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783B1 - 산업차량 - Google Patents

산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783B1
KR102505783B1 KR1020180046182A KR20180046182A KR102505783B1 KR 102505783 B1 KR102505783 B1 KR 102505783B1 KR 1020180046182 A KR1020180046182 A KR 1020180046182A KR 20180046182 A KR20180046182 A KR 20180046182A KR 102505783 B1 KR102505783 B1 KR 10250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device
valve
accumulator
hydraulic
industri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424A (ko
Inventor
유범균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78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02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산업차량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와 작업장치를 포함하며 이들을 동작시켜 하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산업차량은 압유를 공급하는 압유 공급부와, 상기 압유 공급부에서 공급된 압유를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조향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우선밸브와, 상기 우선밸브와 상기 작업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장치로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밸브, 그리고 내부에 압유가 충진되어 상기 조향장치로 압유를 공급 가능한 축압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업차량{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산업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산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차량은 하물을 적재 또는 이송하는 차량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산업차량은 포크 등이 설치되어 하물을 원하는 높이로 이송시키거나 하물을 적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적재된 하물을 다른 위치로 이송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산업차량은 조향장치와 작업장치를 동시 사용 후, 작업장치의 사용을 중지하여 중립을 유지하는 경우 조향장치 내부로 공급된 압유의 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조향장치 내부로 공급된 압력이 저하된 압유에 의해 작업자가 조향장치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여 순간적으로 조향장치가 조작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물을 적재하고 이를 이송시키는 산업차량의 경우, 순간적이지만 조향장치의 작동오류는 이러한 산업차량의 작업현장 또는 작업현장에 있는 작업자들에게 안전상의 큰 위험으로 작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향장치 내부로 공급되는 압유의 압력이 떨어져도 조향장치가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향장치와 작업장치를 포함하며 이들을 동작시켜 하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산업차량은 압유를 공급하는 압유 공급부와, 상기 압유 공급부에서 공급된 압유를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조향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우선밸브와, 상기 우선밸브와 상기 작업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장치로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밸브, 그리고 내부에 압유가 충진되어 상기 조향장치로 압유를 공급 가능한 축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축압기는 상기 압유 공급부로부터 상기 조향장치로 공급되는 압유를 보조하여 상기 조향장치로 압유를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축압기는 상기 유압밸브가 중립상태이고 상기 우선밸브가 절환되어 상기 압유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상기 조향장치로만 공급하는 경우, 상기 조향장치로 압유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은 상기 축압기와 상기 조향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산업차량의 시동 여부에 따라 제어되는 제1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산업차량의 시동이 입력된 경우 상기 축압기와 상기 조향장치 사이의 압유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산업차량의 시동이 미입력된 경우 상기 축압기로부터 상기 조향장치로 향하는 압유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밸브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축압기에 저장된 압력을 해제시킬 수 있는 수동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은 상기 조향장치와 상기 우선밸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축압기에 충진된 압유가 상기 우선밸브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 하는 역류방지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차량은 조향장치 내부의 압유의 압력이 떨어져도 축압기로부터 충진된 압유가 공급될 수 있어 순간적으로 조향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종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축압기의 충진된 압유가 조향장치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101)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산업차량(101)은 조향장치(600)와 작업장치(500)를 포함한다. 조향장치(600)는 산업차량(101)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장치로 이를 통해 목표지점까지 하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작업장치(500)는 산업차량(101)에 하물을 선적 또는 이동을 위해 이를 효과적으로 적재하는 다양한 작업기를 포함한다. 일예로, 산업차량(101)의 작업장치(500)는 리프트 실린더, 틸팅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장치(500)는 복수의 작업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101)은 압유 공급부(200)와 우선밸브(300)와 유압밸브(400) 그리고 축압기(700)를 포함한다.
압유 공급부(200)는 압유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압유 공급부(200)는 탱크(100)에 저유된 오일을 공급받아 압유를 생성하여 공급한다. 이러한 압유 공급부(200)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밸브(300)는 압유 공급부(200)에서 공급된 압유를 작업장치(500) 또는 조향장치(60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밸브(300)는 압유 공급부(200)에서 공급된 압유를 조향장치(600)로 공급하거나, 압유 공급부(200)에서 공급된 압유를 조향장치(600)와 작업장치(500)로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우선밸브(300)는 우선밸브 바디(301)와 내부에 구획된 제1 우선영역(310)과 제2 우선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선영역(310)은 압유 공급부(200)에서 공급된 압유를 작업장치(500)와 조향장치(600)로 공급하도록 내부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우선영역(320)은 제1 우선영역(310)과 구획되어 형성되며, 압유 공급부(200)에서 공급된 압유를 조향장치(600)로만 공급하도록 내부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유압밸브(400)는 복수의 작업기를 포함하는 작업장치(500)와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유압밸브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유압밸브(400)는 복수의 작업기 중 작업자에 의해 조작이 선택된 작업기의 조작을 위해 우선밸브(300)를 통과하여 공급된 압유가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유압밸브(400)는 작업자에 의해 절환되며 작업기의 좌,우, 그리고 중립, 또는 상,하 그리고 중립 등으로 절환되어 선택된 작업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축압기(700)는 내부에 압유가 충진되어 있다. 또한, 축압기(700)에 저유된 압유는 조향장치(60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축압기(700)에 저유된 압유는 조향장치(600)로 공급되어 조향장치(600)의 제어시 부족한 압유의 유량을 효과적으로 보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압기(700)는 우선밸브(300)와 조향장치(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향장치(600)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어도 축압기(700)로부터 압유를 공급받을 수 있어, 산업차량(101)은 조향장치(600)의 오작동에 따른 문제점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은 축압기(700) 내부에 저장된 압유는 조향장치(600)로 공급될 수 있어, 종래 조향장치(600) 내부의 공급 압력 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조향장치(600) 조작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향장치(600)는 조향밸브 바디(601)와 피스톤 실린더(6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밸브 바디(601)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된 일측방향 회전영역(620)과 중립영역(610) 그리고 타측방향 회전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조향장치(600)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면 조향밸브 바디(601)는 일측방향 회전영역(620) 또는 타측방향 회전영역(630)으로 절환되고, 이들을 통과한 압유가 피스톤 실린더(650)로 공급되어 어느 한쪽으로 이동되며 조향이 이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101)의 축압기(700)는 조향장치(600)로 공급되는 압유를 보조할 수 있다.
조향장치(600)의 조작에 필요한 압유는 압유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다. 하지만, 조향장치(600)로 공급된 압유의 유량 및 유압이 조향장치(600)를 효과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압유의 유량 및 유압량 보다 적은 경우, 축압기(700)로부터 이러한 압유를 보조 받아 조향장치(600)가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조향장치(600)의 조작에 필요한 메인 압유는 압유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고, 축압기(700)는 조향장치(600)의 내부 압력 저하시 압유를 보조하여 조향장치(600)의 동작이 입력된 상태로 정확히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101)의 축압기(700)는 유압밸브(400)가 중립상태이고 우선밸브(300)가 압유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조향장치(600)로만 공급하는 경우, 조향장치(600)로 압유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우선밸브(300)에는 이의 절환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작기를 포함하는 작업장치(50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작기가 일방향으로 동작되고, 이의 작업이 완료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이와 연결된 유압밸브(400)가 중립상태로 절환되는 경우, 유압밸브(400) 내부의 압력은 탱크(100)의 압력과 같은 대기압력으로 압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우선밸브(300)의 제1 우선영역(310)으로 절환되어 동작되던 우선밸브(300) 낮아진 압력과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우선영역(320)으로 절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향장치(600) 내부의 압력도 저하되나, 축압기(700)로부터 압유를 공급받아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기설정된 응답성을 갖도록 조향장치(600)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유압밸브(400)의 중립상태에 따라 유압밸브(400)와 우선밸브(300) 그리고 조향장치(600) 내부로 공급된 압유의 압력이 저하되는 경우에도, 조향장치(600)로 축압기(700)의 압유가 공급될 수 있어 조향장치(600)가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산업차량(101)은 조향장치(600) 내부의 압력 저하에 따른 조향장치(600)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101)은 제1 밸브(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800)는 축압기(700)와 조향장치(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800)는 산업차량(101)의 시동 여부에 따라 절환되며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밸브(800)는 산업차량(101)의 시동 여부에 따라 절환되어 축압기(700)와 조향장치(600)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업차량(101)은 작업장치 공급라인(120)와 조향장치 공급라인(110)을 더 포함할 수 잇다. 작업장치 공급라인(120)은 우선밸브(300)와 연결되어 압유 공급부(200)에서 공급된 압유가 유압밸브(400)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조향장치 공급라인(110)은 작업장치 공급라인(120)과 우선밸브(300) 상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압유 공급부(200)에서 공급된 압유가 조향장치(600)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축압기(700)는 조향장치 공급라인(110)으로부터 분기된 축압라인(7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800)는 축압기(700) 보다 상대적으로 조향장치 공급라인(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밸브(800)는 축압라인(7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밸브(800)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101)의 제1 밸브(800)는 산업차량(101)의 시동이 입력된 경우 축압기(700)와 조향장치(600) 사이의 압유가 연통되도록 하고, 산업차량(101)의 시동이 미입력된 경우 축압기(700)와 조향장치 사이의 압유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다.
산업차량(101)에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시동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1 밸브(800)는 축압기(700)와 조향장치(600) 사이의 압유가 연통되도록 축압라인(710)을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된 축압라인(710)을 통해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유가 조향장치(600)로 공급될 수 있다.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유는 제1 밸브(800)에 의해 개방된 축압라인(710)을 통과한 후 조향장치 공급라인(110)을 통해 조향장치(60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조향장치(600) 내부의 압유의 압력이 낮은 경우, 일정 압력 이상을 갖고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유가 조향장치(600)와 축압기(700) 사이의 압력 차로 인해 조향장치(600)로 더욱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산업차량(101)에 작업자에 의해 시동 신호가 미입력된 경우, 제1 밸브(800)는 축압기(700)와 조향장치(600) 사이의 압유가 연통되지 않도록 축압라인(710)을 폐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밸브(800)에 의해 폐쇄된 축압라인(710)에 의해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유가 조향장치(60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밸브(800)는 산업차량(101)이 시동이 이뤄지기도 전에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유가 조향장치(600)로 공급되어 충진된 압유에 의해 조향장치(600)가 오작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밸브(800)는 제1 밸브 바디(801)와 연통영역(810) 그리고 차단영역(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 바디(801)는 제1 밸브(8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제1 밸브 바디(801) 내부에 연통영역(810)과 차단영역(820)은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통영역(810) 내부에는 축압라인(710)을 개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통영역(810)으로 절환된 제1 밸브(800)는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유가 조향장치(600)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도록 연통영역(810) 상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밸브(800)는 산업차량의 시동이 입력된 경우 연통영역(810)으로 절환될 수 있다.
일예로, 연통영역(810) 축압기(700)와 조향장치(600) 사이의 압유가 쌍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차단영역(820) 내부에는 충진된 압유가 저장된 축압기(700)의 압유가 조향장치(600)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단영역(820)은 연통영역(810)과 이격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밸브(800)는 산업차량의 시동이 미입력된 경우 차단영역(820)으로 절환될 수 있다.
일예로, 차단영역(820)은 축압기(700)로부터 조향장치(600)로 가는 압유의 흐름만을 차단할 수 있다. 조향장치(600)로부터 축압기(700)로 가는 압유의 흐름은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101)의 제1 밸브(800)는 수동 스위치(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동 스위치(830)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수동 스위치(830)의 조작에 따라 축압기(700)에 저장된 압력을 해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지보수를 위한 산업차량(101) 및 유압라인들의 점검시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유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작업자가 수동 스위치(830)를 조작하여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력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일예로, 수동 스위치(830)는 제1 밸브(8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동 스위치(830)는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력이 해제되도록 작업자에 의해 수동(Manual)으로 조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101)은 역류방지 밸브(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류방지 밸브(900)는 조향장치(600)와 우선밸브(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역류방지 밸브(900)는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유가 우선밸브(300)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역류방지 밸브(900)는 조향장치 공급라인(1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류방지 밸브(900)는 축압기(700)와 우선밸브(300) 사이의 조향장치 공급라인(110) 상에 설치되어, 축압기(700) 내부에 충진된 압유가 우선밸브(300)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역류방지 밸브(900)는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유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산업차량(101)이 제1 밸브(800)를 포함하는 경우, 역류방지 밸브(900)는 제1 밸브(800)와 우선밸브(300) 사이의 조항장치 공급라인(1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101)의 동작과정을 서술한다. 또한, 작업장치(500)가 포함하는 복수의 작업기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유압밸브를 포함하는 유압밸브(400) 중, 이하 리프트 실린더와 이와 연결된 리프트 유압밸브(401)를 일예로 서술한다. 선택된 작업기 및 이와 연결된 유압밸브는 작업의 상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작업자가 산업차량(101)의 동작을 위해 시동을 거는 경우, 차단영역(820) 상태로 있던 제1 밸브(800)는 연통영역(810)으로 절환된다.
산업차량(101)의 조향장치(600)와 작업장치(500)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압유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압유는 제1 우선영역(310)으로 절환된 우선밸브(300)를 통해 조향장치(600)와 작업장치(500)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제1 우선영역(310)을 통과한 작동유는 작업장치 공급라인(120)을 통해 유압밸브(4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1 우선영역(310)을 통과한 작동유는 조향장치 공급라인(110)을 통해 조향장치(600)로 공급될 수 있다.
작업자가 작업장치(500) 중 리프트 실린더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장치 공급라인(120)을 통해 공급된 압유는 리프트 유압밸브(401)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트 유압밸브(401)는 각각 구획된 상승영역(430)과 중립영역(410) 그리고 하강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승영역(430)은 리프트 실린더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립영역(410)은 작업장치 공급라인(120)을 통해 공급된 압유에 의해 리프트 실린더가 동작되지는 않으나 다른 작업기와 연결된 유압밸브로 압유가 전달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하강영역(420)은 리프트 실린더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리프트 실린더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 유압밸브(400)는 상승영역(430)으로 절환되고, 우선밸브(300)를 통과한 후 작업장치 공급라인(120)을 통해 공급된 압유는 상승영역(430)을 통해 리프트 실린더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상승영역(430)을 통과한 압유에 의해 리프트 실린더는 상승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작업자가 리프트 실린더의 조작으로 원하는 높이까지 하물 또는 하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크를 이동시킨 경우, 작업자는 리프트 유압밸브(401)가 중립영역(410)으로 절환되도록 한다. 즉, 작업자는 리프트 유압밸브(401)가 중립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때, 리프트 유압밸브(401)를 포함하는 유압밸브(400)와 우선밸브(300) 그리고 조향장치(600) 내부의 압력은 탱크(100)의 압력과 같이 대기압 상태로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트 유압밸브(401) 및 유압밸브(400)를 통과한 압유는 드레인 라인(930) 및 드레인 라인(930) 상에 설치된 필터(950)를 통과한 후 탱크(100)로 회수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이 저하되는 압유에 의해 우선밸브(300) 내부를 통과하는 압력 또한 저하되어 우선밸브(300)는 제1 우선영역(310)을 유지하지 못하고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우선영역(320)으로 절환된다.
이때, 조향장치(600) 내부의 압유의 압력 저하는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유에 의해 다시 상승될 수 있다. 즉, 순간적으로 저하된 압유의 압력에 따라 조향장치(600)가 원래의 응답값으로 작동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때 축압기(700)에 충진된 압유가 조향장치(6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축압기(700)는 제2 우선영역(320)으로 절환된 우선밸브(300)에 의해 압유 공급부(200)로부터 압유가 조향장치(600) 내부로 전달되기 전까지 조향장치(600) 내부에 충진된 축압기(700)의 압유를 공급하여 조향장치(600)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작업 완료 후 산업차량(101)의 시동을 끄면, 제1 밸브(800)는 차단영역(820)으로 절환되고 조향장치(600)와 제1 밸브(800) 사이의 잔여하는 압유는 축압기(700)로 회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101)은 조향장치(600) 내부의 압유의 압력이 떨어지는 조건에서도 이로 압유를 공급 가능한 충진된 압유가 저장된 축압기(700)를 포함하고 있어, 조향장치(600)의 멈춤 또는 순간적인 오작동 등을 효고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101)은 제1 밸브(800)를 포함하고 있어, 충진된 압유가 저장된 축압기(700)의 압유에 의해 산업차량(101)에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조향장치(600)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산업차량 200: 압유 공급부
300: 우선밸브 400: 유압밸브
500: 작업장치 600: 조향장치
700: 축압기 800: 제1 밸브
830: 수동 스위치 900: 역류방지 밸브

Claims (7)

  1. 조향장치와 작업장치를 포함하며 이들을 동작시켜 하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산업차량에 있어서,
    압유를 공급하는 압유 공급부;
    상기 압유 공급부에서 공급된 압유를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조향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우선밸브;
    상기 우선밸브와 상기 작업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장치로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밸브;
    내부에 압유가 충진되어 상기 조향장치로 압유를 공급 가능한 축압기; 및
    상기 축압기와 상기 조향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산업차량의 시동이 입력된 경우, 상기 축압기와 상기 조향장치 사이의 압유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산업차량의 시동이 미입력된 경우, 상기 축압기로부터 상기 조향장치로 향하는 압유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 밸브
    를 포함하는 산업차량.
  2. 제1항에서,
    상기 축압기는,
    상기 압유 공급부로부터 상기 조향장치로 공급되는 압유를 보조하여 상기 조향장치로 압유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
  3. 제1항에서,
    상기 축압기는,
    상기 유압밸브가 중립상태이고 상기 우선밸브가 절환되어 상기 압유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상기 조향장치로만 공급하는 경우, 상기 조향장치로 압유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
  4. 삭제
  5. 삭제
  6. 조향장치와 작업장치를 포함하며 이들을 동작시켜 하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산업차량에 있어서,
    압유를 공급하는 압유 공급부;
    상기 압유 공급부에서 공급된 압유를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조향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우선밸브;
    상기 우선밸브와 상기 작업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장치로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밸브;
    내부에 압유가 충진되어 상기 조향장치로 압유를 공급 가능한 축압기; 및
    상기 축압기와 상기 조향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축압기에 저장된 압력을 해제시킬 수 있는 수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밸브
    를 포함하는 산업차량.
  7. 제1항에서,
    상기 조향장치와 상기 우선밸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축압기에 충진된 압유가 상기 우선밸브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 하는 역류방지 밸브를 더 포함하는 산업차량.
KR1020180046182A 2018-04-20 2018-04-20 산업차량 KR10250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182A KR102505783B1 (ko) 2018-04-20 2018-04-20 산업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182A KR102505783B1 (ko) 2018-04-20 2018-04-20 산업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424A KR20190122424A (ko) 2019-10-30
KR102505783B1 true KR102505783B1 (ko) 2023-03-06

Family

ID=6846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182A KR102505783B1 (ko) 2018-04-20 2018-04-20 산업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7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330A (ja) 2000-11-30 2002-06-14 Denso Corp 自動変速機の液圧制御装置
US20120043154A1 (en) * 2010-08-19 2012-02-23 Marcus Bitter Hydraulic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7620A (en) * 1980-07-15 1982-07-06 Eaton Corporation Load sensing hydraulic system
KR101283049B1 (ko) * 2010-09-29 2013-07-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장치
KR101680902B1 (ko) * 2010-11-20 2016-11-29 주식회사 두산 중장비의 스티어링 로드 센싱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330A (ja) 2000-11-30 2002-06-14 Denso Corp 自動変速機の液圧制御装置
US20120043154A1 (en) * 2010-08-19 2012-02-23 Marcus Bitter Hydrauli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424A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3292B2 (en) Quick coupler control device for working machine
US7243494B2 (en) Ride control circuit for a work machine
EP3315386B1 (en) Steering device for construction/transport/farm machine
JP2017190119A (ja) 油圧操舵装置
KR102505783B1 (ko) 산업차량
US3942413A (en) Load limiting system
KR101478199B1 (ko) 유압실린더 제어밸브
CN104944324A (zh) 工业车辆
DE102020129275A1 (de) Mobile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Flurförderzeug, mit einer hydrostatischen Lenkungseinrichtung
CN104179739B (zh) 双泵双向合流控制系统及应用该系统的消防车
KR101729585B1 (ko)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US11808011B2 (en) Method to select an active steering input device based on orbital pressure
CN110017309A (zh) 一种兼具手动和自动换挡功能的行走马达速度控制系统
KR20050067620A (ko) 휠타입 굴삭기의 램실린더 제어장치
JP7231014B2 (ja) 電気式産業車両における油圧回路
EP2786959B1 (en) Anti cavitation device for a hydraulic cylinder
US10900200B2 (en) Hydraulic drive device for work vehicle
JPH075272B2 (ja) サイドシフトクランプ装置
US7117670B2 (en) Control device
KR102461679B1 (ko)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US9555784B2 (en) Braking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KR101243494B1 (ko) 지게차의 유압작업기 록킹장치
CN218810197U (zh) 一种用于伸缩臂叉车的多功能电磁阀组
KR100448537B1 (ko) 작업 기계의 록크 방법 및 그 록크 장치
KR102280304B1 (ko) 비상 대응이 가능한 유압식 자율주행 조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