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308B1 -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308B1
KR100682308B1 KR1020060029749A KR20060029749A KR100682308B1 KR 100682308 B1 KR100682308 B1 KR 100682308B1 KR 1020060029749 A KR1020060029749 A KR 1020060029749A KR 20060029749 A KR20060029749 A KR 20060029749A KR 100682308 B1 KR100682308 B1 KR 100682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ck clamp
hydraulic
hydraulic cylinder
quick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혁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Priority to KR102006002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은, 퀵클램프(33), 상기 퀵클램프(33)와 어태치먼트(22)를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해 퀵클램프(33) 내의 이동후크(31)의 위치를 변경 및 지지하는 유압실린더(25), 상기 유압실린더(25)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21), 상기 유압펌프(21)와 유압실린더(25) 사이에 설치되어 압유를 상기 유압실린더(25)의 실린더헤드측(25a) 또는 실린더로드측(25b)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2),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상기 유압실린더(25)의 실린더헤드측(25a)을 연결하는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들(26a,26b),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상기 유압실린더(25)의 실린더로드측(25b)을 연결하는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들(27a,27b), 상기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들(26a,26b)상에 설치된 체크밸브(29), 상기 체크밸브(29)와 상기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들(27a,27b)을 연결하는 우회라인(27c),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작동전원 사이에 설치된 제1퀵클램프 스위치(11,12), 및 상기 제1퀵클램프 스위치(11,12)와 상기 작동전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2퀵클램프 스위치(110,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퀵클램프 안전제어 시스템은 2개의 퀵클램프 스위치들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만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하게 되므로, 실수에 의한 퀵클램프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퀵클램프, 건설중장비, 이동후크, 어태치먼트, 부저, 스위치, 압력스위치, 솔레노이드 밸브, 유압실린더

Description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Safety Control System For Hydraulic Quick Clamp Capable Of Loading/unloading Attachments To Construction Heavy Machinery}
도1은 종래의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제어회로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제어회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제어회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제어회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제어회로도이다.
도6은 건설중장비의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33)에 어태치먼트(32)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스위치 11a, 11b: 점점
12, 120: 퀵클램프 스위치 20: 오일탱크
20a: 리턴라인(return line) 21: 유압펌프
21a: 유압라인 22: 솔레노이드 밸브
23: 부저(buzzer) 24: 압력스위치
24a,24b: 접점 24c: 가동단자
25: 유압실린더 25a: 실린더 헤드측
25b: 실린더 로드측 26a,26b: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
27a,27b: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
27c: 우회라인 29: 체크밸브(check valve)
31: 이동후크 32: 버켓(bucket)
33: 퀵클램프(quick clamp) 34: 수동안전핀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설중장비에서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퀵클램프의 이동후크가 개방(풀림)될 때 이를 감지하여 어태치먼트의 낙하를 경고함으로써 낙하하는 어태치먼트에 의하여 인명 및 재산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퀵클램프의 안전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토목·건설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장비들은 작업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어태치먼트들(attachments; 버켓(bucket) 및 버켓 대신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브레 이커, 바이브레이터, 포크, 크러셔, 그라플 등을 일컬음)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대표적인 건설중장비인 굴삭기는 굴삭기 암의 하단측과 링크의 하단 측에 설치된 클램프(clamp)를 이용하여 굴삭용 버켓(bucket)이나 브레이커(breaker), 바이브레이터, 해머 등의 각종 어태치먼트들을 착탈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삼고 있는 퀵클램프는 이와 같이 각종의 어태치먼트들을 건설중장비에 착탈하기 쉽도록 하는 기계장치로서, 굴삭기의 경우 암의 끝단에 설치된다(도6 참조).
도6은 건설중장비의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33)에 어태치먼트(32)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안전법규에 따르면 퀵클램프(33)에는 스위치의 오작동, 유압실린더(25)의 누유 및 파손, 핀의 파손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동안전핀(34)을 갖추도록 법규화되어 있다.
도6과 같이 수동안전핀(34)을 꽂아 놓는다면, 작업자가 조종석 판넬에 설치된 퀵클램프 스위치(도1의 도면번호 11)를 조작하더라도 수동안전핀(34)이 퀵클램프(33)의 이동후크(31)를 붙잡고 있기 때문에 이동후크(31)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수동안전핀(34)의 사용이 안전확보에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공사현장에서는 많은 운전자들이 어태치먼트를 교환할 때마다 수동안전핀(34)을 꽂는 것을 귀찮게 생각하여 법규를 무시하고 수동안전핀(34)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현실적으로는 수동안전핀을 꽂지 않은 상태로 작업하거나 이동하다가 운전자가 실수로 퀵클램프 스위치를 잘못 눌러 어태치먼트가 불시에 분리 낙하 됨으로써 큰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도1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19139호로 등록된 종래의 "퀵클램프 안전장치"의 도면이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동안전핀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어태치먼트를 사용하다가 분리 낙하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퀵클램프 스위치(11)에 부저(buzzer, 23)를 연결하여 퀵클램프 스위치(11)가 눌러졌을 때 부저(23)에서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하였다.
도1의 종래의 퀵클램프 안전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면, 유압실린더(25)는 퀵클램프(33, 도6)에 어태치먼트(32)를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해 퀵클램프(33)내의 이동후크(31)의 위치를 변경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유압펌프(21)에서 발생된 유압은 솔레노이드 밸브(22)를 거쳐 유압실린더(25)로 전달된다.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유압실린더(25)의 실린더헤드측(25a)은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들(26a,26b)에 의해 연결되며,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유압실린더(25)의 실린더로드측(25b)은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들(27a,27b)에 의해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29는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들(26a,26b)안의 압유(壓油)가 유압실린더(25)쪽으로만 흐르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이며, 27c는 상기 체크밸브(29)와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들(27a,27b)간의 우회관로이다. 그리고, 21a는 유압펌프(21)로부터 압유가 토출되는 유압라인이며, 20은 오일탱크이고, 20a는 오일탱크로 연결된 리턴라인(return line)이다.
솔레노이드 밸브(22)는 상기 유압펌프(21)와 유압실린더(25)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압펌프(21)의 압유(壓油)가 흐르는 통로를 실린더헤드측(25a) 또는 실린더 로드측(25b)으로 선택적으로 변경한다.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즉 퀵클램프 스위치(11)가 어태치먼트 장착상태(그림과 같이 스위치(11)가 열린 상태)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로의 공급전원이 차단되어 솔레노이드 밸브(22)는 P→A로 연결되며, 유압펌프(21)로부터 오는 압유(壓油)는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26a,26b) 및 체크밸브(29)를 통해 유압실린더(25)의 실린더헤드측(25a)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유압실린더(25)는 이동후크(31)를 밀고 퀵클램프(33)가 잠김상태로 된다.
반면,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즉 퀵클램프 스위치(11)가 어태치 먼트 풀림상태(그림과 같이 스위치(11)가 닫혀 접점들(11a,11b)가 연결된 상태)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로 전원이 연결되어 솔레노이드밸브(22)는 P→B로 연결된다. 그러면, 유압펌프로부터 오는 압유(壓油)는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27a,27b)을 통해 유압실린더(25)의 실린더로드측(25b)으로 유입되며, 그 결과 유압실린더(25)는 이동후크(31)를 뒤로 이동시켜 퀵클램프(33)의 풀림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원이 부저(23)에 연결되어 부저(23)가 울림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현재 퀵클램프가 풀림동작중에 있다고 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도1과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가. 퀵클램프 스위치(11)의 오조작(誤操作; 의지가 없이 조작한)에 의하여 퀵클램프(33)가 풀림동작에 들어갔다는 것은 인식할 수 있으나, 이미 풀림동작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퀵클램프의 이동후크(31)가 풀려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나. 퀵클램프 스위치(11)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도 솔레노이드 밸브(22) 자체의 문제(즉, 솔레노이드 밸브 내부의 스프링 장력이 저하되거나 유동(流動)힘(flow force)으로 인하여 밸브의 스풀(spool)이 인위적으로 움직일 수 있음)로 인하여 P→B로 유로가 연결이 되면 퀵클램프(33)가 풀릴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퀵클램프 스위치(11)의 조작이 없어 전원 공급이 없으므로, 부저(23)가 울리지 않는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퀵클램프의 풀림동작에 있어 이중 삼중의 안전작동 회로를 적용함으로써 스위치 오작동이나 솔레노이드의 밸브와 같은 유압부품이 이상 작동할 경우 또는 유압라인이 누유, 파손된 경우에도 퀵클램프의 풀림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은, 퀵클램프(33); 상기 퀵클램프(33)와 상기 어태치먼트(22)를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해 상기 퀵클램프(33) 내의 이동후크(31)의 위치를 변경 및 지지하는 유압실린더(25); 상기 유압실린더(25)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21); 상기 유압펌프(21)와 상기 유압실린더(25)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펌프(21)의 유압을 상기 유압실린 더(25)의 실린더헤드측(25a) 또는 실린더로드측(25b)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2);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상기 유압실린더(25)의 실린더헤드측(25a)을 연결하는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들(26a,26b);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상기 유압실린더(25)의 실린더로드측(25b)을 연결하는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들(27a,27b); 상기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들(26a,26b)상에 설치된 체크밸브(29); 상기 체크밸브(29)와 상기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들(27a,27b)을 연결하는 우회라인(27c);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작동전원 사이에 설치된 제1퀵클램프 스위치(11,12); 및 상기 제1퀵클램프 스위치(11,12)와 상기 작동전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2퀵클램프 스위치(110,120);를 포함하여, 상기 제1퀵클램프 스위치(11,12) 및 상기 제2퀵클램프 스위치(110,12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만 작동전원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로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퀵클램프 안전제어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제어회로도이다.
도1의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의 제어회로는 퀵클램프 스위치를 2개(11,110) 직렬로 연결해 설치한 것이 특징으로서, 퀵클램프(33)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퀵클램프 스위치 2개를 모두 조작시켜야만 가능하다. 이것은 의도하지 않은 오작동에 대한 퀵클램프의 풀림행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2에서 미설명부호 11a, 11b, 110a 및 110b는 스위치(11,110) 의 접점들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제어회로도이다.
도3의 퀵클램프 제어회로는 퀵클램프 스위치를 2개 직렬로 설치한 것은 도2와 동일하나, 제1퀵클램프 스위치(12) 및 제2퀵클램프 스위치(120)를 각각 2중의 스위치로 구성하고 그 중 하나씩의 스위치들에 부저(23)를 연결한 점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퀵클램프 스위치(12) 및 제2퀵클램프 스위치(120)가 모두 작동되어야 솔레노이드 밸브(22)의 위치 P→A에서 P→B로 절환되며, 2개의 퀵클램프 스위치들(12,120) 중 한쪽만 작동되어도 부저(23)가 울릴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퀵클램프 스위치들(12, 120)중 1곳을 조작하면 부저(23)가 울려 운전자에게 「퀵클램프를 풀림으로 조작 시도하고 있음」을 알리지만, 퀵클램프 스위치(12, 120) 2개를 모두 조작해야 퀵클램프(33)가 풀림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이동후크(31)는 개방이 안된다. 또한, 부저(23)가 울렸을 경우, 인위적인 퀵클램프 풀림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단순한 오조작에 의한 것으로 판명되면, 잘못 조작된 퀵클램프 스위치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면 되므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3에서 미설명부호 12a, 12b, 12c 및 12d는 제1퀵클램프 스위치(12)의 접점들이며, 120a, 120b, 120c, 120d는 제2퀵클램프 스위치(120)의 접점들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제어회로도이 다.
도4의 퀵클램프 제어회로는, 도3의 제어회로에다가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27a,27b)상에 압력스위치(24)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스위치(24)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에 부저(23)가 울리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압력스위치(24)는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27a,27b)안의 유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에 작동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22)의 유로가 P→B로 설정되어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27a,27b)안으로 고압의 압유가 들어올 경우에 작동하여 부저(23)가 울리도록 한다.
앞서 도1에 도시한 종래의 퀵클램프 제어회로는, 퀵클램프 스위치(12,120)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도 솔레노이드 밸브(22) 자체의 문제(즉, 솔레노이드 밸브 내부의 스프링 장력 저하 및 유동 힘으로 인하여 밸브의 스풀이 인위적으로 움직일 수 있음)로 인하여 P→B로 유로가 연결되면 퀵클램프(33)의 풀림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본 발명의 제3실시예(도4)는 바로 이런 경우에도 경고부저(23)를 울려 운전자에게 퀵클램프가 풀리고 있음을 알려주는 장점이 있다.
특히, 솔레노이드 밸브(22) 자체의 하자로 인하여 퀵클램프가 풀리는 경우에는 퀵클램프 스위치(12,120)의 조작에 의한 것이 아니라서 부저(23)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경고부저(23)가 울릴 수 없게 되는데(도3 참조),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27a,27b)상에 압력스위치(24)를 설치한 것이다. 도4에서 퀵클램프(33)의 풀림동작이 이루어지면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27a,27b)의 압력이 높아져 압력스위치(24a)가 작동되고, 그 결 과 경고부저(23)가 울리게 된다.
도4에서 미설명부호 24a 및 24b는 압력스위치(24)의 접점들이며, 24c는 가동단자이다. 압력스위치(24)의 가동단자(24c)는 퀵클램프(33)가 잠김상태로 있을 때에는 접점(24a)의 위치에 있고, 퀵클램프가 풀림상태로 있을 때에는 접점(24b)의 위치에 있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제어회로도이다.
도5는, 도4와 비교하여 압력스위치(24)가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26a,26b)상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5의 압력스위치(24)는 솔레노이드 밸브(22)의 이상,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26a,26b)의 누유, 배관 파손 등으로 인하여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26a,26b)의 압력이 소정치 이하가 되었을 때 작동한다. 상기 압력스위치(24)는 퀵클램프가 정상적인 잠김상태에 있을 때에는 가동단자(24c)가 접점(24a)의 위치에 있고, 퀵클램프 풀림상태에 있을 때에는 접점(24b)의 위치에 있게 된다.
만약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26a,26b)이 파손되어 누유가 발생하면 퀵클램프를 잠김상태로 지탱하는 유압실린더(25)의 힘은 약화되고, 어태치먼트의 자중에 의하여 유압실린더(25)가 뒤로 밀려 어태치먼트가 이탈될 수도 있다.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26a,26b)은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는 늘 고압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일정압력 이상일 때 전원이 차단되고 일정압력 이하로 떨어질 때 전원이 연결되는 압력스위치(24)를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26a,26b)에 장착한 것이다.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26a,26b)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압력스위치(24)가 작동하여 경고 부저(23)가 울림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퀵클램프의 풀림동작을 미리 인식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응용예로서,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고부저(23)가 울림과 동시에 경고 램프가 점멸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좀더 쉽게 「퀵클램프가 풀림상태에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은, 퀵클램프의 풀림동작에 있어 이중 삼중의 안전작동 회로를 적용함으로써 스위치 오작동이나 솔레노이드 자체의 이상 또는 유압라인이 누유, 파손된 경우에 퀵클램프의 풀림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건설중장비에 각종 어태치먼트(attachment, 32)를 용이하게 착탈시키기 위한 퀵클램프(quick clamp, 33);
    상기 퀵클램프(33)와 상기 어태치먼트(32)를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해 상기 퀵클램프(33) 내의 이동후크(31)의 위치를 변경 및 지지하는 유압실린더(25);
    상기 유압실린더(25)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21);
    상기 유압펌프(21)와 상기 유압실린더(25)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펌프(21)의 유압을 상기 유압실린더(25)의 실린더헤드측(25a) 또는 실린더로드측(25b)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2);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상기 유압실린더(25)의 실린더헤드측(25a)을 연결하는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들(26a,26b);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상기 유압실린더(25)의 실린더로드측(25b)을 연결하는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들(27a,27b);
    상기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들(26a,26b)상에 설치된 체크밸브(29);
    상기 체크밸브(29)와 상기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들(27a,27b)을 연결하는 우회라인(27c);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작동전원 사이에 설치된 제1퀵클램프 스위치(11,12); 및
    상기 제1퀵클램프 스위치(11,12)와 상기 작동전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2 퀵클램프 스위치(110,120);를 포함하여, 상기 제1퀵클램프 스위치(11,12) 및 상기 제2퀵클램프 스위치(110,12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만 작동전원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로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퀵클램프 스위치(12)와 제2퀵클램프 스위치(120)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및 제2퀵클램프 스위치(12,120) 중 어느 하나라도 작동되면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한 부저(23)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퀵클램프 풀림측 유압라인(27a,27b) 상의 압력변화에 의해 작동하는 압력스위치(24)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압력스위치(24)가 작동되면 상기 부저(23)가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퀵클램프 잠김측 유압라인(26a,26b) 상의 압력변화에 의해 작동하는 압력스위치(24)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압력스위치(24)가 작동되면 상기 부저(23)가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저(23)와 연결되어 상기 부저(23)가 경보음을 발생할 때 함께 점멸되는 경고성 램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KR1020060029749A 2006-03-31 2006-03-31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KR100682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749A KR100682308B1 (ko) 2006-03-31 2006-03-31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749A KR100682308B1 (ko) 2006-03-31 2006-03-31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308B1 true KR100682308B1 (ko) 2007-02-15

Family

ID=3810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749A KR100682308B1 (ko) 2006-03-31 2006-03-31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3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45B1 (ko) * 2014-09-30 2015-08-06 주식회사 제이케이 암대 설치형 집게를 구비하는 굴삭기용 유압장치
CN110073059A (zh) * 2017-02-28 2019-07-30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快速连接器回路以及快速连接器拆装方法
KR102062993B1 (ko) 2018-10-11 2020-01-06 장용주 안전밸브장치
KR20200062629A (ko) * 2018-11-27 2020-06-04 장수익 안전밸브장치
WO2020196956A1 (en) * 2019-03-27 2020-10-01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Quick coupler circuit of construction machine with automatic pressurization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868Y1 (ko) * 1994-09-29 1998-05-15 이종원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
KR19980057555A (ko) * 1996-12-30 1998-09-25 추호석 굴삭기의 옵션작업기용 클램핑 장치
KR20000010043U (ko) * 1998-11-14 2000-06-15 이원해 굴삭기용 커플러
KR20010078922A (ko) * 2001-05-18 2001-08-22 황해웅 굴삭기용 퀵 커플러
KR200374483Y1 (ko) * 2004-11-18 2005-01-28 최창길 굴삭기 버켓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868Y1 (ko) * 1994-09-29 1998-05-15 이종원 하수구의 악취 역류 차단기
KR19980057555A (ko) * 1996-12-30 1998-09-25 추호석 굴삭기의 옵션작업기용 클램핑 장치
KR20000010043U (ko) * 1998-11-14 2000-06-15 이원해 굴삭기용 커플러
KR20010078922A (ko) * 2001-05-18 2001-08-22 황해웅 굴삭기용 퀵 커플러
KR200374483Y1 (ko) * 2004-11-18 2005-01-28 최창길 굴삭기 버켓용 클램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45B1 (ko) * 2014-09-30 2015-08-06 주식회사 제이케이 암대 설치형 집게를 구비하는 굴삭기용 유압장치
CN110073059A (zh) * 2017-02-28 2019-07-30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快速连接器回路以及快速连接器拆装方法
CN110073059B (zh) * 2017-02-28 2021-07-20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快速连接器回路以及快速连接器拆装方法
US11105063B2 (en) 2017-02-28 2021-08-31 Komatsu Ltd. Quick coupler circuit and quick coupler attachment/detachment method
KR102062993B1 (ko) 2018-10-11 2020-01-06 장용주 안전밸브장치
KR20200062629A (ko) * 2018-11-27 2020-06-04 장수익 안전밸브장치
KR102133198B1 (ko) 2018-11-27 2020-07-13 박재현 안전밸브장치
WO2020196956A1 (en) * 2019-03-27 2020-10-01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Quick coupler circuit of construction machine with automatic pressurization system
US11598067B2 (en) 2019-03-27 2023-03-07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Quick coupler circuit of construction machine with automatic pressuriz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0731C (en) Valve block, tool attachment, a working machine and the use of a valve block
US8863640B2 (en) Control system for a hydraulic coupler
EP3680393B1 (en) Coupler with power connection system
KR100682308B1 (ko)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를 쉽게 착탈시키기 위한유압실린더식 퀵클램프의 안전제어 시스템
KR101433801B1 (ko)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의 제어 방법
GB2451304A (en) Hitch safety device
JP2007009606A (ja) パワーショベルのアタッチメント取付具の安全装置
CA2631107C (en) Safety device for hydraulic hitch assembly
AU20082026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il-safe mechanical connection
CN114934559B (zh) 快换装置脱开控制系统、方法和工程机械
CN210484256U (zh) 快换接头液压系统及工程机械
KR100593696B1 (ko) 건설기계의 작업공구 커플링 안전장치
KR101478498B1 (ko) 굴착기의 퀵 커플러 안전장치
KR20150117480A (ko) 굴삭기의 퀵 커플러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410167B1 (ko) 공압 배압형 굴착기 퀵 커플러 안전장치
JP3827964B2 (ja) バックホウ
KR20090099653A (ko) 건설장비의 퀵핏장치
SE2130186A1 (sv) Varningssystem samt förfarande för att använda varningssystemet
GB2466646A (en) Safety System for a Quick Hitch Coupler
KR20240095727A (ko) 유압절단기의 절단압력 조절 시스템
KR100558363B1 (ko) 크레인 그래플의 안전제어시스템
KR20110076072A (ko) 굴삭기가 베이스인 데몰리션 장비의 경고 알람 장치
KR20070070361A (ko)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
KR20010087218A (ko) 다단신축식 작업기의 신축아암 안전장치
KR0171387B1 (ko) 휠 굴삭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