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301A -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301A
KR20190090301A KR1020180009009A KR20180009009A KR20190090301A KR 20190090301 A KR20190090301 A KR 20190090301A KR 1020180009009 A KR1020180009009 A KR 1020180009009A KR 20180009009 A KR20180009009 A KR 20180009009A KR 20190090301 A KR20190090301 A KR 20190090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
tetrahydrofuran
hydroxymethyl
dihydropyrimidin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윤영
김경진
김미현
김욱일
남화정
방형태
신진수
윤지혜
장예진
Original Assignee
에스티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0301A/ko
Priority to JP2020540631A priority patent/JP7190494B2/ja
Priority to EP19743401.2A priority patent/EP3744726A4/en
Priority to US16/963,900 priority patent/US11655268B2/en
Priority to CN201980021422.8A priority patent/CN111902419B/zh
Priority to PCT/KR2019/001036 priority patent/WO2019147050A1/ko
Publication of KR2019009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30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07H19/073Pyrimidine radicals with 2-deoxyribosyl as the saccharide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07H19/067Pyrimidine radicals with ribosyl as the saccharide rad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07H19/10Pyrimidine radicals with the saccharide radical esterified by phosphoric or polyphosphoric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ulmonology (AREA)
  • AIDS & HIV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Novel nucleoside or nucleotid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들은 임상에서 바이러스 감염 또는 암관련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젬스타빈(Gemcitabine)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RNA 바이러스 (예,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사스 및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및 레트로바이러스 (예,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에 대하여 보고되었다 (Clouser et al., 2012; Kang et al., 2015, de Wilde et al., 2014). 세포 기반의 항바이러스 시험을 수행한 결과 젬스타빈(Gemcitabine)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형, B형), 엔테로바이러스(콕사키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그리고 코로나비리데(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 광범위한 효능을 보였다.
하지만, 배양 세포에 대하여 광범위한 독성이 관찰되었으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경우 감염용으로 사용되는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개의 신장세포 유래) 세포의 경우에는 100 μM 농도를 3일간 투여할 경우 50% 가량의 세포 사멸이 유도되었다.
따라서, 항바이러스 활성은 유지하면서 세포 독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를 합성하여 항바이러스 효능을 조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연구노력한 결과, 새롭게 고안하여 합성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들이 항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화합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Y 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NHC(O)R3 이고;
R1 은 수소 또는
Figure pat00002
이고;
R2 는 수소 또는 할로이고;
R3 는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이고(여기서, 상기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비치환되거나 1 내지 4개의 수소가 할로, 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아지도, 티올, 히드록시,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아미노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디히드록시알킬, C1-6 알콕시, C1-6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1-3 알콕시-C1-3 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음};
R4, R5 및 R6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 알킬, C1-6 할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할로는 F, Cl, Br 또는 I 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3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이며,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5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히드록시, 옥소, C1-6 히드록시알킬, 할로, 시아노, 니트로,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포르밀, C1-6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6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6 알킬카바모일, 디(C1-6 알킬)카바모일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3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할로알킬, 할로, 시아노, 피라지닐, 히드록시, 옥소, 니트로, 포르밀, C1-6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6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6 알킬카바모일, 디(C1-6 알킬)카바모일 또는 C1-6 알킬설포닐로 치환될 수 있음.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에서,
Y 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NHC(O)R3 이고;
R1 은 수소 또는
Figure pat00003
이고;
R2 는 수소 또는 할로이고;
R3 는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이고(여기서,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비치환되거나 1 내지 4개의 수소가 할로, 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아지도, 티올, 히드록시, C1-4 알킬, C1-4 할로알킬, C1-4 아미노알킬, C1-4 히드록시알킬, C1-4 디히드록시알킬, C1-4 사이클로알킬, C1-4 알콕시, 헤테로사이클릴, C1-3 알콕시-C1-3 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음);
R4, R5 및 R6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4 알킬, C1-4 할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할로는 F, Cl, Br 또는 I 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3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이며,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5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4 알킬, 히드록시, 옥소, C1-4 히드록시알킬, 할로, 시아노, 니트로, C1-4 할로알킬, C1-4 알콕시, 포르밀, C1-4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4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4 알킬아미노, 디(C1-4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4 알킬카바모일, 디(C1-4 알킬)카바모일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3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할로알킬, 할로, 시아노, 피라지닐, 히드록시, 옥소, 니트로, 포르밀, C1-4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6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4 알킬아미노, 디(C1-4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4 알킬카바모일, 디(C1-4 알킬)카바모일 또는 C1-4 알킬설포닐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인,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에서,
R3 는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또는 트리아지닐 이고 (여기서, 상기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또는 트리아지닐은 비치환되거나 1 내지 4개의 수소가 할로, 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아지도, 티올, 히드록시, C1-4 알킬, C1-4 할로알킬, C1-4 아미노알킬, C1-4 히드록시알킬, C1-4 디히드록시알킬, C1-4 사이클로알킬, C1-4 알콕시, 헤테로사이클릴, C1-3 알콕시-C1-3 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음);
상기 아릴은 페닐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디하이드로퓨라닐, 디하이드로피라닐, 디옥사닐, 디티아닐, 디옥솔라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피롤리닐, 옥세타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몰포리닐, 티오몰포리닐, 디옥소티오몰포리닐, 디옥소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디옥소티올라닐, 옥소피페리디닐, 옥소피롤리디닐, 옥소이미다졸리디닐 또는 옥소옥사졸리디닐일 수 있고;
상기 헤테로아릴은 테트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트리아지닐, 피롤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피라지닐, 퓨릴, 티에닐,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퓨라자닐, 옥사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인다졸릴,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벤조티아졸릴, 벤조옥사졸릴, 벤조퓨라닐, 벤조이미다졸릴, 벤조트리아졸릴 또는 아자인돌릴이고;
상기 각각의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4 알킬, 히드록시, 옥소, 할로 또는 C1-4 할로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4 알킬, C1-4 할로알킬, 할로, 히드록시 또는 옥소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인,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에서,
Y 는 옥소피롤리디닐, 옥소이미다졸리디닐 또는 -NHC(O)R3 이고, 상기 옥소피롤리디닐 및 옥소이미다졸리디닐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1 내지 3개의 수소가 플루오로, 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R2 는 수소 또는 플푸오로이고;
R3 는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또는 피리다지닐이고 (여기서, 상기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또는 피리다지닐은 비치환되거나 1 내지 4개의 수소가 플루오로, 클로로, 메틸,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음)인,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에서,
Y 는 옥소피롤리디닐, 옥소이미다졸리디닐, 니코티노일아미노, 피콜리노일아미노, 플루오로니코티노일아미노, 메틸니코티노일아미노, 피리다지닐카르보닐아미노, 플루오로피콜리노일아미노, 메틸피콜리노일아미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티노일아미노인,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1)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니코틴아마이드;
2)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
3)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플루오로니코틴아마이드;
4)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틸니코틴아마이드;
5)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리다진-3-카르복시아마이드;
6)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4-(2-옥소이미다졸리딘-1-일)피리미딘-2(1H)-온;
7)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4-(2-옥소피롤리딘-1-일)피리미딘-2(1H)-온;
8)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4-(3-메틸-2-옥소이미다졸리딘-1-일)피리미딘-2(1H)-온;
9)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플루오로피콜린아마이드;
10)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메틸피콜린아마이드;
11)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2-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
12)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3-메틸피콜린아마이드;
13)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틸피콜린아마이드;
14)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
15)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1-메틸-1H-피라졸-4-카복스아마이드;
16) 이소프로필 ((S)-(((2R,3R,5R)-4,4-디플루오로-3-히드록시-5-(4-(니코틴아미도)-2-옥소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펜옥시)포스포일)-L-알라니네이트;
17)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페닐피콜린아마이드;
18) 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4-(3-메틸-2-옥소피롤리딘-1-일)피리미딘-2(1H)-온;
19)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니트로피콜린아마이드;
20) 5-아미노-N-(1-((2R,4R,5R)-3,3-디플로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1)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메톡시피콜린아마이드;
22)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톡시니코틴아마이드;
23) 6-클로로-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니코틴아마이드;
24)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2-메틸피리미딘-4-카복스아마이드;
25)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페닐피콜린아마이드;
26)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니코틴아마이드;
27)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페닐피콜린아마이드;
28)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페닐피콜린아마이드;
29)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2-메틸피리미딘-4-카복스아마이드;
30)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니트로피콜린아마이드;
31) 5-아미노-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
32)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틸니코틴아마이드;
33)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리다진-3-카복스아마이드;
34)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틸피라진-2-카복스아마이드;
35) 5-플루오로-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
36)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리미딘-4-카복스아마이드;
37) 5-시아노-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
38)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메틸피콜린아마이드;
39)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메톡시피콜린아마이드;
40)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2-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
41)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
42) 6-플루오로-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니코틴아마이드;
43)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톡시니코틴아마이드; 및
44) 이소프로필((S)-(((2R,3R,4R,5R)-4-플루오로-3-히드록시-5-(4-(2-메틸피리미딘-4-카복사미도)-2-옥소피리딘-1(2H)-일)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톡시)(펜옥시)포스포일)-L-알라니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환자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이로운 효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상기 화합물의 임의의 모든 유기산 또는 무기산 부가염을 의미한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또는 질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또는 요오드화수소산(hydroiod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의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화합물과 동등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의 염이면 제한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일련의 반응에 의해 4-아미노-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또는 4-아미노-1-((2R,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으로부터 합성될 수 있고, 구체적인 일 양태로서,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하기 반응식 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예시적인 제조방법일 뿐,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거나 적절히 변경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출발물질인 4-아미노-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또는 4-아미노-1-((2R,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으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하나 이상의 반응을 추가로 수행하여 치환기(R3)를 도입할 수 있다.
예컨대,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1)에서 알코올에 보호화 반응을 수행하여 화합물 (2)를 합성하고 다양한 카르보닐 할라이드를 이용하여 아마이드 반응을 통하여 본 발명의 표제 화합물인 뉴클레오사이드 유도체 화합물 (3)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4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화 반응에서 종래 보호기로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들을 제한없이 보호기 (P)로서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트리메틸실릴(TMS) 또는 tert-부틸디메틸실릴(TBS)기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반응은 상기 중간체(2)를 Pyridine/DCM 용매에서 원하는 표제 화합물에 적합한 치환기(R3)를 포함하는 카르보닐 할라이드와 반응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응은 -78 ~ 60 에서 7 내지 18 시간 동안 반응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4)에서 포스포아미다이트 반응을 수행하여 화합물 (5)를 합성하고 다양한 카르보닐 할라이드를 이용하여 아마이드 반응 후 탈보호화 반응을 통하여 본 발명의 표제 화합물인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화합물 (6)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05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은 상기 화합물(4)를 THF 용매에서 t-BuMgCl을 이용하여 포스포아미다이트 화합물(5)를 합성하고 원하는 표제 화합물에 적합한 치환기(R3)를 포함하는 카르보닐 할라이드와 반응 후 탈보호화 반응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탈보호화 반응은 0 내지 상온에서 TBAF(Tetrabutylammonium fluoride) 용액을 이용하여 0.5 내지 1 시간 동안 반응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를 이용한 예방 또는 치료방법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 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범용적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바이러스 감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바이러스 감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HIV, HBV, HCV, 인플루엔자(influenza), 피코나(picorna), 플라비(flavi), 알파(alpha), 플레보바이러스(phlebovirus), 에볼라(ebola) 또는 코로나(corona)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나는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탄키라제 관련 질환의 발생, 확산 및 재발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상기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75 중량%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 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내, 복강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화합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kg 당 1 내지 1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6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게서 바이러스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어 "개체"란, 상기 바이러스 관련 질환이 발명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기존의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어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는 정맥 주사제, 피하 주사제, 피내 주사제, 근육 주사제, 점적 주사제 등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예방 또는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유효성분으로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외의 공지된 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공지의 약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외에 공지된 항바이러스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질환의 치료를 위해 공지된 다른 치료와 병용될 수 있다. 다른 치료에는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골수 이식, 줄기-세포 대체치료, 다른 생물학적 치료, 면역치료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는 항바이러스 및 항암 활성이 우수하므로, 바이러스 감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4 -아미노-1-(( 2R,4R,5R )-3,3- 디플루오로 -4-( 트리메틸실릴옥시 )-5-((트리메틸실릴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I-A)의 제조
Figure pat00007
4-아미노-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히드로클로라이드(600 mg, 2.002 mmol)를 pyridine(10 ml)에 용해시킨 후 TMSCl(0.76 ml, 6.006 mmol)를 가하였다. 55 내지 60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EtOAc에 희석시킨 후 포화 CuSO4 수용액으로 5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흰색 고체로 60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07.8(M+H+)
제조예 2: 4 -아미노-1-(( 2R,3R,4R,5R )-3- 플루오로 -4-(( 트리메틸실릴 ) 옥시 )-5-((( 트리메틸실실 )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I-B)의 제조
Figure pat00008
4-아미노-1-((2R,3R,4R,5R)-3-플루오로-4-히디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1 g, 4.078 mmol)를 pyridine(10 ml)에 용해시킨 후 TMSCl(1.54 ml, 12.234 mmol)를 가하였다. 7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EtOAc에 희석시킨 후 포화 CuSO4 수용액으로 5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흰색 고체로 1.57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90.1(M+H+)
실시예 1: N-(1-((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4-아미노-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히드로클로라이드(1 g, 3.337 mmol)를 pyridine(16.7 ml)에 용해시킨 후 TMSCl(1.4 ml, 11.012 mmol)를 가하였다. 55 내지 60에서 3.5시간 동안 교반한 후 nicotinoyl chloride hydrochloride(720 mg, 4.044 mmol)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EtOAc에 희석시킨 후 포화 CuSO4 수용액으로 5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흰색 고체로 1.67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13.0(M+H+)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65 g, 3.219 mmol)을 DCM(6 ml)에 용해시킨 후 4 M HCl in dioxane(8 ml)를 0에서 천천히 가하였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정제수로 희석하고 2 N NaOH 수용액을 가하여 pH를 6 내지 7로 조절하였다. 석출된 고체(precipitate)를 여과, 건조하여 흰색 고체로 1.08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69.0(M+H+)
실시예 2: N-(1-((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Picolinoyl chloride hydrochloride (141.5 mg, 0.674 mmol)와 I-A(260 mg, 0.683 mmol)를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71.5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68.2(M+H+)
실시예 3: N-(1-((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플루오로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6-fluoronicotinoylchloride (133 mg, 0.834 mmol)와 I-A(200 mg, 0.490 mmol)를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38.6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86.2(M+H+)
실시예 4: N-(1-((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틸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6-methylnicotinoylchloride (133 mg, 0.834 mmol)와 I-A(100 mg, 0.245 mmol)를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32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82.3(M+H+)
실시예 5: N-(1-((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리다진-3-카르복시아마이드의 제조
pyridazine-3-carbonyl chloride(210 mg, 1.472 mmol)와 I-A(500 mg, 1.226 mmol)를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54.4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69.2(M+H+)
실시예 6: N-(1-((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4-(2-옥소이미다졸리딘-1-일)피리미딘-2(1H)-온의 제조
단계 1: I-A(200 mg, 0.49 mmol)를 chloroform(5 ml)에 용해시킨 후 2-chloroethylisocyanate(0.04 ml, 0.49 mmol)를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여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THF(2.5 ml)에 용해시킨 후 60% NaH(37 mg, 1.47 mmol)를 -20에서 가하고 서서히 온도를 올려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에 얼음을 넣고 5분간 교반한 후 EtOAc로 희석하고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킨 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잔사를 MeOH로 희석하고 DCM을 가하여 석출된 고체(precipitate)를 여과, 건조하여 흰색 고체로 96.1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32.2(M+H+)
실시예 7: N-(1-((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4-(2-옥소피롤리딘-1-일)피리미딘-2(1H)-온의 제조
단계 1: picolinoyl 4-bromobutyrylchloride (0.4 ml, 3.434 mmol)와 TEA(1.2 ml, 8.587 mmol)를 DCM(8.5ml)에 용해된 I-A(162 mg, 0.397 mmol)에 -50에서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액을 1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DCM으로 희석하여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 후 800 mg을 얻어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800 mg, 1.437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303.2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31.2(M+H+)
실시예 8: N-(1-((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4-(3-메틸-2-옥소이미다졸리딘-1-일)피리미딘-2(1H)-온의 제조
단계 1: (2R,3R,5R)-5-(4- 아미노 -2-옥소피리미딘-1(2H)-yl)-4,4- 디플루오로 -2-((3-플루오로벤조일옥시)메틸) 테트라히드로퓨란 -3-일 3-플루오로벤조에이트(200 mg, 0.394 mmol)를 DCM(4 ml)에 용해시킨 후 pyridine(0.05 ml, 0.591 mmol)과 phenyl chloroformate(0.06 ml, 0.472 mmol)를 가하였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pyridine(4 ml)에 용해시킨 후 2-chloro-N-methylethanamine hydrochloride(256 mg, 1.97 mmol)를 가하고 5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EtOAc에 희석시킨 후 포화 CuSO4 수용액으로 5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흰색 고체로 17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626.9(M+H+)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70 mg, 0.288 mmol)을 MeOH(1 ml)에 용해시킨 후 7 N NH3 in MeOH(2 ml)를 가하고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흰색 고체로 64.3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46.2(M+H+)
실시예 9: N-(1-((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플루오로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6-fluoropicolinic acid(300 mg, 2.126 mmol)을 DCM(4.25 ml)에 용해시킨 후 DMF(16.5 μl, 0.213 mmol)와 oxalyl chloride(0.27 ml, 3.189 mmol)을 0에서 천천히 가한다. 반응액을 상온에서 2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에테르로 세척 후 건조하여 살구색 고체로 339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6-fluoropicolinoyl chloride(88 mg, 0.552 mmol)와 DIPEA(0.48 ml, 2.76 mmol)를 DCM(1.2 ml)에 용해된 I-A(150 mg, 0.368 mmol)에 -78에서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액을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DCM으로 희석하여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흰색 고체로 36.7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86.8(M+H+)
실시예 10: N-(1-((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메틸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5-methylpicolinic acid(200 mg, 1.458 mmol)를 oxalyl chloride(0.38 ml, 4.374 mmol)와 반응시켜 얻어진 5-methylpicolinoyl chloride(119 mg, 0.766 mmol)와 I-A(260 mg, 0.683 mmol)를 상기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67.5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82.8(M+H+)
실시예 11: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2-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2-methyl-6-(trifluoromethyl)nicotinic acid(205 mg, 1.000 mmol)를 oxalyl chloride(0.36 ml, 3.000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2-methyl-6-(trifluoromethyl)nicotinoyl chloride(164.7 mg, 0.737 mmol)와 I-A(200 mg, 0.491 mmol)를 상기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75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50.6(M+H+)
실시예 12: N-(1-((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3-메틸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3-methylpicolinic acid(300 mg, 2.188 mmol)를 oxalyl chloride(0.56 ml, 6.563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3-methylpicolinoyl chloride(86 mg, 0.552 mmol)와 I-A(150 mg, 0.368 mmol)를 상기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액체로 80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55.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80 mg, 0.165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44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83.0(M+H+)
실시예 13: N-(1-((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틸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6-methylpicolinic acid(300 mg, 2.188 mmol)를 oxalyl chloride(0.56 ml, 6.563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6-methylpicolinoyl chloride(68.7 mg, 0.442 mmol)와 I-A(150 mg, 0.368 mmol)를 상기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4.4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83.0(M+H+)
실시예 14: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6-(trifluoromethyl)nicotinic acid(150 mg, 0.784 mmol)를 oxalyl chloride(0.13 ml, 1.569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6-(trifluoromethyl)nicotinoyl chloride(62 mg, 0.294 mmol)와 I-A(100 mg, 0.245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살구색 고체로 108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81.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08 mg, 0.185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9.8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37.0(M+H+)
실시예 15: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1-메틸-1H-피라졸-4-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1-methyl-1H-pyrazole-4-carboxylic acid (300 mg, 2.380 mmol)를 oxalyl chloride(0.4 ml, 4.720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1-methyl-1H-pyrazole-4-carbonyl chloride (85 mg, 0.588 mmol)와 I-A(200 mg, 0.490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살구색 고체로 148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16.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48 mg, 0.287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8.2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72.1(M+H+)
실시예 16: 이소프로필 ((S)-(((2R,3R,5R)-4,4-디플루오로-3-히드록시-5-(4-(니코틴아미도)-2-옥소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펜옥시)포스포일)-L-알라니네이트의 제조
단계 1: 4-amino-1-((2R,4R,5R)-4-((tert-butyldimethylsilyl)oxy)-3,3-difluoro-5-(hydroxymethyl)tetrahydrofuran-2-yl)pyrimidin-2(1H)-one (365 mg, 0.967 mmol)를 THF(10 ml)에 녹이고 0 oC로 냉각한다. t-BuMgCl(1.7 M in THF) 0.85 ml를 천천히 넣어주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Isopropyl ((R)-(perfluorophenoxy)(phenoxy)phosphoryl)-L-alaninate를 THF 소량에 녹인 후 천천히 넣어주었다. 온도를 상온으로 천천히 올린 후 상온에서 2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암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로 442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647.2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442 mg, 0.683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497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752.2(M+H+)
단계 3: 단계 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442 mg, 0.683 mmol)을 THF(0.5 ml)에 녹이고 0 oC로 냉각한다. TBAF 1M in THF 0.16 ml를 천천히 넣은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암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로 52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638.1(M+H+)
실시예 17: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페닐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6-phenylpicolinic acid (250 mg, 1.254 mmol)를 oxalyl chloride(0.27 ml, 3.189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6-phenylpicolinoyl chloride(159.9 mg, 0.735 mmol)와 I-A(200 mg, 0.49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액체로 정제 없이 얻었으며 다음 단계를 진행하였다
LC-MS (ESI, m/z) = 589.1(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0.49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23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45.0(M+H+)
실시예 18: 1 -(( 2R,4R,5R )-3,3- 디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4-(3-메틸-2-옥소피롤리딘-1-일)피리미딘-2(1H)-온의 제조
단계 1: 3-methyldihydrofuran-2(3H)-one (1 g, 9.988 mmol)를 Hydrogen bromide solution(33 wt. % in acetic acid, 9.98 ml, 30.266 mmol), thionyl chloride(6 ml, 50.432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4-bromo-2-methylbutanoyl chloride (0.12 ml, 0.919 mmol)와 I-A(250 mg, 0.513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주황색 고체로 349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16.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300 mg, 0.581 mmol)을 DMF(0.6 ml)에 용해시킨 후 TEA(0.2 ml, 1.402 mmol)를 가하고 200에서 1시간 동안 microwave reactor로 반응하였다. 반응액을 EtOAc에 희석시킨 후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노란색 고체로 21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90.1 (M+H+)
실시예 19: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니트로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5-nitropicolinic acid(300 mg, 1.785 mmol)를 oxalyl chloride(0.46 ml, 5.353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5-nitropicolinoyl chloride(98.6 mg, 0.442 mmol)와 I-A(150 mg, 0.368 mmol)를 상기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로 100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58.0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00 mg, 0.179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로 59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14.0 (M+H+)
실시예 20: 5-아미노-N-(1-((2R,4R,5R)-3,3-디플로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의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10 mg, 0.197 mmol)를 수소 기체 하에서 10% Pd/C(55 mg)과 반응시켜 얻어진 화합물(90 mg, 0.197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로 82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84.1(M+H+)
실시예 21: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메톡시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5-methoxypicolinic acid (200 mg, 1.305 mmol)를 oxalyl chloride(0.28 ml, 3.264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5-methoxypicolinoyl chloride (126 mg, 0.735 mmol)와 I-A(200 mg, 0.49 mmol)를 상기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10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43.2(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10 mg, 0.202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35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99.0(M+H+)
실시예 22: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톡시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6-methoxynicotinic acid (200 mg, 1.305 mmol)를 oxalyl chloride(0.22 ml, 2.611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6-methoxynicotinoyl chloride (168 mg, 0.980 mmol)와 4-아미노-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히드로클로라이드(200 mg, 0.668 mmol)를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06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43.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06 mg, 0.195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71.8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99.1(M+H+)
실시예 23: 6-클로로-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6-chloronicotinoyl chloride (117 mg, 0.668 mmol)와 4-아미노-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히드로클로라이드(200 mg, 0.668 mmol)를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95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47.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95 mg, 0.173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30.4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03.0(M+H+)
실시예 24: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2-메틸피리미딘-4-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2-methylpyrimidine-4-carboxylic acid (200 mg, 1.448 mmol)를 oxalyl chloride(0.24 ml, 2.896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2-methylpyrimidine-4-carbonyl chloride (104 mg, 0.668 mmol)와 4-아미노-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히드로클로라이드(200 mg, 0.668 mmol)를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246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27.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246 mg, 0.466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83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84.1(M+H+)
실시예 25: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페닐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5-phenylpicolinic acid (300 mg, 1.505 mmol)를 oxalyl chloride(0.25 ml, 3.011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5-phenylpicolinoyl chloride (138 mg, 0.637 mmol)와 I-A(200 mg, 0.490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살구색 고체로 190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89.2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90 mg, 0.322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49.7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45.1(M+H+)
실시예 26: N-(1-(( 2S,3R,4R,5R )-3- 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Nicotinoyl chloride HCL (158.6 mg, 0.891 mmol)와 I-B(315.5 mg, 0.81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30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93.1(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30 mg, 0.262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6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51.0(M+H+)
실시예 27: N-(1-(( 2S,3R,4R,5R )-3- 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페닐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4-아미노-1-((2R,3R,4R,5R)-3-플루오로-4-히디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200 mg, 0.407 mmol)를 pyridine(2 ml)에 용해시킨 후 TMSCl(0.3 ml, 1.223 mmol)를 가하였다. 55 내지 6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후 5로 냉각하고 6-phenylpicolinoyl chloride (177 mg, 0.407 mmol)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EtOAc에 희석시킨 후 포화 CuSO4 수용액으로 5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흰색 고체로 272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71.2(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272 mg, 0.477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34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27.1(M+H+)
실시예 28: N-(1-(( 2S,3R,4R,5R )-3- 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페닐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5-phenylpicolinic acid (300 mg, 1.505 mmol)를 oxalyl chloride(0.25 ml, 3.011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5-phenylpicolinoyl chloride (111 mg, 0.513 mmol)와 I-B(200 mg, 0.513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살구색 고체로 125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71.2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25 mg, 0.219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69.5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27.1(M+H+)
실시예 29: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2-메틸피리미딘-4-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2-methylpyrimidine-4-carboxylic acid (200 mg, 1.448 mmol)를 oxalyl chloride(0.24 ml, 2.896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2-methylpyrimidine-4-carbonyl chloride (104 mg, 0.668 mmol)와 4-아미노-1-((2R,3R,4R,5R)-3-플루오로-4-히디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200 mg, 0.816 mmol)를 상기 실시예 27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320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10.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320 mg, 0.627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74.5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66.1(M+H+)
실시예 30: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니트로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5-nitropicolinic acid(300 mg, 1.785 mmol)를 oxalyl chloride(0.46 ml, 5.353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5-nitropicolinoyl chloride(143 mg, 0.4770 mmol)와 I-B(300 mg, 0.770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로 213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40.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213 mg, 0.394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64.6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96.0 (M+H+)
실시예 31: 5-아미노-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0의 단계 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58 mg, 0.146 mmol)을 수소 기체 하에서 10% Pd/C(55 mg)과 반응시켜 셀라이트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흰색 고체로 32.8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66.1 (M+H+)
실시예 32: N-(1-(( 2S,3R,4R,5R )-3- 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틸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6-methylnicotinic acid (400 mg, 2.916 mmol)를 oxalyl chloride(0.5 ml, 5.833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6-methylnicotinoyl chloride (126 mg, 0.816 mmol)와 4-아미노-1-((2R,3R,4R,5R)-3-플루오로-4-히디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200 mg, 0.816 mmol)를 상기 실시예 27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59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09.2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59 mg, 0.312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03.9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65.1(M+H+)
실시예 33: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리다진-3-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pyridazine-3-carboxylic acid (415 mg, 3.344 mmol)를 oxalyl chloride(0.85 ml, 10.032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pyridazine-3-carbonyl chloride (586 mg, 3.303 mmol)와 4-아미노-1-((2R,3R,4R,5R)-3-플루오로-4-히디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700 mg, 2.753 mmol)를 상기 실시예 27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로 729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96.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729 mg, 1.470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석출된 고체(precipitate)를 여과, 건조하여 흰색 고체로 523.2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52.1(M+H+)
실시예 34: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틸피라진-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6-methylpyrazine-2-carboxylic acid (200 mg, 1.448 mmol)를 oxalyl chloride(0.24 ml, 2.896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6-methylpyrazine-2-carbonyl chloride (88.4 mg, 0.564 mmol)와 I-B(200 mg, 0.513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15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10.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15 mg, 0.225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54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66.1(M+H+)
실시예 35: 5-플루오로-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5-fluoropicolinic acid (141 mg, 1 mmol)를 oxalyl chloride(0.257 ml, 3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5-fluoropicolinoyl chloride HCl (120.54 mg, 0.615 mmol)와 I-B(200 mg, 0.513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15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13.2(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15 mg, 0.22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48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69.0(M+H+)
실시예 36: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리미딘-4-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pyrimidine-4-carboxylic acid (200 mg, 1.611 mmol)를 oxalyl chloride(0.4 ml, 4.833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pyrimidine-4-carbonyl chloride (137.6 mg, 0.769 mmol)와 I-B(200 mg, 0.513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06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96.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15 mg, 0.225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54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52.1(M+H+)
실시예 37: 5-시아노-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5-cyanopicolinic acid (148 mg, 1 mmol)를 oxalyl chloride(0.257 ml, 3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5-cyanopicolinoyl chloride HCl (125 mg, 0.615 mmol)와 I-B(200 mg, 0.513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액체로 100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20.0(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00 mg, 0.192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로 52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76.0(M+H+)
실시예 38: N-(1-(( 2S,3R,4R,5R )-3- 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메틸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5-methylpicolinic acid (200 mg, 1.458 mmol)를 oxalyl chloride(0.37 ml, 4.375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5-methylpicolinoyl chloride (197 mg, 1.026 mmol)와 I-B(200 mg, 0.513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215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09.2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215 mg, 0.422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06.4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65.1(M+H+)
실시예 39: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메톡시피콜린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5-methoxypicolinic acid (200 mg, 1.305 mmol)를 oxalyl chloride(0.33 ml, 3.915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5-methoxypicolinoyl chloride (213 mg, 1.026 mmol)와 I-B(200 mg, 0.513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39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25.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39 mg, 0.264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57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81.1(M+H+)
실시예 40: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2-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2-methyl-6-(trifluoromethyl)nicotinic acid (200 mg, 0.974 mmol)를 oxalyl chloride(0.25 ml, 2.922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2-methyl-6-(trifluoromethyl)nicotinoyl chloride (329 mg, 1.572 mmol)와 4-아미노-1-((2R,3R,4R,5R)-3-플루오로-4-히디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200 mg, 0.816 mmol)를 상기 실시예 27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로 98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77.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98 mg, 0.169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64.8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33.1(M+H+)
실시예 41: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6-(trifluoromethyl)nicotinic acid (200 mg, 1.046 mmol)를 oxalyl chloride(0.26 ml, 3.139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6-(trifluoromethyl)nicotinoyl chloride (189 mg, 0.769 mmol)와 4-아미노-1-((2R,3R,4R,5R)-3-플루오로-4-히디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 (200 mg, 0.816 mmol)를 상기 실시예 27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로 202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63.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202 mg, 0.359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66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19.0(M+H+)
실시예 42: 6-플루오로-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6-fluoronicolinic acid (200 mg, 1.417 mmol)를 oxalyl chloride(0.36 ml, 4.252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6-fluoronicolinoyl chloride (100.5 mg, 0.513 mmol)와 I-B(200 mg, 0.513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75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13.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75 mg, 0.342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5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69.0 (M+H+)
실시예 43: N-(1-(( 2S,3R,4R,5R )-3- 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퓨란 -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톡시니코틴아마이드 제조
단계 1: 6-methoxypicolinic acid (200 mg, 1.305 mmol)를 oxalyl chloride(0.33 ml, 3.915 mmol)과 반응시켜 얻어진 6-methoxypicolinoyl chloride (213 mg, 1.026 mmol)와 I-B(200 mg, 0.513 mmol)를 상기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125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25.1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25 mg, 0.238 mmol)을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흰색 고체로 31.4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81.1(M+H+)
실시예 44: 이소프로필 ((S)-(((2R,3R,4R,5R)-4-플루오로-3-히드록시-5-(4-(2-메틸피리미딘-4-카복사미도)-2-옥소피리미딘-1(2H)-일)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톡시)(히드록시)포스포릴)-L-알라니네이트 제조
단계 1: 4-아미노-1-((2R,3R,4R,5R)-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3-플루오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피리미딘-2(1H)-온(395 mg, 1.10 mmol)를 실시예 16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로 318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629.2 (M+H+)
단계 2: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307 mg, 0.488 mmol)을 상기 실시예 9의 아마이드를 얻은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로 345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749.2(M+H+)
단계 3: 단계 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20 mg, 0.160 mmol)을 THF(0.8 ml)에 녹이고 -5 oC로 냉각한다. TBAF 1M in THF 0.17 ml를 천천히 넣은 후 20분 동안 동일한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을 가하고 EtOAc로 희석시킨 후 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암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로 60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635.0(M+H+)
상기 실시예를 구조와 명칭으로 아래 표 1과 같이 정리하였다.
Figure pat00009
(표 1의 계속)
Figure pat00010
(표 1의 계속)
Figure pat00011
실험예 1: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효능시험
실시예의 화합물들이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활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의 준비
MDCK(Madin-Darby canine kidney) 세포는 미국 ATCC에서 구입하였으며, 10% 소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포함된 MEM(minimal essential medium)에서 배양하였으며, 배양기의 온도는 37 , 이산화탄소 농도는 5%로 유지하였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Puerto Rico/8/34 (H1N1) (이하, "PR8"이라함), A/HongKong/8/68 (H3N2) (이하, "HK"이라 함), B/Lee/40 (이하, "Lee"라 함)은 ATCC에서 구입하였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PR8과 HK은 10일된 계란에 접종하여 37 에서 증식시켰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Lee는 MDCK 세포에 감염시켜 증식시켰으며, 이때 배양액에는 혈청이 없는 상태에서, 2 μg/ml의 TPCK-trypsin(Sigma, (St. Louis, MO)이 첨가되었다. 배양 온도는 35를 유지하였다. 감염 3일 후에, 계란의 요막 액(allantoic fluids) 또는 세포 배양액을 1,000 rpm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정제함으로써 증식된 바이러스를 획득하였다. 바이러스 역가는 닭 적혈구에 포함된 혈구응집소(hemagglutinin, HA)를 이용하거나, MDCK 세포에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바이러스 플라크(plaque) 수를 측정하였다. 각 바이러스를 분주하여 70 에서 보관하였다.
(2) 세포병변효과(cytopathic effect)의 감소 측정
96-웰 플레이트에 충분히 자란 MDCK 세포를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세척을 한 뒤, 50-100 플라크 형성 단위 (plaque forming units, PFU)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웰 마다 접종하였다. 1시간 가량 바이러스가 세포에 감염이 되도록 방치하는데, 이때 PR8, HK, Lee 바이러스를 35 에서 감염이 되도록 하였다. 바이러스가 포함된 배양액을 제거하고 인산완충식염수로 세척을 한 후, 각 실시예 화합물이 다양한 농도로 희석된 2 mg/ml TPCK-trypsin 포함 MEM 배양액을 웰 마다 첨가하였다. 감염 후 3일째 되는 날, 3-(4,5-dimethylthiazol-2-yl)-2,5-dipheyltetrazolimbromide (MTT)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도(cell viability)를 측정하였다[Y. Jang et al., 2016. Antiviral activity of KR-23502 targeting nuclear export of influenza B virus ribonucleoproteins, Antiviral Res 134:77-88].
방법을 간단히 정리하면,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웰 마다 100 μl의 MTT 용액 (2.5 mg/ml)을 첨가하고 37에서 1 시간 방치하였다. MTT solvent (4 mM HCl, 0.1% Nondet P-40 (NP40) in isopropanol)을 100 μl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540 nm - 690 nm에서 spectrophotometer (모델명: SpectraMax M3 plate reader, 제조사: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로 흡광의 세기를 측정하였다. 50% 세포 독성 농도(CC50, 정상 세포의 50%의 손상을 가하는 화합물의 농도)와 50% 유효 농도(EC50,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세포 독성을 50% 정상화시키는 농도)를 계산하였다. 비교군으로는, 종래의 표준 항바이러스제인 아만타딘(AMT; Sigma), 오셀타미버 카르복실레이트(oseltamivir carboxylate)(OSV-C; US Biological, Swampscott, MA) 및 리바비린(RBV; Sigma)이 사용되었다.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의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효능
실시예 Toxicity Anti-Flu activity (EC50: μM) Selectivity index
FluA FluA FluB FluA FluA FluB
CC50
(μM)
H1N1
(PR8)
H3N2
(Hong Kong)
Lee H1N1
(PR8)
H3N2
(Hong Kong)
Lee
1 >100.0 21.00 128.00 8.60 >14.3 >23.4 >34.9
2 >100.0 1.7 1.00 2.20 >176.5 >300 >136.4
3 >100.0 2.5 1.90 2.40 >40.0 >52.6 >41.7
4 >100.0 1.8 2.00 1.90 >166.7 >150.0 >157.9
5 >100.0 2.2 1.90 2.10 >136.4 >157.9 >142.9
7 >100.0 14.1 15.40 9.40 >7.1 >6.5 >10.6
9 >100.0 8.8 4.40 6.10 >11.4 >22.7 >16.4
10 >100.0 16.1 11.40 9.80 >6.2 >8.8 >10.2
12 >100.0 56.9 51.70 49.10 >1.8 >1.9 >2.0
13 >100.0 9.1 7.10 7.80 >11.0 >14.1 >12.8
14 >100.0 6 2.9 3.1 >16.7 >34.5 >32.3
15 >100.0 12 6.8 8 >8.3 14.7 12.5
17 >100.0 1.7 3.30 2.40 >58.8 >30.3 >41.7
18 >100.0 53.4 83.00 49.30 >1.9 >1.2 >2.0
19 >100.0 1.4 2.00 <1.2 >71.4 >50.0 >83.3
20 >100.0 9.7 18.80 19.50 >10.3 >5.3 >5.1
21 >100.0 20.7 27.90 22.30 >4.8 >3.6 >4.5
22 >100.0 20.1 36.40 24.40 >5.0 >2.7 >4.1
23 >100.0 6.3 8.20 6.20 >15.9 >12.2 >16.1
24 >100.0 <1.2 2.20 <1.2 >83.3 >45.5 >83
25 >100.0 6.5 9.50 6.10 >15.4 >10.5 >16.4
27 >100.0 20.1 15.70 15.60 >5.0 >6.4 >6.4
28 >100.0 67.5 18.00 27.80 >1.5 >5.6 >3.6
29 >100.0 15.4 2.60 5.60 >6.5 >38.5 >17.9
30 >100.0 19.5 3.50 6.50 >5.1 >28.6 >15.4
33 >100.0 10 2.60 7.80 >10.0 >38.5 >12.8
34 >100.0 23.6 5.60 11.10 >4.2 >17.9 >9.0
35 >100.0 65.5 19.20 37.40 >1.5 >5.2 >2.7
36 >100.0 33.3 6.80 11.40 >3.0 >14.7 >8.8
37 >100.0 47.3 6.00 15.10 >2.1 >16.7 >6.6
38 >100.0 56.1 40.0 52.2 >1.8 >2.5 >1.9
41 >100.0 46.3 16.0 18.9 >2.2 >6.3 >5.3
42 >100.0 46.2 17.9 18.3 >2.2 >5.6 >5.5
Gemcitabine 240.80 0.70 0.70 1.30 344 344 185.2
2'-FdC >100.0 3.7 13.10 5.20 >27 >7.6 >19.2
AMT >100.0 >100.0 1.1 >100.0 ND >90.9 ND
RBV >100.0 42.6 21.2 40.6 >2.3 >4.7 >2.5
OSV-C >100.0 0.09 <0.005 1.46 >1,111 >20,000 >68.5
실험예 2: 항코로나바이러스 효능시험
실시예의 화합물들이 다양한 항코로나바이러스에 활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1.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의 준비.
Huh-7 (Human hepatoma-7) 세포는 일본 세포주은행(JCRB)에서 구입하였으며, 10% 소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포함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MRC-5 세포는 미국 ATCC에서 구입하였으며, 10% 소혈청이 포함된 MEM(Minimal essential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배양기의 온도는 37 ℃, 이산화탄소 농도는 5%로 유지하였다.
메르스바이러스(MERS-CoV/KOR/KNIH/002_05_2015)는 질병관리본부로부터 분양 받았으며, 인간코로로나바이러스 hCoV 229E, OC43, 고양이 복막염바이러스 (FIPV: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는 ATCC에서 구입하였다. 메르스바이러스는 Huh-7세포에 감염시켜 37 ℃에서 증식시켰다. 동일한 방법으로 hCoV 229E와 OC43는 MRC-5 세포에 감염시켜 증식하였고, FIPV는 CRFK 세포에서 증식하였다. 감염 2~3일후 에 세포 배양액을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증식된 바이러스를 획득하였다. 바이러스 역가는 각 바이러스 증식에 이용한 세포에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바이러스 플라크(plaque) 수를 측정하였다. 각 바이러스는 소량으로 분주하여 70 ℃에 보관하였다.
2. 세포병변효과 (cytopathic effect)의 감소 측정
96-웰 플레이트에 자란 Huh-7 (메르스), MRC-5 (hCoV 229E, O43), CRFK (FIPV) 세포에 각 해당 바이러스를 웰 마다 접종한 후, 각 실시 예 화합물이 다양한 농도로 희석되어 포함한 배양액을 윌 마다 첨가하였다. 감염 후 3일째 되는 날, 3-(4,5-dimethylthiazol-2-yl)-2,5-dipheyltetrazolimbromide (MTT)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도(cell viability)를 측정하였다. 흡광세기는 540 nm - 690 nm에서 spectrophotometer (모델명: SpectraMax M3 plate reader, 제조사: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로 측정하였다. 50% 세포 독성 농도(CC50, 정상 세포의 50%의 손상을 가하는 화합물의 농도)와 50% 유효 농도(EC50,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세포 독성을 50% 정상화시키는 농도)를 계산하였다. 비교군으로는 gemcitabine (Sigma)이 사용되었다.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의 항코로나바이러스 효능
실시예 Coronaviruses
MERS-CoV hCoV (229E) hCoV (OC43) FIPV
CC50
(μM)
EC50
(μM)
SI CC50
(μM)
EC50
(μM)
SI CC50
(μM)
EC50
(μM)
SI CC50
(μM)
EC50
(μM)
SI
1 >100 10.4 >9.62 >100 4.6 >21.74 >100 76 >
1.32
56 25 2.24
2 >100 1.8 >55.56 >100 0.8 >125.0 >100 >100 ND >100 9.1 >10.99
3 >100 8.9 >11.24 >100 1.8 >55.56 >100 >100 ND >100 24 >
4.17
4 >100 2.2 >45.45 >100 11.1 >9.01 >100 >100 ND >100 8.1 >12.35
5 >100 1.4 >71.43 >100 8.9 >11.24 >100 17.2 5.81 >100 8.5 >11.76
7 >100 17.6 >5.68 >100 >100 ND >100 77 >
1.30
9 >100 2.4 >41.67 >100 >100 ND >100 18 >
5.56
10 >100 7.4 >13.51 >100 >100 ND 92 21 4.38
12 >100 12.2 >8.20
13 >100 5.8 >17.24
27 56.60 20.9 2.71
28 >100 <100 ND
29 >100 <100 ND
30 >100 <100 ND
31 >100 <100 ND
32 >100 <100 ND
33 >100 <100 ND
34 >100 <100 ND
35 >100 <100 ND
36 >100 <100 ND
37 >100 <100 ND
Gemcitabine >100 1.10 90.91 >100 0.44 227.27 92 21 4.38
실험예 3: 항모기매개바이러스 ( 뎅기 , 지카 , 치쿤구니아 ) 효능시험
실시예의 화합물들이 다양한 항모기매개바이러스에 활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1. 플라비바이러스와 알파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의 준비.
Vero (African green monkey kidney) 세포는 미국 ATCC에서 구입하였으며, 10% 소혈청이 포함된 DMEM에서 배양하였다. 배양기의 온도는 37 ℃, 이산화탄소 농도는 5%로 유지하였다.
플라비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뎅기바이러스 New Guinea C (NGC) (이하, "DENV" 라함)는 영국 NCPV (National Collection of Pathogenic Viruses)에서 구입하였고, 지카바이러스 (MR766)은 미국 ATCC에서 구입하였다. 알파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치쿤구니아 바이러스는 국내환자 분리주로 질병관리본부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 받았다. 플라비바이러스와 알파바이러스는 Vero 세포에 감염시켜 37 ℃에서 증식시켰다. 바이러스 역가는 Vero 세포에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바이러스 플라크(plaque) 수를 측정하였다. 각 바이러스는 소량으로 분주하여 70 ℃에 보관하였다.
2. 면역형광염색법(Immunofluorescence assay)을 이용한 바이러스 감염 감소 측정
96-웰 플레이트에 자란 Vero 세포에 각 뎅기바이러스 또는 지카바이러스를 웰 마다 접종한 후, 각 실시 예 화합물이 다양한 농도로 희석되어 포함한 배양액을 윌 마다 첨가하였다. 감염 후 3일째 되는 날, 플라비바이러스 막단백질에 교차반응을 보이는 4G2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감염된 세포를 면역형광염색법으로 분석하고, 형광값은 이미지분석 장비인 Operetta (PerkinElm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세포병변효과 (cytopathic effect)의 감소 측정
96-웰 플레이트에 자란 Vero 세포에 치쿤구니아 바이러스를 웰 마다 접종한 후, 각 실시 예 화합물이 다양한 농도로 희석되어 포함한 배양액을 윌 마다 첨가하였다. 감염 후 3일째 되는 날, 3-(4,5-dimethylthiazol-2-yl)-2,5-dipheyltetrazolimbromide (MTT)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도(cell viability)를 측정하였다. 흡광세기는 540 nm - 690 nm에서 spectrophotometer (모델명: SpectraMax M3 plate reader, 제조사: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로 측정하였다. 50% 세포 독성 농도(CC50, 정상 세포의 50%의 손상을 가하는 화합물의 농도)와 50% 유효 농도(EC50,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세포 독성을 50% 정상화시키는 농도)를 계산하였다. 비교군으로는 클로로퀸 (Chloroquine, Sigma)이 사용되었다.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의 항모기매개바이러스 효능
실시예 Flavivirus Alphavirus
DENV ZIKV CHIKV
CC50
(μM)
EC50
(μM)
SI CC50
(μM)
EC50
(μM)
SI CC50
(μM)
EC50
(μM)
SI
1 >100 3.42 >29.24
2 >100 0.72 >138.89
3 >100 1.87 >53.48
4 >100 0.71 >140.85
5 >100 0.94 >106.38
7 >100 15.65 >6.39
9 >100 1.34 >74.63
10 >100 2.53 >39.53
12 >100 6.16 >16.23
13 >100 1.98 >50.51
17 58.9 <1.2 >49.08
18 11.1 35.5 0.31
19 <1.2 <1.2 ND
20 75.9 1.6 47.44
21 >100 1.3 >76.92
22 <1.2 <1.2 ND
23 <1.2 <1.2 ND
24 55.35 <1.2 >46.12
25 29.5 <1.2 >24.58
26 >100 57.7 >1.73
27 64.44 13.68 4.71 >100 >100 ND >100 >100 ND
28 >100 25.33 >3.95 >100 >100 ND >100 >100 ND
29 >100 >100 ND >100 >100 ND >100 23.97 >4.17
30 >100 77.9 >1.28 >100 >100 ND >100 62.45 >1.60
31 >100 >100 ND >100 57.59 >1.74
33 >100 >100 ND >100 >100 ND >100 86.37 >1.16
36 >100 >100 ND >100 >100 ND >100 57.74 >1.73
37 >100 >100 ND >100 >100 ND >100 51.73 >1.93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에서,
    Y 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NHC(O)R3 이고;
    R1 은 수소 또는
    Figure pat00013
    이고;
    R2 는 수소 또는 할로이고;
    R3 은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이고(여기서, 상기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비치환되거나 1 내지 4개의 수소가 할로, 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아지도, 티올, 히드록시,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아미노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디히드록시알킬, C1-6 알콕시, C1-6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1-3 알콕시-C1-3 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음};
    R4, R5 및 R6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 알킬, C1-6 할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할로는 F, Cl, Br 또는 I 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3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이며,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5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히드록시, 옥소, C1-6 히드록시알킬, 할로, 시아노, 니트로,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포르밀, C1-6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6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6 알킬카바모일, 디(C1-6 알킬)카바모일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3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할로알킬, 할로, 시아노, 피라지닐, 히드록시, 옥소, 니트로, 포르밀, C1-6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6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6 알킬카바모일, 디(C1-6 알킬)카바모일 또는 C1-6 알킬설포닐로 치환될 수 있음.
  2. 제1항에 있어서,
    Y 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NHC(O)R3 이고;
    R1 은 수소 또는
    Figure pat00014
    이고;
    R2 는 수소 또는 할로이고;
    R3 는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이고(여기서,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비치환되거나 1 내지 4개의 수소가 할로, 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아지도, 티올, 히드록시, C1-4 알킬, C1-4 할로알킬, C1-4 아미노알킬, C1-4 히드록시알킬, C1-4 디히드록시알킬, C1-4 사이클로알킬, C1-4 알콕시, 헤테로사이클릴, C1-3 알콕시-C1-3 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음);
    R4, R5 및 R6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4 알킬, C1-4 할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할로는 F, Cl, Br 또는 I 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3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이며,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5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4 알킬, 히드록시, 옥소, C1-4 히드록시알킬, 할로, 시아노, 니트로, C1-4 할로알킬, C1-4 알콕시, 포르밀, C1-4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4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4 알킬아미노, 디(C1-4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4 알킬카바모일, 디(C1-4 알킬)카바모일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3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할로알킬, 할로, 시아노, 피라지닐, 히드록시, 옥소, 니트로, 포르밀, C1-4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6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4 알킬아미노, 디(C1-4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4 알킬카바모일, 디(C1-4 알킬)카바모일 또는 C1-4 알킬설포닐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인,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R3 는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또는 트리아지닐 이고 (여기서, 상기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또는 트리아지닐은 비치환되거나 1 내지 4개의 수소가 할로, 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아지도, 티올, 히드록시, C1-4 알킬, C1-4 할로알킬, C1-4 아미노알킬, C1-4 히드록시알킬, C1-4 디히드록시알킬, C1-4 사이클로알킬, C1-4 알콕시, 헤테로사이클릴, C1-3 알콕시-C1-3 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음);
    상기 아릴은 페닐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디하이드로퓨라닐, 디하이드로피라닐, 디옥사닐, 디티아닐, 디옥솔라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피롤리닐, 옥세타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몰포리닐, 티오몰포리닐, 디옥소티오몰포리닐, 디옥소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디옥소티올라닐, 옥소피페리디닐, 옥소피롤리디닐, 옥소이미다졸리디닐 또는 옥소옥사졸리디닐일 수 있고;
    상기 헤테로아릴은 테트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트리아지닐, 피롤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피라지닐, 퓨릴, 티에닐,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퓨라자닐, 옥사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인다졸릴,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벤조티아졸릴, 벤조옥사졸릴, 벤조퓨라닐, 벤조이미다졸릴, 벤조트리아졸릴 또는 아자인돌릴이고;
    상기 각각의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4 알킬, 히드록시, 옥소, 할로 또는 C1-4 할로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4 알킬, C1-4 할로알킬, 할로, 히드록시 또는 옥소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인,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Y 는 옥소피롤리디닐, 옥소이미다졸리디닐 또는 -NHC(O)R3 이고, 상기 옥소피롤리디닐 및 옥소이미다졸리디닐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1 내지 3개의 수소가 플루오로, 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R2 는 수소 또는 플푸오로이고;
    R3 는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또는 피리다지닐이고 (여기서, 상기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또는 피리다지닐은 비치환되거나 1 내지 4개의 수소가 플루오로, 클로로, 메틸,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음)인,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1항에 있어서,
    Y 는 옥소피롤리디닐, 옥소이미다졸리디닐, 니코티노일아미노, 피콜리노일아미노, 플루오로니코티노일아미노, 메틸니코티노일아미노, 피리다지닐카르보닐아미노, 플루오로피콜리노일아미노, 메틸피콜리노일아미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티노일아미노인,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니코틴아마이드;
    2)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
    3)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플루오로니코틴아마이드;
    4)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틸니코틴아마이드;
    5)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리다진-3-카르복시아마이드;
    6)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4-(2-옥소이미다졸리딘-1-일)피리미딘-2(1H)-온;
    7)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4-(2-옥소피롤리딘-1-일)피리미딘-2(1H)-온;
    8)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4-(3-메틸-2-옥소이미다졸리딘-1-일)피리미딘-2(1H)-온;
    9)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플루오로피콜린아마이드;
    10)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메틸피콜린아마이드;
    11)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2-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
    12)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3-메틸피콜린아마이드;
    13)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틸피콜린아마이드;
    14)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
    15)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1-메틸-1H-피라졸-4-카복스아마이드;
    16) 이소프로필 ((S)-(((2R,3R,5R)-4,4-디플루오로-3-히드록시-5-(4-(니코틴아미도)-2-옥소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펜옥시)포스포일)-L-알라니네이트;
    17)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페닐피콜린아마이드;
    18) 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4-(3-메틸-2-옥소피롤리딘-1-일)피리미딘-2(1H)-온;
    19)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니트로피콜린아마이드;
    20) 5-아미노-N-(1-((2R,4R,5R)-3,3-디플로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1)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메톡시피콜린아마이드;
    22)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톡시니코틴아마이드;
    23) 6-클로로-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니코틴아마이드;
    24)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2-메틸피리미딘-4-카복스아마이드;
    25) N-(1-((2R,4R,5R)-3,3-디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페닐피콜린아마이드;
    26)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니코틴아마이드;
    27)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페닐피콜린아마이드;
    28)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페닐피콜린아마이드;
    29)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2-메틸피리미딘-4-카복스아마이드;
    30)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니트로피콜린아마이드;
    31) 5-아미노-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
    32)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틸니코틴아마이드;
    33)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리다진-3-카복스아마이드;
    34)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틸피라진-2-카복스아마이드;
    35) 5-플루오로-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
    36)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리미딘-4-카복스아마이드;
    37) 5-시아노-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피콜린아마이드;
    38)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메틸피콜린아마이드;
    39)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5-메톡시피콜린아마이드;
    40)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2-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
    41)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마이드;
    42) 6-플루오로-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니코틴아마이드;
    43) N-(1-((2S,3R,4R,5R)-3-플루오로-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미딘-4-일)-6-메톡시니코틴아마이드; 및
    44) 이소프로필((S)-(((2R,3R,4R,5R)-4-플루오로-3-히드록시-5-(4-(2-메틸피리미딘-4-카복사미도)-2-옥소피리딘-1(2H)-일)테트라히드로퓨란-2-일)메톡시)(펜옥시)포스포일)-L-알라니네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라세미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관련 질환은 HIV, HBV, HCV, 인플루엔자(influenza), 피코나(picorna), 플라비(flavi), 알파(alpha), 플레보(phlebo), 에볼라(ebola) 또는 코로나(corona) 바이러스 질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180009009A 2018-01-24 2018-01-24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KR20190090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009A KR20190090301A (ko) 2018-01-24 2018-01-24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JP2020540631A JP7190494B2 (ja) 2018-01-24 2019-01-24 新規なヌクレオシドまたはヌクレオチド誘導体およびこれらの用途
EP19743401.2A EP3744726A4 (en) 2018-01-24 2019-01-24 NEW NUCLEOSIDE OR NUCLEOTIDE DERIVATIVES AND THEIR USES
US16/963,900 US11655268B2 (en) 2018-01-24 2019-01-24 Nucleoside or nucleotid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CN201980021422.8A CN111902419B (zh) 2018-01-24 2019-01-24 新的核苷或核苷酸衍生物及其用途
PCT/KR2019/001036 WO2019147050A1 (ko) 2018-01-24 2019-01-24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009A KR20190090301A (ko) 2018-01-24 2018-01-24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164A Division KR102145025B1 (ko) 2020-02-20 2020-02-20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301A true KR20190090301A (ko) 2019-08-01

Family

ID=6739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009A KR20190090301A (ko) 2018-01-24 2018-01-24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55268B2 (ko)
EP (1) EP3744726A4 (ko)
JP (1) JP7190494B2 (ko)
KR (1) KR20190090301A (ko)
CN (1) CN111902419B (ko)
WO (1) WO2019147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6244B2 (en) * 2020-01-17 2022-09-20 Matthew McLeay Compositions containing verteporfin, ribavirin, gemcitabine, or combinations thereof and methods of use for treating COVID-19, cancer, or non cancer diseases
US20230406878A1 (en) * 2020-11-11 2023-12-21 Biogen Ma Inc. Oligonucleotides, reagents, and prepar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7898A1 (de) 1996-07-11 1998-01-15 Hoechst Ag Festphasensynthese von Oligonucleotiden
US20030008841A1 (en) * 2000-08-30 2003-01-09 Rene Devos Anti-HCV nucleoside derivatives
CN101781283B (zh) * 2009-01-16 2014-04-23 凯熙医药(武汉)股份有限公司 硫氧还蛋白还原酶抑制剂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WO2014145207A1 (en) * 2013-03-15 2014-09-18 Ohio State Innovation Foundation Substituted gemcitabine bicyclic amide analogs and treatment methods using same
RU2534613C2 (ru) 2013-03-22 2014-11-27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Иващенко Алкил 2-{ [(2r,3s,5r)-5-(4-амино-2-оксо-2н-пиримидин-1-ил)- -гидрокси-тетрагидро-фуран-2-илметокси]-фенокси-фосфориламино} -пропионаты, нуклеозидные ингибиторы рнк-полимеразы hcv ns5b,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WO2015066053A2 (en) * 2013-10-28 2015-05-07 Synta Pharmaceuticals Corp. Targeted therapeutics
US10059733B2 (en) * 2014-03-03 2018-08-28 Nucorion Pharmaceuticals, Inc. Gemcitabine analogs
CN105001291B (zh) 2014-04-15 2018-12-04 上海知萌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吉西他滨化学传递前药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9508505A (ja) * 2016-03-14 2019-03-28 スフェラ ファーマ ピーブイティー リミテッドSphaera Pharma Pvt. Ltd. トリゴネリンベースの化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4726A4 (en) 2022-01-26
US20210040135A1 (en) 2021-02-11
JP2021511354A (ja) 2021-05-06
WO2019147050A1 (ko) 2019-08-01
CN111902419A (zh) 2020-11-06
JP7190494B2 (ja) 2022-12-15
US11655268B2 (en) 2023-05-23
EP3744726A1 (en) 2020-12-02
CN111902419B (zh) 202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3658B2 (ja) インフルエンザウィルス感染に使用するための複素環インドール
CN105473592B (zh) 用于治疗病毒感染和其他疾病的吡咯并[3,2-d]嘧啶衍生物
JP2020011990A (ja)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複製の阻害剤
JP2013545818A (ja)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複製阻害物質
CN105722831B (zh) 哒嗪酮化合物及其用途
CA2934251C (en) A combination of heterocyclic modulators of lipid synthesis and chemotherapeutic drugs in treatment of cancer
JP2013545817A (ja)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複製阻害物質
US10428041B2 (en) Pyridyl reverse sulfonamides for HBV treatment
JPH10507772A (ja) L−リボフラノシルヌクレオシド
JP2023537402A (ja) 抗ウイルス剤としての機能化ペプチド
US20230115107A1 (en) Novel spiropyrrolidine derived antiviral agents
CN112110877A (zh) 苯并异硒唑酮衍生物、制备方法及在抗冠状病毒药物中应用
JP2016516766A (ja) グルタルイミド誘導体、その使用、それに基づいた医薬組成物及びグルタルイミド誘導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20160031826A1 (en) Substituted Heterocyclic Compoun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Viral Infections
JP7190494B2 (ja) 新規なヌクレオシドまたはヌクレオチド誘導体およびこれらの用途
CN112010916B (zh) 核苷化合物的氨基磷酸酯衍生物及其用途
JP5404607B2 (ja) 抗rnaウイルス作用を有するアニリン誘導体
CN103608020A (zh) 治疗登革热的方法
KR20180106599A (ko)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환 치료용 화합물
CN1288152C (zh) 6-(4-取代-苯胺基)嘧啶衍生物、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的抗病毒药物组合物
US9284292B2 (en) Sialochimeric compounds
US20050239726A1 (en) Novel nucleosides and related process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2145025B1 (ko)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US20230331734A1 (en) Novel spiropyrrolidine derived antiviral agents
JP2008546837A (ja) 非ヌクレオシド逆転写酵素阻害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