4.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말단 N-보호기 및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의약 물질 A를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 중에서 축합제에 의해 카르복시기 활성화시켜 반응성 중간체 I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어서, 유기 염기 및 촉매의 존재하에서 1.5 x 104 내지 2.5 x 106 g.mol-1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히알루론산, 팔미토일 히알루로난 또는 포르밀 히알루로난인 담체 N과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X):
    A-S-N (X),
    또는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A, S, N, m, 및 n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에 따른, 의약 물질 A와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유도체의 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그 후, 담체에 결합한 의약 물질 A의 말단 N-보호기를 염기성 환경하에서 절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담체 N은 제조 공정동안 고상으로 존재하고, 반응 환경에서 불용성이며 생분해성인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유도체에 기반한 의약 제제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의약 물질 A는 담체에 직접 결합되거나 소수성 아미노산 Xaa에 의해 형성된 펩타이드에 기반한 선형 링커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의약 물질 A가 선형 링커 Xaa-Ahx-Ahx-Xaa를 통해 담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및 그 유도체의 접합체의 형성 단계가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2 내지 48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및 그 유도체의 접합체의 형성 단계가 22℃ 내지 25℃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체를 이전 단계의 반응성 중간체 I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반응성 중간체 I와 반복적으로 반응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합제가 N,N'-디이소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 N,N'-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 1-에틸-3-(3-디메틸 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2-(1H-벤조 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 우로늄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 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 보레이트, 4-트리에틸아미노-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p-톨루엔 설포네이트,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 2,4,5-트리클로로 페놀, 2,3,4,5,6-펜타플루오로 페놀, 및 2,3,4,5,6-펜타클로로 페놀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가 N,N-디메틸 포름아미드, 디메틸 설폭사이드, N-메틸-2-피롤리돈,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 메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1,4-디옥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염기가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모르폴린, N-메틸 모르폴린, N,N'-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 및 이미다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촉매가 에틸(히드록시이미노)시아노아세테이트,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또는 N,N-디메틸아미노 피리딘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말단 보호기가 절단되는 염기성 환경은 DMF 중 20% 피페리딘, DMF 중 2% DBU, 및 DMF 중 30% tert-부틸아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4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합제가 N,N'-디이소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이고,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가 N,N-디메틸 포름아미드이며, 촉매가 에틸(히드록시이미노)시아노아세테이트 및 N,N-디메틸아미노 피리딘의 조합이고, 염기성 환경이 N,N-디메틸 포름아미드 중 20% 피페리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4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 물질 A의 양은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이량체를 기준으로 1 내지 5 당량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합제의 양은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이량체를 기준으로 0.1 내지 5 당량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염기의 양은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이량체를 기준으로 10 당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촉매의 양은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이량체를 기준으로 0.1 내지 5 당량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틸(히드록시이미노)시아노아세테이트 3 당량 및 N,N-디메틸아미노 피리딘 0.3 당량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이량체를 기준으로, 의약 물질 A의 양은 3 당량이고, 축합제의 양은 3 당량이며, 촉매의 양은 3 당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이량체를 기준으로, 의약 물질 A의 양은 1 당량이고, 축합제의 양은 1 당량이며, 촉매의 양은 1 당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 제제는 활성 펩타이드 또는 아미노산의 투약 형태로서 의약적 용도로 사용되고, 진피, 설하, 볼, 또는 개방형 상처에 국소 투여되는, 의약 제제.
  23. 제22항에 있어서, 의약 물질로서 펩타이드 다라르긴(Dalargin)을 포함하는 진피 투여용인, 의약 제제.
  24. 제22항에 있어서, 의약 물질로서, 데스모프레신, 리시프레신(Lysipressin) 또는 글리프레신(Glypressin)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구강 또는 설하 투여용인, 의약 제제.
  25. 제22항에 있어서, 의약 물질로서, 항바이러스제 및 보조제, 또는 황체 형성 및 난포 자극 호르몬의 방출 인자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의약 제제.
  26. 제22항에 있어서, 의약 물질로서 글리프레신, 다라르긴, 및 AdDP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포함하고, 개방 상처에 직접 적용하기 위한, 의약 제제.
KR1020197016861A 2016-12-22 2017-12-19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에 접합된 비수용성 히알루로난 기반 담체를 갖는 의약 제제,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1900994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Z2016-826A CZ2016826A3 (cs) 2016-12-22 2016-12-22 Léčivý prostředek s nosičem na bázi hyaluronanu a/nebo jeho derivátů, způsob výroby a použití
CZPV2016-826 2016-12-22
PCT/CZ2017/050061 WO2018113802A1 (en) 2016-12-22 2017-12-19 Medical preparation with a carrier based on water insoluble hyaluronan conjugated to amino acids or peptide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402A true KR20190099402A (ko) 2019-08-27

Family

ID=6780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861A KR20190099402A (ko) 2016-12-22 2017-12-19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에 접합된 비수용성 히알루로난 기반 담체를 갖는 의약 제제,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328891A1 (ko)
EP (1) EP3558385B1 (ko)
JP (1) JP2020502251A (ko)
KR (1) KR20190099402A (ko)
BR (1) BR112019011880A2 (ko)
CZ (1) CZ2016826A3 (ko)
RU (1) RU2019122336A (ko)
WO (1) WO2018113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6536B2 (en) 2019-03-23 2024-05-21 Ablevia Biotech Gmbh Compound for the sequestration of undesirable antibodies in a patient
JP7275320B2 (ja) 2019-06-03 2023-05-17 アイホル・コーポレーション ヒアルロナンコンジュゲートおよびその使用
CN110713517B (zh) * 2019-10-11 2022-11-01 润辉生物技术(威海)有限公司 一种乙酰透明质酸寡肽及其制备与应用方法
US11458204B2 (en) 2020-06-02 2022-10-04 Aihol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substitution rate and/or substitution efficiency of hyaluronan-drug conjugates
IT202000014017A1 (it) * 2020-06-11 2021-12-11 Fidia Farm Spa Nuovi derivati ottenuti da acido ialuronico e carnosina
WO2023220754A1 (en) * 2022-05-13 2023-11-16 University Of Vermont And State Agricultural College Antioxidant derivative of hyaluronic aci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865A (en) 1984-12-06 1986-04-15 Biomatrix, Inc. Cross-linked gels of hyaluronic acid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gels
US4851521A (en) 1985-07-08 1989-07-25 Fidia, S.P.A. Esters of hyaluronic acid
US4937270A (en) * 1987-09-18 1990-06-26 Genzyme Corporation Water insoluble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
US5356883A (en) * 1989-08-01 1994-10-18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Y. Water-insoluble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 and their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ITPD980169A1 (it) 1998-07-06 2000-01-06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Ammidi dell'acido ialuronico e dei suoi derivati e processo per la loro preparazione.
GB9902412D0 (en) 1999-02-03 1999-03-24 Fermentech Med Ltd Process
CZ302856B6 (cs) 2006-09-27 2011-12-14 Cpn Spol. S R. O. Zpusob prípravy derivátu polysacharidu
EP2360188B1 (en) * 2008-11-05 2014-09-17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 Hyaluronic acid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CZ301899B6 (cs) 2009-03-17 2010-07-21 Contipro C, A.S. Zpusob prípravy derivátu kyseliny hyaluronové pomocí O-acyl-O´-alkylkarbonátu v prítomnosti substituovaného pyridinu
US20130143821A1 (en) * 2010-02-04 2013-06-06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Hydrophobically-modified hyalurona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CZ20101001A3 (cs) 2010-12-31 2012-02-08 Cpn S.R.O. Hyaluronová vlákna, zpusob jejich prípravy a použití
WO2012101612A1 (en) 2011-01-30 2012-08-02 The National Institute for Biotechnology in the Negev Ltd. Fmoc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on biodegradable support and uses thereof
CZ304651B6 (cs) 2012-05-11 2014-08-20 Contipro Biotech S.R.O. Způsob přípravy mikrovláken, způsob výroby krytů ran, kryty ran a zařízení pro přípravu polysacharidových vláken
US9361047B2 (en) 2012-07-03 2016-06-07 Violin Memory Inc. Synchronization of a dispersed RAID group
CZ304266B6 (cs) 2012-11-27 2014-02-05 Contipro Biotech S.R.O. Nekonečná vlákna na bázi hyaluronanu selektivně oxidovaného v poloze 6 N-acetyl-D-glukosaminové části, jejich příprava, použití, nitě, střiže, příze, textilie a způsob jejich úpravy
CZ304303B6 (cs) 2012-11-27 2014-02-19 Contipro Biotech S.R.O. Vlákna založená na hydrofobizovaném hyaluronanu, způsob jejich přípravy a použití, textilie na jejich bázi a použití
CZ304654B6 (cs) 2012-11-27 2014-08-20 Contipro Biotech S.R.O. Nanomicelární kompozice na bázi C6-C18-acylovaného hyaluronanu, způsob přípravy C6-C18-acylovaného hyaluronanu, způsob přípravy nanomicelární kompozice a stabilizované nanomicelární kompozice a použití
CZ309295B6 (cs) 2015-03-09 2022-08-10 Contipro A.S. Samonosný, biodegradabilní film na bázi hydrofobizované kyseliny hyaluronové, způsob jeho přípravy a použit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3802A1 (en) 2018-06-28
BR112019011880A2 (pt) 2019-11-26
US20190328891A1 (en) 2019-10-31
RU2019122336A3 (ko) 2021-03-02
JP2020502251A (ja) 2020-01-23
EP3558385B1 (en) 2021-08-11
EP3558385A1 (en) 2019-10-30
RU2019122336A (ru) 2021-01-22
CZ2016826A3 (cs)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8385B1 (en) Method of preparation of a medical preparation with a carrier based on water insoluble hyaluronan conjugated to amino acids or peptides
JP7014845B2 (ja) 多糖によって架橋されているタンパク質の調製および/または調合物
EP0449973B1 (en) Polypeptide-polymer conjugates active in wound healing
EP3031466B1 (en) Purified amphiphilic peptid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102225971B1 (ko) 펩타이드 가교제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50282747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wound healing
Karel et al. Stabilization of hyaluronan-based materials by peptide conjugation and its use as a cell-seeded scaffold in tissue engineering
US8748409B2 (en) Polysaccharide derivative and hydrogel thereof
CN115869459A (zh) 促伤口愈合的多肽水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493461B1 (ko) 접착분자가 부착된 천연고분자,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Uysal Peptide hydrogels containing cell attachment molecules
ES2705602T3 (es) Composiciones de péptidos anfifílicos purificadas y usos de las mismas
Reddi et al. 21 Colla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