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200B1 -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200B1
KR101675200B1 KR1020140155713A KR20140155713A KR101675200B1 KR 101675200 B1 KR101675200 B1 KR 101675200B1 KR 1020140155713 A KR1020140155713 A KR 1020140155713A KR 20140155713 A KR20140155713 A KR 20140155713A KR 101675200 B1 KR101675200 B1 KR 101675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ing unit
measured value
voltag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647A (ko
Inventor
이순종
이상진
라기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5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2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02Switches for altering the measuring range or for multites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7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giving an indica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is occurs, i.e. multi-channel analy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Relay Circuit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릴레이 코일을 턴 온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를 진단할 수 있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기술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은 릴레이 코일의 일단과 접지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 및 릴레이 코일의 타단과 배터리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의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 제1 스위칭부 및 제2 스위칭부의 제어 동작에 따른 제1 스위칭부 측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RELAY COIL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릴레이 코일을 턴 온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를 진단할 수 있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 회로는 장치의 제어, 회로의 보호 등을 위해 릴레이(계전기)를 사용하고 있는 회로이다. 릴레이란 미리 설정해 둔 전기량에 대응해서, 전기적 입력의 유무, 또는 대소 등의 형태를 식별해서 다른 전기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것은 자동화 소자로서 자동제어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기이며, 자동제어기술의 발전은, 이 릴레이의 진보와 사용방법의 기술진보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전자공학(electronics)의 제어회로에는 전자 릴레이를 사용한 회로가 많다. 이것은 전자 릴레이가 증폭작용, 많은 회로를 동시에 제어작용, 검출작용, 기억작용, 신호 반전작용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입출력이 나누어져 있다는 것과, 값이 싸서 사용하는데 비교적 무리가 없다는 등, 우수한 점이 있다는데 있다. 또 보호 릴레이는 사고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하고, 안정된 전력공급을 하기 위해 중요한 기기로 되어있다.
특히 자동차의 고전압 릴레이는 고전압 배터리와 모터 제어 인버터 사이를 연결 또는 단절시키는데 이용된다. 이 때, 고전압 릴레이 제어는 릴레이의 코일에 전압을 인가 혹은 비인가하여 수행된다. 기존에는 이러한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의 상태 판단을 위해서 제어용 드라이버 IC의 상태 판단 핀을 이용하여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8889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하고 안전하게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의 진단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릴레이 코일을 턴 온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를 진단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는 릴레이 코일의 일단과 접지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릴레이 코일의 타단과 배터리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의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제어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스위칭부 측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하고, 상기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하고, 상기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측정값이 1 V 이하인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의 전압값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오프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온하며, 상기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릴레이 코일을 상태 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기 설정된 비율 이하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하고, 상기 릴레이 코일을 상태 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이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릴레이 코일을 상태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은 릴레이 코일의 일단과 접지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 측의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릴레이 코일의 타단과 배터리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따른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 판단하고,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1 V 이하인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 판단하고,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의 전압값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온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릴레이 코일을 상태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기 설정된 비율 이하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 판단하고,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이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릴레이 코일을 상태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확하고 안전하게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를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릴레이 코일을 턴 온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를 진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100)는 제1 스위칭부(110), 제2 스위칭부(120), 제1 측정부(130), 스위칭 제어부(150), 및 진단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는 제2 측정부(140) 및 카운팅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110)는 릴레이 코일의 일단과 접지부의 사이에 연결된다. 제2 스위칭부(120)는 릴레이 코일의 타단과 배터리부의 사이에 연결된다. 이 때, 제1 스위칭부(110)는 HSD(High Side Driver)로, 제2 스위칭부(120)는 LSD(Low Side Driver)라 지칭할 수 있다.
제1 측정부(130)는 제1 스위칭부 측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측정부(140)는 제2 스위칭부 측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제1 측정부(130) 및 제2 측정부(140)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를 통하여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칭부(110) 및 제2 스위칭부(120) 각각의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한다.
진단부(160)는 스위칭 제어부(150)의 제어 동작에 따른 제1 측정부(130)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한다.
카운팅부(170)는 스위칭 제어부(150)의 제1 스위칭부(110) 및 제2 스위칭부(120)에 대한 제어 횟수, 진단부(160)의 진단 동작 횟수를 카운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100)에서는 릴레이 코일의 상태 진단뿐만 아니라 진단 장치의 회로를 구성하는 제1 스위칭부(110) 및 제2 스위칭부(120)의 상태도 함께 진단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110)의 상태 진단을 위하여, 스위칭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칭부(110) 및 제2 스위칭부(120)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진단부(160)는 제1 측정부(130)에서의 측정값이 접지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 경우, 제2 스위칭부(120)와 접지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진단부(160)는 제1 측정부(130)에서의 측정값이 1 V 이하인 경우, 상기 측정값이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하여, 진단부(160)는 제1 측정부(130)에서의 측정값이 접지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 판단하고,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제1 스위칭부(110)와 배터리부의 전압값이 대응되는 경우, 제1 스위칭부(110)와 접지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제1 횟수 및 제 2 횟수는 카운팅부(170)에 의하여 카운팅 될 수 있다.
제2 스위칭부(120)의 상태 진단을 위하여, 스위칭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칭부(110) 및 제2 스위칭부(120)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진단부(160)는 제1 측정부(130)에서의 측정값이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 경우, 제2 스위칭부(120)와 배터리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진단부(160)는 제1 측정부(130)에서의 측정값이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측정값이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하여, 진단부(160)는 제1 측정부(130)에서의 측정값이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 판단하고,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제2 스위칭부(120)와 배터리부의 전압값이 대응되는 경우, 제2 스위칭부(120)와 배터리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제1 횟수 및 제 2 횟수는 카운팅부(170)에 의하여 카운팅 될 수 있다.
릴레이 코일의 상태 진단을 위하여, 스위칭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칭부(110)는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제2 스위칭부(120)는 온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진단부(160)는 제1 측정부(130)에서의 측정값이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릴레이 코일을 상태 이상으로 판단한다. 이 때, 진단부(160)는 제1 측정부(130)에서의 측정값이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기 설정된 비율 이하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하여, 진단부(160)는 제1 측정부(130)에서의 측정값이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 판단하고,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제2 스위칭부(120)와 배터리부의 전압값이 대응되지 않는 경우, 릴레이 코일을 상태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제1 횟수 및 제 2 횟수는 카운팅부(170)에 의하여 카운팅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에서, 제1 스위칭부(110)는 릴레이 코일(10)의 일단과 접지부(VGND)의 사이에 연결된다. 제2 스위칭부(120)는 릴레이 코일(10)의 타단과 배터리부(VAUX)의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릴레이 코일(10)은 저전압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 측정부(130)는 제1 스위칭부(110) 측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제1 스위칭부(110)의 자체 IC 특성으로 2.5 V의 전압(180)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위칭부(110) 및 제2 스위칭부(120)가 오프된 상태에서 회로가 정상 상태라면 제1 측정부에서는 2.5 V가 측정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110) 및 제2 스위칭부(120)를 모두 턴 온 시키면 릴레이 코일(10)에 전원이 인가되어 릴레이도 턴 온 된다. 반면, 제1 스위칭부(110) 혹은 제2 스위칭부(120)가 턴 오프 되면 릴레이 코일(10)로 연결된 선이 끊겨 릴레이가 턴 오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스위칭부(110) 및 제2 스위칭부(120)를 모두 턴 오프 시키거나, 둘 중 하나만 턴 온 시킨 조건하에서 릴레이 코일(10)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은 먼저, 릴레이 코일의 일단과 접지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 및 릴레이 코일의 타단과 배터리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의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한다(S110). 제1 스위칭부 및 제2 스위칭부의 제어 동작에 따른 제1 스위칭부 측의 전압을 측정한다(S120). S120 단계에서 측정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한다(S130).
그리고, S130 단계 이전에 제1 스위칭부 및 제2 스위칭부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 및 제2 스위칭부의 상태 판단의 기술 내용은 도 1에서 설명된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10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도 1 의 설명으로 갈음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의 구현예는 도 4 및 도 5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은 먼저 제1 스위칭부(LSD) 및 제2 스위칭부(HSD)를 오프한다(S201).
그리고, 제1 측정부에서의 측정값(V(Coil L))을 확인한다(S202).
S202의 확인 결과, 제1 측정부에서의 측정값(V(Coil L))이 접지부의 전압(V(GND))에 대응되는 경우, 제1 스위칭부(LSD)가 접지부와 쇼트된 것으로 카운팅한다(S203). 이 때, 제1 측정부에서의 측정값(V(Coil L))이 1 V 이하인 경우, 제1 측정부에서의 측정값(V(Coil L))이 접지부의 전압(V(GND))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1 측정부에서의 측정값(V(Coil L))이 배터리부의 전압(V(Aux))에 대응되는 경우, 제2 스위칭부(HSD)가 배터리부에 쇼트된 것으로 카운팅한다(S204). 이 때, 제1 측정부에서의 측정값(V(Coil L))이 배터리부의 전압(V(Aux))의 0.8배 이상일 경우, 제1 측정부에서의 측정값(V(Coil L))이 배터리부의 전압(V(Aux))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정부에서의 측정값(V(Coil L))이 접지부의 전압(V(GND)) 혹은 배터리부의 전압(V(Aux))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카운트 회수만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S201 내지 S204를 통틀어 전체 카운트의 회수가 7번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05).
S205의 단계에서 7번의 카운트가 모두 감지되었다면, 제2 스위칭부(HSD)가 배터리부에 쇼트된 것으로 카운트된 것이 5차례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06). S206의 판단 결과, 제2 스위칭부(HSD)가 배터리부에 쇼트된 것으로 카운트된 것이 5차례 이상인 경우, 제2 스위칭부(HSD)가 배터리부에 쇼트된 것으로 최종 판단한다(S207).
그리고, 제1 스위칭부(LSD)가 접지부에 쇼트된 것으로 카운트된 것이 5차례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08). S208의 판단 결과, 제1 스위칭부(LSD)가 접지부에 쇼트된 것으로 카운트된 것이 5차례 이상인 경우, 제1 스위칭부(LSD)가 접지부에 쇼트된 것으로 최종 판단한다(S209).
S201 내지 S209 단계를 통하여, 제1 스위칭부(LSD) 및 제2 스위칭부(HSD)의 상태 판단이 종료된 이후, 제1 스위칭부(LSD)는 오프하고 제2 스위칭부(HSD)는 온하도록 제어한다(S210).
그리고, 제1 측정부에서의 측정값(V(Coil L))이 배터리부의 전압(V(Aux))에 대응되는지 혹은 대응되지 않는지를 판단한다(S211). 이 때, 제1 측정부에서의 측정값(V(Coil L))이 배터리부의 전압(V(Aux))의 0.8배 이하일 경우, 제1 측정부에서의 측정값(V(Coil L))이 배터리부의 전압(V(Aux))에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S211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측정부에서의 측정값(V(Coil L))이 배터리부의 전압(V(Aux))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릴레이 코일이 open circuit으로 카운트한다(S212).
그리고, S210 내지 S212를 통틀어 전체 카운트의 회수가 7번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13).
S213의 단계에서 7번의 카운트가 모두 감지되었다면, 릴레이 코일이 open circuit으로 카운트된 것이 5차례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14). S211의 판단 결과, 릴레이 코일이 open circuit으로 카운트된 것이 5차례 이상인 경우, 릴레이 코일이 open circuit인 것으로 최종 판단한다(S215).
이 후, 제1 스위칭부(LSD) 및 제2 스위칭부(HSD)를 모두 오프하도록 제어하고(S216),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의 진단 방법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 코일이 턴 온 되기 전에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어, 특히 차량에 적용된 경우 차량 운전자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원리들의 교시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에서 실재로 구현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임의의 적절한 아키텍쳐를 포함하는 머신에 업로드되고 머신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머신은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들(CPU), 컴퓨터 프로세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입/출력(I/O) 인터페이스들과 같은 하드웨어를 갖는 컴퓨터 플랫폼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플랫폼은 운영 체제 및 마이크로 명령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들 및 기능들은 마이크로 명령 코드의 일부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고, 이들은 CPU를 포함하는 다양한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로, 추가 데이터 저장부 및 프린터와 같은 다양한 다른 주변 장치들이 컴퓨터 플랫폼에 접속될 수 있다.
첨부 도면들에서 도시된 구성 시스템 컴포넌트들 및 방법들의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므로, 시스템 컴포넌트들 또는 프로세스 기능 블록들 사이의 실제 접속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프로그래밍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의 교시들이 주어지면, 관련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이들 및 유사한 구현예들 또는 구성들을 참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릴레이 코일
100;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110; 제1 스위칭부
120; 제2 스위칭부
130; 제1 측정부
140; 제2 측정부
150; 스위칭 제어부
160; 진단부
170; 카운팅부

Claims (20)

  1. 릴레이 코일의 일단과 접지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릴레이 코일의 타단과 배터리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의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제어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스위칭부 측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하고,
    상기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하고,
    상기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측정값이 1 V 이하인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의 전압값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오프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온하며,
    상기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릴레이 코일을 상태 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기 설정된 비율 이하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하고,
    상기 릴레이 코일을 상태 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이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릴레이 코일을 상태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방법.
  11. 릴레이 코일의 일단과 접지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 측의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릴레이 코일의 타단과 배터리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온 혹은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따른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코일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 판단하고,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14. 삭제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1 V 이하인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에 대응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접지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 판단하고,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의 전압값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접지부가 쇼트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온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릴레이 코일을 상태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기 설정된 비율 이하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에 대응되는지를 기 설정된 제1 횟수만큼 반복 판단하고,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기 설정된 제2 횟수만큼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값이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릴레이 코일을 상태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KR1020140155713A 2014-11-10 2014-11-10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675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713A KR101675200B1 (ko) 2014-11-10 2014-11-10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713A KR101675200B1 (ko) 2014-11-10 2014-11-10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47A KR20160055647A (ko) 2016-05-18
KR101675200B1 true KR101675200B1 (ko) 2016-11-10

Family

ID=5611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713A KR101675200B1 (ko) 2014-11-10 2014-11-10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218B1 (ko) 2018-01-30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릴레이 구동 회로 진단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2110A (ja) * 2007-07-12 2009-01-29 Yamaha Motor Co Ltd リレー溶着判定装置および電動車両
JP2014067528A (ja) * 2012-09-25 2014-04-17 Panasonic Corp リレー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896A (ko) 2002-05-15 2003-1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릴레이 테스트 장치
KR101440531B1 (ko) * 2012-07-09 2014-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접촉기 진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2110A (ja) * 2007-07-12 2009-01-29 Yamaha Motor Co Ltd リレー溶着判定装置および電動車両
JP2014067528A (ja) * 2012-09-25 2014-04-17 Panasonic Corp リレー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47A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895B1 (ko) 누전 검지 장치
CN105522929B (zh) 用于探测车辆漏电的方法和装置
US10910815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CN111465866B (zh) 使用成对样本相关性的传感器故障检测
WO2016075267A1 (de) Kraftfahrzeug-ladedose mit überhitzungsschutz
US9866011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rrupting battery current
EP3065244B1 (en) Inrush current limiter
KR102291762B1 (ko) 릴레이 진단 회로
KR102423301B1 (ko) 단락 방지 장치 및 방법
EP2787630A2 (en) Detecting faults in motors and drives
KR102087577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배터리 개방 감지 방법
US66648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fault conditions associated with powering an electrical load
KR101675200B1 (ko) 릴레이 코일 제어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US9671769B2 (en) ECU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202201664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ort to ground protection for a circuit including a fet device
CN111465867B (zh) 用于检验用于操控负载的输出级的方法
CN110914643B (zh) 具有用于接地线和传感器的短路保护的电路的控制设备和用于接地线和传感器的短路保护的方法
US10277025B2 (en) Safety apparatus of fuel cell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fety apparatus
CN111123730A (zh) 无人驾驶故障仿真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07843543B (zh) 电能存储单元的至少部分导电外壳内腐蚀检测方法和设备
CN109643970B (zh) 用于检查用于多相的电动马达的多相的连接线路和桥接电路的方法和装置
US11774509B2 (en) Management device, vehicle management system, vehicle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is recorded
US11894669B2 (en) Power source control device, power sour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power source control program
JP6277759B2 (ja) 電圧検出用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源装置
CN116157758A (zh) 用于自动检测电子设备之间的耦合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