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930B1 -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930B1
KR102552930B1 KR1020180074068A KR20180074068A KR102552930B1 KR 102552930 B1 KR102552930 B1 KR 102552930B1 KR 1020180074068 A KR1020180074068 A KR 1020180074068A KR 20180074068 A KR20180074068 A KR 20180074068A KR 102552930 B1 KR102552930 B1 KR 102552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concave pattern
vibroacoustic
blocking memb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659A (ko
Inventor
정경호
고현석
이재호
장주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930B1/ko
Priority to JP2019066359A priority patent/JP7340946B2/ja
Priority to US16/376,700 priority patent/US10802635B2/en
Priority to CN202210963566.9A priority patent/CN115237280A/zh
Priority to CN201910509411.6A priority patent/CN110650414B/zh
Priority to EP21182808.2A priority patent/EP3907977B1/en
Priority to TW108122028A priority patent/TWI829712B/zh
Priority to EP19182101.6A priority patent/EP3595272B1/en
Publication of KR2020000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59A/ko
Priority to US17/036,907 priority patent/US11262862B2/en
Priority to KR1020230086212A priority patent/KR102626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패널 하부 부재를 포함한다. 패널 하부 부재는, 제1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광차단부재,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광차단부재에 결합된 진동음향소자,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진동음향소자와 비중첩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광차단부재와 진동음향소자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오목 패턴과는 다른 제2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PANEL BOTTOM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패널 하부 부재를 포함한다. 패널 하부 부재는 발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표시 장치는 모두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만을 가지며,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자기기에 별도의 스피커가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진동음향소자가 결합된 패널 하부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진동음향소자가 결합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하부 부재는, 제1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광차단부재,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차단부재에 결합된 진동음향소자,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비중첩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진동음향소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오목 패턴과는 다른 제2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오목 패턴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의 단위 면적 당 제2 부피는 상기 제1 오목 패턴에 의해 상기 광차단부재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기 통로의 단위 면적 당 제1 부피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광차단부재에 접하는 상기 제2 공기 통로의 상부 표면적은,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면의 10% 내지 30% 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의 두께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제2 깊이는 상기 광차단부재의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제1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일면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제2 폭은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제1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제2 폭은 상기 제2 오목 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볼록 부분의 폭의 5%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오목 패턴에 대응하는 제3 오목 패턴을 가지는 기재, 상기 기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기재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오목 패턴은 아일랜드 형태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오목 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섬유(fabric) 구조를 가지고, 상기 기재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제1 라인들,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라인들과 교차하는 제2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음향소자는, 제1전극,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물질층은, 압전체, 압전 필름, 및 전기 활성 고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차단부재는, 기재, 상기 기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중첩하는 제1 광차단층, 및 상기 제1 광차단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탑 결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차단층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차단부재는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중첩하는 제2 광차단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차단층은 상기 기재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진동음향소자는 상기 제2 광차단층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재와 이격된 층간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층간 결합부재는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비충첩할 수 있다.
상기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광차단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광차단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완충부재와 중첩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2 오목 패턴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하부 부재는, 제1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 및 제2 오목 패턴이 형성된 하면을 가지는 광차단부재,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차단부재에 결합된 진동음향소자, 및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비중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목 패턴에 의해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진동음향소자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는 상기 제1 오목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기 통로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오목 패턴은 상기 광차단부재의 상면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오목 패턴은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면 중 제1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 통로의 단위 면적 당 제2 부피는 상기 제1 공기 통로의 단위 면적 당 제1 부피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진동음향소자에 접하는 상기 제2 공기 통로의 하부 표면적은,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면의 10% 내지 30% 일 수 있다.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제2 깊이는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제1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일면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제2 폭은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제1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진동음향소자 사이에 위치하고, 제3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음향소자는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광차단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공기통로는 상기 제2 오목 패턴 및 상기 제3 오목 패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오목 패턴들은 상호 동일한 폭 및 상호 동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오목 패턴은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오목 패턴은 상기 결합부재의 상면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패널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광차단부재,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차단부재에 결합된 진동음향소자,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비중첩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진동음향소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오목 패턴과는 다른 제2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음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음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를 위한 하부 패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진동음향소자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Q1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결합부재 및 바텀 결합층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패널 하부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패널 하부 부재에 포함된 결합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패널 하부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패널 하부 부재에 포함된 결합부재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패널 하부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패널 하부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Q1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패널 하부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진동음향소자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Q1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결합부재 및 바텀 결합층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1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비이거나,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장치,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등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양 장변들(즉, 제1 장변(10s11)과 제2 장변(10s12))과 양 단변들(즉, 제1 단변(10s21)과 제2 단변(10s2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장변들(10s11, 10s12)과 단변들(10s21, 10s22)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곡면을 이룰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및 패널 하부 부재(20)를 포함하고, 패널 하부 부재(20)는 진동음향소자(400) 및 완충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는 기능 모듈(200)(또는, 기능 패널), 윈도우(300), 및 브라켓(6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 패널(100)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등 다른 종류의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리지드 기판일 수도 있고,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기판으로 폴리이미드 기판을 적용하는 경우, 표시 패널(100)은 휘거나 꺾이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표시부(DA) 및 표시부(DA)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부(ND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을 의미하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기능 모듈(200)은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 모듈(200)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은 터치 센싱 기능, 컬러 필터링 기능, 컬러 변환 기능, 편광 기능, 생체 정보 인식 기능(예를 들어, 지문 인식 기능) 등을 수행하는 층일 수 있다. 기능층은 시트로 이루어진 시트층, 필름으로 이루어진 필름층, 박막층, 코팅층, 패널, 플레이트 등일 수 있다. 하나의 기능층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적층된 복수의 박막이나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능층은 터치 센싱 패널, 컬러 필터, 광학 필름, 지문 센싱 패널 등일 수 있다. 기능 모듈(200)은 생략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기능 모듈(200)(또는,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100)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10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100)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양 단변에서,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1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양 장변들(10s11, 10s12)에서도,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1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표시 장치(10)의 양 장변들(10s11, 10s12)에서보다 표시 장치(10)의 양 단변들(10s21, 10s22)에서 더욱 돌출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고, 리지드(rigid)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시블 할 수도 있다.
윈도우(300)는 중앙부(310) 및 차광 패턴(320)(또는, 장식)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310)는 표시 패널(100)의 표시부(DA)와 중첩하여 표시부(DA)에서 출사되는 빛을 투광시킬 수 있다. 차광 패턴(320)은 윈도우(300)의 테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차광 패턴(320)은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부(NDA)와 중첩하며, 비표시부(NDA)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윈도우(300)는 투명 결합층(710)을 통해 기능 모듈(200)(또는, 표시 패널(1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결합층(710)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 또는 광학 투명 수지(OCR)일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20)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100)과 결합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20)는 표시 패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표시 패널(100)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20)의 측면은 표시 패널(100)의 측면에 정렬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패널 하부 부재(20)는 광차단부재(510), 진동음향소자(400), 및 완충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차단부재(510)(또는, 광흡수부재)는 표시 패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차단부재(510)는 빛의 투과를 저지하며, 광차단부재(510) 하부에 배치된 구성들(예를 들어, 진동음향소자(400), 완충부재(520) 등)이 상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차단부재(510)는 제1 오목 패턴(CC1)(및/또는, 제1 볼록 패턴(CV1), 제1 엠보 형상)이 형성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오목 패턴(CC1)은 광차단부재(510)의 상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패인 부분으로, 도 6에 도시된 결합부재(720)의 제2 오목 패턴(CC2)의 유사하게, 평면상 그물(mesh) 형상을 가지거나, 그물 패턴일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제2 오목 패턴(CC2)(또는, 제1 오목 패턴(CC1))의 평면상 단위 형상은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오목 패턴(CC2)의 평면상 단위 형상은 삼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등 일 수 있다.
제1 오목 패턴(CC1)은, 제1 오목 패턴(CC1)에 대응하는 볼록 패턴을 가지는 이형 필름에 점착제(즉, 광차단부재(510)의 상면을 구성하는 점착층)를 코팅한 후, 광차단부재(510)의 기재를 합지하고 건조시킴으로써, 광차단부재(5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형 필름은 광차단부재(510)의 표시 패널(100)에 대한 결합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
제1 오목 패턴(CC1)에 의해 표시 패널(100)과 광차단부재(510) 사이에(또는, 광차단부재(510)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1 공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차단부재(510)를 표시 패널(10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100)과 광차단부재(510)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즉, 표시 패널(100)과 광차단부재(510)의 면 결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는 제1 공기 통로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광차단부재(510)가 표시 패널(100)에 부착된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1 오목 패턴(CC1)은 무너지고, 광차단부재(510)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될 수도 있다.
광차단부재(5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1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진동음향소자(400)(또는, 진동자, 액추에이터(actuator))는 음향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음향소자(400)는 진동 물질층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음향소자(400)는 제1 전극(410), 제2 전극(430), 및 진동 물질층(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430)은 제1 전극(410)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진동 물질층(420)은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30)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30)은 ITO,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체, 불투명한 금속, 도전성 폴리머(conducting polymer) 또는 탄소 나노 튜브(C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물질층(420)은 전계에 의해 진동하는 피에조(piezo)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물질층(420)은 PZT(지르콘 티탄삽 납 세라믹) 등의 압전체(piezoelectric),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과 같은 압전 필름이나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물질층(420)은 전압의 극성에 따라 압축 또는 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410)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430)에 음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 물질층(420)에는 압축력(F1)이 생겨 두께 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전극(410)에 음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430)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 물질층(420)에는 이완력(F2)이 생겨 두께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30)에 극성이 교대로 바뀌는 교류 전압을 인가되는 경우, 진동 물질층(420)은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진동음향소자(400)에 인접한 표시 패널(100)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그 자체로 스피커의 진동판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이 진동에 의해 떨리면서 생기는 공기의 압력 변화에 의해 음향(소리)이 생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로서 유기발광 표시 패널을 사용하면, 진동에 의한 화면 왜곡없이 음향을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진동판의 크기가 클수록, 진동판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음압의 세기가 크며, 저음역의 출력 특성이 우수하다. 표시 장치(10)에서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차지하는 표시 패널(100) 자체를 진동판으로 사용하게 되면, 표시 장치(10)에 별도의 진동판을 구비하는 것에 비해 더 넓은 진동판 면적을 확보하기가 용이하며,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우수한 음향과 우수한 저음역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 표시 패널(100) 자체를 진동판으로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표시 장치(10)의 크기가 감소하고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진동음향소자(400)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진동음향소자(400)는 영구 자석 및 이를 감싸고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흘리는 코일을 포함하고,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력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결합부재(720)는 광차단부재(510)와 진동음향소자(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음향소자(400)는 결합부재(720)를 통해 광차단부재(510)(또는, 표시 패널(1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720)는 양면에 접착성을 갖는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재(720)는 광차단부재(510)의 상면을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하거나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720)의 두께는, 후술하여 설명하겠지만 진동음향소자(400)의 평탄도가 낮을수록(또는, 진동음향소자(400)의 상면의 거칠기(roughness)가 클수록), 또한, 결합부재(720)가 접합되는 대상(예를 들어, 광차단부재(510)가 결합된 표시 패널(100))의 연성(ductility)이 낮을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720)의 두께는 30μm 내지 180μm, 60μm 내지 120μm, 또는 90μm 내지 180μm 일 수 있다. 이 경우, 광차단부재(510)의 두께는 결합부재(720)의 두께의 1/3 내지 1/2 로, 예를 들어, 결합부재(720)의 두께가 90μm 내지 180μm 인 경우 광차단부재(510)의 두께는 30μm 내지 60μm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재(720)의 상면에는 제2 오목 패턴(CC2)(및/또는, 제2 볼록 패턴(CV2), 제2 엠보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오목 패턴(CC2)은, 제1 오목 패턴(CC1)과 유사하게, 결합부재(720)의 상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패인 부분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그물 형상을 가지거나, 그물 패턴일 수 있다.
제2 오목 패턴(CC2)에 의해 광차단부재(510)와 진동음향소자(400) 사이에(또는, 결합부재(720)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2 공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음향소자(400)를 광차단부재(510)(또는, 광차단부재(510)가 부착된 표시 패널(10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광차단부재(510)와 진동음향소자(400)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즉, 광차단부재(510)와 진동음향소자(400)의 면 결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는 제2 공기 통로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결합부재(720)의 제2 오목 패턴(CC2)은 광차단부재(510)의 제1 오목 패턴(CC1)과 다를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결합부재(720)의 제2 오목 패턴(CC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의 단면적(또는, 단위 면적 당 부피)은 광차단부재(510)의 제1 오목 패턴(CC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기 통로의 단면적(또는, 단위 면적 당 부피)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재(720)의 제2 오목 패턴(CC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의 표면적(또는, 광차단부재(510)와 접하는 제2 공기 통로의 상부 표면적)은 광차단부재(510)의 제1 오목 패턴(CC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기 통로의 표면적(또는, 표시 패널(100)과 접하는 제1 공기 통로의 상부 표면적)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720)의 제2 오목 패턴(CC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의 표면적(또는, 광차단부재(510)와 접하는 제2 공기 통로의 상부 표면적)은 결합부재(720)의 상면 전체 면적의 10% 내지 30%, 10% 내지 20%, 또는 20% 내지 30% 일 수 있다. 이 경우, 광차단부재(510)의 제1 오목 패턴(CC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기 통로의 표면적(또는, 표시 패널(100)과 접하는 제1 공기 통로의 상부 표면적)은 광차단부재(510)의 상면 전체 면적의 10% 이하, 또는 2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재(720)의 두께 방향으로의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깊이(T2)(또는, 제2 볼록 패턴(CV2)의 높이)는 광차단부재(510)의 제1 오목 패턴(CC1)의 제1 깊이(T1)(또는, 제1 볼록 패턴(CV1)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깊이(T2)는 제1 오목 패턴(CC1)의 제1 깊이(T1)의 1.3배 내지 3배이거나, 1.5배 내지 2배 이거나, 1.3배 내지 1.5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결합부재(720)의 두께에 대응하여,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깊이(T2)는 4μm 내지 15μm, 4μm 내지 8 μm, 또는 8 μm 내지 15 μm일 수 있다. 제1 오목 패턴(CC1)의 제1 깊이(T1)는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깊이(T2)보다 작으며, 예를 들어,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깊이(T2)는 12μm 인 경우, 제1 오목 패턴(CC1)의 제1 깊이(T1)는 4μm 내지 6μm 일 수 있다.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폭(D2)(즉, 결합부재(720)의 일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폭)은 제1 오목 패턴(CC1)의 제1 폭(D1)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오목 패턴(CC2)에 의해 형성된 제2 공기 통로의 단면적(또는, 부피)은 제1 오목 패턴(CC1)에 의해 형성된 제1 공기 통로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재(720)의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폭(D2)은 광차단부재(510)의 제1 오목 패턴(CC1)의 제1 폭(D1)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720)의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폭(D2)은 결합부재(720)의 제2 볼록 패턴(CV2)(즉, 제2 오목 패턴(CC2)에 의해 정의되고, 제2 오목 패턴(CC2)보다 상대적으로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 부분)의 폭(W2)의 5% 내지 15%이거나, 제2 오목 패턴(CC2) 간의 이격 거리의 5% 내지 15%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결합부재(720)의 두께에 대응하여, 제2 볼록 패턴(CV2)의 폭(W2)(또는, 제2 오목 패턴(CC2)의 격자의 간격)은 150μm 내지 800μm, 150μm 내지 250μm, 또는 400μm 내지 800μm이고,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폭(D2)은 4μm 내지 15μm, 4μm 내지 8 μm, 또는 8 μm 내지 15 μm일 수 있다.
여기서, 광차단부재(510)의 제1 오목 패턴(CC1)의 제1 폭(D1)은 광차단부재(510)의 제1 볼록 패턴(CV1)(즉, 제1 오목 패턴(CC1)에 의해 정의되고, 제1 오목 패턴(CC1)보다 상대적으로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 부분)의 폭(W1)의 5% 이하이거나, 제1 오목 패턴(CC1) 간의 이격 거리의 5%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볼록 패턴(CV1)의 폭(W1)(또는, 제1 오목 패턴(CC1)의 격자의 간격)은 150μm 내지 200μm이고, 제1 오목 패턴(CC1)의 제1 폭(D1)은 3μm 내지 6μm 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오목 패턴(CC2)에 의해 형성된 제2 공기 통로의 단면적은 제1 오목 패턴(CC1)에 의해 형성된 제1 공기 통로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하면은 상대적으로 높은 평탄도를 가지고, 광차단부재(510)는 상대적으로 연성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또는, 윈도우(300)가 결합된 표시 패널(100))이 경성이라 하더라도, 표시 패널(100)에 대한 광차단부재(510)의 결합시(또는, 부착시) 상대적으로 적은 기포가 발생하고, 제1 공기 통로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제1 공기 통로의 크기는 기포가 외부로 빠져나가기에 충분할 수 있다.
한편, 진동음향소자(400)의 상면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탄도를 가지고(즉, 진동음향소자(400)의 상면의 평탄도는 표시 패널(100)의 하면의 평탄도보다 낮고), 진동음향소자(400)는 경성(rigid)일 수 있다. 광차단부재(510)(또는, 표시 패널(100)에 결합된 광차단부재(510))와 진동음향소자(400)의 결합시(즉, 상대적으로 경성이고 접합면이 고르지 않은 물체들 간의 결합시) 상대적으로 많은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결합부재(720)의 제2 오목 패턴(CC2)에 의해 제1 공기 통로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경우, 광차단부재(510)와 진동음향소자(400) 사이의 기포가 많이 발생하더라도, 기포는 제1 공기 통로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진공 설비가 이용되지 않더라도, 제2 오목 패턴(CC2)을 가지는 결합부재(720)를 통해 진동음향소자(400)는 광차단부재(510)에 기포 없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720)의 제2 오목 패턴(CC2)은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유지됨으로써, 광차단부재(510)와 진동음향소자(400) 사이에 잔존하는 기포(즉, 진동음향소자(400)와 광차단부재(510) 간의 결합 공정에서 발생하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 기포)가 표시 장치(10)의 사용 과정에서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다. 따라서, 기포에 기인한 결함(예를 들어, 화면에 기포 자체가 시인된느 현상, 기포에 의해 화면에 발생하는 얼룩무늬 현상 등)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완충부재(520)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100), 윈도우(300)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부재(520)는 단일층 또는 복수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재(52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거나, 고무,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부재(520)는 쿠션층일 수 있다.
완충부재(520)는 진동음향소자(40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완충부재(520)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진동음향소자(400)와 중첩하지 않음으로써, 진동음향소자(400)에서 발생된 진동이 완충부재(520)에 흡수되지 않고 표시 패널(100)에 전달될 수 있다.
브라켓(600)은 표시 패널(100) 및 패널 하부 부재(20)(또는, 진동음향소자(400) 및 완충부재(5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600)은 다른 부품들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 또는 보호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600)은 기능 모듈(200), 표시 패널(100) 및 패널 하부 부재(20)를 수납할 수 있다.
브라켓(600)은 합성 수지 재질, 금속 재질 또는 이종의 재질이 결합된 결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600)의 일부는 표시 장치(10)의 측면에 노출되어 표시 장치(1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브라켓(600)의 하부에는 외부 하우징(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브라켓(600) 자체가 표시 장치(10)의 외부 하우징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브라켓(600)은 바닥부(610)와 측벽(6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610)의 상면은 진동음향소자(400)의 하면 및 완충부재(520)의 하면과 대향하고, 브라켓(600)의 측벽(620)은 기능 모듈(200)의 측면, 표시 패널(100)의 측면, 및 완충부재(520)의 측면에 대향할 수 있다. 측벽(620)의 상단은 윈도우(300)에 대향할 수 있다. 브라켓(600)의 외측면과 윈도우(300)의 외측면은 정렬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방수 테이프를 통해 브라켓(6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브라켓(600)의 측벽(620)이 윈도우(300)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브라켓(600)의 측벽이 윈도우(300)의 외측면과 대향할 수도 있다.
바닥부(610)는 진동음향소자(400)에 대응하는 오목홈(65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음향소자(400)가 완충부재(520)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진동음향소자(400)는 바닥부(610)의 오목홈(65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진동음향소자(400)의 하면 및 측면은 오목홈(650)을 포함하는 바닥부(6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진동음향소자(400)의 진동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진동음향소자(400)의 하면 및/또는 측면의 일부가 오목홈(650)과 접하거나 양면 테이프 등을 통해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바닥부(610)의 하면은 평탄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음향소자(400)가 배치된 바닥부(610)의 일부 영역, 즉, 오목홈(650)이 형성된 바닥부(610)의 일부 영역의 두께는 바닥부(610)의 그 이외의 영역의 두께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진동음향소자(40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바닥부(610)의 두께는 균일할 수 있다.
브라켓(600)의 바닥부(610)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600)의 바닥부(610)는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홀(67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홀(670)은 대체로 브라켓(600) 바닥부(61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홀(670)은 상부의 완충부재(520)와 중첩할 수 있다. 즉, 완충부재(520)는 오목홈(650)의 대응 위치에서는 제거되나, 배터리홀(650)의 대응 위치에는 형성되어 배터리홀(650)을 덮을 수 있다.
완충부재(520)는 탑 결합층(미도시) 및 바텀 결합층(530)을 더 포함하고, 탑 결합층을 통해 표시 패널(100)에 고정되며, 바텀 결합층(530)을 통해 브라켓(600)에 고정될 수 있다.
탑 결합층과 바텀 결합층(530)은 각각 접착층, 점착층, 또는 수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결합층과 바텀 결합층(530) 각각은 실리콘계, 우레탄계, 실리콘-우레탄 하이브리드 구조의 SU폴리머, 아크릴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젤라틴계, 비닐계, 라텍스계, 폴리에스테르계,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으로 분류되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결합층(530)은 완충부재(520)의 최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결합층(530)의 두께는 60㎛ 내지 120㎛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텀 결합층(530)은 완충부재(520)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결합층(530)은 서로 이격된 섬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바텀 결합층(530)은 브라켓(600)의 바닥부(610)의 오목홈(650) 및 배터리홀(670)과 중첩하지 않고, 오목홈(650) 및 배터리홀(670)이 형성된 영역들 이외의 영역에서 전체에 걸쳐 대체로 균일한 밀도로 배치될 수 있다. 바텀 결합층(530)의 섬형 패턴의 평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일 수도 있다.
바텀 결합층(530)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서 완충부재(520)와 브라켓(600)은 상호 이격할 수 있다. 바텀 결합층(530)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즉, 완충부재(520)와 브라켓(600)의 이격 공간)은 완충부재(520)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바텀 결합층(530)이 배치되지 않은 빈 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나아가 진동음향소자(400)에까지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빈 공간은 스피커의 울림통 역할을 하는 울림 공간이 될 수 있다. 울림 공간은 진동음향소자(400)에서 발생한 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100) 아래의 전체 면적에서 바텀 결합층(530)이 없는 영역 전체가 울림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의 전체 크기 대비 효율적인 울림 공간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빈 공간이 배터리홀(670)까지 연결되는 경우, 배터리홀(670)의 빈 공간(배터리가 장착된 경우 배터리와 완충부재(520) 사이의 이격 공간)도 울림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어, 음향 증폭의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 하부 부재(20)는 진동음향소자(400)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는 음향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진동음향소자(400)는, 별도의 진공 설비가 이용되지 않더라도, 제2 오목 패턴(CC2)이 형성된(즉, 상대적으로 큰 엠보 형상을 가지는) 결합부재(720)를 통해, 광차단부재(510)(또는, 표시 패널(100))에 기포 없이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결합부재(720)의 제2 오목 패턴(CC2)(또는, 엠보 형상)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유지됨으로써, 결합부재(720)와 광차단부재(110) 사이에 잔존하는 기포가 제2 오목 패턴(CC2)에 의해 형성된 제2 공기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기포에 기인한 결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바텀 결합층(530)은 브라켓(600)을 완충부재(520)에 결합시키되, 섬형 패턴을 가짐으로써 브라켓(600)과 완충부재(520)의 사이의 빈 공간들을 공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보다 큰 울림 공간이 형성되고, 표시 장치(10)의 음향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패널 하부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패널 하부 부재에 포함된 결합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5,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면, 패널 하부 부재(20_1)는 결합부재(720_1)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5의 패널 하부 부재(20)와 상이하다.
결합부재(720_1)는 기재(721), 제1 결합층(723) 및 제2 결합층(7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720_1)는 볼록 패턴(7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721)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재(72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등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록 패턴(722)은 기재(721) 상에 배치되고, 특정 간격(예를 들어, 제1 폭(D1))을 가지고 매트릭스 형태로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볼록 패턴(722)은, 제2 오목 패턴(CC2)(또는, 제2 볼록 패턴(CV2))에 대응하여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볼록 패턴(722)의 폭은 결합부재(720_1)의 제2 볼록 패턴(CV2)의 폭(W2)과 같거나 작고, 볼록 패턴(722)의 간격은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폭(D2)과 같거나 크며, 또한, 볼록 패턴(722)의 높이(H1)는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깊이(T2)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볼록 패턴(722)은 기재(721)를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볼록 패턴(722)은 기재(721)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층(723)은 기재(721) 및 볼록 패턴(722)의 상부(또는, 상면)에 배치되고, 접착층, 점착층, 또는 수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층(723)은 실리콘계, 우레탄계, 실리콘-우레탄 하이브리드 구조의 SU폴리머, 아크릴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젤라틴계, 비닐계, 라텍스계, 폴리에스테르계,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으로 분류되는 고분자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제1 결합층(723)은 기재(721) 상에 균일하게 도포되거나 코팅되고, 볼록 패턴(722)에 의해 엠보 형상(또는, 제1 볼록 패턴(CV1) 및 제1 오목 패턴(CC1))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층(723)(또는, 결합부재(720_1))의 엠보 형상은 볼록 패턴(722)에 의해 시간이 지나더라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결합층(724)은 기재(721)의 하부(또는, 하면)에 배치되고, 제1 결합층(723)의 예시 물질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a에서 볼록 패턴(722)은 섬형 패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b를 참조하면, 결합부재(720_1)는 볼록 패턴(722_1)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8a의 결합부재(720)와 상이하다.
볼록 패턴(722_1)은 특정 폭(예를 들어, 제2 볼록 패턴(CV2)의 폭(W2))을 가지고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라인 패턴이고, 제2 방향(DR2)(즉, 제1 방향(DR1)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특정 간격(예를 들어, 제2 폭(D2))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재(720_1))의 제2 오목 패턴(CC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는 제1 방향으로만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결합부재(720_2)는 기재(721_2) 및 볼록 패턴(722_2)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8a의 결합부재(720)와 상이하다.
기재(721_2)는 특정 폭(예를 들어, 제2 볼록 패턴(CV2)의 폭(W2))을 가지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며 제1 방향(DR1)을 따라 특정 간격(예를 들어, 제2 폭(D2))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라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볼록 패턴(722_2)은 기재(721_2) 상에 배치되고, 특정 폭(예를 들어, 제2 볼록 패턴(CV2)의 폭(W2))을 가지고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며 제2 방향(DR2)을 따라 특정 간격(예를 들어, 제2 폭(D2))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기재(721_2)와 볼록 패턴(722_2)은 전체적으로 평면상 그물(mesh) 형상을 가지거나, 직물(fabric)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c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720, 720_1, 720_2)는 제2 오목 패턴(CC2)에 대응하는 볼록 패턴(722, 722_1, 722_2)을 포함함으로써, 제2 오목 패턴(CC2)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그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패널 하부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패널 하부 부재에 포함된 결합부재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도 3,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패널 하부 부재(20_2)는 광차단부재(510_1)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5의 패널 하부 부재(20)와 상이하다.
광차단부재(510_1)는 기재(511), 제1 광흡수층(512)(또는, 제1 광차단층) 및 상부 결합층(5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차단부재(510_1)는 제2 광흡수층(5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재(51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511)의 상면에는 제1 광흡수층(51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 흡수층(512)은 기재(511)의 상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흡수층(512)은 기재(511)의 상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흡수층(512)은 빛의 투과를 저지하여 하부의 진동음향소자(400) 등이 상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광흡수층(512)은 블랙 안료나 염료 등과 같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흡수층(512)은 블랙 잉크일 수 있다. 제1 광흡수층(512)은 기재(511)의 상면에 코팅이나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결합층(513)은 제1 광흡수층(512)(또는, 기재(5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결합층(513)은 광차단부재(510_1)를 표시 패널(100)의 하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부 결합층(513)은 접착층, 점착층, 또는 수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결합층(513)은 실리콘계, 우레탄계, 실리콘-우레탄 하이브리드 구조의 SU폴리머, 아크릴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젤라틴계, 비닐계, 라텍스계, 폴리에스테르계,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으로 분류되는 고분자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상부 결합층(513)의 상면에는 제1 오목 패턴(CC1)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오목 패턴(CC1)은, 제1 오목 패턴(CC1)에 대응하는 볼록 패턴을 가지는 이형 필름에 점착제(즉, 상부 결합층(513)을 구성하는 점착제)를 코팅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형 필름은 광차단부재(510_1)와 표시 패널(100)이 결합시 제거되고, 광차단부재(510_1)는 상부 결합층(513)을 통해 표시 패널(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광흡수층(514)은 기재(511)의 하면에 배치되고, 제1 광흡수층(5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패널 하부 부재(20_3)는 제1 및 제2 결합부재들(720_3, 73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5의 패널 하부 부재(20)와 상이하다.
제1 결합부재(720_3)는 제2 오목 패턴(CC2_1)(또는, 엠보 형상)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결합부재(720)와 상이하다.
제2 오목 패턴(CC2_1)(즉, 제1 결합부재(720_3)의 상면에 형성된 제2 오목 패턴(CC2_1))의 제2 폭(D2), 간격(또는, 제2 볼록 패턴(CV2_1)의 폭(W2)), 및 제2 깊이(T2)는, 제1 오목 패턴(CC1)(즉, 광차단부재(51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오목 패턴(CC1))의 제1 폭(D1), 간격(또는, 제1 볼록 패턴(CV1)의 폭(W1)), 및 제1 깊이(T1)와 각각 같을 수 있다.
제2 결합부재(730)는 광차단부재(510)와 제1 결합부재(720_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730)의 하면에는 제3 오목 패턴(CC3)(및 제3 볼록 패턴(CV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오목 패턴(CC3)(즉, 제2 결합부재(730)의 제3 오목 패턴(CC3))의 제3 폭(D3), 간격(또는, 제3 볼록 패턴(CV3)의 폭(W3)), 및 제3 깊이(T3)는, 제2 오목 패턴(CC2_1)(즉, 제1 결합부재(720_3)의 상면에 형성된 제2 오목 패턴(CC2_1))의 제2 폭(D2), 간격(또는, 제2 볼록 패턴(CV2_1)의 폭(W2)), 및 제2 깊이(T2)와 각각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재(730)와 제1 결합부재(720_3)는 하나의 결합부재(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로 제조되고, 진동음향소자(400)와 광차단부재(510)의 결합을 위해, 제1 결합부재(720_3) 및 제2 결합부재(730)는 재단(cut)(또는, 분리)되어, 진동음향소자(400)의 상면 및 광차단부재(510)의 하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결합부재(730)는 광차단부재(51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결합부재(720_3)의 제2 오목 패턴(CC2_1)과 제2 결합부재(730)의 제3 오목 패턴(720)의 제3 오목 패턴(CC3)은 제2 공기 통로를 형성하고, 제2 공기 통로의 크기(또는, 단면적)은 광차단부재(510)의 제1 오목 패턴(CC1)에 의해 형성된 제1 공기 통로의 크기(또는,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광차단부재(510)(또는, 표시 패널(100)에 결합된 광차단부재(510))와 진동음향소자(400)가 결합하면서 상대적으로 많은 기포가 발생하거나 잔존하더라도, 기포가 제1 공기 통로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오목 패턴(또는, 엠보 형상)을 가지는 결합부재가 이용되더라도, 결합부재가 광차단부재(510)의 하면 및 진동음향소자(400)의 상면에 각각 부착됨으로써, 광차단부재(510)와 진동음향소자(400)의 결합시에 발생하는 기포 및 기포로 인한 결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패널 하부 부재(20_4)는 제1 및 제2 결합부재들(720_4, 730_1)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0의 패널 하부 부재(20_3)와 상이하다.
제1 결합부재(720_4)는 진동음향소자(400)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오목 패턴(CC2_1)이 형성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결합부재(730_1)는 광차단부재(510)의 하면에 배치되고, 제3 오목 패턴(CC3)이 형성된 하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720_4)는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결합부재(720_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재(720_3)의 제2 오목 패턴(CC2_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며, 제2 방향(DR2)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730)는, 제1 결합부재(720_4)가 180도로 뒤집어진 상태에서, 수직축(즉, 일면에 수직하는 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와 같을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재(730_1)의 제3 오목 패턴(CC3)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며, 제1 방향(DR1)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720_3)의 제2 오목 패턴(CC2_1)과 제2 결합부재(730_1)의 제3 오목 패턴(CC3)은 상호 교차하고, 메쉬 형태의 제2 공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패널 하부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13를 참조하면, 패널 하부 부재(20_5)는 광차단부재(510_2)를 포함하고 결합부재(720)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5의 패널 하부 부재(20)와 상이하다.
광차단부재(510_2)는 제3 오목 패턴(CC3)이 형성된 하면과, 제1 오목 패턴(CC1)이 형성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오목 패턴(CC1)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오목 패턴(CC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제3 오목 패턴(CC3)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오목 패턴(CC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3 오목 패턴(CC3)의 제3 폭(D3), 간격(또는, 제3 오목 패턴(CC3)에 의해 정의되는 제3 볼록 패턴(CV3)의 폭(W3)) 및 제3 깊이(T3)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폭(D2), 간격(또는, 제2 볼록 패턴(CV2)의 폭(W2)) 및 제2 깊이(T2)와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오목 패턴(CC3)은 광차단부재(510_2)의 하면 중 진동음향소자(400)와 중첩하는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차단부재(510_2)의 하면 중 완충부재(520)와 중첩하는 영역에는, 제3 오목 패턴(CC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차단부재(510_2)의 하면 중 완충부재(520)와 중첩하는 영역에는, 제3 오목 패턴(CC3)과 다른 오목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차단부재(510_2)와 완충부재(520) 사이에 경성의 기능층이 배치되는 경우, 광차단부재(510_2)의 하면 전체에 제3 오목 패턴(CC3)이 형성될 수 있다.
광차단부재(510_2)의 하면은 점착 특성을 가지며, 광차단부재(510_2)의 하면에 진동음향소자(400)가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결합부재가 광차단부재(510_2)와 진동음향소자(400) 사이에 개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패널 하부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패널 하부 부재(20_6)는 광차단부재(510_3)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3의 패널 하부 부재(20_5)와 상이하다.
광차단부재(510_3)는 기재(511), 제1 광흡수층(512), 상부 결합층(513), 제2 광흡수층(514) 및 하부 결합층(515)을 포함할 수 있다. 광차단부재(510_3)는 하부 결합층(515)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차단부재(510_1)와 상이하다.
하부 결합층(515)은 제2 광흡수층(514)(또는, 기재(51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결합층(515)은 광차단부재(510_3)와 진동음향소자(400)를 결합시키고, 또한, 광차단부재(510_3)와 완충부재(520)(또는, 완충부재(5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하부 결합층(515)은 접착층, 점착층, 또는 수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부 결합층(513)을 구성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결합층(515)의 하면에는 제3 오목 패턴(CC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목 패턴(CC1)과 유사하게, 제3 오목 패턴(CC3)에 대응하는 볼록 패턴을 가지는 이형 필름에 점착제(즉, 하부 결합층(515)을 구성하는 점착층)를 코팅한 후, 광차단부재(510_3)의 기재(511)(또는, 제2 광흡수층(514)이 결합된 기재(511))를 합지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3 오목 패턴(CC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오목 패턴(CC3)은 하부 결합층(515)의 하면 중 진동음향소자(400)와 중첩하는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 결합층(515)의 하면 중 완충부재(520)와 중첩하는 영역에는, 제3 오목 패턴(CC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 및 도 15을 참조하면, 패널 하부 부재(20_7)는 광차단부재(510_4) 및 결합부재(720_3)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3의 패널 하부 부재(20_5)와 상이하다.
광차단부재(510_4)는 제3 오목 패턴(CC3)이 형성된 하면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차단부재(510_2)와 상이하다.
제3 오목 패턴(CC3)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3 오목 패턴(CC3)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3 오목 패턴(CC3)(즉, 광차단부재(510_4)의 하면에 형성된 제3 오목 패턴(CC3))의 제3 폭(D3), 간격(또는, 제3 볼록 패턴(CV3)의 폭(W3)), 및 제3 깊이(T3)는, 제1 오목 패턴(CC1)(즉, 광차단부재(510_4)의 상면에 형성된 제1 오목 패턴(CC1))의 제1 폭(D1), 간격(또는, 제1 볼록 패턴(CV1)의 폭(W1)), 및 제1 깊이(T1)와 각각 같을 수 있다.
제3 오목 패턴(CC3)은 광차단부재(510_4)의 하면 중 진동음향소자(400)와 중첩하는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차단부재(510_2)의 하면 중 완충부재(520)와 중첩하는 영역에는, 제3 오목 패턴(CC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재(720_3)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결합부재(720_3)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오목 패턴(CC2)(즉, 결합부재(720_3)의 상면에 형성된 제2 오목 패턴(CC2))의 제2 폭(D2), 간격(또는, 제2 볼록 패턴(CV2)의 폭(W2)), 및 제2 깊이(T2)는, 제1 오목 패턴(CC1)(즉, 광차단부재(510_4)의 상면에 형성된 제1 오목 패턴(CC1))의 제1 폭(D1), 간격(또는, 제1 볼록 패턴(CV1)의 폭(W1)), 및 제1 깊이(T1)와 각각 같을 수 있다.
따라서, 광차단부재(510_4)와 결합부재(720_3)가 상대적으로 작은 오목 패턴(또는, 엠보 형상)을 가지더라도, 광차단부재(510_4)의 제3 오목 패턴(CC3)과 결합부재(720_3)의 제2 오목 패턴(CC2)이 중첩하거나 직접적으로 접함으로써, 광차단부재(510_4)와 진동음향소자(400)의 결합시에 발생하는 기포 및 기포로 인한 결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Q1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3,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_1)는 패널 하부 부재(20_8)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표시 장치(10)와 상이하다. 또한, 패널 하부 부재(20_8)는 기능층(54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5의 패널 하부 부재(20_8)와 상이하다.
패널 하부 부재(20_8)는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패턴 시인 방지 기능, 접지 기능, 강도 보강 기능 및/또는 디지타이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층(540)은 지지 기재, 방열층, 전자파 차폐층, 충격 흡수층, 결합층, 압력 센서, 디지타이저 등일 수 있다.
기능층(540)은 광차단부재(510) 및 진동음향소자(400)(또는, 결합부재(720))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광차단부재(510)와 완충부재(5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540)은 광차단부재(5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광차단부재(510)의 하부에 배치되며, 별도의 점착 필름(미도시)를 통해 기능층(54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기능층(540)은 시트로 이루어진 시트층, 필름으로 필름층, 박막층, 코팅층, 패널, 플레이트 등일 수 있다. 하나의 기능층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적층된 복수의 박막이나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층(540)은 블랙 테이프일 수 있다. 이 경우, 블랙 테이프는 광차단부재(510)와 함께 블랙 테이프 하부에 배치된 구성들(예를 들어, 진동음향소자(400), 완충부재(520) 등)이 상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층(540)은 디지타이저 일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점착 필름(미도시)을 통해 광차단부재(5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입력 장치의 하나로서,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와 달리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디지타이저는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타이저는 필름이나 패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는 하나의 기능층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능층(540)은 지지 기재, 방열층, 전자파 차폐층, 압력 센서, 디지타이저 중 적어도 2개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은 패널 하부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패널 하부 부재(20_9)는 방열부재(55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7의 패널 하부 부재(20_8)와 상이하다.
방열부재(550)는, 도 17의 기능층(540)과 유사하게, 광차단부재(510) 및 진동음향소자(400)(또는, 결합부재(720))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광차단부재(510)와 완충부재(5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550)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재(550)는 2개의 방열층(551, 555) 및 결합층(5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층(551)과 제2 방열층(555)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다른 방열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열층(551)은 그라파이트나 탄소 나노 튜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열층(555)은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방열층(555)은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 등과 같은 금속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열층(555)은 제1 방열층(55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열층(551)과 제2 방열층(555)은 중첩하도록 배치되되, 제1 방열층(551)은 제2 방열층(555)보다 작고, 그 측면이 제2 방열층(555)의 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방열층(551)과 제2 방열층(555) 사이에는 결합층(553)이 위치할 수 있다. 결합층(553)은 제1 방열층(551)과 제2 방열층(555)을 결합하고, 제1 방열층(551)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결합층(553)의 물질은 바텀 결합층(530)의 예시 물질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열부재(550)는, 완충부재(520)와 유사하게, 진동음향소자(40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음향소자(400)가 진동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도 17 및 도 18에서, 패널 하부 부재(20_8, 20_9)는 하나의 기능층(540), 또는, 방열부재(5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패널 하부 부재(20_9)에 포함된 3개의 층들(551, 553, 555) 각각은 지지 기재, 방열층, 전자파 차폐층, 충격 흡수층, 결합층, 압력 센서, 디지타이저 중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표시 장치
20: 패널 하부 부재
100: 표시 패널
200: 기능 모듈
300: 윈도우
400: 진동음향소자
510: 광차단부재
520: 완충부재
530: 바텀 결합층
600: 브라켓
720: 결합부재

Claims (31)

  1. 제1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광차단부재;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차단부재에 결합된 진동음향소자;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비중첩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진동음향소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오목 패턴과는 다른 제2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목 패턴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의 단위 면적 당 제2 부피는 상기 제1 오목 패턴에 의해 상기 광차단부재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기 통로의 단위 면적 당 제1 부피보다 큰 패널 하부 부재.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재에 접하는 상기 제2 공기 통로의 상부 표면적은,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면의 10% 내지 30% 인 패널 하부 부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두께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제2 깊이는 상기 광차단부재의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제1 깊이보다 깊은 패널 하부 부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제2 폭은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제1 폭보다 큰 패널 하부 부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제2 폭은 상기 제2 오목 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볼록 부분의 폭의 5% 내지 15%인 패널 하부 부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양면 접착 테이프인 패널 하부 부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오목 패턴에 대응하는 제3 오목 패턴을 가지는 기재,
    상기 기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기재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부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오목 패턴은 아일랜드 형태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패널 하부 부재.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오목 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선들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부재.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메쉬 구조를 가지는 패널 하부 부재.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섬유(fabric) 구조를 가지고,
    상기 기재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제1 라인들,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라인들과 교차하는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부재.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음향소자는, 제1전극,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물질층은, 압전체, 압전 필름, 및 전기 활성 고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패널 하부 부재.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재는,
    기재,
    상기 기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중첩하는 제1 광차단층, 및
    상기 제1 광차단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탑 결합층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부재.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차단층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부재.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재는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중첩하는 제2 광차단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차단층은 상기 기재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진동음향소자는 상기 제2 광차단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패널 하부 부재.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재와 이격된 층간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층간 결합부재는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비충첩하는 패널 하부 부재.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패널 하부 부재.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중첩하는 패널 하부 부재.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중첩하는 패널 하부 부재.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완충부재와 중첩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2 오목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패널 하부 부재.
  22. 제1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 및 제2 오목 패턴이 형성된 하면을 가지는 광차단부재;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차단부재에 결합된 진동음향소자; 및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비중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목 패턴에 의해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진동음향소자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기 통로는 상기 제1 오목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기 통로와 다르며,
    상기 제2 공기 통로의 단위 면적 당 제2 부피는 상기 제1 공기 통로의 단위 면적 당 제1 부피보다 큰 패널 하부 부재.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 패턴은 상기 광차단부재의 상면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오목 패턴은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면 중 제1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중첩하는 패널 하부 부재.
  24. 삭제
  2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진동음향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음향소자에 접하는 상기 제2 공기 통로의 하부 표면적은,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면의 10% 내지 30% 인 패널 하부 부재.
  26.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제2 깊이는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제1 깊이보다 깊은 패널 하부 부재.
  27.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진동음향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오목 패턴의 제2 폭은 상기 제1 오목 패턴의 제1 폭보다 큰 패널 하부 부재.
  28.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진동음향소자 사이에 위치하고, 제3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음향소자는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광차단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공기통로는 상기 제2 오목 패턴 및 상기 제3 오목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패널 하부 부재.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오목 패턴들은 상호 동일한 폭 및 상호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패널 하부 부재.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 패턴은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오목 패턴은 상기 결합부재의 상면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패널 하부 부재.
  3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패널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광차단부재;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차단부재에 결합된 진동음향소자;
    상기 광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진동음향소자와 비중첩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광차단부재와 상기 진동음향소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오목 패턴과는 다른 제2 오목 패턴이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음향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074068A 2018-06-27 2018-06-27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52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068A KR102552930B1 (ko) 2018-06-27 2018-06-27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9066359A JP7340946B2 (ja) 2018-06-27 2019-03-29 パネル下部部材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US16/376,700 US10802635B2 (en) 2018-06-27 2019-04-05 Panel bottom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910509411.6A CN110650414B (zh) 2018-06-27 2019-06-13 面板底部构件及包括面板底部构件的显示装置
CN202210963566.9A CN115237280A (zh) 2018-06-27 2019-06-13 面板底部构件及包括面板底部构件的显示装置
EP21182808.2A EP3907977B1 (en) 2018-06-27 2019-06-24 Panel bottom assembly for a display device
TW108122028A TWI829712B (zh) 2018-06-27 2019-06-24 面板底部元件以及包含其之顯示裝置
EP19182101.6A EP3595272B1 (en) 2018-06-27 2019-06-24 Panel bottom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7/036,907 US11262862B2 (en) 2018-06-27 2020-09-29 Panel bottom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ihe same
KR1020230086212A KR102626793B1 (ko) 2018-06-27 2023-07-04 패널 하부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068A KR102552930B1 (ko) 2018-06-27 2018-06-27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212A Division KR102626793B1 (ko) 2018-06-27 2023-07-04 패널 하부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59A KR20200001659A (ko) 2020-01-07
KR102552930B1 true KR102552930B1 (ko) 2023-07-07

Family

ID=671805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068A KR102552930B1 (ko) 2018-06-27 2018-06-27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30086212A KR102626793B1 (ko) 2018-06-27 2023-07-04 패널 하부 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212A KR102626793B1 (ko) 2018-06-27 2023-07-04 패널 하부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802635B2 (ko)
EP (2) EP3907977B1 (ko)
JP (1) JP7340946B2 (ko)
KR (2) KR102552930B1 (ko)
CN (2) CN110650414B (ko)
TW (1) TWI8297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188B1 (ko) * 2018-01-23 2023-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2930B1 (ko) 2018-06-27 2023-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94577B1 (ko) * 2018-08-22 202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21948A (ko) * 2019-04-16 2020-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017529A (zh) * 2019-05-30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缓冲结构、显示屏模组、其制备方法及终端设备
WO2020258134A1 (zh) * 2019-06-27 2020-12-30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扬声器箱及电子设备
KR20210106046A (ko) * 2020-02-19 2021-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10126175A (ko) 2020-04-09 2021-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827318A (zh) 2021-01-29 2022-07-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5623383A (zh) * 2021-07-13 2023-01-1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以及其控制方法
WO2023024081A1 (zh) * 2021-08-27 2023-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振动面板、其制作方法、其驱动方法及振动装置
CN116110283A (zh) 2021-11-10 2023-05-1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7590643A (zh) * 2022-03-21 2024-02-23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3894A1 (en) 2004-10-20 2006-04-20 Jan Vetrovec Adhesive sheet
KR101372851B1 (ko) 2008-07-11 2014-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0434A (en) * 1969-10-08 1972-06-20 Ryoji Shibata Adhesive device
JPH03258530A (ja) * 1990-03-09 1991-11-18 Toyo Rubber Chem Ind Co Ltd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361163A (en) * 1991-06-03 1994-11-01 Dai Nippon Printing Co., Ltd. Reflection type projection screen, production process thereof, and production apparatus thereof
JPH09241589A (ja) * 1996-03-13 1997-09-16 Minnesota Mining & Mfg Co <3M> 衝撃緩和性粘着シート及び衝撃緩和構造体
TWI266104B (en) * 2002-03-14 2006-11-11 Sharp Kk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substrate assembling apparatus
KR100562404B1 (ko) 2003-12-19 2006-03-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추가 스캐닝이 수행되는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US20070132387A1 (en) * 2005-12-12 2007-06-14 Moore Chad B Tubular plasma display
US8202160B2 (en) 2006-04-18 2012-06-19 Wms Gaming Inc. Wagering game with multi-level progressive game
KR100833738B1 (ko) * 2006-11-30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24902B1 (ko) * 2006-12-13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989309B2 (ja) * 2007-05-18 2012-08-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
JP2009025621A (ja) 2007-07-20 2009-02-05 Shin Etsu Polymer Co Ltd ディスプレイ表面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34473A (ja) * 2007-11-29 2009-06-18 Sony Corp 押圧検知センサ、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90057609A (ko) 2007-12-03 2009-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100953654B1 (ko) * 2008-06-26 2010-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831840B2 (ja) * 2009-02-25 2011-12-07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ミラ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66899B1 (ko) 2009-02-26 2015-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특성들을 변경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와 그 방법, 및 상기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US20100225600A1 (en) * 2009-03-09 2010-09-09 Motorola Inc. Display Structure with Direct Piezoelectric Actuation
KR101681884B1 (ko) * 2009-03-27 2016-12-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장치,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JP2010243690A (ja) 2009-04-03 2010-10-28 Panasonic Corp 画像表示装置
BR112012026329A2 (pt) * 2010-04-16 2019-09-24 Flex Lighting Ii Llc sinal compreendendo um guia de luz baseado em película
US20110255250A1 (en) * 2010-04-19 2011-10-20 Richard Hung Minh Dinh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s for electronic devices
US8201971B2 (en) 2010-04-20 2012-06-19 International Development LLC Multiple LED bulb with thermal management features
US20110277381A1 (en) 2010-05-13 2011-11-17 Bloomaker USA, Inc. Bio-degradable pot for pre-planted bulbs
US10245776B2 (en) * 2011-09-30 2019-04-02 Apple Inc. Methods for forming electronic devices with bent display edges
KR102058387B1 (ko) * 2011-11-28 2019-12-2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유리 패턴 및 그 형성 방법, 밀봉체 및 그 제작 방법, 및 발광 장치
US9405417B2 (en) * 2012-09-24 2016-08-02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and methods
KR101982139B1 (ko) * 2012-10-17 2019-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53607A (ko) * 2012-10-26 2014-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56548A (ko) * 2012-10-29 2014-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101604886B1 (ko) * 2012-12-06 2016-03-25 (주)엘지하우시스 미세공명구조를 갖는 흡음시트,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흡음형 방음패널
KR102061748B1 (ko) 2013-05-07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77144B1 (ko) * 2013-05-30 2020-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42032A (ko) 2013-06-03 2014-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19130A (ko) * 2013-08-12 2015-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04384B1 (ko) * 2013-09-16 2021-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39367B1 (ko) * 2013-11-27 2021-04-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KR102229137B1 (ko) *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275566B2 (ja) 2014-06-26 2018-02-0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160027679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205875A (zh) 2015-02-03 2017-09-26 李勋相 包含性别专用模块的排泄物处理装置
KR102389775B1 (ko) 2015-02-09 2022-04-2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에폭시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및 섬유 강화 복합재료
WO2016161161A1 (en) * 2015-03-31 2016-10-06 Cree, Inc. Light emitting diodes and methods with encapsulation
CN106185788B (zh) * 2015-04-30 2018-02-06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mems器件及其制备方法、电子装置
US10007151B2 (en) * 2015-06-10 2018-06-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168844B2 (en) * 2015-06-26 2019-01-0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467420B1 (ko) * 2015-08-31 2022-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589479B2 (ja) 2015-09-11 2019-10-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示装置
US10381381B1 (en) * 2015-10-20 2019-08-13 Apple Inc. Display with light transmitting windows
KR20170114471A (ko) 2016-04-05 2017-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KR102401285B1 (ko) 2016-04-01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685944B2 (en) * 2016-10-25 2020-06-16 James Jen-Ho Wang Film sensors array and method
KR101815900B1 (ko) 2017-06-16 2018-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EP3459447A3 (en) * 2017-09-26 2019-07-10 Apple Inc. Optical sensor subsystem adjacent a cover of an electronic device housing
KR102366552B1 (ko) 2017-10-12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하부 부재 구조물 및 표시 장치
US10453827B1 (en) * 2018-05-30 2019-10-22 Cree, Inc. LED apparatuses and methods
KR102552930B1 (ko) 2018-06-27 2023-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3894A1 (en) 2004-10-20 2006-04-20 Jan Vetrovec Adhesive sheet
KR101372851B1 (ko) 2008-07-11 2014-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50414A (zh) 2020-01-03
US10802635B2 (en) 2020-10-13
JP7340946B2 (ja) 2023-09-08
US20210026480A1 (en) 2021-01-28
JP2020003778A (ja) 2020-01-09
EP3907977B1 (en) 2023-07-26
EP3595272A1 (en) 2020-01-15
TWI829712B (zh) 2024-01-21
EP3907977A1 (en) 2021-11-10
TW202018993A (zh) 2020-05-16
KR20230107758A (ko) 2023-07-18
EP3595272B1 (en) 2021-07-28
KR20200001659A (ko) 2020-01-07
US20200004364A1 (en) 2020-01-02
CN110650414B (zh) 2022-08-30
US11262862B2 (en) 2022-03-01
CN115237280A (zh) 2022-10-25
KR102626793B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930B1 (ko)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95188B1 (ko) 표시 장치
KR102367975B1 (ko)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66552B1 (ko) 패널 하부 부재 구조물 및 표시 장치
KR101436271B1 (ko) 터치 감지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햅틱 및 오디오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67641B1 (ko) 커버 윈도우 일체형 햅틱 엑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KR102430953B1 (ko)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1754858B (zh) 显示设备
KR20210016231A (ko) 패널 하부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169608B2 (en) Display device
US1099018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vibrating element
US20240007795A1 (en) Apparatus
KR102313293B1 (ko) 액츄에이터, 액츄에이터 구동 방법 및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103732A (ko)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