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682B1 -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 Google Patents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682B1
KR102175682B1 KR1020200041008A KR20200041008A KR102175682B1 KR 102175682 B1 KR102175682 B1 KR 102175682B1 KR 1020200041008 A KR1020200041008 A KR 1020200041008A KR 20200041008 A KR20200041008 A KR 20200041008A KR 102175682 B1 KR102175682 B1 KR 102175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inforcing
frame
reinforcement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아이
Priority to KR1020200041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8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panel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out-buildings or cellars; Other simple closures not designed to be close-f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과, 상기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 사이에 위치되는 프레임으로 프레임몸체 상하단에 각각 상하단플랜지를 갖는 다수 개의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의 횡방향 평탄도를 크게 확보함은 물론 내구성을 보강하는 횡방향보강부재를 구비하는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정단면이 "I"형상을 갖고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압출성형되며, 폭은 1m, 길이는 4m, 두께는 40mm를 갖고, 상기 프레임몸체는 상하로 수직기립된 판체로 중심측에 사각통공을 갖는 좌우측보강판으로 형성되는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각통공과 좌우측보강판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몸체를 갖고 프레임몸체 상하단에 상하단장돌부와 상하단장요부를 갖는 상하단플렌지를 형성하여 보강프레임을 보다 견고하게 구조적으로 개량하고, 보강프레임과 인접한 다른 보강프레임을 이어주는 견고한 구조의 황방향보강부재를 형성하여 격자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측면 하중에 변형 및 파손의 염려가 없고, 제작비용을 보다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누수 및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고, 계절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할 수 있으며, 외부의 강한 스크래치에도 변형이나 파손이 적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improved unit-type panels for industrial doors}
본 발명은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프레임을 보다 견고하게 구조적으로 개량하고, 보강프레임과 인접한 다른 보강프레임을 이어주는 견고한 구조의 황방향보강부재를 형성하여 격자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측면 하중에 변형 및 파손의 염려가 없고, 제작비용을 보다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누수 및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고, 계절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할 수 있으며, 외부의 강한 스크래치에도 변형이나 파손이 적은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도어(industrial door)는 물류센터, 소방서차고, 항공기 [0002] 격납고, 발전소 등과 같은 대형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물의 운반, 보관 또는 차량이나 항공기의 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용 도어는 설치되는 건축물의 크기나 구조에 따라 행거도어, 스윙도어, 오버헤드도어, 디펜스도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종래의 산업용 도어로,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판넬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넬은 상호 결합되는 내측판넬과 외측판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판넬과 상기 외측판넬을 상기 도어프레임의 두께에 맞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내측판넬과 상기 외측판넬 사이에 마련된 이격공간에 설치되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가 상기 이격공간에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바의 양측면을 상기 내측판넬과 상기 외측판넬에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업용 도어는 오버헤드도어 또는 스윙도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도어."가 특허공개 제10-2009-92369호가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산업용 도어는, 오버헤드도어, 스윙도어 등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서 내외측 판넬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바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있으나, 이러한 판넬은 단순히 도어의 구동에 따른 판넬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뿐, 외부환경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격납고나 물류센터, 발전소 등 주로 대형건축물이나 외부에 상시 노출된 형태의 구조물에서는 태풍, 지진, 기온변화 등에 따라 직접적으로 외부에 노출된 판넬의 파손이나 변형 등이 발생하였다.
또한, 대형건축물에 판넬을 적용하기 위해 판넬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판넬의 파손 및 변형이 발생되었을 때, 유지 및 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부분만 파손되었다 하더라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었다.
한편, 내외측 판넬의 사이에 고정바를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바, 직사광선 등에 의한 접착제의 변질 또는 잦은 사용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어 판넬과 고정바가 접촉하는 부위가 떨어지게 되면, 외부의 바람이나 도어의 구동시에 심한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판넬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류창고 등 사람이 주로 드나드는 건축물의 경우 접착제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과 냄새로 인해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 또는 타측에 가이드홈(110,210)이 구비된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패널(100) 및 외측패널(200)과, 상기 내측 및 외측패널의 가이드홈(110,210)에 플랜지(310)가 결합되며, 웨브(320)의 외주면에 체결공(321)이 구비되는 복수의 H형 보강프레임(300)과, 상기 보강프레임(300)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웨브(320)의 체결공(321)에 체결되어 내측 및 외측패널의 횡방향 평탄도를 크게 확보함은 물론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형성되는 턴버클부재(400)로 이루어진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에 있어서, 상기, 상기 내측패널(100) 및 외측패널(200)은 보강프레임(300)의 견고한 결착을 도모하고, 패널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홈(110,210)의 내주면에 금속재질의 보강틀(111,211)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프레임(300)은 외부충격에 따른 변화에 대응이 용이하도록 웨브(320)의 일측에 완충리브(322)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강틀(111,211)은 내주면에 실리콘 재질의 완충패드(500)가 결합되어 삽입된 플랜지(310)의 외주면과 대응시 접합제 없이도 마찰력에 의해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턴버클부재(400)는 중앙 회전구(410)를 기준으로 양단 지지축(420)이 횡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하되, 상기 지지축(420)은 각 단부마다 웨브(320)의 체결공(321)과 체결되도록 고정체(43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430)는 일측단에 코일스프링(431)이 수납된 내통(432)이 형성되어 지지축(420)의 단부와 결합시 코일스프링(431)에 의해 횡방향 텐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과 소음방지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이 실용신안등록 제20-0464734호(2013.01.21.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은, 접착부재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 가이드홈(110,210)을 갖는 내외측패널(100,200)과 이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시키는 H형 보강프레임(300)을 구비하였으나,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2~3mm 두께를 갖는 내외측패널(100,2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가이드홈(110,210)을 형성시켜야 하므로 실제 제작이 거의 불가능하고, 가능하더라도 제작비용이 비싸게 책정되어 소비자들의 구매 부담이 커지게 되며, 내외측패널(100,200)에 양단이 결합된 H형 보강프레임(300)에 의한 단위형 패널의 결합구조는 측면 하중에 아주 취약해 변형 및 파손의 우려가 많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001)(KR) 대한민국 실용등록번호 제20-0464734호(2013.01.21.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 제작가능한 것으로서, 사각통공과 좌우측보강판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몸체를 갖고 프레임몸체 상하단에 상하단장돌부와 상하단장요부를 갖는 상하단플렌지를 형성하여 보강프레임을 보다 견고하게 구조적으로 개량하고, 보강프레임과 인접한 다른 보강프레임을 이어주는 견고한 구조의 황방향보강부재를 형성하여 격자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측면 하중에 변형 및 파손의 염려가 없고, 제작비용을 보다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누수 및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고, 계절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할 수 있으며, 외부의 강한 스크래치에도 변형이나 파손이 적은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과, 상기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 사이에 위치되는 프레임으로 프레임몸체 상하단에 각각 상하단플랜지를 갖는 다수 개의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의 횡방향 평탄도를 크게 확보함은 물론 내구성을 보강하는 횡방향보강부재를 구비하는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정단면이 "I"형상을 갖고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압출성형되며, 상기 프레임몸체는 상하로 수직기립된 판체로 중심측에 사각통공을 갖는 좌우측보강판으로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상하단플랜지는 상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개의 상하단장돌부 사이에 상하단장요부가 각각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횡방향보강부재는, 정단면이 "I"형상을 갖고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압출성형되어 일정길이로 절단되며, 상기 보강부재몸체는 상하로 수직기립된 판체로 중심측에 사각통공을 갖는 좌우측보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단플랜지는 상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개의 상하단장돌부 사이에 상하단장요부가 각각 형성되어 접착제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접착고정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하단플랜지와 상기 횡방향보강부재의 상하단플랜지의 상하단면은 상기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과 각각 접착제에 의해 접착고정되고, 전면과 후면은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과 각각 접착제에 의해 접착고정되어 누수 및 김서림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과 인접된 다른 보강프레임 사이에는 온도변화에 따른 보강프레임의 수축과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텐션장치를 더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스프링텐션장치는, 상기 보강프레임의 프레임몸체 일측면에 위치되는 원형판체로 중심부에 중심통공을 갖는 일측지지원판이 형성되고, 일측지지원판과 대응되는 타측의 브강프레임 프레임몸체 타측면에 위치되는 원형판체로 중심부에 중심통공을 갖는 타측지지원판이 형성되며, 봉체로 일측은 상기 일측지지원판의 중심통공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타측지지원판의 중심통공에 삽입되어 수평을 이루는 지지봉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에 감겨지고 탄성을 갖으며 양단이 상기 일측지지원판과 타측지지원판에 각각 밀착되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엠보싱돌부를 형성시켜 잦은 스크래치에 의한 충격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각통공과 좌우측보강판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몸체를 갖고 프레임몸체 상하단에 상하단장돌부와 상하단장요부를 갖는 상하단플렌지를 형성하여 보강프레임을 보다 견고하게 구조적으로 개량하고, 보강프레임과 인접한 다른 보강프레임을 이어주는 견고한 구조의 황방향보강부재를 형성하여 격자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측면 하중에 변형 및 파손의 염려가 없고, 제작비용을 보다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누수 및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고, 계절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할 수 있으며, 외부의 강한 스크래치에도 변형이나 파손이 적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의 결합모습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의 다수개 보강프레임과 다수개 횡방향보강부재가 격자형상으로 접착고정된 모습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의 다수개 보강프레임과 다수개 횡방향보강부재가 격자형상으로 접착고정된 상태에서 다수개 보강프레임 사이에 스프링텐션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부분을 확대한 요부확대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1)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패널(20) 및 외측패널(30)과, 상기 내측패널(20) 및 외측패널(30) 사이에 위치되는 프레임으로 프레임몸체(11) 상하단에 각각 상하단플랜지(12,13)를 갖는 다수 개의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과, 상기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내측패널(20) 및 외측패널(30)의 횡방향 평탄도를 크게 확보함은 물론 내구성을 보강하는 횡방향보강부재(40,40a,40b,40c,40d)와,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과 인접된 다른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 사이에 위치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의 수축과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텐션장치(60)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은, 정단면이 "I"형상을 갖고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압출성형되며, 상하단의 폭은 9~30mm, 중심부의 폭은 7~25mm, 높이는 40~100mm를 갖고, 상기 프레임몸체(11)는 상하로 수직기립된 판체로 중심측에 사각통공(11a)을 갖는 좌우측보강판(11b,11c)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단플랜지(12,13)는 상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개의 상하단장돌부(12a,12b,12c,12d)(13a,13b,13c,13d) 사이에 상하단장요부(12e,12f,12g)(13e,13f,13g)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횡방향보강부재(40,40a,40b,40c,40d)는, 정단면이 "I"형상을 갖고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압출성형되어 일정길이로 절단되며, 상기 보강부재몸체(41)는 상하로 수직기립된 판체로 중심측에 사각통공(41a)을 갖는 좌우측보강판(41b,41c)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단플랜지(42,43)는 상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개의 상하단장돌부(42a,42b,42c,42d)(43a,43b,43c,43d) 사이에 상하단장요부(42e,42f,42g)(43e,43f,43g)가 각각 형성되어 접착제(도시않음)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접착고정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몸체(41)는 필요만큼 돌출되어야 하고, 또한 상기 상하단플랜지(42,43)는 필요길이 만큼 절단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의 상하단플랜지(12,13)와 상기 횡방향보강부재(40,40a,40b,40c,40d)의 상하단플랜지(42,43)의 상하단면은 상기 내측패널(20) 및 외측패널(30)과 각각 접착제(도시않음)에 의해 접착고정되고, 전면과 후면은 전면패널(50) 및 후면패널(50a)과 각각 접착제(도시않음)에 의해 접착고정되어 누수 및 김서림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패널(20) 및 외측패널(30)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엠보싱돌부(21,31)를 형성시켜 잦은 스크래치에 의한 충격이나 파손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텐션장치(60)는, 상기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의 프레임몸체(11) 일측면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원형판체로 중심부에 중심통공(64a)을 갖는 일측지지원판(64)이 형성되고, 일측지지원판(64)과 대응되는 타측의 브강프레임(10,10a,10b,10c,10d,10e) 프레임몸체(11) 타측면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원형판체로 중심부에 중심통공(63a)을 갖는 타측지지원판(63)이 형성되며, 봉체로 일측은 상기 일측지지원판(64)의 중심통공(64a)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타측지지원판(63)의 중심통공(63a)에 삽입되어 수평을 이루는 지지봉(6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62)에 감겨지고 탄성을 갖으며 양단이 상기 일측지지원판(64)과 타측지지원판(63)에 각각 밀착되는 탄성스프링(61)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단위형 패널(1)은, 사각통공(11a)과 좌우측보강판(11b,11c)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몸체(11)를 갖고 프레임몸체(11) 상하단에 상하단장돌부(12a,12b,12c,12d)(13a,13b,13c,13d)와 상하단장요부(12e,12f,12g)(13e,13f,13g)를 갖는 상하단플렌지(12,13)를 형성하여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을 보다 견고하게 구조적으로 개량하고,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과 인접한 다른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을 이어주는 견고한 구조의 황방향보강부재(40,40a,40b,40c,40d)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격자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측면 하중에 변형 및 파손의 염려가 없게 되고, 제작비용을 보다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측패널(20)과 외측패널(30)이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과 횡방향보강부재(40)에 상하단플랜지(12,13)의 상하단장돌부(12a,12b,12c,12d)(13a,13b,13c,13d)와 상하단장요부(12e,12f,12g)(13e,13f,13g)로 인해 긴밀하게 접착고정됨에 따라 누수 및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고, 스프링텐션장치(60)로 인해 계절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할 수 있으며, 내측패널(20)과 외측패널(30)의 엠보싱돌부(21,31)로 인해 외부의 강한 스크래치에도 변형이나 파손이 적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단위형 패널
1010,10b,10c,10d,10e : 보강프레임 11 : 프레임몸체
11a : 사각통공 11b,11c : 좌우측보강판
12 : 상단플랜지 12a,12b,12c,12d : 상단장돌부
12e,12f,12g : 상단장요부 13 : 하단플랜지
13a,13b,13c,13d : 하단장돌부 13e,13f,13g : 하단장요부
20 : 내측패널 21 : 엠보싱돌부
30 : 외측패널 31 : 엠보싱돌부
40,40a,40b,40c,40d : 횡방향보강부재 41 : 보강부재몸체
41a : 사각통공 41b,41c : 좌우측보강판
42 : 상단플랜지 42a,42b,42c,42d : 상단장돌부
42e,42f,42g : 상단장요부 43 : 하단플랜지
43a,43b,43c,43d : 하단장돌부 43e,43f,43g : 하단장요부
50 : 전면패널 50a : 후면패널
60 : 스프링텐션장치 61 : 탄성스프링
62 : 지지봉 63 : 타측지지원판
63a : 중심통공 64 : 일측지지원판
64a : 중심통공

Claims (7)

  1. 삭제
  2.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패널(20) 및 외측패널(30)과, 상기 내측패널(20) 및 외측패널(30) 사이에 위치되는 프레임으로 상하로 수직기립된 판체로 중심측에 사각통공(11a)을 갖는 좌우측보강판(11b,11c)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몸체(11)가 형성되고 프레임몸체(11) 상하단에 각각 상하단플랜지(12,13)를 갖고 정단면이 "I"형상을 갖으며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압출성형되는 다수 개의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과, 상기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내측패널(20) 및 외측패널(30)의 횡방향 평탄도를 크게 확보함은 물론 내구성을 보강하는 횡방향보강부재(40,40a,40b,40c,40d)를 구비하는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에 있어서,
    상기 상하단플랜지(12,13)는, 상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개의 상하단장돌부(12a,12b,12c,12d)(13a,13b,13c,13d) 사이에 상하단장요부(12e,12f,12g)(13e,13f,13g)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보강부재(40,40a,40b,40c,40d)는, 정단면이 "I"형상을 갖고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압출성형되어 일정길이로 절단되며, 상기 보강부재몸체(41)는 상하로 수직기립된 판체로 중심측에 사각통공(41a)을 갖는 좌우측보강판(41b,41c)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단플랜지(42,43)는 상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개의 상하단장돌부(42a,42b,42c,42d)(43a,43b,43c,43d) 사이에 상하단장요부(42e,42f,42g)(43e,43f,43g)가 각각 형성되어 접착제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접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의 상하단플랜지(12,13)와 상기 횡방향보강부재(40,40a,40b,40c,40d)의 상하단플랜지(42,43)의 상하단면은 상기 내측패널(20) 및 외측패널(30)과 각각 접착제에 의해 접착고정되고, 전면과 후면은 전면패널(50) 및 후면패널(50a)과 각각 접착제에 의해 접착고정되어 누수 및 김서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과 인접된 다른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 사이에는 온도변화에 따른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의 수축과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텐션장치(60)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텐션장치(60)는, 상기 보강프레임(10,10a,10b,10c,10d,10e)의 프레임몸체(11) 일측면에 위치되는 원형판체로 중심부에 중심통공(64a)을 갖는 일측지지원판(64)이 형성되고, 일측지지원판(64)과 대응되는 타측의 브강프레임(10,10a,10b,10c,10d,10e) 프레임몸체(11) 타측면에 위치되는 원형판체로 중심부에 중심통공(63a)을 갖는 타측지지원판(63)이 형성되며, 봉체로 일측은 상기 일측지지원판(64)의 중심통공(64a)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타측지지원판(63)의 중심통공(63a)에 삽입되어 수평을 이루는 지지봉(6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62)에 감겨지고 탄성을 갖으며 양단이 상기 일측지지원판(64)과 타측지지원판(63)에 각각 밀착되는 탄성스프링(61)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20) 및 외측패널(30)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엠보싱돌부(21,31)를 형성시켜 잦은 스크래치에 의한 충격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KR1020200041008A 2020-04-03 2020-04-03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KR102175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008A KR102175682B1 (ko) 2020-04-03 2020-04-03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008A KR102175682B1 (ko) 2020-04-03 2020-04-03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682B1 true KR102175682B1 (ko) 2020-11-06

Family

ID=7357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008A KR102175682B1 (ko) 2020-04-03 2020-04-03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6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34Y1 (ko) 2012-07-12 2013-01-21 강산엔지니어링(주) 내진성과 소음방지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KR200480189Y1 (ko) * 2015-10-26 2016-04-21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공중화장실용 문 패널 구조
KR20190092369A (ko) * 2016-12-06 2019-08-07 닝보 베어리 일렉트릭 씨오., 엘티디 진공 청소용 기기
KR102012178B1 (ko) * 2017-12-27 2019-08-20 전혁배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34Y1 (ko) 2012-07-12 2013-01-21 강산엔지니어링(주) 내진성과 소음방지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KR200480189Y1 (ko) * 2015-10-26 2016-04-21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공중화장실용 문 패널 구조
KR20190092369A (ko) * 2016-12-06 2019-08-07 닝보 베어리 일렉트릭 씨오., 엘티디 진공 청소용 기기
KR102012178B1 (ko) * 2017-12-27 2019-08-20 전혁배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480B1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102001840B1 (ko) 범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커튼월
US11821256B2 (en) Structural windowsill assembly
KR102175682B1 (ko) 개량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KR200464734Y1 (ko) 내진성과 소음방지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산업용 도어의 단위형 패널
JP3762656B2 (ja) ガラスカーテンウォール
KR10227330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의 단열 구조
KR102110820B1 (ko) 복합 커튼월 시스템
KR101400963B1 (ko) 창호용 3중 단열 프레임
KR101660760B1 (ko) 건물 개구부에 대한 내부 부착형 내진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방법
KR101891286B1 (ko) 가구 조립구조
KR100804749B1 (ko)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KR19990038276U (ko) 조립식 방음판넬
KR101613694B1 (ko) 지지기둥이 내설된 조립식 벽체패널
KR101493285B1 (ko) 유지보수 패널형 방음판 설치구조
KR200398779Y1 (ko) 대형 행거도어
KR200285761Y1 (ko) 목조건축물의 조립구조
KR102199701B1 (ko) 조립식파티션
KR20120037716A (ko) 조립식 방음벽용 합성목재 방음패널 설치구조
KR101887580B1 (ko) 범용의 조립성으로 개선된 창호 시스템
KR20070013585A (ko) 창문용프레임
KR970015963A (ko) 조립식건축용 복합단위부재
KR970001562Y1 (ko) 간막이 구조물
JP2002227321A (ja) 壁下地用スペーサーおよび壁下地組立工法
KR20160103770A (ko) 간판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