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207B1 - 2차 전지 및 그 조전지 및 2차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2차 전지 및 그 조전지 및 2차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207B1
KR101095207B1 KR1020090114867A KR20090114867A KR101095207B1 KR 101095207 B1 KR101095207 B1 KR 101095207B1 KR 1020090114867 A KR1020090114867 A KR 1020090114867A KR 20090114867 A KR20090114867 A KR 20090114867A KR 101095207 B1 KR101095207 B1 KR 101095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battery
electrode
electrode body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569A (ko
Inventor
노리유끼 마루야마
유따 네모또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9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ell Separator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2차 전지는, 편평하게 권취된 전극 권회체와, 그것을 수납하는 편평형의 하드 케이스와, 그들 사이에 끼워 넣어진 필름 부재를 갖고 있다. 필름 부재에는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다. 두께부는 전극 권회체의 표면 중 평면부와 곡면부의 경계 부분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2차 전지를 구속하였을 때의 하중이, 전극 권회체의 거의 전체에 넓게 걸린다. 이리하여, 발전 성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이에 의해, 전극체로의 하중이 충분히 걸리도록 하여, 전지 성능을 향상시킨 2차 전지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2차 전지는, 조전지로서, 차량에 탑재하는 전지로서, 전지 탑재 기기에 탑재하는 전지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2차 전지, 전극 권회체, 필름 부재, 하드 케이스, 전극체

Description

2차 전지 및 그 조전지 및 2차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 {SECONDARY BATTERY, BATTERY ASSEMBLY,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2차 전지 및 그 조전지(組電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편평형의 2차 전지이며, 전극체로의 구속 하중이 적절하게 걸리도록 하여 전지 성능을 향상시킨 2차 전지 및 그 조전지, 그 2차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충전 가능한 2차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 용도로는 예를 들어, 차량의 차량 탑재 기기로의 전력 공급, 전지 탑재 기기에 있어서의 전력원 등이 있다. 2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정부(正負)의 전극 시트 및 세퍼레이터 시트를 겹쳐 권회하고, 전해액을 함침시킨 전극 권회체를 발전 요소로 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2차 전지는 통상, 상기한 전극 권회체를 케이스에 봉입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전극 권회체의 권취 방법은, 편평 권취나 원기둥 권취 등이 있고, 권취 방법에 따라서 케이스의 형상도 상이하다. 편평 권취의 경우의 케이스는, 편평형이다.
2차 전지는, 전력 공급처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내용에 맞추기 위해, 복수개 를 조합한 조전지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편평형의 2차 전지를 조전지로 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2차 전지를 두께 방향으로 배치하여, 전체를 적절한 구속 부재로 구속하여 일체화한다. 이 구속 상태에서는, 각각의 2차 전지가 두께 방향으로 압박된 상태에 있다. 이 압박의 하중이 전극 권회체에 정확히 걸려 있는 것이, 2차 전지의 발전 성능상에도 중요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2차 전지의 선행예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1] 일본공개특허 제2004-227788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2차 전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실제로는 전극 권회체에 하중이 잘 걸리지 않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전지 성능이 충분하게는 발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이에 의해,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이나 전지 탑재 기기의 성능도 충분하게는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렇게 되는 원인으로서는, 구속 하중에 의한 케이스의 변형을 들 수 있다.
두께 방향으로 하중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의 2차 전지의 단면도를 도 14에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차 전지의 케이스(50)의 양면의 평면 부분을, 압박 부재(51, 51)로 압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50)가 도 14 중 상하 방향으로 약간이지만 찌부러지듯이 변형되어, 전극 권회체(52)에 하중을 걸고 있다. 여기서, 케이스(50)의 찌부러짐 정도는 균등하지 않다. 즉, 폭 방향(도 14 중 좌우 방향)의 중앙에서는 어느 정도 찌부러져 있지만, 양단부 부근에서는 거의 찌부러져 있지 않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양단부 부근에서는, 케이스(50)의 덮개 부분이나 바닥 부분의 존재로 인해 강성이 중앙보다 높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도 15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50)[또는 스페이서(53)]와 전극 권회체(52)의 사이에 약간이지만 간극이 있는 영역(54)이 생겨 버리는 것이다. 이 영역(54)은, 도 14 중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 부근의 상하 양면에 존재한다. 전극 권회체(52) 중 영역(54) 내의 부분에는 당연히 하중이 걸리지 않는다. 이로 인해 그만큼, 전극 권회체(52)로의 하중이 불충분한 것이다. 또한, 도 15에서는, 케이스(50)의 변형의 정도를 실제보다 상당히 과장되게 묘화하고 있다.
상기한 영역(54)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극 권회체(52)로의 하중 분포는, 도 16의 그래프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된다. 도 16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횡축은, 도 14 중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 중에「55」로 나타내는 범위는, 전극 권회체(52)에 하중을 걸 필요가 있는 범위이며, 도 14 중의 압박 부재(51)가 존재하는 범위와 거의 일치한다. 도 16의 하중 분포에서는, 하중을 필요로 하는 범위(55)의 양단부에, 하중 부족의 범위(56, 56)가 존재하고 있다. 범위(56, 56)는 당연히 상기한 영역(54)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범위(56)가 생겨 버리므로, 하중을 필요로 하는 범위(55)의 전체적으로 받는 하중이 부족한 것이다.
여담이지만, 도 16의 그래프 중에서는, 범위(55)의 내부에 있어서도 위치에 따라 하중에 불균일이 보인다. 이 불균일은, 압박 부재(51)의 구조에 기초한다. 즉, 도 14에서는 간단하게 묘화하고 있지만, 실제의 압박 부재(51)는 통기에 의한 냉각성으로 인해 빗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도 16에 보이는 바와 같은 하중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 정도의 불균일은, 전지 성능상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즉, 그 과제로 하는 것은, 전극체로의 하중이 충분히 걸리도록 하여, 전지 성능을 향상시킨 2차 전지 및 그 조전지, 그 2차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2차 전지는, 전극체와, 그것을 수납하는 편평형 케이스를 갖는 것이며 또한, 편평형 케이스의 내면과 전극체의 사이에 위치하고, 전극체의 표면의 일부를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갖고 있다. 압박 부재는, 전극체와도 편평형 케이스와도 다른 제3 부재라도 좋고, 편평형 케이스의 내면과 일체인 것이라도 좋다. 이 압박 부재의 존재에 의해 전극체에 있어서의 넓은 범위에 하중이 걸려, 전지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체로의 하중이 충분히 걸리므로, 전지 성능이 향상된 2차 전지 및 그 조전지가 제공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형태에 관한 2차 전지는 기본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 와 같이 전극 권회체(1)를, 금속제 또는 경질 수지제의 하드 케이스(3)에 봉입한 리튬 이온 2차 전지이다.
전극 권회체(1)는 정부의 전극 시트 및 세퍼레이터 시트를 겹쳐 편평 권취로 권회한 것이다. 전극 권회체(1)는 두께 조정을 위한 필름 부재(2)가 권취된 후에 하드 케이스(3)에 삽입된다. 하드 케이스(3)는 2차 전지의 외형을 이루는 편평 형상의 케이스이다. 필름 부재(2)는 하드 케이스(3)의 내면과 전극 권회체(1)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게 된다. 필름 부재(2)는 하드 케이스(3)가 금속제인 경우에는, 전극 권회체(1)와 하드 케이스(3)의 사이의 절연의 역할도 한다. 또한, 전극 권회체(1)에는 전해액이 함침된다. 하드 케이스(3)에 전극 권회체(1) 및 필름 부재(2)를 삽입한 후에, 단자의 장착이나 하드 케이스(3)의 개구부(4)의 밀봉이 행해진다.
필름 부재(2)에는 4군데의 두께부(5)가 형성되어 있다. 두께부(5)는 필름 부재(2)에 있어서의 두께부(5) 이외의 부위(두께 100㎛ 정도)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줄 형상의 부위이다. 두께부(5)의 단면 형상을 도 2에 도시한다.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두께부(5)는 필름 부재(2)의 한쪽 면이 밭이랑 형상으로 융기된 단면 형상의 부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부(5)에 있어서의 융기된 측의 면에는, 경사면(6)과 수직면(7)이 형성되어 있다.
두께부(5)의 융기된 높이(H)는, 두께부(5) 이외의 부위의 두께(T)의 O.5 내지 1.5배의 범위 내가 적절하다. 이것이 지나치게 작으면 두께부(5)로서의 효과가 작다. 반대로 지나치게 크면, 두께부(5)에 의해 전극 권회체(1)에 과도하게 큰 하중이 걸려 버려, 평면 부분으로의 하중이 오히려 작아져 버린다. 또한, 두께부(5) 의 폭(W)은 5㎜ 정도가 좋다.
필름 부재(2)에 있어서의 두께부(5)의 융기면(도 2 중의 상측의 면)은, 2차 전지에 조립 부착되었을 때, 전극 권회체(1)가 아닌 하드 케이스(3)의 내면에 대면하는 면이다. 단, 이것은 역방향이라도 좋다. 또한, 두께부(5)의 단면 형상은, 도 2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3 혹은 도 4에 도시하는 형상이라도 좋다. 나아가서는, 표리 양면으로 융기된 형상이라도 좋다.
필름 부재(2)의 두께부(5)는 2차 전지에 내장될 때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극 권회체(1)의 외형 중 평면부(11)와 곡면부(12)의 경계 부분에 위치한다. 도 5에서는, 두께부(5)가, 평면부(11) 중, 평면부(11)와 곡면부(12)의 경계에 인접한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께부(5)가, 곡면부(12) 중, 평면부(11)와 곡면부(12)의 경계에 인접한 부위에 위치해도 좋다. 혹은, 두께부(5)가, 평면부(11)와 곡면부(12)의 경계를 걸쳐 있어도 좋다.
상기한 필름 부재(2)를 이용한 2차 전지에 있어서의, 구속 부재에 의한 구속 하중이 걸렸을 때의 상황을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설명에 있어서의 도 1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거기서 도 6과 도 15를 대비해 보면,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즉, 두께부(5)를 갖지 않는 도 15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 권회체(52)에 하중이 걸리지 않는 간극 영역(54)이 발생되어 있다.
그러나 두께부(5)를 갖는 도 6에서는, 도 15의 영역(54)에 상당하는 부위(8)에 있어서도, 전극 권회체(1)에 정확히 하중이 걸린다. 하드 케이스(3)가 압박에 의해 변형되어 있는 상황에서도, 전극 권회체(1)와 필름 부재(2)가 밀착되어 있고, 또한 필름 부재(2)[특히, 그 두께부(5)]와 하드 케이스(3)의 내면이 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두께부(5)의 존재에 의해, 전극 권회체(1) 중, 종래의 2차 전지라면 간극 영역(54)으로 되어 있었던 부위가 양호하게 압박되어 있는 것이다.
도 7에, 본 형태의 2차 전지에 있어서의 전극 권회체(1)로의 하중 분포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종래의 2차 전지에 있어서의 하중 분포와 비교하여, 하중을 필요로 하는 범위(55)의 양단부의, 하중 부족의 범위(56, 56)가 거의 없어져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즉, 하중을 필요로 하는 범위(55)의 거의 전체에, 필요한 하중이 걸려 있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두께부(5)의 존재 자체에 의한 효과이다. 이로 인해, 본 형태의 2차 전지에서는, 전극 권회체(1)의 본래의 발전 성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간극 영역의 존재에 의한 하중 부족이라고 하는 사태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하중 상태에서의 두께부(5)는, 하중에 의해 약간 찌부러져 있다. 즉, 도 6 중의 두께부(5)의 높이(H')는, 도 2에 도시한 본래의 높이(H)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동일한 것을, 두께부(5)로서 도 3 혹은 도 4의 단면 형상인 것을 이용한 경우에도 말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의 하중 상태의 단면도를 도 8, 도 9에 도시한다. 도 8, 도 9에 있어서의 두께부(5)의 높이도, 도 3, 도 4와 비교하여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본 형태의 2차 전지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것이라도 좋다. 도 10의 2차 전지는, 도 1의 것에 대해, 하드 케이스(3)에 삽입되는 전극 권회체(1)의 방향을 변경한 것이다. 이것에 수반하여, 필름 부재(9)에 있어서의 두께부(10)의 위치도 변경되어 있다. 단, 두께부(10)가, 2차 전지에 내장될 때에, 전극 권회체(1)의 외형 중 평면부(11)와 곡면부(12)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것에는 변함없다.
본 형태의 2차 전지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전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의 조전지는, 복수개의 본 형태의 2차 전지(13)를, 압박 부재(51, 51) 사이에 끼워, 볼트(111)와 너트(112)로 조인 것이다. 이 조임에 의해, 각 2차 전지(13)에 구속 하중이 걸려 있다. 압박 부재(51, 51)는 실제로는 빗살 형상이다. 각 2차 전지(13)는 통상, 직렬로 접속된다. 이 조전지의 각 2차 전지(13)에 있어서도 필름 부재의 두께부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전극 권회체로의 하중이 양호하게 걸린다. 이에 의해, 조전지 전체의 본래의 발전 성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압박 부재(51, 51)가 양단부에만 배치되어 있지만, 각 2차 전지(13)의 사이에도 압박 부재(51)를 배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조전지에 있어서는, 그 모든 2차 전지의 필름 부재에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최량이다. 그러나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의 2차 전지에 있어서만 필름 부재에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그만큼의 효과는 얻어진다.
본 형태의 2차 전지 또는 그 조전지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차량(200)에 있어서의 전력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차량(200)은, 엔진(240), 프론트 모터(220) 및 리어 모터(230)를 병용하여 구동원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이다. 이 차량(200)은 차체(290), 엔진(240), 프론트 모터(220), 리어 모터(230), 케이블(250), 인버터(260), 전지팩(100)을 갖고 있다. 전지팩(100)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전지가 내장되어 있다. 그 조전지는 본 형태의 2차 전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200)에 있어서도, 각 2차 전지에 있어서의 필름 부재의 두께부의 존재에 의해, 전지팩(100)의 본래의 발전 성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차량으로서는, 그 구동 동력원의 전부 혹은 일부에 전지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차량이면 좋다. 차륜의 개수는 상관없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하이브리드 철도 차량, 포크리프트, 전동 휠체어,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차량 탑재의 전기 기기의 전원으로서만 전지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차량이라도 좋다. 조전지로 하지 않는 단체(單體)의 2차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형태의 2차 전지 또는 그 조전지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전지 탑재 기기에 있어서의 전력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것은, 전지팩(100)을 탑재하는 해머 드릴(300)이다. 해머 드릴(300)은 본체(320)와 전지팩(100)을 갖는 전지 탑재 기기이다. 해머 드릴(300)에 있어서 전지팩(100)은 본체(320)의 바닥부(321)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해머 드릴(300)에 있어서도, 각 2차 전지에 있어서의 필름 부재의 두께부의 존재에 의해, 전지팩(100)의 본래의 발전 성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전지 탑재 기기로서는, 전지를 탑재하여 이것을 에너지원의 적어도 하나로서 이용하는 기기이면 좋다.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전지 구 동의 전동 공구, 무정전 전원 장치, 전지 구동의 각종 가전 제품, 오피스 기기, 산업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조전지로 하지 않는 단체(單體)의 2차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의 2차 전지 또는 그 조전지에 따르면, 필름 부재(2)에 두께부(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두께부(5)가, 전극 권회체(1)의 외형 중 평면부(11)와 곡면부(12)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극 권회체로의 하중이 양호하게 걸려, 본래의 발전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는 2차 전지가 실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연히,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량,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두께부를 갖는 필름 부재 대신에, 두께부만의 단독 부재와 두께부가 없는 평탄한 필름 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그 경우, 하드 케이스의 적어도 내면이 절연성인 것이면 필름 부재는 불가결하지 않다. 또한, 리튬 이온 2차 전지 이외의 2차 전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체로서 전극 시트 등을 편평 권취로 권회한 전극 권회체(1)를 나타냈지만, 전극체는 이것이 한정되지 않는다. 타원형 혹은 타원형 단면의 전극체라도 좋고, 권회형이 아닌 적층형의 전극체라도 좋다. 이들의 경우에는, 구속에 의한 하중의 전극체 상에서의 분포를 미리 조사하여, 필요한 부위에 필요한 사이즈의 압박 부재를 배치하면 좋다.
본 발명의 2차 전지에 있어서는 또한, 편평형 케이스의 내면과 전극체의 사 이에 끼워 넣어진 필름 부재를 갖고, 필름 부재의 일부에,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두께부가 압박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전극체의 표면에, 평면부와 곡면부가 있고, 압박 부재 또는 두께부는 전극체의 표면 중 평면부와 곡면부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체의 곡면부 중에서도 전극체의 평면부에 인접하는 부분에서는, 편평형 케이스의 내면과 전극체의 곡면부의 사이의 거리가 작다. 이로 인해, 압박 부재 또는 두께부의 존재에 의한 전극체로의 압박이 확실하게 걸리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전극체의 평면부뿐만 아니라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에도, 압박 하중이 확실하게 걸리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전극체가, 편평 권취로 권회된 전극 시트로 형성된 전극 권회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평하게 권취된 전극 권회체를 이용하는 전지에서는 특히, 압박 부재에 의해 하중을 넓은 범위에 거는 것의 의의가 크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개의 전술한 2차 전지와, 2차 전지를 외부로부터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갖고, 복수개의 2차 전지가 조합되어 있고, 압박 부재가, 복수개의 2차 전지의 조합을, 전극체의 두께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는 2차 전지의 조전지로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2차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이며, 그 2차 전지가, 전극체와, 전극체를 수납하는 편평형 케이스를 갖고, 또한 편평형 케이스의 내면과 전극체의 사이에 위치하고, 전극체의 표면의 일부를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갖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2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필름 부재에 있어서의 두께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3은 두께부의 형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두께부의 형상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2차 전지에 있어서의 전극 권회체의 외형과 두께부의 위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2차 전지에 있어서의, 하중이 걸린 상황에서의 두께부 부근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한 2차 전지에 있어서의 전극 권회체로의 하중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두께부의 형상의 다른 예(도 3)에 있어서의 하중이 걸린 상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두께부의 형상의 또 다른 예(도 4)에 있어서의 하중이 걸린 상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은 실시 형태에 관한 2차 전지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실시 형태에 관한 2차 전지를 조전지로 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 형태에 관한 2차 전지의 조전지를 탑재하는 자동차를 도시하는 투시 사시도.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한 2차 전지 또는 그 조전지를 탑재하는 해머 드릴을 도시하는 투시 사시도.
도 14는 2차 전지에 하중이 걸리는 상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케이스의 변형에 의해 전극 권회체에 하중이 걸리지 않는 영역이 생기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2차 전지에 있어서의 전극 권회체로의 하중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극 권회체
2 : 필름 부재
3 : 하드 케이스
5 : 두께부(압박 부재)
9 : 필름 부재
10 : 두께부(압박 부재)
11 : 평면부
12 : 곡면부
13 : 2차 전지
51 : 압박 부재
200 : 차량
300 : 해머 드릴

Claims (10)

  1. 전극체와, 상기 전극체를 수납하는 편평형 케이스를 갖는 2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편평형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전극체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필름 부재를 갖고,
    상기 필름 부재의 일부에,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께부가 상기 전극체의 표면의 일부를 압박하는 압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체의 표면에, 평면부와 곡면부가 있고,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전극체의 표면 중 평면부와 곡면부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체는.
    편평 권취로 권회된 전극 시트로 형성된 전극 권회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체는,
    편평 권취로 권회된 전극 시트로 형성된 전극 권회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8. 삭제
  9. 전극체와, 상기 전극체를 수납하는 편평형 케이스를 갖는 2차 전지와, 상기 2차 전지를 외부로부터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갖고, 복수개의 상기 2차 전지가 조합되어 있고, 상기 압박 부재가, 상기 복수개의 2차 전지의 조합을, 상기 전극체의 두께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는 2차 전지의 조전지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2차 전지가,
    상기 편평형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전극체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필름 부재를 갖고,
    상기 필름 부재의 일부에,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께부가 상기 전극체의 표면의 일부를 압박하는 압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의 조전지.
  10. 2차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는,
    전극체와, 상기 전극체를 수납하는 편평형 케이스를 갖고, 또한,
    상기 편평형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전극체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필름 부재를 갖고,
    상기 필름 부재의 일부에,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께부가 상기 전극체의 표면의 일부를 압박하는 압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090114867A 2008-12-16 2009-11-26 2차 전지 및 그 조전지 및 2차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 KR101095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19980A JP4998451B2 (ja) 2008-12-16 2008-12-16 2次電池およびその組電池および2次電池を搭載する車両および電池搭載機器
JPJP-P-2008-319980 2008-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569A KR20100069569A (ko) 2010-06-24
KR101095207B1 true KR101095207B1 (ko) 2011-12-16

Family

ID=4224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867A KR101095207B1 (ko) 2008-12-16 2009-11-26 2차 전지 및 그 조전지 및 2차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41123B2 (ko)
JP (1) JP4998451B2 (ko)
KR (1) KR101095207B1 (ko)
CN (1) CN1017525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3156B2 (ja) * 2010-02-05 2013-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2074287A (ja) * 2010-09-29 2012-04-12 Hitachi Vehicle Energy Ltd 角形二次電池
JP5942366B2 (ja) * 2011-09-05 2016-06-2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5810861B2 (ja) * 2011-11-17 2015-11-11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6237849B2 (ja) * 2012-02-15 2017-11-2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6939010B2 (ja) * 2017-03-28 2021-09-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JP7107150B2 (ja) * 2018-10-05 2022-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JP7068632B2 (ja) * 2018-12-11 2022-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435B1 (ko) * 2005-04-08 2007-0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08108457A (ja) * 2006-10-23 2008-05-08 Toyota Motor Corp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0404A (ja) * 1998-09-25 2000-04-07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JP2001068166A (ja) * 1999-08-30 2001-03-1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JP3777981B2 (ja) * 2000-04-13 2006-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JP2002313430A (ja) 2001-04-10 2002-10-25 Nec Tokin Tochigi Ltd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4127060B2 (ja) 2003-01-20 2008-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リチウムイオン組電池
JP4591656B2 (ja) * 2003-12-10 2010-12-01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KR100601517B1 (ko) * 2004-09-24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435B1 (ko) * 2005-04-08 2007-0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08108457A (ja) * 2006-10-23 2008-05-08 Toyota Motor Corp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51302A1 (en) 2010-06-17
CN101752593A (zh) 2010-06-23
KR20100069569A (ko) 2010-06-24
JP4998451B2 (ja) 2012-08-15
CN101752593B (zh) 2012-10-03
US8541123B2 (en) 2013-09-24
JP2010146759A (ja)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207B1 (ko) 2차 전지 및 그 조전지 및 2차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
CN111527621B (zh) 电源装置以及具备电源装置的车辆和蓄电装置
CN107534113B (zh) 电源装置及具有该电源装置的车辆
CN108780861B (zh) 电源装置
JP7179731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装備する車両
KR101235426B1 (ko) 전지와 그 전지를 탑재한 차량 및 기기
CN111527620B (zh) 电源装置以及具备电源装置的车辆和蓄电装置
EP1852925A1 (en) Battery pack
JP5528772B2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防水ケース
US10065490B2 (en) Structure for mounting electric storage apparatus
US20200243815A1 (en) Battery module and vehicle equipped with same
JP2017193299A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CN112673520B (zh) 电源装置和具备电源装置的车辆以及蓄电装置
JP2009277433A (ja) バッテリパック
CN110611063A (zh) 用于机动车的承载负荷的电池模块和机动车
US20140342198A1 (en) Secondary battery
CN111937178B (zh) 电源装置以及具有该电源装置的车辆
KR20120139696A (ko) 모듈용 단자
CN110875455B (zh) 电池布线模块
CN111954941B (zh) 电源装置和具有电源装置的电动车辆
CN115566310A (zh) 电池单元和机动车
CN113964440A (zh) 用于机动车辆的电池
JP2017196943A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US20220093990A1 (en) Cell cooling body, electric storage module, and vehicle
WO2020189657A1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