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746A - 리유즈, 리사이클 내지 리웍이 용이한 접착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리유즈, 리사이클 내지 리웍이 용이한 접착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746A
KR20190087746A KR1020180005922A KR20180005922A KR20190087746A KR 20190087746 A KR20190087746 A KR 20190087746A KR 1020180005922 A KR1020180005922 A KR 1020180005922A KR 20180005922 A KR20180005922 A KR 20180005922A KR 20190087746 A KR20190087746 A KR 20190087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module housing
side plates
sp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269B1 (ko
Inventor
신은규
강달모
문정오
이윤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0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269B1/ko
Priority to EP18901341.0A priority patent/EP3644398A4/en
Priority to US16/625,453 priority patent/US11611125B2/en
Priority to PCT/KR2018/015956 priority patent/WO2019143029A1/ko
Priority to CN201880051027.XA priority patent/CN111095597B/zh
Priority to JP2019566688A priority patent/JP7038944B2/ja
Publication of KR20190087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269B1/ko
Priority to US18/166,274 priority patent/US2023022361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은, 상부와 하부 벽체를 형성하는 탑 및 바틈 플레이트와; 양쪽 사이드 벽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내부 공간에 배터리 셀들을 수납할 수 있게 마련된 각 관 형태의 배터리 모듈 하우징으로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양쪽 모서리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의 상단면 사이와, 상기 바틈 플레이트의 양쪽 모서리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의 하단면 사이에 해당하는 4곳에 접착제가 길이방향을 따라 도포됨으로서 형성되는 본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유즈, 리사이클 내지 리웍이 용이한 접착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housing having a reusable, recyclable or reworkable adhesive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모듈 내부 부품들을 리유즈(reuse), 리사이클(recycle)하거나 리웍(re-work)이 용이한 구조로 제작된 배터리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모듈은 일 방향으로 적층되고 전극 리드들이 전기적으로 직렬 및/또는 병렬된 다수의 배터리 셀들과, 배터리 셀들을 수납하여 패키징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 하우징은 기계적 강성이 부족한 배터리 셀들에 기계적 지지력을 제공하고 이들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케이스 역할을 한다. 배터리 모듈 하우징은 배터리 모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근래에는 모노 프레임으로 지칭되는 사각 관 형태로 많이 제작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모노 프레임은 압출이나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일체로 제작하거나, 4개의 플레이트들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제작하기도 한다.
그런데 배터리 모듈 내부 부품 예컨대, 배터리 셀들이나, 배터리 셀들 사이에 개재되어 셀들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thermistor) 등에 문제가 생길 경우, 기존의 배터리 모듈 하우징은 일체형이거나, 용접 방식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조상 분해가 쉽지 않아 문제 부품만 수리 또는 교체하기 매우 어렵다.
더욱이, 기존의 배터리 모듈은 위와 같은 배터리 모듈 하우징 구조 때문에 문제 부품을 수리 또는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면 정상 작동하는 나머지 부품들까지도 재사용하지 못하고 전량 폐기 처분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배터리 모듈 하우징을 리웍이 가능하게 4개의 플레이트들을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하여 제작하는 방법이 있으나, 스냅-핏 방식은 작은 충격에도 체결 부위 파손 가능성이 높고, 기밀성이 일체형이나 용접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단점이 있어 만족스러운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리웍이 용이하면서도 일체형 내지 용접 방식의 장점을 갖춘 새로운 구조의 배터리 모듈 하우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제공개특허 WO2016-207027A (2016.12.29.) SCHULER PRESSEN GMB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기밀성이 높으면서도 필요 시 리웍(rework)이 용이한 구조의 배터리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 벽체를 형성하는 탑 및 바틈 플레이트와; 양쪽 사이드 벽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내부 공간에 배터리 셀들을 수납할 수 있게 마련된 각 관 형태의 배터리 모듈 하우징으로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양쪽 모서리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의 상단면 사이와, 상기 바틈 플레이트의 양쪽 모서리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의 하단면 사이에 해당하는 4곳에 접착제가 길이방향을 따라 도포됨으로서 형성되는 본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딩부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접착제가 미도포되어 마련되는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요철 구조로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에 대응하는 구간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마련되는 공간 확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 각각의 안쪽 면에 부착되는 단열 패드;와 상기 바틈 플레이트의 안쪽 면에 부착되는 열전달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에 메꾸어지는 연질 재질의 코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곳의 본딩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의 본딩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탑 및 바틈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양쪽 모서리 부분이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접촉 배치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배터리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리웍(rework)이 용이한 구조의 배터리 모듈 하우징을 제공하여 배터리 모듈 내부 부품 단위에서 문제 발생 시 해당 부품의 수리,교체 또는 나머지 부품들의 재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리웍이 가능하면서도 기존의 용접 방식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이 갖는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과 이에 수납된 배터리 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탑 플레이트를 탈거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영역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들로서 본 발명의 제 2 및 제3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의 측면도들이다.
도 9의 (a),(b)는 각각 도 8의 (a),(b)의 부분 확대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의 분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 내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의 분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의 분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과 이에 수납된 배터리 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탑 플레이트를 탈거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영역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은 배터리 셀(20)들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와 같은 구성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20)들은 파우치형 이차전지들일 수 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들은 수평 방향으로 적층되거나, 층상 배열된 형태로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내부 공간(S) 수납될 수 있다. 물론,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배터리 셀(20)들 이외에도 배터리 셀(20)의 적층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층용 프레임, 써미스터(thermistor) 등 다른 부품들이 같이 수납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은 상부와 하부 벽체를 형성하는 탑 및 바틈 플레이트(100,200)와, 양쪽 사이드 벽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를 포함한 사각 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은 배터리 셀(20)들에 대한 기계적 지지력을 제공하고 배터리 셀(20)들을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을 구성하는 상기 4개의 플레이트들은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이 전면부와 후면부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배터리 셀(20)들을 직/병렬 연결하기 위한 ICB(Inter connection Borad) 조립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ICB 조립체는 다수의 버스바와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전,후면부를 커버할 수 있는 ICB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과 같이,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노출되어 있는 각 배터리 셀(20)들의 전극 리드(21)들은 각각 버스바에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ICB 하우징으로 커버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을 구성하는 제1 사이드 플레이트(300)와 제2 사이드 플레이트(400)는 동일한 두께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탑 플레이트(100)와 바틈 플레이트(200)는 동일한 두께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강건성을 위해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의 두께는 탑 및 바틈 플레이트(100,20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은 기존 용접 방식과 달리, 4개의 플레이트들(100,200,300,400)이 부분적으로 해체가 가능하도록 접착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은 4곳에 본딩부(500)를 구비한다. 상기 본딩부(500)는 탑 플레이트(100)의 양쪽 모서리와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의 상단면 사이, 그리고 바틈 플레이트(200)의 양쪽 모서리와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의 하단면 사이에 해당하는 4곳에 접착제(510)가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도포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접착해체 작업을 간략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접착제(510)는 고온 다습한 환경 조건에서 평상시보다 접합 강도가 약 70~85% 수준까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접착 해체 작업은, 배터리 모듈을 고온 다습한 공간에 소정시간 동안 보관하거나, 본딩부(500) 주변에 국부적으로 열 및/또는 수분을 가하는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다음, 접착 성능이 충분히 저하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은, 본딩부(500) 주변에 국부적으로 열을 가하여 해당 본딩부(500)의 접착제(510) 성능을 약화시킬 때, 열이 배터리 셀(20)들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열 패드(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상기 단열 패드(600)는 탑 플레이트(100),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 각각의 안쪽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접착 해체를 위한 전처리 과정에서 열이 탑 플레이트(100)와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에 인가되더라도 배터리 셀(20)들을 외부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바틈 플레이트(200)에는 열전달 패드(700)가 부착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배터리 모듈 하우징(10) 상부에 열이 가해져 배터리 셀(20)들에 전달되더라도 열전달 패드(700)를 통해 바틈 플레이트(200)로 열을 방출시킴으로써 배터리 셀(20)들의 온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으로 히트싱크(미도시)를 바틈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연결하면 배터리 셀(20)들의 열을 보다 능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패드(700)는 배터리 셀(20)들의 하부와 바틈 플레이트(200) 사이의 공기층을 없애고 열 전도율을 촉진할 수 있는 재질 또는 물성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열전달 패드(700)는 써멀 구리스와 같은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접착된 두 물체는 전단강도(shear strength)가 박리강도(peel strength)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 따라서 두 물체를 떼어 놓을 때는 접착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접착 해체 작업은 탑 플레이트(100) 또는 바틈 플레이트(2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탈착 지그(30)를 걸고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해 탑 플레이트(100) 또는 바틈 플레이트(200)를 나머지 플레이트들(300,400)로부터 떼내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방식은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에서 먼저 ICB 조립체를 분해한 후에 가능하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ICB 조립체는 배터리 셀(20)들의 전극 리드(21)들과 용접된 상태로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전/후면부를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먼저 탈거시키는 것이 여의치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은, 위와 같이 ICB 조립체(미도시) 때문에, 탑 플레이트(100) 또는 바틈 플레이트(200)의 전/후면부에 탈착 지그(30)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측면부에 탈착 지그(30)를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들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8 및 도 9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측면도들과 그 확대도들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접착 해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먼저, 이들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공통점부터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본딩부(500)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접착제(510)가 미도포된 구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510)가 미도포된 구간은 탈착 지그(30)의 일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은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모두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은 탑 플레이트(100)와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 사이, 즉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상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에서 탑 플레이트(100)를 탈거시키면, 배터리 모듈 내부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탈착 지그(30) 삽입 공간을 개수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에는 연질 재질의 코킹부재(540)가 메꾸어질 수 있다. 여기서 코킹부재(540)는, 예컨대 연질 폼 형태의 실란트(sealant), 우레탄폼(urethane foam)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예시한 물질에 본 발명의 코킹부재(540)가 한정되어야 하는 것을 아니다. 즉, 기밀성을 띄면서 연질의 물성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들은 코킹부재(540)로 마감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은 평상시 수분 기타 이물질이 측면부로 유입되지 않게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상기 코킹부재(540)를 제거하고 탈착 지그(3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및 제3 실시예 구성에 의하면, 도 10과 같이,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양쪽 측면부, 즉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들에 탈착 지그(30)를 장착하여 본딩부(500)에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가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위치에서 힘을 가하여 한 번에 탑 플레이트(100)를 떼내려 하면 다른 부분의 접착력 때문에 탑 플레이트(100)가 소성 변형되거나 파단될 수 있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탈착 지그(30)를 옮겨가면서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여 접착제(510)의 접착 성능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약해진 상태에서 탑 플레이트(100)를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의 상단면에서 탈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이 더 넓게 확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요철 구조로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에 대응하는 구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 확장부(5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는, 상단면과 하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 구조가 반복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오목한 구간은 공간 확장부(530)로 특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 확장부(530)는 접착제(510)가 미도포됨으로써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따른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보다 상하 폭이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쉽게 탈착 지그(30)를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에 삽입할 수 있음은 물론, 전술한 제2 실시예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탈착 지그(30) 사용할 수 있어 더 큰 하중을 본딩부(500)에 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어서, 도 11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중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4곳의 본딩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의 본딩부(500')가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내부 공간(S)을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11과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은, 상호 대면하는 탑 플레이트(100)의 양쪽 모서리 부분과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의 상단면이 소정 각도로 깎여진 형태로 제작되고, 이들 사이에 접착제(510)를 도포하여 본딩부(500')가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θ)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의 경우에도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들이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3 실시예와 같이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에 요철 구조를 적용해 공간 확장부(530)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코킹부재(540)로 마감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접착해체 작업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상부 본딩부(500')에 국부적으로 열을 가하여 해당 부위의 접착 성능을 대략 70~85% 까지 떨어뜨린다. 그 다음 코킹부재(540)를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내부 공간(S)으로 밀어넣거나, 외부로 도려낸다.
그 다음,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 지그(30)를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에 삽입한다. 이때 사용 가능한 탈착 지그(30)는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므로 전술한 실시예들보다 선택할 수 있는 탈착 지그(30)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탈착 지그(30)가 상부 본딩부(500')에 사선으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들보다 작은 힘으로 탑 플레이트(100)를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로부터 더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탑 및 바틈 플레이트(100,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쪽 모서리 부분이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의 외측면에 접촉 배치되는 절곡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탑 플레이트(100)는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300,400)의 상단면과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00)의 절곡부(110)는 본딩부(5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접착해체 작업시 탈착 지그(30)를 장착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제5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본딩부(500)에는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520)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제5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은, 제1 실시예와 같이, 4개의 플레이트들(100,200,300,400) 사이에 접착제(510)가 연속적으로 도포된 형태의 본딩부(500)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 평상시 기밀성은 우수하고 필요시에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의 측면부에 탈착 지그(30)를 사용하여 탑 플레이트(100)를 떼어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모듈 하우징(10)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 하우징(10)에 수납되는 배터리 셀(20)들, 배터리 셀(2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압 특성을 센싱하는 ICB 조립체, 배터리 셀들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 전류 센서, 퓨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 또는 전력 저장장치(ESS)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된 경우,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배터리 모듈 하우징 20: 배터리 셀
100: 탑 플레이트 200: 바틈 플레이트
300: 제1 사이드 플레이트 400: 제2 사이드 플레이트
500: 본딩부 510: 접착제
520: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 530: 공간 확장부
540: 코킹부재 600: 단열 패드
700: 열전달 패드

Claims (9)

  1. 상부와 하부 벽체를 형성하는 탑 및 바틈 플레이트와; 양쪽 사이드 벽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내부 공간에 배터리 셀들을 수납할 수 있게 마련된 각 관 형태의 배터리 모듈 하우징으로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양쪽 모서리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의 상단면 사이와, 상기 바틈 플레이트의 양쪽 모서리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의 하단면 사이에 해당하는 4곳에 접착제가 길이방향을 따라 도포됨으로서 형성되는 본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부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접착제가 미도포되어 마련되는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배터리 모듈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배터리 모듈 하우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요철 구조로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에 대응하는 구간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마련되는 공간 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 각각의 안쪽 면에 부착되는 단열 패드;와 상기 바틈 플레이트의 안쪽 면에 부착되는 열전달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지그 삽입용 공간에 메꾸어지는 연질 재질의 코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곳의 본딩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의 본딩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 및 바틈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양쪽 모서리 부분이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접촉 배치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180005922A 2018-01-17 2018-01-17 리유즈, 리사이클 내지 리웍이 용이한 접착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270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922A KR102270269B1 (ko) 2018-01-17 2018-01-17 리유즈, 리사이클 내지 리웍이 용이한 접착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EP18901341.0A EP3644398A4 (en) 2018-01-17 2018-12-14 BATTERY MODULE BOX HAVING AN EASILY REUSABLE, RECYCLABLE AND REUSABLE GRIP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IT
US16/625,453 US11611125B2 (en) 2018-01-17 2018-12-14 Battery module housing having easily reusable, recyclable, and reworkable adhesion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PCT/KR2018/015956 WO2019143029A1 (ko) 2018-01-17 2018-12-14 리유즈, 리사이클 내지 리웍이 용이한 접착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201880051027.XA CN111095597B (zh) 2018-01-17 2018-12-14 电池模块壳体以及包括该电池模块壳体的电池模块
JP2019566688A JP7038944B2 (ja) 2018-01-17 2018-12-14 リユース、リサイクル又は再加工が容易な接着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ハウジング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US18/166,274 US20230223615A1 (en) 2018-01-17 2023-02-08 Battery Module Housing Having Easily Reusable Recyclable, and Reworkable Adhesion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922A KR102270269B1 (ko) 2018-01-17 2018-01-17 리유즈, 리사이클 내지 리웍이 용이한 접착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746A true KR20190087746A (ko) 2019-07-25
KR102270269B1 KR102270269B1 (ko) 2021-06-28

Family

ID=6730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922A KR102270269B1 (ko) 2018-01-17 2018-01-17 리유즈, 리사이클 내지 리웍이 용이한 접착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611125B2 (ko)
EP (1) EP3644398A4 (ko)
JP (1) JP7038944B2 (ko)
KR (1) KR102270269B1 (ko)
CN (1) CN111095597B (ko)
WO (1) WO20191430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961A1 (ko)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3038452A1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767B1 (ko) * 2018-12-26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내측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10116062A (ko) * 2020-03-17 2021-09-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20101305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GB202101499D0 (en) * 2021-02-03 2021-03-17 Cummins Inc Battery pack hou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8115A (ja) * 1999-01-12 2000-07-28 Kenwood Corp 2次電池収納ケ―ス
KR20110016821A (ko) * 2009-08-12 2011-0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70070624A (ko) * 2015-12-14 2017-06-2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하우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29589B (sv) * 1981-04-15 1983-09-12 Andersson Bengt Kabelsko for anslutning till en koniskt utformad batteripol
JP2000235846A (ja) 1999-02-16 2000-08-29 Tookado:Kk 電池パックの取り付け構造
JP3524521B2 (ja) * 2001-07-03 2004-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ンバーチブルトップ用リヤーガラスにおける通線保護ケース構造
JP2005056625A (ja) 2003-07-31 2005-03-03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分解方法
US7617945B2 (en) * 2003-09-19 2009-11-17 Gabe Cherian Pull tab
JP2005158308A (ja) 2003-11-20 2005-06-16 Sony Corp 電池パック及びこの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2007213987A (ja) * 2006-02-09 2007-08-23 Toshiba Corp 電池パック
KR101045862B1 (ko) 2006-09-18 2011-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전지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전지팩
JP5159425B2 (ja) * 2008-05-19 2013-03-06 古河電池株式会社 組電池モジュール
KR101539788B1 (ko) 2010-12-09 2015-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14078470A (ja) 2012-10-12 2014-05-01 Toshiba Corp 電池モジュール
JP6233076B2 (ja) 2014-02-06 2017-11-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
JP6245038B2 (ja) * 2014-03-31 2017-12-13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233168B2 (ja) * 2014-04-18 2017-11-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US9976778B2 (en) * 2014-10-13 2018-05-22 Solarcity Corporation Integrated hook and flashing for photovoltaic module installation on tile roofs
US11306223B2 (en) * 2015-07-21 2022-04-19 Sony Corporation Double-sided adhesive tape, electronic instrument provided with double-sided adhesive tape, disassembly structure provided with double-sided adhesive tape, and adhered structure
JP6599483B2 (ja) 2015-09-24 2019-10-3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1935013B1 (ko) * 2015-09-25 2019-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6679260B2 (ja) 2015-09-29 2020-04-1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EP3399570B1 (en) 2015-12-28 2020-10-28 Honda Motor Co., Ltd. Power storage device, housing sealing structure and housing production method
KR102112716B1 (ko) 2016-03-16 2020-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97086B1 (ko) 2016-03-16 2020-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519930B1 (ko) 2016-07-07 202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17104709A1 (de) * 2017-03-07 2018-09-1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zur Verwendung bei einem Hochvolt-Energiespeicher
CN107579178B (zh) 2017-08-28 2019-12-13 安徽知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便拆式蓄电池保温装置
CN207449607U (zh) 2017-11-03 2018-06-05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池箱体和车辆
DE102017126949A1 (de) * 2017-11-16 2019-05-1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einrichtung für ein wenigstens teilweise elektrisch betriebenes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8115A (ja) * 1999-01-12 2000-07-28 Kenwood Corp 2次電池収納ケ―ス
KR20110016821A (ko) * 2009-08-12 2011-0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70070624A (ko) * 2015-12-14 2017-06-2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하우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제공개특허 WO2016-207027A (2016.12.29.) SCHULER PRESSEN GMB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961A1 (ko)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3038452A1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23615A1 (en) 2023-07-13
WO2019143029A1 (ko) 2019-07-25
EP3644398A4 (en) 2020-11-04
JP7038944B2 (ja) 2022-03-22
EP3644398A1 (en) 2020-04-29
JP2020522111A (ja) 2020-07-27
US20200411815A1 (en) 2020-12-31
CN111095597A (zh) 2020-05-01
CN111095597B (zh) 2022-09-20
US11611125B2 (en) 2023-03-21
KR102270269B1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7746A (ko) 리유즈, 리사이클 내지 리웍이 용이한 접착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107534196B (zh) 电池模块
US10347886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S10361037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JP5748990B2 (ja) 組電池及びこれを装備する電動車両
US11482743B2 (en) Method for producing a high-voltage energy storage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high-voltage energy storage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10993845B (zh) 电池包及电动车
JP2006128122A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09529218A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06080045A (ja) 電池パック
JP6728586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6255317B2 (ja) 電池ブロック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KR20220083733A (ko) 전기 차량용 배터리 조립체
JP2008186750A (ja) 緩衝材
KR20200117177A (ko)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95207B1 (ko) 2차 전지 및 그 조전지 및 2차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
JP2023503506A (ja) 電池パック及び電気自動車
CN209896152U (zh) 电池包及电动车
JP2011171175A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20150123103A (ko) 이차전지용 배터리 모듈
JP6500554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200104617A (ko) 확장 가능한 수냉식 배터리 모듈
JP5341739B2 (ja) 電池パック
EP4060683A1 (en) Battery energy storage module and battery energy storage device
JP2008243639A (ja) 加圧ホルダー付き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