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315A -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315A
KR20190086315A KR1020180004693A KR20180004693A KR20190086315A KR 20190086315 A KR20190086315 A KR 20190086315A KR 1020180004693 A KR1020180004693 A KR 1020180004693A KR 20180004693 A KR20180004693 A KR 20180004693A KR 20190086315 A KR20190086315 A KR 20190086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customer
tablet
issuing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832B1 (ko
Inventor
김범승
김태형
지용태
안병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8000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8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icket-Dispens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차권 조회, 결제 및 발매를 위하여 고객이 조작하는 전면부, 및 내부에 각종 장치를 수납하여 고정하는 함체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부는, 승차권 예약 발매 서버와 연결되어 승차권 조회 및 발매 기능을 수행하는 테블릿 PC, 조회된 승차권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 및 결제된 승차권을 고객에게 발권하는 발권부를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및 그 작동 방법{TICKET ISSUING MACHINE BASED ON TABLE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열차의 승차권을 발매하는 경우 IT 및 자동화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들이 유인 창구를 선호하였다.
또한, 기존의 승차권 자동발매기는 비싼 도입 비용과 큰 크기로 인해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역사 내의 비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유발하고, 구성, 내부배선, 설치, 이동 등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철도사업자는 무인역사 운영, 확장성, 수익모델 등과 같이 승차권 자동발매기의 활용도를 높여서 자동발매기의 도입비용을 절감하고 역사 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개선할 방안 연구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2289호(2011.09.16.)
본 발명은 승차권 발매 및 반환을 위한 부품 구성을 간소화하고 무선화하여 도입 비용이 절감되고 쉽게 유지보수가 가능한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매기의 크기를 축소시켜 역사 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들의 접근 편의성을 개선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기 확장성을 개선하고 수익모델을 부가하여 활용도가 높아진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차권 조회, 결제 및 발매를 위하여 고객이 조작하는 전면부, 및 내부에 각종 장치를 수납하여 고정하는 함체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부는, 승차권 예약 발매 서버와 연결되어 승차권 조회 및 발매 기능을 수행하는 테블릿 PC, 조회된 승차권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 및 결제된 승차권을 고객에게 발권하는 발권부를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 대기 화면을 통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b) 초기 화면에서 승차권 발매 및 승차권 반환 중 하나에 대한 고객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승차권 발매에 대한 고객의 입력에 따라 열차 예약화면을 통해 승차권 조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d) 고객의 입력에 따라 탑승할 열차를 선택하는 단계, (e) 승차권 발권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f) 결제 방식에 따라 결제하는 단계, 및 (g) 승차권을 발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승차권 발매 및 반환을 위한 부품 구성을 간소화하고 무선화하여 도입 비용이 절감되고 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발매기의 크기를 축소시켜 역사 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원기능을 통해 자동화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들의 접근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역 창구의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여 기기 확장성을 개선하고 광고 컨텐츠 출력을 통해 수익모델을 부가하여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무인역사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매 위주의 기능 수행과 QR 코드를 이용한 반환 기능을 통해 고객 대기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친숙한 코레일톡 UI/UX를 확장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통일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테블릿 PC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전면부의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에서 승차권을 반환 처리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에서 원격지원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는 승차권 조회, 결제 및 발매를 위하여 고객이 조작하는 전면부(100) 및 내부에 각종 장치를 수납하여 고정하는 함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전면부(100)는 승차권 예약 발매 서버와 연결되어 승차권 조회 및 발매 기능을 수행하는 테블릿 PC(110), 조회된 승차권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120) 및 결제된 승차권을 고객에게 발권하는 발권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블릿 PC(110)는 승차권 발매를 위하여 승차권 예약 발매 서버와 통신하고, 승차권을 조회하여 고객의 선택에 따라 승차권을 예매 또는 발매할 수 있다.
이러한, 테블릿 PC(110)는 제어부(111), 카메라(112), 송수화기(113), 통신부(114), 터치 표시 패널(115)을 포함할 수 있다.
테블릿 PC(110)는 제어부(111)를 통해 안드로이드(Android), IOS 등의 운영체제를 구동하고, 통신부(114)를 통해 철도사업자인 한국철도공사의 승차권 예약 발매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1)는 철도사업자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코레일톡+) 플랫폼을 확장한 UI/UX를 사용하여 발매 중심으로 단순화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테블릿 PC(110)는 터치 표시 패널(115)을 통해 전면부(100)에서 화면 출력 및 고객의 입력을 수신하거나,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송수화기(113)를 통해 고객와 고객센터의 통화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통신부(114)를 통해 결제부(120) 및 발권부(130)와 불루투스 등의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테블릿 PC(110)는 고객센터와 통신하여 승차권 발매를 위한 원격지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지원기능은 고객이 테블릿 PC(110)를 통해 도우미를 호출하고, 고객센터의 상담사가 테블릿 PC(110)의 화면을 통해 응답하고, 화상통화 또는 음성통화를 수행하여 고객이 원하는 승차권 조회, 결제, 발매 및 반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안내를 원격으로 지원할 수 있다.
원격지원기능에 대한 예를 들면, 고객이 화면 우측상단에 있는 도우미 호출 버튼을 터치하게 되면 상담사가 도 10과 같은 화면을 통해 응답하고, 화상통화 또는 음성통화를 하며 고객이 원하는 승차권을 조회하거나, 반환하는 안내를 원격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테블릿 PC(110)는 광고 컨텐츠 서버와 연결되어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고, 대기 화면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블릿 PC(110)는 대기 화면을 통해 약 15초 간격으로 홍보 및 광고 영상이나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테블릿 PC(110)는 카메라(112)를 이용하여 발매된 승차권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QR 코드로 승차권의 반환을 처리할 수 있다.
결제부(120)는 결제수단을 접촉식 및 비접촉식 각각의 방식으로 인식하는 접촉식 결제기 및 비접촉식 결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부(120)는 IC 카드 또는 마그네틱(MSR) 카드를 결제할 수 있는 카드 리더기, 및 레일플러스 카드와 같은 비접촉식 카드를 결제할 수 있는 RF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RF 리더기의 전면은 비접촉식 결제를 위해 전면에 타공하여 약 2mm 두께의 아크릴로 덮일 수 있다.
발권부(130)는 승차권의 발권 방식에 따라 지류 승차권을 발권하는 지류 발권기 및 고객의 전자 단말기로 전자식 승차권을 발권하는 전자 발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권부(130)는 지류 승차권을 발권하는 프린터와, 고객의 휴대폰으로 SMS 승차권을 전송하는 SMS 발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에서 테블릿 PC(110), 결제부(120) 및 발권부(130)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는 함체(200) 내부 배선을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함체(2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에서 테블릿 PC(110)는 승차권 예약 발매 서버, 고객 센터 또는 광고 컨텐츠 서버와 무선 데이터 통신망(LTE)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에서 함체(200)는 실시 형태에 따라 벽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함체(200)는 전면부(100)를 수납한 상태에서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역사 내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실시 형태를 통해 함체(200)를 지지하는 지지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300)는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양면에 함체(200)를 각각 다른 높이로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지지대(300)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일면에 함체(200)를 고정하고, 타면에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해 무게추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300)는 내부에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콘센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는 함체(200)를 고정 설치될 벽이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도 지지대(300)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는 설치 장소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고, 역사 내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는 코레일톡 어플의 카드번호 입력방식에서 별도의 카드 결제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고객이 원하는 방식(종이/SMS)으로 승차권 발권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IC/MSR/RF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결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QR코드를 활용한 승차권 반환기능을 추가하여 간편한 승차권 반환이 가능하며, 테블릿 PC를 역사 내 직접 배치하여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는 프린터, 카드결제기, 비첩촉식 카드리더기들이 서로 무선(Bluetooth)으로 연결되어 있고, 고객 조작화면과 제어기판이 일체형이므로 내부 구성이 단순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망 (LTE)을 통해 단말기에서 예약 및 조회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은 대기 화면을 통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S110), 초기 화면에서 승차권 발매 및 승차권 반환 중 하나에 대한 고객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20), 승차권 발매에 대한 고객의 입력에 따라 열차 예약화면을 통해 승차권 조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30), 고객의 입력에 따라 탑승할 열차를 선택하는 단계(S140), 승차권 발권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S150), 결제 방식에 따라 결제하는 단계(S160), 승차권을 발매하는 단계(S170), 영수증을 출력하는 단계(S180), 및 포인트를 적립하는 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가 대기 화면을 통해 약 15초 간격으로 홍보 및 광고 영상이나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가 초기 화면에서 승차권 발매 또는 승차권 반환에 대한 고객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가 열차예약 화면에서 고객의 입력에 따라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인원 등에 대한 승차권 조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가 고객의 입력에 따라 조건에 맞는 열차를 검색하고 탑승할 열차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가 선택된 열차의 승차권을 발권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선택된 발권 방식이 전자식 승차권일 경우, 고객의 연락처를 입력받아서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55). 또한, 선택된 발권 방식이 지류 승차권일 경우 인증 과정 없이 단계 S16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단계 S160에서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가 접촉식 결제기를 이용한 결제 또는 비접촉식 결제기를 이용한 결제 중 하나의 방식으로 결제할 수 있다. 이때, 접촉식 결제기를 이용한 결제는 IC 카드 또는 마그네틱 카드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70에서는 승차권을 발매하되, 단계 S150에서 선택된 발권 방식에 따라 승차권을 발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류 승차권으로 선택된 경우, 지류 발권기를 이용하여 지류 승차권을 발권할 수 있다. 또는, 전자식 승차권으로 선택된 경우, 전자 발권기(SMS 발신기)를 이용하여 SMS 승차권을 고객의 단말기로 발신할 수 있다.
단계 S180에서는 결제 정보에 따른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190에서는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된 금액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적립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은 단계 S120에서 승차권 반환에 대한 고객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승차권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발매된 승차권을 반환 처리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단계 S200은 승차권 반환에 대한 고객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210), QR 코드로 반환하도록 설정하는 단계(S220), 승차권의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S230), 및 반환영수증을 출력하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은 단계 S120에서 도우미를 호출하는 고객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도우미 호출에 대한 고객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은 원격지원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및 도 10을 더 참조하면, 단계 S300은 도우미 호출에 대한 고객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310), 상담사가 화상통화 또는 음성통화를 통해 고객과 통화하는 단계(S320), 승차권 발매 및 승차권 반환 중 하나에 대한 원격 지원을 수행하는 단계(S330), 및 원격 지원을 종료하는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순서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대기화면을 통해 15초 간격으로 홍보 및 광고 영상/사진 표출하고, 열차 예약화면에서 승객은 출발지와 목적지, 출발 시간, 인원 등을 선택할 수 있고 조회하기를 터치하면 열차 조회화면으로 넘어간다. 1번에서 선택한 조건에 맞는 열차를 검색하고, 열차를 선택하여 열차시각, 운임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2번에서 예매를 터치하게 되면 고객이 선택한 열차의 승차권 정보가 나오고 발권 방식(종이/SMS)을 선택하게 된다. 결제 방식을 선택하고 결제를 터치하면, SMS는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여 인증과정을 거친 후, 종이승차권은 선택 시 별도의 인증 과정 없이 카드 삽입 명령이 나온다. IC/MSR/RF리더를 중 한 가지 방식으로 결제하면 결제 완료/승차권 및 영수증 발매 팝업이 나타난다. 초기화면에서 반환하기를 터치 후 승차권에 인쇄된 QR코드를 인식시키면 반환이 가능하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관리자 화면의 초기 화면을 확인할 수 있고, 자동발매기 어플리케이션의 즐겨 찾는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발매내역을 조회하여 해당 승차권을 재인쇄 할 수 있다. 각 기기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창구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발권방식을 MS/프린트 겸용,SMS전용 등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카드리더기, 프린터, RF리더기의 장치를 관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승차권 발매 및 반환을 위한 부품 구성을 간소화하고 무선화하여 도입 비용이 절감되고 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발매기의 크기를 축소시켜 역사 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원기능을 통해 자동화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들의 접근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역 창구의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여 기기 확장성을 개선하고 광고 컨텐츠 출력을 통해 수익모델을 부가하여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무인역사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매 위주의 기능 수행과 QR 코드를 이용한 반환 기능을 통해 고객 대기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친숙한 코레일톡 UI/UX를 확장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통일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전면부
110: 테블릿 PC
120: 결제부
130: 발권부
200: 함체
300: 지지대

Claims (19)

  1. 승차권 조회, 결제 및 발매를 위하여 고객이 조작하는 전면부; 및
    내부에 각종 장치를 수납하여 고정하는 함체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부는,
    승차권 예약 발매 서버와 연결되어 승차권 조회 및 발매 기능을 수행하는 테블릿 PC;
    조회된 승차권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 및
    결제된 승차권을 고객에게 발권하는 발권부;
    를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블릿 PC는 제어부, 카메라, 송수화기 및 터치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에서 화면을 출력하거나, 고객의 입력을 수신하거나, 고객과 고객센터의 통화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블릿 PC는 고객센터와 통신하여 승차권 발매를 위한 원격지원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원격지원기능은 고객이 상기 테블릿 PC를 통해 도우미를 호출하고, 고객센터의 상담사가 상기 테블릿 PC의 화면을 통해 응답하고, 화상통화 또는 음성통화를 수행하여 고객이 원하는 승차권 조회, 결제, 발매 및 반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안내를 원격으로 지원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블릿 PC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발매된 승차권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QR 코드로 상기 승차권의 반환을 처리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부는, 결제용 카드를 접촉식 및 비접촉식 각각의 방식으로 인식하는 접촉식 카드 리더기 및 비접촉식 카드 리더기를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권부는, 승차권의 발권 방식에 따라 지류 승차권을 발권하는 지류 발권기 및 고객의 전자 단말기로 전자식 승차권을 발권하는 전자 발권기를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블릿 PC는 광고 컨텐츠 서버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시키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블릿 PC, 상기 결제부 및 상기 발권부 각각은 상호 무선으로 통신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양면에 상기 함체를 각각 다른 높이로 고정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일면에 상기 함체를 고정하고, 타면에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해 무게추를 장착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내부에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콘센트를 구비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13. (a) 대기 화면을 통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b) 초기 화면에서 승차권 발매 및 승차권 반환 중 하나에 대한 고객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승차권 발매에 대한 고객의 입력에 따라 열차 예약화면을 통해 승차권 조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d) 고객의 입력에 따라 탑승할 열차를 선택하는 단계;
    (e) 승차권 발권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f) 결제 방식에 따라 결제하는 단계; 및
    (g) 승차권을 발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승차권 반환에 대한 고객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승차권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발매된 승차권을 반환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을 반환 처리하는 단계는,
    QR 코드로 반환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승차권의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및 반환영수증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도우미를 호출하는 고객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원격지원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원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담사가 화상통화 또는 음성통화를 통해 고객과 통화하는 단계, 및 승차권 발매 및 승차권 반환 중 하나에 대한 원격 지원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선택된 발권 방식이 전자식 승차권일 경우 고객의 연락처를 입력받아서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 영수증을 출력하는 단계 및 포인트를 적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의 작동 방법.
KR1020180004693A 2018-01-12 2018-01-12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KR10217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693A KR102173832B1 (ko) 2018-01-12 2018-01-12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693A KR102173832B1 (ko) 2018-01-12 2018-01-12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315A true KR20190086315A (ko) 2019-07-22
KR102173832B1 KR102173832B1 (ko) 2020-11-03

Family

ID=6746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693A KR102173832B1 (ko) 2018-01-12 2018-01-12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889B1 (ko) * 2021-09-10 2022-03-03 한국철도공사 다기능 키오스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616A (ja) * 1994-08-05 1996-02-20 J R Higashi Nippon Mechatronics Kk 遠隔地発券システム
KR20080021179A (ko) * 2006-08-28 2008-03-07 한국철도공사 Sms을 이용한 사이버 열차티켓 판매시스템 및 판매방법
KR20110102289A (ko) 2008-12-10 2011-09-16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자동 거래 처리 장치
JP2012064047A (ja) * 2010-09-16 2012-03-29 Toshiba Corp 改札システム、改札処理方法、券発行装置、情報処理装置、入場駅改札装置、及び出場駅改札装置
US20170099980A1 (en) * 2015-10-08 2017-04-13 Michel Abou Haidar Integrated tablet computer in hot and cold dispensing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616A (ja) * 1994-08-05 1996-02-20 J R Higashi Nippon Mechatronics Kk 遠隔地発券システム
KR20080021179A (ko) * 2006-08-28 2008-03-07 한국철도공사 Sms을 이용한 사이버 열차티켓 판매시스템 및 판매방법
KR20110102289A (ko) 2008-12-10 2011-09-16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자동 거래 처리 장치
JP2012064047A (ja) * 2010-09-16 2012-03-29 Toshiba Corp 改札システム、改札処理方法、券発行装置、情報処理装置、入場駅改札装置、及び出場駅改札装置
US20170099980A1 (en) * 2015-10-08 2017-04-13 Michel Abou Haidar Integrated tablet computer in hot and cold dispens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889B1 (ko) * 2021-09-10 2022-03-03 한국철도공사 다기능 키오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832B1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0185A (ko) 음식 주문 방법
US9639833B2 (en) Commodity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US20150012580A1 (en) Waiting ticket operation system and method
KR20170083400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멀티미디어 인텔리전트 콜센터 운영시스템
US9118802B2 (en) Video ticket office
JP6646008B2 (ja) 精算システム、ホスト端末、精算方法、プログラム及び車両
KR20190086315A (ko)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및 그 작동 방법
CN106447330B (zh) 一种现场支付系统及方法
KR2012013853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JP6578044B1 (ja) 順番管理システム、順番管理方法及び順番管理プログラム
KR101505995B1 (ko) Nfc 지능형 순번 대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번호표 발급방법.
JP2004185261A (ja) テーマパークの予約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予約方法
KR100529789B1 (ko) 대기표 처리장치
CN104426995A (zh) 核心组件、终端设备、服务器、系统及服务提供方法
KR100523921B1 (ko) 대기표 처리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20210134541A (ko) 무선충전기
KR2014013982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KR101285198B1 (ko) 고객 순번대기 관리 장치
KR20130043740A (ko) Nfc를 통한 간편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방법
JP7134301B2 (ja) 精算システム、ホスト端末、精算方法、プログラム及び車両
KR20140101509A (ko) 대기번호 관리 시스템
JP6892656B2 (ja) 精算システム、ホスト端末、精算方法、プログラム及び車両
KR20140016007A (ko) Nfc를 통한 간편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이용한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KR20130102739A (ko) 대기번호 관리 시스템
KR102370351B1 (ko) 실시간 원격 대기 신청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