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0361A -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0361A
KR20070070361A KR1020050132844A KR20050132844A KR20070070361A KR 20070070361 A KR20070070361 A KR 20070070361A KR 1020050132844 A KR1020050132844 A KR 1020050132844A KR 20050132844 A KR20050132844 A KR 20050132844A KR 20070070361 A KR20070070361 A KR 2007007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line
locking signal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494B1 (ko
Inventor
신중묵
이병석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2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494B1/ko
Publication of KR2007007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1Locking-valves or other detent i.e. load-h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15B2015/268Fluid supply for locking or release independent of actuator pressur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유압작업기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펌프(1)의 유압공급라인(2)에는 펌프압력 검출라인(7)이 분기되고, 귀환라인(5)에서는 배출압력 검출라인(8)이 분기되며, 펌프압력 검출라인(7)과 배출압력 검출라인(8)은 셔틀밸브(9)에 서로 접속되어 그 중 높은 압력을 록킹신호압력으로 검출된다. 셔틀밸브(9)에서 검출된 록킹신호압력은 록킹신호라인(15)을 통하여 개폐밸브(10)의 수압부에 전달된다. 개폐밸브(10)는 셔틀밸브(9)에서 검출한 록킹신호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유압작업기로 유압펌프의 압유가 공급되지 않게 상기 귀환라인(5)을 차단시키고, 상기 록킹신호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인 경우에 유압작업기로 압유가 공급되게 귀환라인(5)을 개방한다.
지게차, 유압작업기, 록킹, 귀환라인, 펌프토출압력, 개폐밸브

Description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APPARATUS FOR LOCKING HYDRAULIC ACTUATORS OF INDUSTRIAL VEHICLES}
도 1은 지게차의 개략적인 유압회로도이다.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작업기의 록킹장치의 개략적인 유압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압펌프 M: 전기모터
2: 유압공급라인 3: 바이패스라인
4A,4B,4C,4D: 병렬라인 5: 귀환라인
6: 필터 7: 펌프압력 검출라인
8: 배출압력 검출라인 9: 셔틀밸브
10: 개폐밸브 11~14: 제어스풀
16: 컨트롤밸브 유니트 11A~14A: 조작레버
15: 록킹신호라인
본 발명은 산업차량의 유압작업기를 록킹(LOCKING)하는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지게차의 리프트 실린더 및 틸트 실린더 등과 같은 유압작업기의 작동을 제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의 유압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모터(1)가 전기모터(M)에 의해 구동되면서 압유를 토출한다. 상기 유압펌프(1)는 유압공급라인(2)을 통하여 컨트롤밸브유니트(10)에 접속된다. 상기 컨트롤밸브유니트(10)는 복수개의 제어스풀(11-14)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제어스풀(11-14)은 유압공급라인(2)에 연결된 바이패스라인(3)상에 차례로 배치되어 각 병렬라인(4A-4D)을 통하여 유압펌프(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어스풀(11-14)은 한쪽 선단에 조작레버(11A-14A)가 연결되어 이 조작레버(11A-14A)를 조작함에 따라 절환되면서 유압펌프(1)에서 제공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여 대응하는 유압작업기에 공급하고, 유압작업기에서 배출되는 작동유를 귀환라인(5)을 통하여 탱크(T)로 귀환시킨다.
상기 바이패스라인(3)을 따라 복수개의 제어스풀(11-14)을 바이패스한 유량은 귀환라인(5)에서 합류되어 탱크(T)로 귀환된다.
그런데, 지게차는 운전석에 운전자의 착석여부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일정시간동안 운전석을 이탈한 경우에 차량이 운전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정지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정지장치가 마련되어 있더라도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식 유압 밸브장치의 경우에, 유압 제어밸브의 조작장 치가 의도하지 않게 움직이게 되면, 리프트가 하강하거나, 마스트가 틸팅하여 전경 혹은 후경으로 유압장치의 자체 중량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리프트가 높은 위치에 화물을 적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화물의 낙하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압작업기를 작동시키는 조작장치를 수동조작레버 대신에 조이스틱 및 핑거스틱등에 이용하는 전자비례밸브 제어 방식의 조작레버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제어방식의 조작레버에 의하면, 운전자가 자리를 이탈하여 자동으로 운전정지되거나 전원 스위치를 의도적으로 차단하면 차량 제어장치에서 전자비례밸브에 신호를 인가하지 않기 때문에 수동식에서와 같이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조작장치가 작동하여 예기치 않은 사고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비례밸브를 이용한 전자제어방식은 종래 수동식 제어방식의 조작장치에 비해서 유압제어밸브의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수동식 유압제어밸브를 구비한 전동지게차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을 일정한 시간동안 이탈하여 차량이 자동정지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유압작업기가 작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유압작업기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정지 장치를 구비한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면서 압유를 토출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여 복수개의 유압작업기로 압유를 공급하거나 유압작업기에서 배출되는 압유를 귀환라인을 통하여 탱크로 배출시키는 복수개의 유압작업기 제어스풀이 구비된 컨트롤밸브 유니트와, 상기 귀환라인의 탱크 측에는 필터 등의 배출압력 형성 수단을 포함한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압유의 압력과, 탱크로 귀환하는 작동유의 배출 압력중 높은 압력을 록킹신호압력으로 검출하는 록킹신호압력 검출수단과,
상기 컨트롤밸브 유니트의 하류측 귀환라인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신호압력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록킹신호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유압작업기에서 귀환라인을 통해 압유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귀환라인을 차단시키고, 상기 록킹신호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인 경우에 상기 유압작업기에서 귀환라인을 통해 압유가 배출되도록 상기 귀환라인을 개방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신호압력 검출수단은 상기 유압펌프의 유압공급라인에서 분기된 펌프압력 검출라인과, 상기 귀환라인에서 분기된 배출압력 검출라인과, 상기 펌프압력 검출라인과 배출압력 검출라인을 서로 접속하여 그 중 높은 압력을 록킹신호압력으로 검출하여 상기 개폐밸브의 수압부에 전달하는 셔틀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원하지 않게 조작레버를 잘못 조작하더라도, 유압펌프의 압력이 유압작업기 쪽으로 공급되지 않게 차단 함으로써 유압작업기가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잡하고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유압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모터(1)는 전기모터(M)에 의해 구동되면서 압유를 토출한다. 상기 유압펌프(1)는 유압공급라인(2)을 통하여 컨트롤밸브유니트(10)에 접속된다. 상기 컨트롤밸브유니트(10)는 복수개의 제어스풀(11-14)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제어스풀(11-14)은 유압공급라인(2)에 연결된 바이패스라인(3)상에 차례로 배치되어 각 병렬라인(4A-4D)을 통하여 유압펌프(1)에 연결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운전석에 운전자의 착석여부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일정시간동안 운전석을 이탈한 경우에 차량이 운전되지 않도록 상기 전기모터(M)에 전원을 차단하여 차량을 운전정지시키는 자동정지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제어스풀(11-14)은 한쪽 선단에 조작레버(11A-14A)가 연결되어 이 조작레버(11A-14A)를 조작함에 따라 절환되면서 유압펌프(1)에서 제공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여 대응하는 유압작업기에 공급하고, 유압작업기에서 배출되는 작동유를 귀환라인(5)을 통하여 탱크(T)로 귀환시킨다.
상기 바이패스라인(3)을 따라 복수개의 제어스풀(11-14)을 바이패스한 유량은 귀환라인(5)에서 합류되어 탱크(T)로 귀환된다. 상기 탱크(T)측 귀환라인(5)에는 귀환하는 작동유를 여과하는 필터(6)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유압펌프(1)의 유압공급라인(2)에는 펌프압력 검출라인(7)이 분기되고, 상기 귀환라인(5)에서는 배출압력 검출라인(8)이 분기되며, 상기 펌프압력 검출라인(7)과 배출압력 검출라인(8)은 셔틀밸브(9)에 서로 접속되어 그 중 높은 압력을 록킹신호압력으로 검출된다. 상기 셔틀밸브(9)에서 검출된 록킹신호압력은 록킹신호라인(15)을 통하여 상기 개폐밸브(10)의 수압부에 전달된다.
상기 컨트롤밸브 유니트(16)의 하류측 귀환라인(5)에는 개폐밸브(10)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밸브(10)는 상기 셔틀밸브에서 검출한 록킹신호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유압작업기로 유압펌프의 압유가 공급되지 않게 상기 귀환라인(5)을 차단시키고, 상기 록킹신호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인 경우에 유압작업기로 압유가 공급되게 상기 귀환라인(5)을 개방한다.
여기서 개폐밸브(10)가 귀환라인(5)을 개방시키는 록킹신호압력은 필터(6)의 저항에 의해 필터(6)의 상류측에 형성되는 압력(예컨대 1~2 바아)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에 의하면, 운전자가 원하지 않게 조작레버를 잘못 조작하더라도, 개폐밸브가 귀환라인의 유로를 차단하여 유압작업기에 배압을 형성함으로써 유압펌프의 압력이 유압작업기 쪽 으로 공급되지 않게 차단되어 유압작업기가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지게차를 운전하여 유압펌프에서 압유를 토출하여 토출압유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상이 되면, 이 토출압유의 압력에 의해 개폐밸브가 개방되면서 귀환라인을 통하여 압유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유압작업기측으로 압유가 유입되어 유압작업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자비례제어밸브와 같은 복잡하고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Claims (2)

  1. 자동정지 장치를 구비한 전기모터(M)에 의해 구동되면서 압유를 토출하는 유압펌프(1)와, 상기 유압펌프(1)에서 토출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여 복수개의 유압작업기로 압유를 공급하거나 유압작업기에서 배출되는 압유를 귀환라인(5)을 통하여 탱크(T)로 배출시키는 복수개의 유압작업기 제어스풀(11-14)이 구비된 컨트롤밸브 유니트(16)와, 상기 귀환라인(5)의 탱크(T) 측에는 필터 등의 배출압력 형성 수단을 포함한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1)에서 토출되는 압유의 압력과, 탱크(T)로 귀환하는 작동유의 배출 압력중 높은 압력을 록킹신호압력으로 검출하는 록킹신호압력 검출수단과,
    상기 컨트롤밸브 유니트(16)의 하류측 귀환라인(5)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신호압력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록킹신호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유압작업기에서 귀환라인(5)을 통해 압유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귀환라인(5)을 차단시키고, 상기 록킹신호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인 경우에 상기 유압작업기에서 귀환라인(5)을 통해 압유가 배출되도록 상기 귀환라인(5)을 개방하는 개폐밸브(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신호압력 검출수단은, 상기 유압펌프(1)의 유압공급라인(2)에서 분기된 펌프압력 검출라인(7)과, 상기 귀환라인(5)에서 분기된 배출압력 검출라인(8)과, 상기 펌프압력 검출라인(7)과 배출압력 검출라인(8)을 서로 접속하여 그 중 높은 압력을 록킹신호압력으로 검출하는 셔틀밸브(9)와, 상기 셔틀밸브(9)에서 검출한 록킹신호압력을 상기 개폐밸브(10)의 수압부에 전달하는 록킹신호라인(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
KR1020050132844A 2005-12-29 2005-12-29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 KR101243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844A KR101243494B1 (ko) 2005-12-29 2005-12-29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844A KR101243494B1 (ko) 2005-12-29 2005-12-29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361A true KR20070070361A (ko) 2007-07-04
KR101243494B1 KR101243494B1 (ko) 2013-03-13

Family

ID=3850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844A KR101243494B1 (ko) 2005-12-29 2005-12-29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4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167B1 (ko) * 2007-12-26 2014-09-03 주식회사 두산 압력손실을 개선한 지게차의 유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1731A (ja) * 1986-12-15 1988-06-24 Yutani Heavy Ind Ltd 油圧シヨベルの油圧回路
JPH09125449A (ja) * 1995-11-07 1997-05-1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制御装置
KR100255220B1 (ko) * 1996-12-31 2000-05-01 추호석 휠타입 중장비의 주행모터 리타딩토오크 가변제어장치
JP3545626B2 (ja) * 1999-02-04 2004-07-21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動油の供給制御装置
KR100641385B1 (ko) * 2001-12-20 2006-10-3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선회감속 유압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167B1 (ko) * 2007-12-26 2014-09-03 주식회사 두산 압력손실을 개선한 지게차의 유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494B1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4827A1 (en) Steering device of wheel loader
GB2343880A (en) An interlock control system for a work machine
KR101007484B1 (ko) 엔진지게차의 안전제어방법
EP3460131B1 (en) Safety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CN108884842B (zh) 液压系统以及紧急情况操作方法
KR102389687B1 (ko)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KR101243494B1 (ko)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
JP6856065B2 (ja) 油圧システム
KR100795612B1 (ko) 유압중장비의 붐하강제어장치
EP2933504B1 (en)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s
KR20200065597A (ko) 특수 차량용 자동 조향 제어 시스템
JPH08302748A (ja) 作業機械の安全装置および駆動回路
KR101263955B1 (ko) 선회 브레이크 조작장치
KR100777591B1 (ko) 지게차의 운전자 감응 하역장치 유압시스템
CA2996374C (en) Hydraulic controller for a hydraulically actuated liftable and lowerable hook of a crane
JP4279746B2 (ja) 産業機械用制御回路
JP5629449B2 (ja) 荷役装置
JP3945401B2 (ja) シリンダ制御装置
JP7322829B2 (ja) 産業車両の油圧制御装置
KR20140124259A (ko) 압착진개차용 유압장치의 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56859B1 (ko) 굴삭기의 오작동 방지장치
KR200454928Y1 (ko) 지게차의 핸들 조작성 향상을 위한 유압 제어 장치
KR19980086021A (ko) 유압식 건설기계의 오동작 방지장치
KR20110073888A (ko) 건설기계의 안전 운행을 위한 주행 및 작업 장치의 구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505783B1 (ko) 산업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