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090A -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090A
KR20190092090A KR1020180011459A KR20180011459A KR20190092090A KR 20190092090 A KR20190092090 A KR 20190092090A KR 1020180011459 A KR1020180011459 A KR 1020180011459A KR 20180011459 A KR20180011459 A KR 20180011459A KR 20190092090 A KR20190092090 A KR 20190092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oltage
circuit
relay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218B1 (ko
Inventor
이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11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218B1/ko
Priority to US16/621,377 priority patent/US11204387B2/en
Priority to CN201980002619.7A priority patent/CN110678764B/zh
Priority to JP2019568081A priority patent/JP6844101B2/ja
Priority to PCT/KR2019/001312 priority patent/WO2019151781A1/ko
Priority to EP19748014.8A priority patent/EP3674725B1/en
Publication of KR2019009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04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 G01R19/16519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using F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01R31/02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를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릴레이가 구동되기 전에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고, 릴레이 구동 회로에 대한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 각각의 일단에 인가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을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동작 상태의 제어에 따라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제1 측정전압, 상기 제2 측정전압 및 상기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Apparatus for diagnosing relay drive circuit}
본 발명은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릴레이 코일을 여기(energize)시켜 릴레이를 작동시키는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이차 전지는 단일의 배터리 셀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고전압 및/또는 대용량의 전력저장장치에 사용되기 위해 복수의 배터리 셀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팩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전기 차량(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Electric Vehicle: HEV), 전력저장장치(Electric Storage System: ESS) 등에 탑재되어 전기 모터, 인버터 등과 같은 부하(load)로 전력을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과 부하 사이의 전력공급선로 상에는 릴레이가 구비되고, 상기 릴레이는, 선택적으로 폐회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는, 스위칭 동작을 위해, 릴레이 코일을 포함한 릴레이 구동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구동 회로는, 릴레이 코일과 연결되어 릴레이 코일을 여기(energize)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릴레이 구동 회로는, 릴레이 코일을 여기(energize)시켜 릴레이가 턴 온되도록 하고, 릴레이 코일을 비여기(de-energize)시켜 릴레이가 턴 오프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릴레이 구동 회로가 릴레이 코일을 여기 또는 비여기시키는 동작은, 릴레이 코일에 연결된 스위치를 턴 온시키거나 턴 오프시키는 스위치 제어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그런데, 릴레이 코일에 연결된 스위치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스위치가 단락 또는 개방 고장 여부인 경우에는 릴레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의 고장 여부, 특히,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 내지 진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에 대한 진단은, 릴레이를 구동하기 전에 수행될 필요가 있다. 즉,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에 대한 진단은, 릴레이가 턴 온되기 전에 수행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릴레이가 턴 온된 이후에는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에 대한 진단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이 진단되더라도 릴레이를 턴 오프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릴레이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릴레이 구동 회로의 제어 동작이 수행되는 도중에도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릴레이가 구동되기 전에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고, 릴레이 구동 회로에 대한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는, 일단이 서로 연결된 제1 릴레이 코일 및 제2 릴레이 코일, 일단이 상기 제1 릴레이 코일 및 상기 제2 릴레이 코일의 일단과 연결된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에 보조전압을 인가시키는 제1 전원부, 일단이 상기 제1 릴레이 코일의 타단과 연결된 제1 풀업 저항, 상기 제1 풀업 저항의 타단에 풀업전압을 인가시키는 제2 전원부, 일단이 상기 제1 릴레이 코일의 타단 및 상기 제1 풀업 저항의 일단과 연결된 제2 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2 릴레이 코일의 타단과 연결된 제2 풀업 저항, 상기 제2 풀업 저항의 타단에 상기 풀업전압을 인가시키는 제3 전원부, 일단이 상기 제2 릴레이 코일의 타단 및 상기 제2 풀업 저항의 일단과 연결된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 각각의 일단에 인가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을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동작 상태의 제어에 따라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제1 측정전압, 상기 제2 측정전압 및 상기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턴 오프로 제어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를 제1 진단 회로로 형성시키고, 상기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측정전압, 상기 제2 측정전압 및 상기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측정전압과 상기 풀업전압 및 상기 보조전압 중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스위치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제2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스위치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제3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3 스위치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측정전압과 상기 풀업전압이 동일하지 않고, 상기 제1 측정전압과 보조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하고, 상기 제2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스위치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하고, 상기 제3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3 스위치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턴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 동작 상태를 턴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를 제2 진단 회로로 형성시키고, 상기 제2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측정전압, 상기 제2 측정전압 및 상기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스위치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스위치가 개방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턴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 동작 상태를 턴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를 제3 진단 회로로 형성시키고, 상기 제3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측정전압, 상기 제2 측정전압 및 상기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3 스위치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3 스위치가 개방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턴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동작 상태를 턴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를 제4 진단 회로로 형성시키고, 상기 제4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측정전압, 상기 제2 측정전압 및 상기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측정전압과 상기 보조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스위치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측정전압과 상기 보조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개방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스위칭 동작을 통해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릴레이를 턴 온시키지 않고도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으므로, 릴레이 구동 회로에 대한 고장 여부의 진단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일련의 진단 프로세스를 통해 스위치의 단락 고장 여부, 개방 고장 여부 및 릴레이 코일 등의 단선 여부를 모두 진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의 연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릴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가 모두 턴 오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릴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가 턴 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턴 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릴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가 턴 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턴 온되며, 상기 제1 릴레이 코일이 단선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릴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턴 오프되고, 상기 제3 스위치가 턴 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릴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턴 오프되고, 상기 제3 스위치가 턴 온되며, 상기 제2 릴레이 코일이 단선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릴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제1 릴레이 코일이 단선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릴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제1 스위치가 턴 온되고,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가 턴 오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의 연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은, 배터리 어셈블리(B), 부하(20), 릴레이(30) 및 전력공급선로(50)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B)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C)을 포함한다. 즉,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B)는, 단위 배터리 셀(C) 또는 배터리 셀(C)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B)가 2 이상의 배터리 셀(C)의 집합체로 구현될 경우, 2 이상의 배터리 셀(C)은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하(20)는,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하(20)는, 전기 차량, 하이브리드 차량 등에 구비되는 전기 모터 또는 인버터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전기 모터나 인버터는 부하(20)의 일 예로서, 이외의 다른 전기 장치가 부하(20)로 채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터리 시스템에서 상기 부하(20)는, 배터리 어셈블리(B)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전력공급선로(50)는,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B)와 상기 부하(20)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전력공급선로(5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선(electric lin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30)는, 상기 전력공급선로(50) 상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어셈블리(B)와 상기 부하(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릴레이(30)는, 일종의 스위치로서, 선택적으로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30)는, 제1 릴레이 코일(101), 제2 릴레이 코일(102)을 포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30)는,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될 수 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릴레이(30)는, 제1 릴레이 코일(101)이 여기되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40)가 동작하는 경우 턴 오프되고, 제2 릴레이 코일(102)이 여기되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40)가 동작하는 경우 턴 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릴레이(30)는 양방향 릴레이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40)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1000)의 연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40)는, 제1 릴레이 코일(101), 제2 릴레이 코일(102), 제1 스위치(201), 제2 스위치(202), 제3 스위치(203), 제1 전원부(301), 제2 전원부(302), 제3 전원부(303), 제1 풀업 저항(401) 및 제2 풀업 저항(40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은, 후술할 제1 전원부(301)로부터 보조전압을 인가받아 여기(energize)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은, 제1 전원부(301)로부터 보조전압을 안거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은, 내부에 철심(magnetic core)을 구비하여 자기력선이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은, 제1 스위치(201)와 제2 스위치(202)의 동작 상태가 턴 온되면 제1 전원부(301)로부터 보조전압을 인가받아 여기되어, 릴레이(30)에 구비된 가동접점(31)이 고정접점(32)과 연결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은, 제1 스위치(201)와 제2 스위치(202)의 동작 상태가 턴 오프되면 제1 전원부(301)로부터 보조전압을 인가받지 않아 여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은, 후술할 제1 전원부(301)로부터 보조전압을 인가받아 여기(energize)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은, 제1 전원부(301)로부터 보조전압을 안거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은, 내부에 철심(magnetic core)을 구비하여 자기력선이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은, 제1 스위치(201)와 제3 스위치(203)의 동작 상태가 턴 온되면 제1 전원부(301)로부터 보조전압을 인가받아 여기되어, 릴레이(30)에 구비된 가동접점(31)이 고정접점(32)과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은, 제1 스위치(201)와 제3 스위치(203)의 동작 상태가 턴 오프되면 제1 전원부(301)로부터 보조전압을 인가받지 않아 여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이 여기되는 경우, 릴레이(30)는 턴 오프되고,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이 여기되는 겨우, 릴레이(30)는 턴 온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의 일단(1)과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의 일단(1)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201)는, 선택적으로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들은, 알려진 다양한 스위칭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들은, 접합형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201)는,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 및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과 상기 제1 전원부(30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위치(201)는, 일단(2)이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의 일단(1)과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의 일단(1)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3)이 상기 제1 전원부(30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부(301)는, 제1 릴레이 코일(101) 또는 제2 릴레이 코일(102)로 보조전압을 인가시킨다. 즉, 상기 제1 전원부(301)는, 상기 제1 스위치(201)의 타단(3)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치(201)가 모두 턴 온될 경우 제1 릴레이 코일(101) 및 제2 릴레이 코일(102)로 보조전압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1 풀업 저항(401)은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과 상기 제2 전원부(30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풀업 저항(401)은, 일단(4)이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의 타단(5)과 연결될 수 있고, 타단(6)이 상기 제2 전원부(30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풀업 저항(401)은, 일단(4)이 상기 제2 스위치(202)의 일단(7)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풀업 저항(401)은,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의 저항값 보다 큰 저항값을 갖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풀업 저항(401)의 저항값은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의 저항값 "0옴"으로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의 저항값 보다 큰 저항값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부(302)는, 제1 풀업 저항(401)에 풀업전압을 인가시킨다. 즉, 상기 제2 전원부(302)는, 상기 제1 풀업 저항(401)의 타단(6)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풀업 저항(401)으로 풀업전압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2 스위치(202)는, 선택적으로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들은, 알려진 다양한 스위칭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들은, 접합형 트랜지스터(BJT),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202)는,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과 제1 접지(GND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스위치(202)는, 일단(7)이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의 타단(5)과 연결될 수 있고, 타단(8)이 제1 접지(GND1) 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치(202)는, 일단(7)이 상기 제1 풀업 저항(401)의 일단(4)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치(202)가 턴 온되면, 상기 제2 스위치(202)의 일단(7)은 제1 접지(GND1) 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스위치(202)의 일단(7)에는 접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전압은 "0V"일 수 있다.
상기 제2 풀업 저항(402)은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과 상기 제3 전원부(30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풀업 저항(402)은, 일단(9)이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의 타단(10)과 연결될 수 있고, 타단(11)이 상기 제3 전원부(303)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풀업 저항(402)은, 일단(9)이 상기 제3 스위치(203)의 일단(1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풀업 저항(402)은,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의 저항값 보다 큰 저항값을 갖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풀업 저항(402)의 저항값은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의 저항값 "0옴"으로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의 저항값 보다 큰 저항값일 수 있다.
상기 제3 전원부(303)는, 제2 풀업 저항(402)에 풀업전압을 인가시킨다. 즉, 상기 제3 전원부(303)는, 상기 제2 풀업 저항(402)의 타단(11)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풀업 저항(402)으로 풀업전압을 인가시킨다. 이때, 상기 제3 전원부(303)에서 상기 제2 풀업 저항(402)으로 인가되는 풀업전압의 전압값은 상기 제2 전원부(302)에서 상기 제1 풀업 저항(401)으로 인가되는 풀업전압의 전압값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치(203)는, 선택적으로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들은, 알려진 다양한 스위칭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들은, 접합형 트랜지스터(BJT),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치(203)는,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과 제2 접지(GND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스위치(203)는, 일단(12)이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의 타단(10)과 연결될 수 있고, 타단(13)이 제2 접지(GND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스위치(203)는, 일단(12)이 상기 제2 풀업 저항(402)의 일단(9)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스위치(203)가 턴 온되면, 상기 제3 스위치(203)의 일단(12)은 제2 접지(GND2) 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3 스위치(203)의 일단(12)에는 접지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전압은 "0V"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1000)는, 센싱부(1100), 메모리부(1200), 프로세서(1300) 및 알림부(14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1100)는, 상기 프로세서(130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센싱부(1100)는 상기 프로세서(1300)로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프로세서(13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 가능하도록 상기 프로세서(130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100)는, 상기 프로세서(1300)가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데 있어서 이용되는 측정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싱부(11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1 스위치(101), 상기 제2 스위치(102) 및 상기 제3 스위치(103) 각각의 일단(2, 7, 12)에 인가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을 반복 측정하고 측정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을 나타내는 측정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13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100)는, 상기 제1 스위치(101), 상기 제2 스위치(102) 및 상기 제3 스위치(103) 각각의 일단(2, 7, 12)에 인가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전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센싱부(1100)로부터 측정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 처리를 통해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 각각의 디지털 값을 결정하고 상기 메모리부(12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0)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서, 상기 프로세서(1300)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기록, 소거, 갱신하며,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마련된 복수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200)는 본 발명을 실시할 때 사용되는 미리 결정된 각종 파라미터들의 사전 설정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0)는 데이터를 기록, 소거, 갱신할 수 있다고 알려진 반도체 메모리 소자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 예시로서, 상기 메모리부(1200)는 DRAM, SDRAM, 플래쉬 메모리, ROM, EEPROM, 레지스터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0)는 상기 프로세서(1300)의 제어 로직을 정의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매체는 플래쉬 메모리나 하드디스크와 같은 불활성 기억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1200)는 상기 프로세서(13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프로세서(1300)와 일체로 통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의 동작 상태 즉,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의 동작 상태를 선택적으로 턴 온시키거나 턴 오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스위치들로 제어신호 내지 명령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300)는,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1300)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의 동작 상태가 각각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된 회로는, 진단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를 모두 턴 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1300)의 제어에 따라 형성된 릴레이 구동 회로(40)는, 제1 진단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및 상기 제3 스위치(203)를 모두 턴 오프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스위치(202)를 턴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1300)의 제어에 따라 형성된 릴레이 구동 회로(40)는, 제2 진단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및 상기 제2 스위치(202)를 모두 턴 오프시킬 수 있고, 상기 제3 스위치(203)를 턴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1300)의 제어에 따라 형성된 릴레이 구동 회로(40)는, 제3 진단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를 모두 턴 오프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스위치(201)를 턴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1300)의 제어에 따라 형성된 릴레이 구동 회로(40)는, 제4 진단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술한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소정의 진단 회로를 형성시킨다. 소정의 진단 회로가 형성되면, 상기 센싱부(1100)는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을 측정한다. 상기 프로세서(1300)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측정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40)를 제1 진단 회로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단락 고장은,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단락 고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단락 고장은, 융착 현상 등에 의해 스위치가 단락 상태에 놓여 프로세서(1300)의 턴 오프 명령 내지 턴 오프 제어에 응답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모두 턴 오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 3은,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300)는,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의 동작 상태를 모두 턴 오프로 제어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를 제1 진단 회로로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센싱부(1100)는,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1 측정전압과 풀업전압 및 보조전압 중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스위치(201)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1 측정전압과 풀업전압이 동일하지 않고, 제1 측정전압과 보조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201)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스위치(201)가 정상 상태이면, 제1 진단 회로에서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는 턴 오프로 제어된 상태이므로, 제1 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1 스위치(201)가 정상 상태이면, 제1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되는 제1 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스위치(201)가 단락 고장 상태이면, 제1 진단 회로에서 상기 제1 스위치(201)는 턴 온 상태이므로, 제1 측정전압은 보조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1 스위치(201)가 단락 고장 상태이면, 제1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되는 제1 측정전압은 보조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1 측정전압이 풀업전압과 동일하지 않고 보조전압과 동일하면, 상기 제1 스위치(201)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1 측정전압이 풀업전압과 동일하고 보조전압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스위치(201)가 단락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가 단락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되면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2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스위치(202)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2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스위치(202)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정상 상태이면, 제1 진단 회로에서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는 턴 오프로 제어된 상태이므로, 제2 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2 스위치(202)가 정상 상태이면, 제1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되는 제2 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 스위치(202)가 단락 고장 상태이면, 제1 진단 회로에서 상기 제2 스위치(202)는 턴 온 상태이므로, 제2 측정전압은 접지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2 스위치(202)가 단락 고장 상태이면, 제1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되는 제2 측정전압은 접지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2 측정전압이 접지전압과 동일하면, 상기 제2 스위치(202)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2 측정전압이 접지전압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2 스위치(202)가 단락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와 상기 제2 스위치(202)가 단락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되면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3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3 스위치(203)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3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3 스위치(203)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정상 상태이면, 제1 진단 회로에서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는 턴 오프로 제어된 상태이므로, 제3 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3 스위치(203)가 정상 상태이면, 제1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되는 제3 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3 스위치(203)가 단락 고장 상태이면, 제1 진단 회로에서 상기 제3 스위치(203)는 턴 온 상태이므로, 제3 측정전압은 접지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3 스위치(203)가 단락 고장 상태이면, 제1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되는 제3 측정전압은 접지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3 측정전압이 접지전압과 동일하면, 상기 제3 스위치(203)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3 측정전압이 접지전압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3 스위치(203)가 단락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40)를 제2 진단 회로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개방 고장은,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개방 고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개방 고장은, 스위치가 개방 상태에 놓여 프로세서(1300)의 턴 온 명령 내지 턴 온 제어에 응답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상기 제1 스위치(201)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턴 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치(202)가 턴 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 4는, 제2 진단 회로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단락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되면,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및 상기 제3 스위치(203)의 동작 상태를 턴 오프로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202)의 동작 상태를 턴 온으로 제어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를 제2 진단 회로로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센싱부(1100)는, 제2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2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2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2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스위치(202)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2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스위치(202)가 개방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정상 상태이면, 제2 진단 회로에서 상기 제1 스위치(201) 및 상기 제3 스위치(203)는 턴 오프로 제어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스위치(202)는 턴 온으로 제어된 상태이므로, 제2 측정전압은 접지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2 스위치(202)가 정상 상태이면, 제2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되는 제2 측정전압은 접지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 스위치(202)가 개방 고장 상태이면, 제2 진단 회로에서 상기 제2 스위치(202)는 턴 오프 상태이므로, 제2 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2 스위치(202)가 개방 고장 상태이면, 제2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되는 제2 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2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2 측정전압이 접지전압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2 스위치(202)가 개방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40)를 제2 진단 회로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제3 측정전압 및 제1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단선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단선 고장은,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 및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 중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코일의 단선 고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단선 고장은, 릴레이 코일의 일부가 끊어져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 상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단선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2의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상기 제1 스위치(201)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턴 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치(202)가 턴 온되며,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이 단선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 5는, 제2 진단 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이 단선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단락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되고, 상기 제2 스위치(202)가 개방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되면, 제2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3 측정전압 및 제1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의 단선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3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이 동일하지 않고, 제1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이 단선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정상 상태이고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이 단선되지 않은 상태이면, 제2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된 제3 측정전압과 제1 측정전압은 접지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2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3 측정전압과 제1 측정전압이 접지전압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가 단선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동작에 대해 이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상기 제1 스위치(201) 및 상기 제2 스위치(202)가 턴 오프되고, 상기 제3 스위치(203)가 턴 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 6은, 제3 진단 회로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단락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되고, 상기 제2 스위치(202)가 개방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되면,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및 상기 제23 스위치(202)의 동작 상태를 턴 오프로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203)의 동작 상태를 턴 온으로 제어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를 제3 진단 회로로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센싱부(1100)는, 제3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3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3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3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3 스위치(203)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3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3 스위치(203)가 개방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정상 상태이면, 제3 진단 회로에서 상기 제1 스위치(201) 및 상기 제2스위치(202)는 턴 오프로 제어된 상태이고, 상기 제3 스위치(203)는 턴 온으로 제어된 상태이므로, 제3 측정전압은 접지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3 스위치(203)가 정상 상태이면, 제3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되는 제3 측정전압은 접지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3 스위치(203)가 개방 고장 상태이면, 제3 진단 회로에서 상기 제3 스위치(203)는 턴 오프 상태이므로, 제3 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3 스위치(203)가 개방 고장 상태이면, 제3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되는 제3 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3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3 측정전압이 접지전압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3 스위치(203)가 개방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40)를 제3 진단 회로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제2 측정전압 및 제1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단선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단선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2의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상기 제1 스위치(201) 및 상기 제2 스위치(202)가 턴 오프되고, 상기 제3 스위치(203)가 턴 온되며,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이 단선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 7은, 제3 진단 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이 단선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이 단선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 8은, 제3 진단 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 및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이 단선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단락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되고, 상기 제1 스위치(201) 및 상기 제2 스위치(202)가 개방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되면, 제3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2 측정전압 및 제1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의 단선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2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이 동일하지 않고, 제1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이 단선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정상 상태이고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이 단선되지 않은 상태이면, 제3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된 제2 측정전압과 제1 측정전압은 접지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3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2 측정전압과 제1 측정전압이 접지전압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가 단선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3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2 측정전압이 접지전압과 동일하지 않고, 제1 측정 전압이 접지전압과 동일하며,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1 측정전압이 풀업전압과 동일하지 않고, 제1 측정 전압이 보조전압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릴레이 코일(102)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릴레이 코일(101)까지 단선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릴레이(30)에 구비된 서로 다른 두 릴레이 코일(101, 102) 각각에 대해 단선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동작에 대해 이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2의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상기 제1 스위치(201)가 턴 온되고,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턴 오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 9는, 제4 진단 회로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단락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되고,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개방 고장이 아닌 것으로 진단되면,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를 턴 온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를 턴 오프로 제어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를 제4 진단 회로로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센싱부(1100)는, 제4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4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릴레이 구동 회로(40)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4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1 측정전압과 보조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스위치(201)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1 측정전압과 접지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스위치(201)가 개방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스위치(201),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가 정상 상태이면, 제4 진단 회로에서 상기 제1 스위치(201) 턴 온으로 제어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스위치(202) 및 상기 제3 스위치(203)는 턴 오프로 제어된 상태이므로, 제1 측정전압은 보조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1 스위치(201)가 정상 상태이면, 제4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되는 제31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스위치(201)가 개방 고장 상태이면, 제4 진단 회로에서 상기 제1 스위치(201)는 턴 오프 상태이므로, 제1 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1 스위치(201)가 개방 고장 상태이면, 제4 진단 회로로부터 측정되는 제1 측정전압은 풀업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4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1 측정전압이 접지전압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스위치(201)가 개방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0)는, 다양한 제어 로직들을 실행하기 위해 당업계에 알려진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제어 로직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되고, 조합된 제어 로직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체계로 작성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포함된 프로세서(1300)에 의해 접근이 가능한 것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 예시로서, 기록매체는 ROM, RAM, 레지스터,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광 데이터 기록장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코드 체계는 캐리어 신호로 변조되어 특정한 시점에 통신 캐리어에 포함될 수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에 분산되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조합된 제어 로직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한편, 알림부(1400)는 프로세서(1300)의 진단 결과를 프로세서(1300)로부터 입력받거나 메모리부(1200)에 저장된 프로세서(1300)의 진단 결과를 출력받고, 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림부(1400)는 프로세서(1300)의 진단 결과를 기호, 숫자 및 코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프로세서(1300)의 진단 결과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10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40)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1000')의 연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1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1000) 대비 제1 전원부(301)과 제1 스위치(201) 사이에 구비되는 가변 저항(Rv)을 더 포함할 뿐 다른 구성 요소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가변 저항(Rv)은, 상기 프로세서(1300')의 제어에 따라 저항값이 변경되는 저항 소자 일 수 있다. 가변 저항(Rv)의 종류는 프로세서(1300')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경되는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1 스위치(201)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되기 전에 가변 저항(Rv)의 저항값을 최소 저항값으로 변경되도록 가변 저항(Rv)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0')는,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제1 측정전압과 풀업전압이 동일하지 않고, 제1 측정전압과 보조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201)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1300')는 상기 제1 스위치(201)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되면 가변 저항(Rv)의 저항값이 증가되도록 가변 저항(Rv)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전원부(301)와 연결된 제1 스위치(201)에 단락 고장이 발생됨으로써, 제1 전원부(301)와 제1 접지(GND1) 및 제2 접지(GND2) 중 하나 이상 사이에 무부하 회로가 형성되는 경우, 제1 전원부(301)가 방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1000)는, 배터리 팩, 에너지 저장 장치 등의 배터리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1000)는, 배터리 팩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술한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1000)는, 전기 자동차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상술한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자동차는,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운송 수단으로서, 순수 전기 자동차 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부 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 구성 단위 간에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각의 구성 단위가 반드시 물리적으로 하나의 소자나 장치에 의해 구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10: 배터리 어셈블리 20: 부하
30: 릴레이 40: 릴레이 구동 회로
50: 전력공급선로
101: 제1 릴레이 코일 102: 제2 릴레이 코일
201: 제1 스위치 202: 제2 스위치
203: 제3 스위치
301: 제1 전원부 302: 제2 전원부
303: 제3 전원부
401: 제1 풀업저항 402: 제2 풀업저항
GND1: 제1 접지 GND2: 제2 접지
1000: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1100: 센싱부 1200: 메모리부
1300: 프로세서 1400: 알림부

Claims (15)

  1. 일단이 서로 연결된 제1 릴레이 코일 및 제2 릴레이 코일, 일단이 상기 제1 릴레이 코일 및 상기 제2 릴레이 코일의 일단과 연결된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에 보조전압을 인가시키는 제1 전원부, 일단이 상기 제1 릴레이 코일의 타단과 연결된 제1 풀업 저항, 상기 제1 풀업 저항의 타단에 풀업전압을 인가시키는 제2 전원부, 일단이 상기 제1 릴레이 코일의 타단 및 상기 제1 풀업 저항의 일단과 연결된 제2 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2 릴레이 코일의 타단과 연결된 제2 풀업 저항, 상기 제2 풀업 저항의 타단에 상기 풀업전압을 인가시키는 제3 전원부, 일단이 상기 제2 릴레이 코일의 타단 및 상기 제2 풀업 저항의 일단과 연결된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 각각의 일단에 인가된 제1 측정전압, 제2 측정전압 및 제3 측정전압을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동작 상태의 제어에 따라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제1 측정전압, 상기 제2 측정전압 및 상기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턴 오프로 제어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를 제1 진단 회로로 형성시키고,
    상기 제1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측정전압, 상기 제2 측정전압 및 상기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측정전압과 상기 풀업전압 및 상기 보조전압 중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스위치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제2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스위치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제3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3 스위치의 단락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측정전압과 상기 풀업전압이 동일하지 않고, 상기 제1 측정전압과 보조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하고, 상기 제2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스위치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하고, 상기 제3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3 스위치가 단락 고장인 것으로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턴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 동작 상태를 턴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를 제2 진단 회로로 형성시키고,
    상기 제2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측정전압, 상기 제2 측정전압 및 상기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스위치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스위치가 개방 고장인 것으로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턴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 동작 상태를 턴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를 제3 진단 회로로 형성시키고,
    상기 제3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측정전압, 상기 제2 측정전압 및 상기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3 스위치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측정전압과 상기 접지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3 스위치가 개방 고장인 것으로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턴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동작 상태를 턴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를 제4 진단 회로로 형성시키고,
    상기 제4 진단 회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측정전압, 상기 제2 측정전압 및 상기 제3 측정전압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측정전압과 상기 보조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스위치의 개방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측정전압과 상기 보조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개방 고장인 것으로 진단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180011459A 2018-01-30 2018-01-30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KR102301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459A KR102301218B1 (ko) 2018-01-30 2018-01-30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US16/621,377 US11204387B2 (en) 2018-01-30 2019-01-30 Apparatus for diagnosing relay driving circuit
CN201980002619.7A CN110678764B (zh) 2018-01-30 2019-01-30 用于诊断继电器驱动电路的设备
JP2019568081A JP6844101B2 (ja) 2018-01-30 2019-01-30 リレー駆動回路診断装置
PCT/KR2019/001312 WO2019151781A1 (ko) 2018-01-30 2019-01-30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EP19748014.8A EP3674725B1 (en) 2018-01-30 2019-01-30 Apparatus for diagnosing relay driv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459A KR102301218B1 (ko) 2018-01-30 2018-01-30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90A true KR20190092090A (ko) 2019-08-07
KR102301218B1 KR102301218B1 (ko) 2021-09-10

Family

ID=6747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459A KR102301218B1 (ko) 2018-01-30 2018-01-30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04387B2 (ko)
EP (1) EP3674725B1 (ko)
JP (1) JP6844101B2 (ko)
KR (1) KR102301218B1 (ko)
CN (1) CN110678764B (ko)
WO (1) WO2019151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4720B (zh) 2019-08-30 2022-06-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控制器件的检测电路及检测方法
CN112444721B (zh) * 2019-08-30 2024-03-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控制器件的检测电路及检测方法
CN110895308A (zh) * 2019-12-30 2020-03-20 李凤玲 一种断路器通电检测设备
KR20220012044A (ko) *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컨택터 공급 전압 진단 방법
CN113985107B (zh) * 2021-11-23 2022-09-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压检测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8289B1 (en) * 1990-09-26 1996-05-15 Honeywell Inc. Fault detection in relay drive circuits
KR970061810U (ko) * 1996-05-07 1997-12-10 자동차의 릴레이 및 휴즈 고장체크 장치
KR20030095325A (ko) * 2002-06-10 2003-12-1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기구 구동회로의 진단장치
JP2005158550A (ja) * 2003-11-27 2005-06-16 Daikin Ind Ltd リレー駆動回路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1474A (en) 1984-07-11 1986-12-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High or low-side state relay with current limiting and operational testing
JP3630824B2 (ja) * 1996-02-19 2005-03-23 三菱電機株式会社 補助リレー駆動回路
JP3183254B2 (ja) * 1998-05-11 2001-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源制御回路
JP2004234207A (ja) * 2003-01-29 2004-08-19 Yazaki Corp リレー制御回路、それを用いたリレー回路、およびリレー制御プログラム
KR100529152B1 (ko) 2004-06-22 2005-11-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와 다수의 이씨유의 전원연결회로
JP2007127522A (ja) * 2005-11-04 2007-05-24 Hanshin Electric Co Ltd リレーコイルおよびリレー制御装置が搭載された制御基板用寿命予告装置
US7444266B2 (en) * 2006-03-21 2008-10-28 Abb Technology Ltd. Control system for a transformer or reactor
US7582989B2 (en) * 2006-09-29 2009-09-01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afety relay having independently testable contacts
JP4905960B2 (ja) * 2007-01-11 2012-03-28 日置電機株式会社 リレー検査装置および基板検査装置
CN102137772B (zh) * 2008-09-01 2013-08-21 株式会社Lg化学 控制电池组和负载之间的开关单元的装置和方法及包括该装置的电池组和电池管理装置
WO2010047275A2 (ja) * 2008-10-24 2010-04-29 日本電子材料株式会社 半導体テストシステムおよび半導体テストシステムのリレー駆動検査方法
EP2443468B1 (en) 2009-06-16 2013-10-16 ABB Technology AG An arrangement for testing a switching cell
EP2609436B1 (en) 2010-08-26 2014-07-23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 Method for diagnosing an electrical circuit
CN101951177B (zh) * 2010-09-06 2014-05-07 Bcd半导体制造有限公司 开关电源系统及开关电源控制电路
JP5802502B2 (ja) * 2011-09-27 2015-10-28 新電元工業株式会社 故障検出装置および方法
CN102364350B (zh) * 2011-10-25 2013-07-17 安丘市供电公司 备自投切换整组试验方法及其装置
US9291678B2 (en) * 2012-05-31 2016-03-22 Deere & Company Method and controller for an electric motor with switch testing
KR101930696B1 (ko) * 2012-08-24 2018-1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위칭 소자 쇼트 검출 장치 및 방법
JP5688689B2 (ja) * 2012-08-27 2015-03-2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機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4047668A2 (de) * 2012-09-28 2014-04-03 Tridonic Gmbh & Co Kg Betriebsschaltung mit getaktetem konverter zur ansteuerung einer led-strecke
JP6474188B2 (ja) * 2013-03-28 2019-02-27 株式会社Gsユアサ スイッチ故障判定装置、蓄電装置およびスイッチ故障判定方法
JP5874699B2 (ja) * 2013-09-13 2016-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
JP6206317B2 (ja) * 2014-05-12 2017-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
CN203858341U (zh) * 2014-05-29 2014-10-01 北京市亿能通电子有限公司 一种 bms 高压上电控制测试盒
DE102015208377A1 (de) * 2014-10-01 2016-04-0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sich nicht-öffnenden Startrelaisschalters eines Starterrelais
KR101675200B1 (ko) * 2014-11-10 2016-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806996B1 (ko) 2014-12-26 2017-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릴레이 구동 회로 상태진단 장치 및 방법
CN104578800B (zh) * 2014-12-31 2017-05-24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开关电源的控制电路以及带该电路的开关电源
US10134550B2 (en) 2015-05-21 2018-11-20 Asco Power Technologies, L.P. Short circuit detection circuit
EP3305817B2 (en) 2015-05-26 2023-12-27 Zeon Corporation Nitrile group containing, highly saturated copolymer rubber
KR102050529B1 (ko) 2015-08-26 2019-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어라인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8289B1 (en) * 1990-09-26 1996-05-15 Honeywell Inc. Fault detection in relay drive circuits
KR970061810U (ko) * 1996-05-07 1997-12-10 자동차의 릴레이 및 휴즈 고장체크 장치
KR20030095325A (ko) * 2002-06-10 2003-12-1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기구 구동회로의 진단장치
JP2005158550A (ja) * 2003-11-27 2005-06-16 Daikin Ind Ltd リレー駆動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66574A1 (en) 2020-05-28
JP2020523578A (ja) 2020-08-06
US11204387B2 (en) 2021-12-21
JP6844101B2 (ja) 2021-03-17
EP3674725B1 (en) 2023-07-12
WO2019151781A1 (ko) 2019-08-08
EP3674725A4 (en) 2020-12-09
KR102301218B1 (ko) 2021-09-10
CN110678764B (zh) 2021-08-31
EP3674725A1 (en) 2020-07-01
CN110678764A (zh)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1475B2 (ja) スイッチ部品の故障診断装置及び方法
KR102301218B1 (ko)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EP367202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discharge
EP3734307B1 (en) Current measuring apparatus, current measuring method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current measuring apparatus
EP3624250B1 (en) Battery pack
EP3624249B1 (en) Battery pack
US11228063B2 (en) Battery pack for diagnosing fault of charging contactor
US11467212B2 (en) Battery pack
EP3754350A1 (en) Switch diagnosis device and method
EP3627614B1 (en) Battery pack
EP3657593B1 (en) Battery pack
EP3974850A1 (en) Parallel battery relay diagnosis device and method
KR102404816B1 (ko) 전류 센서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76423A (ko) 릴레이 진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