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369A - 진공 청소용 기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369A
KR20190092369A KR1020197007951A KR20197007951A KR20190092369A KR 20190092369 A KR20190092369 A KR 20190092369A KR 1020197007951 A KR1020197007951 A KR 1020197007951A KR 20197007951 A KR20197007951 A KR 20197007951A KR 20190092369 A KR20190092369 A KR 20190092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guide
hose
vacuum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0920B1 (ko
Inventor
지추안 티안
지앙펑 후
보 샹
Original Assignee
닝보 베어리 일렉트릭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닝보 베어리 일렉트릭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닝보 베어리 일렉트릭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92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6Hose or pipe coupling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31Motor parameters, e.g. motor load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와 관련되어 있다. 본 진공 청소기는 헤드부; 바디; 바디 내에 배치된 진공 모듈로서, 헤드부를 통해 먼지를 수집하기 위한 흡입을 생성하도록 적합화된 진공 모듈; 헤드부를 진공 모듈과 연결하도록 적합화된 호스 부재; 및 호스 부재와 연계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호스 부재가 수축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연장되도록 호스 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이에 의해 바디에 대해 헤드부를 위치시키기 위해 적합화되어 있다.

Description

진공 청소용 기기
본 발명은 진공 청소 기기에 관한 것으로, 배타적인 것은 아니지만 특히 휴대용 또는 손에 들고 쓰는 진공 청소를 위한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형 및 손에 들고 쓰는 진공 청소기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전기 진공 청소 기기들이 가정용 및 산업 현장 양쪽에서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통상적인 진공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진공 펌프와 먼지 수집 백(bag) 또는 챔버를 구비한 메인 바디와 메인 바디를 흡입 헤드로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또는 호스를 포함한다. 진공 청소기의 필요한 흡입은 일반적으로 진공 펌프에 의해 생성되는 부분적인 진공에 의해 제공되며, 이에 의해 먼지, 티끌, 부스러기 등이 생성된 흡입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들어올려져 흡입 헤드를 통해 흡입된다. 상승된 먼지는 연결 호스를 따라 전달되며 결과적으로 처리를 위해 흡입 기류로부터 필터링되어 수집 백 또는 챔버에 저장된다.
예컨대 마루바닥, 계단, 천정 및/또는 가구 표면과 같은 접근 가능한 임의의 표면일 수 있는 청소할 특정한 위치에 흡입 헤드를 손쉽게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들은 전형적으로 흡입 헤드의 연결 핸들 또는 파이프 상에 길이 조절 기능을 갖도록 디자인되어 있어서, 이 핸들 또는 파이프는 사용자에 의해 그들의 특정한 청소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대로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다. 길이 조절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예컨대 2개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연결된 핸들 또는 파이프 유닛들을 손으로 슬라이딩하고 이어서 핸들 또는 파이프 유닛들의 임의의 이동 파트를 잠금 장치 등으로 수동적으로 잠금으로써 연장되거나 수축된 핸들 또는 파이프 유닛들의 길이를 그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수동으로 수행된다. 사용시, 그리고 핸들 또는 파이프의 길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청소 작업을 중단하고 핸들 또는 파이프를 새롭게 요구되는 길이로 수동으로 조절하며, 그리고 나서 진공 청소를 계속할 수 있으려면 연장되거나 수축된 핸들 또는 파이프 유닛들의 길이를 다시 고정하기 위해 이동 파트들을 수동으로 잠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절차는 당연하게도 사용자에게 지루하며 매우 불편하다. 또한, 통상적인 진공 청소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은 전형적으로 예컨대 한 개에서 두 개의 연장 가능한 또는 수축 가능한 연결 지점들과 같이 제한된 수의 조정 또는 연결 지점들로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의 핸들 또는 파이프가 길이 조절 가능하더라도, 연장된 또는 수축된 핸들 또는 파이프 유닛들의 고정된 길이의 결과로서 사용자는 실제로는 때때로 여전히 청소할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작업 거리를 물리적으로 조정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단점들이 완화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거나, 적어도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 청소를 위한 알려져 있는 기기들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제들을 어느 정도 완화하거나 제거하는 것이다.
위의 목적은 주요 청구항의 특성들의 조합에 의해 충족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은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을 도출해낼 것이다. 따라서, 목적에 대한 앞서의 언급들은 완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수많은 목적들 중 단지 몇몇을 설명하는 데에 기여한다.
한 주요한 양상에서,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진공 청소기는 헤드부; 바디; 바디 내에 위치된 진공 모듈로서, 헤드부를 통해 먼지를 수집하기 위해 흡입을 생성하도록 적합하된 진공 모듈; 진공 모듈과 헤드부를 연결하도록 적합화된 호스 부재; 및 호스 부재와 연계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호스 부재가 수축된 위치와 확장된 위치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연장되고 이로써 바디에 대해 헤드부를 위치시킨다.
본 발명의 이 개요는 본 발명을 정의하는 데에 필수적인 특성들 모두를 반드시 개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개시된 특성들의 하위 조합에 있을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과 과련하여 예시로서만 제공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앞서의 그리고 추가적인 특성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기어 시스템의 출력 기어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의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제어 모듈의 벨트 부재와 기어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출력 기어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 4의 배치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진공 청소기으 제어 모듈의 클러치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클러치 플레이트와 출력 기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벨트 커버를 구비한 도 4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벨트 커버 내의 벨트 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어지는 설명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특성들의 조합으로 한정함이 없이 예시의 방법으로서만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에서 '일실시예'또는 '한 실시예'는 그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된 특정한 특성, 구조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한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의 다양한 곳에서 '일실시예에서', '한 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등장은 모두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언급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예들에 대한 상호 배타적인 별도의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인 것도 아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은 보여주지만 다른 것들은 보여주지 않은 다양한 특성들이 설명된다. 유사하게, 몇몇 실시예들을 위한 것이지만 다른 실시예들을 위한 것은 아닌 요구 조건들일 수 있는 다양한 요구조건들이 설명된다.
여기의 청구항들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임의의 요소는 그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법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따라서, 그런 기능성들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들은 여기서 나타낸 것들과 동등하다고 간주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용 전기 기기(10)가 나타나 있다. 진공 청소기(10)는 먼지, 티끌, 부스러기 등이 흡입되어 진공 청소기(10)의 흡입 작용을 통해 진공 청소기(10)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인입구(4)를 구비한 헤드부 또는 흡입 헤드(2)를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으로부터 헤드부(2)에 의한 부스러기 수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전 브러시 부재(6)가 인입구(4)에 또는 인입구 근처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0)는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집된 먼지와 부스러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먼지 수집 모듈(16); 및 필요한 흡입력을 생성하기 위한 진공 모듈(20)을 포함하는 수많은 기능부들을 감싸기 위한 메인 바디(12)의 하우징(14)을 구비한 메인 바디(12)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진공 모듈(20)은 흡입 작용을 위한 부분적인 또는 실질적인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진공 펌프(22)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들어오는 공기 흐름을 여과하기 위한 공기 인입 필터(24a) 및 나가는 공기 흐름을 여과하기 위한 공기 배출 필터(24b)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먼지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 부재(30)가 헤드부(2)와 메인 바디(12), 보다 특정적으로 메인 바디(12)의 진공 모듈(20)을 연결하고 있다. 호스 부재(30)는 알려져 있는 타입의 유연하고 주름진 진공 호스 부재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호스 부재(30)는 그 내구성과 유연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탄성 소재들로 만들어진 신장 가능한 호스, 파이프, 튜브 등의 형태로 되어 있다. 호스 부재(30)의 신장 가능성은 메인 바디(12)에 대한 헤드부(2)의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즉, 헤드부(2)가 메인 바디(12)로부터 멀어져 연장되거나 메인 바디(12)를 향해 수축되도록 해준다. 호스 부재(30)의 특정한 예가 이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은 예컨대 크기, 구성, 구조 및/또는 소재의 관점에서 호스 부재에 대한 임의의 변형예 역시 그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발명 컨셉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적절하고 적용 가능한 것으로 고려되는 한 포함된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호스 부재(30)는 서로에 대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복수의 튜브 유닛들을 포함하는 튜브형 구조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튜브 유닛들의 텔레스코픽 방식 움직임은 호스 부재(30)의 필요한 연장 가능성 또는 신장 가능성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적으로, 호스 부재(30)는 가이드 부재(40)가 배치되어 있는데, 가이드 부재(40)는 가이드 부재(40)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호스 부재(30)가 수축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동적으로 연장/수축되어서, 즉 신장/접혀서 메인 바디(12)에 대한 헤드부(2)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호스 부재(30)를 가이드하는 움직임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부재(40)는 호스 부재(30)와 동일한 연장/수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방향 따라 연장/수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부재(40)의 연장은 진공 청소기(10)의 핸들(7)을 따라 연장/수축될 수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사용자에 의해 핸들(7)이 파지되어 있을 때 호스 부재(30)가 사실상 사용자의 팔의 연장된 길이로서 기능하도록 해준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40)는 서로 움직일 수 있게 연계된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40A, 40B, 40C)을 포함하여서 호스 부재(30)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연장축을 따라 가이드 부재(40)를 연장 및 수축시킬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40A, 40B, 40C)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길쭉한 하위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40A, 40B, 40C)은 서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연결된 복수의 튜브형 구조체들을 포함하여서 도 2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축을 따라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40)의 가이드 유닛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머 및/또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소재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그 상대적으로 높은 물리적 강도와 경량으로 인해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40A, 40B 및/또는 40C)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수단(42)을 통해 호스 부재(30)에 대해 배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서, 위치결정 수단(42)은 호스 부재(30)의 일부와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40A, 40B 및/또는 40C)의 사이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결정 수단(42A, 42B, 42C)과 같은 위치 결정 수단(42)은 호스 부재(30)에 대한 지지의 제공과 이를 통한 호스 부재(30)의 위치결정을 위해 가이드 부재(40)의 개별적인 가이드 유닛들(40A, 40B, 40C)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 수단(42A, 42B, 42C)은 한 단부에서 각각의 가이드 유닛들(40A, 40B, 40C)로 연결하고, 다른 단부에서 호스 부재(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아들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링 또는 슬리브 부재들의 형태를 포함하거나, 그런 형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유사하게, 가이드 부재(40)와 위치결정 수단(42)의 특정한 배치들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은 가이드 부재 및/도는 위치결정 수단에 대한, 예컨대 크기, 구성, 구조 및/또는 소재의 관점에서의 다양한 변형예들도, 그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발명 컨셉을 벗어남이 없이 적합하고 적용 가능한 것으로 고려되는 한 본 발명에 의해 포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부재(40)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기 동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제어 모듈(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50)은 전기 메커니즘, 유압 메커니즘, 공압 메커니즘 및/또는 전자기 메커니즘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서 작동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랜스미션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 모듈(50)은, 그 출력축(54)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어들(56, 58, 60)과 같은 일련의 기어 부재들을 포함하는 기어 시스템(51)과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으로 동력을 제공받는 모터(52)를 구비한 기계적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어 시스템(51) 및 특히 출력 기어(60)는 한 단부에 연결된 길쭉한 부재(62)와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가이드 부재(40)가 이에 의해 길쭉한 부재(62)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가이드 유닛들의 움직임을 초래한다. 도면들에 나타낸 일실시예에서, 길쭉한 부재(62)는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벨트 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벨트 부재(62)는 이붙이 벨트 부재(62)이며, 이로써 벨트 부재(62)의 다른 단부에 있는 출력 기어(60)의 대응하는 톱니와 같이, 기어 시스템(51)과 벨트 부재(62)의 톱니(64)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출력 기어(60)에 대해 벨트 부재(62)를 위치결정하고, 이로써 벨트 부재(62)와 출력 기어(60) 사이의 밀접한 맞물림을 보장하기 위해 위치결정 휠(61)이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부재(62)는 한 단부에서 제어 모듈(50)의 기어 시스템(51)과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가이드 부재(40)의 가이드 유닛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40A, 40B 및/또는 40C)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벨트 부재(62)의 그 단부들 중간의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부재(40)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이어진다. 벨트 부재(62)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부재(40)의 중공 중심 내에서 그리고 이 중공 중심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벨트 부재(62)는 밀착되게 가두어지지만 가이드 부재(40)의 중공 중심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밀착되게 가두어진 배치는 튜브형 가이드 부재(40)의 중공 중심 내에서 벨트 부재(62)의 측방향 움직임 및/또는 접힘이 감소되거나 최소화되거나 회피되도록, 가이드 부재(40)의 내부의 형상, 예컨대 튜브형 구조와 합치되도룩 구성된 형상을 가진 벨트 부재(6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벨트 부재(62)가 가이드 부재(40)의 가이드 유닛들 중 하나의 적어도 한 단부와 연결되어 배치되므로, 예컨대 맞물린 출력 기어(60)의 회전 움직임이 그 길이방향 축을 따른 벨트 부재(62)의 움직임을 초래할 것인데, 이는 이어서 연결된 가이드 유닛들(40A, 40B, 40C)이 동일한 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유발할 것이다. 보다 특정적으로, 벨트 부재(40)의 길이방향 움직임은 가이드 유닛들(40A, 40B, 40C)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로에 대한 텔레스코픽 움직임으로 귀결되며 이로써 벨트 부재(62)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가이드 부재(40)의 연장 또는 수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유연성 벨트 부재(62)는 벨트의 움직임 도중에 가이드 부재(40) 내에서 벨트 부재(62)의 손쉬운 이탈 또는 접힘을 피하기에 충분한 강도의 것인데, 이는 가이드 부재(40) 내에서 벨트 부재(62)의 밀착되게 가두어지지만 움직일 수 있는 배치에 의해 추가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벨트 부재(62)는 예컨대 가이드 부재(40)의 가이드 유닛들의 측면 벽체에 있는 몇몇 연결 지점들을 통해 가이드 부재에 연결됨으로써 가이드 부재(4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5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출력 기어(60)와 같은 기어 시스템(51)과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플레이트(72)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시스템(70)을 구비할 수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72)에는 대응하는 돌기들 및/또는 리세스들(62)과 형합하거나 맞추어지며 이들과의 맞물림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기들 및/또는 리세스들(74)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 및/또는 리세스(74)는 형태면에서 사다리꼴일 수 있고, 마주보는 기울어진 측변들이 클러치 플레이트(72)의 중심을 향해 가리키며 각각 예를 들어 중심의 수직축에 대해 약 45도와 같거나 더 작은 각도의 경사각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클러치 플레이트(72)와 출력 기어(60)는 또한 클러치 플레이트(72)와 출력 기어(60)의 대응하는 접촉 표면들 사이에서 마찰을 통해서만 맞물릴 수도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7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어싱 수단(biasing means)(78)을 통해 출력 기어(60)에 대해 바이어스되도록 적합화되어 있는데, 이는 예컨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프링 부재들(78)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스프링 부재들(78)은 기어(58)의 측면에 제공되는데, 이는 클러치 시스템(70)을 통해 모터(52)의 출력축(54)을 출력 기어(60)와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클러치 시스템(70)의 수많은 중간 플레이트 부재들을 중간에 샌드위치함으로써 출력 기어(60)에 연결하기 위해 스프링 부재들(78)과 동일한 측면에서 기어(48)의 중심축에 축(82)이 제공된다. 플레이트 부재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프링 플레이트(84), 중간 플레이트(86) 및 클러치 플레이트(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간 플레이트 부재들은 스프링 부재들(78)의 바이어싱 작용 하에 위치되고 스프링 부재들(78)에 의해 출력 기어(60)를 향해 압박된다.
사용시, 그리고 모터(52)가 전기적으로 작동될 때, 기어(58)의 회전은 연결된 출력 기어(60)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초래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58)의 시계 방향 회전 및 따라서 출력 기어(60)의 시계 방향 회전(T1)은 벨트 부재(62)를 기어(60)의 방향으로 끌어당겨서 이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 부재(40)를 메인 바디(12)를 향해 수축시킬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58)의 반시계 방향 회전 및 따라서 출력 기어(60)의 반시계 방향 회전(T1)은 벨트 부재(62)를 기어(60)로부터 멀어지게 연장시켜서 이에 의해 가이드 부재(40)를 메인 바디(12)로부터 멀어지게 연장시킬 것이다. 기어 시스템(51) 및 따라서 상호 연결된 클러치 시스템(70)의 통상적인 작동 과정에서, 클러치 플레이트(72)는 기어(58)의 구동 작용 하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출력 기어(60)를 향해 축방향(T2)으로 바이어스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출력 기어(6)를 압박하고 출력 기어(60)와 맞물린다. 기어(58)의 구동 회전은 따라서 출력 기어(60)가 기어(58)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만들어서 가이드 부재(40)를 연장시키거나 수축시킨다.
가이드 부재(40)가 그 최대 연장 길이까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연장되거나 그 최소 수축 길이까지 수축되면, 가이드 부재(40)의 추가적인 연장 또는 수축이 물리적으로 차단되며 따라서 출력 기어(60)에 저항이 생길 것이다. 클러치 플레이트(72)는 반대 회전방향 반작용력(T1')은 물론 반대 축방향 반작용력(T2')을 겪을 것이다. 특히, 반대 축방향 반작용력(T2')가 스프링 부재들(78)에 의해 제공되는 바이어싱력(T2)보다 커지도록 성장되면, 클러치 플레이트(74)는 출력 기어(60)와 맞물림 해제되게 되로 이에 의해 출력 기어(60)의 더 이상의 회전을 차단할 것이다. 벨트 부재(62)의 연장이나 수축 및 따라서 가이드 부재(40)의 연장이나 수축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클러치 시스템(70)은 가이드 부재(40)의 텔레스코픽 움직임이 특정한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도달하였을 때 트랜스미션 시스템의 구동과 출력 기어(60)의 자동적인 연결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데에 유리한데, 이는 그렇지 않았다면 기어 시스템(51), 모터(52) 또는 진공 청소기(10)까지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제어 모듈(50)의 클러치 시스템(70)이 위에서 특정한 실시예로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이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의 자동적인 연결 해제를 제공하는 점에서 예시화된 시스템으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임의의 알려져 있는 형태의 집적 회로 차단기가 모터(52)로부터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 해제하고 및/또는 모터(52)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정지하며 이에 의해 가이드 부재(40)의 추가적인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제어 모듈(50)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캡(wheel cap) 또는 벨트 커버(90)가 보호를 위해 출력 기어(60) 및 맞물린 벨트 부재(62)를 덮도록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벨트 클램프(92)가 출력 기어(60) 및 벨트 커버(90)에 대한 벨트 부재(6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현된 바와 같은 진공 청소기(10)는 일반적으로 AC 전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지만, 지원용 또는 대안용 전원으로서 선택적으로 DC 배터리 및/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10)는 진공 청소기(1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메인 스위치(3)와, 호스 부재(30)의 연장 및 수축을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2 스위치(5)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메인 스위치(3)는 진공 펌프(22)로 전기 동력 공급을 허용하도록 진공 모듈(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스위치(5)는 모터(52)에 전기 동력 공급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 모듈(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치(5)는 가이드 부재(40) 및 따라서 호스 부재(30)의 연장 및 수축 움직임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전진 및 후진 버튼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스위치들(3, 5)은, 트랜스미션 시스템과 진공 펌프(22)와 같은 관련된 부분들이 독립적으로 작동되고 제어될 수 있도록 제어 모듈(50)과 진공 모듈(20)로의 분리된 전기적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서로 다른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호스 부재(30)의 연장 및 수축에 대한 제어가 진공 펌프(22)의 작동 상태와 무관하게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 유익하다. 메인 스위치(3)와 제2 스위치(5)는 작동 시에 진공 청소기(10)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또는 다른 손가락에 의한 용이한 수동 접근을 위해 핸들에 또는 핸들에 가까이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10)의 핸들에 대한 그들의 파지를 바꿀 필요 없이 진공 청소기(10)가 작동하는 동안 호스 부재의 원하는 길이로의 연장 또는 수축을 자동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40)의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은 서로에 대해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합화되어 있어서 이에 의해 그 연장축을 따른 호스 부재(30)의 수동적인, 즉 물리적인 연장 및 수축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가이드 유닛들(40A, 40B, 40C)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은 서로에 대해 수동으로 위치결정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하는 수동 잠금 수단(미도시)을 통해 그 자리에서 잠길 수도 있다.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 및 따라서 호스의 수동적인 연장/수축은 클러치가 맞물림 해제되도록, 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이 수동으로 조작될 때 클러치의 마찰력이 극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어 모듈(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호스 부재의 자동적인 연장 및 수축에 더하여 수동 조절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가 청소할 위치에 헤드부(2)를 용이하게 위치시키는 데에 추가적인 유연성을 허용한다.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됨이 없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은 예컨대 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을 형성하는 크기, 구성, 구조, 디자인 및/또는 소재의 관점에서 진공 청소기에 대한 임의의 변형예들 역시 이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발명 컨벳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적합하고 적용 가능하다고 고려되는 한 본 발명에 의해 포괄되어야 한다는 것을 손쉽게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서, 호스 부재(30)는 호스 부재(30)와 메인 바디(12)의 진공 모듈(20)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호 연결된 도관들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 수단을 통해 메인 바디(12)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관은 사용시에 사용자가 하우징(16)으로부터 도관을 수동으로 분리하여 이에 의해 메인 바디(12)로부터 멀어지도록 호스 부재(30)를 물리적으로 더욱 연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메인 바디(12)의 하우징(165)에 제공된 지지부와 해체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관은 또한 신장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및/또는 추가적인 확장성을 위해 신장 가능하거나 연장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예에서, 진공 모듈(20)은 또한 메인 바디(12)로부터 해체 가능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제어 모듈의 작동에 따라, 흡입 헤드를 진공 청소기의 메인 바디와 연결하는 호스를 자동적으로 연장시키고 수축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 및 특정적으로, 그러나 배타적이지는 않게 휴대용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호스 연장 길이의 수동 조정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는 있지만, 호스의 수동 조립 및/또는 수동 조정이 필요하지 않다. 자동 조정은 진공 청소기의 작동 상태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호스의 연장 및 수축은 진공 펌프를 스위치 온 하거나 스위치 오프 할 필요 없이 제어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기의 진공 펌프를 전원 오프할 필요 없이 청소할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흡입 헤드를 위치시키기 위해 호스의 길이를 전기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자동적인 연장 및 수축은 또한 가이드 유닛들 및/또는 호스의 연장 가능한 또는 움직일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한 어떠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단계들도 필요 없게 만드는데, 이는 그렇지 않았다면 진공 청소 과정에 간섭할 수 있다. 또한, 호스의 자동적인 연장 및 수축은 지속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길이 조정이 연장 또는 수축의 임의의 미리 설정된 조정 지점 또는 조정 세션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그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에서 무한한 길이 조정 가능성을 가진다. 호스의 수축 가능성은 또한 진공 청소기의 보다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사용 과정에서 손에 들고 쓰는 진공 청소기의 손쉽고 편리한 취급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 진공 청소기의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클러치 시스템은 호스가 그 연장의 최대 길이 또는 그 수축의 최소 길이에 도달했을 때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이 자동적으로 정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트랜스미션 메커니즘 및 따라서 진공 청소기가 초과적인 연장이나 수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점에서 특히 중요하다.
본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은 여기에서 명확히 설명되거나 나타내지 않았을지라도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고 그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다양한 장치들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양상 및 실시예들은 물론 그들의 특정한 예들을 나열하는 여기서의 모든 언급들은 그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동등물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또한, 그런 동등물들은 현재 알려져 있는 동등물들은 물론 미래에 개발되는 동등물들 모두,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개발된 요소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본 발명이 도면들 및 앞서의 설명들에서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설명적인 것으로 고려되며 특성의 면에서 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나타내어지고 설명되었으며 어떤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여기서 설명된 특성들 중 임의의 것이 다른 실시예들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설명적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지 않으며 여기서 나열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ㅂ라명은 위에서 설명된 설명적인 실시예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도 제공한다. 여기서 제시된 본 발명의 변경예 및 변형예들은 그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고,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그러한 제한들만이 부과되어야 한다.
문맥이 분명한 언어 또는 필요한 암시로 인해 필요로 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이어지는 청구범위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앞선 설명에서 '포함하다'또는 '포함하는'과 같은 활용형은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특성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특성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임의의 종래 기술 공개 문헌이 참조되어 있다면, 그런 참조는 공개 문헌이 본 기술 분야에서 공통된 일반 지식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인정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6)

  1. 헤드부;
    바디;
    바디에 위치된 진공 모듈로서, 헤드부를 통해 먼지를 수집하기 위한 흡입을 생성하도록 적합화된 진공 모듈;
    헤드부를 진공 모듈과 연결하도록 적합화된 호스 부재; 및
    호스 부재와 연계된 가이드 부재
    를 포함하고,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호스 부재가 수축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연장되어서 이에 의해 헤드부를 바디에 대해 위치결정하도록 호스의 가이드 움직임에 적합화된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는 호스 부재와 동일한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는 서로 움직일 수 있게 연계되어 이에 의해 호스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축을 따라 연장되거나 수축되도록 된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길쭉한 하위 유닛들을 포함하여, 이에 의해 연장축을 따라 연장되거나 수축되는 진공 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은 서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연결된 복수의 튜브형 구조체들을 포함하여, 이에 의해 연장축을 따라 연장되거나 수축되는 진공 청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수단을 통해 호스 부재에 대해 위치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수단은 호스 부재와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진공 청소기.
  8. 제6항에 있어서, 위치결정 수단은 호스 부재의 위치를 지지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에 제공된 진공 청소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수단은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0.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움직임은 전기적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 가능한 진공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전기 메커니즘, 유압 메커니즘, 공압 메커니즘 및 전자기 메커니즘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서 작동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과 맞물릴 수 있는 길쭉한 부재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길쭉한 부재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의 움직임을 유발하는 진공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길쭉한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이어지도록 배치된 진공 청소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길쭉한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중공 중심 내에서 그리고 중공 중심을 따라 위치되도록 배치된 진공 청소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길쭉한 부재는 유연성인 진공 청소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길쭉한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중공 중심 내에 밀착되게 가두어지되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 진공 청소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길쭉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8. 제17항에 있어서, 벨트 부재는 이붙이 벨트 부재인 진공 청소기.
  19. 제17항에 있어서, 벨트 부재는 제어 모듈의 기어 시스템과 맞물릴 수 있고 이에 의해 기어 시스템의 회전 움직임에 응답하여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의 움직임을 초래하는 진공 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기어 시스템과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플레이트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시스템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플레이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어싱 수단을 통해 기어 시스템에 대해 바이어스되도록 적합화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
  22. 제1항에 있어서, 호스 부재는 탄성 호스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23. 제1항에 있어서, 호스 부재는 신장 가능한 호스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24. 제10항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진공 모듈과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진공 청소기.
  25.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은 서로에 대해 수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에 의해 연장축을 따라 가이드 부재를 연장시키고 수축시키는 진공 청소기.
  26. 제25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 유닛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잠금 수단을 통해 서로에 대해 수동적으로 위치되도록 적합화된 진공 청소기
KR1020197007951A 2016-12-06 2017-11-30 진공 청소용 기기 KR102250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1106166.7A CN106419748B (zh) 2016-12-06 2016-12-06 一种真空吸尘器
CN201611106166.7 2016-12-06
PCT/CN2017/113963 WO2018103587A1 (en) 2016-12-06 2017-11-30 Appliance for vacuum clea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369A true KR20190092369A (ko) 2019-08-07
KR102250920B1 KR102250920B1 (ko) 2021-05-12

Family

ID=5822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951A KR102250920B1 (ko) 2016-12-06 2017-11-30 진공 청소용 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19970B2 (ko)
EP (1) EP3551021A4 (ko)
JP (1) JP6821887B2 (ko)
KR (1) KR102250920B1 (ko)
CN (2) CN106419748B (ko)
AU (1) AU2017332961B2 (ko)
CA (1) CA2999068C (ko)
HK (1) HK1232093A1 (ko)
WO (1) WO20181035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682B1 (ko) * 2020-04-03 2020-11-06 주식회사 에스디아이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9748B (zh) * 2016-12-06 2018-01-19 宁波柏瑞电器有限公司 一种真空吸尘器
CN107270505A (zh) * 2017-07-20 2017-10-2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排风件及移动制冷设备
CN107622890B (zh) * 2017-10-24 2020-11-24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清洁工具及其控制机构
CN108030440B (zh) * 2017-11-29 2023-03-10 浙江亿力机电股份有限公司 手持充电吸尘器
CN112353070B (zh) * 2020-11-11 2022-08-16 海峡(晋江)伞业科技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更换便捷的消毒喷雾折叠伞
CN112535339B (zh) * 2020-11-11 2024-02-02 海峡(晋江)伞业科技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更换便捷的消毒喷雾直骨伞
CN113116223B (zh) * 2021-04-20 2022-12-27 宁波汇峰嘉福科技有限公司 手持式吸尘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9996A (en) * 1990-02-16 1993-04-06 Azurtec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floors
JPH0595876A (ja) * 1991-10-08 1993-04-20 Masahiko Matsui 伸縮自由な電機掃除機用吸い込みホース
KR200200566Y1 (ko) * 2000-03-07 2000-10-16 은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KR100281020B1 (ko) * 1999-06-22 2001-01-15 윤해숙 진공 청소기용 연장관의 슬라이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1227B1 (ko) * 1970-01-14 1974-08-20
FR2620070A2 (fr) * 1986-12-11 1989-03-10 Jonas Andre Unite mobile autoguidee et appareil de nettoyage tel qu'un aspirateur comportant une telle unite
US6108861A (en) * 1995-12-06 2000-08-29 Royal Appliance Mfg. Co. Extendable hose for a vacuum cleaner
US5740581A (en) * 1996-06-21 1998-04-21 Vacs America, Inc. Freestanding central vacuum system
GB2388527A (en) * 2002-05-15 2003-11-19 Techtronic Ind Co Ltd A suction cleaner with internal hose storage means
GB0425626D0 (en) * 2004-11-22 2004-12-22 Hoover Ltd Wand assemblies for vacuum cleaners
JP2007268042A (ja) * 2006-03-31 2007-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掃除機用吸込具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8307218A (ja) * 2007-06-14 2008-12-25 Sharp Corp 電気掃除機
JP2010022563A (ja) * 2008-07-18 2010-02-04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
JP2010119785A (ja) * 2008-11-21 2010-06-03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US20100206336A1 (en) * 2009-02-18 2010-08-19 Sami Souid Extendable vacuum cleaner
JP2010273873A (ja) * 2009-05-28 2010-12-09 Toshiba Corp 掃除装置
JP5854730B2 (ja) * 2011-09-27 2016-02-09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DE102011116074A1 (de) * 2011-10-18 2013-04-18 Fischer Rohrtechnik Gmbh Staubsauger-Saugrohr
CN203042125U (zh) * 2012-12-22 2013-07-10 昆山瑞恒峰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方便移动和放置的吸尘器
CN105263382B (zh) * 2013-06-05 2018-08-07 格雷技术有限公司 手持真空吸尘器
CN105534410B (zh) * 2016-01-29 2017-11-21 苏州爱建电器有限公司 一种导电伸缩管及手持式吸尘器
CN106419748B (zh) * 2016-12-06 2018-01-19 宁波柏瑞电器有限公司 一种真空吸尘器
CN206612749U (zh) * 2016-12-06 2017-11-07 宁波柏瑞电器有限公司 一种真空吸尘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9996A (en) * 1990-02-16 1993-04-06 Azurtec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floors
JPH0595876A (ja) * 1991-10-08 1993-04-20 Masahiko Matsui 伸縮自由な電機掃除機用吸い込みホース
KR100281020B1 (ko) * 1999-06-22 2001-01-15 윤해숙 진공 청소기용 연장관의 슬라이딩 장치
KR200200566Y1 (ko) * 2000-03-07 2000-10-16 은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682B1 (ko) * 2020-04-03 2020-11-06 주식회사 에스디아이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1021A4 (en) 2020-07-29
WO2018103587A1 (en) 2018-06-14
JP2020503073A (ja) 2020-01-30
HK1232093A1 (zh) 2018-01-05
JP6821887B2 (ja) 2021-01-27
CN110099597B (zh) 2021-10-01
CA2999068C (en) 2021-12-07
CN110099597A (zh) 2019-08-06
US20190282053A1 (en) 2019-09-19
EP3551021A1 (en) 2019-10-16
US11019970B2 (en) 2021-06-01
AU2017332961A1 (en) 2018-06-21
CN106419748B (zh) 2018-01-19
KR102250920B1 (ko) 2021-05-12
AU2017332961B2 (en) 2022-09-08
CA2999068A1 (en) 2018-06-06
CN106419748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920B1 (ko) 진공 청소용 기기
KR102303220B1 (ko) 보관 구성을 제공하기 위해 접이식 막대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US9234342B1 (en) Handheld powered cable-drum drain cleaning machine
US6615446B2 (en) Canister vacuum cleaner
JP6863673B2 (ja) スティック型電気掃除機
CN107788908A (zh) 带有旋风分离器的手持式吸尘器
EP1661502B1 (en) Telescopic wand for vacuum cleaner
EP1547511B1 (en) Suction cleaner with a flexible hose arrangement
JP7212521B2 (ja) 電気掃除機
JP2008307218A (ja) 電気掃除機
CN216454783U (zh) 可受牵引的吸尘管组件及手持式吸尘设备
JP2016067458A (ja) 電気掃除機
JP2005110859A (ja) 電気掃除機
JP2010273873A (ja) 掃除装置
JP6345528B2 (ja) 電気掃除機
CN113116223A (zh) 多级联动伸缩组件、可伸缩的吸尘管单元及手持式吸尘设备
GB2573736A (en) Vacuum cleaner brush assembly
JP2008080042A (ja) 電気掃除機
KR19990004062U (ko) 진공 청소기용 연장관의 슬라이딩 장치
JP2013208159A (ja) 電気掃除機
JP2016030060A (ja) 電気掃除機
JP2003290098A (ja) 電気掃除機
JP2015213647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