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021A -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021A
KR20190090021A KR1020197020485A KR20197020485A KR20190090021A KR 20190090021 A KR20190090021 A KR 20190090021A KR 1020197020485 A KR1020197020485 A KR 1020197020485A KR 20197020485 A KR20197020485 A KR 20197020485A KR 20190090021 A KR20190090021 A KR 20190090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signal
unit
selection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423B1 (ko
Inventor
임영섭
박준홍
박덕우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90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02F9/2012Sett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levers, e.g. changing assigned functions among operations levers, setting functions dependent on the operator or seat orien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64Buckets cars, i.e. having scraper bowls
    • E02F3/65Component parts, e.g. drives, control devices
    • E02F3/653Connection mechanisms to the main body of th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E02F9/2228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02F9/265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with follow-up actions (e.g. control signals sent to actuate the work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설장비의 어태치먼트 장착을 위한 클램프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온 조작시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 입력부와, 상기 운전자 조작시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 입력부와, 상기 클램프를 풀림 구동 및 고정 구동시키는 클램프 구동부 및 상기 선택 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클램프가 풀림 구동되도록 상기 클램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현장 또는 토목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장비, 예를 들면 굴삭기는 버킷(Bucket)을 이용한 땅파기 작업뿐만 아니라 크러셔(Crusher)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물 파쇄 및 철근 절단 작업, 브레이커(Breaker)를 이용한 암석 및 콘크리트 파괴 작업, 그랩(Grab)을 이용한 고철 및 암석 운반 작업, 크람셀 버킷(Clamshell bucket)을 이용한 수직갱 및 상하수도 건축 기초공사 작업 등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를 서로 교체해가면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통 어태치먼트는 작업의 용도에 맞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굴삭기의 암이나 붐에 장착 및 탈거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종래의 중장비는 이러한 어태치먼트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위치를 입력만으로 어태치먼트의 클램프를 해제(release)시키는 퀵 클램프 기능을 적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중장비의 퀵 클램프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 제어장치(2)는 토글 스위치(1)가 온되면 바로 클램프 솔레노이드 밸브(3)가 동작되어 어태치먼트를 탈착시키는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
이와 같은 퀵 클램프 기능을 통해 어태치먼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게 조작장치를 움직여서 어태치먼트가 탈착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게 조작장치를 움직여서 어태치먼트가 탈착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안전 조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건설기계의 안전 조작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별도의 스위치를 추가 하지 않고,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스위치 또는 입력버튼을 사용하여 구현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는 운전자에 의한 온 조작시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 입력부와, 상기 운전자 조작시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 입력부와, 상기 클램프를 풀림 구동 및 고정 구동시키는 클램프 구동부 및 상기 선택 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클램프가 풀림 구동되도록 상기 클램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 입력부는 상기 운전자가 누름 조작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 신호의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클램프가 풀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클램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 입력부는 운전자의 양손으로 동시에 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 입력부는 좌측 조이스틱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버튼 및 스위치 중 어느 하나와, 우측 조이스틱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버튼 및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작동 입력부 중 어느 하나의 누름조작이 중단되면 상기 클램프가 고정되도록 클램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는 알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와 경고음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알람 메시지와 경고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 입력부가 오프되어 선택신호 발생이 중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고유기능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선택 입력부가 온 조작되어 상기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고유기능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 입력부는 좌측 조이스틱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버튼 및 스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우측 조이스틱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버튼 및 스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운전자 양손의 동시 조작이 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된 좌측 조이스틱의 조작버튼의 고유기능은 엔진 감속 선택 신호 출력이고, 상기 선택된 우측 조이스틱의 조작버튼의 고유기능은 승압 선택 조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파일럿 컷 오프 신호의 입력은 모니터링하고,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클램프의 풀림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방법은, 운전자에 의한 선택 입력부의 온 조작에 의해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택 신호가 발생되는 동안 운전자에 의한 작동 입력부의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선택신호가 발생되는 동안 발생되는 작동 신호에 의해 클램프를 풀림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게 클램프 해제 기능이 작동되어 어태치먼트가 탈착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장비의 퀵 클램프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안전조작을 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에 표시되는 알람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안전조작을 위한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퀵 클램프 제어장치는 선택 입력부(10), 제어부(20), 클램프 구동부(30) 및 작동 입력부(40,5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구동부(30)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클램프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작동유를 클램프 구동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클램프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클램프 구동부(30)를 제어하여 클램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 입력부(10)는 운전자가 클램프 조작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운전자에 의해 클램프 조작을 선택하기 위해 선택 입력부(10)를 조작하면 선택 입력부(10)는 선택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0)로 전송한다.
작동 입력부(40,50)는 선택 입력부(10)와는 별도로 운전석 내에 마련되며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면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0)로 전송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선택신호의 입력 후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기간 동안 클램프가 작동되어 풀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클램프 구동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클램프 구동부(30)가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로 구비된다. 선택 입력부(10)는 운전자의 원터치 조작으로 온/오프가 가능한 토글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며, 온 선택시 클램프 풀림 구동이 선택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작동 입력부(40,50)는 적어도 두 개의 버튼 형태의 조작장치로 구비되어, 운전자에 의해 작동 입력부(40,50)가 조작되는 동안 작동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작동 입력부(40,50)는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신호를 발생되시키고, 운전자가 작동 입력부(40,50)를 누르고 있는 시간 동안 작동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운전자가 작동 입력부(40,50)들 중 어느 하나라도 조작을 중단한 경우, 제어부(20)는 클램프 구동부(30)를 제어하여 클램프가 풀림 상태에서 고정상태로 전환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선택 입력부(10)와 작동 입력부(40,50)는 계기판 화면 또는 컨트롤 박스에 별도로 마련된 정전자식 입력장치의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건설장비 구동을 제어하는 장비 제어장치 형태로 구비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계기판 등과 같은 전장품에 마련된 개별 제어장치에서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에서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는 제어부(20)에 제1신호라인(L1)과, 제2신호라인(L2)과, 제3신호라인(L3)과, 제4신호라인(L4)들을 통해 선택 입력부(10)와, 클램프 구동부(30)와, 작동 입력부(40,50)와 연결된다. 제1신호라인(L1)은 선택 입력부(10)와 제어부(20)를 연결시킨다. 제2신호라인(L2)은 클램프 구동부(30)와 제어부(20)를 연결시킨다. 제3신호라인(L3) 및 제4신호라인(L4)은 작동 입력부(40,50) 각각과 제어부(20)를 연결시킨다. 제1신호라인(L1)과 제2신호라인(L2)은 클램프 밸브(30)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운전자가 선택 입력부(10)를 조작하여 클램프 해제가 선택된 후 제어부(20)에서 제2신호라인(L2)으로 클램프 해제 구동신호를 출력하면 클램프 구동부(30)가 작동되어 클램프가 풀림 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클램프 풀림 구동신호는 작동 입력부(40,50)의 추가 조작이 발생되어 제3신호라인(L3) 및 제4신호라인(L4)으로 작동 신호가 입력되어야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선택 입력부(10)의 조작만으로 클램프 밸브(30)를 작동시킬 수는 없다. 이는 선택 입력부(10)가 운전자의 실수로 조작되더라도 클램프가 풀림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어부(20)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신호라인을 통해 출력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선택 입력부(10)가 온 되었을 때 경고음 및 경고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 가능하다. 이는 운전자가 현재 클램프 풀림 구동이 선택되었음을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작동 입력부(40,50)는 건설장비 운전석에 구비된 조이스틱에 설치될 수 있다. 조이스틱은 붐, 암, 버켓 등 건설장비의 작업장치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굴삭기의 경우를 예를 들면, 두 개의 조이스틱이 운전석 좌우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이러한 조이스틱은 작업장치들의 구동 조작 이외에도 추가 기능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조작버튼 또는 스위치를 구비하며 각각의 조작버튼 또는 스위치는 조작시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고유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조이스틱은 엔진 감속을 강제 실행시키는 엔진 감속(engine decelation) 선택 조작버튼과 회전형 옵션 작업장치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한 회전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 복수의 조작버튼 또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조이스틱은 투 웨이(two way) 방식의 옵션 작업장치의 조작을 위한 회전 스위치와, 건설장비 유압 시스템의 릴리프 압력을 일시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승압(pressure up) 조작 버튼을 포함한 복수의 조작버튼 또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 입력부(40,50)는 좌측 조이스틱의 조작버튼들 중 하나와 우측 조이스틱의 조작버튼들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조작버튼 타입의 엔진 감속 선택 조작버튼과 승압 조작 버튼이 작동 입력부(40,50)로 사용되는 경우를 일례로 보여주고 있다. 운전자 조작에 의해 선택 입력부(10)를 통해 클램프 풀림이 선택되면 해당 조작버튼들은 고유기능 대신 클램프 풀림 구동에 관여하게 된다. 즉, 조작버튼들의 조작시 고유기능이 수행되는 고유기능 모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20)는, 조작버튼들의 조작에 의해 조작신호가 인가되면, 선택입력부(10)가 온 조작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신호를 클램프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로 인식하고 선택입력부(10)가 오프 조작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신호를 각 조작버튼의 고유기능 수행을 위한 구동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엔진 감속 선택 조작버튼과 승압 조작 버튼이 작동 입력부로 사용되는 경우, 고유기능 모드에서는 엔진 감속 선택 조작버튼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면 엔진 감속 선택 신호를 출력하고, 승압 조작 버튼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면 승압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작동입력부(40,50)가 좌우 조이스틱에 마련된 조작버튼으로 구성되어 운전자는 두 손을 동시에 사용하여야만 클램프의 풀림구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가 두 손을 동시에 잘못 조작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안전 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작동입력부(40,50)는 운전자가 누름 조작을 하고 있는 동안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클램프 풀림 구동이 진행되는 동안 작동입력부(40,50)가 누름조작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 또한 운전자 실수로 인한 안전사고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운전자가 클램프 풀림 구동 조작을 원하는 경우 좌우 조이스틱 각각에 배치된 작동 입력부(40,50)를 두 손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는 선택 입력부(210), 제어부(220), 작동 입력부(230), 클램프 구동부(240) 및 출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입력부(210)는 온되면 클램프 풀림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선택 입력부(210)가 온 또는 오프되어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220)에 전달된다.
제어부(220)는 조작 안전장치가 조작을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선택 입력부(210)로부터 온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작동 입력부(230)로부터의 신호가 발생되면 어태치먼트의 클램프 풀림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작동 입력부(230)는 운전자 조작에 의해 임의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220)에 전달된다.
작동 입력부(230)는 건설장비에 마련되어 있는 임의의 버튼 또는 스위치 예컨대, 좌측 조이스틱의 버튼, 우측 조이스틱의버튼, 계기판의 임의의 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제어부(220)의 지시에 따라 알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청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계기판과 같은 표시장치와 스피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선택 입력부(210)가 온 되어 발생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작동 입력부(23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에 매칭되어 있는 고유기능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클램프 해제를 위한 추가 입력 신호로 판단한다. 여기서 고유기능모드란 입력부(230)의 신호에 따라 설정되어있는 고유기능을 수행하는 모드를 말한다. 여기서 고유기능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여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20)는 선택 입력부(210)가 온 되어 발생된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 입력부(210)가 온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게 위해 알람을 출력한다.
제어부(220)는 선택 입력부(210)가 온 되어 있는 상태 즉 작동 입력부(230)의 고유기능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작동 입력부(23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작업자의 클램프 풀림 구동을 위한 작동 신호로 인식한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선택 입력부(210)가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 입력부(23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 받으면, 클램프 풀림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에 표시되는 알람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입력부는 조이스틱의 좌측 버튼과 우측 버튼 2개를 모두 입력부로서 사용함을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선택 입력부가 온되어(S110), 스위치 온 전환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된다.
제어부는 입력부의 고유기능 모드를 비활성화한다(S120).
이와 동시에 선택 입력부가 온 전환되었음을 작업자에게 통지하여,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한다(S130).
상술한 통지는 경고음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 입력부가 온 조작되었을 때 제어부는 운전실내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운전실 내 음향장치, 예를 들어 스피커, 파일럿 부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고음은 선택 입력부가 오프 조작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장비의 계기판과 같은 표시장치에, 선택 입력부가 온 되었음을 통지하는 문구(510)와 선택 입력부가 온 되었음을 의미하는 심볼(502)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문구는 팝업 형식으로 표시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이 표시문구는 선택 입력부가 다시 오프로 전환되거나, 작동 입력부(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조이스틱 버튼 및 우측 조이스틱 버튼)가 조작되어 클램프 풀림이 수행되면 자동적으로 사라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4로 되돌아오면, 좌측 조이스틱 버튼과 우측 조이스틱 버튼으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40).
단계 S140에서 좌측 조이스틱 버튼과 우측 조이스틱 버튼으로부터 신호가 발생하여 발생된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면, 제어부는 작업자가 클램프 풀림을 원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어태치먼트의 클램프 풀림을 지시한다(S150).
단계 S140에서 좌측 조이스틱 버튼과 우측 조이스틱 버튼으로부터 중 어느 하나라도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작업자가 클램프 해제를 원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클램프 스위치가 오프되었는지 확인한다(S160).
단계 S160에서 선택 입력부가 오프로 전환되지 않으면 계속하여 선택 입력부가 온 상태임을 통지하는 단계 S120으로 되돌아간다.
다른 변형 예에서 단계 S110 이전에 파일럿 컷 오프 신호가 입력된 상태인지 모니터링 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파일럿 컷 오프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장비의 작업 작동은 중지되고, 파일럿 컷 오프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만 다음 클램프 안전 조작단계(단계 S110 이후)로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파일럿 컷 오프 신호가 입력 되면 작업장비가 작동 중이므로 클램프 스위치가 온 되어도 클램프 풀림 기능은 수행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퀵 클램프 제어장치에 의해,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게 조작장치를 움직여서 어태치먼트가 탈착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퀵 커플러 작동중에도 운전자의 두 손이 지속 조작중이어야 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편리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관련 기술을 적용한 건설장비의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210 : 선택 입력부
220 : 제어부
230 : 작동 입력부
240 : 클램프 구동부
250 : 출력부

Claims (15)

  1. 어태치먼트 장착을 위한 클램프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한 온 조작시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 입력부;
    상기 운전자 조작시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 입력부;
    상기 클램프를 풀림 구동 및 고정 구동시키는 클램프 구동부; 및
    상기 선택 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클램프가 풀림 구동되도록 상기 클램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입력부는 상기 운전자가 누름 조작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 신호의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클램프가 풀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클램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입력부는 운전자의 양손으로 동시에 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입력부는 좌측 조이스틱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버튼 및 스위치 중 어느 하나와, 우측 조이스틱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버튼 및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작동 입력부 중 어느 하나의 누름조작이 중단되면 상기 클램프가 고정되도록 클램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알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와 경고음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알람 메시지와 경고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부가 오프되어 선택신호 발생이 중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음의 출력이 중단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부가 오프되어 선택신호 발생이 중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고유기능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선택 입력부가 온 조작되어 상기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고유기능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입력부는 좌측 조이스틱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버튼 및 스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우측 조이스틱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버튼 및 스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운전자 양손의 동시 조작이 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좌측 조이스틱의 조작버튼의 고유기능은 엔진 감속 선택 신호 출력이고, 상기 선택된 우측 조이스틱의 조작버튼의 고유기능은 승압 선택 신호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파일럿 컷 오프 신호의 입력은 모니터링하고, 상기 파일럿 컷 오프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클램프의 풀림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프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12. 어태치먼트 장착을 위한 클램프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한 선택 입력부의 온 조작시 발생되는 선택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운전자에 의한 작동 입력부의 누름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작동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신호 입력 후 상기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클램프를 풀림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입력부는 좌측 조이스틱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버튼 및 스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우측 조이스틱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버튼 및 스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운전자 양손의 동시 조작이 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작동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고유기능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선택 입력부의 오프 조작에 의해 선택 신호의 발생이 중지되면 상기 작동 입력부의 고유기능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 신호가 입력된 후 알람 메시지와 경고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알람 메시지와 경고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출력은 운전자가 상기 선택 입력부의 오프 조작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방법.
KR1020197020485A 2017-01-17 2018-01-17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189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8285 2017-01-17
KR1020170008285 2017-01-17
PCT/KR2018/000798 WO2018135854A1 (ko) 2017-01-17 2018-01-17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021A true KR20190090021A (ko) 2019-07-31
KR102189423B1 KR102189423B1 (ko) 2020-12-11

Family

ID=6290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485A KR102189423B1 (ko) 2017-01-17 2018-01-17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92329B2 (ko)
EP (1) EP3569776B1 (ko)
JP (1) JP6915065B2 (ko)
KR (1) KR102189423B1 (ko)
CN (1) CN110191991B (ko)
WO (1) WO2018135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0210A (zh) * 2022-08-23 2022-12-09 中联重科土方机械有限公司 用于工程机械的夹紧装置的控制方法、控制器及夹紧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139Y1 (ko) * 2003-02-06 2003-07-07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JP2015200104A (ja) * 2014-04-08 2015-11-12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におけるクイックカプラ用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75827T3 (es) * 2001-12-06 2007-06-16 Geith Patents Limited Acoplador de enganche rapido para acoplar un accesorio a un brazo de pala y acoplador rapido que comprende un sistema de control.
US7455494B2 (en) * 2005-12-02 2008-11-25 Clark Equipment Company Control circuit for an attachment mounting device
US7467918B2 (en) * 2006-10-26 2008-12-23 Deere & Company Remote controlled latching system
JP2008266975A (ja) * 2007-04-19 2008-11-06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制御装置
US8469623B2 (en) * 2009-04-01 2013-06-25 Caterpillar Work Tools B.V. Quick coupling device
GB2474572B (en) * 2009-10-16 2014-11-26 Hill Engineering Ltd Control system for a hydraulic coupler
GB201108376D0 (en) * 2011-05-19 2011-06-29 Shadowfiction Ltd An automatic quick hitch for an extractor
WO2013102073A1 (en) * 2011-12-29 2013-07-04 Clark Equipment Company Electronic tag along
DE202012009838U1 (de) * 2012-07-24 2013-10-25 Kinshofer Gmbh Schnellkuppler
KR102241176B1 (ko) * 2014-04-10 2021-04-1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퀵 커플러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9970177B2 (en) * 2015-05-04 2018-05-15 Deere & Company Quick coupler having spring applied, hydraulically released primary and secondary lock members mounted on same cross shaft
KR101734763B1 (ko) * 2016-04-25 2017-05-11 임용태 개선된 구조를 가진 중장비용 안전퀵커플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139Y1 (ko) * 2003-02-06 2003-07-07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JP2015200104A (ja) * 2014-04-08 2015-11-12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におけるクイックカプラ用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9776B1 (en) 2024-05-01
US11692329B2 (en) 2023-07-04
JP6915065B2 (ja) 2021-08-04
EP3569776A1 (en) 2019-11-20
JP2020506313A (ja) 2020-02-27
CN110191991A (zh) 2019-08-30
CN110191991B (zh) 2021-09-21
KR102189423B1 (ko) 2020-12-11
EP3569776A4 (en) 2020-03-25
US20190390437A1 (en) 2019-12-26
WO2018135854A1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12121A1 (en) Work machine and surrounding monitoring system
US956719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oad-moving device and controller of a load-moving device
US8621855B2 (en) Electro-hydraulic auxiliary mode control
CN101633057A (zh) 钻孔机和用于控制钻孔机的方法
CN107419765B (zh) 多功能设备切换控制设备、控制系统及属具
JP2014167681A (ja) 着脱可能な操作盤を備えた制御システム
US8862274B2 (en) Electro-hydraulic auxiliary control with operator-selectable flow setpoint
KR20190090021A (ko)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729584B1 (ko) 건설기계용 유압시스템
JP2006274788A (ja) 作業機械の安全装置および作業機械のサービスシステム
KR102241176B1 (ko) 굴삭기의 퀵 커플러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22209046A1 (ja) 建設機械
JP5637554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エンジン始動装置
JP2018159182A (ja) 停止装置
KR101263955B1 (ko) 선회 브레이크 조작장치
WO2017150454A1 (ja) 作業機および作業機の操作システム
US20160348341A1 (en) Outrigger and dozer control using gui
JP2018053448A (ja) 建設機械
JP6012079B2 (ja) 建設機械の遠隔操作システム
JP2013189828A (ja) 油圧式作業機
JP2000096604A (ja) 油圧ショベル排土板過負荷保護回路
CN110295642B (zh) 工程机械的液压驱动装置
KR200319139Y1 (ko)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JP5973034B2 (ja) 着脱可能な操作盤を備えた制御システム
KR20140080765A (ko) 조이스틱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