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698A - 안승형 차량 - Google Patents

안승형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698A
KR20190098698A KR1020190012647A KR20190012647A KR20190098698A KR 20190098698 A KR20190098698 A KR 20190098698A KR 1020190012647 A KR1020190012647 A KR 1020190012647A KR 20190012647 A KR20190012647 A KR 20190012647A KR 20190098698 A KR20190098698 A KR 20190098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ension coil
stay
opening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427B1 (ko
Inventor
마사키 나가오카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2Box-shaped seats; Bench-type seats, e.g. dual or twin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46Luggage carriers forming part of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62K23/02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 B62K2201/04Helica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pring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개방/폐쇄 기구(22)는 인장 코일 스프링(61) 및 탄성 부재(62)를 포함한다. 인장 코일 스프링(61)은 코일부(63)을 포함하고, 운전자가 시트(6)를 개방하는 것을 보조한다. 탄성 부재(62)는 코일부(63)의 외주에 제공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61)은 시트(6)가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수룩하도록 배치된다. 코일부의 외주(63) 및 탄성 부재의 내주(62)는 적어도 시트(6)가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서로 접촉하게 된다.

Description

안승형 차량{STRADDLED VEHICLE}
본 발명은 안승형 차량에 관한 것이다.
안승형 차량에서는 시트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시트의 개방 방향으로 시트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존재한다. 일본 특허 공개 2009-67285호 공보에서는, 예를 들면 댐퍼가 시트에 가압력을 가하고 있다.
시트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시트의 개방 방향으로 가압력이 시트에 가해지는 경우, 시트를 개방하는 속도는 매우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 시트를 개방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면, 시트가 완전히 개방된 후에 튀어서 되돌아와 흔들리는 경향이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열악하다. 따라서, 시트에 감쇠력을 가하여 시트의 개방 속도가 매우 빨라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의 개방 초기에는 시트의 자체 중량을 극복하는데 충분히 큰 가압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시트의 개방 초기에는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또는 감쇠력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시트가 완전히 개방되기 직전에는 시트의 개방 속도를 충분히 감소시키기 위해 큰 감쇠력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트의 개방 정도에 따라 감쇠력을 조정함으로써 시트의 속도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승형 차량은 시트 아래에 충분한 수납 박스를 제공하여 다양한 형상의 헬멧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9-67285호에서와 같이, 댐퍼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댐퍼 자체의 크기나 댐퍼의 지지 구조를 위한 공간 때문에, 충분한 수납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수납 박스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시트의 개방 정도에 따라 시트에의 감쇠력을 조정함으로써 시트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면서 시트의 속도를 적절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안승형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안승형 차량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안승형 차량은 시트, 수납 박스, 및 개방/폐쇄 기구를 포함한다. 수납 박스는 시트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개방/폐쇄 기구는 수납 박스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수납 박스가 개방되는 완전 개방 위치 사이에서 시트가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시트를 지지한다. 개방/폐쇄 기구는 인장 코일 스프링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인장 코일 스프링은 코일부를 포함하고, 운전자가 시트를 개방하는 동작을 보조한다. 탄성 부재는 코일부의 외주에 제공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은 시트가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수축하도록 배치된다. 적어도 시트가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코일부의 외주와 탄성 부재의 내주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승형 차량에 있어서,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시트를 개방하기 위한 가압력이 얻어진다. 또한, 코일부의 외주와 탄성 부재의 내주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감쇠력이 얻어진다. 특히, 인장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시트가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인장 코일 스프링은 수축한다. 인장 코일 스프링의 수축 결과로, 인장 코일 스프링의 외경이 확장되어 인장 코일 스프링의 주위에 제공된 탄성 부재로부터의 반력을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시트가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탄성 부재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시트에 가해진 감쇠력은 증가한다. 이와 같이, 시트의 개방 초기에서는 감쇠력이 발생하지 않거나 감소될 수 있고, 시트가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감쇠력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면서, 시트의 개방 정도에 따라 시트의 속도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인장 코일 스프링 및 인장 코일 스프링 주위에 제공된 탄성 부재와 같은 간단한 구조로, 가압력 및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수납 박스를 확보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관통구멍을 갖는 튜브 형상일 수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은 탄성 부재의 관통구멍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부재의 관통구멍에 인장 코일 스프링이 위치되어 있는 간단한 구조로, 가압력 및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시트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인장 코일 스프링의 외경은 탄성 부재의 그 자연 상태에서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시트가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인장 코일 스프링의 외경은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인장 코일 스프링은 탄성 부재의 내주에 항상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시트의 개방 초기부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소형화를 목적으로 인장 코일 스프링의 스트로크가 짧아지는 경우에도, 개방/폐쇄 동작의 보조력 및 시트 상의 감쇠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시트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인장 코일 스프링의 외경은 탄성 부재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폐쇄 위치와 완전 개방 위치 사이의 소정의 중간 위치에 시트가 위치되어 있을 때, 인장 코일 스프링의 외경은 탄성 부재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시트가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인장 코일 스프링의 외경은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를 개방하는 중간에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안승형 차량은 차체 프레임, 제 1 스테이 및 제 2 스테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테이는 차체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제 2 스테이는 시트에 장착되고, 제 1 스테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은 제 1 스테이에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제 2 스테이에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스테이는 시트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제 1 스테이에 대해 회전한다. 따라서, 인장 코일 스프링의 신축의 결과로 가압력 및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폐쇄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 1 스테이는 지지부 및 제 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제 2 스테이를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는 인장 코일 스프링의 제 1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스테이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는 인장 코일 스프링의 제 2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는 지지부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는 지지부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스테이는 시트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제 1 스테이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 사이의 거리는 증가 또는 감소한다. 이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 가압력 및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는 지지부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 및 탄성 부재는 지지부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방/폐쇄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안승형 차량을 평면으로 볼 때에, 인장 코일 스프링 및 탄성 부재는 제 2 스테이와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방/폐쇄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 박스의 전방에 풋레스트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인장 코일 스프링의 스트로크 길이는 제한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본 양태에 의한 안승형 차량에서는 개방/폐쇄 동작의 보조력 및 시트 상의 감쇠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안승형 차량은 시트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조작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시트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시트를 개방/폐쇄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가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경우에도, 시트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적절한 가압력 및 감쇠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사용 편의성은 개선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안승형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개방/폐쇄 기구, 록 기구 및 시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개방/폐쇄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개방/폐쇄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개방/폐쇄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개방/폐쇄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개방/폐쇄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8은 개방/폐쇄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9는 제 1 스프링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폐쇄 위치 및 완전 개방 위치에서의 개방/폐쇄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 1 스프링 유닛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변형에 의한 제 1 스프링 유닛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실시형태에 의한 안승형 차량에 대해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안승형 차량(1)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안승형 차량(1)은 스쿠터형 차량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승형 차량(1)은 차량 본체(2), 핸들(3), 스티어링 장치(4), 전륜(5), 시트(6), 후륜(7) 및 엔진(8)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후 방향 및 측 방향은 시트(6)에 착석한 운전자가 본 방향을 말한다. 「연결」이라는 용어는 직접 연결뿐만 아니라 간접 연결도 포함한다. 또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개별 부재가 서로 고정되어 있는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부분이 일체형 부재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양태도 포함한다.
핸들(3)은 스티어링 장치(4)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스티어링 장치(4)는 전륜(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시트(6)는 차량 본체(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엔진(8)은 시트(6)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후륜(7)은 엔진(8)과 함께 피봇 가능하도록 차량 본체(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차량 본체(2)는 프론트 커버(11), 레그 실드(12), 풋 보드(13) 및 리어 커버(14)를 포함한다. 프론트 커버(11)는 핸들(3)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레그 실드(12)는 프론트 커버(11)의 후방, 시트(6)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풋 보드(13)는 레그 실드(12)와 시트(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풋 보드(13)는 센터 터널부(15)를 포함한다. 센터 터널부(15)는 상방으로 돌출하여 차폭 방향으로 풋 보드(13)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풋 보드(13)는 편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어 커버(14)는 시트(6)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차량 본체(2)에는 시트(6)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16)를 제공하고 있다. 조작 스위치(16)는 핸들(3)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16)는 레그 실드(12)에 제공되어 있다.
차량 본체(2)는 수납 박스(21), 개방/폐쇄 기구(22) 및 록 기구(23)를 포함한다. 수납 박스(21)는 시트(6)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수납 박스(21)는 헬멧 등의 물품을 수납 가능하다. 개방/폐쇄 기구(22)는 수납 박스(2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개방/폐쇄 기구(22)는 차량의 정면에서 볼 때에 수납 박스(21)와 중첩된다.
개방/폐쇄 기구(22)는 수납 박스(21)를 개방 및 폐쇄 가능하도록 시트(6)를 지지한다. 개방/폐쇄 기구(22)는 시트(6)의 전단부를 지지한다. 개방/폐쇄 기구(22)의 적어도 일부는 시트(6)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개방/폐쇄 기구(22)의 적어도 일부는 센터 터널부(15)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개방/폐쇄 기구(22)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의 평면으로 볼 때에 시트(6)와 중첩된다. 개방/폐쇄 기구(22)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의 평면으로 볼 때에 센터 터널부(15)와 중첩된다.
록 기구(23)는 시트(6)를 폐쇄 위치에 로킹한다. 도 2는 개방/폐쇄 기구(22), 록 기구(23) 및 시트(6)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실선은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시트(6)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파선은 완전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시트(6)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본체(2)는 차체 프레임(9)을 포함한다. 차체 프레임(9)은 시트 프레임(17) 및 센터 프레임(18)을 포함한다. 시트 프레임(17)은 시트(6)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19)은 시트 프레임(17)에 장착되어 있다. 록 기구(23)는 브래킷(19)을 통해 시트 프레임(17)에 장착되어 있다.
시트(6)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로킹 부재(24)가 시트(6)에 연결되어 있다. 록 기구(23)는 로킹 부재(24)와 맞물린 상태가 됨으로써 폐쇄 위치에 시트(6)를 로킹한다. 록 기구(23)는 케이블(25)을 통해 조작 스위치(16)에 연결되어 있다. 록 기구(23)는 상기 조작 스위치(16)의 조작을 통해 로킹 부재(24)를 푼다. 결과적으로, 시트(6)는 해제된다.
개방/폐쇄 기구(22)는 수납 박스(21)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수납 박스(21)가 개방되는 완전 개방 위치 사이에서 시트(6)가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시트(6)를 지지한다. 개방/폐쇄 기구(22)는 센터 프레임(18)에 장착되어 있다. 센터 프레임(18)은 시트 프레임(17)에 연결되어 있다. 센터 프레임(18)은 센터 터널부(15)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개방/폐쇄 기구(22)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5는 각각 개방/폐쇄 기구(22)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개방/폐쇄 기구(22)의 정면도이다. 도 7은 개방/폐쇄 기구(22)의 배면도이다. 도 8은 개방/폐쇄 기구(22)의 상면도이다. 도 3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폐쇄 기구(22)는 제 1 스테이(31), 제 2 스테이(32), 제 1 스프링 유닛(33) 및 제 2 스프링 유닛(34)을 포함한다.
제 1 스테이(31)는 센터 프레임(18)에 장착되어 있다. 제 1 스테이(31)는 굽은 판의 형상이다. 제 1 스테이(31)는 제 1 측부(41), 제 2 측부(42) 및 결합부(43)를 포함한다. 제 1 측부(41) 및 제 2 측부(42)는 차폭 방향으로 이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43)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측부(41)의 후방부와 제 2 측부(42)의 후방부를 연결하고 있다. 제 1 스테이(31)는 제 1 부착부(44) 및 제 2 부착부(45)를 포함한다. 제 1 부착부(44)는 제 1 측부(4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부착부(45)는 제 2 측부(4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부착부(44) 및 제 2 부착부(45)는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센터 프레임(18)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스테이(31)는 제 2 스테이(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46)를 포함한다. 지지부(46)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형의 부재이다. 지지부(46)는 제 1 측부(41)와 제 2 측부(42)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고, 제 1 측부(41)와 제 2 측부(4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 1 스테이(31)는 제 1 연결부(47)를 포함한다. 제 1 연결부(47)는 제 1 스프링 유닛(33)과 제 2 스프링 유닛(34)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연결부(47)는 막대형의 부재이다. 제 1 연결부(47)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연결부(47)는 제 1 측부(41)와 제 2 측부(42)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연결부(47)는 제 1 측부(41)와 제 2 측부(42)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제 1 연결부(47)는 지지부(46)보다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제 2 스테이(32)는 시트(6)의 전방부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있다. 제 2 스테이(32)는 제 1 스테이(3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 2 스테이(32)는 시트 연결부(51)와 제 2 연결부(52)를 포함한다. 시트 연결부(51)는 제 2 스테이(3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제공된다. 시트 연결부(51)는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시트(6)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제 2 연결부(52)는 제 2 스테이(32)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제공된다.
제 2 연결부(52)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형의 부재이다. 제 2 연결부(52)는 제 1 스프링 유닛(33)과 제 2 스프링 유닛(34)에 연결된다. 제 2 연결부(52)는 지지부(46)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제 1 연결부(47)와 제 2 연결부(52)는 지지부(46)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제 2 스테이(3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지지부(46)는 시트 연결부(51)와 제 2 연결부(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6)를 개방할 때, 제 1 스프링 유닛(33) 및 제 2 스프링 유닛(34)은 제 2 스테이(32)에 대하여 각각 탄성력 및 감쇠력을 부여한다. 제 1 스프링 유닛(33) 및 제 2 스프링 유닛(34)은 제 2 스테이(32)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스프링 유닛(33) 및 제 2 스프링 유닛(34)은 차량의 평면으로 볼 때에 제 2 스테이(32)와 중첩된다. 제 1 스프링 유닛(33) 및 제 2 스프링 유닛(34)은 제 1 스테이(31)의 제 1 측부(41)와 제 2 측부(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스프링 유닛(33) 및 제 2 스프링 유닛(34)은 차량의 측면에서 볼 때에 제 1 스테이(31)의 제 1 측부(41)와 제 2 측부(42)에 중첩된다. 제 1 스프링 유닛(33) 및 제 2 스프링 유닛(34)은 지지부(46)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도 9는 제 1 스프링 유닛(33)의 사시도이다. 제 1 스프링 유닛(33)은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 및 제 1 탄성 부재(62)를 포함한다. 시트(6)를 개방할 때,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은 운전자가 시트(6)를 개방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시트(6)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 2 스테이(32)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은 코일부(63), 제 1 단부(64) 및 제 2 단부(65)를 포함한다. 코일부(63)는 제 1 단부(64)와 제 2 단부(6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부(64)는 제 1 스테이(31)의 제 1 연결부(47)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단부(64)는 제 2 단부(65)보다 수납 박스(21)에 가까이 위치되어 있다. 제 2 단부(65)는 제 2 스테이(32)의 제 2 연결부(52)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은 코일부(63)의 축선이 전후 방향을 배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은 제 2 스테이(32)가 제 1 스테이(31)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은 시트(6)가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수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시트(6)를 개방할 때에, 제 1 탄성 부재(62)는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 2 스테이(32)의 동작에 대해 감쇠력이 가해진다. 제 1 탄성 부재(62)는 코일부(63)의 외주에 제공된다. 제 1 탄성 부재(62)는 관통구멍을 갖는 튜브 형상이다. 인장 코일 스프링은 탄성 부재의 관통구멍에 위치되어 있다. 제 1 탄성 부재(62)는, 예를 들면 고무 튜브이다. 그러나, 제 1 탄성 부재(62)는 고무 이외의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62)는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의 제 1 단부(64)와 제 2 단부(6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단부(64)는 제 1 탄성 부재(62)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 2 단부(65)는 제 1 탄성 부재(62)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 2 스프링 유닛(34) 및 제 1 스프링 유닛(33)은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제 2 스프링 유닛(34)은 제 2 인장 코일 스프링(71) 및 제 2 탄성 부재(72)를 포함한다. 제 2 인장 코일 스프링(71)은 코일부(73), 제 1 단부(74) 및 제 2 단부(75)를 포함한다. 제 2 인장 코일 스프링(71) 및 제 2 탄성 부재(72)가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 및 제 1 탄성 부재(62)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승형 차량(1)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인장 코일 스프링(61 및 71)에 의해 시트(6)를 개방하기 위한 가압력이 얻어진다. 또한, 코일부(63 및 73)의 외주와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62 및 72)의 내주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감쇠력이 얻어진다.
도 10에 있어서, 파선은 완전 개방 위치에서의 개방/폐쇄 기구(22)를 나타낸다. 개방/폐쇄 기구(22)의 제 2 스테이(32)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폐쇄 위치와 파선으로 나타내는 완전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도 11의 (A)는 폐쇄 위치에서의 제 1 스프링 유닛(33)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의 (B)는 완전 개방 위치에서의 제 1 스프링 유닛(33)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시트(6)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의 코일부(63)의 외경(Do1)은 제 1 탄성 부재(62)의 자연 상태에서의 내경(Di1)보다 크다. 따라서, 코일부(63)의 외주는 제 1 탄성 부재(62)의 내주와 접촉하고 있다. 또한, 코일부(63)는 제 1 탄성 부재(62)를 방사상 외측으로 가압한다. 결과적으로, 코일부(63)는 제 1 탄성 부재(62)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반력을 수용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스테이(32)가 폐쇄 위치로부터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전하면, 제 2 연결부(52)는 제 1 연결부(47)에 접근한다.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의 제 1 단부(64)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은 압축된다. 따라서,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은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의 가압력에 의해 시트(6)가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수축한다.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의 수축의 결과,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의 코일부(63)의 외경은 Do1에서 Do2로 증가함에 따라 제 1 탄성 부재(62)의 내경도 Di1에서 Di2로 증가한다. 그 결과,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 주위에 제공된 제 1 탄성 부재(62)로부터의 반력은 커진다. 결과적으로, 시트(6)가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제 1 탄성 부재(62)로부터의 반력은 시트(6)에 가해지는 감쇠력을 증가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스프링 유닛(34)은 상술한 제 1 스프링 유닛(33)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시트(6)의 개방 초기에 있어서, 감쇠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6)가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감쇠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트(6)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면, 시트(6)의 개방 정도에 따라 시트(6)의 속도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개방/폐쇄 기구(22)는 제 1 및 제 2 인장 코일 스프링(61 및 71) 및 그 주위에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62 및 72)와 같은 간단한 구조로 가압력 및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 박스(21)에 충분한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방/폐쇄 기구(22)에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개방/폐쇄 기구를 조립할 때에 개방/폐쇄 기구의 각각의 부재마다 정확한 위치 정밀도가 요구되어 적절한 댐핑이 실현된다. 개방/폐쇄 기구는, 예를 들면 비틀림 스프링과 힌지축이 서로 정확하게 접촉하는 방식으로 조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 사항은 조립 공정을 복잡하게 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승형 차량(1)에 있어서, 개방/폐쇄 기구(22)는 제 1 및 제 2 인장 코일 스프링(61 및 71) 및 그 주위에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62 및 72)와 같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개방/폐쇄 기구(22)의 조립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시트(6)가 폐쇄 위치 또는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제 1 및 제 2 인장 코일 스프링(61 및 71)은 항상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62 및 72)의 내주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시트(6)의 개방 초기부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소형화를 목적으로 제 1 및 제 2 인장 코일 스프링(61 및 71)의 스트로크가 짧아지는 경우에도, 개방/폐쇄 동작의 보조력 및 시트(6) 상의 감쇠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프링 유닛(34)은 지지부(46)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차량의 평면으로 볼 때에 제 1 및 제 2 스프링 유닛(33 및 34)은 제 2 스테이(32)와 중첩된다. 따라서, 개방/폐쇄 기구(22)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인장 코일 스프링(61 및 71)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수납 박스(21)의 전방에 풋레스트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인장 코일 스프링(61 및 71)의 스트로크 길이는 제한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승형 차량(1)에서는 개방/폐쇄 동작의 보조력 및 시트(6) 상의 감쇠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승형 차량(1)에 있어서, 시트(6)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는 시트(6)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시트(6)를 개방/폐쇄하기 위한 적절한 가압력 및 감쇠력은 개방/폐쇄 기구(22)에 의해 얻어질 수 있어, 운전자를 위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안승형 차량은 스쿠터형 차량에 한정되지 않고, 모페드 등의 다른 차량일 수 있다. 전륜의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일 수 있다. 후륜의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어도 좋다. 엔진은 내연 기관일 필요는 없지만, 전동 모터일 수 있다. 조작 스위치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개방/폐쇄 기구의 배치 및/또는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스테이(31)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제 2 스테이(32)의 형상도 변경될 수 있다. 개방/폐쇄 기구(22)는 센터 프레임(18)에 의해 지지될 뿐만 아니라, 시트 프레임(17) 등의 차체 프레임(9)의 다른 부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 유닛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 3개 이상일 수 있다. 스프링 유닛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도 12의 (A)는 시트(6)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는 변형예에 따른 제 1 스프링 유닛(33)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의 (B)는 시트(6)가 폐쇄 위치와 완전 개방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되는 변형예에 따른 제 1 스프링 유닛(33)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의 (C)는 시트(6)가 완전 개방 위치에 위치되는 변형예에 따른 제 1 스프링 유닛(33)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6)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의 외경(Do1)은 제 1 탄성 부재(62)의 내경(Di1)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6)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의 코일부(63)의 외주는 제 1 탄성 부재(62)의 내주와 비접촉일 수 있다.
시트(6)가 폐쇄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로 이동할 때,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의 외경은 Do1에서 Do2로 증가한다. 시트(6)가 중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의 외경(Do2)은 제 1 탄성 부재(62)의 내경(Di1)과 동일할 수 있다.
시트(6)가 중간 위치로부터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의 외경은 증가한다. 그 후에, 시트(6)가 중간 위치로부터 완전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의 외경은 Do2에서 Do3으로 증가한다. 그 결과, 제 1 탄성 부재(62)의 내경은 Di2에서 Di3으로 증가하여, 제 1 탄성 부재(62)로부터 받는 반력은 제 1 인장 코일 스프링(61)에 의해 증가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스프링 유닛(34)의 구성은 제 1 스프링 유닛(33)과 동일한 구성이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스프링 유닛(33 및 34)에 의해 얻어지는 개방/폐쇄 동작의 보조력은 시트(6)의 개방 초기에 작용하지만, 감쇠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시트(6)를 개방하는 도중에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시트(6)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면서, 감쇠력이 작용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Claims (11)

  1. 시트(1);
    상기 시트(6) 아래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21); 및
    상기 수납 박스(21)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수납 박스(21)가 개방되는 완전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시트(6)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방/폐쇄 기구(22)를 포함하는 안승형 차량(1)에 있어서,
    상기 개방/폐쇄 기구(22)는
    코일부(63, 73)를 포함하고, 운전자가 상기 시트(6)를 개방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61, 71); 및
    상기 코일부(63, 73)의 외주에 위치되는 탄성 부재(62, 72)를 포함하고,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은 상기 시트(6)가 상기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수축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부(63, 73)의 외주 및 상기 탄성 부재(62, 72)의 내주는 적어도 상기 시트가 상기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안승형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62, 72)는 관통구멍을 갖는 튜브 형상이고,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은 상기 탄성 부재(62, 72)의 관통구멍에 위치되어 있는 안승형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6)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의 외경은 상기 탄성 부재(62, 72)의 자연 상태에서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의 외경은 상기 시트(61)가 상기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커지도록 구성되는 안승형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6)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의 외경은 상기 탄성 부재(62, 72)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시트(6)가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완전 개방 위치 사이의 소정의 중간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의 외경은 상기 탄성 부재(62, 72)의 내경과 동일하고,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의 외경은 상기 시트(6)가 상기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커지도록 구성되는 안승형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9);
    상기 차체 프레임(9)에 장착되는 제 1 스테이(31); 및
    상기 시트(6)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스테이(3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제 2 스테이(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은 상기 제 1 스테이(31)에 연결되는 제 1 단부(64, 74), 및 상기 제 2 스테이(32)에 연결되는 제 2 단부(65, 75)를 포함하는 안승형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62, 72)는 상기 제 1 단부(64, 74)와 상기 제 2 단부(65, 75)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안승형 차량.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테이(31)는 상기 제 2 스테이(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6); 및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의 상기 제 1 단부(64, 74)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47)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테이(32)는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의 상기 제 2 단부(65, 75)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5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47)는 상기 지지부(46)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연결부(52)는 상기 지지부(46)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는 안승형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47) 및 상기 제 2 연결부(52)는 상기 지지부(46) 아래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 및 상기 탄성 부재(62, 72)는 상기 지지부(46) 아래에 위치되어 있는 안승형 차량.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 및 상기 탄성 부재(62, 72)는 차량(1)의 평면으로 볼 때에 상기 제 2 스테이(32)와 중첩되는 안승형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61, 71)은 차량(1)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안승형 차량.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6)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16)를 더 포함하는 안승형 차량.
KR1020190012647A 2018-02-14 2019-01-31 안승형 차량 KR102072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24374A JP2019137330A (ja) 2018-02-14 2018-02-14 鞍乗型車両
JPJP-P-2018-024374 2018-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698A true KR20190098698A (ko) 2019-08-22
KR102072427B1 KR102072427B1 (ko) 2020-03-02

Family

ID=6503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647A KR102072427B1 (ko) 2018-02-14 2019-01-31 안승형 차량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3527472B1 (ko)
JP (1) JP2019137330A (ko)
KR (1) KR102072427B1 (ko)
CN (1) CN110155221B (ko)
BR (1) BR102019002921B1 (ko)
CO (1) CO2019001224A1 (ko)
MY (1) MY195886A (ko)
PH (1) PH12019050024A1 (ko)
TW (1) TWI680900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5628A (zh) * 1997-01-21 1998-10-1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小型摩托车的座位安装结构和与其相连的物品贮存结构
KR20050076667A (ko) * 2004-01-20 2005-07-2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에서의 잠금 해제 조작기의 배치 구조
US20060219456A1 (en) * 2005-03-29 2006-10-05 Startech Co., Ltd. Automatic lifting mechanism for motorcycle saddle
US20160177607A1 (en) * 2013-08-06 2016-06-23 Honda Motor Co., Ltd. Seat hinge structure for saddle riding vehicle
WO2016159891A1 (en) * 2015-03-31 2016-10-06 Honda Motor Co., Ltd. Seat spring structure for motorcyc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2453A1 (en) * 2004-02-09 2005-08-11 M & C Corporation Single pivot hinge with integral coil spring assist
CN2908291Y (zh) * 2005-08-03 2007-06-06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摩托车座垫自动掀启装置
JP2009067285A (ja) * 2007-09-14 2009-04-02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CN101723017B (zh) * 2008-10-31 2012-06-20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机车坐垫的调整机构
CN201932278U (zh) * 2011-01-11 2011-08-17 南京金城机械有限公司 一种摩托车坐垫弹性开合装置
CN102910226B (zh) * 2011-08-05 2016-08-17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摩托车座垫辅助开启装置
JP5988623B2 (ja) * 2012-03-08 2016-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ITMI20120151U1 (it) * 2012-04-13 2013-10-14 Piaggio & C Spa Assieme costituito da una sella e da un vano sottosella per motocicli
TWI566971B (zh) * 2015-11-27 2017-01-21 三陽工業股份有限公司 可調整收納空間之機車
CN106641059B (zh) * 2016-11-25 2018-09-14 广东技术师范学院 一种f形阻尼式的无谐振峰隔振器及其阻尼模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5628A (zh) * 1997-01-21 1998-10-1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小型摩托车的座位安装结构和与其相连的物品贮存结构
KR20050076667A (ko) * 2004-01-20 2005-07-2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에서의 잠금 해제 조작기의 배치 구조
US20060219456A1 (en) * 2005-03-29 2006-10-05 Startech Co., Ltd. Automatic lifting mechanism for motorcycle saddle
US20160177607A1 (en) * 2013-08-06 2016-06-23 Honda Motor Co., Ltd. Seat hinge structure for saddle riding vehicle
WO2016159891A1 (en) * 2015-03-31 2016-10-06 Honda Motor Co., Ltd. Seat spring structure for motor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4398A (zh) 2019-09-01
TWI680900B (zh) 2020-01-01
CN110155221B (zh) 2020-12-04
KR102072427B1 (ko) 2020-03-02
BR102019002921A2 (pt) 2020-01-07
MY195886A (en) 2023-02-27
BR102019002921B1 (pt) 2022-05-10
EP3527472A1 (en) 2019-08-21
JP2019137330A (ja) 2019-08-22
PH12019050024A1 (en) 2019-10-21
CN110155221A (zh) 2019-08-23
EP3527472B1 (en) 2020-04-15
CO2019001224A1 (es)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2166B2 (en) Vibration isolating device
KR100861844B1 (ko) 무릎 보호대 및 승무원 하지 보호 방법 및 무릎 보호대를구비한 자동차
US7387312B2 (en) Steering apparatus
US20140306432A1 (en)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for steering wheel
US7770488B2 (en) Tilt-and-telescope steering apparatus
BRPI1100157B1 (pt) guia de mola e unidade de amortecedor
KR102072427B1 (ko) 안승형 차량
KR20150069430A (ko) 운전자 상해 방지 타입 페달
KR101488369B1 (ko) 펜더사이드커버 장착구조
JP4363485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構造
JP2001260902A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1066343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395119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駆動モータ配設構造
JP6910687B1 (ja) 車載用ストレッチャおよび緩衝装置
US10549805B2 (en) Straddled vehicle
JP4210812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4899432B2 (ja) 車両のフードヒンジ構造
JP7350597B2 (ja) 車両用開閉体構造
KR102224740B1 (ko) 농작업차의 보닛 취부장치
KR20150045643A (ko) 트럭의 승하차용 손잡이
JPH05213205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取付装置
KR20000017738U (ko) 조향 컬럼의 충격흡수 장치
JP2752221B2 (ja) ステアリングの衝撃吸収装置
JP2020011641A (ja) 鞍乗り型車両のサイドスタンド配置構造
JP2020142734A (ja) テレスコピック機能付き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