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564A -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 Google Patents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564A
KR20190090564A KR1020180009412A KR20180009412A KR20190090564A KR 20190090564 A KR20190090564 A KR 20190090564A KR 1020180009412 A KR1020180009412 A KR 1020180009412A KR 20180009412 A KR20180009412 A KR 20180009412A KR 20190090564 A KR20190090564 A KR 20190090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ood
exhaust
fan box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7688B1 (ko
Inventor
김창범
정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to KR102018000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6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는, 상기 팬박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에 의해 비산되는 유분이 팬박스의 이음매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유분차단수단과, 유분트레이에 담겨진 유분의 수위를 후드하우징의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유분의 배출이 가능토록 하는 유분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분차단수단은 상기 배기팬의 하방에 구비되어 팬박스의 아래로 흘러내리는 유분이 유도되어 모아지도록 하는 저면받침판과, 상기 배기팬의 측방에 구비되어 팬박스의 측벽 내면에 점착되어 흘러내리는 유분이 상기 하방 받침판의 상면으로 흘러들도록 하는 복수개의 측면차단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분처리수단은 유분트레이에 그 일측 선단이 연통되고, 타측 선단이 후드하우징의 외부로 이어지는 투시성(透視性) 소재의 유분호스와, 상기 후드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분호스의 타측 선단을 지지하는 홀더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유닛은 후드하우징의 외면에 부착된 홀더브라켓과, 상기 홀더브라켓에 상하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분호스의 타측 선단은 상기 회전클립에 끼워짐으로써 회전클립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구부러지는 게이지부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클립은 그 전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유분호스가 보이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에 의하면, 유분의 누출로 인한 청결유지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분트레이의 수위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유분트레이를 꺼내지 않고도 손쉽게 포집된 유분을 드레인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하방배기형 후드장치{Hood unit of downward exhausting type}
본 발명은 배기팬에 의해 비산되는 유분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포집된 유분의 용이한 드레인이 가능한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용 가열기구로서는 조리용기에 열을 가하여 가열하는 방식(가스레인지나 전기히터 레인지 등)과, 유도자기장을 형성하여 조리용기가 자체적으로 발열되도록 하는 방식(인덕션 레인지)가 있는데, 가스레인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리용기는 물론이고 조리용기의 외부로도 강한 열기가 확산됨으로써 열기에 의해 유증기의 온도가 높고, 강한 상승기류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인덕션 레인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리용기가 자체적으로 발열되어 담겨진 음식물이 가열되기는 하지만, 조리용기의 외부에는 발열원이 없기 때문에 유증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많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승기류를 강하게 형성하지 않고 옆으로 확산되는 유동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덕션 레인지에 작동특성에 맞추어 효과적인 유증기 흡기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에 의하면 유증기의 발생원(조리용기)와 근접하여 흡기작용이 이루어지며, 흡입된 유증기가 하향 유동되기 때문에 흡기작용의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인덕션 레인지 방식의 조리용 가열기구가 사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유증기는 외부 열원에 의해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많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내부에는 많은 양의 유분이 쌓이게 되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유분트레이(기름받이)가 팬박스의 아래에 구비되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아래로 흘러내린 유분이 유분트레이로 유입되어 담기게 되며, 사용자는 유분트레이를 꺼내어 이에 담겨진 유분을 버리는 방식으로 유분을 처리하였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하면, 흡입된 유증기가 송풍팬을 거치면서 강하게 비산되는 특성상, 송풍팬이 내장된 팬박스의 각종 틈새(나사결합 틈새, 이음 틈새 등)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됨으로써 청결유지에 많은 지장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산되는 유분이 팬박스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유분의 포집량 측정 및 유분의 드레인이 용이토록 하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는, 상기 팬박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에 의해 비산되는 유분이 팬박스의 이음매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유분차단수단과, 유분트레이에 담겨진 유분의 수위를 후드하우징의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유분의 드레인이 가능토록 하는 유분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분차단수단은 상기 배기팬의 하방에 구비되어 팬박스의 아래로 흘러내리는 유분이 유도되어 모아지도록 하는 저면받침판과, 상기 배기팬의 측방에 구비되어 팬박스의 측벽 내면에 점착되어 흘러내리는 유분이 상기 하방 받침판의 상면으로 흘러들도록 하는 복수개의 측면차단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분처리수단은 유분트레이에 그 일측 선단이 연통되고, 타측 선단이 후드하우징의 외부로 이어지는 투시성(透視性) 소재의 유분호스와, 상기 후드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분호스의 타측 선단을 지지하는 홀더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유닛은 후드하우징의 외면에 부착된 홀더브라켓과, 상기 홀더브라켓에 상하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분호스의 타측 선단은 상기 회전클립에 끼워짐으로써 회전클립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구부러지는 게이지부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클립은 그 전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유분호스가 보이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에 의하면, 유분의 누출로 인한 청결유지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분트레이의 수위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유분트레이를 꺼내지 않고도 손쉽게 포집된 유분을 드레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투영사시도
도 2: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유분차단수단의 구성을 예시도
도 3a, 3b: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유분처리수단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4b: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유분처리수단에 의한 유분처리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1 부터 도 4b 까지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그 일측면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가열식 조리기구가 그 상면에 배치되는 후드하우징(10)과, 상기 후드하우징(10)의 상면에 직립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측면에서 흡기작용을 행하는 후드포스트(12)와, 상기 후드하우징(10)내에 구비되어 상기 후드포스트(12)와 연통되는 후드덕트(14)와, 상기 후드하우징(10)내에서 상기 후드덕트(14)와 연통되는 팬박스(20)와, 상기 팬박스(20)내에 구비된 배기팬(30)과, 상기 팬박스(20)에서 아래로 흘러내린 유분이 포집되는 유분트레이(40)와, 상기 팬박스(20) 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30)에 의해 비산되는 유분이 팬박스(20)의 이음매 등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유분차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팬박스(20)의 이음매는 팬박스(20)를 구성하는 측벽(22)과 바닥(24)이 서로 연접되는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유분차단수단은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배기팬(30)의 하방에 구비되어 팬박스(20)의 아래로 흘러내리는 유분이 유도되어 모아지도록 하는 저면받침판(50)과, 상기 배기팬(30)의 측방에 구비되어 팬박스(20)의 측벽 내면에 점착되어 흘러내리는 유분이 상기 저면받침판(50)의 상면으로 흘러들도록 하는 복수개의 측면차단패널(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면받침판(50)의 중심부에는 모아진 유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5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면받침판(50)은 상기 배출홀(50a)이 형성된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양단이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홀(50a)이 아래를 향하도록 기울어져 배치된다.
상기 팬박스(20)의 바닥에는 상기 배출홀(50a)과 유분트레이(40)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홀(도면상 저면받침판에 가려서 안보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측면차단패널(52)은 그 상단이 상기 팬박스(20)의 측벽 내면에 부착되고, 그 하단이 상기 저면받침판(50)의 상면에 부착되며, 그 상단은 팬박스(20)의 측벽과 밀착되고, 그 하단은 팬박스(20)의 측벽과 이격된 기울어진 형태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분처리수단은 도 3a, 3b, 4a, 4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유분트레이(40)에 그 일측 선단이 연통되고, 타측 선단이 후드하우징(10)의 외부로 이어지는 투시성 소재의 유분호스(60)와, 상기 후드하우징(1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분호스(60)의 타측 선단을 지지하는 홀더유닛(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분호스(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투시성 소재이면서 적정수준의 강도를 유지하는 연질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소재특성상 상기 유분호스(60)는 조작에 따른 외력에 의해서는 일정각도로 반복해서 구부러질 수 있으며, 별도의 외력이 없으면 구부러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홀더유닛(70)은 후드하우징(10)의 외면에 부착된 홀더브라켓(72)과, 상기 홀더브라켓(72)에 상하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클립(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분호스(60)의 타측 선단은 상기 회전클립(74)에 끼워짐으로써 회전클립(74)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구부러지는 이른바 게이지부(601)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유분호스(60)는 그 일측 선단이 유분트레이(40)의 바닥면과 이어짐으로써 유분트레이(40)와 연통되고, 일정부분만큼 수직으로 내려오다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아래로 경사지게 홀더유닛(70)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분호스(60)의 게이지부(601)의 선단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클립(74)은 전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유분호스(60)가 보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브라켓(72)의 양 측벽은 그 상단 일부가 절개된 것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회전클립(74)이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클립(74)의 측면을 양 손가락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회전클립(74)의 측면에는 홀더브라켓(72)의 측벽에 형성된 걸림턱부(도면상 안보임)와 탄성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탄성턱부(741)가 갖추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유분차단수단 및 유분처리수단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ⅰ) 유분차단수단의 작용
배기팬(30)의 작동에 의해 비산되어 팬박스(20)의 측벽 등에 점착되는 유분은 상기 각 측면차단패널(52)을 타고 저면받침판(50)의 상면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저면받침판(50)의 상면으로 흘러내린 유분은 저면받침판(50)의 절곡된 형태 및 기울어진 배치구조상 배출홀(50a) 측으로 유동되어 배출홀(50a)을 통해 아래로 배출된다.
상기 저면받침판(50)의 배출홀(50a)을 통해 아래로 배출되는 유분은 팬박스(20) 바닥의 연통홀을 통과하여 아래로 떨어져서 유분트레이(40)에 포집된다.(도 4a 참조)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팬(30)의 작동으로 팬박스(20) 내에서 비산된 유분이 팬박스(20)를 구성하는 측벽과 바닥이 연접되는 이음매 등과 접하지 않기 때문에, 이음매를 통하여 팬박스(20)의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유분트레이(40)에 포집된 유분은 유분호스(60) 측으로 흘러들게 되며, 유분호스(60)로 유입된 유분은 유분호스(60)의 타측선단 즉 게이지부(601)에 까지 도달하게 된다.
(ⅱ) 유분처리수단의 작용
차단패널(14)에 접하여 아래로 흘러내린 유분은 유분트레이(40)로 유입되어 저장되는데 유분트레이(40)에 유입된 유분은 유분호스(60)로 흘러들게 된다.
상기 홀더유닛(70)의 회전클립(74)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유분호스(60)의 외측선단 역시 회전클립(74)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됨으로써 이른바 게이지부(601)를 형성하게 되는데, 유분호스(60)의 게이지부(601)에서도 유분트레이(40)내의 유분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유분이 차오르게 되며, 유분트레이(40)에서와 동일한 높이로 유분의 수위가 형성된다.(도 3a, 4a 참조)
그리고, 상기 유분호스(60)가 투시성(透視性) 소재으로 이루어지고, 회전클립(74)의 전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특성상, 유분호스(60)내에서 차오르는 유분의 수위를 보고, 유분트레이(40)에 포집된 유분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분호스(60)의 게이지부(601)에서의 유분의 수위가 최고점(full)에 근접하게 되면, 이는 유분트레이(40)의 유분 포집량 또한 최대치에 근접하였다는 것이기 때문에 유분이 포집량이 최대치를 넘기 전에 드레인(drain) 하여야 한다.
드레인 작업시에는 회전클립을 아래로 회전시켜서 유분호스(60)의 게이지부(601)가 아래를 향하여 구부러지도록 함으로써 게이지부(601)의 선단이 유분트레이(40)의 바닥면 보다 높이가 낮게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유분트레이(40)에 포집된 유분이 유분호스(60)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드레인 작업이 이루어진다.(도 3b, 4b)
회전클립(74)의 회전시에는 상기 회전클립(74)의 양측면의 탄성턱부(741)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상기 탄성턱부(741)와 홀더브라켓(72)의 걸림턱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회전클립(74)을 회전시키게 되며, 드레인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홀더클립(74)을 세우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홀더브라켓(72)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유분호스(60)의 게이지부(601)가 다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분호스(60)의 소재특성 및 배치구성을 조합함으로써, 유분호스(60)가 유분의 포집량을 측정하는 게이지로서의 역할과, 유분을 배출하는 드레인 기구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가능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20: 팬박스 22: 측벽
24: 바닥 30: 배기팬
40: 유분트레이 50: 저면트레이
50a: 배출홀 52: 측면차단패널
60: 유분호스 601: 게이지부
70: 홀더유닛 72: 홀더브라켓
74: 회전클립 741: 탄성턱부

Claims (7)

  1. 그 일측면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가열식 조리기구가 그 상면에 배치되는 후드하우징과,
    상기 후드하우징의 상면에 직립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측면에서 흡기작용을 행하는 후드포스트와,
    상기 후드하우징내에 구비되어 상기 후드포스트와 연통되는 후드덕트와,
    상기 후드하우징내에서 상기 후드덕트와 연통되는 팬박스와,
    상기 팬박스내에 구비된 배기팬과,
    상기 팬박스에서 아래로 흘러내린 유분이 담겨지는 유분트레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팬박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에 의해 비산되는 유분이 팬박스의 이음매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유분차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차단수단은
    상기 배기팬의 하방에 구비되어 팬박스의 아래로 흘러내리는 유분이 유도되어 모아지도록 하는 저면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차단수단은
    상기 배기팬의 측방에 구비되어 팬박스의 측벽 내면에 점착되어 흘러내리는 유분이 상기 하방 받침판의 상면으로 흘러들도록 하는 복수개의 측면차단패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트레이에 담겨진 유분의 수위를 후드하우징의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유분의 배출이 가능토록 하는 유분처리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처리수단은
    상기 유분트레이에 그 일측 선단이 연통되고, 타측 선단이 후드하우징의 외부로 이어지는 투시성(透視性) 소재의 유분호스와,
    상기 후드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분호스의 타측 선단을 지지하는 홀더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유분호스를 통하여 유분트레이에 포집된 유분을 선택적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유분호스를 통하여 유분트레이에 포집된 유분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후드하우징의 외면에 부착된 홀더브라켓과,
    상기 홀더브라켓에 상하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클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분호스의 타측 선단은 상기 회전클립에 끼워짐으로써 회전클립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구부러지는 게이지부를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클립은 그 전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유분호스가 보이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KR1020180009412A 2018-01-25 2018-01-25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KR102057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412A KR102057688B1 (ko) 2018-01-25 2018-01-25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412A KR102057688B1 (ko) 2018-01-25 2018-01-25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564A true KR20190090564A (ko) 2019-08-02
KR102057688B1 KR102057688B1 (ko) 2020-01-22

Family

ID=6761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412A KR102057688B1 (ko) 2018-01-25 2018-01-25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6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1122A (ja) * 1998-10-15 2000-04-28 Matsushita Seiko Co Ltd 調理用排気装置
JP2008144975A (ja) * 2006-12-06 200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排気処理システム
KR101126188B1 (ko) * 2011-07-27 2012-03-22 송하견 물받침이 없는 화분
KR101486725B1 (ko) * 2014-09-29 2015-01-29 주식회사 홈쿠벤 급배기 겸용 인덕션 환기시스템
KR20180002040A (ko) *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하츠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1122A (ja) * 1998-10-15 2000-04-28 Matsushita Seiko Co Ltd 調理用排気装置
JP2008144975A (ja) * 2006-12-06 200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排気処理システム
KR101126188B1 (ko) * 2011-07-27 2012-03-22 송하견 물받침이 없는 화분
KR101486725B1 (ko) * 2014-09-29 2015-01-29 주식회사 홈쿠벤 급배기 겸용 인덕션 환기시스템
KR20180002040A (ko) *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하츠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688B1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273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бавления выпускаемого пара и 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AU2016202468B2 (en) Steaming accessory comprising a receptacle for collecting condensates designed to rest on a mixing bowl of a household appliance
EP2322859A1 (en) Cooking device
WO2007013408A1 (ja) 加熱調理器および加熱調理器用トレイ
KR20080031983A (ko) 가열 조리기
CN114867902A (zh) 衣物处理装置
JP2008025895A (ja) 水タンク及び加熱調理器
US20070187388A1 (en) Steam generating device and steam cook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KR102057688B1 (ko)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US3117583A (en) Parts washer
JP2013144004A (ja) 炊飯器
JP2007032890A (ja) 加熱調理器
JP2009030874A (ja) 蒸気調理器
KR102201070B1 (ko) 조리 장치
GB2028069A (en) Combined microwave and gas heated oven
CN209173973U (zh) 一种实验室用多功能实验台
CN102589016B (zh) 一种多功能光波炉
JP6446253B2 (ja) 加熱調理器
ES2614424T3 (es) Máquina de tratamiento de la colada
KR102646744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WO20010518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n oven
KR102402760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WO2017182539A1 (en) Boiler
US2085297A (en) Discharging device for gases and vapors
KR200443883Y1 (ko) 전기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