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139Y1 -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139Y1
KR200319139Y1 KR20-2003-0003525U KR20030003525U KR200319139Y1 KR 200319139 Y1 KR200319139 Y1 KR 200319139Y1 KR 20030003525 U KR20030003525 U KR 20030003525U KR 200319139 Y1 KR200319139 Y1 KR 200319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solenoid valve
hook latch
attachment
qu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수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to KR20-2003-0003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1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장비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장비의 퀵 클램프의 후크렛치가 개방됨을 알려 어태치먼트의 낙하를 경고함으로 낙하하는 어태치먼트에 의해 사람이나 물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어태치먼트를 결합하기 위한 후크 렛치를 갖는 퀵 클램프가 설치된 유압 장비에 있어서, 클램프 스위치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클램프의 후크렛치 구동용 유압 실린더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유압의 흐름을 변경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클램프 스위치와 병렬로 부저를 설치하여 구성함에 의해 이루어지며,
클램프 스위치가 켜져 솔레노이드 밸브가 유압의 방향을 퀵 클램프의 후크 렛치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변경하면 후크 렛치가 개방됨을 운전자에게 소리로서 알려 운전자가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후크 렛치의 개방을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서 이에 대응하는 조치가 이루어지게 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safety-equipment for quick-clamp}
본 고안은 중장비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태치먼트를 견인 또는 인양할 때 사용되는 퀵 클램프에 설치된 후크 렛치의 개방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 미리 조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후크 렛치의 개방에 따른 어태치먼트 분리 또는 낙하에 대응할 수 있게 함으로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토목이나 건축용 건설 장비(이하, '중장비'라함.)가 많이 개발되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중장비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굴삭기가 있으며, 이 굴삭기는 굴삭기암의 하단측과 링크의 하단측에 설치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굴삭용 버킷이나 브레이커, 크러셔, 바이브레이션, 해머 등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착탈시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굴삭기는 상기한 어태치먼트를 설치하기 위한 클램프에 설치된 후크 렛치에 지속적으로 유압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 즉, 클램프의 후크 렛치가 닫혀진 상태가 되도록 유압 실린더가 인출된 상태로 유압이 작용하고 있으며, 어태치먼트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클램프 스위치를 작동시켜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유압실린더가 수축되게 하여 후크 렛치를 개방하여 어태치먼트가 분리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후트 렛치를 개방하여 어태치먼트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후크 렛치의 개방에 따라 클램프로부터 분리되는 어태치먼트는 고하중이므로 주위에 사람이나 건축 자재가 있을 경우 분리되는 어태치먼트에 의해 사람 또는 건축 자재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비 조작자가 항상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나 기존의 중장비에는 안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운전자가 후크 렛치를 조작하는 클램프 스위치를 조작함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장비 운전자가 실수로 클램프 스위치를 조작하여 후크 렛치를 개방하게 되면 어태치먼트가 후크 렛치로부터 이탈되어 낙하하여 아래의 작업자를 사상되게 하거나 자재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비 조작자의 의도적 행위 또는 불의의 행위에 의해 후크 렛치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클램프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서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고 즉시 대응할 수 있게 한 경고 장치를 갖는 건설 장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부저(buzzer) 20 : 클램프스위치
30 : 솔레노이드밸브 40 : 유압실린더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어태치먼트를 결합하기 위한 퀵 클램프의 후크 랫치를 구동함에 요구되는 유압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클램프 스위치를 갖는 유압 장비에 있어서, 부저를 설치하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클램프 스위치가 켜짐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클램프 스위치와 병렬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가 연결된 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는 클램프 스위치(20)와 병렬로 설치된 부저(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후크 렛치는 기 설명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 장비의 암과 링크의 하단측에 설치된 퀵 클램프에 일체로 설치되고, 유압 호스를 통해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하는 유압 실린더의 신장 또는 수축에 의해 개폐되어 어태치먼트의 고정 브라켓을 잡아준다.
상기 후크 렛치는 운전실에 구성된 조작판에 설치된 클램프 스위치(20)의 조작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단속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0)의 유압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개폐된다.
상기 클램프 스위치(2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 즉,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펌프로부터 발생된 유압이 클램프의 유압 실린더에 작용하여 유압 실린더가 인출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서 후크 렛치가 항상 잠겨진 상태가 되고, 클램프 스위치(20)가 켜진 상태에서는 펌프로부터 발생된 유압이 클램프의 유압 실린더가 수축되는 상태가 되어 후크 렛치가 개방된다.
즉, 상기 클램프 스위치(20)가 켜짐으로서 솔레노이드 밸브(30)에 전원이 공급되어 솔레노이드 밸브(30)가 작동하되, 펌프로부터 발생된 유압이 유압 실린더를 수축하는 방향으로 작동되어 후크 렛치가 개방된다.
상기 클램프 스위치(20)에는 부저(1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부저(10)는 클램프 스위치(20)와 병렬로 접속되어 후크 렛치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 스위치(20)가 켜짐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아 경고음을 발생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단 즉, 클램프 스위치(20)와 솔레노이드 밸브(30) 사이에는 전원공급을 지연시키는 릴레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릴레이는 클램프 스위치(20)가 온되어도 솔레노이드 밸브(30)에 전원의 공급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클램프 스위치(20)가 켜짐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아 울리는 부저(10)의 동작이 이루어진 후 솔레노이드 밸브(30)에 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서 운전자가 클램프 스위치(20)가 켜진 것을 솔레노이드 밸브(30)가 작동하기 전에 미리 알고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즉, 클램프 스위치(20)가 켜지면 먼저 부저(1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고음이 울리고, 릴레이에서 솔레노이드 밸브(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지연시켜 운전자가 클램프 스위치가 켜진 것을 인지하고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 할 수 있는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솔레노이드 밸브(30)에 전원이 공급되어 솔레노이드 밸브(30)가 작동되고 펌프로부터 발생된 유압이 유압 실린더를 수축하는 방향으로 작동되어 후크 렛치가 개방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의 내용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익숙한 기술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고로 다양하게 변형,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후크 렛치의 개방 상태 알림 장치는 후크렛치가 개방되었을 때 경고음을 발생하여 그 상태를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여 대응할 수 있게 함으로서 견인 또는 인양되는 어태치먼트가 낙하 또는 이탈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어태치먼트를 결합하기 위한 퀵 클램프의 후크 랫치를 구동함에 요구되는 유압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클램프 스위치를 갖는 유압 장비에 있어서,
    부저를 설치하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클램프 스위치가 켜짐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클램프 스위치와 병렬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단에는 전원 공급을 지연시킬 수 있는 릴레이를 더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KR20-2003-0003525U 2003-02-06 2003-02-06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KR200319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525U KR200319139Y1 (ko) 2003-02-06 2003-02-06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525U KR200319139Y1 (ko) 2003-02-06 2003-02-06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139Y1 true KR200319139Y1 (ko) 2003-07-07

Family

ID=4941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525U KR200319139Y1 (ko) 2003-02-06 2003-02-06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1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5854A1 (ko) * 2017-01-17 2018-07-2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5854A1 (ko) * 2017-01-17 2018-07-2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090021A (ko) * 2017-01-17 2019-07-3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20190390437A1 (en) * 2017-01-17 2019-12-26 Doosan Infracore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quick-clamping of construction machine
KR102189423B1 (ko) * 2017-01-17 2020-12-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퀵 클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11692329B2 (en) 2017-01-17 2023-07-04 Doosan Infracore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quick-clamping of construction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6081B1 (en) Hydraulic drive of machinery
JP2009030805A (ja) 可変制御装置を有する建設機械用油圧回路
EP2584099B1 (en) Construction equipment with a quick coupler circuit
WO2015102120A1 (ko) 유압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설기계
KR101161307B1 (ko) 건설장비의 작동유 냉각시스템
KR200319139Y1 (ko)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KR100594854B1 (ko) 비상시 작업장치 제어방법
US6973866B2 (en) Hydraulic circuit for option tool of heavy equipment
KR100527378B1 (ko) 붐합류용 스플을 이용한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KR100682308B1 (ko)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KR101555539B1 (ko) 건설기계의 엔진 제어방법
CN116917582A (zh) 工程机械
KR100974285B1 (ko) 노멀 오픈식 유압 회로
KR100800079B1 (ko) 건설중장비 안전장치
JP4236613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装置
KR101542545B1 (ko) 암대 설치형 집게를 구비하는 굴삭기용 유압장치
JP2004028264A (ja) クレーン仕様油圧ショベルの油圧回路
EP3569776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quick-clamp of construction machine
KR20110075066A (ko) 작업모드 설정기능이 구비된 유압시스템
JPH0374290B2 (ko)
JP2005163505A (ja) 振動式杭打抜機およびその構成方法、並びに振動式杭打抜工法
KR102422530B1 (ko)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KR20090099653A (ko) 건설장비의 퀵핏장치
JP3779488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3810942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