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106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106A
KR20190090106A KR1020180008077A KR20180008077A KR20190090106A KR 20190090106 A KR20190090106 A KR 20190090106A KR 1020180008077 A KR1020180008077 A KR 1020180008077A KR 20180008077 A KR20180008077 A KR 20180008077A KR 20190090106 A KR20190090106 A KR 20190090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heet
disposed
display panel
vibration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5188B1 (ko
Inventor
노정훈
안이준
김명임
송근규
임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188B1/ko
Priority to US16/204,585 priority patent/US10990139B2/en
Priority to CN201910053347.5A priority patent/CN110072165B/zh
Publication of KR20190090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01L41/22
    • H01L51/52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10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in conta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05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using a piezoelectric polym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진동 음향 소자, 표시 패널의 하부에 진동 음향 소자와 인접 배치되고, 기능층과 기능층의 하면에 배치된 바텀 결합층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시트, 및 진동 음향 소자와 패널 하부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바텀 결합층과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바텀 결합층은 기능층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도록 기능층의 하면에 배치되고, 브라켓과 바텀 결합층이 노출하는 기능층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정의되며, 이격 공간은 진동 음향 소자와 공간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 스피커 기능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패널 하부 시트를 포함한다. 패널 하부 시트는 발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소리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리를 출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별도의 진동판을 포함하는 스피커가 표시 장치에 내장된다. 그러나, 별도의 진동판을 포함하는 스피커를 표시 장치에 장착하는 것은 제조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고 표시 장치의 슬림화에 역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을 진동판으로 사용하면서 충분한 울림 공간이 확보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진동 음향 소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인접 배치되고, 기능층과 상기 기능층의 하면에 배치된 바텀 결합층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시트,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상기 패널 하부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텀 결합층과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바텀 결합층은 상기 기능층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도록 상기 기능층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과 상기 바텀 결합층이 노출하는 상기 기능층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이격 공간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공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바텀 결합층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섬형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형 패턴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섬형 패턴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행렬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섬형 패턴의 밀도는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바텀 결합층은 상기 기능층의 하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를 수용하는 오목홈 및 상기 오목홈과 이격되어 배치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은 배터리홀일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은 상기 홀과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텀 결합층은 상기 오목홈과 상기 홀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의 상기 기능층의 하면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상기 바텀 결합층이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과 결합하는 결합 영역 및 상기 바텀 결합층이 배치되지 않아 상기 브라켓과 이격되는 이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 영역의 면적은 상기 결합 영역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를 수용하는 오목홈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홈 주변의 상기 패널 하부 시트의 측면은 상기 오목홈의 내측벽과 정렬되거나 그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평면상 상기 진동 음향 소자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 주변의 비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음향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부와 표시부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최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결합하는 탑 결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음향 소자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 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물질층은 압전체, 압전 필름, 및 전기 활성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음향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진동 음향 소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인접 배치된 패널 하부 시트,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상기 패널 하부 시트의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브라켓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재들을 일부는 결합시키고 다른 일부는 이격시키는 결합 부재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부재 패턴층에 의해 이격된 인접하는 상기 부재들 사이의 공간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공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결합 부재 패턴은 상기 패널 하부 시트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 패턴은 상기 패널 하부 시트의 최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제1 하부 패널 시트 및 상기 제1 하부 패널 시트의 하부에 배치된 제2 하부 패널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 패턴은 상기 제1 하부 패널 시트와 상기 제2 패널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하부 패널 시트와 상기 제2 하부 패널 시트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 패턴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섬형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형 패턴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행렬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섬형 패턴의 밀도는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표시 패널을 스피커의 진동판으로 이용하므로, 우수한 음향과 저음역 출력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 표시 패널 자체를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표시 장치의 크기가 감소하고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또, 결합층의 패턴을 통해 울림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진동 음향 소자와 브라켓의 오목홈 사이에 이격 공간이 없거나 그 크기가 충분하지 않더라도 음향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점선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결합층의 평면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음향 소자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결합 물질 패턴을 포함하는 전사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전사 필름을 패널 하부 시트의 기능층에 부착한 후 커버 필름을 박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바텀 결합층의 평면 배치를 나타낸 저면도들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점선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결합층의 평면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표시 장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장치, 디지털 카메라, 텔레비전, 외부 광고판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100) 하부에 배치된 진동 음향 소자(400)와 패널 하부 시트(500) 및 진동 음향 소자(400)와 패널 하부 시트(500)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600)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상부에 배치된 터치 부재(200)와 윈도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을 의미하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0)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양 장변(제1 장변(10s11)과 제2 장변(10s12))과 양 단변(제1 단변(10s21)과 제2 단변(10s2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장변(10s11, 10s12)과 단변(10s21, 10s22)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곡면을 이룰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은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00)로 유기 발광 표시 패널(100)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등 다른 종류의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은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리지드 기판일 수도 있고,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 폴리이미드 기판을 적용하는 경우, 표시 패널(100)은 휘거나 꺾이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표시부(DA) 및 표시부(DA)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부(ND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는 윈도우(300)가 배치된다.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는 한편, 표시 패널(100)에서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킨다. 윈도우(300)는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100)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100)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100)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양 단변에서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1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양 장변(10s11, 10s12)에서도 윈도우(300)가 표시 패널(100)로부터 돌출될 수 있지만, 돌출 거리는 양 단변(10s21, 10s22)의 경우가 더 클 수 있다.
윈도우(300)는 테두리에 위치하는 장식 및/또는 차광 패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 및/또는 차광 패턴(320)은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부(NDA)와 중첩하여, 비표시부(NDA)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윈도우(300)의 중앙부(310)는 표시 패널(100)의 표시부(DA)와 중첩하여 표시부(DA)에서 출사되는 빛을 투광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300) 사이에는 터치 부재(200)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부재(200)는 리지드 패널 타입 또는 플렉시블 패널 타입이거나 필름 타입일 수 있다. 터치 부재(200)는 표시 패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중첩 배치되고, 터치 부재(200)의 측면과 표시 패널(100)의 측면이 정렬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100)과 터치 부재(200), 터치 부재(200)와 윈도우(300)는 각각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과 같은 투명 결합층(720, 71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터치 부재(2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300)가 직접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은 그 내부에 터치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는 진동 음향 소자(400) 및 패널 하부 시트(500)가 배치된다. 진동 음향 소자(400)와 패널 하부 시트(500)는 각각 표시 패널(100)과 브라켓(600) 사이에 배치된다.
진동 음향 소자(400)는 음향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음향 소자(400)는 진동 물질층(430)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6이 참조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음향 소자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진동 음향 소자(40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410), 제1 전극(410)과 대향하는 제2 전극(420), 및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20) 사이에 개재된 진동 물질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20)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20)은 ITO,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체, 불투명한 금속, 도전성 폴리머(conducting polymer) 또는 탄소 나노 튜브(C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물질층(430)은 전계에 의해 진동하는 피에조(piezo)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물질층(430)은 PZT(지르콘 티탄삽 납 세라믹) 등의 압전체(piezoelectric),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과 같은 압전 필름이나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물질층(430)은 전압의 극성에 따라 압축 또는 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410)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420)에 음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 진동 물질층(430)에는 압축력(F1)이 생겨 두께 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다. 반면, 제1 전극(410)에 음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420)에 양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 진동 물질층(430)에는 이완력(F2)이 생겨 두께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20)에 극성이 교대로 바뀌는 교류 전압을 인가할 경우 진동 물질층(430)은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인접한 표시 패널(100)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인접한 표시 패널(100)은 그 자체로 스피커의 진동판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이 진동에 의해 떨리면서 생기는 공기의 압력 변화에 의해 음향(소리)이 생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로서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사용하면, 진동에 의한 화면 왜곡없이 음향을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진동판의 크기가 클수록, 진동판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음압의 세기가 크며, 저음역의 출력 특성이 우수하다. 표시 장치(10)에서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차지하는 큰 표시 패널(100) 자체를 진동판으로 사용하게 되면 표시 장치(10)에 별도의 진동판을 구비하는 것에 비해 더 넓은 진동판 면적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여 우수한 음향과 저음역 출력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 표시 패널(100) 자체를 진동판으로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표시 장치(10)의 크기가 감소하고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진동 음향 소자(400)가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진동 음향 소자(400)는 영구 자석 및 이를 감싸고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흘리는 코일을 포함하고,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력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패널 하부 시트(500)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패턴 시인 방지 기능, 접지 기능, 완충 기능, 강도 보강 기능 및/또는 디지타이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500)는 상술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기능층(5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510)은 층, 막, 필름, 시트, 플레이트, 패널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하부 시트(500)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차 적층된 완충 시트, 그라파이트 시트, 구리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는 표시 장치(10)의 일측 변(예컨대 제1 단변(10s2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가 표시 장치(10)의 제1 단변(10s21)에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 진동 음향 소자(400)의 제1 단변(10s21) 방향의 폭은 표시 장치(10)의 제1 단변(10s2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의 제1 단변(10s21) 방향의 폭은 표시부(DA)의 제1 단변(10s21) 방향의 폭보다 작고 표시 장치(10)의 양 장변(10s11, 10s12)에 위치하는 비표시부(NDA)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는 평면상 표시 패널(100)의 표시부(DA)와 비표시부(NDA)의 경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의 일부는 제1 단변(10s21) 부근에 위치하는 비표시부(NDA)와 중첩하고, 다른 일부는 표시부(DA)와 중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진동 음향 소자(400)의 전부가 비표시부(NDA)에 중첩하도록 배치되거나, 표시부(DA)에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단변(10s21) 부근에 하나의 진동 음향 소자(400)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진동 음향 소자(40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변(10s21) 부근에 하나의 진동 음향 소자(400)가, 제2 단변(10s22) 부근에 다른 하나의 진동 음향 소자(400)가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500)는 진동 음향 소자(400)와 인접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500)는 표시 패널(100)과 대부분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 하부 시트(500)는 진동 음향 소자(400)와는 비중첩할 수 있다. 즉, 평면상 진동 음향 소자(400)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패널 하부 시트(500)가 배치되지 않고, 반대로 패널 하부 시트(500)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진동 음향 소자(40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500)는 표시 패널(100)과 중첩하는 하부 영역 중 진동 음향 소자(400)가 차지하는 부분 이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평면상 패널 하부 시트(500)는 진동 음향 소자(4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도면에서는 패널 하부 시트(500)가 평면상 진동 음향 소자(400)의 4개의 변 중 3개의 변을 둘러싸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패널 하부 시트(500)가 진동 음향 소자(400)의 모든 변을 둘러쌀 수도 있다.
서로 마주하는 진동 음향 소자(400)의 측면과 패널 하부 시트(500)의 측면(500s)은 접할 수도 있지만, 소정 간격 이격될 수도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의 두께는 패널 하부 시트(50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의 상부면은 패널 하부 시트(500)의 상부면과 대체로 정렬되지만, 진동 음향 소자(400)의 하부면은 패널 하부 시트(500)의 하부면보다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와 패널 하부 시트(500)의 하부에는 브라켓(600)이 배치된다. 브라켓(600)은 다른 부품들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 또는 보호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600)은 윈도우(300), 터치 부재(200), 표시 패널(100), 진동 음향 소자(400), 및 패널 하부 시트(500)를 수납할 수 있다.
브라켓(600)은 바닥부(610)와 측벽(62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600)의 바닥부(610) 상면(610f)은 진동 음향 소자(400)의 하면 및 패널 하부 시트(500)의 하면과 대향하고, 브라켓(600)의 측벽(620)은 터치 부재(200), 표시 패널(100), 패널 하부 시트(500)의 측면에 대향한다. 브라켓(600) 측벽의 상단은 윈도우(300)에 대향한다. 브라켓(600)의 외측면과 윈도우(300)의 외측면은 정렬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방수 테이프를 통해 브라켓(6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브라켓(600)의 측벽(620)이 윈도우(300)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브라켓(600)의 측벽이 윈도우(300)의 외측면과 대향할 수도 있다.
브라켓(600) 바닥부(610)의 상면(610f)은 진동 음향 소자(400)에 대응하는 오목홈(650)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500)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돌출된 진동 음향 소자(400)는 브라켓(600) 바닥부(610)의 오목홈(65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진동 공간 확보를 위해 진동 음향 소자(400)의 하면 및 측면은 오목홈(650)을 포함하는 브라켓(600) 바닥부(610)의 상면(610f)과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진동 음향 소자(400)의 하면 및/또는 측면의 일부가 오목홈(650)과 접하거나 양면 테이프 등을 통해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오목홈(650)은 일 내측벽(650s1)은 브라켓(600)의 일 측벽(620)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목홈(650) 부근의 패널 하부 시트(500)의 측면(500s)은 오목홈(650)의 내측벽(650s2)과 정렬되거나 그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600) 바닥부(610)의 하면(610r)은 평탄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600) 바닥부(610)는 진동 음향 소자(400)가 배치된 영역, 다시 말하면 오목홈(650)이 형성된 영역의 두께(d2)가 그 이외의 영역의 두께(d1)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브라켓(600) 바닥부(610)의 두께(d1)는 균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브라켓(600)의 바닥부(610)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600)의 바닥부(610)는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홀(67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홀(670)은 대체로 브라켓(600) 바닥부(61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홀(670)은 상부의 패널 하부 시트(500)와 중첩할 수 있다. 즉, 패널 하부 시트(500)는 오목홈(650)의 대응 위치에서는 제거되어 있지만, 배터리홀(650)의 대응 위치에는 형성되어 배터리홀(650)을 덮을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널 하부 시트(500)의 바텀 결합층(530)은 배터리홀(670)과 중첩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진동 음향 소자(400)는 표시 패널(10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음향 소자(400)의 상단(도면에서 제1 전극(410)의 상면)은 결합 부재(730)에 의해 표시 패널(100)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결합 부재(730)는 접착층, 점착층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일 수 있다. 기타 다른 부재들, 예컨대 패널 하부 시트(50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층이나 결합층을 개재하여 진동 음향 소자(400)와 표시 패널(100)의 하면이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진동 음향 소자(400)는 표시 패널(100)의 하면에 직접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음향 소자(400)의 제1 전극(410)을 표시 패널(100)의 하면에 직접 형성하는 경우 이들이 직접 접함과 동시에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결합 수단에 의해 진동 음향 소자(400)가 표시 패널(100)의 하면과 접한 상태에서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처럼, 진동 음향 소자(400)가 표시 패널(100)에 결합되어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음향 소자(400)에서 유발된 진동이 표시 패널(100)에 전달되어 표시 패널(100) 전체가 진동판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패널 하부 시트(500)는 표시 패널(100)과 브라켓(600) 모두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널 하부 시트(500)는 탑 결합층(520) 및 바텀 결합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탑 결합층(520)과 바텀 결합층(530)은 각각 접착층, 점착층, 또는 수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결합층(520)과 바텀 결합층(530)은 각각 실리콘계, 우레탄계, 실리콘-우레탄 하이브리드 구조의 SU폴리머, 아크릴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젤라틴계, 비닐계, 라텍스계, 폴리에스테르계,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으로 분류되는 고분자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탑 결합층(520)은 패널 하부 시트(500)의 최상부에 배치되어 패널 하부 시트(500)를 표시 패널(100)과 결합시킬 수 있다. 탑 결합층(520)은 패널 하부 시트(500)의 전체 면적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텀 결합층(530)은 패널 하부 시트(500)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패널 하부 시트(500)와 브라켓(6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텀 결합층(530)의 두께는 탑 결합층(52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결합층(530)의 두께는 60 내지 120㎛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텀 결합층(530)은 패널 하부 시트(500)의 기능층(510)의 하면(510r)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결합층(530)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섬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섬형 패턴의 바텀 결합층(530)은 브라켓(600) 바닥부(610)의 배터리홀(670)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전체에 걸쳐 대체로 균일한 밀도로 배치될 수 있다. 섬형 패턴의 바텀 결합층(530) 평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지만, 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일 수도 있고 이상의 예시에 제한되는 것도 아니다.
바텀 결합층(530)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서 패널 하부 시트(500)와 브라켓(600)은 상호 이격할 수 있다. 바텀 결합층(530)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즉, 패널 하부 시트(500)와 브라켓(600)의 이격 공간)은 패널 하부 시트(500)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바텀 결합층(530)이 배치되지 않은 빈 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나아가 진동 음향 소자(400)에까지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빈 공간은 스피커의 울림통 역할을 하는 울림 공간이 될 수 있다. 울림 공간은 진동 음향 소자(400)에서 발생한 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다. 울림 공간이 클수록 증폭 효과가 커지는데, 표시 패널(100) 아래의 전체 면적에서 섬형 바텀 결합층(530)이 없는 영역 전체가 울림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의 전체 크기 대비 효율적인 울림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빈 공간이 배터리홀(670)까지 연결될 경우 배터리홀(670)의 빈 공간(배터리가 장착된 경우 배터리와 패널 하부 시트(500) 사이의 이격 공간)도 울림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음향 증폭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텀 결합층(530)은 브라켓(600)과 패널 하부 시트(5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음향 소자(400)에서 발생한 진동을 표시 패널(100)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바텀 결합층(530)은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텀 결합층(530)은 2Gpa 이하의 영률(Young's modulus)를 가질 수 있다. 바텀 결합층(530)이 2Gpa 이하의 영률을 갖는 경우, 중저음을 구현하기 위해 진동 음향 소자(400)가 상하폭이 큰 진동을 수행하더라도 표시 패널(100)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홈(650)과 배터리홀(670)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브라켓(600) 바닥부(610)와 직접 대향하는 패널 하부 시트(500)의 하면은 바텀 결합층(530)이 배치되어 브라켓(600) 바닥부(610)와의 결합에 기여하는 결합 영역과 바텀 결합층(530)이 배치되지 않아 브라켓(600) 바닥부(610)와 이격되는 이격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충분한 울림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격 영역의 면적(전체 면적)은 결합 영역의 면적(전체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진동 음향 소자(400)와 브라켓(600)의 오목홈(650) 사이에 이격 공간이 없거나 그 크기가 충분하지 않더라도 패널 하부 시트(500)와 브라켓(600) 사이의 울림 공간을 통해 소리를 증폭하여 음향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음향 소자(400)와 브라켓(600)의 오목홈(650) 사이에 이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브라켓(600)을 하측으로 더욱 돌출시키거나 브라켓(600)의 두께를 과도하게 얇게 만들 필요가 없어 표시 장치(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브라켓(600)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결합 물질 패턴을 포함하는 전사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전사 필름을 패널 하부 시트의 기능층에 부착한 후 커버 필름을 박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사 필름(800)은 커버 필름(810) 및 커버 필름(810) 상에 배치된 결합 물질 패턴(830)을 포함한다. 결합 물질 패턴(830)은 패널 하부 시트(500)의 구성 시트 또는 기능층(510)에 전사되는 것으로, 그 패턴 형상은 패널 하부 시트(500)의 바텀 결합층(530)의 패턴에 대해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사 필름(8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물질 패턴(830)이 패널 하부 시트(500)의 구성 시트를 향하도록 한 상태로 패널 하부 시트(500)의 기능층(510)에 부착된다. 이어, 커버 필름(810)을 박리하는데, 이때 결합 물질 패턴(830)이 커버 필름(810)으로부터 분리되고 패널 하부 시트(500)의 기능층(510) 표면에 잔류함으로써 바텀 결합층(530)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시트(500)를 완성할 수 있다.
커버 필름(810)과 결합 물질 패턴(830)간 결합력은 전사되는 패널 하부 시트(500)의 기능층(510)과 결합 물질 패턴(830)간 결합력보다 작은 것이 결합 물질 패턴(830)의 전사율을 높이는 데에 유리하다. 이를 위해, 커버 필름(810) 표면에 이형 처리가 되어 있고, 그 이형 처리된 표면 상에 결합 물질 패턴(830)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필름(810)은 패널 하부 시트(500)를 커버하는 커버부(811) 및 커버부(8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풀탭(pull tab)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811)로부터 돌출된 풀탭부(812)는 커버 필름(810)을 박리할 때 이를 잡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풀탭부(812)는 예컨대 표시 장치(10)의 제1 단변(10s21) 측에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커버 필름(810)은 제1 단변(10s21)으로부터 제2 단변(10s21) 방향으로 박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풀탭부(812)가 제1 장변(10s11) 측에 위치하여 커버 필름(810)이 제1 장변(10s11)으로부터 제2 장변(10s11) 방향으로 박리될 수도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박리될 수도 있다. 풀탭부(812)는 커버 필름(810)의 2개 이상의 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먼저 언급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바텀 결합층의 평면 배치를 나타낸 저면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7은 표시 장치에서 브라켓과 진동 음향 소자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며, 'RPZT'는 브라켓의 오목홈에 대응되는 영역 또는 진동 음향 소자가 배치되는 영역을, 'RBAT'는 배터리홀에 대응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하부 시트(500_1)는 바텀 결합층(530_1)이 평면상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매트릭스 형상으로 균일하게 배열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울림 공간은 격자형 또는 메시형 형상을 갖게 된다.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하부 시트(500_2)는 바텀 결합층(530_2)의 섬형 패턴이 평면상 세로 방향(표시 장치(10)의 장변 방향)으로 길쭉한 라인 형상 또는 스티치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시한다. 바텀 결합층(530_2)의 각 패턴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또는 타원일 수 있다. 바텀 결합층(530_2)의 각 패턴의 세로 방향의 폭(w12)은 가로 방향(표시 장치(10)의 단변 방향)의 폭(w11)보다 더 크다. 예를 들어, 바텀 결합층(530_2)의 각 패턴의 세로 방향의 폭(w12)은 가로 방향의 폭(w11)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이처럼 바텀 결합층(530_2)의 세로 방향의 폭(w12)이 가로 방향의 폭(w11)보다 크면, 전사 필름(800)을 부착한 후 세로 방향으로 박리할 때 결합 물질 패턴(830)이 패널 하부 시트(500)의 구성 시트(기능층(510))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아 전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하부 시트(500_3)는 바텀 결합층(530_3)이 평면상 가로 방향(표시 장치(10)의 단변 방향)으로 길쭉한 라인 형상 또는 스티치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시한다. 바텀 결합층(530_3)의 각 패턴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또는 타원일 수 있다. 바텀 결합층(530_3)의 각 패턴의 가로 방향의 폭(w21)은 세로 방향(표시 장치(10)의 장변(10s11, 10s12) 방향)의 폭(w22)보다 더 크다. 예를 들어, 바텀 결합층(530_3)의 각 패턴의 가로 방향의 폭(w21)은 세로 방향의 폭(w22)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이처럼 바텀 결합층(530_3)의 가로 방향의 폭(w21)이 세로 방향의 폭(w22)보다 크면, 전사 필름(800)을 부착한 후 가로 방향으로 박리할 때 결합 물질 패턴(830)이 패널 하부 시트(500_3)의 구성 시트(기능층(510))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아 전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텀 결합층의 각 패턴이 표시 장치(10)의 대각선 방향으로 길쭉한 라인 형상 또는 스티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사 필름(800)을 대각선 방향으로 박리할 때 결합 물질 패턴이 패널 하부 시트의 구성 시트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을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하부 시트(500_4)는 바텀 결합층(530_4)의 밀도가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를 가로 방향으로 절반으로 나누었을 때 진동 음향 소자(400)가 배치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진동 음향 소자(40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정의하면, 제1 영역에서 바텀 결합층(530_4)이 차지하는 면적은 제2 영역에서 바텀 결합층(530_4)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바텀 결합층(530_4)의 밀도는 진동 음향 소자(400)가 배치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가 배치되는 영역 주변인 제1 영역에서 바텀 결합층(530_4)의 밀도를 작게 하면 충분한 울림 공간을 확보되어 음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와 먼 영역인 제2 영역에서 바텀 결합층(530_4)의 밀도를 높게 하면 패널 하부 시트(500_4)와 브라켓(600)간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하부 시트(500_5)는 바텀 결합층(530_5)이 진동 음향 소자가 배치되는 영역(RPZT)과 배터리홀에 대응하는 영역(RBAT)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RCNT)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를 예시한다. 연결 영역(RCNT)에 바텀 결합층(530_5)이 배치되지 않음에 따라 이격 공간이 정의되고, 진동 음향 소자(400)로부터 이격 공간을 통해 배터리홀(670)에까지 울림 공간이 연결될 수 있다. 바텀 결합층(530_5)은 진동 음향 소자가 배치되는 영역(RPZT), 배터리홀에 대응하는 영역(RBAT), 및 이들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영역(RCNT)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모두 배치됨으로써, 패널 하부 시트(500)와 브라켓(600)간 강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나머지 영역에서도 바텀 결합층(530_5)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섬형 패턴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하부 시트(500_6)는 도 13의 실시예에 부가하여 바텀 결합층(530_6)이 연결 영역(RCNT)뿐만 아니라 진동 음향 소자가 배치되는 영역(RPZT)의 주변 영역(RPHA)에도 배치되지 않은 경우를 예시한다. 주변 영역(RPHA) 및 연결 영역(RCNT)은 진동 음향 소자가 배치되는 영역(RPZT)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다.
연결 영역(RCNT) 및 주변 영역(RPHA)에 바텀 결합층(530_6)이 배치되지 않음에 따라, 도 13의 실시예에 부가하여 진동 음향 소자(400)의 주변에 울림 공간이 더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의 실시예에 비해 울림 공간이 더 확보되어 음압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하부 시트(500_7)는 도 14의 실시예와는 달리 바텀 결합층(530_7)이 연결 영역(RCNT) 및 주변 영역(RPHA)에 배치되지 않고, 주변 영역(RPHA) 및 연결 영역(RCNT)이 진동 음향 소자가 배치되는 영역(RPZT)을 완전히 감싸는 경우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바텀 결합층(530_7)이 진동 음향 소자가 배치되는 영역(RPZT)을 완전히 감싸는 바, 충분한 울림 공간을 더 확보함과 동시에 진동 음향 소자(400)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하부 시트(500_8)는 도 14의 실시예에 부가하여 바텀 결합층(530_8)이 연결 영역(RCNT) 및 주변 영역(RPHA)에 배치되지 않고, 주변 영역(RPHA)이 음향 소자가 배치되는 영역(RPZT)을 부분적으로 감싸고, 주변 영역(RPHA)이 연결 영역(RCNT) 및 배터리홀에 대응하는 영역(RBAT)을 완전히 감싸는 경우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바텀 결합층(530_8)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울림 공간이 더 확보되어 음압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7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하부 시트(500_9)는 도 16의 실시예에 부가하여 바텀 결합층(530_9)이 배치되지 않은 주변 영역(RPHA)이 연결 영역(RCNT) 및 배터리홀에 대응하는 영역(RBAT)뿐만 아니라 음향 소자가 배치되는 영역(RPZT)도 완전히 감싸는 경우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6의 실시예에 부가하여 바텀 결합층(530_9)이 진동 음향 소자가 배치되는 영역(RPZT)을 완전히 감싸는 바, 울림 공간을 더 확보함과 동시에 진동 음향 소자(400)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1)는 패널 하부 시트(500_6)의 탑 결합층(520_1)이 패턴화되어 울림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탑 결합층(520_1)은 패널 하부 시트(500_6)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탑 결합층(520_1)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서 표시 패널(100)과 패널 하부 시트(500_6)는 상호 이격할 수 있다. 탑 결합층(520_1)이 배치되지 않은 빈 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나아가 진동 음향 소자(400)에까지 연결되어 울림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탑 결합층(520_1)의 배치 형상이나 밀도 등은 도 5, 도 9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텀 결합층의 그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결합층(530)도 울림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 2개의 울림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음향 증폭이 가능해질 수 있다. 탑 결합층(520_1)의 패턴 형상은 바텀 결합층(530)의 패턴 형상과 동일할 수도 있지만, 상이하더라도 무방하며, 도 5, 도 9 내지 도 17 등에 예시된 다양한 형상의 조합이 가능할 것이다.
탑 결합층(520_1)이 충분한 울림 공간을 확보한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바텀 결합층은 패턴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바텀 결합층은 배터리홀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패널 하부 시트(500_6)의 하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2)는 패널 하부 시트(500_7)가 시트간 결합층(503)에 의해 결합된 복수의 구성 시트(501, 502)를 포함하고, 시트간 결합층(503)이 패턴화되어 울림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패널 하부 시트(500)는 제1 패널 하부 시트(501), 제2 패널 하부 시트(501) 및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시트간 결합층(503)을 포함한다. 상부에 배치된 제1 패널 하부 시트(501)는 완충 시트이고, 하부에 배치된 제2 패널 하부 시트(502)는 방열 시트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트간 결합층(503)은 제1 패널 하부 시트(501)와 제2 패널 하부 시트(502)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시킨다. 시트간 결합층(503)은 도 5, 도 9 내지 도 17 등에 예시된 바텀 결합층의 평면 배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패널 하부 시트(501)와 제2 패널 하부 시트(502) 사이에는 시트간 결합층(503)에 의해 결합된 부분과 시트간 결합층(503)이 배치되지 않아 대향하는 시트(501, 502)가 이격된 공간이 존재하게 되고, 상기 이격 공간이 울림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결합층(530)도 울림 공간을 형성하거나 및/또는 탑 결합층(520)이 울림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2개 또는 3개의 울림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음향 증폭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3)는 브라켓(600_1)의 형상에 따라 추가적인 울림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바닥부(610_1) 오목홈(650) 부근의 패널 하부 시트(500)의 측면(500s)이 오목홈(650) 내측벽(650s2)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즉, 오목홈(650)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짐으로써, 오목홈(650)의 내측벽(650s2)과 진동 음향 소자(40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이격 공간은 바텀 결합층(530)의 패턴 형상에 의해 패널 하부 시트(500)와 브라켓(600_1)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과 함께 울림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효과적인 음향 증폭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4)는 브라켓(600_2) 바닥부(610_2)의 하면(610_2r)이 평탄하지 않은 점에서 도 5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브라켓(600_2) 바닥부(610_2)의 하면(610_2r)은 기준면을 갖고, 오목홈(650)이 형성된 부분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브라켓(600_2) 바닥부(610_2r)의 전체 두께(d1, d2)는 오목홈(650)의 형성 여부와 무관하게 균일할 수 있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5)는 진동 음향 소자(400)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브라켓(600_3) 바닥부(610_3)가 오목홈을 포함하지 않고 그 상면(610_3f)이 평탄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22의 실시예는 두께가 작은 진동 음향 소자(400)를 채용하는 경우에 채택될 수 있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6)는 진동 음향 소자(400)가 패널 하부 시트(500_8)의 일부의 구성 시트와 중첩 배치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패널 하부 시트(500_8)는 제1 패널 하부 시트(501_1), 제2 패널 하부 시트(502_1) 및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시트간 결합층(503_1)을 포함한다. 상부에 배치된 제1 패널 하부 시트(501_1)는 완충 시트이고, 하부에 배치된 제2 패널 하부 시트(502_1)는 방열 시트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패널 하부 시트(501_1)는 표시 패널(100)의 하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400)는 제1 패널 하부 시트(501_1)의 하면에 결합 부재(730)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제2 패널 하부 시트(502_1)는 진동 음향 소자(400)와 비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진동 음향 소자(400)가 제1 패널 하부 시트(501_1)를 통해 표시 패널(100)에 결합하므로, 표시 패널(100)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도 5의 실시예에 비해 작을 수 있지만, 진동 음향 소자(400)를 제1 패널 하부 시트(501_1)에 부착한 상태에서 표시 패널(100)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공정 간소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터치 부재
300: 윈도우
400: 진동 음향 소자
500: 패널 하부 시트
600: 브라켓

Claims (24)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진동 음향 소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인접 배치되고, 기능층과 상기 기능층의 하면에 배치된 바텀 결합층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시트;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상기 패널 하부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텀 결합층과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바텀 결합층은 상기 기능층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도록 상기 기능층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과 상기 바텀 결합층이 노출하는 상기 기능층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이격 공간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결합층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섬형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섬형 패턴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섬형 패턴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행렬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섬형 패턴의 밀도는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표시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결합층은 상기 기능층의 하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를 수용하는 오목홈 및 상기 오목홈과 이격되어 배치된 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간은 상기 홀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결합층은 상기 오목홈과 상기 홀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의 상기 기능층의 하면을 노출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상기 바텀 결합층이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과 결합하는 결합 영역, 및
    상기 바텀 결합층이 배치되지 않아 상기 브라켓과 이격되는 이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 영역의 면적은 상기 결합 영역의 면적보다 큰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를 수용하는 오목홈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홈 주변의 상기 패널 하부 시트의 측면은 상기 오목홈의 내측벽과 정렬되거나 그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평면상 상기 진동 음향 소자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 주변의 비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음향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부와 표시부에 걸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최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결합하는 탑 결합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음향 소자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 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물질층은 압전체, 압전 필름, 및 전기 활성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음향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18.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진동 음향 소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인접 배치된 패널 하부 시트;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상기 패널 하부 시트의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브라켓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재들을 일부는 결합시키고 다른 일부는 이격시키는 결합 부재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부재 패턴층에 의해 이격된 인접하는 상기 부재들 사이의 공간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 패턴은 상기 패널 하부 시트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 패턴은 상기 패널 하부 시트의 최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하부 시트는 제1 하부 패널 시트 및 상기 제1 하부 패널 시트의 하부에 배치된 제2 하부 패널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 패턴은 상기 제1 하부 패널 시트와 상기 제2 패널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하부 패널 시트와 상기 제2 하부 패널 시트를 상호 결합시키는 표시 장치.
  22.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 패턴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섬형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섬형 패턴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행렬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표시 장치.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섬형 패턴의 밀도는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008077A 2018-01-23 2018-01-23 표시 장치 KR102595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77A KR102595188B1 (ko) 2018-01-23 2018-01-23 표시 장치
US16/204,585 US10990139B2 (en) 2018-01-23 2018-11-29 Display device
CN201910053347.5A CN110072165B (zh) 2018-01-23 2019-01-21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77A KR102595188B1 (ko) 2018-01-23 2018-01-23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106A true KR20190090106A (ko) 2019-08-01
KR102595188B1 KR102595188B1 (ko) 2023-10-27

Family

ID=6729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077A KR102595188B1 (ko) 2018-01-23 2018-01-2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90139B2 (ko)
KR (1) KR102595188B1 (ko)
CN (1) CN11007216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035A (ko) * 2021-01-29 2022-08-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기기
US11622181B2 (en) 2019-02-01 2023-04-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50640B2 (en) 2019-01-17 2023-05-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heat-dissipating member and sound gen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554B1 (ko) 2017-08-10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017529A (zh) * 2019-05-30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缓冲结构、显示屏模组、其制备方法及终端设备
KR20210007076A (ko) * 2019-07-09 2021-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26802A (ko) * 2020-04-10 2021-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017015A (ko) * 2020-08-03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센서와 그를 포함한 표시 장치
US20220070563A1 (en) * 2020-08-31 2022-03-03 Lg Display Co., Ltd. Vib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1996A (ja) * 2002-12-12 200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50057111A (ko) * 2002-09-03 2005-06-1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음성 출력 기능 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KR20060121605A (ko) * 2005-05-24 200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에조 스피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071173A (ko) * 2011-12-20 201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3181054A (ja) * 2012-02-29 2013-09-12 Nitto Denko Corp 粘着製品
JP2014164430A (ja) * 2013-02-22 2014-09-08 Kyocera Corp 振動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端末
KR20150031641A (ko) * 2013-09-16 2015-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71986A (ko) * 2015-12-16 2017-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7564A (en) 1969-01-17 1971-06-28 Baxter Laboratories Inc Vital pulse display and display process employing a repetitive scanning tape system to minimize display flicker
US6198502B1 (en) 1998-07-22 2001-03-06 D. Scott Watkins Headrest and seat video imaging apparatus
JP4266923B2 (ja) * 2004-12-27 2009-05-27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実装方法、電子機器の組立方法、ガスケット部材、振動板及び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
JP4192187B2 (ja) * 2005-05-24 2008-12-0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携帯端末機
KR101386927B1 (ko) 2007-11-08 2014-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정보 처리 장치
JP5149758B2 (ja) 2008-09-29 2013-02-20 京セラ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US9778685B2 (en) * 2011-05-04 2017-10-03 Apple Inc. Housing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 border region
KR20120045461A (ko) * 2010-10-29 201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일랜드형 지지 패턴들을 갖는 반도체 소자
EP2826257A4 (en) * 2012-03-16 2015-10-28 Nokia Technologies Oy VIBRATING SURFACE PRODUCING A SOUND
US8947616B2 (en) 2012-06-01 2015-02-03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707454B2 (ja) * 2013-07-22 2015-04-3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2148428B1 (ko) * 2013-08-06 2020-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US9261915B2 (en) * 2013-12-21 2016-02-16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light-transmissive cover plate, and portable device
JP6243771B2 (ja) * 2014-03-26 2017-12-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2229137B1 (ko) *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09145B1 (ko) * 2014-08-18 2021-0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160328065A1 (en) * 2015-01-12 2016-11-10 Rockwell Collins, Inc. Touchscreen with Dynamic Control of Activation Force
JP6568644B2 (ja) * 2016-03-18 2019-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メンブレンデバイスの製造方法、メンブレンデバイス、および、ナノポアデバイス
WO2017183910A2 (en) * 2016-04-19 2017-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fingerprint verif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9997418B (zh) * 2016-11-28 2023-05-05 三井金属矿业株式会社 多层布线板的制造方法
KR102591568B1 (ko) * 2017-01-19 202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52930B1 (ko) * 2018-06-27 2023-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13499B1 (ko) * 2018-07-11 2023-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111A (ko) * 2002-09-03 2005-06-1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음성 출력 기능 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JP2004191996A (ja) * 2002-12-12 200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60121605A (ko) * 2005-05-24 200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에조 스피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071173A (ko) * 2011-12-20 201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3181054A (ja) * 2012-02-29 2013-09-12 Nitto Denko Corp 粘着製品
JP2014164430A (ja) * 2013-02-22 2014-09-08 Kyocera Corp 振動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端末
KR20150031641A (ko) * 2013-09-16 2015-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71986A (ko) * 2015-12-16 2017-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0640B2 (en) 2019-01-17 2023-05-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heat-dissipating member and sound generator
US11622181B2 (en) 2019-02-01 2023-04-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20110035A (ko) * 2021-01-29 2022-08-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기기
US11785125B2 (en) 2021-01-29 2023-10-1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188B1 (ko) 2023-10-27
CN110072165B (zh) 2023-04-14
CN110072165A (zh) 2019-07-30
US10990139B2 (en) 2021-04-27
US20190227603A1 (en)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0106A (ko) 표시 장치
US11262862B2 (en) Panel bottom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ihe same
KR102366552B1 (ko) 패널 하부 부재 구조물 및 표시 장치
US10983637B2 (en) Display device
KR102367975B1 (ko)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30953B1 (ko)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35463B1 (ko) 음향 발생 장치,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10164300A (zh) 显示装置
KR102601564B1 (ko) 표시 장치
JP2019502303A (ja) 移動端末
KR2021001130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99018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vibrating element
KR20200114911A (ko) 표시 장치
KR20210054116A (ko) 표시 장치
US20240007795A1 (en) Apparatus
US20230217189A1 (en) Sound apparatus
KR20230103732A (ko) 장치
KR20230103733A (ko)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20210008205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