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040A -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 Google Patents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040A
KR20180002040A KR1020170079671A KR20170079671A KR20180002040A KR 20180002040 A KR20180002040 A KR 20180002040A KR 1020170079671 A KR1020170079671 A KR 1020170079671A KR 20170079671 A KR20170079671 A KR 20170079671A KR 20180002040 A KR20180002040 A KR 20180002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box
fan
cabinet
can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범
정만교
정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츠
Publication of KR2018000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는, 그 일측면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조리용 가열기구가 그 상면에 배치되는 팬박스와, 상기 팬박스내에 구비된 흡기팬과, 상기 팬박스와 연통되어 직립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포스트덕트와, 상기 포스트덕트 위에 구성되어 포스트덕트와 연통되며 그 상단 전면(前面)에 흡기구가 형성된 흡기캐비넷과, 상기 흡기캐비넷에 내장된 필터와, 상기 흡기캐비넷의 흡기영역을 벗어나서 상승되는 유증기의 확산을 차단하고 흡기하기 위한 보조흡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흡기수단은 상기 흡기캐비넷의 상단에 구비되어 흡기캐비넷과 연통되며, 흡기캐비넷의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다수개의 흡기구가 구비된 캐노피박스와, 상기 캐노피박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노피박스에 근접하는 유증기를 강제적으로 캐노피박스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보조흡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흡기수단은 상기 캐노피박스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용 가열기구의 상방을 커버하는 루프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에 의하면 흡기팬이 낮게 위치되는 구조상, 그 사용시에 발생하는 흡기팬의 작동소음과 진동이 사용자에게 강하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인덕션레인지와 같은 조리용 가열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유증기가 강한 상승기류를 형성하지 않고 옆으로 확산유동되는 경우에 더욱 효율적인 흡기 작용이 가능하다는 특징도 있다.

Description

하방배기형 후드장치{hood unit with downward exhaust function}
본 발명은 유증기가 발생하는 조리용기와 근접하여 흡기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후드장치는 조리용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연소 가스나, 음식냄새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후드(12)내에 흡기팬(14)과 필터(16) 등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실외로 이어지는 배기덕트(18)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후드장치(10)는 주방에 설치된 가스레인지 등의 조리용 가열기구(R)의 상방에 배치되며, 벽체(W)에 부착되는 이른바 벽부착식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벽부착식의 후드장치(10)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W)에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설치를 위한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고, 건물 구조나 주방가구 배치 구조상 조리용 가열기구(R)의 상방에 충분한 여유공간이 형성될 수 없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그 사용이 불가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후드장치의 사용시에는 흡기팬(14)의 작동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는데 종래 벽부착식의 후드장치(10)는 후드(12)내에 흡기팬(14)이 내재되는 구조상, 흡기팬(14)이 조리용 가열기구(R)의 상방에서 사용자의 얼굴 높이와 비슷한 높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진동과 소음이 사용자에게 강하게 전달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조리용 가열기구(R)로서는 조리용기에 열을 가하여 가열하는 방식(가스레인지나 전기히터 레인지 등)과, 유도자기장을 형성하여 조리용기가 자체적으로 발열되도록 하는 방식(인덕션 레인지)가 있는데, 가스레인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리용기는 물론이고 조리용기의 외부로도 강한 열기가 확산됨으로써 열기에 의해 유증기의 온도가 높고, 강한 상승기류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인덕션 레인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리용기가 자체적으로 발열되어 담겨진 음식물이 가열되기는 하지만, 조리용기의 외부에는 발열원이 없기 때문에 유증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상승기류를 강하게 형성하지 않고 옆으로 확산되는 유동형태를 갖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벽부착식 후드장치(10)는 조리용 가열기구(R)의 상방으로 상당히 이격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인덕션레인지와 같은 방식의 조리용 가열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상승기류가 약하고 옆으로 확산되는 유증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흡기작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가 간편하고,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불편함이 감소됨과 더불어 인덕션레인지 방식의 조리용 가열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 효율적인 유증기의 흡기작용이 가능한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는, 그 일측면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조리용 가열기구가 그 상면에 배치되는 팬박스와, 상기 팬박스내에 구비된 흡기팬과, 상기 팬박스와 연통되어 직립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포스트덕트와, 상기 포스트덕트 위에 구성되어 포스트덕트와 연통되며 그 상단 전면(前面)에 흡기구가 형성된 흡기캐비넷과, 상기 흡기캐비넷에 내장된 필터와, 상기 흡기캐비넷의 흡기영역을 벗어나서 상승되는 유증기의 확산을 차단하고 흡기하기 위한 보조흡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흡기수단은 상기 흡기캐비넷의 상단에 구비되어 흡기캐비넷과 연통되며, 흡기캐비넷의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다수개의 흡기구가 구비된 캐노피박스와, 상기 캐노피박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노피박스에 근접하는 유증기를 강제적으로 캐노피박스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보조흡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흡기수단은 상기 캐노피박스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용 가열기구의 상방을 커버하는 루프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는 상기 캐노피박스와 연통되며 캐노피박스의 상방을 커버함으로써 캐노피박스의 흡기영역으로부터 이탈되는 유증기를 흡기하기 위한 커버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는, 종래의 벽부착식의 후드장치에 비하여, 설치편의성이 높고, 조리용 가열기구의 상방에 충분한 여유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여 실내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보조흡기수단의 적절한 활용으로 인하여 높은 흡기성능 또한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흡기팬이 낮게 위치되는 구조상, 그 사용시에 발생하는 흡기팬의 작동소음과 진동이 사용자에게 강하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인덕션레인지와 같은 조리용 가열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유증기가 강한 상승기류를 형성하지 않고 옆으로 확산유동되는 경우에 더욱 효율적인 흡기 작용이 가능하다는 특징도 있다.
도 1: 일반적인 벽부착식의 후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기본배기모드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b: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보강배기모드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2부터 도 5까지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200)는, 그 일측면에 배기구(도면생략)가 형성되고 조리용 가열기구(R)가 그 상면에 배치되는 팬박스(20)와, 상기 팬박스(20)내에 구비된 흡기팬(22)과, 상기 팬박스(20)와 연통되어 직립되는 형태로 구성된 포스트덕트(24)와, 상기 포스트덕트(24) 위에 구성된 흡기캐비넷(26)과, 상기 흡기캐비넷(26)내에 내장된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흡기캐비넷(26)의 상단 전면(前面)에는 흡기구(26a)가 형성되고, 포스트덕트(24)와 흡기캐비넷(26)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포스트덕트(24)는 흡기정압이 향상되도록 팬박스(20)와 연결되는 선단(하단)의 폭이 좁고 흡기캐비넷과 연결되는 선단(상단)이 폭이 넓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기캐비넷(26)은 상기 필터(28)의 교체 내지는 그 내부공간 청소를 위하여 전면부가 개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열선(261)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기캐비넷(26)의 흡기영역을 벗어나서 상승되는 유증기의 확산을 차단하고 흡기하기 위한 보조흡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흡기수단은 상기 흡기캐비넷(26)의 상단에 구비되어 흡기캐비넷(26)과 연통되며, 흡기캐비넷(26)의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다수개의 흡기구(30a)가 구비된 캐노피박스(30)와, 상기 캐노피박스(3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노피박스(30)에 근접하는 유증기를 강제적으로 캐노피박스(30)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보조흡기팬(32)과, 상기 캐노피박스(30)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용 가열기구(R)의 상방을 커버하는 루프커버(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3a, 3b 참조)
여기서, 상기 캐노피박스(30)의 일측 저면은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기구(30a)는 캐노피박스(30)의 만곡된 일측 저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분산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루프커버(34) 역시 캐노피박스(30)의 만곡된 저면에 맞추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루프커버(34)의 바깥쪽 선단은 아래로 더욱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열선이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에 의하면, 흡기팬(22)만이 작동되는 기본배기모드 및, 보조흡기수단까지 사용되는 보강배기모드가 선택적으로 가능한데, 각 배기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본배기모드에 의하면, 팬박스(20)내의 흡기팬(22)만이 가동되고, 조리용 가열기구(R)의 사용으로 발생된 유증기가 흡기캐비넷(26)의 상부에 형성된 흡기구(26a)를 통하여 흡기캐비넷(26) 내로 흡입된다.
상기 흡기캐비넷(26)의 내부로 흡입된 유증기는 필터(28)를 거치면서 여과된 다음 포스트덕트(24)를 거쳐서 팬박스(20)로 유입된 다음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기본배기모드는 조리되는 음식의 양이 많지 않아서 유증기의 발생량또한 많지 않은 경우에 유용하며, 보조흡기팬(32)이 가동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사용면에서 경제적이라고 볼 수 있다.(도 3a 참조)
보강배기모드에서는 팬박스(20)내의 흡기팬(22)과 더불어 보조흡기수단을 구성하는 보조흡기팬(32)까지 작동되는데, 이에 따르면, 보조흡기팬(32)의 작용으로 캐노피박스(30)의 흡기구(30a)를 통해서도 유증기가 강하게 흡기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강배기모드는 다량의 유증기가 발생하여 강하게 상승함으로써, 유증기가 흡기캐비넷(26)의 흡기영역을 벗어나서 확산되는 상황에서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도 3b 참조)
여기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캐노피박스(30)의 일측 저면(흡기구가 형성된 면)은 만곡된 형태이기 때문에 상승하는 유증기가 캐노피박스(30)의 만곡된 저면을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흡기구(30a)를 통하여 부드럽고 효율적으로 흡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루프커버(34)를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루프커버(34)를 캐노피박스(30)로부터 인출하여 조리용 가열기구(R)의 상방을 커버하게 되면, 급격하게 상승되는 유증기가 상기 루프커버(34)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상승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정체되고, 대신에 측방으로 분산된다.
그러므로, 상방에서 흡기 작용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벽부착식 후드장치(10)와 달리 측방에서 흡기작용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후드장치(200)의 특성상, 상기 루프커버(34)를 사용하게 되면, 본 발명의 후드장치(200)의 흡기작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서, 상기 루프커버(34)의 바깥쪽 선단이 아래로 더욱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진 특성상, 루프커버(34)의 저면을 따라 유동되던 유증기가 루프커버(34) 바깥으로 그냥 빠져나가지 않고, 다시 아래쪽으로 꺽이어 유동됨으로써 재차 캐노피박스(30)를 통해 흡입될 확율이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루프커버(34)가 선택적으로 인출되어 사용되도록 이루어진 것은 루프커버(34)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흡기 성능이 향상되지만 반면에 그 만큼의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흡기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주방)이 협소하거나, 기타 가구들의 배치와 간섭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한편, 인덕션레인지 방식의 조리용 가열기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강하게 유증기의 상승기류가 강하지 않고 옆으로 확산되는 유동형태를 갖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흡기캐비넷(26)과 캐노피박스(30)가 유증기의 발생원(조리용기)와 근접하여 흡기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흡기작용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인덕션레인지 방식의 조리용 가열기구가 사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유증기는 외부 열원에 의해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증기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흡기캐비넷(26)이나 포스트덕트(24) 등의 표면에 접촉시 응결되어 물방울이 생성되고, 이로 인한 청결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를 예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기캐비넷(26)의 내부에 열선(261)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열선(261)에 의하여 유증기가 가열되어, 유증기가 응결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루프커버(34)에 열선이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유증기가 흡기캐비넷(26)으로 흡입되기에 앞서 루프커버(34)에 접하여 유동되는 과정에서 가열됨으로써 응결현상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200■)는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캐노피박스(30)와 연통되며 캐노피박스(30)의 상방을 커버하는 커버덕트(40)가 더욱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덕트(40)는 수직부(42)와 수평부(44)로 이루어지며, 수평부(44)는 캐노피박스(30)의 상방으로 일정거리 만큼 이격되어 구성되고, 수직부(42)의 측면과 수평부(44)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흡기구(42a)(44a)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흡기캐비넷(26) 및 캐노피박스(30)에 의한 흡기영역을 벗어나서 더욱 상승 확산되는 다량의 유증기에 대하여서도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므로, 일반 가정은 물론 유증기의 발생량이 매우 많은 요식업소 등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방배기형 후드장치(200)는 소음과 진동의 원인이 되는 흡기팬(22)이 팬박스(20)에 내장되어 낮게 위치될 뿐만 아니라, 조리용 가열기구(R)에 의해 팬박스(20)가 가려지기 때문에, 그 사용시에 흡기팬(22)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사용자에게 강하게 전달되지 않는다.
200: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20: 팬박스 22: 흡기팬 24: 포스트덕트
26: 흡기캐비넷 28: 필터
30: 캐노피박스 32: 보조흡기팬 34: 루프커버
40: 커버덕트 42: 수직부 44: 수평부

Claims (6)

  1. 그 일측면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조리용 가열기구가 그 상면에 배치되는 팬박스와,
    상기 팬박스내에 구비된 흡기팬과,
    상기 팬박스와 연통되어 직립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포스트덕트와,
    상기 포스트덕트 위에 구성되어 포스트덕트와 연통되며 그 상단 전면(前面)에 흡기구가 형성된 흡기캐비넷과,
    상기 흡기캐비넷에 내장된 필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조리용 가열기구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한 유증기가 상기 흡기팬의 흡기 작용으로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흡기캐비넷으로 흡입되고,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된 다음 포스트덕트를 거쳐서 팬박스로 유입되어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캐비넷의 흡기영역을 벗어나서 상승되는 유증기의 확산을 차단하고 흡기하기 위한 보조흡기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기수단은
    상기 흡기캐비넷의 상단에 구비되어 흡기캐비넷과 연통되며, 흡기캐비넷의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다수개의 흡기구가 구비된 캐노피박스와,
    상기 캐노피박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노피박스에 근접하는 유증기를 강제적으로 캐노피박스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보조흡기팬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기수단은
    상기 캐노피박스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용 가열기구의 상방을 커버하는 루프커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박스와 연통되며 캐노피박스의 상방을 커버함으로써 캐노피박스의 흡기영역으로부터 이탈되는 유증기를 흡기하기 위한 커버덕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캐비넷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유증기의 온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하는 열선이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KR1020170079671A 2016-06-28 2017-06-23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KR201800020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20 2016-06-28
KR20160081020 2016-06-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299U Division KR20190002784U (ko) 2019-10-24 2019-10-24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40A true KR20180002040A (ko) 2018-01-05

Family

ID=6100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671A KR20180002040A (ko) 2016-06-28 2017-06-23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0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564A (ko) * 2018-01-25 2019-08-02 주식회사 하츠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KR20190102314A (ko) 2018-02-25 2019-09-04 이홍선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WO2022245002A1 (ko) * 2021-05-18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인지 후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564A (ko) * 2018-01-25 2019-08-02 주식회사 하츠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KR20190102314A (ko) 2018-02-25 2019-09-04 이홍선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WO2022245002A1 (ko) * 2021-05-18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인지 후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3631B (zh) 具有烹调区域和排烟设备的组合式装置
KR20180002040A (ko)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EP1672285B1 (en) Hood ventilation apparatus
CN201277612Y (zh) 一种吸烟口可独立控制的家用厨电集成灶
CN111503668A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KR20110012038U (ko) 보조 흡입구가 구비된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
CN210399023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KR100983811B1 (ko) 급식실용 에어닥트 시스템
JP2003144250A (ja) レンジフード捕集補助装置
KR200386369Y1 (ko) 신선공기 도입형 주방용 레인지후드
KR10114071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06001065A1 (ja) 室内空気によるエアカーテンを形成するレンジフード
KR20190002784U (ko)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JP3953012B2 (ja) レンジフード
CN210399022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JPH09280622A (ja) 遊煙通路を備えたレンヂフード
JPH04113143A (ja) 厨房用レンジ装置
CN210399024U (zh) 一种带有烹饪装置的集成灶
JP6089209B2 (ja) レンジフード
KR100705098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000060555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JP2002168496A (ja)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排気装置
CN111503672A (zh) 一种带有烹饪装置的集成灶
CN210107489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CN214791270U (zh) 一种具有烘干功能的集成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